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689A - Clothes care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car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689A
KR20240024689A KR1020220102990A KR20220102990A KR20240024689A KR 20240024689 A KR20240024689 A KR 20240024689A KR 1020220102990 A KR1020220102990 A KR 1020220102990A KR 20220102990 A KR20220102990 A KR 20220102990A KR 20240024689 A KR20240024689 A KR 2024002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inner door
door
parti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성
이상길
박이훈
이건학
최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689A/en
Priority to PCT/KR2023/008538 priority patent/WO2024039040A1/en
Publication of KR2024002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6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의류관리기는 관리실을 갖는 본체와,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이너도어에 결합되어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서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아우터도어로서,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한다. 이너도어는, 관리실과 수용공간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고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일부를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의류지지부재 위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갖는 파티션을 포함한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room, a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inner door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An outer door including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to support clothing in a space, and includes an outer door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receiving space. The inner door is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office and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partition having an exhaust hole provided on the clothing support member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clothing.

Description

의류관리기 {CLOTHES CARE APPARATUS}Clothing care device {CLOTHES CARE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lothes management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lothes management machine including a double door.

일반적으로 의류관리기는 세탁물 등을 세탁 또는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관리기 중 건조기능을 가지는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general, a clothes care machine refers to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by washing or drying it. Among these clothes care machines, the clothes care machine with a drying function is equipped with a hot ai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hot air to the receiving space where the clothes are stored in order to dry the clothes, and has refreshing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removing deodorization,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 steam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is.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된다.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관리실의 하부에 위치한다. 관리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binet with a management room for storing clothing. The battlefield room, which includes the steam generator or hot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below the management room. The management room and the battlefield room can be separated by a partition.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의류 지지부재가 관리실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는 의류 지지부재의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운동에 의해 의류를 관리하거나, 의류 지지부재에 기류를 제공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may have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to hold clothing placed in the management room. The clothing care machine can manage clothing by performing translational and/or rotational movements of the clothing support member, or by providing airflow to the clothing support member.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 사이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that can accommodate clothing between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 사이에 수용되는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ing care device capable of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accommodated between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아우터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구동 가능한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es care machine that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outer door is opened.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관리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상기 이너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아우터도어로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일부를 상기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상기 의류지지부재 위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갖는 파티션을 포함한다.A clothing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room, a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orm an airflow, and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clothing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is an outer door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ing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and includes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to support the clothing in the receiving space, wherein the accommodating It includes an outer door that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space. The inner door includes a partition that is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room and the receiving space and has a discharge hole provided on the clothing support member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clothing.

상기 의류지지부재는 상기 아우터도어의 상기 이너도어를 마주하는 배면에장착될 수 있다.The clothing support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outer door facing the inner door.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통홀(16)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연통홀을 거쳐 상기 배출홀로 배출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16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and the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너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이너 도어프레임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출홀의 전방에 마련되는 배출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protrudes from the partition toward the outer door, an inner door frame forming a border of the inner door, and an exhaust guider provided in front of the discharge hole to guide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ward the clothing. may include.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의류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may include a pressure plate provided to press the clothing supported by the clothing support member and a plate groov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inserted.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홈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ressure plate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from the plate groove toward the outer door.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may include a pusher that pushes the pressure plate toward the outer door.

상기 푸셔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셔베이스와, 상기 푸셔베이스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푸셔베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푸셔베이스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홈과 이격되어 상기 파티션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푸셔 수용홈과, 상기 연결돌기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sher includes a pusher base disposed behind the pressure plate and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connecting the pressure plate and the pusher base to move the pressure plat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pusher base. can do. The partit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usher base, and includes a pusher receiving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groove and formed by a portion of the partition, and a guide hol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do.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파티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and the partition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ure plate from the partition to the outer door.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의 상기 플레이트홈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면에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door forms the plate groove of the partition and may include rails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sides facing each other. The pressure plate may be arranged to move toward the outer door along the rail.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열선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ner door may be connected to a heating wire so that the partition transfers heat to the pressing plat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pressing plate.

상기 본체는, 스팀을 생성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과,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이 상기 이너도어가 닫힌 채로 상기 이너도어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파티션의 하부에 마련되는 인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supplying water to generate steam, and a drain tank provided to collect water. The inner door may include a draw-out hole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water tank and the drain tank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inner door while the inner door is closed.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rives the pressing plate as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상기 의류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blower as the inn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상기 송풍기는 제1 송풍기일 수 있고,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송풍기와 별도로 제어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blower may be a first blower, and the clothes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first blower to generate an air current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second blower as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관리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일부를 상기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상기 파티션의 상부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도어는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상기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파티션을 향하는 배면에 마련되는 의류지지부재를 포함한다.A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room, a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body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accommodate clothes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It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es an outer door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accommodating space. The inner door includes a partition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room and the accommodation space. The inner door includes a discharge ho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clothing. The outer door includes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ide facing the partition to support the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 중 상기 일부를 상기 이너도어 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is provided to guid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inner door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의류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홈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door is provided to press the clothing supported by the clothing support member and may include a pressure plate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and a plate groov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inserted. The pressure plate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from the plate groove toward the outer door.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may include a pusher that pushes the pressure plate toward the outer door.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관리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시키도록 마련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A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room, a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body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accommodate clothes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It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es an outer door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accommodating space. The inner door includes a partition provided to partition the management room and the accommodation space. The inner door includes a pressure plate movable from the partition toward the outer door to press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s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리실과 수용공간이 분리되어 아우터도어가 열린 경우에도 관리실 내부의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othing inside the management room can be managed even when the management room and the receiving space are separated and the outer door is opened.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류를 이용하여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rinkles on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removed using airflow, so clothing can be easily managed.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의류를 가압하는 접촉식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rinkles in clothing can be removed using a contact pressure plate that pressurizes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making it easy to manage the clothing.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아우터도어 및 이너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아우터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본체와 이너도어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이너도어와 아우터도어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아우터도어에 설치된 의류지지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이너도어와 아우터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배출가이드를 도시한 측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너 도어와 아우터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의 롤러와 이너 도어의 레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부가 열선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홀을 포함하는 이너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기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가 네트워크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부에 대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uter door and inner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being opene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outer door of the clothes care machine shown in FIG. 1 being opene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es care machine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lothes care machine shown in FIG. 1 and the inner door.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hing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door and outer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lothing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door shown in Figure 2.
Figure 9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door and outer door shown in Figure 4.
Figure 10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guide of the inn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1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including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2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including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of the pressure plate and the rail of the inn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upport shown in FIG. 13 being connected to a heating wir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door including a draw-out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lothes care machine including a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othing manager communicating with a network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chart of the control unit of a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방" 및 "하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upward” and “downward”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being opene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es care machine shown in FIG. 1. 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clothes care machine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and a doo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e door 20 may include an inner door 210 and an outer door 220.

아우터도어(220)의 외면에는 컨트롤패널(250)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일 수 있다. 컨트롤패널(25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의류관리 설정 및 의류관리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각종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panel 25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door 220. The control panel 250 may be an input means for user input. The control panel 250 may include a display that displays clothing management settings and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user input, and an input unit that obtains various user inputs.

본체(1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관리실(11)일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lothing management room 11 inside where clothing is stored and managed.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may be a management room 11.

본체(10)의 내부에는 관리실(11)이 형성되며 관리실(11)은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전면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에는 본체(10)의 전면 개구(1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A management room 11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the management room 1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ide open. A front opening 10a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a door 20 rotat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You can.

