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334A -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 Google Patents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334A
KR20240020334A KR1020220097546A KR20220097546A KR20240020334A KR 20240020334 A KR20240020334 A KR 20240020334A KR 1020220097546 A KR1020220097546 A KR 1020220097546A KR 20220097546 A KR20220097546 A KR 20220097546A KR 20240020334 A KR20240020334 A KR 2024002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formation
data
control unit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6578B1 (en
Inventor
박태식
최정화
한영미
윤지숙
이윤이
최효진
길근석
전찬종
황선영
Original Assignee
경기도 부천시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부천시, 네이버시스템(주) filed Critical 경기도 부천시
Priority to KR102022009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578B1/en
Publication of KR2024002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1 단말과 관리자의 제2 단말을 원격 연결하여 지역별 미세먼지에 실시간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 내 미리 설정된 측정소별로 설치되어 해당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센싱유닛; 상기 측정소에 대응 또는 일부 설치되면서 근접한 일정범위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통계 분석하여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자의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1,2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장소별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지능형 관리와 용이한 접근성의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실시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real-time response to fine dust in each region by remotely connecting the user's first terminal and the manager's second terminal, and is installed at each preset measuring station in the region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corresponding measuring station. A sensing unit that detects first event information in real time;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that corresponds to or is partially installed at the measuring station and reduc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a certain range of space adjacent to the measuring station; By establish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web and external servers, second even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acquired, and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andom integrated data is extracted, and when the user's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first notific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Outputs a signal, and when the manager's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manag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a control unit that does; 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visually display on an arbitrar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efficient operation and intelligent management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for each location. Real-time fine dust monitoring with easy accessibility can be achieved.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지역별로 설치된 미세먼지 대응용 특화단지 시설물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내외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장소별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지능형 관리를 실시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용이한 접근성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big data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specialized fine dust response complex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region and domestic and foreign fine dust-related data, and can achieve efficient operation and intelligent management of fine dust reduction devices in each location in real time. At the same time, it is about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can support fine dust monitoring services with easier accessibility.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차량 등의 이동수단 수 증가, 잦은 인구 이동 등의 원인에 의해 오염물질(또는 유해물질)의 농도가 점차 높아져 공기질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ccur,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or harmful substance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nsportation methods such as vehicles and frequent population movement, and air quality is worsening.

이러한 공기의 오염물질에는 미세먼지, 라돈(radon), 석면, 오존(O3),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이 있다.These air pollutants include fine dust, radon, asbestos, ozone (O3), carbon monoxide (CO), and carbon dioxide (CO2).

이 중 미세먼지는 대기중 떠다니는 입자로서 입자의 지름이 10 μm 이하인 미세먼지(PM 10)와 2.5 μm 이하인 미세먼지(PM 2.5)로 구분되며, 이러한 미세먼지는 호흡기에 침투하여 호흡기에 악영향을 끼치면서 조기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Among these, fine dust is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and is divided into fine dust with a particle diameter of 10 μm or less (PM 10) and fine dust with a particle diameter of 2.5 μm or less (PM 2.5). This fine dust penetrates the respiratory tract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spiratory system. It has been shown to increase premature mortality.

또한, 미세먼지는 2013년 국제암연구기관(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1급 발암물질로 규정되었으며, PM 2.5의 초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 뿐만 아니라, 후각 세포를 통해 뇌로 직접 들어가 치매를 일으키기도 해서,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In addition, fine dust was designated as a class 1 carcinogen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in 2013, and PM 2.5 ultrafine dust not only causes respiratory diseases, but also enters the brain directly through olfactory cells, causing dementia. It has been designated as a class 1 carcinogen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이에 따라,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질을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기질의 관리 방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0489호(이하 '선행기술 1')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2625호(이하 '선행기술 2')가 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a method for managing air quality is required to improve air quality, and prior art related to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048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register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126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has been disclosed.

선행기술 1은 도시철도 객차 또는 도시철도 역사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무선센서노드를 통해 실내의 공기질에 대한 센싱정보를 수집하며, 센싱정보를 변환 및 복원한 후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도시철도 객차 내부 또는 도시철도 역사 내부의 공기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공조장치를 제어하여 도시철도 객차 또는 도시철도 역사의 공기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및 공기질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Prior art 1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about indoor air quality through a wireless sensor node attached to an urban railroad carriage or a structure in an urban railroad station, converts and restores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sensor information to the interior or exterior of the urban railroad ca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is relates to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monitors the air quality inside an urban railway station and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to efficiently manage the air quality in urban railway carriages or urban railway stations.

