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643A - gobo lighting - Google Patents

gobo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643A
KR20240028643A KR1020220106643A KR20220106643A KR20240028643A KR 20240028643 A KR20240028643 A KR 20240028643A KR 1020220106643 A KR1020220106643 A KR 1020220106643A KR 20220106643 A KR20220106643 A KR 20220106643A KR 20240028643 A KR20240028643 A KR 2024002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gobo
light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성
Original Assignee
(주)여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담 filed Critical (주)여담
Priority to KR102022010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643A/en
Publication of KR2024002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6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56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the air at least partially flowing over lighting fixtures, the heat of which is dissipated or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고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의 냉각 효과가 뛰어나 과열에 의한 조명장치 전체의 고장을 방지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고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빛을 방출하는 광원(120), 상기 광원(12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판상에 임의의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되는 고보(150) 및 고보(150)로부터 투과된 빛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보 조명장치로서, 광원(120)을 감싸면서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진행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130)가 하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내부 열이 방출되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40)를 포함한 하우징 상부면 일부를 덮는 차광판(220); 및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140)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배출구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211)로 구성되는 차수 가이드(21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bo lighting device, and specifically, it is capable of effective heat dissipation using natural convection, is easy to maintain, can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terior even in rainy weather, and is not only highly durable, but also has a housing. This relates to an economical gobo lighting device that has an excellent internal cooling effect and prevents fail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due to overhe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ource 120 that emits light, a gobo 150 on which an arbitrary pattern or character is formed on a plate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20 is transmitted, and a focal length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gobo 150. A gobo light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lens for adjusting, which surrounds a light source 120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0, and has an intake port 13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t the bottom. A housing 11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internal heat is released along with the introduced external air; A light blocking plate 220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utlet 140; And an order guide 210 consisting of at least one cylindrical guide member 211 formed around the outlet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Description

고보 조명장치{gobo lighting}Gobo lighting device {gobo lighting}

본 발명은 고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의 냉각 효과가 뛰어나 과열에 의한 조명장치 전체의 고장을 방지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고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bo lighting device, and specifically, it is capable of effective heat dissipation using natural convection, is easy to maintain, can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terior even in rainy weather, and is not only highly durable, but also has a housing. This relates to an economical gobo lighting device that has an excellent internal cooling effect and prevents fail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due to overheating.

일반적으로, 고보(Gobo)는 스탠드를 조절할 수 있는 암(arm)에 장착된 상태에서 램프나 카메라 앞에 위치되어 특정 부분의 빛을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광선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명 가림막을 일컫는다.In general, a gobo refers to an opaque screen that is placed in front of a lamp or camera while mounted on an arm with an adjustable stand and blocks light from a specific area to prevent unintentional projection of light.

최근 들어 각종 공연이나 방송프로그램에서 특수 효과의 연출이 빈번해짐에 따라 다양한 문양이나 글씨 등의 이미지패턴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의 고보가 무빙라이트(Moving light)나 스포트라이트 또는 엘립소이드라이트 같은 각종 특수효과용 조명장치(Effect Light)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조명장치의 보조기구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s special effects have become more frequent in various performances and broadcast programs, gobos in the form of metal plates with image patterns such as various patterns or letters have been used as lighting for various special effects such as moving lights, spotlights, or ellipsoid lights. It is design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a device (Effect Light) and is widely appli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lighting devices.

상기한 바와 같이 고보가 조명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명이 조사되면 금속판상에 형성된 패턴이 이미지화되어 무대 배경에서 하늘의 구실을 하는 공간인 호리존트(Horizont)나 무대 바닥 및 세트에 표현되면서 공연 및 방송 프로그램을 환상적으로 연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gobo is mounted on a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ed, the pattern formed on the metal plate is imaged and expressed on the horizont, the space that serves as the sky in the background of the stage, on the stage floor, and on the set, thereby creating an image of th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a broadcast program look fantastic.

