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538A -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 Google Patents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538A
KR20240026538A KR1020220104481A KR20220104481A KR20240026538A KR 20240026538 A KR20240026538 A KR 20240026538A KR 1020220104481 A KR1020220104481 A KR 1020220104481A KR 20220104481 A KR20220104481 A KR 20220104481A KR 20240026538 A KR20240026538 A KR 2024002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ake
content
news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호상
함현우
Original Assignee
함호상
함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호상, 함현우 filed Critical 함호상
Priority to KR102022010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538A/en
Publication of KR2024002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53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동영상 환경에서 동영상 개발자, 피해 당사자 및 이용자들이 받을 피해를 최소화하고,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엉터리 가짜뉴스를 퍼나르지 않도록 이를 억제시켜 신뢰받을 인터넷 문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동영상 컨텐츠의 버전을 관리하고, 간편하게 문제 내용을 신고받으며, 이용자들에게 이를 전달함으로써 가짜 정보(뉴스)에 현혹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형 소셜 미디어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 환경에 1) 원본 동영상 등록단계, 2) 가짜뉴스 신고단계 및 3)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를 도입함으로써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가짜 디지털 동영상 정보로부터 받을 개인적인 피해손실, 기업의 이미지 손해 및 국가 사회문제 등을 예방하여 올바른 인터넷 문화를 정착하기 위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damage to video developers, victims, and users in a digital video environment such as YouTube, and to establish a trustworthy Internet culture by suppressing the spread of false and fake news for one's own benefit. It is about how to manage the version of related video content, easily report problems, and communicate this to users to prevent them from being misled by fake information (new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1) original video registration stage, 2) fake news reporting stage, and 3) fake video search stage in a digital video platform environment such as YouTube, a large social media video platform, thereby rapidly expanding fake digital video. This is to establish a proper Internet culture by preventing personal damage from information, damage to the company's image, and national social problems.

Description

가짜 동영상 컨텐츠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본 발명은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환경에서 가짜 동영상 컨텐츠로 인하여 막대한 피해를 겪은 동영상 당사자 및 인터넷 사용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짜뉴스인 동영상 컨텐츠의 인터넷 확산을 방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venting the spread of video content that is fake news on the Internet so as to minimize losses to video users and Internet users who have suffered enormous damage due to fake video content in a video platform environment such as YouTube.

최근 급속한 인터넷 보급에 따라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동영상 파일전송, 정보 전달 및 검색을 거쳐 각종 동영상 컨텐츠가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가짜 동영상들이 판을 치고 있어 개인적인 피해나 국가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일례로 카톡에서는 2018년 4월말부터 가짜뉴스를 유통시키다, 적발되면 이용을 정지당한다. 이처럼 가짜 동영상 피해는 매년 눈덩어리처럼 급증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처럼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이 우수한 국가인 경우, 그 안에 유통되는 내용물들이 가짜 동영상 정보로 가득하다면 이용자들이 외면하게 되어 더 이상 디지털 강국 이미지는 사라질 것이다. 한편,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너무나 유사하다. 즉, 다른 국가의 경제 상황은 무시한 채 중국은 감언이설로 꼬득여 막대한 자금을 빌려주고, 이후 각종 국가 인프라 개발을 유도한 후, 그 돈을 갚지 못하는 약점을 이용하여 그들의 사업을 갈취하거나 종속되게 만들고 있다. 최근 이러한 중국의 경제 함정에 빠진 일부 국가들은 자기네 경제상황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중국의 자금을 덥썩 받아 결국 IMF에 경제 지원을 신청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various video contents have been widely spread on social media platforms through video file transfer, information delivery, and search through the Internet. Fake videos are rampant, emerging as a personal damage or national social problem. For example, KakaoTalk has been distributing fake news since the end of April 2018, and if caught, use is suspended. Like this, the damage caused by fake video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in countries like Korea with an excellent Internet network environment, if the content distributed there is full of fake video information, users will turn away and the image of a digital powerhouse will disappear. will be. Meanwhile, this is very similar to China's Belt and Road policy. In other words, ignoring the economic situation of other countries, China lends them huge amounts of money through coaxing, induc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n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n exploits their weakness in not being able to repay the money to extort their businesses or make them dependent. . Recently, some countries that have fallen into China's economic trap are receiving a lot of Chinese funds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their own economic situation, leading to the absurd situation of applying for economic support from the IMF.

