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714A -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714A
KR20240029714A KR1020230015729A KR20230015729A KR20240029714A KR 20240029714 A KR20240029714 A KR 20240029714A KR 1020230015729 A KR1020230015729 A KR 1020230015729A KR 20230015729 A KR20230015729 A KR 20230015729A KR 20240029714 A KR20240029714 A KR 2024002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area
gamma voltage
display
gray lev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시백
김성진
양효상
오은정
이승규
이윤규
이혜림
최연우
홍현석
황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EP23193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32954A1/en
Priority to CN202311062497.5A priority patent/CN117636805A/zh
Priority to US18/455,240 priority patent/US20240071277A1/en
Publication of KR2024002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 G09G2360/142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the light being detected by light detection means within each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계조들에서, 제1표시영역 중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제2표시영역 주변의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 및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for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의 편차(deviation) 등으로 화질 특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의 감마 특성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은,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2표시영역 주변의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 및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기 설정된 제1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 단계는,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 특성은 휘도 및 색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 내의 영역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2표시영역의 반경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들의 보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상기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영역이 복수로 지정되고, 복수의 제2영역들의 측정 광 특성들의 평균이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전압 보정 장치는,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고,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2표시영역 주변의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 및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기 설정된 제1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 특성은 휘도 및 색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경 내의 영역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2표시영역의 반경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들의 보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상기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영역이 복수로 지정되고, 복수의 제2영역들의 측정 광 특성들의 평균이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에 의해 표시장치의 감마 특성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보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 중 검사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상 균일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에 "중첩"한다는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표시영역(DA2)은 제1표시영역(DA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표시요소들이 배치되지 않은 일종의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주변영역(PA)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은 제1표시영역(DA1) 내에 하나의 제2표시영역(DA2)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표시장치(1)는 2개 이상의 제2표시영역(DA2)들을 가질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표시영역(DA2)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장치(1)의 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시, 제2표시영역(DA2)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별 형상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장치(1)의 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표시영역(DA1)의 (+y 방향) 상측 중앙에 제2표시영역(DA2)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표시영역(DA2)은 사각형인 제1표시영역(DA1)의 일측, 예컨대 우상측 또는 좌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장치(1)는 제1표시영역(DA1)에 배치된 복수의 제1화소(Pm)들과 제2표시영역(D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화소(Pa)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2표시영역(DA2)에 대응하여 표시패널의 하부에 전자요소인 컴포넌트(40)가 배치될 수 있다. 컴포넌트(40)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등을 이용하는 카메라로서, 촬상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컴포넌트(40)는 태양전지, 플래시(flash), 조도 센서, 근접 센서, 홍채 센서일 수 있다. 또는 컴포넌트(40)는 음향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제2표시영역(DA2)에는 복수의 컴포넌트(4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컴포넌트(40)들은 서로 기능을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컴포넌트(40)들은 카메라(촬상소자), 태양전지, 플래시(flash),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센서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40)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표시영역(DA2)은 컴포넌트(40)로부터 외부로 출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컴포넌트(40)를 향해 진행하는 빛 또는/및 음향 등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영역(T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제2표시영역(DA2)을 통해 광이 투과하도록 할 시, 광 투과율은 약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40% 이상이거나, 25% 이상이거나 50% 이상이거나, 85% 이상이거나, 90% 이상일 수 있다.
제2표시영역(DA2)에는 복수의 제2화소(Pa)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화소(Pa)들은 빛을 방출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표시영역(DA2)은 제1표시영역(DA1)보다 해상도가 낮을 수 있다. 즉, 제2표시영역(DA2)은 빛 및 음향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영역(TA)을 구비하며, 투과영역(TA) 상에 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단위 면적당 배치될 수 있는 제2화소(Pa)들의 수가 제1표시영역(DA1)에 단위 면적당 배치되는 제1화소(Pm)들의 수에 비해 적을 수 있다.
