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965A -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965A
KR20240019965A KR1020220097808A KR20220097808A KR20240019965A KR 20240019965 A KR20240019965 A KR 20240019965A KR 1020220097808 A KR1020220097808 A KR 1020220097808A KR 20220097808 A KR20220097808 A KR 20220097808A KR 20240019965 A KR20240019965 A KR 2024001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ontract
metaverse
nft
customer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준
Original Assignee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965A/en
Publication of KR2024001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96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server provides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Description

메타버스 기반 전시 시스템{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본 발명은 메타버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averse.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FT (Non-Fungible Token).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메타버스(metaverse)는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일컫는 용어로, 닐 스티븐슨의 1992년 소설 <소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메타버스는 5G 상용화에 따른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른 비대면 추세의 가속화로 인하여 점차 주목받고 있다.Metaverse is a term that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wher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similar to the real world take place, and is a concept that first appeared in Neil Stevenson's 1992 novel <Sono Crash>. Metaverse is gradually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llowing the commercialization of 5G and the acceleration of non-face-to-face trend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메타버스 관련 기술, 특히 정보 통신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 내용을 반영하여, 예술 작품의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메타버스를 통해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Metaverse-related technologies, especial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lockchain technology, attempts are being made to provide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for works of art through Metavers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메타버스(metaverse)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하는 단계,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a server provides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a metavers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from a first user device of a first customer, an image of a metaverse artwork for display in a virtual image space within the metaverse; A step of transmitting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n NFT (non-fungible token) representing the copyright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to a plurality of nodes in the blockchain platform, the first customer A smart contract request for requesting a smart contract of the NF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requesting the plurality of nodes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account) for conclusion of the smart contract, the virtual image Placing the metaverse art work image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n the space, controlled by a second user device of a second customer, Receiving acceptance information for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located in the metaverse, accepting the acceptance from the second user device to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a transaction ID (identification) related to information, the virtual image space Controlling to display smart contract conclus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mart contract has been concluded in the second area, wherein the plurality of nodes are external user devices or external devices using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It includes a server,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o trade the NFT with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ryptocurrency used in a second blockchain platfor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는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provide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describ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록체인 거래가 수행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노드들 간 상호 데이터송수신을 통해서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server and a user device.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to explain an example of a blockchain transaction being performed.
Figure 4 is a diagram to explain examples of methods for verifying blockchain transactions.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cluding a smart contract through mut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server, a first user device, a second user device, and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server and a user device.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자신 이외의) 외부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In this specification, “server” is a type of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e.g., user devices) or external servers (other than the self) through a network, and operates external devices or external servers. indicates the server for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You can. In one example, the server may be implemented using general server hardware and a web server program that is provided in various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운영 서버, 메타버스 서버, 메타버스 전시회 플랫폼 등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110 may refer to a device that provides art work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For example, the server 110 may be referred to by various names, such as an operation server, a metaverse server, and a metaverse exhibition platform.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In this specification, “user device” includes smartphones, cell phones, smart TVs, smart watches, electronic wristwatches, set-top boxes, tablet PCs, digital cameras, camcorders, laptop computers, desktops, and electronic devices. Book terminal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I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evices including navigation, MP3 players, wearable devices, air conditioners, microwave ovens, audio, DVD players, etc.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Long Term Evolution (LTE) Radio Access Technology (RAT), New Radio (NR) RAT, WiFi, etc.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In one example,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perform mutua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and a base station (e.g. For example, UU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with gNB and/or eNB).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performing the D2D communication or the UU communication, and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In 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FDMA) systems, precise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may be required. If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is not accurate, system performance may deteriorate due to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and inter-carrier interference (ICI). In D2D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in the physical layer, and a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may be used in the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D2D 통신 과정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In the D2D communication process,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is directly synchronized to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or directly synchronized to GNSS. It can be synchronized to GNSS indirectly through a terminal (within network coverage or outside network coverage). When GNSS is set as the synchronization source,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 at least one of which may calculate the DFN and subframe number using 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 and a (pre)set Direct Frame Number (DFN) offset.

