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072A -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072A
KR20240029072A KR1020247003945A KR20247003945A KR20240029072A KR 20240029072 A KR20240029072 A KR 20240029072A KR 1020247003945 A KR1020247003945 A KR 1020247003945A KR 20247003945 A KR20247003945 A KR 20247003945A KR 20240029072 A KR20240029072 A KR 2024002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unit
driving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화 종
롱 왕
커 양
Original Assignee
항저우 더블유나이프 메디컬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921262.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616312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921264.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644898A/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더블유나이프 메디컬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항저우 더블유나이프 메디컬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2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H03K3/5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the switching device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7Adjustment of width or dutycycle of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을 제공하였다.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구동 회로와 펄스 발생 회로를 포함하되, 구동 회로는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며; 펄스 발생 회로는 제1 전원, 제2 전원, 제1 펄스 발생 모듈과 제2 펄스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제1 펄스 발생 모듈은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며, 제2 펄스 발생 모듈은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폭이 상이한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복합 펄스를 부하에 인가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CN202110921262.1이고, 발명의 명칭이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시스템 및 발생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과 출원 번호가 CN202110921264.0이고, 발명의 명칭이 "구동 회로, 구동 방법 및 펄스 발생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펄스 발생과 의료 기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스 전력 기술은 천천히 저장된 비교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는 에너지를 빠르게 압축, 변환 또는 부하로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전기 물리적 기술이다. 근래에 들어서, 펄스 전력 기술이 의료, 환경 과학, 플라즈마 과학, 식품 처리, 전자기 겸용 검출과 생체공학 등 분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면서, 펄스 발생기에 대한 요구도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종래의 펄스 발생 장치는 구조가 비교적으로 복잡하고, 통상적으로 특정 폭의 펄스 신호만을 발생하므로, 펄스 기술의 복잡한 적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의 적어도 일면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폭 범위의 펄스의 발생과 더 많은 펄스 조합의 형성을 위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측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위 기기의 제어에 의해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상기 상위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구동 회로;
제1 전원, 상기 제1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펄스 발생 모듈, 제2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펄스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펄스 발생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은 상기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은 상기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펄스의 폭이 상기 제1 펄스의 폭보다 작은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였다.
제2 측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에 있어서, 상기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상위 기기; 및
본 출원의 제1 측에 따르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를 제공하였다.
제3 측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제1 측에 따르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펄스 발생 모듈이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2 펄스 발생 모듈이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구동 회로가 상위 기기에서 발송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회로가 상위 기기에서 발송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며; 및
제1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폭이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폭보다 작은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은, 구동 회로를 통해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각각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펄스 발생 회로가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폭이 서로 상이한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복합 펄스 신호를 부하에 인가하는 목적을 구현하게 되며, 부하가 종양 세포인 것을 예로 하여, 복합 펄스의 작용이 종양 세포에 대한 절제 효과의 향상에 유리해 진다.
본 출원의 추가 측면과 장점은 아래의 설명에 의해 일부 제시되며, 이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 지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상술 및/또는 추가 측면과 장점은 아래에서 도면과 결합하여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와 상위 기기 및 부하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다른 하나의 펄스 발생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출력 모듈과 부하의 접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또 다른 하나의 펄스 발생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또 다른 하나의 펄스 발생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펄스 발생 회로의 충전 상태에서의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펄스 발생 회로의 방전 상태에서의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구동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가 회로 기판에서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가 회로 기판에서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서 차폐 구조를 설치하기 전에 생성된 하나의 펄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차폐 구조를 설치한 후 생성된 하나의 펄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서, S2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서, S3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구동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구동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출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의해 도시되며,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표시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도시된 본 출원의 특징에 대해 불필요할 경우,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뿐,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은,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용어와 과학적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인 사전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용어들은 종래의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은,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단일 형식인 "일", "하나", "상기"와 "해당"은 복수의 형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은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소자 및/또는 조립체의 존재를 의미하며,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기타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소자, 조립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근래에 들어서, 펄스 전력 기술이 의료, 환경 과학, 플라즈마 과학, 식품 처리, 전자기 겸용 검출과 생체공학 등 분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면서, 펄스 발생기에 대한 요구도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의학 분야를 예로 하면, 본 출원의 출원인은 전기 절제 기술을 사용하여 종양 세포를 절제할 경우, 일부 상황에서 단일 펄스보다는 여러 종류의 상이한 폭의 펄스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우수한 절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가 종양 세포에 작용할 경우, 비교적으로 큰 절제 면적을 구비하지만, 종양 세포, 특히 변이가 비교적으로 높은 악성 종양 세포에 대해서는 절제율이 비교적으로 낮으며, 나노 세컨드 펄스가 종양 세포에 작용할 경우, 비교적으로 높은 절제율을 구비하지만, 절제 면적이 비교적으로 작다.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와 나노 세컨드 펄스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종양 세포의 절제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나노 세컨드 펄스가 유도하는 가역성 전기 천공을 이용하여 종양 세포를 절제하는 것 외에도, 나노 세컨드 펄스가 유도하는 불가역성 전기 천공의 존속 기간에, 마이크로 세컨드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를 함께 인가함으로써, 세포막의 천공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세컨드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의 전기장이 세포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세포 사멸을 추가로 유도한다. 이로써 단일적인 나노 세컨드 펄스,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에 비해, 더 우수한 절제 효과를 얻는다.
복합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대응되는 펄스 발생 장치가 필요하다. 전통적인 펄스 발생 장치는 구조가 비교적으로 복잡하고, 통상적으로 특정 폭의 펄스 신호만을 발생하므로, 펄스 기술의 복잡한 적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은, 상술한 과제 중의 적어도 일 측면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 및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위 기기(1)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였으며, 설명의 편의 상,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시너지 펄스 또는 복합 펄스라고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구동 회로(2)와 구동 회로(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펄스 발생 회로(3)를 포함하며, 구동 회로(2)는 상위 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회로(2)는 상위 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도록 배치된다.
