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257A -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257A
KR20240022257A KR1020220100730A KR20220100730A KR20240022257A KR 20240022257 A KR20240022257 A KR 20240022257A KR 1020220100730 A KR1020220100730 A KR 1020220100730A KR 20220100730 A KR20220100730 A KR 20220100730A KR 20240022257 A KR20240022257 A KR 2024002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ser
sync
source data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주
Original Assignee
(주)뮤직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뮤직몹 filed Critical (주)뮤직몹
Priority to KR102022010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257A/ko
Publication of KR2024002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들이 각자 본인이 보유한 mp3를 서버의 유저별 프라이빗 음원 DB에 업로드하고, 동일 음원으로 확인된 음악에 대해 mp3 업로드시 자동으로 생성된 싱크 식별코드를 상호 공유하여 등록함으로써 프라이빗 음원을 싱크할 수 있게 한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SYN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SOUND DATA}
본 발명은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유저들이 각자 본인이 보유한 mp3를 서버의 유저별 프라이빗 음원 DB에 업로드하고, 동일 음원으로 확인된 음악에 대해 mp3 업로드시 자동으로 생성된 싱크 식별코드를 상호 공유하여 등록함으로써 프라이빗 음원을 싱크할 수 있게 한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음악 등의 데이터 재생이 필요한 수많은 장소에서 음악 청취가 가능할 정도의 음량으로 출력되게 하려면 상당한 출력의 스피커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 정도의 출력을 갖춘 스피커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언제 음악을 재생시켜야 할 상황이 될지를 알 수 없으므로 항상 스피커를 휴대할 수도 없다.
최근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블루투스 스피커가 출시되어서 음악 재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블루투스 스피커도 출력용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밀폐된 협소한 공간이 아니라면 만족할만한 출력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개인에게는 모두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인 소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한다면 상당한 출력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 구현에는 몇가지 문제 때문에 구현이 거의 불가능하다.
첫째, 유저가 서로 약속하여 몇 대의 스마트폰이 특정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을 시도한다고 하여도 동시에 다수의 스마트폰 재생 시작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시 재생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로, 이미 몇 대의 스마트폰이 특정 음원을 재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이후 해당 음원을 함께 재생하고 싶은 유저가 해당 재생 그룹에 참여하기를 희망한다고 하여도 해당 데이터의 현재 재생 위치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싱크(Sync)는 불가능하고, 설령 유저가 현재 재생위치를 안다고 하여도 그 재생위치를 재생 희망 유저에게 알려주는 동안 이미 실시간으로 재생위치가 변경되게 되므로 재생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재생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각 스마트폰의 기기 성능 특히 데이터 재생까지 걸리는 시간이 각 기기별로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재생 위치를 동기화 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음악 재생에 대한 싱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음악 싱크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음악 싱크 플랫폼 기술의 경우 새롭게 도출되는 몇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 중 첫째는 일반적인 음악 싱크 플랫폼은 음원을 퍼블리싱받아서 다수 유저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음원 리스트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 음원 리스트가 출시된 모든 음원을 등록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음원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저가 비록 mp3를 구매하여 폰에 저장하고 있다고 하여도 그 유저만 해당 음원을 들을 수 있고, 친구와 함께 싱크하기를 원하여도 음원을 싱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유저들이 매우 좋아하는 음원이기 때문에 해당 음원에 대한 mp3를 보유한 경우에도 해당 음원을 싱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였다.
