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724A -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24A
KR20240028724A KR1020220106845A KR20220106845A KR20240028724A KR 20240028724 A KR20240028724 A KR 20240028724A KR 1020220106845 A KR1020220106845 A KR 1020220106845A KR 20220106845 A KR20220106845 A KR 20220106845A KR 20240028724 A KR20240028724 A KR 2024002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ompound
superconducting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eram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배
김지훈
권영완
Original Assignee
권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완 filed Critical 권영완
Priority to IL31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IL311074A/en
Priority to CA3230336A priority patent/CA3230336A1/en
Priority to PCT/KR2022/012774 priority patent/WO2023027537A1/ko
Priority to KR1020220106812A priority patent/KR20230030551A/ko
Priority to EP22861745.2A priority patent/EP4379772A1/en
Priority to KR1020220106845A priority patent/KR20240028724A/ko
Priority to AU2022332786A priority patent/AU2022332786A1/en
Publication of KR2024002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H10N60/855Ceramic super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47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phosphates, e.g. hydroxyapati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은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이에 의할 때,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Ceramic composite with superconductivities over room temperature at atmospheric (ambient) pres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ramic composite}
본 발명은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전기, 전자의 시대로 불리울 만큼 전자를 다루는 기술에 있어서는 엄청난 진보를 거듭해 왔다. 그 근원적인 측면은 물론 발전, 송전, 배전에 기반한 전력의 충분한 공급에 있으며, 전력을 저장 할 수 있는 매체인 일차전지, 이차전지 및 무선 전력 송수신의 기술에 까지 발전 하여 현대의 엄청난 발전을 이루어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두된 환경, 에너지의 문제들에 대한 대안 마련과 반도체의 고집적화/ 고밀도화의 문제로 나타나는 효율저하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문제들은 근원적으로 기존의 구리, 금과 같은 저저항 물질의 사용으로 해결해 오던 방식을 새로이 대체/해결 할 물질을 찾아내어야 한다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그에 대한 접근으로 관심을 끌었던 분야가 고온 초전도 분야 이며, 이는 1986년, 베드노르츠(Bednorz) 및 뮬러(Muller)가 고전적 이론인 BCS 이론의 임계온도 한계보다 더 높은 임계 온도 (Tc)를 갖는 초전도성 물질의 새로운 부류를 발표하면서 고체 물리학 커뮤니티를 놀라게 하였다 [Bednorz, et al, ZPhys B 64, 189 (1986)].
이들 물질은 완충제 양이온에 의해 분리된 산화구리 층으로 이루어진 세라믹이다. 베드노르츠 및 뮬러의 원래의 화합물 (LBCO)에서, 완충제 양이온은 란타넘 및 바륨이다 이들의 작업에 의해 고무된 폴 추(Paul Chu)는, 완충 이온이 이트륨 및 바륨인 유사한 물질을 합성하였다
이 물질이 YBCO이며, 액체 질소의 비점 (77K)을 초과하는 Tc를 갖는 최초의 초전도체이다 [Wu, et al, Phys Rev Lett 58, 908 (1987)]
그와 유사한 전기를 마련한 보고 중 최고의 임계 온도 상승은 155GPa의 압력에서 황화수소가 나타내는 203.5K으로 알려져 있다.[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at 203 kelvin at high pressures in the sulfur hydride system. Nature 525, 73 (2015).]
이후에도, 비슷한 물질을 이용한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임계온도가 계속 상승하다가 2020년에 상온에 육박하는 15℃의 임계온도를 가지는 초전도 물질도 보고되었으나 267GPa의 매우 높은 압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압력을 낮추려는 노력을 거듭한 결과 2021년에는 186GPa의 압력을 가했을 때 약 영하 5℃에서 초전도 특성을 보이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실생활에 응용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https://en.Wikipedia.org/wiki/Room-temperature_superconductor ).
그 이유는 이러한 황화수소 계열이나, 이트륨 초수소화물의 실험 결과로 인해 학계에서도 상온 초전도체에 대한 기대가 큰 것이 사실이나, 267GPa이나 186GPa는 대기압(1atm)의 약 이십만 배 내외에 해당하는 압력이며, 무게로 환산하면 1cm2의 면적에 2700톤 이상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이 자체로써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상온 뿐만 아니라 상압에서도 사용 가능한 초전도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것은 황화수소나 이트륨 초수소화물 계열이 아닌, 다시 말해 고압이 필요하지 않는 물질이어야 그 응용성이 높아져 산업 전반에 이용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기출원한 발명에서 313K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상온 상압 초전도 물질이 소량 포함된 물질을 개시한 바 있는데, 이는 자기적 특성과 MAMMA 분석을 통해 초전도 물질이 포함된 사실은 확인하였으나, 포함된 양이 적어 초전도 특유의 전기적 특성을 미흡하게나마 확인한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초전도 세라믹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초전도 세라믹화합물의 박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초전도 세라믹화합물의 고상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의 A의 자리에 B가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B에 의하여 다른 A 위치가 변경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B의 치환에 의하여 세라믹화합물의 격자 구조가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A와 (PO4)6와의 사이에 초전도양자우물(SQW)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전도양자우물(SQW) 사이는 3.7Å 내지 6.5 Å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전도양자우물(SQW) 사이에서 터널링이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B의 치환으로 강도, 경도가 증가하여 열용량 변화가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증착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증착은 반응온도 550℃~2000℃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라나카이트(L, Lanarkite(Pb2SO5=PbO·PbSO4))와 카퍼 포스파이드(Cu3P)를 반응시켜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시 온도 600℃ ~ 10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라나카이트는 PbO와 PbSO4를 조성에 따라 적량하고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Cu3P의 합성은 Cu와 P를 조성비에 따라 적량하고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반자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자기장에 따라 반자성, 강자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옴의 법칙(V=I×R, V: 전압, I: 전류, R: 저항)을 따르지 아니하는 것(V≠I×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자기장에 따라 V=I×R이거나 