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57A -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57A
KR20240026657A KR1020220104800A KR20220104800A KR20240026657A KR 20240026657 A KR20240026657 A KR 20240026657A KR 1020220104800 A KR1020220104800 A KR 1020220104800A KR 20220104800 A KR20220104800 A KR 20220104800A KR 20240026657 A KR20240026657 A KR 2024002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rts
stop
block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657A/en
Publication of KR2024002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가진 자동차용 블럭이다. 본 발명의 블럭(1)에서 사용되는 퓨즈(70)의 고정과 분리를 위해 부품고정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블럭몸체(10)의 퓨즈출입구(16)에는 베이스(20)가 중앙을 일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부품스톱(24)과 부품걸이(28)가 탄성변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품스톱(24)에 있는 제1 및 제2 스톱돌기(26,26')는 퓨즈(70)의 일측과 마주보거나 밀착되어 퓨즈(70)가 퓨즈출입구(16)를 통해 블럭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부품걸이(28)에 있는 제1 및 제2 걸이턱(29,29')은 상기 부품걸이(28)가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퓨즈(70)를 부품유니트(50)에서 어느 정도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ixing device and a block for automobiles having the same. A component fixing device may be employed to fix and separate the fuse 70 used in th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20 may be formed at the fuse entrance 16 of the block body 10 across the center in one direction. The base 20 may be provided with a parts stop 24 and a parts hanger 28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he first and second stop protrusions 26 and 26' on the parts stop 24 face or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use 70 so that the fuse 70 is connected to the block body 10 through the fuse inlet 16. Separation from can be prevented. The first and second hooks 29 and 29' on the parts hanger 28 allow the fuse 70 to be separated from the parts unit 50 to some extent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parts hanger 28. It can be done.

Description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가진 자동차용 블럭{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가진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fixing device and a block for an automobile having the same.

자동차용 블럭 또는 다른 전자제품에는 필요에 따라 교체해야 하는 부품들이 있다. 이들 부품에는 퓨즈, 저항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그 성능이 다하거나 기능이 열화되면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동안에는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Automotive blocks or other electronic products have parts that need to be replaced as needed. These parts can include various things such as fuses and resistors. These parts can be replaced when their performance expires or their function deteriorates. However, it needs to be firm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while it is performing its function.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하는 퓨즈의 경우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용단부가 녹아 끊어지게 되면 교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제 기능을 발휘하는 동안에는 장착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퓨즈와 이에 결합되는 터미널 사이의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결합력이 크게 되도록 만들어지면, 퓨즈를 분리할 때, 분리력도 역시 커지게 되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분리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use used in an automobile block, if an overcurrent flows, the fusing part melts and breaks, requiring replacement. However, while performing its function, it must remain firmly in its mounted 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use and the terminal connected to it is made relatively large. If the coupling force is made to be large like this, when separating the fuse, the separating force also increases, and it is often difficult to separate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퓨즈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도 한다. 이 경우 상기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를 블럭몸체에서 분리해서 외부로 퓨즈를 노출시키고,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퓨즈를 빼내고 교체하게 된다.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a separate cover is used to secure the fuse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arbitrarily. In this case, in order to replace the fuse,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block body to expose the fuse to the outside, and the worker uses a tool to remove the fuse and replace it.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 커버를 분실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커버가 블럭몸체와는 별개로 만들어져서 착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를 분리하고 난 후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을 분리해 내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structure, the cover is often lost. This is because the cover is made separately from the block body and is removable. Also,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 parts using a separate tool even after removing the cov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898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8989 한국등록특허 제10-1640098호Korean Patent No. 10-1640098 한국공개특허 제10-2012-13649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136497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부품이 사용을 위해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ertain parts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while mounted for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부품이 사용을 위해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 시에 별도의 공구없이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predetermined parts to be removed without a separate tool when necessary while they are mounted for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부품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는 구조가 부품이 설치된 공간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a structure that prevents arbitrary separation of certain components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품고정장치는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부품출입구와, 상기 부품출입구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변형되는 부품스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rts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part entran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where the part is located and the outside, a base formed across the part entrance, and a base provided on the base, where the part is connected to the above. It is configured to block arbitrary movement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rt entrance and exit and may include a part stop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부품스톱은 외팔보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자유단부에는 상기 부품과 마주보는 스톱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part stop may have a cantilever shape and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 stop protrusion facing the part may be provided at a free end to protrude.

