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518A -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518A
KR20240022518A KR1020237045181A KR20237045181A KR20240022518A KR 20240022518 A KR20240022518 A KR 20240022518A KR 1020237045181 A KR1020237045181 A KR 1020237045181A KR 20237045181 A KR20237045181 A KR 20237045181A KR 20240022518 A KR20240022518 A KR 2024002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mn
service
disaster
attem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만 아가왈
카일라쉬 쿠마르 즈하
랄리스 쿠마르
마흐무드 왓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2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T: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를 위한 마지막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높은 전송률과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GHz와 같은 "Sub 6 GHz" 대역뿐만 아니라 28 GHz 및 39 GHz를 비롯하여 초고주파(mmWave)로 지칭되는 "Above 6 GHz" 대역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이동통신 기술보다 50배 빠른 전송률 및 5G 이동통신 기술의 10분의 1 수준인 초저지연(ultra-low latency)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라헤르츠 대역(예를 들어, 95 GHz 내지 3 THz 대역)에서 6G 이동통신 기술(Beyond 5G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현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및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관련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다음에 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mmWave에서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 및 대규모 MIMO, mmWave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슬롯 포맷들의 동적 운용을 위한 숫자학(numerology)(예: 여러 부반송파 간격들의 운용) 지원,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 지원을 위한 초기 접속 기술, 부분 대역폭(BWP: BandWidth Part) 정의 및 운용,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및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polar) 코드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들, L2 전처리,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현재는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할 서비스 측면에서 초기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선 및 성능 향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대한 물리 계층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이 전송하는 차량의 위치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들(unlicensed bands)에서 다양한 규제 관련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시스템 운영을 목표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의 절전, 지상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NTN(Non-Terrestrial Network), 및 측위(positioning).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처/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다른 산업과의 연동 및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한 이동성 향상,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2단계 랜덤 액세스(NR용 2단계 RACH). 또한, 다음에 관한 시스템 아키텍처/서비스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및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을 결합하기 위한 5G 기본 아키텍처(예: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및 단말 위치 기반의 서비스들을 제공받기 위한 MEC(Mobile Edge Computing).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커넥티드(connected) 장치들이 통신망들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향상과 커넥티드 장치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관련된 새로운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XR(eXtended Reality),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한 5G 성능 향상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및 드론 통신.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다음 기술들에 대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다: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 커버리지 제공을 위한 새로운 파형;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 대형 안테나 등의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메타물질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및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를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 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전이중(full-duplex) 기술; 설계 단계부터 인공위성과 AI를 활용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구현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기 위한 AI 기반 통신 기술; 및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 운용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복잡도 수준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최근 5G 또는 new radio(NR) 이동 통신이 산업계와 학계의 다양한 후보 기술들에 대한 전세계적 기술 활동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 5G/NR 이동 통신을 위한 후보 조력자들로는, 빔포밍 이득의 제공 및 증가된 용량의 지원을 위해 기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에 이르는 대규모 안테나 기술, 요구사항들이 다른 다양한 서비스들/어플리케이션들을 유연하게 수용하는 새로운 파형(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대규모 연결을 지원하는 새로운 다중 액세스 방식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주요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T: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를 위한 마지막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MINT의 목적은 재난 상황에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재난 상황에서, 단말은 금지 PLMN인 구조(rescue) PLMN에 등록하여 재난 로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재난 로밍 서비스는 단말과 사업자 모두의 관점에서 차등 가격 책정을 가질 수 있으며(재난 로밍의 경우 일반적인 서비스들에 비해 요금이 더 높을 수 있음) 단말 및/또는 사업자 모두 금지되지 않은 PLMN, 즉 허용 가능한 PLMN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적인 서비스들을 선호할 것이다.