V≠I×R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의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저항-온도 특성이 전이온도를 지나 옴의 법칙을 따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화합물의 열용량 특성이 Debye 모델에 의한 열용량 변화의 법칙을 따르지 아니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특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구조를 모식화한 그림으로, A는 Pb로, B는 Cu로 대표하여 나타내고 도 1은 공간을 표시하는 직교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에서 a-b 평면을 직교 하는 c축 방면에서 바라본 세라믹화합물의 구조와 단위 셀(Unit cell)을 표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위 셀(Unit cell)을 a-b 평면과 수직인 c축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표시한 그림으로 실선 박스로 표시한 내부가 본 발명의 세라믹화학물의 단위 구조이고 초전도 양자우물(SQW)이 생성되는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A( Pb(II) 이온)는 다면체 Pb(2) 위치에 B( Cu(II) 이온)가 치환된 구조를 보여주며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치환된 구리 이온에 의하여 부피감소와 응력의 발생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4는 도 2의 초전도 양자우물(SQW)이 Pb(1)와 인산염 옥시젠 사이에 구조적 왜곡에 의하여 형성되어 나타내는 밴드 다이어그램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LK-99 시료를 촬영한 사진으로, 짙은 회색(옅은 검은색)을 보여주며,
도 6, 7은 각각 실시예 1의 시료를 298K~398K에서 측정한 전압 대 인가 전류 그래프와 제로저항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그래프내 그래프의 수직축 수치들의 지수는 10-9(×10-9)이고,
도 8, 9는 각각 실시예 2의 시료에 대한 인가 전류의 외부 자기장(H) 의존성과 영계 냉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 11은 각각 실시예 2의 시료에 대한 임계전류와 임계자기장 상관그래프 및 임계전류와 임계온도 상관그래프이고,
도 12는 실시예 2 시료를 XRD 실험한 결과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EPR 신호 그래프이고,
도 14는 LK-99의 I-V 측정 후 얻은 EPR 신호 그래프이며,
도 15는 열 용량 데이터에서 계산된 디바이(Debye)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열 용량 곡선이며,
도 17, 18은 각각 각각 실시예 2의 시료에 대한 300K에서 VSM 모드로 SQUID 측정을 통해 강자성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9는 실시예 2의 시료에 대한 100K에서 DC 자기장 측정에 의한 마이스너 효과(0 Oe 부근, <±100 Oe), 강자성(<±500 Oe) 및 반자성(> ±500 Oe)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0은 실시예 2 시료의 전자스핀공명측정에서 흡수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1, 22는 실시예 2의 시료의 자기부양사진으로 도 21은 LK-99 시료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에 반자성 특성이 매우 작아서 자기부양 현상이 잘 안되어 자석 위에 그냥 올려져 있는 것을 보여주고, 도 22는 공급된 전류에 의해 생성되고 증가된 쿠퍼쌍으로 인해 반자성 특성이 강화되어 자기부양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출원한 발명에서 공개하지 못한 소량 존재하는 초전도 물질만의 결정구조에 대하여 더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상증착(VD: Vapor Deposition) 방식을 통해 박막의 형태로써 초전도 물질의 양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었고, 또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초전도 물질의 반응 메커니즘 및 결정구조를 확인하는 한편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고상반응을 이용하여 알갱이(ingot) 또는 분말(powder) 형태로도 초전도 물질을 합성할 수 있었다.
아울러 증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에너지원은 열을 이용한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에 한정하지 않고, 원자층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스퍼터링(sputtering), 열증착(thermal evaporation), 전자빔 증착(e-beam evaporation), 분자빔 증착(molecular beam epitaxy; MBE), 펄스레이저증착 (pulsed laser deposition; PLD) 등도 원료를 증착시킬 수 있는 한 제한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은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A10-xBx(PO4)6O, x=0.1 내지 2.0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상기 화학식 1은 아파타이트(Apatite)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 물성이나 특성이 상이하므로 본 특허에서는 이 구조를 'LK-99'로 구별하기도 한다.
상기 아파타이트는 인산기 등과 금속이 결합된 광물로 예전부터 흔히 염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것은 에너지 갭이 큰 전기적 부도체(insulator)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는 LK-99 구조는 화합물에 치환체(substituent)나 첨가 불순물(Dopant) 및 결함(defect) 등으로 새로운 에너지 준위를 형성하여 전기적 도체, 특히 초전도 특성을 발휘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a, Ba, Sr, Sn, Pb 등의 금속으로 s-block 금속, p-block 금속의 특징을 가지며, 또는 Y, La, Ce 등으로 금속은 란탄계열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는 Cu, Cd, Zn, Mn, Fe, Ni, Ag 등으로 d-block 금속의 특징을 가지며, B는 일종의 치환체나 첨가 불순물로써 d 오비탈을 가지는 원소들로서, 이에 의하여 전기적 부도체에서 전도체 또는 초전도체로 변화된 특성이 있다.
아울러, x=0.1 내지 2.0이 바람직한데, 만일 0.1 미만이면 세라믹화합물의 구조상 공간적 왜곡이나 왜곡으로 인한 입자간 응력 발생이 미미하여 초전도 양자우물(Superconducting Quantum Well : SQW)이 생성되지 아니할 수 있고, 반대로 2.0을 초과하면 화합물이 미생성되거나 불안정한 격자나 다른 형태의 격자가 생길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구조를 모식화한 그림으로, A는 Pb로, B는 Cu로 대표하여 나타내고 도 1은 공간을 표시하는 직교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에서 a-b 평면을 직교 하는 c축 방면에서 바라본 세라믹화합물의 구조와 단위 셀(Unit cell)을 표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위 셀(Unit cell)을 a-b 평면과 수직인 c축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표시한 그림으로 실선 박스로 표시한 내부가 본 발명의 세라믹화학물의 단위 구조이며 그와 더불어 초전도 양자우물(SQW)이 생성되는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A( Pb(II) 이온)는 다면체 Pb(2) 위치에 B( Cu(II) 이온)가 치환된 구조를 보여주며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치환된 구리 이온에 의하여 부피감소와 응력의 발생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4는 도 2의 초전도 양자우물(SQW)이 Pb(1)와 인산염 옥시젠 사이에 구조적 왜곡에 의하여 형성되어 나타내는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6개의 A(Pb(1))와 채널 산소(O)에 의하여 다면체 구조가 형성되는데, 즉 3개의 A가 삼각형 형상으로 평면적으로 배열되고 그 위나 아래로 3개의 A가 삼각형 형상의 평면을 적층되되 각각의 삼각형이 겹치는 형태가 아닌 엇갈린 배열로 구비되며 인산염((PO4)6)은 각 A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다면체 구조는 A를 Pb로 예를 들면, 비대칭 다면체 6Pb(1)-O로 표기하며 단위격자(Unit cell)내에서 그 상하로 연속되어 전체 고체 구조 안에서는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구조를 형성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Pb(1)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채널 산소(O)가 있을 수 있는 4개의 자리를 중심으로 Pb(1) 6개가 3개씩 한 층을 이루어 총 2층을 이룬다.