상기 스톱돌기는 상기 부품스톱의 자유단부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스톱돌기와 상기 부품스톱의 자유단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스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ree end of the parts stop and a second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free end of the parts stop.

상기 제1스톱돌기와 제2스톱돌기에는 경사면이 상기 부품출입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top protrusion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may have inclined surfaces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onent entrance.

상기 베이스에는 부품걸이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부품걸이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부품을 부품출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hanger, and the component hang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move the component toward the component entrance.

상기 부품걸이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hook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component hanger.

상기 부품걸이는 상기 부품스톱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arts holde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rts stop.

상기 걸이턱은 상기 부품걸이의 자유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ging jaw may include a first hanging jaw and a second hanging jaw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a free end of the component hanger.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부품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어주는 블럭커버와, 상기 부품출입구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변형되는 부품스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body formed on one side with a part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where the part is located and the outside, a block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a base formed across the part entrance.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parts stop provided on the base and configured to block the part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rt entrance.

상기 부품출입구는 상기 블럭커버에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는 반대쪽의 블럭몸체 외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component entrance may be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opposite to the block cover mounted on the block body.

상기 부품스톱은 외팔보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자유단부에는 상기 부품과 마주보는 스톱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The part stop may have a cantilever shape and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 stop protrusion facing the part may protrude from a free end.

상기 스톱돌기에는 경사면이 상기 부품출입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The stop protrus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onent entrance.

상기 베이스에는 부품걸이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부품걸이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부품을 부품출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hanger, and the component hang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move the component toward the component entrance.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가진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parts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obile block having the same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부품이 설치된 공간을 가로질러 판형상의 베이스가 있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부품을 고정시키는 부품스톱이 있다. 상기 부품스톱은 탄성변형가능한 것으로 평상 시에는 부품을 지지하고 고정한다. 따라서, 소정의 부품이 장착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부품이 임의로 제 위치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late-shaped base across the space where certain parts are installed, and there is a parts stop for fixing the parts to the base. The parts stop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supports and fixes the part in normal times. Accordingly, the predetermined part is firmly fixed in the mounted position, which may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ar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its posi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소정의 부품을 분리해 낼 수 있는 부품걸이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부품걸이를 사용하여 부품을 장착상태에서 일정 정도 분리한 후에 손으로 부품을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품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parts hanger that can separate predetermined parts. The user can use the parts hanger to separate the part from the mounted state to a certain extent and then remove the part by hand. Therefore, there may be an effect of being able to separate parts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는 소정의 부품이 설치된 공간의 양측 내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는 소정의 부품이 사용되는 제품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 중에 분실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inner surfaces of the space where certain components are installed. Accordingly, the base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duct in which certain parts are used,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risk of loss during use.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를 자동차용 블럭에 적용되면, 예를 들어 퓨즈를 부품스톱이 블럭몸체에 있는 부품유니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유니트에 설치된 퓨즈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nd,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mobile block, for example, a fuse can be firmly fixed within a parts unit where the parts stop is located in the block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se installed in the component unit from being removed arbitrarily.

또한,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차용 블럭에 적용되면, 예를 들어 퓨즈를 부품걸이를 사용하여 부품유니트에서 일부 분리해 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품유니트에서 퓨즈를 완전히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없이 퓨즈를 자동차용 블럭에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mobile block, for example, the fuse can be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component unit using a component hanger, and in this state, the operator can completely remove the fuse from the component unit. Therefore, there may be an effect of being able to separate the fuse from the automobile block without a separate tool.

또한, 상기 부품스톱과 부품걸이가 있는 베이스가 블럭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스톱과 부품걸이를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with the parts stop and the parts hang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lock body, there can be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fear of losing the parts stop and the parts 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블럭의 블럭몸체 저면에 부품고정장치가 있는 것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퓨즈가 부품유니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가 채용된 블럭몸체의 해당되는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퓨즈가 설치되는 부품유니트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분리되는 퓨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에서 부품스탑이 탄성변형되어 일측 퓨즈가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에서 부품스탑과 부품걸이가 모두 탄성변형되어 퓨즈를 일정 정도 분리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for an automobile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fixing device on the bottom of the block body of the automobile block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use fixed by a component fix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omponent unit.
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lock body in which the component fixing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onent unit in which a fuse fixed by the component fix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use fixed and separated by a component fixing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the component stop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of the fuse can be separated.
Figure 10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both the part stop and the part hanger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separating the fuse to a certain ext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차용 블럭(1)에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가 채용된 것을 기초로 부품고정장치의 실시례를 설명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n embodiment of the component fixing devi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in the automobile block (1).

