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650A -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 Google Patents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650A
KR20240024650A KR1020220102898A KR20220102898A KR20240024650A KR 20240024650 A KR20240024650 A KR 20240024650A KR 1020220102898 A KR1020220102898 A KR 1020220102898A KR 20220102898 A KR20220102898 A KR 20220102898A KR 20240024650 A KR20240024650 A KR 2024002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inge
electric
work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욱
최병환
전원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650A/en
Publication of KR2024002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65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를 오르고 내리는 작업자의 추락 재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주 안전 오름을 위한 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놓여져 전주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폴부; 상기 제1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전주와 상기 제1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1 폴부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폴부; 상기 제2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상기 전주와 상기 제2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2 폴부 지지대; 및 일측은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은 작업자와 고정 결합되는 작업자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 system for safely climbing electric poles,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for workers climbing and descending electric poles.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ole part plac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electric pole; A first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or the second pole part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or the second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a worker fixing part fixedly coupled to the worker.

Description

전주 안전 오름을 위한 폴 시스템{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를 오르고 내리는 작업자의 추락 재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주 안전 오름을 위한 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 system for safely climbing electric poles,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for workers climbing and descending electric poles.

전주나 강관주 등에서의 고소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위험이 있다.When working at heights such as on electric poles or steel pipe poles, there is a constant risk of falling accidents occurring due to the worker's carelessness.

이에, 추락방지망 및 추락방지매트 등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결국 작업자의 추락 이후의 부상 확대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추락 위치, 신체 부위에 따라 완벽한 부상 방지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Accordingly, fall prevention nets and fall prevention mats, etc. are used, but these are ultimately intended to prevent the spread of injuries after a worker's fal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injuries depending on the worker's fall location and body part.

또한, 추락방지망은 일반 사다리 없이 작업자가 전주에 오른 이후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추락방지매트의 경우, 에어매트를 설치한 이후에는 일반 사다리를 설치할 공간이 없어져서 전주 오름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ll prevention net must be installed after the worker climbs the pole without a regular ladder, and in the case of fall prevention mats, there is a problem that after installing the air mat, there is no space to install a regular ladder, making it impossible to climb the pole. .

뿐만 아니라, 차량진입이 불가능한 장소라면, 추락방지망과 추락방지매트 제품의 중량 및 부피가 크므로 작업자가 운반 및 설치함에 있어서 반드시 2인 1조의 작업이 필요한 문제도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in places where vehicle entry is impossibl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fall prevention net and fall prevention mat products are large, so a two-person team is required to transport and install them, which greatly reduces work efficiency.

게다가, 경사지에 전주가 위치한 경우 추락방지매트가 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안전장치없이 전주를 오르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된다.In addition, if the pole is located on a slope, the fall prevention mat cannot function properly, making it the same as climbing the pole without a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작업자 1인 단독으로 전주 오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추락 발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e system that allows a single worker to climb a telephone pole and completely prevents falls due to the worker's carelessness.

또한 본 발명은, 운반과 설치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작업의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e system that is simple to transport and install,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and can be used permanently.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놓여져 전주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폴부; 상기 제1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전주와 상기 제1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1 폴부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폴부; 상기 제2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상기 전주와 상기 제2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2 폴부 지지대; 및 일측은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은 작업자와 고정 결합되는 작업자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in which a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lac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telephone pole; A first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or the second pole part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or the second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a worker fixing part fixedly coupled to the wor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이 형성된 사다리; 및 상기 사다리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주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곡면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한 사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dder having a plurality of steps so that a worker can climb up and down.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portion including a fixture disposed at the top of the ladder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상기 제1 폴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의 제1 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o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ole body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first guide groov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pole body.

상기 제2 폴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며,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폴 바디; 및 상기 제2 폴 바디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업자 고정부의 일측에 대한 하방 이동을 폐쇄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le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includes a second pole body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body; And a hinge part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and closing the downward movement of one side of the worker fixing part, wherein the second guide groove is locat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pole body. It can be formed to penetrate both inside and outside.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는 제1 힌지바디; 및 상기 제1 힌지바디와 힌지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폴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힌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바디의 접힘방향은 상기 제2 폴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할 수 있다.The hinge unit includes: a first hinge body disposed in an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and a second hinge body hinge-coupled with the first hinge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on the second pole body, wherein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body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It can be directed upwards.

상기 제2 폴부는,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주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 protrusion that protrudes in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and is dispos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멈춤돌기에 형성된 오목홈에 안착되는 돌기 고정부; 상기 제2 힌지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폴 바디의 외주면보다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고리; 및 상기 제2 힌지바디의 하면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바디에 인접한 일측부터 상기 힌지고리에 인접한 일측까지 연장되는 힌지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fixing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and is seated in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stop protrusion. a hinge ring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body, disposed in an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and a hinge movement guid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body and extending from one side adjacent to the first hinge body to one side adjacent to the hinge ring.

상기 제2 폴부는, 상기 제2 폴부가 상기 제1 폴부에 대해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 폴 바디 내부의 중공에 배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폴 바디가, 상기 제1 폴 바디와 상기 제2 폴 바디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의 위치가 일치되는 특정위치까지 상대이동하면, 상기 각각의 결합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1 폴 바디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device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le portion so that the second pole portion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n elastic elastic member disposed in a hollow inside the second pole body. wealth; And when the second pole body moves relative to a specific position where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ole body and the second pole body coincide, it passes through each coupling hole simultaneously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ole body. 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1 폴부 지지대와 상기 제2 폴부 지지대는,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에 결합되는 폴 결합부; 상기 폴 결합부에 연결되고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리 형태를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는 전주고정벨트;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주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le supporter and the second pole supporter include a pol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pole portion or the second pole portion; A utility pole fixing belt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and the length of the ring shape is adjusted by rotation of the drum. and a rotating member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by rotating the drum.

