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978A -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978A
KR20240022978A KR1020230073504A KR20230073504A KR20240022978A KR 20240022978 A KR20240022978 A KR 20240022978A KR 1020230073504 A KR1020230073504 A KR 1020230073504A KR 20230073504 A KR20230073504 A KR 20230073504A KR 20240022978 A KR20240022978 A KR 2024002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pport wall
contacts
conne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9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10)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돌출되되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사이에 소정의 내측 공간(S)이 구비되는 절연 몸체(100);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각각에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중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택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1 외측 결합부(210) 및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10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3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2 외측 결합부(31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31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측 기판 실장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connector 10 is provided.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bottom portion 110 and a pair of outer supports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10 and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 insulating body (100) including a wall portion (120)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S)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each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20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wherein the first contact (200) is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to the inner space (S) It includes an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that is extended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body 100 is placed, and the second contact 300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 and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에 구비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that can be provided on a boar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Generally, connectors are provid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connectors are install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omputers, tablet computers, etc., and can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s to each other.

도 22는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30) 및 리셉터클 커넥터(40)는 소정의 절연성을 가지며 기판상에 놓이는 절연 몸체(31,41) 및 절연 몸체(31,41) 상에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컨택트(35,55)로 구성된다.2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se conventional plug connectors 30 and receptacle connectors 40 have predetermined insulation properties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on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placed on the substrat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tacts 35 and 55.

일반적으로, 절연 몸체(31,41)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32,42) 및 바닥부(32,4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벽부(33,43)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복수의 컨택트(35,55)는 한 쌍의 지지벽부(33,43)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 및 결합된다.In general,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include flat bottom portions 32 and 42 and a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33 and 43 that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s 32 and 42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contacts 35 and 55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and coupled to a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33 and 43 in a row along their extending direction.

이때, 플러그 커넥터(30)나 리셉터클 커넥터(40)가 가지는 컨택트(35,45)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컨택트(35,45)가 놓이는 절연 몸체(31,41)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컨택트(35,45) 사이의 거리(즉, 피치(p)(pitch))를 좁힘으로써 절연 몸체(31,41)에 컨택트(35,45)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way to increase the number of contacts 35 and 45 of the plug connector 30 or the receptacle connector 40, the size of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on which the contacts 35 and 45 are placed is increased. Alternatively, it may be considered to densely arrange the contacts 35 and 45 on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by narrowing the distance (i.e., pitch) between the contacts 35 and 45. .

그런데,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30)나 리셉터클 커넥터(40)에 상술한 방안 중 첫번째 방안을 적용하면, 컨택트(35,45)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절연 몸체(31,41)의 크기가 과도하게 길어지거나 커질 수 있으므로, 기판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절연 몸체(31,41)의 휘어짐에 따른 제조상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30)나 리셉터클 커넥터(40)의 전체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first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lug connector 30 or the receptacle connector 40, as the number of contacts 35 and 45 increases, the size of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becomes excessive. Since it can be long or large, the freedom of circuit design is limited, manufacturing defects may occur due to bending of the insulating bodies 31 and 41, and the overall strength of the plug connector 30 or receptacle connector 40 may be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lowered.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30)나 리셉터클 커넥터(40)에 상술한 방안 중 두번째 방안을 적용하면, 이웃하는 컨택트(35,45)가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들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두 컨택트(35,45) 사이의 절연 성능이 확보되지 못하여 쇼트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second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lug connector 30 or the receptacle connector 40, as the parts where the neighboring contacts 35 and 45 are mounted on the board be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two contacts 35 and 45 ), there is a problem that a short circuit may occur because the insu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m is not secured.

이에 따라, 전술한 절연 성능 및 쇼트에 관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컨택트(35,45)를 배열함으로써 피치(p)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urgent need to develop a connector that can minimize the pitch (p)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tacts 35 and 45 in a limited space without causing the problems with insulation performance and short circuit described above.

한편, 커넥터는 절연 몸체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컨택트들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형상을 가지는 제 1 컨택트가 한 쌍의 지지벽부에 일렬로 각각 배열되고, 이웃하는 제 1 컨택트 사이에 제 2 형상을 가지는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connector may be configured so that different types of contacts with different shapes are arranged in a row on an insulating body. For example, first contacts having a first shape may be arranged in a row on a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and second contacts having a second shape may be arrang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컨택트가 일렬로 배열된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 1 컨택트가 연결된 제 1 캐리어와 제 2 컨택트가 연결된 제 2 캐리어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후, 절연 몸체의 지지벽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in order to manufacture a connecto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acts are arranged in a row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o which the first contact is connected and the second carrier to which the second contact is connecte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fter that, a process of forming the supporting 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body must be performed.

이때,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절연 몸체는 한 쌍, 즉 두 개의 지지벽부가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지지벽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2회 수행하여 한 쌍의 지지벽부를 개별적으로 형성한 후, 한 쌍의 지지벽부를 서로 결합하는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점은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복잡화하고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the insulating body of the connector generally has a pair, that is, two support walls arranged side by side.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the process of forming the support wall portion must be performed twice to individually form a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and then a process of coupling the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to each other must be performed. This problem complicates the connector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es the connector manufacturing cost.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컨택트들이 한 쌍의 지지벽부에 각각 일렬로 배치된 커넥터를 한 번의 절연 몸체 형성 공정을 통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커넥터 제조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simply and quickly manufacture a connecto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acts are arranged in a row on a pair of support walls, respectively, through a single insulating body form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택트 사이의 피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pitch between contac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커넥터와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other connectors with high st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한 강성(또는, 강도)를 가지는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with strong rigidity (or strengt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쉽고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proc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판 형상의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돌출되되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사이에 소정의 내측 공간(S)이 구비되는 절연 몸체(100);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각각에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중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택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1 외측 결합부(210) 및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10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3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2 외측 결합부(31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31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측 기판 실장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bottom portion 110 and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10 and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includes an insulating body (100)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S)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each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20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wherein the first contact (200) is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to the inner space (S) It includes an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that is extended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body 100 is placed, and the second contact 300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 and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 A connector 10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이때,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내측 공간(S)을 향하는 제 1 측면(122)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제 1 측면(122)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24)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 및 상기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과 상기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을 연결하는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220)는 상기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122 facing the inner space S among both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A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coupled to a second side 124 opposite the first side 122 of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connecting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and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and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2. It can be extended from (214).

이때, 상기 바닥부(110)에는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바라볼 수 있도록 검사창(111)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window 111 to view the inner board mounting part 220.

이때, 상기 제 1 컨택트(200)는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케리어 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리어 연결부(230)는 연장 방향 측면(23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고, 연장 방향 단부면(234)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200 includes a first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extending from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 and the first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 may be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side surface 23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end surface 234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캐리어 연결부(230)는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

이때,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연장 방향 측면(32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고, 연장 방향 단부면(324)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ating layer (L) so that the side surface 322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nd surface 324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31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내측 공간(S)을 바라보는 제 1 측면(122)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제 1 측면(122)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24)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 및 상기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과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122 facing the inner space S among both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A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coupled to the second side 124 opposite the first side 122 among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uter connection part 318 connecting the second inner contact part 314 and the second outer contact part 312, and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ontact part 312. It can be extended from (312).

이때,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상기 제 1 측면(1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홈(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외력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오목홈(123) 내에서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122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123 recessed inward,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reby forming the concave groove 123. (123) It may be composed of a free end so that it can be operated elastically.

이때,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1 컨택트(200)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2 컨택트(300)는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가 배열된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200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the second contact 300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re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Y-axis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평판 형상의 바닥부(510), 상기 바닥부(510)로부터 돌출되되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및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제 1 내측 공간(S1)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와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제 2 내측 공간(S2)이 구비되는 절연 몸체(500);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420) 각각에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500);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500) 중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5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택트(6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에 결합되는 제 1 외측 결합부(610),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에 결합되는 제 1 내측 결합부(620),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610)와 상기 제 1 내측 결합부(620)를 연결하는 제 1 중간 연결부(630) 및 상기 제 1 내측 결합부(620)로부터 상기 제 1 내측 공간(S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50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측 기판 실장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7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에 결합되는 제 2 외측 결합부(71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710)로부터 상기 절연 몸체(5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측 기판 실장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2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bottom portion 510,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510 and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540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arts 520, wherein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 540), an insulating body 500 provided with a first inner space (S1)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a second inner space (S2)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5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420;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5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600 each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50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600) is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coupling portion 620, a first intermediate coupling portion 630 connecting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and the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and a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from the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It includes an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640 that extends into the space S1 and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board on which the insulating body 500 is placed, and the second contact 700 is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an ou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500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A contact 20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oard mounting portion 740.

이때,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710)는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와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의 제 1 측면(522)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의 상기 제 1 측면(522)에 대향하는 제 2 측면(524)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 및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과 상기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에는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들어오는 소정의 물체가 접하며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돌출되는 외측 접촉 돌기(718)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is the second portion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facing the second inner space S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coupled to the first side 522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coupled to the second side 524 of the outer support wall 520 opposite to the first side 522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uter connection part 716 connecting the second outer contact part 714 and the second outer holding part 712, and the second outer contact part 714 includes the second inner space. An outer contact protrusion 718 protruding into the second inner space (S2) may be provided so that an object coming into (S2) can come into contact with it and be caught.

