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977A -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 Google Patents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977A
KR20240020977A KR1020220099374A KR20220099374A KR20240020977A KR 20240020977 A KR20240020977 A KR 20240020977A KR 1020220099374 A KR1020220099374 A KR 1020220099374A KR 20220099374 A KR20220099374 A KR 20220099374A KR 20240020977 A KR20240020977 A KR 20240020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interior
house
design support
virtual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복
Original Assignee
최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복 filed Critical 최종복
Priority to KR102022009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977A/en
Publication of KR2024002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9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6Customisation or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 및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상기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각 대상 가상 객체는 가구, 가전, 소품,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및 바닥재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인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가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nd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re disclosed. 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for which a user wishes to decorate the interior,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of the target house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Creating a 3D hous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3D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room area, setting a targe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3D room spaces, and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A step of setting, wherein each target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prop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and flooring, and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are the target It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arranged in space.

Description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 및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nd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 및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에 외부 환경 및 거주자의 특이 사항 등을 반영하여 대상 주택 내 객실 별 가상적인 인테리어 결과를 3차원 모델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nd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nd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for which a user wishes to design an interior, by reflec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unique details of the occupants, etc. to create a virtual room for each room in the target house. It is about technology that provides realistic interior design results as a 3D model.

2021년도에 발표된 어느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인테리어 디자인 소프트웨어 시장의 가치는 2019년 3,829 백만 달러였으며, 2025년에는 6,434 백만 달러에 이르러 예측 기간(2020-2025) 동안 연평균 9.0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바 있다.According to a market report published in 2021, the interior design software market was valued at USD 3,829 million in 2019 and is expected to reach USD 6,434 million by 2025, growing at a CAGR of 9.07% during the forecast period (2020-2025). .

한편, 최근 아파트 등의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 수요가 코로나 19의 대유행을 기점으로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실제 인테리어를 진행하기에 앞서서 인테리어 완료 모습을 미리 확인하고 싶어하는 니즈가 존재하는바, 이러한 인테리어 수요자의 니즈에 맞춰 인터넷 등을 통해 몇몇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Meanwhile, demand for interior design of houses such as apartments has recently increased further start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wishing to do interior design, there is a need to check the completed interior appearance in advance before proceeding with the actual interior design. However, several interior design services are being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to meet the needs of these interior design consumers.

그러나 기존의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조작법을 숙지하고 있는 인테리어 전문가의 조언과 협조가 필요하여 일반 사용자가 직접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주택의 객실 별 면적과 치수 등과 같은 단편적인 정보만을 입력값으로 하여 예상된 인테리어 모습이 실제 인테리어 모습과 큰 괴리가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고, 재시공 등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 또한 막대하다는 문제점까지 있다.However, existing interior design services require advice and cooperation from interior design experts who are familiar with how to operate specific softwar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utilize them directly. In addition, by using only fragmentary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and dimensions of each room of a specific house as input,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the expected interior appearance and the actual interior appearance, resulting in low user satisfaction and a huge waste of time and money due to re-construction, etc. There is even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로부터 해당 주택의 객실 별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3차원 모델에 가구 등의 인테리어 객체가 가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인테리어 결과로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generates a 3D model for each room of the house from the 2D floor plan of the house where the user wants to decorate the house, and includes interior objects such as furniture in the 3D mode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ly arranged appearance as an interior result.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주택의 객실 별 공간 특징을 기초로 객실 별로 배치할 인테리어 객체를 자동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interior objects to be placed in each room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room in a target house.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주택의 객실 별 공간 특징에 세대원 정보(예를 들어, 세대원 수,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 등), 외부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일조량, 외부 소음, 바람(환기 수준) 등) 등을 반영하여 대상 주택의 객실 별로 배치할 인테리어 객체 별 최적의 배치 위치를 자동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household members (e.g., number of household members, personal details for each household member, etc.),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amount of sunlight, external noise, wind (level of ventilation), etc.)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the optimal placement location for each interior object to be placed in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reflecting the abo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상기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각 대상 가상 객체는 가구, 가전, 소품,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및 바닥재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인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가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for which a user desires interior design,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the target houses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Creating a 3D hous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3D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2D room area, setting a targe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3D room spaces, and a plurality of space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A step of setting target virtual objects, wherein each target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prop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and flooring, and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t includes generating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기 저장된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각각의 공간 특징(속성)과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간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중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각 기준 객실 공간에 매핑된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상기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특징은, 객실 유형, 객실 크기, 객실 형상, 벽 위치, 벽 크기, 출입문 위치, 출입문 크기, 창문 위치 및 창문 크기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setting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ncludes obtain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ttributes) of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reference room space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 determining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mapped to each reference room space whos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om spaces, and each recommended virtual object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It may include the step of setting it as an obj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t least two of room type, room size, room shape, wall location, wall size, door location, door size, window location, and window size.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상기 대상 주택에 거주 중 또는 거주 예정인 세대원 수 및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을 나타내는 세대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특이 사항은, 성별, 나이, 직업, 신체 특징, 생활 패턴, 상기 대상 공간의 사용 여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용도 및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인테리어 스타일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living or scheduled to reside in the target house and personal specific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member.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of gender, age, occup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living patterns, use of the target space, desired use of the target space, and desired interior style for the target space.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및 상기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각각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배치 필요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를 상기 배치 필요 점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상기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ncludes obtain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the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tored sample virtual objects is stored in the target space. calculating a placement score for each sample virtual object, sorting the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placement scor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nd each recommendati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It may include setting a virtual object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정의된 객체별 배치 규칙 및 상기 배치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도록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객체 배치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includes determining a placement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a predefined placement rule for each object and the placement order, Generating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by repeating the object arrangement process of determin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arget space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different. It can be included.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상기 대상 주택의 제1 주택 설명 데이터, 제2 주택 설명 데이터 및 제3 주택 설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택 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의 방향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에 인접한 주변 건축물의 위치, 크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3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에 인접한 도로의 위치 및 차량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house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and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of the target house. The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may indicate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and altitude of the target house. The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may indicate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size, and height of surrounding buildings adjacent to the target house. The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may indicate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a road adjacent to the target house and the volume of vehicle traffic.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에 상기 주택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공간의 일조량 정보 및 소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unlight information and noise information of the target space by reflecting the housing information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더 기초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placement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may be further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사전 정의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총 평가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상기 총 평가 점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includes calculating a plurality of total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using a plurality of predefined evaluation items, and dividing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into the total evaluation sco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cted interior views as a recommended expected interior view by sorting according to the proposed interior view.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은, 공간 구분성, 객체 간 활용성, 이동 편의성, 객체별 자연채광성, 객체 간 간섭성, 시야 개방성, 소음 자유성 및 상해 위험성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may include at least two of space distinction, usability between objects, convenience of movement, natural lighting for each object, coherence between objects, openness of view, freedom from noise, and risk of injury.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은, 상기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여유 공간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에 대한 객체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includes detecting free space of the target space from the recommended interior projection, searching for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that can be placed in the free space, and adding to the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A step of generating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objec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상기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대상 가상 객체는 가구, 가전, 소품,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및 바닥재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가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acquires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analyzes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to determine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room areas of the target house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generates a 3D hous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3D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set a targe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guest room spaces.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set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Each target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one of the following object types: furniture, home appliances, prop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and flooring.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showing an interior appearance in which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are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로부터 해당 주택의 객실 별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3차원 모델에 가구 등의 인테리어 객체가 가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인테리어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model for each room of the house is generated from a 2D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decorate the house, and interior objects such as furniture are virtually arranged in the 3D model.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appearance as an interior resul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대상 주택의 객실 별 공간 특징을 기초로 객실 별로 배치할 인테리어 객체를 자동 추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mmend interior objects to be placed in each room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대상 주택의 객실 별 공간 특징에 세대원 정보(예를 들어, 세대원 수,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 등), 외부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일조량, 외부 소음 등) 등을 반영하여 대상 주택의 객실 별로 배치할 인테리어 객체별 최적의 배치 위치를 자동 추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e.g., number of household members, personal details for each household member, etc.),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amount of sunlight, external This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recommending the optimal placement location for each interior object to be placed in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by reflecting factors such as noise, etc.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대상 주택의 예시적인 2차원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2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단계 S24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의 실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은 도 2의 단계 S24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방법의 실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0은 도 2의 단계 S25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객체별 배치 규칙이 정의된 규칙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12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다.
도 13은 도 2의 단계 S25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 3개에 대한 평가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ior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FIG. 4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20 of FIG. 2.
FIG. 5 is a diagram referenced in explaining the method of FIG. 4.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40 of FIG. 2.
Figure 7 is an example of an interior guide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while executing the method of Figure 6.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40 of FIG. 2.
Figure 9 is an example of an interior guide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while executing the method of Figure 8.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50 of FIG. 2.
Figure 11 is an example of a rule table in which placement rules for each object are defined.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by way of example.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50 of FIG. 2.
Figure 14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evaluation results for the three interior predictions of FIG. 12.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regarding 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has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to better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dditionally,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s individual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of the various components from the rest,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components by such terms.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is an “open” expression and simp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ior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주택 정보 서버(300) 및 객체 정보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택 정보 서버(300) 및 객체 정보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는, 주택 정보 서버(300)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주택 정보 서버(300) 및 객체 정보 서버(40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0 includes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nd a user terminal 200.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and an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At least one of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and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may be provided as included in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Hereinafte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0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it includes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 user terminal 200, a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and an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주택 정보 서버(300) 및 객체 정보 서버(4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의 공지의 통신망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and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 wired or wireless network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know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or wireless television network.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atabase 120, and a processor 130.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주택 정보 서버(300) 및 객체 정보 서버(400) 등으로부터 후술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s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obtain information required to execut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described later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and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You can.

