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083A -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083A
KR20240028083A KR1020220106161A KR20220106161A KR20240028083A KR 20240028083 A KR20240028083 A KR 20240028083A KR 1020220106161 A KR1020220106161 A KR 1020220106161A KR 20220106161 A KR20220106161 A KR 20220106161A KR 20240028083 A KR20240028083 A KR 2024002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honey
bees
h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특허벌집벌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특허벌집벌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특허벌집벌꿀
Priority to KR10202201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083A/ko
Publication of KR2024002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0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양꿀벌을 이용하여 한봉방식의 계상식으로 적층하여 벌집꿀을 생산할 때 산란통 하부의 이격판을 산란통 상부로 이동시켜 벌집꿀을 생산하는 것이다.
즉, 산란통(20) 하부에 위치한 이격판(40)과 벌집형성통(50)의 벌집이 형성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5~50% 정도 꿀이 채워 졌을 때, 상기 이격판 및 벌집형성통을 산란통(20) 위로 이동시켜 일벌들이 상기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에 벌집을 형성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을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양봉 중간에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이동시켜 주고, 상기 산란통(20) 위로 이동시킨 이격판(40) 아래의 벌집형성통(50)에 벌집형성이 완료되면,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이 채워지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이 하부로 성장하면서 벌집에 벌꿀이 채워진다.

Description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Method for producing honeycomb honey using Han-bong tpye with Western bees}
본 발명은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의 벌집꿀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봉방식의 벌통을 다수개 계상으로 설치하여 서양꿀벌의 벌집꿀을 생산할 때 산란통 위 또는 아래로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이동시켜 벌집꿀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양봉(養蜂)은 서양종 벌을 이용하여 단상으로 꿀벌을 생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봉(韓蜂), 즉 토종벌을 이용하여 꿀벌을 생산하는 방법 또한 벌을 쳐 꿀을 얻는다는 의미에서는 양봉이지만, 1970년경 서양종 벌인 양봉(洋蜂)이 이 땅에 들어온 이후로는 토종벌 한봉(韓蜂)과 구분해 서양종 벌을 이용하여 꿀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양봉(養蜂)이라고 부른다. 서양종 벌인 양봉은 1970년경 당시 독일 유학생 윤신영과 한 독일인 신부가 갖고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벌이 먹이로 저장해 놓은 꿀을 채취한다는 점에서는 양봉이나 한봉 모두 같지만 채밀시기나 치는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양봉은 수입된 이후 급속도로 번져나갔는데 이는 높은 생산성에 기인한다. 양봉은 이동식으로 철 따라 꽃 따라 이동하며 기른다. 유채, 아카시아, 밤, 싸리꽃 등의 만개지역을 찾아다니며 연간 5~6회 꿀을 얻는다.
반면 한봉은 한 장소에서 1년간 딱 한번만 꿀을 뜬다. 보통 첫서리가 내린 후 채밀에 들어간다. 따라서 생산량을 장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비라도 많이 내리면 벌들이 그동안 저장해 놓은 꿀들을 다 먹어치우기 때문에 그 동안의 노력이 헛수고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양봉이 수입되기 이전만 해도 토종벌이 양봉보다 많이 퍼져 있었으나 양봉이 들어오면서부터 우리나라 전 지역에는 양봉이 퍼져 토종벌은 거의 일부 농가에서만 사육되고 있다.
한봉과 양봉은 크기와 모양이 달라 손쉽게 구별할 수 있다. 양봉은 토종벌보다 크기가 크고 강하며 등 색깔이 황금색이다. 토종꿀은 일반적으로 양봉꿀보다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피는 갖가지 꽃에서 따 모은 꿀을 벌 스스로의 힘으로 1년 내내 숙성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도 적을 수밖에 없다. 이동 양봉업자가 양봉으로 수확한 벌꿀은 토종벌에서 수확한 꿀에 비해 약 10~15배 이상 많이 생산한다.
종래의 양봉 벌통은 소정 크기의 사각형 모양의 단상의 나무 상자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벌통을 사용하여 서양꿀벌을 사육하였다.