자동차용 블럭(1)의 골격과 외관의 일부를 블럭몸체(1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면,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턱(12)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4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턱(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 body 10 can form part of the skeleton and exterior of the automobile block 1. The block body 1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block body 10 may be made of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2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more specifically, from the side, of the block body 10. The block body 10 has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12 may be formed on its four sides.

상기 블럭몸체(10)를 평면도로 볼 때, 그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장착부(1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14)는 자동차용 블럭(1)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고정부에 돌출되어 있는 체결볼트가 상기 장착부(14)에 있는 방진구(44)와 부싱(46)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이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자동차용 블럭(1)을 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block body 10 is viewed in plan view, there may be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14 at its edges. The mounting portion 14 is a part for fastening the automobile block 1 to a fixture of the automobile. For example, a fastening bol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of a car protrudes through the vibration isolation hole 44 and the bushing 46 in the mounting part 14, and a fastening nut is fastened to this fastening bolt to form a block for an automobile ( 1) can be fixed to the fixture.

상기 블럭몸체(10)를 관통하고, 상기 블럭몸체(10)의 저면으로 개방되게 부품출입구(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출입구(16)로 노출되게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70)가 설치될 수 있다.There may be a component entrance 16 that penetrates the block body 10 and is open to the bottom of the block body 10. A fuse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상기 블럭몸체(10)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커버(30)에 의해 덮여지는 부분인 상기 블럭몸체(10)의 표면에는 구획벽(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18)은 상기 부품출입구(16)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8)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유니트(5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8) 상에는 다수개의 체결보스(19)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보스(19)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유니트(50)를 블럭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re may be a partition wall 18 on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10, which is a portion covered by the block cov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artition wall 18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component entrance 16. A part of the component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loca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8.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9 protrude from the partition wall 18. The fastening boss 19 is for fixing the component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the block body 10.

상기 부품출입구(16) 내에는 베이스(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부품출입구(16)를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부품출입구(16) 내부를 양분하도록 부품출입구(16)를 가로질러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부품출입구(16) 내에서 마치 칸막이와 같은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상기 부품출입구(16)의 횡단면이 막히는 영역은 상기 베이스(20)가 위치되는 영역 정도이다. 이는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상기 부품출입구(16)를 퓨즈(70)가 통과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re may be a base 20 within the component entrance 16. The base 20 may have a plate shape. The base 20 may be positioned across the component entrance 16. The base 20 may be across the component entrance 16 to bisect the inside of the component entrance 16. The base 20 may be positioned in the component entrance 16 in a partition-like shape.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nent entrance 16 is blocked by the base 20 is approximately the area where the base 20 is located. This is to prevent the fuse 70 from passing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by the base 20.

상기 베이스(20)의 양단은 상기 부품출입구(16)의 내면에 연결부(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블럭몸체(10)에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 각각 일부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연결되도록 한다. Both ends of the base 2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entrance 16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22. The connection portion 22 may be integrated into the block body 10. The connection portion 22 connects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ase 20 to the block body 10.

상기 베이스(20)에는 부품스톱(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스톱(24)은 외팔보 형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스톱(24)은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부품스톱(24)에는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는 상기 부품스톱(24)의 자유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부품스톱(24)에는 반드시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가 모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톱돌기(16,26')의 갯수는 상기 부품출입구(16) 내에 설치되는 퓨즈(70)의 갯수에 따라 달리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퓨즈(70)가 사용되므로,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base 20 may have a parts stop 24. The parts stop 24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cantilever shape. The part stop 24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component stop 24 has a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a second stop protrusion 26'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may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free end of the component stop 24. The part stop 24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both a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a second stop protrusion 26'. The number of stop protrusions 16 and 26'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fuses 70 installed in the component entrance 16. Since two fuses 70 are used in this embodiment, a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a second stop protrusion 26' are provided and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에는 각각 경사면(27)이 있을 수 있다.(도 3참고) 상기 경사면(27)은 상기 부품유니트(50)가 위치되어 있는 쪽으로 경사를 가진다. 상기 경사면(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7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안내될 수 있다. 이 동작 중에 상기 부품스톱(24)은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The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may each have an inclined surface 27 (see FIG. 3). The inclined surface 27 is locat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component unit 50 is located. It has a slope. The inclined surface 27 may be guided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fuse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During this operation, the parts stop 24 may naturally elastically deform.

