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385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385A
KR20240029385A KR1020220107747A KR20220107747A KR20240029385A KR 20240029385 A KR20240029385 A KR 20240029385A KR 1020220107747 A KR1020220107747 A KR 1020220107747A KR 20220107747 A KR20220107747 A KR 20220107747A KR 20240029385 A KR20240029385 A KR 2024002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mensional pattern
incident
vehicle lamp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기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385A/en
Publication of KR2024002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3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입체 패턴이 형성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입체 패턴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몸체와, 상기 렌즈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and a lens unit provided to emi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forward, and o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is formed, The lens unit is provided to emit forward when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the lens unit includes a lens body and an incident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ody and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ncident surface may include an incident groove that is concavely formed to allow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enter.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Vehicle lamp{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lamps.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트 램프, 사이드마커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시그널 램프이다. In general,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that have a lighting function to easily identify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when driving at night and a signaling function to inform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vehicle's driving status. For example,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brake lamps, side markers, etc. are signal lamps mainly intended for signaling functions.

이러한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차별성 및 심미성 확보를 위해 시그널 램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해 여러가지 기술이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의 3차원 점등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필름을 적층한 렌티큘러 렌즈, 홀로그램 기술, 광섬유, 베젤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To ensure design differentiation and aesthetics of these vehicle lamps, variou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differentiate the image of signal lamp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lighting image of a vehicle lamp, a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made of laminated films, hologram technology, optical fiber, and a bezel is used.

그런데 종래 기술은 별도의 광원, 렌즈 필름 등의 별도 매개체가 필요하여 원가와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점등 이미지를 구현하여 램프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재료비와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the prior art requires a separate medium such as a separate light source and lens film, which may cause problems of increased cost and number of par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lamps by implementing 3D lighting images while reducing material costs and number of part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특수한 광원, 렌즈,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점등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 lit image without using a separate special light source, lens, film, etc.

또한, 본 발명은 차별화된 다양한 3차원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와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improves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by implementing various differentiate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reduces the cost and number of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입체 패턴이 형성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입체 패턴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몸체와, 상기 렌즈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and a lens unit provided to emi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forward, and o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is formed, the lens unit , When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t is provided to be emitted forward, and the lens unit includes a lens body and an incident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ody and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The incident surface may include an incident groove that is concavely form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enters.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렌즈부의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may be patterned so that a lighting image generated by light emitted in front of the lens unit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상기 입사면은, 상기 렌즈몸체의, 상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면인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몸체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사홈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입사홈 각각은 복수의 상기 광원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e incident surfac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ens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is provid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body.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grooves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상기 렌즈부의 전방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출사 방향이라 하고, 상기 출사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면을 제1 가상면이라 하고, 상기 출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수평하게 연장한 가상의 면을 제2 가상면이라 할 때, 상기 입사홈의, 상기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2 가상면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입사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front of the lens unit is called the emission direction, a virtu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mission direction is called a first virtual surface, and a virtual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is a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emission direction. When is referred to as a second virtual surfa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incident groov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상기 입사홈의, 상기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파트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concavely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lens body. there is.

상기 제2 가상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may be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되는 전방면과, 상기 렌즈몸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몸체로 입사된 광이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방면을 통해 전방으로 출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ens unit includes a front surface formed in front of the lens body and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and a rear surface formed in the rear of the lens body, and the lens unit is configured to allow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to form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t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forward through the front surface in the area where the pattern is formed.

상기 전방면은,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고, 광이 출광되도록 마련되는 출광 영역과, 상기 출광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전반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and may include a light exit area provided to allow light to exit, and a reflection area provided to completely reflect light into areas other than the light exit area.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구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groove portion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구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groove portion that is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s a partial shape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s a partial shape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is horizontal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groove portion that is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s a partial shape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ㅁ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s a partial shape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별도로 특수한 광원, 렌즈,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부 자체에 형성된 입체 패턴에 의해 점등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lighting imag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lens unit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special light source, lens, film, etc.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별화된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 점등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와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cost and number of parts by implementing various types of differentiated three-dimensional lighting imag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면을 통해 렌즈몸체로 입사된 광의 빛 뭉침현상을 최소화하여 입체 패턴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이미지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ormity of a lighting image output through a three-dimensional patter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와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 소실점을 이용한 입체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정면을 도시간 것으로, 입체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렌즈부의 전방면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렌즈부의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렌즈부의 다른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볼록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과 후방면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렌즈몸체가 오목하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광원부가 복수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렌즈부의 내부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로서 렌즈부의 내부에 형성된 입체 패턴의 두께방향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렌즈몸체가 중첩되게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도 12의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로서 복수의 렌즈몸체가 엇갈려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복수의 렌즈몸체가 중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 렌즈몸체에 입사홈이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5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이용한 실험예와 그 비교예의 점등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4와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show the front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using vanishing points.
Figure 3 shows the front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uni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por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to be stepped in a concave shape on the front surfac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lens por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to be stepped in a convex shape on the front surfac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n which the lens body is formed concavely.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Figure 10 show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inside the lens unit.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0 in which three-dimensional patterns formed inside the lens unit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Figure 12 show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provided to overlap.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2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FIG. 14 is a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2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overlapped.
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entrance groove is formed in the lens body.
FIG. 16 shows a lens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5.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lighting images of an experimental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us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shows the sid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cavely in the shape of a sphere on the front surface.
Figure 1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the shape of a partial sphere on the front surface.
Figure 20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cavely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Figure 21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Figure 22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cavely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Figure 23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the luminous intens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Figures 18 to 23.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량용 램프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와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 소실점을 이용한 입체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정면을 도시간 것으로, 입체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렌즈부의 전방면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렌즈부의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렌즈부의 다른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볼록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show the front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using a vanishing point,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showing the front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from the sid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unit, and FIG. 5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to be stepped in a concave shape on the front surface, and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to be stepped in a convex shape on the front surface 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lens part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It is a drawing.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입체 패턴이 전방면과 후방면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렌즈몸체가 오목하게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광원부가 복수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FIG. 8 i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4 with a lens.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ody is formed concavely,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re provided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입체감을 갖는 점등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램프로, 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등 신호 기능을 하는 램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10)에서 입체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p for implementing a lighting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may be, for example, a lamp that functions as a signal, such as a turn signal lamp. However,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used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image in various types of vehicle lamps 10.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10)는 광원부(100)와 렌즈부(200)를 포함한다. 1 to 9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10,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0 and a lens unit 200.

