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775A - 소형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0775A KR20240020775A KR1020220098925A KR20220098925A KR20240020775A KR 20240020775 A KR20240020775 A KR 20240020775A KR 1020220098925 A KR1020220098925 A KR 1020220098925A KR 20220098925 A KR20220098925 A KR 20220098925A KR 20240020775 A KR20240020775 A KR 202400207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lens system
- effective diameter
- refractive power
- convex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소형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수차가 보정되도록 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기능이 부여된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고화질, 고성능, 소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초소형 렌즈 광학계의 성능 개선을 통해서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줌(zoom) 기능이 확대되고, 폴더블 형태의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렌즈시스템의 전장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고해상도의 소형, 경량화 기술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개구부를 작게하여 소형화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를 위해 제1렌즈의 유효경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소형렌즈는 스마트폰의 두께의 제약 때문에 렌즈 시스템의 길이(total track length)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종래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22-0019487에 기재된 광학 렌즈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5매의 렌즈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TTL/ImagH = 5.363으로 길다. 또한, Fno = 2.84로 조리개의 직경이 작아서 화질이 어두워, 고해상도, 소형 렌즈 시스템의 설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각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수차가 보정되도록 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음의 무한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0.3 < Sag22/Sag21 < 0.6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f2는, 2 < f/f2 <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0.16 < L1_CT/L2_CT < 0.2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eH < 4.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1.33 < L2_CT/L2_ET <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렌즈 시스템의 입사동 직경 EPD는, f/EPD < 2.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2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의 순서대로 배열된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며,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소형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가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3렌즈가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거나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짐으로써, 렌즈의 조립에 유리하며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에 유리하다.
또한,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과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는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고, 렌즈 시스템의 수차 보정에 유리하며,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보다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은 총 5매의 렌즈를 사용하여, 제1렌즈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가 TTL/ImageH < 4.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을 보다 얇게 설계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의 소형 렌즈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7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및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및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7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및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및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
본 발명은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의 순서대로 배열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소형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3렌즈는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거나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짐으로써, 렌즈의 조립에 유리하며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에 유리하다. 또한, 렌즈 시스템의 수차 보정에 유리하며,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보다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및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및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L4)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L4)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는 음의 무한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L4)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1렌즈 내지 제5렌즈(L1~L5)를 포함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순서대로 제1렌즈(L1)는 음 또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제4렌즈(L4)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으로 구현되어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소형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이루는 각 렌즈는 양과 음의 굴절능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비구면 렌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렌즈의 형태를 볼록 또는 오목하게 설정하여 소형의 고화소 렌즈 시스템의 적용에 적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렌즈(L1)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3렌즈(L3)는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거나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짐으로써, 렌즈의 조립에 유리하며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에 더욱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및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제1렌즈(L1)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도록 형성되되, 상기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고, 렌즈 시스템의 수차 보정에 유리하며,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보다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범위보다 커지게 되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과 상측면 유효경의 차이가 많이 나서, 조립 및 제조 공차 민감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색수차 등의 수차가 증가하게 되어 해상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0.3 < Sag22/Sag21 < 0.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조립 및 제조 공차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소형 렌즈 시스템 제공에 유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L2)의 초점거리 f2는, 2 < f/f2 < 3을 만족하도록 굴절능이 배분되도록 하여, 5매의 렌즈를 조립함에도 공차 민감도를 완화할 수 있어 성능 재현성이 우수하며, 고해상도, 고화질의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차 보정과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0.16 < L1_CT/L2_CT < 0.2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제조 공차를 완화시킬 수 있어, 렌즈 제작에 유리하게 되며, 렌즈 두께를 최소화하여 소형, 경량화 렌즈 시스템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1렌즈(L1)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eH < 4.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전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줌(zoom) 렌즈, 폴더블 스마트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고, TTL이 짧아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2렌즈(L2)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L2)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1.33 < L2_CT/L2_ET < 3을 만족하도록 한다. 즉, 상기 범위에서 제2렌즈(L2)의 최외각 두께보다 중심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광손신을 최소화하면서 민감도를 줄이고, 렌즈 간 길이를 단축시켜 소형 렌즈 시스템 구현에 적절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렌즈 시스템의 입사동 직경 EPD는, f/EPD < 2.8을 만족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의 F-no는 2.8 미만인 광학계를 제공함으로써, 소형 렌즈 시스템의 설계에 유리하며, 조리개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어 축상 광선의 상고가 커지면서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 고화질의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L1~L5)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면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렌즈들은 길이를 줄이는데 유리한 굴절율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색수차 보정에 유리하도록 아베수가 적절히 배분된 재료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며,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소형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렌즈(L1)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3렌즈(L3)는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거나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짐으로써, 렌즈의 조립에 유리하며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에 유리하다.