한봉 벌통은 양봉 벌통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나무 재질로 만든 상자를 적층식의 계상으로 설치하여 토종벌을 사육하였다. 따라서 벌통의 크기와 계상 갯수를 보면 양봉벌을 사육하는 양봉인지 토종벌을 사육하는 한봉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종래기술로서 개시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6921호에는 양봉용 벌통을 이용한 양봉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벌통의 바로 위에 비어 있는 보조 벌통을 배치하여 꿀의 채집을 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무게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메인 벌통과 가장 아래 위치한 보조 벌통의 사이에 비어 있는 보조 벌통을 추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무게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값에 따라, 가장 상부에 있는 보조 벌통을 채밀을 위해 들어 내고, 상기 메인 벌통과 가장 아래 위치한 보조 벌통의 사이에 비어 있는 보조 벌통을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양봉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존 한봉 방식으로 벌꿀을 생산 및 판매할 때 종래 토종벌들이 벌집을 만들고 그 벌집 안에 꿀을 채우면 꿀이 든 벌집채로 판매함으로써 꿀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에게 꿀의 신뢰성을 증진시켜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봉 방식은 토종 벌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사육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벌집꿀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현재는 번식률이 높고 개체수가 많은 서양 꿀벌을 이용하여 벌집꿀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양봉방식으로 벌집꿀을 생산하는 경우 벌집 통이 커서 계상식으로 적층하기가 어려워 벌집꿀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대규모 양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않은 인력의 소요가 발생하므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채밀기로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여 판매하는 경우 채밀과정에서 꿀벌이 압사하여 차후 생산량이 감소하거나, 사체조각이 꿀에 섞여 걸러내는 과정을 거쳐야하는 등의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또한 서양벌을 한봉방식의 계상으로 적층하여 꿀벌을 생산하는 경우 성형틀 및 벌집형성통이 처음 설치했던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벌꿀의 생산량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6921호(2020. 05. 0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서양꿀벌 한봉방식의 계상식으로 적층하여 벌집꿀을 생산할 때 산란통 하부의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산란통 상부로 이동시켜 벌집꿀을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서양꿀벌을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에 사육하여,벌집꿀을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벌집꿀 상태로 벌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탈봉, 여과 및 농축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벌집꿀 제공을 통해 벌꿀에 대한 신뢰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양 꿀벌을 한봉방식으로 사육할 때 한봉방식의 벌통조립체의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산란통 상부로 이동시켜 벌집에 꿀을 충분히 채우는 방식이다.
즉,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은 산란통(20) 하부에 위치한 이격판(40)과 벌집형성통(50)의 벌집이 형성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5~50% 정도 꿀이 채워 졌을 때, 상기 이격판 및 벌집형성통을 산란통(20) 위로 이동시켜 일벌들이 상기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에 벌집을 형성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을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양봉 중간에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이동시켜 준다.
산란통 위로 이동시킨 이격판(40) 아래의 벌집형성통(50)에 벌집형성이 완료되면,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이 채워지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이 하부로 성장하면서 벌집에 벌꿀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한봉방식의 벌통은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여왕벌이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인 산란통, 상기 산란통 상부에는 산란통의 여왕벌과 알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산란통의 하부에는 여왕벌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격왕판이 설치된다. 상기 격왕판의 하부에는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가 내설되는 이격판이 위치하고, 상기 이격판 하부에 벌집의 성장에 따라 다수개 삽입하여 착설되는 벌집형성통이 위치하며, 상기 벌집형성통이 1~5개 계상식으로 적층될 때 벌집형성통의 최하단부에 벌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통이 설치된다.
상기 이격판이 산란통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이격판과 산란통 사이에 격왕판이 위치하여 산란통의 여왕벌이 상기 이격판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격판을 산란통 위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이격판의 소비로부터 벌집형성통에 만들어진 벌집이 완성되고, 상기 벌집에 충분한 벌꿀이 채워지게 된다.
이격판이 산란통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꿀벌들이 산란통으로 왕래해야 하기 때문에
또한 이격판 또는 이격판의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에 벌꿀을 충분히 채우지 않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에 벌집이 형성되고, 꿀이 어느정도 채워지게되면 이격판을 산란통 상부로 이동시켜 벌집에 꿀이 충분히 채워지도록 하며 이렇게 하는 경우 벌집에 꿀이 채워지는 속도 또한 신속하게 채워지게 되기 때문에 벌집꿀의 생산시기도 빨리 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도 크게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의 내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를 계상식으로 적층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의 다른 예시 측면도1.
