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393A - Pet Brush Device - Google Patents

Pet Brush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393A
KR20240021393A KR1020220099651A KR20220099651A KR20240021393A KR 20240021393 A KR20240021393 A KR 20240021393A KR 1020220099651 A KR1020220099651 A KR 1020220099651A KR 20220099651 A KR20220099651 A KR 20220099651A KR 20240021393 A KR20240021393 A KR 2024002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et
brush body
pe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성
Original Assignee
최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성 filed Critical 최대성
Priority to KR102022009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393A/en
Publication of KR2024002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39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질소재의 브러시 본체와, 상기 브러시 본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브러시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본체에는 반려동물의 출입과정에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휘어짐을 보조하도록, 내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러시 돌기는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 적어도 2줄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소재로 제작된 브러시를 출입구에 장착하여 반려동물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털이 자연스럽게 빗질되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brush body made of soft material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a passage for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brush bodie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rush body. Includes a first brush protrusion, wherein the brush body is formed with at least two or more incisions from the inner periphery to the outside to assist in bending of the brush body dur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first brush protrusion is formed in the passage. A brush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lines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ush made of soft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allow the pet's fur to be naturally combed as the pet passes through the entrance, thereby facilitating pet hair care.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Pet Brush Device}Brush device for pets {Pet Brush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시설물의 출입구에 장착하여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그루밍이 이루어지게 하는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질소재로 제작된 브러시가 출입구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이 출입구를 통과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털을 자연스럽게 빗질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털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device tha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facility for companion animals to allow natural grooming while the companion animal enters and exits. More specifically, a brush made of soft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entering and exiting the facility. It is about a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naturally comb your pet's fur and collect the pet's hair at the same time by passing the .

통계청이 2021년 9월 27일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인구·가구 부문 표본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312만 9000가구로 전체 가구 수가 2092만 7000가구인 것을 고려하면 전체의 15.0%가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양육가구 대다수는 개와 고양이를 키웠으며, 242만 3000가구는 개를 키운다고 응답하였으며, 71만 7000가구가 고양이를 키우는 것으로 알려졌다.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sample survey of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nounced by Statistics Korea on September 27, 2021, there are 3,129,000 households raising pets, and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s 20,927,000, 15.0% of the total have pets. Raising animals.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households raising pets owned dogs and cats, with 2,423,000 households responding that they owned dogs, and 717,000 households that raised cats.

이렇듯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 lot of interest in the health and care of pets.

가정에서 반려동물로 키우는 개, 특히 고양이는 장모종과 단모종을 가리지 않고 털 빠짐이 심한 동물로서 그 품종과 생활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특히 털갈이 시기인 봄·가을 환절기 때에는 집 안 구석구석에서 털 뭉치가 돌아다니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환기가 자주 되지 않는 방에서는 천식,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는 큰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은 환절기는 물론 일반적인 시기에도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Dogs, especially cats, kept as pets at hom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long-haired or short-haired, are animals that shed hair a lo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breed and living environment, but especially during the change of seasons between spring and fall, which is the season for shedding, hair clumps can be found everywhere in the house. Not only is it not good for hygiene, but especially in rooms that are not frequently ventilated, it can cause asthma and coughing, which is a big problem. Therefore, pet fur needs regular care not only during seasonal changes but also in general.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털 손질을 위해 혀로 핥거나 이빨이나 발톱으로 다듬는 행동인 그루밍(grooming)을 하고 이는 반려동물 스스로의 위생상태 향상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을 찾거나 냄새 등으로 인한 자신의 흔적을 감추기 위해서이다.In general, pets engage in grooming, which is the act of licking with the tongue or trimming with teeth or claw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ur. This not only improves the pet's own hygiene, but also provides emotional stability and odor. This is to hide traces of oneself.