이때, 상기 제 2 컨택트(700)는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와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는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의 측면(544) 상에 구비되는 제 2 내측 접촉부(72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710)와 상기 제 2 내측 접촉부(720)를 연결하는 제 2 중간 연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700 is connected to the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540 facing the second inner space S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pport wall 540 and the outer support wall 520. )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provided on th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730 connecting the second outer coupling part 710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art 720.

이때, 상기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의 상기 측면(544) 상에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may be configured as a free end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ope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 the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이때, 상기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상기 제 2 중간 연결부(730)로부터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의 돌출 방향(Z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암 부분(722); 및 상기 탄성 암 부분(722)의 연장 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접촉 암 부분(724)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includes an elastic arm portion 722 extending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73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rotrusion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a contact arm portion 724 that extends from an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722 and has a convexly curved shape toward the second inner space S2.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 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 중 이웃하는 제 1 컨택트 사이 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일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의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가 결합되는 절연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용 캐리어(C)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tact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ranged in a row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each connected to one side. providing a carrier (C) for;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to face each other; forming an insulating body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from the contact carrier (C).

이때,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된 제 1 캐리어(C1)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된 제 2 캐리어(C2)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 중 서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캐리어(C1)와 상기 제 2 캐리어(C1)를 컨택트용 캐리어(C)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providing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includes providing a first carrier (C1)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e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providing a second carrier (C2)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re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rming a contact carrier (C) using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1)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adjacent fir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It may include steps.

이때, 상기 제 1 캐리어(C1)에는 제 1 위치 조정홀(C1-h)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캐리어(C2)에는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캐리어(C1)와 상기 제 2 캐리어(C2)를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위치 조정홀(C1-h)과 상기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arrier (C1)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C1-h), the second carrier (C2) is provided with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and the first carrier (C2) is provided with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In the step of stacking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C1-h)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may be arranged to overlap.

이때, 상기 제 1 위치 조정홀(C1-h)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위치 조정홀(C2-h)은 상기 복수의 제 1 위치 조정홀(C1-h)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s (C2-h)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It can be.

이때, 홀드 다운 구조체가 일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의 홀드 다운 구조체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홀드 다운 구조체를 상기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providing a pair of carriers for the hold down structur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Arranging the hold down structures of the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to face each oth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eparating the hold down structure from the carrier for the hold down structure.

이때, 상기 절연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body, the insulating body may be formed using an insert injection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20)는 제 1 컨택트(200,600)의 기판 실장부(220,640)가 내측 공간(S)으로 연장되고, 제 1 컨택트(200,600)로부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 2 컨택트(300,700)의 기판 실장부(320,740)가 내측 공간(S)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 실장부(220,320,640,740) 사이의 거리를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컨택트(200,300,600,700) 사이의 제 1 방향(X축 방향) 피치(p)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connectors 10 and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 mounting portions 220 and 640 of the first contacts 200 and 600 extend into the inner space S, and extend from the first contacts 200 and 600 in the first direction (X axis). The board mounting portions 320 and 740 of the second contacts 300 and 7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oard mounting portions 220, 320, 640, and 740 is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Since they can be spaced apart, the pitch p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between the contacts 200, 300, 600, and 700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20)는 컨택트(200,300,600,700)의 내측 접촉부(또는, 내측 접촉 부분) 및 외측 접촉부(또는, 외측 접촉 부분)가 지지벽부(120,52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다른 커넥터(10,20)의 컨택트(200,300,600,700)와 이중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다른 커넥터(10,20)와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The connectors 10 and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ner contact portion (or inner contact portion) and an outer contact portion (or outer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s 200, 300, 600 and 700,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520. Therefore, it can be in double contact with the contacts 200, 300, 600, and 700 of the other connectors 10 and 20, and thu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connectors 10 and 20 with high st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20)는 컨택트(200,300,600,700)가 외측 지지면(120,520) 및/또는 내측 지지면(540)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력에 대하여 강한 강성(또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ors 10 and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o that the contacts 200, 300, 600, and 70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pport surface 120, 520 and/or the inner support surface 540, respectively, and thus have strong rigidity against external force ( or, str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 1 컨택트(200,600)에 커넥터(10,20)의 제조를 위한 캐리어(C)와 연결될 수 있는 제 1 캐리어 연결부(230,650)가 구비되고 제 2 컨택트(300,700)의 기판 실장부(640,740)가 캐리어(C)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모든 컨택트(200,300,600,700)가 한 쌍의 캐리어(C)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캐리어(C)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절연 몸체(100,500)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한 번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쉽고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contacts 200 and 600 with first carrier connection portions 230 and 650 that can be connected to a carrier C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s 10 and 20, and second contacts 300 and 700. The board mounting portions 640 and 74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arrier C, so that all contacts 200, 300, 600, and 700 can be connected to a pair of carriers C, with the pair of carriers C facing each other. Since the process for forming the insulating bodies 100 and 500 can be performed at once, they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quickly through a simple process.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기판 사이에 형성된 PCB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 1 컨택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기판 사이에 형성된 PCB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도 1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 1 컨택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PCB pattern formed between a connector and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I of Figure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s 7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econd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11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lan view of a PCB pattern formed between a connector and a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I-II of FIG. 11.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s 15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econd conta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1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bined state.
Figure 1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echnical idea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is includes not only those placed at the “bottom”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is plac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기판 사이에 형성된 PCB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 1 컨택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PCB pattern formed between a connector and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I of Figure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s 7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econd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에서 볼 때, 제 1 방향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고, 제 2 방향을 Y축 방향으로 규정하고, 제 3 방향을 Z축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제 1 방향 내지 제 3 방향 및 좌표축(XYZ축)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일 뿐이고, 각 구성 요소들의 절대적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hen viewed from the drawings, the first direction is defined as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is defined a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s defined as the Z-axis direction. At this time,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and coordinate axes (XYZ axes) are merely introduced to explai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absolut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상기 방향을 따르는 길이 성분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X축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X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르는 길이 성분을 가지므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X축과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means extending to have a length component along that direction. For example,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 the X-axis has a length component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so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clude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clined to the X-axi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기판 상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10)일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는 다른 기판 상에 구비된 다른 커넥터와 형상 맞춤되며 결합됨으로써, 두 기판의 전기회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절연 몸체(100),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복수의 제 2 컨택트(300) 및 홀드 다운 구조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ug connector 10 that can be coupled to a board. This plug connector 10 is shaped and combined with another connector provided on another board, so that the electric lines of the two board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embodiment, the plug connector 10 may include an insulating body 10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and a hold down structure 40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절연 몸체(10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절연 몸체(10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들 사이의 절연 성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 몸체(100)는 소정의 절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insulating body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base on which other components of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the insulating body 10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securing insulation performance between other components of the plug connector 10. To this end, the insulating body 10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predetermined insulating properties.

본 실시예에서, 절연 몸체(10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Y축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110), 바닥부(110)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바닥부(110)는 하면(Z축의 음의 방향을 향하는 면)이 기판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body 100 has a flat bottom portion 110 that extends in the It may include a pair of outer support walls 120 and a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130.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portion 110 may be disposed so that its lower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바닥부(110)에는 이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검사창(11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검사창(111)은 후술하는 제 1 컨택트(200)의 내측 기판 실장부(220)의 실장 상태를 절연 몸체(100)의 상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bottom 11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window 111 penetrating in the Z-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window 111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for check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of the first contac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sulating body 100.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창(111)은 내측 기판 실장부(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검사창(111)은 내측 기판 실장부(2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사이에서 X축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inspection windows 11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ner board mounting units 220.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inspection windows 111 may b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X-axis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한편, 도 22에 도시된 종래의 커넥터를 참조하면,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40)가 가지는 절연 몸체(41)의 바닥부(42)에는 컨택트(45)의 단부가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40)에 의하면, 바닥부(42)에 형성된 관통공이 이웃하는 다른 관통공과 지나치게 인접 배치되므로, 절연 몸체(41)의 전체적인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shown in FIG. 22, a through hole where the end of the contact 45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bottom 42 of the insulating body 41 of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40.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40,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42 is placed too close to other neighboring through holes, so the overall strength of the insulating body 41 may be weakened.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 따르면, 서로 다른 열에 속하는 검사창(111)은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지 않도록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 사이에는 제 2 컨택트(300)가 배치되므로,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검사창(111)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확보될 수 있어, 검사창(111)의 형성에 따른 바닥부(110)의 강도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windows 111 belonging to different row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so that they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ontac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s 200 neighboring in the X-axis direction, so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inspection windows 111 neighboring in the can be secured, thereby minimizing the weakening of the strength of the bottom portion 110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spection window 111.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검사창(111)이 각각 한 개의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처럼, 한 개의 검사창(111’)이 모든 내측 기판 실장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물론, 한 개의 검사창이 서로 이웃하는 수 개의 내측 기판 실장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창은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inspection windows 111 are configured to each check on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However, as 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8, one inspection window 111' may be extended long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all inner board mounting portions can be checked. Of course, so that one inspection window can check several adjacent inner board mounting units, the inspection window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다시,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바닥부(110)에는 대응 오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 오목홈(113)은 후술하는 제 2 컨택트(30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이 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Again, referring to FIGS. 3 to 5,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second contac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operate elastically along the Y-axis direction.

