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864A -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 Google Patents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864A
KR20240028864A KR1020220107148A KR20220107148A KR20240028864A KR 20240028864 A KR20240028864 A KR 20240028864A KR 1020220107148 A KR1020220107148 A KR 1020220107148A KR 20220107148 A KR20220107148 A KR 20220107148A KR 20240028864 A KR20240028864 A KR 20240028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w rate
rate change
change structure
monitor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흥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864A/en
Publication of KR2024002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8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압식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배관과 유속변화구조체를 연결하는 지지관을 이중관 구조로 구비하고, 상기 이중관 내부에 구비되는 파손감지선걸이, 상기 파손감지선걸이와 외부 단자대를 연결하는 파손감지선을 구비하여, 상기 파손감지선의 단선 여부로 차압식 유량계의 파손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중관 구조의 지지관이 배관과 2중으로 결합을 형성하여 지지력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hich includes a support pipe connecting a pipe and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in a double pipe structure, a damage detection wire hanger provided inside the double pipe, and a damage detection wire hanger connecting the damage detection wire hanger and an external terminal block. Equipped with a detection line,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from the outside whether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is damaged by whether the damage detection line is disconnected. In addition, the support pipe of the double pipe structure is double coupled with the pipe,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 force. Do it as

Description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본 발명은 차압식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량을 변화시키는 유량변화구조체가 배관 내부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지하여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and in particular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n immediate response can be taken by detecting when the flow change structure that changes the flow rate is separated or damaged inside the pipe.

차압식 유량계란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또는 배관 내부에 구조체를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예를 들어, 속도 및 압력)을 변화시키고, 이에 기반하여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유량계의 한 종류이다.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changes the flow of the fluid (e.g., speed and pressure)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r providing a structure inside the pipe, and calculat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based on this. It is a type of flow meter.

차압식 유량계의 한 종류로 도1에 도시된 V-Cone 타입의 유량계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10) 내부에 고깔(cone) 형태의 유속변화구조체(20)를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킨다.The V-Cone type flow meter shown in Figure 1, which is a type of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changes the flow of fluid by providing a cone-shaped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inside the pipe 10 through which fluid flows.

배관(10)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유속변화구조체(20)를 지나며 유속이 재구성되어, 유속변화구조체(20)의 외주면이 최대 직경을 갖는 부위를 기준으로, 유속변화구조체(20)의 후단(또는 하류 측)(도1의 B영역)에서는 낮은 유압을 형성한다.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 passes through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and the flow rate is reconfigured, based on the area w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has the maximum diameter, at the rear end (or On the downstream side (area B in Figure 1), low hydraulic pressure is formed.

유속변화구조체(20)를 중심으로 전단(또는 상류 측)(도1의 A영역) 및 후단(또는 하류 측)(도1의 B영역)에 형성된 유압의 차이는 배관(10)에 구비된 압력측정탭(40,50)과 결합하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다.The difference in hydraulic pressure formed at the front end (or upstream side) (area A in Figure 1) and the rear end (or downstream side) (area B in Figure 1) centered 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is the pressure provided in the pipe 10. It i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sensor (not shown) combined with the measurement taps 40 and 50.

유속변화구조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P=P1-P2)는 유속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따라서 측정된 차압(△P)을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에 대입하면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The pressure difference (△P=P1-P2) formed by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increases or decreases depending on the flow rate. Therefore, the flow rate can be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measured differential pressure (△P) into Bernoulli's equation.

이처럼 V-Cone 타입의 차압식 유량계는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 시 이동이나 운동성을 갖는 부품이 없어서 설치가 쉽고, 마모가 적으며, 동시에 측정 신뢰도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In this way, the V-Cone typ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has a simple structure, has no moving or moving parts during installation, so it is easy to install, has low wear, and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measurement reliability.

다만, V-Cone 타입의 차압식 유량계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유속변화구조체(20)가 하나의 지지관(30)에 의해 지지되어, 구조상 유량계가 설치된 배관 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갑작스러운 유량의 증감에 의해 지지관(30)이 쉽게 부러질 수 있는 구조적 단점을 갖는다.However, in the V-Cone typ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as shown in Figure 2, the relatively larg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 is supported by one support pipe 30, so that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install in the piping system where the flow meter is installed. It has a structural disadvantage in that the support pipe 30 can be easily broken due to possible vibration or sudden increase or decrease in flow rate.

