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244A -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 Google Patents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244A
KR20240020244A KR1020220098052A KR20220098052A KR20240020244A KR 20240020244 A KR20240020244 A KR 20240020244A KR 1020220098052 A KR1020220098052 A KR 1020220098052A KR 20220098052 A KR20220098052 A KR 20220098052A KR 20240020244 A KR20240020244 A KR 2024002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device
usage
pai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수일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9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244A/en
Publication of KR2024002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24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사용량을 관리하는 스마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량 측정 정보를 스마트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재 공급부에 삽입되거나 장착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사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량 감지부, 스마트 기기와의 페어링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발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량 감지부가 감지한 내용을 토대로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또한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가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내린 사용 제한 결정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mbodiments relate to a smart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manages usa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check and manage usage information by linking usag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smart devi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serted or mounted in the substrate supply unit, a us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usage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pairing with a smart devi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paired smart device.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and at lea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detected by the usage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and also uses the us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aired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restricting the user's use according to the use restriction decision made based on.

Description

사용량을 관리하는 스마트 에어로졸 발생 장치{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실시예들은 사용량을 관리하는 스마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량 측정 정보를 스마트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smart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manages usa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check and manage usage information by linking usag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smart device.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작은 입자로 보통 0.001 ~ 1.0 ㎛의 크기를 갖는데, 액상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어로졸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이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액상 전자담배, 네블라이져가 있다.Aerosols are small particles of liquid or solid that exist in suspension in the atmosphere and usually have a size of 0.001 to 1.0 ㎛. There are aerosol generating devices that allow people to inhale aerosols derived from liqui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re are liquid e-cigarettes and nebulizers.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배터리 및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또한 액상 카트리지 내의 액상을 흡수하는 심지부와 심지부를 가열하기 위한 액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궐련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할 수 있는 궐련 수용부와, 궐련형의 기재를 가열하는 궐련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ypic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battery and control electronics, and is equipped with a liquid cartridge that stores liquid for forming an aerosol. It may also include a core portion that absorbs the liquid in the liquid cartridge and a liquid heater for heating the core portion.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cigarette receiv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cigarette heater that heats the cigarette-type substra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641호와 제10-2022-0074974호에서는 사용자의 퍼프(puff, 흡입) 행위를 검출하여, 궁극적으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잔량을 측정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퍼프 행위의 검출 또는 액상 잔량의 검출을 통하여 잔여 퍼프 횟수를 산정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한 히터의 제어나 남은 횟수 알림, 니코틴 흡입량 경고 등의 이로운 효과를 제공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2012-0082641 and 10-2022-0074974, an attempt is made to detect the user's puff (inhalation) behavior and ultimately measur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Through detection of puff behavior or detec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the number of remaining puffs can be calculated, and based on this, beneficial effects such as heater control, remaining number notification, nicotine intake warning, etc. can be provided and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0404호에서는 퍼프 인식을 통하여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은 퍼프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히터 제어를 실시하고, 또한 잔여 퍼프 횟수 알림 등의 사용자 편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소형 휴대용 장치로서, 잔여 퍼프 횟수 등의 단순한 정보 외의 상세한 정보 제공에는 한계가 있어, 상기 종래 기술 역시 사용 시의 피드백 제공에 그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40404 disclos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provides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This prior art performs heater control to improve user experience through puff recognition, and also provides user convenience information such as not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puffs. Howev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 small, portable devic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ther than simpl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maining puffs, and the prior art also limits itself to providing feedback upon use.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상당 기간 누적하면 사용 빈도와, 사용 습관 등의 사용자에게 유리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건강 정보 제공이나, 위험 경고, 사용 제한 등의 유리한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리한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By accumulating information on the use of aerosol-generating devices over a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advantageous to the user, such as frequency of use and usage habits, and through this,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risk warnings, and use restrictions can be achie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usage data to provide advantageous information or control.