특히 고양이의 경우 혓바닥에 목구멍 쪽을 향해 고리처럼 뻗은 케라틴을 함유한 유두돌기가 있어 그루밍 과정에서 빠진 털이 여기에 끼게 되어 다량의 털을 삼키게 되고, 이렇게 위장에 쌓인 털이 뭉쳐져 헤어볼이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헤어볼은 구토를 통해 체외로 배출하게 되며, 헤어볼로 미처 배출되지 못한 털은 변비를 유발하거나 소화 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건강문제를 유발하므로 털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줄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ats, the tongue has papillary protrusions containing keratin that extend like a ring toward the throat, and the hair lost during the grooming process gets caught here and a large amount of hair is swallowed. In this way, the hair accumulated in the stomach clumps up and forms a hairball. These hairballs are expelled out of the body through vomiting, and hair that is not expelled as hairballs causes health problems such as constipation or digestive problem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the hair.

반려동물의 털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브러시를 이용하며,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붙잡은 상태에서 털 손질을 하게 된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도망가거나 반항 또는 순응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반려동물의 털 손질을 해주어야 한다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따른다.A brush is generally used to manage a pet's fur, and the user grooms the pet while holding it.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et runs away, rebels, or does not comply, and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the user having to regularly groom the pet's fur comes with it.

이에 반려동물의 털 관리를 위하여 반려동물 스스로 브러싱 할 수 있는 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58089호에서는 반려동물이 스스로 브러싱 할 수 있게 브러시 모를 구비한 브러시 기판을 터널 형상으로 형성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180385호에서는 반려동물 하우스의 개구부나 통의 내측에 브러시를 설치하는 것으로 반려동물의 그루밍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2-0060685호에서는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통로에 반려동물용 그루밍 브러시를 장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들은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곳에 브러시를 설치하는 등의 유사한 기술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2-0060685호에 의한 반려동물용 그루밍 브러시를 나타낸 예시 도면을 도1에 도시하였다.Accordingly, in order to manage the pet's fur, a device that allows the pet to brush itself has been publish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58089 discloses a technology for forming a brush substrate with brush bristles in a tunnel shape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brush themselves. An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80385, the grooming needs of pets are satisfied by installing a brush inside the opening or barrel of the pet house. Additional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0685 discloses a technology for installing a grooming brush for pets in the passageway through which pets come and go. Prior literature shows similar technologies, such as installing brushes in places where pets come and go. Representatively, an example drawing showing a grooming brush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0685 is shown in Figure 1.

도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그루밍 브러시(10)는 중앙부에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통로가 형성된 브러시본체(11), 브러시 본체의 통로 내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빗살(12), 브러시 본체에 형성된 플랜지(13) 및 브러시 본체와 체결되어 그루밍 브러시(10)를 출입구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은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과정에서 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그루밍 브러시를 제공하고 브러시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하여 브러시의 오염 시 브러시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grooming brush 10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ure 1 includes a brush body 11 with a passage for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at the center, a plurality of comb teeth 12 toward the inside of the passage of the brush body, and a flange formed on the brush body ( 13) and a bracket 15 that is fastened to the brush body and fixes the grooming brush 10 to the entrance. The prior literature provides a grooming brush that can manage fur while a companion animal comes and goes, and makes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brush so that the brush can be cleaned when it becomes dirty.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서, 충분한 브러싱을 위해서는 다수의 빗살(12)의 선단을 둘러싸는 원의 크기가 통상적인 반려동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경우 빗살(12)은 매우 부드러운 연질의 소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선행문헌은 플랜지(13)의 내주연을 따라 한 줄의 빗살만이 형성되므로 한 번의 빗질만으로는 충분한 그루밍이 어렵고 빗살(12)이 너무 부드러워 충분한 빗질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literature, for sufficient brushing, the size of the circle surrounding the tip of the plurality of comb teeth 12 needs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a typical companion animal, and in this case, the comb teeth 12 are made of very soft soft material. material must be used. In this way, the prior literature has a problem in that since only one row of comb teeth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13, it is difficult to provide sufficient grooming with just one combing, and the comb teeth 12 are too soft to provide sufficient combing.

빗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빗살(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는 반려동물에게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어 반려동물이 브러시가 장착된 출입구를 출입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들 수 있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mbing, the strength of the comb teeth 12 can be increased, but this has the problem of applying more pressure than necessary to the pet, making the pet reluctant to enter and exit the doorway equipped with the brush.