실제로 발전소 운전 과정에서 급수 펌프 입구단에 설치된 V-Cone 타입의 유량계가 부러지고 급수 펌프로 흘러 들어가서 급수 펌프까지 큰 손상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 되고 있다.In fact, it has been reported that during the operation of a power plant, the V-Cone type flow meter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feed water pump broke and flowed into the feed pump, causing major damage to the feed water pump.

따라서, V-Cone 타입의 차압식 유량계에 있어서, 지지관의 부러짐, 파손,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며, 특히 설령 파손되더라도 이를 즉시에 인지하여 후속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V-Cone typ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prevent the support pipe from breaking, damage, or separation. In particular, even if it is damag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immediately recognize it and take follow-up measures is necessary. The situation is urg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547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547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손감시선을 구비하여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즉각적인 초동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 damage monitoring line, the separation or damag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This improves connection reliability to enable immediate initial a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유속변화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관이 배관과 2중으로 결합하도록 변형하여 지지력을 개선한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ovide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improved support by modifying the support pipe supporting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to be double coupled with the pipe. will 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는 구성으로 배관; 상기 배관 내부에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변화시키는 유속변화구조체;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내관 및 외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마련되는 지지관;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에 의한 유체의 유압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검측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파손감시선걸이; 및 상기 파손감시선걸이와 상기 배관 외부의 단자대를 연결하는 파손감시선;을 포함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onsists of piping;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nd chang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 support pipe that connects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and is provided 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 change in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du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calculates a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from the measured value;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connect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and a terminal block outside the pipe;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s separated or damaged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각(θ2)은 상기 제1경사각(θ1)보다 큰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 a cone shape with an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ral axi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conical shape, wherein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is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may be larger than that.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that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so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pipe.

또한, 상기 파손감시선은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에 연결된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age monitoring line may form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so that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uni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구성으로 배관; 상기 배관 내부에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변화시키는 유속변화구조체;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 및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에 의한 유체의 유압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검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내관 및 외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외관은 상기 배관과 제1차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은 상기 외관보다 상기 배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과 제2차결합을 형성하여 지지력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nsists of piping;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nd chang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 support pipe connecting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so that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And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change in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du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calculat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from the measured value, wherein the support pipe is a double pipe whose inner pipe and outer pipe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t is provided in a structure where the exterior forms a primary connection with the pipe, and the inner pipe protrudes outside the pipe more than the exterior to form a secondary connection with the pipe, thereby strengthening the bearing force.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관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파손감시선걸이; 및 상기 파손감시선걸이와 상기 배관 외부의 단자대를 연결하는 파손감시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ipe includes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exterior so that the separation or damag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connect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and a terminal block outside the pipe.

또한, 상기 파손감시선은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에 연결된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age monitoring line may form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so that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각(θ2)은 상기 제1경사각(θ1)보다 큰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 a cone shape with an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ral axi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conical shape, wherein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is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may be larger than that.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that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so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따라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초동 조치가 가능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and minimize additional damage by enabling immediate initial action because the separation or damag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can be determined by disconnection of the damage monitoring lin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또한 배관과 유속변화구조체를 연결하는 지지관의 지지력이 개선되어 유속변화구조체가 이탈 또는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upport pipe connecting the pipe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s improv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from being separated or damaged.

도1은 차압식 유량계에 속하는 V-cone 유량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차압식 유량계 및 V-cone 유량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전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의 일 실시 예인 제1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도4는 제1실시예의 변형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도4(a)는 전단면도이며, 도4(b)는 도3의 A-A 평면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인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의 일 실시 예인 제2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도6은 제2실시예의 변형 예시를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V-cone flow meter belonging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roblems occurring in conventional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s and V-cone flow meters.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a)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one side of the AA plane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하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components, etc.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서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refer to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components exist between said component and said other component. You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우선 본 발명은 차압식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차압식 유량계는 유속변화구조체(200)를 구비하여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변화시키는데, 유속변화구조체(200)는 유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므로 파손 가능성이 높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is equipped with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continuously exposed to hydraulic pressure,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계통 내에서 파손 또는 이탈되는 경우, 유량계뿐만 아니라 배관(100) 계통 자체에 큰 손상이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속변화구조체(200)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하여 추가 피해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I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damaged or separated within the piping 100 system, major damage or failure may occur not only in the flow meter but also in the piping 100 system itself, s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damaged or separated.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further damage.