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서 착안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 제한을 설정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pired by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im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check usage information and set usage restrictions by linking with a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장착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장착되는 기재 공급부, 기재 공급부에 삽입되거나 장착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사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량 감지부, 스마트 기기와의 페어링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발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량 감지부가 감지한 내용을 토대로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또한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가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내린 사용 제한 결정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forming article contain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when inserted or mounted, and is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a paired smart device. 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 substrate supply unit where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mounte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serted or mounted on the substrate supply unit, a us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usage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pairing with a smart device, and paire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a smart device and at lea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usage information based on what the usage detection unit detects and transmits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and also sends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restricting the user's use according to a usage restriction decision made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방식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a smart device through Bluetooth or low-power Bluetooth.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 정보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puff behavior or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s an element.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량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pressure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량 감지부는 습도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습도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humidity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humidity sensor.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량 감지부는 연기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연기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smoke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smoke sensor.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액상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액상 카트리지이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저장되는 액상 탱크와 저장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부력에 의해 액상 탱크 내에서 부유하는 부유 플레이트와 부유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부유 플레이트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잔량이 감소할수록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량 감지부는, 기재 공급부에 액상 카트리지가 장착되면, 액상 카트리지의 영구 자석과 결합하고, 액상 카트리지의 부유 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영구 자석과 함께 하강하는 강자성체와 부유 플레이트의 하강에 의한 강자성체의 하강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거리 센서가 측정한 강자성체의 하강 거리를 바탕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a liquid cartridge containing a liquid-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a liquid tank in whic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stored, and a floating plate that floats in the liquid tank by the buoyancy of the store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permanent magnet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plate, wherein the floating plate is lowered by gravity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decreases, and the usage detection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a liquid cartridge is mounted on the substrate supply unit. It is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of the liquid cartridge, and includes a ferromagnetic material that descends together with the permanent magnet when the floating plate of the liquid cartridge descends, and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falling distan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due to the lowering of the floating plate, and the distance sensor measur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scent distance of one ferromagnetic material.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부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부는 니켈, 티타늄, SUS304, SUS316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ortion is formed of any one of nickel, titanium, SUS304, and SUS316.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의 페어링과,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및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해 주는 앱(app)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syste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processor running an app that displays usage information of the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mart device that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은, 프로세서는 실행하는 앱을 통하여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사용 기간별로 통계를 내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system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n on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generates and displays statistics on the use of the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by period of use through an app that is executed.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은, 프로세서는 실행하는 앱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한 사용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량이 제한 사용량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 제한 결정을 내리고 이를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syste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of the limited usage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n executing app, and determines the usage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mit usage amount has been reached, a decision to limit usage is made and the decision is transmitted to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알림을 위하여 햅틱 효과 또는 시각적 효과 또는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부터 사용 제한 결정을 수신하면, 알림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제한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capable of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haptic effect, a visual effect, or a sound effect for user notification, and the control unit sends the notification unit when receiving a use restriction decision from a paired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forming the user of usage restrictions.

실시예들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 정보를 생성하여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사용 정보를 스마트 기기로 열람하고 이를 통하여 자신의 흡연 습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s measures the user's number of puffs or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generates usage information through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so the user can view the usage information on the smart device and use it to You can get information about your smoking habits.

