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884A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884A
KR20240030884A KR1020220128980A KR20220128980A KR20240030884A KR 20240030884 A KR20240030884 A KR 20240030884A KR 1020220128980 A KR1020220128980 A KR 1020220128980A KR 20220128980 A KR20220128980 A KR 20220128980A KR 20240030884 A KR20240030884 A KR 2024003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frame
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23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49078A1/en
Publication of KR2024003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8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면 플레이트 및 전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복수의 골들 및 복수의 산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 상기 전면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자성체로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의 아래에 위치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be provide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ront plate and a fram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late and including a border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valleys and a plurality of mountains,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below the front plate, and the front surface.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below the plate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frame and a fan located below the magnetic material.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본 개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예: 휴대폰)의 배터리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없어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use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s a technology that can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e.g., a mobile phone)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charging connector. Since there is no connector to connect to an external device, waterproofing function can be improved.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divided into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and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Power can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one or more.

무선 충전 전력 수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코일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입력받고, 입력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배터리의 전력 또는 연결된 유선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전력 송신 장치는 외부 장치(예: TA 어댑터) 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해 지정된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또는 무선 이어폰(예: true wireless stereo))에게 공급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harging power reception can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il and charge a battery using the input power. Electronic devices that support wireless charging power transmission can supply wireless power to other electronic devices using battery power or power input from a connected wired charger.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power transmitting device generates designated power using the power of an external device (e.g., TA adapter) or batter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wer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e.g., smartphone, smart watch) through the coil. , or it can be supplied to wireless earphones (e.g. true wireless stereo).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부 인클로저 및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복수의 골들 및 복수의 산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자성체로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의 아래에 위치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enclosure and a fram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and including a border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valleys and a plurality of peaks, below the upper enclosure. A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below the upper enclosure,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frame and a fan located below the magnetic materia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부 인클로저 및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송신 코일과 이격된 자성체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아래에 배치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산들 및 복수의 골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해 형성된 제2 빈 공간 및 상기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제1 빈 공간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enclosure and a fram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below the upper enclosure,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coil and a fan disposed below the transmitting coil. The frame may include a border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ains and a plurality of valleys. The fa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ir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a second empty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and a first empty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housing.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방식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위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위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페라이트 및 상부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페라이트 및 상부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mission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top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A is a top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 ferrite, and an upper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irflo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 ferrite, and an upper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무선으로 전력(106)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로부터 정보(107)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유도 방식에 따라 전력(106)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유도 방식에 의한 경우에,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직류-직류 변환 회로(예를 들어, DC/DC 컨버터), 직류-교류 변환 회로(예를 들어, 인버터), 증폭 회로, 임피던스 매칭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또는 통신 변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함께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Qi 표준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유도 방식에 따라 전류가 흐르면 유도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유도 자기장을 생성하는 과정을,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전력(106)을 무선으로 송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코일에서는, 주변에 생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기전력(또는, 전류, 전압, 및/또는 전력)이 생성될 수 있다. 코일을 통하여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는 과정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전력(106)을 무선으로 수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can wirelessly transmit power 106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107 from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In one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transmit power 106 according to an induction metho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inductiv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power source, a DC-DC conversion circuit (e.g., DC/DC converter), and a DC-AC convers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ircuit (eg, an inverter), an amplification circuit,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at least one capacitor, at least one coil, or a communication modulation circuit. At least one capacitor may form a resonance circuit together with at least one coi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defined in the Qi standard of the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coil that can generate an induced magnetic field when current flows according to an induction method. The proces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generating an induced magnetic field can be expressed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ransmitting power 106 wirelessly. In addition, i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nduced electromotive force (or current, voltage, and/or power) may be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The process of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hrough the coil can be expressed a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receiving power 106 wirelessly.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인-밴드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modulation)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를 수행함으로써, 정보(107)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의 진폭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서 제공하는 정보(107)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정보(107)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로 직접 송신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는,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만을 제어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ASK 변조 방식 및/또는 FSK 변조 방식에 기반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동작은, 인-밴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또는, 패킷)를 송신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ASK 복조 방식 및/또는 FSK 복조 방식에 기반하여 복조를 수행하는 동작은, 인-밴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또는,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인-밴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는, 아웃-오브-밴드 방식(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또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according to an in-band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modulate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for example, frequency shift keying (FSK) modulation,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may perform amplitude shift keying (ASK) modulation. ) Information 107 can be provided by performing modulation according to the modula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check the information 107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based on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and/or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 In FIG. 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s shown as transmitting information 107 direct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but this is only for easy understanding,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nly controls the on/off of at least one internal switch. The operation of performing modulation based on the ASK modulation method and/or FSK modulation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data (or packets) according to the in-band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data (or packets) according to the ASK demodulation method and/or FSK demodulation method. The operation of performing demodulation based on a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receiving data (or packets) according to an in-band communication method. Mean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n in-band communication method is simply an examp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use an out-of-band method (e.g., BLE (Bluetoot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ased on low energy methods (or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본 문서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포함된 다양한 하드웨어, 예를 들어 컨트롤러(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컨트롤러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컨트롤러가 다른 하드웨어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저장 회로(예: 메모리)에 저장되었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이 실행됨에 따라, 컨트롤러 또는 다른 하드웨어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In this docu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refers to various hardware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for example. For example, a controller such as a micro controlling unit (MCU),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microprocessor, or application processor (AP)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It can mean. Alternative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may mean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other hardwar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Alternative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circuit (e.g., memor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As at least one instruction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is executed, it may mean causing a controller or other hardwar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방식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력 송신 회로(11), 제어 회로(12), 통신 회로(13) 또는 센싱 회로(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자 장치(101)는 전력 수신 회로(21), 제어 회로(22), 통신 회로(23) 또는 인터페이스(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 control circuit 12, a communication circuit 13, or a sensing circuit 14. The electronic device 101 that wirelessly receives pow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reception circuit 21, a control circuit 22, a communication circuit 23, or an interface 24.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회로(11)는 전자 장치(101)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송신 회로(11)는 전력 어댑터(11c), 전력 생성 회로(11b), 매칭 회로(11a), 코일(또는: 도전성 패턴)(11L), 또는 제1 통신 회로(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 회로(11)는 상기 코일(11L)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자 장치(101)에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 회로(11)는 외부로부터 직류 또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받은 전력을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자 장치(101)에 공급할 수 있다. 코일(11L)은 복수 개의 코일 및/또는 복수회 권취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may include a power adapter 11c, a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a matching circuit 11a, a coil (or: conductive pattern) 11L, or a first communication circuit 13a. .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coil 11L.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can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waveform, and can supply the supplied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in the form of an alternating current waveform. The coil 11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ils and/or a coil wound multiple times.

