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931A - Aerosol generator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931A
KR20240025931A KR1020220104154A KR20220104154A KR20240025931A KR 20240025931 A KR20240025931 A KR 20240025931A KR 1020220104154 A KR1020220104154 A KR 1020220104154A KR 20220104154 A KR20220104154 A KR 20220104154A KR 20240025931 A KR20240025931 A KR 2024002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guide
button
aeroso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수일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10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931A/en
Publication of KR2024002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9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습한 다공성 흡습체; 상기 다공성 흡습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흡습체에 머금은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 및 상기 히터부재를 상향 이동시키는 히터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a hollow case; A porous moisture absorbent built into the case and moistened with a liqui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 heater member disposed below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a heater elevating unit that moves the heater member upward.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 {Aerosol generator}Aerosol generator {Aerosol generator}

실시예는 다공성 흡습체와 히터를 별도로 구성하고, 다공성 흡습체와 히터 사이의 접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separately configures a porous moisture absorbent and a heater, and can increase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and the heater.

일반적으로 전자담배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에 채워진 니코틴을 포함하는 용액을 에어로졸 또는 기체 상태(무화 상태)로 만들어 흡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cigarett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made to inhale a solution containing nicotine fill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into an aerosol or gaseous state (atomized state).

이와 같은 전자 담배는 일반 담배를 대신하여 흡연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타르와 같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담배로부터 유발되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흡연의 간접적 피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전자 담배는 실내에서 흡연이 가능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담배의 피해를 방지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Such electronic cigarettes can satisfy the desire to smoke in place of regular cigarettes, and do not contain harmful ingredients such as tar, thereby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caused by cigarettes.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cause the indirect damage of smoking. Due to its advantages,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explosively. In other words, electronic cigarettes allow smoking indoors and have the same effect as smoking cigarettes while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cigarettes that cause various diseases.

특히 최근에는 담배의 맛에 과일 등과 같은 다른 향을 추가하여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전자담배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lectronic cigarettes have been released that allow users to enjoy a variety of flavors by adding other flavors, such as fruit, to the taste of cigarettes.

이러한 전자담배는, 액상 니코틴이 수용된 무화기를 배터리부에 결합하면 무화기의 가열체가 발열하면서 액상 니코틴을 기화시키는 연무가 이루어진다.In these electronic cigarettes, when an atomizer containing liquid nicotine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the heating element of the atomizer generates heat and creates a haze that vaporizes the liquid nicotine.

종래 기술의 전자담배에 사용되는 무화기는 세라믹 흡습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세라믹 흡습체의 소결 시에 금속 재질의 가열 소자가 함께 소결될 경우, 가열 소자가 고온에 의해 연소될 가능성도 있으며,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atomizer used in the electronic cigarette of the prior art uses a ceramic moisture absorber. If a metal heating element is sintered during sintering of the ceramic moisture absorb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eating element may be burn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its electrical There is a problem where the characteristics can change.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s aim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다공성 흡습체와 히터를 별도로 구성하고, 그 사이의 접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separately configure a porous moisture absorber and a heater and increase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m.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습한 다공성 흡습체; 상기 다공성 흡습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흡습체에 머금은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 및 상기 히터부재를 상향 이동시키는 히터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a hollow case; A porous moisture absorbent built into the case and moistened with a liqui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 heater member disposed below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a heater elevating unit that moves the heater member upward.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규산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산화 티탄, 탄화 티탄,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화규소, 질화규소,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탄화 텅스텐, 탄화 지르코늄, 질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magnesium silic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ilicate, zeolite, titanium oxide, titanium carbide, zirconia, silica, 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mullite, cordierite, tungsten carbide, zirconium carbide. It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luminum nitride and aluminum nitrid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비드형 알갱이 또는 구형 알갱이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may be composed of bead-shaped particles or spherical particles.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방수 코팅 또는 인접 구조물에 의한 방수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may have a waterproof structure through a waterproof coating or an adjacent structur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고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하부를 가진 히터 가이드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상기 버튼의 누름 시에 압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복원되는 버튼 버퍼와,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버튼 버퍼까지 연장되며 상기 버튼에서 상기 버튼 버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가이드의 경사진 하부가 상기 경사 가이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eater lifting unit includes a heater guide that supports the heater member and has a lower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one side, a button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press of the button on the inside of the case. A button buffer that is compressed and restor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an inclined guide connected to the button and extending to the button buffer and sloping downward from the button to the button buffer, the inclined lower part of the heater guide Can be supported by the inclined guid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 버퍼는, 중공형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button buffer may be composed of a hollow rubber member or a spring member.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고 하부 일측에 곡면 홈이 구비된 히터 가이드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히터 가이드의 곡면 홈과 대향되는 곡면 돌기가 구비된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 직경이 상기 히터 가이드의 곡면 홈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eater lifting unit includes a heater guide that supports the heater member and has a curved groove on one lower side, a button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button connected to the button and a heater guide of the heater guide. It may include a lifting guide provided with a curved protrusion opposing a curved groove, and the diameter of the curved protrusion of the lifting guide may be larger than the curved groove diameter of the heater guid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는 히터 가이드와, 상기 히터 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eater lifting unit may include a heater guide supporting the heater member, and a lifting driving uni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heater guide and providing lifting power as power is supplied.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누름될 때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eater lifting unit further includes a button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power may be applied to the lifting driving unit.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기류 패스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가 설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때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eater lift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an airflow path formed inside the case, and whe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ressure exceeding a set valu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lifting driving unit. there is.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에어로졸을 외부로 안내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에어로졸의 액적을 모아서 상기 다공성 흡습체로 흘려주는 액적 안내홈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guiding the aerosol to the outside, wherein the upper cover is provided with a droplet guide groove that collects droplets of the aerosol and flows them to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You can.

