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157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157A
KR20240023157A KR1020247002122A KR20247002122A KR20240023157A KR 20240023157 A KR20240023157 A KR 20240023157A KR 1020247002122 A KR1020247002122 A KR 1020247002122A KR 20247002122 A KR20247002122 A KR 20247002122A KR 20240023157 A KR20240023157 A KR 2024002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izable material
transport element
aerosol delivery
delivery system
material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황 샤오
리차드 헤인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1)은 케이싱(casing)(45), 및 케이싱(45)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제1 부분(42); 및 제1 단부 부분(32), 및 제1 단부 부분(32)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34)을 포함하는 제2 부분(31)을 더 포함한다. 제1 부분(42)은 제1 단부 부분(32)과 제2 단부 부분(34)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32; 34)은 제1 부분(42)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45) 내부에 위치(locate)된 유체 전달 튜브(tube)(24; 26)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케이싱(45)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니코틴(nicotine) 전달 시스템들(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cigarette)들 등)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그러나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음)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형을 포함하는 유체 또는 액체의 저장소, 또는 담배 기반 제품과 같은 고체 재료와 같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며, 이로부터, 예를 들어 열 증발을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해 증기/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부분을 증발하도록 배열된 증발기,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일단 증기가 생성되면, 증기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향미 재료를 통과하여 증기에 향미를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후 (향미 있는) 증기는 그 다음 마우스피스(mouthpiece) 또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모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2 개의 주요 기능 부품들, 즉, 제어 유닛/본체, 및 카트리지(cartridge)/소모품 부품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모품 부품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가렛과 유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들과 같은 기존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을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개선하고자 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들이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케이싱(casing);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tube)를 포함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cartridge)가 제공되고, 이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구성에 있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구성에 있는 도 1a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2 개의 사시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도 2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제1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b는 도 2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제2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로부터의 제1 단면도와 수직을 이룬다.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의 확대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도 3b의 확대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간결성을 위해 상세히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장치들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 구성요소(component))의 구성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가 사용자에게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소되거나 태워지지 않는 시스템이다. 본 명세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도 지칭될 수 있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예를 들어 가열되거나, 조사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가 공급될 때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는 재료이다.
다음 설명 전체에 걸쳐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자 시가렛은 베이핑(vaping) 디바이스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ND)으로도 알려져 있을 수 있지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니코틴이 존재하는 것은 필수 요건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그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gel)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소모품 부품/카트리지, 및 소모품 부품/카트리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내부에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저장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증기에 향미를 더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추가의 저장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발기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와 상호 작용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여 증기/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가열기/가열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발기는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는 예를 들어 진동, 기계, 가압 또는 정전기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열을 가하지 않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될 물질은, 활성 구성성분, 담체(carrier) 구성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일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사용자의 생리적 및/또는 후각적 반응을 달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생리적 및/또는 후각적 활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뉴트라수티컬(nutraceutical)들, 누트로픽(nootropic)들, 및 향정신성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합성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니코틴, 카페인, 타우린(taurine), 테인(theine), B6 또는 B12 또는 C와 같은 비타민, 멜라토닌(melatonin),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담배 또는 다른 식물생약(botanical)의 구성성분, 유도체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생리학적 활성 구성성분이며, 니코틴, 니코틴 염들(예를 들어, 니코틴 디타르트레이트(ditartrate)/니코틴 바이타르트레이트(bitartrate), 무-니코틴 담배 대용품들, 카페인과 같은 다른 알칼로이드(alkaloid)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후각 활성 구성성분이며, "향미" 및/또는 "향미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 향미 및/또는 향미제는, 현지 규정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해 제품에 원하는 맛, 향 또는 다른 