광원부(100)는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고, 발광 가능한 다양한 소자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원(1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provided to irradiate light, and various devices or devices capable of emitting light may be used.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110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110 may be an LED (Light Emitting Diode).

렌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다. The lens unit 200 is provided to emi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forward, and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is formed.

또한 렌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이 입체 패턴(220)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은, 렌즈부(200)의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ens unit 200 is provided to emit forward when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patterned so that the lighting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d in front of the lens unit 200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입체 패턴(220)이 패터닝된 렌즈부(200)에 광을 조사하여 3차원 형상의 점등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로 특수한 광원, 렌즈,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부(200) 자체에 형성된 입체 패턴(220)으로 입체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lighting image by irradiating light to the lens unit 200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patterned. The lens unit (200) is used without using a separate special light source, lens, film, etc. 200)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implemented wit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formed on itself.

광원부(100)에 조사되어 렌즈부(200)로 입사된 광은 렌즈부(200) 내부에서 전반사를 일으키며 진행하다가 입체 패턴(220)에 도달하면 더 이상 전반사되지 않고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방으로 출광될 수 있다. 이때 입체 패턴(220)에 도달한 광은 렌즈부(200)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출광될 수 있다.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incident on the lens unit 200 undergoes total reflection inside the lens unit 200, and when i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t is no longer totally reflected and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is formed. It can be emitted forward from . At this time, the light tha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emitted not only from the front of the lens unit 200 but also from the rear.

렌즈부(200)는 몸체를 이루는 평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렌즈몸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은 렌즈몸체(210)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Th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lens body 210 formed of a flat plate or a curved surface.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patterned into a design that can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lens body 210.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입체 패턴(220)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원에 의해 입체감이 표현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은 동심원 관계를 갖는 제1 동심원(222)과, 제1 동심원(22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동심원(223)과, 제2 동심원(223) 내부에 위치하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원(2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은 제2 동심원(223)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동심원(223)의 두 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곡선부(225)와, 제2 동심원(223)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동심원(223)의 내부를 가로질러 제2 동심원(22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곡선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곡선부(225)는 서로 다른 곡률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곡선부(226)는 제2 동심원(223)의 외측을 향할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입체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패턴(22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입체감을 갖는 디자인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designed to expres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a plurality of circl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Specificall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cludes a first concentric circle 222 having a concentric relationship, a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concentric circle 222, and located inside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but on one s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inner circles 224 that are biased towards.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urved parts 225 located inside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and connecting two points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and extending from a point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urved portions 226 having a shape that extends across the inside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curved parts 225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curvatures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urved parts 226 may be formed to become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as they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223. It can be form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Howeve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design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또한 예를 들어 도 2의 (a)와 도 2의 (b)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하나의 소실점을 갖는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렌즈부(200)로부터 광이 출광되어 생성되는 점등 이미지에 원근감이 부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소실점(Vanishing Point)은 회화나 설계도 등에서 투시하여 물체의 연장선을 그었을 때, 선과 선이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소실점을 이용한 투시 도법은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s 2(a), 2(b), and 3,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designed to have at least one vanishing poi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lens unit 200 It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sense of perspective to the illuminated image genera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re. Vanishing Point refers to the point where lines meet when an extension of an object is drawn through perspective in a painting or blueprint. Perspective drawing using vanishing points is use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n a two-dimensional plane.

본 발명은 렌즈몸체(210)에 이러한 소실점과 투시 도법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입체 패턴(220)을 형성함으로써, 소정 두께의 렌즈부(200)에 형성된 입체 패턴(220)을 통해 점등 시에 점등 이미지가 3차원 형상의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에 도시된 입체 패턴은 5개의 정육면체 각각을 하나의 소실점을 갖는 1점 투시 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입체 패턴은 하나의 정육면체를 3개의 소실점(P1, P2, P3)을 갖는 3점 투시 기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디자인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designed using the vanishing point and the perspective projection method on the lens body 210, thereby creating an image that lights up when turned on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formed on the lens part 200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an be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shown in (a) of FIG. 2 was designed using a one-point perspective technique in which each of five cubes has one vanishing point.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shown in (b) of Figure 2 is three-dimensionally designed using a three-point perspective technique using one cube with three vanishing points (P1, P2, and P3).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비점등시에는 일반 렌즈와 유사하여 입체감이 느껴지지 않지만, 점등시에는 입체 패턴(220)을 통해 출광되는 광에 의해 입체적인 점등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히든 라이팅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a regular lens when not turned on, so no three-dimensional effect is felt, but when turned on, a three-dimensional lighting image can be realized by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hidden lighting lamp.

렌즈부(200)는 렌즈몸체(210)와, 입사면(230)과, 전방면(250)과, 후방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lens body 210, an entrance surface 230, a front surface 250, and a rear surface 240.

렌즈몸체(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평판으로 형성되거나(도 4 참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렌즈몸체(210)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렌즈몸체(21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광을 투사하는 투명한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s body 210 forms the body of the lens unit 200 and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see FIG. 4), or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surface curved forward or backward. It can be formed as (see Figure 8). The lens body 2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glass, etc. However, the material of the lens body 2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projects light.

