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264A -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264A
KR20240020264A KR1020230043449A KR20230043449A KR20240020264A KR 20240020264 A KR20240020264 A KR 20240020264A KR 1020230043449 A KR1020230043449 A KR 1020230043449A KR 20230043449 A KR20230043449 A KR 20230043449A KR 20240020264 A KR20240020264 A KR 2024002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ing
hygroscopic body
space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수일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3004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264A/en
Publication of KR2024002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26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실시예인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1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와,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거나 흡습하는 다공성 흡습체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2 가열부와, 제 1 및 제 2 가열부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공간과 제 1 및 제 2 가열 공간 각각과 연통되는 유입 경로와,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제 1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서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고, 제 2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다공성 흡습체에서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유입 경로나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거나 제 2 가열부를 가열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다공성 흡습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단 흡습체와, 하단 흡습체의 상측에 연결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단 흡습체로 구성되며, 다공성 흡습체의 내부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며, 하단 흡습체의 기공률이 상단 흡습체의 기공률보다 크며, 하단 흡습체의 상측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접촉되는 흡습면이고, 하단 흡습체의 저면은 제 2 가열부에 접촉되어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무화면이며, 하단 흡습체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무화면으로 이송된다.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that heats a first heating space into which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separated, and a porous moisture absorbent that accommodates or absorbs moisture in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 liquid or gel state. a second heating unit that heats the second heating spac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or blocks power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and an inflow path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pac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paces; ,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operates to heat and generate the first aerosol from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the second heating unit operates to heat to generate the second aerosol from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or the inflow path or the second aerosol is generated.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heats the heating space or stops he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and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connected to a lower hygroscopic body that forms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and defines the internal space. It consists of an upper hygroscopic body that forms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hygroscopic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in contact wit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t is a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lower moisture absorber is a screenless surface on which a second aerosol is generated by contacting the second heating unit, and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is transferred to the screenless surface through the lower moisture absorber.

Description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hybrid aerosol generating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담배는 궐련이나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에 채워진 니코틴을 포함하는 용액을 에어로졸 또는 기체 상태(무화 상태)로 만들어 흡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cigarett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made to inhale a solution containing nicotine filled in a cigarette or replaceable cartridge into an aerosol or gaseous state (atomized state).

이와 같은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를 대신하여 흡연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타르와 같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담배로부터 유발되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흡연의 간접적 피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전자담배는 실내에서 흡연이 가능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담배의 피해를 방지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Such electronic cigarettes can satisfy the desire to smoke in place of regular cigarettes, and do not contain harmful ingredients such as tar, thereby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caused by cigarettes.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cause the indirect damage of smoking. Due to its advantages,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explosively. In other words, electronic cigarettes allow smoking indoors and have the same effect as smoking cigarettes while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cigarettes that cause various diseases.

특히 최근에는 담배의 맛에 과일 등과 같은 다른 향을 추가하여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전자담배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lectronic cigarettes have been released that allow users to enjoy a variety of flavors by adding other flavors, such as fruit, to the taste of cigarettes.

실시예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가열 동작과, 다공성 흡습체에 대한 가열 동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복합적인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performs a complex aerosol generating function that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for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a heating operation for a porous moisture absorbent.

실시예인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1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와,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거나 흡습하는 다공성 흡습체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2 가열부와, 제 1 및 제 2 가열부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공간과 제 1 및 제 2 가열 공간 각각과 연통되는 유입 경로와,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제 1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서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고, 제 2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다공성 흡습체에서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유입 경로나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거나 제 2 가열부를 가열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다공성 흡습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단 흡습체와, 하단 흡습체의 상측에 연결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단 흡습체로 구성되며, 다공성 흡습체의 내부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며, 하단 흡습체의 기공률이 상단 흡습체의 기공률보다 크며, 하단 흡습체의 상측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접촉되는 흡습면이고, 하단 흡습체의 저면은 제 2 가열부에 접촉되어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무화면이며, 하단 흡습체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무화면으로 이송된다.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that heats a first heating space into which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separated, and a porous moisture absorbent that accommodates or absorbs moisture in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 liquid or gel state. a second heating unit that heats the second heating spac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or blocks power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and an inflow path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pac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paces; ,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operates to heat and generate the first aerosol from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the second heating unit operates to heat to generate the second aerosol from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or the inflow path or the second aerosol is generated.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heats the heating space or stops he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and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connected to a lower hygroscopic body that forms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and defines the internal space. It consists of an upper hygroscopic body that forms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hygroscopic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in contact wit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t is a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lower moisture absorber is a screenless surface on which a second aerosol is generated by contacting the second heating unit, and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is transferred to the screenless surface through the lower moisture absorber.