이를 위해, 대응 오목홈(113)은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대응 오목홈(113)은 바닥부(110)의 Y축 방향 양 측부에서 복수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에 대응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11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314.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11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X-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314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10 in the Y-axis direction.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2 컨택트(300) 사이에는 제 1 컨택트(200)가 배치되므로,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대응 오목홈(113)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확보될 수 있어, 대응 오목홈(113)의 형성에 따른 바닥부(110)의 강도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first contac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cts 300 adjacent in the X-axis direc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113 adjacent in the Therefore, weakening of the strength of the bottom portion 110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서, 대응 오목홈(113)은 Z축 방향 양 측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되,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절개 홈 형상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대응 오목홈(113)은 제 2 컨택트(30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이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t groove with both sides in the Z-axis direction open outward and concavely recessed in the Y-axis direc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second contact 300 can operate elastically in the Y-axis direction.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110)의 상면에는 외측 지지벽부(120) 및 홀드 다운 유지벽(1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지지벽부(120)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컨택트(200,300)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홀드 다운 유지벽(130)은 후술하는 홀드 다운 구조체(400)가 결합되는 베이스를 제공하면서도, 외측 지지벽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면서도, 이들을 지지함으로써 절연 몸체(100)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n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nd a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provide a base on which first and second contacts 200 and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laced. In addition,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provides a base to which the hold down structur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connects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tructure, and supports the insulating body 100. ) is designed to reinforce the overall rigidity.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는 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130)은 외측 지지벽부(120)의 연장 방향 양 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블록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130) 사이에는 이들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측 공간(S)이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rod-shaped members tha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13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end sides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in the extension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as block-shaped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an inner space S surrounded by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the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130 may be provided.

이하에서, 외측 지지벽부(120)의 Y축 방향 양 측면 중 내측 공간(S)을 향하는 측면을 제 1 측면(122)이라 규정하고, 제 1 측면(122)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을 제 2 측면(124)이라 규정한다. Hereinafter, among both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the side facing the inner space S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122,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first side 122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side. It is defined as (124).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지지벽부(120)의 제 1 측면(122)에는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2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홈(123)은 전술한 대응 오목홈(113)과 마찬가지로 제 2 컨택트(30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이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홈이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ide 122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123 formed concavely in the Y-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123, like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described above, create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second contact 300 can operate elastically in the Y-axis direction. This is a home to provide.

이를 위해, 오목홈(123)은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오목홈(123)은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123)의 Y축 방향 측부는 대응 오목홈(113)의 Y축 방향 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컨택트(30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오목홈(123)과 대응 오목홈(113)을 출입하며 Y축의 양 방향으로 작동(또는, 이동)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23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314.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2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X-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314,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concave groove 123 may be connected to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Accordingly,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second contact 300 can be operated (or moved)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by entering and exiting the concave groove 123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한편, 본 실시예에서, 오목홈(123)은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오목홈(123)의 형태는 제 2 컨택트(30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123 is provided in a stepped form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 but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 123 is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300 ( 3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it can operate.

한편, 전술한 절연 몸체(100)의 바닥부(110), 외측 지지벽부(120) 및 홀드 다운 유지벽(130)은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서, 절연 몸체(100)는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ottom portion 110,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nd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of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body 100 may be provided as separate structures and may be combined,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insulating body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through an insert injection process.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지지벽부(120)에는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4,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are disposed o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이때, 복수의 제 1 컨택트(200)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각각에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컨택트(300)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각각에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의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즉, 제 1 컨택트(200)와 제 2 컨택트(300)는 X축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와 제 2 컨택트(300) 사이의 거리를 피치(p)라 규정한다.That is,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Hereinaft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that are adjacent in the X-axis direction is defined as pitch (p).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컨택트(200)는 소정의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핀형태의 고정형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3 to 6, the first contact 20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fixed terminal in the form of a metal pin with a certain conductivity.

본 실시예에서, 제 1 컨택트(20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컨택트(200)는 제 1 외측 결합부(210), 내측 기판 실장부(220) 및 캐리어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10. This first contact 200 may include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an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and a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측 결합부(210)는 절연 몸체(100)의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 1 외측 결합부(210)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 및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may refer to a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of the insulating body 100. 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a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and a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먼저,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지지벽부(120)의 제 2 측면(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지지벽부(120)의 제 1 측면(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dditionally,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first side 122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제 1 컨택트(200)의 제 1 외측 결합부(210)가 외측 지지벽부(120)에 Y축의 양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므로, 외측 지지벽부(120)에 의한 지지력을 기반으로 다른 커넥터와 이중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는 도 13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so that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first contact 200 is expos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so that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 1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ouble contact with other connectors based on the supporting force. The specific effects resulting from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이때,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의 X축 방향 폭 길이(w1)보다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의 X축 방향 폭 길이(w2)가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이 외측 지지벽부(120)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며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X-axis direction width w2 of the first inner contact part 214 may be longer than the X-axis direction width w1 of the first outer contact part 212. Accordingly,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contacts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over a large area and can be strongly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다음으로, 외측 지지벽부(120)의 돌출 방향 단부 측(Z축의 양의 방향 측)에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과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을 연결하는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은 Z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의 굽어진 방향 측 외면은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Next, a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connecting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and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end 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positive direction side of the Z axis). )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may be provid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in the Z-axis direction. Addition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in the curved direc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의 Z축의 음의 방향 측 단부에는 내측 기판 실장부(220)가 연결되어, Y축 방향을 따라 내측 공간(S)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기판 실장부(22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기판과 내측 기판 실장부(220) 사이에는 납땜이나 용접에 의한 금속층 및/또는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PCB 패턴이 개재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may extend into the inner space S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re is.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is a part mounted on the board on which the main plug connector 10 is placed. To this end, a PCB pattern made of a metal layer and/or adhesive material by soldering or weld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그리고,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의 Z축의 음의 방향 측 단부에는 캐리어 연결부(230)가 연결되어, Y축 방향을 따라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may exten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 along the Y-axis direction.

이때, 캐리어 연결부(230)의 연장 방향 측면(232)에는 상기 측면(23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도금층(L)이 구비될 수 있고, 캐리어 연결부(230)의 연장 방향 단부면(234)에는 상기 단부면(23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plating layer (L) may be provided on the side 232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rrier connecting portion 230 so that the side 23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end surface 234 of the carrier connecting portion 230 ) may not be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that the end surface 234 is exposed to the outside.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연결부(230)는 컨택트용 캐리어와 제 1 컨택트(20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제조 공정에서는 제 1 컨택트(200)와 컨택트용 캐리어를 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연결부(230)가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contact carrier and the first contact 200, 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is plug connector 10, the first contact 200 and This is because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may be cut to separate the contact carriers from each other.

이때, 컨택트용 캐리어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제조 공정에 컨택트(200,300)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간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 연결부(230)의 단부면(234)이 절단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단부면(234)에는 도금층(L)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carrier may refer to an intermediate material used to fix the contacts 200 and 30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ly, the end surface 234 of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is formed as a cut surface, and the plating layer L may not be provided on this end surface 234.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기판 실장부(220)는 캐리어 연결부(230)보다 Y축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측 기판 실장부(220)는 기판과 접하며 실장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may extend longer in the Y-axis direction than the carrier connecting portion 230. Through this,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will be able to secure a sufficient mounting area in contact with the board.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택트(200)의 X축 방향 측부에는 제 2 컨택트(300)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2 컨택트(300)는 소정의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핀형태의 반가동형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S. 1 to 5 and 7,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tact 300 will be spaced apart from the X-axis direction side of the first contac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The second contact 300 may be provided as a semi-mov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metal pin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본 실시예에서, 제 2 컨택트(30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컨택트(300)는 제 2 외측 결합부(310) 및 외측 기판 실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10. To this end, the second contact 300 may include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and an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본 실시예에서, 제 2 외측 결합부(310)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지지벽부(120)의 제 2 측면(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은 Y축 방향 측면이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may include a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and a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318 connecting them.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Y-axis direction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Z축의 음의 방향 단부가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으로부터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암 부분(315) 및 탄성 암 부분(315)의 연장 방향 단부에 연결되는 접촉 암 부분(316)을 포함할 수 있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extends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negative end of the Z-axis may be configured as a free en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elastic arm portion 315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318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and an extens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315. It may include a contact arm portion 316 connected to the directional end.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암 부분(315)은 Z축의 양의 방향 측 부분이 외측 지지벽부(120)의 제 2 측면(124)상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탄성 암 부분(315)의 Z축의 음의 방향 측 부분 및 그에 연결되는 접촉 암 부분(316)은 자유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 암 부분(316)은 적어도 일부가 전술한 오목홈(123) 및 대응 오목홈(113)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암 부분(316)의 Y축 방향 양 측부는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arm portion 315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ixed by coupling the portion on the positive direction side of the Z axis to the second side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nd the Z of the elastic arm portion 315 The negative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shaft and the contact arm portion 316 connected thereto may be configured as free ends.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arm portion 316 may be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above-described concave groove 123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113.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contact arm portion 316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 의하면, 제 2 컨택트(300)의 제 2 외측 결합부(310)가 외측 지지벽부(120)에 Y축의 양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므로, 외측 지지벽부(120)에 의한 지지력을 기반으로 다른 커넥터와 이중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of the second contact 300 is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o as to be exposed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so that the outer support Dual contact with other connector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support force provided by the wall portion 120.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외측 결합부(310)가 외측 지지벽부(120)에 의해서만 지지 및 보호되는 반가동형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300)는 구조적으로 중앙 섬부(또는, 내측 지지벽부)를 구비하기 어려운 플러그 커넥터(10)에도 배치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econd contac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semi-movable terminal in which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which operates elastically, is supported and protected only by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You can. Accordingly, the second contact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also be placed in the plug connector 10, which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provide a central island portion (or inner support wall por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접촉 암 부분(316)이 외력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또는, 이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접촉 암 부분(316)의 탄성적인 작동을 통하여 다른 커넥터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양 커넥터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또는,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operate (or move) in the Y-axis direction as the contact arm portion 316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so the contact arm portion 316 Through its elastic operation, the contact force with other connectors can be increased and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or contact) of both connectors can be achieved.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의 X축 방향 폭 길이(w4)는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의 X축 방향 폭 길이(w3)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이 외측 지지벽부(120)와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며 강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외력에 대한 탄성 계수가 작아질 수 있어, 탄성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X-axis direction width length (w4) of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may be longer than the X-axis direction width length (w3) of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Accordingly,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can contact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over a larger area and be strongly coupled,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can have a smaller elastic coefficient against external force, Elast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접촉 암 부분(316)은 둘레 부분이 Y축 방향으로 가지는 두께(t1)보다 중앙 부분이 Y축 방향으로 가지는 두께(t2)가 더 두껍도록, 중앙 부분이 내측 공간(S)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플러그 커넥터(1)와 다른 커넥터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arm portion 316 has an inner space ( S) may protrude convexly. Through this, the plug connector 1 and other connectors can be connected (or contacted) more reliabl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외측 지지벽부(120)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과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은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공되어,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루며 이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이 굴곡진 방향 측 외면은 외측 지지벽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318 connecting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there is.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318 may be provided in a curved form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forming a natural curved surface and connecting them. Addition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318 in the curved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그리고,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의 Z축의 음의 방향 단부에는 외측 기판 실장부(320)가 연결되어, Y축 방향을 따라 내측 공간(S)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기판과 외측 기판 실장부(320) 사이에는 납땜이나 용접에 의한 금속층이나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PCB 패턴이 개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outer board mounting part 320 is a part that is mounted on the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placed. For this, a PCB pattern made of a metal layer or adhesive material by soldering or welding is formed between the board and the outer board mounting part 320. This may be involved.