도 6은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조립체의 다른 예시 측면도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면을 이용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며, 도면에 나타나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벌은 곤충 가운데서 큰 무리 중 하나로서 전 세계에 1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그 배가 넘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이다. 그 중 꿀벌은 분류학적으로 벌목 꿀벌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완전변태(完全變態)하며, 산란관(産卵管)의 변형물인 벌침을 가지고 있다.
벌은 여왕벌, 숫벌, 일벌의 3계급으로 나뉘는데, 여왕벌은 몸길이 15∼20mm이고, 숫벌은 15∼17mm이고, 일벌은 몸길이가 12∼14mm이다.
벌의 생태를 살펴보면, 1개의 집 구성은 한 마리의 여왕벌과 다수의 일벌, 그리고 약간의 숫벌로 되어 있는데, 큰 집단이 되면 5∼8만 마리에 달한다.
여왕벌은 출방(태어나는 방에서 나옴) 후 왕성하게 활동하며 7일 후에는 발정하여 집밖으로 나가 숫벌과 교미한다. 이후 산란을 계속하며, 많을 때에는 하루에 약 2,000~3,000개의 알을 낳는다.
한 벌집 안에 벌이 많아지면 왕대(王臺, 주로 소비 아래쪽으로 지어진다)에서 새 여왕벌이 키워지고 먼저의 여왕벌은 새 여왕벌이 우화하기 전에 일벌에 둘러싸여 새 집단을 이루고 떠나가는데, 이것을 분봉(分蜂 ; swarming) 이라고 한다.
일벌은 출방 후 벌집방의 청소, 유충의 보육 등을 하며 2~3일이 지나면 침샘에서 로열젤리를 내서 어린 유충에게 먹인다. 그 후로는 꽃꿀이나 꽃가루의 수집과 저장, 벌집의 청소와 우화의 심부름 및 파수병 역할을 한다. 또한 집으로 운반해 놓은 꿀을 여러 번 입으로 옮기거나 꿀을 새로 채워 넣으면서, 선풍( 扇 風 ) 작업도 하여, 벌꿀을 완성시켜 나간다.
일벌은 최대 8~12Km를 날며, 그 수명은 겨울철의 경우 약 8개월 정도, 유밀기에는 35일 정도이다.
숫벌은 미수정란이 발생해서 생기지만, 출방 후 14일만에 발정하여 처녀 여왕벌을 ?i아가서 교미한다. 교미가 끝나면 숫벌은 죽는다. 여왕벌과 일벌은 수정란에서 생긴다.
여왕벌의 유충은 일벌의 입에서 나오는 로열젤리만 받아먹게 된다. 난기(卵 期 ) 3 일, 유충기(幼蟲期) 5.5일, 번데기期 7.5일, 합계 16일 만에 성충이 된다.
일벌은 유충기 6일 중 3일만 로열젤리를 받아먹고, 이후에는 꽃가루에 꿀을 섞은 경단을 받아먹게 되어 번데기 期 12일을 합하여 21일 만에 성충이 된다.
숫벌은 유충기 6.5일 중 4일만 로열젤리를 받아먹고, 2.5일은 꽃가루 경단을 받아먹으며, 번데기 期 14.5일, 합계 24일만에 성충이 된다.
변온 동물( 雙 溫 動 物 )인 꿀벌의 집안 온도가 사계절을 통해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특히 유충과 번데기가 자라고 있는 집의 온도는 항상 32∼35℃로 유지되고 있다. [이를 동태 온도(動態溫度)라 한다]. 따라서 꿀벌의 유충 기간과 번데기 기간은 항상 일정하다.
여름에 온도가 너무 상승하면 일벌의 선풍(扇風)이 행해지고, 집 밖에서 물을 운반해 와 집 표면에 바름으로써 찬 외기(外氣)를 집안으로 들여 올 뿐만 아니라 수분의 기화(氣化)를 촉진하여 집의 온도를 내려가게 한다.
