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962A -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962A
KR20240027962A KR1020220105862A KR20220105862A KR20240027962A KR 20240027962 A KR20240027962 A KR 20240027962A KR 1020220105862 A KR1020220105862 A KR 1020220105862A KR 20220105862 A KR20220105862 A KR 20220105862A KR 20240027962 A KR20240027962 A KR 2024002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mode
laundry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환
김민정
조슬기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962A/ko
Publication of KR202400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탁기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부의 상기 세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을 자동으로 세탁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Detachabl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서로 다른 종류의 세탁물을 분리하여 순서대로 세탁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복, 수건, 이불 및 담요 등 섬유품을 깨끗하게 해주는 기계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세탁, 헹굼 및 탈수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세탁기에서 꺼내진 세탁물은 탈수가 되었다고 하지만 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빨래건조대에 널어서 말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건조기는 이러한 젖어있는 세탁물을 말리는 기계장치로서, 열이나 뜨거운 바람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기계적으로 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다만,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서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고, 사용자가 세탁기의 세탁물을 꺼내서 다시 건조기에 넣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세탁물은 사용자가 꺼내서 직접 분리하여 정리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 중 하나인 특허문헌 1은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의 양이 적을 경우 내조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크기가 작은 보조세탁조를 이용해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보조세탁조만을 작동시켜 세탁수의 사용량 및 전력 소모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상기와 같은 발명은 건조기와 같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없고, 완료된 세탁물을 사용자가 직접 정리를 해줘야하는 불편함이 남아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5986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세탁물이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까지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구획하여, 세탁물이 순서대로 세탁될 수 있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된 세탁물이 수납부로 이동되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수납이 될 수 있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에 따라 서로 다른 세탁방법에 맞춰 세탁할 수 있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탁기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부의 상기 세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을 자동으로 세탁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흰옷을 세탁할 수 있는 흰옷 모드와, 속옷을 세탁할 수 있는 속옷 모드와, 양말을 세탁할 수 있는 양말 모드 및 니트를 세탁할 수 있는 니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흰옷이 수용되는 제 1수용부, 내부에 속옷이 수용되는 제 2수용부, 내부에 양말이 수용되는 제 3수용부 및내부에 니트가 수용되는 제 4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용부는, 상기 제 1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수용부는, 상기 제 2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수용부는, 상기 제 3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3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수용부는, 상기 제 4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4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하부도어를, 상기 속옷모드인 경우 상기 제 2하부도어를,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상기 제 3하부도어를,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상기 제 4하부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속옷, 양말 및 니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세탁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탁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낙하된 상기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과정을 수행한 후에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흰옷이 수납되는 제 1수납부, 내부에 속옷이 수납되는 제 2수납부, 내부에 양말이 수납되는 제 3수납부 및 내부에 니트가 수납되는 제 4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부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흰옷을 상기 제 1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속옷 모드인 경우 상기 속옷을 상기 제 2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상기 양말을 상기 제 3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상기 니트를 상기 제 4수납부로 낙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는 세탁기가 건조기능을 포함하여 세탁, 건조, 분리 및 수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는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구획한 구조로 형성되되, 순차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의 세탁방법에 맞춰서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용부의 상부도어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용부의 하부도어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납부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용부의 상부도어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용부의 하부도어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수납부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1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10)는 수용부(100), 입력부(200), 세탁부(300) 및 수납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용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100)는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0)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를 