이는 가짜 동영상 컨텐츠들을 통하여 남이야 어떠한 손해를 볼지 전혀 생각하지 않고, 개발자들이 시청율을 증가토록 하여 자기 수익증대만을 추구한다면, 저 개발국에게 행하고 있는 중국의 일대일로 행위와 무엇이 다르다는 말인가? 특히 우리나라의 통신환경은 어떤 거리에서나 전철 등에서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고 자랑하지만 실제 그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짜 동영상물이 많아 이용을 주저하게 된다. 아무리 네트워크 환경이 잘 구축되어도 그 안에 있는 내용물들이 쓰레기라면 누가 그런 환경을 이용할까? 아마도 그런 상황이 지속되다면, 많은 이용자들이 인터넷 사용을 외면하게 되어 우리의 인터넷 강국 이미지는 곧바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일례로, 최근 문제로 부각되었던 아사다 마오의 사망설이나 최근 유행하고 있는 우영우 변호사 드라마중 주인공 박은빈의 오스카상 수상 등 가짜소식은 동영상 당사자의 피해는 물론 이용자들도 가짜 동영상 정보에 접하게 됨으로써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어 개인적인 피해 및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This means that if developers only seek to increase their own profits by increasing viewership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loss to others through fake video content, how is this any different from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In particular, Korea's communication environment boasts that the Internet can be used on any street or subway, but if you look closely at it, there are a lot of fake videos, so you are hesitant to use it. No matter how well the network environment is built, if the contents inside it are trash, who will use such an environment? If this situation continues, many users will turn away from using the Internet, and our image as an Internet powerhouse will soon disappear. For example, fake news, such as the rumor of Mao Asada's death, which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 problem, or Park Eun-bin's Oscar win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recently popular lawyer Woo Young-woo drama, not only causes damage to the people involved in the video, but also causes wrong decisions by users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fake video information. This can lead to personal damage and serious social problems.

2021년 유-튜브 통계자료에 따르면 1분에 500시간 이상 새로운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고, 전 세계 20억명 이상 이용자가 몰려 매일 10억시간 이상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의 42.9%에 이르고 있고, 사용자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중 Facebook 다음으로 유-튜브가 2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랫폼에 머무르는 시간측에서는 매일 10억시간 이상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다. 특히, 이용자 그룹에서 15살~35살이내의 젊은 그룹에서 무려 77%가 활용하고 있고, 75,000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와 대학교육을 받은 고교육자들도 79%에 이르고 있어, 밝은 유-튜브 미래가 점처지고 있다. 더군다나, 초기에는 컴퓨터와 노트북으로 유일하게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었으나, 2005년 이후 디지털 환경으로 크게 바뀌어 스마트폰과 스마트 TV 등을 활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시청이 가능하다. 유-튜브의 내부 수치에 따르면 전체 조회수의 70% 이상이 모바일 환경(휴대폰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Google Play Store에서는 50억회 이상 유-튜브 앱을 다운 받고 있다. 2018년 11월 기준 국내 유튜브 이용자 수는 3,122만명에 이르고 있어 3,800만명의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보유자들이 한번 이상 유-튜브에 접속하였다고 한다. 한편, 이용시간은 국내의 경우 한달 동안 거의 317억분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다른 동영상 채널인 옥수수, 아프리카TV, 네이버TV, 넷플리스 등이 모두 합친 이용자의 시청시간보다 10배 이상 많다고 이야기 한다.According to YouTube statistics for 2021, more than 500 hours of new videos are being uploaded per minute, and more than 2 billion users around the world are watching more than 1 billion hours of video content every day. This amounts to 42.9% of the world's Internet users. In terms of users, YouTube ranks second after Facebook among social media platforms, and in terms of time spent on the platform, more than 1 billion hours of video content is watched every day. In particular, among the user group, a whopping 77% of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5 and 35 are using it, and 79% are people with high incomes of $75,000 or more and highly educated people with college education, so a bright future for YouTube is predicted. . Moreover, in the beginning, content was only watched on computers and laptops, but since 2005, the digital environment has changed significantly, allowing users to watch content anywhere, regardless of location, using smartphones and smart TVs. According to YouTube's internal figures, more than 70% of total views occur in mobile environments (mobile phones, etc.), and for this purpose, the YouTube app is downloaded more than 5 billion times from the Google Play Store. As of November 2018, the number of domestic YouTube users reached 31.22 million, and it is said that 38 million domestic Android smartphone owners have accessed YouTube at least once. Meanwhile, in Korea, the usage time reaches almost 31.7 billion minutes per month, which is more than 10 times the viewing time of users of other video channels such as Oksusu, Afreeca TV, Naver TV, and Netflix combined.