이에 본 발명은 파손감시선(340)을 구비하고, 파손감시선(340)의 단선 여부로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된 유속변화구조체(200)의 보수 및 관리뿐만 아니라 배관(100) 계통 자체에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enables the repair of the damaged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by determining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separated or damaged depending on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disconnected. and management, as well as preventing additional damage that may occur in the piping 100 system itself.

이를 위해,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입식 유량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1실시예는 구성으로 배관(100), 유속변화구조체(200), 지지관(300), 검측부(미도시), 파손감시선걸이(330), 및 파손감시선(34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ure 3,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lug-in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ipe 100,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 support pipe 300, and a detection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340.

각 구성을 이하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배관(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며, 유체의 유량 측정이 요구되는 통상적인 배관(100)을 의미한다.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below, the pipe 100 refers to a typical pipe 100 in which a fluid flows and a flow rate measurement of the fluid is required.

예를 들어, 발전소에서 급수를 위해 구비하는 급수 계통에 사용되는 배관(100)일 수 있으며, 가스 등 기체를 공급하는 계통에 사용되는 배관(100)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the pipe 100 used in a water supply system provided for water supply at a power plant, or it may be the pipe 100 used in a system that supplies gas such as gas.

상기 유속변화구조체(200)는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배관(100) 내부에 배관(10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changes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pipe 1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또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200)는 상기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 및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제2경사각(θ2)은 제1경사각(θ1)보다 큰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has an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er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and is connected to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 a cone shape and a front end portion. The outer surface forms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includes a rear end provided in a cone shape, and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예를 들어, V-cone 타입의 차입식 유량계에서 유속변화구조체(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깔(cone) 형태의 유속변화구조체(200)가 지지관(300)에 의해 배관(100)에 간접적으로 연결 및 지지되며, 배관(100)의 내주면과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For example, in a V-cone type plug-in flow met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a cone-shaped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piped by a support pipe 300, as shown in Figure 3. It is indirectly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도3을 참조하면, 고깔(cone) 형태의 유속변화구조체(200)는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와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제2경사각(θ2)은 제1경사각(θ1) 보다 크게 구비되어, 내관(31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전단부를 지나며 압축되어 유속이 빨라지고, 후단부에 이르면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cone-shaped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has a cone shape with its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er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provided with a front end and the outer surface forms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includes a rear end provided in a cone shape, and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is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is provided larger than that, so that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inner tube 310 is compressed as it passes the front end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so that the flow speed increases, and when it reaches the rear end, the pressure decreases.

상기 지지관(3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속변화구조체(200)와 배관(100)을 연결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내관(310) 및 외관(32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pipe 300 connects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the pipe 100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so that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100. It plays a role and may be provided 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spaced apart.

상기 지지관(300)은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에 중공을 형성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어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에 파손감시선걸이(330) 및 파손감시선(340)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ipe 300 is provided with a double pipe structure forming a hollow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 340) can be provided.

상기 파손감시선걸이(330)는 파손감시선(340)이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의 파손 및 이탈이나,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에 따라 파손감시선(340)이 함께 단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ensures that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separation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or the support pipe ( It serves to ensure that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can be disconnected in response to damage or separation of the 300).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번하게 파손이 발생하는 위치가 지지관(300)과 배관(100)의 연결 부위임을 고려할 때, 상기 파손감시선걸이(330)는 배관(100) 내부에 해당하며 동시에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considering that the location where damage frequently occurs is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support pipe 300 and the pipe 100,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pipe 100 and at the same time It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between the inner tube 310 and the outer tube 320.

바람직하게는 배관(100)과 지지관(300)의 연결 부위와 유속변화구조체(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이탈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유속변화구조체(200)에 근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it is preferably provided clos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so that all damage and separation that occur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pe 100 and the support pipe 300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can be detected. .

상기 파손감시선걸이(330)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에서 지지관(300)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 부위에 따라 단선되는 파손감시선(340)이 달라지며, 이를 통하여 파손 및 이탈 위치를 정밀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shown in Figure 4 (a), the damage monitoring wire hanger 33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support pipe 300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In this case, the breakage monitoring line 340 that is disconnected varies depending on the damaged or separated part of the support pipe 300, an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cisely recognize the damaged or separated location.

