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930A -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930A
KR20240023930A KR1020220102246A KR20220102246A KR20240023930A KR 20240023930 A KR20240023930 A KR 20240023930A KR 1020220102246 A KR1020220102246 A KR 1020220102246A KR 20220102246 A KR20220102246 A KR 20220102246A KR 20240023930 A KR20240023930 A KR 20240023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nit
shape
probe devic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930A/en
Publication of KR2024002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93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분할식 코일유닛을 포함한다.Th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formed to be flexible and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rranged in a preset pattern and fixed to the base unit, and receiving power and receiving a magnetic fiel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 coil units that generate.

Description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 자극 방식으르 가지는 의료용 프로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된 형태로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유닛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닛의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프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probe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stimula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dical probe device that includes a base unit equipped with a coil unit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a divided form, and whose shape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body. It is about a probe device.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의 향상에 따라 비만은 주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고도비만 등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방분해 시술 등과 같은 의료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in modern society, obesity is emerging as a major social problem, and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lipolysis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severe obesity are also advancing rapidly.

다만, 지방분해 시술 등은 환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므로 환자가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시술 시 어느 정도의 위험 부담이 존재한다.However, lipolysis procedures cause direct damage to the patient's body, so the patient feels severe pain, and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risk during the procedure.

따라서 이와 같은 지방분해 시술의 단점을 보완하고, 의사 및 환자의 치료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자기장 방식의 자극을 이용한 치료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such lipolysis procedures and maximize treatment convenience for doctors and patients, treatment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are being developed.

이와 같은 전자기장 방식을 활용한 치료장치는 환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자기장을 흘려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증이 느껴지지 않으며 사용방법이 매우 간편하여 의사 및 환자 모두에게 환영받고 있다.A treatment device using this type of electromagnetic field is used to relieve pain or decompose fat by flowing a magnetic field to a specific part of the patient's body. It does not cause pain and is very easy to use, making it easy for doctors and patients to use. Welcomed by everyone.

다만, 종래의 전자기장 방식을 활용한 치료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영역이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굴곡이 다수 존재하는 인체의 특성 상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treatment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field metho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made of hard plastic material, so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treatment by widening the contact area due to the nature of the human body, which has many curves. There is.

즉 종래의 전자기장 방식을 활용한 치료장치는 생체 적합성 및 인간공학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제작된 것이 대부분으로, 의사와 환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In other words, most treatment devices using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field methods are manufactured without considering biocompatibility and ergonomic factors,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to doctors and patient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1424506호Korean Patent No. 10-14245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굴곡이 많은 인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 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사 및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프로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which has many curves, the contact area with the treatment area can be max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discomfort felt by doctors and pati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probe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일 형태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분할식 코일유닛을 포함한다.One form of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se unit formed to be flexible and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rranged in a preset pattern on the base unit. It is fix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 coil units that receive power and generate a magnetic field.

이때 상기 분할식 코일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lit coil units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ase unit to form one coil assembly.

또한 상기 코일집합체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il assemblies may be provided in the base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nd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s formed to surround an arbitrary body part of the user to secure the base unit to the user's body.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band has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a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capable of selectively fasten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It may include a second band portion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다른 형태는, 기 설정된 단위면적을 가지며, 서로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분할식 코일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members that have a preset unit area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axis and capable of mutual angle adjustment. It includes a base unit and a plurality of split coil units that are arranged and fixed to the base unit in a preset pattern and receive power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이때 상기 분할식 코일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lit coil units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ase unit to form one coil assembly.

또한 하나의 코일집합체는 하나의 단위부재에 1:1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one coil assembly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1:1 to one unit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nd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s formed to surround an arbitrary body part of the user to secure the base unit to the user's body.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band has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a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capable of selectively fasten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It may include a second band portion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는,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유닛이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분할식 코일유닛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닛의 형상을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가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부위에 유연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고, 통증 완화 또는 지방분해 등의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oil unit that receives power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such divided coil units are provided. By allowing the shape of the base unit to be freely variable by external force,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y allowing it to flexibly adhere to the patient's body parts and greatly improving effects such as pain relief or fat decomposition.