펄스 발생 회로(3)는 제1 전원, 제1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제2 전원 및 제2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을 포함하며;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은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은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원의 전압은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제2 펄스의 폭은 제1 펄스의 폭보다 작으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과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은 상이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과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 상이하다는 것은,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은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은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가 동시에 형성되지 않아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구동 회로(2)를 통해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각각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펄스 발생 회로(3)가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폭이 서로 상이한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복합 펄스 신호를 부하(4)에 인가하는 목적을 구현하게 된다. 부하(4)가 종양 세포인 것을 예로 하여, 복합 펄스의 작용은 종양 세포에 대한 절제 효과의 향상에 유리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펄스 신호는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 신호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 신호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펄스 신호는 나노 세컨드 펄스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펄스 발생 회로(3)는 제1 누전 모듈(5)과 제2 누전 모듈(6)을 포함한다. 제1 누전 모듈(5)은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어스를 온 시켜,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제2 누전 모듈(6)은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어스를 온 시켜, 제2 펄스 발생 모듈(32)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누전 모듈(5)은 제1 릴레이이고, 제2 누전 모듈(6)은 제2 릴레이며, 제1 릴레이는 제1 누전 신호를 수신할 경우 온 되어,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어스가 온 되도록 하여,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중의 잔여 전하량이 어스에 대해 방출되도록 하며, 동일하게, 제2 펄스 발생 모듈(32) 중의 잔여 전하량도 어스에 대해 방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1 누전 신호와 제2 누전 신호는 릴레이가 수동적으로 건드려져 온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등을 통해 릴레이의 온을 구현할 수도 있다. 대체적으로, 누전 모듈은 기타 스위치 작용을 할 수 있는 소자,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버튼형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 동작은 통상적으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의 작업 정지 시에 수행되어,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 중 잔여 전하량에 의해 다음에 가동 시 불량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에 의해 전원 오프 기간에 감전을 일으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가동 시에도 누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중 잔여 전하량에 의해 가동 시 불량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펄스 발생 회로(3)는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트리거 명령의 제어에 의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부하(4)에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출력 모듈(7)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는 의학적 치료 또는 의학적 및 생물학적 실험에 적용될 경우, 부하(4)는 생명체의 어느 위치, 예를 들어 암 횐자의 암 발병 위치일 수 있고, 체외의 조직, 기관, 세포군 등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출력 모듈(7)을 통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제어하여 부하(4)에 인가시킴으로써, 펄스가 부하(4)에 작용하는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여, 펄스 작용 효과를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출력 모듈(7)은 트리거 유닛(71)과 트리거 유닛(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72)을 포함하되, 트리거 유닛(71)은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32)은 부하(4)와 접촉되며; 트리거 유닛(71)은 트리거 명령에 의해 트리거링될 경우 온 되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전극(72)으로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모듈(7)은 트리거 유닛(71)과 연관되는 트리거 스위치(73)를 더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가 의료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절제 기기에 적용될 경우, 트리거 스위치(73)는 풋 스위치일 수 있고, 트리러 유닛(71)은 릴레이일 수 있으며, 풋 스위치가 트리거링될 경우, 해당 트리거링 동작이 바로 트리거 명령이며, 이에 의해 트리거 유닛(71, 즉 해당 릴레이)은 해당 트리거 명령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온 되어, 제 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전극(72)으로 출력되어, 전극(72)과 접촉되는 부하(4)에 작용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모듈(7)은 단일 채널 신호를 멀티 채널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멀티 채널 변환 유닛(74)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전극(72)은 2 채널의 동일한 신호가 필요하다. 멀티 채널 신호 변환 유닛(74)은 확장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느 사용 조건에서는, 한 쌍의 전극(72)을 사용하면 되고, 다른 일부 상황에서는, 사용이 필요할 경우 다 쌍의 전극(74)의 신호 수요에 만족할 수 있도록 4 채널, 6 채널 나아가 더 많은 멀티 채널 변환 유닛(74)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펄스 발생 회로(3)는 저항(8)과 모니터링 모듈(9)을 더 포함하되, 저항(8)은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제2 펄스 발생 모듈(32) 및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저항(8)에도 인가되며; 모니터링 모듈(9)은 제1 모니터링 유닛(91)과 제2 모니터링 유닛(92)을 포함하며, 제1 모니터링 유닛(91)은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한 전류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되고, 제2 모니터링 유닛(92)은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저항(8)에 인가한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그 중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만을 사용하여, 시너지 펄스 신호의 출력 전압 또는 전류 중의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 유닛(91)만을 사용하며, 여기서 제1 모니터링 유닛(91)은 전압 센서 또는 전류 센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니터링 유닛(91)은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모니터링 유닛(92)도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항(8)이 위치하는 분기 회로와 부하(4)가 위치하는 분기 회로는 병렬 연결되므로, 저항(8)과 부하(4)는 동일한 펄스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게 되고, 모니터링 모듈(9)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저항(8)에 인가한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과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한 전류에 대한 모니터링도 동기적으로 수행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니터링 유닛(91)은 제1 피어슨 코일을 포함하고, 제2 모니터링 유닛(92)은 제2 피어슨 코일을 포함하며, 제1 피어슨 코일은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하는 전류를 감지하도록 배치되고, 제2 피어슨 코일은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저항(8)에 인가한 전압을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한 전류와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을 구현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일정한 파라미터를 가지는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였으며, 해당 펄스를 상술한 저항(8)에 인가하여, 대응되는 전류와 전압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2개의 피어슨 코일도 대응되는 전류와 전압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2개의 피어슨 코일의 감지 결과가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의 파라미터에 부합될 경우, 이 때의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가 정상적인 작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술한 2개의 피어슨 코일의 감지 결과가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의 파라미터를 벗어날 경우,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가 비정상적인 작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가 즉시 고장을 발견하고 대응 조치를 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가 의학적 분야에 적용될 경우, 즉 펄스 치료 기기에 적용될 경우, 모니터링 모듈(9)이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제1 펄스 및/또는 제2 펄스가 정상인지 여부를 즉시 판단하여, 부하(4) 상의 출력과 설정된 출력 파라미터가 서로 협조하도록 보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서, 펄스 발생 회로(3)는 제1 전원(U1), 제1 전원(U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제2 전원(U2) 및 제2 전원(U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은 n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을 포함하며,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은 제1 전원(U1)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1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고,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x개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n은 n≥1인 정수이고, x는 1≤x≤n인 정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은 m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을 포함하며,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은 제2 전원(U2)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2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y개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며, m은 m≥1인 정수이고, y는 1≤y≤m인 정수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속의 실시예에서, 제1 전원(U1)의 전압은 제1 전압으로 칭하고, 제2 전원(U2)의 전압은 제2 전압으로 칭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x개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은 모두 제1 전압으로 방전하지만, 실제로 펄스 발생 회로(3) 중 각 소자의 등가 임피던스 등 요소의 영향으로 인해,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의 방전 전압은 제1 전압보다 다소 낮게 된다. 