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416A -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416A
KR20240021416A KR1020220099700A KR20220099700A KR20240021416A KR 20240021416 A KR20240021416 A KR 20240021416A KR 1020220099700 A KR1020220099700 A KR 1020220099700A KR 20220099700 A KR20220099700 A KR 20220099700A KR 20240021416 A KR20240021416 A KR 2024002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information
marine
user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철
Original Assignee
조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철 filed Critical 조경철
Priority to KR102022009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416A/ko
Publication of KR2024002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해양 액티비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예약 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에 따라 해양 액티비티의 예약 가부를 판단하며, 예약 불가로 판단되면, 유사 해양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요청을 수신하면, 건강 체크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 가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Description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O2O-BASED MARINE ACTIV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해양 액티비티 예약 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에 따라 해양 액티비티의 예약 가부를 판단하며, 예약 불가로 판단되면, 유사 해양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하는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행 중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 해양 액티비티는 종류가 다양하고, 자연경관 관람 및 다양한 활동을 직접 여행지에서 할 수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해양 액티비티에는 돌핀크루즈, 스쿠버 다이빙, 씨워커, 씨트렉, 제트스키, 플라이 보드, 패러세일링, 웨이크 보드, 워터파크, 드롤링 낚시 등이 있고, 각각의 액티비티는 모두 다른 신체 난이도를 요구한다. 예컨대, 스쿠버 다이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잠수, 수영이 가능해야 하고, 제트스키는 수상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해양 액티비티가 있지만, 액티비티 종류에 따른 운동 강도와 필요한 신체 조절 능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여행 지에서 해양 액티비티를 제대로 즐기려면,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자신이 특정 해양 액티비티를 소화할 수 있는지 정확히 판단하고 참여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여행지에서는 액티비티를 진행하러 와서 액티비티 불가 판정을 받았을 경우 액티비티 예약비용 환불 불가는 물론이고, 액티비티 교육 시간 및 이동시간까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0876호 (2018.09.12)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31837호 (2021.11.03)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해양 액티비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예약 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에 따라 해양 액티비티의 예약 가부를 판단하며, 예약 불가로 판단되면, 유사 해양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요청을 수신하면, 건강 체크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 가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실시예에서는 건강 체크리스트 시스템을 통해 액티비티의 불가 판정을 받았을 경우, 유사경험 추천 시스템을 통해 이용객이 하고 싶어 했던 액티비티와 가장 유사한 경험을 선사해 줄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또한,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부득이하게 액티비티를 즐길 수 없게 됐을 경우, 유사 경험 추천 시스템을 통해, 가장 유사한 경험을 시켜 줄 수 있는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리뷰평점, 유의사항, 업체정보 등을 한눈에 비교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번거로웠던 예약을 간소화한다.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은 (A)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서버는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1 해양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서버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1 해양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서버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사용자 단말로 추천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코로나 19와 같이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 발병했을 때, 해당 질병의 간단한 문진표를 예약 전 체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비감염, 감염위험, 감염 등으로 분류, 비감염자에게 안전한 액티비티 이용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업체들에게는 안전한 이용객들을 제공하여 업체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축소하고, 건강 체크리스트 시스템을 통해 액티비티의 진행 가능, 불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 소비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액티비티를 진행하러 와서 액티비티 불가 판정을 받았을 경우 액티비티 예약비용 환불 불가는 물론이고, 액티비티 교육 시간 및 이동시간까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사전에 차단하여 소비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티비티 불가 판정이 된 경우, 유사한 액티비티를 추천하여, 이용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다른 액티비티를 추천해 줌으로써 기업고객의 피해 또한 감소 특히, 안전예약시스템의 구축으로 관광산업 및 기업고객과 이용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고객의 액티비티 예약 및 정보확인 편리성을 확보하여 이용고객의 액티비티 예약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티비티 참여 가능 판단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추천 액티비티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의 해양 액티비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수집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유사 액티비티 추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서비스 업체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요청을 수신한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1 해양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서버(200)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사용자 단말(100)로 추천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해양 액티비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예약 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에 따라 해양 액티비티의 예약 가부를 판단하며, 예약 불가로 판단되면, 유사 해양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요청을 수신하면, 건강 체크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제1 해양 액티비티 가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실시예에서는 건강 체크리스트 시스템을 통해 액티비티의 불가 판정을 받았을 경우, 유사경험 추천 시스템을 통해 이용객이 하고 싶어 했던 액티비티와 가장 유사한 경험을 선사해 줄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또한,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부득이하게 액티비티를 즐길 수 없게 됐을 경우, 유사 경험 추천 시스템을 통해, 가장 유사한 경험을 시켜 줄 수 있는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리뷰평점, 유의사항, 업체정보 등을 한눈에 비교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번거로웠던 예약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210), 서비스 업체 정보 수집 모듈(220),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230), 판단 모듈(240), 추천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210)은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한다.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210)은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 중 난이도를 수치화 하고, 활동정보가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을 생성한다. 이후,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에 따라 액티비티 간 유사도를 산출한다.