상기 작업자 고정부는,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볼과 연결되는 아이; 상기 아이에 걸림 결합되는 안전고리; 및 일측은 상기 안전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작업자의 작업복과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er fixing part includes a ball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or the second pole part; An eye formed in a ring shape and connected to the ball; A safety ring that engages the child; And it may include a safety rop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afety r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orker's work cloth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작업자가 전주를 오르면서 작업자 고정부도 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함께 상부로 이동되고, 한번 상부로 이동된 작업자 고정부는 힌지부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작업자 1인 단독으로 전주 오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추락 발생을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orker climbs the telephone pole, the worker fixture is also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pole portion,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worker fixture once moved upward is restricted by the hinge portion. .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one worker to climb the pole alone, and the occurrence of falls due to the worker's carelessness can b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제2 폴부와 제1 폴부가 상대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운반시에는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전주 오름과 동시에 전체 길이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운반과 설치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작업의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econd pole portion and the first pole portio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length can be reduced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overall length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as the worker climbs the pole during work. Therefor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are simple, improving the economics and constructability of the work, and allowing permanent us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포함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os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are only illustrative. It should be understood as giv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사다리부의 구성 및 사다리부가 전주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제1 폴부 지지대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제2 폴부 지지대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폴부와 제2 폴부 지지대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작업자 고정부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힌지부의 각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힌지부의 각 구성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힌지부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제2 폴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3은 제1 폴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폴부 시스템의 설치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각각 제1 폴부와 제2 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 form of a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dder part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in which the ladder part is installed on the telephone pol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pole portion support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form of the second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operator fixture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part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viewed from abov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inge portion.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upling device included in a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pole portion.
Figure 1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ole por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pole system.
Figures 15 and 1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ar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work.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provide a more complete explana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에 포함된 사다리부(110)의 구성 및 사다리부(110)가 전주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에 포함된 제1 폴부 지지대(13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에 포함된 제2 폴부 지지대(15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폴부(140)와 제2 폴부 지지대(150)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에 포함된 작업자 고정부(16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에 포함된 힌지부(143)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 form of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dder unit 110 included in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in which the ladder unit 110 is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pole support 130 included in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le support 150 included in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form of the second pole portion 140 and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operator fixture 160 included in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inge portion 143 included in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은, 제1 폴부(120), 제1 폴부 지지대(130), 제2 폴부(140), 제2 폴부 지지대(150) 및 작업자 고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120, a first pole portion support 130, a second pole portion 140, and a second pole portion support ( 150) and may include an operator fixing unit 160.

제1 폴부(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며, 지면에 놓여져 전주(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first pole portion 120 has a first guide groove 1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laced on the ground and parallel to the electric pole 1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폴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의 제1 폴 바디(121)를 포함하고, 제1 가이드홈(122)은 제1 폴 바디(12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홈(122)은 제1 폴 바디(121)의 내주면을 이루는 내부 중공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1 폴 바디(121)의 외주면과도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le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pole body 121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first guide groove 122 is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pole body 121. is formed to penetrate. That is, the first guide groove 122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hollow form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121.

제1 가이드홈(122)의 폭은, 제1 폴 바디(121)의 내부 중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122)의 폭은, 후술할 작업자 고정부(160)의 볼(161)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이로써, 작업자 고정부(160)의 볼(161)이 제1 폴 바디(121)의 내부 중공에 한번 삽입되면 제1 가이드홈(122)을 통해서는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The width of the first guide groove 1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ernal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groove 1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161 of the operator fixing par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once the ball 161 of the worker fixture 1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it cannot escape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122.

제2 폴부(1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홈(142)이 형성되며, 제1 폴부(1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 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second pole portion 140 has a second guide groove 14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and is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le portion 120. do.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폴부(1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며, 제1 폴 바디(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폴 바디(141)를 포함하고, 제2 가이드홈(142)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가이드홈(142)은 제2 폴 바디(141)의 내주면을 이루는 내부 중공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2 폴 바디(141)의 외주면과도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ole portion 14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includes a second pole body 141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body 121, and a second guide groove 142. )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That is, the second guide groove 142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hollow form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제2 폴 바디(141)는 제1 폴 바디(121)의 내부 중공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폴 바디(141)의 외경이 제1 폴 바디(1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ole body 14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ole body 121 so that the second pole body 141 can move freely in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제2 가이드홈(142)의 폭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142)의 폭은, 후술할 작업자 고정부(160)의 볼(161)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이로써, 작업자 고정부(160)의 볼(161)이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한번 삽입되면 제2 가이드홈(142)을 통해서는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groove 14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ernal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groove 14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161 of the operator fixing par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once the ball 161 of the worker fixture 1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it cannot escape through the second guide groove 142.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제1 폴부(120)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전주(10)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전주(10)와 제1 폴부(120)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한다. 이때,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제1 폴부(120)에 분리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ole portion support 130 is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portion 120 and is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10 to support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10 and the first pole portion 120. . At this time, the first pole portion support 130 may be non-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 폴부 지지대(13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ole suppor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장선기에 유사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The first pole support 130 may operate on a principle similar to a joist machine.

구체적으로,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제1 폴부(120)에 결합되는 폴 결합부(131), 폴 결합부(131)에 연결되고 전주(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1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리 형태를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는 전주고정벨트(132) 및, 전주고정벨트(132)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ole support 130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131,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and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131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whose length forming the ring shape is adjusted by rotation of the drum 133, and a rotating member 134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폴 결합부(131)의 일단은 제1 폴부(120)에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폴 결합부(131)의 타단은 전주고정벨트(132)와 연결될 수 있다. 폴 결합부(131)의 타단은 전주(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적절한 곡면의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ole coupling portion 131 may be non-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The other end of the pole coupling portion 131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The other end of the pole coupl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with an appropriate curved surface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pole 10.