입사면(230)은 렌즈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광원부(100)로부터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230)은 렌즈몸체(2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면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00)는 입사면(23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렌즈몸체(210)의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110)은 렌즈몸체(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 경우 광원부(100)로부터 렌즈부(200)를 향하여 광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The entrance surface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ody 210, and light can be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For example, the incident surface 23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ens body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be dispos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lens body 21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incident surface 230.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lens body 210 (see FIG. 9). In this case, light can be irradiated evenly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ward the lens unit 200.

전방면(250)은 렌즈몸체(2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면(240)은 렌즈몸체(2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250)은 차량용 램프(10)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전방면(250)을 통해 조사되는 광을 통해 입체적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면(240)은 전방면(25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The front surface 25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lens body 210. And the rear surface 240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lens body 210. The front surface 250 is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vehicle lamp 10, and a three-dimensional lighting image can be formed through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is a surface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250.

여기서 입체 패턴(220)은, 렌즈몸체(210)의 내부와, 전방면(250)과, 후방면(24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ior of the lens body 210,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렌즈부(200)는 렌즈몸체(210)로 입사된 광이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방면(250)을 통해 전방으로 출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부(200)는 광이 전방면(250)과 후방면(240) 중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전반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ens unit 200 may be provided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210 exits forward through the front surface 250 in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Additionally, the lens unit 200 may be provided so that light is totally reflected in areas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among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구체적으로 렌즈부(200)는 전반사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광원부(100)로부터 렌즈부(200)로 입사된 광은 렌즈부(200)의 내부에서 전반사에 의해 반사되면서 진행하다가,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서 더 이상 전반사를 하지 않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출광될 수 있다. 즉 광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출광될 수 있는데, 여기서 후방을 향하는 광은, 후방면(240)을 통해 출광되는 광과, 후방면(240)에서 반사되어 다시 전방을 향하는 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입체 패턴(220)에 도달한 광 중, 전방으로 바로 출광되는 광과, 후방면(240)에서 반사된 후 전방으로 출광되는 광에 의해, 점등 이미지는 이중 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체 효과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ns unit 200 uses the principle of total reflection, a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 the lens unit 200 proceeds while being reflected by total reflection inside the lens unit 200, and then forms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 this formed area, light can be emitted forward or backward without further total reflection. That is, light can be emitted forward or backward, and here, light directed toward the rear can be divided into light emitted through the rear surface 240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rear surface 240 and directed again toward the front. At this time, among the light tha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the light that is emitted directly to the front and the light that is emitted to the front after being reflected by the rear surface 240 may be used to implement a lighting image as a dual image. This can further highligh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다만 점등 이미지는 항상 이중 상을 구현하는 것은 아니고, 렌즈몸체(210)의 두께, 입체 패턴(220)의 형상과 위치 등에 따라 단일 상 또는 이중 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the lit image does not always implement a double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mage or a double image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lens body 210,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etc.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면(250)은 출광 영역과 반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rface 250 may be divided into a light emitting area and a reflecting area.

출광 영역은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고 광이 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영역은 출광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전반사되도록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light exit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and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Additionally, the reflection area may be an area provided so that light is totally reflected into areas other than the light exit are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복수의 단위 패턴(221)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깊이(h)와 폭(w)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and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are formed to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he depth (h) and the width (w). It can be.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소실점에서 멀어질수록 폭(w)과 깊이(h)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단위 패턴(221)들 사이의 간격(d)도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점등 이미지의 원근감과 깊이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w) and depth (h)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vanishing point increases. Also, for example, the spacing 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differently. As a result, the perspective and depth of the lit image can be maximized.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50) 상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in a negative or positive manner on the front surface 250.

입체 패턴(22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렌즈부(200)의 사출 시에 각인하는 방법과, 렌즈부(200)의 사출 후에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부(200)의 사출 시에 각인하는 방법은, 렌즈몸체(210)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 금형에 입체 패턴(220)에 대응되는 패턴을 형성하여, 사출 시에 전방면(250)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하고 부식처리 등을 하여 입체 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 Methods for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clude a method of engraving during inj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a method of forming it through laser processing after injection of the lens unit 200. Specifically, the method of engraving during injection of the lens unit 200 involves form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 an injection mold for molding the lens body 210, and form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on the front surface 250 during injectio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formed by engraving intaglio or embossing and performing corrosion treatment.

그리고 레이저 가공 방법은, 렌즈몸체(210) 사출 후에 전방면(250)에 레이저를 통해 각인하는 방법이다. 이때 레이저의 초점을 조절하여 입체 패턴(22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 시에 각인된 부분에 부식된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입체 패턴(220)이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laser processing method is a method of engraving the front surface 250 with a laser after injection of the lens body 210.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ocus of the laser. Here, during laser processing, a corroded effect may occur in the engraved portion, thereby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도 7을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후방면(240)에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면(240)에 형성된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50)에 형성된 입체 패턴(220)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중첩되게 형성되거나 엇갈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입체 패턴(220)은 후방면(24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in a negative or positive manner on the rear surface 240 as well. Additionall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formed on the rear surface 240 may be formed to overlap or cros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50 when viewed from the front. Additionall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only on the rear surface 240.

입체 패턴(220)을 전방면(250)과 후방면(240) 모두에 패터닝하는 경우, 렌즈몸체(210)의 두께로 인해 전방면(250)과 후방면(240)에서의 점등 위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점등 이미지의 입체감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pattern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on both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lighting positions on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due to the thickness of the lens body 210. This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lit image.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렌즈몸체(210)의 중심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center area of the lens body 210 to the edge area when viewed from the front.