또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be synchronized directly to the base station or to another terminal time/frequency synchronized to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be an eNB or gNB. For example, if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is within network coverage,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At least one of the 2 user devices 130 receiv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and is directly synchronized to the base station.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You can. Afterwards,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provid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another adjacent terminal. When the base station timing is set as a synchronization reference,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is connected to a cell (at the frequenc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for synchronization and downlink measurement. (if within cell coverage), primary cell, or serving cell (if outside of cell coverage at that frequency).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A base station (e.g., serving cell) may provide synchronization settings for carriers used for D2D or sidelink (SL) communications.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follow the synchronization setting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f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fails to detect any cell on the carrier used for the D2D or SL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settings from the serving cell are also If not received,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follow preset synchronization settings.

또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나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be synchronized to another terminal that has not obtaine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base station or GNSS. Synchronization source and preference can be set in advance to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ource and preference can be set through a control messag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100) (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가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상기 서버(11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00 (or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server 110 transmits data to the network 100, the network 100 may deliver (transmit) the data to the user device 12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device 120 transmits data to the network 100, the network 100 may deliver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110.

이하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신호 교환 또는 통신을 기반으로, 서버(110)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S. 2 to 7, based on signal exchange or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rver 110, the first user device 12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30, the server 110 uses a meta We will specifically examine ways to provide art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on buse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메타버스란, 아바타(avatar)를 통해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활동을 할 수 있는 가상 공간 플랫폼을 의미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아바타(220)를 통해 메타버스 내 3차원 가상 공간(210)을 이용/경험/체험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는 가상 공간이 3차원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메타버스환경은 3차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타버스 환경은 2차원 평면 가상 공간을 통해서 표현될 수도 있고, 촉각이나후각이 가미된 4차원 가상 공간을 통해서 표현될 수도 있다.Metaverse refers to a virtual space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engage in social, economic, educational,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similar to actual reality through an avatar. FIG. 2 shows an example of a user using/experiencing/experiencing a 3D virtual space 210 in the metaverse through an avatar 220. In the example of Figure 2, the virtual space is depicted in three dimensions, but the metaverse environment is not limited to three dimensions. The metaverse environment can be expressed through a two-dimensional flat virtual space, or a four-dimensional virtual space with tactile and olfactory senses.

복수의 사용자들은 각자의 아바타를 통해서 메타버스 환경을 이용/경험/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내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제1 아바타는 이동하거나, 점프하거나, 앉거나, 눕거나, 운동하는 등 신체 활동을 수행하고, 제2 아바타와 거래하는 등의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고,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를 통해서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Multiple users can use/experience/experience the metaverse environment through their respective avatars. For example, with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in the metaverse, the first avatar performs physical activities such as moving, jumping, sitting, lying down, or exercising, and performs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rading with the second avatar. Activities can be performed, and learning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images display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내에서 제1 아바타와 제2 아바타 간 거래가 이루어지거나, 제1 아바타와 메타버스 서버 간 거래 (예를 들어, 제1 아바타가 메타버스 내 가상 미술관에서 미술 작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이루어질때,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화폐(crypto currency)가 이용될 수 있다. 암호화폐는 가상 화폐(imaginarycurrency),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암호화폐를 통한 거래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transaction occurs between a first avatar and a second avatar within the metaverse, or between a first avatar and a metaverse server (e.g., a first avatar purchases a work of art at a virtual museum within the metaverse). When this happens, the cryptocurrency of the blockchain platform can be used. Cryptocurrency may also be referred to as virtual currency, digital asset, digital currency, etc. The transaction method through cryptocurrency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3 and 4.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아바타(220)를 제어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아바타(220)를 메타버스 내 3차원 가상 공간(210)의 특정 위치에서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user controlling the avatar 220 through a user device provides a perspective as if observing the avatar 220 from a specific loc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device. You can receive it.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210)의 위쪽(즉,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아바타(220)의 키(height) 보다 높은 고도 범위 내)에서 아바타(220)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거나, 옆쪽(즉,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아바타(220)의 키보다 낮은 고도 범위 내)에서 아바타(220)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 평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n avatar (i.e., within an altitude rang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vatar 220 with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from the user device. 220) is provided, or the same view is provided as observing the avatar 220 from the side (i.e., within an altitude rang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vatar 220 with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You can receive it. At this time, the user device may be a device with a flat display, such as a PC, laptop, or smartphon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아바타(220)를 제어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디바이스로부터, 본인이 아바타(220)가 되어 3차원 가상 공간(210)을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있다. 즉, 아바타(220)가 3차원 가상 공간(210) 내 가정집의 TV 앞에 서면 사용자는 본인이 3차원 가상 공간In another embodiment, a user who controls the avatar 220 through a user device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perspective as if he were the avatar 220 and observed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from the user device. there is. In other words, when the avatar 220 stands in front of the TV at home within the 3D virtual space 210, the user is in the 3D virtual space.