또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된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a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thereby causing the user's inhalation.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to be discharged through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또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 및 가열 중단을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not inserted and mount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erosol, and heats the second heating unit.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so that operation and heating interruption are selective.

또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에서의 가열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not inserted and mount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erosol, and heats the second heating unit.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when the user inhales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ing in the second heating unit.

또한,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장착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장착 감지부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삽입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삽입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nstall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a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and applies the installation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and detects whether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ave an insertion detection unit that applies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또한, 다공성 흡습체의 하단 흡습체의 기공률이 1~70% 범위에 속하며, 다공성 흡습체의 상단 흡습체의 기공률은 0%나 그에 인접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70%, and the porosity of the upper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preferably 0% or close to it.

또한, 다공성 흡습체의 하단 흡습체의 기공 크기는 1~8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re size of the bottom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80㎛.

또한, 다공성 흡습체에 수용되거나 흡습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성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니코틴, 조향제, 카페인, 자양강장제, CBD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ccommodated in or absorbed by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composed of vegetable glycerin, propylene glycol, nicotine, flavoring agent, caffeine, tonic, CBD, or some combination thereof.

실시예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제 1 가열부의 가열 동작과, 다공성 흡습체에 대한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여, 무화량을 증가시키고, 다공성 흡습체의 미장착 시에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에 의해 인입 통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가열되는 제 1 가열 공간에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타격감 등의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for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second heating unit for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tomization, and the second heating is performed wh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not installed. By heating the air in the inlet passage through a negative heating operation, the he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where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heated,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hitting the generated aerosol.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haracteristics such as persimm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간략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 simplifi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이하에서,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그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and does not rule out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describe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It is only used to distinguish from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may mean,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or “having the capacity to.”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processor dedicated to performing the operations (e.g., an embedded processor), or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on a memory device. By doing so,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실시예에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일련의 적층 구조인 필터부와, 냉각부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층(예를 들면, 각초, 향료, 니코틴,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 글리콜), 조향제, 카페인, 자양강장제, CB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임)을 포함한다. 또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필터부와 냉각부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층의 외측면을 둘러 감싸는 랩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종래의 전자담배용 궐련, 필터 등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ncludes a filter portion, a cooling portion, and an aerosol-forming substrate layer (e.g., cut wax, flavoring, nicotine, VG (vegetable glycerin), PG (propylene glycol), etc., which are a series of laminated structures). It is a substance containing at least one of flavoring agent, caffeine, tonic, and CBD). Additionally,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ncludes a filter portion, a cooling portion, and a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erosol-forming base layer.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s include conventional cigarettes for electronic cigarettes, filters, and the lik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간략 수직 단면도이다.1 is a simplifi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상방이 개방되어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삽입 및 분리되는 제 1 가열 공간(S1)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120)와, 상방이 개방되어 다공성 흡습체(20)가 삽입 및 분리되는(또는 탈착되는) 제 2 가열 공간(S2)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130)와, 제 1 수용부(120)에 접촉되거나 근접하며 제 1 수용부(120)가 열 에너지를 발생되도록 하거나 제 1 수용부(120)로 열 에너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 1 가열부(150)와, 제 2 수용부(130)의 저면에 장착되어 다공성 흡습체(20)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는 제 2 가열부(160)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100)의 하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S3)을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120) that is open at the top to form a first heating space (S1) into whic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and separate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30 forming a second heating space S2 into which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inserted and separated (or detached)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0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20. A first heating unit 150 that causes the unit 120 to generate heat energy or generates and transmits heat energy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20,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0 to form a porous moisture absorber. An upper case 100 having a second heating unit 160 that applies heat energy to (20), and a lower case 200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se 10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S3 therein. ) includes.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은 상술된 바와 같다.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as described above.