4개의 구역으로 등간격 구획되는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를 포함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4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일측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용부(110)는 상기 수용부(1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하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물 중 내부에 흰옷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수용부(120)는 상기 수용부(1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상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물 중 내부에 속옷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수용부(130)는 상기 수용부(1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상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물 중 내부에 양말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수용부(140)는 상기 수용부(1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하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물 중 내부에 니트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수용부(110)는 제 1상부도어(111) 및 제 1하부도어(112)를, 상기 제 2수용부(120)는 제 2상부도어(111) 및 제 2하부도어(112)를, 상기 제 2수용부(130)는 제 3상부도어(131) 및 제 3하부도어(132)를, 상기 제 4수용부(140)는 제 4상부도어(141) 및 제 4하부도어(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상부도어(111), 제 2상부도어(121), 제 3상부도어(131) 및 제 4상부도어(141)는 각각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상부도어(111), 제 2상부도어(121), 제 3상부도어(131) 및 제 4상부도어(141)는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각각의 형태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하부도어(112), 제 2하부도어(122), 제 3하부도어(132) 및 제 4하부도어(142)는 각각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하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하부도어(112), 제 2하부도어(122), 제 3하부도어(132) 및 제 4하부도어(142)는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하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수용부(110), 제 2수용부(120), 제 3수용부(130) 및 제 4수용부(140)의 각각 형태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00)는 도어손잡이(15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손잡이(150)는 상기 제 1상부도어(111), 제 2상부도어(121), 제 3상부도어(131) 및 제 4상부도어(141)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손잡이(150)는 상기 제 1상부도어(111), 제 2상부도어(121), 제 3상부도어(131) 및 제 4상부도어(141)의 외측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도어손잡이(15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탁기(10)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버튼(210),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버튼(220), 상기 세탁물을 헹구기 위한 횟수를 조절하는 헹굼버튼(230), 상기 세탁물이 탈수되는 힘을 조절하기 위한 탈수버튼(240) 및 상기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건조버튼(250)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버튼(210)은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흰옷, 속옷, 양말 및 니트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기(10)는 흰옷을 세탁하는 ‘흰옷 모드’와, 속옷을 세탁할 수 있는 ‘속옷 모드‘와, 양말을 세탁할 수 있는 ‘양말 모드’ 및 니트를 세탁할 수 있는 ‘니트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세탁버튼(210)을 이용하여 상기 흰옷 모드, 속옷 모드, 양말 모드 및 니트 모드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탁버튼(210)에서 ‘모두’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흰옷, 속옷, 양말 및 니트를 모두 세탁할 수 있다.
상기 온도버튼(220)은 상기 세탁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버튼(220)은 90도, 60도, 40도, 30도 및 냉수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온도버튼(220)은 상기 세탁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90도, 60도, 40도, 30도 및 냉수 중에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헹굼버튼(230)은 상기 세탁부(300)가 상기 세탁물을 헹굼하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헹굼버튼(230)은 ‘5회’, ‘4회’, ‘3회’, ‘2회’ 및 ‘1회’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헹굼버튼(230)은 상기 세탁부(300)가 세탁물을 헹굼하는 횟수를 ‘5회’, ‘4회’, ‘3회’, ‘2회’ 및 ‘1회’ 중에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수버튼(240)은 상기 세탁부(300)가 상기 세탁물을 탈수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버튼(240)은 ‘최강’, ‘강’, ‘중’ 및 ‘약’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탈수버튼(240)은 상기 세탁부(300)을 탈수하는 힘을 ‘최강’, ‘강’, ‘중’ 및 ‘약’ 중에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건조버튼(250)은 상기 세탁부(300)가 상기 세탁물을 건조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버튼(250)은 ‘강력’, ‘표준’ 및 ‘시간설정’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건조버튼(250)은 상기 세탁부(300)가 상기 세탁물을 건조되는 시간을 ‘강력’, ‘표준’ 및 ‘시간설정’ 중에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버튼(250)이 상기 시간설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세탁기(1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260) 및 세탁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버튼(2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버튼(260)은 상기 세탁기(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전원버튼(260)은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의 전원을 ON/OFF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전원버튼(260)이 한번 눌러지게 되면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에 전원이 공급되는 ON 상태가 되고, 다시 눌러지게 되면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에 전원이 차단되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동작버튼(270)은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가 상기 세탁버튼(210), 온도버튼(220), 헹굼버튼(230), 탈수버튼(240) 및 건조버튼(250)에서 설정된 값으로 동작되기 위한 버튼으로 구비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세탁버튼(210), 온도버튼(220), 헹굼버튼(230), 탈수버튼(240) 및 건조버튼(250)에서 설정을 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버튼(270)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동작버튼(270)이 한번 눌러지게 되면 상기 세탁버튼(210), 온도버튼(220), 헹굼버튼(230), 탈수버튼(240) 및 건조버튼(250)에서 설정된 값으로 동작될 수 있고, 다시 눌러지게 되면 상기 세탁기(10)의 모든 작동이 멈추는 일시정지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탁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수용부(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00)의 상기 세탁물을 세탁한다. 