선행기술 2는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로 공기질을 측정하며,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각각 해당 지점의 공기질 측정값을 전송받는 관리 서버가 제1 모드에서 다지점별 공기질 측정값을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통합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Prior art 2 measures air quality with multipl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s, connects multipl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s and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air quality measurements at each point from multipl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s. This relates to a multi-point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air quality information including air quality measurements for each multi-point in mode 1 to a user terminal.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지역별로 설치되어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하는 점 조직 형태의 특화단지 시설물에 대한 구성이 없으므로, 맞춤형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하기 곤란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특화단지 시설물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내외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technologies do not have a structure for specialized complex facilities in the form of point organizations that are installed in each region to collect fine dust information in order to respond to fine dus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 it is difficult to collect customized fine dust information,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derive results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se specialized complex facilities and domestic and foreign fine dust-related data.

따라서, 지역 특성에 대한 특화단지 시설물의 적응적인 구축을 통해 보다 세밀한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광범위하게 통합 및 분석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결과물을 바탕으로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보다 우수한 접근성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서비스 기술의 구현이 시급하다.Therefore, more detailed fine dust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adaptive construction of specialized complex facilities to local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big data analysis-based results that broadly integrate and analyze this, better accessibility that citizens can directly experience is possible. Implementation of fine dust monitoring service technology is urg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0489호(2010. 08. 16.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0489 (published on August 16,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2625호(2018. 10. 23.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12625 (registered on October 23, 20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역별로 설치된 미세먼지 대응용 특화단지 시설물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내외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장소별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지능형 관리를 실시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용이한 접근성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based on big data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specialized fine dust response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region and domestic and foreign fine dust-related data.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can achieve efficient operation and intelligent management of reduction devices in real time, while also supporting fine dust monitoring services with easier accessibility.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단말과 관리자의 제2 단말을 원격 연결하여 지역별 미세먼지에 실시간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 내 미리 설정된 측정소별로 설치되어 해당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센싱유닛; 상기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한 살수기기, 팬 및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소에 대응 또는 일부 설치되면서 근접한 일정범위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통계 분석하여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자의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1,2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ive, remotely connects the user's first terminal and the manager's second terminal to respond to fine dust in each region. A system providing a service for real-time response, comprising: a sensing unit installed at each preset measurement station in the area to detect first event information abo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measurement station in real time;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that corresponds to or is partially installed at the measuring st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rinkler device, a fan, and an air purifier for responding to the fine dust, and reduc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a certain range of space adjacent to the measuring station; By establish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web and external servers, second even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acquired, and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andom integrated data is extracted, and when the user's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first notific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Outputs a signal, and when the manager's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manag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a control unit that does; 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visually display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on an arbitrary screen.

또한, 상기 지역은, 자치구, 군, 자치시, 행정구, 행정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일 수 있고, 상기 측정소는, 읍, 면, 동, 리, 통, 반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의 거주단지, 지하철 역사, 통학로, 공업단지 중 적어도 하나의 특화단지마다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may be an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an autonomous district, county, autonomous city, administrative district, or administrative city, and the measurement station is a residential complex in an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an eup, myeon, dong, ri, tong, or ban, It can be set for at least one specialized complex among subway stations, school roads, and industrial complex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의 수집 및 통계 분석에 관한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록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알고리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면서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와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2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 generation unit that collects the event information and converts it into data; a database unit that records data of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and stores and manages algorithm data related to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vent information; The data of the ev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unit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lgorithm data to extract arbitrary integrated data, and when the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Data that generates guide information for a user while matching the integrated data, and generates guide information for an administrator while matching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when the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analysis department; And it may include a notification signal output unit that controls to output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guide information and the manage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output an automatic control signal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preset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미리 저장된 경고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불량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의 보수 및 조치를 위한 경고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3 알림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3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malfunction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with pre-stored warning reference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malfunction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arning information for maintenance and action by the administrator can be generated and a corresponding third notification signal can be further output, and the notification unit visually displays on an arbitrary screen according to the third notif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can do.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일정한 주기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의 데이터로 전달받아 수집하고, 상기 수집을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d collects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as data in the form of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interface, and loads it into the big data platform through the collection. This allows you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대기오염 통계정보 및 일출/일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이벤트 정보를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이벤트 정보 중 상기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및 대기오염 통계정보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페이스 방식의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ird event information including national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nd sunrise/sunset tim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the country among the third event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n API using the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interface and loaded into the big data platform along with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도로청소차량 정보 및 그 운행정보에 대한 제4 이벤트 정보를 더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이벤트 정보를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3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further receive fourth event information about road cleaning vehicle information and it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receives the fourth event information through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Statistic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loading 1, 2, 3 event information into the big data platform.

