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24A -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24A
KR20240027424A KR1020220105625A KR20220105625A KR20240027424A KR 20240027424 A KR20240027424 A KR 20240027424A KR 1020220105625 A KR1020220105625 A KR 1020220105625A KR 20220105625 A KR20220105625 A KR 20220105625A KR 20240027424 A KR20240027424 A KR 2024002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ous generator
power
disk
loa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규
김우현
황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24A/ko
Publication of KR2024002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ducing oscillations of power in networks
    • H02J3/241The oscillation concern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H02K7/025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for power stor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3/0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 H02P2103/2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of the synchronou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frequency control system using inertia}
본 발명은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은 수요량에 따라 공급량을 변화시키면서 수급 불균형을 조절하는 것이다.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전력계통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지 못할 경우 정전으로 인해 많은 사고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계통의 안정성은 부하변화의 예측이 가능하고 기본주파수 대비 주파수의 변화폭이 매우 작을수록 높아지는 반면, 부하변화가 예측을 벗어나고 기본주파수 대비 주파수의 변화폭이 클수록 낮아진다.
전력계통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전력 수요에 맞추어 동일한 발전력을 공급해주는 것이다. 이때,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지표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주파수이며, 국내의 경우 전력계통에 구성되어 있는 동기발전기들은 항상 60Hz의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동기를 이루어 운영되고 있다.
관성 에너지는 주로 동기 발전원에서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가장 빠르게 응답되는 것으로 계통의 관성 에너지가 클수록 주파수 변동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등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석탄화력 및 원자력 발전원 등 동기 발전원의 비율을 줄이고, 풍력 및 태양광 발전원과 같은 관성 에너지가 매우 적거나 없는 비동기 발전원의 비율이 점점 증가됨에 따라 계통의 관성 에너지가 감소되어 주파수 불안정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관성 에너지가 기존의 동기발전원보다 현저히 낮은 풍력발전기나 관성 에너지가 없는 태양광 발전원으로 기존 동기 발전원들을 대체하게 된다면 도 1의 그래프와 같이 초기 주파수 변동률이 증가하여 동일한 사고에도 계통의 주파수가 유지 기준인 60Hz를 크게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56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중부여부에서 부여된 하중과 상기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원판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원판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원판은 서로 다른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판은 서로 같은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를 생산 공급하는 여자전류 공급기;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 출력단 전압 또는 계통측 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여자전류 공급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동기발전기의 출력단 전압을 조정하는 자동전압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상기 하중부여부에서 부여된 하중과 상기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를 생산 공급하는 여자전류 공급기; 및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 출력단 전압 또는 계통측 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여자전류 공급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동기발전기의 출력단 전압을 조정하는 자동전압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원판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원판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관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서 에너지 변환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에너지 변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서 에너지 변환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00),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200), 동력발생부(100)와 동기발전기(200)를 연결하는 클러치(300), 동기발전기(200)에 결합되고,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동기발전기(200)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400), 클러치(300)를 이용하여 동력발생부(100)와 동기발전기(200)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100)는 실린더 안에서 연료를 연소 폭발시켜 생기는 가스의 팽창력으로 동력을 일으키는 기관 즉, 디젤 엔진 또는 가스 엔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증기, 가스 또는 바람과 같이 움직이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 에너지로 바꾸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발생부(100)는 가스터빈엔진, 증기터빈, 제트엔진 또는 수차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 1500)는 외부의 시스템에서 명령을 전달받아 클러치(300, 1300)를 제어하여 동력발생부(100, 1100)를 동기발전기(200, 1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중부여부(400)는 동기발전기(200)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410) 및 회전축에 원판(410)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하중부여부(400)에서 부여된 하중과 동기발전기(20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에너지 변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변환부(600)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원판(410)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S100, S310, S320)
에너지 변환부(600)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원판(410)에 저장시킬 수 있다.(S100, S210, S220)
원판(410)은 서로 다른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판(410)은 서로 같은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100),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1200), 동력발생부(1100)와 동기발전기(1200)를 연결하는 클러치(1300), 동기발전기(1200)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동기발전기(1200)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1400) 및 동기발전기(1200)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를 생산 공급하는 여자전류 공급기(1700), 동기발전기(1200)의 계자측 출력단 전압 또는 계통측 전압을 피드백하여 여자전류 공급기(1700)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량을 제어하여 동기발전기(1200)의 출력단 전압을 조정하는 자동전압조정기(1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1100)는 실린더 안에서 연료를 연소 폭발시켜 생기는 가스의 팽창력으로 동력을 일으키는 기관 즉, 디젤 엔진 또는 가스 엔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증기, 가스 또는 바람과 같이 움직이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회전운동 에너지로 바꾸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발생부(1100)는 가스터빈엔진, 증기터빈, 제트엔진 또는 수차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중부여부(1400)는, 동기발전기(1200)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1410) 및 상기 회전축에 원판(1410)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하중부여부(1400)에서 부여된 하중과 동기발전기(120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변환부(1600)는,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원판(1410)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변환부(1600)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원판(14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100: 동력발생부 200, 1200: 동기발전기
300, 1300: 클러치 400, 1400: 하중부여부
410, 1410: 원판 420, 1420: 원판공급장치
500, 1500: 제어부 600, 1600: 에너지 변환부
1700: 여자전류 공급기 1800: 자동전압조정기