예를 들어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입되거나(도 5 참조),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 경우 복수의 단위 패턴(221)의 깊이 차이와, 점증적인 패턴을 통해 점등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concavely recessed toward the rear toward the center area (see FIG. 5) or may be convexly protruded toward the front (see FIG. 6). In this case, the lighting image can be implemented three-dimensionally through the depth difference of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and the incremental pattern.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렌즈부의 내부에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로서 렌즈부의 내부에 형성된 입체 패턴의 두께방향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to 11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inside the lens unit, and FIG. 11 is a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0, which shows the lens unit. This diagram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s formed inside the thickness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패턴(220')은,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단위 패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 패턴(220')을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깊이를 조절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lens body 210' and has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 may include. By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nside the lens body 210', the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depth.

레이저 가공을 통해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입체 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가공 시에 레이저의 초점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초점이 맺히게 하면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레이저 가공에 의해 부식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몸체(210')의 내부에 입체 패턴(220')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formed inside the lens body 210' through laser processing. Specifically, during laser processing, if the focus position of the laser is adjusted to focus on the inside of the lens body 210',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lens body 210', and at this time, a corrosion effect occurs due to laser processing. You can. As a result,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formed inside the lens body 210'.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렌즈몸체(210')의 전방면(250')으로부터 후방면(240')을 향하는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250' of the lens body 210' toward the rear surface 240'. there is.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렌즈몸체(21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전방면(25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단위 패턴(221')은 렌즈몸체(21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후방면(24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램프의 점등 이미지에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at positions closer to the front surface 250' as they move from the center area of the lens body 210' to the edge area.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may be formed at positions closer to the rear surface 240' as they move from the center area of the lens body 210' to the edge area. This can give a sense of depth to the image of the lamp lighting.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렌즈몸체가 중첩되게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는 도 12의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로서 복수의 렌즈몸체가 엇갈려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변형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복수의 렌즈몸체가 중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ures 12 to 14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provided in an overlapping manner, and FIG. 13 is a modification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2.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vehicle lamp shown in FIG. 12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ens bodies are overlapped. .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몸체(2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렌즈몸체(210'')는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00'')는 복수의 렌즈몸체(210'')를 향하여 개별적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12 to 14, a plurality of lens bodies 2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lens bodies 21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acing forward. there is.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be provided to individually irradiate light toward the plurality of lens bodies 210''.

이에 따라 입체 패턴(220'')에 의한 점등 이미지의 깊이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렌즈몸체(210'') 별로 개별 점등 됨으로써 하나의 차량용 램프(10'')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거나 이미지 변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se of depth of the illuminated image b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more effectively improved. In addition, by individually ligh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 bodies 210'', various images or an image conversion effect can be realized with one vehicle lamp 10''.

예를 들어 도 12을 참조하면 복수의 렌즈몸체(210a, 210b, 210c)는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렌즈몸체들(210a, 210b, 210c) 사이에는 이격될 수도 있고, 접촉될 수도 있다. 렌즈몸체(210a, 210b, 210c)의 두께로 인해 각 렌즈몸체(210a, 210b, 210c)에 형성된 입체 패턴(220'') 사이의 깊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a plurality of lens bodies 210a, 210b, and 210c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is case, the neighboring lens bodies 210a, 210b, and 210c may be spaced apart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a depth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s 220'' formed on each lens body (210a, 210b, 210c) due to the thickness of the lens bodies (210a, 210b, 210c).

또한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복수의 렌즈몸체(210d, 210e, 210f, 210g)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렌즈몸체들(210d, 210e, 210f, 210g)은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4의 A1 영역, A2 영역, A3 영역 참조). 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3 and 14, a plurality of lens bodies 210d, 210e, 210f, and 210g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dditionally, the lens bodies 210d, 210e, 210f, and 210g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arranged so that some areas overlap when viewed from the front (see areas A1, A2, and A3 in FIG. 14).

즉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복수의 렌즈몸체(210d, 210e, 210f, 210g)가 단순히 겹쳐지는 방식이 아닌, 공간 상에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고 일부 영역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입체 패턴(220'')의 의해 구현되는 임체감과, 렌즈몸체들(210d, 210e, 210f, 210g) 사이의 공간감에 의해 구현되는 입체감에 의해 점등 이미지의 입체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plurality of lens bodies 210d, 210e, 210f, and 210g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may not simply overlap, but may be arranged to stagger each other in space and overlap only some areas. 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lighting image can be further improved by the three-dimensional effect realized b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nd the three-dimensional effect realized by the sense of space between the lens bodies 210d, 210e, 210f, and 210g.

한편 입사면(230'')은, 렌즈몸체(2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면인 측면에 형성되고,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하고, 입사면(23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렌즈몸체(210'')의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cident surface 2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ens body 210'', which is a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It includes and may be dispos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lens body 21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incident surface 230''.

도 10를 참조하면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렌즈부(200'')로 안내하는 광 가이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130'')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광 가이드(130'') 내부로 입사한 광을 렌즈부(200'')로 안내할 수 있다. 광 가이드(130'')를 통해 렌즈부(200'')에 고르게 광을 입사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guide 130'' that guides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to the lens unit 200''. The light guide 130'' may guide light incident into the light guide 130'' to the lens unit 200''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Light can be evenly incident on the lens unit 200'' through the light guide 130''.

도 11을 참조하면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110'')과 렌즈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집광렌즈(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집광렌즈(150'')를 통해 광원(110'')으로부터 확산되는 광을 렌즈부(200'')로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er lens 150''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and the lens unit 200''. Through this condenser lens 150'', the light diffused from the light source 110'' can be intensively irradiated to the lens unit 2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별도로 특수한 광원, 렌즈,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부 자체에 형성된 입체 패턴에 의해 점등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lighting imag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lens unit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special light source, lens, film, etc.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별화된 다양한 3차원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와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differentiate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reducing the cost and number of parts.