또한, 플랜지(13)의 내주연을 따라 한 줄의 빗살만이 형성되어 브러시 과정에서 벗겨진 털이 그대로 바닥에 떨어져 바닥을 오염시키거나 흩날리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털을 코로 흡입하여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only a single line of comb teeth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13), so the fur removed during the brushing process falls on the floor and contaminates the floor, or in the process of scattering, pets inhale the fur through their noses, which can affect their lives. There are possible problems.

따라서, 반려동물이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드나들게 하면서도 효과적인 그루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provide effective grooming while allowing companion animals to come and go naturally without resistance.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9-58089호(발명의 명칭 : 반려동물 브러시 터널)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58089 (Name of invention: Pet brush tunnel)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9-180385호(발명의 명칭 : 쓰다듬기 부재를 갖는 펫 용품)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80385 (Title of invention: Pet article having a stroking member)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2-0060685호(발명의 명칭 : 반려동물용 그루밍 브러시)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0685 (Title of invention: Grooming brush for companion animal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이 시설물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피부에 고통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그루밍이 잘 이루어지고 털 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good grooming and prevent hair from flying without causing pain to the skin of the pe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The goal is to provide brushes for pets that can b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털을 브러싱하는 브러시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질소재의 브러시 본체와, 상기 브러시 본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브러시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본체에는 반려동물의 출입과정에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휘어짐을 보조하도록, 내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러시 돌기는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 적어도 2줄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a brush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entrance of a facility where pets enter and exit and brushes the pet's fur, and is plate-shaped and has a passage for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at the center. It includes a brush body made of soft material and a plurality of first brus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rush body, wherein the brush body assists in bending the brush body dur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is end, at least two or more incisions are formed from the inner periphery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brush protrusions are formed in at least two lines on the outside of the passage.

또한, 상기 브러시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브러시 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brush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brush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body.

또한, 상기 브러시 본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에 상기 브러시 본체를 고정결합 또는 분리 되게 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brush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s provided, wherei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body and a coupling member for fixing or separating the brush body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소재로 제작된 브러시를 출입구에 장착하여 반려동물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털이 자연스럽게 빗질되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ush made of soft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allow the pet's fur to be naturally combed as the pet passes through the entrance, thereby facilitating pet hair care.

또한, 다수개의 브러시 돌기가 반려동물에 밀착되어 효과적으로 브러싱 되게 함과 동시에 브러싱 후 떨어진 털이 브러시 돌기에 뭉쳐지게 함으로써 털 날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ple brush protrusions adhere closely to the pet to enable effective brus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hair that falls after brushing clumps up on the brush protrusions, thereby preventing hair fluttering.

또한, 일정기간 사용하여 오염된 브러시를 분리 세척 후 다시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한 생활이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separate and clean brushes that have been contaminated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reassemble them, whic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healthy life for pets.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려동물용 그루밍 브러시의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이 통과하는 동안의 브러시의 움직임에 관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숨숨집에 장착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캣터널에 장착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양이 화장실에 장착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of a grooming brush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brus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pet brus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a brush while a companion animal passes 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of a pet brush device mounted on a breathing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of a pet brush device mounted on a cat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of a pet brush device mounted on a cat litte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press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that is not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사시도이고,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브러시장치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이 지나가는 동안의 브러시의 움직임에 관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brus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pet brus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t brus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of the movement of the brush as the animal passes by.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는 브러시 본체(100),제1 브러시 돌기(200), 제2 브러시 돌기(300) 및 절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brush device for pets includes a brush body 100, a first brush protrusion 200, a second brush protrusion 300, and a cutout portion 400.

브러시 본체(100)는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장착되는 연질 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 그 중앙부는 반려동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드럽고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에 닿을 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ush body 100 is a plate-shaped member made of soft material that is mounted at the entrance of a facility where companion animals enter and exit, and a passage is formed in its central portion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Preferably, it is made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to prevent injury when it touches the pet's skin.

또한, 통상적인 반려동물의 크기보다 작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통로를 형성시켜 반려동물의 출입시 반려동물의 몸통 둘레 전체가 브러시 본체의 내주연과 충분히 접촉되어 그루밍의 효과가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ircular or oval passage smaller than the size of a typical pet is formed so that when the pet enters and exits,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pet's body is in sufficient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brush body to maximize the grooming effect. desirable.