Claims (12)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2.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3.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중부여부에서 부여된 하중과 상기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원판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원판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서로 다른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서로 같은 하중을 가진 복수 개의 원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8.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및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를 생산 공급하는 여자전류 공급기;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 출력단 전압 또는 계통측 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여자전류 공급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동기발전기의 출력단 전압을 조정하는 자동전압조정기;를 포함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10.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전력계통에 투입되고,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단상 또는 삼상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기발전기를 연결하는 클러치;
    상기 동기발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값에 따라 상기 동기발전기에 하중을 부여하여 관성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중부여부;
    상기 하중부여부에서 부여된 하중과 상기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의 형태와 크기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를 생산 공급하는 여자전류 공급기; 및
    상기 동기발전기의 계자측 출력단 전압 또는 계통측 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여자전류 공급기의 계자측에 공급되는 여자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동기발전기의 출력단 전압을 조정하는 자동전압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부여부는,
    상기 동기발전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판; 및
    상기 회전축에 상기 원판을 공급하는 원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원판에 저장된 관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계통의 전기 에너지를 관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원판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20220105625A 2022-08-23 2022-08-23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20240027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25A KR20240027424A (ko) 2022-08-23 2022-08-23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25A KR20240027424A (ko) 2022-08-23 2022-08-23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24A true KR20240027424A (ko) 2024-03-04

Family

ID=9029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25A KR20240027424A (ko) 2022-08-23 2022-08-23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4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611B1 (ko) 2019-06-18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611B1 (ko) 2019-06-18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llah et al. Temporary primary frequency control support by variable speed wind turbines—Potential and applications
EP17808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low of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Tielens Operation and control of power systems with low synchronous inertia
Schinas et al. An autonomous system supplied only by a pitch-controlled variable-speed wind turbine
Becker et al. System restoration using VSC-HVDC connected offshore wind power plant as black-start unit
AU2016426958A1 (en) A method of providing power support to an electrical power grid
Sheikh et al. Minimization of fluctuations of output power and terminal voltage of wind generator by using STATCOM/SMES
CN107820539B (zh) 使用风力涡轮发电机的频率调节
Singh et al. Power control of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DFIG) using back to back converters (PWM technique)
KR20240027424A (ko) 관성을 이용한 주파수 제어 시스템
Ayaz et al. Matlab/gui based wind turbine generator types on smart grid systems
Upadhyay et al. Reactive power management of wind farm using STATCOM
Koutnik et al. Pump-storage integration with renewables–meeting the needs using various concepts
Liu et al. STATCOM-based virtual inertia control for wind power generation
Adeyemo et al. Sizing of energy storage for virtual inertia emulation and primary frequency control in low-inertia systems
Igbinovia et al. Josef T systems
Adler et al. Emulating the behavior of steam power plants using wind power stations to provide instantaneous and primary reserve: Providing ancillary services of steam power plants using wind power stations
Sharma et al. Control and dynamic Analysis of grid connected variable speed SCIG based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Nguyen et al. LVRT control based on partial state-feedback linearization for SCIG wind turbine systems
Masood et al. A Novel Solution to Eliminate Frequency Intermittency by Adding Spinning Reserve to the Micro-Hydro Turbine Generator using Real-Time Control of Induction Motor through AC-DC-AC Power Converters
Kumar et al. A novel method of voltage regulation of isolated six-phase self-excited induction generator fed vsi driven by wind turbine
Asgharıan et al. Modeling and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 Microturbine Generation System for Stand-Alone Operation
Chakraborty et al.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a back-to-back converter based DFIG wind farm under variable wind speed
Kumar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on load frequency control
Solberg A New Wind Turbine Control Method to Smooth Power Generation. Modelling and Comparison to Wind Turbine Frequency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