이에 따라 고보는 공연 및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물론, 고보의 쓰임새가 다양해짐에 따라 건축물 등을 비추는 외부 조명장비에 고보를 장착하여 건물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거나 실내의 조명에 고보를 장착하여 벽면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gobos have become indispensable when producing performances and broadcast programs, and as the uses of gobos have become more diverse, gobos are installed in external lighting equipment that illuminates buildings, etc. to make buildings look beautiful. It is used to beautifully decorate walls by attaching gobos to indoor lighting.

또한, 고보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조명장치에 장착하여 야간에 기업이나 제품의 홍보를 위한 이미지를 도로의 바닥면이나 건물의 벽면 등에 투사하여 광고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various types of image patterns can be formed on the gobo, it can be mounted on a lighting device to project images for the promotion of a company or product at night on the floor of a road or the wall of a building,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advertising effect. It is being applied.

이러한 고보 조명장치는 오목렌즈와 볼록 렌즈에 광이 투과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이미지 글라스에 LED 광을 투사해 건물 벽면, 바닥, 천장 등에 비추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알리는 조명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고보 조명장치는 광을 스크린 등의 면에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광을 발생하는 조명기에 전원을 연결하여 사전 설정된 원하는 내용을 이미지 필터에 광을 통과시켜 원하는 내용의 조명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is gobo lighting device projects LED light onto the image glass to use the principle of light transmitting through concave and convex lenses, and illuminates the building walls, floors, ceilings, etc. to inform the message being conveyed. This type of gobo lighting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light on the surface of a screen, etc.,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obtain lighting of the desired content by connecting the power to the fixture that generates light and passing the light through the image filter for the preset desired content. will be.

상기한 고보 조명장치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진 및 방수를 위해 완전 밀폐형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구리)으로 구성된 히트싱크를 통해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Since the above-mentioned gobo lighting devices are often installed outdoors, they are usually completely sealed for dustproofing and waterproofing, and are equipped with a heat sink made of metal (e.g., aluminum or copper)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good processability. It is configured to emit heat generated from the LED module to the outside.

하지만, 히트싱크에 의하여 조명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고 하더라도 고광량의 광원을 사용하거나, 발열량이 높은 경우에는 히트싱크를 이용한 방열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환기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장시간 가동 시 과열로 인해 기판 및 다양한 소자들이 열에 의해 훼손되어 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lighting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heat sink, there are bound to be limits to heat dissipation using the heat sink when a high-intensity light source is used or when the heat generation amount is high.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ventilation means inside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ard and various elements are damaged by heat due to overheating when operated for a long time, shortening the lifespan of the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18927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2189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의 냉각 효과가 뛰어나 과열에 의한 조명장치 전체의 고장을 방지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고보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effective heat dissipation using natural convection, easy mainten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by minimiz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terior even in rainy weather.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obo lighting device with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by preventing fail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due to overheating due to the excellent cooling effect inside the housing.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을 방출하는 광원(120), 상기 광원(12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판상에 임의의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되는 고보(150), 및 상기 고보(150)로부터 투과된 빛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보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120)을 감싸면서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진행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130)가 하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내부 열이 방출되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40)를 포함한 하우징 상부면 일부를 덮는 차광판(220); 및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140)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배출구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211)로 구성되는 차수 가이드(2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211)는, 상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휘어져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light source 120 that emits light, a gobo 150 in which an arbitrary pattern or character is formed on a plate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20 is transmitted, and the gobo ( In the high auxiliary light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lens that adjusts the focal length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150), the light source 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light source 120 and is elong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0. , a housing 110 in which an intake port 130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n outlet through which internal heat is released along with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formed at the top; A light blocking plate 220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utlet 140; And an order guide 210 consisting of at least one cylindrical guide member 211 formed around the outlet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at the top of the housing 110, The guide member 211 gradually curves outward toward the upper end to form a gently curved shape, and has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outle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30)와 배출구(140)에는 마그네틱 방식의 착탈가능한 매쉬판(1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magnetically detachable mesh plate 170 is coupled to the intake port 130 and the outlet port 1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191); 상기 배출구(140) 하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180);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 온도에 따라 상기 배기팬(180)을 구동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10 includes a sensor unit 191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An exhaust fan 180 provided below the outlet 140 to forcibly exhaust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control unit 190 that drives the exhaust fan 18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220)은, 상기 하우징(1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호의 길이는 하우징(110)의 50% 이내로 형성되되, 상기 차수 가이드(210)가 위치한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차수 가이드(210)의 상단부와 수평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상부로 일정 곡률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blocking plate 220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the housing 110, and the length of the arc is formed within 50% of the housing 110, where the order guide 210 is located. It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order guid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formed to be curved upward at a certain curvature.

