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480A -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480A
KR20240031480A KR1020220108629A KR20220108629A KR20240031480A KR 20240031480 A KR20240031480 A KR 20240031480A KR 1020220108629 A KR1020220108629 A KR 1020220108629A KR 20220108629 A KR20220108629 A KR 20220108629A KR 20240031480 A KR20240031480 A KR 20240031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switchboard
patch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엄성훈
Original Assignee
김종해
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해, 엄성훈 filed Critical 김종해
Priority to KR102022010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480A/ko
Publication of KR2024003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전기장치의 내부 등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밀폐공간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낙뢰와 같은 대전류 및 순간적인 전류가 배전반으로 흘러들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초기에 신속하게 자체적으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에 의해 즉각적으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치의 부착 이외에 다른 제어수단이나 동작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하고 저럼한 제조방법을 통해 쉽게 배전반에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A distribution board having fire extinguishing patch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함체와, 함체에 내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기기와, 상기 배전기기를 수납시키기 위한 분리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선반 및 수직벽을 포함하는 배전반에서, 상기 배전반의 내면에 부착되되, 일면 또는 양면에 소화재를 함유하는 캡슐이 코팅된 부직포로 이루어져 화재 시 열기에 의해 소화캡슐이 터지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배전반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란, 수전반이나 분전반 및 제어반이라고도 일컫는데, 빌딩이나 공장에서는 송전선으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받아 변압기로 저압으로 변환하여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박스형의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내부에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수전반 및 배전반(이하, '수배전반'이라 함)은 과전류나 과부하 또는 단락 등에 의하여 전기 과열로 화재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기존의 배전반은 단순히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 정도를 차단하는 정도의 과열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뿐으로, 지속적인 과전류가 발생하면 배전반에 열이 발생하여 화재로 진행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수배전반 내에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 등이 장착되고 센서를 중심으로 구분할 때 화재에 의한 연기를 검출하는 연기센서, 화재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센서 등에 의해 화재 상황을 전기식으로 검출하는 방식과 이 전기식인 검출 방식에 따라 전기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방식, 화재에 의한 온도 상승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여 일정 시간 지속함에 의해 유리 퓨즈(FUSE)의 일종인 그라스벌브(CLASS BULB)로서 진화 약제 방출 경로를 차단하다가 화재 열에 의한 그라스 벌브의 파괴로 물리적인 변위가 유발하는 기계 방식, 화재 발생시 소화 레버를 당겨 물리적인 변위를 유발하는 기계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소화 설비 구성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개개의 배전 캐비닛마다 별도의 소화기와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화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구성한 유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시설한 소화 시스템은 중복 시설에 의해 시설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많은 비용과 노력이 투입되는 단점이 큰 편이다.
이외에도 개개의 캐비닛을 구분하거나 구분하지 아니하고 대용량 또는 다수의 약제 실린더를 집합시킨 중앙의 약제 실린더에서 다수의 배전반 캐비닛으로 배관하여 약제 방출을 이루는 중앙 약제식 소화 시스템도 있으나, 약제가 배관을 따라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초기 소화가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여기에 상기와 같이 전기식 센서에 의해 화재 감시와 진화를 이루거나, 밸브 개방를 개방하는 기동용 공압 적용하는 한정적인 기계식 센서를 개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 화재를 감시하고 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센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 소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538호 (2016년 09월 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함체와, 함체에 내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기기와, 상기 배전기기를 수납시키기 위한 분리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선반 및 수직벽을 포함하는 배전반에서 상기 배전반의 내면에 부착되되, 일면 또는 양면에 소화재를 함유하는 캡슐이 코팅된 부직포로 이루어져 화재 시 열기에 의해 소화캡슐이 터지면서 과열이나 지속적인 과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 감지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주택 등 배전반이 구비된 건축물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함체와, 함체에 내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기기와, 상기 배전기기를 수납시키기 위한 분리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선반 및 수직벽을 