상기 베이스(20)에는 부품걸이(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걸이(28)는 퓨즈(70)의 일측을 걸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유니트(50)로부터 퓨즈(70)를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퓨즈(70)의 분리작업에 부품걸이(28)가 없어도 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부품걸이(28)는 상기 부품스톱(24)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The base 20 may have a component hanger 28. The parts hanger 28 hangs one side of the fuse 70 to separate the fuse 70 from the parts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in cases where the part hanger 28 is not necessary for the separation of the fuse 70, it may not be used. The parts hanger 28 may extend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arts stop 24.

상기 부품걸이(28)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걸이턱(29,2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턱(29)과 제2걸이턱(29')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턱(29)과 제2걸이턱(29')은 서로 다른 퓨즈(70)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퓨즈(70)만 있다면, 제1걸이턱(29)과 제2걸이턱(29')중에서 어느 하나만 있어도 된다. 상기 걸이턱(29,29')은 상기 부품걸이(28)가 탄성변형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70)의 단턱(76)에 걸어질 수 있도록 치수가 설계된다. 상기 부품걸이(28)의 길이는 상기 부품스톱(24)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될 수 있다. 이는 부품걸이(28)의 걸이턱(29,29')이 퓨즈(70)에 걸어지는 위치와 상기 부품스톱(24)의 스톱돌기(26,26')가 퓨즈(70)에 접촉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The tip of the component hanger 28 may have first and second hangers 29 and 29'. The first hook 29 and the second hook 29' may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holder 29 and the second holder 29' are needed to separate different fuses 70 from each other. Therefore, if there is only one fuse 70, either the first holder 29 or the second holder 29' may be used. The hangers 29 and 29' are designed to have dimensions so that when the part hanger 28 is elastically deformed, they can be hung on the step 76 of the fuse 70,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The length of the parts hanger 28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rts stop 24. This is the position where the hooks 29 and 29' of the parts hanger 28 are hung on the fuse 70 and the position where the stop protrusions 26 and 26' of the parts stop 24 are in contact with the fuse 70. Because it is different.

한편, 상기 부품걸이(28)는 상기 베이스(20)에 상기 부품스톱(2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 씩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실제로 2개의 부품걸이(28)가 상기 부품스톱(24) 양측에 각각 있다. 이와 같이 부품걸이(2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구비되는 것은 분리되어야 할 퓨즈(70)의 일 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퓨즈(70)를 분리하기 위한 힘이 고르게 전달되어 퓨즈(70)가 상대적으로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하나의 부품걸이(28)만을 가지고도 퓨즈(7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2개의 부품걸이(28)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Meanwhile, the parts hanger 28 may be located on each side of the base 20 with the parts stop 24 as the cent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are actually two component hangers 28 on each side of the component stop 24. The reason why two component hangers 28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ike this is to correspond to the width in one direction of the fuse 70 to be separated. That is, the force for separating the fuse 70 is transmitted evenly so that the fuse 70 can be separated relatively easily. Of course, if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use 70 with only one component holder 28, it is not necessary to use two component holders 28.

다음으로, 상기 블럭몸체(10)를 덮는 블럭커버(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커버(30)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일면, 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을 덮는 것이다. 상기 블럭커버(30)는 블럭몸체(10)의 일면과 거의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베이스(32)와 상기 커버베이스(32)의 가장자리를 둘러 있고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면 일부에 밀착되는 커버측벽(34)을 가질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 cover 30 that covers the block body 10 will be described. As can be seen in FIG. 1, the block cover 30 covers one side, the upper surface based on the drawing, of the block body 10. The block cover 30 has a cover base 32 that has a shape that almost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block body 10, and a cover that surrounds the edge of the cover base 3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0. It may have a cover side wall (34).

상기 커버측벽(34)을 따라서는 다수 곳에 체결편(3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36)은 상기 커버측벽(34)에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편(36)에는 체결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38)에 상기 블럭몸체(10)의 체결턱(12)이 안착될 수 있다.There may be fastening pieces 36 at multiple locations along the cover side wall 34. The fastening piece 36 extends further from the cover side wall 34 and i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 fastening hole 38 is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36. The fastening jaw 12 of the block body 10 may be seated in the fastening hole 38.