다공성 흡습체(20)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로서, 마그네슘,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혼합, 티타늄, 크롬, 니켈, 코발트-크롬, 수한화인회석, 산화알루미늄, 지르코늄, 탄탈륨, 티타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다.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a porous ceramic moisture absorber,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magnesium, aluminum, magnesium aluminum mixture, titanium, chromium, nickel, cobalt-chromium, hydrochloric apatite, aluminum oxide, zirconium, tantalum, and titanium. It is composed of more than one substance.

다공성 흡습체(20)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S4)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단 흡습체(22)와, 하단 흡습체(22)의 상측에 연결되며 내부 공간(S4)을 형성하는 상단 흡습체(24)로 구성된다. The porous hygroscopic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which forms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S4) in whic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 liquid or gel state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and forms an internal space ( It consists of an upper moisture absorber (24) forming S4).

하단 흡습체(22)는 내부 공간(S4)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접촉하는 상측면인 흡습면과, 흡습면의 반대면이면서 열 에너지를 인가 받아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저면인 무화면을 구비하고, 흡습면으로부터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내부의 기공을 통하여 무화면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하단 흡습체(22)는 친수성 특성을 지닌다. 하단 흡습체(22)의 기공률은 1~7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 흡습체(22)의 기공 크기는 1~8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moisture absorber 22 has a moisture-absorbing surface, which is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 the internal space (S4), and a lower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moisture-absorbing surface, where heat energy is applied to atomiz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to generate an aerosol. It is provided with a screen, and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from the moisture-absorbing surface is transferred to the screen-free screen through internal pores. In order to smoothly transport this aerosol-forming substrate, the lower moisture absorbent 22 has hydrophilic properties.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70%, and the pore siz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80 ㎛.

상단 흡습체(24)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하단 흡습체(22)만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소수성 특성을 지닌다. 상단 흡습체(24)의 기공률은 0%이거나 0%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hygroscopic body 24 has hydrophobic properties such th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transported only through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The porosity of the upper moisture absorbent 24 is preferably 0% or close to 0%.

상단 흡습체(24)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투입을 위한 뚜껑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A lid portion for introduc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may be formed on the upper moisture absorbent 24.

본 실시예에서의 다공성 흡습체(20)가 내부 공간(S4)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나, 다른 실시예로 내부 공간(S4)이 없으며, 다공성 흡습체(20) 내부가 채워져 있고 내부의 기공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흡습되거나 적셔질 수도 있다. 내부 공간(S4)이 없는 다공성 흡습체의 저면(무화면) 또는 내부는 하단 흡습체와 같은 친수성 특성을 지니며, 저면과 내부 이외의 다른 측면들은 소수성 특성을 지니며, 다공성 흡습체의 기공률은 1~7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기공 크기는 1~8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20 is described as including an internal space S4,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no internal space S4, and the insid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20 is filled and the pores therein ar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may be hygroscopic or wetted. The bottom (screenless) or interior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without an internal space (S4) has the same hydrophilic characteristics as the bottom hygroscopic body, and the other sides other than the bottom and the interior have hydrophobic characteristics, and the porosit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It is preferable that it falls within the range of 1~70%, and the pore size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80㎛.

내부 공간(S4)에 수용되거나 다공성 흡습체(20)에 흡습되거나 적셔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VG, PG, 니코틴, 조향제, 카페인, 자양강장제, CBD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S4 or absorbed or wetted by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20 may be composed of VG, PG, nicotine, flavoring agent, caffeine, tonic, CBD, or some combination thereof.

제 1 수용부(120)는 상방에 형성된 삽입구(122)와, 하측면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20 includes an insertion hole 122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an inlet hole 124 for introducing air at the lower side.