이너도어(210)는 제1 힌지(17, 도 6 참조)를 통해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너도어(210)는 본체(1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door 21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hinge 17 (see FIG. 6). Additionally, the inner door 21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아우터도어(220)는 제2 힌지(217, 도 7 참조)를 통해 이너도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door 210 through a second hinge 217 (see FIG. 7). The outer door 220 may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210.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1)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도어(220)는 수용공간(211)을 개방하도록 이너도어(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door 210. The outer door 220,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210, may form a receiving space 211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The outer door 220 may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inner door 210 to open the receiving space 211.

이렇듯, 아우터도어(220)와 이너도어(210)는 함께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아우터도어(220)만 이너도어(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도어(220)와 이너도어(210)가 함께 본체(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이너도어(210)가 아우터도어(220)에 이격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outer door 220 and the inner door 210 can rotate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nd only the outer door 22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210. In addition, even when the outer door 220 and the inner door 21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inner door 21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door 220 and rotated clockwise. .

바람직하게는, 아우터도어(220)가 본체(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가 확보된 후 이너도어(21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라 함은 120 도일 수 있다.Preferably, after the outer door 220 is secured at a predetermined counterclockwise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inner door 210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120 degrees.

아우터도어(220)의 좌측에는 아우터도어(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아우터핸들(220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도어(210)의 좌측에는 이너도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너핸들(210h)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ft side of the outer door 220 may include an outer handle 220h for rotating the outer door 220. The left side of 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n inner handle 210h for rotating the inner door 210.

아우터핸들(220h)은 이너핸들(210h)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핸들(220h)은 좌측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개방부(220h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핸들(210h)은 좌측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개방부(210ha)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handle 220h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inner handle 210h. The outer handle 220h may include an opening 220ha on the left side through which the user's hand can be inserted. The inner handle 210h may include an opening 210ha on the left side to allow the user's hand to be inserted.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도어(220)와 이너도어(210)를 함께 열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이너핸들(210h)을 전방 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아우터도어(220)와 이너도어(210)가 모두 회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open the outer door 220 and the inner door 210 together, the user pulls the inner handle 210h toward the front using his/her hand, thereby opening the outer door 220 and the inner door 210. All can be rotated.

아우터도어(220)만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너핸들(210h)의 하측에 마련되는 아우터핸들(220h)을 전방 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아우터도어(2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If the user wishes to open only the outer door 220, the user can rotate only the outer door 220 by pulling the outer handle 220h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handle 210h toward the front.

아우터도어(220)가 회전된 이후 이너도어(21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너핸들(210h)을 잡아당겨 이너도어(210)를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If the user wishes to open the inner door 210 after the outer door 220 has been rotated, the user may pull the inner handle 210h to rotate the inner door 21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에 따라 아우터도어(220) 또는 이너도어(210)를 함께 또는 각각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상승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otate the outer door 220 or the inner door 210 together or separately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 so the user's satisfaction can increase.

본체(10)는 상면(10b), 하면(10c)과, 좌측면(10d)과, 우측면(10e)과, 후면(10f) 그리고 전면 개구(10a)의 둘레에 마련되고 이너도어(210)를 마주하는 테두리면(10g)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round the upper surface 10b, the lower surface 10c, the left side 10d, the right side 10e, the rear side 10f, and the front opening 10a, and has an inner door 210. It may include a facing edge surface (10g).

관리실(11)은 제1 기류 유입홀(11a)과, 제1 기류 배출홀(11b)과, 증기 배출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류 유입홀(11a)과 제1 기류 배출홀(11b)은 관리실(11)의 하면(10c)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 유입홀(11a)은 관리실(11)의 하면(10c)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류 배출홀(11b)은 관리실(11)의 하면(10c)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nagement room 11 may include a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and a vapor discharge hole 43.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c) of the management compartment (11).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10c)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may be disposed behind the lower surface (10c) of the management room (11).

제1 기류 유입홀(11a)과 제1 기류 배출홀(11b)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홀(43)은 관리실(11)의 후면(10f)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홀(43)은 제1 기류 배출홀(1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team discharge hole 43 may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vapor discharge hole 43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의류관리기(1)는 제2 기류 유입홀(120a)과, 제2 기류 배출홀(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홀(120a)은 관리실(11)의 후면(10f)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류 배출홀(120b)은 관리실(11)의 상면(10b) 대략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홀(120a)과 제2 기류 배출홀(120b)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othes care machine 1 may include a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and a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may be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may be form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0b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and the second airflow outlet hole 120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수통(15a)은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A drain tank 15a and a water tank 15b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drain tank (15a) and the water tank (15b) may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drain tank 15a is provided to facilitate condensate treatment. The drain tank 15a may be withdrawn forward from the main body 10.

급수통(15b)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15b)의 물은 스팀발생장치(4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15b)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급수통(15b)은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Water may be stored in the water tank 15b.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5b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40 and used to form steam. The water tank 15b can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water replenishment. The water tank 15b may be withdrawn forward from the main body 10.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기계실(1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필요에 따라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tank 15a and the water tank 15b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13. The machine room 1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machine room 13 may be provided below the management room 11. The machine room 13 may include a heat exchange device 30 that can dehumidify and heat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as needed.

기계실(13)의 내부에는 순환팬(32)과, 열 교환장치(30)와, 스팀발생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machine room 13, a circulation fan 32, a heat exchange device 30, and a steam generator 40 may be disposed.

열 교환장치(3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3)와, 압축기(35)와, 응축기(34)를 구비하며,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된다.The heat exchange device 30 may be installed to supply hot air into the clothing care room 11. The heat exchange device 30 includes an evaporator 33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a compressor 35, and a condenser 34, and is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air.

열 교환장치(30)의 증발기(33)에서 냉매는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고, 공기 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제거되게 된다. 또한, 압축기(35)를 거쳐 응축기(3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33)와 응축기(34)가 열 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순환팬(32)에 의해 기계실(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In the evaporator 33 of the heat exchange device 30, the refrigerant evaporates and absorbs latent heat from the surrounding air, and moisture in the air is condensed and removed. Additionally, 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34 through the compressor 35, latent heat is released toward the surrounding air, thereby heating the surrounding air. That is, the evaporator 33 and the condenser 34 function as a heat exchanger,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13 by the circulation fan 32 is dehumidified through the evaporator 33 and the condenser 34 sequentially. and heated.

기계실(13)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30)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 및 순환팬(32)을 연결하는 제1 덕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31)는 관리실(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31) 내에는 제1 순환유로(39)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순환유로(39)는 관리실(11)과 제1 덕트(31)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device 30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13 may include a first duct 31 connecting the evaporator 33, the condenser 34, and the circulation fan 32. The first duct 31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room 11. A first circulation passage 39 may be formed within the first duct 31, and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39 may circulate within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first duct 31.

제1 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 기류 유입홀(11a)과 제1 기류 배출홀(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31)의 일단은 관리실(11)의 제1 기류 유입홀(11a)에 연결되고 타단은 관리실(11)의 제1 기류 배출홀(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31)의 제1 덕트 유입홀(31a)은 제1 기류 유입홀(11a)에 연결되고 제1 덕트 배출홀(31b)는 제1 기류 배출홀(11b)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uct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of the clothing management room 11. One end of the first duct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of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first duct inlet hole 31a of the first duct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the first duct outlet hole 3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flow outlet hole 11b.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 기류 유입홀(11a)을 통해 제1 덕트(3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기류 배출홀(11b)를 통해 관리실(11)로 다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류 유입홀(11a)은 관리실(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기류 배출홀(11b)은 관리실(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류 유입홀과 기류 배출홀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air in the management room (11) flows into the first duct (31) through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the inflow air is dehumidifi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d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is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management room 11.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airflow inlet hole and airflow discharge hol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제1 덕트(31)는 제1 기류 유입홀(11a)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기류 배출홀(11b)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팬(32)은 제1 덕트(31) 상에 마련되어 관리실(11)의 공기를 제1 덕트(3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uct 31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flow inlet hole 11a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11b. The circulation fan 3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duct 31 to suck air from the management room 11 into the first duct 31.