상기 파손감시선걸이(330)는 파손감시선(3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10)과 외관(320)을 연결하는 바(bar) 또는 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is for fix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its shape is a bar or pillar connecting the inner tube 310 and the outer tube 320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provided with .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관(310) 또는 외관(3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갈고리 형태나 링(ring) 형태의 걸림수단 등과 같이, 파손감시선(34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유속변화구조체(200) 또는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과 함께 파손감시선(340)이 단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may be fixed, such as a hook-shaped or ring-shaped hang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tube 310 or the outer tube 320,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 Any structure that allows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to be disconnected along with damage or separation of the support pipe 200) or the support pipe 300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파손감시선(340)은 파손감시선걸이(330)와 배관(100) 외부에 구비된 단자대(350)를 연결하며,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이탈 및 파손 또는 지지관(300)의 이탈 및 파손과 함께 단선되어 배관(100) 내부의 문제 상황을 배관(100)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connects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the terminal block 350 provided outside the pipe 100,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separated or damaged or the support pipe 300 is separated. It serves to enable the outside of the pipe 100 to recognize a problem situation inside the pipe 100 due to disconnection along with damage.

상기 파손감시선(340)은 도선(conducting wire)으로 구비되어, 배관(100) 외부에 구비된 단자대(350) 및 단자대(350)에 연결된 제어부(360)와 전기적 회로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손감시선(340)의 단선 여부를 제어부(360)를 통해 인지하고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provided as a conducting wire, and can form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350 provided outside the pipe 100 and the control unit 360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350, there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and monitored through the control unit 360.

구체적으로 상기 파손감시선(340)은 일측이 파손감시선걸이(330)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자대(350)에 고정되므로, 유속변화구조체(200) 또는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에 의해 파손감시선걸이(330)가 파손감시선(340)을 당기게 되어, 단자대(350)와 파손감시선(340) 간에 단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손감시선(340), 단자대(350) 및 제어부(360) 간에 형성된 전기적 회로도 단선되므로, 제어부(360)가 유속변화구조체(200) 또는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one side of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fixed to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terminal block 350, it is resistant to damage or separation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or the support pipe 300. As a result,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pulls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a disconnection may occur between the terminal block 350 and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s a result,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the terminal block 350 may be disconnected. And the electrical circuit formed between the control unit 360 is also disconnected, so the control unit 360 can quickly recognize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or the support pipe 300 is damaged or separated.

또는 단자대(350)와 파손감시선(340)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속변화구조체(200) 또는 지지관(300)의 파손 및 이탈과 함께 파손감시선걸이(330)에 고정된 파손감시선(340)이 절단되는 방식으로 전기적 회로에 단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부(360)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block 350 and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can be firmly formed. In this case, the damage or separation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or the support pipe 300 and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can be formed. A disconnection may occur in the electrical circuit by cutting the fixed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the control unit 360 can quickly recognize this.

상기 파손감시선(3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300)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이 되도록 2중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이자 지지관(300)의 여러 방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may be provided in two layers so as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ort pip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4 (b). ),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n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support pipe 300.

이 경우 지지관(300)이나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일 측면에서만 파손이 발생한 경우 파손된 측면을 정밀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if damage occurs on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pipe 300 o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amaged side can be precisely recognized.

상기 단자대(350)는 파손감시선걸이(330)에 일측이 고정된 파손감시선(340)을 타측에서 고정하여 팽팽하게 하고, 파손감시선(340)과 외부 제어부(3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erminal block 350 secures and tightens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from the other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the external control unit 360. perform its role.

상기 단자대(350)는 배관(100)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배관(10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terminal block 35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and in some cases,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pipe 100.

추가적인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100)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 100. An auxiliary support 21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조지지대(2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속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유속변화구조체(200)를 유체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효하게 지지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uxiliary support 21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its shape can effectively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flowing inside the pipe 100. It may have a ro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구조를 토대로, 유속변화구조체(200)에 의한 유체의 유압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검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above structure, it may include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change in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caused by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calculat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from the measured value.