제1화소(Pm)와 제2화소(Pa)는 특정 색으로 발광하는 서브화소일 수 있다. 제1화소(Pm)들은 제1색으로 발광하는 제1서브화소들, 제2색으로 발광하는 제2서브화소들 및 제3색으로 발광하는 제3서브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화소(Pa)들은 제1서브화소들, 제2서브화소들 및 제3서브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서브화소는 적색화소이고, 제2서브화소는 녹색화소이고, 제3서브화소는 청색화소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표시패널(10) 및 표시패널(10)과 중첩 배치된 컴포넌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 상부에는 표시패널(10)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은 제1표시영역(DA1) 및 컴포넌트(40)와 중첩되는 영역인 제2표시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은 기판(100), 기판(100) 상의 표시층(DISL), 터치스크린층(TSL), 광학기능층(OFL) 및 기판(100) 하부에 배치된 패널보호부재(P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ISL)은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회로층(PCL), 표시요소인 발광소자(light emitting element, ED), 및 박막봉지층(TFEL) 또는 밀봉기판(미도시)과 같은 밀봉부재(ENCM)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과 표시층(DISL) 사이, 즉 표시층(DISL) 내에는 절연층(IL, IL')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은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0)은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표시패널(10)의 제1표시영역(DA1)에는 제1화소(Pm)가 배치되고, 제2표시영역(DA2)에는 제2화소(P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화소(Pm)와 제2화소(Pa)는 각각 발광소자(ED)와 발광소자(ED)에 연결된 화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표시영역(DA2)에는 발광소자(ED)가 배치된 영역과 이들 주변의 발광소자(ED)가 배치되지 않는 투과영역(TA)이 배치될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제2표시영역(DA2)에 대응하여 배치된 컴포넌트(40)로부터 방출되는 빛/신호 또는 컴포넌트(40)로 입사되는 빛/신호가 투과(tansmission)되는 영역일 수 있다.
회로층(PCL) 및 표시요소는 박막봉지층(TFEL)으로 커버되거나, 밀봉기판으로 커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박막봉지층(TFEL)은 제1 및 제2무기봉지층(131, 133) 및 이들 사이의 유기봉지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131) 및 제2무기봉지층(133)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xNy),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132)은 폴리머(polymer)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131), 유기봉지층(132) 및 제2무기봉지층(133)은 제1표시영역(DA1) 및 제2표시영역(DA2)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재(ENCM)가 밀봉기판(미도시)인 경우, 밀봉기판은 표시요소를 사이에 두고 기판(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봉기판과 표시요소 사이에는 갭이 존재할 수 있다. 밀봉기판은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과 밀봉기판 사이에는 프릿(frit) 등으로 이루어진 실런트가 배치되며, 실런트는 전술한 주변영역(PA)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영역(PA)에 배치된 실런트는 표시영역(DA)을 둘러싸면서 측면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층(TSL)은 외부의 입력, 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층(TSL)은 터치전극 및 터치전극과 연결된 터치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층(TSL)은 자기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상호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층(TSL)은 박막봉지층(TFEL)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층(TSL)은 터치기판 상에 별도로 형성된 후 광학 투명 접착제(OCA)와 같은 점착층을 통해 박막봉지층(TFEL)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터치스크린층(TSL)은 박막봉지층(TFEL) 바로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착층은 터치스크린층(TSL)과 박막봉지층(TFEL)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광학기능층(OFL)은 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외부에서 표시장치(1)를 향해 입사하는 빛(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기능층(OFL)은 편광 필름일 수 있다. 광학기능층(OFL)은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개구(OFL_OP)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영역(TA)의 광투과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개구(OFL_OP)에는 광투명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와 같은 투명한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기능층(OFL)은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들을 포함하는 필터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기능층(OFL)은 반사방지층 상부에 다층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층 구조는 제1층 및 제1층 상의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 및 제2층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층의 굴절률은 제1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표시패널(10) 상부에는 커버 윈도우(미도시)가 배치되어, 표시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다. 광학기능층(OFL)은 커버 윈도우에 광학 투명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터치스크린층(TSL)에 광학 투명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패널보호부재(PB)는 기판(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기판(100)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재(PB)는 제2표시영역(DA2)에 대응하는 개구(PB_OP)를 구비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재(PB)에 개구(PB_OP)를 구비함으로써, 제2표시영역(DA2)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널보호부재(P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표시영역(DA2)의 면적은 컴포넌트(40)가 배치되는 면적에 비해서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보호부재(PB)에 구비된 개구(PB_OP)의 면적은 제2표시영역(DA2)의 면적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에서, 제2표시영역(DA2)에는 하부금속층(BML)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금속층(BML)은 제2표시영역(DA2)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금속층(BML)은 박막트랜지스터(TFT)와 기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금속층(BML)은 외부 광이 보조 박막트랜지스터(TFT)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금속층(BML)에는 정전압 또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금속층(BML)은 외부 광이 발광소자(ED)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금속층(BML)은 제2표시영역(DA2)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하부-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홀은 다각형, 원형, 또는 비정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 광의 회절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보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 중 검사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감마전압 보정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1)를 대상으로 감마전압 보정장치(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표시장치(1)의 광 특성을 측정하면서 감마 전압들을 보정(조정)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표시장치(1)의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 각각에서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제조 공정상의 편차 등으로 인하여 표시장치의 화질(예를 들어, 정면(Front of Screen) 특성)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제품은 불량으로 판정될 수 있다. 화질이 목표치에 미치지 못하는 완성 제품을 모두 불량으로 판정하여 폐기하면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표시장치의 화질을 목표치에 맞추도록 후보정이 요구된다.