제4 실시예Embodiment 4

한편 도 15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00’’’)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 렌즈몸체(210’’’)에 입사홈(231''')이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00’’’)를 도시한 것으로, 도 15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이용한 실험예와 그 비교예의 점등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ures 15 and 16 show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shows the front of the lens unit 2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ntrance groove 231''' is formed in the lens body 210'''. It is a drawing, and Figure 16 shows the lens unit 2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ure 15, and Figure 17 shows the lens unit 2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ing images of an experimental example using a vehicle lamp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대비 렌즈부(200’’’)의 입사면(23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erms of the incident surface 230''' of the lens unit 200'''. Accordingly,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of th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difference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용 램프(10)는 광원부(100’’’)와 렌즈부(200’’’)를 포함한다.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0''' and a lens unit 200'''.

광원부(100’’’)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원(1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부(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110'''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110''' may be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렌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다. The lens unit 200''' is provided to emi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forward, and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is formed.

여기서 렌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이 입체 패턴(220’’’)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은, 렌즈부(200’’’)의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Here, the lens unit 200'''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emitted forward when i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patterned so that the lighting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d in front of the lens unit 200'''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또한 렌즈부(200’’’)는 렌즈몸체(210’’’)와, 입사면(230’’’)과, 전방면(250)과, 후방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lens body (210'''), an entrance surface (230'''), a front surface (250), and a rear surface (240).

입사면(230’’’)은 렌즈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광원부(100’’’)로부터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전방면은 렌즈몸체(2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면은 렌즈몸체(2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The entrance surface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ody (210'''), and light can be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he front surface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lens body (210'''). And the rear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lens body (210''').

여기서 입체 패턴(220’’’)은, 렌즈몸체(210’’’)의 내부와, 전방면(250)과, 후방면(24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은 복수의 단위 패턴(221’’’)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lens body 210''', the front surface 250, and the rear surface 240.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221''').

예를 들어 입사면(230’’’)은 렌즈몸체(2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면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고, 렌즈몸체(210’’’)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trance surface 23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lens body 210''', which is a surfac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and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ide of the lens body 210'''.

그리고, 입사면(230''')은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입사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cident surface 230''' may include an incident groove 231''' that is concavely form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incident.

이와 같이 입사면(230''')에 입사홈(231''')이 형성됨으로써, 입사면(230''')을 통해 렌즈몸체(210’’’)로 입사된 광의 빛 뭉침(Hot spot)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 패턴(220’’’)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이미지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incident groove 231''' i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30''',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210'''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30''' becomes a hot spot. ) phenomenon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ormity of the lighting image outpu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시예는 렌즈몸체(210’’’) 측면에 구비된 입사면(230''')과 전방면에 구비된 입체 패턴(220’’’)을 통해 점등이 이루어지므로, 광원부(100''')와, 렌즈부(200’’’)의 입사면(230''') 및 입체 패턴(220’’’) 설계에 따라 패턴의 균일도나 입사면(230''') 빛 뭉침, 광도 등의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minated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2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ens body 210'''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refor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the incident surface 230'''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the uniformity of the pattern or the incident surface 230'' '') It may affect optical performance such as light agglomeration and brightness.

여기서 빛 뭉침(Hot spot) 현상이라 함은 광원(110''')으로 사용되는 LED에 인접한 영역 또는 복수의 LED의 사이 영역이 주변보다 밝거나 어둡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고, 입사면(230''')의 구조에 따라 광의 균일한 반사나 확산, 굴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Here, the hot spot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area adjacent to the LED used as a light source (110''') or the area between a plurality of LEDs appears brighter or darker than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incident surface (230''' ') If uniform reflection, diffusion, or refraction of light is not achiev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light, it may appear severely.

그리고 광원(110''')과 입사면(23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출력 광량과 빛 뭉침 현상이 결정될 수 있고, 이때 출력 광량과 빛 뭉침 현상은 상충(Trade off) 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과 입사면(230''') 사이의 거리를 줄이면 출력 광량은 개선되지만, 빛 뭉침 현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광학계 구조에서 출력 광량을 높이면서 입사면(230''') 부분의 빛 뭉침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And,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10''' and the incident surface 230''', the output light quantity and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may be determined, and in this case, the output light quantity and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may be in a trade-off relationship. there is.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10''' and the incident surface 230''' is reduced, the amount of output light is improved, but light agglomeration may increase. Therefore, a method is needed to eliminate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at the entrance surface 230'''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output light in an optical system structure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입사면(230''')에 입사홈(231''')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LED 등의 광원(110''')으로부터 입사면(230''')으로 입사된 광은 입사홈(231''')으로 수용되어 입사면(230''')의 형상에 따라 굴절되어 렌즈몸체(210’’’) 내부에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홈(231''')을 통해 입사된 광은, 편평하게 형성된 입사면(230''')을 통해 입사된 경우보다, 빛 뭉침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패턴의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forming the incident groove 231''' on the incident surface 230'''. The light incident on the entrance surface 230''' from the light source 110''', such as an LED, is received into the entrance groove 231''' and refra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ntrance surface 230''' to create a lens. It may spread inside the body 210'''. Accordingly,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can be reduced in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groove 231'''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flat entrance surface 230''', thereby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pattern. It can be.

광원부(100''')가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110’’’)은 렌즈몸체(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100’’’)로부터 렌즈부(200’’’)를 향하여 광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When the light source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lens body 210'''. there is. In this case, light can be irradiated evenly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ward the lens unit (200''').