본 발명의 고보 조명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흡기구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연 대류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조명장치 본체의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let and the intake port formed in the housing are arranged diagonally to each oth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is properly maintained by natural convection, thereby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lighting device main body.

또한, 배출구 외측에 복수의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차수 가이드가 설치되므로 빗물 유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온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water guid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utlet, not only does it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but it can also smoothly discharge the discharged warmth, whic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appropriately.

또한,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과열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배기팬을 작동시키므로 하우징이 과열되어 파손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므로 조명장치의 수명을 길게 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is overheated, it detects this and operates the exhaust fan, thereby preventing the housing from overheating and being damaged in advance, thereby lengthening the life of the lighting device, which is economically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기구 입구에 결합된 차수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지지판 및 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차광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배기구 및 흡기구에 결합된 메쉬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der guide coupled to the exhaust port inlet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and substrate in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light blocking plate in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sh network coupled to an exhaust port and an intake port in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like symbo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appear and are provided to aid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ls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there i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A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보 조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기구 입구에 결합된 차수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지지판 및 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차광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의 구성 중 배기구 및 흡기구에 결합된 메쉬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guide coupled to the exhaust port inlet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and substrate in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light shielding plate in the structure of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esh network coupled to the exhaust port and intake port of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10)이 구비되며, 하우징(110)은 원통형 또는 베럴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내측에는 후술할 광원(120)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철(Fe), 구리(Cu) 와 같은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질 있으며, 그 밖에도 공지된 조명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110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barrel-shaped shape. Additionally,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to reflec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110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Al), stainless steel, iron (Fe), and copper (Cu), and is made of various other materials that form the housing of a known lighting device. It can be.

한편, 하우징(110)의 내측 일단부에는 광원(120)이 결합된다. 광원(120)은 기판(121)에 실장되어 있으며, 기판(121)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별도의 지지판(122)이 구비되어 지지판(122)에 기판(121)이 결합되며, 지지판(122)의 외측단부와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판(122)의 상부에는 배기팬(180)이 설치될 영역에 개구되며, 하부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공(123)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light source 120 is coupled to one inner end of the housing 110. The light source 120 is mounted on a substrate 121, and a separate support plate 122 is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121 and the housing 110, so that the substrate 121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2, and the support plate 122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re configured to contact each other. An opening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122 in the area where the exhaust fan 180 will be installed, and a through hole 123 is formed at the bottom to allow air to flow.

또한, 하우징(110)의 내측 타단부에는 투시창(111)이 구비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이물질, 벌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제2 렌즈 모듈(162)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viewing window 111 is provided at the other inner end of the housing 1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sects, etc. from entering the housing 11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damage to the second lens module 1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do.

