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315A -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315A
KR20240030315A KR1020220109184A KR20220109184A KR20240030315A KR 20240030315 A KR20240030315 A KR 20240030315A KR 1020220109184 A KR1020220109184 A KR 1020220109184A KR 20220109184 A KR20220109184 A KR 20220109184A KR 20240030315 A KR20240030315 A KR 2024003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ivestock
lo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이룸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이룸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이룸하이텍
Priority to KR102022010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315A/ko
Publication of KR2024003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3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이 가축들에 의해 열려 가축이 축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축사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 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출입문과, 잠금수단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잠금유도수단과, 잠금유도수단에 걸어 잠금 되거나 잠금유도수단로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Gate Locking Equipment Of Cattle Shed}
본 발명의 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이 가축들에 의해 열려 가축이 축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는 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외부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함과 아울러 사육되는 가축을 용이하게 관리하는 곳이다.
상기와 같은 축사는 일반적으로 가축의 보호와 무단출입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 설치되며, 이러한 펜스의 일측에는 축사용 출입문(도어)이 설치되어 관리자와 가축이 출입된다.
상기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은 각기 개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호기심이 많고 축사 밖으로 나가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펜스와 출입문을 잠그는 잠금장치는 가축이 스스로 열지 못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소는 다른 가축에 비해 비교적 긴 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혀를 사용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간단한 구조의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탈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소를 사육하는 우사에 설치되는 출입문의 잠금장치는 이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설치되는 종래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 내의 소의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문에 있어서,
성체의 출입을 제한하는 외측문(100)과, 상기 외측문의 중앙에서 송아지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측문(200)의 이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문(200)과 외측문(100)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문(200)을 상기 외측문(100)을 기준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측문회동부(300)와; 상기 내측문(200)을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400);가 구비되어, 축사에서 송아지의 출입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측문(100)의 일측에는 상기 외측문(100)이 회전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관형연결구(110)가 고정되고, 상기 관형연결구(110)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축사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측문(100)이 상기 관형연결구(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외측문(100)을 개폐하여 성체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잠금장치(4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상기 내측문(20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잠금바(410)와;
상기 외측문(100)에 고정설치되는 'ㄱ'자의 꺾인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잠금바(4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열린 홈(421)이 형성된 브라켓(420)과;
상기 브라켓(420)에 구비된 브라켓축(4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홈(421)으로 삽입된 잠금바(41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431)가 구비된 잠금걸이쇠(430)와;
상기 브라켓축(422)에 권취되고 일측은 상기 브라켓(420)에, 타측은 상기 잠금걸이쇠(430)에 고정되어 상기 잠금걸이쇠(430)가 힘을 받아 회전한 후 기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440); 이 구비되어, 상기 잠금바(410)가 상기 홈(421)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걸이쇠(430)의 이탈방지부(431)에 의해 수납되어 상기 내측문(200)을 잠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축사용 출입문은 구성이 복잡하고 관리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 가축의 혀 또는 머리로는 잠금을 해제하고 탈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94284(공고일: 2021. 09. 09.)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124980호(공개일: 2014. 10. 28.)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49869호(공개일: 2015. 05. 08.)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2242호(공고일: 2010. 09. 14.)