기계실(13)은 급수통(15b)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급수통(15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부(41)와, 생성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42)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42)는 관리실(11)의 후면(10f)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41)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13 may further include a steam generator 4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15b and generates steam. The steam generator 40 may be placed in the machine room 13. The steam generator 40 includes a steam generator 41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5b and receives water to generate steam, and a steam supply pipe 44 that guides the generated steam to the steam injection portion 42. It can be included. The steam injection unit 42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A heate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41 to heat water.

의류관리기(1)는 제2 덕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121)의 내부에는 송풍기(1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덕트(121)는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관리실(11)과 제2 덕트(121)를 순환하는 제2 순환유로(120)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122)는 제2 순환유로(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othes care machine 1 may include a second duct 121. A blower 12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121. The second duct 121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room 11 to form a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that circulates between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second duct 121. The blower 12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제2 덕트(121)는 관리실(11)의 제2 기류 유입홀(120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121)는 관리실(11)의 후면(10f)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121)는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덕트(121)는 탑 커버(130)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송풍기(122)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22)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121 may be formed behind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duct 12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and may include a filter member 60 therein. The second duct 121 may be combined with the top cover 13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duct 121 is combined with the top cover 130 and a blower 122 may be installed therein. The blower 122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can form an airflow.

제2 덕트(121)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122)는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 기류 유입홀(120a)을 통해 흡입하여 제2 기류 배출홀(120b)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lower 122 disposed inside the second duct 121 may be provided to suck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

송풍기(122)는 본체(10) 내에 배치되고,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관리실(11) 상단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기(12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모터(122a)와 송풍모터(122a)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송풍팬(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팬(122b)은 팬 케이스(122c)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lower 122 is disposed within the main body 10 and may be provided outside the top of the management room 11 to flow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The blower 122 may include a blower motor 122a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a first blower fan 122b rotated by the blower motor 122a. The first blowing fan 122b may be accommodated by the fan case 122c.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팬 케이스(122c)는 관리실(11)의 상면(10b)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124)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124a)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124a)에 각각 제1 송풍팬(122b)이 결합되어 제2 덕트(121)의 공기를 제2 기류 배출홀(120b)로 이동하게 한다.The fan case 122c may be coupled to the duct bracket 12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0b of the management room 11. At least one duct hole 124a is formed in the duct bracket 124, and a first blowing fan 122b is coupl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uct hole 124a to blow air from the second duct 121 into a second airflow. Move it to the discharge hole (120b).

제2 덕트(121)는 관리실(11)의 제2 기류 유입홀(120a)과 제2 기류 배출홀(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121)의 일단은 관리실(11)의 제2 기류 유입홀(120a)에 연결되고 타단은 관리실(11)의 제2 기류 배출홀(120b)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and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of the management room 11. One end of the second duc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of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of the management room 11.

제2 덕트(121)의 제2 덕트 유입홀(121a)은 제2 기류 유입홀(120a)에 연결되고 제2 덕트 배출홀(121b)은 제2 기류 배출홀(120b)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inlet hole 121a of the second duc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and the second duct outlet hole 121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outlet hole 120b.

관리실(11)의 제2 기류 유입홀(120a)에는 필터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홀(120a)은 관리실(11)의 후면(10f)에 형성된다. 관리실(11)의 후면(10f)에는 필터부재(6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부재 설치부(11c)가 마련된다. 제2 기류 유입홀(120a)은 필터부재 설치부(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filter member 6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is formed at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A filter member installation portion 11c for installing the filter member 60 is provided at the rear 10f of the management room 11.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member installation portion 11c.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는 제2 덕트(121)로 유입 시 제2 기류 유입홀(120a)의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제2 덕트(12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는 송풍기(122)를 통해 제2 기류 배출홀(120b) 및 제1 의류 지지부재(11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flows into the second duct 121, it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60 of the second airflow inlet hole 120a. Dust and odor may be removed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duct 121 by the filter member 60.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6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blower 122 to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and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The filter member 60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filter (not shown) to remove dust or a means for deodorization.

관리실(11)은 의류 관리 시, 제1 의류 지지부재(110)에 의류를 거치하고 이너도어(21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이때, 관리실(11)은 제1 순환유로(39)와 제2 순환유로(120)를 따라 순환될 수 있다.When managing clothing, the management room 11 places clothing on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and operates it with the inner door 210 closed. At this time, the management room 11 may be circulated along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39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의류관리기(1)는 실내 제습 시, 관리실(11)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마련되는 제습유로(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유로(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1 may include a dehumidifying passage 80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to connect the management room 11 to the outside when dehumidifying the interior. The dehumidifying passage 8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dehumidifying channels.

제습유로(80)는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8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80)는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passage 8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At least one of the dehumidifying passages 8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The dehumidifying passage 8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제습유로(80)는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마련되어 관리실(11)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81)와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passage 8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and has an inflow passage 81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management room 11 and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82 for this purpose.

아우터도어(2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도어(220)는 거울, 유리,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1)의 아우터도어(220)는 판 형상의 거울인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아우터도어(220)는 의류관리기(1)가 설치되는 실내의 가구 등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다양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outer door 220 may include a mirror, glass, panel, etc. The outer door 220 of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shown in FIG. 1 is shown as an example of a plate-shaped mirror,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outer door 220 is a clothing It may include covers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are combined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 furniture in the room where the manager 1 is installed.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의류관리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inner door 210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유입유로(81)는 제1 유입홀(81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1 배출홀(81b)을 통해 관리실(11)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The inflow passage 81 is provided so that ai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inlet hole 81a moves and is discharged into the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81b.

유입유로(81)는 제1 유입홀(81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 유로덕트(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홀(81b)은 유입 유로덕트(218)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flow path 81 may include an inlet flow duct 218 that guid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hole 81a to move. The first discharge hole 81b may be formed in the inlet flow duct 218.

유입유로(81)는 제1 배출홀(81b)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 댐퍼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장치는 유입 유로덕트(218)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 유로덕트(218)는 제1 배출홀(81b)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 댐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low passage 81 may include a first damper device (not shown)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ischarge hole 81b. The first damper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let flow duct 218. The inlet flow duct 218 may include a first damper devic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ischarge hole 81b.

배출유로(82)는 제2 유입홀(82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2 배출홀(82b)을 통해 관리실(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82)는 이너도어(210)에 형성되어,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82 may be provided so that air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inlet hole 82a mov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nagement room 11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82b. The discharge passage 82 may be formed in the inner door 210 to discharg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to the outside.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를 배출유로(82)로 전달하도록 본체(10)는 제2 순환유로(120)와 배출유로(8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90 connecting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and the discharge passage 82 to transfer the internal air of the management room 11 to the discharge passage 82.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91)는 탑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가 탑 커버(13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30)는 연결유로 홀(132)을 포함한다. 연결유로 홀(132)은 탑 커버(13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탑 커버(130)의 연결유로 홀(13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ssage 90 may b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91. The connection duct 91 may be coupled to the top cover 130. The connection passage 9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connection duct 91 with the top cover 130. The top cover 130 includes a connection passage hole 132. The connection passage hole 132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top cover 130. The connection passage 9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hole 132 of the top cover 130.

연결유로(90)는 제2 순환유로(12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제2 순환유로(12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90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The connection passage 90 may be formed by branching from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연결덕트(91)의 전면에는 본체(10)의 전면 개구(10a)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배출홀(9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홀(94)은 연결덕트(91)의 전면에 형성되어 연결유로 홀(132)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순환유로(120)의 공기가 연결유로(90)로 유입되어 연결덕트 배출홀(94)을 통해 본체(10)의 전면 개구(10a)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connected to the front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duct 91.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duct 91, and the air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hole 132 flows into the connection passage 9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It may be formed to move toward the front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10) through (94).