실시예에 의하면, 다공성 흡습체와 히터부재를 별도로 구성하고, 히터 승강유닛에 의해 히터부재를 승강시켜서 다공성 흡습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풍부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and the heater member are configured separately, and the heater member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heater lifting unit to come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which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a stable and abundant aerosol.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일부 절개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utaway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일부 절개 도시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utaway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120)와, 케이스(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130)와, 케이스(110)의 하부에 내장된 배터리(B) 및 제어부(C)와, 케이스(110)의 상부에 내장된 다공성 흡습체(140)와, 다공성 흡습체(140) 하측에 배치된 히터부재(150)와, 히터부재(150)를 다공성 흡습체(140)와 밀착되도록 히터부재(150)를 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히터 승강유닛(160)을 포함한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an upper cover 12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110, a lower cover 13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se 110. The battery (B) and control unit (C) built i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built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10, the heater member 150 disposed below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and the heater member. It includes a heater lifting unit 160 that lifts the heater member 15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케이스(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형상으로서, 구성 부품의 장착 공간 및 에어로졸의 발생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는 배터리(B)와 제어부(C)와 다공성 흡습체(140)와 히터부재(150) 및 히터 승강유닛(160) 등의 구성 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중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ase 110 has a shape that forms the exterior, and can form a space for mounting component parts and a space for generating aerosols. The case 110 has a circular, square, oval shape, etc. that can contain components such as the battery (B), the control unit (C),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the heater member 150, and the heater lifting unit 160.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hollow shapes.

케이스(110) 내부 공간은 배터리(B)와 제어부(C)가 내장된 디바이스부와, 다공성 흡습체(140)와 히터부재(150)가 내장된 무화부로 나뉘어지는데, 디바이스부와 무화부 사이에 히터 승강유닛(160)이 장착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is divided into a device part with a built-in battery (B) and a control part (C), and an atomization part with a built-in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and a heater member 150. There is an atomization part between the device part and the atomization part. A heater lifting unit 160 may be installed.

상부 커버(120)는 일종의 마우스 피스로서,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의 상부는 입에 물기 쉽게 납작한 형태의 중공 형상이고, 상부 커버(120)의 하부는 케이스(110)와 같은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upper cover 120 is a type of mouth piece and can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se 11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over 120 may have a flat hollow shape that is easy to bite into,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o form the same appearance as the case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부 커버(120) 내부에는 에어로졸을 외부로 위한 토출 유로(12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에어로졸이 토출 유로(121) 상에 액적으로 맺히더라도 흘러내려서 모아질 수 있는 액적 안내홈(123)이 구비될 수 있다. 액적 안내홈(123)은 액적을 다공성 흡습체(140)의 상측으로 흘러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side the upper cover 120, a discharge passage 121 for sending aerosol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oplet guide groove 123 is provided so that the aerosol can flow down and be collected even if it forms as droplets on the discharge passage 121. It can be. The droplet guide groove 123 may be configured to allow droplets to flow to the upper sid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하부 커버(13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B)가 하부 커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하부에 내장될 수 있다. 하부 커버(130)는 일측에 기류 패스를 형성시킬 수 있고, 외부 공기가 하부 커버(130)의 기류 패스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lower cover 1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open lower side of the case 110. The battery (B) may be built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while being seated on the lower cover 130. The lower cover 130 can form an airflow path on one side, and external air can move upward through the airflow path of the lower cover 130.