전력 어댑터(11c)는 외부로부터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내장된 배터리 장치의 전원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어댑터(11c)는 외부에 위치한 전원 공급부(11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자를 가진 전력 어댑터(11c)에 전원 공급부(11d)의 케이블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력 어댑터(11c)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 회로(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력 어댑터(11c)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은 전력 생성 회로(11b)로 출력될 수 있다.The power adapter 11c can receive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power from the outside, or receive a power signal from a built-in battery device and output direct current power with a set voltage val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adapter 11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11d. For example, the cable of the power supply unit 11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adapter 11c having a terminal. It can have any form. The voltage value of the direct current power output from the power adapter 11c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circuit 12. Direct current power output from the power adapter 11c may be output to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전력 생성 회로(11b)는 전력 어댑터(11c)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류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생성 회로(11b)는 소정의 증폭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어댑터(11c)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이득(gain)보다 작으면 상기 증폭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으로 증폭할 수 있다. 전력 생성 회로(11b)는 제어 회로(1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어댑터(11c)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생성 회로(11b)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L)에는 복수 개의 코일(또는 복수 회 권취된 코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코일(또는 복수 회 권취된 코일)은, 전력 생성 회로(11b)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력 생성 회로(11b)는 소정의 인버터를 통해 상기 직류 전류를 교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 생성 회로(11b)는 게이트 구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장치가 상기 직류 전류를 온(on)/오프(off)하여 제어하면서 교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전력 생성 회로(11b)는 무선 전원 발생기(예: 오실레이터)를 통해 교류 전원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convert the direct current output from the power adapter 11c into alternating current and output the converted current.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include a certain amplifier (not shown). If the direct current voltage or current input through the power adapter 11c is less than the set gain, it can be amplified to the set value using the amplifier.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include a circuit that converts direct current input from the power adapter 11c into alternating current based on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circuit 12.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include a bridge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The coil 11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ils (or coils wound multiple times), and the plurality of coils (or coils wound multiple times) may share at least a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convert the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through a predetermined inverter.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include a gate driving device (not shown). The gate driving device may control the direct current by turning it on/off and change it to alternating current. Alternatively,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may generate an AC power signal through a wireless power generator (eg, oscillator).

매칭 회로(11a)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생성 회로(11b)로부터 출력된 교류 신호가 코일(11L)에 전달되면, 상기 교류 신호에 의하여 코일(11L)에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코일(또는 복수 회 권취된 코일) 중 일부에만 교류 신호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매칭 회로(11a)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상기 형성된 전자기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매칭 회로(11a)는 임피던스 조정에 의해 코일(11L)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되는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 회로(11a)는 제어 회로(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 회로(11a)는 인덕터(예를 들어, 코일(또는 도전성 패턴)),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는 스위치 장치를 통해 상기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 또는 제어 회로(52) 중 적어도 하나는, CPU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미니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MCU(micro controll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The matching circuit 11a may perform impedance matching. For example, when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is transmitted to the coil 11L, an electromagnetic field may be formed in the coil 11L by the alternating current signal. In one embodiment,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may be provided to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coils (or coils wound multiple tim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frequency band of the formed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mpedance of the matching circuit 11a. The matching circuit 11a can control the output power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coil 11L to have high efficiency or high output by adjusting the impedance. The matching circuit 11a can adjust the impedanc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2. The matching circuit 11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ductor (eg, a coil (or conductive pattern)), a capacitor, or a switch device. The control circuit 12 can control the connection state with at least one of the inductor or the capacitor through a switch device, and can perform impedance matching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control circuit 12 or the control circuit 52 i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a mini computer, a microprocessor, a micro controlling unit (MCU),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ircuits, and there is no limit to its types.

상기 코일(11L)은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 장치(101)에 전류를 유도 또는 공진시키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회로(13a)(예: 공진 회로)는 상기 코일(11L)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예: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current is applied, the coil 11L may form a magnetic field for inducing or resonating current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first communication circuit 13a (e.g., resonance circuit) can perform communication (e.g., data communication) in an in-band format us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e coil 11L. .

센싱 회로(14)는 전력 송신 회로(11)의 코일(11L)에 인가되는 전류/전압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코일(11L)에 인가되는 전류/전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전송될 전력의 양이 변화할 수 있다. 또는, 센싱 회로(14)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온도 변화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회로(14)는 전류/전압 센서 또는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14 may measure changes in current/voltage applied to the coil 11L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may change the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hange in current/voltage applied to the coil 11L. Alternatively, the sensing circuit 14 may sens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1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voltage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제어 회로(12)는 전력 송신 회로(11)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는 통신 회로(13)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는 상기 센싱 회로(14)에서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circuit 12 may control wireless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 The control circuit 12 can contro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wirelessl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The control circuit 12 may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1 based on the current or voltage measured by the sensing circuit 1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충전 설정 정보, 상기 전자 장치(101)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의 조절과 관련된 전력량 제어 정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환경과 관련된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d information includes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power quantity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djustment of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the electronic device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ing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tim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상기 충전 설정 정보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자 장치(101) 간 무선 충전 시점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설정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전체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배터리 사용량, 충전 모드,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수신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at the time of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the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otal battery capacity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remaining battery capacity, number of charging times, battery usage, charging mode, charging method, or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band.

상기 전력량 제어 정보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자 장치(101) 간 무선 충전 중 전자 장치(101)에 충전된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전송된 초기 전력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The amount of power contro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initial power transmit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dur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

상기 환경 정보는 전자 장치(101)의 인터페이스(24)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환경을 측정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도 데이터, 상기 전자 장치(101) 주변의 조도(밝기)를 나타내는 조도 데이터, 또는 상기 전자 장치(101) 주변의 소리(소음)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measuring the charging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by the interface 24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data including, illuminance data indicating illuminance (brightness)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sound data indicating sound (noise)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1.

제어 회로(12)는 상기 수신된 정보 중 상기 충전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될 전력을 생성하거나 전송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제어 회로(12)는 상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상기 전력량 제어 정보, 환경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전력의 양을 결정 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매칭 회로(11a)가 임피던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12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or transmit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based on the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circuit 12 determines or changes the amount of power to transmit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e.g., at least one of the power amount contro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or time information). You can. Alternatively, the matching circuit 11a can be controlled to change the impedance.

통신 회로(13)는 전자 장치(101)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는 전자 장치(101)의 통신 회로(23)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3)는 상기 신호를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1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communication circuit 13 may unicast, multicast, or broadcast the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는 전력 송신 회로(11)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통신 회로(13a), 또는 전력 송신 회로(11)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가 아웃-오브-밴드(out-of-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통신 회로(13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and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re implemented as a single piece of hardware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can perform communication in an in-band format. 1 A communication circuit 13a, or a second device implemented with hardware different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can communicate in an out-of-band forma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circuits 13b.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가 인-밴드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제1 통신 회로(13a)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회로(13)는 전력 송신 회로(11)의 코일(11L)을 통해 수신되는 전자기장 신호의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의 주파수 및 신호 레벨을 복호화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통신 회로(13)는 전력 송신 회로(11)의 코일(11L)에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인가하거나, 매칭 회로(1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코일(11L)에 인가됨으로써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추가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는 매칭 회로(11a)에 포함된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상기 매칭 회로(11a)의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 상태를 변화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includes the first communication circuit 13a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n in-band format, the first communication circuit 13 includes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 can receive the frequency and signal level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il 11L. The control circuit 12 may extrac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1 by decoding the frequency and signal level of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lternatively, the first communication circuit 13 applies a signal for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o the coil 11L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or applies a matching circuit to the coil 11L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 signal for information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can be add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generated when the signal output from 11a is applied to the coil 11L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control circuit 12 can control output by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inductor or capacitor of the matching circuit 11a through on/off control of the switch device included in the matching circuit 11a.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3)가 아웃-오브-밴드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제2 통신 회로(13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회로(13b)는 전자 장치(101)의 통신 회로(23)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includes the second communication circuit 13b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n out-of-band format, the second communication circuit 13b is an electronic device (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of 101)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or BL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상술한 통신 회로(13)의 통신 방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통신 회로(13)에서 수행하는 특정 통신 방식으로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력 수신 회로(21), 제어 회로(22), 통신 회로(23) 또는 인터페이스(24)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전력 수신 회로(2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전력 송신 회로(11)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회로(2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수신 회로(21)는 매칭 회로(21a), 정류 회로(21b), 조정 회로(21c), 스위치 회로(21d), 배터리(21e) 또는 코일(21L)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power reception circuit 21, a control circuit 22, a communication circuit 23, or an interface 24.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e power receiving circuit 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ilt-in battery,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wer receiving interface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e power receiving circuit 21 may include a matching circuit 21a, a rectifier circuit 21b, an adjustment circuit 21c, a switch circuit 21d, a battery 21e, or a coil 21L.

