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496A -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496A
KR20240020496A KR1020220098603A KR20220098603A KR20240020496A KR 20240020496 A KR20240020496 A KR 20240020496A KR 1020220098603 A KR1020220098603 A KR 1020220098603A KR 20220098603 A KR20220098603 A KR 20220098603A KR 20240020496 A KR20240020496 A KR 2024002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tems
smartphone
workers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완강
하재철
허균
Original Assignee
디알씨티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알씨티에스(주) filed Critical 디알씨티에스(주)
Priority to KR102022009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496A/en
Publication of KR2024002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4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은 공사 현장 근로자가 휴대하며 터치스크린부와 각종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관리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관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작업일의 온도와 습도와 강수량과 미세먼지 농도와 풍속 및 작업중단 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항목과, 작업장에 위치하는 근 로자들이 알아야할 내용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공지사항항목과, 근로자가 이수해야할 교육과정과 안전교육계획과 상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자료를 포함하는 안전교육항목과,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율안전신고항목과, 당일 시공작업 내용을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과, 작업을 중지해야할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중지사항항목과, 공사 관련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채팅항목과, 공사 관련 작업자들의 건의사항을 제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의사항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항목들에는 보안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근로자에 대해서는 보안등급이 부여된 항목에 접근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열람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 상황에서 요구되는 보안 사항과 안전관련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로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설비 공사 현장 상황 및 교육자료 등에 대한 보안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이의 외부 반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들이 원활히 공유하고, 직관적이면서도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스마트폰 조작이 번거로운 공사 현장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고, 안전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들이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제안을 장려할 수 있고, 해결 방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사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The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arried by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mprised of a touch screen unit and various sensor members, and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and a manager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management data for the smart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safety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in which a management program is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wherein safety situation item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work stoppage time of the working day are sent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 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o the workplace. Notice items that include information that workers in the location need to know, safety education items that include training courses and safety education plans that workers must complete and train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training courses, and safety-related matters.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provided for workers to report, work status reporting items for the day provided for reporting the details of construction work on the day to the manager, work stoppage items containing information on matters requiring work to be stopped, and A chat item for chatting between construction-related people and a suggestion item provided for construction-related workers to suggest suggestions are transmitted, and a security level is assigned to item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phone. , the workers are given an information viewing level that allows them to access and view information on items with a security level, and a time for viewing information is set for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It is characterized by
By the present invention, security matters and safety-related matters required in the facility construction site situ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can be efficiently managed and communicated to workers, and security for the facility construction site situation and training materials, etc.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and external Expor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orkers can smoothly share safety-related matters and check them intuitively and quickly, allowing effective notification even in construction site situations where operating a smartphone is cumbersome, and reliably confirming whether workers have confirmed safety-related matters. .
In addition, suggestions for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that occur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encouraged, objective evaluation of solutions can be made, and if an accident occurs at a construction site, immediate action can be taken.

Description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app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 상황에서 요구되는 보안 사항과 안전관련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안전에 관한 내용 확인의 신뢰성을 높이며 직관적이면서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it efficiently manages security and safety-related matters required in the construction site of a nuclear power plant, and in particular, improves the reliability of confirming safety-related information. This invention is about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is designed to be intuitive and quick to check.

산업기술의 발전과 함께 복잡 다양해지는 산업구조에 따라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As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s and industrial structures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are also becoming more diverse.

산업재해 발생은 근로자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일시 또는 영구적인 노동력 상실을 일으킬 수 있어, 가족의 생계유지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Industrial accidents not only affect the health of individual workers, but can also cause temporary or permanent loss of labor, affecting the livelihood of their families and causing economic losses for companies.

이와 같은 인명피해와 재산 상의 손실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되므로, 산업재해 예방은 근로자 건강과 생산성 있는 노동력의 확보로 이어져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Since such casualties and property losses act as obstacles to increa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can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by securing worker health and a productive workforce.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개인 및 산업구조로부터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지속적으로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근로환경조사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In ord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various studies such a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s and working environment survey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o identify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from complex individual and industrial structures.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어 공정표 및 작업계획을 기준으로 산업재해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평가한 후 이를 예방 조치할 수 있도록, 재해발생 가능 사항을 규정하거나 작업 간의 관계를 판단하여 안전기준을 설정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As part of these efforts, method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example, by assessing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based on schedules and work plans and then taking preventive measures, Work is being done to set safety standards by defining matters or determining relationships between tasks.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산업현장에서 안전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예측하고 제공할 뿐, 실제 근로자들이 이를 숙지하는 것은 작업 환경의 특성 상 어려운 부분이 있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it only predicts and provides situations in which safety accidents may occur in industrial sites, and it is difficult for actual workers to be aware of them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environment.

특히, 작업 공정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높게 요구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에서, 작업 중 공지되는 사항을 즉시 확인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In particular,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where high accuracy and precision in the work process are required,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confirm information announced during work.

그리고,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의 경우, 설계 관련 내용 뿐만 아니라 안전 교육에 관련된 자료나, 실제 시공되는 공사 현장 상황 역시 보안 사항으로 관리될 필요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not only design-related content, but also safety education-related materials and actual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need to be managed as security matters.

그런데, 근래 이동통신수단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든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거나 채팅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take pictures anytime and anywhere and send them to the outside through chat or the like, so management of these photos is necessary at the facility construction site of the nuclear power plant.

이에,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에서 요구되는 산업안전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이를 즉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시공 현장의 상황을 보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effectively communicates overall information on industrial safety required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allows workers to immediately and intuitively check this, and maintains security at the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 상황에서 요구되는 보안 사항과 안전관련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is configured to efficiently manage and communicate security matters and safety-related matters required in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ituations.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비 공사 현장 상황 및 교육자료 등에 대한 보안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maintain security for facility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and educational material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들이 원활히 공유하고, 직관적이면서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allows workers to smoothly share safety-related matters and check them intuitively and quick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 사항에 관한 근로자들의 확인을 신뢰성 높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is configured to reliably manage workers' confirmation regarding safety matt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제안을 장려할 수 있고, 해결 방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using a mobile app that can encourage the suggestion of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and enabl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solutions.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that allows immediate action to be taken when an accident occurs at a construction 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은 공사 현장 근로자가 휴대하며 터치스크린부와 각종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관리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관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작업일의 온도와 습도와 강수량과 미세먼지 농도와 풍속 및 작업중단 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항목과, 작업장에 위치하는 근로자들이 알아야할 내용을 포함하는 공지사항항목과, 근로자가 이수해야할 교육과정과 안전교육계획과 상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자료를 포함하는 안전교육항목과,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율안전신고항목과, 당일 시공작업 내용을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과, 작업을 중지해야할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중지사항항목과, 공사 관련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채팅항목과, 공사 관련 작업자들의 건의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의사항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항목들에는 보안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근로자에 대해서는 보안등급이 부여된 항목에 접근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열람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includes a smartphone carried by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mprised of a touch screen unit and various sensor members,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through a central control unit and a manager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data for managing the smart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wherein a management program is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As a system for use, safety situation item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work stoppage time of the working day are sent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 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Providing notice items that contain information that employees need to know, safety education items that include training courses and safety training plans that workers must complete and training materials required for the training courses, and providing workers with the ability to report safety-related matters.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same-day work status report items provided to report the details of construction work on the day to the manager, work stoppage items containing information on matters requiring work to be stopped, and chatting between construction related personnel. A chat item for and a suggestion item provided for transmitting suggestions from construction-related workers are transmitted, and a security level is assigned to the item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phone, and a security level is given to the worker. An information viewing level is assigned to access the assigned items and view the information, and a time for viewing the information is set for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의 열람이 금지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is prohibited from being viewed for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지정된 정보열람등급의 근로자와 관리자에 대해 상기 채팅항목을 통해서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among the items,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may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only through the chat item to workers and managers of the designated information viewing level.