특히 최근 의료기기 시장은 세계시장 약 410조원, 국내시장 약 10조원으로 단일 품목으로 세계적을 가장 큰 시장 중의 하나로, 본 발명은 현재 외산 제품이 장악하고 있는 의료 분야에서 향후 세계시장 진출을 꾀할 수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는 외산 제품을 대체하는 대체 품목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recent medical device market is one of the largest markets in the world for a single item, with a global market size of approximately 410 trillion won and a domestic market of approximately 10 trillion won. This invention can seek to enter the global market in the future in the medical field, which is currently dominated by foreign products.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to foreign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재활과, 신경과, 통증의학과 또는 성형외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본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용이 가능하여,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utilize the main body currently used in rehabilitation departments, neurology, pain medicine, or plastic surgery, etc.,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형상을 가변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형상을 가변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unit being varied in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unit being varied in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유닛(100)의 형상을 가변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unit 100 being vari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는 베이스유닛(100), 분할식 코일유닛(200) 및 고정밴드(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 variable prob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0, a split coil unit 200, and a fixing band 300. Includes.

베이스유닛(100)은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유닛(100)의 형상 가변 방식은 제한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base unit 100 is formed to have a preset area, and its shape is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At this time,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base unit 100 without limitation.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100)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벤딩됨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해 베이스유닛(100)은 고무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섬유와 같이 굽힘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unit 100 is formed to be flexible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changing its shape as it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To this end, the base unit 1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bendable material such as fiber.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이와 같은 베이스유닛(100)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치료 대상인 환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된 상태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함에 따라 통증 완화 또는 지방분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split coil unit 200 is arranged and fixed in a preset pattern to the base unit 100,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whil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being treated. To achieve effects such as relief or fat decomposition.

본 실시예에서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강력한 전기의 흐름을 단속시켜서 100-200msec 정도 지속되는 지구 자기장의 60,000배 이상에 해당하는, 약 3Tesla 이상의 자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lit coil unit 200 can generate a magnetic field of about 3 Tesla or more, which is more than 60,000 times the Earth's magnetic field, lasting about 100-200 msec by interrupting the flow of strong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이와 같은 분할식 코일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 파동의 변동 에너지는 환자의 생체에 전달되어 분할식 코일유닛(200)의 하부 약 1.5cm~4cm 정도에 위치하는 세포에 탈분극을 유도하게 된다.The fluctuation energ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wave generated from the split coil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patient's living body and induces depolarization in cells located approximately 1.5 cm to 4 cm below the split coil unit 200.

이때 분할식 코일유닛(200)의 배열 방식은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베이스유닛(100)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S)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various forms of arrangement of the split coil unit 200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In this embodiment, the split coil unit 200 is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ase unit 100 to form one coil assembly ( It has the form of S).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코일집합체(S)는 베이스유닛(100)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uch coil assemblies (S) may be provided in the base unit 1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고정밴드(300)는 베이스유닛(10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베이스유닛(100)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ing band 3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100 and is formed to surround any part of the user's body and serves to fix the base unit 100 to the user's bod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300)는, 일측이 베이스유닛(100)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311)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310)와, 일측이 베이스유닛(100)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311)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321)가 구비되는 제2밴드부(3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band 300 has a first band portion 31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100 and a first fastening portion 311 on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base unit 100. ) and includes a second band portion 3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321 that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11.

여기서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21)는 제1밴드부(310) 및 제2밴드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어 베이스유닛(100)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들의 체결 방식은 제한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astening part 3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21 are fastened to each other while surrounding the user's body through the first band part 310 and the second band part 320, so that the bas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user's body. They are fixed to the body, and various fastening method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21)는 서로 암-수 벨크로 형태로 구비되어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21) 간의 체결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art 3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21 are provided in a male-female Velcro form and are attach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first fastening part 3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21 Of course, the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fastening parts 321 is not limited to this.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를 통해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00)에 외력을 가해 벤딩시켜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분할식 코일유닛(200)이 사용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reatment using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ase unit 100 to bend it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body. By having it, the treatment effect can be maximized by allowing the split coil unit 200 to easily adhere to the user's affected are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Below,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유닛(100)의 형상을 가변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of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unit 100 being vari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베이스유닛(100), 분할식 코일유닛(200) 및 고정밴드(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0 and a split coil unit 200, 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and a fixing band 300.

다만,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100)은 기 설정된 단위면적을 가지며, 서로 회전축(130)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부재(110, 120)를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unit 100 has a preset unit area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110 and 12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axis 130 and are capable of mutual angle adjustment.