한편, 상기한 광원(120)의 전방부에는 고보(150)가 설치된다. 고보(150)는 광원(12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광원(110)에서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고보(150)는 빛이 투과되는 판상에 임의의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공지 및 홍보 효과를 위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고보(150)는 예컨대 문자가 형성된 영역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의 영역이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그와 반대로 문자가 형성된 영역이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빛을 차단시키고 그 이외의 영역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빛을 투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보(150)는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철 (Fe), 구리(Cu)와 같은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합성수지(플라스틱),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 gobo 150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light source 120 described above. The gobo 15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light source 120 and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Since the gobo 150 has random patterns or characters formed on a light-transmitting plate, it must be configured to be removable for various notice and promotional effects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 gobo 150 may, for example, be formed so that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formed is transparent to transmit light and the other areas are formed to be opaque to block light, or, conversely,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formed are formed to be opaque. It blocks light, and other areas may be transparent and allow light to pass through. Such a gobo 150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Al), stainless steel, iron (Fe), or copper (Cu),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plastic) or rubber. It may be possible.

한편, 상기한 고보(15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제1 렌즈 모듈(161) 및 제2 렌즈 모듈(162)이 결합된다. 제1 렌즈 모듈(161)은 복수 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광원(120)으로부터 출력된 빛이 고보(150)에 고르게 투사되어 굴절되도록 렌즈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모듈(162)도 복수 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고보(150)을 통과한 빛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에 상(image)이 형성되도록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lens module 161 and the second lens module 162 are coupled on both sides with the gobo 150 in between. The first lens module 161 may be made up of a plurality of lenses, and may be made up of a lens group so that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20 is evenly projected onto the gobo 150 and refracted. In addition, the second lens module 162 may als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and may be composed of a lens group that refracts light so that an image is formed at a preset distance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gobo 150. there is.

상기한 각 렌즈 모듈(161, 162)의 배열, 배치 및 렌즈의 종류 선택은 고보(150)를 통해 조사되는 문양 및 문자의 종류, 굴절되는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each of the lens modules 161 and 162 and the selection of lens typ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pattern and character irradiated through the gobo 150 and the degree of refrac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Decided to omit it.

한편, 상기 지지판(122)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배출구(140)는 지지판(122)이 배출구(14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원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120)이 발광할 시 광원(120)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열은 외기로 빠져나갈 수가 없다. 따라서 원활한 하우징(110) 내부의 냉각을 위해 배출구(140)의 중앙부에 지지판(122)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n outlet 14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plate 122 is coupled. It is desirable for the outlet 140 to have the support plate 12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This is becaus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ousing 110, so when the light source 120 emits light, the heat generated behind the light source 120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air. Therefore, for smooth cooling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t is desirable to position the support plate 122 at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한편, 배출구(140)에는 메쉬판(170)이 결합된다. 메쉬판(170)의 가장자리에는 자석(171)이 구비되어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착탈이 되도록 한다. 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최소화하면서 이물질이 메쉬판(170)에 걸러지더라도 메쉬판(170)을 쉽게 제거하여 세척한 뒤 다시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 mesh plate 170 is coupled to the outlet 140. Magnets 171 are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mesh plate 170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housing 110. This is to minimize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to easily remove the mesh plate 170, clean it, and reattach it even if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mesh plate 170.

한편, 배출구(140)의 하부, 상기한 지지판(122)의 상부영역에는 배기팬(180)이 설치된다. 배기팬(180)은 하우징(110)의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시 배기팬(180)이 작동하여 내부의 열기를 외기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91)가 설치되며,센서부(191)의 온도를 감지하여 배기팬(18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1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센서부(191)를 통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센서부(191)는 이와 같은 과온도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하고, 이러한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90)는 배기팬(180)을 작동시켜 하우징(110)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자연대류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는 냉각이 되다가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배기팬(180)이 작동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하강을 촉진시키게 된다.Meanwhile, an exhaust fan 180 is installed below the outlet 140 and in the upper area of the support plate 122.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the exhaust fan 180 operates to discharge the internal heat to the outside air. For this purpose, a sensor unit 191 for measuring temperature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control unit 190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unit 191 and operates the exhaust fan 180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rises above the temperature set through the sensor unit 191, the sensor unit 191 transmits such an overtemperatur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90 that receives this signal ) operates the exhaust fan 180 to discharge hot air inside the housing 110 to the outside air. That is,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s cooled through natural convection, 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the exhaust fan 180 is activated to promote a decreas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do.