또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의 화면 캡쳐가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mong the above items,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creen capture of the smartphone.

그리고,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보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may be configured not to be viewed through the smartphone if access is not ma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한편,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관리용 프로그램 종료 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anagement program is terminated on the smartphone,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may be configured to be deleted from the smartph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우수사례항목과 위험사례항목 및 제안사항항목을 근로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 대한 타 근로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하는 마일리지부여항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are configured so that workers can input good practice items, risk case items, and suggestion items, and a mileage grant item for entering other workers' evaluation scores for the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한 근로자의 입력 횟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number of times the worker entered the evaluation score.

그리고,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은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ileage grant item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range of workers for entering the evaluation score.

또한,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는 상기 근로자가 속한 기업 조직의 근로자와 상기 기업 조직 외의 상급 기업조직의 근로자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cope of workers for whom the evaluation score is to be entered may include workers in the corporate organization to which the worker belongs and workers in higher-level corporate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corporate organiz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는 상기 스마트폰이 배치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Preferably, the range of workers to input the evaluation score is set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where the smartphone is placed.

그리고,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을 통해 입력된 근로자 별 마일리지의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마일리지랭킹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may include a mileage ranking item to display the ranking of mileage for each worker entered through the mileage grant item.

한편,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신고사항의 사진과 함께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along with the photo of the report.

그리고,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지정된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ort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worker's smartphon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을 통해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port confirmation signal to the manager's smartphone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외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repor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port to another manager smartphone located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radius through the manager smartphone.

그리고, 상기 제안사항항목에 대한 해결방안을 근로자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solutions to the above suggestion items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상황항목은 근로자의 스마트폰 첫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safety situation items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worker's smartphone.

그리고, 상기 안전상황항목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서 근로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situation items can be selectively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또한, 상기 근로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출된 안전상황항목은 미리 지정된 근로자의 업무에 따라 다르게 배열되어 상기 첫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safety situation items selectively extracted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may b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designated worker's job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상황항목에서 근로자의 업무와 연관된 항목의 위험 정도에 따라 상기 첫 화면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color of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risk of the items related to the worker's work in the safety situation items.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는 상기 위험 정도에 따른 작업중지 시간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work stoppage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또한, 상기 근로자들의 스마트폰들 중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들은 서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mong the workers' smartphones, pre-designated smartphones may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동된 스마트폰들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의 움직임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타 스마트폰으로 이를 알리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if the movement of one of the smartphones linked to each other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notify the other smartphone.

또한, 근로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 상기 근로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martphone owned by the worker is separated from the work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can be configured to notify the smartphone of another worker.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noise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it can be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smartphon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감지되는 지자기력이 미리 지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when the geomagnetic force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changes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it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smartphones.

또한, 상기 공지사항항목 중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근로자에 의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지정된 속도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 worker scrolls the screen while a pre-designated notice item among the notice item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screen may be configured to scroll at a pre-designated speed.

여기서,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은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2페이지 이상으로 표시되도록 조절되며, 상기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에 공지사항항목 확인버튼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s may be adjusted to be displayed on two or more pages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a notice item confirmation button may be placed at the last part of the page.

그리고,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에 대한 확인버튼이 근로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근로자의 스마트폰과 미리 지정된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firmation button for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is not entered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for a pre-designated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notify the worker's smartphone and the pre-designated manager's smartphone.

본 발명에 의해,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 공사 현장 상황에서 요구되는 보안 사항과 안전관련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로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ity matters and safety-related matters required a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of nuclear power plants can be efficiently managed and communicated to workers.

또한, 설비 공사 현장 상황 및 교육자료 등에 대한 보안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이의 외부 반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of facility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and educational materials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and their export to the outside world can be prevented.

또한, 안전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들이 원활히 공유하고, 직관적이면서도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스마트폰 조작이 번거로운 공사 현장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workers can easily share safety-related matters and check them intuitively and quickly, allowing effective notification even in construction site situations where operating a smartphone is cumbersome.

또한, 안전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들이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check whether safety-related matters have been confirmed by workers.

또한,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제안을 장려할 수 있고, 해결 방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uggestions for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that occur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encouraged,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 solutions can be conducted.

또한, 공사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Additionally, if an accident occurs at a construction site, immediate action can be taken.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 화면에 각종 항목들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보안등급 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자율안전신고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이 표시되는 다른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서 마일리지부여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서 마일리지랭킹항목과 입력횟수랭킹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공지사항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작업중지사항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안전상황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안전상황항목이 표시된 다른 상태의 정면도이다.
The attached drawings are intended to help you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various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martphone included in the system;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security level items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nother state in which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s are displayed,
Figure 6 is a front view with the mileage grant item displayed i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ileage ranking item and the input frequency ranking item i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Figure 8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notice items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k stoppage item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10 is a front view with safety situation item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another state in which safety situation items ar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dictionary meaning,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press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 화면에 각종 항목들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보안등급 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자율안전신고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이 표시되는 다른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서 마일리지부여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서 마일리지랭킹항목과 입력횟수랭킹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공지사항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작업중지사항항목이 표시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안전상황항목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안전상황항목이 표시된 다른 상태의 정면도이다.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front view with various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martphone included in the system. 3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ecurity level items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s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Figure 5 is another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s are displayed. It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and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ileage grant item is displayed i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and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ileage ranking item and the input count ranking item are displayed i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Figure 8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notice item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k stoppage item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Figure 10 is a safety situation item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This is a front view of this displayed state, and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another state in which the safety situation items ar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은 공사 현장 근로자가 휴대하며 터치스크린부와 각종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1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과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20)와, 상기 중앙제어부(2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 관리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단말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20)에는 관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로부터 상기 중앙제어부(2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작업일의 온도와 습도와 강수량과 미세먼지 농도와 풍속 및 작업중단 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항목(110)과, 작업장에 위치하는 근로자들이 알아야할 내용을 포함하는 공지사항항목(120)과, 근로자가 이수해야할 교육과정과 안전교육계획과 상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자료를 포함하는 안전교육항목(130)과,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율안전신고항목(140)과, 당일 시공작업 내용을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150)과, 작업을 중지해야할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중지사항항목(160)과, 공사 관련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채팅항목(170)과, 공사 관련 작업자들의 건의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의사항항목(180)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송되는 항목들에는 보안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근로자에 대해서는 보안등급이 부여된 항목에 접근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열람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by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includes a smartphone (10) that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and various sensor members. ), a central control unit 2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data for managing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20 ( 30), and is a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which a management program is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nd i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30 to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20. , a safety situation item (110)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work stoppage time of the working day, and a notice item (120) containing information that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should know, Safety training items (130), which include the training courses and safety training plans that workers must complete, and train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training courses, and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140) provided so that workers can report safety-related matters. , the same-day work status report item (150) provided to report the details of the day's construction work to the manager, the work stoppage item (160) containing information on matters to stop work, and chatting between construction related personnel. A chat item 170 for transmitting and a suggestion item 180 provided for transmitting suggestions from construction-related workers are transmitted, and the item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30 to the smartphone 10 include A security level is assigned, and the above workers are given an information viewing level that allows them to access and view information on items with a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for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the time to view information is giv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et.