전력 수신 회로(21)는 전력 송신 회로(11)의 코일(11L)에 인가된 전류/전압에 대응하여 발생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코일(21L)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수신 회로(21)는 전력 송신 회로(11)의 코일(11L)과 전력 수신 회로(21)의 코일(21L)에 형성된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may receive wireless power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urrent/voltage applied to the coil 11L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through the coil 21L. For example,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may receive power using the electromotive force formed in the coil 11L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nd the coil 21L of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매칭 회로(21a)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코일(11L)을 통해 전송된 전력이 코일(21L)에 전달되어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매칭 회로(21a)는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상기 형성된 전자기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매칭 회로(21a)는 이러한 임피던스 조정에 의해 코일(21L)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전력이 고효율 및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 회로(21a)는 제어 회로(22)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 회로(21a)는 인덕터(예를 들어, 코일(또는 도전성 패턴)),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는 상기 스위치 장치를 통해 상기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tching circuit 21a may perform impedance matching. For exampl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coil 11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il 21L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The matching circuit 21a may adjust the frequency band of the formed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by adjusting the impedance. The matching circuit 21a can control the input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the coil 21L to have high efficiency and high output by adjusting the impedance. The matching circuit 21a can adjust the impedanc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22. The matching circuit 21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ductor (eg, a coil (or conductive pattern)), a capacitor, or a switch device. The control circuit 22 can control the connection state with at least one of the inductor or the capacitor through the switch device, and can perform impedance matching accordingly.

정류 회로(21b)는 코일(21L)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rectifier circuit 21b may rectify the wireless power received by the coil 21L into a direct current form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idge diode, for example.

조정 회로(21c)는 정류된 전력을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로 컨버팅할 수 있다. 조정 회로(21c)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회로(21c)는 출력단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또는, 조정 회로(21c)의 전단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이 설정될 수 있다.The regulation circuit 21c may convert the rectified power to a set voltage or current. The adjustment circuit 21c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not shown). For example, the adjustment circuit 21c may convert the rectified power so that the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becomes 5V. Alternatively, the minimum or maximum value of the voltage that can be applied may be set at the front end of the adjustment circuit 21c.

스위치 회로(21d)는 조정 회로(21c) 및 배터리(21e)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 회로(21d)는 제어 회로(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witch circuit 21d can connect the adjustment circuit 21c and the battery 21e. The switch circuit 21d can be maintained in an on/off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52.

배터리(21e)는 조정 회로(21c)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회로(21d) 및 배터리(21e) 사이에 차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도 있으며, 차저(미도시)는, 소정의 모드(예를 들어, CC(constant current) 모드 또는 CV(constant voltage 모드 등)로 입력받은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를 변경하여 배터리(21e)를 충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조정 회로(21c)의 DC/DC 컨버터가 배터리(21e)를 직접 충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조정 회로(21c)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차저(미도시)가 다시 한번 조정하여 배터리(21e)를 충전할 수도 있다.The battery 21e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input from the adjustment circuit 21c. In another embodiment, a charger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switch circuit 21d and the battery 21e, and the charger (not shown) operates in a predetermined mode (e.g., CC (constant current) The battery 21e can also be charged by changing the voltage or current of the power input in the mode or CV (constant voltage mode, etc.).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C/DC converter of the adjustment circuit 21c is used to charge the battery. The battery 21e may be charged directly, or the charger (not shown) may once again adjust the power output from the adjustment circuit 21c to charge the battery 21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센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싱 회로는 전자 장치(101)에 수신되는 전력 상태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회로는 소정의 전류/전압 센서를 통해 코일(21L)에 수신되는 전류/전압 값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측정된 전류/전압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측정된 전류/전압에 기반하여 매칭 회로(21a)를 변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sensing circuit, and the sensing circuit may sense a change in the power state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the sensing circuit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measure the current/voltage value received by the coil 21L through a predetermined current/voltage sensor.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voltage.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used to change the matching circuit 21a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volta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회로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환경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회로는 소정의 온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may sense changes in the charging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the sensing circuit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measure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nsor.

통신 회로(23)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23)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통신 회로(13)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23)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23)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통신 회로(13)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3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can exchange control signals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may operate similarly or identically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제어 회로(22)는 통신 회로(23)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요한 전력량을 수신하기 위한 충전 설정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2)는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가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전체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배터리 사용량, 충전 모드,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수신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필요한 전력량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충전 설정 정보를 통신 회로(23)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22 may transmit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capable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s identified, the control circuit 22 determines the total battery capacity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remaining battery capacity, number of charging times, battery usage, charging mode, The charging setting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charging method or a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b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제어 회로(22)는 통신 회로(23)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충전된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전력량 제어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23a)는, 스위치 및 커패시터 또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는,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이진 코드에 따라 스위치를 온/오프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서 센싱되는 임피던스는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력 송신 회로(11)에서의 전력의 크기 또는 전류의 크기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진 코드로 복조할 수 있어, 전자 장치(101)가 전하고자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22 transmits the power amoun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3.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 The first communication circuit 23a may include a switch and a capacitor or resistor. The control circuit 22 may turn the switch on/off according to the binary code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based on an on/off keying modulation method. The impedance sens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can detect a change in the size of the power or current in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depending on the on/off of the switch, and this can be demodulated into a binary code. ,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obtain the data it wants to convey.

전자 장치(101)인터페이스(24)는 커넥터를 통해 TA(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101)를 연결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4)는 지정된 시스템 인터페이스, 예컨대 I2C(inter-integrated circuit)를 통해 제어 회로(22) 또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USB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A는 USB C type의 CC 단자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USB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SB 통신 모듈은, USB PD(power delivery)통신을 위한 USB PD(power delivery)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A는 PPS(programmable power supply) 규격을 지원하는 TA이거나, 또는 PPS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TA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PS를 지원하는 TA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제어 회로(22)의 제어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TA 전압, 또는 출력되는 TA 전류를 다양하게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다. PPS를 지원하지 않는 TA는 출력되는 TA 전압, 또는 출력되는 TA 전류가 고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4)는 유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1 interface 24 can connect the TA (or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a connector. The interface 24 may include a designated system interface, such as a USB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22 or a processor via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For example, the TA can communicate with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rough the USB C type CC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USB PD (power delivery) communication module for USB PD (power delivery)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 may be a TA that supports the programmable power supply (PPS) standard, or may be a general TA that does not support PPS. For example, a TA supporting PPS may change or adjust the output TA voltage or output TA current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22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For TAs that do not support PPS, the output TA voltage or output TA current may be fixed. Interface 24 may be a wired interface.

도 2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자 장치(101)가 각각 전력 송신 회로(11) 및 전력 수신 회로(21)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자 장치(101)는 각각 전력 송신 회로(11) 및 전력 수신 회로(21)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자 장치(101)는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In FIG. 2,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hown as including only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nd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respectively, bu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both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nd a power reception circuit 2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both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인접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구성은 도 1 및/또는 도 2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supply power to the adjacent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of FIGS. 3 and 4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of FIGS. 1 and/or 2. It may be the same as all or part of it.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를 지지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부품(예: 자성체(330))을 수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housing 210 that supports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housing 210 may accommodate internal components (eg, magnetic material 33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상부 인클로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211)는 전면 플레이트, 상부 하우징, 상부 커버, 프론트 커버 또는 상부 표면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21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인클로저(21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대면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211)는 요철 패턴(215a)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215)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 패턴(215a)은 테두리 영역(215)의 위(+Z 방향)를 향해 돌출된 테두리 영역(215)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 패턴(215a)은 복수의 산(216a)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 패턴(215a)으로 인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상에 배치된 상태(예: 도 2)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사이에 위치한 빈 공간의 공기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표면과 요철 패턴(215a)의 홈(216b)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흐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10 may include an upper enclosure 211. Top enclosure 211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plate, top housing, top cover, front cover, or top surface housing. The upper enclosure 211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upper enclosure 211 forms the fro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may face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upper enclosure 211 may include an edge area 215 including an uneven pattern 215a. The uneven pattern 215a may be a part of the border area 215 that protrudes above the border area 215 (+Z dir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215a may be referred to as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ains 216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ue to the uneven pattern 215a, in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is placed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FIG. 2),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and An empty space may exist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200. For example, the air in the empty space loca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passes between th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and the grooves 216b of the uneven pattern 215a. , can flow outwar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예: 도 5의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인클로저(211)는 요철 패턴(215a)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closure 211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eg, the first through hole 311a in FIG. 5). For example, the upper enclosure 211 may include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long with the uneven pattern 215a.

