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001A -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001A
KR20240028001A KR1020220105948A KR20220105948A KR20240028001A KR 20240028001 A KR20240028001 A KR 20240028001A KR 1020220105948 A KR1020220105948 A KR 1020220105948A KR 20220105948 A KR20220105948 A KR 20220105948A KR 20240028001 A KR20240028001 A KR 2024002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sk
video
road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해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이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이덕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Priority to KR102022010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001A/ko
Publication of KR2024002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0Transport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간 정보통신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복잡한 버튼 조작이나 키워드 검색 등의 안전 운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 사고위험 지점을 경유하는 해당 도로의 상세 안전운전 정보를 비롯해 해당 도로를 기점으로 그 지역의 각종 유익 정보까지도 V2V 통신망을 통해 주행 차량 내에서 빠르고 정확히 직관적으로, 그리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IoT-based road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publicity and risk information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간 정보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키는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Pandi-Perumal et al, 2006) BLS(2016)에 의하면 화물자동차 운전자(heavy and tractor-trailer truck drivers)와 버스 운전자, 택시 운전자(Taxi drivers, ride-hailing drivers, and chauffeurs)의 부상 및 질병은 대부분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한다. 화물자동차 운전자는 장거리 운전이 수반되기 때문에 한번 운행 시 몇 일 혹은 일주일 이상 집을 비우고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면서 장시간 운전하기 때문에 육체적인 피로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다. 버스 운전자는 주말, 심야 혹은 이른 아침에 근무를 할 수 있으며, 교통 체증이나 악천후 또는 승객응대로 인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전세버스의 경우 여행자의 스케줄에 의해 운전스케줄이 결정된다. 시외버스는 장거리 운행으로 인해 집으로부터 며칠씩 떨어져 보내고, 왕복 운전을 하고 교대를 하는 형태이다. 택시 운전자의 근무시간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저녁과 주말 일은 흔하고 늦은 밤이나 이른 아침에 일하기도 하며, 교통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BLS, 2016) 고속도로에서는 교통량이 증가되거나 차량속도가 높을수록 사고 위험이 높다(Choudhary et al, 2018) 모든 도로교통수단은 차량종류는 다르지만 사람의 운전자를 필요로 하며 모든 인간은 수면시간과 깨어있는 시간 등의 생물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ÅAkerstedt et al, 2008)
경제가 성장하면서 자동차의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교통여건 및 교통사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1980년도에 자동차등록대수는 52만 7천여 대에서 2018년도에는 2,320만대를 넘어섰으며, 운전면허 소지자도 약 186만명에서 약 3,216명을 넘어서 우리나라 총 인구 중 62.3%는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있다.
인구 증가와 함께 자동차의 증가는 교통수요 증가의 요인이 되어 새로운 도로의 신설 및 확장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른 대기오염과 환경파괴 및 교통사고 증가 등의 각종 문제가 발생한다. 다행히 교통안전에 대한 정책을 시행하여 2000년에 들어서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자동차가 편리하고 쾌적한 교통수송 수단 으로서 얻는 편익과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진화된 교통관련정책과 교통안전 정책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09-0030198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06-0092356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20-7015544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20-0186474
본 발명의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복잡한 버튼 조작이나 키워드 검색 등의 안전 운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 사고위험 지점을 경유하는 해당 도로의 상세 안전운전 정보를 비롯해 해당 도로를 기점으로 그 지역의 각종 유익 정보까지도 V2V 통신망을 통해 주행 차량 내에서 빠르고 정확히 직관적으로, 그리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관할 및 운영되고 있는 차량 정비소, 휴게소, 주유소, 편의점, 음식점, 마트, 숙박시설, 놀이시설, 편의시설, 관광시설에 관한 업체 정보 또는 지역 정보를 담은 홍보정보 영상컨텐츠가 포함된 위험 및 홍보 (동)영상 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해 줌으로써, 해당(주변)지역 방문을 위한 목적 혹은 해당(주변)지역 여행목적에 부합될만한 유익한 지역 정보 전달에 따른 홍보전략에 긍정적 파급효과 즉 수익창출 기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를 통해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 