상기 스마트폰(10)은 원자력발전소 설비 관련 공사 현장 근로자가 휴대하며, 상기 현장 근로자를 업무 상 관리하는 관리자 역시 스마트폰(15)을 휴대할 수 있다.The smartphone 10 is carried by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and managers who manage the workers on site can also carry the smartphone 15.

상기 스마트폰(10)은 터치스크린부와 각종 센서부재를 포함하며,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martphone 10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and various sensor members, and is configured to enable mobile communication.

통상적으로 상기 센서부재로서 스마트폰(10)에 설치되는 것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근접센서 및 지자기 감지센서 등이다.Typically, the sensor member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geomagnetism sensor.

상기 중앙제어부(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 15)과 통신되도록 구성된다.The central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s 10 and 15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중앙제어부(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프로그램 구동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20 is installed with a program for driving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data used to run the program.

또한, 공사 현장에는 상기 스마트폰(10, 15)과 연동될 수 있는 출입게이트(70)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10, 15)이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과하는 경우 이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ntrance gate 70 that can be linked to the smartphones 10 and 15 i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smartphones 10 and 15 can access the entrance while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unning.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n passing through the gate 70.

그리고, 상기 출입게이트(70)에는 이를 통과하는 출입정보를 전송하여 관리하기 위한 출입정보서버(50)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information server 50 may be connected to the access gate 70 to transmit and manage access information passing through it.

또한, 상기 출입정보서버(50)로 전송된 출입정보는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cces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ccess information server 50 may be transmitted to and manag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200.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0)에는 외부의 타 기관 시스템 또는 서버들과 연동되기 위한 외부시스템연계서버(60)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ystem linkage server 60 for linking with other external institutional systems or servers.

상기 타 기관 시스템 또는 서버의 예로서는, 기상청의 날씨 데이터 서버 또는 공사 발주처의 서버 등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other organization's system or server may b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weather data server or the construction ordering company's server.

상기 중앙제어부(20)와 출입정보서버(50) 및 외부시스템연계서버(60)는 데이터 보안을 위한 방화벽(80)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된다.The central control unit 20, access information server 50, and external system linkage server 60 are configured to be protected by a firewall 80 for data security.

그리하여, 외부 타 기관 또는 서버들로부터 상기 외부시스템연계서버(60)로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중앙제어부(20)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Thus, data received from other external organizations or servers to the external system linkage server 60 can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nd managed.

상기 중앙제어부(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설치 및 업그래이드 하기 위한 관리자단말장치(30)가 연결된다.The central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30 through which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s/outputs data and installs and upgrades programs.

그리하여,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를 통해 상기 중앙제어부(20)로 입력된 데이터들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 15)으로 전송될 수 있다.Thus, data inpu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30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s 10 and 15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스마트폰(10, 15)들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제어부(20)를 거쳐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다.Additionally, data input through the smart phones 10 and 15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30 via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로부터 상기 중앙제어부(20)를 통해 상기 안전상황항목(110) 내지 건의사항항목(180) 등이 상기 스마트폰(10, 15)으로 전송된다.By a program for driving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to the suggestion item 180, etc. are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30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o the smartphone. It is sent to (10, 15).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송된 항목들(110 내지 180)들은 상기 스마트폰(10, 15)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근로자 또는 관리자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tems 110 to 180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10 and 15, and are configured to receive data input from workers or managers.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은 현장 작업일의 온도와 습도와 강수량과 미세먼지 농도와 풍속 등의 작업 환경과 관련된 조건들을 포함한다.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includes condition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and wind speed on the field work day.

또한,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은 기상조건 또는 이외의 상황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어야할 작업중단 시간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includes work stoppage time when work must be stopped due to weather conditions or other circumstances.

상기 공지사항항목(120)은 작업장에 위치하는 근로자들에게 알릴 내용을 포함한다.The notice item 120 includes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workers located at the workplace.

상기 공지사항항목(120)으로서는 예를 들어, 안전관리 상 요구되는 사항이나 장비의 발주 또는 입고 상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notice items 120 may include, for example, matters required for safety management, ordering or receipt of equipment, etc.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공지사항항목(120)을 선택하는 경우, 세부 내용들이 항목(122) 별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항목(122)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notice item 12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s selected, detaile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each item 122, and in this state, the item 122 When selected, detail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안전상황항목(110)과 공지사항항목(120)은 전달될 내용에 따른 분류로서, 안전상황항목(110)에 포함되는 사항을 공지사항항목으로써 전달하거나, 그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and the notice item 120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to be delivered, and the matters included in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may be delivered as a notice item, or vice versa.

한편, 상기 안전교육항목(130)은 근로자가 이수해야할 안전에 관한 교육과정들과 상기 교육과정들이 이루어지는 시간계획에 관한 안전교육계획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safety education item 130 includes safety education courses that workers must complete and a safety education plan regarding the time schedule for conducting the education courses.

또한, 상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자료들도 상기 안전교육항목(130)에 포함될 수 있다.Additionally, educational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afety education items 130.

그리고,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은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ing item 140 is provided so that workers can report safety-related matters.

도 4 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을 선택하면, 신고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s selected, a screen for entering the report details is displayed.

상기와 같이, 근로자들에 의해 신고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은 이후의 단계에서 관리자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s 140 reported by workers may be processed by managers at a later stage.

관리자들에 의한 처리의 예로서는, 신고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에 대해 상급 관리자로의 이관을 승인하거나, 이미 처리된 내용으로서 중복 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고를 거절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송부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Examples of processing by managers include approving the transfer of the reported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to a higher level manager, or rejecting the report and sending a response to prevent duplicate reporting of content that has already been processed. The work can be done.

상기 자율안전신고 사항으로서는 예를 들어, 어느 구조물에서 사람의 추락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물건의 낙하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토사의 붕괴 위험이 있는 경우 등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다.As for the above-mentioned voluntary safety reporting matters, for example, workers can report cases where there is a risk of a person falling from a structure, a risk of an object falling, or a risk of soil collap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은 우수사례항목(142)과 위험사례항목(144) 및 제안사항항목(146)을 포함하여 근로자가 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includes a best practice item (142), a risk case item (144), and a suggestion item (146) so that workers can enter them.

상기 우수사례항목(142)은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공 사례를 신고하여, 유사한 사례들의 신고를 장려하고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항을 신고하는 항목이다.The above best practice item (142) reports construction cases that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and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work environment, encouraging reporting of similar cases and matters deemed appropriate to raise awareness of safety. This is an item to report.

그리고, 위험사례항목(144)은 사고의 위험성이 높거나 이후의 시공 단계에서 사고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시공 사례를 신고하여, 동일한 시공을 방지하고 안전을 위한 추가적인 조치 등을 강구하도록 촉구할 사항을 신고하는 항목이다.In addition, the risk case item (144) reports construction cases that have a high risk of accident or are likely to cause an accident in the subsequent construction stage, and urges to prevent the same construction and take additional measures for safety. This is an item to report.