그러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의 실제 방전 전압과 제1 전압의 차이가 통상적으로 매우 작으므로,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의 방전 과정에서, 부하(4)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의 전압을 제1 전압의 x배와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의 방전 과정에서, 부하(4)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의 전압을 제2 전압의 y배와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속의 실시예에서, 제1 펄스 발생 유닛(311)과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이 방전 시의 실제 전압값에 대해 해석과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제1 전압과 제2 전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설명에 의해, 동시에 방전하는 제1 펄스 발생 유닛(311) 및 동시에 방전하는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의 수량에 대해 설정함으로써, 제1 펄스 신호의 전압 및 제2 펄스 신호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에서, 전원 전압과 실제 방전 전압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생성된 펄스 신호의 전압을 더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상이한 펄스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펄스 조합은 다수 개의 제1 펄스 세트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펄스 세트 사이는 시간(t1) 간격을 두고, 각각의 제1 펄스 세트는 a개의 제1 펄스 신호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펄스 신호 사이는 시간(t2) 간격을 둔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펄스 조합은 다수 개의 제2 펄스 세트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2 펄스 세트 사이는 시간(t3) 간격을 두고, 각각의 제2 펄스 세트는 b개의 제1 펄스 신호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2 펄스 신호 사이는 시간(t4) 간격을 둔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펄스 조합은 다수 개의 제1 펄스 신호와 다수 개의 제2 펄스 신호를 포함하며,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가 교대로 부하(4)에 인가될 수 있고, 모든 제1 펄스 신호가 부하(4)에 인가된 후 제2 펄스 신호가 다시 부하(4)에 인가되거나, 또는 모든 제2 펄스 신호가 부하(4)에 인가된 후 제2 펄스 신호가 다시 부하(4)에 인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 펄스 신호가 다수 개의 제1 펄스 세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제2 펄스 신호가 다수 개의 제2 펄스 세트를 형성하고, 제1 펄스 세트와 제2 펄스 세트가 교대로 부하(4)에 인가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수 개의 실시예에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중 펄스 발생 회로(2)의 선택 가능한 프레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중의 각 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의 구조 및 각 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의 연결 관계, 제2 펄스 발생 모듈(32) 중의 각 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의 구조 및 각 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의 연결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 중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은 제1 저장 유닛(3111), 제1 스위치 유닛(3112) 및 제1 차단 유닛(3113)를 포함하고,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은 제2 저장 유닛(3211), 제2 스위치 유닛(3212) 및 제2 차단 유닛(321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유닛(3112)은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온 되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한 제1 스위치 유닛(3112)과 동급인 각각의 제1 저장 유닛(3111)이 직렬 연결되어 방전되어,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1 차단 유닛(3113)은 전류가 제1 전원(U1)에서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으로만 유동, 또는 본 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에서 다음 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유닛(3212)은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온 되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한 제2 스위치 유닛(3212)과 동급인 각각의 제2 저장 유닛(3211)이 직렬 연결되어 방전되어,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2 차단 유닛(3213)은 전류가 제2 전원(U2)에서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으로만 유동, 또는 본 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에서 다음 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급의 제1 저장 유닛(3111)의 양단은 각각 제1 전원(U1)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급의 제1 스위치 유닛(3112)의 제어단은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각 급의 제1 스위치 유닛(3112)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본 급의 제1 저장 유닛(3111)의 제1 단 및 다음 급의 제1 저장 유닛(3111)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급의 제2 저장 유닛(3211)의 양단은 각각 제2 전원(U2)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급의 제2 스위치 유닛(3212)의 제어단은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각 급의 제2 스위치 유닛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본 급의 제2 저장 유닛(3211)의 제1 단 및 다음 급의 제2 저장 유닛(3211)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 유닛(3111)은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제2 저장 유닛(3211)은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 유닛(3112)은 제1 고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제2 스위치 유닛(3212)은 제2 고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한다. 제1 차단 유닛(3113)은 제1 차단 소자와 제2 차단 소자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유닛(3213)은 제3 차단 소자와 제4 차단 소자를 포함한다. 제1 차단 소자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소자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3 차단 소자는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4 차단 소자는 제4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커패시터를 저장 유닛으로 하고, 고체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 유닛으로 하며, 다이오드를 차단 소자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체 스위치 소자는 산화막 반도체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절연 게이트 쌍극성 트랜지스터(IGBT) 또는 트리오드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발생 회로(3)에서,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은 4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을 포함하고,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은 4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을 포함하며, 즉 n과 m이 모두 4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는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한 것이며,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중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의 등급 수 및 제2 펄스 발생 모듈(32) 중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의 등급 수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급 내지 제 4급의 제1 스위치 유닛(3112), 즉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1 고체 스위치 소자는 각각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이다.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1 저장 유닛은 각각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이고;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1 차단 소자는 각각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2), 다이오드(D1-3) 및다이오드(D1-4)이고;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2 차단 소자는 각각 다이오드(D2-1), 다이오드(D2-2), 다이오드(D2-3) 및다이오드(D2-4)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급 내지 제 4급의 제2 스위치 유닛(3212), 즉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2 트리오드는 각각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이고;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2 저장 유닛(3211)은 각각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이고;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3 차단 소자는 각각 다이오드(D3-1), 다이오드(D3-2), 다이오드(D3-3) 및다이오드(D3-4)이고; 제1 급 내지 제4 급의 제4 차단 소자는 각각 다이오드(D4-1), 다이오드(D4-2), 다이오드(D4-3) 및다이오드(D4-4)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U1)과 제2 전원(U2)은 모두 전압원이며,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자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는 모두 턴 오프 상태에 있고,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2), 다이오드(D1-3) 및다이오드(D1-4), 다이오드(D2-1), 다이오드(D2-2), 다이오드(D2-3) 및다이오드(D2-4)는 모두 단일 방향 브레이크 오버 기능을 구비하므로,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병렬 연결 관계이고 모두 제1 전원(U1)의 제1 단과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모두 제1 전원(U1)의 양극과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이 완료되면,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 양단의 전위차는 모두 제1 전압이다.
