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524A -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524A
KR20240020524A KR1020220098683A KR20220098683A KR20240020524A KR 20240020524 A KR20240020524 A KR 20240020524A KR 1020220098683 A KR1020220098683 A KR 1020220098683A KR 20220098683 A KR20220098683 A KR 20220098683A KR 20240020524 A KR20240020524 A KR 2024002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substrate
discharge detection
inspection window
typ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언
최석종
이주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524A/ko
Publication of KR2024002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81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liquids or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6Construction of test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기기 점검창의 외부에 설치가능한 고정확도의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기기와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로부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전력기기의 외부에서 전력기기와 점검창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틈새에서 방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고정확도로 검출할 수 있는 부분방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PARTIAL DISCHARGE DETECTION APPARATUS OF MAIN TRANSFORMER IN OPERATION }
본 발명은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의 전력기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력기기 내부의 부분방전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 전력용 유입변압기, 가스절연변압기, 리액터, 수전설비 등과 같은 고전압 전력기기는 접지가 된 구조의 외함 내에 절연가스 또는 절연유가 충전되고, 외함 내에 내부 도체를 고체 절연물로 절연 지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전압 전력기기는 그 고장의 전조로서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외함 안쪽 면 또는 내부 도체에 있는 스크래치, 돌기 등의 내부 결함 등의 원인에 의해서 부분방전(PD: Partial Discharge)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부분방전은 전력기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대로 방치하면 큰 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전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을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부분방전 검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uency)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의 검출은 전력기기 내부에 부착된 UHF 센서가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발생 시 방출되는 UHF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UHF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의 검출은 검출감도 및 내(耐) 잡음 특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UHF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력기기를 휴전시킨 후 절연유를 배유하여야 하고, 이후 다시 절연유를 채워넣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또한, UHF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전자파 신호를 센서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신호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손실이 발생하여 정확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분방전 검출 장치를 전력기기 외부에 부착함으로써 전력기기의 운전 중에도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종례기술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5955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 검출을 위한 외장형극초단파 센서의 취부장치” 및 제20-0340556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외장형 부분방전 검출 센서의 취부구조”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35955호 및 제20-0340556호에서는 차폐띠를 스페이스에 두른 후 그 양단부를 고정시켜 주는 정도의 기능을 가진 클립구조의 띠고정용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차폐띠를 스페이서에 고정한 후 감지용 센서를 차폐띠에 부착한다. 그러나, 차폐띠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 단순 고정 기능 정도 의 클립 구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스페이서와 차폐띠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서 외부 유입 전자파를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호가 노이즈로 작용하여 허위 부분방전 감지 결과 또는 실 부분방전 신호에 겹쳐져 부분방전 진단을 어렵게 만드는 등 부분방전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하락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외장형 부붕방전 검출장치는 부분방전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설치 후 점검이나 센서의 교체 시 검출 장치 전체를 다시 풀어야 하는 불편과, 케이블 연결 작업에 따른 방향 전환도 용이하지 않아서 운용자의 편이성도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전력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을 전력기기 외부에서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기판형 안테나가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기기 내부의 부분방전을 검출할 수 있는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는 상기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 상에 탑재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각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점검창의 둘레의 굴곡된 형태에 따라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인쇄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형태에 따라 수신가능한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안테나 패턴이 인쇄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띠 형상을 형성하고,상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띠 형상의 바닥면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상기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각 기판형 안테나는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기판형 안테나이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는 10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하나의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 및 20 내지 40MHz의 대역폭을 갖는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분리판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분리판 상단에 탑재될 수 있다.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밀착부재 상에 탑재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밀착부재의 길이방향 양 끝에서 길이방향 중심에 가까워 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는 200MHz 내지 180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 300MHz 내지 3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400MHz 내지 4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1000MHz 내지 10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및 1300MHz 내지 13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기기의 접지라인 주변에 설치되는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기기와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로부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전력기기의 외부에서 전력기기와 점검창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틈새에서 방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고정확도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습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기기에 설치된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고정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기기 점검창의 외부표면에 설치가능한 고정확도의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략하게 ‘부분방전 검출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습의 정면도(도 2(a)) 및 측면도(도 2(b))이다. 도 1 및 도 2(a)에서는 전력기기의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결합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HFCT 센서(360)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력기기에는 전력기기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감시하기 위해 전력기기의 상면 및 측면 등 외부면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체결 수단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점검창(101)이 설치된다. 이 점검창(101)의 설치를 위해 전력기기의 일측에는 전력기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력기기와 내부가 연통되는 관이 형성되고, 관의 말단에는 관의 외부를 향해 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점검창결합부(102)가 형성된다.