또한 실시예들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열람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제한 사용량을 입력하여, 상기 제한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yste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embodiments can view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smart device, and the user can input the limited usage amount through the smart device to prev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rom exceeding the limited usage amount. The amount of usage can be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표현한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액상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표현한 내부구성도,
도 4는 액상 카트리지(1000) 내의 액상 잔량을 측정하는 사용량 감지부(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스마트 기기(20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express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hich can accommodate a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express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hich can accommodate a liquid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that measures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artridge 1000;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device 200 that can be included in a smart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way of 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로 삽입되거나 장착되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130)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사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량 감지부(140)와, 적어도 발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스마트 기기와의 페어링 및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160)과, 사용자 알림을 위하여 햅틱 효과 또는 시각적 효과 또는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알림부(170)와,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 heating unit 130 for heating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serted or moun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and a us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use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 140), and at least a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1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60 for pairing with a smart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a paired smart device, and a haptic effect or visual effect or It may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70 that can generate at least one of the sound effects, and a battery 18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수용하고, 그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실시예에 따라 궐련이거나 액상 카트리지일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n aerosol by receiving an aerosol-forming article and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ncluded therein. The aerosol-forming article that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can accommodate may be a cigarette or a liquid cartridg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표현한 내부구성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은 케이스(11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일반적으로 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상단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형태로서 기재 공급부(120)가 형성된다. 기재 공급부(120)는 궐련(1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express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hich can accommodate a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described in FIG. 1 may be accommodated within case 110 . Case 110 is generally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can accommodate and protect other components therein. A substrate supply uni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10 in the form of a hollow opening toward the top.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cigarette 1000.

본 실시예와 같이 궐련(1000)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서 발열부(130)는 삽입되는 궐련(1000)의 적어도 일측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로서 공지된 다양한 재질과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발열부(130)는 기재공급부(120)의 인근에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궐련(1000)에 열을 가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부(130)는 발열 패턴이 형성된 면 발열체일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부(130)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발열부(130)는 니켈, 티타늄, SUS304, SUS316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발열부(130)는 궐련(10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서셉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전자기유도 코일일 수도 있다. 발열부(130)의 발열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발열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at accommodates the cigarette 10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is a heating element for hea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inserted cigarette 1000, and can adopt various known materials and structures. there is. The heating unit 130 is formed near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and can generate aerosol by applying heat to the cigarette 1000 inserted into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130 may be a surface heating element with a heating pattern formed thereon. In this case, the heating part 1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heating part 130 may be made of any one of nickel, titanium, SUS304, and SUS316. Alternatively, the heating unit 130 may b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for inductively heating a susceptor that may be included within the cigarette 1000. Heat generation from the heating unit 1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heat genera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30.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명령어 처리 및 각종 연산, 장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MCU(microcontroller unit)로서 추가적으로 램(RAM) 메모리와, 캐쉬(Cache)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발열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발열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등,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체 작동 주기에 걸친 장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사용량 감지부(140)가 감지한 내용을 토대로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가 사용 제한 결정을 전송하면,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is, for example, a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can perform command processing, various operations, and device control, and additionally includes RAM memory, cach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storage). can do.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30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30. In addition, device control functions over the entire operating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such as processing user input, may be performed.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50 can generat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detected b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and transmit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Additionally, when the paired smart device transmits a decision to limit use, control can be performed to limit the user's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ly.

사용량 감지부(140)는 현재 삽입된 에어로졸 형성 물품(1000)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사용량 내지 소모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사용량 감지부(140)는 적어도 사용자의 퍼프(puff, 흡입) 행위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량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일 수 있다.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variety of means capable of detecting the usage or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 the currently inserted aerosol-forming article 1000. It is desirable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be able to detect at least whether the user's puff (inhale) action occurs. For example,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puff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user's puff action has occurred.

예를 들어 사용량 감지부(140)는 압력 센서로서, 사용자의 퍼프로 인하여 발생하는 흡입 유동이 이동하는 통로인 기류 패스(P) 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퍼프 행위로 기류 패스(P) 내부 압력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사용자의 퍼프 행위가 발생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량 감지부(140)는 기류 패스(P) 내 배치되는 습도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퍼프 행위로 기류 패스(P) 내부 습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퍼프 행위가 발생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량 감지부(140)는 기류 패스(P) 내 배치되는 연기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퍼프 행위로 기류 패스(P) 내부로 연무, 즉 에어로졸이 유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퍼프 행위가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is a pressure sensor and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airflow path P,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ction flow generated by the user's puff mov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s puffing action has occurred by temporarily lowe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flow path (P) due to the user's puffing action. Alternativel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humidity sensor disposed within the airflow path (P). In this case, it can be detected whether the user's puffing action has occurred by temporarily increasing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airflow path (P) due to the user's puffing action. Alternativel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smoke sensor disposed within the airflow path (P). In this case, when mist, that is, aerosol, flows into the airflow path P due to the user's puffing action, it can be det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puffing action has occurred.