둘째로, 특정 유저만이 구매한 mp3를 다른 유저들과 함께 듣기 위해 특정 음악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공유하는 것은 저작권에 위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구매한 음원을 서버에 유저별로 업로드하여 각자 본인이 업로드한 음악을 본인만 재생하여 듣고, 서버는 싱크 처리만 수행하게 한다고 가정하여도, 이때의 mp3가 비록 동일한 음악이라고 할지라도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므로 싱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동일한 음악이라고 하더라도, 출시 버전, 일반 품질 버전, 고품질 음원 버전, 콘서트 버전(콘서트별로 다양함) 등과 같이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고, 이 경우는 각 유저별로 동일 음악을 서버에 업로드한다고 하여도 싱크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들이 각자 본인이 보유한 mp3를 서버의 유저별 프라이빗 음원 DB에 업로드하고, 동일 음원으로 확인된 음악에 대해 mp3 업로드시 자동으로 생성된 싱크 식별코드를 상호 공유하여 등록함으로써 프라이빗 음원을 싱크할 수 있게 한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유저 단말기(2a)로부터 개인 음원데이터를 수신받아서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별로 등록하는 과정과; b)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유저 단말기(2a)로 그 개인 음원데이터에 매칭되는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c)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다른 유저 단말기(2b)로부터 개인 음원데이터와 특정 싱크 식별코드를 수신받아서 해당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별로 등록하는 과정과; d)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가 어느 한 유저 단말기(2b)로부터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받는 과정과; e)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와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가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f) 일치하는 싱크 식별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한 음원데이터를 유저 단말기(2b)에서 재생되게 처리하고,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가 두 유저(A,B)의 음원데이터를 싱크되게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c)과 d) 과정의 사이에는 상기 유저 단말기(2b)에 탑재된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다른 유저가 재생하는 음원데이터 정보가 표시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c)과정에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대한 개인 음원데이터 입력시, 매칭되는 싱크 식별코드는 자동으로 생성받거나 또는 수동으로 유저가 직접 입력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다른 유저(A)의 재생 음원정보가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표시되더라도, 해당 유저(B)의 Private 음원 DB(52)에 표시되는 다른 유저(A)의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지 않으면 재생 및 싱크가 이루어지지 않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과정에서, 싱크 식별코드가 일치하는 각 유저의 개인 음원데이터가 서로 다른 음원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두 개인 음원데이터를 싱크 처리하고, 서도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싱크 식별코드가 상이하면 싱크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어느 한 유저(B)가 타 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와 싱크하기 위해 수동으로 싱크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타 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에 미리 부여된 싱크 식별코드를 싱크하고자 하는 유저(B)가 타 유저(A)로부터 공유받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내부 메모리(4a, 4b)에 저장된 각각의 개인 음원데이터(6)를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고, 다른 유저의 실시간 음원 재생정보를 열람하고 선택적으로 음원 싱크를 요청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내부에,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을 갖춘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가 업로드하는 개인 음원데이터(6)를 저장하고, 각 개인 음원데이터(6)별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그 싱크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각 개인 음원데이터(6)를 스트리밍 처리하는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고, 유저단말기로부터 특정 타인의 재생 음원에 대한 추종 동기화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그 음원데이터에 대한 오차 시간을 연산하여 보정한 보정 신호를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원의 싱크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싱크 식별코드를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별로 자동 생성하는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와; 상기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입력한 싱크 식별코드와, 유저 단말기(2a, 2b)로부터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각각 매칭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를 다른 유저 단말기(2b)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특정 유저의 음원 재생정보를 그 유저단말기(2b)로 전송하는 타인 재생정보 전송부(58)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싱크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지를 그 특정 유저를 선택한 다른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를 탐색하여 비교하는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Private 음원 DB(52)는 다수의 유저별 저장공간(1-n)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그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는 각 유저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각 개인 음원데이터(8)와 함께 싱크 식별코드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는 유저의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통해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의 재생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개인 음원 데이터를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60)와 연동되고, 상기 추출부(60)에서 추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스트리밍 처리하여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부(6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어 각 유저별 음원 재생정보를 공유하는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와; 어느 한 유저 단말기(2b)로부터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와; 상기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로 인해 연동된 음원 재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가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재생 정보의 싱크를 관리하는 재생정보 관리부(1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보정의 매개 변수가 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간의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동기화 신호 수신부터 음원 재생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는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와;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 지점을 API 통신을 통해 판단하는 재생지점 판단부(20)와; 상기 재생지점 판단부(20)에서 판단된 재생지점에, 상기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에서 연산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시간을 연산하는 보정시간 연산부(22)와; 상기 보정시간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보정시간을 음원데이터에 적용하여 음원 재생을 추종하는 유저의 음원 재생에 대한 싱크 정보를 생성하는 싱크정보 생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개 음원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고 개인이 