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잠김을 가축의 머리 또는 혀로 풀지 못하고 사람의 양손을 사용해야만 상기 잠금장치의 잠김을 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복수 개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연결 설치하여 된 축사용 펜스의 일측에 관리자 또는 가축이 출입하는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일측에 출입문 개(開))시에는 잠금을 풀고 폐(閉)시에는 잠그도록 된 잠금수단(40)이 설치된 축사용 출입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20)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 바닥에 디딤판 역할을 하는 베이스패널(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지지부재(24)를 매개로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잠금수단을 수용하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유도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유도수단이 위치하는 쪽의 출입문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상기 잠금유도수단에 결합하여 잠그거나 잠금유도수단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잠김을 풀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잠김을 가축의 머리 또는 혀로 풀지 못하고 사람의 양손을 사용해야만 상기 잠금장치의 잠김을 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이 출입문을 열고 축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사 출입문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축사 출입문에서 잠금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이 잠긴 해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이 잠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이 가축들에 의해 열려 가축이 축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연결 설치하여 된 축사용 펜스의 일측에 관리자 또는 가축이 출입하는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일측에 출입문 개(開))시에는 잠금을 풀고 폐(閉)시에는 잠그도록 된 잠금수단(40)이 설치된 축사용 출입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20)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 바닥에 디딤판 역할을 하는 베이스패널(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지지부재(24)를 매개로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잠금수단을 수용하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유도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유도수단이 위치하는 쪽의 출입문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상기 잠금유도수단에 결합하여 잠그거나 잠금유도수단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잠김을 풀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패널(10)은 출입문(20)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어 디딤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표면은 관리자 및 가축의 출입시 안전한 디딤을 위해 평면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패널(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논 슬립 처리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출입문(20)이 개폐시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관리자 또는 가축이 입/출입할 때 안전하게 입/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에서 출입문(20)은,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지지부재(24)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은 출입문(20)을 지지하며 출입문(20)이 개폐될 때 지지 축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24)는,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끼워 결합되는 원형의 링(24a)으로 함이 바람직이고. 링(24a)의 일측은 출입문(20)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원형의 링(24a)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4)를 수직프레임에 끼워 결합하는 이유는, 출입문(20)의 열림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입문(20)의 열림을 최대로 해야 하는 이유는, 가축을 운반하는 가축운반 차의 테일 게이트(Tailgate)가 출입문에 근접되게 주차하고자 할 때에 상기 출입문(20)을 펜스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잠금유도수단(30)은, 상기 베이스패널(10)의 타측 즉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의 반대쪽에 상향 수직되게 세워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잠금수단(40)과 결합되어 출입문(2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유도수단(30)의 일실시 예는, 출입문(20)의 높이와 준하거나 출입문(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패널(10) 상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파이프(31)와, 그 지지파이프의 상부 상기 잠금수단(40)과 마주보는 부분에 상기 지지파이프(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으며 잠금수단(40)이 결합되는 락킹구(32)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유도수단(30)에서 지지파이프(31)는, 락킹구(32)를 고정하는 것이고, 락킹구(32)는 잠금수단(40)인 잠금구(42)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잠금유도수단(30)에서 락킹구(32)의 외경을 지지파이프(31)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잠금구(42)의 사이로 락킹구(32)가 긴밀하게 수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락킹구(32)와 잠금구(42) 간에 공간이 발생하여 잠금구(42)가 유동을 하게 되면 출입문(20)이 유동하게 되는 것임으로 출입문(20)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하여 잠금구(42)는 락킹구(32)를 긴밀하게 수용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
또 상기 잠금수단(40)이 설치되는 부분의 출입문(20)에는, 그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바(21)와 수평바(22)의 일부를 수용하는 "ㄷ" 형의 브래킷(23)이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수직바(21)와 수평바(22)는 원형 또는 다각형임으로 그 원형 또는 다각형의 수직 및 수평바에는 잠금수단(40)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없음으로 상기 잠금수단(40)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고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수단(40)은, 상기 잠금유도수단(30)이 위치하는 쪽의 출입문(20)에 양손을 사용하여 상기 잠금유도수단(30)에 결합하여 잠금 하거나 잠금유도수단(30)으로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는 아래와 같다.