집의 온도 상승을 꾀하는 방법으로는 날개를 움직이지 않고 흉부 비상 근육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열(發熱)을 일으킨다.
꿀벌은 21℃ 이하에서는 활동을 중지하며, 월동 중의 봉구( 蜂 球 )의 온도는 8~10℃가 된다. 꿀벌은 노랑, 파랑, 청록, 자주색 등 특정색만 식별한다.
꿀벌의 행동반경은 통상적으로 토종벌은 2km, 서양벌은 4km로 보고 있다.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은 종래 우리나라 토종벌통 크기의 벌통조립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서양 꿀벌을 사용할 때의 벌통보다 크기가 1/4 크기에 불과하여 관리와 계상이 용이하다.
즉, 산란통(20)의 크기는 가로 280~300mm, 세로 280~300mm 및 높이 255~275mm 이고, 벌집형성통(50)의 크기는 가로 230~250mm, 세로 230~250m 및 높이 80~100mm가 되도록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며, 벌통 조립체의 크기는 종래 우리나라 토종벌통 크기의 조립체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산란통(20)의 상부에 착설되는 커버(10)는 가로 280~310mm, 세로 280~310mm의 정사각형에 높이 40~100mm 크기의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서양 꿀벌을 한봉방식으로 사육할 때 한봉방식의 벌통조립체의 이격판을 이동시켜 벌집에 꿀을 충분히 채우는 방식이다.
즉, 산란통(20) 하부에 위치한 이격판(40)의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에 5~50% 정도 꿀이 채워 졌을 때 상기 이격판을 산란통(20) 위로 이동시켜 준다.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산란통 하부에만 계속 위치시키는 경우 일벌들이 여왕벌이 있는 산란통으로 왕래하기 위하여 이격판 등의 벌집에 꿀을 충분히 채우지 않는 습성이 있다. 일벌들은 산란통의 여왕벌을 돌보기도 하고 산란통의 벌집 및 벌집에 여왕벌이 알을 낳으면 이 알을 돌보거나 벌집 내부를 청소하기도 한다.
산란통 위로 이동시킨 이격판(40) 아래의 벌집형성통(50)에 벌집형성이 완료되면,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이 채워지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이 하부로 성장하면서 벌집에 벌꿀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한봉방식의 벌통은 벌집조립체를 형성하는데 상기 벌집조립체는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여왕벌이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인 산란통, 상기 산란통 상부에는 산란통의 여왕벌과 알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산란통의 하부에는 여왕벌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격왕판이 설치된다. 상기 격왕판의 하부에는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가 내설되는 이격판이 위치하고, 상기 이격판 하부에 벌집의 성장에 따라 다수개 삽입하여 착설되는 벌집형성통이 위치하며, 상기 벌집형성통이 1~5개 계상식으로 적층될 때 벌집형성통의 최하단부에 벌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통이 설치된다.
상기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이 산란통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이격판과 산란통 사이에 격왕판이 위치하여 산란통의 여왕벌이 상기 이격판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의 내부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를 계상식으로 적층한 한봉방식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는 커버(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산란통(20)과 상기 산란통(20) 하부에 형성되는 격왕판(30), 그리고 상기 격왕판(30)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판(40) 및 상기 이격판(40) 하부에 다수개 착설되어 벌집이 자라는 공간인 벌집형성통(50) 및 상기 벌집형성틀(50) 하부에 형성되는 출입통(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0)는 산란통(20)의 개방된 상측 방향으로 여왕벌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산란통(20) 내부에 있는 여왕벌 및 알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커버(10)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경량 재질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커버(10)에는 벌통의 관리와 산란통(20)의 환기를 위하여 내부와 연통되는 환기공(15)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15)으로 여왕벌이나 일벌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산란통(2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공(15)에 필터망을 착설한다. 상기 환기공(15)은 벌통을 이동하거나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10)의 내부 천장에는 섬유나 천으로된 개포(16)를 부착시켜 커버(10) 안쪽에 직접 벌집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산란통(20)은 여왕벌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양봉식 벌통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정사각형 형태의 박스로 구성된다. 또한, 산란통(20)은 커버(10)의 하단이 안착되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22)는 산란통(20)의 내부 공간 측으로 단턱이 구비된다. 이때, 단턱은 소비광(24)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평면상으로 볼 때 네 변 모두에 형성되거나 또는 마주하는 양측 변들에만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의 단턱에 소비광(24)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각각 걸쳐짐으로써 소비광(24)은 산란통(20)의 내부공간에서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고정 설치된다.