유사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가 모두 제4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병렬 연결 관계이고 모두 제2 전원(U2)의 제1 단과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모두 제2 전원(U2)의 양극과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이 완료되면,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 양단의 전위차는 모두 제2 전압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가 모두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는 모두 브레이크 오버 상태에 있으며,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2), 다이오드(D1-3) 및다이오드(D1-4), 다이오드(D2-1), 다이오드(D2-2), 다이오드(D2-3) 및다이오드(D2-4)가 단일 방향 브레이크 오버 기능을 구비하므로,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직렬 연결 관계이고,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동시에 방전되고, 방전 전압은 모두 제1 전압이므로, 형성된 제1 펄스 신호의 전압은 제1 전압의 4배이다.
동일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가 모두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는 모두 브레이크 오버 상태에 있으며,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직렬 연결 관계이고,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동시에 방전되고, 방전 전압이 모두 제2 전압이므로, 형성된 제2 펄스 신호의 전압은 제2 전압의 4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펄스 발생 장치에서, 구동 회로(2)는 전기-광 변환 모듈(21), 신호 처리 모듈(23) 및 전기-광 변환 모듈(21)과 신호 처리 모듈(23)과 각각 연결되는 광섬유(22)를 포함하며, 여기서, 전기-광 변환 모듈(21)은 상위 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처리 모듈(23)은 펄스 발생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광 변환 모듈(21)은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며, 제1 구동 광 신호와 제2 구동 광 신호를 광섬유(22)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23)로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신호 처리 모듈(23)은 제1 구동 광 신호와 제2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구동 광 신호를 제1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제2 구동 광 신호를 제2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제1 구동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고, 제2 구동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제2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며,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를 펄스 발생 회로(3)로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는 제어 신호를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광 신호를 다시 광-전기 변환 및 처리하여 구동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전기가 약한 부분과 전기가 강한 펄스 발생 회로(3)가 이격될 수 있어, 펄스 발생 회로(3)가 전기가 약한 부분에 대한 전자기 간섭을 낮추어, 구동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펄스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7를 참조하면, 전기-광 변환 모듈(21)은 캐시 유닛(211), 제1 신호 확대 유닛(212)과 제1 변환 유닛(213)을 포함한다. 캐시 유닛(211)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캐싱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시 유닛(211)은 멀티 채널 캐시일 수 있으며, 멀티 채널 캐시는 k개의 신호 캐시 통로(2111)를 포함하되, 각각의 신호 캐시 통로(2111)는 단일 채널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k는 k≥1인 정수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멀티 채널 캐시는 74LVC245 모델의 8 채널 캐시일 수 있으며, 물론 구체적인 실시 수요에 따라 기타 모델, 기타 신호 캐시 통로(2111) 수량의 캐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k개의 신호 캐시 통로(2111)는 제어 신호를 모두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아니며, 그 중의 일부 신호 캐시 통로(2111)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후속의 다수 개의 유닛의 처리에 의해 구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확대 유닛(212)은 캐시 유닛(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싱된 제어 신호를 확대 처리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확대 유닛(212)은 k개의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은 하나의 신호 캐시 통로(2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은 대응되는 신호 캐시 통로(2111)에 의해 저장된 제어 신호를 확대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대응되는 신호 캐시 통로(2111)"는 해당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캐시 통로(2111)를 의미하며, 후속의 실시예에서의 대응도 양자 사이에 전기적 연결 또는 통신적 연결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후속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환 유닛(213)은 제1 신호 확대 유닛(212)과 광섬유(2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확대 처리된 제어에 대해 전기-광 변환을 수행하여 구동 광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고, 광섬유(22)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23)로 발송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환 유닛(213)은 광 신호 발사기이며, 광 신호 발사기는 k개의 전기-광 변환 통로(2311)을 포함하되, 각각의 전기-광 변환 통로(2311)는 하나의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광 변환 통로(2311)는 대응되는 제1 확대 서브 유닛(2121)에 의해 확대 처리된 제어 신호를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광 신호를 광섬유(22)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23)로 전송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광 신호 발사기는 광섬유 발사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에서, 상술한 전기-광 변환 모듈(21)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먼저 캐싱함으로써, 구동 회로(2)의 전송 속도의 향상에 유리하며, 다음으로 제어 신호를 확대 처리함으로써, 제어 신호가 증가되어 전자기 간섭이 제어 신호에 대한 영향을 감소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에서, 신호 처리 모듈(23)은 제2 변환 유닛(231)과 제2 신호 확대 유닛(232)을 포함한다.
제2 변환 유닛(231)은 광섬유(22)와 연결되며,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 광 신호를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변환 유닛(231)은 광 신호 수신기이며, 광 신호 수신기는 k개의 광-전기 변환 통로(2311)를 포함하되, 각각의 광-전기 변환 통로(2311)는 하나의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구동 광 신호를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광 신호 수신기는 광섬유 수신기이다. 상술한 실시예 중의 전기-광 변환 모듈(21)의 구체적인 구조에 의해, 각각의 광-전기 변환 통로(2311)는 하나의 전기-광 변환 통로(2311)와 광섬유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확대 유닛(232)은 제2 변환 유닛(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전기 신호를 확대 처리하여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확대 유닛(232)은 k개의 제2 확대 서브 유닛(2321)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2 확대 서브 유닛(2321)은 하나의 제2 변환 유닛(231)의 광-전기 변환 통로(2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확대 서브 유닛은 대응되는 구동 전기 신호를 확대 처리하여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에서, 상술한 신호 처리 모듈(23)을 사용하여 구동 전기 신호를 확대 처리함으로써, 제어 신호가 추가로 증가되어 전자기 간섭이 제어 신호에 대한 영향을 감소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에서, 신호 처리 모듈(23)은 제1 필터 유닛(233)과 제2 필터 유닛(2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유닛(233)은 제2 변환 유닛(231)과 제2 신호 확대 유닛(23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1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유닛(233)은 k개의 제1 필터 서브 유닛(2331)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 유닛(2331)은 하나의 광-전기 변환 통로(2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필터 서브 유닛(2331)은 대응되는 광-전기 변환 통로(2311)에 의해 변환되는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1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필터 유닛(233)은 RC 필터 회로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유닛(234)은 제2 신호 확대 유닛(232)과 펄스 발생 회로(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2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제2 필터링 처리된 구동 신호를 펄스 발생 회로(3)로 발송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유닛(234)은 k개의 제2 필터 서브 유닛(2341)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 유닛(2341)은 하나의 제2 확대 서브 유닛(2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필터 서브 유닛(2341)은 대응되는 제2 확대 서브 유닛(2321)에 의해 확대 처리되어 획득된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2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제2 필터링 처리된 구동 신호를 펄스 발생 회로(3)로 발송하도록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 필터 유닛(234)은 RC 필터 회로이다.