전주고정벨트(132)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드럼(133)에 연결되되, 일측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측은 드럼(13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are connected to the drum 133, and one side is connected in a fixed state and the other sid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rum 133.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32)의 일측은 드럼(133)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32)의 일측은 드럼(133)에 인접하게 별도로 형성된 고정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one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may be fixed to the drum 133. 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one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may be fixed to a fixing pin (not shown) formed separately adjacent to the drum 133.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32)의 타측은 드럼(133)에 설치된 고리에 삽입, 분리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can be detached by inserting and detaching from a ring installed on the drum 133.

드럼(133)이 회전함에 따라 전주고정벨트(132)의 타측이 드럼(13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32)의 타측은 드럼(133)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전주고정벨트(132)는 드럼(133)의 외주면을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다.As the drum 133 rotates,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mov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33.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may be moved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33.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can be moved by sli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33.

드럼(133)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주고정벨트(132)의 고리 반경이 커지고 드럼(133)이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주고정벨트(132)의 고리 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즉, 드럼(133)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전주고정벨트(132)의 고리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한다.When the drum 133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ing radius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increases, and when the drum 133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ing radius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decreases. That is, the drum 133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and the ring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is tightened or loosen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회전부재(134)는 드럼(133)과 연결되며, 드럼(133)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주고정벨트(132)의 고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부재(1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133)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부재(13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13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134)의 회전 중심과 드럼(133)의 중심축은 동축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134 is connected to the drum 133, and the length of the loop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drum 133. When the rotating member 134 rotates clockwise, the drum 133 may also rotate clockwise,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134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drum 133 may also rotate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13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drum 133 may be coaxially coupled.

이처럼, 전주고정벨트(132)는 드럼(133)의 회전으로 고리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되므로 전주(10)를 단단히 장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has the effect of firmly holding the electric pole 10 because the ring is tightened or loosen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133.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제2 폴부(140)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전주(10)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전주(10)와 제2 폴부(140)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한다. 이때,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제2 폴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is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portion 140 and is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10 to support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10 and the second pole portion 140. . At this time,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pole portion 1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2 폴부 지지대(15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le support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장선기에 유사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The second pole support 150 may operate on a principle similar to that of a joist machine.

구체적으로,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제2 폴부(140)에 결합되는 폴 결합부(151), 폴 결합부(151)에 연결되고 전주(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1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리 형태를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는 전주고정벨트(153) 및, 전주고정벨트(153)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pole support 150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pole portion 140, and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whose length forming the ring shape is adjusted by rotation of the drum 154, and a rotating member 155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폴 결합부(151)의 일단은 제2 폴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폴 결합부(151)의 타단은 연결부(152)를 통해 전주고정벨트(153)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2)는 전주(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적절한 곡면의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pole portion 140. The other end of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52. The connection portion 152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with an appropriate curved surface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pole 10.

제2 폴부 지지대(150)의 폴 결합부(151)는 제1 폴부 지지대(130)와는 다르게, 제2 폴부(1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폴 결합부(151)는 비계 고정시 사용되는 걸침고리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Unlike the first pole supporter 130,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of the second pole supporter 150 must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pole portion 140. For example,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may be formed in a form similar to a hanging ring used when fixing scaffolding.

즉, 폴 결합부(151)는 주후크 및 주후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보조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후크의 제1 방향 회동에 의해 주후크가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 제2 폴부(140)가 주후크에 삽입되고 보조후크의 제2 방향 회동에 의해 제2 폴부(140)가 주후크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ole coupling portion 151 may be composed of a main hook and an auxiliary hook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hook. When the main hook is opened to the maximum by rotation of the auxiliary hook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pole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main hook, and the second pole portion 140 is fixed to the main hook by rotation of the auxiliary hook in the second direction. You can.

전주고정벨트(153)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드럼(154)에 연결되되, 일측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측은 드럼(15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are connected to the drum 154, and one side is connected in a fixed state and the other sid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rum 154.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53)의 일측은 드럼(154)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53)의 일측은 드럼(154)에 인접하게 별도로 형성된 고정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one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may be fixed to the drum 154. 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one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may be fixed to a fixing pin (not shown) formed separately adjacent to the drum 154.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53)의 타측은 드럼(154)에 설치된 고리에 삽입, 분리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can be detached by inserting and detaching from a ring installed on the drum 154.

드럼(154)이 회전함에 따라 전주고정벨트(153)의 타측이 드럼(154)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주고정벨트(153)의 타측은 드럼(154)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전주고정벨트(153)는 드럼(154)의 외주면을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다.As the drum 154 rotates,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mov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54.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may be moved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54.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can be moved by sli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54.

드럼(154)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주고정벨트(153)의 고리 반경이 커지고 드럼(154)이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주고정벨트(153)의 고리 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즉, 드럼(154)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전주고정벨트(153)의 고리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한다.When the drum 154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ing radius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increases, and when the drum 154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ing radius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decreases. That is, the drum 154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and the ring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is tightened or loosen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회전부재(155)는 드럼(154)과 연결되며, 드럼(154)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주고정벨트(153)의 고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부재(15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15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부재(15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15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155)의 회전 중심과 드럼(154)의 중심축은 동축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155 is connected to the drum 154, and the length of the loop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drum 154. When the rotating member 155 rotates clockwise, the drum 154 may also rotate clockwise,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155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drum 154 may also rotate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155 and the central axis of the drum 154 may be coaxially coupled.

이처럼, 전주고정벨트(153)는 드럼(154)의 회전으로 고리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되므로 전주(10)를 단단히 장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has the effect of firmly holding the electric pole 10 because the ring is tightened or loosen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154.

상술한 제1 폴부 지지대(130)와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제1 폴부(120)와 제2 폴부(140)를 전주(1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킴과 동시에 제1 폴부(120)와 제2 폴부(140)가 전주(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pole support 130 and the second pole support 150 space the first pole 120 and the second pole 140 from the electric pole 10 at a certain interval,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pole 120 and the second pole portion 140 can be arranged and fixed in parallel with the electric pole 10.