상기 검측부는 도3을 참조하여, 배관(100) 일측에 배관(100)과 연통되어 구비되는 제1압력측정탭(400)에 제1압력센서가 결합되며, 제1압력센서는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유속변화구조체(200) 전단의 압력을 측정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etection unit has a first pressure sensor coupled to a first pressure measurement tab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100, and the first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pipe 100. The pressure at the front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measured based on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또한 제2압력센서는 배관(100) 외부로 돌출된 내관(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며 구비된 통공과 연통되는 내관(310)을 따라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 후단의 압력을 측정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pipe 3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ipe 100, and the fluid flowing in along the inner pipe 310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provided. Measure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압력센서는 상기 내관(310)과 별개로 유속변화구조체(200) 후단에 대응되도록 배관(100)의 외주면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제2압력측정탭(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압식 유량계에서 검측부를 구비하기 위해 채택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a second pressure measurement tab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100 to correspond to the rear end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separately from the inner pipe 310. It can be combined with, and in addition,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dopted to provide a detection part in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다음으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인 제2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구조, 기능 및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structure, function, and effect,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or briefly explained.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압식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파손 가능성이 높은 유속변화구조체(200)의 파손 가능성을 억제 또는 저감하며,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계통 내에서 파손 또는 이탈되어 야기하는 배관(100) 계통의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like the first embodiment,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and suppresses or reduces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damaged due to continuous exposur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100. This is to prevent additional damage to the piping 100 system caused by damage or separation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within the piping 100 system.

이에 본 발명은 지지관(300)을 내관(310) 및 외관(32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하며, 외관(320)은 배관(100)과 제1차결합(325)을 형성하고, 내관(310)은 외관(320)보다 배관(100) 외부로 돌출되어 배관(100)과 제2차결합(31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관(100)에 대한 지지관(300)의 지지력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upport pipe 300 with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outer pipe 320 forms a first coupling 325 with the pipe 100. , the inner pipe 310 protrudes out of the pipe 100 more than the exterior 320 to form a secondary coupling 315 with the pipe 100,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pipe 300 with respect to the pipe 100.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ements.

이를 위해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2실시예는 구성으로, 배관(100), 유속변화구조체(200), 지지관(300), 및 검측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지지관(300)은 내관(310) 및 외관(32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이며, 내관(310)은 외관(320)보다 배관(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ure 5,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ipe 100,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 support pipe 300, and a detection device. It includes a portion (not shown), and the support pipe 300 i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spaced apart, and the inner pipe 310 protrudes out of the pipe 100 more than the outer pipe 320. It can be.

각 구성을 이하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배관(100), 유속변화구조체(200), 및 검측부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below, the piping 100,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the detection unit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structure, function, and effect,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provided. I will omit it and focus on the differences.

상기 지지관(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속변화구조체(200)와 배관(100)을 연결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내관(310) 및 외관(32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support pipe 300 connects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the pipe 100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so that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100. It functions 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spaced apart.

상기 외관(320)은 일측 단부가 배관(100)과 제1차결합(325)을 형성한다. 외관(320)은 배관(100) 외부로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어 배관(100) 외주면과 제1차결합(325)을 형성할 수 있다.One end of the exterior 320 forms a first coupling 325 with the pipe 100. The exterior 320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outside the pipe 100 to form a first coupling 325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제1차결합(325) 방식으로는 용접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배관(100) 간의 결합을 위해 채택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325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adopted for coupling between pipes 100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cluding welding.

상기 외관(32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배관(100)에 연속하여 내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력 강화를 위해 제1차결합(325)은 외관(320)과 배관(100)의 내주면 간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exterior 320 may be provided to extend inwardly continuously to the pipe 100 in some cases.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325 is connected to the exterior 320 to strengthen the bearing capacity.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and the pipe 100.

제1차결합(325)은 공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수행되며, 배관(100)과 지지관(300) 간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외관(320)과 배관(100)의 외주면 및 외관(320)과 배관(100)의 내주면 모두에 제1차결합(325)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coupling 325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oces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ior 320 and the pipe 100 and the exterior 320 and the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ipe 100 and the support pipe 300. Of course, the first bond (325) can be formed on all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100).

