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55A -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55A
KR20240026655A KR1020220104793A KR20220104793A KR20240026655A KR 20240026655 A KR20240026655 A KR 20240026655A KR 1020220104793 A KR1020220104793 A KR 1020220104793A KR 20220104793 A KR20220104793 A KR 20220104793A KR 20240026655 A KR20240026655 A KR 2024002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g
moisture
po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평
Original Assignee
전태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평 filed Critical 전태평
Priority to KR102022010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655A/ko
Publication of KR2024002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직벽체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간 인접되게 횡설되는 장방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거치되는 화분포트;와, 상기 화분포트에 수분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횡설되는 포그관;과, 상기 하우징의 포그관에 연통되어 수분입자를 공급하는 포그발생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응결된 수분을 월류시켜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월류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수분을 공급받아 이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분유입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과 화분포트는 식물이 생육되면서 전방으로 경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상기 수직벽체에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하우징은 수분유입골에 삽입되는 월류골을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PLANTER ASSEMBLY FOR WALL GREENING}
본 발명은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수직벽체의 손쉽게 설치 분해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분입자를 통해 화분포트 전체에 균일한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 생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은 사람의 호흡과정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사람에게 유익한 산소를 생산해 내므로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지가 적은 곳, 예를 들면 아파트나 빌딩의 사무실 등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화분을 비치하여 키우고 있다.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공기정화 성능은 잎의 호흡작용이나 광합성 작용 및 토양과 관련되어 있다. 토양은 공극과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을 돕고 식물뿌리의 활착을 원활하게 하고 아울러 공극을 갖는 토양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므로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근래 공기의 질은 미세먼지를 포함함으로써 미세 먼지를 줄이려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에 사용되는 장치나 장비들은 공기 정화에 전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식물을 생육시키는 화분은 주로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식물의 자체 자정 작용을 통해 공기정화용로 이용되고 있으나 공기 정화 효과가 높은 식물의 뿌리를 활용하는 제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특허로 "종이화분 조립체(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8487호"가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이화분 조립체"는 비영구적인 것으로, 수명이 짧고,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종이화분 조립체"는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구조로, 자주 물을 공급해야만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84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기존의 수직벽체의 손쉽게 설치 분해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분입자를 통해 화분 전체에 균일한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 생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포그관의 내부에 유도봉을 배치하여 수분입자가 포그관 전체로 확산되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다수의 화분포트에 식재된 식물 전체에 균형 있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직벽체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간 인접되게 횡설되는 장방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거치되는 화분포트;와, 상기 화분포트에 수분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횡설되는 포그관;과, 상기 하우징의 포그관에 연통되어 수분입자를 공급하는 포그발생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응결된 수분을 월류시켜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월류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수분을 공급받아 이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분유입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과 화분포트는 식물이 생육되면서 전방으로 경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벽체에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하우징은 수분유입골에 삽입되는 월류골을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화분포트를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덮개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판은 양측으로 화분포트를 거치하기 위한 화분거치공이 반분되게 형성되어 식물 뿌리 생육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화분포트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애 내장되는 제1흡수부재와, 상기 수분유입골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구와, 상기 제1흡수부재에 연결되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1흡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수직벽체에는 높이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와이어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후면에 상기 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수직벽체에 대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포그관은 부분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포그관 내에 응결된 수분이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포그관의 내부 중심에는 수분입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포그유도봉이 배치되되, 상기 포그유도봉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분입자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포그유도봉의 일측은 포그관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포그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포그관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종동풀리가 더 장착되고, 각각의 포그유도봉에 연결된 종동풀리는 단일모터의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벨트에 맞물려 동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포그유도봉의 타측에는 분무확산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분무확산날개는 포그유도봉의 전체 길이 대비 1/3 길이로 부분 형성하여 기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포그유도봉은 스크류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따르면, 와이어에 거치되고 상호 간 연결되는 하우징을 통해 기존의 수직벽체의 손쉽게 설치 분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입자로만 식물을 생장시키기 때문에 물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다층으로 배치된 하우징 전체에 수분입자를 동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을 생장시키는데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포그관의 내부에 유도봉을 배치하여 수분입자가 포그관 전체로 확산되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다수의 화분포트에 식재된 식물 전체에 균형 있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포그발생수단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다른 실시예의 포그유도봉 및 포그관에 설치된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포그유도봉이 설치된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정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또 다른 실시예의 포그유도봉 및 포그관에 설치된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포그발생수단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기존의 수직벽체의 손쉽게 설치 분해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분입자를 통해 화분 전체에 균일한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 생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의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우징(10)과, 포그관(20)과, 포그발생수단(60)과, 수분유입골(12)과, 월류골(11)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수직벽체(200)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 인접되게 횡설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화분포트(30)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거치되어 수직벽체(200)에 식물 경관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은 장방형의 형태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화분포트(30)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수직벽체(200)에는 도 5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와이어(W) 또는 강봉이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은 후면에 상기 와이어(W) 또는 강봉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수직벽체(200)에 대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식물이 생장하면서 전방으로 경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수직벽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30°내지 50°의 기울기 두는 경우, 화분포트(30)의 낙하와 식물의 중력 방향 쳐짐 및 더 나아가 수분의 낙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외의 각도가 화분포트(30)의 낙하와 식물의 쳐짐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각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저장된 물이 교체되도록 이를 배수하기 위한 제1드레인관(1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드레인관(15)에는 밸브(151)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밸브(151)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일 수 있다.