또한, 상기 제안사항항목(146)은 안전을 위해 시공 중 취해져야할 조치나 상기 위험사례항목(144)으로 신고된 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등을 근로자들이 제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항목이다.In addition, the suggestion item (146) is an item that allows workers to suggest measures to be taken during construction for safety or solutions to matters reported in the risk case item (144).

상기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150)은 작업 현장에서 당일에 시공한 작업 내용을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항목이다.The same-day work status reporting item 150 is an item provided to report the work performed on the same day at the work site to the manager.

상기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150)은 근로자들에 의해 작성 보고되며, 상기와 같이 근로자들에 의해 보고된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150)은 이후의 단계에서 관리자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The same-day work status report item 150 is prepared and reported by workers, and the same-day work status report item 150 reported by worker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cessed by managers at a later stage.

관리자들에 의한 처리의 예로서는, 보고된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150)들을 승인 후 상급 관리자로 이관하거나, 보고된 당일작업상황보고 건들을 조회하여 이에 대한 후속 절차를 처리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of processing by managers, tasks such as approving the reported daily work status report items (150) and then transferring them to a higher manager, or checking the reported daily work status report cases and processing follow-up procedures for them, etc. there is

상기 작업중지사항항목(160)은 당일 또는 특정 시간에 작업을 중지해야할 사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하기 위한 항목이다.The work stoppage item 160 is an item for ente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work to be stopped on the same day or at a specific time.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작업중지사항항목(160)을 선택하는 경우, 세부 내용들이 항목(162) 별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항목(122)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구체적인 내용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work stoppage item 16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s selected, detaile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each item 162, and in this state, the item 122 ) is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작업중지사항항목(160)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버튼(164)을 선택함으로써, 중지해야할 작업 내용을 근로자가 입력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by selecting the input button 164 while selecting the work stoppage item 160, the worker can input and transmit the work details to be stopped.

상기와 같이 전송된 중지 작업 내용은, 상기 작업중지사항항목(160)을 선택하여 표시되는 세부 내용 항목(162)으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The content of the suspended work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detailed content item 162 displayed by selecting the suspended work item 160.

즉, 상기 작업중지사항항목(160)을 통해 중지 대상 작업 내용을 입력하거나, 입력된 중지 대상 작업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work stoppage item 160, the work content to be stopped can be entered, or the input work content to be stopped can be viewed.

상기 채팅항목(170)은 근로자와 관리자를 포함한 공사 관련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항목이다.The chat item 170 is an item for chatting between construction-related people, including workers and managers.

상기 채팅항목(170)에 이용되는 채팅 프로그램으로서는, 보안성이 강화된 프로그램이 적용된 보안 채팅 프로그램이 이용되므로, 보안 채팅항목으로 표현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간략히 채팅항목으로 기술한다.As the chat program used for the chat item 170, a secure chat program with enhanced security is used, so it can be expressed as a secure chat item, but hereinafter, i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a chat item.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채팅항목(170)을 선택하는 경우, 채팅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이를 위한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chat item 17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s selected, the chat program is executed and a window for this is displayed.

그리고, 상기 건의사항항목(180)은 근로자와 관리자를 포함한 공사 관련 작업자들의 건의사항을 작성하여 전송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ggestion item 180 is configured to write, transmit, and display suggestions from construction-related workers, including workers and managers.

상기 건의사항은 공사 내용, 근무 환경, 또는 근로 조건에 관하여 건의할 사항 등 설비 작업과 관련하여 건의할 사항들을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uggestions may broadly include matters related to facility work, such as matters to be suggested regarding construction content, work environment, or working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3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송되는 안전상황항목(110) 내지는 건의사항항목(180)에는 보안등급이 부여된다.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urity level is assigned to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or suggestion item 180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30 to the smartphone 10.

상기 보안등급은 예를 들어, 공지사항항목(120) 또는 안전교육항목(130) 전체 카테고리에 대해 지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에 대해서도 지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urity level may be designated for the entire category of notice items 120 or safety training items 130, but may also be designated for detailed items included in the categories.

또한, 근로자와 관리자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부여된 보안등급별 항목에 본인들의 스마트폰을 통해 접근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열람등급이 부여된다.In addition, workers and managers are given an information access level that allows them to access and view information through their smartphones in the items for each security level assigned as above.

상기 보안등급과 정보열람등급은 각 세부 항목 별로 복수의 단계로 지정될 수 있다.The security level and information access level can be assigned to multiple levels for each detailed item.

그리고, 상기 보안등급별 항목들 중 지정된 정보열람등급에 대응되는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time for viewing information is set for items of a security level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information viewing level among the items for each security level.

그리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정보 열람이 가능하도록 지정된 본인의 정보열람등급에 대응되는 보안등급의 이외의 항들목에 대해서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3, items other than the security leve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viewing level of the person designated to allow information viewing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during times other than the time when information can be viewed. It is configured so that it does not happen.

상기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은 대표적으로 업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time when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viewed can typically be set to business hours.

상기 업무 시간은 근로자 또는 관리자가 본인의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 시간으로서,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과하여 작업 현장 내에 있는 시간을 포함한다.The work time refers to the time when a worker or manager is at his or her work site, and includes the time he or she passes through the access gate 70 and is within the work site.

그리고, 비록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과하여 작업 현장 내에 위치하더라도, 휴일 또는 업무 이외의 야간 시간 등은 상기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worker passes through the access gate 70 and is located within the work site, holidays or night time other than work may be configured to be excluded from the times when the information can be viewed.

따라서,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과하여 작업 현장 외부에 있는 시간 동안에는,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을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while passing through the access gate 70 and being outside the work site,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cannot be viewed.

예를 들어, 공지사항항목(120) 또는 안전교육항목(130) 중 보안 유지의 필요가 있는 항목의 보안 등급을 A, B, C 로 지정하고, 근로자는 C 등급의 보안등급 항목에 대해서만 작업 현장 내부에서 열람이 가능한 경우, 상기 근로자가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는, 상기 A, B 보안등급 항목을 포함한 상기 C 등급 항목도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among the notice items (120) or safety training items (130), the security levels of items that require security maintenance are designated as A, B, and C, and workers only use the security level items of level C at the work site. When viewing is possible from the inside, when the worker goes outside through the entrance gate 70, the level C items, including the A and B security level items, cannot be accessed.

그리고, 관리자가 B, C 등급의 보안등급 항목에 대해서만 작업 현장 내부에서 열람이 가능한 경우, 상기 관리자가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는 상기 A 보안등급 항목을 포함한 B, C 등급 항목도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r can view only the B and C security level items inside the work site, when the manager goes outside through the access gate 70, the B and C security level items including the A security level items are available. Items are also configured so that they cannot be viewed.

따라서, 근로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부터 벗어난 외부에서, 본인의 스마트폰(10, 15)을 이용하여 보안등급 항목으로 지정된 사항들을 열람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s or managers from view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designated as security level items using their smartphones 10 and 15 outside the work site.

또한, 보안업무의 정도가 취약한 업무 시간 외의 공휴일 또는 야간의 시간에, 본인의 스마트폰(10, 15)을 이용하여 보안등급 항목으로 지정된 사항들을 열람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iew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designated as security level items using one's smartphone (10, 15) on public holidays or at night outside of business hours when the level of security work is weak.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0, 15)이 위치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의 열람이 금지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of information is prohibited for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the smartphones 10 and 15.