데이터베이스(120)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2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공지된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데이터 및 정보(예를 들어, 후술된 기준 객실 공간, 기준 객체 리스트, 샘플 가상 객체 등)The database 120 inclu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he database 120 includes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flash memory, and Static RAM (SRAM). ), HDD (Hard Disk Drive), and SSD (Solid State Drive)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various types of storage media. The database 120 contains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to execut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e.g., reference room space, reference object list, sample virtual object, etc., described below).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제어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하드웨어적으로,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database 12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In terms of hardware, the processor 130 use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icroprocessors, and other functions.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units for. The processor 130 may execute instructions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주택인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는, 수많은 주택들 중에서 대상 주택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대상 주택의 주소, 주택 유형(예를 들어, 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원룸 등), 지역, 명칭, 동 번호, 호수, 층, 전용면적, 공급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수신된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1차적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검색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주택 정보 서버(300)에 접속하여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평면도를 크롤링(crawling) 등의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크롤링이란 웹(web)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house, which is a hous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have interior desig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i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target house among numerous houses, including the address of the target house, housing type (e.g., apartment, single-family house, officetel, studio, etc.), area, name, building number, It can include lakes, floors, exclusive area, supply area, etc. Next,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obtains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For exampl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primarily searches for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in the database 120 provided i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nd searches the database for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If it is not searched,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can be access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collect a two-dimensional floor pla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through a method such as crawling. Crawling is a task performed by a program that collects content existing on the web.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즉, 인테리어 수요자가 소지한 컴퓨팅 기기를 지칭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접속되어, 대상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 서비스의 제공을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게 요청하고, 인테리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 진행 중에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 또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업로드하고, 대상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 요구 사항, 대상 주택에 거주 중이거나 거주 예정인 세대원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대상 주택의 객실 별로 배치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에 관한 정보를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인테리어 관련 정보(예를 들어, 3차원 모델로서의 인테리어 예상도, 추천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테리어 관련 정보를 수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refers to a computing device owned by a user, that is, an interior consumer.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requests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o provide interior services for a target house, and proceeds with the process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s. User input information required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uploa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or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interior requirements for the target house, information on household members living or scheduled to live in the target house, etc. You can enter .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to be placed for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nd may transmit interior desig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Information (e.g., interior projection as a 3D model, recommended objec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Furthermore, the user terminal 200 can modify or edit interior-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 기능,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기능,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출력 기능,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는 기능, 데이터 처리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디바이스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connects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uch as a personal computer, laptop, tablet PC, etc. and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other devices, an input function for receiving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and visuall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the device has an output function, a function to execute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a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data storage function.

주택 정보 서버(300)는, 복수의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저장하고 있으며, 예컨대 부동산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지칭할 수 있다. 주택 정보 서버(300)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로부터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택 도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2차원 평면도 중에서 식별 정보에 연관된 2차원 평면도를 검색한 다음, 적어도 하나의 2차원 평면도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각 2차원 평면도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stores two-dimensional floor plans of a plurality of houses and may refer to a server that provides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s, for example.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responds to a request from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o provide a house drawing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and searches for a two-dimensional floor plan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two-dimensional floor plans. Next, when at least one 2D floor plan is searched, each searched 2D floor plan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주택 정보 서버(300)는, 주택별 주변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주택별 주변 정보는, 대상 주택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변 건물의 건물 정보(예를 들어, 위치, 면적, 높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주택별 주변 정보는, 대상 주택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제한 속도, 차로 수, 통행량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may store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ach house.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ach house may include building information (eg, location, area, height, etc.) of surrounding building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arget house.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ach house may include road information (eg, location, speed limit, number of lanes, traffic volume, etc.) of road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arget house.

객체 정보 서버(400)는, 복수의 인테리어 객체의 객체 정보를 저장한다. 인테리어 객체는,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에 활용되는 물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가구, 가전,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바닥재 및 소품 중 어느 하나의 객체 유형에 매핑될 수 있다. 특정 인테리어 객체의 객체 정보는, 해당 인테리어 객체의 객체 유형 및 가상 객체를 포함하고, 객체 특징, 객체 명칭(모델명), 객체 가격, 제조사, 제조일자, 판매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객체는, 인테리어 객체의 3차원 모델로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의해 대상 주택의 특정 객실 공간에 가상적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객체 특징은, 인테리어 객체의 디자인, 색상, 치수(예를 들어, 가로, 세로, 높이, 중심, 주축, 접합면), 재질, 적정 사용 연령, 사용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한다.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stores objec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objects. Interior objects refer to items used in the interior of a house, and may be mapped to any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flooring, and props. Object information of a specific interior object includes the object type and virtual object of the interior object, and may further include object characteristics, object name (model name), object price, manufacturer, manufacturing date, seller, etc. The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n interior object, and is provided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o that it can be virtually placed in a specific room space of a target house. Object characteristics include the interior object's design, color, dimensions (e.g., width, length, height, center, main axis, joint surface), material, appropriate age for use, precautions for use, etc.

가구는, 침대, 옷장, 책상, 책장, 의자, 탁자, 소파, 식탁 및 책상 등과 같이 주택에 배치되어 거주의 편의성을 높이는 제품을 지칭한다. 가전은, TV,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인덕션, 청소기 등의 전자제품을 지칭한다. 그 밖에 화병, 액자 등의 각종 소품 역시 인테리어 객체로서, 객체 정보 서버(400)에 그 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Furniture refers to products that are placed in a hous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living, such as beds, wardrobes, desks, bookshelves, chairs, tables, sofas, dining tables, and desks. Home appliances refer to electronic products such as TVs, washing machines, dryers, air conditioners, induction cookers, and vacuum cleaners. In addition, various props such as vases and picture frames are also interior objects, and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객체 정보 서버(4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서버(400)로부터 대상 주택의 객실 별로 배치할 하나 또는 복수의 인테리어 객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인테리어 객체의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onnects to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earches for one or more interior objects to be placed for each room of the target house from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and searches for each searched interior object. You can obtain object information about an objec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고, 도 3은 대상 주택의 예시적인 2차원 평면도이다. 도 2의 방법은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가 그 구비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FIG. 2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The method of FIG. 2 can be performed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한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대상 주택의 식별 정보를 검색 인덱스로 이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검색하거나, 주택 정보 서버(300)에 접속하여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평면도는 천장이 제외된 대상 주택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원 평면도는 대상 주택의 여러 부분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미리 정해진 다양한 속성의 선분들과 도형들로 그려져 있으며, 추가적으로 대상 주택 내의 영역별 대표 용도를 나타내는 텍스트들과 영역별 치수들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n step S2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obtains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design an interior. In detail,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s a search index to select the target house from the database 120 provided i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You can search for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r access the housing information server 300 to collect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 target house. As shown in FIG. 3,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target house with the ceiling excluded.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is drawn with line segments and figures of various predetermined properties to distinguish various parts of the target house from each other,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text indicating representative uses for each area within the target house and dimensions for each area.

단계 S2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한다. 2차원 평면도로서 3차원 주택 모델로의 변환은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변환 알고리즘을 실행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3차원 주택 모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3차원 주택 모델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특징을 나타내는 공간 설명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객실 공간의 공간 특징은, 객실 유형, 객실 크기(예를 들어, 가로, 세로, 층고 등), 객실 형상, 벽 위치, 벽 크기, 출입문 위치, 출입문 크기, 창문 위치 및 창문 크기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주택의 층고 정보에 대한 획득이 불가한 경우, 동종 주택에 대해 미리 정해진 수치(예를 들어, 2.2m)가 대상 주택의 층고로서 설정될 수 있다. 객실 유형은 침실, 욕실, 거실, 주방, 발코니, 현관, 벽장, 덕트, 계단실 등과 같이 복수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침실은, 단순히 수면용 외에도 공부, 업무, 영상 시청, 물품 보관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한 다용도 객실을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In step S2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nalyzes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and divides it into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plurality of two-dimensional room areas of the target house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Create a 3D house model. Conversion of a 2D floor plan into a 3D house model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mage conversion algorithm.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transmit a 3D house model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can visualize a 3D house model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At this time, a space description message indica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ny room space include at least two of room type, room size (e.g., width, height, floor height, etc.), room shape, wall location, wall size, door location, door size, window location, and window size. may include. If it is im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loor height of the target house,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2.2 m) for the same type of house may be set as the floor height of the target house. Room types may be divided into multiple types, such as bedroom, bathroom, living room, kitchen, balcony, entrance, closet, duct, staircase, etc. Here, a bedroom may be a term referring to a multi-purpose room that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studying, working, watching videos, and storing items in addition to simply sleeping.