도 4에서 도시된 테두리 영역(215)의 요철 패턴(215a)의 형상은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요철 패턴(215a)은 도 4에서 돌출된 복수의 산(216a)들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216b)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요철 패턴(215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요철 패턴(215a)은 실질적으로 물결 무늬 형상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요철 패턴(215a)이 테두리 영역(215)의 위(+Z 방향)을 향해 돌출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요철 패턴(215a)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요철 패턴(215a)은 상부 인클로저(2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에서, 요철 패턴(215a)은 하우징(310)의 일부(예: 프레임(313))에서 위(+Z 방향)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에서, 요철 패턴(215a)은 하우징(310)의 일부(예: 테두리 영역(315))에서 위(+Z 방향)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상부 인클로저(2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213)는 테두리 영역(215)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거나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213)는 데코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uneven pattern 215a of the border area 215 shown in FIG. 4 is optional. For example, the uneven pattern 215a is shown in FIG. 4 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ding mountains 216a protrude fro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216b, but the shape of the uneven pattern 215a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cavo-convex pattern 215a may have a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wave-shaped. In FIG. 4 , a structure in which the uneven pattern 215a protrudes above the edge area 215 (+Z direction) is disclosed, but the structure of the uneven pattern 215a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215a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211. In one embodiment (eg, FIG. 7 ), the uneven pattern 215a may protrude upward (+Z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eg, frame 313). In one embodiment (eg, FIG. 8 ), the uneven pattern 215a may protrude upward (+Z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eg, border area 31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10 may include a protection member 213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2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ection member 213 may support or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area 21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ection member 213 may be referred to as a decoration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리어 케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2)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212)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10 may include a rear case 212. The rear case 212 may form at least part of the ex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rear case 212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지지 부재(21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7)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예: 송신 코일(220) 및/또는 자성체(33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7)는 리어 케이스(212)의 위(+Z)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217)는 팬(240)에서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1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17. The support member 217 may support components (eg, the transmission coil 220 and/or the magnetic material 33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e support member 217 may be located above (+Z) the rear case 2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17 may include a duct for guiding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fan 2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의 구조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213), 리어 케이스(212) 및/또는 지지 부재(217)의 형상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설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213), 리어 케이스(212) 및/또는 지지 부재(217)는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예: 리어 케이스(212), 보호 부재(213) 및/또는 지지 부재(217))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인클로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of housing 210 is optional.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protection member 213, the rear case 212, and/or the support member 217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ection member 213, rear case 212, and/or support member 217 may be referred to as a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eg, rear case 212, protection member 213, and/or support member 217)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clos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코일(230)은 도 2의 코일(11L)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230)은 도 2의 전력 생성 회로(11b)로부터 출력된 교류 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220. The transmitting coil 230 may have all or part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il 11L of FIG. 2.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oil 230 may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by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circuit 11b of FIG. 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2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팬(240)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fan 2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240 may generate a flow of air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fan 240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210.

본 문서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는 스마트 와치, 무선형 이어폰,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Alth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s shown as a smartphone in this document, this is optional.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may be a smart watch, wireless earphon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attery.