이처럼 2005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된 유-튜브가 성장한 이유로는 무료 채널로 구글과 함께 성장하자(Grow With Google)는 정책방안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정책을 들 수 있다. 동영상에 붙는 광고수익의 55%를 이들에게 내주고 유-튜브는 45%를 갖는데, 유-튜브의 성공은 동영상 크리에이터의 수익을 보장한다는 비즈니스 정책 때문에 인터넷에서 유-튜브가 크게 성장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즉, 국내의 경우 광고 조회 수 1회당 1원으로 계산되어 정산된 금액이 매달 월급처럼 통장에 또박또박 들어오기 때문에 시청자의 관심을 돈으로 연결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기인한다고 성공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많은 내용물들이 가짜뉴스 정보라면 아마도 사용빈도가 지금보다 훨씬 크게 감소될 것이다.The reasons for the growth of YouTube, which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2005, include the Grow With Google policy as a free channel and the Open Innovation policy. They give 55% of the advertising revenue from videos to them, and YouTube keeps 45%. It is said that YouTube's success is due to its business policy of guaranteeing profits for video creators, which is why YouTube is growing significantly on the Interne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Korea, the amount calculated as 1 won per ad view is clearly credited to the bank account like a monthly salary, so the reason for the success is said to be due to the business model that connects the viewer's interest with money. However, if much of the content is fake news, the frequency of use will probably be much reduced than it is now.

과거, 컴퓨터 공학이나 정보통신 기술분야에는 "Gabage In Gabage Out" 이라는 말이 유행하였는데, 이는 컴퓨터에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는 의미이다. 컴퓨터는 논리 프로세스에 의하여 운영되기에 터무니 없는 가짜 정보가 들어와도 이에 대해 진실여부는 판단하지 않고, 이들 자료들을 근거로 분석과 논리 처리를 수행함으로 화면이나 프린터로 쓰레기 정보를 출력한다. 이 표현은 컴퓨팅 초기에는 널리 알려졌지만, 지금은 이를 무시하고 오류성 데이터 및 정보를 빠른 프로세싱을 거쳐 처리한 후 내용의 진실 여부와는 상관없이 잘못된 내용도 빠르게 처리한다.In the past, the phrase "Gabage In Garbage Out" was popular in the computer enginee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s, meaning that when garbage goes into a computer, garbage comes out. Computers operate by logical processes, so even when absurd and fake information comes in, they do not judge whether it is true or not. Instead, they perform analysis and logical processing based on these data and print out garbage information on the screen or printer. This expression was widely known in the early days of computing, but now it is ignored and erroneous data and information are processed quickly, and erroneous content is also quickly processed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ent is true.