상술한 2개의 필터 유닛을 추가하기 전에는, 펄스 발생 회로(3)에서 형성된 펄스에 비교적으로 큰 테일링이 존재하며, 상술한 2개의 필터 유닛을 추가하면, 고주파 간섭을 제거할 수 있어, 펄스 발생 회로(3)에서 형성된 펄스는 테일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구동 회로(2)는 상술한 2개의 필터 유닛을 추가함으로써, 전자기 간섭이 구동 신호에 대한 영향을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펄스 발생 장치는 제1 부분(10)과 제1 부분(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20)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PCB)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2)가 제1 부분(10)에 설치되고, 펄스 발생 회로(3)가 제2 부분(20)에 설치된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은 제1 회로 기판(PCB1)과 제2 회로 기판(PCB2)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2)가 제1 회로 기판(PCB1)에 설치되고, 펄스 발생 회로(3)가 제2 회로 기판(PCB2)에 설치된다.
구동 회로(2)와 펄스 발생 회로(3)를 회로 기판(PCB)의 상이한 부분에 제작하거나, 상이한 회로 기판에 제작함으로써, 펄스 발생 회로(3)와 구동 회로(2)를 최대한 분리시킨다. 이렇게 설계하는 이유는 구동 회로(2)의 라인과 펄스 발생 회로(3)의 라인이 서로 교차하게 되면, 강력한 전자기 결합 및 전자 소자 사이의 기생 파라미터의 증가를 일으키게 되어, 구동 회로(2)에서 비교적으로 큰 간섭이 존재하게 되며, 이는 구동 회로(2) 중의 신호 왜곡을 일으키게 되어, 메인 회로에서 발생하는 펄스 파형의 품질이 감소하게 된다. 펄스 발생 회로(3)와 구동 회로(2)의 분리는 펄스 발생 회로(3)가 구동 회로(2)에 대한 간섭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펄스 발생 장치는 회로 기판(PCB)에 연결되고, 구동 회로(2)가 위치하는 차폐 구조(M)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폐 구조(M)는 금속 차폐 커버로, 금속 차폐 커버가 회로 기판(PCB)에 고정되어 전기-광 변환 모듈(21)이 금속 차폐 커버 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금속 차폐 커버가 제1 회로 기판(PCB)에 고정되어 전기-광 변환 모듈(21)이 금속 차폐 커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차폐 구조(M)를 설치하기 전에는, 펄스 발생 회로(3)에서 형성된 펄스 신호에 파형 붕괴 현상이 존재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기인 펄스 발생 장치에서 차폐 구조(M)를 설치한 후에는, 펄스 발생 회로(3)에서 형성된 펄스 신호의 파형 붕괴 현상은 현저히 개선되었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를 더 제공하였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상위 기기(1);와 상술한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는 상술한 실시예 중의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위 기기(1)는 컴퓨터일 수 있고, 입력되는 명령은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의 전압, 주기, 유효 레벨의 지속 시간 등일 수 있고; 입력되는 명령은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의 전압, 주기, 펄스 폭 등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가 본 출원에서 제시하는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밀리 세컨드 신호와 나노 세컨드 펄스를 협력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전기 절제 기기일 경우, 제1 펄스 신호는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 신호 또는 밀리 세컨드 신호이고, 제2 펄스 신호는 나노 세컨드 펄스 신호이다. 이 때, 입력되는 명령은 필요하는 펄스의 폭, 수량, 전압 등일 수 있고, 종양 조직의 파라미터일 수도 있으며, 종양 조직의 파라미터와 필요한 펄스의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전기 절제 기기에 저장하고, 종양 조직의 파라미터에 의해 생성된 나노 세컨드 펄스와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밀리 세컨드 펄스의 조합을 종양 조직에 인가함으로써, 종양 조직의 절제 효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을 더 제공하였으며, 도 1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은,
S1: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의 충전 과정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의 충전 과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제1 펄스 발생 모듈(31) 또는 제2 펄스 발생 모듈(32)만을 충전하거나, 또는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의 충전 과정과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의 충전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S2: 구동 회로(2)가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회로(2)가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한다.
S3: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4)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원의 전압은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제2 펄스 신호의 폭은 제1 펄스 신호의 폭보다 작으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과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은, 구동 회로(2)를 통해 상위 기기(1)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각각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펄스 발생 회로(3)가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폭이 서로 상이한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복합 펄스 신호를 부하(4)에 인가하는 목적을 구현하게 되며, 부하(4)가 종양 세포인 것을 예로 하여, 복합 펄스의 작용은 종양 세포에 대한 절제 효과의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포함하는 n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은 제1 전원(U1)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포함하는 m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은 제2 전원(U2)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n은 n≥1인 정수이고, m은 m≥1인 정수이다. 이로써, 단계(S1)는, 각각의 제1 스위치 유닛(3112)이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턴 오프되어, 각 급의 제1 저장 유닛(3111)이 제1 전원(U1)에 병렬 연결되어, 제1 전원(U1)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각각의 제2 스위치 유닛(3212)이 제4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턴 오프되어, 각 급의 제2 저장 유닛(3211)이 제2 전원(U2)에 병렬 연결되어, 제2 전원(U2)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를 예로 하여,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의 충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가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는 모두 턴 오프 상태에 있고,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2), 다이오드(D1-3) 및 다이오드(D1-4), 다이오드(D2-1), 다이오드(D2-2), 다이오드(D2-3) 및 다이오드(D2-4)는 모두 단일 방향 브레이크 오버 기능을 구비하므로,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병렬 연결 관계이고 모두 제1 전원(U1)의 제1 단과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모두 제1 전원(U1)의 양극과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 양단의 전위차가 모두 제1 전압일 경우,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은 충전이 완료된다.