연결덕트(91)의 내부에는 제2 순환유로(120)와의 사이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댐퍼장치(9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퍼장치(95)는 탑 커버(130)의 연결유로 홀(132)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damper device 9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91 to enable cycle opening and closing with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The second damper device 95 may be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passage hole 132 of the top cover 130.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홀(94)은 도어(20)에 형성되는 제습유로(8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홀(94)은 이너도어(210)의 배출유로(82)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홀(94)은 배출유로(82)의 제2 유입홀(8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홀(94)은 배출유로(82)의 제2 유입홀(82a)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duct discharge hole 94 of the connecting duct 9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humidifying passage 80 formed in the door 20.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assage 82 of the inner door 210.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let hole 82a of the discharge passage 82.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hole 82a of the discharge passage 82.

배출유로(82)는 제2 유입홀(82a)과, 제2 유입홀(82a)을 통해 유입되는 관리실(11)의 공기를 본체(10) 및 아우터도어(22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배출홀(8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82 is formed to discharge the second inlet hole 82a and the air in the management room 11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inlet hole 82a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uter door 220. It may include a second discharge hole (82b).

제2 유입홀(82a)은 도어(20)의 이너도어(210)에 마련된다. 제2 유입홀(82a)은 이너도어(2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 유입홀(82a)은 이너도어(210)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2 유입홀(82a)은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홀(9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홀(82a)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순환유로(120) 즉,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는 제2 배출홀(82b)로 배출된다. 제2 배출홀(82b)은 이너도어(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홀(82a)과 제2 배출홀(82b)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유로(120)로 유입되는 관리실(11)의 공기는 관리실(11)의 제습시, 연결유로(90)와 이너도어(210) 그리고 아우터도어(22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hole 82a is provided in the inner door 210 of the door 20. The second inlet hole (82a)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door (210). The second inlet hole 82a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inner door 210. The second inlet hole 82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duct discharge hole 94 of the connection duct 91. The air inside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that is, the management room 11,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inlet hole 82a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82b. The second discharge hole 82b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inner door 210. The second inlet hole 82a and the second outlet hole 82b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hen the air in the management room (11) flowing into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is dehumidified in the management room (11), the air flow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90),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can be discharged as

본체(10)의 전면 개구(10a) 상단에는 이너도어(210)의 배출유로(8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연통홀(16)이 마련될 수 있다. 연통홀(16)은 이너도어(210)의 배출유로(8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hole 16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assage 82 of the inner door 21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10. The communication hole 16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assage 82 of the inner door 210.

의류관리기(1)는 제2 순환유로(120) 내의 공기를 관리실(11) 내부에 유입되도록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기(122)와, 송풍기(122)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관리실(1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행거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includes a blower (122) that generates an airflow so that the air in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flows into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122) flows into the management room (11). It may include a hanger guide 140 that makes it possible.

송풍기(122)를 통과한 공기는 탑 커버(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유로(130a)로 이동될 수 있다. 안내유로(130a)는 제2 순환유로(12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안내유로(130a)는 송풍기(122)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의류로 안내하도록 송풍유로(150)의 일부로서 탑 커버(130)와 본체(10)의 상면(1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122 may be moved to the guide passage 130a formed inside the top cover 130. The guide passage 130a may be a part of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120. The guide passage 130a may be formed by the top cover 130 and the upper surface 10b of the main body 10 as part of the blowing passage 150 to guide the airflow supplied from the blower 122 to the clothing.

의류관리기(1)는 안내유로(130a)로 유입된 공기를 제1 의류 지지부재(110)에 거치된 의류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행거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가이드(140)는 본체(10)의 상면(10b)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가이드(140)는 본체(10)의 상면(10b)에 부착될 수 있다.The clothing care machine 1 may include a hanger guide 140 that guides air introduced into the guide passage 130a to the upper side of the clothing mounted on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The hanger guide 1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0b of the main body 10. The hanger guide 14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0b of the main body 10.

행거 가이드(140)는 배출 플레이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플레이트(141)는 송풍기(12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기류 배출홀(120b)을 형성할 수 있다. The hanger guide 140 may include a discharge plate 141. The discharge plate 14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lower 122 and may form a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의류관리기(1)는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의류 지지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의류 지지부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의류 지지부재(11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may include a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provided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to support clothing. There may be at least on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anger so that clothing can be inserted into it.

제1 의류 지지부재(110)는 행거 가이드(140)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제1 의류 지지부재(110)는 송풍기(122)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를 의류로 안내하도록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13)는 제2 기류 배출홀(120b)과 연통될 수 있다. 유로(113)의 유입홀(111)은 제1 의류 지지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22)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는 제2 기류 배출홀(120b)을 통해 유로(113)의 유입홀(111)을 향해 제1 의류 지지부재(110)의 하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may be coupleable to the hanger guide 140.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may include a flow path 113 to guide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122 to the clothing. The flow path 113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The inlet hole 111 of the flow path 1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122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lothing support member 110 toward the inlet hole 111 of the flow path 113 through the second airflow discharge hole 120b.

유로(113)의 유입홀(111)은 유로(113)의 배출홀 보다 공기의 유동하는 방향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let hole 111 of the flow path 113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flow path 113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이너도어(210)는 관리실(11)과 수용공간(211)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파티션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213)은 전면 개구(10a)를 개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213)과 아우터도어(220) 사이에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11)은 대략 직육면체의 공간일 수 있다. 수용공간(211)은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마련되는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213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room 1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e partition 213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10a. An accommodation space 211 may b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213 and the outer door 220. The accommodation space 211 may be approximate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The receiving space 211 may be a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ing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수용공간(211)은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211 may be formed by an inner door 210 and an outer door 220.

이너도어(210)는 수용공간(211)을 둘러싸는 이너 도어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파티션(21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이너도어(21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개방부를 포함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너 도어프레임(212)의 상부에는 배출홀(216a)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216)은 슬릿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n inner door frame 212 surrounding the receiving space 211. The inner door frame 212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partition 213. The inner door frame 212 may form an edge of the inner door 210. The inner door frame 212 may be a square-shaped frame including an opening. A discharge hole 216a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door frame 212. The discharge hole 216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lit.

배출덕트(216)는 배출홀(216a)에서부터 덕트유입홀(216b)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홀일 수 있다. 배출홀(216a)은 송풍기(12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일부를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는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유입홀(216b)은 연통홀(16)에서 배출되는 기류가 배출덕트(216) 내부로 유입되는 홀일 수 있따.The discharge duct 216 may be a hole that communic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hole 216a to the duct inlet hole 216b. The discharge hole 216a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122 toward the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The duct inlet hole 216b may be a hole through which airflow discharged from the communication hole 16 flows into the discharge duct 216.

배출홀(216)의 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12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일부가 배출홀(216) 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연통홀(16)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연통홀(16)은 덕트유입홀(216b)과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16, which is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216 and is provided to guid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122 toward the discharge hole 216,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communication hole 1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uct inlet hole 216b in the front-back direction.

배출홀(216a)의 높이는 연결유로(90)와 연통되기 위해 연통홀(16)의 높이가 대응될 수 있다. 즉, 연통홀(16)은 배출홀(21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아우터도어(220)를 향하는 접촉면(2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discharge hole 216a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hole 16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assage 90. That is, the communication hole 16 may be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216. The inner door frame 212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212a facing the outer door 220.

파티션(21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213)의 하부에는 파티션홀(219)이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홀(219)은 유입 유로덕트(218)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파티션(213)에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파티션홀(219)은 슬릿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partition 2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rtition hole 219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213. The partition hole 219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213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let flow duct 218. The partition hole 219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t.