배터리(B)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내장될 수 있고, 히터부재(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스(110)로부터 하부 커버(130)를 분리한 다음, 배터리(B)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배터리(B)가 케이스(110)의 하부에 장착되면, 배터리(B)와 히터부재(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B may be built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and may supply power to the heater member 150. After removing the lower cover 130 from the case 110, the battery (B)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hen the battery (B)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the battery (B) and the heater membe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어부(C)는 배터리(B)와 연결되도록 케이스(110)의 하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히터부재(150), 히터 승강유닛(160)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B)의 전원을 히터부재(15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거나, 히터 승강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 may be built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B)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er member 150, the heater lifting unit 160, etc. Power from the battery (B) can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heater member 150, o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lifting unit 160 can be controlled.

다공성 흡습체(140)는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도록 구성되고, 케이스(110)의 상부에 내장될 수 있다. 다공성 흡습체(140)의 상면은 액상이 공급될 수 있고, 다공성 흡습체(140)의 하면은 히터부재(150)와 접촉될 수 있다. 다공성 흡습체(140)의 측면은 방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방수 코팅되거나, 고무 등과 같은 방수부재(145)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주면과 다공성 흡습체(140)의 외주면 사이에 에어로졸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소정의 유로가 구비될 수 있고, 소정의 유로는 방수부재(145)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is configured to absorb and retain the liqui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nd may be built in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110.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er member 150. A waterproof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sid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which may be coated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or installed to be surrounded by a waterproofing member 145 such as rubber. A predetermined flow path that guides the aerosol upwar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and the predetermined flow path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proof member 145.

다공성 흡습체(140)는 액상을 머금을 수 있는 소재로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규산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산화 티탄, 탄화 티탄,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화규소, 질화규소,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탄화 텅스텐, 탄화 지르코늄, 질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is a material capable of retaining liquid, and is made of magnesium silic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ilicate, zeolite, titanium oxide, titanium carbide, zirconia, silica, 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mullite, cordierite, and tungsten carbide. It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 zirconium carbide, and aluminum nitride.

다공성 흡습체(140)는 비드형 알갱이 또는 구형 알갱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형 알갱이는 비드를 이용한 동결 건조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비드형 알갱이는 10~300㎛ 이내의 사이즈로 구성되고, 구형 알갱이는 200~500㎛ 이내의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 흡습체(140)는 축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원형, 다각형, 별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may be composed of bead-shaped granules or spherical granules, and the spherical granules may be made by freeze-drying using beads. Bead-shaped particles may have a size within 10~300㎛, and spherical particles may have a size within 200~500㎛.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may have a long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and its cross-section may have a circular, polygonal, or star-shap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히터부재(150)는 다공성 흡습체(140)의 하부에 접촉되고, 다공성 흡습체(140)의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부재(150)는 열선이 플레이트에 구비된 형태로서, 히터부재(150) 측 열선과 배터리(B)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흡습체(140)가 머금은 액상이 히터부재(150)로 공급되고, 전원이 열선(161)에 공급됨에 따라 히터부재(150)가 발열하면, 액상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heater member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and heat the liquid phas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to generate an aerosol. The heater member 150 has a heating wire provided on a plate, and the heating wire on the side of the heater member 150 and the battery B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is supplied to the heater member 150 and the heater member 150 generates heat as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161, the liquid may be heated to generate an aerosol. .