예를 들어,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작업 현장은 섹터 A 인데, 이를 벗어난 위치에서 본인의 보안등급에 대응되는 항목을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ker or manager's work site is sector A, and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items corresponding to the worker's security level cannot be viewed from locations outside this area.

그리하여, 근로자 또는 관리자가 본인의 작업 현장으로부터 벗어난 은밀한 공간에서, 보안등급 항목으로 지정된 사항들을 열람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s or managers from view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designated as security level items in a secret space away from their work site.

그리고, 근로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출입게이트(70)를 통해 외부로 나간 상태에서, 보안등급 항목으로 지정된 사항들을 열람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s or managers from view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designated as security level items when they go outside through the access gate 70.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지정된 정보열람등급의 근로자와 관리자에 대해 상기 채팅항목(170)을 통해서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among the above items,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may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only through the chat item 170 to workers and managers of a designated information viewing level.

즉, 보안등급의 항목으로 지정된 내용에 대해서는 일반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채팅 앱이 아닌,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채팅항목(170)을 통해서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content designated as a security level item can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only through the chat item 170 included i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through a general email, text message, or chat app.

그리하여, 보안등급 항목을 일반 채팅 앱,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prevent security level items from being transmitted externally through general chatting apps, emails, or text messages.

그리고, 이때 상기 채팅항목(170)을 통해 전달하는 대상 역시 당해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지정된 정보열람등급의 근로자와 관리자에 대해서만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d, at this time, the object of transmission through the chat item 170 is also configured to allow transmission only to workers and managers of a designated information viewing level so that items of the corresponding security level can be viewed.

또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스마트폰(10, 15)의 화면 캡쳐가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above items, screen capture of the smartphones 10 and 15 may be prevented for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한 화면 캡쳐가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대상은 예를 들어, A, B, C 보안등급이 있을 경우 전체 보안등급에 대해 지정되거나, 일부 보안 등급에 대해 지정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configured to prevent screen capture through a smartphone may be designated for all security levels, for example, if there are A, B, and C security levels, or may be designated for some security levels.

그리고, 상기 항목들(110 내지 180)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mong the items 110 to 180,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may be configured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if the smartphone is not acces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은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 이뤄질 수 있다.Access to the smartphone can typically be achieved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그리하여, 지정된 보안등급 항목을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낸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화면에 대한 터치 등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 열람되지 않도록 한다.Thus, when a designated security level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f the screen is not touched or access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it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yed and viewed through the display unit.

이에 의해, 보안등급 항목을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낸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방치하여 타인이 이를 습득하는 경우에 타인의 열람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As a result, if the smartphone is left unattended and someone else obtains it while the security level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 is configured to prevent others from viewing it.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으로서의 상기 터치 동작에 대해, 터치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스마트폰 소지자 이외의 자가 보안등급 항목을 열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안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or the touch operation as access to the smartphone, a fingerprint recognition program that can recognize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being touched is applied to strengthen security to prevent anyone other than the smartphone holder from viewing the security level items. It may be possible.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보안등급 항목 중 보안 유지가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스마트폰(10, 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프로그램 종료 시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d, preferably, among the security level items, items for which security maintenance is very important may be configured to be deleted when the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on the smartphones 10 and 15.

상기 관리용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구동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The management program refers to a program used to drive th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관리용 프로그램 종료 시 스마트폰에서 삭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시된 내용 이외의 추가적인 보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상기 관리용 프로그램을 통한 보안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요한 보안등급 항목을 열람하고 이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be deleted from the smartphone when the management program is terminated, so that in a state where security is not maintained through the management program, which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an additional security program other than tha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mportant Viewing and using security level items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5 와 6 에서와 같이,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에 대한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하는 마일리지부여항목(14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leage grant item 148 for entering the evaluation score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for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there is.

도 4 에 도시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을 작성 제출하는 경우,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화면에는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성 제출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의 상세 내용이 표시된다.When completing and submitting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shown in FIG. 4, the details of the completed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as shown in FIG. 5. .

그리고, 이때 상기 상세 내용 속에는, 제출된 자율안전신고항목(140)에 대한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일리지 부여항목(148)이 표시된다.And, at this time, in the above detailed information, a mileage grant item 148 is displayed in which the evaluation score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for the submitted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can be entered.

그리고,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148)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경우,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일리지 평가 점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lso, when the mileage grant item 148 is selected by touching it, a mileage evaluation score can be entered, as shown in FIG. 6 .

또한, 상기와 같이 입력된 마일리지 평가 점수는, 각 근로자 또는 관리자 별로 순위를 매겨, 도 7 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마일리지랭킹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ileage evaluation score input as described above can be ranked for each worker or manager and displayed as a mileage ranking item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7 .

그리하여,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하고 순위를 매겨 표시함으로써,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자율안전신고를 장려할 수 있다.Thus, by entering the evaluation scores and ranking them, voluntary safety reporting by workers or managers can be encouraged.

그리고,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을 통해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한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입력 횟수에도 순위가 매겨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횟수랭킹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inputs of workers or managers who input the evaluation score through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is also ranked, and can be displayed as an input number ranking item on the display.

그리하여, 제안된 자율안전신고 항목에 대해 타 근로자와 관리자들의 관심과 해결방안(145) 제안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terest of other workers and managers in the proposed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and suggestions for solutions (145) can be induced.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148)은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The mileage grant item 148 is configured to set the range of workers or managers who will input the evaluation score.

그리하여, 특정 공사 업무에 임하는 근로자 또는 그의 업무 상 관리자들만이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only workers engaged in specific construction work or managers of their work can be configured to input the evaluation score.

이에 의해, 실제 공사 업무 경험을 공유한 근로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마일리지 평가 점수가 입력되도록 하여, 평가의 현실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mileage evaluation score can be entered by workers or managers who share actual construction work experience, thereby improving the rea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이를 위한 한 예로써,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가 상기 스마트폰이 배치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is, the range of workers who will input the evaluation scor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where the smartphone is placed.

그리하여, 특정 위치에서 긴급하게 발생된 사항에 대한 자율안전신고 항목에 대해 상기 특정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근로자 또는 관리자들에 의해 평가 점수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직접 현실로 경험한 사람들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by allowing workers or managers with smartphones located around the specific location to enter evaluation scores for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for urgent matters at a specific location, people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it in reality It can be structured so that evaluation is carried out.

또는, 공사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근로자 또는 그의 관리자의 상급 조직 또는 기업에서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put the evaluation score from a superior organization or company of the worker directly performing construction work or his/her manager.

즉,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범위는, 상기 근로자 또는 관리자가 속한 기업 조직의 근로자 또는 관리자 및 상기 기업 조직 외의 상급 기업조직의 근로자 또는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cope of workers or managers for whom the evaluation score is to be input may include workers or managers of the corporate organization to which the worker or manager belongs and workers or managers of higher-level corporate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corporate organization.

그리하여, 공사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회사의 상급 조직 또는 기업의 업무 경험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근로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제안되는 자율안전신고 항목들을 상기 상급 조직 또는 기업과 공유할 수 있다.Thus, while allowing evaluation based on the work experience of the superior organization or company directly performing construction work,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suggested by workers or managers can be shared with the superior organization or company.

한편,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은 신고사항의 사진과 함께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along with a photo of the report.