단계 S220에 있어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 중 거실 및 발코니에 해당하는 인접한 두 객실 영역에 대한 공간 통합 요청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거실 및 발코니에 해당하는 인접한 두 객실 영역을 거실에 해당하는 단일의 객실 영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In step S220, when a space integration request for two adjacent room areas corresponding to the living room and balcony among the plurality of two-dimensional room areas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lects the living room and balcony. Two adjacent guest room areas corresponding to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room area corresponding to the living room.

단계 S2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한다. 대상 공간은,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희망하는 것으로 선택된 객실 공간을 지칭한다. In step S2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ts a target spac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The target space refers to a room space selected by the user for interior design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객실 공간을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게 통지하고,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객실 공간을 대상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notifies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of the room spa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and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lects each room selected by the user. You can set a space as the target space.

다른 예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주택과 동종의 다른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선호도를 연산하고, 인테리어 선호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객실 공간을 대상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alculates interior preferences for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based on interior result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house and other houses of the same type, and selects a predetermined number in order of highest interior preference. The room space of can be set as the target space.

단계 S2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한다. 각 가상 객체는, 예컨대, 가구, 가전,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바닥재 및 소품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인테리어 객체의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각 가상 객체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120)에 사전 저장된 것이거나,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가 객체 정보 서버(400)로부터 수집한 것일 수 있다.In step S2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ts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Each virtual object may be, for example,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n interior object mapped to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flooring, and props. Each virtual object may be pre-stored in the database 120 provided i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or may be collected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from the object information server 400.

단계 S25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단계 S240에서 설정된 복수의 가상 객체가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한다. 즉,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각각은, 객체 리스트의 모든 가상 객체가 한 세트로서 상호 중첩되는 부분없이 대상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에 있어서, 객체 리스트의 복수의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In step S25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interior prediction map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in which the plurality of virtual objects set in step S240 are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represents a state in which all virtual objects in the object list are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as one set without any overlapping parts. Additionally, in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irtual objects in the object lis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는 도 2의 단계 S22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4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20 of FIG. 2, and FIG. 5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FIG. 4.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2차원 평면도에서 대상 주택의 벽을 나타내는 선분(WL)을 탐색하여, 2차원 평면도의 벽 패턴을 인식한다. 일 예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n×n 픽셀, n은 2 이상의 자연수) 단위로 2차원 평면도의 벽을 나타내는 특정 선 스타일을 갖는 각각의 선분(WL)을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2차원 평면도에서 인식된 벽 패턴의 두께에 대상 주택의 면적 정보를 반영하여, 대상 주택의 실제 벽 두께를 추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S4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arches for a line segment (WL) representing a wall of a target house in a 2D floor plan and recognizes a wall pattern in the 2D floor plan. As an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5,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use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divide 2 by a predetermined area (n×n pixel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he process can be repeated, searching for each line segment (WL) with a particular line style that represents a wall in the dimensional floor pla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estimate the actual wall thickness of the target house by reflecting the area information of the target house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pattern recognized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단계 S4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벽체 접합부(wall junction), 출입문(door), 창문(window) 및 객실(room)을 검출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각 벽체 접합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벽이 직각 등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단계 S410에서 인식된 벽 패턴을 기초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2차원 평면도에는 통상적으로 출입문은 힌지 타입으로 도시되는 한편 창문은 미닫이 타입으로 도시되는 점에 착안하여, 2차원 평면도에서 벽 패턴이 제외된 각각의 개구부(opening)를 출입문 또는 창문으로 인식 가능하다. 2차원 평면도로부터 객실, 출입문 및 창문을 인식하는 데에는 동종의 학습 모델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객실 인식용 학습 모델, 출입문 인식용 학습 모델 및 창문 인식용 학습 모델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실, 출입문 및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속성(예, 레이블, 텍스쳐 등)이 수정/변경되는 경우, 수정/변경된 속성에 따라 특정 학습 모델만을 재학습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학습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출입문 인식에 있어서, 출입문에 적용 가능한 다수의 열림 패턴(회전 방식 등)을 개별적인 레이블로 정의하여 출입문 인식용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2차원 평면도로부터 각 출입문과 각 창문의 2차원 평면 상에서의 열림 방향과 사이즈 등을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2차원 평면도 내의 각 공간을 사각형 등의 박스 영역으로 지정한 다음, 텐서플로 또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on) 등이 적용된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 2차원 평면도의 객실 영역별로 마킹된 각각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텍스트를 기초로 객실 영역의 객실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In step S4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cts wall junctions, doors, windows, and rooms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Referring to (b) of FIG. 5, each wall joint is a portion where two wall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are connected to form a right angle, etc., and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wall pattern recognized in step S410. In addition,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doors are usually shown as hinged types in 2D floor plans, while windows are shown as sliding types, each opening excluding the wall pattern in the 2D floor plan can be recognized as a door or window. do. Similar learning models can be used individually to recognize rooms, doors, and windows from a two-dimensional floor plan. That is, a learning model for room recognition, a learning model for door recognition, and a learning model for window recognition may be prepared separately. Accordingly, when the properties (e.g., labels, textures, etc.) of any one of the rooms, doors, and windows are modified/changed, the overall learning time can be saved by retraining only the specific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modified/changed properties. In door recognition, a learning model for door recognition can be trained by defining multiple opening patterns (rotation method, etc.) applicable to the door as individual labels. Additionall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additionally extract the opening direction and size of each door and each window on the two-dimensional plane from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In additio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signates each space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as a box area such as a square, and then identifies the room area of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model using TensorFlow 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Each text marked as a star can be identified, and the room type of the room area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text.

단계 S4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단계 S410과 단계 S420의 결과로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2차원 평면도의 노드들 및 엣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단계 S410과 단계 S420에서 인식 및 검출된 객체들의 정보를 기초로 벽 중심(wall center) 정보를 생성한 다음, 이미지 벡터화 기술을 통해 벽 중심 정보를 벡터 라인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노드 및 엣지 생성을 위해 사전 정의된 생성 규칙을 벡터 라인에 적용하여, 벽 접합부에 대응하는 노드(N)와 벽에 대응하는 엣지(E)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 규칙은, 예컨대, (i)제1 소정 거리 내의 선분들 중 가장 긴 선분이 제외된 나머지 선분을 제거, (ii)단부가 제2 소정 거리 내에서 상호 이격된 선분들을 각각의 주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 (iii)선분들 중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 아닌 선분을 제거, (iv)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두 선분을 연결하는 새로운 선분을 추가 등의 세부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4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generate nodes and edges of a two-dimensional floor plan based on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steps S410 and S420. Specifically, referring to (c) of FIG. 5,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wall center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on objects recognized and detected in steps S410 and S420, and then Wall center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vector lines through image vectorization technology. Next, a predefined generation rule for generating nodes and edges can be applied to the vector line to generate a node (N) corresponding to a wall junction and an edge (E) corresponding to the wall. The generation rule is, for example, (i) removing the remaining line segments excluding the longest line segment among the line segments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ii) dividing line segments whose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each main axis. It may include detailed rules such as extending and connecting, (iii) removing line segments that are not vertical or horizontal, and (iv) adding a new line segment connecting two line segments spaced apart with an opening in between.

단계 S4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구조적 입체 기하학 알고리즘(constructive solid geometry algorithm)을 이용하여, 단계 S410 내지 단계 S420의 결과로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을 생성한다. 이로써, 2차원 평면도에 대응하는 대상 주택의 3차원 주택 모델의 생성이 완료된다. 도 5의 (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벽 및 벽 접합부를 기술하는 데이터에 함께 벽 두께 및 층고의 수치를 입력값으로 하여 각각의 객실 영역에 대응하는 다면체로 구성된 3차원의 객실 공간을 생성하고, 개구부가 위치한 영역에 미리 모델화된(pre-modeled) 출입문 객체나 창문 객체를 배치시키며, 객실 공간별 벽의 내측에 따라 폐곡선의 형태를 갖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천장과 바닥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uses a structural solid geometry algorithm to create a plurality of objects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based on the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steps S410 to S420.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two-dimensional room area are created. As a result, the creation of a 3D house model of the target house corresponding to the 2D floor plan is completed. If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 of FIG. 5, a three-dimensional guest room space composed of polyhedrons corresponding to each room area is input as input values for wall thickness and floor height along with data describing walls and wall joints. Create and place a pre-modeled door or window object in the area where the opening is located, and create a closed curved upper and lower surface as the ceiling and floor, respectively, along the inside of the wall for each room space. can do.