따라서, 단말이 FPLMN에 등록되면, 단말은 일반적인 서비스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PLMN을 스캔/검색하여 등록하기를 원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단말은 타이머(T) 이후에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 획득을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마지막 시도 이후 T가 만료되는 시점에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단말은 다음 시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허용 가능한 PLMN에서 단말이 언제 처음으로 주기적인 서비스 획득을 시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목적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도 아래의 기재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FPLMN/임의의 PLMN에 등록된 상태에서 언제 허용 가능한 PLMN을 처음으로 스캔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정의한다.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VPLMN에 등록되는 시나리오에서, 재난 상황에서 단말은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 획득을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단말은 VPLMN을 선택하고 T1 지속기간 이후 그리고 최대로 T 지속기간 이후에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T: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를 위한 마지막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결정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UE: User Equipment)이 네트워크 내의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받기 위해 VPLMN(Visited PLMN)을 선택하고 적어도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난 로밍 서비스를 받기 위해 VPLMN을 선택하고 적어도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도록 구성된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들은 전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특허 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이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무엇에 관련된"이라는 구문과 그 파생어들은 무엇을 포함하다, 무엇 안에 포함되다, 무엇에 상호 연결되다, 무엇을 함유하다, 무엇 내에 들어있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연결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결합하다, 무엇과 통신할 수 있다, 무엇에 협력하다, 무엇을 끼워 넣다, 무엇을 나란히 놓다, 무엇에 근사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경계를 이루다, 무엇을 가지다, 무엇의 특징을 가지다 등을 의미한다. "컨트롤러"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것들의 일부를 의미한다. 그러한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개별 컨트롤러에 관련된 기능은 국부적이거나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되거나 또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용어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하기 위해 조정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명령어 집합들, 절차들, 기능들, 객체들, 클래스(class)들, 인스턴스(instance)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여, 모든 형식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 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optical),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예를 들어 재기록이 가능한(rewritable)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 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이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대부분의 경우에, 그렇지 않더라도 많은 경우에, 상기 정의들이 그러한 단어들과 구문들의 이후 사용에 뿐만 아니라 이전의 사용에도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대응 부분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재난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VPLMN에 연결된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을 선택하려고 시도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501)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7 및 이 특허 문헌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들이 적절히 마련된 어느 시스템이나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UE: User Equipment)이 네트워크 내의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받기 위해 VPLMN(Visited PLMN)을 선택하고 적어도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난 로밍 서비스를 받기 위해 VPLMN을 선택하고 적어도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도록 구성된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 및 그 밖의 측면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나타내지만, 예시로서 제공될 뿐이며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들과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모든 변경들과 변형들을 포함한다.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T: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입한 네트워크가 화재 등의 재난으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다른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PLMN D 또는 PLMN-D는 재난(disaster)의 영향을 받고(즉, PLMN-D는 재난 상태의 PLMN임) PLMN A 또는 PLMN-A는 살아 있고(alive) 재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고려한다. PLMN-A는 PLMN-D의 사용자(즉, PLMN-D의 재난 인바운드 로머(disaster inbound roamers))에게 재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UE) 또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이 VPLMN(Visited PLMN)에 있고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단말은 현재의 서빙 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타이머 T는 30분 간격으로 30분 내지 40시간 범위에 있거나 주기적인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T에 대한 값이 SIM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T에 대하여 기본값(default value) 60분이 사용된다. 단말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T 값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SIM에 저장된 값 또는 T의 기본값(SIM에 값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경우, T는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절전 모드(PSM: Power Saving Mode)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ICO: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를 활성화할 때 타이머 T를 중지하지 않는다.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받으려는 시도는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a) 주기적인 시도는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Packet Data Unit)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b) 단말은 마지막 시도 후 T 시점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다음 시도를 할 수 있다;
c) 주기적인 시도는 유휴 모드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 지시가 있는 5GMM-CONNECTED 모드에 있는 동안에만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 주기적인 시도는 연기될 수 있다:
- 단말이 절전 모드(PSM)에 있는 동안;
- 단말이 유휴 모드에서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전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 단말이 eDRX(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로 설정되는 동안 다음 eDRX 시기(occasion)까지;
- 단말이 완화된 모니터링에 있는 동안;
- 단말이 MICO(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모드에 있는 동안;