본 문서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구조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실질적으로 원 기둥 형상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도시되었으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크기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폭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document,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optional. For example, FIG. 2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but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z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optional.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mission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하우징(310)(예: 상부 인클로저(311) 및 프레임(313)) 및 전력 송신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또는 도 5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구성은 도 1, 도 2 및/또는 도 3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상부 인클로저(311)의 구성은 도 4의 상부 인클로저(311)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의 프레임(313)의 구성은 도 4의 보호 부재(213), 리어 케이스(212) 및/또는 지지 부재(217)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housing 310 (eg, an upper enclosure 311 and a frame 313) and a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S. 4 and/or 5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S. 1, 2, and/or 3.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enclosure 311 of FIG. 5 may be completely or par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enclosure 311 of FIG. 4 .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313 in FIG. 5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member 213, rear case 212, and/or support member 217 in FIG. 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는 제1 관통 홀(311a)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311a)은 상부 인클로저(311)를 관통하는 에어 홀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closure 311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311a.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1a. The first through hole 311a may be an air hole penetrating the upper enclosure 3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1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313a)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는 제2 관통 홀(313a)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는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는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313a)은 프레임(313)을 관통하는 에어 홀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me 313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313a.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For example,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may be an air hole penetrating the frame 313.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 홀(313b)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는 제3 관통 홀(313b)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는 제3 관통 홀(313b)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는 제3 관통 홀(313b)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3 관통 홀(313b)은 테두리 영역(315)을 관통하는 에어 홀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315 may include at least one third through hole 313b.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13b. For example,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13b.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13b. The third through hole 313b may be an air hole penetrating the edge area 315.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송신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 모듈(250)은 상부 인클로저(311)와 프레임(313)에 의하여 헝성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 모듈(250)은 상부 인클로저(311)와 프레임(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력 송신 모듈(250)은 전력 송신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for provid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be placed in a space defined by the upper enclosure 311 and the frame 313.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enclosure 311 and the frame 313.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transmission assem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송신 모듈(250)은 송신 코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320)의 구성은 도 4의 송신 코일(22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320)은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를 유도 또는 공진시키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320.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320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220 of FIG. 4 . For example, when a current is applied, the transmitting coil 320 may form a magnetic field to induce or resonate the curr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코일(320)은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예: 제1 관통 홀(311a), 제2 관통 홀(313a) 및/또는 제3 관통 홀(360a))을 통과한 공기는 송신 코일(320)에 의해 둘러싸인 빈 공간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흐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mitting coil 320 may have a closed curve shape. For examp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e.g., the first through hole 311a,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and/or the third through hole 360a) is an empty space surrounded by the transmitting coil 320. It may flow inside o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송신 모듈(250)은 자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33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송신 코일(320)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 도 4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수신 코일(예: 도 2의 전력 수신 회로 (21))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는 자성체(330)를 감지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페라이트(36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330 connects the transmitting coil 32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to the receiving coil (e.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of FIG. 4)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e.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of FIG. 4).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can be guided so that it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power reception circuit 21 of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may detect the proximit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by detecting the magnetic material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320 and/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errite 36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송신 모듈(250)은 페라이트(360)(ferrite)를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36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 도 3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360)는 체심입방결정(body centered cubic)의 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360)는 페라이트 시트 또는 자기장 강화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360)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 홀(360a)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는 제3 관통 홀(360a)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include ferrite 360. The ferrite 360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e.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of FIG.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rrite 360 may include body centered cubic ir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rrite 360 may be referred to as a ferrite sheet or a magnetic field strengthen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rrite 360 may include at least one third through hole 360a.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60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송신 모듈(250)은 차폐 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부재(370)는 자성체(330)의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부재(370)는 자성체(330)의 아래(-Z)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부재(370)는 송신 코일(32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페라이트(36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250 may include a shielding member 370. The shielding member 370 may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material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ielding member 370 may be disposed below (-Z) the magnetic material 330. The shielding member 37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320 and/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errite 360.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 및/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하우징(310),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회로 기판(350) 및/또는 페라이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또는 도 8의 하우징(310),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 페라이트(360)의 구성은 도 4, 도 5 및/또는 도 6의 하우징(310),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240), 페라이트(36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7 and/or 8,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ncludes a housing 310, a transmission coil 320, a magnetic material 330, a fan 340, a circuit board 350, and/or a ferrite ( 360).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310, transmission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340, and ferrite 360 in FIGS. 7 and/or 8 is similar to that of the housing 310 in FIGS. 4, 5, and/or 6. ), all or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240, and ferrite 360 may be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상부 인클로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31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대면하기 위한 제1 면(311b)(예: 상면) 및 상기 제1 면(311b)의 반대인 제2 면(311c)(예: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311)는 제1 면(311b)과 제2 면(311c)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 홀(311a)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또는 전력 수신 장치(101)의 방열을 위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관통 홀(311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관통 홀(311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 홀(311a)에 의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방열을 위한 공기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통 홀(311a)은 제1 에어 홀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310 may include an upper enclosure 311. The upper enclosure 311 has a first side 311b (e.g., top side) for fac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and a second side 311c (e.g., back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311b. may include. The upper enclosure 311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311a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311b and the second surface 311c. The first through hole 311a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for heat dissip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or the power reception device 101.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in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1a. For example, an air flow for heat dissip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may be generated by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hole 311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ir ho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은 측벽 구조(31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인클로저(311)는 실질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들 중 일부(예: 송신 코일(320) 및 자성체(33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closure 311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FIG. 7 ), the upper enclosure 31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structure 317. For example, the upper enclosure 311 may have a shape that substantially surrounds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he transmission coil 320 and the magnetic body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FIG. 8), the upper enclosure 311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3)은 상부 인클로저(3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313)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예: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 페라이트(360))을 수용할 수 있다. 프레임(313)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 측벽 구조(317) 및/또는 하부 인클로저(319)는 프레임(313)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13)의 구성은 도 4의 리어 케이스(212)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13)은 하우징(310)의 측면 및/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10)의 일부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310 may include a frame 313. The frame 313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311. The frame 313 may accommodate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ransmission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340, and ferrite 360). The frame 313 may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closure 311, side wall structure 317 and/or lower enclosure 319 may be surrounded by a frame 3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313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case 212 of FIG. 4 . For example, frame 313 may be referred to as a part of housing 310 that form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and/or rear surface of housing 31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13)은 테두리 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물결 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315)은 사인(sin) 형상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 영역(315)은 복수의 산(예: 도 9의 산(315a))들 및 복수의 골(예: 도 9의 골(31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배치될 때(예: 충전 중), 산(315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에 접촉되고, 상기 골(315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이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me 313 may include a border area 31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315 may be formed in a wave pattern shape. For example, the border area 315 may have a sinusoidal surface shape. The border area 3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untains (eg, the mountain 315a of FIG. 9) and a plurality of valleys (eg, the valley 315b of FIG. 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s placed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e.g., during char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cid 315a contact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ough 315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방열을 위한 공기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315)의 표면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 사이의 제2 공간(S2)을 지난 공기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테두리 영역(315)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표면 사이의 공간(예: 제2 공간(S2))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공간(S2)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공간(S2)은 테두리 영역(315)의 표면(예: 도 9의 산(315a) 및 골(315b))에 의하여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315 may provide an air path for heat dissip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pace (S2) between the surface of the border area 315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s the hea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can be dispersed.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passes through the space (e.g., the second space S2) between the border area 315 and th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and wireless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space S2 and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e second space S2 may be an empty space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edge area 315 (eg, peaks 315a and valleys 315b in FIG. 9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13)은 상부 인클로저(311)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전방 또는 상부(+Z 방향)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13)의 테두리 영역(315)은 상부 인클로저(311)의 제1 면(311b)보다 제1 거리(d1)만큼 상부(+Z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me 313 may protrude forward or above (+Z direc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rather than the upper enclosure 311. For example, the border area 315 of the frame 313 may protrude upward (+Z direction) by a first distance d1 from the first surface 311b of the upper enclosure 3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측벽 구조(317)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 구조(317)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예: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 페라이트(360))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 구조(317)는 상부 인클로저(3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구조(317)는 상부 인클로저(311)의 제2 면(311c)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아래(-Z 방향)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 구조(317)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측벽 구조(317)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부품(예: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또는 페라이트(36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 구조(317)의 형상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도면(예: 도 8)에서는 제외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ousing 310 may include sidewall structure 317. The sidewall structure 317 may surround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ransmission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340, and ferrite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dewall structure 317 may extend from upper enclosure 311. For example, the side wall structure 317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311c of the upper enclosure 311 toward the bottom (-Z direc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wall structure 317 may be referred to as a support member. The sidewall structure 317 may support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ransmission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340, and/or ferrite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ide wall structure 317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may be excluded from some drawings (eg, FIG. 8)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부품(예: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또는 페라이트(36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예: 217)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지지 부재(217)는 도 7에서는 제외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217)는 페라이트(360)의 아래(-Z 방향)에서 하우징(310)의 일부와 연결(예: 스크류 체결)된 상태로, 페라이트(36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217)는 회로 기판(350)의 아래(-Z 방향)에서 하우징(310)의 일부와 연결(예: 스크류 체결)된 상태로, 페라이트(360)를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ncludes a support member (e.g., a transmission coil 320, a magnetic material 330, a fan 340, and/or a ferrite 360) for supporting the component. 217) may be inclu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upport member 217 is excluded from FIG. 7 .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17 may support the ferrite 360 while being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e.g., screw fastened) below the ferrite 360 (-Z direction). there is.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17 is connected (e.g., screw fastened) with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below the circuit board 350 (-Z direction) to support the ferrite 360.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하부 인클로저(31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319)는 측벽 구조(317)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319)는 측벽 구조(317)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319)는 팬(340)과 송신 코일(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인클로저(319)는 하우징(310)의 일부(예: 측벽 구조(317)에서 연장되고, 전자 부품(예: 회로 기판(35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40)은 하부 인클로저(319)와 프레임(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310 may include a lower enclosure 319. Lower enclosure 319 may be surrounded by side wall structure 317 . Lower enclosure 319 may extend from sidewall structure 317 . The lower enclosure 319 may be located between the fan 340 and the transmitting coil 320. In one embodiment, lower enclosure 319 extends from a portion of housing 310 (e.g., sidewall structure 317) and may support electronic components (e.g., circuit board 350). For example, Fan 340 may be located between lower enclosure 319 and frame 313.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인클로저(319)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저(319)에 형성된 관통 홀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ower enclosure 319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not show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enclosure 319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low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인클로저(311) 및/또는 하부 인클로저(319)의 구성은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미도시)에서, 측벽 구조(317) 및 하부 인클로저(319)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일체형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320), 팬(340), 회로 기판(350) 및/또는 페라이트(36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313)과 연결될 수 있다. 일체형의 부품으로 제공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측벽 구조(317) 및 하부 인클로저(319)는 생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enclosure 311 and/or lower enclosure 319 is optional.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not shown), side wall structure 317 and bottom enclosure 319 may be omit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componen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coil 320, fan 340, circuit board 350, and/or ferrite 36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313.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rovided as an integrated part, the side wall structure 317 and the lower enclosure 319 may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코일(320)은 상부 인클로저(31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320)은 상부 인클로저(311)의 제2 면(311c)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mitting coil 320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enclosure 311.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coil 32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side 311c of the upper enclosure 3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330)는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성체(330)와 하우징(310)이 이격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330)와 하우징(3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과 이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As the magnetic material 330 and the housing 310 are spaced apart, at least some of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330 and the housing 310, thereby form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outside of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coil 320.