상기 내관(310)은 상기 외관(320)보다 상기 배관(10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100)과 제2차결합(31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차결합(315) 방식은 제1차결합(325) 방식과 마찬가지로 용접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배관(100) 간의 결합을 위해 채택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inner pipe 310 may protrude outside the pipe 100 beyond the exterior 320 to form a secondary coupling 315 with the pipe 100. Like the first coupling 325 method, the secondary coupling 315 method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adopted for coupling between pipes 100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cluding welding.

상기 외관(320) 및 내관(310)이 각각 배관(100)과 결합을 형성하여 2중으로 결합을 형성함에 따라 기존에 지지관(300)이 배관(100)과 형성하는 결합과 비교하여 견고하고 균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관(300) 및 유속변화구조체(200)의 파손 가능성이 확연하게 저감됨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The outer pipe 320 and the inner pipe 310 each form a double bond with the pipe 100, making it more robust and balanced compared to the existing bond between the support pipe 300 and the pipe 100. It can be easily expected that a positive bond can be formed,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support pipe 300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significantly reduced.

상기 지지관(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10) 및 외관(32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므로, 내관(310)과 외관(320)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파손감시선걸이(3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파손감시선걸이(330)와 배관(100) 외부의 단자대(350)를 연결하는 파손감시선(34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ipe 300 is provided with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spaced apart, so it is damag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 monitoring line hanger 330 may be provided, and a damage monitoring line 340 connect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the terminal block 350 outside the pipe 100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파손감시선(340)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관(320) 및 외관(320)보다 배관(100) 외부로 돌출된 내관(310)이 제1차결합(325) 및 제2차결합(315)을 형성하므로, 지지관(300)과 유속변화구조체(200)의 파손 및 이탈 우려가 현저히 저감되며, 파손 및 이탈 되더라도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차압식 유량계와 비교하여 연결 신뢰성이 월등하게 개선됨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separated or damaged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dis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ior 320 and the piping ( 100) Since the inner tube 310 protruding to the outside forms the first coupling 325 and the second coupling 315, the risk of damage or separation of the support tube 300 and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is significantly reduced. Even if it is damaged or separated, it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so it can be easily expected that the connection reliability will b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파손감시선걸이(330) 및 파손감시선(340)의 구조, 기능, 효과 및 도4에 도시된 다양한 변형 예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function, and effect of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30 and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and various examples of modifications shown in Figure 4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I decided to do it.

마찬가지로 상기 파손감시선(340)은 도선(conducting wire)으로 구비되어, 배관(100) 외부에 구비된 단자대(350) 및 단자대(350)에 연결된 제어부(360)와 전기적 회로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손감시선(340)의 단선 여부를 제어부(360)를 통해 인지하고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Likewise,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provided as a conducting wire, so that it can form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350 provided outside the pipe 100 and the control unit 360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350. Accordingl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340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and monitored through the control unit 360.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200)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100)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유속변화구조체(200)가 배관(10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2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지지대(210)의 구조, 기능, 효과 및 변형 예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Likewise,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support that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00 to preven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 100. It may further include 210, and the structure, function, effect, and modification exampl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intended to be limiting.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이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scope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10 : 배관
20 : 유속변화구조체
30 : 지지관
40 : 제1압력측정탭
50 : 제2압력측정탭
100 : 배관
200 : 유속변화구조체
210 : 보조지지대
300 : 지지관
310 : 내관
315 : 제2차결합
320 : 외관
325 : 제1차결합
330 : 파손감시선걸이
340 : 파손감시선
350 : 단자대
360 : 제어부
400 : 제1압력측정탭
10: Piping
20: Flow rate change structure
30: support pipe
40: first pressure measurement tab
50: Second pressure measurement tab
100: Piping
200: Flow rate change structure
210: Auxiliary support
300: support pipe
310: inner tube
315: secondary bond
320: Appearance
325: 1st bond
330: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340: Damage monitoring line
350: terminal block
360: Control unit
400: First pressure measurement tab

Claims (9)

