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762A -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762A
KR20240030762A KR1020220110205A KR20220110205A KR20240030762A KR 20240030762 A KR20240030762 A KR 20240030762A KR 1020220110205 A KR1020220110205 A KR 1020220110205A KR 20220110205 A KR20220110205 A KR 20220110205A KR 20240030762 A KR20240030762 A KR 2024003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toothbrush
unit
electrode
dire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모
Original Assignee
임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모 filed Critical 임승모
Priority to KR102022011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762A/ko
Publication of KR2024003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5/00Instruments for treating animal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6Toothbrush for cleaning animal teeth specif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여 미생물막의 생성을 방해하면서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의 분자간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고, 산성도를 중화시키면서 염증을 완화시켜서 구강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구강 내의 이를 닦는 칫솔(100)과,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형성부재(200)와,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형성부재(200)에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전기장형성부재(200)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장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칫솔(100)은 솔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는 칫솔머리(110)와, 칫솔머리(1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칫솔몸체(12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Oral care apparatus using electric field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여 미생물막의 생성을 방해하면서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의 분자간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고, 산성도를 중화시키면서 염증을 완화시켜서 구강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 속 뿐 아니라 동물, 특히 반려 동물의 입속에는 구강관리가 어려워 음식물 찌꺼기나 이에 따른 치태가 많이 쌓여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치주질환에 의한 치아 상실이 발생하며, 반려 동물의 경우 사람과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한 부분을 주기적인 검진을 통하지 않으면 관리자가 알 수가 없고 치아 상실이 발생하면 올바른 식사가 어려워 영양 불균형 등 심각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 방법으로 양치를 잘 하더라도 치아와 치아 사이, 칫솔이 잘 닿지 않는 치아 뒷면, 어금니 안쪽 등에 대한 양호한 구강 관리는 쉽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쌓인 이물 혹은 미생물막 제거는 반려동물 치과를 방문하여 치주질환 관련 여러가지 치료 등 관리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칫솔이 잘 닿지 않거나 관리가 어려운 부분에 쌓이는 것은 대부분 미생물막에 의한 플라크(dental plaque)이다. 플라크란 치아 표면에 붙어서 생기는 끈끈하고 투명한 막으로, 입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박테리아와 세균들이 타액 내 성분과 서로 엉겨 붙고 반응하여 만들어지고 치아와 그 주변에 생기게 된다.
이렇게 플라크가 생성되면 내부의 세균들이 번식하는데, 음식물 섭취 시 공급되는 당분을 이용해 플라크 내 세균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그 양도 많아지게 된다.
플라크 내 세균은 산성물질을 생성하게 되어 치아의 석회성분을 녹게 하여 충치를 일으키게 되고, 동시에 발생하는 독소 성분이 구강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 혀의 돌기 등 좁은 공간에 서식하며 치아 및 주변조직에 염증 반응 등 문제를 일으키지만 기존의 양치 방법만으로는 이러한 플라크의 효과적이고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양치를 싫어하며 강제적으로 양치를 하게 됨으로써 양치를 더욱 싫어하게 되어 점점 양치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2334715호(2021.11.30.)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여 미생물막의 생성을 방해하면서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의 분자간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고, 산성도를 중화시키면서 염증을 완화시켜서 구강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는, 구강 내의 이를 닦는 칫솔(100)과,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형성부재(200)와,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형성부재(200)에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전기장형성부재(200)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장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칫솔(100)은 솔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는 칫솔머리(110)와, 칫솔머리(1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칫솔몸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칫솔머리(11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장발생부재(200)는 칫솔(100)에 형성되는 접지전극(210)과, 접지전극(210)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교류전극(220)과, 접지전극(210)에서 타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직류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전극(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접지전극(2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칫솔(100)에서 양측에 형성되고, 교류전극(220)은 칫솔(100)의 일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교류전극(2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의 타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직류전극(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칫솔(100)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홈들이 형성되고,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되, 홈의 깊이(d1)보다 전극의 두께(d2)가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칫솔(100)에 형성되는 홈의 둘레가 라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장제어부(300)는 교류전극(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전극(220)에서 교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교류공급회로부(310)와, 직류전극(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극(230)에서 직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직류공급회로부(320)와, 교류공급회로부(310) 및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0)와,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고,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34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350)와,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360)와,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시간판단부(370)와,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고, 다시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380)와,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치(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여 미생물막의 생성을 방해하면서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의 분자간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고, 산성도를 중화시키면서 염증을 완화시켜서 반려동물의 구강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미생물막을 제거하므로 짧은 시간에 치태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양치를 싫어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내 미생물막(플라크, 치태) 생성을 어렵게 하고,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은 구조를 느슨하게 하여 제거하거나 결합을 파괴하는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공급하여, 양치가 되지 않는 