물론,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S220의 하위 루틴은 일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도 4 및 그에 관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른 3차원 공간 모델링 기술을 활용하여 대상 주택의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f course, the subroutine of step S2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s an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4 and the description thereof, and other known three-dimensional space modeling techniques can be us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dimensional house model.

도 6은 도 2의 단계 S24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방법의 실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의 일 예이다.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40 of FIG. 2, and FIG. 7 is an example of an interior guid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while executing the method of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한다.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은, 객실 유형, 객실 크기, 객실 형상, 벽 위치, 벽 크기, 출입문 위치, 출입문 크기, 창문 위치 및 창문 크기 중 적어도 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에 공간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정의하는 복수의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정의하는 복수의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700)은 공간 표시 영역(710), 공간 특징 표시 영역(720) 및 객체 표시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 표시 영역(710)에 표시되는 버튼 등에 대한 입력(예를 들어, 터치, 클릭, 키보드 입력)을 통해 공간 표시 영역(710)에 표시할 대상 공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상 공간의 표시 모드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침실1'이 대상공간으로 선택되는 경우, 공간 특징 표시 영역(720)에는 '침실1'의 공간 특징을 정의하는 복수의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공간 특징을 정의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내용은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의해 자동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6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cquir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may include at least two items of room type, room size, room shape, wall location, wall size, door location, door size, window location, and window siz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obtain at least one value among a plurality of items defin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by applying a spatial search algorithm to the target space. Of course, at least one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defi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may be input by the user terminal 200 or modifi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0. Referring to FIG. 7 , the interior guide screen 700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spatial display area 710, a spatial feature display area 720, and an object display area 730. The user selects a target space to be displayed in the spatial display area 710 through input (e.g., touch, click, keyboard input) on a button displayed in the spatial display area 710, and displays the selected target space in a display mode. can be selected as 2-dimensional or 3-dimensional. When 'Bedroom 1' is selected as the target space, a plurality of items defi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edroom 1' may be displayed in the spatial feature display area 720. The cont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defining spatial features may be automatically input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단계 S6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각각의 공간 특징과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기준 객실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타 주택(바람직하게는 대상 주택과 동종의 타 주택)의 2차원 평면도로부터 수집된 객실 공간들 중에서 대상 공간과 객실 유형이 동일한 객실 공간을 일컫는 용어일 수 있다. In step S6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tored reference room space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Here, the reference room space may be a term referring to a room space that has the same room type as the target space among the room spaces collected from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at least one other house (preferably another house of the same type as the target house). .

임의의 기준 객실 공간에는 공간 식별 코드와 함께 공간 특징이 매핑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해당 기준 객실 공간에 적용된 인테리어 객체들의 객체 정보가 더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임의의 두 객실 공간 간의 유사도는, 예컨대 두 객실 공간의 공간 특징의 항목별 오차에 항목별 사전 정의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고,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객실 공간의 공간 특징을 정의하는 항목별 오차가 작을수록 두 객실 공간의 유사도는 높아진다. Spatial features along with a space identification code are mapped to an arbitrary standard guest room space, and additionally object information of interior objects applied to the reference guest room space may be further mapped. The similarity between any two room spaces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by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item by applying a predefined weight for each item to the error for each item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room spaces, and adding up the scores for all items. For example, the smaller the error for each item defi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uest room spaces,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guest room spaces.

나아가, 두 객실 공간 각각에 연관된 두 주택에 연관된 세대원 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정보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 다음, 두 객실 공간의 공간 특징 간의 유사도에 대한 가점 또는 감점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similarity between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and/or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wo house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two guest room spaces may be calculated and then applied as additional or deducted points for the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two guest room spaces.

단계 S6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중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각 기준 객실 공간에 매핑된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한다.In step S6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mapped to each reference room space whos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om spaces.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 객실 공간이 단 하나인 경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해당 기준 객실 공간에 매핑된 모든 샘플 가상 객체와 동일하게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re is only one reference room space whose similarity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identical to all sample virtual objects mapped to the reference room space.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 객실 공간이 여러 개인 경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이들 기준 객실 공간들 각각의 기준 객체 리스트(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를 정의함)에서 객체 명칭별 샘플 가상 객체들의 총 개수에 객체 명칭별 미리 정해진 가중치(예컨대, 중요도, 선호도를 나타냄)를 적용하여 객체 명칭별 배치 필요 점수를 산출하고, 배치 필요 점수가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객체 명칭을 선택한 다음, 선택된 객체 명칭에 해당하는 샘플 가상 객체들을 대상 공간에 배치할 추천 가상 객체들로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객체 명칭은 특정 객체 유형에 속하면서 고유 용도를 갖는 인테리어 객체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동일 용도의 인테리어 객체에 대해 상이하게 부여되는 객체 모델명과는 구분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일 예로, 객체 유형이 '가구'로 동일한 침대, 식탁, 책상 등은 각각 고유의 용도로 구분되는 객체 명칭이고, 이 중 침대에 대해서는 제조사, 판매처, 재질, 디자인, 색상 등에 따라 수많은 객체 모델명이 존재할 수 있다.When there are multiple reference room spaces whos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alculates the total number of sample virtual objects by object name from the reference object list (defining a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for each of these reference room spaces. Apply a predetermined weight (e.g., indicating importance and preference) to each object name to calculate the placement score for each object name, sel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object names in order of the highest placement score, and then correspond to the selected object name. Sample virtual objects can be determined as recommended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For reference, the object name is a general term for interior objects that belong to a specific object type and have a unique purpose, and may be a distinct concept from the object model name given differently to interior objects of the same purpose. For example, beds, tables, desks, etc. with the same object type as 'furniture' are object names that are each distinguished by their own purpose. Among these, for beds, there may be numerous object model nam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seller, material, design, color, etc. You can.

예를 들어, 제1 기준 객실 공간과 제2 기준 객실 공간만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고, 제1 기준 객실 공간의 기준 객체 리스트에 객체 명칭 A(예를 들어, 책장)인 샘플 가상 객체가 3개, 객체 명칭 B(예를 들어, TV)인 샘플 가상 객체가 1개, 객체 명칭 C(예를 들어, 탁자)인 샘플 가상 객체가 4개, 객체 명칭 D(예를 들어, 조명)인 샘플 가상 객체가 3개 포함된 한편 제2 기준 객실 공간의 기준 객체 리스트에 객체 명칭 A인 샘플 가상 객체가 4개, 객체 명칭 B인 샘플 가상 객체가 1개, 객체 명칭 C인 샘플 가상 객체가 2개, 객체 명칭 E인 샘플 가상 객체가 1개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객체 명칭 A인 샘플 가상 객체는 총 7개, 객체 명칭 B인 샘플 가상 객체는 총 2개, 객체 명칭 C인 샘플 가상 객체는 총 6개, 객체 명칭 D인 샘플 가상 객체는 총 3개, 객체 명칭 E(예를 들어, 파티션)인 샘플 가상 객체는 총 1개이다. 이들 중 배치 필요 점수가 높은 순서로 상위의 2개 객체 명칭인 객체 명칭 A 및 객체 명칭 B가 선택된 경우, 객체 명칭 A인 샘플 가상 객체의 평균 개수는 7/2=3.5개이고, 객체 명칭 B인 샘플 가상 객체의 평균 개수는 2/2=1개이다. 따라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객체 명칭 A인 샘플 가상 객체의 평균 개수와 객체 명칭 B인 샘플 가상 객체의 평균 개수를 각각 올림, 내림 또는 반올림하여,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객체 표시 영역(730)에는 단계 S630을 통해 결정된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의 객체 명칭들을 나타내는 객체 리스트(예를 들어, 추천 인테리어 객체: TV, 침대, 책상, 의자)가 표시될 수 있다. 객체 리스트의 객체 명칭들은 배치 필요 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특정 객체 명칭(예를 들어, 'TV')이 선택되는 경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선택된 객체 명칭에 연관된 추천 가상 객체에 관한 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객체 표시 영역(730)에는 수신된 객체 정보의 추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썸네일 등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only the first reference guest room space and the second reference guest room space have a similarity greater than a threshold, and there are three sample virtual objects with the object name A (e.g., bookcase) in the reference object list of the first reference guest room space. , 1 sample virtual object with object name B (e.g., TV), 4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C (e.g., table), and 4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D (e.g., light). While it contains 3 objects, the standard object list of the second standard guest room space includes 4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A, 1 sample virtual object with object name B, and 2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C. Let's assume that there is one sample virtual object with the object name E. In this case, there are a total of 7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A, a total of 2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B, a total of 6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C, and a total of 3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D. , there is a total of 1 sample virtual object with object name E (e.g., partition). Among these, when the top two object names, object name A and object name B, are selected in order of the highest placement required score, the average number of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A is 7/2 = 3.5, and samples with object name B are The average number of virtual objects is 2/2=1. Accordingl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rounds up, down, or rounds the average number of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A and the average number of sample virtual objects with object name B, respectively, to create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Objects can be set. Referring to FIG. 7, an object list representing the object names of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determined through step S630 (e.g., recommended interior objects: TV, bed, desk, chair) will be displayed in the object display area 730. You can. Object names in the object list may be sorted and displayed in order of highest placement need score. When a specific object name (for example, 'TV') i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nds object information about a recommended virtual object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object name to the user terminal 200. , and accordingly, a thumbnail, etc.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virtual object of the received objec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object display area 730.