점검창(101)의 외경은 점검창결합부(10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점검창(101)은 점검창결합부(102)에 포개진 상태로 체결볼트(101a)가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를 관통하고,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를 관통하여 점검창결합부(102)의 뒤편으로 돌출된 체결볼트에 체결너트(101b)가 체결됨으로써 점검창(101)이 전력기기의 점검창결합부(102)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전력기기의 점검창결합부(102)와 점검창(101)의 결합부위에는 틈새(A)가 형성되고, 전력기기에 부분방전이 발생 시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가 점검창결합부(102)와 점검창(101)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틈새(A)를 통해 미세하게 방출된다. 이하에서, 점검창결합부(102)와 점검창(101)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틈새(A)는 간략하게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전력기기 내부에서 발생한 부분방전을 검출하기 위해 점검창(101)의 외부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점검창(101)의 측면에서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로 새어나오는 미세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자파 신호를 처리하여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원격의 부분방전 진단시스템으로 송신함으로써 전력기기 내부에서 발생한 부분방전의 종류 및 발생 위치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의 간략한 측면의 단면도(도 3a) 및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도 3b)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방전 검출장치(100)의 내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의 구조를 부각시키기 위해 HFCT 센서(36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3b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 특히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의 안테나패턴(520)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340) 및 신호처리모듈(350)이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 하우징(340), 밀착부재(540), 신호처리모듈(350), HFCT 센서(360)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서로 다른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띠 모양을 형성하고, 띠의 바닥면 부분이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를 덮도록 점검창(101)의 둘레에 안착됨으로써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에서 새어나오는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기판형 안테나(310)는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uency)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기판형 안테나(310)는 플렉시블 기판(flexible PCB, 510), 안테나패턴(520), 접속단자(미도시) 및 보호케이스(530)로 구성된다. 플렉시블 기판(510)은 점검창의 둘레의 굴곡된 형태에 따라 구부러진다. 안테나패턴(52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가요성의 도체 도선을 플렉시블 기판에 패터닝처리함으로써 형성된다. 안테나패턴(520)에 의해 전자파 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안테나패턴(520)의 도체 도선이 구부러져있는 형태에 따라 각 기판형 안테나(310)의 신호 검출 대역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서로 다른 형태의 안테나 패턴이 인쇄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10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하나의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 및 20 내지 40MHz의 비교적 좁은 대역폭을 갖는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각각은 측정 대상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범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개수는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환경 및 필요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개수가 많을수록 보다 정밀한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나 신호처리량이 많아 신호 검출의 신속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개수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200MHz 내지 180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의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 및 4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320b, 320c, 320d)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320b, 320c, 320d)는 각각 300MHz 내지 3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400MHz 내지 4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b), 1000MHz 내지 10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c) 및 1300MHz 내지 13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d)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플렉시블 기판(510) 상에 안테나 패턴(520)이 인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에 서로 다른 모양의 안테나 패턴(520)이 인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 신호가 유입될 시 다른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검출하는 기판형 안테나(310)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신호검출이 가능하다.
접속단자(미도시)는 안테나패턴(520)과 신호처리모듈(350)을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선(미도시)이 연결되는 단자로서 플렉시블 기판(510)에 실장된다.
보호케이스(5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플렉시블 기판(510), 안테나패턴(520) 및 접속단자(미도시)를 내장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510), 안테나패턴(520) 및 접속단자(미도시)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절연시킨다. 보호케이스(530)는 사각판, 원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조의 편의성 및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호케이스(5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테나패턴(520)과 신호처리모듈(350)를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선(미도시)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케이스(530)는 가요성을 가지며 절연성이 큰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보호케이스(53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점검창(101) 측면의 굴곡을 따라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점검창(101)과 전력기기 사이의 틈새(A)에서 새어나오는 미세한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5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점검창(101)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지는 모양이 점선으로 도시되어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두 개 이상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보호케이스(530)를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의 플렉시블 기판(510)이 하나의 보호케이스(5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4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320b, 320c, 320d) 중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및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b)의 플렉시블 기판(510)이 제1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그리고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c) 및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d)의 플렉시블 기판(510)이 제1 보호케이스와 상이한 제2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보호케이스(530)를 공유하는 경우,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의 플렉시블 기판(510)은 보호케이스(530)의 내부에서 보호케이스(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 중 하우징(34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형 안테나(310)는 하우징(34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므로, 보호케이스(530)가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 상에 탑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40)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바닥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 상에 탑재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하우징(340)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40)의 내부에는 하우징(34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분리판(345)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하우징(340) 내부에서 분리판(345)의 하단에, 신호처리모듈(350)은 하우징(340) 내부에서 분리판(345)의 상단에 탑재될 수 있다.