아우터도어(220)는 아우터도어(220)의 후방 테두리를을 형성하는 아우터 도어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door 220 may include an outer door frame 222 that forms the rear edge of the outer door 220.

아우터도어(220)는 아우터 도어프레임(220)의 전방에 마련되는 아우터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벽(223)은 아우터 도어프레임(2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도어프레임(222)은 아우터벽(22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벽(223)은 파티션(213)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벽(223)의 하부에는 하부홀(229)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홀(229)은 수용공간(211)의 공기가 의류관리기(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외부의 공기를 수용공간(21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may include an outer wall 223 provided in front of the outer door frame 220. The outer wall 223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outer door frame 222. The outer door frame 222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outer wall 223. The outer wall 223 may be arranged to face the partition 213. A lower hole 229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 223. The lower hole 229 can discharge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211 to the outside of the clothing care machine 1 and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외부의 공기는 하부홀(229)을 통해 수용공간(211) 내부로 유입된 후 파티션홀(219)을 통해 제1 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 덕트(31)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External air may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through the lower hole 229 and then be guided into the first duct 31 through the first airflow inlet 11a through the partition hole 219.

아우터도어(220)는 아우터벽(223)에 설치되는 제2 의류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의류 지지부재(230)는 수용공간(211)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아우터벽(223)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의류 지지부재(230)는 아우터벽(223)의 배면(223b, 도 8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The outer door 220 may include a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223. The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223 to support clothing within the receiving space 21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223b of the outer wall 223 (see FIG. 8).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 사이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의류관리기(1)의 수납공간은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이너도어(210)를 본체(10)에 고정시키고, 아우터도어(220) 만을 개방시켜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의류를 빼내거나 다른 의류를 보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의류관리기(1)의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clothing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so the storage space of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can be more efficient. By fixing the inner door 210 to the main body 10 and opening only the outer door 220,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be removed or other clothing can be stored, creating a more efficient clothing management device (1) management is possible.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본체와 이너 도어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and the inner door.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ing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shown in FIG.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너도어(210)와 아우터도어(220)의 힌지 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0)는 이너도어(210)를 향해 돌출되는 제1 힌지 지지부(17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힌지 지지부(17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힌지(17)를 포함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hinge coupling of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first hinge support portion 17a that protrudes toward the inner door 210.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first hinge 17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hinge supporter 17a.

제1 힌지(17)는 이너도어(21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위한 중심축일 수 있다. 제1 힌지(17)는 이너도어(210)의 제1 힌지홀(217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힌지홀(217h)에 삽입된 제1 힌지(17)를 중심으로 이너도어(2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hinge 17 may be a central axis that allows the inner door 21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first hinge 17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hole 217h of the inner door 210, and the inner door 210 is centered around the first hinge 17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hole 217h.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너도어(210)는 제2 힌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217)는 아우터도어(220)의 제2 힌지홀(227h)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힌지(217)는 제2 힌지 지지부(217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217)가 삽입 가능하도록 아우터도어(220)의 제2 힌지홀(227h)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 second hinge 217. The second hinge 217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hole 227h of the outer door 220. The second hinge 217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inge supporter 217a. The second hinge hole 227h of the outer door 220 may be formed so that the second hinge 217 can be inserted.

제2 힌지 지지부(217a)는 힌지 삽입홈(227)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힌지 지지부(217a)가 힌지 삽입홈(227)에 삽입되고, 제2 힌지(217)가 제2 힌지홀(217h)에 삽입되면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inge support portion 217a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hinge insertion groove 227. When the second hinge support portion 217a is inserted into the hinge insertion groove 227 and the second hinge 21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hole 217h, the outer door 220 is rotatable on the inner door 210. can be combined

제2 힌지(217)가 제2 힌지홀(227h)에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도어(220)는 이너도어(210)에 대해 제2 힌지(217)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With the second hinge 217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hole 227h, the outer door 22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210 about the second hinge 217. It may be possibl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도어(210) 및 아우터도어(220)가 함께 또는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oor 210 and the outer door 220 can be rotated together or individu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아우터 도어에 설치된 의류지지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의류 지지부재(230)는 아우터벽(223)의 배면(223b)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31)과, 지지 프레임(231)에 결합되는 결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lothing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door shown in Figure 2. 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includes a support frame 231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223b of the outer wall 223 and a coupling portion 233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31. can do.

결합부(233)는 지지 프레임(231)과 홀더 지지부(234)를 결합시킬 수 있다. 홀더 지지부(234)는 한 쌍의 홀더(235)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정가능하도록 한 쌍의 홀더(235)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홀더(235)는 집게 형태로 마련되어, 하의와 같은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33 may couple the support frame 231 and the holder support portion 234. The holder support portion 234 may be coupled to a pair of holders 235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235 can be adjusted. A pair of holders 235 are provided in the form of clamps and can secure clothing such as bottoms.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의류 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미도시)는 수용공간(211)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공간(211)은 이너도어(210)의 배출구(216a)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가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제2 의류 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는 배출구(216a)로부터 배출되는 기류가 유동하는 유로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관리실(11, 도 2 참조) 내의 기류와 온도나 습도가 대응되는 기류가 수용공간(211)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211) 내에 마련되는 의류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FIG. 9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shown in FIG. 4. Referring to FIG. 9 , clothing (not shown) supported by the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 The receiving space 211 may be a space wher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6a of the inner door 210 flows downward, and clothing supported by the second clothing support member 230 flows from the outlet 216a. It may be within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ischarged air current flow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n airflow whose temperature or humidity corresponds to the airflow in the management room (11, see Figure 2) can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so wrinkles on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be removed. there is.

한편, 배출구(216a)를 통해 아우터도어(220) 측으로 유입되는 기류는 상측을 통해 의류관리기(1)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용공간(2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중 수용공간(211)으로 유입되는 기류는 하부홀(229)을 통해 아우터도어(220) 외부로 배출되거나 파티션홀(219)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outer door 220 through the outlet 216a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through the upper side, or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and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Among these,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220 through the lower hole 229 or may be re-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partition hole 219.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단순히 수용공간(211)에 의류를 보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출구(216a)를 통해 연결유로(90)로부터 송풍기(12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일부가 수용공간(211)으로 유입됨에 따라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의류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이하에서, 비접촉식 모드라고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not only does it stop at simply storing clothing in the receiving space 211, but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122 flows from the connecting passage 90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through the outlet 216a. As a result, wrinkles on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be removed.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hereinafter be defined as a non-contact mode.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도어의 토출가이드를 도시한 측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너도어(210)는 배출구(216a)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수용공간(211)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가이더(26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0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guide of an inn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0, 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n exhaust guider 260 provided to guide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6a to the receiving space 211.

배출가이더(260)는 이너도어(2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아우터도어(220)으로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벤딩될 수 있다. 배출가이더(260)는 이너 도어프레임(21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가이더(260)는 배출홀(216a)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r 26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door 210 and can be bent downward as it moves toward the outer door 220. The discharge guider 26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door frame 212. The discharge guider 26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ischarge hole 216a.

배출가이더(260)는 배출구(216a)를 통해 아우터도어(220) 측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기류를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는 의류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용공간(211)이 보다 효율적으로 의류의 주름이 제거되기 용이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r 260 can guide the high-temperature airflow flowing into the outer door 22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6a to the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eceiving space 211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wrinkles in clothing can be easily removed more efficiently, so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너도어(210)는 가압 플레이트(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80)는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는 의류를 아우터도어(2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Figure 11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including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1 , 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 pressure plate 280. The pressure plate 280 can press the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toward the outer door 220.