그리고,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수용부(100)의 하측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100)와 동일하게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수용부(100)에서 낙하된 상기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과정을 수행한 후에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세탁부(300)는 세탁, 헹굼 및 탈수 기능 그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부(300)는 하단부에 세탁된 세탁물이 통과될 수 있는 도어(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부(300)는 세탁물을 세탁 한 후에 제어부(500)의 신호로 도어가 개방되어 세탁물을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탁부(300)는 투명창(310) 및 투입부(320)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창(310)은 상기 세탁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투명창(310)은 상기 세탁부(30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창(310)은 예를들면 투명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3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탁부(300)의 내부를 투과하여 외측에서 사용자가 보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320)는 상기 세탁부(300)의 내측으로 세탁세재 및 섬유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부(3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320)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서랍방식으로 상기 세탁부(30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320)는 세탁세재 및 섬유유연제를 구분하여 상기 세탁부(300)의 내측에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등간격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세탁부(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부(300)에서 낙하된 상기 세탁물을 상기 세탁물을 수납한다.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세탁부(300)의 하측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세탁부(300)와 동일하게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종합해보면, 상기 수용부(100), 세탁부(300) 및 수납부(400)는 차례로 적층된 형태로서 먼저, 상기 수납부(400)의 상측에 상기 세탁부(300)가 적층되고, 상기 세탁부(300)의 상측에 상기 수용부(100)가 적층되는 형태인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수납부(400)의 내부를 4개의 구역으로 등간격 구획되는 제 1수납부(410), 제 2수납부(420), 제 3수납부(430) 및 제 4수납부(440)를 포함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수납부(4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4수납부(410), 제 2수납부(420), 제 3수납부(430) 및 제 4수납부(440)의 4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수납부(410), 제 2수납부(420), 제 3수납부(430) 및 제 4수납부(440)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일측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400)는 서랍방식으로 후술할 외측손잡이(45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400)에 수납된 세탁된 세탁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수납부(410)는 상기 수납부(4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하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흰옷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수납부(420)는 상기 수납부(4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상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속옷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수납부(430)는 상기 수납부(4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상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양말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수납부(440)는 상기 수납부(400)를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하단 구역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니트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400)는 외부손잡이(45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손잡이(450)는 상기 수납부(400)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손잡이(450)는 상기 수납부(4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200) 및 투명창(310)과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손잡이(450)는 콘(Corn)형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10)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부(20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부(200)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부(20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용부(100) 및 세탁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을 자동으로 세탁하여 상기 수납부(40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앞서 전술한 대로 흰옷을 세탁할 수 있는 상기 흰옷 모드와, 속옷을 세탁할 수 있는 상기 속옷 모드와, 양말을 세탁할 수 있는 상기 양말 모드 및 니트를 세탁할 수 있는 상기 니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하부도어(112)를, 상기 속옷모드인 경우 제 2하부도어(122)를,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제 3하부도어(132)를,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제 4하부도어(142)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속옷, 양말 및 니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세탁부(3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탁부(300)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흰옷을 상기 제 1수납부(410)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속옷 모드인 경우 상기 속옷을 상기 제 2수납부(420)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상기 양말을 상기 제 3수납부(430)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상기 니트를 상기 제 4수납부(440)로 낙하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흰옷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버튼(210)을 