제 1 수용부(120)와 제 1 가열부(150)로 구성된 제 1 히팅 디바이스에 저항 가열 방식이 적용될 경우에는, 제 1 가열부(150)는 저항 가열을 위한 F-PCB 형태의 저항 히터로 구성되며, 제 1 수용부(120)는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F-PCB 형태의 저항 히터는 F-PCB 상에 열선과, 열선의 양 단부에 전원 공급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복수의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열선은 구리나 콘스탄탄 재질로 이루어진다.When the resistance heating method is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20 and the first heating part 150, the first heating part 150 is an F-PCB type resistance heater for resistance heat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F-PCB type resistance heater consists of a heating wire on the F-PCB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ds at both ends of the heating wire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ing wire is made of copper or constantan material.

다른 실시예로, 제 1 히팅 디바이스에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될 경우에는, 제 1 가열부(150)는 전자기 유도를 위한 유도 가열 코일로 구성되며, 제 1 수용부(120)는 강자성체인 서셉터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is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device, the first heating part 150 is composed of an induction heating coil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120 is a susceptor pipe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It consists of

제 2 수용부(130)는 상방에 형성된 삽입구(132)와, 삽입구(132)를 개폐하는 뚜껑부(134)와, 하측면에 유입 경로(170)와의 연통을 위한 연통홀(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30 includes an insertion hole 132 formed at the upper side, a lid portion 134 that opens and closes the insertion hole 132, and a communication hole 134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th 170 on the lower side. It is composed by:

제 2 가열부(160)는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히터는 Sus, 칸탈, 니크롬 중의 어느 한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열선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가열부(160)의 일측면은 하단 흡습체(22)의 무화면에 접촉하고, 제 2 가열부(160)의 타측면은 유입 경로(170)나 연통홀(134)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수용부(130)와 제 2 가열부(160)로 구성된 제 2 히팅 디바이스에는 저항 가열 방식이 적용될 경우이다.The second heating unit 160 includes a resistance heating type heater, and the heater is made of a heating wire containing one or more of Sus, kanthal, and nichrome. One side of the second heating unit 160 is in contact with the non-screen surface of the lower moisture absorber 2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eating unit 160 is in contact with the inlet path 170 or the communication hole 134. desirable. In this embodiment, the resistance heating method is applied to the second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130 and the second heating part 160.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 사이에는 외부 공간과 제 1 가열 공간(S1) 및 제 2 가열 공간(S2) 각각과 연통되는 유입 경로(170)가 형성된다. 유입 경로(170)는 상부 케이스(100)나 하부 케이스(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An inflow path 17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space and each of the first heating space (S1) and the second heating space (S2). The inflow path 170 may be formed in the upper case 100 or the lower case 200.

유입 경로(170)는 중공 형태의 파이프 구조이며, 일단에는 제 1 유입구(172)와 타단에는 제 2 유입구(174)와, 제 1 가열 공간(S1)(또는 유입홀(124))과의 연통을 위한 연통홀(176)을 구비한다. The inlet path 170 is a hollow pipe structur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let 172 at one end, the second inlet 174 at the other end, and the first heating space S1 (or inlet hole 124). 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176) for.

먼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삽입 장착되어 뚜껑부(134)가 닫혀서 삽입구(132)를 폐쇄하여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부(160)에 접촉되는 경우의 제 1 에어로졸 발생 기능에 대해서 설명된다. 하부 케이스(200)에 장착된 전원 공급부가 제 1 가열부(150)와 제 2 가열부(160)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1 수용부(120)를 통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에 열 에너지가 전달되고, 다공성 흡습체(20)의 하단 흡습체(22)에 열 에너지가 전달된다.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가열되어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고, 하단 흡습체(22)의 하측면인 무화면이 가열되어 하단 흡습체(22)의 상측면인 흡습면을 통하여 무화면으로 이송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되어 무화면에서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어 연통홀(134)을 통하여 배출된다. First,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nd the lid portion 134 is closed to insert the insertion hole 132. ) is closed and the first aerosol generating function wh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eating unit 160 is explained.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lower case 200 applies power to each of the first heating unit 15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60 to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through the first receiving unit 120. Thermal energy is transferred, and the heat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20.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heated to generate a first aerosol, and the non-screen surface,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is heated to the non-flammable surface through the hygroscopic surface,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22. The transferred aerosol-forming substrate is heated and a second aerosol is generated from the screen and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4.