특히, 우리나라의 인터넷은 강국으로 언급되듯이 통신 네트워크가 우수하다고 자랑하고 있지만, 내용물들이 엉터리 정보로 가득하다면 점점 이용가치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통신 네트워크(하드웨어)는 초기에는 투자확대로 크게 발전하여 쉽게 이용이 가능하므로 이용자 수가 증가될 수 있지만, 그 내용물이 가짜 동영상 정보로 가득하다면 이용자들은 시간 낭비와 잘못된 정보에 의한 사회 혼란으로 인터넷을 점점 멀리하게 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많은 비용을 들여 누구나 부러워할 정도로 통신 네트워크 환경이 우수하지만, 내부에 엉터리 정보 자료(소프트웨어)로 가득하다면 이용자들의 활용은 점점 줄어들게 되어, 이용자 감소뿐만 아니라 사회문제로 이어져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동영상 정보들이 가짜 동영상이 아닌, 오직 진실된 정보만 유통되어 모든 국민들이 인터넷을 믿고 검색할 때 드디어 우리나라는 진정한 인터넷 강국으로 재 인식될 것이다.In particular, Korea's Internet boasts of having an excellent communication network as it is referred to as a powerhouse, but if the content is full of false information, its usability value will inevitably decline.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network (hardware) initially developed greatly due to increased investment and became easier to use, which could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However, if the content is full of fake video information, users may waste time and cause social chaos due to incorrect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net. increasingly distant. This is because our country has spent a lot of money to have an excellent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hat everyone envies, but if it is full of false information (software) inside, the utilization by users will gradually decrease, which will not only lead to a decrease in users but also lead to social problems, which will lead to bad results. Because you can. In other words, when only true information, not fake video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all citizens trust and search the Internet, our country will finally be recognized as a true Internet powerhouse.