또한,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과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는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고, 렌즈 시스템의 수차 보정에 유리하며,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량이 적은 곳에서도 보다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면 번호 | Surface type (면 타입) |
Y radius (Y 곡률반경) |
Thickness (두께) |
Glass Code (글래스 코드) |
Y Semi-Aperture (Y 반-구경) |
Object | Sphere(구면) | infinity | infinity | ||
1 | Sphere | infinity | 0.0000 | 3.2624 | |
2 | Asphere(비구면) | 336.6808 | 0.4450 | 535000.5600 | 3.2500 |
3 | Asphere | 120.8270 | 0.0500 | 3.2518 | |
4 | Asphere | 3.6593 | 2.7391 | 535000.5600 | 3.1743 |
5 | Asphere | 707.8568 | 0.5400 | 2.6224 | |
Stop | Asphere | -68.6152 | 0.6243 | 634000.2390 | 2.3609 |
7 | Asphere | 4.1505 | 2.7614 | 1.9303 | |
8 | Asphere | 44.0441 | 0.5000 | 567000.3800 | 1.9707 |
9 | Asphere | 13.0481 | 0.3174 | 2.0535 | |
10 | Asphere | 15.5931 | 0.5455 | 661000.2040 | 2.0966 |
11 | Asphere | -42.8125 | 6.0000 | 2.2000 | |
12 | Sphere | infinity | 0.1100 | 'D263T' | 3.1746 |
13 | Sphere | infinity | 2.1812 | 3.1858 | |
Image | Sphere | infinity | 0.0000 | 3.528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에서 z는 렌즈 시스템에서 z축에 평행한 면의 새그(sag), c는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vertex curvature),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 r은 렌즈의 축으로부터의 거리(radial distance), rn은 정규화 반경(normalization radius), u는 r/rn, am은 m번째 Qcon 계수, Qm con은 m번째 Qcon 다항식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H = 4.77을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L1S2_CA / L1S1_CA = 1.0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Sag31/Sag21 = 0.374를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L2)의 초점거리 f2는, f/f2 = 2.65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L1_CT/L2_CT = 0.162이고, 상기 제2렌즈(L2)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L2)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L2_CT/L2_ET = 2.42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 21.8°를 만족하고, f수(f number) fno = 2.79를 만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3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3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면 번호 | Surface type (면 타입) |
Y radius (Y 곡률반경) |
Thickness (두께) |
Glass Code (글래스 코드) |
Y Semi-Aperture (Y 반-구경) |
Object | Sphere(구면) | infinity | infinity | ||
1 | Sphere | infinity | 0.0000 | 3.3189 | |
2 | Asphere(비구면) | 24.1854 | 0.5200 | 535000.5600 | 3.2500 |
3 | Asphere | 45.2495 | 0.0500 | 3.2635 | |
4 | Asphere | 3.9705 | 2.4800 | 535000.5600 | 3.2000 |
5 | Asphere | 87.0744 | 0.1433 | 2.7218 | |
Stop | Asphere | 2343395846.4782 | 0.7372 | 615000.2590 | 2.6221 |
7 | Asphere | 4.6315 | 3.7779 | 2.1773 | |
8 | Asphere | 4.5147 | 0.4390 | 535000.5600 | 2.0069 |
9 | Asphere | 3.5031 | 0.4003 | 2.0774 | |
10 | Asphere | 10.9363 | 0.4778 | 661000.2040 | 2.1302 |
11 | Asphere | 30.5278 | 6.0000 | 2.2000 | |
12 | Sphere | infinity | 0.1100 | 'D263T' | 3.2391 |
13 | Sphere | infinity | 1.5926 | 3.2515 | |
Image | Sphere | infinity | 0.0000 | 3.528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4와 같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H = 4.74을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L1S2_CA / L1S1_CA = 1.0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Sag31/Sag21 = 0.395를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L2)의 초점거리 f2는, f/f2 = 2.3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L1_CT/L2_CT = 0.21이고, 상기 제2렌즈(L2)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L2)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L2_CT/L2_ET = 1.893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 21.8°를 만족하고, f수(f number) fno = 2.79를 만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5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5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면 번호 | Surface type (면 타입) |
Y radius (Y 곡률반경) |
Thickness (두께) |
Glass Code (글래스 코드) |
Y Semi-Aperture (Y 반-구경) |
Object | Sphere | infinity | infinity | ||
1 | Sphere | infinity | 0.0000 | 3.2684 | |
2 | Asphere | 76.1601 | 0.4463 | 535000.5600 | 3.2500 |
3 | Asphere | 74.9410 | 0.0500 | 3.2102 | |
4 | Asphere | 4.0675 | 2.3596 | 535000.5600 | 3.0000 |
5 | Asphere | -29.8766 | 0.7725 | 3.2000 | |
Stop | Asphere | -29.7138 | 1.1143 | 634000.2390 | 2.2334 |
7 | Asphere | 4.2657 | 2.2759 | 1.7562 | |
8 | Asphere | 30.3676 | 0.5000 | 567000.3800 | 1.6297 |
9 | Asphere | 11.3462 | 0.4670 | 1.6613 | |
10 | Asphere | 14.9531 | 0.6544 | 661000.2040 | 1.8000 |
11 | Asphere | -43.1282 | 6.0000 | 1.8000 | |
12 | Sphere | infinity | 0.1100 | 'D263T' | 3.0795 |
13 | Sphere | infinity | 2.0631 | 3.0944 | |
