KR20240031698A -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 Google Patent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698A
KR20240031698A KR1020220110743A KR20220110743A KR20240031698A KR 20240031698 A KR20240031698 A KR 20240031698A KR 1020220110743 A KR1020220110743 A KR 1020220110743A KR 20220110743 A KR20220110743 A KR 20220110743A KR 20240031698 A KR20240031698 A KR 2024003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livestock
guard cover
protectiv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수
박수인
채혜선
김경란
김효철
서민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11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698A/en
Publication of KR2024003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69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6Waterproof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끈고리가 형성된 갑피; 및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가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omprising: an upper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nd at least one lacing loop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a portion of both edges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guard cover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to connect both edges of the opening.

Description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본 발명은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와 같이 가축을 사육하는 작업환경에서, 가축의 배설물이나 오수, 이물질, 세균, 분진 등이 작업화(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More specifically, in a working environment where livestock are raised, such as a livestock bar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livestock excrement, sewage, foreign substances, bacteria, dust, etc. from entering the inside of work shoes (shoes). This was done to prevent it.

특히,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오염이 쉽게 발생되는 발등 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신발끈의 기능을 대신하여, 신축성과 탄성이 있는 소재의 가드커버(Guard cover)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내부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발등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이나 작업 시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shoe by constructing a guard cover made of an elastic and elastic material instead of the function of a shoelace on the open part of the instep, where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shoe easily occurs. In addition, it relates to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that can hold the instep stably and provide comfort to workers when walking or working.

일반적으로 신발, 특히 신발끈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신발의 경우, 야외활동이나 각종 작업현장에서 신발의 목부분과 함께 신발끈을 착용하는 부분을 통해 각종 먼지나 이물질, 오수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shoes, especially shoes worn with shoelaces, various dust, foreign substances, sewage, etc. enter the shoe through the neck of the shoe and the part where the shoelace is worn during outdoor activities or various work sites. Cases may arise.

이와 같이 신발 내부로 각종 먼지나 이물질, 오수 등이 유입되면, 신발 내부를 오염시켜 청결상태가 악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발에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착용감이 저하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way, if various dusts, foreign substances, sewage, etc. enter the inside of the shoe, it can contaminate the inside of the shoe and worsen the cleanliness, which can cause disease in the wearer's feet, deteriorate the fit, and in severe cases, There may be cases where it causes discomfo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2087호 '신발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보호구'(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신발끈을 착용하는 부분을 통해 신발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2087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sho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is is to prevent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shoe through the part.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해당 보호구가 신발과는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착용자가 따로 휴대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별도의 커버형태로 착용하기 때문에,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신발을 신은 후 추가적으로 착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protective gear is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shoes, causing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be carried separately by the wearer, and since it is worn in the form of a separate cover, additional protective equipment i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wearing the shoes. It was a hassle to have to wear it.

또한, 선행기술의 보호구는 하부에 무게추가 있어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게추로 인해 걷는 도중에 흔들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히려 발목 등에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protective gear has a weight at the bottom to maintain its appearance, but this weight may cause shaking while walking, which has the problem of putting a burden on the ankles and the like.

또한, 무게추의 자중으로 인해 커버형태의 보호구가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phenomenon of the cover-shaped protective equipment flowing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한편, 축사 등과 같이 가축을 사육하는 현장에서 신발끈을 이용하는 신발을 신는 경우, 신발 내부의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hoes using shoelaces are worn in livestock breeding sites such as livestock farms, problems due to contamination inside the shoes may occur more seriously than in the general case.

예를 들어, 가축 사육은 가축에 의한 밟힘 사고, 장애물 충돌 및 넘어짐 등은 물론, 배설물 등에 의한 유기 분진, 세균성 바이러스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신발 내부에 대한 보호, 다시 말해 신발끈 부분을 통한 이물질이나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For example, livestock raising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exposed to accidents such as stepping on livestock, collisions with obstacles, and falls, as well as organic dust from excrement, bacterial viruses, etc., 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shoe, that is, through the shoelace portion. It is more important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sewage.