그리고 입사홈(231''')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입사홈(231''') 각각은 복수의 광원(110''')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incident grooves 231'''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grooves 23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0'''.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렌즈부(200’’’)의 전방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출사 방향이라 하고, 출사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면을 제1 가상면이라 하고, 출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수평하게 연장한 가상의 면을 제2 가상면이라 하고, 출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수직하게 연장한 가상의 면을 제3 가상면이라 정의한다. Meanwhi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front of the lens unit 200''' will be referred to as the emission direction, the virtu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mission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virtual surface, and the virtual surface extending in the emission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emission direction. The virtual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ine is defined as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virtual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emission direction is defined as the third virtual surface.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입사홈(231''')의,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제1 경사면(232''')과 제2 경사면(234''')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15 and 16,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231'''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232'''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234'''. It can be formed into a shape.

여기서 제1 경사면(232''')은, 제2 가상면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입사홈(231''')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232''')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234''')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234''' formed symmetrically with 232''').

또한 입사홈(231''')의,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제1 경사면(232''')과 제2 경사면(234''') 사이에 형성되고 렌즈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파트(233''')를 더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trance groove 231'''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4''' and the lens body 210''' )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further includes a curved part 233''' that is concavely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center.

이와 같이 제1 경사면(232''')과 제2 경사면(234''') 및 곡면파트(233''')를 포함하는 입사홈(231''')의 형상에 의해, 광원(110''')으로부터 방사되어 입사홈(231''')으로 입사된 광은 렌즈몸체(210’’’)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the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231''' includ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4''', and the curved part 233''', the light source 110' The light radiated from '') and incident on the entrance groove 231''' may be uniformly diffused into the lens body 210'''.

예를 들어 광원(110''') 즉 LED로부터 생성되는 빛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버시안(Lambertian) 형태의 광 분포를 가지고 방출될 수 있다. 광학에 있어 램버시안 방출이라 함은, 이상적인 광 분산(또는 반사) 표면에서 관찰된 광량 또는 방출된 광의 강도는, 표면과 관찰자 사이의 코싸인 각도에 의해 정비례함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램버트의 코싸인 법칙 (Lambert's cosine law) 으로도 알려져 있다. 램버트의 법칙을 만족하 표면을 램버시안(Lambertian)이라고 한다. For exampl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hat is, an LED, may be emitted with a Lambertian light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16. Lambertian emission in optics means that the amount of light observed or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an ideal light dispersing (or reflecting) surfac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sine angl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observer. This law is also known as Lambert's cosine law. A surface that satisfies Lambert's law is called Lambertian.

상기한 바와 같이 램버시안 방출 형태(Lambertian emission pattern)는 각도에 대한 코사인 함수의 의존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발광면이 편평하다고 가정할 때, 발광면 표면에 수직한 발광일 때, 광세기는 가장 강하고, 발광면 표면에 수직한 가상의 면과 60도 각도를 이룰 때 광세기는 최대값의 반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Lambertian emission pattern has a dependence of the cosine function on the angl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ight-emitting surface is flat, the light intensity is strongest when the light is emitt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surface, and when it forms an angle of 60 degrees with an imaginary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surface, the light intensity is at its maximum value. It can be reduced by half.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상면과 제1 경사면(232''') 사이의 각도(θ)는,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상면과 제2 경사면(234''') 사이의 각도도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θ between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may be formed to be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4''' may be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제1 경사면(232''')의 각도가 30도 미만이면 빛 뭉침 현상을 해소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면 제1 경사면(232''')의 각도가 60도를 초과하면 광 세기가 최대값의 반 이하로 감소되어 출력 광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면(232''') 및 제2 경사면(234''') 각각이 제2 경사면(234''')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인 경우, 빛 뭉침 현상을 개선하여 패턴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적절한 수준의 출력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If the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is less than 30 degrees, it may be difficult to resolve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if the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exceeds 60 degrees, the light intensity is less than the maximum value. This may reduce the amount of light output by less than half. Therefore, when the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4'''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4''' is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is improved to create a pattern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ppropriate level of output light while improving uniformity.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이용한 실험예와 그 비교예의 점등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lighting images of an experimental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us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교예는 입사 면에 입사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15mm 간격으로 광원(110''')을 배치한 것이고, 실험예는 입사면(230''')에 입사홈(231''')을 형성한 상태에서 광원(110''')의 개수와 간격을 조정한 것이다. In the comparative example, light sources 110''' were arranged at 15 mm intervals without an incident groove being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an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an incident groove 231''' wa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30'''. In the formed state,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light sources (110''') are adjusted.

도 17을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에 의할 경우 비교예에 비해 빛 뭉침 현상이 감소되면서 입체 패턴(220’’’) 전체에 균일하게 점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입체 패턴(220''') 전체에 균일한 점등이 이루어지므로, 광원(110''') 간의 간격이 증가시킬 수 있어서 광원(110''')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7, through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xperimental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ntir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was illuminated uniformly. And since the entir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illuminated uniformly,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s 110''' can be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110'''. This can achieve cost savings.