소유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다른 유저와 싱크하면서 즐길 수 있는 바, 매우 오래된 희귀 음원데이터의 경우 그 음원데이터를 함께 소유한 지인과 언제든지 싱크하면서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유저는 비록 다른 유저와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를 Private 스트리밍 서버에 업로드한다고 하여도, 자신의 개인 음원데이터에 부여된 싱크 식별코드를 다른 지인에게 알려주지 않음으로써 지인과 자신의 싱크를 통제할 수 있고, 유저가 Private 스트리밍 서버에 업로드하지 않은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하거나 또는 싱크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싱크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에 포함된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에 포함된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을 통해 개인 음원데이터를 싱크 가능하게 등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개인 음원데이터의 싱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유저 단말기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개인 음원데이터별로 등록된 싱크 식별코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에 포함된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유저들이 각자 본인이 보유한 mp3를 서버의 유저별 프라이빗 음원 DB에 업로드하고, 동일 음원으로 확인된 음악에 대해 mp3 업로드시 자동으로 생성된 싱크 식별코드를 상호 공유하여 등록함으로써 프라이빗 음원을 싱크할 수 있게 한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내부에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내부 메모리(4a, 4b)에 저장된 각각의 개인 음원데이터(6)를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고, 다른 유저의 실시간 음원 재생정보를 열람하고 선택적으로 음원 싱크를 요청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내부에,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을 갖춘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가 업로드하는 개인 음원데이터(6)를 저장하고, 각 개인 음원데이터(6)별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그 싱크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각 개인 음원데이터(6)를 스트리밍 처리하는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고, 유저단말기로부터 특정 타인의 재생 음원에 대한 추종 동기화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그 음원데이터에 대한 오차 시간을 연산하여 보정한 보정 신호를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원의 싱크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싱크 식별코드를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별로 자동 생성하는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와; 상기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입력한 싱크 식별코드와, 유저 단말기(2a, 2b)로부터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각각 매칭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싱크 시스템 기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인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각 유저가 유저 단말기(2a, 2b)에 보유하고 있는 개인 음원데이터(8)를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각 유저별로 업로드하여 음원데이터의 재싱시 싱크를 도모한다고 하여도 통상적으로는 동일한 음악이라고 할지라도 출시 버전, 일반 품질 버전, 고품질 음원 버전, 콘서트 버전(콘서트별로 다양함) 등과 같이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고, 이 경우는 각 유저별로 동일한 음악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버전인지를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각 유저가 유저 단말기(2a, 2b)에 보유하고 있는 개인 음원데이터(8)를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별도의 싱크 식별코드를 입력받지 않으면 신규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서 해당 유저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 1유저(A)는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표시되는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8)에 부여된 싱크 식별코드를 제 2 유저(B)에게 알려줄 수 있고, 제 2유저(B)가 자신의 개인 음원데이터(8)를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면서 제 1유저(A)가 알려준 싱크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상기 제 1유저(A)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상기 제 2유저(B)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에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가 입력되어져 있으므로 동일한 음악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상기 제 1유저(A)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상기 제 2유저(B)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에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를 등록하는 것은 제 1, 2 유저(A, B)가 각각의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8)를 싱크하기 위한 목적이고, 두 개의 서로 다른 개인 음원데이터(8)가 동일한지의 여부는 각 유저가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각각 저장된 자신의 개인 음원데이터(8)에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를 매칭하여 등록한 서로 다른 유저는 적어도 지인일 것이다.
또한, 유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을 구동시켜서 Private 음원 DB(52)에 등록된 개인 음원데이터(8)의 정보와, 그 개인 음원데이터(8)별로 부여되거나, 직접 입력하여 등록한 싱크 식별코드(72: 도 6참조)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그 싱크 식별코드(72)를 지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를 다른 유저 단말기(2b)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특정 유저의 음원 재생정보를 그 유저단말기(2b)로 전송하는 타인 재생정보 전송부(58)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싱크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지를 그 특정 유저를 선택한 다른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를 탐색하여 비교하는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는 각 유저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각 유저별로 저장하는 Private 음원 DB(52)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Private 음원 DB(52)는 다수의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는 각 유저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각 개인 음원데이터(8)와 함께 싱크 식별코드가 저장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타인이 재생하는 개인 음원데이터가 Private 음원 DB(52)에 구성된 자신의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저장된 경우,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는 유저의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통해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의 재생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개인 음원 데이터를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60)와 연동되고, 상기 추출부(60)에서 추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스트리밍 처리하여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부(64)가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더 포함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에 포함된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어 각 유저별 음원 재생정보를 공유하는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와; 어느 한 유저 단말기(2b)로부터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와; 상기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로 인해 연동된 음원 재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가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재생 정보의 싱크를 관리하는 재생정보 관리부(16)가 포함된다.