제1 폴부 지지대(130)와 제2 폴부 지지대(150)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ole supporter 130 and the second pole supporter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일측이 제1 폴부(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20)에 의해 전주고정벨트(132)가 전주(10)에 설치된다. 작업 초기에는 제2 폴부(140)가 제1 폴부(1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설치될 수 없다 While one side of the first pole supporter 130 is fixed 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32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10 by the worker 20.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since the second pole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cannot be installed.

작업자(20)가 전주(10)를 오르면서 제2 폴부(140)가 제1 폴부(120)를 빠져나와 상승하기 시작하면, 작업자(20)는 제2 폴부 지지대(150)의 폴 결합부(151)를 제2 폴부(140)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2 폴부 지지대(150)의 전주고정벨트(153)를 전주(10)에 설치할 수 있다. 제2 폴부 지지대(150)는 작업자(20)가 전주(10)를 오름에 따라 작업자(20)가 지정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When the worker 20 climbs the telephone pole 10 and the second pole part 140 exits the first pole part 120 and begins to rise, the worker 20 moves the pol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pole support 150 ( 151) can be installed on the second pole portion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153 of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can b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10. The second pole support 150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designated by the worker 20 as the worker 20 climbs the electric pole 10.

작업자 고정부(160)는, 일측이 제1 폴부(120) 또는 제2 폴부(140)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홈(122) 또는 제2 가이드홈(142)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이 작업자(20)와 고정 결합된다.The worker fixing part 160 has one side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120 or the second pole part 140 and mov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22 or the second guide groove 142,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120 or the second pole part 140. 20) and is fixedly combin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며, 작업자 고정부(160)는, 제1 폴부(120) 또는 제2 폴부(1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ball)(161), 링(ring) 형태로 형성되며 볼(161)과 연결되는 아이(eye)(162), 아이(162)에 걸림 결합되는 안전고리(163) 및, 안전로프(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worker fixing part 160 is in the form of a ball 161 or a ring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120 or the second pole part 1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ye 162 connected to the ball 161, a safety ring 163 engaged with the eye 162, and a safety rope 164.

볼(161)의 지름은 제1 가이드홈(122)과 제2 가이드홈(142)의 폭 보다는 크되, 제2 폴 바디(141)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The diameter of the ball 16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groove 1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42, bu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ole body 141.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홈(122) 및 제2 가이드홈(142)보다 폭이 넓은(볼(161)의 지름보다 넓은)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제1 가이드홈(122)과 제2 가이드홈(142)이 시작되는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20)가 지면에 선 상태에서 볼(161)을 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an insertion groov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161) is wider than the first guide groove 1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42 ( (not shown) may be formed. The insertion groove can be placed at the bottom where the first guide groove 1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42 begin, and is appropriately inserted so that the worker 20 can easily insert the ball 161 while standing on the ground. Can be placed at any height.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볼(161)이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ball 161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볼(161)과 아이(162)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제1 가이드홈(122)과 제2 가이드홈(142)을 따라 이동된다. 즉, 작업자(20)가 전주를 오름에 따라 볼(161)도 제1 폴 바디(121) 및/또는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을 따라 상승한다.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all 161 and the eye 162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42. That is, as the worker 20 climbs the telephone pole, the ball 161 also ris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or the second pole body 141.

전주 오름 작업의 초반에는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볼(161)은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작업자(20)가 전주를 올라가면서 제2 폴 바디(141)는 제1 폴 바디(121)에서 빠져나와 상승하게 되고, 작업자(20)의 이동과 함께 상승된 볼(161) 또한 제1 폴 바디(121)와 분리된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만 삽입된 상태가 된다.At the beginning of the Jeonju climbing operation, the second pole body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body 121, so the ball 161 is in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It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the worker 20 climbs the telephone pole, the second pole body 141 escapes from the first pole body 121 and rises, and the ball 161, which is rais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worker 20, also moves to the first pole body. It is inserted only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which is separated from (121).

안전고리(163)는 후크부와 래치부로 구성되며, 래치부는 후크부에 대해 피봇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부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일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부를 폐쇄할 수 있다. The safety ring 163 consists of a hook portion and a latch portion, and the latch portion is pivotably coupled to the hook portion. The latch unit may rotate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hook unit and may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to close the hook unit.

즉, 래치부가 후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아이(162)에 후크부가 걸림 결합된 이후 래치부가 후크부를 폐쇄하면 아이(162)와 안전고리(163)의 결합이 완료된다.That is, when the hook part is engaged with the eye 162 while the latch part opens the hook part, and then the latch part closes the hook part, the coupling of the eye 162 and the safety ring 163 is completed.

안전고리(163)의 후크부는 안전로프(164)에 고정된다.The hook portion of the safety ring 163 is fixed to the safety rope 164.

즉, 안전로프(164)의 일측은 안전고리(163)에 연결되고 타측은 작업자(20)의 작업복과 연결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안전로프(164)의 타측은 작업자(20)의 허리벨트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safety rope 164 is connected to the safety ring 16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work clothes of the worker 20.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rope 164 may be connected to the waist belt of the worker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100)은, 사다리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portion 110.

도 2를 참조하면 사다리부(110)는, 작업자(20)가 탑승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이 형성된 사다리(111) 및, 사다리(111)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주(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곡면이 형성된 사다리 고정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adder unit 11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ladder 111 and the ladder 111 with a plurality of steps so that the worker 20 can climb up and down, and the telephone pole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adder fixture 112 with a curved surfac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주(10)의 외주면 일부가 사다리 고정대(112)에 끼워지면 사다리(111)가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ladder 111 can be fixed to the electric pole 10 whe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0 is inserted into the ladder fixture 112.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가장 가까운(최하단) 위치에 배치된 제1 폴부 지지대(130)는 사다리(111)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pole support 130 dispos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ground (lowest e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top of the ladder 111.