상기 잠금수단(40)은, 후방에 그 후방 상부 일부를 밀폐시키는 지지판(4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41)에 의해 밀폐된 부분을 제외한 후방 하부와 전방 및 상/하부가 개방되어 출입문(20) 폐(閉)시에는 잠금 되고 출입문(20) 개(開)시에는 잠금유도수단(30)으로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되게 하는 잠금구(42)가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구(42)의 후방은 중심핀(43)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41)에는 힌지(44)를 매개로 회동구(45)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회동구(45)의 선단에는 출입문(20) 폐시에는 출입문(20)을 형성하는 수직 바(21)와 접촉되며 수직 바의 표면 일부를 수용하고 출입문(20) 개시에는 출입문(20)을 형성하는 수펑 바(22)와 접촉되며 수펑 바의 표면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46b)이 형성된 지지구(46a)가 설치된 스토퍼(46)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44)를 매개로 회동구(45)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판(41)이며, 상기 중심핀(43)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구(42)의 후방은 지지판(41)의 하부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41)은 상호 마주보는 잠금구(4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잠금구(42)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스토퍼(46)가 형성된 회동구(45)를 힌지(44)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회동구(45)는 잠금구(42)와 함께 연동하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구(42)가 락킹구(32)를 수용하고 회동구(45)가 자중에 의해 수직바(21)의 방향을 따라 하향한 상태에서 스토퍼(46)의 구성인 지지구(46b)의 선단이 수평바(22)의 상부와 접촉되고 수용 홈(46a)은 수직바(21)의 일부를 수용하며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 임으로 잠금구(42)가 락킹구(32)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잠금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가축 즉 일실시 예로 소의 머리 또는 혀로 잠금구(42)를 들어올려도 회동구(45)와 스토퍼(46)가 잠금구(42)의 회동을 방해함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잠금구(42)가 락킹구(32)와 결합되고 회동구(45)에 형성된 스토퍼(46)가 수평바(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잠금구(42)를 락킹구(32)로부터 벗어나게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출입문(20)을 열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의 한 손으로 회동구(45)를 들어올려 스토퍼(46)를 수평바(22)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관리자의 다른 손으로 잠금구(42)를 들어올리면 중심핀(43)을 축으로 잠금구(42)가 회전하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구(42)가 락킹구(32)로부터 벗어나면서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20)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잠금구(42)가 락킹구(32)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면 스토퍼(46)의 구성인 지지구(46b)에 형성된 수용 홈(46a)이 수평바(22)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수평바(22)의 상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문(20)에 설치된 잠금수단(40)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유도수단(30)에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되면 회동구(45)에 형성된 스토퍼(46)가 수평바(22) 상에서 받쳐주면 지지하기 때문에 소의 머리 또는 혀로 잠금구(42)를 들어올려도 잠금구(42)가 회전되지 않음으로 출입문(20)이 열리지 않아 가축이 탈출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수단(40)이 잠금유도수단(30)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하기 위해서는 잠금구(42)를 잠금유도수단(30) 쪽으로 회전시키면 잠금구(42)가 회전하면서 회동구(45)도 연동하게 되고 상기 잠금구(42)가 락킹구(32)에 결합되게 되면 회동구(45)의 자중에 의해 수직바(21)의 방향을 따라 하향한 상태에서 지지구(46b)의 선단이 수평바(22)의 상부와 접촉되고 스토퍼(46)의 구성인 수용 홈(46a)은 수직바(21)의 일부를 수용하며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져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수용 홈(46b)은, 출입문(20)을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바의 형상이 원형바인 경우에는 그 원형바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형바와 부합하는 호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20)을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바의 형상이 다각형바인 경우에는 그 다각형바 일부를 수용하도록 다각형바와 부합하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되어 수직 또는 수평바와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40)이 설치되는 부분의 출입문(20)에는, 그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ㄷ" 형의 브래킷(23)이 설치되는데 상기 "ㄷ" 형의 브래킷(23)을 설치하는 이유는, 잠금수단(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와 아울러 잠금수단(20)이 설치되는 부분의 출입문(20)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 가축 또는 관리자의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출입문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잠김을 가축의 머리 또는 혀로 풀지 못하고 사람의 양손을 사용해야만 상기 잠금장치의 잠김을 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이 출입문을 열고 축사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
10 : 베이스패널 20 : 출입문
21 : 수직 바 22 : 수평 바
23 : 브래킷 24 : 지지부재
24a : 링 30 : 잠금유도수단
31 : 지지파이프 32 : 락킹구
40 : 잠금수단 41 : 지지판
42 : 잠금구 43 : 중심핀
44 : 힌지 45 : 회동구
46 : 스토퍼 46a : 수용 홈
46b : 지지구

Claims (6)