단계 S6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한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임의의 추천 가상 객체를 나타내는 썸네일에 대한 소정 패턴의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거나 해당 썸네일이 공간 표시 영역(710)으로 클릭 앤 드래그되는 경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해당 추천 가상 객체를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6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ts each recommended virtual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As an example, when a user input of a predetermined pattern for a thumbnail representing a random recommended virtual object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thumbnail is clicked and dragged into the space display area 7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 can set the recommended virtual object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도 8은 도 2의 단계 S24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방법의 실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의 일 예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40 of FIG. 2, and FIG. 9 is an example of an interior guid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while executing the method of FIG. 8. .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한다. 단계 S810은 단계 S610과 공통되는 바,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가이드 화면(900)은 공간 표시 영역(910), 세대원 정보 입력 영역(920) 및 객체 표시 영역(9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step S8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cquir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Since step S810 is common to step S610,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9 , the interior guide screen 900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space display area 910, a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input area 920, and an object display area 930.

단계 S8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주택에 거주 중 또는 거주 예정인 세대원 수 및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을 나타내는, 대상 주택에 대한 세대원 정보를 획득한다. 세대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부부와 자녀 1인의 경우, 사용자는 세대원 정보 입력 영역(920)의 세대원 수 입력 메뉴에 3명을 입력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입력된 세대원 수와 동일한 개수의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의 입력창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에 요청할 수 있다.In step S8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cquires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for the target house, indicating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residing or scheduled to reside in the target house and personal specific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member.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uple and one child, the user can enter three people i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put menu in the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input area 9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to display an input window for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member equal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ntered.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은, 성별, 나이, 직업, 신체 특징, 생활 패턴(예를 들어, 종일 재택근무, 평일 9시~18시 외근, 3교대 등), 대상 공간의 사용 여부,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용도,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인테리어 스타일(예를 들어, 모던, 앤티크, 북유럽 등) 및 타 세대원과의 관계 중 적어도 두 항목을 포함한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120)는,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별로 연관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에 관한 객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성별'로서 남성에 대해서는 TV, 침대, 책상, 의자 등의 샘플 가상 객체들이 연관되어 있고, '나이'로서 60대 이상에 대해서는 침대, 의자, 쇼파 등의 샘플 가상 객체들이 연관되어 있으며, 희망 용도로서 '업무'에 대해서는 책상, 의자, 책장, 탁자 등의 샘플 가상 객체들이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들 중 미입력 항목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별로 미리 정해진 값이 자동 부여될 수 있다.Personal characteristics for each household member include gender, age, occup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patterns (e.g., working from home all day, working outside from 9:00 to 18:00 on weekdays, 3rd shift, etc.), whether the target space is used, an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space. Include at least two items: desired use, desired interior style for the target space (e.g., modern, antique, Nordic, etc.), and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other households. The database 120 provided i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tores object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item of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member. For example, for 'gender', sample virtual objects such as TV, bed, desk, and chair are related to male, and for 'age', sample virtual objects such as bed, chair, sofa, etc. are related to people in their 60s or older. In addition, sample virtual objects such as desks, chairs, bookshelves, tables, etc. may be associated with 'work' as the desired use. For items that are not entered among the items of personal special information, a predetermined value may be automatically assigned to each item.

단계 S8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및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각각의 대상 공간에 대한 배치 필요 점수를 연산한다. 예컨대, 대상 공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체크된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별 입력값을 기초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각각에 대해 항목별 필요 점수를 산출하고,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각각에 대해 항목별로 산출된 필요 점수의 합계와 동일하게 배치 필요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개인 특이 사항이 3가지 항목(나이/생활 패턴/희망 용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보자. 이 경우, 대상 공간에 대한 특정 객체(예, 소파)의 필요성은 세대원 별 나이, 생활패턴 및 희망 용도 각각마다 다를 것이다. 결과적으로, '나이'에 대한 필요점수, '생활패턴'에 대한 필요점수 및 '객실용도'에 대한 필요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배치 필요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세대원별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별 필요 점수는,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별 입력값을 머신러닝 등을 통해 구현한 항목별 점수화 알고리즘에 입력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참고로, 항목별 점수화 알고리즘은 개인 특이 사항의 항목, 공간 특징 및 객체 특징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대량의 학습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In step S8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alculates a placement required score for each target space of a plurality of pre-stored sample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quired score for each item is calcula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input values for each item of personal particulars for each household member checked as using the target space, and calculated for each ite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The required placement points can be determined equal to the total of the required points. For example, let's say that personal information consists of three items (age/life pattern/desired use). In this case, the need for a specific object (e.g., a sofa) for the target spac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ge, life pattern, and desired use of each household member. As a result, the sum of the necessary points for 'age', the necessary points for 'lifestyle pattern', and the necessary points for 'room use' can be calculated as the 'placement necessary score'. The required score for each item of personal particulars for each household member can be calculated by inputting the input values for each item of personal particulars into an item-specific scoring algorithm implemented through machine learning, etc. For reference, the scoring algorithm for each item may be learned from a large amount of learning data showing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items, spatial features, and object features.

단계 S8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배치 필요 점수를 기준으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를 정렬하여,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한다. 일 예로, 배치 필요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각 샘플 가상 객체가 추천 가상 객체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중에서 배치 필요 점수가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샘플 가상 객체가 추천 가상 객체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객체 표시 영역(930)에는 단계 S840을 통해 결정된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의 객체 명칭들을 나타내는 객체 리스트(예를 들어, 추천 인테리어 객체: 침대, 탁자, 책장, 화장대)가 표시될 수 있다. 객체 리스트의 객체 명칭들은 배치 필요 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특정 객체 명칭(예를 들어, '침대')이 선택되는 경우,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선택된 객체 명칭에 연관된 추천 가상 객체에 관한 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객체 표시 영역(930)에는 수신된 객체 정보의 추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썸네일 등이 표시될 수 있다.In step S8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orts a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based on placement required scores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an example, each sample virtual object whose placement required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ed virtual object. As another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a predetermined number of sample virtual objects may be determined as recommended virtual objects in order of highest placement need score. Referring to FIG. 9, an object list representing the object names of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determined through step S840 (e.g., recommended interior objects: bed, table, bookshelf, dressing table) will be displayed in the object display area 930. You can. Object names in the object list may be sorted and displayed in order of highest placement need score. When a specific object name (e.g., 'bed') i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nds object information about a recommended virtual object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object name to the user terminal 200. , and accordingly, a thumbnail, etc.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virtual object of the received objec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object display area 930.

단계 S85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한다. 단계 S850은 단계 S640과 공통되는 바,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step S85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ts each recommended virtual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Since step S850 is common to step S640,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도 2의 단계 S25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객체별 배치 규칙이 정의된 규칙 테이블의 일 예이며, 도 12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50 of FIG. 2, FIG. 11 is an example of a rule table in which placement rules for each object are defined, and FIG. 12 is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This is an exemplary drawing.

단계 S10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세대원 별로 각 대상 가상 객체에 대한 선호도나 필요성이 다를 수 있는바, 대상 공간에 대한 대상 가상 객체별 배치 순위를 정하는 것이 인테리어 서비스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된다. 예컨대, 중요도가 낮은 대상 가상 객체를 중요도가 높은 대상 가상 객체보다 먼저 대상 공간에 배치할 경우, 중요도가 높은 대상 가상 객체가 부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세대원 정보에 인공지능 기반의 객체 배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대상 가상 객체별 배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10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e placement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based on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In detail, since the preference or need for each target virtual object may be different for each household member, determining the placement ranking of each target virtual object in the target space is a way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interior service results. For example, if a target virtual object of low importance is placed in the target space before a target virtual object of high importance, there may be a problem such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of high importance being placed in an inappropriate locatio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placement order for each target virtual object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object placement algorithm to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가령, 대상 공간이 '침실1'이고, 대상 공간에 대한 세대원1의 사용 용도가 '수면' 및 '업무'이고, 세대원2의 사용 용도는 '독서'이고, 대상 가상 객체는 'TV', '침대', '책상' 및 '의자'인 경우를 상정해보자. 이 경우, '수면'에 연관된 객체는 '침대'이고, '업무'에 관련된 객체는 '책상' 및 '의자'이고, '독서'에 관련된 객체는 '책상' 및 '의자'이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세대원들 간 사용 용도의 유사성 측면에서 '책상' 및 '의자'에 대해 'TV'나 '침대'보다 높은 배치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rget space is 'bedroom 1', household member 1's usage of the target space is 'sleep' and 'work', household member 2's usage is 'reading', and the target virtual objects are 'TV', ' Let us assume the case of ‘bed’, ‘desk’ and ‘chair’. In this case, the object related to 'sleep' is 'bed', the objects related to 'work' are 'desk' and 'chair', and the objects related to 'reading' are 'desk' and 'chair'. As can be seen intuitively, in terms of similarity in usage between household members, 'desk' and 'chair' may be given a higher placement priority than 'TV' or 'bed'.