도 6에 도시된 시너지 펄스 발생 회로(3)를 예로 하여,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의 충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가 제4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는 모두 턴 오프 상태에 있고, 다이오드(D3-1), 다이오드(D3-2), 다이오드(D3-3) 및 다이오드(D3-4), 다이오드(D4-1), 다이오드(D4-2), 다이오드(D4-3) 및 다이오드(D4-4)는 단일 방향 브레이크 오버 기능을 구비하므로,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병렬 연결 관계이고 모두 제2 전원(U2)의 제1 단과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모두 제2 전원(U2)의 양극과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 양단의 전위차가 모두 제2 전압일 경우,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은 충전이 완료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는 모두 하이 레벨이고, 제3 구동 신호와 제4 구동 신호는 모두 로우 레벨이며, 다시 말하면 일단 제1 펄스 발생 모듈(3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으면, 제1 전원(U1)은 각 급의 제1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상태에 있거나 또는 각 급의 제1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차가 제1 전압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동일하게, 일단 제2 펄스 발생 모듈(32)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으면, 제2 전원(U2)은 각 급의 제2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상태에 있거나 또는 각 급의 제2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차가 제2 전압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는 고체 스위치 소자의 상이한 모델에 따라, 각각의 구동 신호의 레벨의 높낮이를 대응되게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8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서, 단계(S2)는,
S201: 전기-광 변환 모듈(21)이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며, 제1 구동 광 신호와 제2 구동 광 신호를 광섬유(22)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23)로 전송하며;
S202: 신호 처리 모듈(23)이 제1 구동 광 신호와 제2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며, 제1 구동 광 신호를 제1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제2 구동 광 신호를 제2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제1 구동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고, 제2 구동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제2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며, 제1 구동 신호를 제1 펄스 발생 모듈(31)로 전송하고, 제2 구동 신호를 제2 펄스 발생 모듈(32)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은, 제어 신호를 구동 광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광 신호를 다시 광-전기 변환 및 처리하여 구동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전기가 약한 부분과 전기가 강한 펄스 발생 회로(3)가 이격될 수 있어, 펄스 발생 회로(3)가 전기가 약한 부분에 대한 전자기 간섭을 낮추어, 구동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펄스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는, 도 2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서, 단계(S3)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x개의 제1 펄스 발생 유닛(311)이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가 모두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1-1), 고체 스위치 소자(S1-2), 고체 스위치 소자(S1-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1-4)는 모두 브레이크 오버 상태에 있으며,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2), 다이오드(D1-3) 및 다이오드(D1-4), 다이오드(D2-1), 다이오드(D2-2), 다이오드(D2-3) 및 다이오드(D2-4)는 단일 방향 브레이크 오버 기능을 구비하므로,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직렬 연결 관계이고, 커패시터(C1-1), 커패시터(C1-2), 커패시터(C1-3) 및 커패시터(C1-4)는 동시에 방전되고, 방전 전압은 모두 제1 전압이므로, 형성된 제1 펄스 신호의 전압은 제1 전압의 4배이다.
S302: y개의 제2 펄스 발생 유닛(321)이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가 모두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체 스위치 소자(S2-1), 고체 스위치 소자(S2-2), 고체 스위치 소자(S2-3) 및 고체 스위치 소자(S2-4)는 모두 브레이크 오버 상태에 있으며,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직렬 연결 관계이고, 커패시터(C2-1), 커패시터(C2-2), 커패시터(C2-3) 및 커패시터(C2-4)는 동시에 방전되고, 방전 전압이 모두 제2 전압이므로, 형성된 제2 펄스 신호의 전압은 제2 전압의 4배이다.
S303: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부하(4)에 인가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출력 모듈(7)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의해, 단계(S303)는 구체적으로, 트리거 명령의 제어에 의해, 제1 펄스 및/또는 제2 펄스를 부하(4)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듈(7)에 관하여 상술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의 실시예를 참조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저항(8)과 모니터링 모듈(9)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은,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저항(8)에 인가함과 더불어,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가 저항(8)에 인가한 전류 및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항(8)과 모니터링 모듈(9)에 관하여 상술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의 실시예를 참조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누전 모듈(5)과 제2 누전 모듈(6)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은, 제1 누전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누전 신호에 제어에 의해 제1 펄스 발생 모듈(31)과 어스를 온 시켜, 제1 펄스 발생 모듈(31)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하고; 제2 누전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누전 신호에 제어에 의해 제2 펄스 발생 모듈(32)과 어스를 온 시켜, 제2 펄스 발생 모듈(32)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누전 모듈(5)과 제2 누전 모듈(6)에 관하여 상술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의 실시예를 참조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적용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은, 구동 회로를 통해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각각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펄스 발생 회로가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폭이 서로 상이한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제2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복합 펄스 신호를 부하에 인가하는 목적을 구현하게 되며, 부하가 종양 세포인 것을 예로 하여, 복합 펄스의 작용은 종양 세포에 대한 절제 효과의 향상에 유리하다.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에 불과한 것으로, 상대적인 중요성을 제시 또는 암시하거나, 제시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이로써, "제1", "제2"로 한정하는 특징은 해당 특징을 하나 또는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 개"의 의미는 2개 또는 2개 이상이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다르게 규정과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이거나, 일체로 된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2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용어가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 방식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은, 본 출원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약간의 개선과 윤색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윤색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해당될 것이다.