상기 소비광(24)은 여왕벌의 실질적인 산란 장소를 제공하고, 소초프레임 내에 벌집 형상의 인공소초가 만들어진 구조이다. 상기 소비광(24)은 산란통(20)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1~6개)가 착탈 가능하면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해서 설치된다.
여왕벌은 소비광(24)의 각 벌집 속에 알을 낳아 애벌레를 키워 증식시키게 되며, 알을 낳지 않은 소비광의 각 벌집에 벌꿀을 저장하고, 상기 벌꿀은 애벌레와 산란통 내의 벌들의 먹이가 된다.
상기 소비광은 소초광에 지은 벌집을 의미하며, 소초광은 소광에 소초를 부착시킨 틀이다. 상기 소초는 밀납을 녹여 벌집의 기초가 되도록 만든 밀판이다.
소비는 소초에 지은 벌집이다. 벌집은 5~6mm 크기로 지어지며, 5mm 크기의 벌집은 일벌의 알이 산란되고, 6mm 크기의 벌집에는 숫벌의 알이 산란된다.
여왕벌이 자라는 집은 왕대(王臺)라고 하며, 왕대의 기초가 되는 소방(집)은 왕완(王椀)이라고 한다.
상기 격왕판(30)은 산란통(20)과 이격판(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망구조를 갖도록 마련되며, 특히 망구조의 메쉬(mesh)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여왕벌이 산란통(20)부터 이격판(40)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반면 일벌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격왕판(30)은 금속망 또는 나무, 플라스틱이나 섬유 재질의 망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왕판(30)과 벌집형성통(50) 사이에는 벌집꿀이 일정한 형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높이가 벌집형성통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이격판(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격판(40)은 벌집형성통(50)의 벌집이 격왕판(30)과 분리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체로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격왕판(30) 밑에 삽입되고, 상기 격왕판(30)을 통하여 산란통(20)과 연통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격판(40)은 산란통과 동일 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정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이격판(40)의 내부 빈 공간에는 상기 이격판(40)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성형틀(42)이 착설되어 성형틀에 벌집을 형성한다.
상기 성형틀(42)은 이격판(4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판(40)의 상단 테두리부(22)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평면상으로 볼 때 이격판(40)의 단방향으로 마주하는 양측 변들에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단턱은 이격판(40)의 상단부 네 변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서양 꿀벌을 한봉방식으로 사육할 때 한봉방식의 벌통조립체의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산란통 상부로 이동시켜 벌집에 꿀을 충분히 채우는 방식이다.
즉, 산란통(20) 하부에 위치한 이격판(40)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5~50% 정도 꿀이 채워 졌을 때, 상기 이격판 및 벌집형성통을 산란통(20) 위로 이동시켜 일벌들이 상기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에 벌집을 형성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을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양봉 중간에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이동시켜 준다.
벌집형성통과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집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벌집에 꿀이 부족한 경우에는 벌집 형성까지의 기간이 길게되며, 벌집에 꿀이 50%이상으로 많아지게 되면 꿀벌들의 꿀 채집활동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벌꿀 생산의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
이격판이 산란통 하부에만 계속 위치시키는 경우 일벌들이 여왕벌이 있는 산란통으로 왕래하기 위하여 이격판 등의 벌집에 꿀을 충분히 채우지 않는 습성이 있다. 일벌들은 산란통의 여왕벌을 돌보기도 하고 산란통의 벌집 및 벌집에 여왕벌이 알을 낳으면 이 알을 돌보거나 벌집 내부를 청소하기도 한다.