그러나, 지금까지 시판되는 작업화, 안전화 등은 대부분 일반 산업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도로 제작된 것으로, 신발끈 부분에 배설물이나 이물질, 오수 등이 쉽게 흡착되거나 침투하게 되므로, 앞서 살펴본 축사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부족하였다.However, most of the work shoes and safety shoes on the market so far are manufactured for use in general industrial work sites, and excrement, foreign substances, sewage, etc. are easily absorbed or penetrated into the shoelaces, making them unsuitable for use in the livestock environment mentioned above. It was very insufficient.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2087호 '신발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보호구'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2087 ‘Protective gea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sho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축사와 같이 가축을 사육하는 작업환경에서, 가축의 배설물이나 오수, 이물질, 세균, 분진 등이 작업화(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that can prevent livestock excrement, sewage, foreign substances, bacteria, dust, etc. from entering the inside of work boots (shoes) in a working environment where livestock are raised, such as a livestock barn. The purpose is to provide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특히,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오염이 쉽게 발생되는 발등 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신발끈의 기능을 대신하여, 신축성과 탄성이 있는 소재의 가드커버(Guard cover)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내부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발등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이나 작업 시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shoe by constructing a guard cover made of an elastic and elastic material instead of the function of a shoelace on the open part of the instep, where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shoe easily occur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that can hold the instep stably and provide comfort to workers when walking or working.

또한, 본 발명은 신발내부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발등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가축 사육환경과 같은 특정 작업환경에서 요구되는 보호 성능의 발현과 동시에 안정적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성과 활동성이 개선된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shoe and stably holds the instep, thereby providing stable activity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protective performance required in specific work environments such as livestock breeding environm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with improved mobi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은,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끈고리가 형성된 갑피; 및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 끝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가드커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upper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and at least one lacing loop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a portion of both edges of the opening; and a guard cover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portion to connect ends of both edges of the open portion.

또한, 상기 개방부는, 갑피의 발등부분에서 시작하여 발목부분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서 일정높이까지의 하부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open starting from the instep portion of the upper toward the ankle portion, and the guard cover may be coupled to cover the lower area from the start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to a certain height.

또한, 상기 가드커버는, 신축성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and elasticity.

또한,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에 비하여, 그 반대방향인 상부의 탄성력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may be formed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start of the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에서, 그 반대방향인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may be formed so that its elastic forc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part coupled to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toward the upper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상기 가드커버에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텅(Tongue)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tongue cover is coupled to extend from the guard cover and coupled to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opening to connect both edges of the opening.

또한, 상기 가드커버 및 텅커버는, 2단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가드커버는 갑피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기 텅커버는 갑피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and tongue cover may be combined in a two-stage structure, where the guard cover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the tongue cover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또한, 상기 텅커버는, 상기 가드커버의 상부에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개방부의 상부종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ngue cover may be coupled to extend from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to for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opening.

또한, 상기 텅커버는,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고리와 겹치도록 형성된 물받이부; 및 상기 물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어 갑피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gue cover includes a water catch portion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both edges overlaps the string loop;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또한, 상기 물받이부 및 날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폭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n inverted triangle whose width wide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축사와 같이 가축을 사육하는 작업환경에서, 가축의 배설물이나 오수, 이물질, 세균, 분진 등이 작업화(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livestock excrement, sewage, foreign substances, bacteria, dust, etc. from entering the inside of work boots (shoes) in a working environment where livestock are raised, such as a livestock barn. There is.