표시장치의 표시 품질 향상을 위한 중요 요소 중 하나로, 감마를 들 수 있다. 감마는 계조(gray level)와 휘도(luminance)의 상관관계로서, 감마 곡선(Gamma Curve)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가 안정된 표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감마 설정이 필요하다. 감마 설정에 오차가 발생하면, 실제 표시되는 휘도(표시 휘도)와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목표 휘도) 간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감마 전압은 감마 곡선에 따라 특정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로 화소가 발광하도록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이다. 감마 전압이 변하면,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변하므로,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 및/또는 색좌표가 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감마 전압이 보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의 감마 전압 보정은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측정부(22) 및 보정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2)는 표시장치(1)의 광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광 특성은 휘도 및/또는 색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2)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 장비일 수 있다.
표시장치(1)는 기 설정된 감마 값에 따라 특정 계조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기초로 생성된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신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계조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은 특정 계조에 대응하는 제1서브화소의 감마 전압, 제2서브화소의 감마 전압 및 제3서브화소의 감마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측정부(22)는 특정 계조로 발광하는 표시영역(DA)의 일부에 대한 광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시영역(DA1) 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및 제2표시영역(DA2)에 대한 광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22)는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2표시영역(DA2) 내의 서브화소들의 광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제1영역(A1)은 표시영역(DA)의 중앙을 중심(O1)으로 하는 거리(R1) 내의 영역일 수 있다. 제2영역(A2)은 제2표시영역(DA2) 주변의 영역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의 중심(O3)은 제1표시영역(DA1) 중 제2표시영역(DA2)의 중심(O2)으로부터 거리(R2) 내의 영역에서 제2표시영역(DA2)을 제외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영역(A2)의 면적은 제2표시영역(DA2)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거리(R2)는 제2표시영역(DA2)의 반경의 2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영역(A2)에서 광 특성이 측정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중심들(O31, O32, O33)을 갖는 복수의 제2영역들(A21, A22, A23)에서 광 특성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표시영역(DA1) 중 제2표시영역(DA2)의 중심(O2)으로부터 거리(R2) 내의 영역에서 제2표시영역(DA2)을 제외한 영역 전체를 제2영역(A2)으로 하여 광 특성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22)는 제2영역(A2)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제1측정부와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는 제2영역(A2)과 제2표시영역(DA2)을 각각 또는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측정부(22)에서 측정된 광 특성(이하, '측정 광 특성'이라 함)과 목표 광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목표 광 특성은 기 설정된 감마 곡선에 따른 각 계조에 대응하는 목표 휘도 및 목표 색좌표일 수 있다. 측정 광 특성은 목표 휘도 및 목표 색좌표에 설정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기초로 생성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표시영역(DA)에 실제 표시되는 각 계조 영상의 계측에 의해 획득된 측정 휘도 및 측정 색좌표일 수 있다.
보정부(26)는 측정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의 차이(이하, '광 특성 차이'라 함)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내가 되도록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마 전압 보정은 감마 전압 보정을 위한 보정 데이터 생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보정 데이터는 기 설정된 감마 곡선에 기초하여 계산된 감마 전압의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해 광 특성 차이를 판단하여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해 광 특성 차이를 판단하여 감마 전압의 보정을 위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측정부(22)로부터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하고,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내인지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감마 전압의 보정을 위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계조는 복수의 계조들 중 선택된 계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계조들은 표시장치(1)에서 이용되는 1의 간격을 갖는 0 계조 내지 255 계조(256개의 계조들) 중 선택된 계조들(예를 들어, 255 계조, 203 계조, 152 계조, 87 계조 등)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정부(26)는 복수의 계조들 각각에 대해 제1표시영역(DA1) 중 제1영역(A1)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기초로 제1표시영역(DA1)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S30). 보정부(26)는 제1표시영역(DA1) 중 제2영역(A2)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 및 제2표시영역(DA2)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기초로 제2표시영역(DA2)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S4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 계조들 중 하나의 기준 계조, 예를 들어 255 계조에서의 감마 전압 보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정부(26)는 측정부(22)로부터 255 계조로 발광하는 표시장치(1)의 표시영역(DA) 중 제1영역(A1)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S302).