상기 유저 단말기(2a, 2b)는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에 대해 API 접속되게 되며,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도 연동되어 개인 음원데이터의 재생 및 싱크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보정의 매개 변수가 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간의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동기화 신호 수신부터 음원 재생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는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와;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 지점을 API 통신을 통해 판단하는 재생지점 판단부(20)와; 상기 재생지점 판단부(20)에서 판단된 재생지점에, 상기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에서 연산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시간을 연산하는 보정시간 연산부(22)와; 상기 보정시간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보정시간을 음원데이터에 적용하여 음원 재생을 추종하는 유저의 음원 재생에 대한 싱크 정보를 생성하는 싱크정보 생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는 재생 신호를 요청하는 시점부터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는 바, 유저 단말기(2a,2b)가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 재생플레이어 모듈(미도시)을 구동시켜서 실제로 음원이 재생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서 미리 처리하여 등록하고,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와 유저단말기(2a,2b)간 지연시간은 1회의 신호 전송과, 그 피드백 신호를 통해 통신 시간을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가 그 지연시간 연산을 처리한다.
이러한 싱크기술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 10-2369682에 기재되어져 있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의 동작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을 통해 개인 음원데이터를 싱크 가능하게 등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개인 음원데이터의 싱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유저가 미리 음원 퍼블리싱 플랫폼을 통해 미리 구입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2a)에 저장된 개인 음원데이터(8a)를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의 “올리기 모드(도 6참조)”를 통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Private 음원 DB(52)는 이러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각 유저만이 유저 단말기(2a)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이 다수개로 분할되어져 있다.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유저의 개인 데이터(8) 업로드시, 유저별 저장공간(52a-52n) 하나를 해당 유저에게 부여하고, 유저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8)의 업로드에 맞춰서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8)를 식별할 수 있는 싱크 식별코드를 생성시키고, 그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해당 유저(A)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각 개인 음원데이터(8)와 함께 싱크 식별코드(72: 도 6참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의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저장된 개인 음원데이터 정보 및 싱크 식별코드(72)는 유저가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을 구동시키면 API 통신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유저(A: 이하, 제 1유저라 함)가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등록한 개인 음원 데이터(8)와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보유한 유저(B: 이하, 제 2유저라 함)가 제 1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8) 재생시 그 개인 음원데이터(8)에 싱크되도록 요청하고자 한다면, 먼저 제 2유저(b)는 개인 음원데이터(8)를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의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제 2유저(b)는 미리 음원 퍼블리싱 플랫폼을 통해 미리 구입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2a)에 저장된 개인 음원데이터(8a)를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의 “올리기 모드(도 6참조)”를 통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개인 음원데이터(8)를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의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등록할 때에는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가 자동으로 생성한 싱크 식별코드(72)를 사용하거나 또는 직접 제 2유저(b)가 수동으로 싱크 식별코드(72)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유저(B)가 제 1유저(A)의 재생 음원에 대해 싱크하기 위함이므로, 제 2유저(B)는 제 1유저(A)로부터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8)에 대한 싱크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로 전송해야 한다.
그러면, 마찬가지로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상기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해당 유저(A)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함께 싱크 식별코드(72: 도 6참조)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해당 제 1유저(A)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제 유저(A)가 상기 유저단말기(2a,2b)에 탑재된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도 6과 같이 오로지 제 1유저(A)만 확인 가능하다.
즉, 각 유저가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의 상기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유저별로 업로드하여 저장한 개인 음원데이터(8)는 당연히, 업로드한 유저만 확인 가능하게 표시된다.
다만, 유저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다른 유저가 재생하는 음원 재생정보를 열람할 수는 있다.