상기 포그관(20)은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포그발생수단(60)을 통해 발생된 수분입자를 공급받아 상기 각 화분포트(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횡설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포그발생수단(60)은 초음파진동소자를 내장한 장치 또는 가습기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상기 각 하우징(10)의 포그관(20)에 연통되어 수분입자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포그관(20)은 도 5와 같이, 1시 ~ 2시 방향을 따라 개구된 개구부(21)가 형성되어 포그발생수단(60)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입자가 화분포트(3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로 직접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 때 상기 포그관(20)은 하부에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되어 포그관(20) 내에 응결된 수분은 하우징(10)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골(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응결된 수분을 저장 후, 수위가 높아지면 이를 월류시켜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수분유입골(12)은 도 4의 (a)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수분을 공급받아 이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벽체(200)에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하우징(10)은 수분유입골(12)에 삽입되는 월류골(11)을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월류골(11)에 형성된 통공(H)과, 수분유입골(12)에 형성된 통공(H)은 상호 간 상통되는 구조이며, 이를 통해 월류골(11)을 통해 월류되는 수분은 하부에 배치되 하우징(10)의 내부로 낙하되게 유통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하우징(10)의 상부는 와이어(W)에 거치되는 걸림부(14)를 통해 고정되고, 하부는 수분유입골(12)에 삽입되는 월류골(11)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손쉽게 설치 분해 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화분포트(30)를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덮개판(13)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판(13)은 양측으로 화분포트(30)를 거치하기 위한 화분거치공(131)이 반분되게 형성되어 식물 뿌리 생육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우징(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분포트(30)는 도 5와 같이, 수분을 흡수하기 위애 내장되는 제1흡수부재(32)와, 상기 수분유입골(12)의 통공(H)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구(31)와, 상기 제1흡수부재(32)에 연결되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2흡수부재(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흡수부재(32)는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스폰지 또는 배양토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흡수부재(33)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도록 부직포심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분포트(30)에 식재된 식물은 수분유입골(12)의 통공(H)을 거쳐 낙하되는 수분과, 제2흡수부재(33)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되는 수분에 의해 생장할 수 있고, 더불어 포그관(20)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 절개구(31)로 노출된 식물뿌리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여 생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최하층에 배치된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물탱크(50)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50)는 최하층에 배치된 하우징(10)의 월류골(11)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저장한 후, 이를 펌핑시켜 상기 포그발생수단(60)으로 재공급 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50)의 바닥면에는 도 2와 같이, 배수를 원할히 하기 위해 경사판(51)이 더 설치되고, 더불어 물고임을 방지하기 위해 제2드레인관(52)이 더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드레인관(52)에는 제2밸브(521)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2밸브(521)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포그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수분입자로만 식물을 생장시키기 때문에 물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다층으로 배치된 하우징 전체에 수분입자를 동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을 생장시키는데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최상층에 배치된 하우징(10)의 월류골(11)에 수분공급노즐(미도시)을 배치하여 직접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덮개판(13) 중 어느 하나에는 배기공(미도시)을 형성하고, 덮개판(13) 중 다른 하나에는 급기팬(미도시)을 장착하여 식물의 뿌리를 활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게 구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과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포그관(20)의 내부 중심에는 수분입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포그유도봉(4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통상 상기 포그발생수단(60)에서 발생된 수분입자는 포그관(20)의 내부로 진행할 수록 수분입자량이 작아지는 바, 상기 포그유도봉(40)은 상기 포그관(20)의 내부로 수분입자가 유입되면 이를 포그관(20)의 타측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포그유도봉(40)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분입자유도홈(41)이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분입자유도홈(41)은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수분입자의 진행 속도를 증대시켜 포그관(20)의 타측까지 수분입자를 안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따라 포그관(20)으로 유입된 수분입자는 포그관(20) 전체로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하우징(10)에 거치된 다수의 화분포트(30)로 수분입자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다른 실시예의 포그유도봉 및 포그관에 설치된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포그유도봉이 설치된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의 (a)와 같이, 상기 포그유도봉(40)은 스크류 형태로 성형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이, 상기 포그유도봉(40)의 일측은 포그관(20)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B)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종동풀리(43)가 더 장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각각의 포그유도봉(40)에 연결된 종동풀리(43)는 단일모터(70)의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71)에 연결되는 벨트(72)에 맞물려 동시 회전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포그유도봉(40)의 회전속도는 분당 6 ~ 10rpm으로 조절하여 기류에 의한 식물뿌리가 흔들려 식물생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스크류 형태로 성형된 포그유도봉(40)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포그관 전체로 유입된 수분입자를 와류에 의해 빠르게 확산시켜, 이는 결국 포그관(20)에 형성된 개구부(21) 전체로 수분입자를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또 다른 실시예의 포그유도봉 및 포그관에 설치된 포그유도봉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포그유도봉(40)의 타측에는 분무확산날개(42)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무확산날개(42)는 포그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수분입자를 포그관(20)으로 강제로 유입시키고 동시에 포그관(20)의 타측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수분입자를 포그관(20) 전체에 더욱 빠르게 확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무확산날개(42)는 포그유도봉(40)의 전체 길이 대비 1/3 길이로 부분 형성하여 기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하우징 11: 월류골 12: 수분유입골