이너도어(210)는 가압 플레이트(28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홈(28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80)는 플레이트홈(281)으로부터 아우터도어(220)를 향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inner door 210 may include a plate groove 281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280 is inserted. The pressure plate 280 may be movable from the plate groove 281 toward the outer door 220.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도어(210)는 가압 플레이트(280)는 파티션(21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파티션(213)의 내부에는 가압 플레이트(280)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푸셔(285)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ner door 210 has a pressure plate 280 that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partition 213, and has a pusher (pusher) inside the partition 213 that can push or pull the pressure plate 280 forward and backward. 285) may be included.

파티션(213)은 플레이트홈(281)의 후방에 마련되는 푸셔 수용홈(286a, 286b)과, 푸셔 수용홈(286a, 286b)와 플레이트홈(281)을 연통시키는 가이드홀(287a)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 수용홈(286a, 286b)은 플레이트홈(281)과 이격될 수 있다. 푸셔 수용홈(286a, 286b)은 파티션(213)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287a)은 푸셔 수용홈(286a, 286b)와 플레이트홈(28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213 may includ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286b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ate groove 281, and a guide hole 287a that communicates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286b and the plate groove 281. You can.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groove 281.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may be provided inside the partition 213. The guide hole 287a may be formed between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and the plate groove 281.

푸셔(285)는 푸셔 수용홈(286a, 286b) 내에 수용되는 푸셔베이스(286)와, 가이드홀(287a)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돌기(287)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285)는 푸셔 수용홈(286a, 286b)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연결돌기(287)는 푸셔베이스(286)와 가압 플레이트(280)를 연결하고, 푸셔베이스(286)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8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pusher 285 may include a pusher base 286 accommodated in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and a connecting protrusion 287 disposed inside the guide hole 287a. The pusher 285 may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The connecting protrusion 287 connects the pusher base 286 and the pressure plate 280, and can move the pressure plate 28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the pusher base 286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푸셔 수용홈(286a, 286b)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푸셔베이스(286)에 의해 제1 푸셔 수용홈(286a)과 제2 푸셔 수용홈(286b)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푸셔 수용홈(286a)은 푸셔베이스(286)의 후방에 마련되는 공간일 수 있고, 제2 푸셔 수용홈(286b)은 푸셔베이스(286)의 전방에 마련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푸셔 수용홈(286b)은 펌프(P)에 연결될 수 있고, 펌프(P)에 의해 관리실(11) 내의 공기가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로 유입되거나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의 공기가 관리실(11) 내부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Inside the pusher receiving grooves 286a and 286b, the first pusher receiving groove 286a and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usher base 286 extending vertically.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usher receiving groove 286a may be a spa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usher base 286, and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may be a spac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pusher base 286. You can.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P), and the air in the management room (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by the pump (P) or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 The internal air may be drawn into the management room (11).

펌프(P)에 의해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푸셔베이스(286)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돌기(287)에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280)는 의류를 가압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P)에 의해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의 공기가 관리실(11)로 인출되면 제2 푸셔 수용홈(286b)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푸셔베이스(286)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80)는 이너도어(2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air flows into the second pusher accommodating groove 286b by the pump P and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pusher accommodating groove 286b increases, the pusher base 286 may be moved forward, thereby The pressure plate 28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287 can pressurize clothing. In addition, when the air inside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is drawn into the management room (11) by the pump (P),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decreases and the pusher base (286) moves rearward. may be, and accordingly, the pressure plate 280 may be moved toward the inner door 210.

가압 플레이트(28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펌프(P)의 동작은 제어부(152, 도 18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 도어(220)가 수용공간(211)을 폐쇄하는 경우 제어부(152)는 펌프(P)를 동작시켜 제2 푸셔 수용홈(286b) 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pump P that moves the pressure plate 280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2 (see FIG. 18). 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er door 220 closes the receiving space 211, the control unit 152 may operate the pump P to introduce air into the second pusher receiving groove 286b.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접촉식의 도 10 구조뿐 아니라 접촉식의 가압 플레이트가 수용공간(211) 내부에 마련되는 의류에 직접 접촉하여 의류의 주름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non-contact structure of Figure 10, the contact pressure plate directly contacts the clothing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211, so that wrinkles in the clothing can be more easily removed.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의 측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너도어(210)는 가압 플레이트(280)를 파티션(213)으로부터 아우터도어(220)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가압 플레이트(280)와 파티션(213)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289)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2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door and an outer door including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2, the inner door 210 includes an elastic member ( 289) may be included.

사용자는 아우터도어(220)를 개방한 채로, 가압 플레이트(280)를 파티션(213)을 향해 푸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80)는 파티션(213)과 가까운 위치인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 플레이트(280)를 파티션(213) 측으로 한번 더 푸시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89)가 가압 플레이트(280)를 아우터도어(220)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이때의 가압 플레이트(280)는 제1 위치 보다 파티션(213)과의 이격 거리가 먼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The user can push the pressure plate 280 toward the partition 213 while opening the outer door 220, and thus the pressure plate 280 is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which is close to the partition 213. It can be. When the user pushes the pressure plate 280 toward the partition 213 once more, the elastic member 289 can elastically bias the pressure plate 280 toward the outer door 220. At this time, the pressure plate 280 may be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that is further away from the partition 213 than at the first position.

아우터도어(220)가 폐쇄됨에 따라 수용공간(211) 내의 의류는 제2 위치에 위치한 가압 플레이트(280)에 의해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의류의 주름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As the outer door 220 is closed, the clothing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be pressured by the pressure plate 280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and wrinkles on the clothing can be more easily removed.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플레이트의 롤러와 이너 도어의 레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압 플레이트(280)는 파티션(213)으로부터 아우터도어(220)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283)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of the pressure plate and the rail of the inn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3 , the pressure plate 280 may include a roller 283 to move from the partition 213 toward the outer door 220 .

롤러(283)는 레일(281c)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레일(281c)은 파티션(213)의 사이드 내면(281b)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내면(281b)은 플레이트홈(281)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사이드 내면(281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The roller 283 may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281c. The rail 281c may be formed on the side inner surface 281b of the partition 213. The side inner surfaces 281b form plate grooves 281 and may b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ide inner surface (281b) may be a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be a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가압 플레이트(280)의 롤러(283)는 레일(281c)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은 제어부(152, 도 18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도어(220)가 수용공간(211)을 폐쇄하도록 이너도어(210)와 함께 관리실(11, 도 2 참조)에 결합되는 경우, 아우터도어(2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이후 제어부(152)는 롤러(283)가 레일(281c)을 따라 아우터도어(2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roller 283 of the pressure plate 28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long the rail 281c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2 (see FIG. 18). 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er door 220 is coupled to the management room (11, see Figure 2)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210 to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211, a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uter door 220 , and then the control unit 152 can move the roller 283 toward the outer door 220 along the rail 281c.

가압 플레이트(280)의 롤러(283)가 레일(281b)을 따라 아우터도어(220)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80)는 의류를 아우터도어(220)에 접촉하도록 가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As the roller 283 of the pressure plate 280 moves to the outer door 220 along the rail 281b, the pressure plate 280 can pressurize clothing to contact the outer door 220. Accordingly, wrinkles in clothing can be removed.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부가 열선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너도어(210)는 열선(29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도어(210)의 파티션(213) 또는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열선(290)에 연결될 수 있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upport shown in FIG. 13 being connected to a heating wire. Referring to FIG. 14 , the inner doo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290.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213 or the inner door frame 212 of the inner doo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290.

플레이트홈(281)은 가압 플레이트(280)를 마주하며 파티션(213)의 전면인 베이스면(281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면(281a)은 가압 플레이트(280)와 접촉될 수 있다.The plate groove 281 faces the pressure plate 280 and may include a base surface 281a that is the front of the partition 213. The base surface 28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280.