소마토센소리얼(somatosensorial) 감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구성성분들은 향미들, 향미제들, 향미 재료, 청량제들, 가열제들, 및/또는 감미제들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향미 재료들, 식물생약들, 식물생약들의 추출물들, 합성적으로 얻어진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를 들어, 담배, 대마초, 감초(licorice(liquorice)), 수국, 유제놀, 일본 흰 껍질 목련 잎, 카모마일, 호로파, 정향, 단풍나무, 말차, 멘톨, 일본 박하, 아니스(aniseed(anise)), 계피, 강황, 인도 향신료들, 아시아 향신료들, 허브, 윈터그린, 체리, 베리, 레드 베리, 크랜베리, 복숭아, 사과, 오렌지, 망고, 클레멘타인, 레몬, 라임, 열대 과일, 파파야, 루바브, 포도, 두리안, 용과, 오이, 블루베리, 멀베리, 시트러스 과일들, 드램부이, 버번, 스카치, 위스키, 진, 테킬라, 럼, 스피어민트, 페퍼민트, 라벤더, 알로에 베라, 카다몸, 셀러리, 카스카릴라, 육두구, 샌달우드, 베르가못, 제라늄, 카트, 나스와르, 빈랑, 시샤, 소나무, 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오렌지 꽃, 벚꽃, 계수나무, 캐러웨이, 코냑, 자스민, 일랑 일랑, 세이지, 회향, 와사비, 피먼트, 생강, 고수풀, 커피, 대마, 멘타 속의 임의의 종으로부터의 민트 오일, 유칼립투스, 스타 아니스, 코코아, 레몬그라스, 루이보스, 아마, 은행나무, 헤이즐, 히비스커스, 월계수, 마테, 오렌지 껍질, 장미,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은 차, 타임, 주니퍼, 엘더플라워, 바질, 월계수 잎, 커민, 오레가노, 파프리카, 로즈마리, 사프란, 레몬 껍질, 민트, 비프스테이크 식물, 커큐마, 고수, 머틀, 카시스, 발레리안, 피멘토, 메이스, 데미안, 마조람, 올리브, 레몬 밤, 레몬 바질, 골파, 카르비, 버베나, 타라곤, 리모넨, 티몰, 캄펜), 향미 증진제들, 쓴맛 수용기 부위 차단제들, 감각 수용기 부위 활성화제들 또는 자극제들, 설탕들 및/또는 설탕 대체물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 유당, 자당, 포도당, 과당, 솔비톨 또는 만니톨), 및 숯, 클로로필, 미네랄들, 식물생약들, 또는 방향제들과 같은 다른 첨가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것들은 모조, 합성 또는 천연 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액체, 분말과 같은 고체, 또는 기체 하나 이상의 추출물들(예를 들어, 감초, 수국, 일본 흰 껍질 목련 잎, 카모마일, 호로파, 정향, 멘톨, 일본 박하, 아니스, 계피, 허브, 윈터그린, 체리, 베리, 복숭아, 사과, 드램부이, 버번, 스카치, 위스키, 스피어민트, 페퍼민트, 라벤더, 카다몸, 셀러리, 카스카릴라, 육두구, 샌달우드, 베르가못, 제라늄, 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계수나무, 캐러웨이, 코냑, 자스민, 일랑 일랑, 세이지, 회향, 피먼트, 생강, 아니스, 고수풀, 커피, 또는 멘타 속의 임의의 종으로부터의 민트 오일), 향미 증진제들, 쓴맛 수용기 부위 차단제들, 감각 수용기 부위 활성화제들 또는 자극제들, 설탕들 및/또는 설탕 대체물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 유당, 자당, 포도당, 과당,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및 숯, 클로로필, 미네랄들, 식물생약들, 또는 방향제들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모조, 합성 또는 천연 구성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오일, 액체 또는 분말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 재료(향미)는 멘톨, 스피어민트 및/또는 페퍼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오이, 블루베리, 시트러스 과일들 및/또는 레드베리의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유제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담배에서 추출된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향 또는 미각 신경들에 추가적으로 또는 이에 대신하여,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유도되고 제5 뇌신경(삼차 신경)의 자극에 의해 인지되는 소마토센소리얼 감각을 달성하도록 의도되는 센세이트(sensa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가열, 냉각, 따끔거림, 마비 효과를 제공하는 제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가열 효과 제제는 바닐릴 에틸 에테르일 수 있고(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적절한 냉각 효과 제제는 유칼립톨(eucalyptol), WS-3일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담체 구성성분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담체 구성성분은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스리톨, 메소-에리스리톨, 에틸 바닐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수버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성분들은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방부제들, 결합제(binder)들, 충전제(filler)들, 안정화제들, 및/또는 항산화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e-시가렛들)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본체/디바이스) 및 교체 가능한 소모품(카트리지) 부품을 모두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유형의 2-부품 모듈식 구성을 준수하는 디바이스들을 일반적으로 2-부품 디바이스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시가렛들은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소모성 부품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유형의 일반적으로 세장형 2-부품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본 원리들은,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더 박스형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 모드 고성능 디바이스들을 기반으로, 다른 전체 형상들을 준수하는 디바이스들로서, 다른 전자 시가렛 구성들, 예를 들어 2 개 초과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바이스들에도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로부터,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100)를 해제 가능하게 수납(accommodate)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10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본체(10)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증발을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저장소(12), 및 저장소(12)로부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16)가 제공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본체(10) 및 카트리지(10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100)는 저장소(12),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 및 증발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10)가 카트리지(100)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증발기(16)는, 또한 본체(10)로부터 전력 소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10) 상의 전기 접촉부(18)를 통해 전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소스(20)로부터의 전력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16)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작동 동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공기 입구(22)로부터의 유입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공기 채널(24)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공기 채널(24)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통해 공기를 전달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픽업(pick up)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6)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출구(28)로 전달하기 위해 유체 유출 튜브(26)를 통과하여 전달될 수 있다. 