예컨대,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210)은 해양 액티비티로서, 돌핀 크루즈, 스쿠버 다이빙, 씨워커, 씨트렉, 제트스키, 플라이 보드, 패러세일링, 웨이크 보드, 워터파크, 드롤링 낚시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돌핀 크루즈에 해당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는 난이도-하, 활동정보-관광, 건강조건-기본신체활동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쿠버 다이빙에 해당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는 난이도-중상, 활동정보-잠수, 수영, 건강조건-수영가능, 10초 이상 잠수 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을 활동정보에 활동 정보에 따라 그룹화 한다. 실시예에서는 관람활동을 수행하는 돌핀 크루즈, 크루즈, 유람선 탑승 등의 액티비티를 관람그룹으로, 수상 스키 활동을 수행하는 씨트렉, 제트스키, 플라이보드, 웨이크 보드 등의 활동을 수상스키 그룹으로, 수영활동이 주가 되는 스쿠버 다이빙, 수영 등의 활동을 수영 그룹으로, 레저 활동이 주가 되는 워터파크, 페러세일링, 낚시 등의 활동을 레저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난이도가 중, 상 이상에 해당하는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수치화 한다. 실시예에서는 수상스키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액티비티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신체 활동량에 따라 액티비티 난이도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씨트렉의 난이도가 100으로 산출된 경우, 씨트렉 보다 적은 신체 활동량을 요구하는 플라이보드, 제트스키 등은 100 미만의 액티비티 난이도를 산출한다.
서비스 업체 정보 수집 모듈(220)은 해양 액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예약가능시간, 가격, 보유장비를 포함하는 업체 세부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참여를 희망하는 액티비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판단모듈(240)은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판단모듈(2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액티비티의 필수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항목을 비교하여, 체크된 항목이 필수 조건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액티비티의 참여 불가를 판단한다.
추천모듈(250)은 제1 액티비티 참여 불가가 판단된 경우, 제1 액티비티와 유사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제2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실시예에서 추천 모듈(250)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 적합 액티비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액티비티를 추천한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고, 액티비티 활동 별 난이도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와 해당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건강 체크리스트, 문답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와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최종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대응 외 학습하지 못한 패턴 처리를 위해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out of distribution detection)과정을 수행한다.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는 인공지능에 입력된 이미지가 학습된 확률분포 데이터 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이 판단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걸러내거나 예외 처리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위해서 딥러닝 판정에 대해 얼마나 확신(confidence)하는지를 나타내는 확률 값을 보정(calibration)하거나 학습 외 분포 데이터를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으로 생성하고 학습하여 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분석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모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연산을 간소화하는 경량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정보 분석을 위해 콘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에서 콘볼루션 필터를 변형하여 연산 차원을 축소(Reduction)하거나 큰 영향이 없는 신경망의 가중치(weight)를 삭제하는 가지치기, 가중치 값의 부동 소수점을 줄여 연산을 간소화하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학습시킨 큰 신경망의 출력을 작은 신경망에서 모방 학습하도록 하여 연산을 간소화하며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의 작용(기능)은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제1 액티비티 예약 요청을 전송한다. S200 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예약 요청 수신 후 제1 액티비티에 해당하는 건강 체크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S30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건강 체크리스트, 희망 활동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S400 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액티비티에 참여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35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로 액티비티 정보를 전송한다. 액티비티 정보에는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수집한 액티비티 가격, 예약가능시간, 서비스 업체 위치, 위치별 보유 장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제1액티비티 참여 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S500 단계로 진입한다. S500 단계에서는 제1액티비티와 유사한 추천 액티비티를 추출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액티비티와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다른 액티비티를 추출하거나,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다른 액티비티 중 제1액티비티와 난이도 차이가 일정 수준 미만인 액티비티를 추출할 수 있다.