특히,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오염이 쉽게 발생되는 발등 부분의 개방된 부분에 신발끈의 기능을 대신하여, 신축성과 탄성이 있는 소재의 가드커버(Guard cover)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내부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발등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이나 작업 시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shoe by constructing a guard cover made of an elastic and elastic material instead of the function of a shoelace on the open part of the instep, where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shoe easily occurs. In addition, it can hold the instep stab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mfort to workers when walking or working.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축사와 같은 가축 사육환경 등의 특정 작업환경에서 요구되는 보호 성능의 발현과 동시에 안정적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성과 활동성이 개선된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with improved protection and activity by providing stable activity while demonstrating protective performance required in specific work environments such as livestock breeding environments such as livestock farms. There is an advantage.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가축 사육 시 축사라는 조건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작업화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건강하고 안전한 농작업 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ork shoes that can protect the worker's body from the harmful environment of the barn when raising livestock,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healthy and safe agricultural working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축산분야뿐만 아니라, 벼농사나 작물재배 등은 물론, 다양한 농작업 환경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정감 등을 통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가축이나 벼, 각종 작물 등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the field of livestock farming, but also in rice farming and crop cultivation, as well as in various agricultural work environments. It improves work efficiency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of workers,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for livestock, rice, and various crops. You can achie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따라서 신발 분야, 특히 축사 작업용 신발 분야와 더불어, 축산 분야, 작물 재배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can be improved in the shoe field, especially in the field of livestock work shoes, as well as in the livestock field and crop cultivation field, as well as in similar or related field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가드커버 및 텅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가드커버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explaining the guard cover and tongue cov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guard cover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에 따른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Examples of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n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은 갑피(100) 및 가드커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include an upper 100 and a guard cover 200.

갑피(100)는 밑창(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등에서 발목까지를 보호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신발끈(500)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목부분을 조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1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ole 400 and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wearer from the instep to the ankle, and may be configured to tighten the wearer's ankle using a shoelace 500.

이를 위하여, 갑피(10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등에서 그 위쪽으로 신발끈(500)이 연결되는 부분에 개방부(101)가 형성되고, 개방부(101)의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끈고리(110)가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upper 100 has an opening 101 formed at least in part of the upper part, more specifically, in the part where the shoelace 500 is connected from the top of the foot to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100 has an opening 101 formed on both edges of the opening 101. At least one string loop 11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gthwise direc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은 작업자가 착용하게 되면, 작업자의 복숭아뼈 부분은 물론, 발목상부의 상당부분까지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축산 등의 작업환경에서 발목의 접질림 등에 의한 발목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a result, the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orn by the worker,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covers not only the worker's pelvic bones but also a significant part of the upper ankle, which can be used in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livestock farming. This is to prevent ankle injuries caused by ankle sprains, etc.

가드커버(200)는 갑피(100)에 형성된 개방부(101)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101)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드커버(200)는 개방부(101)의 가장자리 중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guard cover 200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101 formed in the upper 100 to connect both edges of the opening 101. More specifically, the guard cover 200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edges of the opening portion 101.

이하에서, 각 구성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look at each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먼저, 갑피(100)에 형성된 개방부(101)는, 작업자가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갑피(100)의 발등부분에서 시작하여 그 상부인 발목부분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opening 101 formed in the upper 100 starts from the instep of the upper 100, 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allow workers to easily wear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It may be formed to be open towards the ankle area, which is the upper part.

그리고, 가드커버(200)는 개방부(101)의 시작부분, 구체적으로 발등부분에서 일정높이까지의 하부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200 may be coupled to cover the starting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101, specifically the lower area from the instep to a certain height.

한편, 오수 등이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의 앞코 부분으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오수는 보호신발(A)의 발등부분까지 올라올 수 있으며, 이후 발목부분의 양측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when sewage, etc. flows into the toe portion of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the inflowed sewage may rise up to the instep of the protective shoes (A), and then move to both sides of the ankle portion.

이에, 가드커버(200)의 영역은 개방부(101)의 시작부분에서 발목부분이 시작하는 직전까지의 영역, 다시 말해 보호신발(A)의 발등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desirable that the area of the guard cover 200 includes the a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101 to just before the ankle begins, that is, the instep of the protective shoe (A).

이를 통해, 가드커버(200)는 이물질, 분뇨, 물기가 많은 축산 작업환경에서, 발등 부위 신발끝에 이물질이 쉽게 흡착되거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guard cover 200 improves workability and protects the worker's body 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easily adsorbed to the tip of the shoe in the instep area or penetrating into the inside in a livestock work environment with a lot of foreign substances, excrement, and moisture. Safety can be improved.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먼저, 작업자가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을 착용하게 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걷거나 움직이는 과정에서 가드커버(20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도 4에서 붉은색 원 부분).First, when a worker wears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deformation of the guard cover 200 may occur while walking or moving as shown in FIG. 4 (red circle in FIG. 4).