10km 지역 내 주행하는 주행 차량에게 위험정보 영상컨텐츠가 포함된 위험 및 홍보 (동)영상 컨텐츠를 V2V 통신망을 통해 빠르고 정확히 안내받음으로써 신호위반 규칙에 어긋나지 않게 주의 운전 또는 감속 운전을 위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거나, 주행 차량이 사고위험 지점 경유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CCTV 단속카메라를 대상으로 한 위치 정보도 미리 안내받아 안전 운전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은,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저작물 웹(앱) 사이트에 카테고리별로 등록 및 개시케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저장하는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 상기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V2V 통신망과 기연결된 IoT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화면 디스플레이시키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부팅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기기 작동 및 상기 기기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모아지는 현 위치정보 및 현 시간대에 관한 로그정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정보수집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복잡한 버튼 조작이나 키워드 검색 등의 안전 운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 사고위험 지점을 경유하는 해당 도로의 상세 안전운전 정보를 비롯해 해당 도로를 기점으로 그 지역의 각종 유익 정보까지도 V2V 통신망을 통해 주행 차량 내에서 빠르고 정확히 직관적으로, 그리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관할 및 운영되고 있는 차량 정비소, 휴게소, 주유소, 편의점, 음식점, 마트, 숙박시설, 놀이시설, 편의시설, 관광시설에 관한 업체 정보 또는 지역 정보를 담은 홍보정보 영상컨텐츠가 포함된 위험 및 홍보 (동)영상 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해 줌으로써, 해당(주변)지역 방문을 위한 목적 혹은 해당(주변)지역 여행목적에 부합될만한 유익한 지역 정보 전달에 따른 홍보전략에 긍정적 파급효과 즉 수익창출 기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를 통해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 10km 지역 내 주행하는 주행 차량에게 위험정보 영상컨텐츠가 포함된 위험 및 홍보 (동)영상 컨텐츠를 V2V 통신망을 통해 빠르고 정확히 안내받음으로써 신호위반 규칙에 어긋나지 않게 주의 운전 또는 감속 운전을 위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거나, 주행 차량이 사고위험 지점 경유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CCTV 단속카메라를 대상으로 한 위치 정보도 미리 안내받아 안전 운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키는 시스템으로,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100), IoT 디바이스(혹은,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200), 정보수집 관제서버(300)를 포함한다.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100)는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저작물 웹(앱) 사이트에 카테고리별로 등록 및 개시케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저장한다.
IoT 디바이스(혹은,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200)는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V2V(Vehicle to Vehicle) 통신망과 기연결된 IoT(Internet of Things)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후,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화면 디스플레이시킨다.
정보수집 관제서버(300)는 IoT 디바이스의 부팅으로, IoT 디바이스의 기기 작동 및 기기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모아지는 현 위치정보 및 현 시간대에 관한 로그정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여기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는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바로 인지되는 도로면 상태정보, 도로벽 상태정보, 중앙분리대 상태정보, 갓길 상태정보, 중앙차선 상태정보, 차선 상태정보, CCTV 상태정보, 신호등 상태정보를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되어, 국토교통부, 경찰청, 지방 시군구 관할청에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되는 위험정보 영상컨텐츠; 및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관할 및 운영되고 있는 차량 정비소, 휴게소, 주유소, 편의점, 음식점, 마트, 숙박시설, 놀이시설, 편의시설, 관광시설에 관한 업체 정보 또는 지역 정보를 (동)영상으로 촬영해 둔 홍보정보 영상컨텐츠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된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주행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및 영상 디스플레이시키는 구동방법이다.
즉,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는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저작물 웹(앱) 사이트에 카테고리별로 등록 및 개시케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저장한다(S100).
IoT 디바이스(혹은,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는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V2V 통신망과 기연결된 IoT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후,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화면 디스플레이시킨다(S200, S300).