하우징(340)의 일측에는 HFCT 센서(360)와 연결되기 위한 HFCT센서 연결단자(341) 및 신호처리모듈(350)에 전력 공급 및 통신을 위한 PoE 연결단자(342)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재(54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340)의 개방된 하단부에 삽입되어 하우징(34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밀착부재(540)의 상면은 평면을 이루나 하면은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540)의 두께는 밀착부재(5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변하나, 너비방향으로는 일정하며, 길이방향 양단이 가장 두껍고 중심부가 가장 얇다. 밀착부재(540)의 하면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은 부분방전 검출장치(100)가 설치되는 전력기기의 점검창(101)의 곡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밀착부재(540)의 하면은 점검창(10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재(540)는 밀착부재(540)의 하면이 점검창(101) 측면의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안착될 수 있다.
밀착부재(54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탑재된다. 밀착부재(540) 상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는 하우징(340)에 의해 보호되므로 보호케이스(530)가 생략될 수 있으며, 밀착부재(540)의 하면에 형성된 곡면에 의해 상면이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구부러지지 않는 기판이 이용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540)는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합성수지, 예컨대, 에폭시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540)와 점검창(101)의 측면 사이 밀착력이 우수하고, 밀착부재(540)의 하면에 형성된 곡률과 다소 상이한 곡률을 갖는 점검창(101)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를 밀착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밀착부재(540)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에서 방출되는 미세한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신호처리모듈(350)은 하우징(340)에 내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기판형 안테나(310) 및 HFCT 센서(360)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처리모듈(350)의 구성도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신호처리모듈(350)은 대표적으로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 HFCT센서용 모듈(430), 신호변환부(440), 신호선택부(450) 및 통신부(46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메모리, 프로세서, 버스 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된 각 구성 요소는 반드시 별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구성 요소가 공통 하드웨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등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은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받아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의 측정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은 제1 필터부(411), 제1 증폭부(412), 제1 신호검출부(413)로 구성된다. 제1 필터부(411)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대역, 즉,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의 측정 대상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1 증폭부(412)는 제1 필터부(411)에 의해 필터링된 전자파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며, 제1 신호검출부(413)는 제1 필터부(411)에 의해 증폭된 전자파 신호의 최대 전압값을 검출한다.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은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받아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측정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은 센서선택부(421) 제2 필터부(422), 제2 증폭부(423), 제2 신호검출부(424)로 구성된다.
센서선택부(421)는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선택한다. 이때, 센서선택부(421)는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로부터의 전자파 신호를 고정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미리 설정된 순번으로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를 교체하며 전자파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센서선택부(421)가 복수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 중 어느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이용할 것인지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가 이용되는 환경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22)는 센서선택부(421)에 선택된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대역, 즉, 센서선택부(421)에 의해 선택된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의 측정 대상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2 증폭부(423)는 제2 필터부(422)에 의해 필터링된 전자파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며, 제2 신호검출부(424)는 제2 필터부(422)에 의해 증폭된 전자파 신호의 최대 전압값을 검출한다.
HFCT센서용 모듈(430)은 HFCT 센서(36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수신받아 HFCT 센서(360)의 측정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HFCT센서용 모듈(430)은 제3 필터부(431), 제3 증폭부(432), 제3 신호검출부(433)로 구성된다. 제3 필터부(431)는 HFCT 센서(36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대역, 즉, HFCT 센서(360)의 측정 대상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3 증폭부(432)는 제3 필터부(431)에 의해 필터링된 전자파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며, 제3 신호검출부(433)는 제3 필터부(431)에 의해 증폭된 전자파 신호의 최대 전압값을 검출한다.
신호변환부(440)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의 제1 신호검출부(41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의 제2 신호검출부(424), 및 HFCT센서용 모듈(430)의 제3 신호검출부(433) 각각에 의해 검출된 전자파 신호의 최대 전압값을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선택부(450)는 복수 개의 센서(310) 및 HFCT 센서(360)에 의해 수신되어 신호변환부(440)에 의해 변환된 신호의 최대 전압값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디지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된 신호선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선택부(450)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의 제1 신호검출부(41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의 제2 신호검출부(424), 및 HFCT센서용 모듈(430)의 제3 신호검출부(433)에 의해 검출된 전자파 신호의 최대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선택할 수 있다.