단계 S10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전 정의된 객체별 배치 규칙 및 배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도록 대상 공간에 대한 대상 가상 객체별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객체 배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한다. 객체 배치 과정은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 생산적 설계 또는 절차적 디자인이라고 칭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In step S10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target virtual object with respect to the target space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different according to a predefined arrangement rule and arrangement order for each object. By repeating the object placement process to determine , multiple interior projections are generated. The object placement process can be implemented using generative design (which can also be called productive design or procedural design).

도 11을 참조하면, 규칙 테이블은 복수의 객체 각각에 연관된 배치 규칙이 정의되어 있다. 객체 당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치 규칙이 매핑될 수 있다. 배치 규칙은, 객체 자체의 특성에 의존하거나 다른 객체와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규칙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배치 규칙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고, 새로운 배치 규칙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배치 규칙의 수치값은 고정값이거나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및 객체별 객체 특징을 기초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의해 정해지는 가변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침대의 사이즈, TV의 사이즈 및 대상 공간의 치수 등을 고려하여, 침대와 TV 간의 적정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rule table defines placement rules associated with each of a plurality of objects. One or more placement rules may be mapped per object. Placement rules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tself or considering its correlation with other objects. The user terminal 200 may delete or modify at least one placement rule in the rule tabl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may also add a new placement rule. Meanwhile, the numerical value of the arrangement rule may be a fixed value or a variable value determined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the object characteristics of each object. As an exampl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calculate an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bed and the TV by considering the size of the bed, the size of the TV, and the dimensions of the target space.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배치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대상 가상 객체를 배치 규칙에 따라 대상 공간의 잔여 공간에 배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대상 공간에 대한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의 배치가 완료될 때마다 인테리어 예상도가 생성된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quentially arranges the target virtual objects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target space according to the placement rule, in order of high placement priority. An interior prediction map is generated whenever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for the target space is completed.

도 12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1210, 1220, 1230)는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예컨대, 인테리어 예상도(1210, 1220, 1230)는 침대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다른 예로, 인테리어 예상도(1210)와 인테리어 예상도(1220)는 책상의 배치 위치는 동일하지만 TV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12 , as mentioned above,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 maps 1210, 1220, and 1230 have different arrangement position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arranged in each. For example, the interior projections 1210, 1220, and 1230 have different bed arrangement positions. As another example, the interior projection map 1210 and the interior projection diagram 1220 have the same desk arrangement position, but the TV arrangement position is different.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각 인테리어 예상도에 있어서, 대상 가상 객체들 간의 상관 관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가상 객체에 대한 제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인테리어 예상도(1230)에 배치된 침대와 TV 간의 거리를 기초로, TV의 적정 사이즈(예를 들어, 55인치)를 결정하고, TV의 적정 사이즈에 대한 제안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generate a proposal message for at least one target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arget virtual objects in each interior prediction map. For example,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e appropriate size of the TV (for example, 55 inche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bed and the TV placed in the interior projection map 1230, and determines the appropriate size of the TV. A suggestion message about the siz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도 13은 도 2의 단계 S250의 하위 루틴을 포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including the subroutine of step S250 of FIG. 2.

단계 S13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주택의 제1 주택 설명 데이터, 제2 주택 설명 데이터 및 제3 주택 설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택 설명 정보를 획득한다. 제1 주택 설명 데이터는, 대상 주택의 방향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대상 주택의 방향은 대상 주택의 주소지의 디지털 지도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대상 주택의 고도는 대상 주택의 층 수와 층별 높이를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주택 설명 데이터는, 대상 주택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 인접한 주변 건축물의 위치, 크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주변 건축물에 관한 정보는 대상 주택의 주소지의 디지털 지도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제3 주택 설명 데이터는, 대상 주택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 인접한 도로의 위치 및 차량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In step S13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cquires house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and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of the target house. The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represents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and altitude of the target house. The direction of the target house may be extracted from a digital map of the address of the target house. The height of the target house can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floors of the target house by the height of each floor. The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represent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size, and height of adjacent surrounding building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arget house.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buildings can be extracted from a digital map of the address of the target house. The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represent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an adjacent road and vehicle traffic volum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arget house.

단계 S13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에 주택 설명 정보를 반영하여, 대상 공간의 일조량 정보 및 소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정보를 생성한다. 일조량 정보는, 대상 공간에 대한 일조량 변화 추이(예를 들어, 계절별, 월별, 시간대별)를 나타낼 수 있다. 일조량 정보는, 대상 주택의 방향(예를 들어, 남향, 남서향, 동향, 북향 등)에 대상 주택 내에서의 대상 공간의 상대적 위치, 대상 공간의 창문 보유 여부와 창문 위치 및 창문 크기, 주변 건축물의 정보 등을 입력값으로 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일조량 추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소음 정보는, 대상 주택과 도로 간의 상대적 위치, 대상 주택 내에서 대상 공간의 상대적 위치, 도로로부터 대상 주택을 잇는 직선의 지면에 대한 각도 등을 입력값으로 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소음 추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In step S13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reflects the house description information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to generat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unlight information and noise information of the target space. The sunlight information may indicate a trend of changes in sunlight for the target space (for example, by season, month, or time). The amount of sunlight information includes the direction of the target house (e.g., south-facing, southwest-facing, east-facing, north-facing, etc.),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target space within the target house, whether the target space has windows, the window location and window size, and the size of the windows in the surrounding buildings. It can be obtain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unlight inference algorithm using information, etc. as input values. Nois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noise inference algorithm us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arget house and the roa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arget space within the target house,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arget house from the road to the ground as input values. can be obtained.

단계 S13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세대원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한다. 도 10의 단계 1010과 비교할 때, 단계 S1330은 외부 환경 정보가 대상 가상 객체별 배치 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추가적인 변수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 예로,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대상 공간의 일조량이 높을수록, 일조량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업무에 연관된 '책상' 등의 배치 순위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한편, 일조량이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영상 시청에 연관된 'TV' 등의 배치 순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대상 공간의 밤 시간대 소음 수준이 높을수록, 질 높은 수면을 취하기 위한 '침대'의 배치가 중요하므로 다른 객체보다 '침대'의 배치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In step S13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e placement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based on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mpared to step 1010 of FIG. 10, step S1330 is different in that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s as an additional variable in determining the placement rank for each target virtual object. For example, assuming that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higher the amount of sunlight in the target space, the relatively higher the placement ranking of 'desks' etc. related to work where sunlight acts as a positive factor, while the ranking of 'desks' etc. related to work where sunlight acts as a negative factor becomes relatively higher. The placement ranking of items such as ‘TV’ related to video viewing may be relatively low. As another example, assuming that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higher the noise level in the target space at night, the more important the placement of the 'bed' for quality sleep is, so the placement ranking of the 'bed' will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objects. You can.

단계 S13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전 정의된 객체별 배치 규칙 및 배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도록 대상 공간에 대한 대상 가상 객체별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객체 배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한다.In step S13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target virtual object with respect to the target space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defined arrangement rule and arrangement order of each object. By repeating the object placement process to determine , multiple interior projections are generated.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 3개에 대한 평가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방법은 도 2의 방법에 대한 후속 절차로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FIG. 14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evaluation results for three expected interior views of FIG. 12. The method of FIG. 14 may be executed by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as a follow-up procedure to the method of FIG. 2.

단계 S141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사전 정의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총 평가 점수를 연산한다. In step S141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calculates a plurality of total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edictions using a plurality of predefined evaluation items.

복수의 평가 항목은, 공간 구분성, 객체 간 활용성, 접근 편의성, 이동 편의성, 객체별 자연채광성, 객체 간 간섭성, 시야 개방성, 소음 자유성 및 상해 위험성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may include at least two of space distinction, usability between objects, convenience of access, convenience of movement, natural lighting for each object, coherence between objects, openness of view, freedom from noise, and risk of injury.