스마트폰의 경우 사진 촬영 시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데이터가 함께 생성된다.In the case of smartphones, when a photo is taken,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smartphone is located is also genera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에 포함되는 사진촬영버튼(147)을 눌러 사진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스마트폰의 위치데이터가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의 내용으로 포함되어 전송되도록 구성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photo is taken by pressing the photo taking button 147 included i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the location data of the smartphone is automatically included as the contents of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140.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0)는 상기 위치데이터에 대응되는 공사 현장의 현실적 이미지 또는 구역 명칭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display a realistic image or zone name of the construction sit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data to the smartphone.

그리하여, 신고 대상의 위치를 별도 문자로 입력할 필요 없이, 촬영된 사진 이미지와 상기 위치데이터에 대응되는 현실적 이미지 또는 구역 명칭을 도 5 에 도시되는 상세 내용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신고 근로자는 신고 대상의 위치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고, 타 근로자는 신고 대상의 위치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without the need to enter the location of the subject of reporting in separate text, the reporting worker can identify the subject of reporting by displaying the captured photographic image and the realistic image or area nam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data on the details screen shown in Figure 5. There is no need to enter the location separately, and other workers can quickly and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ubject of the report.

또한, 상기 사진촬영버튼(147)을 선택하여 촬영된 사진은 스마트폰의 문자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채팅항목(170)을 통해서만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 taken by selecting the photo capture button 147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it from being transmitted externally through a text message or email on a smartphone, and can be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chat item 170.

그리고, 상기 채팅항목(170)에 대해서는 보안성을 강화한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작업 관계자들에게만 공사 현장 사진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program with enhanced security to the chat item 170,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construction site photos to be transmitted only to those involved in the work.

그리하여, 실제 공사 현장에서 촬영된 자율안전신고 대상의 사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제 각 시공 상황에서의 상태들이 사진으로 촬영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by preventing photos of subjects of voluntary safety reporting taken at actual construction sites from being leak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itions in each actual construction situation from being taken as photos and being leak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여 미리 지정된 소정의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으로만 상기 신고사항(140)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ort 140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only to worker smartphone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그리하여, 실제 공사 현장과 관련된 근로자 또는 관리자에게만 신고사항(140)이 전송되도록 하여, 무분별한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Thus, security can be strengthened by preventing indiscriminate transmission by ensuring that the report 140 is transmitted only to workers or managers related to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또한, 실제 공사 현장의 상황을 직접 목격한 근로자 또는 관리자들이 상기 신고사항(140)에 대처하는 내용을 데이터로써 축적하여 상급 단계의 관리자들이 지침 수립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orkers or managers who directly witnessed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situation can accumulate data on how they responded to the above-mentioned reports (140) and use it for higher-level managers to establish guidelines.

그리고,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10)으로 상기 신고사항(140)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근로자는 본인의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관리자 스마트폰(15)으로 상기 신고사항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when the report (140) is transmitted to the worker's smartphone (10) within the pre-designated radius, the worker confirms the report with the manager's smartphone (15) using his/her smartphone (10).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상기 관리자는 상기 근로자에 대한 업무 상 관리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서, 상기 근로자 스마트폰(10)을 통해 상기 자율안전신고사항(140)을 확인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확인 사실을 상기 관리자 스마트폰(15)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manager is a person who has business management authority for the worker, and when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140) is confirmed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10), the confirmation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manager's smartphone (15).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신고사항(140) 확인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신고사항 확인 정도와 미확인 시 그 원인 파악 등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Therefore, by checking whether the reported information (140) i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used as data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workers' reported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the cause in case of non-confi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자 스마트폰(15)을 통해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외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자 스마트으로 상기 신고사항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or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port to another manager smart located outside the pre-designated radius through the manager smart phone 15.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외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자는 예를 들어, 공사 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상급 기관 또는 상급 발주처에 속한 관리자일 수 있다.Other managers located outside the pre-designated radius may be, for example, managers belonging to a higher organization or higher ordering organization that manages and supervises the construction site.

이에 의해, 상급 기관과 발주처 관리자들이 실제 공사 현장의 자율안전신고사항(140)을 확인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대한 밀착 파악 및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방안 마련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higher-level organizations and ordering company managers can check autonomous safety reports (140) at actual construction sites, making it possible to closely understand the site situation and prepare prompt response measures.

또한, 위험사례 제안사항항목(146)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도 5 에 도시된 해결방안항목(145)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a solution to the risk case suggestion item 146 can be entered by selecting the solution item 145 shown in FIG. 5 .

그리하여, 근로자는 본인의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안사항항목(146)을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해결방안항목(145)을 통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the worker can be configured to check the suggestion item 146 through his or her smartphone and transmit a solution to it through the solution item 145.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 과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상황항목(10)이 근로자의 스마트폰 첫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afety situation item 10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worker's smartphone.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용 시스템 구동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이 온(On)되는 경우, 근로자의 작업 환경에서 중요하고도 가장 빈번한 확인이 요구되는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이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표시된다. That is, when the program used to drive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which is important and requires confirmation most frequently in the worker's work environment, appears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displayed.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은 작업 당일의 날씨를 포함한 기상 조건,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140)으로 신고된 항목 중 근로자가 숙지해야할 사항의 요약내용, 상기 안전교육항목(130)에서 빈번히 지켜지지 않는 사항의 요약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is a summary of the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the weather on the day of work, the items that workers should be aware of among the items reported in the voluntary safety report item (140), and the safety training item (130) that is not frequently followed. A summary of matters not covered may be included.

상기 날씨를 포함한 기상 조건으로서는, 작업일의 강우량과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Weather conditions including the weather may include rainfall, fine dust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etc. on a working day.

특히, 상기 날씨를 포함한 기상 조건은 기상청과 같은 외부 기관 서버와 연동되어, 당해 작업 현장의 기상 조건을 실시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hat the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the weather, be linked to a server of an external organization such a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reflect the weather conditions of the relevant work site in real time.

여기서,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은 근로자의 현실적 위치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 선택적으로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can be selectively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the worker.

예를 들어, 풍속과 속도가 작업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 조건일 경우, 이들이 추출되어 표시되며, 미세먼지 농도 또는 강우량이 중요할 경우, 이들이 추출되어 상기 첫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wind speed and speed are very important work conditions at a work site, they can be extracted and displayed, and if fine dust concentration or rainfall is important, they can be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또한, 상기 근로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출된 상기 안전상황항목은, 근로자의 지정된 업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서 다른 위치에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fety situation items selectively extracted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in different positions on the home screen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worker's designated task.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중요한 조건일 경우, 상기 첫 화면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상부의 위치에서 가장 크게 표시되고, 풍속이 가장 중요한 조건일 경우 상기 풍속이 가장 상부의 위치에서 가장 크게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fine dust concentration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displayed largest at the top position on the first screen, and if wind speed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he wind speed is displayed largest at the top position. It can be.

또는, 도 11 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크레인의 형상 옆에 상하로 구분하여 풍속(118-1, 118-2)을 표시함으로써, 지상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른 풍속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ure 11,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wind speed according to the height from the ground by displaying the wind speed (118-1, 118-2) separately up and down next to the shape of the crane. there is.

상기와 같이, 근로자의 위치와 업무에 따라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서 위치와 크기를 달리하여 가장 중요한 안전상황항목이 가장 부각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업무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안전상황항목을 직관적이고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martphone's first screen are varied depending on the worker's location and work, so that the most important safety situation items are displayed so that they stand out the most, making it possible to intuitively and quickly identify the safety situation items that have the most important impact on work. You can.