e)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단말은 현재 서빙 V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한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외: 단말이 공유 MCC(Mobile Country Code)를 사용하여 위성 NG-RAN 액세스를 통해 VPLMN에 있는 경우, 단말은 MCC 값에 관계없이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예외: 단말이 비-위성 액세스를 통해 VPLMN에 있는 경우, 단말은 위성 NG-RAN 액세스 기술로 공유 MCC를 사용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비고: 단말이 VPLMN에서 로밍하는 동안, VPLMN과 PLMN은 그들의 MCC 값이 동일한 국가를 식별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국가에 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시도는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 단말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통해 일반적인 서비스를 받는 것이 항상 바람직하다. 또한, 재난 로밍 서비스는 단말과 사용자 모두의 관점에서 차등 가격 책정을 가질 수 있으며(예를 들어, 재난 로밍은 일반적인 서비스에 비해 더 높은 요금을 부과할 수 있음) 단말 및/또는 사업자는 재난 로밍 서비스보다 일반적인 서비스를 선호할 것이다. 그러나, 주기적 시도는 자동 모드에서만 단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획득하려는 주기적 시도는 수동 모드 또는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현재, 수동 모드 또는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방법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 T 시점에 국가-X의 PLMN-A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예를 들어 시간 T+T0), PLMN-B 또는 단말의 허용 가능한 PLMN 또는 국가-X의 단말의 더 높은 우선순위 PLMN이 사용 가능해진다. PLMN-B는 단말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단말은 수동 모드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 검색을 주기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일반 서비스가 T+T0 시점부터 단말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더라도, 단말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여전히 PLMN-A에 머물 수 있다(캠핑). 따라서, 단말이 수동 모드에서 머물 때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 검색을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마지막 시도 후 T 시점에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다음 시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해 단말이 언제 처음 주기적 시도를 해야 하는지, 또는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PLMN 검색에 대하여 단말이 언제 처음 시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VPLMN(Visited PLMN)에 등록한 직후 처음 주기적 시도를 하는 경우, 재해 상황이 여전히 진행 중일 수 있고 현재 서빙 PLMN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PLMN이거나 단말에 서비스(재난 로밍 서비스, 일반 서비스,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PLMN일 수 있으므로 단말은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을 찾지 못할 수 있다.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한 직후 이러한 첫 번째 주기적인 시도는 단말에서 불필요하게 높은 전력 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VPLMN(Visited PLMN)에 등록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서비스를 얻거나 높은 우선순위 PLMN 검색을 시도하기 위해 처음 주기적 시도를 하는 경우,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한 시점과 단말이 처음 주기적 시도를 한 시점 사이에서 단말이 다른 PLMN(들)로부터 일반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더라도, 단말은 재해 로밍 서비스를 위해 현재의 서빙 PLMN에 계속 머물 수 있다(캠핑). 단말을 재난 로밍 서비스가 아닌 일반 서비스에 등록하면 단말은 물론 사업자에게도 이익이 된다. 현재로서는 단말이 언제 첫 번째 주기적 시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의된 방법이 없으며, 이 방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단말은 T 시점에 국가-X의 PLMN-A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에 처음 등록된다. T+T0 시점 이후에는 PLMN-B 또는 단말의 허용 가능한 PLMN 또는 국가-X의 단말의 더 높은 우선순위 PLMN을 사용할 수 있다. PLMN-B는 단말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단말이 언제 처음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 검색을 주기적으로 시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단말이 너무 일찍(즉, T와 T+T0 사이) 첫 번째 시도를 하게 되면, 단말은 배터리를 잃을 수 있으며 전력 소비가 커질 수 있다. 단말이 너무 늦게(즉, T+T0의 몇 시간 후) 첫 번째 시도를 하게 되면, T+T0 시점부터 일반 서비스가 가능하더라도 단말은 일반 서비스를 빨리 받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단말이 언제 첫 번째 시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타이머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현재 서빙 PLMN 또는 V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높은 우선순위 PLMN/접속 기술 조합(위성 NG-RAN 액세스 기술의 경우 제외)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단말의 현재 서빙/등록된/선택된/캠핑하는 PLMN의 국가와 다른 국가의 허용 가능한/높은 우선순위의 PLMN을 찾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경계 지역(단말이 현재 서빙 PLMN이 아닌 국가들의 허용 가능한 PLMN(들)을 찾을 수 있는 곳)으로의 단말의 이동성 때문일 수도 있고, 단말이 위성 NG-RAN 액세스 기술이 있거나 없는 공유 MCC를 사용하여 허용 가능한 PLMN(들)을 찾는 경우일 수도 있다. 현재, 단말이 현재 서빙 PLMN 이외의 국가들의 허용 가능한/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이 방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단말은 처음에 국가-X의 PLMN-A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다. 단말은 일반적인 서비스가 PLMN-B 또는 단말의 허용 가능한 PLMN 또는 국가-Y의 단말의 더 높은 우선순위 PLMN를 통해 사용 가능하고 PLMN-B가 단말에 대하여 허용 가능한 지역에 있다. PLMN B의 국가-Y가 현재 서빙 PLMN(PLMN-A)의 국가(국가-X)와 동일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일반적 서비스를 위해 PLMN-B에 등록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단말은 일반적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더라도 일반적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 가능한/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에 대한 서비스 획득을 위한 주기적 시도 중에 높은 우선순위 PLMN(들)/허용 가능 PLMN/액세스 기술 중 하나라도 발견되지 않은 경우 단말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의되어 있지 않다. 현재, 이러한 경우에 정의된 단말 동작이 없으며 이 방법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극복할 해결방안들이 본 기술 분야에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그 다양한 특징들 및 이점이 있는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구성요소들 및 처리 기술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여기에서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T: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를 위한 마지막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달성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도면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대응하는 특징들을 나타내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어들 및 정의들을 언급하였다:
4G-GUTI: 4G-글로벌 고유 임시 식별자(4G-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5GCN: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GUTI: 5G-글로벌 고유 임시 식별자(5G-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5GMM: 5GS 이동성 관리(5GS Mobility Management)
5G-RG: 5G 가정용 게이트웨이(5G Residential Gateway)
5G-BRG: 5G 광대역 가정용 게이트웨이(5G Broadband Residential Gateway)
5G-CRG: 5G 케이블 가정용 게이트웨이(5G Cable Residential Gateway)
5GS: 5G 시스템(5G System)
5GSM: 5GS 세션 관리(5GS Session Management)
5G-S-TMSI: 5G S-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자(5G S-Temporary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5G-TMSI: 5G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자(5G Temporary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5QI: 5G QoS 식별자(5G QoS Identifier)
ACS: 자동 설정 서버(Auto-Configuration Server)
AKA: 인증 및 키 동의(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AKMA: 어플리케이션 인증 및 키 관리(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for Applications)
A-KID: AKMA 키 식별자(AKMA Key Identifier)
A-TID: AKMA 임시 식별자(AKMA Temporary Identifier)
AMBR: 총 최대 비트 전송률(Aggregate Maximum Bit Rate)
AMF: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PN: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TSSS: 액세스 트래픽 조정, 전환 및 분할(Access Traffic Steering, Switching and Splitting)
AUSF: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CAG: 폐쇄형 액세스 그룹(Closed Access Group)
CHAP: 챌린지 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SUCI: 구독 숨김 식별자(Subscription Concealed Identifier)
PLMN: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MS: 이동국(Mobile Station) (실시예들은 MS와 UE를 구별하지 않음)
UE: 단말(User Equipment)
ME: 모바일 단말(Mobile Equipment)
USIM: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DM: 통합 데이터 관리 기능(Unified Data Management Function)
SIM: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VPLMN: 방문 PLMN(Visited PLMN)
HPLMN: 홈 PLMN(Home PLMN)
MINT: 서비스 중단 최소화(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MICO: 모바일 개시 통신 전용(Mobile Initiated Communication Only)
PSM: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MCC: 모바일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NG-RAN: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DRX: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eDRX: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MBMS: 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FPLMN: 금지된 공중 육상 이동망(Forbidden Public Land Mobile Network)
ME: 모바일 단말(Mobile Equipment)
MS: 이동국(Mobile Station). 본 문서에서는 MS와 UE를 구분하지 않는다.