브러시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체결홀(500)이 복수 개 형성되어 출입구의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재(600)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여 브러시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하여 몸통둘레의 크기가 서로 다른 반려동물의 각 상황에 맞는 브러시 규격에 맞춤한 반려동물브러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body 10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00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brush can be easily replaced by being coupled or separated with a coupling member 60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entr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t brush device tailored to the brush specifications suited to each situation of pets with different body circumference sizes.

결합부재(600)는 볼트부재(610)와 너트부재(620)를 통해 브러시 본체(100)를 고양이를 위한 시설물에 탈부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oupling member 600 provides the func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rush body 100 to a facility for cats through the bolt member 610 and the nut member 620.

제1 브러시 돌기(200)는 브러시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돌출형성된 것으로서, 통로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적어도 2줄 이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촘촘하게 구성된 제1 브러시돌기(200)로 반려동물이 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한 번의 빗질로도 충분한 그루밍이 이루어 질 수 있게된다. 또한, 브러싱 과정에서 벗겨진 반려동물의 털은 제1 브러시 돌기(200) 사이에 엉켜있게 되어 털 날림이 최소화되어 바닥의 오염을 막을 수 있게된다.The first brush protrusions 200 protrude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rush body 100,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t least two rows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Through this, sufficient grooming can be achieved with a single combing performed while the pet passes through the passage using the first brush protrusion 200, which is tightly configured. In addition, the pet's fur that comes off during the brushing process becomes tangled between the first brush protrusions 200, thereby minimizing hair fluttering and preventing floor contamination.

그리고, 제1 브러시 돌기(200)의 끝단은 둥글게 가공하여 반려동물의 출입으로 그루밍이 이루어 질 때 반려동물의 연약한 피부조직이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브러시 본체(100)의 소재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브러시 본체(100)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브러싱 효과가 증대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first brush protrusion 200 is rounded to prevent the pet's delicate skin tissue from being injured when the pet is groomed.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brushing effect will be increased by using a material harder than that of the brush body 100 or by forming it thicker than the brush body 100.

제2 브러시 돌기(300)는 브러시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 형상의 부재로, 끝단은 둥글게 가공되어 반려동물의 피부가 상처나지 않도록 한다.The second brush protrusion 300 is a member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body 100, and the ends are processed to be rounded to prevent damage to the pet's skin.

절개부(400)는 브러시 본체(100)의 내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출입과정에서 브러시 본체(100)가 더욱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반려동물의 출입 시 브러시 본체(100)와 반려동물의 몸통둘레가 맞닿는 면적이 더욱 넓어지도록 통로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ut portion 400 is a portion cut outwar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brush body 100, and is formed in at least two portions so that the brush body 100 can be bent more easily dur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fore, it is more desira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passage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rush body 100 and the body circumference of the pet is wider when the pet enters and exits.

도4를 참조하여 반려동물이 통과하는 동안의 브러시의 움직임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movement of the brush while the companion animal passes is described as follows.

반려동물이 출입구를 통과 시 제2 브러시 돌기(300)가 반려동물의 몸통에 닿게 됨과 동시에 브러시본체(100)가 반려동물의 이동방향으로 휘어져 브러시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브러시 돌기(200)에 반려동물의 몸통이 닿게되고 반려동물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제1 브러시 돌기(200)로 그루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러시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제1 브러시 돌기(200)를 형성시켜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과정에서 충분한 그루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et passes through the doorway, the second brush protrusion 300 touches the pet's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brush body 10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et, and the first brush protrusio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rush main body 100 (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touches 200) and as the companion animal continues to move, grooming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brush protrusion 200. Preferably, the first brush protrusions 200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rush body 100 to ensure sufficient grooming while the companion animal comes and goes.

도5 내지 도7은 일실시예로 고양이의 슴슴집, 캣터널, 화장실에 적용된 반려동물 브러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 pet brush device applied to a cat's kennel, cat tunnel, and toilet, as an example.