따라서 본 특허에서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동영상 정보들이 진실된 정보만 유통되도록 가짜뉴스를 판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또한 가짜정보 신고내용을 활용하여, 동영상물의 가짜유무를 확인한 후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전에 가짜 동영상물을 걸러낼 수 있으므로 동영상물에 대한 신뢰도를 증가시켜 안전한 동영상 컨텐츠 유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Therefore, this patent seeks to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fake news so that only true information is circulated in the video information circulating on the Internet, and also utilizes the contents of fake information reports to check whether the video is fake and then provides it to the user in advance. Since fake videos can be filtered out, trust in videos can be increased and a safe video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자의 동영상 컨텐츠의 원천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확인과 등록과정을 통합하여 하나의 관리 프로세스로 연결하고, 가짜 동영상 컨텐츠를 퍼나르지 못하도록 원본 동영상을 보호하며 동영상 복제수를 제한함으로써 가짜뉴스의 확산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original verification and registration process of video content into a single management process in order to protect the source of the producer's video content, protect the original video from spreading fake video content, and prevent video copying. It provides a function to fundamentally suppress the spread of fake news by limiting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해 당사자/이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에 대한 가짜뉴스 의견을 간편히 신고하고, 이의(확인)제시 과정을 포함하는 가짜뉴스 신고 센터 및 동영상 평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ke news reporting center and video evaluation function that allows victims/users to easily report fake news opinions about desired videos and includes an objection (confirmation) presentation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가된 동영상 컨텐츠를 색상(붉은,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등)으로 표시하고, 검색방법에는 종합 검색 및 자막별 검색방법으로 구분하여 사전에 가짜 동영상 검색을 차단시킨 후, 진짜 동영상만을 감상토록 하여 올바른 인터넷 문화가 정착되도록 엉터리 정보를 억제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evaluated video content in color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etc.) and to block fake video searches in advance by dividing the search methods into comprehensive search and subtitle-specific search methods. Afterwards, it provides a function to suppress false information so that proper Internet culture can be established by allowing only real videos to be view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짜 동영상 컨텐츠로 인하여 피해보는 컨텐츠 제작자, 동영상 당사자 및 인터넷 이용자들 모두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웹사이트를 구축함에 있어 첫 번째, 원본 동영상 컨텐츠를 관리하고 복제본을 퍼나르지 못하도록 하며, 두 번째, 가짜 동영상 컨텐츠를 신고하기 위하여 신고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손쉽게 가짜유무 판단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가짜유무를 선별하며, 세 번째 평가결과를 사전에 이용자들에게 전달하고, 검색방법(종합 또는 자막내용)에 따라 동영상물의 가짜유무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사전에 가짜 동영상들을 걸러내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고자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irst manages the original video content and distributes duplicates in building a website that minimizes the loss of all content creators, video parties, and Internet users who suffer damage due to fake video content. Second, by providing a reporting process to report fake video content, users can easily present fake judgment data to screen whether video content is fake, and third, the evaluation results are delivered to users in advance. ,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ke videos in videos is indicated in color according to the search method (comprehensive or subtitle content), and the goal is to filter out fake videos in advance and establish a proper Internet cultur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원본 동영상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영상에 대한 요약문과 확인절차를 등록하고 복제본의 숫자를 제한하여 가짜뉴스들을 퍼나르지 못 하도록 하는 동영상 등록단계;와 2) 피해 당사자나 이용자들이 개발된 동영상에 대하여 이견이 있는 경우 이를 종합 또는 자막 단위로 이견을 피력할 수 있는 신고 프로세스와 동영상 작성자의 이의 제기 및 평가절차를 거쳐 가짜뉴스임을 확인하는 가짜뉴스 신고단계; 및 3) 가짜뉴스 등급에 따라 동영상의 종합적인 평가색상을 확인하거나 실시간으로 자막 내용을 확인한 후, 가짜 동영상을 걸러내는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를 포함하는 가짜뉴스 확산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1) a video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a summary and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video to protect the original video content and limiting the number of copies to prevent the spread of fake news; and 2) the victim or If users have differences of opinion about the developed video, there is a reporting process where they can express their opinions comprehensively or subtitle-by-subtitle, and a fake news reporting stage where it is confirmed that it is fake news through the video creator's objection and evaluation process; and 3) a fake video search step in which fake videos are filtered out after checking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color of the video according to the fake news rating or checking the subtitle content in real time.

본 발명인 가짜 동영상 컨텐츠의 확산을 억제시키는 방법에는 도 2에서 보듯이 3가지 기능이 있는데, 첫 번째 기능은 동영상 등록단계로 동영상물이 제작되어 등록되는 관리 프로세스의 체계화 및 가짜 동영상에 대한 복제물을 억제시켜 인터넷 확산을 방지시키고, 두 번째 기능은 가짜뉴스 신고단계에서는 간편한 평가 프로세스를 통하여 가짜뉴스에 대한 이의 내용을 효율적인 신고토록 하여 가짜 동영상 뉴스에 대한 평가 방법을 체계화시키며. 세 번째 기능인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에서는 평가 완료된 가짜뉴스 정보를 동영상 검색시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5개의 색상으로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동영상 자막별로 상세한 평가자료를 검색토록하여 사전에 문제 동영상을 걸러내어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목적이 있다.The method of suppressing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functions as shown in Figure 2. The first function is the video registration stage, which systematizes the management process in which videos are produced and registered and suppresses copies of fake videos. The second function is to systematize the evaluation method for fake video news by efficiently reporting the contents of fake news through a simple evaluation process at the fake news reporting stage. In the third function, the fake video search stage, fake news information that has been evaluated is displayed in five colors to enable comprehensive judgment when searching videos, and if necessary, detailed evaluation data is searched for each video subtitle to filter out problematic videos in advance and find the correct ones. There is a purpose for using the Internet.