또한, 기후에 매우 민감한 설비의 공사 현장에서, 수시로 스마트폰을 터치하여 온도와 미세먼지 및 습도 등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t construction sites with facilities that are very sensitive to clim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frequently touch the smartphone to check temperature, fine dust, and humidity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상황항목(110)에서 근로자의 업무와 연관된 항목의 위험 정도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of the home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sk of the items related to the worker's work in the safety situation item 110.

예를 들어, 작업일의 풍속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 색깔을 빨강으로 하고, 다소 높을 경우 주황, 안전할 경우 초록 등의 색깔로써, 작업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의 위험 정도에 따라 상기 첫 화면의 색깔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wind speed on a working day is very likely to cause danger, the smartphone's first screen color is set to red, if it is somewhat high, it is orange, and if it is safe, the color is green, etc.,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work. The first screen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level of risk of the element affecting it.

그리하여, 작업 중 스마트폰의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나 집중하여 안전상황항목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업무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안전상황항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us, even if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 smartphone during work or if you cannot concentrate to identify the safety situation items, you can intuitively identify the safety situation items that have the most important impact on your work.

또한,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는 상기 위험 정도에 따른 작업중지 시간(119)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work stoppage time 119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상기 작업중지 시간(119)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 색깔과는 다른 색깔로써 명확히 구분되어 표시되며, 또는 깜빡이면서 점멸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The work stoppage time 119 may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or may be displayed in a blinking mann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근로자들의 스마트폰들(10-1, 10-2) 중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들은 서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signated smartphones among the workers' smartphones 10-1 and 10-2 may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예를 들어, 동일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또는 동일 설비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스마트폰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martphones of workers working at the same construction site or in the same facility can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etc. may be used a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연동된 스마트폰들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의 움직임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험신호의 형태로 타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된다.In this state, if the movement of one of the smartphones linked to each other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notify the other smartphone in the form of a danger signal.

그리하여, 예를 들어 업무 시간 중 어느 근로자의 스마트폰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30초 내지 1분과 같이 소정의 시간 경과되는 경우, 상기 근로자에게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연동된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된다.Thus, for example, if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uch as 30 seconds to 1 minute, elapses without a worker's smartphone moving at all during work hours,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o the worker and the notification is sent to the linked smartphone. It is composed of:

그리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근로자에 대한 초동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us, initial emergency measures can be provided to workers who are judged to have had an accident.

또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10-1, 10-2)이 상기 근로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소정의 지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이를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ile the smartphone (10-1, 10-2) owned by the worker is separated from the work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is can be notified to the smartphone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It can be configured.

스마트폰 내에는 사용자 신체와 스마트폰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근로자의 신체로부터 스마트폰이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로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roxim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smartphone, and when a specified time elapses while the smartphone is separated from the worker's body a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by a certain distance, it is detected. It can be configured to notify workers or managers on their smartphones.

그리하여, 공사 현장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분실되거나 방치된 상태에서 타인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artphone from being lost or left unattended at a construction site and being passed on to others.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0-1, 10-2)을 통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ise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10-1, 10-2), it can be configured to notify the smartphone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그리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통해 매우 큰 소음이 감지되는 경우, 자재의 낙하 또는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very loud noise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ccident, such as a falling material or collision, has occurred.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소음의 크기를 감지하여 타 스마트폰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줄이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being configured to detect the level of noise through a smartphone and transmit it to other smartphones, it can be used as data to measure and reduce the level of noise generated at work sites.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0-1, 10-2)을 통해 감지되는 지자기력이 미리 지정된 범위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된다.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eomagnetic force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10-1, 10-2) changes rapidly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this is notified to the smartphone of another worker or manager. It is composed of: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지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지자기력은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변화되는데, 1초 내지 5 초와 같이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지자기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에는, 추락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타 근로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된다.The geo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geomagnetic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phone changes depending on the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If the geomagnetic force changes rapid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1 to 5 seconds,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It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or managers on their smartphone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지사항항목(120) 중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124)이 상기 스마트폰(10)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근로자에 의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지정된 속도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scrolls the screen while a pre-designated notice item 124 among the notice items 1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to scroll at a specified speed.

예를 들어, 도 8(a) 에서와 같이, 스마트폰 화면에 공지사항항목(1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 8(b)와 같이 세부 항목(122)들이 표시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when the notice item 120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the user selects it, detailed items 122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8(b).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세부 항목(122)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8(c)와 같이 구체적인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a specific item among the detailed items 122 is selected, specific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s shown in FIG. 8(c).

상기 구체적인 내용 중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124) 부분은,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2페이지 이상에 걸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mong the specific contents,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124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ver two or more pages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즉,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해서는 반드시 화면을 한페이지 이상 스크롤 이동해야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12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creen must be scrolled by at least one page to be read.

상기와 같이 2페이지 이상에 걸쳐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자의 줄 간격을 늘이거나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As a specific method of displaying over two or more page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methods such as increasing the line spacing of letters or adjusting the letter size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2페이지 이상에 걸쳐 표시된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해서는 끝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에 공지사항항목 확인버튼(126)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for the notice items 124 displayed over two or more pages, the notice item confirmation button 126 may be placed at the last part of the last pag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124)이 표시된 화면에 근로자에 의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마트폰 고유의 화면 스크롤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상기 화면에 대한 스크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worker scrolls the screen on which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124 is displayed,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to scroll at a speed different from the smartphone's inherent screen scroll speed. .

그리하여, 매우 중요한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해서는 화면의 스크롤 속도를 스마트폰 고유의 화면 스크롤 속도보다 낮춤으로써, 상기 공지사항항목(124)을 읽지 않은채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상기 확인버튼(126)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for very important notice items 124, the screen scrolling speed is lowered than the smartphone's inherent screen scrolling speed, so that the screen is scrolled or the confirmation button 126 is pressed without reading the notice item 124. It is configured to prevent pressing.

그리고, 만약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한 확인버튼(126)이 근로자의 스마트폰(10-1, 10-2)을 통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근로자의 스마트폰(10-1, 10-2)과 미리 지정된 관리자의 스마트폰(15)으로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if the confirmation button 126 for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124 is not entered for a pre-specified time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10-1, 10-2), the worker's smartphone (10-1, 10-2) 10-1, 10-2) and the smartphone 15 of a pre-designated manager.

그리하여, 근로자가 반드시 숙지해야할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해서는, 상기 확인버튼(126)이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이를 상기 근로자에게 알림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간과를 방지하고 확인을 촉구할 수 있다.Therefore, for notice items 124 that workers must be aware of, if the confirmation button 126 is not ente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can be notified to the worker to prevent inadvertent overlook and urge confirmation. there is.