포함하는 배전반으로, 상기 배전반은 함체 내면에 부착되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화캡슐이 부착된 배전반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셀룰로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이며, 상기 소화캡슐은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를 통해 부착되며, 소화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와해되는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는 고분자 수지 60 내지 70 중량%, 고체 소화물질 1 내지 25 중량%, 액체 소화물질 1 내지 10 중량%, 증점제 0.1 내지 1 중량%, 충전재 1 내지 20 중량% 및 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은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및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산무수물과 고분자 수지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증점제는 잔탄검, 람잔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웰란검,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이며, 상기 충전재는 규조토, 백토, 황토, 차점토, 알로펜, 패분, 이산화규소,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및 제올라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이며, 상기 셀은 폴리스티렌수지, ABS 수지, 폴리에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한천, 수성우레탄, 수성에폭시 및 멜라민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전기장치의 내부 등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밀폐공간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낙뢰와 같은 대전류 및 순간적인 전류가 배전반으로 흘러들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초기에 신속하게 자체적으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에 의해 즉각적으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치의 부착 이외에 다른 제어수단이나 동작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하고 저럼한 제조방법을 통해 쉽게 배전반에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부착되는 소화패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화재 진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전반’은 발전소로부터 전기를 인수받고(수전), 수전한 전기를 계통별로, 혹인 용도별로 배급하며(배전), 부하별로 분기(분전)해주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수변전설비에서 상술한 역할을 담당하는 모든 설치물을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연성 물질, 점화원 및 산소가 필요한데, 이를 연소의 3요소라 한다. 화재원인에 의해 점화가 되면, 여기서 발생한 열이 가연성 물질에 전달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가연성 기체가 발생한다. 발생된 기체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연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연소의 3요소중 하나의 발현 또는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소과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열에너지를 소비시킴으로써 연소를 억제하거나, 고분자의 열분해경로를 변경하여 가연성 기체의 양을 감소시키고 잔존 탄화물의 양을 증가시켜 난연성을 부여하거나, 연소 시 고분자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가연성 기체와 공기 중의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 자체를 일어나지 않게 하거나, 연소에 의해 생성되며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활성라디칼을 난연제가 흡수하여 연속반응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소반응을 억제하여 배전반의 누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초기 화재 진압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라디칼에 의한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소화성분을 함유하되, 상기 소화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이 화재 발생 시 쉽게 개봉되어 내부의 소화성분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이 포함된 패치를 도 2의 (a)와 같이 배전반의 내면 상부에 부착되어 초기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배전반에 구비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1)는 기재(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300)를 통해 소화캡슐(200)을 부착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셀룰로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이고, 상기 소화캡슐은 소화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와해되는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100)는 상기 소화캡슐 등을 표면에 수용하도록 시트 형태를 가지며, 뾰족한 것에 찔리더라도 쉽게 파열되거나 터지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통기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 섬유라면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셀룰로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기존의 고분자 수지에 비해 가벼울뿐만 아니라 투명도도 높고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아 내부의 소화캡슐이 수분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물성, 특히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높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소화캡슐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평량이나 투습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평량은 10 내지 100 g/㎡이며, 투습도는 1,000 g/㎡·24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일정 이상의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재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좋다.