따라서, 가짜 동영상 컨텐츠의 제작을 억제하고 인터넷 확산을 방지시켜, 다음과 같은 3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가짜뉴스의 제작을 억제시키고 확산을 방지시켜 개인(피해 당사자 및 이용자) 손실을 최소화하고, 둘째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가짜뉴스를 방지시켜 동영상 플랫폼 기업의 신뢰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올바른 기업 인터넷 문화를 정착시키며, 셋째 국가적으로는 엉터리 동영상 컨텐츠 및 가짜뉴스로 인하여 이용자들이 우리의 인터넷을 외면함으로써 인터넷 강국 이미지에 먹칠하는 행위를 방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fake video content and preventing its spread on the Internet, the following three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it minimizes personal (victims and users) losses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fake news and preventing its spread; second, it establishes a proper corporate Internet culture by preventing fake news distributed on the Internet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video platform companies; Third, as a nation, we can expect the effect of preventing users from turning away from our Internet due to false video content and fake news, thereby tarnishing our image as an Internet powerhouse.

도 1은 본 발명이 운영되고 있는 동영상 개발자, 동영상(유-튜브)사이트, 동영상 컨텐츠 개발자 및 피해 당사자/이용자들이 인터넷 망을 통하여 연결되어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등록 양식.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동영상에 대한 평가방법을 도시한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video developers, video (YouTube) sites, video content developers, and victims/users 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Figure 2 is a flow chart of the over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deo content registration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valuation method for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위하여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도 4와 도 5에서는 동영상을 등록할 때 필요한 양식과 평가 기준을 도시한 것으로 본 웹사이트의 운영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운영되고 있는 웹사이트와 인터넷 쇼핑몰 및 이용자가 인터넷 망(또는 모바일 환경)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일 실시예로 원본 동영상 등록단계(10), 가짜 뉴스 신고단계(30) 및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50) 등 구성하고 있는 서브 시스템별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개념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등록 시 필요한 등록 양식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동영상에 대한 평가 기준에 따른 운영 절차를 도시한 내용이다.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the concept of the entire system to prevent the spread of fake ne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and FIGS. 4 and 5 show the form and evaluation criteria required when registering a video. Describes the website's operating procedures.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ebsi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n internet shopping mall, and users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mobile environment), and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 website to be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detailed flow chart for each subsystem consisting of the original video registration step (10), the fake news reporting step (30), and the fake video search step (50), and Figure 3 shows the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regarding composition. Meanwhile, Figure 4 shows the registration form required when register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an operating procedure according to evaluation criteria for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첫번 째 기능인 원본 동영상 등록단계(10)에서는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에 추가되는 기능으로 동영상 제작자는 본 발명에서 운영하는 운영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110) 검색하고자 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입력하여(120) 유사한 동영상을 확인한 후(130), 원본 동영상 유무를 검증하고(140) 원본인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원본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때 동영상 제작자는 제작한 동영상이 원본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요약, 입증 내용 및 색인어 등을 간단히 입력한 후 원본번호를 부여 받는다(150). 한편 원본이 아닌 경우에는 평가 결과에 따라 정해진 복사본 제한 수량 이내로 복사번호를 부여 받는다(160).In Figure 2, the first function, the original video registration step (10), is a function added to a video platform such as YouTube, and the video creator accesses the operating website ope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110) and enters the video content to be searched. After checking similar videos (120), the presence of the original video is verified (140), and if the video content is original, the original registr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video producer briefly enters the summary, proof content, and index words to prove that the produced video is the original, and then is given an original number (150). Meanwhile, if it is not an original, a copy number is given within the limit of the number of copi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160).