사용자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흡입(퍼프)을 수행하면, 제 1 및 제 2 유입구(172), (174) 각각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제 1 유입구(17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이 연통홀(176)과 유입홀(124)을 통하여 제 1 가열 공간(S1)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 2 에어로졸이 연통홀(134)을 통하여 배출되어 유입 경로(170) 내로 유입되면서, 제 2 유입구(174)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제 2 에어로졸의 대부분이 연통홀(176)과 유입홀(124)을 통하여 제 1 가열 공간(S1)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제 1 에어로졸 발생 기능에서,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함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는 무화량이나 연무량이 증가된다.When a user inhales (puffs)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external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lets 172 and 174, respectively. Most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172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6 and the inlet hole 124. In addition, as the second aerosol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4 and flows into the inflow path 170, most of the external air and the second aerosol flowing in from the second inlet 174 ar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6 and the inlet hole. It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rough (124). In this first aerosol generating function,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tomization or mist discharged.

다음으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즉, 분리된) 경우의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에 대해서 설명된다.Next, in the case where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not inserted and mounted (i.e., separa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described.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제 1 실시예로, 하부 케이스(200)에 장착된 전원 공급부가 제 1 가열부(1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1 수용부(120)를 통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에 열 에너지가 전달되고,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가열되어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전원 공급부는 제 2 가열부(16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 제 2 가열부(160)는 가열 중지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lower case 200 applies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150 to produce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 Thermal energy is transferred to 10,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heated to generate a first aerosol. Since the power supply unit does not apply power to the second heating unit 160, the second heating unit 160 stops heating.

사용자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흡입(퍼프)을 수행하면, 제 1 및 제 2 유입구(172), (174) 각각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제 1 유입구(172) 및 제 2 유입구(17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이 연통홀(176)과 유입홀(124)을 통하여 제 1 가열 공간(S1)으로 유입된다. 이 제 1 실시예는 일반적인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만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과정과 동일하다.When a user inhales (puffs)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external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lets 172 and 174, respectively. Most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172 and the second inlet 174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6 and the inlet hole 124. This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inhaling an aerosol by heating only a general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제 2 실시예로, 하부 케이스(200)에 장착된 전원 공급부가 제 1 가열부(150)와 제 2 가열부(160)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1 수용부(120)를 통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에 열 에너지가 전달되고,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가열되어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또한, 제 2 가열부(160)가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유입 경로(170) 내의 공기를 가열한다.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lower case 200 applies power to each of the first heating unit 15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60 to heat the first receiving unit 120. ), thermal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heated to generate a first aerosol. Additionally, the second heating unit 160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to heat the air within the inlet path 170.

사용자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흡입(퍼프)을 수행하면, 제 1 및 제 2 유입구(172), (174) 각각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제 1 유입구(17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이 연통홀(176)과 유입홀(124)을 통하여 제 1 가열 공간(S1)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 2 에어로졸이 연통홀(134)을 통하여 배출되어 유입 경로(170) 내로 유입되면서, 제 2 가열부(160)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제 2 유입구(174)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의 대부분이 연통홀(176)과 유입홀(124)을 통하여 제 1 가열 공간(S1)으로 유입된다. 즉, 제 1 가열 공간(S1)으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가열 공기의 유입에 의해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의 하단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제 1 에어로졸의 발생량이나 무화량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강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When a user inhales (puffs)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external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lets 172 and 174, respectively. Most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172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6 and the inlet hole 124. In addition, as the second aerosol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4 and flows into the inlet path 170, the air heated by the second heating unit 160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174 are mixed. Most of it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6 and the inlet hole 124. That is, heated air flows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Due to this inflow of heated air, the temperature at the bottom of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first aerosol generated or atomized, thereby providing a stronger hitting sensation to the user.