통신부(460)는 신호선택부(450)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를 부분방전을 진단할 수 있는 원격의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460)는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케이블을 통해 부분방전 진단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10),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용 모듈(420) 및 HFCT센서용모듈(430)이 각각의 PCB 상에서 구현되고, 신호변환부(440), 신호선택부(450) 및 통신부(460)가 하나의 DSP(digital signal process)보드(470) 상에 구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설치 환경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에 의하면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와 신호처리모듈(350)이 내장되는 하우징(340)이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신호처리모듈(350)로 송신하기 위한 별도의 동축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센서(360)는 전력기기의 접지라인 주변부에 설치되어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형태의 방전전류를 검출하며, 하우징(340)에 형성된 HFCT센서 연결단자(341)를 통해 신호처리모듈(350)과 연결된다. HFCT센서(360)는 1MHz 내지 400MHz 의 신호검출 대역을 갖는다. HFCT센서(360)의 구성 및 동작 메커니즘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주지된 기술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를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하나의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 네 개의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320b, 320c, 320d), 하우징(340), 밀착부재(540) 및 신호처리모듈(350) 및 HFCT 센서(360)를 포함한다.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는 밀착부재(540) 상에 탑재되고, 하우징(340)이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 상에 탑재됨으로써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는 하우징(340) 내부에 탑재되었다.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는 하우징(340) 내부로 탑재됨에 따라 보호케이스(530)가 생략되었다.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및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b)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의 타측에는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c)와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d)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5에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330)가 하우징(340) 내부에 탑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340) 내부에 탑재되는 기판형 안테나(310)의 선정 및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배열되는 순서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하우징(340)를 기준으로 양옆에 동일한 개수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340)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예컨대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가 하우징(34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b),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c), 및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d)는 일렬로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340)의 타측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a),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b),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c), 및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320d)가 모두 하우징(340)의 일측에 일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신호처리모듈(350)과 각각의 기판형 안테나(310)를 연결하는 신호선의 효율적인 배선을 위해서는 하우징(340)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부분방전 진단 대상인 전력기기의 점검창(101) 측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전력기기와 점검창(101) 사이의 틈새(A)에서 방출되는 미세 부분방전 전자파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부분방전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부분방전 검출장치(100)가 원형의 점검창(101)의 둘레를 따라 점검창(101)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방전 검출장치(100)는 점검창(101)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재(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부재(710)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검출장치(100)가 전력기기의 점검창(101)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도 6a) 및 정면(eh 6b)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71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정부재(710)가 설치된 모습을 부각시키기 위해 HFCT(360) 센서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710)는 기판형 안테나(310)를 점검창(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도 7a) 및 하우징(340)을 점검창(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 고정부재(730)(도 7b)를 포함한다.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는 고정판(740), 두 개의 고정고리(750) 및 두 개의 고정나사(760)로 구성된다. 고정판(74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서 고정나사(760)의 나사산이 통과할 수 있도록 사각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체결공(741)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공(741)의 크기는 고정나사(760)가 고정판(74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나사(760)의 나사산은 통과할 수 있지만 고정나사(760)의 나사머리는 통과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고정판(740)의 길이는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두께를 더한 것 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 기판형 안테나(310)가 고정판(740) 아래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력이 떨어지고, 지나치게 작은 경우 두 개의 고정고리(750)가 체결너트(101b) 및 체결볼트(101a)에 고정될 수 없으므로 고정판(740)의 길이는 두 개의 고정고리(750)가 각각 체결너트(101b) 및 체결볼트(101a)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판(740)이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고리(750)는 중앙이 원형으로 통공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형고정부(751) 및 링형고정부(75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판형고정부(752)로 구성된다. 링형고정부(751)의 중앙에 통공된 구멍의 크기는 체결볼트(101a)의 머리부분의 외경 및 체결너트(101b)의 외경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 고정력이 떨어지므로 체결볼트(101a)의 머리부분 및 체결너트(101b)에 딱맞게 끼워질 정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고리(750)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합성 고무를 이용하여 체결볼트(101a)의 머리부분 및 체결너트(101b)보다 살짝 작게 제작됨으로써 체결볼트(101a)의 머리부분 및 체결너트(101b)에 밀착하여 끼워질 수 있다.