두 번째 기능인 가짜뉴스 신고단계(30)에서는 유-튜브 피해자를 포함한 신고자가 웹사이트를 접속한 후(310) 검색하고자 하는 동영상 자료를 입력하고 동영상의 평가내용을 검색하며(320) 가짜뉴스라는 사실(Fact)이 발견되면 이를 신고한다(330). 이때 처음에는 평가구분이 보통인 노랑색으로 표시되나 신고된 내용에 따라 주의상태에서는 주황색이나 적색으로 변화되거나, 양호상태에서는 초록색이나 파랑색으로 표시된다(340). 그리고 평가된 내용은 동영상 개발자의 의견을 받고, 평가 심의과정을 거쳐 평가된 내용이 확정된다(350). 이후 동영상 자료의 평가가 완료되었음을 공지하며(360), 동영상 평가 결과는 유-튜브 등 시스템에 전달되어 가짜뉴스 List에 표시된다.In the second function, the fake news reporting stage (30), reporters, including YouTube victims, access the website (310), enter the video data they want to search for, search for the evaluation of the video (320), and confirm that it is fake news. If (Fact) is discovered, it is reported (330). At this time, the evaluation classification is initially displayed in normal yellow, but depending on the reported content, it changes to orange or red in a caution state, or green or blue in a good state (340). Then, the evaluated contents receive opinions from the video developer, and the evaluated contents are confirmed through an evaluation deliberation process (350). Afterwards, it is announc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video data has been completed (360), and the video evaluation results are delivered to systems such as YouTube and displayed on the fake news list.

마지막으로 세 번째 기능인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50)에서는 이용자가 웹사이트를 접속한 후(510) 검색하고자 하는 동영상 자료를 입력하고 동영상의 평가수준을 검색하는데(520) 이때 동영상 컨텐츠에는 가짜뉴스 평가 수준이 색상으로 표시되기에 동영상 자료 감상 이전에 가짜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530). 또한, 평가내용 검색방법에 따라(540) 종합 검색 방법 또는 자막별 오류 내용을 상세히 검색할 수 있으며(550), 이후 현재처럼 동영상을 감상한다(560).Lastly, in the third function, the fake video search step (50), the user accesses the website (510), inputs the video data to be searched, and searches for the video's evaluation level (520). At this time, the video content includes the fake news evaluation level. Because it is displayed in this color, you can check whether the video is fake before watching it (53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valuation content search method (540), you can search for comprehensive search methods or detailed search for errors by subtitle (550), and then watch the video as you currently do (560).

Claims (4)