1: 상위 기기
2:구동 회로
21: 전기-광 변환 모듈
22: 광섬유
23: 신호 처리 모듈
3: 펄스 발생 회로
31: 제1 펄스 발생 모듈
311: 제1 펄스 발생 유닛
3111: 제1 저장 유닛
3112: 제1 스위치 유닛
3113: 제1 차단 유닛
32: 제2 펄스 발생 모듈
321: 제2 펄스 발생 유닛
3211: 제2 저장 유닛
3212: 제2 스위치 유닛
3213: 제2 차단 유닛
4: 부하
5: 제1 누전 모듈
6: 제2 누전 모듈
7: 출력 모듈
71: 트리거 유닛
72: 전극
73: 트리거 스위치
74: 멀티 채널 변환 유닛
8: 저항
9: 모니터링 모듈
91: 제1 모니터링 유닛
92: 제2 모니터링 유닛
U1: 제1 전원
U2: 제2 전원
M: 차폐 구조
PCB: 회로 기판
10: 제1 부분
20: 제2 부분
PCB1: 제1 회로 기판
PCB2: 제2 회로 기판

Claims (24)

  1. 상위 기기의 제어에 의해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는,
    상기 상위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도록 배치되는 구동 회로;
    제1 전원, 상기 제1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펄스 발생 모듈, 제2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펄스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펄스 발생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은 상기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은 상기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펄스의 폭이 상기 제1 펄스의 폭보다 작은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를 온 시켜,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누전 모듈;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를 온 시켜,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누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 회로는,
    트리거 유닛과 상기 트리거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과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부하와 접촉하며, 상기 트리거 유닛은 상기 트리거 명령에 의해 트리거링될 경우 온 되어,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펄스 신호가 상기 전극으로 전송되도록 배치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 및 어스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펄스 신호가 추가로 인가되는 저항;
    상기 제1 펄스 신호와 상기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한 전류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제1 펄스 신호와 상기 제2 펄스 신호가 상기 저항으로 인가한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2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제1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펄스 발생 회로가 상기 제2 부분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펄스 발생 회로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가 위치하는 차폐 구조를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 신호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나노 세컨드 펄스 신호인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전기-광 변환 모듈,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전기-광 변환 모듈과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기-광 변환 모듈은 상기 상위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펄스 발생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광 변환 모듈은 상기 상위 기기에서 발송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구동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섬유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전송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광 신호를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여 구동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펄스 발생 회로로 전송하도록 배치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 변환 모듈은,
    상기 상위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캐싱하도록 배치되는 캐시 유닛;
    상기 캐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캐싱된 상기 제어 신호를 확대 처리하도록 배치되는 제1 신호 확대 유닛;
    상기 제1 신호 확대 유닛과 상기 전송 구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확대 처리된 상기 제어에 대해 전기-광 변환을 수행하여 구동 광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전송 구조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발송하도록 배치되는 제1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유닛은 멀티 채널 캐시이며, 상기 멀티 채널 캐시는 k개의 신호 캐시 통로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신호 캐시 통로는 단일 채널인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제1 신호 확대 유닛은 k개의 제1 확대 서브 유닛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1 확대 서브 유닛은 하나의 상기 신호 캐시 통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확대 서브 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신호 캐시 통로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제어 신호를 확대 처리하며;
    상기 제1 변환 유닛은 광 신호 발사기이며, 상기 광 신호 발사기는 k개의 전기-광 변환 통로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전기-광 변환 통로는 하나의 상기 제1 확대 서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광 변환 통로는 대응되는 상기 제1 확대 서브 유닛에 의해 확대 처리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 광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상기 전송 구조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전송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전송 구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상기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배치되는 제2 변환 유닛;
    상기 제2 변환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전기 신호를 확대 처리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배치되는 제2 신호 확대 유닛;
    상기 제2 변환 유닛과 상기 제2 신호 확대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1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 필터 유닛;
    상기 제2 신호 확대 유닛과 상기 펄스 발생 회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2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링 처리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펄스 발생 회로로 발송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 유닛은 광 신호 수신기로, 상기 광 신호 수신기는 k개의 광-전기 변환 통로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광-전기 변환 통로는 하나의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광 신호를 상기 구동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제1 필터 유닛은 k개의 제1 필터 서브 유닛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1 필터 서브 유닛은 하나의 상기 광-전기 변환 통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 서브 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광-전기 변환 통로에 의해 변환되어 획득된 상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1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2 신호 확대 유닛은 k개의 제2 확대 서브 유닛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2 확대 서브 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1 필터 서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확대 서브 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제1 필터 서브 유닛에 의해 제1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 상기 구동 전기 신호를 확대 처리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제2 필터 유닛은 k개의 제2 필터 서브 유닛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2 필터 서브 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2 확대 서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서브 유닛은 대응되는 상기 제2 확대 서브 유닛에 의해 확대 처리되어 획득된 상기 구동 전기 신호에 대해 제2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제2 필터링 처리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펄스 발생 회로로 발송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은 n급의 제1 펄스 발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은 상기 제1 전원이 제1 전압으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x개의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이 방전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제1 펄스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n은 n≥1인 정수이고, x는 1≤x≤n인 정수이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은 m급의 제2 펄스 발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은 상기 제2 전원이 제2 전압으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y개의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2 펄스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m은 m≥1인 정수이고, y는 1≤y≤m인 정수이며;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펄스의 폭은 상기 제1 펄스의 폭보다 작은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은 제1 저장 유닛, 제1 스위치 유닛 및 제1 차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제어에 의해 온 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스위치 유닛과 동급인 각각의 상기 제1 저장 유닛이 직렬 연결되어 방전되어,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차단 유닛은 충전 전류가 상기 제1 전원에서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 또는 본 급의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에서 다음 급의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고, 방전 전류가 본 급의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에서 다음 급의 상기 제1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은 제2 저장 유닛, 제2 스위치 유닛 및 제2 차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의 제어에 의해 온 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스위치 유닛 중 동급인 각각의 상기 제2 저장 유닛이 직렬 연결되어 방전되어,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차단 유닛은 충전 전류가 상기 제2 전원에서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 또는 본 급의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에서 다음 급의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고, 방전 전류가 본 급의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에서 다음 급의 상기 제2 펄스 발생 유닛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 유닛은 제1 차단 소자와 제2 차단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급의 제1 차단 소자는 상기 제1 전원의 제1 단과 제1 급의 제1 저장 유닛의 제1 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i 급의 제1 차단 소자는 제i-1 급의 제1 저장 유닛의 제1 단, 제i 급의 제1 저장 유닛의 제1 단 및 제i-1 급의 제1 차단 소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급의 제2 차단 소자는 본 급의 제1 저장 유닛의 제2 단, 본 급의 제1 스위치의 제2 단 및 다음 급의 제2 차단 소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i는 i≥2인 정수이며;
    상기 제2 차단 유닛은 제3 차단 소자와 제4 차단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급의 제3 차단 소자는 상기 제2 전원의 제1 단과 제1 급의 제2 저장 유닛의 제1 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j 급의 제3 차단 소자는 제j-1 급의 제2 저장 유닛의 제1 단, 제j 급의 제2 저장 유닛의 제1 단 및 제j-1 급의 제3 차단 소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급의 제4 차단 소자는 본 급의 제2 저장 유닛의 제2 단, 본 급의 제2 스위치의 제2 단 및 다음 급의 제4 차단 소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j는 j≥2인 정수인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각 급의 상기 제1 저장 유닛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전원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급의 상기 제1 스위치 유닛의 제어단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각 급의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본 급의 상기 제1 저장 유닛의 제1 단 및 다음 급의 상기 제1 저장 유닛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급의 상기 제2 저장 유닛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 전원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급의 상기 제2 스위치 유닛의 제어단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각 급의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본 급의 상기 제2 저장 유닛의 제1 단 및 다음 급의 상기 제2 저장 유닛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유닛은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장 유닛은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유닛은 제1 고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유닛은 제2 고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소자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 소자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차단 소자는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차단 소자는 제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18.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상위 기기; 및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는 전기 절제 기기이며;
    상기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가 생성하는 제1 펄스 신호는 마이크로 세컨드 펄스 신호 또는 밀리 세컨드 펄스 신호이고, 생성하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나노 세컨드 펄스 신호인 시너지 펄스 발생 기기.