공간 구분성은, 대상 가상 객체들에 의해 대상 공간이 사용 용도별로 적절히 구분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업무에 연관된 책상과 책장 사이에 수면에 연관된 침대가 배치된 경우, 공간 구분성에 대한 감점 요소가 된다. 반면, 업무에 연관된 책상 및 책장 수면에 연관된 침대가 대상 공간을 이분화하는 두 공간에 배치된 경우, 공간 구분성에 대한 가점 요소가 된다.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10)에 있어서, 업무에 연관된 책상 및 책장과 수면에 연관된 침대가 대상 공간에서 이분화되어, 공간 구분성에 대한 평가 점수는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반면,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30)에 있어서, 업무에 연관된 책상과 수면에 연관된 침대가 서로 접하게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의 책장과 우측의 책장 사이에 침대가 배치되어 있는 바, 공간 구분성에 대한 평가 점수는 낮게 책정될 수 있다.Spatial separability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target space is appropriately divided by use purpose by target virtual objects. For example, if a bed related to sleep is placed between a desk related to work and a bookshelf, it becomes a deductible factor for space 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if a desk and bookshelf related to work and a bed related to sleep are placed in two spaces that divide the target space, it becomes an additional point factor for space differentiation. In the interior projection 1210 of FIG. 12, the desk and bookshelves related to work and the bed related to sleep are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target space, so the evaluation score for space differentiation can be set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ior projection 1230 of FIG. 12, not only are the desk related to work and the bed related to sleep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bed is arranged between the bookshelf on the left and the bookshelf on the right, thereby improving spatial differentiation. The evaluation score may be set low.

객체 간 활용성은, 두 객체의 용도와 거리에 따른 활용성을 나타낸다. 용도가 유사한 것으로 미리 정의된 동종 객체(예를 들어, 책상과 의자, 책상과 책장, 침대와 사이드테이블) 간에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용도가 비유사한 것으로 미리 정의된 이종 객체(예를 들어, TV와 책장, 침대와 TV) 간에는 거리가 멀수록, 객체 간 활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nter-object usability indicates the usabi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distance of the two objects.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homogeneous objects predefined as having similar uses (e.g., desk and chair, desk and bookshelf, bed and side table),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heterogeneous objects predefined as having dissimilar uses (e.g., TV and It can be said that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bookshelves, beds, and TVs), the higher the usability between objects.

접근 편의성은,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침대의 측면 4개 중 하나만 벽과 접하게 배치된다면 나머지 3개의 측면으로 사용자가 침대에 접근 가능한다. 다른 예로, 책상의 측면 4개 중 2개의 측면이 'ㄱ'자 형태의 벽 모서리에 접하게 배치된다면, 사용자는 나머지 측면 2개를 통해 책상에 접근 가능하다. 각각의 객체에 있어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측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해당 객체에 대한 접근 편의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Convenience of acces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 user can easily access an object. For example, if only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be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wall, the user can access the bed through the remaining three sides. As another example, if two of the four sides of the desk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corners of an 'ㄱ' shaped wall, the user can access the desk through the remaining two sides. For each object, it can be sai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aspects accessible to the user, the higher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the object.

이동 편의성은, 대상 가상 객체들을 제외한 대상 공간 내의 잔여 공간을 통한 사용자의 이동 용이성을 나타낸다. 일 예로,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30)에 있어서,우측의 책장과 침대 간의 잔여 공간(거리)이 미리 정의된 적정값(예, 성인 평균 어깨 너비, 세대원의 신체 치수) 이상인 경우에는 이동 편의성의 가점 요인이 되는 반면, 책상과 침대 간의 잔여 공간(거리)이 적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이동 편의성의 감정 요인된다.Ease of movement indicates the ease of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remaining space in the target space excluding target virtual objects. For example, in the interior prediction map 1230 of FIG. 12, if the remaining space (distance) between the bookshelf on the right and the bed is more than a predefined appropriate value (e.g., average adult shoulder width, body size of household members), convenience of movement On the other hand, if the remaining space (distance) between the desk and bed is less than the appropriate value, it is a factor in the evaluation of convenience of movement.

객체별 자연채광성은, 대상 공간의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이 대상 가상 객체별로 도달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자연채광(일조량)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사용 용도(예를 들어, 업무)에 연관된 대상 가상 객체가 창문에 가까울수록 객체별 자연채광성이 높다고 할 수 있고, 자연채광(일조량)이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사용 용도(예를 들어, 영상 시청)에 연관된 대상 가상 객체가 창문에 가까울수록 객체별 자연채광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Natural lighting for each object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natural light flowing in through the window of the target space reaches each target virtual object. The closer a target virtual object is to a window, related to a use (for example, work) in which natural light (sunlight) acts as a positive factor, the higher the natural light quality for each object, while natural light (sunlight) acts as a negative factor. It can be said that the closer the target virtual object related to the intended use (for example, watching a video) is to a window, the lower the natural lighting for each object.

객체 간 간섭성은, 객체 간 이격 거리의 적절성을 나타낸다. 일 예로, 옷장의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 반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객체가 배치된 경우에는 객체 간 간섭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20)에 있어서, TV는 개방된 출입문에 의해 가려지게 배치되어, 객체 간 간섭성이 크게 책정될 수 있다.Coherence between objects indicat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objects. For example, when other objects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urning radiu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loset door, the inter-object interference can be said to be large. As another example, in the interior projection 1220 of FIG. 12, the TV is placed to be obscured by an open door,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objects can be set to be high.

시야 개방성은, 대상 공간의 출입문으로부터 측벽면을 바라볼 때에 시야를 방해하는 객체의 유무와 객체별 시야 방해 정도에 의존한다. 대상 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상 가상 객체들이 높이가 작은 순으로 배치된 경우 시야 개방성이 좋다고 할 수 있고, 높이가 낮은 두 대상 가상 객체 사이에 높이가 높은 대상 가상 객체가 배치된 경우에는 시야 개방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View openness depend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jects that obstruct the view when looking at the side wall from the door of the target space and the degree of view obstruction for each object. If the target virtual objects are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of height based on the center of the target space, the field of view openness can be said to be good, and if a high-height target virtual object is placed between two low-height target virtual objects, the field of view openness can be said to be good. It can be said to be low.

소음 자유성은, 소음에 의한 부정적 영향력이 최소화되도록 대상 가상 객체들이 적절히 배치된 정도를 나타낸다. 소음에 의한 부정적 영향력이 큰 대상 가상 객체(예를 들어, TV)가 창문에 근접하게 배치될수록 소음 자유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20)에 있어서, 침대가 창문으로부터 멀리 배치되어 소음 자유성이 높게 책정될 수 있다.Noise freedom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arget virtual objects are appropriately arranged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of noise. It can be said that the closer a target virtual object (for example, a TV), which has a greater negative influence from noise, is placed to a window, the lower the noise freedom. In the interior projection 1220 of FIG. 12, the bed is placed far away from the window, so noise freedom can be set to be high.

상해 위험성은, 대상 공간을 사용하는 세대원이 대상 가상 객체의 배치 상태로 인해 상해를 입을 가능성과 상해의 정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대상 공간을 사용하는 세대원이 유아인 경우, 침대의 높이가 높을수록, 책장의 무게 중심이 높을수록, 상해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The risk of injury indicates the possibility and degree of injury to a household member using the target spac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target virtual object. For example, if the household member using the target space is an infant,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height of the bed and the high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okshelf, the higher the risk of injury.

평가 항목별 평가 점수는 머신러닝 등을 통해 미리 구현한 알고리즘에 인테리어 예상도를 입력함으로써 소정의 수치 범위(예를 들어, 0~10점) 내에서 책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2의 인테리어 예상도(1210, 1220, 1230)에 대한 6가지 평가항목을 이용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방사형 챠트(1510, 1520, 153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인테리어 예상도(1210, 1220, 1230) 각각에 대해, 평가항목별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총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evaluation score for each evaluation item can be set within a certain numerical range (for example, 0 to 10 points) by inputting the expected interior design into an algorithm implemented in advance through machine learning. Referring to FIG. 15, radial charts (1510, 1520, 1530) showing evaluation results using six evaluation items for the interior projections (1210, 1220, 1230) of FIG. 12 are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t can be displayed in .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total evaluation score by adding up the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for each of the interior prediction maps 1210, 1220, and 1230.

단계 S142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총 평가 점수에 따라 정렬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인테리어 예상도(1210)의 총 평가 점수가 48.5점, 인테리어 예상도(1220)의 총 평가 점수가 45점, 그리고 인테리어 예상도(1230)의 총 평가 점수가 46점인 경우, 인테리어 예상도(1210)가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142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may sort the plurality of interior design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total evaluation score and se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 views as a recommended interior projection. For example, if the total evaluation score of the interior projection (1210) is 48.5 points, the total evaluation score of the interior projection (1220) is 45 points, and the total evaluation score of the interior projection (1230) is 46 points, the interior projection (1230) is 46 points. 1210) can be set as the recommended interior expected value.