산란통 위로 이동시킨 이격판(40) 아래의 벌집형성통(50)에 벌집형성이 완료되면,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이 채워지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이 하부로 성장하면서 벌집에 벌꿀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성형틀(42)은 소초프레임(42a) 및 소초프레임(42a) 내의 일부분에 형성된 소초(42b)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100)의 이격판(40)에 결합되는 성형틀(42)은 소초(42b)의 하단이 소초프레임(42a)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형태가 아닌, 소초프레임(42a)의 하단과 이격 배치되게 부분적으로 형성된 형태이며, 이를 통해 일벌들이 상기 소초(42b)를 하방으로 연장 형성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격판(4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벌집형성통(50)들 내에 벌집꿀이 형성되도록 만든다. 이때, 소초(42b)는 소초프레임(42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반 정도의 길이만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판(40)의 하부에 착설되는 한봉방식 벌통 형태의 벌집형성통(50)은 이격판(40)에서부터 형성된 벌집꿀이 하부로 성장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벌집형성통(50)은 대체로 산란통(20) 및 격왕판(30)과 가로 및 세로가 비슷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되, 벌집꿀이 성장하면서 벌집형성통(50)을 추가로 하부에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벌집형성통(50)은 내부 빈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빈 공간에 일벌들에 의해 벌집꿀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벌집형성통(50)은 두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이상이 순차적으로 벌집형성통(50) 하부에 벌집꿀이 성장하면서 또다른 벌집형성통(50)이 삽입되어 계상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입통(60)은 벌통 내부로 일벌들이 출입하기 위한 통으로 복수 개의 벌집형성통(50)들 중에서 최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최하단부 벌집형성통(50)과 연통 가능하면서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출입통(60)은 그 상부에 설치되는 벌집형성통(50), 이격판(40), 격왕판(30) 및 산란통(20)과 대체로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또한, 일측에 출입통로(61)가 형성되어 일벌이 출입통(60) 내부로 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벌집형성통(50)과 이격판(40), 격왕판(30) 및 산란통(20)을 포함하는 벌통 전체로 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는 여왕벌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면서 외부로의 이동이 차단된 양봉식 벌통 형태의 산란통(20)을 최상부에 배치되고, 그 아래로 여왕벌이 벌집형성통(50)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격왕판(30)이 결합되며, 상기 격왕판(30) 하부에는 벌집형성통(50)과 격왕판(30)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격판(40)이 삽입 설치되며, 이격판(40) 하부로는 한봉방식 벌통 형태의 벌집형성통(50)이 순차 결합됨으로써 벌집형성통(50) 내부에 벌집꿀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판(40)은 소초프레임(42a)과 소초(42b)로 구성되는 성형틀(42)이 삽입설치된다. 일벌들은 성형틀(42)의 소초프레임(42a)에 형성된 소초(42b)의 모양을 따라 균일하게 벌집을 짓고 꿀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격판(40) 내에 소초(42b)와 소초프레임(42a)으로 구성되는 성형틀(42)를 내설하지 않게 되면 벌집꿀의 형상이 불규칙하고 다양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는 개체수가 많은 서양 꿀벌을 이용하되, 상부로부터 하부로 산란통(20), 격왕판(30),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50)이 순차 결합 배치함으로써 서양 꿀벌을 이용하여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의 벌통에서 벌집꿀을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는 서양 꿀벌을 이용하여 한봉 방식으로 벌집꿀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양봉 방식의 이점과 한봉 방식의 이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는 상부는 양봉 형태의 벌통 구조이고, 하부는 한봉 형태의 벌통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양봉방법은 서양 꿀벌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양봉의 장점과 한봉방식으로 벌통 조립체를 계상함으로써 벌집꿀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봉방식 벌통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벌집꿀 상태로 벌꿀을 채취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자가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은 벌꿀을 식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로부터 벌꿀을 분리해내기 위해 농축 및 여과와 같은 별도의 과정들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비용 또한 낮출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양봉의 문제점이던 큰 크기의 벌통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이동성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커버
15: 환기공 16: 개포
20: 산란통 22: 테두리부
24: 소비광 30: 격왕판
40: 이격판 42: 성형틀
42a: 소초프레임 42b: 소초
50: 벌집형성통
60: 출입통 61: 출입통로

Claims (7)