여기로부터, 증발기(16)로부터의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30)를 통해) 사용자가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흡입하기 위해, 출구(28)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공된 임의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심지)의 구조 및 조성과 관련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 중에 증발기(16)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포지션(position)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적절히 흡인할 수 있는 임의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다공성 재료, 및/또는 섬유질 재료 또는 고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면(cotton)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수준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임의의 의도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가장 적합하도록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특정 구조 및 조성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증발기(16)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증발기(16)는 증발된 에어로졸화된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가열기/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증발기(16)가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b로부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적어도 제1 부분(42) 주위에 감겨 있는 와이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전도성 재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표면 상에서 다른 형상들을 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나선형 패턴; 래스터(raster) 패턴; 또는 지그재그 패턴과 같이 가열 요소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가열 요소(또는 일반적으로, 가열 요소가 채용되지 않는 경우, 증발기(16))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전력 소스(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일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카트리지(100)를 해제 가능하게 수납하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100)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본체(1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그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소스(20)는 본체(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전력 소스(20)로부터의 전기 전력은 전기 접촉부(18)를 통해 증발기(16)로 공급될 수 있고, 및/또는 당연히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으로 또는 전력 소스(20)와 증발기(16) 사이의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증발기(16)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전술한 일반적인 개시내용을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여기에 제공되며, 여기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적어도 제2 부분(31)이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압축되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1 구성보다 더 큰 양만큼 압축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도 1a 내지 도 4b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목적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이 더 잘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어는 증발기(16)의 근접부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될 수 있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양을, 예를 들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의 압축을 통해, 효과적으로 스로틀링(throttle)함으로써 달성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간단한 의미에서, 그리고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압축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의 제1 단부 부분(32) 및 제1 단부 부분(32)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부분(31)이 제2 구성에서 압축됨에 따라(또는 제1 구성보다 더 압축됨), 제2 부분(31)의 압축의 이러한 상대적 증가는 저장소(12)로부터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가 증발기(16)에 의해 증발되어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더 잘 제한한다.
이러한 압축의 양에 관해서는, 제2 구성에서의 압축의 양은 제1 구성에서의 압축의 양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제1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전혀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제1 양만큼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구성에서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제1 구성에서의 압축의 양보다 더 큰 제2 양만큼 압축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의 압축이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증가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해서는, 이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관점에서,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제2 구성에서 제2 부분(31)(및/또는 그러한 단부 부분들(32; 34)이 채용된 경우 제1 단부 부분(32) 및 제2 단부 부분(34) 각각)을 압축하기 위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용된 임의의 압축 부재(38)의 정확한 구조에 관해서는, 이러한 구조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의도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압축 부재(38)는 제2 구성에서 제2 부분(31)에 충돌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플런저(plunger), 또는 제2 구성에서 제2 부분(31)을 둘러싸고 스로틀링하도록 구성된 조정 가능한 크기의 칼라(colla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b의 개시내용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메커니즘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특수하게 구성된 유체 유출 튜브(26)를 포함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2 구성에서 압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유출 튜브(26)는,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을 파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유출 튜브(26)가 이동될 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유체 유출 튜브(26)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유출 튜브(26)를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는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4b에 예시된 것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특히 도 2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유출 튜브(26)의 회전은 제2 부분(31)이 제1 구성(제1 구성에서의 제2 부분(31)에 대해서는 포지션(31A) 참조)으로부터 제2 구성(제2 구성에서의 제2 부분(31)의 포지션에 대해서는 포지션(31B) 참조)으로 이동하게 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기 위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러한 실시예들을 유지하면서, 일부 더 좁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특히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도 2 내지 도 4b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유출 튜브(26)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회전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2 구성에서 압축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유출 튜브(26)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 제2 부분은 45 도 이하의 각도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일부 더 좁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40 도 이하의 각도만큼, 또는 일부 더 좁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35 도 이하의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한 