전주 오름 작업의 순서를 살펴보면, 작업자(20)는 사다리(111)를 전주에 먼저 설치해 놓고, 사다리(111)를 오르기 전에 최하단의 제1 폴부 지지대(130)를 전주에 결합한다. Looking at the sequence of the electric pole climbing operation, the worker 20 first installs the ladder 111 on the electric pole, and couples the first pole support 130 at the lowest stage to the electric pole before climbing the ladder 111.

이후, 사다리(111)를 오르면서 작업자 고정부(160)의 볼(161)을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삽입시킨다. Thereafter, while climbing the ladder 111, the ball 161 of the worker fixture 1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사다리(111)의 최상단부터는 작업자(20)가 전주를 오르면서 나머지 제1 폴부 지지대(130)를 순차적으로 전주에 결합한다. From the top of the ladder 111, the worker 20 climbs the electric pole and sequentially couples the remaining first pole supports 130 to the electric pole.

작업자(20)가 제1 폴 바디(121)의 상단에 이르면, 작업자(20)가 전주(10)를 오름에 따라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로부터 빠져나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폴 시스템(10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는데, 작업자(20)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제2 폴부 지지대(150)를 제2 폴부(140)와 전주에 결합시킨다.When the worker 20 reaches the top of the first pole body 121, the second pole body 141 comes out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slides as the worker 20 climbs the electric pole 10. While doing this,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system 100 is extended, and the worker 20 couples the second pole portion support 150 to the second pole portion 140 and the electric pole at an appropriate interval.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20)가 전주(10)를 오름에 따라 볼(161)도 함께 상승한다. 이때, 작업자(2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승한 볼(161)의 하부 이동이 제한되어야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s the worker 20 climbs the electric pole 10, the ball 161 also rises.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orker 20 from fall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aised ball 161 must be restricted.

이를 위해, 제2 폴 바디(141)는, 제2 폴 바디(141)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작업자 고정부(160)의 일측에 대한 하방 이동을 폐쇄하는 힌지부(143)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cond pole body 141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has a hinge portion 143 that closes the downward movement on one side of the operator fixing portion 160. ) further includes.

도 8은 힌지부(143)의 각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힌지부(143)의 각 구성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힌지부(143)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143 viewed from abov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143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inge portion 143.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힌지부(143)는,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는 제1 힌지바디(1431) 및 제1 힌지바디(1431)와 힌지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2 폴 바디(141)에 배치되는 제2 힌지바디(14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hinge portion 143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body 1431 and the first hinge body 1431 dispos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has at least A portion includes a second hinge body 1432 disposed on the second pole body 141.

제1 힌지바디(1431)는 도 8과 같이 사각 평판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일부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된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제1 힌지바디(1431)의 전체 면은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힌지바디(1431)는 제2 폴 바디(14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제1 힌지바디(1431)는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hinge body 1431 may have a square plate shape as shown in FIG. 8. Alternatively, it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with curved surfaces formed at some corners, as shown in FIG. 9 .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may be exposed to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In other words, the first hinge body 1431 is not supported by the second pole body 141. To explain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first hinge body 1431 is arranged to partially close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제2 힌지바디(1432)의 일부 면은 제2 폴 바디(141)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폴 바디(141)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힌지바디(1432)의 일부분은 반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Some surfaces of the second hinge body 1432 are supported by the second pole body 141. A portion of the second hinge body 1432 supported by the second pole body 141 may have a half-moon shape.

제1 힌지바디(1431)의 접힘방향은 제2 폴 바디(14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힌지부(143)의 접힘방향은 제1 힌지바디(1431)의 상면과 제2 힌지바디(1432)의 상면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성된다.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is configured to face upwar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141. That is,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hinge portion 143 is configur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body 1432 approach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볼(161)이 힌지부(143)를 지나갈 때 제1 힌지바디(1431)의 하면과 볼(161)이 접촉되면 제1 힌지바디(1431)가 상측으로 접히면서 제1 힌지바디(1431)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었던 제2 폴 바디(141)의 중공이 개방된다. 즉, 볼(161)은 제1 힌지바디(143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면서 힌지부(143)를 통과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all 161 passes through the hinge portion 143 and the ball 161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the first hinge body 1431 is folded upward and the first hinge The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which was partially closed by the body 1431, is opened. That is, the ball 161 may pass through the hinge portion 143 while pushing the first hinge body 1431 upward.

이때, 제1 힌지바디(1431)의 접힘방향은 상측 방향에 한정되므로, 한번 힌지부(143)를 통과한 볼(161)은 제1 힌지바디(1431)의 상면에 가로막혀 하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is limited to the upward direction, the ball 161, once passing through the hinge portion 143, is block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and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is is limited.

힌지부(143)는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14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업자(20)의 부주의에 의해 전주에서 떨어지게 되어도, 볼(161)의 하강이 힌지부(143)에 의해 제한되는 한, 작업자(20)는 지상으로 추락하지 않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worker 20 falls from the telephone pole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worker 20, the worker 20 does not fall to the ground as long as the descent of the ball 161 is limited by the hinge portion 143,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work. There is an improving effect.

한편, 제2 폴부(140)는, 제2 폴 바디(141)의 내주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ole portion 140 may further include a stop protrusion 144 that protrudes in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멈춤돌기(144)는 제1 힌지바디(143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멈춤돌기(144)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각 멈춤돌기(144)는 제1 힌지바디(1431)의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멈춤돌기(144)는 제2 가이드홈(14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stop protrusion 144 is arrang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A plurality of stop protrusions 144 may be provided. Each stop protrusion 144 may be spaced apart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The stop protrusion 14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groove 142.

이러한 구성을 통해, 멈춤돌기(144)는 제1 힌지바디(1431)에 대한 스토퍼(stopper)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 힌지바디(1431)가 떨어지는 볼(161)에 의한 충격을 받더라도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완전히 제한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top protrusion 144 can function as a stopper for the first hinge body 1431. That is, even if the first hinge body 1431 receives an impact from the falling ball 161, downward movement may be completely restricted.