히터 승강유닛(160)은 히터부재(150)를 지지하는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자세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히터 승강유닛(160)이 작동되면, 히터부재(150)를 상승시켜 다공성 흡습체(140)와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The heater lift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nd simultaneously lift the heater member 15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iscussed below. When the heater lifting unit 160 is operated, the heater member 150 can be raised and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1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160)은 히터부재(150)를 지지하는 히터 가이드(161)와, 케이스(110) 외부에 노출된 버튼(163)과, 버튼(163)과 연결된 경사 가이드(165)와, 버튼(163)의 누름 여부에 따라 압착 또는 복원되는 버튼 버퍼(167)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lifting unit 16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guide 161 supporting the heater member 150, a button 16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and an inclined guide 165 connected to the button 163. ) and a button buffer 167 that is compressed or restored depending on whether the button 163 is pressed.

히터 가이드(161)는 히터부재(15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하부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 가이드(161)의 일측이 버튼(163)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히터 가이드(161)의 타측이 버튼 버퍼(167)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히터 가이드(161)는 케이스(11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er guide 161 has a plate shape on which the heater member 150 is seated, and may have a lower portion that slopes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heater guide 16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button 163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er guide 16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button buffer 167. The heater guide 16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to be movable on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버튼(163)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서, 케이스(110) 내측에 경사 가이드(165)와 연결될 수 있다. The button 16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ith his han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clined guide 165 inside the case 110.

경사 가이드(165)는 버튼(163)과 일체로 형성된 일종의 바 형태로서, 버튼 버퍼(167)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경사 가이드(165)는 히터 가이드(16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guide 165 is a type of b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tton 163 and may extend to the button buffer 167. The inclined guide 165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hat slopes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heater guide 161.

버튼 버퍼(167)는 버튼(163)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버튼(163)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버퍼(167)는 경사 가이드(165)의 끝단이 수용될 수 있고, 압착 또는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버퍼(167)는 중공형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163)의 누름 시에 경사 가이드(165)가 버튼 버퍼(167) 내부에 걸림되면서 버튼 버퍼(167)를 압착시킬 수 있고, 버튼(163)의 누름 해제 시에 경사 가이드(165)가 버튼 버퍼(167) 내부에 걸림이 해제되면서 버튼 버퍼(167)를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The button buffer 167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utton 163 and lower than the button 163. The button buffer 167 can accommodate the end of the inclined guide 165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 or restoring force that can be compressed or restored. The button buffer 167 may be composed of a hollow rubber member or spr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button 163 is pressed, the inclined guide 165 is caught inside the button buffer 167, thereby compressing the button buffer 167, and when the button 163 is released, the inclined guide 165 As the jam inside the button buffer 167 is cleared, the button buffer 167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제1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160)이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perating the heater lifting unit 160 of the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버튼(163)을 누르면, 경사 가이드(165)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어 버튼 버퍼(167)를 압착시키고, 히터 가이드(161)가 경사 가이드(165)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승하게 되며, 히터 가이드(161)에 지지된 히터부재(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부재(150)를 다공성 흡습체(14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button 163 is pressed, the inclined guide 165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compress the button buffer 167, and the heater guide 161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165 to rise, and the heater guide 161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165. The heater member 150 supported on the guide 161 can be raised. Accordingly, the heater member 150 can b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2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260)은 히터부재(150)를 지지하는 히터 가이드(261)와,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 외부에 노출된 버튼(263)과, 버튼(263)과 연결된 승강 가이드(26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er lifting unit 260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guide 261 supporting the heater member 150, a button 26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hown in FIG. 1), and a button 263. It may include a connected lifting guide 265.

히터 가이드(261)는 히터부재(15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하향 돌출된 수직축의 하부 일측에 곡면 홈(261R)이 구비될 수 있다. 히터 가이드(261)의 하부 곡면 홈(261R)은 버튼(263)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er guide 261 has a plate shape on which the heater member 150 is seat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curved groove 261R on one lower side of the downwardly protruding vertical axis.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26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263 is located.

버튼(263)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의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서,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 내측에 승강 가이드(265)와 연결될 수 있다. The button 26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hown in FIG. 1)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ith his han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lifting guide 265 inside the case 110 (shown in FIG. 1).