상기 블럭몸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부연결부(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40)는 상기 블럭커버(30)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40)는 자동차용 블럭(1)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외부연결부(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re may be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40 along the edge of the block body 10.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0 may be exposed without being shielded by the block cover 30.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0 is a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utomobile block 1 and the outside.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40 is no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블럭커버(30)에는 다수 곳에 관통부가 있어서, 이 관통부를 통해서 커넥터(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군데에 커넥터(4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block cover 30 has a plurality of penetration parts, and the connector 4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se penetration par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connectors 42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four locations.

한편, 상기 블럭몸체(10)의 장착부(14)에는 방진구(44)가 상기 장착부(14)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구(44)는 상기 블럭몸체(10)와 고정부 사이에서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진구(44)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진구(4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부싱(4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46)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부싱(46)은 상기 장착부(14)나 방진구(4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싱(46)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Meanwhile, a vibration isolation hole 44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14 of the block body 10 by penetrating the mounting portion 14. The vibration isolation hole 44 can prevent vibration and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between the block body 10 and the fixing part. The vibration isolator 4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bushing 46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vibration isolation hole 44. The bushing 46 may be made of metal. The bushing 46 can prevent damage to the mounting part 14 or the vibration isolation hole 44. The bushing 46 may be made of metal.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인 상기 구획벽(18)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부품유니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부품유니트(50)가 별도로 만들어져서 블럭몸체(10)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부품유니트(5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 component unit 50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8 inside the block body 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mponent unit 50 is made separately and assembled into the block body 10. However, the component unit 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lock body 10.

상기 부품유니트(50)의 외관과 골격을 유니트하우징(5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외면을 둘러서는 플랜지(5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외면에 소정 폭방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구획벽(18) 상에 안착될 수 있다.The unit housing 52 can form the exterior and framework of the component unit 50. The unit housing 52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re may be a flange 54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52. The flange 54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52 by a predetermined width. The flange 54 may be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18.

상기 플랜지(54)에는 체결편(5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은 대략 반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은 상기 체결보스(19)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에는 상기 체결보스(19)가 삽입되는 체결공(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과 상기 체결보스(19)는 방향성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유니트(50)를 상기 구획벽(18) 내에 장착할 때, 특정한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편(56)이 상기 퓨니트하우징(52)의 4 모서리에 있지 않고, 모서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편(56)에는 상기 체결보스(19)가 관통하는 체결공(58)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54 may have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56. The fastening piece 56 may have a substantially semi-disc shape. The fastening piece 56 may b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19. The fastening piece 56 may have a fastening hole 58 into which the fastening boss 19 is inserted. The fastening piece 56 and the fastening boss 19 are arranged to be directional. Therefore, when mounting the component unit 50 within the partition wall 18, it can be mounted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fastening pieces 56 are not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punit housing 52, but are located away from the corners. A fastening hole 58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ss 19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56.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외면 일측으로 개방되게 부품장착공간(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공간(60)은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외면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퓨즈(70)를 위해 부품장착공간(60)이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A component mounting space 60 may be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52.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60 is formed inside the unit housing 52 and may be open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52. In this embodiment, two component mounting spaces 60 are formed side by side for the two fuses 70.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내부공간은 일부가 상기 부품장착공간(60)이 되고 상기 부품장착공간(60)의 반대쪽으로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공간(60)에는 부품연결터미널(6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연결터미널(62)은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연결터미널(62)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리어홀더(64)가 상기 유니트하우징(52)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66은 상기 부품연결터미널(62)에 연결된 와이어이다.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housing 52 becomes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60, and the unit housing 52 may be op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60. A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62 may be locat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60. 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four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s 62. A rear holder 64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nit housing 52 to prevent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62 from being pushed back. Reference numeral 66 denotes a wire connected to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62.

퓨즈(70)는 상기 부품유니트(50)의 부품장착공간(60)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퓨즈(70)는 부품 중 하나로서 예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퓨즈(70)의 외관과 골격을 퓨즈몸체(7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퓨즈몸체(72)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퓨즈몸체(72)의 양측에는 퓨즈전극(74)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퓨즈몸체(72)의 내부에는 용단부(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상기 양측의 퓨즈전극(7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단부는 과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져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퓨즈전극(74)은 상기 부품연결터미널(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use 70 is mount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60 of the component unit 50. The fuse 70 is illustrated as one of the components. As shown in FIG. 8, the fuse body 72 can form the exterior and framework of the fuse 70. The fuse body 72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Fuse electrodes 7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fuse body 72. The fuse body 72 has a fusing portion (not shown) inside the fuse body 72,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use electrodes 74 on both sides. When an overcurrent flows, the fusing portion may melt and break, thereby bloc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 fuse electrode 7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62.