(210) 내 TV 앞으로 가 있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바타(220)가 고개를 위로 젖히면 사용자는 본인이 3차원 가상 공간(210) 내 가정집의 천장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고, 상기 3차원 가상 공간(210)은 상기 HMD를 통해서 구현되는 VR(Virtual Reality) 360도 이미지일 수 있다.(210) You can be provided with the same perspective as if you were in front of your TV, and when the avatar (220) tilts your head up,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same perspective as if you were looking at the ceiling of your home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210). You can. At this time, the user device may be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3D virtual space 210 may be a 360-degree VR (Virtual Reality) image implemented through the HMD.

도 3은 블록체인 거래가 수행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to explain an example of a blockchain transaction being performed.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는,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된 확정 거래 내역이 기록/포함될 수 있다. 확정 전 거래 내역을 기록한 블록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타당성 판단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타당성 판단 방법, 또는 합의 프로토콜(consensus protocol)의 예시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Block chain refers to a collection of blocks connected one after another. Here, the block forming the chain may record/include confirmed transaction details transac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platform. In order for a block recording pre-confirmation transaction details to be approved, validity judgment must be performed by network participants. An example of the validity judgment method or consensus protoc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 4.

도 3은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수행되는 참여자들 간의 통신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블록체인 거래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는,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두 사용자들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든 장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체인 거래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 각각은, 도 1에서 전술된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igure 3 show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participants performed within a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may represent user devices of two users performing blockchain transactions, and one or all of the devices may be servers. You can.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is the server 110, first user device 120, or second user device described above in FIG. 1. It may be any one of (130).

블록체인 플랫폼이란, 독자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하나의 블록체인 생태계(ecosystem)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의 종류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솔라나(solana), 클레이튼(klaytn) 등 다양하며, 각 블록체인 플랫폼은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블록 사이즈 등의 요소들 중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각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거래 수단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인데, 각 블록체인 플랫폼이 채택한 합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암호화폐의 생성 및 거래 방법이 다양할 수 있으며, 합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A blockchain platform can refer to a blockchain ecosystem or blockchain network that operates based on proprietary blockchain technology. There are various types of blockchain platforms, such as Bitcoin, Ethereum, Solana, and Klaytn, and each blockchain platform has blockchain consensus protocol, interface, and block size. Some of the factors may be different. The means of transaction used in each blockchain platform is cryptocurrency. Depending on the consensus protocol adopted by each blockchain platform, the methods of creating and trading cryptocurrency may vary. The consensus protocol is detailed in Figure 4.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더리움(Ethereum)은, 2015년 7월 30일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창안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자, 해당 플랫폼의 자체 통화(즉, 암호화폐)의 이름을 나타낸다. 비트코인이 결제나 거래 관련 시스템, 즉 화폐로서의 기능에 집중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 아니라 계약서(contract),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게 확장성(scala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화폐로서뿐 아니라 dAPP이라고 불리는 분석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을 누구나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류는 자바스크립트를 변형한 솔리디티(solidity)이나, C++, Java, 파이썬(Python), Go(Golang) 등 대부분의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여 범용성을 갖추고 있다.Ethereum is a public blockchain platform created by Vitalik Buterin on July 30, 2015, and represents the name of the platform's native currency (i.e. cryptocurrency). While Bitcoin focuses on payment or transaction-related systems, that is, functions as currency, Ethereum is based on blockchain, a core technology, and is used not only for transactions and payments, but also for contracts, SNS (Social Network Service), email, electronic voting, etc. It can provide scalability so that various applications can be operated transparently. In other words, it is a platform that allows anyone to create and use not only a currency but also an analysis application (Decentralized Application) called dAPP. Ethereum's mainstream programming language is Solidity, a modified version of JavaScript, but it supports most major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C++, Java, Python, and Go, providing versatility.