힌지부(143)는, 제1 힌지바디(143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고정부(1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143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ixing portion 1435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돌기 고정부(1435)는 멈춤돌기(144)에 형성되는 오목홈(1441)에 안착될 수 있다. 돌기 고정부(1435)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 고정부(143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sion fixing part 1435 may be seated in the concave groove 1441 formed on the stop protrusion 144. The protrusion fixing part 1435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A plurality of protrusion fixing units 1435 may be provided.

한편, 멈춤돌기(144)에 형성된 오목홈(1441)은 돌기 고정부(1435)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concave groove 1441 formed in the stop protrusion 14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ixing portion 1435.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힌지바디(1431)와 멈춤돌기(144)간의 결합이 더 견고하게 되고 제1 힌지바디(1431)의 지지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inge body 1431 and the stop protrusion 144 can be made more solid and the support effect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can be maximized.

힌지부(143)는, 제2 힌지바디(1432)와 연결되고, 제1 폴 바디(121)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는 힌지고리(1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1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body 1432 and may further include a hinge ring 1434 dispos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121.

힌지고리(1434)는 제2 폴 바디(141)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힌지고리(1434)는, 제2 폴 바디(141)의 외주면과 제1 폴 바디(121)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ring 1434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That is, the hinge ring 143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121.

제1 폴 바디(121)에는, 힌지고리(1434)가 배치되는 힌지고리 삽입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고리 삽입부(123)는 제1 폴 바디(121)와 연결되면서 제1 폴 바디(121)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hinge ring insertion portion 123 in which a hinge ring 1434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le body 121. The hinge ring insertion portion 1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le body 121 and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pole body 121 .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고리(1434)는 노출되지 않다가,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 대해 상대이동하여 빠져나오는 경우에는 힌지고리(1434)가 노출된다.When the second pole body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body 121, the hinge ring 1434 is not exposed, and then the second pole body 141 moves relative to the first pole body 121. When it comes out, the hinge ring 1434 is exposed.

한편, 제2 폴 바디(141)의 반경 방향에는 힌지부(143)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을 통해 힌지부(143)가 삽입, 인출될 수 있다. 작업자(20)는 외측으로 노출된 힌지고리(1434)를 제2 폴 바디(14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잡아당겨 힌지부(143)를 제2 폴 바디(14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a groove into which the hinge portion 14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the hinge portion 143 can be inserted and extracted through the groove. The worker 20 may remove the hinge portion 143 from the second pole body 141 by pulling the hinge ring 1434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141 .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업자(20)는 작업을 마친 후 전주(10)를 내려오는 동시에 볼(161)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힌지부(143)를 하나씩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orker 20 can remove the hinge portions 143 that limit the lower movement of the ball 161 one by one while lowering the electric pole 10 after completing the work.

힌지부(143)는, 제2 힌지바디(1432)의 하면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힌지바디(1431)에 인접한 일측부터 힌지고리(1434)에 인접한 일측까지 연장되는 힌지이동가이드(1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143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body 1432 and includes a hinge movement guide ( 1436) may be further included.

힌지이동가이드(1436)는 힌지부(143)의 삽입,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힌지이동가이드(1436)는 대략 제2 힌지바디(1432)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movement guide 1436 is arranged parallel to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 of the hinge portion 143. The hinge movement guide 1436 may be form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inge body 1432.

제2 폴 바디(141)에는 힌지이동가이드(1436)의 이동경로에 배치되며, 힌지이동가이드(1436)와 대응하는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The second pole body 141 is dispos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hinge movement guide 1436, and a protrusio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movement guide 1436 is form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힌지부(143)가 제2 폴 바디(141)로부터 제거될 때 힌지이동가이드(1436)를 따라 이동하므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inge portion 143 is removed from the second pole body 141, it moves along the hinge movement guide 1436 and can be easily rem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에 포함된 결합장치(145)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device 145 included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폴부(140)는, 제2 폴부(140)가 제1 폴부(120)에 대해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장치(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le portion 14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device 145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le portion 140 so that it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first pole portion 120 .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서 어느 정도 상부로 빠져나온 이후에는 작업을 위해 제2 폴 바디(141)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결합장치(145)는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fter the second pole body 141 exits the first pole body 121 to a certain extent, the second pole body 141 must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up and down for work. The coupling device 145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le body 141 so that it does not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pole body 121.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장치(145)는, 탄성부(1451)와 돌출부(1452)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device 145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portion 1451 and a protrusion 1452.

탄성부(1451)는, 제2 폴 바디(141) 내부의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폴 바디(141)의 내부 중공에서 탄성부(1451)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1451)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1451 may be disposed in a hollow inside the second pole body 141. The elastic portion 1451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in the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141. 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 1451 may be a spring member.

돌출부(1452)는,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124,146)의 위치가 일치되는 특정위치에서, 각각의 결합홀(124,146)을 동시에 통과하여 제1 폴 바디(121)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1452)는 탄성부(1451)의 일측 단부와 결합된다.The protrusion 1452 passes through the respective coupling holes 124 and 146 at the same time at a specific position where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s 124 and 146 formed in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are aligned. 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body 121 protrudes outward. The protrusion 145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1451.

제2 폴 바디(141)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제1 폴 바디(121)의 결합홀(124)과 제2 폴 바디(141)의 결합홀(146)의 위치가 일치되면, 탄성부(1451)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부(1452)는 결합홀(124,146)을 통과하여 제1 폴 바디(121)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된다.When the second pole body 141 moves upward and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 124 of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coupling hole 146 of the second pole body 141 match, the elastic portion 1451 Due to the restoring force, the protrusion 1452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s 124 and 146 and protrudes ou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121.