또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농도 지도정보, 측정소 상태정보, 실외/실내 대기상태정보, 저감장치 운영상태정보, 측정소 비교정보, 국가 측정소 대기정보, 행정구역별 대기질 정보, 행정구역별 시행사업정보 및 사용자 행동요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includes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outdoor/indoor air condition information, reduction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comparison information, national measuring station air inform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enforce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It may include business information and user behavior guid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상기 알림부의 화면 상에 복수의 색상범례를 갖는 그래프, 다이어그램, 테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가능한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first notification signal capable of displayi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graph, diagram, and table with a plurality of color legends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지도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공간 보간법 중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보간법을 활용하여, GIS 상에서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의 지도 색상이 상기 제1 이벤트 정보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수치별로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utilizes the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interpolation method among 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map color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elected by the first selection signal on the GIS. Each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에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처리, 적재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세먼지 저감활동은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그 저감 활동량이 수치화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numerically expressed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t a measurement station in a specialized complex where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clean zone reduction effect. In generating effectiveness report information, the reduction operation time and number of times per day, week, and month are calc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load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and In order to express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as a percentage by using data on the calculated reduction operation operation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can be quantifi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또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도로청소차량의 운행에 따른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운행거리 미세먼지 변화에서는 권역별로 운행되는 도로청소차량 운행과 도로청소차량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미세먼지 수치, 미세먼지 억제량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청소차량 운행 후 미세먼지 감소에 대한 계산을 통해 수치로 표현되도록 하고, 캔들스틱(Candlestick) 차트에서는 국가 측정소의 24시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에서 최소값, 최대값, 오름차순 6번째 데이터, 오름차순 18번째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expressed numerically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ad cleaning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In creating the fine dust change in driving distance, data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from road cleaning vehicles and road cleaning vehicles operated in each region are collected, and data on fine dust levels and fine dust suppression amount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oad cleaning amount. The reduction in fine dust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vehicle is calculated to be expressed in numbers, and the candlestick chart shows th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6th data in ascending order, and 18th data in ascending order from the data on 24-hour fin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national measuring station. Data can be analyzed and expressed.

또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농도 지도정보를 시간대별로 조회가능하도록 구분하여 나타낸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와 미리 정해진 국가 측정소에서 수집, 처리, 적재,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공하기 위해 상기 GIS 공간 보간법과 시계열 분석을 함께 수행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query information that divides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viewed by time zone, and the control unit may, in generating the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query information, The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and time series analysis are used to visually express and provide data on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sing data collected, processed, loaded, and analyzed at specialized complex measurement stations equipped with fine dust reduction devices and predetermined national measurement stations. It can be processed by performing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역별로 설치된 미세먼지 대응용 특화단지 시설물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내외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장소별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지능형 관리를 실시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용이한 접근성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fine dust by loca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specialized fine dust response complex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region and domestic and foreign fine dust-related data.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chieve efficient operation and intelligent management of the device in real time, while also supporting a fine dust monitoring service with easier accessibility.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에 구비된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포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의 일부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전체적으로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8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측정소 상태정보, 측정소 비교정보, 국가 측정소 대기정보, 행정구역별 대기질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각각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9 및 도 10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행정구역별 시행사업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11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사용자 행동요령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12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13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14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15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농도 지도정보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6 내지 도 21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22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경고 안내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view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data process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ig data platform architecture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ure 6 is an image illustrating the main port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 7 is an image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ion of use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ding system being displayed as a whole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8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measurement station status information, measurement station comparison information, national measuring st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and air quality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s 9 and 10 are images illustrating examples of implementation project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11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user action guide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12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13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14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inquiry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mplementation of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Figures 16 to 21 are images illustrating how guide information for managers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ure 22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warn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에 구비된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포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7은 상기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의 일부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전체적으로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측정소 상태정보, 측정소 비교정보, 국가 측정소 대기정보, 행정구역별 대기질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각각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9 및 도 10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행정구역별 시행사업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1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사용자 행동요령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2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3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4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5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농도 지도정보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6 내지 도 21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2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경고 안내정보가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data process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ig data platform architecture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Figure 6 is an image illustrating the main port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7 is an image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use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ding system displayed as a whole through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FIG. 8 is an image showi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This is an image illustrat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entral measuring station,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st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of the national measuring station, and air quality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Figures 9 and 10 are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This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implementation project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how user action guide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It is an image, and FIG. 12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FIG. 13 is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w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FIG. 14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how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inquiry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FIG. 1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mplementation of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among the user guide information, and Figures 16 to 21 exemplarily show how the administrato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This is an image, and FIG. 22 is an image illustrating how warn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지역별 미세먼지에 실시간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센싱유닛(130), 미세먼지 저감장치(140), 웹(150), 외부 서버(160), 제어부(170) 및 알림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for real-time response to regional fine dust, and the first terminal 110 ,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terminal 120, a sensing unit 130,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a web 150, an external server 160, a control unit 170, and a notification unit 180. .