상기 기재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기재는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화할 수 있는 모든 방법, 예를 들어 니들펀칭,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워터제트, 전기방사, 멜트블로운 등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300)는 상기 기재의 일면과 소화캡슐을 접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에 고체 소화물질, 액체 소화물질, 증점제, 충전재 및 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상술한 소화캡슐과 기재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광경화, 열경화 등의 경화방법을 통해 물질 간의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산무수물에 일반 고분자 수지를 그래프트 중합하여 형성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로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Tetrahydrophthalicanhydride), 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Hexahydrohthalicanhydride),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Methyltetrahydrophthalicanhydride),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Methylhexahydriphthalicanhydride), 나딕메틸안하이드라이드(Nadicmethylanhydride), 가수분해된 메틸나딕안하이드라이드(Hydrolized methylnadicanhydride),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Phthalic anhydride) 및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고분자 수지는 상기 기재에 사용되는 베이스 고분자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에틸렌프로필렌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스티렌계 등의 열가소성수지 및 열경화성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산무수물 공중합체는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무수물 공중합체 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 사용되는 경우 내염성, 기계적 특성 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5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부반응에 의한 물성 저하의 위험성이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전체 바인더 형성 조성물 100 중량% 중 6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캡슐과 기재의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화패치의 난연성이 하락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소화물질은 소화캡슐의 와해 시 바인더 자체가 연소되어 화재를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특히 라디칼과 부촉매반응을 유도하여 연소의 산화연쇄반응을 차단할 수 있도록 1㎛ 이하의 에어로졸 입자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소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 소화물질은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와 같이 라디칼 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소화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 예를 들면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유기 인계난연제는 퍼플루오로(2-메틸-3-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 FK-5-1-12)),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멜라민계 난연제는 1,2,3-트리아진, 1,3,5-트리아진, 1,2,4-트리아진, 트리아진 유도체, 멜라민(2,4,6-triamino-1,3,5 triazine), 멜란(1,3,5-triazine-2,4,6-triamine-n-(4,6-diamino-1,3,5-triazine-2-yl), 멜렘(-2,5,8-triamino 1,3,4,6,7,9,9b-Heptaazaphenalene), 멜론(poly (8-amino-1,3,4,6,7,9,9b-Heptaazaphenalene-2,5-diyl)imin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난연제는 염소 또는 브롬 원자를 함유하는 할로겐화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무기 난연제, 인계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난연제로 예를 들면 테트라브로모사이클로옥테인, 다이브로모에틸다이브로모사이클로헥세인,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1,2,5,6,9,10-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테트라브로모뷰테인, 트라이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테트라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펜타브로모에틸벤젠, 펜타브로모톨루엔, 펜타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헥사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옥타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데카브로모다이페닐 에테르, 데카브로모다이페닐 에테인,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테인,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테인, 데카브로모바이페닐, 1,3-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프로페인, 1,6-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헥세인, 펜타브로모(테트라브로모페녹시) 벤젠, 테트라데카브로모다이페녹시 벤젠, 1,2,4,5-테트라브로모-3,6-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메틸]벤젠, 비스(펜타브로모벤질) 테트라브로모테레프탈레이트, 펜타키스(브로모메틸)벤젠, 비스(2,4,6-트라이브로모페닐) 카보네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2,3-다이브로모프로필)옥사이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다이메틸 에테르,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무수물, 트라이브로모페닐 말레이미드,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프탈 이미드, 에틸렌 비스(다이브로모노보네인다이카복스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S 비스(2,3-다이브로모프로필 에테르), 다이나트륨 테트라브로모프탈레이트, 염소화 파라핀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계 카보네이트 및 에폭시 올리고머, 예비중합체 및 공중합체 유도체가 포함된다. 