단위격자가 연속 될 경우 채널 산소(O)는 4개의 자리 중 임의로 1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단위격자내의 6Pb(1)-O 층이 c축 방향으로 연결되면 원통형 기둥 구조가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Pb(2)-O-P로 만들어진 3차원 구조로 둘러 쌓여있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는 전체적으로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절연성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가 둘러싸고 있으며, 둘러싸인 내부는 비대칭 다면체 6Pb(1)-O가 배열되는데, 비대칭 다면체 6Pb(1)-O는 두개의 삼각형(3Pb(1))이 상하로 엇갈려 배열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 B(Cu)는 A를 대신하여 치환되는데, 앞서 다면체를 형성하는 A(Pb(1))를 치환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구조의 외각(外殼)에 배열된 4개의 A(Pb(2))를 대체하여 배열되며, 내부 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Pb(1)과 구별하여 Pb(2)로 표시한다.
즉, 다면체 4Pb(2)는 LK-99의 절연성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에 배열되며, 구리이온(Cu2+)은 4개의 Pb(2) 이온 중 대략 1개가 구리이온으로 치환되어 Pb(1)의 위치가 치환된 구리에 의하여 원래 위치(치환전)에서 약간 이동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데, 도 3에 표현한 바와 유사하게, 치환된 구리이온에 의하여 절연성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에 부피 변형(Volume shrinkage and stress)이 생기며 이 영향으로 그 내부의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에 Pb(1)들 배열의 왜곡(distortion)이 발생되므로 절연성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와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과의 계면에서 왜곡이 발생하여 초전도 양자 우물(SQW)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LK-99에서의 구리이온의 치환은 구리이온(Cu2+, 87 pm)이 납이온(Pb2+, 133 pm) 보다 작기 때문에 0.48%의 부피 감소를 초래하였고, 이 부피 감소로 인해 발생한 응력이 최종적으로 초전도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서 구리의 비율은 XPS의 원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하고, 열용량에 관한 디바이 모델(Debye model)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데, 더 자세하게는 후술한다.
XPS의 각 원자 %는 해당원자의 binding energy peak의 각각의 면적을 합한 후에 각 원자의 측정오비탈을 차지하는 총전자의 개수로 나눠준 후 해당 원자의 XPS 측정의 상대적 감도를 곱하여 각 원자의 양 또는 강도(intensity)를 계산할 수 있으며, Pb와 Cu의 상대적 양을 계산하여 구리의 비율을 정할 수 있고, XPS 측정 데이타를 기반으로 Pb의 값을 10으로 했을 때 Cu의 값이 0.9 정도로 계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 LK-99의 색상은 아파타이트의 아이보리색과 대비되는 회색이나 검정색이며(도 5), 절연체인 아파타이트와는 달리 초전도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는 세라믹화합물은 B의 치환에 의하여 A의 배열 위치의 변화가 초래되므로 세라믹의 강도, 경도가 증가하여 열용량 변화가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데, 그 이유는 치환된 B(Cu2+)에 의해 A(Pb2+)보다 크기, 부피가 작으므로 전체적으로 부피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B의 치환으로 분자적 구조의 변형으로 정상적인 3차원 진동운동을 제한하여 열용량 변화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초전도 양자 우물(SQW)들 사이 터널링으로 전자가 이동하면 저항값이 0이 될 수 있는데, 주지된 바와 같이 조셉슨 효과(Josephson effect)는 초전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개재시켜도 터널링이 되어 전류가 흐르는 효과와 유사하다.
상기 LK-99의 초전도 양자 우물(SQW) 사이가 3.7Å 내지 6.5 Å 간격이 되므로 초전도 양자 우물 사이의 터널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터널링이 가능하려면 두 개의 반대 스핀을 가진 전자가 결합하여 쿠퍼쌍을 이루면 이 쿠퍼쌍 전자는 주변 원자의 원자핵과의 쿨롱(coulomb) 인력이 크게 작아져 장벽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또한 터널링에 필요한 운동 에너지를 쿠퍼쌍 사이의 전자-전자 상호작용에 의한 운동에너지 그리고 쿠퍼쌍을 이루는 두개의 전자가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의 합 등이 SQW 사이를 터널링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LK-99는 내부 기둥구조의 Pb(1)과 외부 절연성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와의 사이에 SQW을 가지므로, 인가된 전류는 터널링 과정을 통해 원통형 기둥에 존재하는 SQW를 통해 전달되며 LK-99는 부분적으로 채워진 SQW를 가지고 있으며, 전달되는 전자는 페어링, 초전도 전자(Cooper-pair), 축합 등을 거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는 상온과 압력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B(Cu2+)의 치환에 의해 발생한 응력이 해소되지 않고 원통형 기둥의 계면에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즉, 다각형(또는 원통형) 기둥 계면의 Pb(1) 원자는 구조적으로 제한된 공간을 차지하며, 이러한 계면 원자는 친환된 B, 예를 들어 구리이온(Cu2+)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에 전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상온, 대기압 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변형이 해소되어 원상으로 회복되는 이완 없이), SQW이 생성되어 초전도 현상을 발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원료를 증착하여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A10-xBx(PO4)6O, x=0.1 내지 2.0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또한, 상기 원료는 화학식 1의 물질들을 몰비에 따라 전체 중량을 적량하여 진공 조절이 가능한 반응용기에서 반응온도 550℃ ~ 2000℃, 반응시간 1 ~ 100시간 동안 반응시켜 증기상 증착되도록 하여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아울러, 증기상 증착이 효과적으로 치밀하고 균일하게 이루지도록 상기 원료를 전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처리는 화학식 1의 물질들을 몰비에 따라 전체 중량을 적량하여 진공 조절이 가능한 반응용기에서 반응온도 550℃ ~ 1100℃, 반응시간 1 ~ 100시간 동안 반응시켜 전처리한 세라믹전구체를 증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리적 증착(PVD)의 한 방법인 Thermal Vapor Deposition(TVD)의 공정온도, 공정시간은 ① 세라믹 전구체의 경우에는 550℃ ~ 1100℃, 1 ~ 100시간을 수행하고, ② 증착 공정의 경우에는 550℃ ~ 2000℃, 0.001 ~ 100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유로 세라믹 전구체의 경우는 일차적으로 조성비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안정적으로(550℃ ~ 1100℃) 반응조건을 조성하여 잘 혼합된 고체(Solid-solution) 상태에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하여 이를 증착에 원료로 쓰기 위해 1차적으로 준비하는 전구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물리적 증착(PVD)의 한 방법인 Thermal Vapor Deposition(TVD)의 공정온도, 공정시간은 ① 세라믹 전구체의 경우에는 550℃ ~ 1100℃, 1 ~ 100시간을 수행하고, ② 증착 공정의 경우에는 550℃ ~ 2000℃, 0.001~ 100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유로 세라믹 전구체의 경우는 일차적으로 조성비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안정적으로(550℃ ~ 1100℃) 반응조건을 조성하여 잘 혼합된 고체(Solid-solution) 상태에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하여 이를 증착에 원료로 쓰기 위해 1차적으로 준비하는 전구체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세라믹 전구체의 가열온도가 550℃ 미만이면, 충분한 섞임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1100℃를 초과하면, 높은 온도에 따라 조성의 변화가 일어 날 수 있으며, 다른 반응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조성이 만들어지지 않는 문제와 더불어 에너지 낭비의 문제가 있고, 상기 가열 시간은 10 내지 100시간이 필요한데, 만일 10시간 미만이면 온도가 낮은 것과 마찬가지로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문제고, 반대로 100시간을 초과하면 너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이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전구체를 이용한 열증착을 포함한 물리적 증착공정의 가열 온도는 550 내지 2000℃인 것일 수 있는데, 만일 550℃미만이면, 원소들이 충분히 기화되지 못해 균일하게 화합물을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2000℃를 초과하면, 초전도 화합물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가열 시간은 0.001 내지 100시간이 필요하면 만일 0.001시간 미만이면 충분한 기화가 어려워 증착이 거의 안 될 정도로 매우 얇아질 수 있고, 반대로 100시간을 초과하면 증착이 완료된 이후 에너지 낭비적일 수 있다.