도 7을 참조하면, 자성체(330)는 프레임(313)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330)는 상부 인클로저(311)의 제2 면(311c)에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자성체(330)는 프레임(313)과 이격되고,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간(S1)은 자성체(330)와 프레임(313) 사이의 빈 공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13 . 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attached or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311c of the upper enclosure 311. The magnetic material 330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313 and may form a first space S1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first space S1 may be referred to as an empty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330 and the frame 313.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320.

도 8을 참조하면, 자성체(330)는 상부 인클로저(311)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330)는 프레임(313)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330)는 상부 인클로저(311)와 이격되고,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제3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공간(S3)은 자성체(330)와 상부 인클로저(311) 사이의 빈 공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부 인클로저(3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의 일부는 상부 인클로저(311)와 중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closure 311. 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313. The magnetic material 3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closure 311 and may form a third space S3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third space S3 may be referred to as an empty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330 and the upper enclosure 311.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320 and/o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3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Figure 8), a portion of the border area 315 may be extended to overlap the upper enclosure 3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방열을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쿨링 팬으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may generate a flow of air for heat dissip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may be referred to as a cooling f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상부(+Z 방향), 하부(-Z 방향) 및/또는 측면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may generate air flow toward the top (+Z direction), bottom (-Z direction), and/or 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도 7을 참조하면, 팬(340)은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예: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fan 340 transfers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s air flows in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e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be reduced. By releas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may be reduc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하는 제1 공기의 흐름(w1)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공간(S2) 및 제1 공간(S1)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하는 제2 공기 흐름(w2)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pa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 first air flow (w1) transmitted to the outside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pa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space (S2) and the first space (S1), A second air flow (w2) transmitted internally may be generated.

도 8을 참조하면, 팬(340)은 제2 공간(S2) 및 제3 공간(S3)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공간(S2) 및 제3 공간(S3)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하는 제5 공기 흐름(w5)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3 공간(S3) 및 제2 공간(S2)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하는 제6 공기 흐름(w6)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공기 흐름(w5) 및/또는 제6 공기 흐름(w6)은 제3 관통 홀(313b)을 지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an 340 transfers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space S2 and the third space S3. ,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pa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space (S2) and the third space (S3), A fifth air flow (w5) transmitted to the outside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pa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third space (S3) and the second space (S2), A sixth air flow (w6) transmitted internally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fth air flow w5 and/or the sixth air flow w6 may pass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13b.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관통 홀(예: 제1 관통 홀(311a), 제2 관통 홀(313a) 및/또는 제3 관통 홀(360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의 공기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제2 관통 홀(313a)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에서 공기를 전달 받고, 제1 관통 홀(311a) 및 제3 관통 홀(360a)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예: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로 공기를 전달하는 제3 공기 흐름(w3)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제1 관통 홀(311a) 및 제3 관통 홀(360a)을 통하여 공기를 전달받고,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제4 공기 흐름(w4)을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e.g., a first through hole 311a, a second through hole 313a, and/or a third through hole 360a)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assing through,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r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You c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receive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and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nd the third through hole 360a A third air flow w3 that transfers air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receives air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1a and the third through hole 360a,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 fourth air flow (w4) that delivers air to the outside of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은 모듈화된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4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조립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을 수용하는 하우징(310)의 일부(예: 프레임(313))은 무선 충전을 위한 부품(예: 송신 코일(320), 회로 기판(350) 및/또는 페라이트(360))을 수용하는 하우징(310)의 일부(예: 상부 인클로저(311), 측벽 구조(317) 및/또는 하부 인클로저(319))와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340 may be provided as a modular component. For example, the fan 340 may be selectively assembled or attach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ortion (e.g., frame 313) of the housing 310 that accommodates the fan 340 includes components for wireless charging (e.g., a transmitting coil 320, a circuit board 350, and/or It may be coupled with a portion of the housing 310 (e.g., the upper enclosure 311, the side wall structure 317, and/or the lower enclosure 319) that accommodates the ferrite 36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340)이 배치된 위치는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팬(340)은 회로 기판(350)의 아래(-Z)에 배치되나, 팬(34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팬(340)은 페라이트(360)와 회로 기판(3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ocation where the fan 340 is placed can be selectively designed. For example, in FIGS. 7 and 8, the fan 340 is disposed below (-Z) the circuit board 350, but the location of the fan 34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fan 340 may be located between ferrite 360 and circuit board 3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 구조(317) 및/또는 하부 인클로저(319)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40)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일체화된 부품으로 제공된 구조에서, 측벽 구조(317) 및/또는 하부 인클로저(319)는 제외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de wall structure 317 and/or the lower enclosure 319 may be exclud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or exampl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an 340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part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e side wall structure 317 and/or the lower enclosure 319 may be ex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35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전자 부품(예: 도 2의 전력 송신 회로(11), 제어 회로(12), 통신 회로(13) 및/또는 센싱 회로(14))을 수용할 수 있다. 회로 기판(350)은 송신 코일(320)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력 송신 회로(1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수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350 includes electronic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e.g.,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of FIG. 2, the control circuit 12, the communication circuit 13, and /or a sensing circuit 14) may be accommodated. Circuit board 350 may accommodate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to apply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3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350)은 하우징(3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350)은 팬(340)의 상부(+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350)에 수용된 전자 부품의 온도는 팬(340)에서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40)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예: 제3 공기 흐름(w3) 및/또는 제4 공기 흐름(w4))에 의하여, 회로 기판(350)에 수용된 전자 부품에서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는 분산될 수 있다. 회로 기판(350)이 배치된 위치는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회로 기판(350)은 팬(340)의 하부(-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350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3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350 may be disposed above the fan 340 (+Z directio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circuit board 350 may be reduced by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fan 340. For example, the heat generated in the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circuit board 350 by the air flow (e.g., the third air flow (w3) and/or the fourth air flow (w4)) generated by the fan 340 At least some of it can be distributed. The location where the circuit board 350 is placed is optional.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not shown), the circuit board 350 may be disposed below the fan 340 (-Z direction).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영역의 상면도이다. 9 is a top view of a borde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테두리 영역(315)은 복수의 산(315a)들 및 복수의 골(31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테두리 영역(315)의 구성은 도 4의 테두리 영역(215)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산(315a) 및 골(315b)의 구성은 도 4의 요철 패턴(215a)의 산(216a) 및 골(216b)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order area 3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aks 315a and a plurality of valleys 315b. The configuration of the border area 315 of FIG. 9 may be completely or par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border area 215 of FIG. 4 .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peaks 315a and valleys 315b of FIG. 9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eaks 216a and valleys 216b of the uneven pattern 215a of FIG. 4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315)의 높이(예: Z축 방향의 길이)는 부분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복수의 산(315a)들 및 복수의 골(31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은 물결 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315)의 높이는 사인 형상 또는 코사인 형상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산(315a) 및/또는 복수의 골(315b)들은 굴곡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 영역(315)에 위치한 산(315a) 및 골(315b)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315a) 및/또는 골(315b)은 물결 무늬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산(315a) 및/또는 골(315b)의 형상으로 인하여, 테두리 영역(315)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dge area 315 may have a curved shape to induce air flow. For example, the height (eg,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border area 315 may be different for each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3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aks 315a and a plurality of valleys 315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315 may be formed in a wave pattern shape.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border area 315 may have a sine-shaped or cosine-shaped surfac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ountains 315a and/or the plurality of valleys 315b may have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apes of the peaks 315a and valleys 315b located in the border area 315 may vary. For example, the mountains 315a and/or the valleys 315b may have a wavy or straight shape. Due to the shape of the mountain 315a and/or the valley 315b, the shape of the border area 31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도 9의 테두리 영역(315)의 구조는 이전에 설명된 프레임(예: 도 7 및/또는 도 8의 프레임(313))의 테두리 영역(315)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border area 315 of FIG. 9 may be applied to the border area 315 of a previously described frame (eg, the frame 313 of FIGS. 7 and/or 8).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페라이트 및 상부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페라이트 및 상부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A is a top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 ferrite, and an upper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 flo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 ferrite, and an upper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a 및/또는 도 10b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또는 페라이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A and/or 10B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320, a magnetic material 330, a fan 340, and/or a ferrite 360.