이처럼 사용량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사용량 감지부(140)의 감지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의 퍼프 횟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를 사용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가 생성하는 사용 정보는, 궐련(1000)을 장착하고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의 퍼프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퍼프 행위 사이의 시간 간격이나, 하루 동안에 측정되는 퍼프 횟수의 총합이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 시간이나 사용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량 감지부(140)가 감지하는 퍼프 행위를 토대로, 프로세서의 연산 행위로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사용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can detect the user's puff behavior, and the control unit 150 can generate the user's puff count and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is as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contents of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You can. For example, the us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the number of puffs required after the cigarette 1000 is mounted until all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cluded therein is exhausted. Also, for example, it may include time intervals between user puff actions, the total number of puffs measured during a day, or use time or time of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is way, based on the puff behavior detected b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computational behavior of the processor may be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사용량 감지부(140)는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형성 물품(1000)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측정하는 또는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량 감지부(140)는 기류 패스(P) 내에 배치되는 유량 센서일 수 있다. 또는 사용량 감지부(14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10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일 수 있다. 사용량 감지부(14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1회 퍼프에 따른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도 감지할 수 있어, 제어부(150)는 더 많은 정량적 사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모량 감지부(140)로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의 발생을 감지하거나 에어로졸 발생량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소모량을 측정 내지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also be a sensor that measures or estimates the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cluded in the aerosol-forming article 1000. For example,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flow sensor disposed within the airflow path (P). Alternativel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we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1000.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easures the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and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ct the user's puffing behavior as well as the amount of aerosol-forming base consumed per puff, so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ct the amount of aerosol-forming base consumed per puff. (150) can generate more quantitative usage information. In this way, the consumption detection unit 140 may use various means to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user's puffing action or to measure or estimate the amount of aerosol generated or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material.

통신 모듈(160)은 페어링 대상의 스마트 기기(미도시)와 페어링 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통신 모듈(160)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와 페어링하고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module 160 allows data to be exchanged after pairing with a smart device (not shown) to be paired.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a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device located nearby.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preferably pairs and communicates with a smart device using Bluetooth or low-energy Bluetooth.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내린 사용 제한 결정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추후에 사용 제한 해제 결정을 수신하거나, 스스로의 판단으로 사용 제한 해제를 결정할 때까지, 사용자의 사용 의사 표시에도 불구하고 발열부(13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receive control commands from a paired smart device. For example, a paired smart device may receive a usage restriction decision based on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control to limit the user's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130 not to operate despite the user's indication of intention to use it until it receives a decision to lift the usage restriction at a later date or decides to lift the usage restriction at its own discretion. there is.

또한 제어부(150)는 이러한 사용 제한 결정을 수신하면, 알림부(17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제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알림부(17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햅틱 액추에이터 또는 마이크로스피커일 수 있다. 알림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햅틱 효과 또는 시각적 효과 또는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켜, 현재 사용 제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Additionally, when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such a usage restriction decision, it can notify the user of the usage restriction status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70. The notification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a haptic actuator, or a microspeaker. The notification unit 170 generates at least one of a haptic effect, a visual effect, or a sound eff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to notify the user that use is currently restric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액상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표현한 내부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궐련을 수용하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 형성 물품(1000)으로 액상 카트리지를 수용한다는 점을 달리한다.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express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capable of accommodating a liquid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embodiment of FIG. 2 to accommodate a cigarette, except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1000 accommodates a liquid cartridge.