상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계 중합체의 예로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2,4,6-트라이브로모페놀 공중합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옥시란 중합체,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및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올리고머 반응 생성물, 에틸렌 다이브로마이드-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공중합체,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공중합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공중합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비스페놀 A-포스겐 중합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및 중합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및 페놀과의 탄산 다이클로라이드 중합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및 비스(2,4,6-트라이브로모페닐)과의 탄산다이클로라이드 중합체, 및 2,4,6-트라이브로모페놀의 축합물 내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4,4'-아이소프로필리덴다이페놀-포스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소계 난연제로 예를 들면 멜라민 사이아누레이트, 1,3,5-트리스(2,3-다이브로모프로필)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1,3,5-트라이글리시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1,3,5-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1,3,5-트라이아진-2,4,6-트라이일트라이-2,1-에탄다이일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난연제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트라이하이드레이트(ATH), 수산화마그네슘(MDH), 붕산아연, 무기 인 화합물, 예를 들면,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적색 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알킬 및 아릴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핀 옥사이드가 포함된다. 상기 화합물의 예로는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라이자일릴포스페이트, 크레실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페닐 자일릴 포스페이트, 2-바이페닐릴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뷰틸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3급-뷰틸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3급-뷰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3급-뷰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2,4-다이-3급-뷰틸페닐) 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잔기, 아이소프로필화 3급-뷰틸화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3급-뷰틸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아이소프로필페닐) 페닐포스페이트, 3,4-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스(아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1-메틸-1-페닐에틸)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노닐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4-[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2,2-다이일)]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4-하이드록시페닐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다이톨릴) 아이소프로필리덴다이-p-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페닐 포스페이트, 다이뷰틸 페닐 포스페이트, 메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뷰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페닐 옥틸 포스페이트, 아이소옥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페닐 아이소데실 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페닐 라우릴 포스페이트, 테트라데실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세틸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타르산 크레실릭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페닐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트라이(뷰톡시에틸)포스페이트, 3-(다이메틸포스포노) 프로피온산 메틸로아마이드, 다이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다이에틸 에틸 포스포네이트, 다이메틸 프로필 포스포네이트, 다이에틸 [(다이에탄올아미노)메틸]포스포네이트, 비스[(5-에틸-2-메틸-1,3,2-다이옥사포스포리난-5-일)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P,P'-다이옥사이드, (5-에틸-2-메틸-1,3,2-다이옥사포스포리난-5-일)메틸 다이메틸 포스포네이트 P-옥사이드, 알루미늄 비스(4,4',6,6'-테트라-3급-뷰틸-2,2'-메틸렌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사이드, 비스[p-(1,1,3,3-테트라메틸뷰틸)페닐] 수소 포스페이트, 포스피닐리다인트라이메탄올, 2급-뷰틸비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옥사이드,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옥사이드, 아이소뷰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아이소뷰틸비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옥사이드, 트라이페닐포스핀 모노옥사이드 및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 FK-5-1-12))을 들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은 소수성의 에멀전 고분자 난연재로, 상술한 1㎛ 이하의 입자 형태로 가공이 용이하여 바인더의 열분해 시 비산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기 소화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소화물질은 전체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 대비 1 내지 2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물질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화재 시 바인더가 화재 확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수성이 높은 소화물질의 특성 상 다른 물질과의 혼화성이 떨어져 오히려 바인더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 소화물질은 상술한 고체 소화물질을 도와 화재 시 바인더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화재 적용 시 화학반응으로 탄산가스와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을 통한 질식소화 효과와 함께, 물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고 침윤제의 사용으로 물이 가연물 표면 및 심부에 부착·침투하여 재발화를 방지하여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액체 소화물질로 예를 들면 규산소다. 요소, 제3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인산암모늄, 황산칼륨 등 무기물의 액상이거나, 할론 소화약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들은 실제 화염(火焰) 또는 화원(火源)과 접촉하여도 연소되지 않고 오히려 화염이나 화원을 소화(消火)시키는 기능과 방염의 기능을 갖는 물질이다.