도 10a 및/또는 도 10b의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또는 페라이트(360)의 구성은 도 7 및/또는 도 8의 송신 코일(320), 자성체(330), 팬(340) 및/또는 페라이트(36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320, magnetic material 330, fan 340, and/or ferrite 360 of FIGS. 10A and/or 10B is similar to that of the transmitting coil 320 and magnetic material 330 of FIGS. 7 and/or 8. ), may be the same in whole or in par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an 340 and/or the ferrite 36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330)는 송신 코일(320)과 이격된 상태로 송신 코일(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팬(340)에서 생성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330)와 송신 코일(320) 사이의 공간(예: 도 8의 제3 공간(S3))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coil 320. 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33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32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coil 320 .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generated by the fan 34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330 and the transmission coil 320 (e.g., the third space S3 in FIG. 8). It can be delive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360)는 복수의 제3 관통 홀(36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를 상부(+Z 방향)에서 바라볼 때, 페라이트(360)의 제3 관통 홀(360a)은 송신 코일(320)에 의해 둘러싸인 빈 공간(320a)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40)에서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페라이트(360)의 제3 관통 홀(360a) 및 송신 코일(320)에 둘러싸인 빈 공간(320a)을 지나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외부로 흐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rrite 3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360a. Referring to FIG. 10A,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viewed from the top (+Z direction), the third through hole 360a of the ferrite 360 is an empty space 320a surrounded by the transmitting coil 320. ) may overlap. For example,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340 passes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360a of the ferrite 360 and the empty space 320a surrounded by the transmission coil 320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t can flow outward.

도 10a 및/또는 도 10b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구조는 이전에 설명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도 7 및/또는 도 8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S. 10A and/or 10B may be applied to the previously 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S. 7 and/or 8).

무선 전력 송신을 이용할 때, 전력 송신 회로 및/또는 전력 수신 회로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충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When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harg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due to heat generated in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and/or power reception circui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도중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과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be provided that can reduce overheating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by dispersing heat generated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도 1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상부 인클로저(예: 도 7의 상부 인클로저(311)) 및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복수의 골(예: 도 9의 골(315b))들 및 복수의 산(예: 도 9의 산(315a))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예: 도 7의 테두리 영역(315))을 포함하는 프레임(예: 도 7의 프레임(313))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7의 하우징(310)),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예: 도 7의 송신 코일(320)),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자성체로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된 자성체(예: 도 7의 자성체(330)) 및 상기 자성체의 아래에 위치한 팬(예: 도 7의 팬(34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 1) surrounds an upper enclosure (e.g., upper enclosure 311 of FIG. 7)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 Contains a border area (e.g., border area 315 in FIG. 7) including a plurality of valleys (e.g., valley 315b in FIG. 9) and a plurality of mountains (e.g., mountain 315a in FIG. 9). A housing (e.g., housing 310 in FIG. 7) including a frame (e.g., frame 313 in FIG. 7), and a transmitting coil (e.g., transmitting coil 320 in FIG. 7) disposed below the upper enclosure. ,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below the upper enclosure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a magnetic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frame (e.g., the magnetic material 330 of FIG. 7) and a fan located below the magnetic material (e.g., FIG. It may include a fan 340 of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제1 공간(예: 도 7의 제1 공간(S1)) 및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공간(예: 도 7의 제2 공간(S2))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방출하거나 상기 제2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공간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의 공기는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공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제1 공간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의 공기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로 전달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또는 전자 장치(예: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온도는 감소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has a first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e.g., the first space (S1) in FIG. 7) and a second space (e.g., the first space (S1) in FIG. 7)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pace (S2) in FIG. 7, or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pace and the first space. It may be configured to suck external air in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example,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using the fan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It can be transmitted outside of the transmitting device. For example, the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second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and the first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using the fan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It can be transmitted inside the transmitting device. The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or the electronic device (eg,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may be reduced by transferring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 인클로저에서 연장된 측벽 구조로서, 상기 송신 코일 및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측벽 구조(예: 도 7의 측벽 구조(317)), 및 상기 측벽 구조에 연결된 하부 인클로저(예: 도 7의 하부 인클로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벽 구조를 둘러쌀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is a side wal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upper enclosure, a side wall structure (e.g., side wall structure 317 in FIG. 7) that accommodates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magnetic material,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structure. It may include an enclosure (e.g., lower enclosure 319 in FIG. 7). The frame may surround the sidewall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팬은 하부 인클로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fan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wer enclosure and the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코일, 상기 페라이트,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coil, the ferrite, the circuit board, and the fan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인클로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 받기 위한 외부의 전자 장치(예: 도 3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를 향하도록 구성된 제1 면(예: 도 7의 제1 면(311b)), 상기 제1 면의 반대인 제2 면(예: 도 7의 제2 면(311c))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예: 도 7의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closure has a first side (e.g., FIG. a first surface 311b in Figure 7),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e.g., second surface 311c in Figure 7), and at least one second surface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 may include a through hole (e.g., the first through hole 311a in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예: 도 7의 제2 관통 홀(313a))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me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eg,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in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 코일 아래에 위치한 페라이트(예: 도 7의 페라이트(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ferrite (eg, ferrite 360 in FIG. 7) located below the transmission coi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 홀(예: 도 7의 제3 관통 홀(360a))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rrite may include at least one third through hole (eg, third through hole 360a of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테두리 영역은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제1 면(예: 도 7의 제1 면(311b))보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방(예: 도 7의 +Z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영역이 상기 제1 면보다 돌출됨으로써, 공기가 흐르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흐름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최고 온도가 감소되고, 충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rder area of the frame is in fro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g., +Z direction in FIG. 7) than the first side of the upper enclosure (e.g., the first side 311b in FIG. 7). ) may protrude. As the edge area protrudes beyond the first surface, a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can be formed. As the air flows,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or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can be reduced and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력 송신 회로(예: 도 2의 전력 송신 회로(11)) 및 상기 송신 코일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력 송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수용하는 회로 기판(예: 도 7의 회로 기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circuit housing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e.g.,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in FIG. 2)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to apply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It may include a substrate (eg, circuit board 350 of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may be locat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송신 코일 및/또는 상기 페라이트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may be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coil and/or the ferrite and the circuit boar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송신 코일과 이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coi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예: 도 7의 제1 관통 홀(311a)),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예: 도 7의 제2 관통 홀(313a)) 및 상기 페라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 홀(예: 도 7의 제3 관통 홀(360a))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of the upper enclosure (e.g., first through hole 311a in FIG. 7) and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of the frame (e.g., FIG. 7). A flow of air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and at least one third through hole (e.g., the third through hole 360a in FIG. 7) of the ferrite.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산들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 도 7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골들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1)가 충전을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상에 배치될 때, 복수의 골들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ountains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e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1 of FIG. 7). The plurality of goals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1 is placed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for charging, air may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도 1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상부 인클로저(예: 도 5의 상부 인클로저(311)) 및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예: 도 5의 프레임(313))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5의 하우징(310)), 상기 상부 인클로저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예: 도 5의 송신 코일(320)),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송신 코일과 이격된 자성체(예: 도 5의 자성체(330))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아래에 배치된 팬(예: 도 4의 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산(예: 도 9의 산(315a))들 및 복수의 골(예: 도 9의 골(315b))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예: 도 9의 테두리 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해 형성된 제2 빈 공간(예: 도 7 및/또는 도 8의 제2 공간(S2)) 및 상기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제1 빈 공간(예: 도 7의 제1 공간(S1) 및/또는 도 8의 제3 공간(S3))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of FIG. 1) includes an upper enclosure (e.g., the upper enclosure 311 of FIG. 5)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closure. A housing (e.g., housing 310 in FIG. 5) including an enclosing frame (e.g., frame 313 in FIG. 5), and a transmitting coil disposed beneath the upper enclosure (e.g., transmitting coil 320 in FIG. 5). ), a magnetic material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coil (e.g., the magnetic material 330 in FIG. 5), and a fan disposed below the transmission coil (e.g., the fan 240 in FIG. 4) may include. The frame has a border area (e.g., border area 315 in FIG. 9)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ains (e.g., mountain 315a in FIG. 9) and a plurality of valleys (e.g., valley 315b in FIG. 9). may include. The fan includes a second empty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e.g., the second space S2 in FIGS. 7 and/or 8) and a first empty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housing (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ir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first space (S1) in FIG. 7 and/or the third space (S3) in FIG. 8.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배면(예: 도 7의 제2 면(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빈 공간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공간(예: 도 7의 제1 공간(S1))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closure (eg, the second surface 311b in FIG. 7). The first empty space may be a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eg, the first space S1 in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프레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빈 공간은 상기 자성체와 상기 인클로저 사이의 공간(예: 도 8의 제3 공간(S3))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frame. The first empty space may be a space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enclosure (eg, the third space S3 in FIG. 8).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영역의 상기 복수의 산들은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전면(예: 도 7 및/또는 도 8의 제1 면(311b))보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ountains in the border area may protrude in fro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rather than the front of the upper enclosure (e.g., the first side 311b of FIG. 7 and/or FIG. 8).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예: 도 5의 제1 관통 홀(311a)) 및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예: 도 5의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of the upper enclosure (e.g., first through hole 311a in FIG. 5) and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of the frame (e.g., FIG. 5).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ir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3a.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is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1: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10, 310: 하우징
211, 311: 상부 인클로저
220, 320: 송신 코일
240, 340: 팬
311a: 제1 관통 홀
313: 프레임
313a: 제2 관통 홀
315: 테두리 영역
330: 자성체
350: 회로 기판
360: 페라이트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101: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10, 310: housing
211, 311: upper enclosure
220, 320: Transmitting coil
240, 340: Fan
311a: first through hole
313: frame
313a: second through hole
315: Border area
330: magnetic material
350: circuit board
360: Ferrite
S1: first space
S2: Second space