즉 본 실시예는 탄성 변형 방식으로 형상이 가변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부재(110, 120) 간의 각도 조절에 의해 사용자의 환부 굴곡에 가까운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is not changed by elastic deformation, but can be changed to a shape close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affected area by adjusting the angle between each unit member 110 and 120, as shown in FIG. 4.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부재(110, 120)는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 단위부재(120)와, 이와 같은 중앙 단위부재(120)의 양측으로 회전축(13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외곽 단위부재(110)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unit members 110 and 120 include a central unit member 120 located in the center and a pair of outer unit member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unit member 120 by a rotation axis 130. Includes (110).

그리고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베이스유닛(100)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코일집합체는 하나의 단위부재(110, 120)에 1:1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총 3개의 코일집합체를 구성하는 형태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plit coil units 20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ase unit 100 to form one coil assembly,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in this embodiment, one coil assembly is one. It is provided in a 1:1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members 110 and 120, and has a form of a total of three coil assemblies.

한편 베이스유닛(100)을 구성하는 단위부재(110, 120) 및 코일집합체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number of unit members 110 and 120 and coil assemblies constituting the base unit 100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밴드(300)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band 30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유닛(100)의 형상 가변 방식은 제한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in the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shape-variable method of the base unit 100 without limita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베이스유닛(100)의 일측 측면부에 센서결합홈(101)이 형성된다는 추가적인 특징을 가진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 and 6,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overall shap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with the additional feature that a sensor coupling groove 10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unit 100. It has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센서결합홈(101)에는 센서결합홈(10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굽힘센서(40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A bending sensor 40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coupling groove 101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to this sensor coupling groove 101.

굽힘센서(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00)의 센서결합홈(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유닛(100)이 벤딩되어 그 형상이 가변될 경우 함께 굽혀지게 되며, 변형률과 매칭되는 센싱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bending sensor 400 is bent together when the base unit 100 is bent and its shape is changed while mounted in the sensor coupling groove 101 of the base unit 100, and the strain rate Sensing data that matches is generated.

그리고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굽힘센서(400)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굽힘센서(400)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통해 베이스유닛(100)의 변형 형태를 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sensing data from the bending sensor 400,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se unit 100 through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400. It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modified form of .

즉 본 실시예는 제어부가 사용자의 신체 굴곡을 수치화하여 미리 저장된 사전 신체계측데이터와 센싱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베이스유닛(100)이 사용자의 신체 어느 부위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분할식 코일유닛(200)이 해당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적합한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ich part of the user's body the base unit 100 is mounted on by quantifying the curvature of the user's body and comparing pre-stored preliminary body measurement data and sensing data. The coil unit 200 can be controlled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suitable for the user's body part.

이와 같은 굽힘센서(400)의 센싱데이터는 제어부에 의한 다양한 제어 방식에 활용될 수 있다.Sensing data from the bending sensor 400 can be used in various control methods by the control unit.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분할식 코일유닛(200)이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특정 분할식 코일유닛(20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자기장의 강도를 다르게 전개할 수 있는 다른 분할식 코일유닛(200)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split coil unit 200 is formed to be freely detachable from the base unit 100. Accordingly, this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operate in situations such as when a failure occurs in a specific split coil unit 200 or when another split coil unit 200 that can develop a different magnetic field strength needs to be replaced. It can be easily maintained/repair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베이스유닛(100)의 일면에는 분할식 코일유닛(200)이 삽입되는 코일장착홈(102)이 복수 개 형성되며,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이와 같은 코일장착홈(102)에 장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oil mounting grooves 102 into which the split coil unit 200 is inserted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the split coil unit 200 is It can be mounted on the coil mounting groove 102 or formed to be detachabl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분할식 코일유닛(200)의 일면에는 고정홈(210)이 형성되며, 코일장착홈(102)에는 이와 같은 고정홈(21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40)가 형성됨에 따라,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베이스유닛(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fixing groove 2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plit coil unit 200, and a fixing protrusion 140 is formed in the coil mounting groove 102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0. , the split coil unit 20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ase unit 100.