또한, 증착 공정 중 다른 하나는 CVD(화학식상증착방법)으로서 가열부에 잘 준비된(전처리 물질 포함) 시료를 진공 상태에서 올려놓고 에너지원으로 가하여 온도를 올려서 기상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550℃ 미만이면 기체상태가 되어야 할 물질들의 기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며, 2000℃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면 증착면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 원하는 증착상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시간은 0.001내지 100시간이 필요하고, 만일 0.001시간 미만이면 충분한 기화가 어려워 증착이 거의 안 될 정도로 매우 얇아질 수 있고, 반대로 100시간을 초과하면 증착이 완료된 이후 에너지 낭비적일 수 있다
CVD(화학식상증착방법)의 경우, 일차적으로 Larnarkite가 형성되는 반응은 PbS가 먼저 기화되어 기판(substrate)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며,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2PbS (s) + 5/2O2 (s, from substrate) → Pb2SO5 (s) + S(g)↑
이후 이렇게 형성된 Larnarkite(Pb2SO5=PbO·PbSO4) 위에 Cu와 P가 각각 Pb와 S를 치환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인 초전도 물질의 구조인 'LK-99'를 생성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추론을 통해 알아 낼 수 있었다.
① 초전도 물질은 Lanarkite가 있는 영역에서 형성되고, ② 초전도 물질 영역에서는 Cu와 P가 같이 검출되며, ③ Cu와 P가 이루는 화합물 중 database(COD) 상에 있는 물질은 Cu3P이고, ④ 따라서, Lanarkite와 Cu3P가 반응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인 초전도 물질의 구조인 'LK-99'를 생성함을 알 수 있고, 이를 정리하면 아래 반응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2>
L + Cu3P → LK-99
(L : Lanarkite (Pb2SO5=PbO·PbSO4))
위 반응식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반응 메커니즘이며, 아파타이트 구조는 황산기(sulfate) 만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인산기(phosphate) 단독 또는 인산기와 황산기의 혼합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Lanarkite는 황산기 화합물인데 Cu3P와 반응하여 일부 또는 전체 황이 인으로 치환됨으로써 인산기를 형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의 합성은 상기 반응식을 이용하여 고상반응(solid-state reaction)을 실시하여 수행할 수 있다.
먼저, Lanarkite를 합성하기 위하여, PbO 분말과 PbSO4 분말을 1:1의 몰 비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은 후 가열로에 넣고 725℃에서 24hr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 후, 분쇄하여 바이알에 넣고 보관한다.
다음으로, Cu3P를 합성하기 위하여, Cu 분말과 P 분말을 조성비로 혼합하고, 반응관(쿼츠 관)에 담아 진공 형성후 밀폐(sealing)하고, 550℃에서 48hr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 후, 반응관에서 빼어 내어 알갱이(ingot)을 분쇄하여 바이알에 넣고 보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합성한 Lanarkite와 Cu3P를 1:1의 몰 비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반응관에 투입하고 진공 형성 후 밀폐하며, 600℃~1000℃에서 5hr~40hr 동안 반응시키고(만일 이 온도 범위 아래에서는 충분한 반응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이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Lanarkite에 포함된 SO4가 분해될 수 있고, 또한 이 시간 범위 아래에서는 미반응한 물질이 많이 존재하게 되고, 이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이미 반응이 종료되어 별다른 효과가 없을 수 있음), 반응 종료 후, 반응관에서 빼낸 시료는 알갱이(ingot) 형태이며, 이를 필요에 따라 알갱이를 가공하거나 분쇄하여 보관할 수 있다.
실시예1 - 증착 합성
화학식 1 A10-xBx(PO4)6O에서 A는 Pb, B는 Cu로 하여 화학식 2 Pb10-xCux(PO4)6O (x=0.1~2.0)을 준비되도록 몰비에 따라 총 중량 3g을 적량하여 쿼츠튜브에 넣고 진공펌프로 10-5Torr의 진공상태를 만든 후, 20분간 유지후 튜브의 전체 길이가 15cm가 되도록 하여 토치를 이용해 밀폐하고, 쿼츠튜브를 가열로(furnace) 챔버에 넣고 반응온도 550℃~1100℃, 반응시간 10~100시간 동안 반응시켜 세라믹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를 원료로 기재(Substrate) 위에 적재하고, 진공 챔버(Chamber)내에 배치한 후 가열부(tungsten boat)위에 놓고 10-5Torr 이하로 진공을 유지하며, 가열부의 온도를 550℃~900℃ 정도로 약 1~5분간 유지하여 액화시킨 후 900℃~2000℃ 로 승온하여 기화시켜, 기체의 상승경로에 배치된 고순도 Glass 판 표면에 증착시켜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2 - 고상합성
Lanarkite를 합성하기 위하여, PbO 분말과 PbSO4 분말을 1:1의 몰 비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은 후 가열로에 넣고 725℃에서 24hr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 후 분쇄하였고, Cu3P를 합성하기 위하여, Cu 분말과 P 분말을 조성비로 혼합하고, 반응관(쿼츠 관)에 담아 진공 형성후 밀폐(sealing)하고, 550℃에서 48hr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 후, 반응관에서 빼어 내어 알갱이(ingot)을 분쇄하였으며, 상기 Lanarkite와 Cu3P를 1:1의 몰 비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반응관에 투입하고 10-5 Torr진공 형성 후 밀폐하며, 925℃에서 10hr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 후 반응관에서 빼낸 시료는 알갱이(ingot)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여기 고상반응에 사용한 재료는 PbO(JUNSEI, GR), PbSO4(KANTO, GR), Cu(DAEJUNG, EP), P(JUNSEI, EP)이었다.