상술된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 2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 및 가열 중단을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or described above, heating operation and stopping of heating of the second heating unit 160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도 2는 도 1의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입력부(220)와, 프로세서(290)로부터의 정보(예를 들면, 전원 상태 등)를 인가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25)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전원 공급부(240)와 프로세서(290) 등에 공급하는 전원부(230)와,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프로세서(290)의 제어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 각각으로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예를 들면, FET 등)(240)와, 유입 경로(170)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퍼프에 의해 변화되는 유입 경로(170) 내의 압력(또는 감압) 등을 감지하여 퍼프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퍼프 감지 센서(260)와,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삽입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장착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장착 감지부(262)와, 제 1 가열 공간(S1)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 1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제 1 온도 센서(264)와, 제 2 가열부(160)에 의해 가열되는 제 2 가열 공간(S3) 또는 유입 경로(170) 또는 제 2 가열부(16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 2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제 2 온도 센서(266)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입력부(220)와, 표시부(225)와, 전원부(230)와,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 퍼프 감지 센서(260) 및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264), (266) 등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장치는 상부 케이스(100) 및/또는 하부 케이스(200)에 장착된다.The control device of the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input unit 220 that obtains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power on/off, etc.)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290, and information from the processor 290. A display unit 225 that receives and displays (e.g., power status, etc.), a power unit 230 that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240 and the processor 290, etc.; ), and supplies or blocks the power supplied by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90 to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respectively (e.g., FET, etc.) ( 240) and a puff detec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inflow path 170 and detects the pressure (or reduced pressure) in the inflow path 170 that changes due to the user's puff, generates a puff detection value,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290. A sensor 260, a mounting detection unit 262 that detects whether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nd applies a mounting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290, and a first heat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264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S1 and applies the first temperature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290, and a second heating space S3 heated by the second heating unit 160, 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266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flow path 170 or the second heating unit 160 and applies the second temperature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290, and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control the first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cessor 290 that performs one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s. However, the input unit 220, the display unit 225, the power unit 230,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the puff detection sensor 260, and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264. , 266, etc. correspond to techniques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control device of 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mounted on the upper case (100) and/or lower case (200).

전원 공급부(240)는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 각각에 연결되며 전원부(230)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및 제 2 서브 전원 공급부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일의 스위칭 소자나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제어 신호(예를 들면, PWM 신호나 EN 신호 등)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240)에 인가하여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 각각으로의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respectively, and may b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ub power supplies that supply or block power from the power unit 230, and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It may be composed of a switching element or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he processor 29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PWM signal or an EN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power supply unit 240 to supply and turn off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respectively. perform independently.

장착 감지부(262)는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삽입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 감지부(262)는 제 2 가열 공간(S2) 내에 장착되는 광학적 센서일 수도 있고, 제 2 수용부(130)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 감지 스위치일 수도 있다. 장착 감지부(262)는 장착 감지값(장착/미장착)을 생성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62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or switch that detects whether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has been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S2). For example, 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62 may be an optical sensor mount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S2, or may be a contact detection switch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130.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62 generates a mounting detection value (mounted/not mounted)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290.

다른 실시예로,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장치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거나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삽입 감지부를 구비하고, 삽입 감지부는 삽입 감지값(삽입/미삽입)을 생성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290)는 삽입 감지값에 따라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서 또는 삽입 감지값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240)을 제어하여 제 1 가열부(150)의 가열 동작 및 가열 중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of the composite aerosol-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inser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or mounted in the first heating space S1, and the inser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n insertion detection value (insertion/non-insertion)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processor 290, and the processor 290 determines whether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has been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may be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judgment or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and a heating stop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150.

프로세서(290)는 상술된 제 1 및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온도 프로파일(예를 들면, 목표 온도, 가열 시간 등)를 저장한다.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264), (266) 각각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 온도 감지값 각각이 온도 프로파일 각각에 대응하거나 동일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240)에 인가한다. 이러한 온도 프로파일과 온도 감지값들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및 차단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Processor 290 stores temperature profiles (eg, target temperature, heating time, etc.) for performing the first and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29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uch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detection values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264 and 266 corresponds to or is equal to each of the temperature profiles, so that the power supply 240 ) is approved. Supplying and cutting off power using such temperature profiles and temperature detection values corresponds to technology already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 1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수행에 대해서 먼저 설명된다. 프로세서(290)는 장착 감지부(262)로부터의 장착 감지값에 따라서 다공성 흡습체(20)의 장착을 확인하고, 삽입 감지값에 따라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first described. The processor 290 confirms the installation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2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etection value from 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62, an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moved 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 and check whether it has been inserted.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장착되고,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된 경우, 프로세서(290)는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 각각이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공기와 함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Wh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mount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e processor 290 uses the power supply unit 240.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together with air, pass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when the user inhales. Allow it to be discharged.