미세한 틈까지 흘러 들어간 전류에 의해서 구강내 미생물막을 관리하기 때문에 구강 건강에 매우 이로운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구강에서 이미 염증이 형성되어 붓거나 피가 나는 염증도 미생물막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와, 직류에 의한 미세 전류를 공급해 줌으로 2차로 미세전류 염증 개선의 효과로 인해 붓기가 완화되어서 가라앉고 출혈도 중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칫솔에 일실시예의 전극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칫솔에 다른 실시예의 전극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장회로부재를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는, 구강 내의 이를 닦는 칫솔(100)과,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형성부재(200)와,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형성부재(200)에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전기장형성부재(200)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장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칫솔(100)은 칫솔모가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는 칫솔머리(110)와, 칫솔머리(1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칫솔몸체(1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칫솔몸체(120)를 파지한 상태로 칫솔머리(110)를 반려동물의 구강에 삽입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칫솔머리(11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면서 칫솔모가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칫솔머리(110)의 전후좌우가 구분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원뿔형태의 칫솔머리(110)는 반려동물의 구강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끝부분이 라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칫솔몸체(12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원통형태의 칫솔몸체(1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하다. 또한, 칫솔몸체(12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다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구강에서 칫솔머리(110)를 왕복이동 시키면 칫솔머리(110)의 칫솔모가 반려동물의 이빨을 자연적으로 문지르게 되므로 반려동물의 이빨에서 이물질 및 치석 등이 물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몸체(120)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개폐판을 개방시키면 내부공간이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칫솔머리(110) 및 칫솔몸체(120)에 암나사산 및 숫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칫솔몸체(120)에서 칫솔머리(110)가 분리되면 내부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전기장회로부재(30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칫솔(100)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홈들이 형성되어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이 각각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이때, 칫솔(100)에 형성되는 홈의 둘레가 라운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홈의 둘레가 라운드로 형성되므로 칫솔질 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이빨이 홈에 걸리지 않게 된다.
전기장발생부재(200)는 칫솔(100)에 형성되는 접지전극(210)과, 접지전극(210)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교류전극(220)과, 접지전극(210)에서 타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직류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전극(230)을 포함한다.
교류전극(220)에 교류전류(AC)가 인가되면 접지전극(210)에서 교류전극(220)의 사이에 교류전류(AC)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직류전극(230)에 직류전류(DC)가 인가되면 접지전극(210)에서 직류전극(230)의 사이에 직류전류(DC)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지전극(210)을 중심으로 교류전극(220) 및 직류전극(230)가 양측으로 이격되면서 분산되게 칫솔(100)에 배치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이빨 표면에 형성되는 미생물막에 교류전류(AC)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 직류전류(DC)와 구강내 산성도의 변화, 미세전류의 염증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칫솔(100)을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사용하면 교류전류(AC)에 의한 전기장 및 직류전류(DC)에 의한 자기장이 반려동물의 이빨에 고르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전극(2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칫솔(100)에서 양측에 형성된다.
교류전극(220)은 칫솔(100)의 일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교류전극(220)의 사이에 형성된다.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의 타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직류전극(230)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접지전극(210)들과 교류전극(220) 및 직류전극(230)이 칫솔(100)에서 4방향으로 분산되게 배치되므로, 칫솔(100)의 둘레에 고르게 형성되어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류는 기본적으로 구성 회로의 최단거리 방향으로 대부분 이동하기 때문에 양치가 진행 중 일 때 치아와 잇몸에 효과적으로 전기장과 전류가 전달될 수 있는 전극 배치가 중요하다. 즉, 접지전극(210)과 교류전극(220)의 거리 및 접지전극(210)과 직류전극(230)의 거리를 적정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되, 홈의 깊이(d1)보다 전극의 두께(d2)가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극이 홈에 삽입되면 전극의 표면이 칫솔(100)의 표면보다 낮아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때, 홈의 깊이(d1)와 전극의 두께(d2) 차이는 1~5mm 일 수 있다. 따라서, 칫솔(100)을 이용하여 칫솔질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이빨이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에 부딪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홈의 깊이(d1)와 전극의 두께(d2)가 같게(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칫솔(100)의 표면에서 높이 차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이빨이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에 부딪히지 않으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전기장제어부(300)는 교류전극(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전극(220)에서 교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교류공급회로부(310)와, 직류전극(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극(230)에서 직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직류공급회로부(320)와, 교류공급회로부(310) 및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0)와,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고,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34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350)와,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360)와,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시간판단부(370)와,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고, 다시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380)와,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치(390)를 포함한다.
교류공급회로부(310)는 양의 반주기로 전류가 교류전극(220)에서 접지전극(210)로 흐르게 하고, 음의 반주기로 전류가 접지전극(210)에서 교류전극(220)로 흐르게 한다. 즉, 전류가 교호한다. 이러한, 교류공급회로부(310)는 전원공급부(33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변환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교류공급회로부(310)는 양치 중 효과적이고 안전한 전기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적절한 진폭과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기의 인가와 전극간 전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세기의 직류 전류를 인가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교류전류의 진폭이 ± 0.01 V에서 최대 ± 3.0 V를 가지며, 주파수가 0.1 kHz에서 100 MHz를 가지는 교류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직류공급회로부(320)는 접지전극(210)에 -측 전류가 인가되게 하면서 직류전극(230)에 +측 전류가 인가된다.