기재 공급부(120)에는 액상 카트리지(1000)가 장착될 수 있다. 액상 카트리지(1000)에 히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발열부(130)는 상기 액상 카트리지(1000)의 히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일 수 있다. 액상 카트리지(1000)에 히터가 포함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발열부(130)는 기재 공급부(120) 인근에 설치되어 액상 카트리지(1000)의 액상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일 수 있다.A liquid cartridge 100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The liquid cartridge 1000 may include a heater, and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may be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heater of the liquid cartridge 1000.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quid cartridge 1000 does not include a heater, the heating unit 130 may be a heater installed near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to heat the liquid of the liquid cartridge 1000.

발열부(130)를 통하여 발생한 에어로졸은 기류 패스(P)를 통과하고, 마우스피스(900)를 거쳐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사용량 감지부(140)로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퍼프 행위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달리하여 사용량 감지부(140)는 기재 공급부(120) 인근에 설치되여 액상 카트리지(1000) 내의 액상 잔량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ed through the heating unit 130 passes through the airflow pass (P) and can be inhaled by the user through the mouthpiece 900. As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various sensors that detect the user's puff behavior or the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can be used,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2. Additionally, in a different embodiment,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be a device installed near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to measure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artridge 1000.

도 4는 기재 공급부(120) 인근에 설치되여 액상 카트리지(1000) 내의 액상 잔량을 측정하는 사용량 감지부(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에어로졸 형성 물품(1000)은 액상 카트리지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저장되는 액상 탱크(1100)와 저장된 액상, 즉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부력에 의해 액상 탱크(1100) 내에서 부유하는 부유 플레이트(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유 플레이트(1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영구 자석(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자석(1300)은 부유 플레이트(1200)와 결합하되, 액상과는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액상 탱크(1100)의 외면과 접하며 형성될 수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installed near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and measur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artridge 1000. The aerosol-forming article 1000 is a liquid cartridge and includes a liquid tank 1100 in which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s stored and a floating plate 1200 that floats within the liquid tank 1100 by the buoyancy of the stored liquid, that i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an do. It may also include a permanent magnet 1300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plate 1200. The permanent magnet 1300 is coupled to the floating plate 1200, but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tank 1100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liquid.

이 때, 사용량 감지부(140)는, 기재 공급부(120)에 액상 카트리지(1000)가 장착되면, 액상 카트리지(1000)의 영구 자석(1300)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강자성체(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량 감지부(140)는 부유 플레이트(1200)의 하강에 의한 강자성체(141)의 하강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142), 예를 들어 적외선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aterial 141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1300 of the liquid cartridge 1000 when the liquid cartridge 1000 is mounted on the substrate supply unit 120. You can. Additionally,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142, for example, an infrared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descending distan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141 due to the descent of the floating plate 1200.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액상 카트리지(1000)를 장착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사용하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잔량이 감소하며, 부유 플레이트(1200)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구 자석(1300)과 자력으로 결합한 강자성체(141) 역시 하강하며, 거리 센서(142)로 상기 강자성체(141)의 하강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산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4 , when a user installs the liquid cartridge 1000 and us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remaining amount of aerosol-forming substrate decreases, and the floating plate 1200 is lowered by gravity. Accordingly, the ferromagnetic material 141 magnetically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1300 also descends, and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escending distan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141 using the distance sensor 142.

사용량 감지부(140)가 이렇게 액상 카트리지(1000)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산정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토대로 역시 정량적인 사용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age detection unit 140 calculates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of the liquid cartridge 1000, the control unit 150 can also generate quantitativ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is and transmit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스마트 기기(20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전술한 어느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페어링되는 스마트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예를 들어, 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PC, 태블릿 장치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적어도,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페어링하고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10)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220)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과 같은 표시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200)는 소정의 앱(app, 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특히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그대로 또는 추가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 장치(230)를 통하여 표시해 줄 수 있는 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5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shows a configuration to exemplarily illustrate a smart device 20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mart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is a block diagram.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mart syste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may also include a smart device 200 that is paired with it. The smart device 200 is a device that includes a processor capable of executing an app and a user interface, and may be, for example, a PC, a tablet device, or a smartphone.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t least a communication module 210 for pai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 storage device 220 for storing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information to the user. It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230 such as liquid crystal for displaying. Additionally, the smart device 200 may include a processor 240 capable of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 (application). The processor 240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executing an app that can display the u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s is or by further processing it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230.