한편, 하우징(110)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40)를 포함한 하우징 상부면 일부를 덮는 차광판(220)이 설치된다. 차광판(220)은 일광에 의한 과열 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차광판(220)은 상기 하우징(1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호의 길이는 하우징(110)의 50% 이내로 형성되며, 양단부는 상부로 일정 곡률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 전체 호의 길이에 대해 π/4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길이이다. 예를 들어 π/4 이상이 되면 배출구(140)에서 배출되는 온기가 외기로 배출될 때 원활한 배출이 되지 않아 하우징(110)의 냉각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π/4 이하가 되면 배출구(140) 내부로 빗물 등이 쉽게 침투할 수 있어 장치 본체(100)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차광판(220)의 끝단은 곡선형 엣지(221)를 형성하여, 바람에 의한 공기유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연대류에 의한 냉각효과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a light blocking plate 220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and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utlet 140. The light blocking plate 220 serves to prevent overheating due to sunlight.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plate 220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the housing 110, the length of the arc is formed within 50% of the housing 110, and both ends are formed to be curved upward at a certain curvature. Preferably, the ideal length is about π/4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c length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if it is above π/4, the warmth discharged from the outlet 140 is not discharged smoothly to the outside air, so the cooling effect of the housing 110 is reduced, and if it is below π/4, the inside of the outlet 140 This is because rainwater, etc. can easily penetrate into the device and the device main body 100 may break down. In addition,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plate 220 forms a curved edge 221, which facilitates the inflow of air by wind,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by natural convection.

한편, 배출구(140)의 상부면에는 배출구(140)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배출구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211)로 구성되는 차수 가이드(21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11)는, 상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휘어져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수 가이드(210)는 배출구(140)의 외주연을 따라 가이드 부재(211)가 복수로 구성되며, 각각의 가이드 부재(211)는 배출구(140)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완만한 곡선형으로 기울어진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부재(211)는 배출구(14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이드 부재(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부재(211)의 상단부를 선으로 연결하면 동일 원호(도 4의 일점쇄선 참조)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 가이드 부재(211)의 높이는 배출구(140) 중심 방향에서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차광판과 차수 가이드 사이의 폭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베르누이 원리(Bernoulli's principle)에 따라 배출공기의 흐름이 점점 빨라져 압력차가 유발되므로, 자연대류에 의한 내부 공기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도 2의 점선 화살표 참조).Meanwhile, an order guide 210 composed of at least one cylindrical guide member 211 formed around the outlet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140. The guide member 211 gradually curves outward toward the upper end to form a gently curved shape, and i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height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utlet increases. Looking specifically, the order guide 2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211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140, and each guide member 211 is gently round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I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clined in a curved manner.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211 serves to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by forming an inclin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As shown in FIG. 4, the guide members 211 are positioned on the same circular arc (see the dotted chain line in FIG. 4) when the upper ends of each guide member 211 are connected with a line. In this structure, the height of each guide member 211 increases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and the width between the light blocking plate and the water guid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so in this structure, Bernoulli's principle (Bernoulli's principle) principle), the flow of discharged air gradually becomes faster, causing a pressure differenc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discharge internal air through natural convection, thereby maximiz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see dotted arrow in Figure 2).

또한, 복수의 가이드 부재(211)의 끝단은 외측으로 완만한 곡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곡면구간을 타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211 form a gently curved portion on the outside, the internal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along the curved section due to the Coanda effect, thereb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do.