상기 제1 단말(110)은 키보드, 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술될 제1 선택신호가 상기 웹(150), 외부 서버(160) 및 제어부(170)에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환경을 제공한다.The first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known input devices (not shown) such as a keyboard, pad, and mo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at the user and makes the user's first sel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 input environment is provided to allow signals to be input to the web 150, the external server 160, and the control unit 170.

상기 제2 단말(120)은 상술한 제1 단말(110)과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단말(110)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관리자의 후술될 제2 선택신호를 상기 웹(150), 외부 서버(160) 및 제어부(170)에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환경을 제공한다.The second terminal 1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remotely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terminal 110, and may have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It provides an input environment in which the manager's second selection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put to the web 150, the external server 160, and the control unit 170.

여기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태블릿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may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re preferably smartphon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PCs, tablets, etc.

이러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통상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므로, 세부 구성은 도면에 미도시 하였음은 물론,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corresponds to a typical terminal device that is generally publish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센싱유닛(130)은 상기 지역 내 미리 설정된 측정소별로 설치되어 해당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nsing unit 130 is installed at each preset measuring station in the are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cting first event information abo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corresponding measuring station in real time.

이때, 상기 지역은 자치구, 군, 자치시, 행정구, 행정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일 수 있고, 상기 측정소는 읍, 면, 동, 리, 통, 반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의 거주단지, 지하철 역사, 통학로, 공업단지 중 적어도 하나의 특화단지마다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may be an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an autonomous district, county, autonomous city, administrative district, or administrative city, and the measurement station may be a residential complex or subway station in an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an eup, myeon, dong, ri, tong, or ban. It can be set for at least one specialized complex among , school roads, and industrial complexes.

또한, 상기 센싱유닛(130)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좀 더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미세먼지 측정기, 온습도 센서, 대기압 센서 및 풍향풍속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fine dust met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nd a wind sensor to more specifical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ut is limited to this.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designs may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는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한 살수기기, 팬 및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소에 대응 또는 일부 설치되면서 근접한 일정범위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rinkler device, a fan, and an air purifier to respond to fine dust, and is configured to reduc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a certain range of space adjacent to the measuring station while being partially installed. You can.

상기 웹(150)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을 각각 이용하는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다양한 공지의 검색 및 관리용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web 150 is an Internet service configured to support various multimedia such as text, graphics, images, sounds, and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to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2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announced search and management contents to users and managers using the terminals 110 and 120, respectively.

상기 외부 서버(160)는 상술한 웹(15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 웹(150) 및 제어부(17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웹(150)과 연동하여 제어부(17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상청,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를 포함하는 공공기관 서버가 적용될 수 있다.The external server 16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web 150 to form a network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the web 150, and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web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rvicing a preset program in the control unit 170 in conjunction with (150), and more 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rs of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an be applied. there is.