그리고, 직류공급회로부(320)는 직류 전류가 -0.85 V ~ 0.85 V/㎝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을 가지는 직류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하는 사람이 전기를 느끼지 못하는 수십 mA 이하의 생체전류 수준의 전류이면서 미생물막(플라크) 제거에는 적용할 수 있는 전류 및 전기장이 인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하는 사람이나 동물이 전기를 느끼지 못하는 수십 ~ 수백 μA 이하의 생체전류 수준의 전류이면서 미생물막(플라크) 제거에는 적용할 수 있는 전류 및 전기장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330)는 칫솔(100)에 내장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배터리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이 충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스위치(390)를 조작시키면 칫솔(100)의 칫솔머리(110)에서 직류 또는 교류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칫솔(100)을 이용하면 물리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형성되는 전기장으로 미생물막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전기장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여 미생물막의 생성을 방해하면서 이미 생성된 미생물막의 분자간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고, 산성도를 중화시키면서 염증을 완화시켜서 구강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칫솔
110 : 칫솔머리
120 : 칫솔몸체
200 : 전기장발생부재
210 : 접지전극
220 : 교류전극
230 : 직류전극
300 : 전기장제어부
310 : 교류공급회로부
320 : 직류공급회로부
330 : 전원공급부
340 : 스위치부
350 : 기준시간설정부
360 : 시간카운팅부
370 : 시간판단부
380 : 스위치제어부
390 : 메인스위치

Claims (7)

  1. 구강 내의 이를 닦는 칫솔(100)과,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형성부재(200)와,
    칫솔(100)에 구비되어 전기장형성부재(200)에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전기장형성부재(200)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장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칫솔(100)은
    솔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되는 칫솔머리(110)와,
    칫솔머리(1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칫솔몸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칫솔머리(11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장발생부재(200)는
    칫솔(100)에 형성되는 접지전극(210)과,
    접지전극(210)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교류전극(220)과,
    접지전극(210)에서 타측으로 이격되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직류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전극(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접지전극(2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칫솔(100)에서 양측에 형성되고,
    교류전극(220)은 칫솔(100)의 일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교류전극(2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의 타측에서 접지전극(210) 및 직류전극(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칫솔(100)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홈들이 형성되고, 접지전극(210), 교류전극(220), 직류전극(230)은 칫솔(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되, 홈의 깊이(d1)보다 전극의 두께(d2)가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칫솔(100)에 형성되는 홈의 둘레가 라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장제어부(300)는
    교류전극(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전극(220)에서 교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교류공급회로부(310)와,
    직류전극(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극(230)에서 직류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직류공급회로부(320)와,
    교류공급회로부(310) 및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0)와,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고, 직류공급회로부(320)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연결하면서 교류공급회로부(310)에 에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34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350)와,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360)와,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시간판단부(370)와,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1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고, 다시 시간판단부(37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치부(340)가 제2스위칭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면서 시간카운팅부(360)가 다시 카운팅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380)와,
    전원공급부(3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치(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KR1020220110205A 2022-08-31 2022-08-31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KR20240030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205A KR20240030762A (ko) 2022-08-31 2022-08-31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205A KR20240030762A (ko) 2022-08-31 2022-08-31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762A true KR20240030762A (ko) 2024-03-07

Family

ID=9027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205A KR20240030762A (ko) 2022-08-31 2022-08-31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8121B1 (en) Therapeutic micro-current delivery devices
EP1908435B1 (en) Mouth cleaning device
US20140093836A1 (en) Hands Free Oral Hygiene System
EP1908434B1 (en) Mouth cleaning device
US20210076813A1 (en) Plasma treatment device
US11969590B2 (en) Devi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peridontal complex and surrounding tissue
US20210369431A1 (en) Dental care mouthpiece cleaning system
JP2009189431A (ja) 歯茎マッサージ部、電動歯茎マッサージャー、歯茎マッサージ方法
CN106821526A (zh) 一种激光牙刷
Narang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conventional bristle brush and cross-action brush in routine oral hygiene practice: a comparative study
KR102495925B1 (ko) 반려동물용 전동 칫솔
CA2726424C (en) Devic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bes
KR20240030762A (ko) 반려동물용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RU2183439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240030761A (ko) 전기장을 이용하는 구강관리장치
KR102191262B1 (ko) 음파 진동 및 광 전달 메커니즘을 갖는 이미용 기구
KR20240056198A (ko) 구강관리를 위한 전기장을 이용하면서 전기장의 작동상태 확인 가능한 구강관리장치
WO2013042307A1 (ja) 口腔ケア装置
CN210784792U (zh) 双模式牙刷
KR200243868Y1 (ko) 미소전류를 이용한 칫솔 겸용 구강 치료기
JP2012000149A (ja) 通電歯茎マッサージ用ブラシ
RU2201123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CN210784791U (zh) 电动牙刷
KR20130051764A (ko) 전동칫솔
CN2105938U (zh) 电动电离子磁疗口腔治疗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