각도들의 제공에 의해, 이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전단(shearing)/고장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임의의 제2 부분(31)이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기 위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한, 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제1 부분(42)은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부분(31)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부분(42)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하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2 구성에 있을 때 전단/압축력이 제2 부분(31)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단/압축력은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압축력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저장소(12)로부터 증발기(16)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1 부분(42)의 임의의 정확한 포지셔닝(positioning)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부분(42)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의 임의의 제공된 제1 단부 부분(32)과 제2 단부 부분(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C-자 형상을 정의하거나, 또는 제1 단부 부분(32)이 제1 부분(42)의 일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제2 단부 부분(34)이 일 단부에 반대되는 제1 부분(42)의 다른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단부 부분(32) 및/또는 제2 단부 부분(34)은, 제1 부분(42)이 저장소(12) 및/또는 임의의 제공된 출구(28) 또는 마우스피스(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저장소(12) 및/또는 임의의 제공된 출구(28) 또는 마우스피스(30)에 대해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달리 표현하면, 제1 단부 부분(32) 및/또는 제2 단부 부분(34)은, 제1 부분(42)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제2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완전성을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의 제1 고정된 부분(42)을 제공하는 것이 명시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1 고정된 부분(42)에 대해 제2 부분(31)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압축은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전체가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제2 부분(31)이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될 때, 제2 부분(31)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벽 또는 스톱(stop)과 같은 구조,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될 수 있는/움직일 수 없는 구조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부분(31)이 그 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제2 구성에서 그 포지션에 도달하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구조는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제2 부분(31)을 압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그 후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1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될 때, 제1 포지션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이 경우 구조에 의해 압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구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 이 구조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케이싱(45)(또는 본체(10)/카트리지(100) 배열이 채용되는 경우 카트리지(100)의 케이싱(4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러한 케이싱(45)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사용 중일 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덮고 그리고/또는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어떻게 이동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면, 일부 실시예들(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이동은, 예를 들어, 도 2로부터의 실시예에 따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유출 튜브(26)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연히,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제어기(40)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공된 임의의 제어기(40)와 관련하여, 이는 전력 소스(2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제어기(40)의 위치와 관련하여,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본체(10) 및 카트리지(10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본체(10) 또는 카트리지(100)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구성에 따라, 전력 소스(20)로부터 제어기(40)로의 전기 전력은 이 경우 유선 연결을 통해 공급될 수 있고, 및/또는 당연히 예를 들어 전력 소스(20)와 제어기(40) 사이의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가 채용되는 경우, 신호 자체의 유형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호는 무선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b의 제어기(40)와 압축 부재(38) 사이의 유선 연결(4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40)로부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임의의 제공된 압축 부재(38)로 유선 연결(43)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이러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방법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4), 및/또는 제어기(40)에 연결되고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연히, 채용된 임의의 액추에이터(46)와 관련하여, 이는 예를 들어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임의의 채용된 본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 또는 액추에이터(46)가 제공되면, 이들은 각각 이 경우 ―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4)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및/또는 사용자가 액추에이터(46)를 작동시킴으로써) ―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로부터, 본 명세서에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 중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더 잘 제어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다수의 상이한 구성들이 설명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은 또한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1 부분(42)을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23)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제1 구성과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제2 구성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위의 관점에서, 리세스(23)를 갖는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의 제공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는 것을 총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이 제한되는) 제2 구성과,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이 제2 구성보다 덜 제한되는) 제1 구성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가 채용되는 한, 이러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형성/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유체 유출 