상기 제어부(170)는 제1,2 단말(110, 120) 및 상기 웹(150), 외부 서버(160)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통계 분석하여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관리자의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생성부(171), 데이터 베이스부(172), 데이터 분석부(173) 및 알림신호 출력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ommunicates by establishing a network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0 and 120, the web 150, and the external server 160,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2 Obtain event information, collect and statistically analyze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extract arbitrary integrated data. When the user's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110, the first selection is made. Guide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while matching the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corresponding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When the second selection signal of the manager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120,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It is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guide information for managers while matching integrated data with each other and outputs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 data generation unit 171 and a database unit ( 172), a data analysis unit 173, and a notification signal output unit 174.

상기 데이터 생성부(171)는 상술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generator 171 performs the function of collecting the above-described event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to data.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72)는 데이터 생성부(171)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의 수집 및 통계 분석에 관한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172 may be configured to record data of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171, and to store and manage algorithm data related to the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vent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분석부(173)는 데이터 베이스부(172)에 기록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알고리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면서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analysis unit 173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vent information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unit 172 using the algorithm data, extracts arbitrary integrated data, and transmits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10. When a selection signal is input, guide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When a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120,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re generate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guide information for administrators by matching them with each other.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74)는 데이터 분석부(173)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와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2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otification signal output unit 174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guide information and the administrato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73, respectivel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어부(170)는 제2 이벤트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urther output an automatic control signal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preset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제2 이벤트 정보를 미리 저장된 경고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의 작동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의 작동불량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의 보수 및 조치를 위한 경고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3 알림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으며, 후술될 알림부(180)가 상기 출력된 제3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is malfunction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with pre-stored warning standard data,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If it is determined to be malfunction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warning information for maintenance and action by the manager and further output a corresponding third notification signal, and the notification unit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sponds to the output third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ly, it is displayed visually on an arbitrary screen.

이러한 상기 제어부(170)는 제1,2 이벤트 정보를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일정한 주기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의 데이터로 전달받아 수집하고, 상기 수집을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nd collects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as data in the form of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at regular intervals using the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interface, and loads it into the big data platform through the collection. This allows you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더불어, 상기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160)로부터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대기오염 통계정보 및 일출/일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이벤트 정보를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이벤트 정보 중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및 대기오염 통계정보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페이스 방식의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is configured to receive third event information including national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nd sunrise/sunset tim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160, and the third event Among the information, national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re provided through an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interface type API and loaded into the big data platform along with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

나아가, 상기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160)로부터 도로청소차량 정보 및 그 운행정보에 대한 제4 이벤트 정보를 더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이벤트 정보를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3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70 is configured to further receive fourth event information about road cleaning vehicle information and it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160, and converts the fourth event information into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It can be provided and loaded into the big data platform along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 information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농도 지도정보, 측정소 상태정보, 실외/실내 대기상태정보, 저감장치 운영상태정보, 측정소 비교정보, 국가 측정소 대기정보, 행정구역별 대기질 정보, 행정구역별 시행사업정보 및 사용자 행동요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includes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outdoor/indoor air condition information, reduction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comparison information, national measuring station air inform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enforce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It may include business information and user behavior guid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상기 알림부(180)의 화면 상에 복수의 색상범례를 갖는 그래프, 다이어그램, 테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가능한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outputs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display the user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graph, diagram, and table with a plurality of color legends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180. can do.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술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 중 농도 지도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 시스템) 공간 보간법 중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보간법을 활용하여, GIS 상에서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의 지도 색상이 상기 제1 이벤트 정보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수치별로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70 uses the IDW (Inverse Distance Weighted) interpolation method among 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o generate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among the above-described user guid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on the GIS. The map color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elected by the first selection signal may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미세먼지 저감장치(140)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에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의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처리, 적재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세먼지 저감활동은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그 저감 활동량이 수치화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numerically expressed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t a measurement station in a specialized complex where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is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170 may In generating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load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the reduction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ime on a daily, weekly, and monthly basis are determined. In order to calculate the number of times and express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as a percentage by using the calculated reduction operation operation time and data on the number of times, the amount of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can be quantifi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there is.