특히 상기 규산소다(KS 1종,2종,3종,4종)는 무기물 화합물(SiO2·Na2O)로서 불연성이고 연소물에 방사 시 연소물을 얇게 덮음으로 질식의 효과와 불의 재연소를 방지하며 조성물의 소화력을 강화시키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을 낮추며 결정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할론 소화약제는 지방족 탄화수소인 메탄, 에탄 등에서 분자 내의 수소일부 또는 전부가 할로겐족 원소(F, Cl, Br, I)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라디칼 연쇄반응을 차단시켜 화재를 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할론 소화약제는 열흡수, 액상할론의 기화 등에 의한 냉각효과와 공기 중의 산소농도 저하에 따른 질식 효과 등의 물리적 효과와, 연소의 연쇄반응 차단, 방해 또는 억제하는 화학적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소화캡슐의 충진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액체 소화물질은 전체 바인더 조성물 중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물질의 첨가량이 상기 미만인 경우 상술한 소화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이 첨가량이 부족하여 성형성,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증점제는 상기 바인더의 접착성과 혼화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증점제로 예를 들면, 잔탄검, 람잔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웰란검과 같은 천연 다당류,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합성 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같은 반합성 다당류 및 글리세린과 같은 에스테르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점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은 기본적으로 물의 응고현상을 방지하며 후술할 셀 성분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저온에서 코어 성분의 동파나 상분리 현상을 막아주며, 이에 따라 소화 효과를 더욱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상술한 응고현상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지방산 에스테르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데카글리세린 라우르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팔미트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베헨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올레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리놀레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리놀렌산 에스테르 및 데카글리세린 에루스산 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에서 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증점, 응고 방지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화재 시 코어성분이 비산하지 않고 소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증점제와 함께 조성물의 점도 및 형태 안정성을 높이며, 색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기안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탄산칼슘이나 수산화칼슘 등은 그 자체로도 준불연성의 성능을 갖는 무기난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이러한 충전재로 예를 들면 규조토, 백토, 황토, 차점토, 알로펜, 패분, 이산화규소,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및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전체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 중에서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형태안정성이 하락하여 코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 특히 소화물질의 첨가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초기 소화 능력을 제대로 발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제는 바인더의 접착 시 조성물의 유동성과 흐름성을 높이고 동시에 화재 시 비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활제로 예를 들면 지방산, 불소 중합체,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실록산,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스테아린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활제는 전체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 중에서 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활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성형성, 흐름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 간의 상분리가 발생하여 접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캡슐(200)은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기재 내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다 화재가 발생되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캡슐의 셀이 와해되어 소화물질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소화물질을 포함하는 코어(core, 210)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와해되는 셀(shell, 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화패치(1)는 도 2의 (a)와 같이 배전반(2)의 내면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전반은 함체와, 함체에 내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기기와, 상기 배전기기를 수납시키기 위한 분리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선반 및 수직벽(이상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다 도 2의 (b)와 같이 화재(F)가 발생하여 패치 외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캡슐의 셀이 와해되거나 용해되어 셀 내부의 코어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특히 소화패치가 배전반의 내면 상단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코어가 배전반의 하단 쪽으로 비산되어 화염을 초기에 진압하고 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210)는 산소공급을 차단하거나 가연물을 냉각시키거나 연소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물질을 비활성화시켜 연소 반응을 종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두 사용 가능하며, 특히 인계 난연제나 질소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액상 난연제와 같이 라디칼 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소화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는 소화물질을 베이스로 하며, 여기에 필요에 따라 형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증점제나 충전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물질은 상술한 바인더에 포함되는 고체 소화물질이나 액체 소화물질, 그리고 이외에도 소화성을 