상기 퓨즈몸체(72)에는 단턱(76)이 있다. 상기 단턱(76)은 상기 부품걸이(28)의 걸이턱(29,29')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단턱(76)은 상기 퓨즈몸체(72)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의 4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use body 72 has a step 76. The step 76 is a portion on which the hooks 29 and 29' of the component hanger 28 are hung. The steps 76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upper corners of the fuse body 72 based on the draw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가 자동차용 블럭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at the parts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ed to and used in automobile blocks.

최초 조립시에는 상기 부품유니트(50)에 퓨즈(70)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벽(18)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상기 부품유니트(50)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퓨즈(70)는 상기 부품출입구(16)를 통해서 상기 블럭몸체(1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At the time of initial assembly, the component unit 50 is moun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8 with the fuse 70 mounted on the component unit 50. In this case, the fuse 70 can b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block body 10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상기 부품유니트(50)의 유니트하우징(52)에 있는 플랜지(54)가 상기 구획벽(18) 상에 안착되도록 할 때, 상기 체결편(56)의 체결공(58)에 상기 체결보스(19)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부품유니트(50)가 블럭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58)에 상기 체결보스(19)가 압입되거나, 상기 체결보스(19)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부품유니트(50)를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flange 54 in the unit housing 52 of the component unit 50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18, the fastening boss 19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8 of the fastening piece 56. ) is inserted. In this way, the component unit 50 can be fixed to the block body 10. The component unit 50 can be fixed by press-fitting the fastening boss 19 into the fastening hole 58 or fastening a fastener such as a screw to the fastening boss 19.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부품출입구(16) 내에서 상기 퓨즈(70)는 각각 상기 부품스톱(24)의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에 밀착되거나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퓨즈(70)는 상기 제1스톱돌기(26)와 제2스톱돌기(26')에 의해 상기 부품출입구(16)를 통해서 임의로 빠질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퓨즈(70)는 사용 중에 상기 부품유니트(5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use 7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or face the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of the component stop 24, respectively, within the component entrance 16. Therefore, the fuse 70 cannot be arbitrarily removed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due to the first stop protrusion 26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Due to this structure, the fuse 70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mponent unit 50 during use.

한편, 상기 퓨즈(70)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용단부가 녹아서 끊어지면, 상기 퓨즈(70)를 교체해야 한다. 이때, 상기 블럭커버(30)를 상기 블럭몸체(10)에서 분리하지 않고, 상기 블럭몸체(10) 저면의 부품출입구(16)를 통해 상기 퓨즈(70)를 분리해 낼 수 있다.Meanwhile, if excess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fuse 70 and the fuse portion melts and breaks, the fuse 70 must be replaced. At this time, the fuse 70 can be removed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on the bottom of the block body 10 without separating the block cover 30 from the block body 10.

이를 도 9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20)에 있는 상기 부품스톱(24)을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부품스톱(24)을 일방향으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밀어서 탄성변형시킨다. 도 9에는 상기 부품스톱(24)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려서 탄성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스톱돌기(26')가 우측(도면 기준)의 퓨즈(70)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우측에 있는 퓨즈(70)는 상기 부품출입구(16)를 통해 외부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rst, the parts stop 24 on the base 20 is elastically deformed. The part stop 24 is elastically deformed by pushing it in one direction with a user's finger or the like. Figure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stop 24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is case,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moves away from the fuse 70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fuse 70 on the right side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부품걸이(28)를 나머지 손가락 등을 사용해서 밀어서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방향으로 상기 부품걸이(28)를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부품걸이(28)의 자유단부에 있는 제2걸이턱(29')이 우측에 있는 퓨즈(70)의 단턱(76)에 걸리게 되고, 상기 부품걸이(28)가 계속하여 탄성변형하게 되면, 상기 단턱(76)을 상기 제2걸이턱(29')이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에 잘 도시되어 있다.Next, the user can elastically deform the parts hanger 28 by pushing it using the remaining fingers. As shown in FIG. 10, when the part hanger 28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second hanger 29' at the free end of the part hanger 28 forms a fuse 70 on the right side. is caught on the step 76, and when the part hanger 28 continues to elastically deform, the second hanger 29' pushes the step 76. This state is well shown in Figure 10.