튜브(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유출 튜브(26)는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2로부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유체 유출 튜브(26)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유출 튜브(26)는 이 경우 반드시 회전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후자의 실시예들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일부 다른 회전 가능한 부재(예를 들어,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충돌/압축하도록 구성된 회전 가능한 래치(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의 정확한 구조와 관계없이,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가 사용 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더 양호하게 수납/파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1 부분(42)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적어도 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23)는 도 4a 내지 도 4b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23)가 채용되는 실시예들에서, 리세스(23)는 증발기(16)에 근위적인 포지션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수납하도록 증발기(16)의 근위부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지셔닝과 관련해서도,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가 유체 유출 튜브(26)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유체 유출 튜브(26)가 리세스(2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데, 여기서 리세스는 유체 유출 튜브(26)의 제1 단부(26A)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체 유출 튜브(26)의 임의의 이러한 제1 단부(26A)가 채용되는 한, 일부 경우들에서, 이 제1 단부(26A)는 제1 단부(26A)가 출구(28) 또는 마우스피스(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증발기(16)에 대해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유체 유출 튜브(26)는 출구(28) 또는 마우스피스(30)를 정의하는 제2 단부(26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단부(26B)는 제1 단부(26A)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다. 또는, 다르게 말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세스(23)는 증발기(16)와 임의의 제공된 출구(28)/ 마우스피스(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제공된 리세스(23)의 정확한 형상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이는 리세스(23)가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형상에 상당히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측면에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세스(23)는 세장형일 수 있고, 및/또는 원통형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수납하거나 또는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 단면(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전성을 위해, 이러한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가 채용되는 경우,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예시된 것들과 같은 실시예들에서 채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는 제어기(40)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더 좁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40)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4) 및/또는 액추에이터(46)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그리고 도면들로부터의 개시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는 또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또는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100))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더 양호하게 고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들이 설명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는, 케이싱(45), 및 케이싱(45)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제공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제1 부분(42); 및 제1 단부 부분(32), 및 제1 단부 부분(32)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34)을 포함하는 제2 부분(31)을 더 포함한다. 제1 부분(42)은 제1 단부 부분(32)과 제2 단부 부분(34)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32; 34)은 제1 부분(42)으로 전달하기 위한, 예를 들어 저장소(12)로부터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45)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24; 26)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케이싱(45)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일부 예들에서 유체 유출 튜브(26), 또는 가능하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유입 공기 채널들(24)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음) 사이에 효과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샌드위치(sandwich)된다는 사실은, 사용 중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케이싱(45) 내부의 그의 정확한 로케이션에 더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채용될 수 있는 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더 좁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1 부분(42)은 케이싱(45)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은 케이싱(45)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제2 구성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제2 부분(31)이 (잠재적으로,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음)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임의의 이동 또는 회전을 잠재적으로 제쳐두고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내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제2 부분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 사이에 (잠재적으로 영구적으로) 샌드위치/압축되는 것일 수 있다.
케이싱(45)과 관련하여, 도면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케이싱(45)은 임의의 제공된 저장소(12) 및/또는 증발기(16)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양태들을 포함하고/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싱(45)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위한 외부 쉘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쉘은 당연히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일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단일 성형된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연히, 케이싱(45)은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 사이에 또는 케이싱에 대항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예를 들어, 케이싱의 가장 바깥쪽 또는 외측 벽의 일부인 부분, 및/또는 본체(10)/카트리지(100) 배열이 채용되는 경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이러한 본체(10)에 맞닿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100)로부터의 제1 단부 벽(47)일 수 있는, 케이싱을 위한 제1 단부 벽(47)을 정의하는 부분과 같은 케이싱의 부분 사이에 또는 이 케이싱의 부분에 대항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따르면, 케이싱(45)의 부분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케이싱(45)에 대항하여 보다 균일하게 압축되도록 보다 양호하게 보장하기 위해 평평한 부분(48)일 수 있다.