도 4에는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 사이의 PCB 패턴(PS)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PCB 패턴(PS)은 외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1 PCB 패턴(PS-1), 내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2 PCB 패턴(PS-2) 및 후술하는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3 PCB 패턴(P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PCB pattern (PS) betwe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board. These PCB patterns (PS) include the first PCB pattern (PS-1) between the outer board mounting part and the board, the second PCB pattern (PS-2) between the inner board mounting part and the board, and the hold-down side board mounting described later. It may be composed of a third PCB pattern (PS-3) between the unit and the substrate.

이때, 제 2 컨택트(300)의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제 1 컨택트(200)의 캐리어 연결부(230)보다 Y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 기판 실장부(320)와 기판은 더 넓은 면적으로 접하며 강하게 실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second contact 300 may have a longer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than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first contact 200. Through this, the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320 and the board can be strongly mounted while contacting a larger area.

또한, 이를 통해, 제 2 컨택트(300)의 외측 기판 실장부(320)와 캐리어 연결부(230)가 Y축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절연 성능을 확보하고 이들 사이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와 제 2 컨택트(300)가 X축 방향으로 더욱 밀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피치(p)가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and the carrier connecting portion 230 of the second contact 300 are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thereby securing insulation performance and preventing short circuits between them. Accordingly, the neighboring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can be arranged more closely in the X-axis direction, so the pitch p of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inimiz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30)는 지지벽부(32)에 결합되는 컨택트(35)의 폭이 같으므로, 최소한의 강도 및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컨택트(35)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To explain this in detail, referring to FIG. 22 regarding the conventional plug connector, the conventional plug connector 30 has the same width of the contact 35 coupled to the support wall portion 32, and thus has the minimum strength and There was a limit to reducing the gap between contacts 35 to ensure insulation performance.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컨택트(200) 및 제 2 컨택트(300)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제 1 컨택트(200)와 제 2 컨택트(300)가 교번적으로 배되도록 구성되므로, 컨택트 사이의 피치(p)를 줄이면서도, 같은 길이 내에 더 많은 개수의 컨택트를 배치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in the X-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s 200 and the second contacts 300, which have different widths, are arranged alternately, thereby reducing the pitch (p) between the contacts and allowing more contacts within the same length. Any number of contacts can be plac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300)가 가지는 외측 기판 실장부(320)의 연장 방향 측면(322)에는 상기 측면(3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도금층(L)이 구비될 수 있고, 외측 기판 실장부(320)의 연장 방향 단부면(324)에는 상기 단부면(32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 predetermined plating layer (L) may be provided on the side 322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second contact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o prevent the side 32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end surface 324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may not be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that the end surface 324 is exposed to the outside.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 2 기판 실장부(340)는 캐리어와 제 2 컨택트(30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본 플러그 커넥터(10)의 제조 공정에서 제 2 컨택트(300)와 캐리어를 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 2 기판 실장부(340)가 커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 2 기판 실장부(340)의 단부면(344)이 절단면으로 형성되어 도금층(L)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is is becaus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oard mounting unit 34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carrier and the second contact 300, 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second contact 300 This is because the second board mounting portion 340 can be cut to separate the and carrier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end surface 344 of the second substrate mounting portion 340 may be formed as a cut surface and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plating layer L.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컨택트(200)의 내측 기판 실장부(220)와 제 2 컨택트(300)의 외측 기판 실장부(320)가 Y축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 1 컨택트(200)와 제 2 컨택트(300)가 X축 방향으로 인접하더라도, 내측 기판 실장부(220)와 외측 기판 실장부(320) 사이의 절연 성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양 구성 사이의 쇼트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피치(p)를 최소화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220 of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second contact 300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Y axis. become separated.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 short circuit between both component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inimize the pitch (p).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 1 컨택트(200)는 다른 외측 지지벽부(120)에 배치된 제 2 컨택트(300)와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 1 컨택트(200)는 다른 외측 지지벽부(120)에 배치된 제 1 컨택트(200)와 Y축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200 disposed on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is aligned with the second contact 300 disposed on the other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contact 200 disposed on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is arranged to be offset from the first contact 200 disposed on the other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in the Y-axis direction. It can be.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서로 다른 외측 지지벽부(120)에 배치된 제 1 컨택트(200)의 내측 기판 실장부(220)가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절연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가 Y축 방향으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10)가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arrangement,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s 220 of the first contacts 200 disposed on different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secured. Accordingly, since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can be positioned closer to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configured more compactly.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홀드 다운 유지벽(130)에는 홀드 다운 구조체(4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구조체(400)는 본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의 일 부분을 내측 공간(S)으로 가이드하고, 절연 몸체(100)의 홀드 다운 유지벽(130)을 외부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드 다운 구조체(4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 a hold down structure 400 may be provided on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structure 400 guides a portion of another connector coupled with the main plug connector 10 to the inner space S, and holds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of the insulating body 100.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against external shock or contamination. To this end, the hold down structure 400 may be made of metal with a predetermined rigidity.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구조체(400)는 상면 보호부(410), 내면 보호부(420), 외면 보호부(430), 측면 보호부(440) 및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structure 400 includes a top protection part 410, an inner protection part 420, an outer protection part 430, a side protection part 440, and a hold down side board mounting part 450. It can be included.

먼저, 상면 보호부(41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되어,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면 보호부(410)는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First, the upp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410 may be provided as a flat member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410 may have a sufficient area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X축 방향 양 측면 중 내측 공간(S)을 바라보면 측면은 상면 보호부(410)로부터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내면 보호부(420)에 의하여 커버 및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내면 보호부(420)는 상기 측면을 전체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연장 방향 단부가 바닥부(110)에 인접하게 되는 길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looking at the inner space (S) of both sides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in the It can be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protection unit 420. At this time, the inner protection part 420 may be extended to a length where an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bottom part 110 so as to protect the side surface as a whol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X축 방향 양 측면 중 내측 공간(S)의 외측을 바라보면 측면은 상면 보호부(410)로부터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외면 보호부(430)에 의하여 커버 및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면 보호부(430)는 상기 측면을 전체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 Next, in this embodiment, when look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 among both sides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in the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vered and protected by a shaped outer protection portion 430.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430 may sufficiently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to protect the side surface as a whole.

그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Y축 방향 양 측면은 상면 보호부(410)로부터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되 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 보호부(440)에 의하여 각각 커버 및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 보호부(440)는 상기 측면의 상당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 Next, in this embodiment, both sides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in the Y-axis direction are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protection parts 440 that extend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from the top protection part 410 and have a plate shape. ) can be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each. At this time, the side protection portion 440 may sufficiently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to co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ide surface.