고상반응으로 얻은 시료는 진한 회색(dark gray)의 단단한 ingot 형태로 얻어지며 합성 반응 과정에서 빠져나오는 기체분자의 영향으로 약간 포러스(prous)하며, 시료의 크기는 반응 용기의 크기와 반응량에 따라 달라지고, 전기저항의 측정은 ingot을 얇은 판 형태의 직육면체로 가공하여 측정하였고 XRD와 SQUID, EPR은 분쇄한 분말로 측정하였고 XPS는 분말을 팰렛으로 만들어서 측정하였다.
실험예1 - 전기적 특성 측정
실시예1에서 얻은 ingot형태를 얇은 판 형태의 직육면체로 가공한 시료에 대하여 전기적 특성을 1.2㎜ 간격의 4점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키슬리 228A와 키슬리 182는 각각 전압/전류 소스와 디지털 전압계로 사용되었다. 정확한 온도 제어 및 측정을 위해 단열 알루미늄 마운팅 플레이트와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여 자체 설계된 난방 장치를 만들어 발열원으로 사용하였다. LabView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모든 계측기는 GPIB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였다. 온도 측정은 샘플 표면에 FLUKE 80BK-DMM K형 열전쌍 프로브를 사용하여 Keithley 2000으로 수행하였다.
도 6은 298K~398K에서 측정된 전압 대 인가 전류 그래프로서, 10-3Torr의 진공에서 온도가 20K씩 증가할 때마다 직류 극성 변화로 수행하였는데, 측정된 비저항은 10-6 내지 10-9Ω·cm 범위였다.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외부 자기장의 크기가 0 G 경우에 옴의 법칙을 따르지 않고 공급된 전류에 비해 전압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부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서 최대 전류의 양이 줄어드는 특성을 보이다가 최대 전류량을 넘어서면 옴의 법칙을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의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저항-온도 특성이 온도에 의해 초전도상이 깨져 온도가 높아질수록 전기저항이 0인 전류의 양이 줄어들고 결국에는 초전도상이 깨져서 옴의 법칙의 전류-전압 특성을 보일 것이다.
도 7은 새로운 초전도체로서 국제표준(Y. Wang, Fundamental Elements of Applied Superconductivity in Electrical Engineering. (Wiley, 2013), J. W. Ekin, Experimental Techniques for Low-Temperature Measur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6))의 제로저항을 만족시킨 LK-99 박막의 제로저항을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인가전류가 증감하는 동안 측정되는 전압은 0.1 μV/cm 범위에서 얻어졌으며, 비저항은 10-10~10-11Ω·cm의 순서로 계산되고, 잔존 저항의 발생은 결정립 경계가 적어져 박막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옴의 법칙을 따르지 않고 공급된 전류에 비해 전압의 변화가 거의 없는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 자기특성 측정
실시예2의 잘게 분쇄한 시료 45.814mg의 자화 정도를 초전도 양자간섭장치(SQUI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설정 : dc 모드, 30 mm 스캔 길이, 측정당 10 스캔, 스캔 시간 10초). 또한, 제로 필드 냉각은 외부 자기장 없이 400K에서 200K로 처리한 후 10 Oe 자기장에서는 200K에서 400K로 온도를 승온하고, 10 Oe 자기장으로 400 K에서 200 K로 냉각하였다.
아울러, 다른 자화 측정은 VSM 모드로 수행되며, 300K에서 -20,000Oe ~ +20,000Oe로, 그리고 세 번째 자화 측정은 dc 모드, 30 mm 스캔 길이, 측정당 10 스캔, 스캔 시간 10초로 수행되었다.
영계냉각(제로필드 냉각 : Zero Field Cooling)은 외부 자기장 없이 300 K에서 100 K까지 처리한 후 100 K에서 0 G ~ 3500 Oe, 3500 Oe ~ -3500 Oe, -3500 Oe ~ 3500 Oe에서 측정되었다.
도 8은 인가 전류의 외부 자기장(H) 의존성을 보여주며, 특히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최대 400 K에서도 10 Oe의 제로 필드 냉각 및 필드 냉각의 DC 자화 값은 여전히 음수이며, 이러한 결과는 초전도상이 10 Oe에서 400 K까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화율은 온도가 임계온도(Tc)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화율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전이(transition)가 발생하는데, 이 측정법을 ZFC라고 하며 온도를 고온에서 낮추면서 측정하는 방식을 FC라고 하는데, 온도가 임계온도(Tc) 이하로 내려가면 저항 값이 갑자기 감소(이론적으로는 zero '0'으로 감)하는 전이(transition)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온도가 저온에서부터 시작하여 400 K 이상으로 상승해도 동일한 데이터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200K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반대로 온도를 400K까지 올리면서 직류(DC) 자화율을 측정하고 다시 400K에서 10 G의 자기장하에서 다시 200K까지 냉각시키면서 직류(DC) 자화율을 측정한 경우에 초전도체의 특징인 음의 자화율 즉, 반자성 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 도 11는 400 K 및 3000 Oe 이상에서 임계 전류 값은 아직 0이 아니며, 400 K까지도 초전도상이 유지되고, 심지어 7 mA 미만의 전류에서도 400 K 이상임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400 K 이하의 초전도 전이 온도를 찾을 수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임계온도는 400K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3 - XRD 측정
실시예2의 분쇄한 파우더 시료를 만들어 XRD 측정 장비(리가쿠(일본 스마트랩))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쇄한 파우더 시료를 펠렛으로 만들어 XPS를 측정하였다.