제5 실시예 Example 5

한편 도 18 내지 도 23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가 도시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2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렌즈부의 또 다른 변형 예로, 입체 패턴이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4와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ures 18 to 23 show 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shows the sid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cavely in the shape of a sphere on the front surface, and Figure 19 shows the lens shown in Figure 18. As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of the uni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the shape of a partial sphere on the front surface, and Figure 20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a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cavely in a partial shape, and Figure 21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ure 18, an exampl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a partial shape of a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 and FIG. 22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n FIG. 18,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concave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nd FIG. 23 is shown in FIG. 18.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lens unit shown is an exampl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convexly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nd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the luminous intens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Figures 18 to 23.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대비, 입체 패턴(220'''')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입사면(230'''')은 입사홈(231''', 도 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n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ccordingly,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of th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differenc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entrance surface 230''''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ntrance groove 231'''' (FIG. 15).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렌즈부(200'''')는, 렌즈몸체(210'''')의 전방에 형성되고 입체 패턴(220'''')이 형성되는 전방면(240'''')과 렌즈몸체(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부(200'''')는, 렌즈몸체(210'''')로 입사된 광이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방면(240'''')을 통해 전방으로 출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ens unit 2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lens body 210'''' and has a front surface 240 o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 and a rear surface (240'''') formed at the rear of the lens body (210''''). And the lens unit 200'''' allows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210'''' to pass through the front surface 240'''' in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It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forward.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240'''')은, 출광 영역과 반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출광 영역은 입체 패턴(220'''')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고 광이 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반사 영역은 출광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전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in a negative or positive manner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front surface 240'''' may be divided into a light emitting area and a reflecting area. The light exit area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and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and the reflection area may be provided to allow light to be totally reflected to areas other than the light exit area.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출력 광량을 조정하기 위해 전방면(240'''')에 구비된 입체 패턴(22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입체 패턴(220'''')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한 것이다.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40'''' to adjust the amount of output light. It has been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pecifically,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shown in FIG. 4 into various shapes.

특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같이 광원(110''', 도 15 참조))의 간격을 늘려서 개수를 절감하는 경우 빛 뭉침 현상을 감소하는 반면 출력 광량도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같이 입체 패턴(220'''')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시킴으로써 광량을 보상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light sources (110''', see FIG. 15)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spacing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reducing the light agglomeration phenomenon but also reducing the amount of output light may occur. As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mount of light can be compensat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홈부는 구(Sphere)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1-S1 단면도이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8,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that is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240''''.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prepa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The left drawing of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1-S1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a)은, 전방면(240'''')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위패턴(221a)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a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concavely formed in the shape of a sphere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size and shape of the unit pattern 221a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또한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다른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는 구(Sphere)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9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9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2-S2 단면도이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9,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protrusion may be prepa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The left drawing of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2-S2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b)은, 전방면(240'''')에 구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위패턴(221b)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b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convexly in a partial spherical shape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size and shape of the unit pattern 221b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또한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또 다른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는, 중심축이 렌즈몸체(2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3-S3 단면도이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0,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that is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210''''. The left drawing of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3-S3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c)은, 전방면(240'''')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즉, 수평형 실린더(Horizontal Cylinder)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위패턴(221c)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c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shaped like a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240'''', that is, a horizontal cylinder. It can be formed concavely. The size and shape of the unit pattern 221c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또한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또 다른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는, 중심축이 렌즈몸체(2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4-S4 단면도이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1,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whose central axis is horizontal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210''''. The left drawing of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4-S4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d)은 전방면(240'''')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즉 수평형 실린더(Horizontal Cylinder)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패턴(221d)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d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convex in the shape of a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240'''', that is, a horizontal cylinder. can be formed. The size and shape of each unit pattern 221d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또한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또 다른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는, 중심축이 렌즈몸체(2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2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2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5-S5 단면도이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2,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that is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210''''. The left drawing of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5-S5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e)은, 전방면(24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즉, 수직형 실린더(Vertical Cylinder)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패턴(221e)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e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in the shape of a cylind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240'''', that is, a vertical cylinder. It can be formed concavely. The size and shape of each unit pattern 221e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또한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또 다른 예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220'''')은 전방면(240'''')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는 중심축이 렌즈몸체(2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의 좌측 도면은 렌즈부(200’’’’)와 광원부(100’’’’)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3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S6-S6 단면도이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3,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240''''.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210''''. The left drawing of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6-S6 of the left drawing.

구체적으로 입체 패턴(220'''')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턴(221f)은, 전방명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즉, 수직형 실린더(Vertical Cylinder)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패턴(221f)의 크기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unit pattern 221f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may be formed convexly in the shape of a cylind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that is, a vertical cylinder. The size and shape of each unit pattern 221f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다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패턴(220'''')의 형상은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광량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However,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8 to 23, bu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to adjust to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You can.

한편 도 24는 도 4와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도(luminous intensity)를 나타낸 도면이다. Meanwhile,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luminous intens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Figures 18 to 23.

구체적으로 도 4에는 입체 패턴(220'''')이 전방면(240'''')에 사각 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 예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24는 도 4에 도시된 입체 패턴(220'''')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 광량을 기준으로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입체 패턴(220'''')을 통해 출력되는 광량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Specifically,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concavely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on the front surface 240''''. And FIG. 24 shows the amount of light outpu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s 220'''' shown in FIGS. 18 to 23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outpu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shown in FIG. 4. It represents a ratio.