만약, 가드커버(200)가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된 경우, 이러한 변형에 의해 가드커버(200)의 외형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면서, 보호신발(A)의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guard cover 2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the outer shape of the guard cover 200 may be permanently deformed due to such deformation,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the wearing comfort of the protective shoe (A) is deteriorat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드커버(200)의 재질을 신축성 및 탄성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커버(200)는 네오프렌, 스판덱스, 또는 이들의 합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신발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커버(200) 원단의 자체 탄성력으로 개방부(101)의 양측을 당겨, 착용자의 발등을 잡아줄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cover 200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and elasticity, so that the worker's feet can be held stably while the worker moves or moves. For example, the guard cover 200 may be made of neoprene, spandex,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ly, even if shoelaces are not used,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101 can be pull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abric of the guard cover 200 to hold the wearer's instep.

다시 말해, 신축 및 탄력이 있는 소재의 가드커버(200)를 적용함으로써, 신발끈이 없더라도 발등을 잘 잡아주며,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applying the guard cover 200 made of stretchable and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hold the instep well even without shoelaces and provide stable and comfortable wearing.

한편, 가드커버(200)는 갑피(100)의 하부부분에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는 갑피(100)를 구성하는 가죽과 결합되므로 벌어짐의 정도가 작고, 상부는 개방부(101)에 의해 벌어짐의 정도가 커질 수 있다.Meanwhile, the guard cover 20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100. The lower part is combined with the leather constituting the upper 100, so the degree of opening is small,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by the opening 101. The degree may increase.

이에, 본 발명의 가드커버(200)는 개방부(101)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도 2에서 하부의 박스형 화살표)에 비하여, 그 반대방향인 상부의 탄성력(도 2에서 상부의 박스형 화살표)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uard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elas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box-shaped arrow at the top in FIG. 2) compared to the lower part (box-shaped arrow at the bottom in FIG. 2) coupled to the start of the opening portion 101. ) can be formed to be large.

다른 예로, 본 발명의 가드커버(200)는 개방부(101)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에서, 그 반대방향인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guard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elastic forc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part coupled to the start of the opening portion 101 toward the upper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가드커버 및 텅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explaining the guard cover and tongue cover shown in Figure 1.

도 3을 참조하면,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은 텅(Tongue)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may further include a tongue cover (300).

텅커버(300)는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드커버(200)에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개방부(101)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드커버의 상부)에, 개방부(101)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텅커버(300)가 개방부(101)의 양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결합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신발끈(500)에 의해 조여져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ngue cover 300 is coupled to extend from the guard cover 200, as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 of FIG. 2, and is attached to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opening portion 101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of the opening portion 101. It can be joined to connect both edges. Here, the fact that the tongue cover 300 is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opening 101 may include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connection by being tightened by a shoelace 50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드커버(200) 및 텅커버(300)는, 2단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guard cover 200 and tongue cover 300 may be combined in a two-stage structure.

예를 들어, 텅커버(300)는 가드커버(200)를 포함하는 전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드커버(200)는 이러한 텅커버(300)의 일부에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gue cover 300 may be formed in an overall shape including the guard cover 200, and the guard cover 200 may be combined in a stacked form with a portion of the tongue cover 300.

다시 말해,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드커버(200)의 상부에 노출된 텅커버(300)가, 가드커버(200)의 하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 of FIG. 2, the tongue cover 300 ex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20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part of the guard cover 200.

그리고, 가드커버(200)는 갑피(100)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고, 텅커버(300)는 갑피(100)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ard cover 2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100, and the tongue cover 3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100.

이러한 텅커버(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드커버(200)의 상부에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개방부(101)의 상부종단부까지 형성됨으로써, 가드커버(200)를 지나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나 오수가, 개방부(101)를 통해 보호신발(A)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ngue cover 300 is coupled to extend from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200 and is form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101,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moving toward the upper side past the guard cover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sewage or sewage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shoes (A) through the opening (101).