더불어,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도로청소차량의 운행에 따른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운행거리 미세먼지 변화에서는 권역별로 운행되는 도로청소차량 운행과 도로청소차량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미세먼지 수치, 미세먼지 억제량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청소차량 운행 후 미세먼지 감소에 대한 계산을 통해 수치로 표현되도록 하고, 캔들스틱(Candlestick) 차트에서는 국가 측정소의 24시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에서 최소값, 최대값, 오름차순 6번째 데이터, 오름차순 18번째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expressed numerically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ad cleaning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170 provides this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In creating the fine dust change in driving distance, data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from road cleaning vehicles and road cleaning vehicles operated in each region are collected, and data on fine dust levels and fine dust suppression amount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oad cleaning amount. The reduction in fine dust after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vehicle is calculated to be expressed in numbers, and the candlestick chart shows th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6th data in ascending order, and 18th data in ascending order from the data on 24-hour fin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national measuring station. Data can be analyzed and expressed.

나아가,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농도 지도정보를 시간대별로 조회가능하도록 구분하여 나타낸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140)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와 미리 정해진 국가 측정소에서 수집, 처리, 적재,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공하기 위해 상기 GIS 공간 보간법과 시계열 분석을 함께 수행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user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query information that divides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viewed by time zone, and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such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query information, The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is used to visually express and provide data on fine dust concentration by time period using data collected, processed, loaded, and analyzed at a specialized complex measuring station where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140 is installed and a predetermined national measuring sta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can be performed together to be processed.

상기 알림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1,2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10), 상기 관리자의 제2 단말(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80 visually displays on an arbitrar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70, preferably, the user's first terminal 110 and the manager's first terminal 110.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each second terminal 120.

이러한 상기 알림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80 may be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flexible displa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00 :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센싱유닛
140 : 미세먼지 저감장치 150 : 웹
160 : 외부 서버 170 : 제어부
171 : 데이터 생성부 172 : 데이터 베이스부
173 : 데이터 분석부 174 : 알림신호 출력부
180 : 알림부
100: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110: First terminal
120: second terminal 130: sensing unit
140: Fine dust reduction device 150: Web
160: external server 170: control unit
171: data generation unit 172: database unit
173: data analysis unit 174: notification signal output unit
180: Notification unit

Claims (14)