승강 가이드(265)는 버튼(163)과 일체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히터 가이드(261)의 하부 곡면 홈(261R)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265)의 끝단에 곡면 돌기(265R)가 구비되고,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265R)가 히터 가이드의 하부 곡면 홈(261R)과 인접한 위치에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guide 265 extends horizontally and integrally with the button 163, and may exten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261. A curved protrusion 265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vating guide 265, and the curved protrusion 265R of the elevating guid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at a position adjacent thereto.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265R)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히터 가이드의 하부 곡면 홈(261R)도 구형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265R) 직경이 히터 가이드의 하부 곡면 홈(261R)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The curved protrusion 265R of the lifting guide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 sphere. The diameter of the curved protrusion 265R of the lifting guid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제2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260)이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perating the heater lifting unit 26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s follows.

버튼(263)을 누르면, 승강 가이드(265)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어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265R)가 히터 가이드의 하부 곡면 홈(261R)을 지지하게 되고, 히터 가이드(261)가 상승하면서 히터부재(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부재(150)를 다공성 흡습체(14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button 263 is pressed, the lifting guide 265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curved protrusion 265R of the lifting guide supports the lower curved groove 261R of the heater guide, and the heater guide 261 rises. The heater member 150 can be raised. Accordingly, the heater member 150 can b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히터 승강유닛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er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3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360)은 히터부재(150)를 지지하는 히터 가이드(361)와,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 외부에 노출된 버튼(363)과, 히터 가이드(361)에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er lifting unit 360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guide 361 supporting the heater member 150, a button 36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hown in FIG. 1), and a heater guide 361. It may include a lifting drive unit 365 that provides lifting power.

히터 가이드(361)는 히터부재(15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하향 돌출된 수직축이 구비될 수 있다. 히터 가이드(361)의 수직축은 승강 구동부(365)와 연결될 수 있다. The heater guide 361 has a plate shape on which the heater member 150 is seat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vertical axis protruding downward. The vertical axis of the heater guide 361 may be connected to the lifting drive unit 365.

버튼(363)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의 외부에 노출된 형태이다. 버튼(363)이 누름될 때, 승강 구동부(365)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 구동부(36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button 36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hown in FIG. 1)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ith his or her hand. When the button 363 is pressed, power is applied to the lifting driving unit 36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ing unit 365.

승강 구동부(365)는 승강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초소형 전동 실린더, 엑추에이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 구동부(365)는 버튼(363) 이외에도 압력 센서(367)를 통하여도 제어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367)는 케이스(110 : 도 1에 도시) 내부에 공기와 에어로졸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인 기류 패스(도 1에 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367)가 설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때, 승강 구동부(365)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 구동부(36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lifting drive unit 365 may be composed of an ultra-small electric cylinder, actuator, motor, etc. that can provide lifting power. The lifting driver 365 may also be controll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367 in addition to the button 363. The pressure sensor 367 may be provided in the airflow path (shown in FIG. 1), which is a passage for guiding air and aerosol inside the case 110 (shown in FIG. 1). When the pressure sensor 367 detects a pressure greater than the set value, power can be applied to the lifting driver 36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r 365.

제3실시예의 히터 승강유닛(360)이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perating the heater lifting unit 360 of the third embodiment is as follows.

버튼(363)을 누르거나, 압력 센서(367)에 의해 기류 패스 내에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원이 승강 구동부(365)에 인가되고, 승강 구동부(365)가 승강 동력을 히터 가이드(361)에 제공하여 히터 가이드(361) 및 히터부재(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부재(150)를 다공성 흡습체(14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When the button 363 is pressed or the pressure in the airflow path is detected to be above the set value by the pressure sensor 367, power is applied to the lifting drive unit 365, and the lifting drive unit 365 transfers the lifting power to the heater guide 361. ) to raise the heater guide 361 and the heater member 150. Accordingly, the heater member 150 can b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상기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흡습체(140)와 히터부재(150)가 별도로 제작되고, 히터 승강유닛(160,260,360)에 의해 히터부재(150)가 승강됨에 따라 다공성 흡습체(14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흡습체(140)의 액상이 히터부재(150)로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고, 전기적 특성 변화 없이 히터부재(150)가 액상을 가열하여 풍부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and the heater member 150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heater member 15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heater lifting units 160, 260, and 360. Accordingly, it can b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140. Therefore, the liquid phas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140 can be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heater member 150, and the heater member 150 can heat the liquid phase without chang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to generate abundant aeroso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케이스 120 : 상부 커버
130 : 하부 커버 140 : 다공성 흡습체
150 : 히터부재 160 : 히터 승강유닛
161 : 히터 가이드 163 : 버튼
165 : 경사 가이드 167 : 버튼 버퍼
110: Case 120: Top cover
130: lower cover 140: porous moisture absorbent
150: heater member 160: heater lifting unit
161: heater guide 163: button
165: Slope Guide 167: Button Buffer