도 12는 레퍼런스 데이타베이스(Crystallography Open Database(COD))와 일치하는 LK-99의 XRD 결과로서, 다른 처리 없이 원래 XRD 데이터는 Kα2-strip만 처리하였는데, 즉, XRD에서 사용하는 X-ray 파장은 단일파장이 아니라 Kα1과 Kα2라는 두 개의 파장이 섞여있으며, 두 파장의 에너지 차이가 비슷하여 분리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XRD의 peak를 자세히 보면 하나의 peak이라도 Kα1과 Kα2에 의해 두 개로 splitting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Kα2의 intensity가 Kα1보다 1/2 정도로 작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Kα2에 의한 부분을 제거하고 Kα1에 의한 peak만 고려한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들은 레퍼런스 데이타베이스상 아파타이트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르는 LK-99가 다결정이고 그것의 주 피크가 납-아파타이트(AP) 구조와 유사하며 불순물(Cu2S)은 소량임을 알 수 있다.
종래 납-아파타이트의 결정계는 육각형(P63/m, 176)이며, 셀 파라미터는 a=9.865 Å, c=7.431 Å인데, 본 발명의 LK-99는 parameter가 a=9.843 Å, c=7.428 Å로 기존 보다 수축된 형태로 보인다(부피 감소 0.48%은 육방정계의 부피 V=a2c sin(60o)의 식에 납-아파타이트의 단위셀 파라미터를 대입하여 계산한 값과 LK-99의 단위셀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이 체적 감소에 따른 응력이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밝히기 위해, 즉 Pb(1) 위치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계산된 구조 인자의 푸리에 변환을 통해 하나의 결정 축을 따라 1차원 전자 밀도 계산을 사용하였다.
전자밀도는 하기 식1을 이용하여 XRD 데이터의 (00l) 반사강도를 기준으로 z방향 θ(c)를 따라 계산하였다.
<식 1>
여기서 l, F(00l), c, z는 각각 (00l) 회절 피크의 순서, 구조 계수, c축의 단위 셀 파라미터 및 z축을 따라 원자 좌표를 의미한다.
도 12에서의 XRD 데이터의 (00l) 및 (h00)반사강도에 기초하여 z방향과 x방향인 ρ(c, rho c)와 ρ(a, rho a)를 따라 Pb(1)의 전자밀도 계산을 위해 위의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내부 원통형 기둥을 구성하는 Pb(1)의 위치는 치환된 구리이온이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치환됨으로써 원래 위치로부터 약간 이동되고, 원통형 기둥의 Pb(1)의 반복 삼각형 구조에서, 한 층에서의 Pb(1)간의 거리는 2.61815 Å으로 감소하고, 다음 층은 원래 거리 3.03340 Å에서 5.23476 Å으로 증가하였으나 LK-99의 Pb(1)의 삼각층 사이의 c축까지의 거리(3.7140 Å)는 납-아파타이트(3.7153 Å)와 거의 변화가 없다.
그리고 XPS 데이터의 분석결과에서 납(Pb(2))과 인(Phosphor)과의 결합에너지(B.E.)는 변하지 않았으나, 2p3/2와 2p1/2 사이의 사면체 PO4 네트워크 구조의 인 분리값(Phosphorus splitting value)은 0.68 eV에서 0.69 eV로 매우 소폭 증가하였으며, 모든 산소 B.E.는 각각 0.21 eV, 0.33 eV, 0.56 eV로 상당히 증가하였고, 또한 Pb(1)의 B.E 값은 0.03 eV만큼 약간 감소하였는데, 이로 부터 구리이온의 치환에 의한 체적 감소가 일어났으며, 체적 감소에 의한 응력은 최종적으로 Pb(1)의 위치 변화 및 Pb(1)에 인접한 산소 원자 간의 결합 에너지 변화를 야기하였음을 알 수 있다.
Pb 4f7/2, 4f5/2 P 2P3/2 2P1/2 O 1s Cu 2P3/2 2P1/2
Lead Apatite Pb(1) 137.42 eV
142.3 eV
Pb(2) 138.07 eV
142.95 eV
131.61 eV
132.3 eV
Splitting value: 0.69 eV
O(4) 529.10 eV
O(1) 529.57 eV
O(2) 530.02 eV
O(3) 530.60 eV
LK-99 Pb(1) 137.39 eV
142.27 eV
Pb(2) 138.07 eV
142.94 eV
131.62 eV
132.3 eV
Splitting value: 0.68 eV
O(4) 529.31 eV
O(1) 529.9 eV
O(2) 530.58 eV
O(3) 531.49 eV
Cu(0) 932.05 eV
951.91 eV
Cu(II) 933.78 eV
954.03 eV
위 표 1은 납-아파타이트와 LK-99의 결합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4 - 전자 상자기 공명(EPR) 분광 측정
EPR 분광 측정은 JES-FA200 ESR X-밴드 분광계(Jeol, Japan)를 사용하여 3.45 K ~ 295 K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었고, 입사 마이크로파 전력은 0.9980mW이며 수신기는 100을 얻고 스위프 시간은 1분으로 설정하였으며, 변조된 자기장은 100KHz에서 10G이고 스윕된 외부 자기장은 -100~9,900Oe 또는 0Oe~10,000Oe로 설정하였다.
실시예2의 분쇄한 파우더 시료는 5 ㎜ 쿼츠 튜브(미국 Wilmad Lab Glass, USA Wilmad Lab Glass)에 세팅되어 있으며, I-V 측정 전 LK-99용 밀폐 진공(5 x 10-5 torr)이며, 밀봉된 석영관을 액체 헬륨 냉각(크라이오스타트) 시스템이 장착된 실린더 캐비티에 장전했다.