사용자의 제1 단말과 관리자의 제2 단말을 원격 연결하여 지역별 미세먼지에 실시간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 내 미리 설정된 측정소별로 설치되어 해당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센싱유닛;
상기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한 살수기기, 팬 및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소에 대응 또는 일부 설치되면서 근접한 일정범위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통계 분석하여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자의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1,2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for real-time response to regional fine dust by remotely connecting the user's first terminal and the manager's second terminal,
A sensing unit installed at each preset measuring station in the area to detect first event information abo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measuring station in real time;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that corresponds to or is partially installed at the measuring st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rinkler device, a fan, and an air purifier for responding to the fine dust, and reduc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a certain range of space adjacent to the measuring station;
By establish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web and external servers, second even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acquired, and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andom integrated data is extracted, and when the user's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first notific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Outputs a signal, and when the manager's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guide information for the manager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second selection signal and the integrated data,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a control unit that does;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fine dust response service based on big data,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visually displaying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on an arbitrary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자치구, 군, 자치시, 행정구, 행정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정소는,
읍, 면, 동, 리, 통, 반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의 거주단지, 지하철 역사, 통학로, 공업단지 중 적어도 하나의 특화단지마다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is
It is characterized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an autonomous district, county, autonomous city, administrative district, or administrative city,
The measuring station is,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is set for at least one specialized complex among residential complexes, subway stations, school roads, and industrial complexes in administrative districts corresponding to towns, villages, dongs, ri, tongs, and b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의 수집 및 통계 분석에 관한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록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알고리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면서 임의의 통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선택신호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와 관리자용 가이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2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data generator that collects the event information and converts it into data;
a database unit that records data of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and stores and manages algorithm data related to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vent information;
The data of the ev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unit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lgorithm data to extract arbitrary integrated data, and when the first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Data that generates guide information for a user by matching the integrated data with each other, and generates guide information for an administrator while matching the second selection signal with the integrated data when the second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analysis department; and
Providing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notification signal output unit that controls the output of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guide information and the administrator guid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data analysis unit, respectively.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신호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outputs an automatic control signal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preset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미리 저장된 경고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작동불량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의 보수 및 조치를 위한 경고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3 알림신호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3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pre-stored warning standard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malfunctioning,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malfunction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anager's maintenance and action are taken.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warning information for and further outputting a corresponding third notification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A system for providing a fine dust response service based on big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visually displays on an arbitrary screen according to the third notif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를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일정한 주기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의 데이터로 전달받아 수집하고, 상기 수집을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llected as data in the form of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at regular intervals using the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interface, and the collection is loaded into a big data platform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대기오염 통계정보 및 일출/일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이벤트 정보를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이벤트 정보 중 상기 국가 측정소 정보, 대기오염 정보 및 대기오염 통계정보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페이스 방식의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receive third event information including national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nd sunrise/sunset tim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Among the third event information, the national measuring station informa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re provided through an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interface type API and loaded into a big data platform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vent informa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도로청소차량 정보 및 그 운행정보에 대한 제4 이벤트 정보를 더 수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이벤트 정보를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로 제공받아 상기 제1,2,3 이벤트 정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적재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Configured to further receive fourth event information about road cleaning vehicle information and it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characterized by receiving the fourth event information through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and loading it into a big data platform along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 information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Delivery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농도 지도정보, 측정소 상태정보, 실외/실내 대기상태정보, 저감장치 운영상태정보, 측정소 비교정보, 국가 측정소 대기정보, 행정구역별 대기질 정보, 행정구역별 시행사업정보 및 사용자 행동요령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above user guide information is,
Contains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outdoor/indoor air condition information, reduction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measuring station comparison information, national measuring st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implementation project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user action guide information.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를 상기 알림부의 화면 상에 복수의 색상범례를 갖는 그래프, 다이어그램, 테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가능한 제1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display the user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graph, diagram, and table with a plurality of color legends on the screen of the notification unit. Service delivery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지도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공간 보간법 중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보간법을 활용하여, GIS 상에서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행정구역의 지도 색상이 상기 제1 이벤트 정보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수치별로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In generating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By using the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interpolation method among 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he map color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elected by the first selection signal on the GIS is different for each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information.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expressed in col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에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린존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처리, 적재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저감 운영 가동시간과 그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세먼지 저감활동은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그 저감 활동량이 수치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above user guid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expressed numerically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t a measurement station in a specialized complex where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In generating the clean zone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load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 the reduction operation time and frequency are calculated on a daily, weekly and monthly basis, and the calculated reduction operation opera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are calculated.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is quantifi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xpress fine dust reduction activities as a percentage using data on the number of tim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도로청소차량의 운행에 따른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낸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청소 저감효과 리포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운행거리 미세먼지 변화에서는 권역별로 운행되는 도로청소차량 운행과 도로청소차량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미세먼지 수치, 미세먼지 억제량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청소차량 운행 후 미세먼지 감소에 대한 계산을 통해 수치로 표현되도록 하고, 캔들스틱(Candlestick) 차트에서는 국가 측정소의 24시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에서 최소값, 최대값, 오름차순 6번째 데이터, 오름차순 18번째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above user guid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expressed numerically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ad cleaning vehicle,
The control unit,
In generating the road cleaning reduction effect report information,
In terms of fine dust changes in driving distance, we collected data on the operation of road cleaning vehicles in each region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in the road cleaning vehicles, and analyzed the data on fine dust levels and the amount of fine dust suppression to determine the level of fine dust after driving the road cleaning vehicles. It is expressed numerically through calculation of dust reduction, and the candlestick chart is expressed by analyzing th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6th data in ascending order, and 18th data in ascending order from data on 24-hour fine dust concentration from a national measuring station.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ensuring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가이드 정보는,
상기 농도 지도정보를 시간대별로 조회가능하도록 구분하여 나타낸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열 농도 지도 조회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설치된 특화단지 측정소와 미리 정해진 국가 측정소에서 수집, 처리, 적재,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공하기 위해 상기 GIS 공간 보간법과 시계열 분석을 함께 수행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above user guid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inquiry information that divides the concentration map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viewed by time zone,
The control unit,
In generating the time series concentration map inquiry information,
The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and time series are used to visually express and provide data on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sing data collected, processed, loaded, and analyzed at specialized complex measuring stations where the fine dust reduction devices are installed and predetermined national measuring stations. A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alysis together and processing it.
KR1020220097546A 2022-08-04 2022-08-04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KR102636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46A KR102636578B1 (en) 2022-08-04 2022-08-04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46A KR102636578B1 (en) 2022-08-04 2022-08-04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334A true KR20240020334A (en) 2024-02-15
KR102636578B1 KR102636578B1 (en) 2024-02-16