정보수집 관제서버는 IoT 디바이스의 부팅으로, IoT 디바이스의 기기 작동 및 기기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모아지는 현 위치정보 및 현 시간대에 관한 로그정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400).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100 :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
200 : IoT 디바이스
300 : 정보수집 관제서버

Claims (2)

  1. 주행 차량에 관한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저작물 웹(앱) 사이트에 카테고리별로 등록 및 개시케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저장하는 RGB 프로젝터 관리용 웹(앱)서버;
    상기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V2V 통신망과 기연결된 IoT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를 화면 디스플레이시키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부팅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기기 작동 및 상기 기기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모아지는 현 위치정보 및 현 시간대에 관한 로그정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정보수집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및 홍보 (동)영상컨텐츠는,
    도로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사고위험 지점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바로 인지되는 도로면 상태정보, 도로벽 상태정보, 중앙분리대 상태정보, 갓길 상태정보, 중앙차선 상태정보, 차선 상태정보, CCTV 상태정보, 신호등 상태정보를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계절별, 년도별로 각기 구분지으면서 (동)영상 촬영되어, 국토교통부, 경찰청, 지방 시군구 관할청에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되는 위험정보 영상컨텐츠; 및
    상기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 반경 0.01 내지 10km 도로 지역 내 속해 관할 및 운영되고 있는 차량 정비소, 휴게소, 주유소, 편의점, 음식점, 마트, 숙박시설, 놀이시설, 편의시설, 관광시설에 관한 업체 정보 또는 지역 정보를 (동)영상으로 촬영해 둔 홍보정보 영상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20105948A 2022-08-24 2022-08-24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40028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48A KR20240028001A (ko) 2022-08-24 2022-08-24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48A KR20240028001A (ko) 2022-08-24 2022-08-24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001A true KR20240028001A (ko) 2024-03-05

Family

ID=902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948A KR20240028001A (ko) 2022-08-24 2022-08-24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0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356A (ko) 2005-02-17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용 오버레이 장치의 로봇팔
KR20090030198A (ko) 2007-09-19 2009-03-24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초고경도 복합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356A (ko) 2005-02-17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용 오버레이 장치의 로봇팔
KR20090030198A (ko) 2007-09-19 2009-03-24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초고경도 복합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field et al. Human factors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Jurgen Smart cars and highways go global
US201802992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ance of Accidents
US100246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ance of accidents
Haque et al. Sustainable, safe, smart—three key elements of Singapore’s evolving transport policies
Khorasani et al. Evalu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 road safety
Lee A functional description of ATIS/CVO systems to accommodate driver needs and limits
Park et al. Glossary of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terms
Derry et al. Study of vehicle speeds on a major highway in Ghana: implic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
Long et al. Work zone safety: physical and behavioral barriers in accident prevention.
KR20240028001A (ko) 홍보 및 위험정보 제공형 IoT 기반 도로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Taylor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Serafin Functions and features of future driver information systems
Sangol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tudy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for urban transport planning
Szpytko et al. The Telematics Concept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Road Transport Risks
Panou et al. ITS clustering and terminology: one concept with many meanings
Kockelman et al. Best practices for modifying transportation design, planning, and project evaluation in Texas.
Chen et al. How shall we design the future vehicle for Chinese market
RA World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tanda-Ogunleye et al. REDUCING MOTOR VEHICLE CRASHES INVOLVING PEDESTRIANS AND BICYCLISTS IN NORTH CAROLINA
Paterson et al. Reducing Motor Vehicle Crashes Involving Pedestrians and Bicyclists in North Carolina
Higgins et al. Reducing Motor Vehicle Crashes Involving Pedestrians and Bicyclists in North Carolina
Carter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Чередніченко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S TRAFFIC FLOW MANAGEMENT TOOL (THE CASE OF KYIV)
Cherednichenko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s traffic flow management tool (the case of Ky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