파티션(213) 또는 이너 도어프레임(212)은 열선(290)에 연결되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파티션(213)이 직접 열선(290)에 연결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에 가압 플레이트(280)는 플레이트홈(281)의 베이스면(281a)에 접촉되어 베이스멱(281a)으로부터 열이 전도되어 가압 플레이트(280)의 표면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partition 213 or the inner door frame 212 may be increa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290. When the partition 21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290 and the temperature rises, the pressure plate 28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surface 281a of the plate groove 281, and heat is conducted from the base plate 281a to pressuriz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late 280 may increase.

이러한 상태로 가압 플레이트(280)의 롤러(283, 도 13 참조)가 레일(281c)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의류는 가압 플레이트(280)의 고온으로 형성된 표면과 맞닿아 주름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더 빠른 시간으로 의류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roller 283 (see FIG. 13) of the pressure plate 280 moves forward along the rail 281c,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meet the high temperature formed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80. Wrinkles can be removed more easily by contact, and wrinkles on clothing can be removed in a faster time.

이너 도어프레임(212)이 열선(290)에 연결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에도 이너 도어프레임(212)에 접촉되어 가압 플레이트(280)는 시간이 지나면 이너 도어프레임(212)에 대응되어 온도가 상승될 것이다.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80)의 표면 온도도 함께 상승되어 의류의 주름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Even when the inner door frame 212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290 and the temperature rises, the pressure plate 280 in contact with the inner door frame 212 increases in temperature in response to the inner door frame 212 over time. It will be. According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ressure plate 280 will also increase, allowing wrinkles on clothing to be more easily removed.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홀을 포함하는 이너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의류관리기(301)는 급수통(15a)과 배수통(15b)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통(15a)은 스팀을 발생하도록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고, 배수통(15b)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door including a draw-out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5, the clothes care machine 301 may include a water tank 15a and a drain tank 15b. The water tank 15a may be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generate steam, and the drain tank 15b may be provid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급수통(15a) 및 배수통(15b)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1)의 구조에 의하면 의류 동작 중인 이너도어(210)가 관리실(11)을 폐쇄하는 동안에는 본체(10) 외부로 인출되지 못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1 shown in FIG. 1, the water tank 15a and the water tank 15b are drawn out of the main body 10 while the inner door 210, in which the clothes are in operation, closes the management room 11. It may not be possible.

의류 동작 중에 급수통(15a) 내부의 물이 부족하거나, 배수통(15b) 내의 물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류관리기(1) 내의 의류관리가 덜 효율적으로 처리되거나 의류관리가 전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이너도어(210)가 닫힌 채로 급수통(15a) 및 배수통(15b)을 인출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응축수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파티션(413)은 인출홀(415)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5a) is insufficient or the water in the drain tank (15b) is not properly treated during clothing operation, the clothing management in the clothing care machine (1) is processed less efficiently or the clothing is not managed at all.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partition 413 has a draw-out hole 415 to supply water or treat condensate by drawing out the water tank 15a and the drain tank 15b with the inner door 210 closed. It can be include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이너도어(410)가 관리실(11)을 폐쇄하는 경우에 이너도어(410)를 개방하지 않고도, 급수통(15a)에 물을 보충하거나, 배수통(15b) 내의 물을 처리하여 다시 본체(10)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inner door 410 closes the management room 11, water can be replenished in the water tank 15a or water in the water tank 15b can be treated without opening the inner door 410. Thus, it can be inserted back into the main body 10.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기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의류관리기(1)와 달리 도 16의 의류관리기(501)는 연통홀(16)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송풍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lothes care machine including a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6 , unlik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 shown in FIG. 4 ,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501 of FIG. 16 may include a second blower 142 disposed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16 .

이하에서는 상술한 의류관리기(1)의 송풍기(122)는 제1 송풍기(122)로 정의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blower 122 of the above-described clothes care machine 1 may be defined as the first blower 122.

의류관리기(501)는 제1 송풍기(122)를 구동시킴으로써, 관리실(11) 내부의 의류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별도로 제2 송풍기(142)를 구동시킴으로써,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는 의류를 관리실(11)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501 can manage the clothes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by driving the first blower 122, and separately by driving the second blower 142, which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Clothing can be managed separately from the management room (11).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가 네트워크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othing manager communicating with a network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7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 301, 501)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900)가 상호 구축된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단말(100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의류관리기(1, 301, 501)는 외부 서버를 매개체로 하여 사용자단말(1000)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s 1, 301, and 501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and/or a user terminal 1000 on which the network 900 is mutually establish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s an exampl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s 1, 301, and 501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00 using an external server as a medium.

프로세서는 의류관리코스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900)가 구축된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user input regarding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from an external device (eg, an external server on which the network 900 is built and/or the user terminal 1000).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1000)은 의류관리기(1, 301, 501)로부터 아우터도어(22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제어부(152, 도 18 참조)의 제어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메시지에 대응되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1000 is based 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clothing manager 1, 301, 501 inducing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2 (see FIG. 18) depending on whether the outer door 220 is opened. Thus, a visual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can be output.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0)은 수신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고, 이동이 필요한 가압 플레이트(280) 및 송풍기(122, 142)를 구동시키도록 움직이는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0 may output the received message as is, or may display it as moving graphics to drive the pressure plate 280 and blowers 122 and 142 that need to be moved.

또한, 사용자단말(1000)은 사용자로부터 아우터도어(220) 또는 이너도어(21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제어부(152)의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의류관리기(1, 301, 501)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단말(1000)은 의류관리기(1, 301, 501)로부터 알림을 종료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알림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0)은 의류관리기(1, 301, 501)로부터 최종 설정된 모드로 의류관리가 시작된다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000 may receive a control input from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52 depending on whether the outer door 220 or the inner door 210 is opened and transmit the control input to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1, 301, 501). . Afterwards, the user terminal 1000 can receive a command to end the notification from the clothing manager 1, 301, and 501, and end the notificatio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0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 301, and 501 that clothing management begins in the finally set mode.

본 개시에 따르면, 의류관리기(1, 301, 501)의 정보를 사용자단말(10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우터도어(220) 또는 이너도어(21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1, 301, 501)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0), the user can take appropriate a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outer door (220) or the inner door (210) is opened. You can try to get drunk.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부에 대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chart of the control unit of a clothing manage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 및 도 18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와 제2 송풍기(14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와 제2 송풍기(142)를 동시에 구동시켜 수용공간(211) 및 관리실(11) 내부에 동시에 고온의 기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 만을 구동시켜 주로 관리실(11) 내부에 고온의 기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2)는 제2 송풍기(142) 만을 구동시켜 주로 수용공간(211)으로 고온의 기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8 ,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52 may control to drive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er 122 and the second blower 142.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52 may drive the first blower 122 and the second blower 142 at the same time to control the introduction of high-temperature air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and the management room 11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2 can control the first blower 122 to mainly introduce high-temperature airflow into the management room 11 by driving only the first blower 12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2 can control the introduction of high-temperature airflow mainly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by driving only the second blower 142.

의류관리기(501)는 컨트롤패널(250, 도 1 참조) 등 기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류관리에 관한 동작 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010). 제어부(152)는 이너도어(210)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이너도어(210)가 본체(10)를 개방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1020).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501 may receive input, such as a user's clothing management actions, using other input devices such as the control panel 250 (see FIG. 1) (1010). The control unit 152 can identify whether the inner door 210 has opened the main body 10 by using a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whether the inner door 210 is open (1020).

이너도어(210)의 열림(1020의 예)의 경우에는,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1030).In the case of the inner door 210 being opened (example in 1020), the control unit 15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122 to stop (1030).