상기 제2걸이턱(29')에 의해 상기 퓨즈(70)가 밀어올려지면, 상기 퓨즈(70)가 상기 부품유니트(50)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연결터미널(62)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약간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부품스톱(24)이 복원되려고 해도 제2스톱돌기(26')가 상기 퓨즈몸체(72)의 일측면에 걸어져 복원되지 않고, 우측의 상기 퓨즈(70)가 부품출입구(16)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퓨즈(70)가 부품출입구(16)를 통해 완전히 빠져나가면 상기 부품스톱(24)과 부품걸이(28)는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fuse 70 is pushed up by the second hook 29', the state in which the fuse 70 is coupled to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62 inside the component unit 50 is slightly can be separated. In this state, even if the parts stop 24 is tried to be restored,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is caught on one side of the fuse body 72 and cannot be restored, and the fuse 70 on the right side is connected to the parts entrance ( There is no obstruction to exit through 16). Here, when the fuse 70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parts entrance 16, the parts stop 24 and the parts hanger 28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따라서, 사용자는 우측의 퓨즈(7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새로운 퓨즈(7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품스톱(24)을 도 9에서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부품스톱(24)의 제2스톱돌기(26')에 있는 경사면(27)을 따라 퓨즈(70)가 부품출입구(16)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부품스톱(24)이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퓨즈(70)를 부품유니트(50)의 부품안착공간(60)에 안착시킬 수 있고, 퓨즈(70)의 삽입이 끝나고 나면 상기 부품스톱(24)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스톱돌기(26')가 상기 퓨즈(70)의 일측과 마주보게 되면서 퓨즈(70)가 부품출입구(16)를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place the fuse 70 on the right with another one. In order to insert a new fuse 70, the parts stop 24 must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 9. When the fuse 70 enters the inside of the part entrance 16 along the inclined surface 27 on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of the parts stop 24, the parts stop 24 naturally elastically deforms. It can be. In this way, the fuse 70 can be seated in the component seating space 60 of the component unit 50, and after insertion of the fuse 70 is completed, the component stop 2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second stop protrusion 26' faces one side of the fuse 7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se 70 from coming out through the component entrance 16.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퓨즈(70)의 경우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부품스톱(24)과 부품걸이(28)를 탄성변형시켜서, 퓨즈(70)를 부품유니트(50)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이 위치에 다른 퓨즈(70)를 삽입하는 것은 상기 부품스톱(24)의 제1스톱돌기(26)에 있는 경사면(27)을 따라 퓨즈(70)가 안내되도록 하여 부품스톱(24)을 탄성변형시키면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use 70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parts stop 24 and the parts hanger 28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described above to separate the fuse 70 from the parts unit 50. You can do it. Inserting another fuse 70 into this position causes the fuse 70 to be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7 on the first stop protrusion 26 of the parts stop 24, ca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rts stop 24. If you ask me, I can do i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동차용 블럭 10 : 블럭몸체
12: 체결턱 14: 장착부
16: 부품출입구 18: 구획벽
19: 체결보스 20: 베이스
22: 연결부 24: 부품스톱
26: 제1스톱돌기 26': 제2스톱돌기
28: 부품걸이 29: 제1걸이턱
29': 제2걸이턱 30: 블럭커버
32: 커버베이스 34: 커버측벽
36: 체결편 38: 체결공
40: 외부연결부 42: 커넥터
44: 방진구 46: 부싱
50: 부품유니트 52: 유니트하우징
54: 플랜지 56: 체결편
58: 체결공 60: 부품장착공간
62: 부품연결터미널 64: 리어홀더
66: 와이어 70: 퓨즈
72: 퓨즈몸체 74: 퓨즈전극
76: 단턱
1: Automotive block 10: Block body
12: Fastening jaw 14: Mounting part
16: Part entrance 18: Partition wall
19: fastening boss 20: base
22: Connection 24: Parts stop
26: 1st stop protrusion 26': 2nd stop protrusion
28: Part hanger 29: First hanger
29': Second hanging jaw 30: Block cover
32: Cover base 34: Cover side wall
36: fastening piece 38: fastening hole
40: external connection 42: connector
44: vibration stop 46: bushing
50: Parts unit 52: Unit housing
54: Flange 56: Fastening piece
58: Fastening hole 60: Part mounting space
62: Part connection terminal 64: Rear holder
66: Wire 70: Fuse
72: Fuse body 74: Fuse electrode
76: Danteok