이용하여 ‘흰옷’ 으로, 상기 온도버튼(220)을 이용하여 ‘90도’ 로, 상기 탈수버튼(230)을 이용하여 ‘중’으로 설정한 후 상기 동작버튼(270)을 눌러서 흰옷을 세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흰옷은 상기 제 1하부도어(112)가 열리게 되면서 상기 세탁부(30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후에 상기 제 1수납부(410)에 낙하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일례로, 속옷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버튼(210)을 이용하여 ‘속옷’ 으로, 상기 온도버튼(220)을 이용하여 ‘30도’ 로, 상기 탈수버튼(230)을 이용하여 ‘약’으로 설정한 후 상기 동작버튼(270)을 눌러서 속옷을 세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수용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속옷은 상기 제 2하부도어(122)가 열리게 되면서 상기 세탁부(30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세탁부(300)에서 세탁된 후에 상기 제 2수납부(420)에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양말 및 니트를 세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100 : 수용부
110 : 제 1수용부
111 : 제 1상부도어
111 : 제 1하부도어
120 : 제 2수용부
121 : 제 2상부도어
122 : 제 2하부도어
130 : 제 3수용부
131 : 제 3상부도어
132 : 제 3하부도어
140 : 제 4수용부
141 : 제 4상부도어
142 : 제 4하부도어
150 : 도어손잡이
200 : 입력부
210 : 세탁버튼
220 : 온도버튼
230 : 헹굼버튼
240 : 탈수버튼
250 : 건조버튼
260 : 전원버튼
270 : 동작버튼
300 : 세탁부
310 : 투명창
320 : 투입부
400 : 수납부
410 : 제 1수납부
420 : 제 2수납부
430 : 제 3수납부
440 : 제 4수납부
450 : 외부손잡이
500 : 제어부

Claims (5)

  1.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탁기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부의 상기 세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수용부 및 세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을 자동으로 세탁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흰옷을 세탁할 수 있는 흰옷 모드와, 속옷을 세탁할 수 있는 속옷 모드와, 양말을 세탁할 수 있는 양말 모드 및 니트를 세탁할 수 있는 니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흰옷이 수용되는 제 1수용부;
    내부에 속옷이 수용되는 제 2수용부;
    내부에 양말이 수용되는 제 3수용부; 및
    내부에 니트가 수용되는 제 4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용부는,
    상기 제 1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수용부는,
    상기 제 2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수용부는,
    상기 제 3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3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수용부는,
    상기 제 4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4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하부도어를, 상기 속옷모드인 경우 상기 제 2하부도어를,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상기 제 3하부도어를,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상기 제 4하부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속옷, 양말 및 니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세탁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낙하된 상기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과정을 수행한 후에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흰옷이 수납되는 제 1수납부;
    내부에 속옷이 수납되는 제 2수납부;
    내부에 양말이 수납되는 제 3수납부; 및
    내부에 니트가 수납되는 제 4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부를 개방하여 상기 흰옷 모드인 경우 상기 흰옷을 상기 제 1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속옷 모드인 경우 상기 속옷을 상기 제 2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양말 모드인 경우 상기 양말을 상기 제 3수납부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니트 모드인 경우 상기 니트를 상기 제 4수납부로 낙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KR1020220105862A 2022-08-24 2022-08-24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KR2024002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62A KR20240027962A (ko) 2022-08-24 2022-08-24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62A KR20240027962A (ko) 2022-08-24 2022-08-24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962A true KR20240027962A (ko) 2024-03-05

Family

ID=9029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862A KR20240027962A (ko) 2022-08-24 2022-08-24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9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865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865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733B1 (ko) 세탁장치
EP2681357B1 (en) Control panel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furth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432424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US20090139275A1 (en) Laundry machine
KR102127385B1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WO2006087735A1 (en) An appliance to provide an optimum washing and drying with minimum external inputs
KR102281340B1 (ko) 세탁장치
US20080312773A1 (en) Barrier-Free Appliance
US11072877B2 (en) Automatic transferring washer and dryer combination appliance
KR10259415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0091A (ko) 세탁장치
JP2007185357A (ja) 洗濯乾燥機
JP2008229153A (ja) 洗濯乾燥機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240027962A (ko) 분리수납이 가능한 세탁기
US20150292134A1 (en) Overnight cycle for horizontal axis clothes washer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JP2017123913A (ja) 衣類処理装置
CN108842380A (zh) 一种自动添加洗衣液的洗衣机
US10851487B2 (en) Appliance with context-sensitive fixed-position user interface
US10988882B2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slider-based user interface
JPH0245094A (ja) 洗濯機
KR10113053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EP3011099A1 (en) A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and drying articles
JP2017121398A (ja) 衣類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