13: 덮개판 131: 화분거치공
14: 걸림부 15: 제1드레인관
151: 제1밸브
20: 포그관 21: 개구부
30: 화분포트 31: 절개구 32: 제1흡수부재
33: 제2흡수부재
40: 포그유도봉 41: 수분입자유도홈 42: 분무확산날개
43: 종동풀리
50: 물탱크 51: 경사판 52: 제2드레인관
521: 제2밸브
60: 포그발생수단
70: 모터 71: 구동풀리 72: 벨트
H: 통공 B: 베어링 W: 와이어
100: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200: 수직벽체

Claims (9)

  1. 수직벽체(200)에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간 인접되게 횡설되는 장방형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거치되는 화분포트(30);
    상기 화분포트(30)에 수분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횡설되는 포그관(20);
    상기 하우징(10)의 포그관(20)에 연통되어 수분입자를 공급하는 포그발생수단(6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응결된 수분을 월류시켜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 월류골(11);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수분을 공급받아 이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 수분유입골(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과 화분포트(30)는 식물이 생육되면서 전방으로 경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벽체(200)에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하우징(10)은 수분유입골(12)에 삽입되는 월류골(11)을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전면에는 화분포트(30)를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덮개판(13)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판(13)은 양측으로 화분포트(30)를 거치하기 위한 화분거치공(131)이 반분되게 형성되어 식물 뿌리 생육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우징(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포트(30)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애 내장되는 제1흡수부재(32)와,
    상기 수분유입골(12)의 통공(H)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구(31)와,
    상기 제1흡수부재(32)에 연결되어 모세관 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1흡수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200)에는 높이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와이어(W)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은 후면에 상기 와이어(W)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수직벽체(200)에 대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관(20)은
    부분 개구된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되어 포그관(20) 내에 응결된 수분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관(20)의 내부 중심에는 수분입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포그유도봉(40)이 배치되되,
    상기 포그유도봉(40)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분입자유도홈(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유도봉(40)의 일측은 포그관(20)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B)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포그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포그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종동풀리(43)가 더 장착되고,
    각각의 포그유도봉(40)에 연결된 종동풀리(43)는 단일모터(70)의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71)에 연결되는 벨트(72)에 맞물려 동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유도봉(40)의 타측에는 분무확산날개(4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분무확산날개(42)는 포그유도봉(40)의 전체 길이 대비 1/3 길이로 부분 형성하여 기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유도봉(40)은 스크류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20220104793A 2022-08-22 2022-08-22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20240026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793A KR20240026655A (ko) 2022-08-22 2022-08-22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793A KR20240026655A (ko) 2022-08-22 2022-08-22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55A true KR20240026655A (ko) 2024-02-29

Family

ID=900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93A KR20240026655A (ko) 2022-08-22 2022-08-22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6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487B1 (ko) 2018-08-17 2020-04-07 전태평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487B1 (ko) 2018-08-17 2020-04-07 전태평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US10694684B2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and a growing device
US7516574B2 (en) Vertical garden
KR100771486B1 (ko)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US9113606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KR100757325B1 (ko) 수경재배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화분 및 그 제어방법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EP2836063B1 (en) Vivarium
JP2015029426A (ja) 大気浄化壁面緑化装置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20240026655A (ko) 벽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2158978B1 (ko) 공기정화 재배기
KR101128824B1 (ko)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KR20240026747A (ko) 벽체 녹화 구조체
CN2718436Y (zh) 温室雾状加湿装置
KR102038523B1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KR101872013B1 (ko) 식물을 이용한 바이오 필터
KR102284174B1 (ko)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0412482Y1 (ko) 수중식물재배공기청정가습기
KR101368186B1 (ko) 다단 식물 재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