  1. 복수 개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연결 설치하여 된 축사용 펜스의 일측에 관리자 또는 가축이 출입하는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출입문의 일측에 출입문 개(開))시에는 잠금을 풀고 폐(閉)시에는 잠그도록 된 잠금수단(40)이 설치된 축사용 출입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20)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 바닥에 디딤판 역할을 하는 베이스패널(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지지부재(24)를 매개로 출입문(2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잠금수단을 수용하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유도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유도수단이 위치하는 쪽의 출입문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상기 잠금유도수단에 결합하여 잠그거나 잠금유도수단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잠김을 풀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후방에 그 후방 상부 일부를 밀폐시키는 지지판(4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 의해 밀폐된 부분을 제외한 후방 하부와 전방 및 상/하부가 개방되어 출입문 폐시에는 상기 잠금 되고 출입문 개시에는 잠금유도수단로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되게 하는 잠금구(42)가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구의 후방은 중심핀(43)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힌지(44)를 매개로 회동구(45)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구의 선단에는 출입문 폐시에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 바(21)의 표면 일부를 수용하고 출입문 개시에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펑 바(22)의 표면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46b)이 형성된 지지구(46a)가 설치된 스토퍼(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46b)은,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바의 형상이 원형바인 경우에는 그 원형바 일부를 수용하도록 원형바와 부합하는 호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바의 형상이 다각형바인 경우에는 그 다각형바 일부를 수용하도록 다각형바와 부합하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부분의 출입문(20)에는, 그 출입문을 형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ㄷ" 형의 브래킷(2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도수단(30)는, 출입문의 높이와 준하거나 출입문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파이프(31)와, 그 지지파이프의 상부 상기 잠금수단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으며 잠금수단에 수용되는 락킹구(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는, 펜스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에 끼워 결합되는 원형의 링(24a)이고. 링의 일측은 출입문과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KR1020220109184A 2022-08-30 2022-08-30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KR20240030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84A KR20240030315A (ko) 2022-08-30 2022-08-30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84A KR20240030315A (ko) 2022-08-30 2022-08-30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315A true KR20240030315A (ko) 2024-03-07

Family

ID=9027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184A KR20240030315A (ko) 2022-08-30 2022-08-30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31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2B1 (ko) 2010-03-18 2010-09-14 금재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124980A (ko) 2013-04-17 2014-10-2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20150049869A (ko) 2013-10-31 2015-05-0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200494284Y1 (ko) 2020-11-20 2021-09-09 보농 주식회사 송아지의 출입 통제가 가능한 축사 출입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2B1 (ko) 2010-03-18 2010-09-14 금재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124980A (ko) 2013-04-17 2014-10-2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20150049869A (ko) 2013-10-31 2015-05-0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200494284Y1 (ko) 2020-11-20 2021-09-09 보농 주식회사 송아지의 출입 통제가 가능한 축사 출입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4867B1 (en) Gate assembly, in particular a child safety gate
US4291645A (en) Pet shelter
US9097050B2 (en) Gate assembly
US8505989B2 (en) Latch
US3907345A (en) Dog kennel gate latch
US7520542B1 (en) Childproof gate latch
US9915093B2 (en) Security gate
US4254975A (en) Gate latch apparatus
US4437694A (en) Sliding door with security apparatus
KR101955008B1 (ko) 축사용 도어의 잠금장치
KR20240030315A (ko) 축사 출입문 잠금장치
KR200494284Y1 (ko) 송아지의 출입 통제가 가능한 축사 출입문
KR102409351B1 (ko) 문 잠금장치
FI128656B (fi) Lukitusjärjestelmä, turvalukko ja menetelmä elementin avaamiseksi ja sulkemiseksi
CA2325314C (en) Gate and gate post assembly
US6425612B1 (en) Gravity operated gate latch
JP7183431B2 (ja) ペットの移動制限のための両方向扉開き間隔調節具
AU2017260255B2 (en) Gravity gate latch lockable and unlockable by a padlock from both sides of a gate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048316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US3339955A (en) Gate latch and gate catch arrangement for a hinged gate
US20230392420A1 (en) Fence gate latch
US4890868A (en) Door latch
US11832751B2 (en) Package receiving device
US20220356754A1 (en) Multi-directional opening flap pet d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