한편, 상기한 차광판(220)에서 차수 가이드(210)가 위치한 영역의 길이 방향 전 구간은 차수 가이드(210)의 상단부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베르누이 원리(Bernoulli's principle)에 따라 배출공기의 흐름이 점점 빨라져 압력차가 유발되므로, 자연대류에 의한 내부 공기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ight blocking plate 220 where the order guide 210 is located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order guide 210. Only then,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will the flow of discharged air become faster and cause a pressure difference, making it easier to discharge internal air through natural convection and thereby maximiz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한편, 배출구(140)와 대각선 방향의 하부에는 흡기구(130)가 형성된다. 흡기구(130)에도 배출구(140)와 마찬가지로 메쉬판(170)이 설치된다. 메쉬판(170)의 가장자리에는 자석(171)이 구비되어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착탈이 되도록 한다. 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최소화하면서 이물질이 메쉬판(170)에 걸러지더라도 메쉬판(170)을 쉽게 제거하여 세척한 뒤 다시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흡기구(130)의 외주연(하우징 내측면)에는 제1 공기흐름 안내부(131)가 설치된다. 제1 공기흐름 안내부(131)는 배출구(140)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공기흐름 안내부(131)의 반대편에는 제2 공기흐름 안내부(132)가 설치되되, 제1 공기흐름 안내부(131)의 크기보다는 작게, 제1 공기흐름 안내부(131)의 방향과는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제1 및 제2 공기흐름 안내부(131, 132) 모두 배출구(140) 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대략 휘어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공기흐름 안내부(132)가 배출구(140) 측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코안다 효과에 의해 흡입 공기가 왼쪽 하방으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촉진한다. 따라서 외기가 흡기구(130)로 유입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흡수한 뒤 통공(123)을 통과하여 배출구(140)로 배출되므로 자연 대류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n intake port 13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diagonally from the outlet 140. A mesh plate 170 is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130 as well as the outlet 140. Magnets 171 are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mesh plate 170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housing 110. This is to minimize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to easily remove the mesh plate 170, clean it, and reattach it even if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mesh plate 170. Additionally, a first airflow guide 131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intake port 130. The first air flow guide 131 is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40. Meanwhile, a second air flow guide 132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ir flow guide 131, bu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air flow guide 131. It is formed to b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 Both of 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air flow guide parts 131 and 132 are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outlet 140 and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urved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air flow guide 132 is bent toward the outlet 140, the Coanda effect promotes the flow of intake air to the left and downward. Therefor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take port 130, absorb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40,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is lowered by natural convection. It is for this purpose.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천장 또는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외측과 결합되는 지지대(230)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ainly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and the supports 23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re hinged together to emit light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It will be possible to investigate.

이와 같이 본 발명 고보 조명장치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의 냉각 효과가 뛰어나 과열에 의한 조명장치 전체의 고장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이 길어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In this way,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ffective heat dissipation using natural convection, is easy to maintain, and is not only excellent in durability as it can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inside even in rainy weather, but also has an excellent cooling effect inside the hous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as it prevents fail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due to overheating and has a long product lifespa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고보 조명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gobo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gobo lighting device to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ransformation is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0 : 장치 본체 110 : 하우징
111 : 투시창 120 : 광원
121 : 기판 122 : 지지판
123 : 통공 130 : 흡기구
131 : 제1 공기 흐름 안내부 132 : 제2 공기 흐름 안내부
140 : 배출구 150 : 고보
161 : 제1 렌즈 모듈 162 : 제2 렌즈 모듈
170 : 메쉬판 171 : 자석
180 : 배기팬 190 : 제어부
191 : 센서부 210 : 차수 가이드
211 : 가이드 부재 220 : 차광판
221 : 곡선형 엣지 230 : 지지대
100: device body 110: housing
111: viewing window 120: light source
121: substrate 122: support plate
123: through hole 130: intake port
131: first air flow guide 132: second air flow guide
140: outlet 150: gobo
161: first lens module 162: second lens module
170: mesh plate 171: magnet
180: exhaust fan 190: control unit
191: sensor unit 210: order guide
211: guide member 220: light shielding plate
221: curved edge 230: support