본 실시예에서, 내면 보호부(420), 외면 보호부(430) 및 측면 보호부(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술한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는 홀드 다운 유지벽(130)을 관통하며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의 일 부분이 홀드 다운 유지벽(130) 내에 실장됨으로써, 홀드 다운 구조체(400)와 홀드 다운 유지벽(130)이 서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inner protection part 420, the outer surface protection part 430, and the side protection par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hold down side board mounting part 450. This hold down side board mounting portion 450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In this way, a portion of the hold down side substrate mounting portion 450 is mounted within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so that the hold down structure 400 and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can be strongly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는 적어도 일부가 홀드 다운 유지벽(130)의 하측 방향(Z축의 음의 방향)으로 노출되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드 다운 구조체(400)는 기판과의 결합력을 기반으로 하여, 절연 몸체(100)를 더 강하게 지지하고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side board mounting portion 450 may b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 down side board mounting portion 450 is expo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board. . Accordingly, the hold down structure 400 can support the insulating body 100 more strongly and reinforce its rigidity based on the bonding force with the substrate.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기판 사이에 형성된 PCB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도 1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 1 컨택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different drawings.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11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lan view of a PCB pattern formed between a connector and a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I-II of FIG. 11.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s 15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econd conta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1에 도시됨)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9 to 11,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ceptacle connector 20. At this time,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shape-fittedly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절연 몸체(500), 제 1 컨택트(600), 제 2 컨택트(700) 및 홀드 다운 구조체(8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절연 몸체(500)는 바닥부(510),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530),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 및 한 쌍의 내측벽(550)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ceptacle connector 20 may include an insulating body 500, a first contact 600, a second contact 700, and a hold down structure 800. And,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body 500 includes a bottom portion 510,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a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530,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and It may include a pair of inner walls 55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몸체(500)의 바닥부(5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Y축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510)의 중앙 부분에는 검사창(511)이 구비될 수 있다. 검사창(511)의 기능은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3에 도시됨)의 검사창(111)(도 3에 도시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portion 510 of the insulating body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Y-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n inspection window 511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510. The inspection window 511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inspection window 111 (shown in FIG. 3) of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창(511)은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검사창(511)이 모든 내측 기판 실장부(640)의 실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검사창(511)은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적어도 한 개의 내측 기판 실장부(640)를 확인할 수 있도록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spection window 511 may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one inspection window 511 may extend long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the mounting state of all inner board mounting portions 640 can be checked.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wo or more inspection windows 511 are provided and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그리고,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몸체(500)의 바닥부(510)에는 대응 오목홈(51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 오목홈(513)은 후술하는 제 2 컨택트(700)의 제 2 내측 접촉부(720)가 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And, referring to FIGS. 11 and 13, the bottom portion 510 of the insulating body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operate elastically along the Y-axis direction.

이를 위해, 대응 오목홈(513)은 제 2 내측 접촉부(720)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대응 오목홈(513)은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의 Y축 방향 양 측부에서 복수의 제 2 내측 접촉부(720)에 대응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51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72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51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X-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inner contact parts 720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540 in the Y-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대응 오목홈(513)은 Z축 방향 양 측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되,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절개 홈 형상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대응 오목홈(513)은 제 2 컨택트(700)의 제 2 내측 접촉부(720)가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t groove with both sides in the Z-axis direction open outward and concavely recessed in the Y-axis direc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700 can operate elastically in the Y-axis direction.

한편, 바닥부(510)의 상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벽부(520), 홀드 다운 유지벽(530), 내측 지지벽부(540) 및 내측벽(550)이 Z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지지벽부(520) 및 홀드 다운 유지벽(530)은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1에 도시됨)의 외측 지지벽부(120)(도 1에 도시됨) 및 홀드 다운 유지벽(130)(도 1에 도시됨)과 유사한 기능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530) 사이에는 이들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S1,S2)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510,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530,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the inner wall 550 are protruded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You can. Here,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5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hown in FIG. 1) of the aforementioned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and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130 (shown in FIG. 1) and may be configured with similar functions and structures. Accordingly, inner spaces S1 and S2 surrounded by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s 520 and the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530 may be provided.

이때,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는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는 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홀드 다운 유지벽(530) 사이에는 한 쌍의 내측벽(550)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벽(550)은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의 연장 방향 양 단부 측에서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블록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5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arts 520.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inner walls 5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hold down retaining walls 530. The pair of inner walls 550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block-shaped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s 540 in the extension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는 후술하는 제 1 컨택트(600)의 일 부분이 배치되는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한 쌍의 내측벽(550)은 후술하는 홀드 다운 구조체(800)가 결합되는 베이스를 제공하면서도, 내측 지지벽부(540)를 지지함으로써 절연 몸체(500)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are configured to provide a base o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laced. In addition, the pair of inner walls 550 provides a base to which the hold down structure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is configured to reinforc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insulating body 500 by supporting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

이때, 본 실시예에서, 내측 공간(S1,S2)은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에 의하여 제 1 내측 공간(S1) 및 제 2 내측 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 공간(S1,S2)을 제 1 내측 공간(S1)이라 하고, 내측 지지벽부(540)와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 공간(S1,S2)을 제 2 내측 공간(S2)이라 규정한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paces S1 and S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inner space S1 and a second inner space S2 by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Hereinafter, the inner spaces S1 and S2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ortions 540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inner space S1, and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The inner space (S1, S2) is defined as the second inner space (S2).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할 때, 내측 지지벽부(540)의 Y축 방향 양 측면 중 제 1 내측 공간(S1)을 향하는 측면을 제 1 측면(542)이라 규정하고, 제 1 측면(542)에 대향하는 측면을 제 2 측면(544)이라 규정한다. 달리 표현하면, 내측 지지벽부(540)의 제 2 측면(544)은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when referring to FIGS. 11 to 13, the side facing the first inner space S1 among both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542, and the first side ( The side opposite to 542) is defined as the second side 544. In other words, the second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may be configured to face the second inner space S2.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지지벽부(540)의 제 2 측면(544)에는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54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홈(545)은 전술한 대응 오목홈(513)과 마찬가지로 제 2 컨택트(700)의 제 2 내측 접촉부(720)가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홈이다. At this time, a concave groove 545 formed concavely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545, like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described abov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700 can operate elastically in the Y-axis direction. This is a home for doing this.

이를 위해, 오목홈(545)은 제 2 내측 접촉부(720)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오목홈(545)은 제 2 내측 접촉부(720)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545)의 Y축 방향 측부는 대응 오목홈(513)의 Y축 방향 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컨택트(700)의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오목홈(545)과 대응 오목홈(513)을 출입하며 Y축의 양 방향으로 작동(또는, 이동)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545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720.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54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X-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s 7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concave groove 545 may be connected to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Accordingly,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700 can be operated (or moved)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by entering and exiting the concave groove 545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513.

한편, 본 실시예에서, 오목홈(545)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오목홈(545)의 형태는 제 2 컨택트(700)의 제 2 내측 접촉부(720)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545 extends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an open form at both ends in the extension direc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 545 is located on the second inner side of the second contact 700.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720 can operate.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측 지지벽부(520) 및 내측 지지벽부(540)에는 복수의 제 1 컨택트(600)가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600) 사이에는 복수의 제 2 컨택트(7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컨택트(600)와 제 2 컨택트(700)는 X축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9 to 13,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are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Additionally,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700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600 in the X-axis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앞서 설명한 플러그 커넥터(10)(도 1에 도시됨)의 제 1 컨택트(200)(도 1에 도시됨) 및 제 2 컨택트(300)(도 1에 도시됨)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at of the first contact 200 (shown in FIG. 1) of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described above. shown) and the second contact 300 (shown in FIG. 1).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의 구조 및 다른 구성들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택트(600)는 다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 핀 형태를 가지는 고정형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Below,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 referring to FIGS. 11 to 14, the first contact 6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fixed terminal in the form of a metal pin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of another connector.

이러한 제 1 컨택트(600)는 제 1 외측 결합부(610), 제 1 내측 결합부(620), 제 1 중앙 연결부(630), 내측 기판 실장부(640) 및 캐리어 연결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외측 결합부(610)는 제 1 외측 유지 부분(612), 제 1 외측 접촉 부분(614) 및 제 1 외측 연결 부분(616)을 포함할 수 있다.This first contact 600 may include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a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a first central connecting portion 630, an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640, and a carrier connecting portion 650. You can. And,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may include a first outer holding portion 612, a first outer contact portion 614, and a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616.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1 외측 유지 부분(612), 제 1 외측 접촉 부분(614), 제 1 외측 연결 부분(616) 및 캐리어 연결부(650)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3에 도시됨)의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 및 캐리어 연결부(230)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holding portion 612,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614, the first outer connecting portion 616, and the carrier connecting portion 650 are the plug connector 10 described above (FIG. 3 may be configured identically to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the first outer connection portion 216, and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shown in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측 결합부(620)는 제 1 내측 유지 부분(622),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 및 제 1 내측 연결 부분(626)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내측 유지 부분(622)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 지지벽부(540)의 제 1 측면(5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내측 지지벽부(54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 지지벽부(540)의 제 2 측면(54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내측 지지벽부(54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ner coupling part 6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inner holding part 622, a first inner contact part 624, and a first inner connection part 626. First, the first inner holding portion 62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first side 542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62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dditionally,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624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62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제 1 컨택트(600)의 제 1 외측 접촉 부분(614) 및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이 Y축의 양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므로, 내측 지지벽부(540)에 의한 지지력을 기반으로 다른 커넥터와 이중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so that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614 and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624 of the first contact 600 are exposed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so that the inner support Dual contact with other connector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support force provided by the wall portion 540.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1 내측 결합부(620)의 X축 방향 폭 길이(w5)는 제 1 외측 결합부(610)의 X축 방향 폭 길이(w6)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측 결합부(620)는 내측 지지벽부(540)와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X-axis direction width length (w5) of the first inner coupling part 620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X-axis direction width length (w6) of the first outer coupling part 610. Accordingly, the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can be more strongly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 결합부(610)와 제 1 내측 결합부(620) 사이에는 제 1 중앙 연결부(6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중앙 연결부(630)는 절연 몸체(500)의 바닥부(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중앙 연결부(630)의 상면은 바닥부(5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central connection portion 6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and the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entral connection part 63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art 510 of the insulating body 50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entral connection part 630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51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기판 실장부(640)는 제 1 내측 유지 부분(622)의 Z축의 음의 방향 측 단부에 연결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제 1 내측 공간(S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내측 기판 실장부(640)는 본 리셉터클 커넥터(2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기판과 내측 기판 실장부(640) 사이에는 납땜이나 용접에 의한 금속층 및/또는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PCB 패턴이 개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6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ner holding portion 622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extends into the first inner space S1 along the Y-axis direction. You can.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640 is a part mounted on the board on which the main receptacle connector 20 is placed. To this end, a PCB pattern made of a metal layer and/or adhesive material by soldering or weld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640.