만약, 제 1유저(A)와 제 2유저(B)가 지인이고, 제 1유저(A)와 제 2유저(B)가 각각 자신의 상기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업로드하고 그 개인 음원데이터(8)가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72)로 등록된 경우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 1유저(A)가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8)을 통해 상기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 저장된 어느 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바,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8)를 재생하게 되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개인 음원데이터(8)에 대한 재생 정보를 다른 유저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2유저(B)가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8)을 구동한 상태라면, 그 제 2유저(B)의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8)을 통해 제 1유저(A)가 재생하는 개인 음원데이터(8)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 2유저(B)가 제 1유저(A)가 재생하는 개인 음원데이터(8)를 싱크하고자 한다면, 제 2유저(B)는 그 싱크 요청신호는 상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8)을 통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재생하고자 하는 제 1유저(A)의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72)와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72)가 제 2유저(B)의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72)가 제 2유저(B)의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존재하는 경우라면,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는 제 2유저(B)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음원데이터를 제 1유저(A)가 재생하는 음원데이터에 대해 싱크처리한다.
한편, 제 1 유저(A)의 재생 음원정보가 제 2유저(B)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표시되더라도, 제 2 유저(B)의 Private 음원 DB(52)에 제 1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와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지 않으면 제 2유저 단말기(2b)에서는 해당 개인 음원데이터의 재생과 싱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록 싱크 식별코드(72)가 일치하면, 싱크 식별코드(72)가 일치되는 각 유저의 개인 음원데이터(8)가 서로 다른 음원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와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두 개인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싱크 처리한다.
반면, 서도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싱크 식별코드(72)가 상이하면 싱크 처리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철저하게 각 개인별 음원데이터를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여 해당 유저가 홀로 재생하거나, 또는 동일한 음원데이터를 마찬가지로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한 유저끼리 싱크하면서 즐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공개 음원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고 개인이 소유한 음원 데이터를 개인적으로 싱크하면서 즐길 수 있는 바, 매우 오래된 희귀 음원데이터의 경우 오로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을 통해서만 싱크해서 즐길 수 있다.
이때, 유저는 비록 다른 유저와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를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한다고 하여도, 자신의 개인 음원데이터에 부여된 싱크 식별코드를 다른 지인에게 알려주지 않음으로써 지인과 자신의 싱크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가 부여된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해서만 싱크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은 유저가 Private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지 않은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하거나 또는 싱크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싱크를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a,2b:유저단말기, 6:음원재생 어플리케이션,
8:개인 음원데이터, 10:음원 동기화 처리서버,
50: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

Claims (13)

  1. a)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유저 단말기(2a)로부터 개인 음원데이터를 수신받아서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별로 등록하는 과정과;
    b)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유저 단말기(2a)로 그 개인 음원데이터에 매칭되는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c)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다른 유저 단말기(2b)로부터 개인 음원데이터와 특정 싱크 식별코드를 수신받아서 해당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별로 등록하는 과정과;
    d)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가 어느 한 유저 단말기(2b)로부터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받는 과정과;
    e)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와 동일한 싱크 식별코드가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f) 일치하는 싱크 식별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가 싱크 요청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한 음원데이터를 유저 단말기(2b)에서 재생되게 처리하고,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가 두 유저(A,B)의 음원데이터를 싱크되게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과 d) 과정의 사이에는,
    상기 유저 단말기(2b)에 탑재된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다른 유저가 재생하는 음원데이터 정보가 표시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과정에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대한 개인 음원데이터 입력시, 매칭되는 싱크 식별코드는 자동으로 생성받거나 또는 수동으로 유저가 직접 입력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다른 유저(A)의 재생 음원정보가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에 표시되더라도, 해당 유저(B)의 Private 음원 DB(52)에 표시되는 다른 유저(A)의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지 않으면 재생 및 싱크가 이루어지지 않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과정에서, 싱크 식별코드가 일치하는 각 유저의 개인 음원데이터가 서로 다른 음원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두 개인 음원데이터를 싱크 처리하고, 서도 동일한 개인 음원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싱크 식별코드가 상이하면 싱크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어느 한 유저(B)가 타 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와 싱크하기 위해 수동으로 싱크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타 유저(A)의 개인 음원데이터에 미리 부여된 싱크 식별코드를 싱크하고자 하는 유저(B)가 타 유저(A)로부터 공유받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방법.