허용 가능한(allowable) PLMN: 단말 동작 모드 A 또는 B로 동작하는 단말의 경우, 단말에서 "금지 PLMN들" 목록에 없는 PLMN이다. 단말 동작 모드 C로 동작하는 단말이나 A/Gb 모드와 Iu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단말에서 "금지 PLMN들" 목록에도 없고 "GPRS 서비스에 대한 금지 PLMN들" 목록에도 없는 PLMN이다.
사용 가능한(avalaiable) PLMN: GERAN A/Gb 모드의 경우 3GPP TS 43.022를 참조한다. UTRAN의 경우 3GPP TS 25.304를 참조한다. E-UTRAN의 경우 3GPP TS 36.304를 참조한다. NG-RAN의 경우 3GPP TS 36.304 및 3GPP TS 38.304를 참조한다. cdma2000® 1xRTT 및 cdma2000® HRPD의 경우 3GPP2 C.S0016을 참조한다. 단말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주어진 지역의 PLMN(들)이다.
셀에 캠핑(Camped on a cell): 단말(SIM이 없는 경우의 ME)은 셀 선택/재선택 프로세스를 완료하고,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들을 받을 셀을 선택하였다. 서비스들이 제한될 수 있으며, PLMN 또는 SNPN은 선택된 셀 내의 단말(ME)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EHPLMN: 동등한(Equivalent) HPLMN 목록에 포함된 PLMN 항목들 중 하나이다.
VPLMN(Visited PLMN): 이는 HPLMN과 다른 PLMN이거나(EHPLMN 목록이 없거나 비어 있는 경우) 또는 EHPLMN과 다른 PLMN이다(EHPLMN 목록이 있는 경우).
동등한(Equivalent) HPLMN 목록: 여러 HPLMN 코드들에 대한 제공을 허용하기 위해, 이 목록 내에 존재하는 PLMN 코드들은 PLMN 선택 목적을 위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에서 파생된 HPLMN 코드를 대체할 수 있다. 이 목록은 USIM에 저장되며 EHPLMN 목록으로 알려져 있다. EHPLMN 목록은 IMSI에서 파생된 HPLMN 코드도 포함할 수 있다. IMSI에서 파생된 HPLMN 코드가 EHPLMN 목록에 없으면, 이는 PLMN 선택 목적으로 방문 PLMN으로 처리된다.
홈(Home) PLMN: 이는 PLMN 식별자(Identity)의 MCC 및 MNC(Mobile Network Code)가 IMSI의 MCC 및 MNC와 일치하는 PLMN이다.
RPLMN(Registered PLMN): 이는 특정 위치 등록(LR: Location Registration) 결과가 발생한 PLMN이다. 공유 네트워크에서 RPLMN은 LR을 수락한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 사업자의 PLMN 식별자에 의해 정의된 PLMN이다.
등록(Registration): 이는 PLMN 또는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셀에 캠핑하고 필요한 LR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이다.
UPLMN: SIM에 있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용자 제어 PLMN 선택기(User Controlled PLMN Selector with Access Technology)" 데이터 파일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OPLMN: SIM에 있거나 ME에 저장되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업자 제어 PLMN 선택기(Operator Controlled PLMN Selector with Access Technology)" 데이터 파일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재난 상태(Disaster Condition): 이는 자연재해와 같이, 정부가 개시 및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가 적용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중단 및 실패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재난 인바운드 로머(Disaster Inbound Roamer): (a) 재난 상태 동안 서비스 실패로 인해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PLM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고, (b) 다른 PLMN에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재난 로밍(Disaster Roaming): 이는 재난 상태 동안 적용되는 특별 로밍 정책이다.
재난 상태의 PLMN(PLMN with Disaster Condition): 재난 상태가 적용되는 PLMN.
재난 로밍 서비스 등록(Registered for disaster roaming services):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초기 등록 또는 이동성 등록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우 단말은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것으로 간주된다.
재난 상태(Disaster Condition): 이는 자연재해와 같이, 정부가 개시 및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가 적용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중단 및 실패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재해 인바운드 로머(Disaster Inbound Roamer): (a) 재해 상황 중 서비스 실패로 인해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PLM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고 (b) 다른 PLMN에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재난 로밍(Disaster Roaming): 이는 재난 상태 동안 적용되는 특별 로밍 정책이다.