Claims (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전면 플레이트(211, 311)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복수의 골(216b, 315b)들 및 복수의 산(216a, 315a)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215, 315)을 포함하는 프레임(313)을 포함하는 하우징(210, 310);
상기 전면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220, 320);
상기 전면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자성체로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된 자성체(330); 및
상기 자성체의 아래에 위치한 팬(240, 340)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 frame comprising a front plate (211, 311) and a border area (215, 315)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l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valleys (216b, 315b) and a plurality of peaks (216a, 315a) Housing (210, 310) including 313);
Transmitting coils 220 and 320 disposed below the front plate;
a magnetic body 330 disposed below the front plate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fans (240, 340) located below the magnetic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제1 공간(S1) 및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공간(S2)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방출하거나 상기 제2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n passes the first space (S1)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space (S2)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to supply the wireless power to the air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figured to emit air to the outside of the transmission device or to suck air out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pace and the first spac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측벽 구조로서, 상기 송신 코일 및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측벽 구조(317), 및 상기 측벽 구조에 연결된 하부 인클로저(319)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벽 구조를 둘러싸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using is a side wal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front plate and includes a side wall structure 317 that accommodates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magnetic material, and a lower enclosure 319 connected to the side wall structure,
The frame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surrounding the side wall structur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팬은 상기 하부 인클로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an is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fan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nclosure and the fram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및 상기 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fan is connected to the fram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 받기 위한 외부의 전자 장치를 향하도록 구성된 제1 면(311b), 상기 제1 면의 반대인 제2 면(311c)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311a)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ront plate has a first side (311b) configured to fac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second side (311c) opposite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and th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311a penetrating the second surfac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313a)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rame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313a).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아래에 위치한 페라이트(360)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errite 360 located below the transmitting coil.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 홀(360a)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errite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third through hole (360a).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제1 면(311b)보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border area of the frame protrudes forwar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beyond the first side (311b) of the front plat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력 송신 회로(11) 및 상기 송신 코일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력 송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수용하는 회로 기판(350)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oard (350) housing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11)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to apply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an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locat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fram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송신 코일과 이격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magnetic material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coil.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311a) 및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The fa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311a of the front plate and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313a of the frame to generate a flow of air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configur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이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산들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골들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이격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ountains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valley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있어서,
전면 플레이트(211, 311)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313)을 포함하는 하우징(310);
상기 전면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송신 코일(220, 320);
상기 송신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송신 코일과 이격된 자성체(330);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아래에 배치된 팬(240, 34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산(215a, 315a)들 및 복수의 골(215b, 315b)들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215, 315)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복수의 골들 및 상기 복수의 산들에 의해 형성된 제2 빈 공간(S2) 및 상기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제1 빈 공간(S1, S3)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 housing 310 including front plates 211 and 311 and a frame 313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lates;
Transmitting coils 220 and 320 disposed below the front plate;
A magnetic body 330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coil; and
It includes fans 240 and 340 disposed below the transmitting coil,
The frame includes border areas 215, 315 including a plurality of peaks 215a, 315a and a plurality of valleys 215b, 315b,
The fan blows air ou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empty space (S2) formed by the plurality of valleys and the plurality of mountains and the first empty space (S1, S3)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ho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311c)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빈 공간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공간(S1)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magnetic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311c of the front plate,
The first empty space is a space (S1) between the frame and the magnetic material.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프레임 상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빈 공간은 상기 자성체와 상기 인클로저 사이의 공간(S3)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or 17,
The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rame,
The first empty space is a space (S3)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enclosure.
제16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영역의 상기 복수의 산들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311b)보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18,
The plurality of mountains in the border area protrude forwar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beyond the front surface (311b) of the front plate.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 홀(311a) 및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 홀(313a)을 지나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19,
The fa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311a of the front plate and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313a of the frame to generate a flow of air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configur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0220128980A 2022-08-29 2022-10-07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KR202400308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2362 WO2024049078A1 (en) 2022-08-29 2023-08-21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8735 2022-08-29
KR1020220108735 202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884A true KR20240030884A (en) 2024-03-07

Family

ID=9027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980A KR20240030884A (en) 2022-08-29 2022-10-07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8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82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5921689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using 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coils
JP60460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wireless charging area
KR102602642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2318212B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KR101586524B1 (en) Optimization of wireless power devices for charging batteries
KR102042685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JP603030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KR10264715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20110112867A (en)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JP2011523270A5 (en)
KR101983174B1 (en)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WM461243U (en) Wireless recharging device
JP2015231329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624101B1 (en)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40030884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JP200906574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20190123585A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with versatile charging orientation and modularized sensing device therewith
KR101610678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WO2024049078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615237B1 (en) Stacked coil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TW201838281A (en) Wireless charging mous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KR20040098819A (en) Wireless power suppli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2018001160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EP4170866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