  1.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봉방식의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은 산란통(20) 하부에 위치한 이격판(40)과 벌집형성통(50)의 벌집이 형성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5~50% 정도 꿀이 채워 졌을 때, 상기 이격판 및 벌집형성통을 산란통(20) 위로 이동시켜 일벌들이 상기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에 벌집을 형성하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을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양봉 중간에 이격판과 벌집형성통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통(20) 위로 이동시킨 이격판(40) 아래의 벌집형성통(50)에 벌집형성이 완료되면,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벌꿀이 채워지고 소비와 벌집형성통에 형성된 벌집이 하부로 성장하면서 벌집에 벌꿀이 채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봉방식의 벌통은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여왕벌이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인 산란통, 상기 산란통 상부에는 산란통의 여왕벌과 알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산란통의 하부에는 여왕벌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격왕판이 설치되며,
    상기 격왕판의 하부에는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가 내설되는 이격판이 위치하고,
    상기 이격판 하부에 벌집의 성장에 따라 다수개 삽입하여 착설되는 벌집형성통이 위치하며,
    상기 벌집형성통이 1~5개 계상식으로 적층될 때 벌집형성통의 최하단부에 벌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통이 설치되어 한봉방식의 벌통조립체가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이 산란통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이격판과 산란통 사이에 격왕판이 위치하여 산란통의 여왕벌이 상기 이격판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5.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40)은 내부 빈 공간에 성형틀(42)이 착설되어 상기 성형틀(42)에 벌집을 형성하되, 상기 성형틀(42)은 상기 이격판(4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이격판(40)의 상단 테두리부(22)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42)은 소초프레임(42a) 및 소초프레임(42a) 내의 일부분에 형성된 소초(42b)로 구성하되,
    상기 소초(42b)는 소초프레임(42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반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봉방식의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은 산란통(20), 격왕판(30), 이격판(40) 및 벌집형성통(50)이 순차 결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KR1020220106161A 2022-08-24 2022-08-24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KR20240028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61A KR20240028083A (ko) 2022-08-24 2022-08-24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61A KR20240028083A (ko) 2022-08-24 2022-08-24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083A true KR20240028083A (ko) 2024-03-05

Family

ID=9029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161A KR20240028083A (ko) 2022-08-24 2022-08-24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0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921A (ko) 2018-10-26 2020-05-07 송화섭 양봉용 벌통 및 양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921A (ko) 2018-10-26 2020-05-07 송화섭 양봉용 벌통 및 양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CN107047377B (zh)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CN103141410B (zh) 内圆外方自动恒温中蜂蜂箱
CN202310862U (zh) 一种中蜂养殖桶
CN202958445U (zh) 圆柱形半球底中蜂蜂箱
CN106900597B (zh) 一种立式双门中蜂箱及用其养殖中蜂的方法
CN103734036B (zh) 一种组合式蜂箱及其使用方法
US20070232189A1 (en) Honeybee hive, components, and extraction method
CN203424151U (zh) 蜂王繁育箱
US4332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nomically maintaining and breeding bees in a bee compound unit
CN104621006B (zh) 一种中华蜜蜂瓶装巢蜜生产方法
CN106665411B (zh) 一种巢框及使用该巢框的蜂箱
CN109197783B (zh) 一种纯天然巢蜜的生产方法
KR20240028083A (ko) 서양꿀벌을 이용한 한봉방식 벌통의 벌집꿀 생산방법
CN109566474B (zh) 一种中蜂组合蜂箱
WO2020070566A1 (en) Device for the nesting of solitary bees
CN112021263B (zh) 一种运用循环组合巢框蜂箱的养蜂方法
US20210161107A1 (en) Rational hive structure
Mounika et al. Colony propagation in stingless bees, Tetragonula iridipennis (Smith)
CN105475175B (zh) 一种授粉用安全蜂箱
CN205378689U (zh) 一种用于繁育蜂王的交尾箱
CN212087625U (zh) 新型分体式蜜蜂巢框
CN107094663B (zh) 元台塔形中蜂分群箱及使用方法
CN218851622U (zh) 一种多模式饲养中蜂均能高产的组合蜂箱
CN107018924B (zh) 塔形中蜂分群箱及使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