  7. 내부에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내부 메모리(4a, 4b)에 저장된 각각의 개인 음원데이터(6)를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에 업로드하고, 다른 유저의 실시간 음원 재생정보를 열람하고 선택적으로 음원 싱크를 요청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내부에,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을 갖춘 Private 음원 DB(52)에 유저가 업로드하는 개인 음원데이터(6)를 저장하고, 각 개인 음원데이터(6)별 싱크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그 싱크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각 개인 음원데이터(6)를 스트리밍 처리하는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고, 유저단말기로부터 특정 타인의 재생 음원에 대한 추종 동기화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그 음원데이터에 대한 오차 시간을 연산하여 보정한 보정 신호를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원의 싱크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싱크 식별코드를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별로 자동 생성하는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와;
    상기 싱크 식별코드 자동 생성부(54)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입력한 싱크 식별코드와, 유저 단말기(2a, 2b)로부터 업로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각각 매칭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는 그 내부에,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를 다른 유저 단말기(2b)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특정 유저의 음원 재생정보를 그 유저단말기(2b)로 전송하는 타인 재생정보 전송부(58)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매칭된 싱크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싱크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지를 그 특정 유저를 선택한 다른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를 탐색하여 비교하는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Private 음원 DB(52)는 다수의 유저별 저장공간(1-n)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그 유저별 저장공간(52a-52n)에는 각 유저가 업로드한 개인 음원데이터(8)와, 각 개인 음원데이터(8)와 함께 싱크 식별코드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식별코드 비교부(62)는 유저의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를 통해 특정 개인 음원데이터의 재생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개인 음원 데이터를 유저의 Private 음원 DB(52)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60)와 연동되고,
    상기 추출부(60)에서 추출된 개인 음원데이터(8)를 스트리밍 처리하여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부(6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프라이빗 스트리밍 서버(50)와 연동되어 각 유저별 음원 재생정보를 공유하는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와;
    어느 한 유저 단말기(2b)로부터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와;
    상기 재생정보 연동처리부(12)로 인해 연동된 음원 재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싱크 요청신호 수신부(14)가 음원데이터에 대한 싱크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재생 정보의 싱크를 관리하는 재생정보 관리부(1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는 그 내부에, 보정의 매개 변수가 되는 유저 단말기(2a, 2b)와 음원 동기화 처리서버(10)간의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동기화 신호 수신부터 음원 재생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는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와;
    특정 유저의 재생 음원데이터에 대한 재생 지점을 API 통신을 통해 판단하는 재생지점 판단부(20)와;
    상기 재생지점 판단부(20)에서 판단된 재생지점에, 상기 보정 전처리 시간 연산부(18)에서 연산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시간을 연산하는 보정시간 연산부(22)와;
    상기 보정시간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보정시간을 음원데이터에 적용하여 음원 재생을 추종하는 유저의 음원 재생에 대한 싱크 정보를 생성하는 싱크정보 생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KR1020220100730A 2022-08-11 2022-08-11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22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30A KR20240022257A (ko) 2022-08-11 2022-08-11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30A KR20240022257A (ko) 2022-08-11 2022-08-11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257A true KR20240022257A (ko) 2024-02-20

Family

ID=9005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730A KR20240022257A (ko) 2022-08-11 2022-08-11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2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JP6456525B2 (ja) カラオケ処理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6664300B (zh) 云队列访问方法、计算设备和云队列访问控制方法
US8521316B2 (en) Coordinated group musical experience
KR100917069B1 (ko) 상호 공유된 미디어 경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3014617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bluetooth party-mode
CN105075282B (zh) 用于媒体体验社交界面的系统和方法
CN104583998B (zh) 用于提供来宾访问的系统、方法、装置和制品
JP2018519538A (ja) カラオ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925783A (zh) 对媒体的同步回放和控制
CN104520927A (zh) 音频内容试听
US9129014B2 (en) Profil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130103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240022257A (ko) 프라이빗 음원데이터 싱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42228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headphon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53669A (ko) 음악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662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코드 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사용자 단말
KR102369682B1 (ko) 음원 재생정보 제공시스템
JP6208439B2 (ja)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キー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20220215819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the interactive creation of live music by multiple users
WO2017078003A1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媒体
KR102171479B1 (ko) 디지털 오디오 공동 재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244150B1 (ko) 블록체인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노래하는 방법
US202200607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lay context recognition using ultrasound codes
US20160179926A1 (en) Music play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