다음으로,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제 1 실시예의 수행에 대해서 설명된다. Next,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described.

프로세서(290)는 장착 감지부(262)로부터의 장착 감지값에 따라서 다공성 흡습체(20)의 미장착을 확인하고, 삽입 감지값에 따라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The processor 290 confirms that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not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etection value from 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62, an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talled in the first heating space (S1). ) and check whether it has been inserted.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미장착되고,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된 경우, 프로세서(290)는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제 1 가열부(150)가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제 1 에어로졸이 공기와 함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90)는 제 2 가열부(160)가 가열 중지되도록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한다.Wh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not install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e processor 290 uses the power supply unit 240 By controlling the first heating unit 150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the first aerosol is discharged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along with air when the user inhales. At this time, the processor 2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240 so that the second heating unit 160 stops heating.

다음으로, 제 2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제 2 실시예의 수행에 대해서 설명된다. Next,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described.

프로세서(290)는 장착 감지부(262)로부터의 장착 감지값에 따라서 다공성 흡습체(20)의 미장착을 확인하고, 삽입 감지값에 따라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The processor 290 confirms that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not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etection value from 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62, an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tection value,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talled in the first heating space (S1). ) and check whether it has been inserted.

다공성 흡습체(20)가 제 2 가열 공간(S2)에 미장착되고,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이 제 1 가열 공간(S1)에 삽입된 경우, 프로세서(290)는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가열부(150), (160)가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제 2 가열부(16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으로 유입되고, 제 1 에어로졸과 함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열된 공기가 제 1 가열 공간(S1) 내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에어로졸의 특성(연무량, 타격감, 맛의 향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제 2 가열부(160)에서의 가열량(발열량)을 조절하여 제 1 가열 공간(S1) 내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porous moisture absorber 20 is not installed in the second heating space (S2)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e processor 290 uses the power supply unit 240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150 and 160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the air heated by the second heating unit 160 is heated by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when the user inhal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together with the first aerosol. This heated air is allowed to flow into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n the first heating space S1,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rosol (improved amount of fume, impact, and taste). In addition, the processor 2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240 to adjust the heating amount (heating amount) in the second heating unit 160 to flow into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10 in the first heating space S1. The temperature of the air can be adjust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e.g., processor or functions thereof) or method (e.g.,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program module. Can be implemented as stored instructions. When the instruction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memory.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media (e.g.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magnetic media) It may include magnetic media (e.g., a floptical disk), hardware devices (e.g., ROM, RAM, or flash memory, etc.), etc. Additionally,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strings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goes for the st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The processor or functions provided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ome of them may be omitted,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 modules, or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in a heuristic manner. Additionally,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explain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상부 케이스 200: 하부 케이스100: upper case 200: lower case