이러한 돌출부(1452) 구성을 통해, 제2 폴 바디(141)는 상하 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즉,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는 고정되며,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1452, the second pole body 141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are fixed and work can be performed stably.

도 12는 제2 폴부(140)의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pole unit 140.

제2 폴부(140)는, 절연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148)는 제2 가이드홈(142)을 제외한 제2 폴 바디(14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절연부(148)는 제2 폴부(14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절연부(148)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ole portion 14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ortion 148. The insulating portion 148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141 excluding the second guide groove 142. The insulating part 148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le part 140. The insulating portion 148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이러한 구성으로, 제2 폴부(140)가 가압된 전선로와 접근하여도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second pole unit 140 approaches a pressurized electric wire.

도 13은 제1 폴부(120)의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ole unit 120.

제1 폴부(120)는, 제1 폴 바디(121)의 하측단부에 결합되는 지면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면지지부(125)는 제1 폴 바디(12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지면지지부(125)는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면지지부(125)는 다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The first pole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support portion 125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e body 121. The ground support portion 125 is made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pole body 121. For example, the ground support 125 may be circula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ground support portion 125 may have a polygonal shape.

이러한 구성으로, 제1 폴 바디(121)의 지면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pole body 121 can be easily fixed to the ground.

도 15와 도 16은 각각 제1 폴부(120)와 제2 폴부(1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5 and 1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ole portion 120 and the second pole portion 140, respectively.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폴 바디(121)와 제2 폴 바디(141)에는 각각 폴 이동가이드(121a,141a)가 형성될 수 있다. 폴 이동가이드(121a,141a)는 제2 폴 바디(141)가 제1 폴 바디(121)에 대해 상대이동함에 있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pole movement guides 121a and 141a may be formed on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second pole body 141, respectively. The pole movement guides 121a and 141a may serve to prevent the second pole body 141 from rotating when moving relative to the first pole body 121.

제1 폴 바디(121)에 형성된 폴 이동가이드(121a)는 제1 폴 바디(1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되, 제2 폴 바디(141)에 형성된 폴 이동가이드(14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홈이 형성된다.The pole movement guide 121a formed on the first pole body 121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pole body 121, and the pole movement guide 141a formed on the second pole body 141 is inserted. A mov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is can be done.

제2 폴 바디(141)에 형성된 폴 이동가이드(141a)는 제2 폴 바디(14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되, 제1 폴 바디(121)에 형성된 상기 이동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pole movement guide 141a formed on the second pole body 141 has a shape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second pole body 14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movement groove formed on the first pole body 121.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groove.

도 16을 참조하면, 힌지부(143)의 힌지고리(1434)는 접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고리(1434)는 제1 힌지바디(1431)의 접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힌지고리(1434)는 하측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hinge ring 1434 of the hinge portion 143 may be provided to be foldable. More specifically, the hinge ring 1434 may be provided to be fold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body 1431. That is, the hinge ring 1434 can be fol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폴 바디(141)의 이동시 힌지고리(1434)가 제1 폴 바디(121)의 내주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폴 바디(141)의 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작업자(20)는, 전주(10)를 내려오면서 힌지고리(1434)를 펼친 후 힌지부(143)를 제2 폴 바디(14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inge ring 143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hitt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121 when the second pole body 141 moves,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pole body 141 can be further improved. It can be done easily. The worker 20 may unfold the hinge ring 1434 while coming down the telephone pole 10 and then withdraw the hinge portion 143 from the second pole body 141.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작업자가 전주를 오르면서 작업자 고정부도 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함께 상부로 이동되고, 한번 상부로 이동된 작업자 고정부는 힌지부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작업자 1인 단독으로 전주 오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추락 발생을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orker climbs the telephone pole, the worker fixing part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pole part, and the worker fixing part once moved to the upper part is moved by the hinge part. Lower movement is limited.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one worker to climb the pole alone, and the occurrence of falls due to the worker's carelessness can b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시스템은, 제2 폴부와 제1 폴부가 상대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운반시에는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전주 오름과 동시에 전체 길이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운반과 설치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작업의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econd pole portion and the first pole portio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length can be reduced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overall length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as the worker climbs the pole during work. Therefor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are simple, improving the economics and constructability of the work, and allowing permanent use.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Meanwhi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se descriptions. do.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폴 시스템
110: 사다리부
111: 사다리
112: 사다리 고정대
120: 제1 폴부
121: 제1 폴 바디
121a: 폴 이동가이드
122: 제1 가이드홈
123: 힌지고리 삽입부
124: 결합홀
125: 지면지지부
130: 제1 폴부 지지대
131: 폴 결합부
132: 전주고정벨트
133: 드럼
134: 회전부재
140: 제2 폴부
141: 제2 폴 바디
141a: 폴 이동가이드
142: 제2 가이드홈
143: 힌지부
1431: 제1 힌지바디
1432: 제2 힌지바디
1433: 힌지결합부
1434: 힌지고리
1435: 돌기 고정부
1436: 힌지이동가이드
144: 멈춤돌기
1441: 오목홈
145: 결합장치
1451: 탄성부
1452: 돌출부
146: 결합홀
148: 절연부
150: 제2 폴부 지지대
151: 폴 결합부
152: 연결부
153: 전주고정벨트
154: 드럼
155: 회전부재
160: 작업자 고정부
161: 볼
162: 아이
163: 안전고리
164: 안전로프
100: pole system
110: Ladder part
111: ladder
112: Ladder fixture
120: 1st pole part
121: 1st pole body
121a: Pole movement guide
122: 1st guide groove
123: Hinge ring insertion part
124: coupling hole
125: Ground support
130: First pole supporter
131: Pole joint
132: Jeonju fixed belt
133: drum
134: Rotating member
140: 2nd pole part
141: 2nd pole body
141a: Pole movement guide
142: Second guide groove
143: Hinge part
1431: First hinge body
1432: Second hinge body
1433: Hinge joint
1434: Hinge ring
1435: Protrusion fixing part
1436: Hinge movement guide
144: Stop projection
1441: Concave groove
145: Coupling device
1451: elastic part
1452: protrusion
146: coupling hole
148: insulation part
150: 2nd pole supporter
151: Pole joint
152: connection part
153: Jeonju fixed belt
154: drum
155: Rotating member
160: worker fixture
161: ball
162: child
163: Safety ring
164: Safety rope

