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074A -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074A
KR20240025074A KR1020220102369A KR20220102369A KR20240025074A KR 20240025074 A KR20240025074 A KR 20240025074A KR 1020220102369 A KR1020220102369 A KR 1020220102369A KR 20220102369 A KR20220102369 A KR 20220102369A KR 20240025074 A KR20240025074 A KR 20240025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in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remote serv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구
Original Assignee
(주)스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톤랩 filed Critical (주)스톤랩
Priority to KR102022010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074A/ko
Publication of KR2024002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0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2Knowledge-based neural networks; Logical representations of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30Noise filte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생체정보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원격서버; 및 상기 원격서버를 통해 분석한 진단 결과를 전송 받아 의료 진료를 수행하는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Remote medical diagnosis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in-vitro and in-vivo biosigna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마이크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한 체내외 생체신호를 원격에서 인공지능 기반 의료 진료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진료 서비스는 병원의 전문화된 의사들에 의하여 상담과 진료를 통하여 제공되는 처방에 따라 의료서비스를 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의료 인력의 부족과 낙후된 지역이 의료해택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환자가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여 생명을 위협 받고 있다.
최근에 다양한 첨단 의료기기를 이용한 의사와 환자 간 원격의료 서비스로서, ICT 기술력과 융합되면서 더욱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내며, 향후에는 ICT 기반 의료기기 장비의 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원격 의료를 서비스가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19 같은 전 세계적인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외부 활동이 어려운 기저질환 환자, 감염 증상을 보이는 증상자, 일반 환자들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비대면 원격진료 시스템을 통하여 진료, 처방을 받을 수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을 최소화하며, 국민의 건강을 지켜야 하는 응급 상황에도 원활하게 대처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570호(2014.08.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목소리, 호흡소리를 녹음한 소리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 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 키트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원격에서 진료할 수 있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은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생체정보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원격서버; 및 상기 원격서버를 통해 분석한 진단 결과를 전송 받아 의료 진료를 수행하는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 호흡소리를 녹음한 소리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촬영한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서버는 목소리, 호흡소리를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로 녹음한 소리 정보와,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소리 및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정규화하는 전처리부; 상기 녹음한 소리 정보와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진단하는 분석부;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PC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키트는 호흡기검체, 비인두 비말, 피를 통해 텍스트, QR코드, 문양으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원본 입력 소리 및 영상을 원격서버의 전처리부를 통해 디지털 소리 및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정규화하는 단계; 전처리된 소리와 영상에 대해 원격서버의 저장부를 통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분석부를 통해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진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출력부를 통해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전송부를 통해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 취득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목소리, 호흡소리를 녹음한 소리 정보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 호흡소리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원격에서 진료, 상담, 관리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00), 원격서버(200), 및 PC(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110)를 통해 목소리, 호흡소리 등을 녹음하며, 카메라(120)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마이크 및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일 수 있다.
상기 원격서버(200)에서는 휴대단말기(100) 앱(App)과 연동되며, 휴대단말기(100)에서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 호흡소리 등을 녹음한 소리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 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인공지능을 통하여 분석하여 의사와 환자 간에 화상 상담, 진료, 처방, 처방약 등을 실시간으로 영상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서버(200)는 수집부(210), 전처리부(220), 저장부(230), 분석부(240), 출력부(250), 및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210)는 목소리, 호흡소리 등을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로 녹음한 소리 정보와,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 등을 휴대단말기(100)의 카메라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키트는 호흡기검체, 비인두 비말, 피 등을 통해 텍스트, QR코드, 문양 등으로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220)는 디지털 소리 및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화이트 밸런싱, 색온도 조절, 각도 교정, 왜곡 교정, 크기 보정, 흐림 보정 등을 통해 입력 영상을 정규화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녹음한 소리 정보와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키트는 사용자의 기기 조작에 의한 별도의 수동 입력 또는 인공지능의 자동화된 판단에 의한 영상 부분영역을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영상 내 특정 영역을 지정하며, 전체 영역에 대해 사전 설정된 영상필터에 의한 특징점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공지능 연산과정은 컨벌루셔널(convolutional) 연산이 수반되는 필터를 이용하거나 입력 시점별로 구분된 N개의 단위 정보를 한 개의 순차적인 입력 단위로 설정하여 이에 대해 비선형(non-linear) 함수에 의한 변환을 거치는 학습 구조를 수반하며 분류 또는 판별 태스크를 수행하여 식별 가능한 패턴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240)는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각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부(240)에서 진단키트 영상에 표시된 문양(띠색)을 시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적으로 식별하여 그 정보를 활용하거나 사용자의 수기 입력 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독감, 성병 등의 항체 종류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출력부(250)는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260)는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PC(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300)는 원격서버를 통해 분석한 진단 결과를 전송 받아 의료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은 먼저,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한다(S100).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는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목소리, 호흡소리 등을 녹음한 소리 정보와, 휴대단말기(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 등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원격서버(200)의 수집부(210)로 전송한다.
이어서, 원본 입력 소리 및 영상을 원격서버(200)의 전처리부(220)를 통해 디지털 소리 및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화이트 밸런싱, 색온도 조절, 각도 교정, 왜곡 교정, 크기 보정, 흐림 보정을 통해 정규화한다(S200).
이어서, 상기 전처리된 소리와 영상에 대해 저장부(230)를 통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한다(S300). 여기서, 상기 인공지능은 컨벌루션(convolution) 및 풀링(pooling) 연산 과정이 포함된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를 기본 학습 구조로 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입력 소리와 영상에 대해 진단 결과를 식별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
이어서, 원격서버(200)의 분석부(240)를 통해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S400).
이어서, 원격서버(200)의 출력부(250)를 통해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500).
다음으로, 원격서버(200)의 전송부(260)를 통해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휴대단말기나 PC(300)로 전송할 수 있다(S6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모바일기기 200: 원격서버
210: 수집부 220: 전처리부
230: 저장부 240: 분석부
250: 출력부 260: 전송부
300: PC