RF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1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2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3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4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5는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이고, P6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이다. RF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P1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8, P2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9, P3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0, and P4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1. P5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2, and P6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3.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패턴(220'''')의 단위 패턴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P4, 도 21 참조), 입체 패턴(220'''')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경우(RF, 도 4 참조)에 비해, 광량이 15%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when the unit pattern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formed convexly in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e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4, see Figure 21),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s squa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light was improved by more than 15%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was formed concavely in a pillar shape (RF, see FIG. 4).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이용하면, 차량용 램프(10'''')의 설계 사양과, 점등 이미지 및 각 입체 패턴(220'''') 형상에 따른 광도를 고려하여, 출력 광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Therefore, using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light amount is adjusted by considering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vehicle lamp 10'''', the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lighting image and the shape of each three-dimensional pattern 220''''. 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별도로 특수한 광원, 렌즈,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부 자체에 형성된 입체 패턴에 의해 점등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lighting imag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lens unit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special light source, lens, film, etc.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별화된 다양한 3차원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와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differentiate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reducing the cost and number of part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cognize the patent claims as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0',10'',10''',10'''': 차량용 램프
100,100',100'',100''',100'''': 광원부
110,110',110'',110''',110'''': 광원
130: 광 가이드
150: 집광렌즈
200,200',200'',200''',200'''': 렌즈부
210,210',210'',210''',210'''': 렌즈몸체
220,220',220'',220''',220'''': 입체 패턴
221,221',221'',221''', 221a, 221b, 221c, 221d, 221e, 221f: 단위 패턴
222: 제1 동심원
223: 제2 동심원
224: 내부원
225: 제1 곡선부
226: 제2 곡선부
230,230',230'',230''',230'''': 입사면
231''': 입사홈
232''': 제1 경사면
233''': 곡면파트
234''': 제2 경사면
240,240',240'',240'''': 후방면
250,250',250'',250'''': 전방면
10,10',10'',10''',10'''': Vehicle lamp
100,100',100'',100''',100'''': Light source part
110,110',110'',110''',110'''': Light source
130: light guide
150: condenser lens
200,200',200'',200''',200'''': Lens section
210,210',210'',210''',210'''': Lens body
220,220',220'',220''',220'''': three-dimensional pattern
221,221',221'',221''', 221a, 221b, 221c, 221d, 221e, 221f: Unit pattern
222: First concentric circle
223: Second concentric circle
224: Naeewon
225: first curved portion
226: second curved part
230,230',230'',230''',230'''': Entrance surface
231''': Joining Home
232''': first slope
233''': Curved part
234''': second slope
240,240',240'',240'''': Rear side
250,250',250'',250'''': Front side

Claims (14)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입체 패턴이 형성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입체 패턴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몸체; 및
상기 렌즈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Light source unit; and
A lens unit provided to emit forwar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formed thereon,
The lens unit is provided to emit forward when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reache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The lens unit,
Lens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ody and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The incident surface is,
A vehicle lamp including an incident groove that is concavely formed to allow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e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렌즈부의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입체적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패터닝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a vehicle lamp in which the lighting image generated by light emitted in front of the lens unit is patterned to be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렌즈몸체의, 상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면인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몸체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사홈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입사홈 각각은 복수의 상기 광원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cident surfac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ens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is provided to face a side of the lens body,
A vehicle lamp wherein the plurality of incident groove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grooves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출사 방향이라 하고, 상기 출사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면을 제1 가상면이라 하고, 상기 출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수평하게 연장한 가상의 면을 제2 가상면이라 할 때,
상기 입사홈의, 상기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2 가상면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입사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front of the lens unit is called the emission direction, a virtu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mission direction is called a first virtual surface, and a virtual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is a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emission direction. When is called the second virtual surfa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i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plane; and
A vehicle lamp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cident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홈의, 상기 제1 가상면 상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파트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cident groove on the first virtual surface is,
A vehicle lamp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further comprising a curved part concavely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lens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virtual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A vehicle lamp formed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6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되는 전방면; 및
상기 렌즈몸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몸체로 입사된 광이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방면을 통해 전방으로 출광되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ns unit,
a front surface formed in front of the lens body and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and
It includes a rear surface formed at the rear of the lens body,
The lens unit is a vehicle lamp provided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lens body exits forward through the front surface in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은,
상기 입체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고, 광이 출광되도록 마련되는 출광 영역; 및
상기 출광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전반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front surface is,
a light exit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and provided to emit light; and
A vehicle lamp including a reflection area provided to completely reflect light into an area other than the light exit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구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groove portion engraved on the front surface,
A vehicle lamp wherein the groove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구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A vehicle lamp wherein the protrus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hape of a sphe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vehicle lamp in which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rtion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The protrusion is a vehicle lamp formed in the shape of a portion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is horizontal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groove portion is a vehicle lamp formed in the shape of a portion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전방면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중심축이 상기 렌즈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원통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front surface,
A vehicle lamp i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rtion of a cylinder whose central axis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KR1020220107747A 2022-08-26 2022-08-26 Lamp for vehicle KR202400293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747A KR20240029385A (en) 2022-08-26 2022-08-26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747A KR20240029385A (en) 2022-08-26 2022-08-26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385A true KR20240029385A (en) 2024-03-05

Family

ID=9029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747A KR20240029385A (en) 2022-08-26 2022-08-26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3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990B2 (en) Vehicle light
US8109664B2 (en) Vehicle lighting equipment
US10288244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WO2013154127A1 (en) Vehicle highmount stoplamp
JP2014038733A (en) Lamp for vehicle
US20150023039A1 (en) Vehicle lamp
US10612743B2 (en) Vehicle lamp
JP6829973B2 (en) Lamp unit
JP2004103503A (en) Light guide body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light guide body
CN112178585A (en) Thick-walled optical system capable of avoiding visible angle patterns of outer lens
US20160069526A1 (en) Optical waveguide with a reflective pattern for propogating a light beam
JP7148042B2 (en) vehicle lamp
WO2022198721A1 (en) Vehicle lamp optical assembly, illumination optical device, and vehicle
JP5708991B2 (en) Vehicle lamp and light guide lens used in vehicle lamp
KR20240029385A (en) Lamp for vehicle
KR101486818B1 (en) Lamp for vehicle
KR20230066947A (en) Lamp for vehicle
CN110500556B (en) Light guide for a lamp, lamp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08916805B (en) Car light lens
KR101987295B1 (en) Lamp for vehicle
JP2012243678A (en) Lamp
WO2020173074A1 (en) Reflector for use in vehicle lamp module
CN112443808A (en) Adaptive head lamp
WO2024120737A1 (en) Optical module,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and motor vehicle
JP6920015B2 (en) Vehicle l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