재난 상태의 PLMN(PLMN with Disaster Condition): 재난 상태가 적용되는 PLMN.
재난 로밍 서비스 등록(Registered for disaster roaming services):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초기 등록 또는 이동성 등록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우 단말은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것으로 간주된다.
MINT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입한 네트워크가 화재 등의 재난으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다른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설명에서, PLMN D 또는 PLMN-D는 재난의 영향을 받고(즉, PLMN-D는 재난 상태의 PLMN임) PLMN A 또는 PLMN-A는 살아 있고 재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PLMN-A는 PLMN-D의 사용자(즉, PLMN-D의 재난 인바운드 로머)에게 재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PLMN D 및 PLMN-D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PLMN A 및 PLMN-A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재난 기반 서비스, 재난 로밍 서비스, 및 재난 인바운드 로밍이라는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재난 상황(disaster situation)과 재난 상태(disaster condition)라는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말(UE) 및 MS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 중이다" 또는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다"라는 용어나 방법은 단말이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재난 로밍 초기 등록"과 "재난 로밍 이동성 등록 업데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 5GS(Fifth Generation System) 등록 유형 IE를 설정하거나 지시하는 상황이나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역/위치/지리적 영역이라는 용어는 셀/셀 ID, TAC(Tracking Area Code)/TAI(Tracking Area Identity), PLMN, MCC/MNC, 위도/경도, CAG 셀 또는 지리적 위치/좌표 중의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해결방안들은 본 실시예에서 정의된 임의의 RAT(들)에 적용 가능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AMF/SMF/MME/UPF와 같은 임의의 5G/EUTRAN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일 수 있거나 eNodeB(eNB) 또는 gNodeB(gNB) 또는 NG-RAN 등과 같은 임의의 5G/EUTRAN RAN 엔터티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AMF에 대한 임의의 5G 코어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AMF/SMF/MME/UPF와 같은 임의의 5G/EUTRAN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일 수 있거나 eNodeB(eNB), gNodeB(gNB) 또는 NG-RAN 등과 같은 임의의 5G/EUTRAN RAN 엔터티일 수 있다.
NAS 메시지들의 예시적인 목록은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등록 취소 요청(DE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 제어 평면 서비스 요청(CONTROL PLANE SERVICE REQUEST); 신원 요청(IDENTITY REQUEST); 인증 요청(AUTHENTICATION REQUEST); 인증 결과(AUTHENTICATION RESULT); 인증 거부(AUTHENTICATION REJECT); 등록 거부(REGISTRATION REJECT);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 등록 취소 수락(DEREGISTRATION ACCEPT); 서비스 거부(SERVICE REJECT); 서비스 수락(SERVICE ACCEPT); 단말 설정 업데이트(UE CONFIGURATION UPDATE) 명령, 단말 파라미터 업데이트(UE PARAMETERS UPDATE) 명령 등이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이라는 용어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NG-RAN, 5G, 4G, 3G, 2G, EPS, 5GS, NR, 비면허 대역의 NR, NR(LEO) 위성 액세스, NR(MEO) 위성 액세스, NR(GEO) 위성 액세스, NR(OTHERSAT) 위성 액세스, NR RedCap, E-UTRA, 비면허 대역의 E-UTRA, NB-IoT, WB-IoT, LTE-M 등. NR(5GC)에 대하여 정의된 해결방안들은 E-UTRA/LTE와 같은 레거시 RAT들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CN 엔터티들은 LTE 엔터티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는 AMF로, e-nodeB는 g-nodeB로, HSS는 UDM로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의 원칙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RPLMN 없이 23.122에 따른 PLMN 선택:
MS는 사용 가능하고 허용 가능한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임의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을 선택하고 등록을 시도한다:
- HPLMN(EHPLMN 목록이 없거나 비어 있는 경우) 또는 사용 가능한 가장 높은 우선순위 EHPLMN(EHPLMN 목록이 있는 경우);
- SIM에 있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용자 제어 PLMN 선택기" 데이터 파일의 각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 SIM에 있거나 ME에 저장되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업자 제어 PLMN 선택기" 데이터 파일의 각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 무작위 순서로 수신된 고품질 신호로 그 밖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들;
- 신호 품질이 감소하는 순서로 그 밖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들.