결과적으로, 가드커버(200)는 텅커버(300)에 주머니 타입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발수처리가 되어 이물질과 생활방수처리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guard cover 200 can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pocket to the tongue cover 300, and can be designed to be water-repellent and water-repellent.

더불어, 텅커버(300)는 베라원단으로 구성되어 물받이 작업 패턴으로 설계되며, 가드커버(200)가 1차적으로 방어하지 못한 이물질 등을 2차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패턴설계 및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ongue cover 300 is made of Vera fabric and designed with a water-receiving pattern, and the pattern design is applied to provide secondary protection against foreign substances that the guard cover 200 was unable to protect primarily. .

또한, 텅커버(30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받이부(310) 및 날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ngue cover 300 may include a water receiving portion 310 and a wing portion 320 as shown in FIG. 3 .

물받이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드커버(200)를 지나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나 오수가, 개방부(101)를 통해 보호신발(A)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끈고리(110)와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10 is design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sewage moving toward the upper side past the guard cover 200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shoes (A)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01, and is used on both si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string loop 110.

다시 말해, 물받이부(310)의 가장자리는 끈고리(110)가 구성된 갑피(100) 내측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신발끈(500)을 이용하여 조이는 경우, 개방부(101) 양측의 끈고리(110)가 서로 당겨지면서, 개방부(101)의 가장자리와 물받이부(310)의 가장자리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dg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inside of the upper 100 in which the lacing loop 110 is formed, and when the worker tightens the shoe laces 500,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101 As the string rings 110 are pulled together, the edge of the opening portion 101 and the edg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10 can be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다만, 이와 같은 상태에도 불구하고, 가드커버(200)의 상부로 유입되는 오수 중의 일부가 물받이부(310)의 하부를 통해 보호신발(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despite this condition, some of the sewag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200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shoes (A)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part 310.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날개부(320)는 물받이부(310)의 적어도 일부(하부)에서 연장형성되어, 갑피(100)의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wing portion 32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at least a portion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10 and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100.

다시 말해, 날개부(320)의 가장자리가 갑피(1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텅커버(300)의 하부를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dge of the wing portion 3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100, thereby preventing sewage from flow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ongue cover 300.

한편, 신발끈(500)을 연결하는 끈고리(110)는 본 발명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갑피(1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경우는 물론, 갑피(100)를 관통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Meanwhile, the lacing loop 110 connecting the shoelace 50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100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rough the upper 100.

예를 들어, 작업자는 보호신발(A)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개방부(101)를 벌린 상태로 착용하거나 신발끈(500)을 연결하게 되는데, 특히 세척 등의 이유로 신발끈(500)을 분리한 후 결합하는 과정에서, 끈고리(110)가 관통형인 경우에는 개방부(101)를 더욱 더 벌리게 된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wearing protective shoes (A), the worker wears them with the opening portion 101 open or connects the shoelaces 500. In particular, the shoelaces 500 are separated for reasons such as cleaning. In the process of coupling, if the string loop 110 is a penetrating type, the opening portion 101 is further opened.

이때, 개방부(101)는 하부에 비해 상부가 더 많이 벌어지게 되는데, 물받이부(310) 및 날개부(320) 중 적어도 하나, 특히 날개부(320)는 갑피(100)의 내측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그 폭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보호신발(A)을 쉽게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신발(A)을 착용하는 과정에서도 텅커버(300)의 하부를 통해 이물질이나 오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101 is opened more than the lower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310 and the wing part 320, especially the w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100. Therefore, by forming an inverted triangle whose width wide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not only can the worker easily wear the protective shoes (A), but also the tongue cover (300) during the process of wearing the protective shoes (A). It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sewage from enter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unit.

또한, 본 발명의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은 토우캡이 구성된 안전화나 경작업화, 일반 작업화 등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야간보행 및 작업시 작업자가 잘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로 재귀반사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afety shoes with toe caps, light work shoes, general work shoes, etc., and each part is used to ensure that workers can be clearly identified when walking and working at night. Retroreflective materials can be applied separately.