가짜 동영상 컨텐츠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동영상 당사자 및 이용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플랫폼 기업의 이미지를 유지하며, 인터넷 강국의 이미지를 손상당하지 않기 위하여 1) 동영상 컨텐츠의 원본을 등록하고, 복제물을 제한하는 동영상 컨텐츠 등록단계;와 2) 동영상 컨텐츠의 가짜(진짜)유무를 판단하는 오류정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가짜뉴스 신고단계;와 3) 동영상 컨텐츠의 평가내용을 종합 또는 자막별로 검색한 후, 가짜 동영상을 걸러내는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를 체계화하여 신뢰받을 수 있는 인터넷 문화가 정착되도록 가짜 동영상 컨텐츠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HCS of FVC)을 제시하고자 한다.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video victims and users who suffer damage due to fake video content, maintain the image of the platform company, and prevent the image of an Internet powerhouse from being damaged, 1) Register the original video content and restrict reproductions. Content registration step; and 2) Fake news reporting step where you can easily enter error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video content is fake (real) or not; and 3) After searching the evaluation contents of the video content comprehensively or by subtitle, fake video We would like to present a method (HCS of FVC) to suppress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 so that a trustworthy Internet culture can be established by systemizing the fake video search step to filter out. 제 1항의 동영상 등록단계에서는
a) 동영상을 처음 등록하는 경우에는 등록양식을 작성하여 원본 동영상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시키는 원본 동영상 등록 모듈;과
b) 가짜뉴스의 확산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복제물 개수는 원본 동영상의 평가수준에 따라 제한적으로 동영상을 복제하는 동영상 복제 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 등록 서브시스템
In the video registration step of Paragraph 1,
a) When registering a video for the first time, the original video registration module fills out the registration form to check whether the video is original and registers it; and
b) A video registration subsystem that includes a video replication module that copies videos with a limited number of copies depending on the evaluation level of the original video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fake news.
제 1항의 가짜뉴스 신고단계에서는
c) 동영상 크리에이터들이 등록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문제를 발견한 경우, 동영상 당사자나 이용자들이 이를 신고하는 오류자료 신고 모듈;과
d) 신고된 가짜뉴스 자료에 대하여 이의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크리에이터 및 이용자들은 이를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등록하는 이의자료 제시 모듈;과
e) 문제신고와 이의자료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심의한 후,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평가수준을 공표하는 가짜뉴스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가짜뉴스 신고 서브시스템
In the fake news reporting stage of Paragraph 1,
c) Error data reporting module where video creators or users report problems with video content registered by video creators; and
d) If there are objections to reported fake news data, content creators and users can easily register objection data online; and
e) A fake news reporting subsystem that includes a fake news evaluation module that announces the evaluation level of the video content after reviewing the problem report and objection data through a comprehensive verification process.
제 1항의 가짜 동영상 검색단계에서는
f) 동영상 컨텐츠 평가내용에 따라 5가지 색상으로 표시된 종합 평가 List를 보고 가짜 동영상들을 사전에 걸러내는 종합 검색 모듈;과
g) 동영상의 자막별 가짜정보 검색 프로세스를 거친 후,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자막별 검색 모듈;을 포함하는 가짜 동영상 검색 서브시스템
In the fake video search step of Paragraph 1,
f) Comprehensive search module that filters out fake videos in advance by looking at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list displayed in 5 colors according to the video content evaluation; and
g) a subtitle-specific search module that filters out fake news after going through a fake information search process for each subtitle of the video; a fake video search subsystem comprising:
KR1020220104481A 2022-08-22 2022-08-22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KR202400265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81A KR20240026538A (en) 2022-08-22 2022-08-22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81A KR20240026538A (en) 2022-08-22 2022-08-22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38A true KR20240026538A (en) 2024-02-29

Family

ID=9004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481A KR20240026538A (en) 2022-08-22 2022-08-22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5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vlik Trends in new media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recent scholarship
CN102446254B (en) Similar loophole inquiry method based on text mining
Burri Contemplating a'Public service navigator': in search of new (and better) functioning public service media
CN109272286B (en) SaaS (software as a service) multi-tenant cloud movie and television projec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with script as core
Massimino et al. The effects of agglomeration and national property rights on digital confidentiality performance
CN110059280A (en) A kind of information issuing method based on block chain
KR20240026538A (en) How to Curb the Spread of Fake Video Contents
Rosati Media geographies: Uncovering the spatial politics of images
CN112330503B (en) Audiovisual program copyright risk det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aireepairit Free Space of Expression: New Media and Thailand's Politics
CN108053335A (en) A kind of new media public service platform
Elmas et al. Communicating democracy-democratizing communication
Wan Safe harbors from copyright infringement liability in China
Zhang On the ethical dilemma and countermeasures of algorithmic recommended news
CN114490585A (en) Open standardized digital economic general data configuration for power grid data sharing
W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pact of Media Ownership Structures and Concentration on Global Communication
Xu Criminal Law Protection of Citizens’ Personal Information–From the Perspective of New Cyber Fraud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i et al. Internet rumor reporting system based on the blockchain incentive mechanism
Rawnsley et al. Media reform since 1987
Yueying A Critical Analysis of the Legality of Fan-subbing in Copyright Law
Guan Impact of the Film Industry Promotion Law on the significant growth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Nocetti et al. Russia’s Technological Sovereignty and the Impact of Sanctions o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Telecommunications Surveillance
Ren et al. A Gray Correlation Algorithm for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Film and Television Copyright Export
Aniţei Digital Inheritance: Problems, Cases and Solutions
Saridou Mapping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naging Audience Participation in Journalism: Problems and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