Claims (10)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놓여져 전주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폴부;
상기 제1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전주와 상기 제1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1 폴부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폴부;
상기 제2 폴부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상기 전주와 상기 제2 폴부의 나란한 배치 상태를 지지하는 제2 폴부 지지대; 및
일측은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은 작업자와 고정 결합되는 작업자 고정부;를 포함하는,
폴 시스템
A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pole portion is plac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electric pole;
A first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le portion.
A second po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portion and coupled to surround the electric pole to support a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art or the second pole part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or the second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a worker fixing part fixedly coupled to the worker.
po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탑승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이 형성된 사다리; 및
상기 사다리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주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곡면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한 사다리부;
를 더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ladder with a plurality of steps for workers to climb up and down; and
A ladder portion including a fixture disposed at the top of the ladder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Containing more,
po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의 제1 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pole portion,
It includes a first pole body in the form of a cylinder with a hollow interior,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pole body,
Pol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며,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폴 바디; 및
상기 제2 폴 바디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업자 고정부의 일측에 대한 하방 이동을 폐쇄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cond pole portion,
a second pole body tha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body; and
It includes a hinge portion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and closing the downward movement of one side of the worker fixing portion,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pole body,
Pol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는 제1 힌지바디; 및
상기 제1 힌지바디와 힌지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폴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힌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바디의 접힘방향은 상기 제2 폴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hinge part is,
a first hinge body disposed in an inner hollow of the second pole body; and
A second hinge body is hinge-coupled with the first hinge bod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inge body is disposed on the second pole body,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body is upwar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body,
Pole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부는,
상기 제2 폴 바디의 내주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pole portion,
A stop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and is arrang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Pol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멈춤돌기에 형성된 오목홈에 안착되는 돌기 고정부;
상기 제2 힌지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폴 바디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폴 바디의 외주면보다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고리; 및
상기 제2 힌지바디의 하면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바디에 인접한 일측부터 상기 힌지고리에 인접한 일측까지 연장되는 힌지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hinge part is,
a protrusion fixing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ody and is seated in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stop protrusion;
a hinge ring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body, disposed in an inner hollow of the first pole body,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body; and
A hinge movement guid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body and extending from one side adjacent to the first hinge body to one side adjacent to the hinge ring; further comprising a.
Pol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부는,
상기 제2 폴부가 상기 제1 폴부에 대해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 폴 바디 내부의 중공에 배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폴 바디가, 상기 제1 폴 바디와 상기 제2 폴 바디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의 위치가 일치되는 특정위치까지 상대이동하면, 상기 각각의 결합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1 폴 바디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4,
The second pole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device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le portion so that it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first pole portion,
The coupling device is,
an elastic portion disposed in a hollow inside the second pole body; and
When the second pole body moves relative to a specific position where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pole body and the second pole body coincide, it passes through the respective coupling holes simultaneously and reach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e body. Containing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po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부 지지대와 상기 제2 폴부 지지대는,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에 결합되는 폴 결합부;
상기 폴 결합부에 연결되고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리 형태를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는 전주고정벨트;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주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pole supporter and the second pole supporter are:
A pol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pole portion or the second pole portion;
A utility pole fixing belt is connected to the pole coupling portion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and the length of the ring shape is adjusted by rotation of the drum. and
Including a rotating member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electric pole fixing belt by rotating the drum.
Po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고정부는,
상기 제1 폴부 또는 상기 제2 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볼과 연결되는 아이;
상기 아이에 걸림 결합되는 안전고리; 및
일측은 상기 안전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작업자의 작업복과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orker fixing part,
a ball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portion or the second pole portion;
An eye formed in a ring shape and connected to the ball;
A safety ring that engages the child;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afety ring and the other side is a safety rope connected to the worker's work clothes,
Pole system.
KR1020220102898A 2022-08-17 2022-08-17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KR202400246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898A KR20240024650A (en) 2022-08-17 2022-08-17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898A KR20240024650A (en) 2022-08-17 2022-08-17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650A true KR20240024650A (en) 2024-02-26

Family

ID=9005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898A KR20240024650A (en) 2022-08-17 2022-08-17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6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3641B2 (en) Fall prevention method using wind-up fall prevention device and harness type safety belt used therefor
US6776259B1 (en) Adjustable safety cable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JP6211460B2 (en) Elevator car
KR102532648B1 (en) Horizontal fall prevention device
US10004926B2 (en) Remote overhead anchor
KR101205611B1 (en) A safety net for electric pole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KR101749054B1 (en) Ladder For Preventing A Falling Accident
KR101242145B1 (en) one touch emergency escape device for railway vehicle
KR102330522B1 (en) Automatic detachable safety hook and fall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40024650A (en) Pole system for safe climbing of electric pole
CN104603375B (en) Telescopic attic ladder
US20070209870A1 (en) Access and escape devices
KR20210041451A (en) Safety belt preventing fall from electric pole
KR101562227B1 (en) Multifunctional manhole safety apparatus for safe enter and pedestrian fall protection
KR200469344Y1 (en) Folding type table leg with safety guide
JP7177707B2 (en) safety ladder
KR101213125B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 in Vetical Hole
KR200476858Y1 (en) safety moving spparatus of ladder
KR20210004094A (en) Rope hold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high place worker and fall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814596B2 (en) Lifting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KR101105685B1 (en) Descending device for fire escape
KR200376595Y1 (en) Safety apparatus of ladder
KR200475244Y1 (en) safety moving spparatus of lad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