  20.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에 있어서,
    제1 펄스 발생 모듈이 제1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2 펄스 발생 모듈이 제2 전원이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구동 회로가 상위 기기에서 발송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회로가 상위 기기에서 발송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구동 신호로 변환하며; 및
    제1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제1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제2 펄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 전원의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폭이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폭보다 작은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과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 상이한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누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를 온 시켜, 상기 제1 펄스 발생 모듈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하며;
    제2 누전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누전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과 어스를 온 시켜, 상기 제2 펄스 발생 모듈 중의 잔여 전하량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부하에 인가하는 것은,
    트리거 명령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펄스 및/또는 상기 제2 펄스를 상기 부하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펄스 신호가 출력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너지 펄스 발생 방법.
KR1020247003945A 2021-08-11 2022-08-11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KR20240029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921262.1A CN113616312A (zh) 2021-08-11 2021-08-11 协同脉冲发生装置、系统及发生方法
CN202110921262.1 2021-08-11
CN202110921264.0 2021-08-11
CN202110921264.0A CN113644898A (zh) 2021-08-11 2021-08-11 驱动电路、驱动方法及脉冲发生系统
PCT/CN2022/111840 WO2023016523A1 (zh) 2021-08-11 2022-08-11 协同脉冲发生装置、设备及发生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072A true KR20240029072A (ko) 2024-03-05

Family

ID=8519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945A KR20240029072A (ko) 2021-08-11 2022-08-11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64679A1 (ko)
KR (1) KR20240029072A (ko)
WO (1) WO20230165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2604B (zh) * 2012-10-15 2016-09-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八研究所 微型化多路双向信号光纤传输组件
US10058374B2 (en) * 2013-09-26 2018-08-28 Covidien Lp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issue parameters using surgical devices
CN105450577B (zh) * 2015-12-03 2018-07-17 东南大学 一种基于直流偏置的滤波器组多载波可见光通信系统及方法
CN206355132U (zh) * 2016-10-14 2017-07-28 上海健康医学院 一种级联式方波不可逆性电穿孔电路
CN107681916A (zh) * 2017-09-22 2018-02-09 重庆大学 一种协同脉冲不可逆电穿孔装置
CN109124759B (zh) * 2018-09-12 2019-12-31 上海睿刀医疗科技有限公司 协同电脉冲信号的生成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0814146B (zh) * 2019-10-15 2021-10-26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应用于电液成形的全固态高压脉冲发生电路及装置
CN112842516B (zh) * 2021-01-11 2023-02-21 杭州维纳安可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消融装置及其控制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
CN113616312A (zh) * 2021-08-11 2021-11-09 杭州维纳安可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协同脉冲发生装置、系统及发生方法
CN113644898A (zh) * 2021-08-11 2021-11-12 杭州维纳安可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驱动电路、驱动方法及脉冲发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4679A1 (en) 2024-05-08
WO2023016523A1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7757B1 (de) Schaltkreis für eine elektromagnetische quelle zur erzeugung akustischer wellen
Redondo et al. Generalized solid-state Marx modulator topology
Bae et al. High-power pulse generator with flexible output pattern
Yao et al. FPGA-controlled all-solid-state nanosecond pulse generator for biological applications
CN113616312A (zh) 协同脉冲发生装置、系统及发生方法
DE102011003526B4 (de) Stromrichtersystem
CN110071707B (zh) 协同脉冲信号发生装置
CN108095820A (zh) 一种纳米刀肿瘤消融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40029072A (ko) 시너지 펄스 발생 장치, 기기 및 발생 방법
Yao et al. High-frequency composite pulse generator based on full-bridge inverter and soft switching for biological applications
DE3942560C2 (de) Hochfrequenz-Generator für einen Plasma erzeugenden Verbraucher
EP3404516A1 (en) Active pen, boost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07063A (zh) 一种基于Marx电路的空间对称型高压纳秒脉冲源
CN108540007A (zh) 一种极性可调的模块化高重频纳秒脉冲发生器
WO2024055578A1 (zh) 一种脉冲功率放大方法及标准单元
CN207801884U (zh) 一种光控晶闸管及其触发控制系统
CN110943725A (zh) 基于变压器的一体化弱光触发气体开关电路及其工作方法
EP4366166A1 (en) Synergistic pulse generation circuit, generation apparatus, and generation method therefor
Fang et al. A MOSFET-based high voltage nanosecond pulse module for the gating of proximity-focused microchannel plate image-intensifier
Acharya et al. A 100 kV, 20 A, 1 ms long pulse solid-state Marx modulator for klystron
EP1813038B1 (de) Schal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trompulses in einem wellenleiter
CN114177524A (zh) 一种用于提高幅值的相控阵超声换能器激励系统
CN113693710A (zh) 脉冲发生设备及脉冲发生设备的控制方法
Dong et al. Modular solid‐state pulse generator based on multi‐turn LTD
Cook et al. Design and testing of a fast, 50 kV solid-state kicker pul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