통신 모듈(21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의 페어링과 통신을 위한 요소로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통신 모듈(160)과 페어링하고 통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가 실행하는 앱은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송신한 사용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게 또한 다양한 통계 방식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가 실행하는 앱은 시간이나 일, 주, 월, 년 단위의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 통계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0 is an element for pai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is capable of pai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or example, Bluetooth method or low-power Bluetooth method. It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app executed by the processor 240 can process the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various statistical way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it and display it to the user. For example, an app executed by processor 240 may display statistics on the user's number of puffs or consumption of aerosol-forming substrate by hour, day, week, month, or year.

프로세서(240)는 또한 실행하는 앱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한 사용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저장 장치(220)에 저장한다. 이 때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량이 상기의 제한 사용량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가 입력받는 제한 사용량은 하루 동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소모량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24시간 사용 주기 내에서의 사용량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소모량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만약 상기 제한 사용량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 제한 결정을 내리고 이를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40 also receives the limited usage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rom the user through an executing app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device 220. At this tim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age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has reached the above limi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limited usage amount input by the processor 240 may be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material per day. In this case, the processor 240 determines whether the usage amount within a predetermined 24-hour usage cycle has reached the aerosol-forming base consumption amoun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if the limited usage amount is reach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reached, the processor 240 may make a use restriction decision and transmit it to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사용 제한 결정을 전송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결정에 따라 발열부(130)가 다음 24 시간 사용 주기가 시작할 때까지 작동하지 않도록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제한 사용량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1회 사용 주기 내에서의 퍼프 횟수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프로세서(240)는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1회의 사용 주기 내에서의 퍼프 횟수가 상기 제한 사용량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만약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 제한 결정을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현재 작동 중인 발열부(13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알림부(170)는 상기 사용 제한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40)가 실행하는 앱과 표시 장치(2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제한에 대해 알릴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hich has received a use restriction decision from the paired smart device 200, disables the use of the heat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decision so that it does not operate until the next 24-hour use cycle begins. It can be limited. Alternatively, the limited usage amount may be the number of puffs within on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is case as well, the processor 24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puffs within one predetermined use cycle has reached the limit usage amoun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reached the limit. In this case, the processor 240 transmits the use restriction decision to the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at receives this stops operating the currently operating heating unit 130. can do. As described above, the notification unit 17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notify the user of the usage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ser may be notified of usage restrictions through an app executed by the processor 240 and the display device 23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explai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Of course,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0: 케이스
120: 기재 공급부 130: 발열부
140: 사용량 감지부 141: 강자성체
142: 거리 센서 150: 제어부
160: 통신 모듈 170: 알림부
200: 스마트 기기
100: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 Case
120: base material supply unit 130: heating unit
140: usage detection unit 141: ferromagnetic material
142: Distance sensor 150: Control unit
160: Communication module 170: Notification unit
200: Smart device