더불어,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A)의 가드커버(200) 상부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신발끈(500)이나 조그다이얼 조임끈 등을 적용하여 발목을 안정적으로 잡아 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4,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200) of the protective shoes (A) for livestock workers is designed to hold the ankle stably by applying a general shoelace (500) or a jog dial tightening strap. It can b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the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 : 보호신발
100 : 갑피
101 : 개방부
110 : 끈고리
200 : 가드커버
300 : 텅커버
310 : 물받이부
320 : 날개부
400 : 밑창
500 : 신발끈
A: Protective shoes
100: Upper
101: opening part
110: Lanyard loop
200: Guard cover
300: Tongue cover
310: water receiving part
320: wing part
400: sole
500: shoelace

Claims (10)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끈고리가 형성된 갑피; 및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 끝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가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n upper having an opening formed at least in part and at least one string loop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part of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omprising a guard cover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portion to connect ends of both edges of the ope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갑피의 발등부분에서 시작하여 발목부분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서 일정높이까지의 하부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1,
The opening part is
The upper is formed starting from the instep and opening towards the ankle,
The guard cover i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bined to cover the lower a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to a certain heigh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커버는,
신축성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2,
The guard cover i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asticit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에 비하여, 그 반대방향인 상부의 탄성력이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3,
The guard cover i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part coupled to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커버는,
상기 개방부의 시작부분에 결합되는 하부에서, 그 반대방향인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3,
The guard cover i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force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part coupled to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towards the upper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커버에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텅(Tongue)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1,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further comprising a tongue cover coupled to extend from the guard cover and coupled to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opening to connect both edges of the open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커버 및 텅커버는,
2단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가드커버는 갑피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기 텅커버는 갑피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6,
The guard cover and tongue cover are,
It is combined into a two-stage structure,
The guard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gue cover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텅커버는,
상기 가드커버의 상부에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개방부의 상부종단부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6,
The tongue cover is,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upled to extend from the upper part of the guard cover and form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텅커버는,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고리와 겹치도록 형성된 물받이부; 및
상기 물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어 갑피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8,
The tongue cover is,
a water catch portion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both edges overlaps the string loop; and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omprising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 및 날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폭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작업자용 보호신발.
According to clause 9,
At least on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wing part,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whose width wide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KR1020220110743A 2022-09-01 2022-09-01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KR20240031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743A KR20240031698A (en) 2022-09-01 2022-09-01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743A KR20240031698A (en) 2022-09-01 2022-09-01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698A true KR20240031698A (en) 2024-03-08

Family

ID=9023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743A KR20240031698A (en) 2022-09-01 2022-09-01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69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087U (en) 2007-08-29 2009-03-04 김기원 Shoe protector for prevention of in flowing of extraneous mat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087U (en) 2007-08-29 2009-03-04 김기원 Shoe protector for prevention of in flowing of extraneous ma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53205T3 (en) BARFODSSKO
US20060137226A1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6457260B1 (en) Footwear with attachable covering
ES2630902T3 (en) Sock / canine boot, protective, disposable that does not require fasteners
MXPA06010502A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KR20180009030A (en) Pet shose
US6785983B2 (en) Boot provided with a gaiter
KR20240031698A (en) Protective shoes for livestock workers
US4008531A (en) Protective footwear
US10455823B1 (en) Tick trap belt
KR101623899B1 (en) Safety gaiters
US20050183285A1 (en) Protective shoe cover
KR20200075376A (en) A shoes for preventing dust intrusion
KR200427143Y1 (en) leg protective device
KR20230006331A (en) Disposable shoes for pet dog
KR200470436Y1 (en) Spats for alie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KR200240167Y1 (en) Socks having leggings function
CA3139165C (en) Tick trap belt
US11844330B2 (en) Paw-wear for clawed animals and methods of fitting the paw-wear to the clawed animals
KR102647339B1 (en) Suit for pet
KR100584012B1 (en) Weartools for a watertight footwear
KR200281382Y1 (en) shoe and leggings assembly for shoe
KR102626715B1 (en) companion dog disposable footwear
KR200430702Y1 (en) ankle protection
KR200444197Y1 (en) Shoe protector for prevention of in flowing of extraneous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