보정부(26)는 제1영역(A1)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255 계조에 대한 제1표시영역(DA1)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S304). 보정부(26)는 제1영역(A1)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255 계조에 대한 제1표시영역(DA1)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제1영역(A1)의 측정 광 특성과 기 설정된 목표 광 특성(제1 목표 광 특성)을 비교하고,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영역(A1)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생성된 255 계조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는 제1표시영역(DA1)의 255 계조에 대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일 수 있다.
보정부(26)는 측정부(22)로부터 255 계조로 발광하는 표시장치(1)의 표시영역(DA) 중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S402). 보정부(26)는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제2표시영역(DA2)의 목표 광 특성(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측정부(22)로부터 255 계조로 발광하는 표시장치(1)의 표시영역(DA) 중 제2표시영역(DA2)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S404).
보정부(26)는 제2표시영역(DA2)의 측정 광 특성과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255 계조에 대한 제2표시영역(DA2)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S406). 보정부(26)는 제2표시영역(DA2)의 측정 광 특성과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255 계조에 대한 제2표시영역(DA2)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제2표시영역(DA2)의 측정 광 특성과 제2 목표 광 특성을 비교하고,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광 특성 차이가 기준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전술된 단계 30(S30) 및 단계 40(S40)을 수행하여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한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256개의 계조들 중에서 선택된 n개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해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백색 255 계조로 표시된 제2영역(A2)의 광 특성을 측정하고,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하여 백색 255 계조로 표시된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을 측정하고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백색 203 계조, 백색 152 계조, 백색 87 계조 등에서 각각 제2영역(A2)의 광 특성을 측정하고, 제2영역(A2)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하여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을 측정하고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반복적으로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휘도 및/또는 색 좌표 측면에서 표시장치(1)의 감마 전압을 반복적으로 보정하는 멀티-타임 프로그래밍(Multi-Time Programming; MTP)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MTP 동작은 광 특성 측정 및 감마 전압 보정의 반복적 수행일 수 있다. 측정된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을 보상하거나 보정(조정)할 수 있다. 이후, 보상(또는, 보정)된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의 광 특성을 재측정하고, 재측정된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측정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을 반복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측정 광 특성과 목표 광 특성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감마전압 보정장치(2)의 보정부(26)는 최종적으로 보정된(조정된) 감마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해 MTP 동작을 수행하여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표시영역(DA2)의 감마 전압 보정은 제1표시영역(DA1)의 감마 전압 보정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영역(A1)의 감마 전압 보정 후, 제2영역(A2) 및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 측정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영역(A2) 및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 측정 영상은 제1영역(A1)의 최초 광 특성 측정 영상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영역(A2) 및 제2표시영역(DA2)의 광 특성 측정 영상은 제1영역(A1)의 마지막 광 특성 측정 영상과 동일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들의 보간에 의해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해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보정부(26)는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들의 보간에 의해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해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의 보정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마전압 보정장치(2)는 보정부(26)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수단은 복수회 프로그램 가능한 레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표시영역(DA2) 주변의 제2영역(A2)의 광 특성을 목표 광 특성으로 하여 제2표시영역(DA2)의 감마 전압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표시영역(DA2)과 그 주변의 정면(Front of Screen) 특성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상 균일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들에서 x 축은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축으로, 로그 값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그래프에서 y 축은 제2영역과 제2표시영역의 휘도 차이를 나타내는 축이고, 도 9의 그래프에서 y 축은 제2영역과 제2표시영역의 색 차이를 나타내는 축이다. 도 8 및 도 9에서 그래프들(①)은 비교예에 따른 그래프들로서 시료가 서로 다른 예들이고, 그래프들(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들로서 시료가 서로 다른 예들이다. 비교예는 제2표시영역(DA2)의 MTP 동작을 위한 목표 광 특성이 제1영역(A1)의 MTP 동작을 위한 목표 광 특성과 동일한 경우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②)은 그래프들(①)에 비해 제2영역과 제2표시영역의 휘도 차이 및 색 차이가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②)은 저계조 외에서 기준 그래프(③)보다 제2영역과 제2표시영역의 휘도 차이 및 색 차이가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화소부(11), 게이트구동회로(13), 데이터구동회로(15) 및 컨트롤러(17)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부(11)에는 복수의 화소(PX)들과 복수의 화소(PX)들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신호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부(1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은 제1방향(x방향, 행방향) 및 제2방향(y방향, 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은 스트라이프 배열, 펜타일 배열, 모자이크 배열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 각각은 표시요소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는 화소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신호선들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선(GL)들, 제2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선(DL)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선(GL)들은 제2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고, 게이트신호(GS)를 화소(PX)들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선(DL)들은 제1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고, 데이터신호(DS)를 화소(PX)들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선(GL)들 중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선, 복수의 데이터선(DL)들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하나의 게이트선이 화소(PX)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에 따라 각 화소(PX)는 복수의 게이트선들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회로(13)는 복수의 게이트선(GL)들에 연결되고, 컨트롤러(17)로부터의 제어신호(GCS)에 대응하여 게이트신호(GS)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선(GL)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회로(15)는 복수의 데이터선(DL)들에 연결되고, 컨트롤러(17)로부터의 제어신호(DCS)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DS)를 데이터선(DL)들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5)는 