또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알림으로써, 중요한 공지사항항목(124)에 대한 근로자들의 공유 인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by notifying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on the manager's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us of workers' shared awareness of important notice items (124).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Above,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but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claims below.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mentioned terms “included” or “consisted of”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an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10: 스마트폰
20: 중앙제어부
30: 관리자단말장치
50: 출입정보서버
60: 외부시스템연계서버(60
70: 출입게이트
80: 방화벽
110: 안전상황항목
120: 공지사항항목
130: 안전교육항목
140: 자율안전신고항목
150: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
160: 작업중지사항항목
170: 채팅항목
180: 건의사항항목
10: Smartphone
20: Central control unit
30: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50: Access information server
60: External system connection server (60
70: Entrance gate
80: firewall
110: Safety situation items
120: Notice item
130: Safety training items
140: Voluntary safety report items
150: Daily work status report items
160: Work suspension items
170: Chat item
180: Suggestions item

Claims (30)

공사 현장 근로자가 휴대하며 터치스크린부와 각종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관리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자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관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작업일의 온도와 습도와 강수량과 미세먼지 농도와 풍속 및 작업중단 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항목과;
작업장에 위치하는 근로자들이 알아야할 내용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공지사항항목과;
근로자가 이수해야할 교육과정과 안전교육계획과 상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자료를 포함하는 안전교육항목과;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근로자들이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율안전신고항목과;
당일 시공작업 내용을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당일작업상황보고항목과;
작업을 중지해야할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중지사항항목과;
공사 관련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채팅항목과;
공사 관련 작업자들의 건의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의사항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항목들에는 보안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근로자에 대해서는 보안등급이 부여된 항목에 접근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열람등급이 부여되며,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 smartphone carried by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mprised of a touch screen unit and various sensor members;
a central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ncludes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data for managing the smart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app in which a management program is stor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Safety situation item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work stoppage time of the working day;
Announcement items containing information that workers in the workplace need to know;
Safety training items including the training course and safety training plan that workers must complete and train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training course;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provided so that workers can report safety-related matters;
A daily work status report item provided to report the details of the day's construction work to the manager;
A work stoppage item containing information on matters to stop work;
A chat item for chatting between construction-related personnel;
Send suggestion items provided so that suggestions from construction-related workers can be transmitted,
A security level is assigned to items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to the smartphone,
The above workers are given an information access level that allows them to access and view information on items with a security level.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a time for viewing information is set for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정보의 열람이 금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of information is prohibited for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the smartph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지정된 정보열람등급의 근로자와 관리자에 대해 상기 채팅항목을 통해서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ems of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can be delivered only through the chat item to workers and managers of a designated information viewing level.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의 화면 캡쳐가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screen capture of a smartphone for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보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not view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above items through the smartphone if access is not made for a pre-specified ti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관리용 프로그램 종료 시 상기 항목들 중 지정된 보안등급의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삭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nagement program is terminated on the smartphone, items with a designated security level among the items are deleted from the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우수사례항목과 위험사례항목 및 제안사항항목을 근로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에 대한 타 근로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하는 마일리지부여항목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nomous safety reporting items are configured so that workers can enter good practice items, risk case items, and suggestion items, and include a mileage grant item that inputs other workers' evaluation scores for the voluntary safety reporting items.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b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한 근로자의 입력 횟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number of inputs by the worker who entered the evaluation sco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은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erein the mileage grant item is configured to set the range of workers to input the evaluation sco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는 상기 근로자가 속한 기업 조직의 근로자와 상기 기업 조직 외의 상급 기업조직의 근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scope of workers for entering the evaluation score includes workers in the corporate organization to which the worker belongs and workers in higher-level corporate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corporate organization.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app.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점수를 입력할 근로자의 범위는 상기 스마트폰이 배치되는 현실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erein the range of workers to input the evaluation score is set according to the actual location where the smartphone is plac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상기 마일리지부여항목을 통해 입력된 근로자 별 마일리지의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마일리지랭킹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is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ileage ranking item for displaying the ranking of mileage for each worker entered through the mileage grant item.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안전신고항목은 신고사항의 사진과 함께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nomous safety report item is configured to transmit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along with a photo of the repor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이 찍힌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지정된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of worker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take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내의 근로자 스마트폰을 통해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onfirmation signal of the repor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s smartphone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미리 지정된 반경 이외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신고사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5,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port to another manager's smartphone located outside the pre-designated radius through the manager's smartphon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사항항목에 대한 해결방안을 근로자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solutions to the above suggestion items through workers' smartpho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상황항목은 근로자의 스마트폰 첫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erein the safety situation items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worker's smartphon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상황항목은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서 근로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출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8,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erein the safety situation items are selectively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출된 안전상황항목은 미리 지정된 근로자의 업무에 따라 다르게 배열되어 상기 첫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9,
Safety situation items selectively extrac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er ar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ork of the pre-designated worker and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the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system.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상황항목에서 근로자의 업무와 연관된 항목의 위험 정도에 따라 상기 첫 화면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0,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of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sk of the items related to the worker's work in the safety situation item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첫 화면에는 상기 위험 정도에 따른 작업중지 시간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1,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creen of the smartphone is configured to display work stoppage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들의 스마트폰들 중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들은 서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erein pre-designated smartphones among the workers' smartphones ar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제 23 항에 있어서,
서로 연동된 스마트폰들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의 움직임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타 스마트폰으로 이를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3,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using a mobile app, which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smartphones when the movement of any one of the smartphones linked to each other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ystem.
제 23 항에 있어서,
근로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 상기 근로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3,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security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smartphones when the smartphone held by the worker is separated from the worker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ystem for security management.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5,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which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smartphones when noise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감지되는 지자기력이 미리 지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 이를 타 근로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6,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notify other workers' smartphones when the geomagnetic force detected through the smartphone changes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사항항목 중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근로자에 의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지정된 속도로 화면 스크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 mobile app, wherein when a worker scrolls the screen while a pre-designated notice item among the notice item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screen scrolls at a pre-determined speed.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은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2페이지 이상으로 표시되도록 조절되며, 상기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에 공지사항항목 확인버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8,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using a mobil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s are adjusted to be displayed on two or more pages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a notice item confirmation button is placed at the last part of the page. Systems for site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공지사항항목에 대한 확인버튼이 근로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근로자의 스마트폰과 미리 지정된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9,
A mobile app that is configured to notify the worker's smartphone and the pre-designated manager's smartphone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for the pre-designated notice item is not entered for a pre-designated time through the worker's smartphone. A system for safety and security management at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s.
KR1020220098603A 2022-08-08 2022-08-08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KR202400204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03A KR20240020496A (en) 2022-08-08 2022-08-08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03A KR20240020496A (en) 2022-08-08 2022-08-08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496A true KR20240020496A (en) 2024-02-15

Family

ID=8989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603A KR20240020496A (en) 2022-08-08 2022-08-08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4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g et al. A cognitive model of construction workers’ unsafe behaviors
US20200202472A1 (en) Adapting workers safety procedures based on inputs from an automated debriefing system
KR102005188B1 (en)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real-time location track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72325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field risk management
Xu et al. Collaborative information integration for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JP6937113B2 (en) Worksite management system
KR101409964B1 (en)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 equipment inspection
KR101745670B1 (en) System for managing worker using position information
US10365260B2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WO2021044320A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y management
US20180357583A1 (en) Operational monitoring system
AU2013101777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place safety event reporting
US200802219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training, simulation, and response
US20150050950A1 (en) Checkpoint system and process
BR112019009647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field risk management information
KR20120140350A (en) Chil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R102557127B1 (en)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with improved security function
KR20240020496A (en) Control system using mobile app for safety and security in construction field of nuclear power plant
KR20130088341A (en) Safety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CN111264056A (en) Vision system for laboratory workflow
Courtway Wearables,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tegrated project deliver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ulver The Status of Construction Jobsite Emergency Alert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da et al. Safety, health and wellbeing of construction workers in Nigeria–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COVID-19 pandemic
KR102280125B1 (en) Nursery Facility And Kindergarten Document Automatic Operation Management System
WO2024047826A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