도 12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 사이의 PCB 패턴(RS)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PCB 패턴(RS)은 후술하는 외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1 PCB 패턴(RS-1), 내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2 PCB 패턴(RS-2) 및 후술하는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와 기판 사이의 제 3 PCB 패턴(R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gure 12 shows the PCB pattern (RS)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board. These PCB patterns (RS) include the first PCB pattern (RS-1) between the outer board mounting part and the boar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PCB pattern (RS-2) between the inner board mounting part and the board, and the hold down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formed as a third PCB pattern (RS-3) betwe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the board.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컨택트(700)는 다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 핀 형태를 가지는 가동형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11 to 13 and 15, the second contact 7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mov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metal pin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of another connector. .

이러한 제 2 컨택트(700)는 제 2 외측 결합부(710), 제 2 내측 접촉부(720), 제 2 중앙 연결부(730) 및 외측 기판 실장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 결합부(710)는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 접촉 돌기(7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기판 실장부(740)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3에 도시됨)의 외측 기판 실장부(3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is second contact 700 may include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a second central connection portion 730, and an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740. And,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may include a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a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a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716, and a contact protrusion 718. At this time,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7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먼저,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지지벽부(520)의 제 2 측면(5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외측 지지벽부(5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의 Z축 방향 측 단부에는 전술한 외측 기판 실장부(74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지지벽부(520)의 제 1 측면(5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은 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외측 지지벽부(5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 524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dditionally,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74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in the Z-axis direction. Meanwhil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first side 522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ide facing the Y-axis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다음으로, 외측 지지벽부(120)의 돌출 방향 단부 측(Z축의 양의 방향 측)에는 제 2 외측 유지 부분(712)과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은 Z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의 굽어진 방향 측 외면은 외측 지지벽부(52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Next, a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716 connects the second outer holding portion 712 and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on the protruding end 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positive direction side of the Z axis). )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716 may be provid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in the Z-axis direction. Addition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716 in the curved direc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이때, 본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 부분(714)의 측부에는 접촉 돌기(718)가 제 2 내측 공간(S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돌기(718)는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들어온 다른 커넥터의 일 부분이 걸리며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두 커넥터의 안정적인 연결(또는,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돌기(718)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71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 contact protrusion 718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inner space S2 on the side of the outer contact portion 714. This contact protrusion 718 is configured to catch and fix a part of another connector that has entered the second inner space S2, thereby realizing a stable connection (or contact) of the two connectors. At this time, the contact protrusion 718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connection portion 716.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접촉 돌기(718)는 Z축의 음의 방향으로 갈수록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으로부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이격된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돌출면(718a) 및 Z축의 음의 방향으로 갈수록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으로부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이격된 높이가 감소하는 제 2 돌출면(71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돌출면(718a) 보다 제 2 돌출면(718b)이 더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전술한 걸림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rotrusion 718 is a first protruding surface 718a whose height increases from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to the second inner space S2 as it goes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ding surface 718b whose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to the second inner space S2 decreases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718b is configured to be more inclined than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718a, so that the above-described locking func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전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Z축의 양의 방향 단부 측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내측 지지벽부(540)의 제 2 측면(5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적어도 일부가 내측 지지벽부(540)의 오목홈(545)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extends overall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positive end of the Z-axis is configured as a free end, so that the second side 544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It can be placed on top.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may be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concave groove 545 of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탄성적으로 작동하며,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들어오는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 2 내측 접촉부(720)는 탄성 암 부분(722) 및 접촉 암 부분(7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perates elastically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nnector entering the second inner space S2. To this e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may include an elastic arm portion 722 and a contact arm portion 724.

본 실시예에서, 탄성 암 부분(722)은 후술하는 제 2 중앙 연결부(730)의 Y축 방향 일 단부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암 부분(724)은 탄성 암 부분(722)의 연장 방향 단부 측에 자유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촉 암 부분(724)은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여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접촉 암 부분(724)은 전술한 접촉 돌기(718)와 마찬가지로 걸림 기능 및 연결(또는, 접촉) 기능을 일거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arm portion 722 may extend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from one end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central connection portion 7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contact arm portion 724 may be provided as a free end at an end of the elastic arm portion 722 in the extension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tact arm portion 724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second inner space S2. In this way, the contact arm portion 72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locking function and a connection (or contact) function at the same time, similar to the contact protrusion 718 described above.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의하면, 제 2 컨택트(300)의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 및 제 2 내측 접촉부(720)가 Y축의 양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므로, 외측 지지벽부(520) 및 바닥부(510)에 의한 지지력을 기반으로 다른 커넥터와 이중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300 are coupled to be exposed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so that the outer Dual contact with other connector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supporting force provided by the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bottom portion 510.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2 컨택트(700)는 제 2 외측 결합부(710)가 X축 방향으로 가지는 폭 길이(w7)가 제 2 내측 접촉부(720)의 X축 방향 폭 길이(w8)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외측 결합부(710)는 외측 지지벽부(520)와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length (w7) of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700 is equal to the width length (w8) of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in the It can be configured to be longer. Accordingly,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can be more strongly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접촉 암 부분(724)은 둘레 부분의 두께(t3)보다 중앙 부분의 두께(t4)가 더 두껍도록, 중앙 부분이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플러그 커넥터(1)와 다른 커넥터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arm portion 724 has a central portion that protrudes convexly toward the second inner space (S2) such that the thickness (t4) of the central portion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t3) of the peripheral portion. You can. Through this, the plug connector 1 and other connectors can be connected (or contacted) more reliabl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측 공간(S2)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닥부(510)에는 제 2 외측 결합부(710)와 제 2 내측 접촉부(720)를 연결하는 제 2 중앙 연결부(7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중앙 연결부(730)는 Z축의 음의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공되어,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루며 이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중앙 연결부(730)의 상면은 외측 바닥부(5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다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art 510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inner space S2 has a second central connection part 730 connecting the second outer coupling part 710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art 720. )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second central connection part 73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form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forming a natural curved surface and connecting them. Als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ntral connection part 730 is exposed above the outer bottom part 510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of another connector.

다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절연 몸체(500)에는 홀드 다운 구조체(800)가 결합될 수 있다. 홀드 다운 구조체(8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절연 몸체(500)의 X축 방향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구조체(800)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도 1에 도시됨)의 홀드 다운 구조체(400)(도 1에 도시됨)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9 to 11 , the hold down structure 800 may be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5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structures 80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body 500 in the X-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structure 80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hold down structure 400 (shown in FIG. 1) of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described above.

이러한 홀드 다운 구조체(800)는 홀드 다운 유지벽 상면 보호부(810), 홀드 다운 유지벽 내면 보호부(820), 중앙측 바닥 보호부(830), 내측벽 외면 보호부(840), 외측 지지벽부 상면 보호부(850), 외측 지지벽부 내면 보호부(860), 사이드측 바닥 보호부(870), 걸림 돌기(880) 및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890)를 포함할 수 있다. This hold down structure 800 includes a hold down retaining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10, a hold down retaining wall inn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20, a central bottom protection portion 830, an inner wall out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40, and an outer support. It may include a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art 850, an outer support wall inner surface protection part 860, a side bottom protection part 870, a locking protrusion 880, and a hold-down side board mounting part 890.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유지벽 상면 보호부(810), 홀드 다운 유지벽 내면 보호부(820), 내측벽 외면 보호부(840), 외측 지지벽부 상면 보호부(850), 외측 지지벽부 내면 보호부(860)는 각각 홀드 다운 유지벽(530)의 Z축의 양의 방향을 향하는 상면, 홀드 다운 유지벽(530)의 내측 공간(S1,S2)을 향하는 측면, 내측벽(550)의 제 1 내측 공간(S1)의 외측을 향하는 측면, 외측 지지벽부의 Z축의 양의 방향을 향하는 상면, 외측 지지벽부의 내측 공간(S1,S2)을 향하는 측면을 커버하며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art 810,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inner surface protection part 820, the inner wall outer surface protection part 840, the outer support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art 850, the outer support wall inner surface. The protection portion 860 includes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530, the side facing the inner spaces S1 and S2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5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all 550. 1 A plate-shaped member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the side facing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S1),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facing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and the side surface facing the inner spaces (S1, S2)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It can be provided as .