I-V 측정 후 EPR 신호를 측정한 시료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 시료의 일부 조각을 장전하여 측정하였으며 밀폐된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는 EPR 실험 결과를 통해 초전도 양자 우물의 형성으로 초전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EPR 신호 그래프이고, 도 14는 LK-99의 I-V 측정 후 얻은 EPR 신호 그래프로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EPR 신호는 Si/SiGe, 건조 상태의 자연 DNA 및 Mg2+가 도핑된 α-Fe2O3와 같은 이종접합 양자우물(heterojunction quantum well)과 동일하며, 이 신호는 양자우물의 2차원 전자기체(2-dimensional electron gas, 2-DEG)의 사이클로트론 공명 신호로 해석되었으며, 이는 LK-99의 Pb(1)과 인산염의 계면에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세라믹화합물은 치환된 구리이온에 의하여 EPR 신호가 3000 Oe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GaAs/AlGaAs 및 DNA의 2-DEG 시스템에서 0.3 K 및 1 K에서 보고된 초전도 성질과, LaAlO3/SrTiO3와 같은 2-DEG 시스템의 이종접합과 같은 계면 구조를 갖는 초전도 성질과 유사한 결과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이 분자구조의 구조적 왜곡에 의해 Pb(1)과 Oxygens of Phosphate 사이에 초전도 양자우물(SQW)이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도 2와 같은 SQW 밴드 다이어그램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LK-99의 초전도성은 이 초전도 양자우물(SQW)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LK-99의 SQW의 다른 전기적 특성은 Pb(1)의 매우 낮은 페르미 에너지(-9.47 eV)와 절연체의 큰 밴드갭(5~7 eV)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산소 B.E.의 증가 절연층의 강한 분극과 Pb(1)의 B.E.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고, Pb(1)의 페르미 에너지를 낮추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 13의 EPR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신호이고, 도 14의 EPR은 전류가 인가된 신호인데, 전자에 비하여 후자의 신호 강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사이클로트론 공명의 신호 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하여 SQW의 관점에서 LK-99는 SQW를 공급하기 위한 전하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채워진 SQW를 가져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LK-99의 EPR 신호는 사이클로트론 공명 신호로서 검출할 수 있지만, 사이클로트론 공명 신호는 SQW이 완전히 채워지면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흡수신호는 YBCO와 Bi2212에도 확인되는 것 처럼 매우 낮은 온도와 1000Oe 외부자기장(R. Janes, R. S. Liu, P. P. Edwards, A. D. Stevens, M. C. R. Symons, Magnetic-Field Dependent Microwave-Absorption in High-Tc Superconducting Cuprates. J Chem Soc Faraday T 87, 1209-1215 (1991), M. Puri et al., Microwave-Absorption Characterization of the Yba2cu3o7-Delt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Prepared by Different Sintering and Oxygen Annealing Times. J Chem Soc Faraday T 87, 167-174 (1991))이하에서 나타나며, 그리고 1000 Oe 외부 자기장 이하의 신호는 초전도 전자에 의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예5 - 열용량 측정
열용량은 열용량측정장비(PPMS :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 System, PPMS, Quantum Design, USA)로 실시예2의 시료 65.26 mg을 이용하여 5 K에서 400 K까지 측정하였으며, 측정데이터(Raw data)는 불순물로 소량 포함된 Cu2S 벌크 및 나노시트의 열용량 기준으로 보정(calibration)하였다.
도 15는 열 용량 데이터에서 계산된 디바이(Debye)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열 용량 곡선이다.
상기 디바이(Debye) 온도는 하기 디바이 열용량 방정식(식 2)을 통하여 Pb10-xCux(PO4)6O식(x = 1)을 이용하여 열용량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식 2>
여기서 Cv는 열용량, r은 분자당 원자수, N은 분자수, k는 볼츠만 상수, T는 측정온도, θ는 Debye temperature, x = θ/T, e는 자연상수이다.
도 15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르는 LK-99의 디바이(Debye) 온도가 약 184 K에서 1300 K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종래 전자-포논 예측 모델로는 전이온도(Tc)를 계산할 수 없다.
즉, 상기 디바이 모델(Debye model)은 결정의 비열을 포논을 통해 다루는 모형인데,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이 예측모델에 의하여 해석할 수 없으므로 전자-포논 모델의 적용이 어렵다 판단된다.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의 열용량 특성이 일반적인 초전도체가 보여주는 2차 상전이 특성변화를 5K~400K 까지 온도영역에서 전혀 보여주지 않고 Debye 모델에 의한 열용량 변화의 법칙도 따르지 않고 있어 상기 세라믹 화합물의 내부 구조적 변화를 반영한 열용량 특성을 보여주는 물질로 상온 상압 초전도체의 열용량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청색선곡선(Debye temperature = 280 K)은 전형적인 아파타이트의 디바이 온도가 280 K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계산한 열용량 결과이고, 빨간색 선 곡선(Debye temperature = 184.56 K)은 LK-99의 저온(5 K)에서 디바이 온도(184.56 K)를 기준으로 계산된 열 용량 결과인데, 이는 LK-99의 열용량 곡선(검은 선 곡선)은 LK-99의 분자구조가 특징적인 네트워크 부분에서 구리이온 치환에 의해 정상 진동 모드가 제한되기 때문에 디바이 모델이 적용되지 않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통하여 구리이온의 치환에 의한 왜곡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6 - 자화율 측정
자화율은 초전도 양자간섭장치(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SQUID) 또는 Magnetic Property Measurement System(MPMS, Quantum Design, USA)로 시료 45.814 mg을 이용하여 300 K에서 -20,000G ~ +20,000G 범위에서 VSM 모드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는 도 17, 18과 같이 300K에서 VSM 모드로 SQUID 측정을 통해 강자성 거동을 보인다(도 17에서 분자 반자성을 반영하여 보정하면 도 18이 됨).
실험예7 - 자화율 측정
자화율은 초전도 양자간섭장치로 시료 45.814 mg을 이용하여 100 K에서-3,500G ~ +3,500G 범위에서 DC모드로 측정하였다.
도 19는 100K에서 DC 자기장 측정에 의한 마이스너 효과(0 Oe 부근, <±100 Oe), 강자성(<±500 Oe) 및 반자성(> ±500 Oe) 거동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저자기장 영역(0~±50G)에서는 반자성을 보이다가 ~±50G 이상에서 ~±500G의 자기장 영역에서 강자성특성을 보이고 ±500G~±3500G에서는 다시 반자성(Molecular diamagnetism, 분자 반자성)을 보이는 것이다.
Mg2+ 도핑된 α-Fe2O3 및 천연 dna와 같은 2-차원전자기체 (2-DEG) 시스템을 갖는 양자 우물은 반강자성 또는 강자성 거동을 보였고, GaAs/AlGaAs 시스템 및 dna의 2-DEG 시스템의 초전도성은 0.3K와 1K로 보고된 적이 있으며, LaAlO3/SrTiO3과 같은 2-DEG 시스템의 헤테로 접합과 같은 계면 구조를 갖는 초전도체도 초전도성과 자성을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도 마찬가지로 강자성 특성과 초전도성이 함께 나타나는 시스템인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8 - 전자 상자성 공명 분광기 (EPR) 측정
EPR 신호는 100KHz의 AC 자기장 변조와 함께 1 mW의 마이크로파 (~9.4 GHz)를 가해주면서 0 G에서 시료에 200 mA에서 100mA의 전류를 흘려주면서 EPR 신호를 검출하였다.