Image | Sphere | infinity | 0.0000 | 3.528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6과 같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H = 4.77을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L1S2_CA / L1S1_CA = 1.0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Sag31/Sag21 = 0.56을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L2)의 초점거리 f2는, f/f2 = 2.19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L1_CT/L2_CT = 0.189이고, 상기 제2렌즈(L2)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L2)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L2_CT/L2_ET = 2.169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 21.8°를 만족하고, f수(f number) fno = 2.79를 만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7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7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L1 : 제1렌즈
L2 : 제2렌즈
L3 : 제3렌즈 L4 : 제4렌즈
L5 : 제5렌즈
L3 : 제3렌즈 L4 : 제4렌즈
L5 : 제5렌즈
Claims (27)
-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0.3 < Sag22/Sag21 < 0.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f2는,
2 < f/f2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0.16 < L1_CT/L2_CT < 0.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eH < 4.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1.33 < L2_CT/L2_ET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렌즈 시스템의 입사동 직경 EPD는,
f/EPD < 2.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2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평편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0.3 < Sag22/Sag21 < 0.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f2는,
2 < f/f2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0.16 < L1_CT/L2_CT < 0.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eH < 4.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1.33 < L2_CT/L2_ET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렌즈 시스템의 입사동 직경 EPD는,
f/EPD < 2.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2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며, 조리개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는 음의 무한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물체측면 유효경보다 상측면 유효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유효경 L1S1_CA(Clear Aperture), 상측면 유효경 L1S2_CA(Clear Aperture)은,
1 < L1S2_CA / L1S1_CA < 1.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1, 상기 제1렌즈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유효경 최외각까지 축상거리 Sag22는,
0.3 < Sag22/Sag21 < 0.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상기 제2렌즈의 초점거리 f2는,
2 < f/f2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중심 두께 L1_CT, 상기 제 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는,
0.16 < L1_CT/L2_CT < 0.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중심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상면 높이 ImageH는,
TTL/ImageH < 4.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중심 두께 L2_CT, 상기 제2렌즈의 최외각 두께 L2_ET는,
1.33 < L2_CT/L2_ET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유효초점거리 f, 렌즈 시스템의 입사동 직경 EPD는,
f/EPD < 2.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화각 FOV는,
FOV <2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925A KR20240020775A (ko) | 2022-08-09 | 2022-08-09 | 소형 렌즈 시스템 |
US18/365,657 US20240053586A1 (en) | 2022-08-09 | 2023-08-04 | Small len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925A KR20240020775A (ko) | 2022-08-09 | 2022-08-09 | 소형 렌즈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0775A true KR20240020775A (ko) | 2024-02-16 |
Family
ID=8984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8925A KR20240020775A (ko) | 2022-08-09 | 2022-08-09 | 소형 렌즈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53586A1 (ko) |
KR (1) | KR2024002077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33875B (zh) * | 2024-04-09 | 2024-06-18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一种广角对焦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
-
2022
- 2022-08-09 KR KR1020220098925A patent/KR20240020775A/ko unknown
-
2023
- 2023-08-04 US US18/365,657 patent/US20240053586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053586A1 (en) | 2024-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065141B (zh) | 成像镜头 | |
KR101834728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US20160313538A1 (en) | Photographic Lens System Enabling Reduction in Tightness of Manufacturing Tolerance | |
EP1582899A1 (en) | Imaging lens | |
KR20150070858A (ko) |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 |
KR101780432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US9823449B1 (en) | Optical telephoto imaging lens | |
US10809494B2 (en) | Imaging lens | |
KR100920600B1 (ko) | 초소형 촬상 광학계 | |
US6724547B2 (en) | Single-focus lens | |
CN112130286A (zh) | 光学成像镜头 | |
KR20230007296A (ko) | 촬상 광학계 | |
KR100992259B1 (ko) | 고선명 촬상 광학계 | |
US20240053586A1 (en) | Small lens system | |
CN113759511A (zh) | 光学成像透镜组 | |
KR102268263B1 (ko) | 소형 렌즈 시스템 | |
CN113093366B (zh) |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 |
KR102373360B1 (ko) |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 |
KR102274547B1 (ko) | 소형 렌즈 시스템 | |
KR102628338B1 (ko) | 소형 렌즈 시스템 | |
KR102491911B1 (ko) |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 |
CN114647067B (zh) | 广角镜头 | |
KR20240078789A (ko) | 소형 렌즈 시스템 | |
CN116819732B (zh) |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 |
US20220390717A1 (en) | Small wide-angle lens sys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