이너도어(210)의 닫힘(1020의 아니오)의 경우에는, 제어부(152)는 아우터도어(220)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아우터도어(220)의 열림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1040).In the case of the inner door 210 being closed (No in 1020), the control unit 152 can identify whether the outer door 220 is open using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outer door 220 is open (1040) ).

이너도어(210)가 닫힘 상태이며, 아우터도어(220)의 열림(1040의 예)의 경우에는,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를 구동시키고 제2 송풍기(14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1050).When the inner door 210 is closed and the outer door 220 is open (example 1040), the control unit 152 drives the first blower 122 and stops the second blower 142. can be controlled (1050).

이너도어(210)가 닫힘 상태이며, 아우터도어(220)의 닫힘(1040의 아니오)의 경우에는, 제어부(152)는 제1 송풍기(122) 및 제2 송풍기(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1060).When the inner door 210 is closed and the outer door 220 is closed (No in 1040), the control unit 152 can drive the first blower 122 and the second blower 142 ( 106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의류관리기(501)가 동작 중에 있어서, 아우터도어(220)가 개방되더라도, 의류관리기(501) 전체가 동작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제1 송풍기(122)만은 동작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관리기(501)의 관리실(11) 내부의 의류에 대한 관리는 멈추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outer door 220 is opened whil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501 is in operation, the entire clothing management device 501 does not stop operating, but only the first blower 122 can maintain operation. Management of clothing within the management room 11 of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501 can be maintained without stopping.

즉,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는 의류를 수용공간(211)내에서 인출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도, 관리실(11) 내부의 의류관리는 유지된 채로 의류관리기(501)가 동작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나 의류 제어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That is, even when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is withdrawn or replac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211, the clothing management machine 501 can operate while maintaining the clothing management inside the management room 11, so that time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more efficiently in clothing control.

상술한 도면과 달리, 의류지지부재(230)가 파티션(213)에 부착될 수 있고, 가압 플레이트(280) 및 플레이트홈(281) 등의 구성이 아우터도어(220)에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mentioned drawings, the clothing support member 230 may be attached to the partition 213, and components such as a pressure plate 280 and a plate groove 281 may be formed in the outer door 220.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1, 301, 501: 의류관리기
10: 본체
11: 관리실
11a: 제1 기류 유입홀
11b: 제1 기류 배출홀
20: 도어
210: 이너도어
213: 파티션
216a, 416a: 배출구
220: 아우터도어
280: 가압 플레이트
281: 플레이트홈
285: 푸셔
289: 탄성부재
290: 열선
1, 301, 501: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body
11: Management room
11a: First airflow inlet hole
11b: First airflow discharge hole
20: door
210: Inner door
213: Partition
216a, 416a: outlet
220: Outer door
280: Pressure plate
281: Plate groove
285: Pusher
289: Elastic member
290: Heat ray

Claims (20)

관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아우터도어로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일부를 상기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상기 의류지지부재 위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갖는 파티션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office;
a blower provided with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 outer door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clothing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and includes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to support the clothing in the receiving space, wherein the inner door is opened to open the receiving space. An outer door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oor; Including,
The inner door is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room and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partition having a discharge hole provided on the clothing support member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cloth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지지부재는 상기 아우터도어의 상기 이너도어를 마주하는 배면에 장착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othing support member is a clothing care device mounted on the back of the outer door facing the inner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연통홀을 거쳐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body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The clothes care machine wherein the part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너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이너 도어프레임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출홀의 전방에 마련되는 배출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oor protrudes from the partition toward the outer door, an inner door frame forming a border of the inner door, and an exhaust guider provided in front of the discharge hole to guide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ward the clothing. Clothing management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의류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oor is a clothing care machine including a pressure plate provided to press the clothing supported by the clothing support member and a plate groov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inse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홈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pressing plate is provided to be movable from the plate groove toward the outer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inner door includes a pusher that pushes the pressure plate toward the outer do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셔베이스와, 상기 푸셔베이스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푸셔베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푸셔베이스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홈과 이격되어 상기 파티션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푸셔 수용홈과, 상기 연결돌기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In clause 7,
The pusher includes a pusher base disposed behind the pressure plate and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connecting the pressure plate and the pusher base to move the pressure plat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pusher base. do,
The partit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usher base, and includes a pusher receiving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groove and formed by a portion of the partition, and a guide hol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lothing management mach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파티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inner doo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and the partition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ure plate from the partition to the outer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의 상기 플레이트홈을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면에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inner door forms the plate groove of the partition and includes rails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sides facing each other,
The clothing care machine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plate moves toward the outer door along the rai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파티션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열선에 연결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clothes care machine wherein the inner door is connected to a heating wire so that the partition transfers heat to the pressing plat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pressing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팀을 생성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과,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이 상기 이너도어가 닫힌 채로 상기 이너도어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파티션의 하부에 마련되는 인출홀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water tank that supplies water to generate steam, and a water tank that is provided to collect water,
The inner door includes a draw-out hole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water tank and the drain tank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inner door while the inner door is clo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clothing care machin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rives the pressure plate as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It further includes,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drive the blower as the inn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제1 송풍기고,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송풍기와 별도로 제어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4,
The blower is a first blow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bl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first blower to generate an airflow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second blower as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관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파티션과,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의 일부를 상기 의류를 향해 배출하도록 상기 파티션의 상부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도어는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상기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파티션을 향하는 배면에 마련되는 의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office;
a blower provided with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 outer door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ing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and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accommodating space; Including,
The inner door includes a partition provided to separate the management room and the receiving space, and a discharge ho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clothing,
The outer door is a clothing care device that includes a clothing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ide facing the partition to support the cloth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 중 상기 일부를 상기 이너도어 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6,
The clothes care machine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to guide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blower toward the inner door and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hol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의류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홈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7,
The inner door is provided to press the clothing supported by the clothing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pressure plate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and a plate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pressure plate is inserted,
The press plate is provided to be movable from the plate groove toward the outer do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8,
The inner door includes a pusher that pushes the pressure plate toward the outer door.
관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너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관리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시키도록 마련되는 파티션과,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이너도어와 함께 상기 관리실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상기 파티션으로부터 상기 아우터도어를 향해 이동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 main body having a management office;
a blower provided with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n airflow;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 outer door coupled to the inner door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ing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door to open the accommodating space; Including,
The inner door includes a partition provided to partition the management room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uter door closes the management room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to press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partition. A clothing care device that includes a pressurizing plate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outer door.
KR1020220102990A 2022-08-17 2022-08-17 Clothes care apparatus KR2024002468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990A KR20240024689A (en) 2022-08-17 2022-08-17 Clothes care apparatus
PCT/KR2023/008538 WO2024039040A1 (en) 2022-08-17 2023-06-20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990A KR20240024689A (en) 2022-08-17 2022-08-17 Clothes car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689A true KR20240024689A (en) 2024-02-26

Family

ID=8994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990A KR20240024689A (en) 2022-08-17 2022-08-17 Clothes care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4689A (en)
WO (1) WO2024039040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6826A1 (en) * 2006-02-23 2008-10-23 Zarembinski Thomas P Drying cabinet with ventilation system
KR102176158B1 (en) * 2019-07-23 2020-11-09 (주)신우엠테크 Hot wind supplying apparatus for cloths styling and cloths styler having the same
KR20210052920A (en) * 2019-11-01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ing management using moving hanger
KR20210144487A (en) * 2020-05-22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96561A (en) * 2020-12-31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40A1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4567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4B1 (en) Clothes Care Device
KR10220400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EP205731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US20210156071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1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190141286A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JP2019118833A (en) Clothes processing device
KR20190082719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00141302A (en) Iron device,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8274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16065371A (en) Clothes hanger and clothes processing device with same
KR10193929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256235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EP340982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24689A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166170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90068273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10056305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20096561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98910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30123798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2016116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