이때, 각각의 홀드 다운 유지벽 상면 보호부(810), 홀드 다운 유지벽 내면 보호부(820), 내측벽 외면 보호부(840), 외측 지지벽부 상면 보호부(850), 외측 지지벽부 내면 보호부(860)는 보호되는 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 부분이 굴곡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10,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inn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20, the inner wall out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40, the outer support wall upp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850, and the outer support wall inner surface protection portion. The portion 860 may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cover the entire protected surface, and a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if necessary.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홀드 다운 유지벽(530)과 내측벽(550) 사이에 구비되는 바닥부(510)의 상면은 중앙측 바닥 보호부(830) 및 중앙 바닥측 보호부(830)의 Y축 방향 양 측부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측 바닥 보호부(870)에 의하여 커버되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중앙측 바닥 보호부(830) 및 사이드측 바닥 보호부(870)는 Y축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상면의 중앙 부분 및 양 측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510 provided between the hold down retaining wall 530 and the inner wall 550 includes the center bottom protection portion 830 and the center bottom protection portion. It can be covered and protected by a pair of side bottom protection parts 870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830 in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center floor protection portion 830 and the side floor protection portion 870 may be provided as plate-shaped members so as to cover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when viewed in the Y-axis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측 바닥 보호부(870)의 Y축 방향 측부에는 Z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8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걸림 돌기(880)는 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또는,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880)는 제 2 내측 공간(S2)으로 들어온 다른 커넥터의 일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 돌기(88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외측 지지벽부(520)의 측면 및 외측 지지벽부 내면 보호부(860)에는 걸림 돌기(880)가 작동(또는,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 locking protrusion 880 protrud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may be provided on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side floor protection portion 870.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880 may be configured to elastically operate (or move) in the Y-axis direction. This locking protrusion 880 can elastically support and fix a portion of another connector that has entered the second inner space S2. At this time, for smooth oper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880, a spac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880 can be operated (or mov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inner protection portion 860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A predetermined groove or hole may be formed to do this.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홀드 다운 구조체(800)의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890)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홀드 다운 구조체(400)가 가지는 홀드다운측 기판 실장부(450)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0, the hold down side substrate mounting unit 890 of the hold down structur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hold down side substrate mounting portion of the hold down structure 400 of the plug connector 10 described above. It may have a similar function and configuration as the unit 450.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drawings will be different to describe in detail the effect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bined state.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형상 맞춤되며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러그 커넥터(10)의 내측 공간(S)(도 1에 도시됨)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내측 지지벽부(540)가 형상 맞춤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2 내측 공간(S2)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지지벽부(120)가 형성 맞춤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shape-fit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may be shape-fitted into the inner space S (shown in FIG. 1)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of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formed and fitted into the inner space S2.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홀드 다운 구조체(4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홀드 다운 구조체(800)는 커넥터의 대응되는 부분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hold down structure 40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hold down structure 8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guid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or.

이때,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2 컨택트(300)가 가지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1 컨택트(600)가 가지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614)과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탄성적으로 작동하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1 컨택트(600)가 가지는 제 1 내측 접촉 부분(624)과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이중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또는,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of the second contact 30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614 of the first contact 6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It can be connected (or contacted),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plug connector 10 operates elastically and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314) of the first contact 6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has a 624)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in contact). In this way,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in double contact and can maintain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or contact).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컨택트(200)가 가지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2 컨택트(700)가 가지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714)과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2 컨택트(700)가 가지는 제 2 내측 접촉부(720)와 탄성적으로 작동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촉)될 수 있다.Likewise,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of the first contact 20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714 of the second contact 7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It may be connected (or in contact), and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of the plug connector 10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of the second contact 7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It operates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tacted).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2 컨택트(700)가 가지는 접촉 돌기(718) 와 제 2 내측 접촉부(720)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컨택트(200)가 걸리며 고정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연결(또는, 접촉)이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contact 20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caught and fixed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718 of the second contact 7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n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making it more stable. Connection (or contact) may be implemented.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different drawings. Figure 1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9,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간단한 공정으로 쉽고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상술한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S. 1, 9, 17, and 18,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be easily and quickly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process. . As a specific example, the above-described effect will be explained through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미도시)를 제공한다(S100). 이때, 컨택트용 캐리어(C)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가 연결된 부재를 의미할 수 있고,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는 후술하는 홀드 다운 구조체(800)가 연결된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17 and 18,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not shown) are first provided (S100) ). At this time, the contact carrier (C) may refer to a member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and the carrier for the hold down structure may refer to a member to which the hold down structure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here is.

본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제 1 캐리어(C1) 및 제 2 케리어(C2)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C1)는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제공되며, 일 변에 복수의 제 1 컨택트(600)가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연결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act carrier (C)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may be provided. The first carrier C1 is provided as a square-shaped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on one side may be arranged and connected along the X-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컨택트(600)는 그 사이 마다 제 2 컨택트(7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컨택트(700)는 그 사이 마다 제 1 컨택트(6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캐리어(C2)도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제공되어, 일 변에 복수의 제 2 컨택트(700)가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may be regularly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econd contacts 700 can be placed between them. Likewise,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700 may be regularly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contacts 600 can be placed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second carrier C2 is also provided as a square-shaped flat plate,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700 on one side can be arranged and connected along the X-axis direction.

이때, 제 1 캐리어(C1), 제 1 컨택트(600), 제 2 캐리어(C2) 및 제 2 컨택트(700)의 외면에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도금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캐리어(C1) 및 제 2 캐리어(C2)는 각각 제 1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가 연결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plating layer may be provided entirely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arrier C1, the first contact 600, the second carrier C2, and the second contact 700. Meanwhile, the shape of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캐리어(C1)에는 복수의 제 1 위치 조정홀(C1-h)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위치 조정홀(C1-h)은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캐리어(C2)에는 복수의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구비될 수 있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rrier C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may be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Likewise, the second carrier C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s C2-h.

여기서, 복수의 제 2 위치 조정홀(C2-h)은 복수의 제 1 위치 조정홀(C1-h)의 개수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위치 조정홀(C2-h)은 복수의 제 1 위치 조정홀(C1-h)이 배열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s (C2-h)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Also, the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s (C2-h)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are arranged.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제 1 컨택트(600) 사이에 제 2 컨택트(700)가 각각 배치되도록 제 1 캐리어(C1)와 제 2 캐리어(C2)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컨택트용 캐리어(C)를 형성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17 and 18,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act carrier C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70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respectively. The contact carrier C can be formed by stacking the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1 캐리어(C1)와 제 2 캐리어(C2)는 서로 대응되는 제 1 위치 조정홀(C1-h)과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서로 중첩됨에 따라 동축 배열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위치 조정홀(C1-h) 및 제 2 위치 조정홀(C2-h)은 작업자 또는 자동화 장치가 제 1 캐리어(C1)와 제 2 캐리어(C2)의 상대적인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have corresponding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C1-h) and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s (C2-h) that overlap each other. They can be arranged coaxially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C1-h)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allow the operator or automated device to easily adjus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It can be induced.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컨택트(600)는 제 1 캐리어(C1)에 연결되고 제 2 컨택트(700)는 제 2 캐리어(C2)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 컨택트(600)와 제 2 컨택트(700)가 반드시 서로 다른 캐리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ontact 7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rrier C2. However,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different carrier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 1 컨택트(600) 및 이웃하는 제 1 컨택트(700)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2 컨택트(700)는 한 개의 캐리어(C’)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1,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700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700 are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carrier (C').

다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제공하고(S100),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배치한다(S200).Referring again to FIGS. 17 to 2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are provided (S100), and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are arranged (S200).

이때,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의 제 1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컨택트용 캐리어(C)에서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가 형성된 일 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가 2열로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of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other words,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ides of the contact carrier C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are formed face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connected to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may be arranged in two rows.

그리고,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의 홀드 다운 구조체(80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800)는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가 배열된 방향(X축 방향)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carrier for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s, the hold down structures 800 of the carriers for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s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s 80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are arranged (X-axis direction).

다음으로, 다시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및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배치하고(S200),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와 홀드 다운 구조체(800)가 결합되는 절연 몸체(500)를 형성한다(S300). Next, referring again to FIGS. 17 and 2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are disposed (S200).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and the hold down structure 800 are combined to form an insulating body 500 (S30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몸체(5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절연 몸체(500)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사출 성형은 제 1 및 제 2 캐리어(600,700)나 홀드 다운 구조체(800)와 같은 금속 부재가 배치된 형틀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 후 수지를 응고시킴으로써, 금속 부재와 수지가 응고되어 형성된 부재가 서로 결합된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body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body 500 may be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olding process. Here, insert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by injecting molten resin into a mold where metal member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carriers 600 and 700 or the hold down structure 800 are placed and then solidifying the resin, so that the metal member and the resin are solidified. It may refer to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ssembly in which formed members are joined to each other.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모든 컨택트(600,700)들이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에 모두 연결됨으로써 절연 몸체(500)가 한 번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쉽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 the contacts 600 and 7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re connected to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thereby forming the insulating body 500 at once. Therefore, the receptacle connector 20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quickly through a simple process.

다음으로, 다시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절연 몸체(500)를 형성하고(S300), 제 1 및 제 2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와 컨택트용 캐리어(C)를 분리하고, 홀드 다운 구조체(800)와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분리한다(S400). 이를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제조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again to FIGS. 17 and 2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ulating body 500 is formed (S3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the second The contact 700 and the contact carrier (C) are separated, and the hold down structure 800 and the carrier for the hold down structure are separated (S400). Through this, the receptacle connector 20 can be manufactured.