Claims (8)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1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와;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거나 흡습하는 다공성 흡습체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제 2 가열부와;
제 1 및 제 2 가열부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공간과 제 1 및 제 2 가열 공간 각각과 연통되는 유입 경로와;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제 1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서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고, 제 2 가열부가 가열 동작하여 다공성 흡습체에서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유입 경로나 제 2 가열 공간을 가열하거나 제 2 가열부를 가열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다공성 흡습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단 흡습체와, 하단 흡습체의 상측에 연결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단 흡습체로 구성되며,
다공성 흡습체의 내부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수용되며,
하단 흡습체의 기공률이 상단 흡습체의 기공률보다 크며,
하단 흡습체의 상측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접촉되는 흡습면이고, 하단 흡습체의 저면은 제 2 가열부에 접촉되어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무화면이며, 하단 흡습체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무화면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 first heating unit that heats the first heating space into whic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separated;
a second heating unit that heats a second heating space where a porous moisture absorbent that accommodates or absorbs moisture in a liquid or gel-lik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inserted or separate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or cuts off power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an in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spac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paces;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he first heating unit heats and operates to generate the first aerosol from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and the second heating unit operates to heat to generate the second aerosol from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or the inlet path or the second heating a processor that heats the space or stops he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composed of a lower hygroscopic body that forms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hygroscopic body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and forms an internal space,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greater than the porosity of the upper hygroscopic body,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a hygroscopic surface that contact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is a screenless surface that contacts the second heating unit to generate the second aerosol, and the aerosol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lower hygroscopic body.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substrate is transferred to a screenless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된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에어로졸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erosol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when the user inhales.
제 1 항에 있어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 및 가열 중단을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not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A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erosol,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selectively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and stopping of the second he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고,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는 제 1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되, 제 2 가열부에서의 가열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흡입 시에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nd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not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first aerosol,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of the second heating unit, and adjusts the amount of heating in the second heating unit to produce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when inhaled by the user. A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gulat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다공성 흡습체가 제 2 가열 공간에 삽입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장착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장착 감지부와,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 1 가열 공간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삽입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삽입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nstall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a porous moisture absorbent has been inserted into the second heating space and applies the installation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and detects whether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article has been inserted into the first heating space. A complex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an insertion detection unit that applies the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성 흡습체의 하단 흡습체의 기공률이 1~70% 범위에 속하며, 다공성 흡습체의 상단 흡습체의 기공률은 0%나 그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sity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in the range of 1 to 70%, and the porosity of the upper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0% or close to it.
제 6 항에 있어서,
다공성 흡습체의 하단 흡습체의 기공 크기는 1~80㎛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e size of the lower hygroscopic body of the porous hygroscopic body is in the range of 1 to 80㎛.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성 흡습체에 수용되거나 흡습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성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니코틴, 조향제, 카페인, 자양강장제, CBD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ccommodated in or absorbed by the porous moisture absorbent is comprised of vegetable glycerin, propylene glycol, nicotine, flavoring agent, caffeine, tonic, CBD, or some combination thereof.
KR1020230043449A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202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449A KR20240020264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648A KR102555128B1 (en) 2022-08-05 2022-08-05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9A KR20240020264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48A Division KR102555128B1 (en) 2022-07-06 2022-08-05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264A true KR20240020264A (en) 2024-02-14

Family

ID=8743022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48A KR102555128B1 (en) 2022-07-06 2022-08-05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7A KR20240020262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8A KR20240020263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9A KR20240020264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48A KR102555128B1 (en) 2022-07-06 2022-08-05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7A KR20240020262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0043448A KR20240020263A (en) 2022-08-05 2023-04-03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55128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00620D0 (en) * 2017-01-13 2017-03-0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KR20190049392A (en)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102219853B1 (en) * 2019-01-16 2021-02-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Method for controlling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ing multiple geomagnetic sensors and apparatus thereof
KR102315061B1 (en) * 2019-09-06 2021-10-20 주식회사 이엠텍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530887B1 (en) * 2019-12-20 2023-05-10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A vaporizing part of a microparticl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262A (en) 2024-02-14
KR20240020263A (en) 2024-02-14
KR102555128B1 (en)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9304B2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generating material
JP6793870B2 (en) Aerosol gen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US10143242B2 (en) Cartomizer flavor enhancement
CN105636466B (en) Non-combustion-type fragrance extractor
CN106455709A (en) Non-combustion flavor inhaler
KR10255013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20264A (en)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2033981A (en)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at least one microheater
KR20240015189A (en) Aerosol generator using incoming air heating
KR2024005920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performing heating operation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KR20230149389A (en) Devic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types of aerosols
KR102385875B1 (en) Electronic Cigarette
KR20240035168A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40001816A (en) Heating type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40016715A (en) Aerosol generator
KR20230151250A (en) Heating device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40012164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user health check function
KR20230171651A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4005060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21381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3523897A (en) Aerosol generator and its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