컨트롤러(17)로부터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감마 전압(GV)들 및 영상데이터(DAT2)를 공급받고, 계조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게이트 제어신호(GCS), 및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게이트구동회로(13)로 공급하고,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구동회로(15)로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외부(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데이터(DAT1)를 변환하여 영상데이터(DAT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는 RGB 포맷의 입력 영상데이터(DAT1)를 화소부(11)의 화소 배열에 부합하는 포맷의 영상데이터(DAT2)로 변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계조들에 대응되는 감마 전압들 및 보정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서 데이터구동회로(15) 및 컨트롤러(17)가 상호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회로(15) 및 컨트롤러(17)가 하나의 IC(예를 들어, 구동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무기발광표시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무기EL표시장치), 퀀텀닷발광표시장치(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일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표시장치(1)와 별도의 감마전압 보정장치(2)에 의한 감마전압 보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감마전압 보정장치(2)의 보정부(26)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장치(1)의 IC 내의 컨트롤러(17)에 포함되고, 컨트롤러(17)에서 전술된 감마전압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감마전압 보정장치(2)의 보정부(2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같은 외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장치(1)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자동차의 계기판, 및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또는 대쉬보드에 배치된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룸 미러 디스플레이(room mirror display), 자동차의 뒷좌석용 엔터테인먼트로, 앞좌석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장치
2: 감마전압 보정장치
22: 측정부
26: 보정부

Claims (20)

  1.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2표시영역 주변의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 및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기 설정된 제1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영역의 감마 전압 보정 단계는,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특성은 휘도 및 색좌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내 영역인,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 내의 영역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2표시영역의 반경의 2배 이상인,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들의 보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상기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이 복수로 지정되고,
    복수의 제2영역들의 측정 광 특성들의 평균이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되는, 표시장치의 감마 전압 보정 방법.
  11.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계조들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고,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2표시영역 주변의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 및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1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기 설정된 제1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해 측정된 광 특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2영역의 측정 광 특성을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의 측정 광 특성과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을 기초로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한 상기 기준 계조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특성은 휘도 및 색좌표를 포함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내 영역인,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표시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경 내의 영역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2표시영역의 반경의 2배 이상인,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복수의 기준 계조들 각각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계조들의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들의 보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조들 중 상기 기준 계조들 외의 계조들 각각에 대한 서브화소별 감마 전압을 보정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이 복수로 지정되고,
    복수의 제2영역들의 측정 광 특성들의 평균이 상기 제2 목표 광 특성으로 설정되는, 감마 전압 보정 장치.

KR1020230015729A 2022-08-25 2023-02-06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KR20240029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93025.6A EP4332954A1 (en) 2022-08-25 2023-08-23 Gamma voltage correction device and gamma voltage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CN202311062497.5A CN117636805A (zh) 2022-08-25 2023-08-23 显示装置的伽马电压补正方法及伽马电压补正装置
US18/455,240 US20240071277A1 (en) 2022-08-25 2023-08-24 Gamma voltage correction device and gamma voltage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78 2022-08-25
KR20220107178 2022-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714A true KR20240029714A (ko) 2024-03-06

Family

ID=9023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729A KR20240029714A (ko) 2022-08-25 2023-02-06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4600B2 (en) Display device
US1146215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EP3699899B1 (en) Degradation compens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9730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10146996B2 (en)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compensate luminance based on reflected light
US20140306985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57881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2940680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490710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30207948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WI68343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光學補償方法
US11004386B2 (en) Methods for calibrating correlation between voltage and grayscale value of display panels
US91714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081414A1 (en) Method of chromaticity adjustment of display device
CN112992072A (zh) 显示设备及其控制器的操作方法
US11538441B2 (en) Tiled display and image correction method
US1052928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319351B1 (ko) 적외선 센서모듈의 자동 각도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
US2023001499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240029714A (ko) 표시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EP4332954A1 (en) Gamma voltage correction device and gamma voltage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21002431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475849B1 (en) Display device with reduced scanning time by using separate reference voltage line
CN117636805A (zh) 显示装置的伽马电压补正方法及伽马电压补正装置
US11749229B2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