Family

ID=8989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546A KR102636578B1 (en) 2022-08-04 2022-08-04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578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489A (en)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휴텍이일 System for managing air quality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air state
KR20170080894A (en) * 2015-12-30 2017-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based on user surroundings, and method for providing fine dust concentration figure based on user surroundings using the same
KR20180003750A (en) * 2016-07-01 2018-01-10 우연정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12625B1 (en)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of multipoint
KR102181109B1 (en) * 2020-01-16 2020-11-20 주식회사 룰루랩 Monitoring and total control system of indoor or outdoor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of public transportation
KR102224573B1 (en) * 2019-09-05 2021-03-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fine dust information
KR102238123B1 (en) * 2020-12-14 2021-04-08 한재진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data statistics service using comparison analysis
KR102247901B1 (en) * 2020-07-01 2021-05-04 경기도 부천시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KR20210094849A (en) * 2020-01-22 2021-07-30 이금성 The monitoring system a fine dust
KR20210123688A (en) * 2020-04-03 2021-10-14 오미영 Smart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analysis of bigdata which is the result of measuring fine dust and oror
KR20220042619A (en)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이루미 System for create a detailed pollution map of atmospheric fine dus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techniques us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489A (en)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휴텍이일 System for managing air quality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air state
KR20170080894A (en) * 2015-12-30 2017-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based on user surroundings, and method for providing fine dust concentration figure based on user surroundings using the same
KR20180003750A (en) * 2016-07-01 2018-01-10 우연정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12625B1 (en)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of multipoint
KR102224573B1 (en) * 2019-09-05 2021-03-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fine dust information
KR102181109B1 (en) * 2020-01-16 2020-11-20 주식회사 룰루랩 Monitoring and total control system of indoor or outdoor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of public transportation
KR20210094849A (en) * 2020-01-22 2021-07-30 이금성 The monitoring system a fine dust
KR20210123688A (en) * 2020-04-03 2021-10-14 오미영 Smart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analysis of bigdata which is the result of measuring fine dust and oror
KR102247901B1 (en) * 2020-07-01 2021-05-04 경기도 부천시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KR20220042619A (en)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이루미 System for create a detailed pollution map of atmospheric fine dus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techniques us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KR102238123B1 (en) * 2020-12-14 2021-04-08 한재진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data statistics service using comparison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578B1 (en)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 et al. PRAISE-HK: A personalized real-time air quality informatics system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exposure and health risk management
Peters et al. Cyclist exposure to UFP and BC on urban routes in Antwerp, Belgium
Munir et al. Analysing the performance of low-cost air quality sensors, their drivers, relative benefits and calibration in cities—A case study in Sheffield
Kontokosta et al. Urban phenology: Toward a real-time census of the city using Wi-Fi data
Gouveia et al.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in Latin American cities: Levels, population exposure, and associated urban factors
KR101382507B1 (en) Air quality forecast and management system
Lai et al. The impact of urban street tree species on air quality and respiratory illness: A spatial analysis of large-scale, high-resolution urban data
Ge et al. Review of transit data sources: potentials, challenges and complementarity
Xu et al. A gradient boost approach for predicting near-road ultrafine particle concentrations using detailed traffic characterization
Menon et al. Personal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a tropical coastal city
AbdulWahhab Air quality system using IoT for indoor environmental monitoring
Pantelic et al. Transformational IoT sensing for air pollution and thermal exposures
Wen et al. Near-roadway monitoring of vehicle emissions as a function of mode of operation for light-duty vehicles
Iordache et al. A cyberinfrastructure for air quality monitoring and early warnings to protect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orders
Anand et al.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housing, household and health characteristics in densely populated urban slums
Gilardi et al. Long-term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from air pollution: impact of regional scale mobility
Buonocore et al. The influence of traffic on air quality in an Urban neighborhood: a community–university partnership
Clark Co-assessment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KR102636578B1 (en) Big data-based fine dust response service provision system
Leung et al. An integrated web-based air pollution decision support system–a prototype
Chiesa et al. Urban air pollutant monitoring through a low-cost mobile device connected to a smart road
Tchepel et al. Modeling of human exposure to benzene in urban environments
Marques et al.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and assessment through Internet of Things: a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enhanced living environments
Lightowlers et al. Determining the spatial scale for analysing mobile measurements of air pollution
James et al. Realizing smart city infrastructure at scale, in the wild: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