본 실시예에서, 제 1 컨택트(600) 및 제 2 컨택트(700)를 분리하는 단계에서는 제 1 컨택트(600)의 캐리어 연결부(650)를 절단하고, 제 2 컨택트(700)의 외측 기판 실장부(740)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 연결부(650) 및 외측 기판 실장부(740)는 소정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650 of the first contact 600 is cut and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700 is cut. (740) can be cut. At this time,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650 and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740 may be cut along a predetermined cutting line CL.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연결부(650)의 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된 소정의 단부면(654)이 절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기판 실장부(740)의 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된 소정의 단부면(744)이 절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a predetermined end surface 654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s a cut surface at the end of the carrier connection portion 650, and as shown in FIG. 15,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740 ) At the end, a predetermined end surface 744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s a cut surface.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도 전술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쉽고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can be easily and quickly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process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도 18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1 및 제 2 컨택트(600,700) 대신에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제 1 및 제 2 컨택트(200,300)가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캐리어(C1,C2)를 제공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Looking specifically, in the step of providing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is used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600 and 7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hown in FIG. 18.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manufactured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carriers C1 and C2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200 and 3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플러그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
100 500: 절연 몸체 200 600: 제 1 컨택트
300 700: 제 2 컨택트 400 800: 홀드 다운 구조체
C: 컨택트용 캐리어 CL: 절단선
10: plug connector 20: receptacle connector
100 500: insulating body 200 600: first contact
300 700: second contact 400 800: hold down structure
C: Carrier for contact CL: Cutting line

Claims (20)

평판 형상의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돌출되되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사이에 소정의 내측 공간(S)이 구비되는 절연 몸체(100);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각각에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200) 중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2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택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1 외측 결합부(210) 및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10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3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에 결합되는 제 2 외측 결합부(31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31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측 기판 실장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
It includes a flat bottom portion 110 and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that protrude from the bottom portion 110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 insulating body 100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ner space S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300 each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20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contact 200 is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to the inner space S to provide the insulation It includes an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board on which the body 100 is placed,
The second contact 300 is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 to form the substrate. A connector 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320 configured to be mounted 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내측 공간(S)을 향하는 제 1 측면(122)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제 1 측면(122)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24)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 및
상기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과 상기 제 1 외측 접촉 부분(212)을 연결하는 제 1 외측 연결 부분(21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220)는
상기 제 1 내측 접촉 부분(214)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is
A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coupled to the first side 122 facing the inner space S among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coupled to a second side 124 opposite the first side 122 of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first outer connecting portion 216 connecting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and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212,
The inner substrate mounting unit 220 is
A connector (10)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contact portion (2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에는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220)를 바라볼 수 있도록 검사창(111)이 구비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2,
In the bottom 110,
A connector 10 provided with an inspection window 111 to view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200)는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21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S)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리어 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케리어 연결부(230)는
연장 방향 측면(23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고, 연장 방향 단부면(234)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contact 200 is
It includes a carrier connection portion 230 extending from the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21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
The carrier connection part 230 is
The connector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side surface 232 is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end surface 234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연결부(230)는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4,
The carrier connection part 230 is
A connector 10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bstrate mounting portion 3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연장 방향 측면(32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고, 연장 방향 단부면(324)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220)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320 is
The extension direction side surface 322 is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end surface 324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extension direction end of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220,
A connector (10)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31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내측 공간(S)을 바라보는 제 1 측면(122)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양 측면(122,124) 중 상기 제 1 측면(122)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24)에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 및
상기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과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을 연결하는 제 2 외측 연결 부분(318)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320)는
상기 제 2 외측 접촉 부분(312)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310 is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coupled to the first side 122 facing the inner space S among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coupled to the second side 124 opposite the first side 122 among the two sides 122 and 124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second outer connecting portion 318 connecting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and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The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320 is
A connector (10)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3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상기 제 1 측면(1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홈(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내측 접촉 부분(314)은
외력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오목홈(123) 내에서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7,
The first side 122 of the outer support wall 1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123 recessed inward,
The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314 is
A connector (10) composed of a free end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operated within the concave groove (123)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1 컨택트(200)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2 컨택트(300)는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120)가 배열된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contact 200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nd the second contact 300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re The connector 10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s 120 are arranged (Y-axis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200)와 상기 제 2 컨택트(30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커넥터(10).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nector (10) wherein the first contact (200) and the second contact (300)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120).
평판 형상의 바닥부(510), 상기 바닥부(510)로부터 돌출되되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및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제 1 내측 공간(S1)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와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 사이에 제 2 내측 공간(S2)이 구비되는 절연 몸체(500);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420) 각각에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600);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600) 중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5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택트(6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에 결합되는 제 1 외측 결합부(610),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에 결합되는 제 1 내측 결합부(620), 상기 제 1 외측 결합부(610)와 상기 제 1 내측 결합부(620)를 연결하는 제 1 중간 연결부(630) 및 상기 제 1 내측 결합부(620)로부터 상기 제 1 내측 공간(S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500)가 놓이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측 기판 실장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70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에 결합되는 제 2 외측 결합부(710) 및 상기 제 2 외측 결합부(710)로부터 상기 절연 몸체(5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측 기판 실장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20).
A flat bottom portion 510, a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510 and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It includes a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540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between 520, and a first inner space between the pair of inner support wall parts 540. an insulating body 500 provided with (S1) and a second inner space (S2)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and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420;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6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700 each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50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contact 600 is
A first outer coupling portion 6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rst inner coupling portion 620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630 connecting the first outer coupling part 610 and the first inner coupling part 620, and the first inner space (S1) from the first inner coupling part 620 It includes an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640 that extends and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board on which the insulating body 500 is placed,
The second contact 700 is
A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upling portion 71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500 to connect the substrate to the substrate. The contact 2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740 configured to be mounted 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600)와 상기 제 2 컨택트(700)는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커넥터(20).
According to clause 11,
The first contact 600 and the second contact 700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600)는 상기 절연 몸체(500)에 고정된 고정형 단자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컨택트(700)는 가동형 단자로 제공되도록,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와 상기 외측 지지벽부(5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 2 내측 공간(S2)을 향하는 상기 내측 지지벽부(540)의 측면(544) 상에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2 내측 접촉부(720)를 포함하는, 커넥터(20).
According to clause 12,
The first contact 600 is provided as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insulating body 500,
The second contact 700 is provided as a movable terminal, and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faces the second inner space S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pport wall portion 540 and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 520. ), the connector 20 including a second inner contact portion 720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actuated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 the side 544 of the connector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1 컨택트(600)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 2 컨택트(700)는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벽부(520)가 배열된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커넥터(20).
According to clause 11,
The first contact 600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and the second contact 700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are The connector 20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support wall portions 520 are arranged (Y-axis direc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기판 실장부(740)는
연장 방향 측면(74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고, 연장 방향 단부면(74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기판 실장부(640)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금층(L)이 구비되는, 커넥터(20).
According to clause 11,
The outer board mounting portion 740 is
A plating layer (L) is provided so that the extending direction side surface 74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end surface 744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extension direction end of the inner board mounting portion 640,
A connector 20 provided with a plating layer (L)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일 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 중 이웃하는 제 1 컨택트 사이 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일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의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가 결합되는 절연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용 캐리어(C)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Providing a pair of contact carriers (C)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rang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e each connected to one side. ;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to face each other;
forming an insulating body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nd the carrier (C) for the contac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캐리어(C)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된 제 1 캐리어(C1)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된 제 2 캐리어(C2)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컨택트 중 서로 이웃하는 제 1 컨택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캐리어(C1)와 상기 제 2 캐리어(C2)를 중첩 배치하여 컨택트용 캐리어(C)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pair of contact carriers (C),
providing a first carrier (C1)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e arranged and connected in a line;
providing a second carrier (C2)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re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act carrier (C) by overlapping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forming 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C1)에는 제 1 위치 조정홀(C1-h)이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 2 캐리어(C2)에는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 1 캐리어(C1)와 상기 제 2 캐리어(C2)를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위치 조정홀(C1-h)과 상기 제 2 위치 조정홀(C2-h)이 적어도 하나 이상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first carrier (C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C1-h),
The second carrier (C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In the step of stacking the first carrier (C1) and the second carrier (C2),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C1-h)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C2-h)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one overlap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제 16항에 있어서,
홀드 다운 구조체가 일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의 홀드 다운 구조체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홀드 다운 구조체를 상기 홀드 다운 구조체용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Providing a carrier for a pair of hold down structur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Arranging the hold down structures of the pair of hold down structure carriers to face each oth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separating the hold down structure from the carrier for the hold down structur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 몸체를 형성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body, the insulating body is formed using an insert injection process.
KR1020230073504A 2022-08-12 2023-06-08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2297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2 2022-08-12
KR20220101432 2022-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978A true KR20240022978A (en) 2024-02-20

Family

ID=9005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504A KR20240022978A (en) 2022-08-12 2023-06-08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97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5195B1 (en)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88853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boar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751725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129066A (en)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7695314B2 (en) Connector module
KR20120096887A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CN103117486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an electronic module and an electrical component
US9414491B2 (en) Jumper module mounting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assembly
CN103107430A (en) Board terminal and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with board terminal
KR20130030206A (en) Housingless connector
KR20230043804A (en) Connector
US6692266B2 (en) Surface-mountable connector with structure permitting to easily check flatness of contact terminals by use of a gauge and the gauge
KR20160080636A (en) Contact of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22978A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297435A (en) Connector device, circuit module having the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ircuit module
KR20240052632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3698030B2 (en) Junction box and junction box assembly method
TW202312601A (en) Connector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an electrically stable connection during or after the connection to the connected conductor on the corresponding side even if the situation of the position deviation of a connected conductor on the corresponding side occurs
KR20230056793A (en) Connector assemb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WI439020B (en) Terminal base and electronic equipment unit
JP4862220B2 (en) Package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surface mounting
US2023018787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30147348A (en) Connector assembly and structure including the connector assembly and board
KR20240059523A (en) Hold down structure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7393132B2 (en) Board connector and board connector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