단계 S143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부터 대상 공간의 여유 공간을 검출한다. 대상 공간의 여유 공간은,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의 배치 공간이 제외된 나머지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In step S143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detects the free space of the target space from the recommended interior prediction map. The free space of the target space may be all or part of the remaining space excluding the placement spac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단계 S144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여유 공간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를 검색한다. 일 예로, 침대가 대상 가상 객체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침대와 동일 공간에 함께 배치되는 빈도가 소정값 이상인 샘플 가상 객체들 중에서 침대와 벽 간, 침대와 다른 객체 간 또는 벽과 벽 간의 공간에 배치 가능한 추가 가상 객체(예, 사이드테이블)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44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searches for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that can be placed in the free space. For example, when a bed is the target virtual object, the space between the bed and the wall, between the bed and another object, or between the wall and the wall is selected from the database 120 among sample virtual objects whose frequency of being placed in the same space as the be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dditional virtual objects (e.g., sidetables) that can be placed can be determined.

추가 가상 객체는, 모든 샘플 가상 객체 중에서 대상 가상 객체와 객체 명칭 또는 객체 유형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추가 가상 객체는, 모든 샘플 가상 객체 중에서 대상 공간의 여유 공간에 배치되었을 때에 평가 항목별 평가 점수의 감소량이 임계치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additional virtual object may have a different object name or object type from the target virtual object among all sample virtual objects. Additionally, the additional virtual object may be one whose reduction in the evaluation score for each evaluation item is less than the threshold when placed in the free space of the target space among all sample virtual objects.

단계 S1450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에 대한 객체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객체 추천 정보는, 추가 가상 객체별 가격, 사이즈, 판매처, 사이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추천 정보는, 추가 가상 객체별 객체 유형, 사이즈, 배치 위치, 배치 각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추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1450,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ice, size, seller, site address, etc. for each additional virtual object.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object type, size, placement location, placement angle, etc. for each additional virtual object.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100 on the screen.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ed implement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outlook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particular, configurations that implemen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block diagram and flow chart shown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represent logical boundaries between the configurations.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oftware or hardware, the depicted configurations and their functions are executed in the form of stand-alone software modules, monolithic software structures, codes, ser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an execute stored program code, instructions, etc. Since th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being stored in a medium executable on a computer equipped with a processor, all of these embodiments should als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lthough the attached drawings and their descriptions illustrat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not be simply inferred unless a specific arrangement of software for implementing these technical features is clearly stated. In other words,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exist, and since such embodiments may be partially modified while retaining the same technical features as the present invention, these should als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lowchart,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 in a specific order, but this is shown to obtain the most desirable results, and such operations must be execut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executed.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mus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dditionally,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integrat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packaged.

10: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주택 정보 서버
400: 객체 정보 서버
10: Interior service provision system
100: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200: user terminal
300: Housing information server
400: Object information server

Claims (10)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에 있어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상기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각 대상 가상 객체는 가구, 가전, 소품,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및 바닥재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인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가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In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executed by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Obtaining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and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hous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plurality of two-dimensional room areas of the target house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setting a targe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A step of setting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wherein each target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prop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and flooring. ;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representing an interior appearance in which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are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Including,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기 저장된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각각의 공간 특징(속성)과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간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 객실 공간 중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각 기준 객실 공간에 매핑된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상기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특징은,
객실 유형, 객실 크기, 객실 형상, 벽 위치, 벽 크기, 출입문 위치, 출입문 크기, 창문 위치 및 창문 크기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setting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acqui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spatial features (attributes) of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reference room spaces and the spatial features of the target space;
determining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mapped to each reference room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om spaces where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nd
Setting each recommended virtual object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Inclu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A method of supporting interior design, including at least two of room type, room size, room shape, wall location, wall size, door location, door size, window location, and window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주택에 거주 중 또는 거주 예정인 세대원 수 및 세대원 별 개인 특이 사항을 나타내는 세대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특이 사항은,
성별, 나이, 직업, 신체 특징, 생활 패턴, 상기 대상 공간의 사용 여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용도 및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희망 인테리어 스타일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Receiving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living or scheduled to reside in the target house and personal details for each household member;
It further includes,
The above personal details are:
An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comprising at least two of gender, age, occup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living patterns, use of the target space, desired use for the target space, and desired interior style for the target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 및 상기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 각각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배치 필요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샘플 가상 객체를 상기 배치 필요 점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추천 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추천 가상 객체를 상기 대상 가상 객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p of setting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acqui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Calculating a placement required scor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sample virtual objects for the target space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the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Sorting the plurality of sample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placement required scores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nd
Setting each recommended virtual object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objects as the target virtual object;
Including,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대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 정의된 객체별 배치 규칙 및 상기 배치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도록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객체 배치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is,
determining a placement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household member information; and
An object placement process of determin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with respect to the target space so that the plac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different, according to predefined placement rules for each object and the placement priority. repeating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Including,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주택의 제1 주택 설명 데이터, 제2 주택 설명 데이터 및 제3 주택 설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택 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의 방향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에 인접한 주변 건축물의 위치, 크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3 주택 설명 데이터는, 상기 대상 주택에 인접한 도로의 위치 및 차량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Obtaining house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and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of the target house;
Including more,
The first house description data indicates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and altitude of the target house,
The second house description data represent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size, and height of surrounding buildings adjacent to the target house,
The third house description data indicate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a road adjacent to the target house and the volume of vehicle traffic.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공간의 공간 특징에 상기 주택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공간의 일조량 정보 및 소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 각각의 배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더 기초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Reflecting the housing information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to generat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unlight information and noise information of the target space;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lacement ran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is further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전 정의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총 평가 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상기 총 평가 점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calculating a plurality of total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edictions using a plurality of predefined evaluation items; and
Sorting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total evaluation score and set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ior projections as a recommended interior projection;
Further including,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인테리어 예상도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여유 공간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상 객체에 대한 객체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detecting free space of the target space from the recommended interior prediction map;
searching for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that can be placed in the free space; and
generating obje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additional virtual object;
Further including, interior design support method.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에 있어서,
대상 주택의 2차원 평면도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2차원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2차원 평면도에 도시된 상기 대상 주택의 복수의 2차원 객실 영역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으로 분할된 3차원 주택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3차원 객실 공간 중에서 대상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할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를 설정하되, 각 대상 가상 객체는 가구, 가전, 소품, 조명, 커튼, 파티션, 벽지 및 바닥재 중 어느 한 객체 유형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이고,
상기 복수의 대상 가상 객체가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인테리어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테리어 예상도를 생성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지원 장치.
In the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a communications department that obtains a two-dimensional floor plan of the target house; and
a processor that analyzes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and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hous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plurality of two-dimensional room areas of the target house shown in the two-dimensional floor plan;
Including,
The processor,
Setting a targe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room spaces,
Set a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to be placed in the target space, where each target virtual object is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one object type among furniture, home appliances, props, lighting, curtains, partitions, wallpaper, and flooring,
An interior design support device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interior prediction maps showing an interior appearance in which the plurality of target virtual objects are arranged in the target space.
KR1020220099374A 2022-08-09 2022-08-09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KR202400209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74A KR20240020977A (en) 2022-08-09 2022-08-09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74A KR20240020977A (en) 2022-08-09 2022-08-09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977A true KR20240020977A (en) 2024-02-16

Family

ID=9005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374A KR20240020977A (en) 2022-08-09 2022-08-09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97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9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ndering and modifying three-dimensional models for interior design
US9019266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home and landscape design
US11714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 estate tours and virtual shopping
US8260581B2 (en) Joining and disjoining individual rooms in a floor plan
US8117558B2 (en) Converting web content into two-dimensional CAD drawings and three-dimensional CAD models
US8122370B2 (en) Visual bookmarks for home and landscape design
US20090138113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home and landscape design
US20110061011A1 (en) Three-Dimensional Shopping Lists
CN114254417A (en)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use of building floor plan information
US20080126023A1 (en) Searching and Matching Related objects, Drawings and Models For Home and Landscape Design
US20080126021A1 (en) Converting web content into texture mapping objects
CN112131645B (en) Indoor article placement comple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08067191A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home and landscape design
KR102266564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interior in apartment
US11830135B1 (en) Automated building identification using floor plans and acquired building images
KR102340802B1 (en) 3D-based custom interior system
KR20240020977A (en) Interior design assistance appratus and interior design assistance method
KR1024431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CN115906229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rranging 3D rooms based on user preferences
KR1024926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JP2021039516A (en) Building scoring system and program
JP2021068064A (en) Query correction system, search system, and program
JP7162087B2 (en) Proper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per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perty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KR102659579B1 (en) Method of providing floor plan editing service using vibration notification
KR102658279B1 (en) Furniture design method based on indoor sunlight analysis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