Claims (5)

  1.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생체정보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원격서버; 및
    상기 원격서버를 통해 분석한 진단 결과를 전송 받아 의료 진료를 수행하는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정보는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 호흡소리를 녹음한 소리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촬영한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서버는,
    목소리, 호흡소리를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로 녹음한 소리 정보와,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소리 및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정규화하는 전처리부;
    상기 녹음한 소리 정보와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진단하는 분석부;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PC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는 호흡기검체, 비인두 비말, 피를 통해 텍스트, QR코드, 문양으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4. 휴대단말기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기초 의료 정보인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원본 입력 소리 및 영상을 원격서버의 전처리부를 통해 디지털 소리 및 영상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정규화하는 단계;
    전처리된 소리와 영상에 대해 원격서버의 저장부를 통해 인공지능 연산과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분석부를 통해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기반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진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출력부를 통해 진단 결과 원본 또는 가공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의 전송부를 통해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한 결과치를 유효성에 따라 원격 의사 휴대단말기나 원격 P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목소리, 호흡소리를 녹음한 소리 정보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 떨림, 근육움직임, 안색, 피부, 진단키트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방법.
KR1020220102369A 2022-08-17 2022-08-17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5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369A KR20240025074A (ko) 2022-08-17 2022-08-17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369A KR20240025074A (ko) 2022-08-17 2022-08-17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074A true KR20240025074A (ko) 2024-02-27

Family

ID=9005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369A KR20240025074A (ko) 2022-08-17 2022-08-17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0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70B1 (ko)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70B1 (ko)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66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edical monitoring incorporating video processing and system of motor tasks
US116331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US20150087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mote Medical Diagnosis and Consultation
CN1279871C (zh) 诊断系统和移动电话
US20170007126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remote physical examination
JP6450085B2 (ja) 健康状態検査装置
US11232857B2 (en) Fully automated non-contact remote biometric and health sensing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US201602396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data, creating billable information and outputting billable information
US20100150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human behavior based on external body markers
CN110610754A (zh) 一种沉浸式可穿戴诊断与治疗装置
CN112669963B (zh) 智能健康机、健康数据生成方法以及健康数据管理系统
KR20240025074A (ko) 체내외 생체신호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원격 의료 진료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60676A1 (en) Multimodal diagnosi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22025450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 non-contact monitoring of health racterstic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US20220378377A1 (en) Augmente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s for physiological data processing
CN115317304A (zh) 一种基于生理特征检测的智能按摩方法及系统
CN113921098A (zh) 一种医疗服务评价方法和系统
Raja Fingerprint-based smart medical emergency first aid kit using IoT
KR20220162767A (ko) 원격 환자 검진 및 분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9425A (ko) 영상인식을 통한 얼굴 특징 추출과 사상체질 판별 방법 및시스템
TWI771077B (zh) 穿戴式身體音訊擷取裝置及相應監控系統
Rincon et al. Cognitive Assistant for Enhanced eHealth Monitoring
CN113116299B (zh) 疼痛程度评估方法、疼痛程度评估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178957A1 (zh) 生命体征监测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313058A1 (en) Modular tele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