Claims (13)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장착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장착되는 기재 공급부;
기재 공급부에 삽입되거나 장착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사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량 감지부;
스마트 기기와의 페어링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발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량 감지부가 감지한 내용을 토대로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또한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가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내린 사용 제한 결정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contain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s inserted or mounted, it is heated to generate an aerosol, and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a paired smart device,
a substrate supply section into which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mounte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serted or mounted in the substrate supply unit;
A us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usage amount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with a smart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ired smart device; and
It includes at lea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detected by the usage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paired smart device, and also determines usage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aired smart devic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use is restricted according to a restriction decision.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방식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a smart device using Bluetooth or low-power Bluetooth.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정보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puff behavior or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제3항에 있어서,
사용량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pressure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사용량 감지부는 습도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습도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humidity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humidity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사용량 감지부는 연기 센서이고, 사용 정보는 연기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usage detection unit is a smoke sen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through the smoke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액상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액상 카트리지이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저장되는 액상 탱크와
저장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부력에 의해 액상 탱크 내에서 부유하는 부유 플레이트와
부유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부유 플레이트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잔량이 감소할수록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량 감지부는,
기재 공급부에 액상 카트리지가 장착되면, 액상 카트리지의 영구 자석과 결합하고, 액상 카트리지의 부유 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영구 자석과 함께 하강하는 강자성체와
부유 플레이트의 하강에 의한 강자성체의 하강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거리 센서가 측정한 강자성체의 하강 거리를 바탕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모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a liquid cartridge contain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 liquid form,
A liquid tank in which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stored, and
A floating plate that floats in the liquid tank due to the buoyancy of the store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It includes a permanent magnet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plate, and the floa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scends by gravity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decreases,
The usage detection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n the liquid cartridge is mounted on the substrate supply unit, it engages with the permanent magnet of the liquid cartridge, and when the floating plate of the liquid cartridge descends, the ferromagnetic material descends together with the permanent magnet.
It includes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descent distan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due to the descent of the floating plat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ump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scent distan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measured by a distanc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제8항에 있어서,
발열부는 니켈, 티타늄, SUS304, SUS316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heating portion is made of any one of nickel, titanium, SUS304, and SUS3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의 페어링과,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및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해 주는 앱(app)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with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a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smart system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mart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running an app that displays usage information of the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on a displa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실행하는 앱을 통하여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정보를 사용 기간별로 통계를 내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A smart system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nd displays statistics on the use of the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by period of use through an executing app.
제10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실행하는 앱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한 사용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용 정보를 토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량이 제한 사용량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 제한 결정을 내리고 이를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스마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processor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about the usage limi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running app, and when it determines that the usage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has reached the limi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ired aerosol-generating device, it makes a decision to limit usage. A smart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wered and transmitted to a paired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알림을 위하여 햅틱 효과 또는 시각적 효과 또는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부터 사용 제한 결정을 수신하면, 알림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제한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capable of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haptic effect, a visual effect, or a sound effect to notify the us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notifies the user of the usage restriction through a notification unit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ecision to limit use from the paired smart device.
KR1020220098052A 2022-08-05 2022-08-05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KR202400202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52A KR20240020244A (en) 2022-08-05 2022-08-05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52A KR20240020244A (en) 2022-08-05 2022-08-05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244A true KR20240020244A (en) 2024-02-14

Family

ID=8989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52A KR20240020244A (en) 2022-08-05 2022-08-05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2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8003B (en) Cartridge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with a flexible wall
AU2020200005B2 (en) Compliance-assisting module for an inhaler
RU2707892C2 (en) Electronic evaporator system
CA3020577C (en) Smart valved holding chamber
EP3508083B1 (en) Inhalation device including substance usage controls
US20220095688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DK179681B1 (en) Electronic smoking system
KR20190120826A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liquid reservoir
CN112165871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2584718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JP2022058136A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20244A (en) Smart aerosol-generating device to manage usage
US20200305511A1 (en) Inhalant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with binary dosing
EP375042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moking substitute device
KR102477685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42597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3533290A (en) Aerosol delivery system
JP4997350B1 (en) Breath alcohol measuring device
KR20240016634A (en) Puff measur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60107A (en) Aerosol-generat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volume of liquids
KR102631130B1 (en) Microparticle generator controlled via information provided from cigarette
KR20240028726A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aerosol generating article
KR20240052289A (en) Heating boost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240006975A (en) User adjus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33617A1 (en) Refillable articl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