S600 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추출된 추천 액티비티 정보를 전달한다. 실시예에서 추천 액티비티 정보는 액티비티 종류와 각 액티비티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세부정보, 가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S600 단계에서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 적합 액티비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액티비티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고, 액티비티 활동 별 난이도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와 해당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건강 체크리스트, 문답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와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최종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대응 외 학습하지 못한 패턴 처리를 위해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out of distribution detection)과정을 수행한다.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는 인공지능에 입력된 이미지가 학습된 확률분포 데이터 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이 판단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걸러내거나 예외 처리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위해서 딥러닝 판정에 대해 얼마나 확신(confidence)하는지를 나타내는 확률 값을 보정(calibration)하거나 학습 외 분포 데이터를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으로 생성하고 학습하여 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분석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모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연산을 간소화하는 경량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액티비티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정보 분석을 위해 콘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에서 콘볼루션 필터를 변형하여 연산 차원을 축소(Reduction)하거나 큰 영향이 없는 신경망의 가중치(weight)를 삭제하는 가지치기, 가중치 값의 부동 소수점을 줄여 연산을 간소화하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학습시킨 큰 신경망의 출력을 작은 신경망에서 모방 학습하도록 하여 연산을 간소화하며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티비티 참여 가능 판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한다. S320 단계에서는 해양 액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예약가능시간, 가격, 보유장비를 포함하는 업체 세부 정보를 수집한다. S33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참여를 희망하는 액티비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S340 단계에서는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S34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액티비티의 필수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항목을 비교하여, 체크된 항목이 필수 조건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액티비티의 참여 불가를 판단한다.
도 5는 추천 액티비티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 중 난이도를 수치화 하고, S420 단계에서는 활동정보가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을 생성한다. S430 단계에서는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에 따라 액티비티 간 유사도를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S420 단계에서는 해양 액티비티로서, 돌핀 크루즈, 스쿠버 다이빙, 씨워커, 씨트렉, 제트스키, 플라이 보드, 패러세일링, 웨이크 보드, 워터파크, 드롤링 낚시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돌핀 크루즈에 해당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는 난이도-하, 활동정보-관광, 건강조건-기본신체활동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쿠버 다이빙에 해당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는 난이도-중상, 활동정보-잠수, 수영, 건강조건-수영가능, 10초 이상 잠수 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을 활동정보에 활동 정보에 따라 그룹화 한다. 실시예에서는 관람활동을 수행하는 돌핀 크루즈, 크루즈, 유람선 탑승 등의 액티비티를 관람그룹으로, 수상 스키 활동을 수행하는 씨트렉, 제트스키, 플라이보드, 웨이크 보드 등의 활동을 수상스키 그룹으로, 수영활동이 주가 되는 스쿠버 다이빙, 수영 등의 활동을 수영 그룹으로, 레저 활동이 주가 되는 워터파크, 페러세일링, 낚시 등의 활동을 레저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난이도가 중, 상 이상에 해당하는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의 난이도를 수치화 한다. 실시예에서는 수상스키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액티비티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신체 활동량에 따라 액티비티 난이도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씨트렉의 난이도가 100으로 산출된 경우, 씨트렉 보다 적은 신체 활동량을 요구하는 플라이보드, 제트스키 등은 100 미만의 액티비티 난이도를 산출한다.
S430 단계에서는 산출된 난이도를 기반으로 제1 액티비티와의 난이도 차이에 따라 액티비티 별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난이도 차이가 적을수록 액티비티 유사도는 높게 산출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의 해양 액티비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해양 액티비티의 상세 정보뿐만 아니라 관광지의 축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특정 액티비티를 선택하면, 해당 액티비티의 상세 정보 및 예약 페이지를 출력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수집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건강 체크리스트 및 코로나 문진표, 안내 사항 등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유사 액티비티 추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액티비티 참여 불가 판정을 받는 경우, 해당 액티비티와 활동 또는 난이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사한 다른 액티비티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추천받은 액티비티의 상세 정보를 상세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코로나 19와 같이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 발병했을 때, 해당 질병의 간단한 문진표를 예약 전 체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비감염, 감염위험, 감염 등으로 분류, 비감염자에게 안전한 액티비티 이용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업체들에게는 안전한 이용객들을 제공하여 업체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축소하고, 건강 체크리스트 시스템을 통해 액티비티의 진행 가능, 불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 소비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액티비티를 진행하러 와서 액티비티 불가 판정을 받았을 경우 액티비티 예약비용 환불 불가는 물론이고, 액티비티 교육 시간 및 이동시간까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사전에 차단하여 소비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티비티 불가 판정이 된 경우, 유사한 액티비티를 추천하여, 이용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다른 액티비티를 추천해 줌으로써 기업고객의 피해 또한 감소 특히, 안전예약시스템의 구축으로 관광산업 및 기업고객과 이용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고객의 액티비티 예약 및 정보확인 편리성을 확보하여 이용고객의 액티비티 예약률을 높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서버는 상기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서버는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해양 액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예약가능시간, 가격, 보유장비를 포함하는 업체 세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참여를 희망하는 액티비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액티비티 참여 불가가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액티비티와 유사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제2 액티비티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단계; 는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 중 난이도를 수치화 하고,
    활동정보가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을 생성하고,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에 따라 액티비티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액티비티의 필수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항목을 비교하여, 체크된 항목이 필수 조건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액티비티의 참여 불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단계; 는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 적합 액티비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액티비티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방법.