LK-99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0 G에서 전자스핀공명기로 측정을 하면 도 20과 같은 흡수 신호가 나타나는데, 더 많은 전류가 공급되면 될수록 흡수신호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 G에서의 마이크로파의 흡수는 초전도체의 특성으로 알려져 왔으며, 따라서 0 G로 자기장을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된 신호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쿠퍼쌍이 더 많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LK-99의 초전도 양자우물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전자들이 초전도 전자로 변환되어 더 많은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예9- 조절가능한 자기부양 측정
실시예 2의 시료에 전선을 연결하고 시료를 자석 위에 위치하고 전류를 흘리지 않을 때와 전류를 흘렸을 때 생성된 자기부양되는 현상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였다.
도 21은 LK-99 시료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에 반자성 특성이 매우 작아서 자기부양 현상이 잘 안되어 자석 위에 그냥 올려져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22는 공급된 전류에 의해 생성되고 증가된 쿠퍼쌍으로 인해 반자성 특성이 강화되어 자기부양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LK-99가 실온과 주변 압력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은 LK-99의 구조적 고유성으로 인해 Pb(2)2+ 이온의 Cu2+ 치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해소되지 못함과 동시에 원통형 기둥의 계면에 적절하게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즉, LK-99의 원통형 기둥 계면의 Pb(1) 원자는 구조적으로 제한된 공간을 차지하고, 이 원자들은 Cu2+ 이온에 의해 생성된 응력과 변형에 의해 전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SQW는 이완 없이 상온 및 주변 압력에서 적절한 양의 왜곡에 의해 인산염과의 계면에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CuO 및 Fe 기반 초전도체 시스템은 구조적 자유로 인해 이완 과정을 제한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및 압력에 의한 부피 수축에 의한 응력이 완화되고 사라지고, 따라서, 그들은 구조적 자유를 제한하고 SQW 생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 또는 압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LK-99는 부분적으로 채워진 SQW 모델로 입증되었으며 상온에서 초전도 퍼즐을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재료가 될 것이고, 모든 증거와 설명은 LK-99가 최초의 실온 및 주변 압력 초전도체라는 것을 보여주며, LK-99는 자석, 모터, 케이블, 공중부양열차, 전원 케이블, 양자 컴퓨터용 큐비트, THZ 안테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Claims (21)

  1.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의 자리에 B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에 의하여 다른 A 위치가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치환에 의하여 세라믹화합물의 격자 구조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와 (PO4)6와의 사이에 초전도양자우물(SQW)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양자우물(SQW) 사이는 3.7Å 내지 6.5 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양자우물(SQW)에서 터널링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치환으로 열용량 변화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9.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증착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은 반응온도 550℃~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11. 라나카이트(L, Lanarkite(Pb2SO5=PbO·PbSO4))와 카퍼 포스파이드(Cu3P)를 반응시켜 화학식 1에 의한 세라믹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A10-xBx(PO4)6O
    (A는 Ca, Ba, Sr, Sn 또는 Pb, B는 Cu, Cd, Zn, Mn, Fe, Ni 또는 Ag, x는 0.1 내지 2.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 온도 600℃ ~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나카이트는 PbO와 PbSO4를 조성에 따라 적량하고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u3P의 합성은 Cu와 P를 조성비에 따라 적량하고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15. 제 9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반자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른 자화율이 반자성, 강자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V≠I×R(V: 전압, I: 전류, R: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은 자기장 변화에 따르는 전류-전압 특성이 자기장에 따라 V=I×R이거나 V≠I×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의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저항-온도 특성이 전이온도를 지나 옴의 법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화합물의 열용량 특성이 Debye 모델에 의한 열용량 변화의 법칙을 따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성 세라믹화합물.





KR1020220106845A 2021-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28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311074A IL311074A (en) 2022-08-25 2022-08-25 Semiconducting ceramics at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A3230336A CA3230336A1 (en) 2021-08-25 2022-08-25 Room-temperature and ambient-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PCT/KR2022/012774 WO2023027537A1 (ko) 2021-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106812A KR20230030551A (ko) 2021-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EP22861745.2A EP4379772A1 (en) 2022-08-25 2022-08-25 Room-temperature and atmospheric-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0220106845A KR20240028724A (ko) 2022-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U2022332786A AU2022332786A1 (en) 2021-08-25 2022-08-25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45A KR20240028724A (ko) 2022-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24A true KR20240028724A (ko) 2024-03-05

Family

ID=9029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45A KR20240028724A (ko) 2021-08-25 2022-08-25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Bao et al. Superconductivity in quasi-one-dimensional K 2 Cr 3 As 3 with significant electron correlations
Kumakura et al. Upper critical fields of powder-in-tube-processed MgB 2/Fe tape conductors
Sun et al. Extreme anisotropy and anomalous transport properties of heavily electron doped Li x (NH 3) y Fe 2 Se 2 single crystals
Nakagawa et al. Gate-controlled low carrier density superconductors: Toward the two-dimensional BCS-BEC crossover
US9224937B2 (en) Precursor of MgB2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un et al. Magnetic field dependence of low-temperature specific heat of the spinel oxide superconductor LiTi 2 O 4
WO2012093303A1 (en) Supercondu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Zhu et al. First order transition in Pb $ _ {10-x} $ Cu $ _x $(PO $ _4 $) $ _6 $ O ($0.9< x< 1.1$) containing Cu $ _2 $ S
Lv et al. Type-I superconductivity in noncentrosymmetric Nb Ge 2
Geng et al. The development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and 2D iron-based superconductors
US11903332B2 (en) Superconductor comprising magnesium dibor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bamahoro et al. Replication and study of anomalies in LK-99—the alleged ambient-pressur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ire et al. High critical field superconductivity at ambient pressure in MoB 2 stabilized in the P6/mmm structure via Nb substitution
KR20240028724A (ko)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Ivanovskii Platinum-based and platinum-doped layered superconducting materials: Synthesis, properties and simulation
KR102404607B1 (ko) 초전도체를 포함하는 저저항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화합물
EP4379772A1 (en) Room-temperature and atmospheric-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8120356A (zh) 室温和环境压力超导陶瓷化合物及其生产方法
Hou et al. Synthesis, transport and magnetic properties of Cu-doped apatite Pb10− xCux (PO4) 6O
TR2024002252T2 (tr) Room-temperature and ambient-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Sei Two-Dimensional Superconductivity in Polycrystalline Y 2 O 2 Bi
Wilke et al. Superconductivity in MgB2
Bhattacharyya et al. Noncuprate Superconductors: Materials, Structures and Properties
KR20230030551A (ko)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