Claims (11)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습한 다공성 흡습체;
상기 다공성 흡습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흡습체에 머금은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 및
상기 히터부재를 상향 이동시키는 히터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 hollow-shaped case;
A porous moisture absorbent built into the case and moistened with a liqui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 heater member disposed below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ous hygroscopic body;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heater elevating unit that moves the heater member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규산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산화 티탄, 탄화 티탄,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화규소, 질화규소,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탄화 텅스텐, 탄화 지르코늄, 질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magnesium silic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ilicate, zeolite, titanium oxide, titanium carbide, zirconia, silica, 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mullite, cordierite, tungsten carbide, zirconium carbide, and aluminum nitrid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비드형 알갱이 또는 구형 알갱이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nsisting of bead-shaped or spherical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습체는,
방수 코팅 또는 인접 구조물에 의한 방수 구조를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with a waterproof coating or adjace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고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하부를 가진 히터 가이드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상기 버튼의 누름 시에 압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에 복원되는 버튼 버퍼와,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버튼 버퍼까지 연장되며 상기 버튼에서 상기 버튼 버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가이드의 경사진 하부가 상기 경사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er lifting unit,
A heater guide that supports the heater member and has a lower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one side,
Buttons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 button buffer inside the case that is compress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restored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 guide connected to the button, extending to the button buffer, and sloping downward from the button to the button buff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an inclined lower portion of the heater guide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gu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버퍼는,
중공형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button buffer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sisting of a hollow rubber member or spr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고 하부 일측에 곡면 홈이 구비된 히터 가이드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히터 가이드의 곡면 홈과 대향되는 곡면 돌기가 구비된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의 곡면 돌기 직경이 상기 히터 가이드의 곡면 홈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er lifting unit,
A heater guide that supports the heater member and has a curved groove on one lower side,
Buttons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 lifting guide connected to the button and provided with a curved protrusion facing the curved groove of the heater gu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urved protrusion of the lifting guid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rved groove of the heater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히터부재를 지지하는 히터 가이드와,
상기 히터 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er lifting unit,
A heater guide supporting the heater memb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lifting drive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ter guide and providing lifting power as power is suppli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일부 노출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누름될 때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heater lifting unit,
Further including a button partially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lifting drive unit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기류 패스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가 설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때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heater lif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airflow path formed inside the cas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lifting drive unit whe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ressure exceeding a 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에어로졸을 외부로 안내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에어로졸의 액적을 모아서 상기 다공성 흡습체로 흘려주는 액적 안내홈이 구비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guiding aerosol to the outside,
The upper cover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 droplet guide groove that collects aerosol droplets and flows them to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KR1020220104154A 2022-08-19 2022-08-19 Aerosol generator KR202400259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54A KR20240025931A (en) 2022-08-19 2022-08-19 Aerosol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54A KR20240025931A (en) 2022-08-19 2022-08-19 Aerosol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931A true KR20240025931A (en) 2024-02-27

Family

ID=9005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154A KR20240025931A (en) 2022-08-19 2022-08-19 Aerosol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9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222B2 (e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a liquid storage component and a shared central longtiduinal axis among stacked components of a housing, a hollow porous component and a heating coil
KR102325765B1 (e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nternal or external heater
CN107920591A (en) Non-combustion-type fragrance extractor
CN112931970B (en) Self-adaptive oral-pulmonary conversion type multi-atomization core atomiz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25931A (en) Aerosol generator
CN212697683U (en) Secondary-atomization electronic cigarette
KR20240027975A (en) Aerosol generator
KR20240045462A (en) Aerosol generator
KR20240024559A (en) Aerosol generator
KR102647540B1 (en) Aerosol generator
KR102647541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156241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porous metal heating element
KR102647550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40009615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153214A (en) Ceramic atomizer
KR20230155928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roperties
KR20230150716A (en) Porous absorbent material
KR20230143378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34031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40029197A (en) Ceramic atomizer with porous ceramic sheet attached
KR20230142130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56240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ceramic heating wire
KR20230149134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41157A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52537A (en) Porous absorbent cart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