각 출입문에 반려동물브러시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거부감없이 자연스럽게 드나들며 효과적인 그루밍이 이루어지게 하고, 털 날림을 최소화하여 반려동물의 건강한 생활이 이루어지게 한다.By installing a pet brush device at each door, pets can come and go naturally without resistance and are effectively groomed, and fur flying is minimized to ensure a healthy life for pe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 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그루밍 브러시 11 : 브러시본체
12 : 빗살 13 : 플랜지
15 : 브라켓 100: 브러시 본체
200: 제1 브러시돌기 300: 제2 브러시돌기
400: 절개부 500 : 체결홀
600 : 결합부재
10: Grooming brush 11: Brush body
12: Comb teeth 13: Flange
15: Bracket 100: Brush body
200: first brush projection 300: second brush projection
400: cutout 500: fastening hole
600: Coupling member

Claims (4)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털을 브러싱하는 브러시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반려동물이 드나드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질소재의 브러시 본체와;
상기 브러시 본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제1 브러시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본체에는, 반려동물의 출입 과정에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휘어짐을 보조하도록, 내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러시 돌기는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 적어도 2줄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
A brush device tha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facility where pets enter and exit and brushes the pet's fur.
A brush body made of soft material that is shaped like a plate and has a passage for companion animals in the cent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us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rush body,
At least two or more incisions are formed on the brush body from the inner periphery to the outside to assist in bending of the brush body dur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pet, and the first brush protrusions are formed in at least two lines on the outside of the passage. A brush device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브러시 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
In paragraph 1
A brush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ush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본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에 상기 브러시 본체를 고정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
In paragraph 1
A brush device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body, and a coupling member for fixing or separating the brush body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제1항 및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시 돌기는 상기 브러시 본체보다 더 단단하거나 굵기가 더 굵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시 장치.
In paragraphs 1 and 2
A brush device for pets, wherein the first brush protrusion is formed to be harder or thicker than the brush body.
KR1020220099651A 2022-08-10 2022-08-10 Pet Brush Device KR20240021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651A KR20240021393A (en) 2022-08-10 2022-08-10 Pet Brus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651A KR20240021393A (en) 2022-08-10 2022-08-10 Pet Brush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393A true KR20240021393A (en) 2024-02-19

Family

ID=9005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51A KR20240021393A (en) 2022-08-10 2022-08-10 Pet Brush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393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8089A (en) 2017-09-26 2019-04-18 修三 山下 Pet brush tunnel
JP2019180385A (en) 2018-04-14 2019-10-24 トシ子 藤▲崎▼ Pet supply with petting part
KR20220060685A (en) 2020-11-05 2022-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SFB(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8089A (en) 2017-09-26 2019-04-18 修三 山下 Pet brush tunnel
JP2019180385A (en) 2018-04-14 2019-10-24 トシ子 藤▲崎▼ Pet supply with petting part
KR20220060685A (en) 2020-11-05 2022-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SFB(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831B2 (en) Pet self-grooming pass-through tunnel
US5361725A (en) Litter containment apparatus for kittens and cats
US9370168B2 (en) Cover and dispensing device
US4747371A (en) Grooming device
US6776123B2 (en) Natural dental ring for cats feline teething and teeth cleaning apparatus
US8726849B1 (en) Bird collar
KR20240021393A (en) Pet Brush Device
US20170280680A1 (en) Pet Hair Brush
US20130055964A1 (en) Pet Grooming Device
US5755183A (en) Animal hair confinement enclosure
US5579720A (en) Animal hair confinement enclosure
US5460121A (en) Animal hair confinement enclosure
KR200491201Y1 (en) The cat only a toothbrush
WO1986006581A1 (en) Installation for pig production
KR20200144270A (en) Companion animal house
Leonard et al. Self-grooming and sibling recognition in meadow voles, Microtus pennsylvanicus, and prairie voles, M. ochrogaster
US20040065271A1 (en) Pet-used ultraviolet-sterilizing comb
KR102276453B1 (en) Hatchery For Soldier Fly
US5517946A (en) Animal hair confinement enclosure
KR102375789B1 (en) clean device for pet teeth
KR102624910B1 (en) pet molting helper
US20170318783A1 (en) Pet Cleaning Apparatus
US20220217942A1 (en) Drying and Brushing Apparatus and Method
Oakwood et al. A survey of the attributes and requirements of quolls that may affect their suitability as household pets
Thomas The influence of housing design and some management systems on the health of the growing pig, particularly in relation to pneumo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