사각판형고정부(752)는 고정판(74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체결공(741)을 통해 고정판(740)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된 고정나사(760)와 체결됨으로써 고정판(740)의 하면에서 고정판(740)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고정판(740)의 길이방향 양단에 두 개의 고정고리(750)가 고정판(740)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함에 따라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는 엎어진 ‘ㄷ’형상을 갖는다.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는 고정판(740)의 바닥면이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측면에 밀착하고, 그 양단에서 두 개의 고정고리(750)가 각각 점검창(101)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01a)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너트(101b)에 고정됨으로써 기판형 안테나(310)를 점검창(101) 및 점검창결합부(102)의 측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기판형 안테나(3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의 개수는 정해진 바 없으나,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310)가 형성하는 길이를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고정부재(730)는 고정고리(750) 및 고정나사(760)로 구성된다. 하우징 고정부재(730)의 고정고리(750)는 링형고정부(751)가 점검창(101)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01a) 또는 점검창결합부(102)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너트(101b)에 고정되고, 사각판형고정부(752)는 하우징(340)에 접한 상태로 사각판형고정부(752)의 두께를 관통하여 하우징(34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760)에 의해 하우징(340)에 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34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하우징 고정부재(730)를 이용하여 체결볼트(101a)(즉, 점검창 측) 및 체결너트(101b)(즉, 점검창결합부 측) 양쪽에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 고정부재(730)는 기판형 안테나 고정부재(720)와 마찬가지로 고정판(740), 두 개의 고정고리(750) 및 두 개의 고정나사(7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판(740)의 길이는 두 개의 고정고리(750)가 각각 점검창(101)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01a) 또는 점검창결합부(102)의 바깥으로 돌출된 체결너트(101b)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340)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부분방전 검출장치
101: 점검창
310: 기판형 안테나
320: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330: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
340: 하우징
350: 신호처리모듈
510: 플렉시블 기판
520: 안테나 패턴
540: 밀착부재
A: 전력기기와 점검창 사이의 틈새

Claims (17)

  1.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해 전력기기의 점검창에 설치되는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판형 안테나;
    상기 기판형 안테나 상에 탑재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점검창의 둘레의 굴곡된 형태에 따라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인쇄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형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형태에 따라 수신가능한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안테나 패턴이 인쇄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판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띠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띠 형상의 바닥면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상기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기판형 안테나이며, 10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거나, 20 내지 40MHz의 대역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8.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해 전력기기의 점검창에 설치되는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판형 안테나;
    상기 기판형 안테나 상에 탑재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분리판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분리판 상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형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밀착부재 상에 탑재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밀착부재의 길이방향 양 끝에서 길이방향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200MHz 내지 180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광대역 기판형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300MHz 내지 3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는
    400MHz 내지 42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1000MHz 내지 10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3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1300MHz 내지 1340MHz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협대역 기판형 안테나;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6.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해 전력기기의 점검창에 설치되는 부분방전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기기의 점검창의 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전력기기와 상기 점검창 사이의 틈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판형 안테나;
    상기 기판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력기기 내부에서의 부분방전 발생을 진단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전력기기의 접지라인 주변에 설치되는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형 안테나 상에 탑재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KR1020220098683A 2022-08-08 2022-08-08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KR20240020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83A KR20240020524A (ko) 2022-08-08 2022-08-08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83A KR20240020524A (ko) 2022-08-08 2022-08-08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524A true KR20240020524A (ko) 2024-02-15

Family

ID=898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683A KR20240020524A (ko) 2022-08-08 2022-08-08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5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820B1 (ko)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CN101202425B (zh) 局部放电检测装置
JP3299547B2 (ja) ガス絶縁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US20080103712A1 (en) Diagnosis Apparatus For Switchgear
US8179146B2 (en) Partial discharge detection sensor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8304357A (ja) 部分放電計測装置
CN107831410B (zh) 一种容性套管末屏信号检测装置
KR101379201B1 (ko) 캐비티 상쇄간섭을 줄인 부분방전 커플러
JP2001141773A (ja) ガス絶縁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US1110578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nal defect in transformer
CN1115566C (zh) 气体绝缘设备的部分放电检测装置
KR20240020524A (ko) 주변압기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장치
CN108535609B (zh) 一种pcb天线及用于gis绝缘缺陷检测的外置式声电复合传感器
KR10077409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7170467B1 (en) Antenna couplers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2089180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부분방전 진단장치
Ahmed et al. On-lin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cables
JP2000162263A (ja) ガス絶縁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JP200234096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部分放電診断センサ
CN208172154U (zh) 一种pcb天线及用于gis绝缘缺陷检测的外置式声电复合传感器
CN208508137U (zh) 高频探针双屏蔽铜套
CN206178089U (zh) 一种可分离的电容式传感器装置
KR100893396B1 (ko) 내장형 센서가 구비된 가스 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US20020024467A1 (en) Partial discharge detector for gas insulated apparatus
CN113740421B (zh) 电缆缺陷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