RPLMN을 사용하는 23.122에 따른 PLMN 선택:
MS는 사용 가능하고 허용 가능한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임의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을 선택하고 등록을 시도한다:
- RPLMN 또는 마지막으로 등록된 PLMN;
- HPLMN(EHPLMN 목록이 없거나 비어 있는 경우) 또는 사용 가능한 가장 높은 우선순위 EHPLMN(EHPLMN 목록이 있는 경우);
- SIM에 있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용자 제어 PLMN 선택기" 데이터 파일의 각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 SIM에 있거나 ME에 저장되는 "액세스 기술이 있는 사업자 제어 PLMN 선택기" 데이터 파일의 각 PLMN/액세스 기술 조합(우선순위 순으로);
- 무작위 순서로 수신된 고품질 신호로 그 밖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들;
- 신호 품질이 감소하는 순서로 그 밖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거나 지시되는 메시지들은 예시로서 제시된다. 이 메시지들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능들/엔티티들 간의 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능들/엔티티들 간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들, 문제점들 또는 해결방안들은 NR 액세스 또는 NG-RAN 액세스 기술을 예로 사용하여 설명되며 NR 액세스에만 국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제안된 해결방안들은 E-UTRAN 액세스 기술, E-UTRAN 액세스를 통한 NB(Narrow Band)-S1 모드 또는 WB(Wide Band)-S1 모드 및/또는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또는 WB-IOT(WideBand Internet Of Things) 액세스/아키텍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더 높은 우선순위 PLMN 검색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 PLMN 검색이라고도 불리며, "단말은 높은 우선순위 PLMN/액세스 기술에 대한 서비스를 얻으려고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 PLMN 검색 및 더 높은 우선순위 PLMN 선택이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수동 모드 및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자동 모드 및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라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제점들 및 해결방안들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된 문제점들 및 해결방안들은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즉, 일반 서비스 또는 일반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에도 단말 및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501) 및 복수의 PLMN들(5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501)을 고려하면, PLMN들(502) 중 하나는 금지 PLMN(FPLMN) 또는 방문 PLMN(VPLMN)(502A)일 수 있고, 재난 상황에서 단말(501)은 VPLMN(502A)에 등록된다. 단말(501)을 고려하면, 다른 PLMN들 중 적어도 하나는 허용 가능한 PLMN(즉, 금지되지 않은 PLMN)(502B)일 수 있으며,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로부터 일반적인 서비스(들)를 이용할 수 있다. 허용 가능한 PLMN(502B)는 허용 가능한 PLMN이거나 또는 더 높은 우선순위 PLMN/액세스 기술일 수 있다.
재난 시나리오에서, 단말(501)이 VPLMN(502A)에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단말(501)은 자동 모드(또는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또는 수동 모드(또는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단말(501)은 3GPP TS 23.122의 4.4.3.1.1절에서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요구사항에 따라,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얻으려고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단말(501)은 재난 로밍을 위해 VPLMN(502A)을 선택할 시, 최소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얻으려고 첫 번째 시도를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T1은 최대 T 기간의 이하 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T1은 타이머 T의 값과 무관할 수 있다. T1 기간은 미리 설정되어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T1 기간은 단말의 SIM 또는 USIM에 저장될 수 있다. T1 기간은 NAS/AS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IE/지시(Indication)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에서, T1 기간은 2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T 기간은 30분 단위로 30분 내지 40시간 범위의 값일 수 있다. T 기간 이후에,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을 스캐닝하기 위한 후속 주기적 시도를 할 수 있다. 예에서, T에 대한 값이 단말(501) 및/또는 단말(501)에 존재하는 S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T 기간은 60분의 기본값을 가질 수 있다. T가 60분으로 설정된 경우, T1은 0~60분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이 T 기간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501)은 T 기간보다 작은 T1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501)에 설정된 값 또는 T1의 기본값이 T보다 큰 경우, T1은 T로 설정될 수 있다. 절전 모드(PSM)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ICO) 또는 사용 불가 기간(unavailability period) 또는 DRX/eDRX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501)은 타이머 T1을 중지하지 않는다.
단말(501)은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지시가 있는 5GMM-CONNECTED 모드에 있는 동안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얻으려고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얻으려는 시도를 연기할 수 있다:
- 단말(501)이 절전 모드(PSM)에 있는 동안;
- 단말(501)이 유휴 모드에서 eMBMS 전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 단말(501)이 eDRX로 설정되는 동안 다음 eDRX 시기(occasion)까지;
- 단말(501)이 완화된 모니터링에 있는 동안;
- 단말(501)이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ICO: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에 있는 동안; 또는
- 단말(501)에서 사용 불가 기간이 활성화되는 동안.
도 6은 VPLMN에 연결된 단말이 허용 가능한 PLMN을 선택하려고 시도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601 단계에서, 단말(501)은 재난 시나리오에서 VPLMN(502A)에 재난 로밍 서비스를 등록한다. 602 단계에서, 단말(501)은 적어도 T1 지속기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T1은 최대 T 기간보다 작거나 같은 값일 수 있다. 예에서, T1 지속기간은 2분일 수 있다. 적어도 T1 지속기간이 경과한 경우, 단말(501)은 603 단계에서 T 지속기간이 경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T 지속기간은 30분 단위로 30분 내지 40시간 범위의 값일 수 있다. 예에서, T에 대한 값이 단말(501) 및/또는 단말(501)에 있는 S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T 지속기간은 60분의 기본값을 가질 수 있다. T 지속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604 단계에서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한다. 단말(501)이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으면(605 단계), 606 단계에서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501)이 T 지속기간 내에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으면(605 단계), 607 단계에서 단말(501)은 VPLMN(502A)에서 서비스 획득을 계속한다. 608 단계에서, 단말(501)은 적어도 T 지속기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T 지속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604 단계에서 단말(501)은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를 획득하려는 마지막 시도 이후 T 시점에서 단말(501)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다음 시도들을 한다. 이 방법(600)의 다양한 동작들은 제시된 순서대로,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에 나열된 일부 동작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501)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프로세서(701), 통신 모듈(702), 및 메모리(7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01)는 통신 모듈(702) 및 메모리(702)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메모리(703)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702)은 내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간에 내부적으로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03)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03)는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은 예를 들어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메모리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03)는 일부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non-transitory)"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되는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703)가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부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캐시(cache)).