그러나, 케이싱(45)의 기하학적 구조는 제쳐두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내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어떻게 더 양호하게 고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의 예들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각각의 공기 유입 채널(24)의 단부(24A)에 위치되고, 유체 유출 튜브(26)의 제1 단부(26A)에 위치되는 경우, 도면들로부터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가 유체 전달 튜브(24; 26)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전달 튜브(24; 26)는 이 경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개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유입 채널(24)과 관련하여, 이러한 개방된 제2 단부(24B)는 공기 입구(22)의 옆에, 또는 공기 입구(22)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체 유출 튜브(26)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튜브의 경우, 개방된 제2 단부(26B)는 출구(28) 또는 마우스피스(30)를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내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기 위해, 유체 전달 튜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제1 부분(42)을 수납하기 위한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b로부터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유체 출구 튜브(26)의 리세스(23)와 같은)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리세스(23)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시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더 양호하게 수납/파지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내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위의 실시예들을 참조할 때, 이들 실시예들은 임의의 형태의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21), 및/또는 제2 구성(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이 제한됨)과 제1 구성(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형성이 제2 구성보다 덜 제한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반드시 사용될 필요는 없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더 양호하게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위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들 실시예들은 도 1a 내지 도 4b로부터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측면에서,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내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위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임의의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그리고 잠재적으로는 또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될 수 있음).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C-자형일 수 있고, 및/또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도시된 보다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은 1-부품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또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으로부터의 본체(10)에 해제 가능하게 수납되고, 및/또는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위에 설명된 것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100)와 같은 2-부품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적어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설명된 것을 알 수 있고,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가 설명되었고,
이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고정하는 방법이 설명되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케이싱과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케이싱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45), 및 케이싱(45)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설명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제1 부분(42); 및 제1 단부 부분(32), 및 제1 단부 부분(32)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34)을 포함하는 제2 부분(31)을 더 포함한다. 제1 부분(42)은 제1 단부 부분(32)과 제2 단부 부분(34)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32; 34)은 제1 부분(42)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싱(45)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24; 26)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는 케이싱(45) 내부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45)과 유체 전달 튜브(24; 26)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를 통해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에 불과하며, 완전한 및/또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이들은 청구된 발명(들)의 이해를 돕고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른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이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았지만 향후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이 저장소(12) 내의 "액체" 또는 "유체"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액체 또는 유체는 임의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액체 또는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증발기(16)와 관련하여, 증발기(16)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4b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의 적어도 부분 주위에 감겨 있는 와이어의 코일과 같은 가열기/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증발기(16)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 기계, 가압 또는 정전기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열을 가하지 않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14)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수의 특징들이 카트리지(100)를 해제 가능하게 수납하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10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본체(1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100) 및/또는 본체(10)의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이라도 이러한 카트리지/본체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으로서,
    케이싱(casing);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tube)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부터 증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유체 유출 튜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유입 공기 채널(channel)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부분이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 제1 구성과,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구성보다 더 큰 양만큼 압축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구성에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상기 제2 부분과 맞닿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가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8.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가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9.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0. 제5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1. 제5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C-자형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의 상기 제1 부분을 수납(accommodate)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유체 전달 튜브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상기 유체 전달 튜브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7.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튜브는 개방된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부분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상기 케이싱의 가장 바깥쪽 또는 외측 벽의 일부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0.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상기 케이싱의 단부 벽의 일부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1. 제18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부분은 평평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2.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cartridge)로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카트리지.
  2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있는, 증발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 ―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는:
    제1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있고, 각각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 ― ;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유체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유체 전달 튜브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수송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고정하는 방법.
KR1020247002122A 2021-07-19 2022-07-04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23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110350.2A GB202110350D0 (en) 2021-07-19 2021-07-19 An aerosol provision system
GB2110350.2 2021-07-19
PCT/GB2022/051715 WO2023002149A1 (en) 2021-07-19 2022-07-04 Aerosol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157A true KR20240023157A (ko) 2024-02-20

Family

ID=7744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122A KR20240023157A (ko) 2021-07-19 2022-07-04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373327A1 (ko)
KR (1) KR20240023157A (ko)
CN (1) CN117897065A (ko)
AU (1) AU2022315580A1 (ko)
CA (1) CA3224604A1 (ko)
CO (1) CO2024000370A2 (ko)
GB (1) GB202110350D0 (ko)
IL (1) IL309815A (ko)
WO (1) WO20230021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3643B2 (en) * 2014-09-17 2023-10-18 Fontem Holdings 4 B.V. Device for storing and vaporizing liquid media
TR201905106T4 (tr) * 2014-12-15 2019-05-2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 üretici cihaz.
EP3723523A1 (en) * 2017-12-12 2020-10-21 JT International SA Fluid supply system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801143D0 (en) * 2018-01-24 2018-03-07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and systems
GB201805507D0 (en) * 2018-04-04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provi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3327A1 (en) 2024-05-29
AU2022315580A1 (en) 2024-01-18
CO2024000370A2 (es) 2024-05-10
GB202110350D0 (en) 2021-09-01
IL309815A (en) 2024-02-01
CN117897065A (zh) 2024-04-16
CA3224604A1 (en) 2023-01-26
WO2023002149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23610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EP4378336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23157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23437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23146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A3224487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GB2622497A (en) Aerosol provision system
CA3220554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EP4373318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GB2609068A (en) Aerosol provi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