이때 고정홈(210)과 고정돌기(140)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분할식 코일유닛(200)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분할식 코일유닛(200)은 고정홈(210)과 고정돌기(14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분할식 코일유닛(200)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코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자기장을 차단하는 자기장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fixing groove 2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40 may be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and the other one may be formed of a permanent magnet or a magnetic materia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plit coil unit 200. . Also, in this case, the split coil unit 200 blocks the magnetic field so that the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xing groove 2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40 does not affect the coil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t coil unit 200. It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field blocking p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베이스유닛
101: 센서결합홈
102: 코일장착홈
110: 중앙 단위부재
120: 외곽 단위부재
130: 회전축
140: 고정돌기
200: 분할식 코일유닛
S: 코일집합체
210: 고정홈
300: 고정밴드
310: 제1밴드부
311: 제1체결부
320: 제2밴드부
321: 제2체결부
400: 굽힘센서
100: Base unit
101: Sensor coupling groove
102: Coil mounting groove
110: Central unit member
120: Outer unit member
130: rotation axis
140: fixing protrusion
200: Split coil unit
S: coil assembly
210: fixed groove
300: Fixed band
310: First band section
311: First fastening part
320: Second band section
321: Second fastening part
400: Bending sensor

Claims (10)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분할식 코일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 base unit formed to be flexible and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and
A plurality of split coil units arranged and fixed to the base unit in a preset pattern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Includ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식 코일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를 형성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plit coil unit,
Arranged in a lattice form on the base unit to form one coil assembly,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집합체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plurality of the coil assembly is provided in the base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s formed to surround any body part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and that secures the base unit to the user's body,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밴드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xing band is,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기 설정된 단위면적을 가지며, 서로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분할식 코일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 base unit having a preset unit area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axis and capable of mutual angle adjustment; and
A plurality of split coil units arranged and fixed to the base unit in a preset pattern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Includ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식 코일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코일집합체를 형성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split coil unit,
Arranged in a lattice form on the base unit to form one coil assembly,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의 코일집합체는 하나의 단위부재에 1:1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In clause 7,
One coil assembly is provided to correspond 1:1 to one unit member,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clause 6,
I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s formed to surround any body part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and that secures the base unit to the user's body,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제1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밴드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 자극 방식의 의료용 형상 가변형 프로브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fixing band is,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unit on one side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shape-variable medical prob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stimulation.
KR1020220102246A 2022-08-16 2022-08-16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KR202400239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246A KR20240023930A (en) 2022-08-16 2022-08-16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246A KR20240023930A (en) 2022-08-16 2022-08-16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930A true KR20240023930A (en) 2024-02-23

Family

ID=9004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246A KR20240023930A (en) 2022-08-16 2022-08-16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93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06B1 (en) 2013-09-27 2014-08-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Ultrasound probe, and ultrasound therapy system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06B1 (en) 2013-09-27 2014-08-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Ultrasound probe, and ultrasound therapy system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016B2 (en) Device for applying a stimulus percutaneously or detecting a parameter percutaneously
US6375324B2 (en) Temple tips having biomagnets for eyeglasses
CN110073398A (en) The asymmetric backbone auxiliary implement of scoliosis patient
US20210379394A1 (en) Respiration promoting apparatus and use thereof
KR20010071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oting energy flow in an organism
CN114599425A (en) Respiration facilitating device and use thereof
KR20240023930A (en)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ype Medical Shape-Variable Probe Device
KR100764759B1 (en) High frequency medical cure unit
JP2004243108A (en) Spinal reflex point adjustor for medical purpose
CN111603720A (en) Cervical vertebra function training instrument
CN208877229U (en) A kind of adjustable kne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CN208372307U (en) A kind of light-feeding instrument of adjustable-angle
KR200419090Y1 (en) High frequency medical cure unit
WO2017208168A2 (en) Strap arrangement for a nerve stimulator
KR102140505B1 (en) Pad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KR100984026B1 (en) Finger pressure device for the cervical vertebral
KR200397466Y1 (en) Belt for lumbago treatment
KR200370758Y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rhinitis
JP6742648B1 (en) Weak current tool
CN201085850Y (en) Magnetic therapy waistband for correcting vertebra
CN108836727A (en) A kind of orthopaedics orthopedic appliance for scoliosis
KR200370757Y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innitus
CN219184377U (en) Cervical vertebra physiotherapy device
CZ373297A3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e of curvature of a human body regions
CN109316273A (en) Wearable tractor for sp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