프로세서(701)는 통신 모듈(702)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T1 지속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NAS/AS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T1 지속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수신된 T1 지속기간을 메모리(703)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통신 모듈(702)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T 지속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수신된 T 지속기간을 메모리(703)에 저장할 수 있다.
재난 시나리오에서 단말(501)이 VPLMN(502A)에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단말(501)은 자동 모드(또는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또는 수동 모드(또는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 획득을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단말(501)은 재난 로밍을 위한 VPLMN을 선택한 후 최소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PLMN(502B)에서 서비스 획득을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T1은 최대 T 지속기간보다 작거나 같은 값일 수 있다. 예에서, T1 지속기간은 2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T 지속기간은 30분 단위로 30분 내지 40시간 범위의 값일 수 있다. 예에서, T에 대한 값이 메모리(503) 및/또는 단말(501)에 있는 S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T 지속기간은 60분의 기본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단말(501)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말(501)은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결합되어 단말(501)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 PLMN은 현재의 서빙 PLMN과 동일한 국가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 PLMN은 현재의 서빙 PLMN과 동일한 국가에 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 PLMN은 현재의 서빙 PLMN과 다른 국가에 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T 값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SIM에 저장된 값 또는 T의 기본값(SIM에 값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경우, T는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절전 모드(PSM: Power Saving Mode)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ICO: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를 활성화할 때 타이머 T를 중지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에 대한 서비스를 얻으려는 주기적 시도는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이 없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기적 시도는 MS가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기적 시도는 MS가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재난 로밍을 위해 VPLMN을 선택할 때 적어도 2분의 기간 이후 및 최대 T로 설정된 시간 이후에 첫 번째 시도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적어도 T1 지속기간 및 최대 T 지속기간 후에 첫 번째 시도를 할 수 있다:
- Fast First Higher Priority PLMN 검색이 비활성화된(disabled) 경우 스위치 온(switch on) 이후에만; 또는
- Fast First Higher Priority PLMN 검색이 활성화된(enabled) 경우 스위치 온 이후에 또는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VPLMN/임의의 PLMN/액세스 기술을 선택 및/또는 등록할 때; 또는
- 3GPP TS 23.122의 4.4.3.1.1절에서 자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요구사항에 따라, Fast First Higher Priority PLMN 검색이 활성화된 경우 스위치 온 이후에 또는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VPLMN/임의의 PLMN/액세스 기술을 선택 및/또는 등록할 때; 또는
- 스위치 온 이후에 또는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VPLMN/임의의 PLMN/액세스 기술을 선택 및/또는 등록할 때. 단말에 Fast First Higher Priority PLMN 검색 기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501)은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 PLMN 검색을 위해 단말의 상태(활성화/비활성화)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타이머 T1은 타이머 T보다 작거나 같은 임의의 타이머이다. 예를 들어, T가 60분으로 설정되면, T1은 0~60분 사이의 임의의 값, 예를 들어 2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주기적인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T1에 대한 값이 S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T1에 기본값인 60분이 사용된다. 단말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T1 값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SIM에 저장된 값 또는 T1의 기본값(SIM에 값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이 MinimumPeriodicSearchTimer보다 작은 경우, T1은 MinimumPeriodicSearchTimer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절전 모드(PSM: Power Saving Mode)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ICO: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를 활성화할 때 타이머 T1을중지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타이머 T1은 타이머 T와 독립적인 타이머일 수 있고, 그 값은 30분 내지 40시간 범위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머 T1은 0분 내지 60분 범위(예를 들어, 2분)의 타이머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타이머 T1은 단말(UE)(ME 또는 USIM)에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임의의 NAS/AS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타이머 T1은 단말 구현 방식에 기초한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마지막 시도 후 T 시점에서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다음 시도들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 PLMN 또는 임의의 더 높은 우선순위 PLMN이 발견되지 않으면, 단말(501)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VPLMN에 등록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현재 서빙 PLMN/V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501)은 현재 서빙 PLMN/VPLMN의 국가에 관계없이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정의된 바와 같이 현재 서빙 PLMN/V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외: 단말(501)이 공유 MCC를 사용하여 위성 NG-RAN 액세스를 통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PLMN/VPLMN에 있는 경우, 단말(501)은 MCC 값에 관계없이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예외: 단말(501)이 비-위성 액세스를 통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PLMN/VPLMN에 있는 경우, 단말(501)은 임의의 NG-RAN 액세스 기술로 공유 MCC를 사용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501)은 정의된 바와 같이 현재 서빙 PLMN/VPLMN과 동일한 국가의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외: 단말(501)이 공유 MCC를 사용하여 위성 NG-RAN 접속을 통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PLMN/VPLMN에 있는 경우, 단말(501)은 MCC 값에 관계없이 허용 가능한/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액세스 기술 조합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예외: 단말(501)이 비-위성 액세스를 통해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PLMN/VPLMN에 있는 경우, 단말은 위성 NG-RAN 액세스 기술로 공유 MCC를 사용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의 PLMN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비고: 단말(501)이 PLMN/VPLMN에서 로밍하는 동안 VPLMN과 PLMN은 그들의 MCC 값이 동일한 국가를 식별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국가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재난 로밍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된 문제점들 및 해결방안들은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즉, 일반 서비스 또는 일반 로밍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에도 단말 및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실행되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설명은 그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따라 현재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응용들에 대한 변형 및/또는 적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적응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내지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과 변형도 포함하며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방문 공중 육상 이동망(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제2 타이머의 지속기간 및 최대 제1 타이머의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공중 육상 이동망(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상기 VPLMN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상기 VPLMN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기간은 30분 단위로 30분 내지 40시간의 시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기간은 적어도 2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MICO)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를 중지하지 않고,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상기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acket data unit, PDU)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시도가 실패한 경우, 상기 첫 번째 시도 이후 상기 제1 타이머의 만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다음 시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되는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다음의 경우:
    상기 단말이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유휴(idle) 모드에서 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MBMS) 전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DRX)으로 설정된 경우 다음 eDRX 시기까지;
    상기 단말이 완화된 모니터링(relaxed monitoring)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MICO)에 있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에서 사용 불가 기간이 활성화된 경우에 연기되고,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상기 유휴 모드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비활성 지시(inactive indication)가 있는 5G 시스템 이동성 관리(5G system mobility management, 5GMM) 연결 모드에 있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방문 공중 육상 이동망(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을 선택하고,
    제2 타이머의 지속기간 및 최대 제1 타이머의 지속기간 후에 허용 가능한 공중 육상 이동망(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 서비스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시도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상기 VPLMN을 선택하고, 상기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해 상기 VPLMN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기간은 30분 단위로 30분 내지 40시간의 시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기간은 적어도 2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 또는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MICO)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를 중지하지 않고,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상기 단말이 재난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긴급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acket data unit, PDU) 세션이 없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첫 번째 시도가 실패한 경우, 상기 첫 번째 시도 이후 상기 제1 타이머의 만료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다음 시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가능한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유휴(idle) 모드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비활성 지시(inactive indication)가 있는 5G 시스템 이동성 관리(5G system mobility management, 5GMM) 연결 모드에 있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되는 PLMN에서 상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상기 첫 번째 시도는:
    상기 단말이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유휴(idle) 모드에서 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MBMS) 전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DRX) 으로 설정된 경우 다음 eDRX 시기까지;
    상기 단말이 완화된 모니터링(relaxed monitoring)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모바일 개시 연결 전용 모드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MICO)에 있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에서 사용 불가 기간이 활성화된 경우에 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37045181A 2022-08-10 2023-08-10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22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241045800 2022-08-10
IN202241045800??? 2022-08-10
IN202241045800 2023-07-11
PCT/KR2023/011840 WO2024035161A1 (en) 2022-08-10 2023-08-10 Methods and system for determining last plmn for m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518A true KR20240022518A (ko) 2024-02-20

Family

ID=8903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81A KR20240022518A (ko) 2022-08-10 2023-08-10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56959A1 (ko)
EP (1) EP4342228A1 (ko)
KR (1) KR20240022518A (ko)
CN (1) CN117882443A (ko)
WO (1) WO20240351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1826B (zh) * 2012-03-16 2018-04-13 Lg 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nas信令请求的方法和装置
WO2020141964A1 (ko) * 2019-01-04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에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81204B1 (en) * 2019-01-09 2024-05-2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4339955B (zh) * 2020-09-30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选择方法、信息发送方法、信息获取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82443A (zh) 2024-04-12
WO2024035161A1 (en) 2024-02-15
US20240056959A1 (en) 2024-02-15
EP4342228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486135A (zh) Ran切片
EP4181589A1 (en) Method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when disaster situation ends,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202203611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du session
US20230199618A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20210168697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to Handle Access Barring
US20220264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agement of a disaster cond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68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sential slice service processing and recovery of service
KR20240022518A (ko) Mint를 위한 마지막 plmn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40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for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31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074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of ue through mbsr-ue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07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ps fall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 and prior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708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deregistration procedure of user equipment for disaster roam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
US202301425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efficient network sli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87650A1 (en) In and relating to multi-usim in mobil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2302546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for roam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2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iority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48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dm update data for npn
US202401472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ster roam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40747A1 (en) Multi-usim operation in user equipment
US20230362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ursp of vplm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oaming
KR202400211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R(steering of roaming)을통한 네트워크 정보 호스팅 방법 및 장치
US20230125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IORITY OF VPLMN DUE TO MULTIPLE SoR SECURITY CHECK FAILURES
US202401217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y using satelli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