  6.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해양 액티비티에 대한 예약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건강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된 건강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를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해양 액티비티와 유사한 제2 해양 액티비티를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는
    해양 액티비티 각각의 참여 가능한 신체 조건, 필요한 신체능력, 건강조건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 및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를 수집하는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
    해양 액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예약가능시간, 가격, 보유장비를 포함하는 업체 세부 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업체 정보 수집 모듈;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참여를 희망하는 액티비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액티비티 참여 필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액티비티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제1 액티비티 참여 불가가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액티비티와 유사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제2 액티비티를 추천하는 추천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 정보 수집 모듈; 은
    수집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 활동정보, 가격을 포함하는 액티비티 세부정보 중 난이도를 수치화 하고,
    활동정보가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을 생성하고,
    동일한 액티비티 그룹에 포함된 액티비티 각각의 난이도에 따라 액티비티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 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액티비티의 필수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항목을 비교하여, 체크된 항목이 필수 조건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액티비티의 참여 불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모듈; 은
    사용자의 건강 체크리스트 및 희망 활동 정보가 포함된 문답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 적합 액티비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액티비티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20099700A 2022-08-10 2022-08-10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1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00A KR20240021416A (ko) 2022-08-10 2022-08-10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00A KR20240021416A (ko) 2022-08-10 2022-08-10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416A true KR20240021416A (ko) 2024-02-19

Family

ID=900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700A KR20240021416A (ko) 2022-08-10 2022-08-10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4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0876A1 (en) 2009-08-28 2018-04-12 Stmicroelectronics S.R.L. Electromagnetic shield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US20210131837A1 (en) 2019-11-06 2021-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supported portable sensor for liqui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0876A1 (en) 2009-08-28 2018-04-12 Stmicroelectronics S.R.L. Electromagnetic shield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US20210131837A1 (en) 2019-11-06 2021-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supported portable sensor for liqui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998B2 (en) Adaptive advisory engine and methods to predict preferential activities available at a region associated with lodging
KR102123396B1 (ko)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CN110287960A (zh) 自然场景图像中曲线文字的检测识别方法
CN109086919A (zh) 一种景点路线规划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5468580A (zh) 基于关注点信息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CN107291841A (zh) 一种基于位置和用户画像智能匹配社交目标的方法和系统
CN107870669A (zh) 用于增强现实体系架构中改进的数据集成的系统和方法
Aicher et al. To explore or race? Examining endurance athletes’ destination event choices
CN106997389A (zh) 一种基于多数据集和协同张量分解的旅游景点推荐方法
CN109784199B (zh) 同行分析方法及相关产品
CN106462860A (zh) 基于活动跟踪的推荐
CN106095841A (zh) 一种基于协同过滤的移动互联网广告推荐方法
CN10442394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599110A (zh) 基于人工智能的语音搜索方法及装置
CN113779384A (zh) 一种基于客户画像的航班推荐系统
JP5730741B2 (ja) 話題推薦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24230A (zh) 基于行进的通知
CN107251048A (zh) 可靠指尖和手掌检测
Albayrak et al. Big data use in determining competitive position: The case of theme parks in Hong Kong
CN110851621A (zh) 基于知识图谱预测视频精彩级别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546576A (zh) 建立预测模型的方法及装置
KR20240021416A (ko) O2o 기반 해양 액티비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Yeoman et al. Tourist behaviour in a COVID-19 world: a New Zealand perspective
US20220035840A1 (en) Data management devi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13766633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