배관;
상기 배관 내부에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변화시키는 유속변화구조체;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내관 및 외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마련되는 지지관;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에 의한 유체의 유압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검측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파손감시선걸이; 및
상기 파손감시선걸이와 상기 배관 외부의 단자대를 연결하는 파손감시선;을 포함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pipe;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nd chang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 support pipe that connects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and is provided 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 change in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du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calculates a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from the measured value;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Including a damage monitoring line connect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and a terminal block outside the pipe, the connection reliab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s separated or damaged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Improved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각(θ2)은 상기 제1경사각(θ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 a cone shape with an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ral axi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conical shape,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is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that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o preven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 Expression flow 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감시선은 상기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에 연결된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이루어,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amage monitoring line forms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unit.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배관;
상기 배관 내부에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변화시키는 유속변화구조체;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 및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에 의한 유체의 유압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는 검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내관 및 외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외관은 상기 배관과 제1차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은 상기 외관보다 상기 배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과 제2차결합을 형성하여 지지력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pipe;
a flow rate chang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nd chang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 support pipe connecting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pipe to suppor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so that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and
It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change in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due to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calculat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from the measured value,
The support pipe h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re spaced apart,
The exterior forms a primary bond with the pipe,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ipe protrudes outside the pipe more than the exterior to form a secondary coupling with the pipe, thereby strengthening the supporting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파손감시선걸이; 및
상기 파손감시선걸이와 상기 배관 외부의 단자대를 연결하는 파손감시선;을 포함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이탈 또는 파손 여부를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입식 유량계.
According to clause 5,
The support tube includes a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Including a damage monitoring line connecting the damage monitoring line hanger and a terminal block outside the pipe, the connection reliab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s separated or damaged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Improved plug-in flow me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감시선은 상기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에 연결된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이루어, 상기 파손감시선의 단선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clause 6,
The damage monitoring line forms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terminal block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damage monitoring line is disconnected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unit.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1경사각(θ1)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 연결되며 외표면이 중심축과 제2경사각(θ2)을 이루며 원추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각(θ2)은 상기 제1경사각(θ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clause 5,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 a cone shape with an outer surface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with the central axi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with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conical shape,
A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 2 ) is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 1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변화구조체는 상기 유속변화구조체의 외주면과 상기 배관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유속변화구조체가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 차압식 유량계.
According to clause 5,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that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o prevent the flow rate change structu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 Expression flow meter.
KR1020220107148A 2022-08-25 2022-08-25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KR202400288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48A KR20240028864A (en) 2022-08-25 2022-08-25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48A KR20240028864A (en) 2022-08-25 2022-08-25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864A true KR20240028864A (en) 2024-03-05

Family

ID=9029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148A KR20240028864A (en) 2022-08-25 2022-08-25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86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471A (en)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대한인스트루먼트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meter that is convenient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471A (en)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대한인스트루먼트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meter that is convenient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8315B (en) Device for measuring the total pressure of a flow and method using said device
KR20240028864A (en)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CN105716670A (en) Multichannel rectangular needle tube flow measurement device
WO2011079820A1 (en) Hyperboloid balance flowmeter
CN103398733A (en) Anti-blocking pressure guidance probe of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detection device
KR20140056886A (en) Pitot tube for hot water service line of floating marine structure with multiple measurement points and the flow velocity measurement method using this
CN205506129U (en) Multichannel square needle tubing flow measuring device
KR101789543B1 (en) Average pitot tube type flow meter
US20060266126A1 (en) Flow meter
US8328529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submersible pump assembly with pump discharge head having an integrally formed discharge pressure port
CN204556035U (en) Flowmeter
JP2009041924A (en) Flowmeter
CN113531402B (en) Full-automatic high-sensitivity pipe network leakage monitoring sensor
US11365993B2 (en) Venturi flowmeter having a replaceable tube insert and ring element inserted in the main orifice of the venturi
CN220891220U (en) Ball valve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US9459126B2 (en) Flow meter
CN210398101U (en) Anti-forgetting clamping pressure connecting pipe fitting with sonar detection function
CN103206989B (en) A kind of Under-pressure installation insertion type V cone flow rate meter
CN210037863U (en) Compound type flue gas flow velocity measuring device
CN214893454U (en) U0/D0 vertical spiral wing type water meter
CN219829982U (en) Orifice flowmeter
CN209485683U (en) A kind of steam pressure-reducing valve detection device
CN208751667U (en) A kind of adjustable flowmeter of rectilinear indicator post
CN220794325U (en) Laminar flow flowmeter structure
CN214407614U (en) Be used for changing low velocity of flow high pressure vortex shedding flowmeter 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