발현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을 포함하는 것이 화재 시 비산 효과가 우수하여 화재의 초기진압에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 성분에 들어가는 증점제나 충전재 또한 상술한 바인더에 포함되는 것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가량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셀(shell, 220)은 상기 코어를 둘러싸 소화물질을 보호하고 화학적 안정성과 형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화재가 발생하여 셀 주변의 온도가 100℃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 형태가 와해되거나 녹아 내부의 코어를 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셀은 상술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면서도 상기 코어 성분과 혼화되지 않고 구형으로 성형 가능한 물질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물질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수지, ABS 수지, 폴리에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한천, 수성우레탄, 수성에폭시 및 멜라민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셀 내부에 코어를 담지한 캡슐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셀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로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사용하고, 상술한 코어 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개시제를 더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코어 성분을 용매에 분산시킨 후, 여기에 단량체를 중합하는 개시제 및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산액을 충분히 교반시킨 후, 상기 단량체가 용해된 용액을 분산액에 투입하고 1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1시간 이상 추가적으로 교반하여 소화물질이 포함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캡슐은 도 1에서 구형으로 형성된 예를 제시하였으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형, 타원형,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그 크기도 한정하지 않으며, 0.01 내지 10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패치는 상술한 소화캡슐 내 코어의 비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코어 성분에 열팽창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등과 같이 상기 소화패치는 기본적으로 배전반 내면 상측에 부착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기재 및 셀이 와해되어 코어가 배전반의 하단으로 비산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문제는 화재가 소화패치의 하단에 발생하면 상기와 같이 코어가 중력에 의해 하단으로 자연스럽게 비산되어 진화할 수 있으나, 화재가 소화패치의 하단이 아닌 배전반의 내측면에서 발생하면 화재의 열기가 소화패치로 도달되는 시간도 길어지며, 설사 소화패치가 기재 및 셀이 와해될 정도로 열이 전달된다 하여도 코어는 하단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소화약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화캡슐 내부에 코어 성분과 함께 열팽창성 성분을 함께 보유함으로써 열팽창성 성분이 가열에 의해 내부 물질이 기화하고 열팽창하면 캡슐이 파괴되고 내부의 코어성분이 열팽창성 성분에 의해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멀리 비산되기 때문에 소화약제가 닿기 어려운 부분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팽창성 성분은 상온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다가, 열에 의해 쉽게 기화, 팽창되는 물질로서, 사슬형 알케인(alkane)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슬형 알케인류 중 탄소수가 5 내지 17개이면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이러한 탄화수소류로 예를 들면 헥산, 노말옥탄, 노말햅탄, 메틸사이클로헥산, 아이소펜탄 및 아이소옥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알케인류 이외에도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다른 형태의 탄화수소 또는 다른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열팽창성 성분은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코어를 이루는 성분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팽창성 성분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술한 코어 성분의 비산 증가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낮은 온도 상승에도 열팽창성 성분이 쉽게 팽창하여 캡슐이 정상 상황에서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전기장치의 내부 등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배전반에서 배전기기 등이 구비된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초기에 신속하게 자체적으로 소화캡슐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배전반)
실시예 등에 사용된 배전반은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0㎜×100㎜×200㎜이며, 두께는 10㎜이고, 재질은 PET이다.
(난연성)
KS F 2819(건축용 얇은 재료의 방염성 시험방법)에 의거하였으며, 배전반의 내면에 실시예 등을 통해 제조된 시편을 부착하되, 도 2와 같이 상면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하면에 에탄올에 적셔진 솜(80㎜×80㎜)을 둔 후, 여기에 불을 붙였고, 완전히 소화된 후의 솜의 탄화길이, 탄화면적과 잔염시간 및 잔진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먼저 기재를 제조하기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BST polyester staple fiber, SINOPEC) 100 중량%를 소면하여 베이스 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베이스 웹을 니들펀칭기로 펀칭하여 부직포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재단 하여 가로×세로×두께가 각각 100㎜×10㎜×1㎜의 시트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바인더를 제조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폴리에틸렌 : 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 100 : 3) 65 중량%,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 FK-5-1-12)) 14.5 중량%, 액체 규산소다 5 중량%, 글리세린 0.5 중량%, 탄산칼슘 10 중량%, 스레아린산 아연 5 중량%를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또한 소화캡슐로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 FK-5-1-12)), 개시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용액에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혼합하고 2,000 rpm의 속도로 2시간 교반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소화캡슐은 바인더에 혼합한 후, 기재의 일면에 충분히 도포하고 건조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소화캡슐 제조 시 셀 성분으로 아크릴로니트릴을 대신하여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소화캡슐 제조 시 코어 성분으로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perfluoro(2-methyl-3-pentanone), FK-5-1-12)) 100 중량부 대비 노말옥탄을 3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탄화길이