Claims (3)

빛을 방출하는 광원(120), 상기 광원(12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판상에 임의의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되는 고보(150), 및 상기 고보(150)로부터 투과된 빛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보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120)을 감싸면서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진행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130)가 하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내부 열이 방출되는 배출구(140)가 상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40)를 포함한 하우징 상부면 일부를 덮는 차광판(220); 및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140)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배출구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211)로 구성되는 차수 가이드(2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211)는, 상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휘어져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가이드 부재(211)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보조명장치.
A light source 120 that emits light, a gobo 150 on which an arbitrary pattern or character is formed on a plate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20 is transmitted, and the focal distance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gobo 150 is adjusted. In the gobo light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lens,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120, it is formed to be lo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0, and an intake port 13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s formed at the bottom, and internal heat is generated along with the introduced external air. A housing 110 in which a discharge outlet 140 is formed at the top;
A light blocking plate 220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utlet 140; and
An order guide 210 consisting of at least one cylindrical guide member 211 formed around the outlet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outlet 140 at the top of the housing 110,
The guide member 211 gradually curves outward toward the upper end to form a gently curved shape, and each guide member 211 has different heights, and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utlet increases. ligh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30)와 배출구(140)에는 마그네틱 방식의 착탈가능한 매쉬판(1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보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obo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ically removable mesh plate 170 is coupled to the intake port 130 and the outlet 14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191);
상기 배출구(140) 하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180);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 온도에 따라 상기 배기팬(180)을 구동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고보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10 is,
A sensor unit 191 that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An exhaust fan 180 provided below the outlet 140 to forcibly exhaust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gobo ligh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190 that drives the exhaust fan 18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KR1020220106643A 2022-08-25 2022-08-25 gobo lighting KR202400286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643A KR20240028643A (en) 2022-08-25 2022-08-25 gobo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643A KR20240028643A (en) 2022-08-25 2022-08-25 gobo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643A true KR20240028643A (en) 2024-03-05

Family

ID=9029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643A KR20240028643A (en) 2022-08-25 2022-08-25 gobo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64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27B1 (en) 2020-08-20 2021-02-23 주식회사 빛글 Lens assembly and Gobo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27B1 (en) 2020-08-20 2021-02-23 주식회사 빛글 Lens assembly and Gobo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32B1 (en) Outdoor Lamp, Security Lamp, Tunnel Lamp, Park Lamp, Guard Lamp, Industrial Flood Lamp and Road Lamp using Lens Matrix for LED
TWI305256B (en) Illuminating device
US20130094208A1 (en) Led street light
CN100523597C (en) Luminaires for illumination of outdoor panels
EP2206945A1 (en) LED lighting device for outdoors and large covered areas having opitmized heat dissipation
KR101008848B1 (en) Lamp device having LED
KR101792194B1 (en) Street lamp for preventing of harmful insects
KR100810149B1 (en) search light using LED
KR101610618B1 (en) Floodlight
US3311743A (en) Outdoor lighting fixture
KR101004786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101358403B1 (en) a LED lighting with thermosyphon
KR20240028643A (en) gobo lighting
KR101496225B1 (en) Led luminaires for road area lighting
KR101826260B1 (en) Advanced LED lamp apparatus
KR101760116B1 (en) Light-shielding apparatus for lighting
RU105968U1 (en) LED LUMINAIRE (OPTIONS)
KR200393988Y1 (en) Floodlight for Improving Heat Emission
KR101098296B1 (en) LED Street Lamp
KR101859030B1 (en) High efficiency street lamp module capable of light pollution prevention
KR101074687B1 (en) Lighting apparatus
CN105066037A (en) Light-emitting diode (LED) street lamp with cooling fin guide mechanism
KR101090645B1 (en) Reflective light
CN216976597U (en) Multiple radiating projecting lamp shell and projecting lamp
CN220792856U (en) Anti-glare underground lamp for medium-angle light em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