Claims (13)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부품출입구와,
상기 부품출입구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변형되는 부품스톱을 포함하는 부품고정장치.
A part entran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where the part is located and the outside,
A base formed across the component entrance,
A part fixing device comprising a part stop provided on the base and configured to block the part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rt entrance and exit and being elastically de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스톱은 외팔보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자유단부에는 상기 부품과 마주보는 스톱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부품고정장치.
The parts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s stop has a cantilever shape and extends from the base, and a stop protrusion facing the part is provided at a protruding free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돌기는 상기 부품스톱의 자유단부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스톱돌기와 상기 부품스톱의 자유단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스톱돌기를 포함하는 부품고정장치.
The compon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ree end of the component stop and a second stop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free end of the component sto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돌기와 제2스톱돌기에는 경사면이 상기 부품출입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부품고정장치.
The componen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stop protrusion and the second stop protrusion have inclined surfaces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onent entran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부품걸이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부품걸이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부품을 부품출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부품고정장치.
The componen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hanger, and the component hanger is elastically deformed to move the component toward the component entran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걸이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이 더 구비되는 부품고정장치.
The componen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hook is further provided at a free end of the component hang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걸이는 상기 부품스톱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부품고정장치.
The parts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rts hang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rts sto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은 상기 부품걸이의 자유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을 포함하는 부품고정장치.
The componen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anging jaw includes a first hanging jaw and a second hanging jaw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a free end of the component hanger.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부품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 표면을 덮어주는 블럭커버와,
상기 부품출입구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변형되는 부품스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A block body formed on one side with a part entrance connecting the space where the part is located and the outside,
A block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block body,
A base formed across the component entrance,
A block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 parts stop provided on the base, configured to block the parts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rt entrance, and elastically de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출입구는 상기 블럭커버에 상기 블럭몸체에 장착되는 반대쪽의 블럭몸체 외면으로 개방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mponent entrance is open to an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opposite to the block cover mounted on the block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스톱은 외팔보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자유단부에는 상기 부품과 마주보는 스톱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arts stop has a cantilever shape and extends from the base, and a stop protrusion facing the part protrudes from a free en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돌기에는 경사면이 상기 부품출입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op protrusion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onent entrance.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부품걸이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부품걸이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부품을 부품출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block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wherein the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rts hanger, and the parts hanger is elastically deformed to move the part toward the parts entrance.
KR1020220104800A 2022-08-22 2022-08-22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202400266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00A KR20240026657A (en) 2022-08-22 2022-08-22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00A KR20240026657A (en) 2022-08-22 2022-08-22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57A true KR20240026657A (en) 2024-02-29

Family

ID=900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800A KR20240026657A (en) 2022-08-22 2022-08-22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657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989A (en)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for car
KR20120136497A (en) 2011-06-09 201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teminal breakaway of junction box for vehicle
KR101640098B1 (en) 2009-12-28 2016-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98B1 (en) 2009-12-28 2016-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KR20110078989A (en)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for car
KR20120136497A (en) 2011-06-09 201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teminal breakaway of junction box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3068B1 (en) Fuse assembly
US9509079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US10566775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rotection member
US6176735B1 (en)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JP5946023B2 (en) Electrical circuit device
US4647141A (en) Zener barrier
KR20240026657A (en) Parts fastening device and block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075912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junction box
KR100733849B1 (en) Female terminal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CN109314354B (en) Threading terminal
JP7115358B2 (en) electronic module
JP7226190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70085941A (en) Connector
KR20170002387U (en) Joint block
KR200227484Y1 (en) Terminal fixing device for fuse box for automobile
CN114175867B (en) electronic module
KR200157632Y1 (en) Conclude structure of socket and base for cathode ray tube
KR100860907B1 (en) inter-connecting member of multi-function connector for vehicle
KR200227485Y1 (en) Terminal fixing device for fuse box for automobile
KR200226904Y1 (en) Structure fixing for a terminal of connector for an automobile
KR102542322B1 (en) Electronic parts
US9786461B2 (en) Component unit, fusible link unit, and affixing structure for the component
KR20220078028A (en) Rear holder for terminal
KR20220065502A (en) 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