(㎝)
탄화면적
(㎠)
잔염시간
(초)
잔진시간
(초)
실시예 1 7.6 57 35 40
실시예 2 7.2 46 29 34
실시예 3 4.5 29 20 29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화패드는 초기 소화성이 우수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소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의 재질로 일반 고분자(폴리아크릴로니트릴)를 사용한 실시예 1에 비해 젤라틴을 사용한 실시예 2는 셀의 와해시간이 짧아져 화재의 초기 진화가 더욱 잘 이루어졌으며, 여기에 열팽창성 성분을 더 포함한 실시예 3은 가장 짧은 셀의 와해시간을 보여 화재의 초기 진화가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소화패치
2 : 배전반
100 : 기재
200 : 소화캡슐
210 : 코어
220 : 셀
300 : 바인더
F : 화재

Claims (7)

  1. 함체와, 함체에 내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기기와, 상기 배전기기를 수납시키기 위한 분리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선반 및 수직벽을 포함하는 배전반으로,
    상기 배전반은 함체 내면에 부착되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화캡슐이 부착된 배전반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셀룰로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이며,
    상기 소화캡슐은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를 통해 부착되며, 소화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와해되는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고분자 수지 60 내지 70 중량%, 고체 소화물질 1 내지 25 중량%, 액체 소화물질 1 내지 10 중량%, 증점제 0.1 내지 1 중량%, 충전재 1 내지 20 중량% 및 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산무수물과 고분자 수지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잔탄검, 람잔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웰란검,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규조토, 백토, 황토, 차점토, 알로펜, 패분, 이산화규소,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및 제올라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은 퍼플루오로메틸펜탄온,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및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폴리스티렌수지, ABS 수지, 폴리에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한천, 수성우레탄, 수성에폭시 및 멜라민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0220108629A 2022-08-29 2022-08-29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KR20240031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629A KR20240031480A (ko) 2022-08-29 2022-08-29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629A KR20240031480A (ko) 2022-08-29 2022-08-29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480A true KR20240031480A (ko) 2024-03-08

Family

ID=9023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629A KR20240031480A (ko) 2022-08-29 2022-08-29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4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8B1 (ko)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8B1 (ko)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4638C2 (ru) Композиция, образующая огнетушащее вещество вследствие химической реакции ингредиентов при высокой температуре
RU2414273C2 (ru) Огнегасящий состав,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554580C2 (ru) Огнетушащ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разующая огнетушащее вещество при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ой сублимации
CN1267227A (zh) 一种灭火方法及其系统和其中的灭火发生器
CN113583299A (zh) 高膨胀防火低烟无卤阻燃剂组合物及热塑性树脂组合物
KR102189631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벽지 및 그 제조방법
RU2610120C2 (ru) Пламегасящ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солей меди
KR20240031480A (ko)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619991B1 (ko) 소화물질이 포함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조성물
CN113209536A (zh) 一种复合阻燃剂的全氟己酮乳液灭火剂及其制备方法
US10280340B2 (en) Use of hollow polymeric microspheres in composite materials requiring flame resistance
CN101558113B (zh) 不含卤素、氧化锑和含磷物质的用于聚合物的阻燃添加剂
US9045652B2 (en) Use of a stabilizer for producing halogen-free, ammonium polyphosphate-containing flame-retardant coating compositions
Bourbigot Intumescence‐based flame retardant
US20190374804A1 (en) Compositions for fire suppressant powders
CN105482202A (zh) 一种阻燃橡胶及其生产方法
US99936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ressing electrical fires in underground conduit
Ortega et al. Mechanical and fire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material made of polyethylene matrix and dry chemical powder obtained from end‐of‐life extinguishers
Wypych Handbook of Flame Retardants
KR102587325B1 (ko) 화재 확산방지 및 자가소화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용 내화 커버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품
RU2468459C1 (ru) Нанокомпозитный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Bo et al. Recent remediation strategies for flame retardancy via nanoparticles
Harhoosh et al. Flame Retardant Strategies and the Physical Barrier Effect of Nanoparticles to Improve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Polymer
JP2018184746A (ja) 防鳥・消火機能付き建造物構造
JP2021009948A (ja) 油入機器の難燃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