NFT(Non-Fungible Token), 즉 '대체 불가능 토큰'이란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여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는 각기 동일한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1:1 교환이 가능한 반면, NFT는 각자가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받음으로써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가치와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디지털화가 가능한 자산에 고유의 일련번호를 넣는 NFT 기술을 적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한, 즉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디지털) 자산을 생성할 수 있는데, NFT를 적용할 수 있는 자산은 영상, 이미지, 소리, 텍스트 등의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예술품, 수집품, 게임 아이템, 음운, 각종 상품, 가상 부동산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NFT (Non-Fungible Token), or 'non-fungible token', can refer to a blockchain-based token that cannot be exchanged or copied and thus has its own uniqueness and scarcity. As mentioned above, fungible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can be exchanged 1:1 because they each have the same value, whereas NFTs have values and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replaced by each being given a unique recognition value. do. By applying NFT technology, which puts a unique serial number on assets that can be digitized, you can create (digital) assets that cannot be copied, that is, only one in the world. Assets to which NFT can be applied include videos, images, sounds, It is very diverse, ranging from digital content such as text to artwork, collectibles, game items, phonemes, various products, virtual real estate, etc.

복수의 노드들(330)은,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거래들의 합의 프로토콜에 관여하는 복수의 서버들,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복수의 네트워크들을 나타낸다. 합의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의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nodes 330 represent a plurality of servers, a plurality of devices, and a plurality of networks involved in the consensus protocol of transactions performed on the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ensus protocol, the range of the plurality of nodes 330 may be different.

도 3에서는 복수의 노드들(330)과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구별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함이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에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상기 제2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는, 도 1에서 전술된 네트워크(100)를 통해서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Figure 3, the plurality of nodes 330,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are depicted as being distinct, but this is to clearly indicate the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In som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nodes 330 may include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The plurality of nodes 330 shown in FIG. 3,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ar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00 described above in FIG. 1. Data can be sent and received between them.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가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로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이용되는 특정 암호화폐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의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wallet)의 주소(address),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암호화폐의 수량 및 전송하고자 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즉,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의 제2 사용자가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의 주소를 포함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또는 ID)를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전송하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기 결정된 합의 프로토콜 방법을 통해서 거래를 승인할 수 있다. 거래가 승인되면,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 전송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을 통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 서는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가 감소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는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가 증가되었음을 기록한 블록이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 내 기존의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A method of transmitting a specific cryptocurrency used within the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from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to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s follows. The address of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first user of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the quantity of the specific cryptocurrency to be transmitted, and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to be transmitted (i.e. , Transaction information (or ID) including the address of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second user of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is sent to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 to the plurality of nodes 330, the plurality of nodes 330 can approve the transaction through a predetermined consensus protocol method. When the transaction is approved, the quantity of the specific cryptocurrency may be transferred from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first user to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second user. In other words, through the plurality of nodes 330, the specific cryptocurrency is reduced by the amount in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first user, and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owned by the second user is reduced. In , a block recording an increase in the specific cryptocurrency by the above quantity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blockchain within the blockchain platform to form a new blockchain.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계약 조건을 코딩하고,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내용이 이행되는 디지털 계약 방식을 일컫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와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와 상기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오픈씨(opensea)와 같은 NFT(Non-Fungible Token) 거래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가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스마트 컨트렉트의 계약 내용에 동의하는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상기계약 내용,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의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주소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의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또는ID)를 전송하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계약 내용이 실현/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던 NFT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제2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이동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던 소정의 암호화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 이동할 수 있다.A smart contract refers to a digital contract method in which contract conditions are coded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contract is implemented when the conditions are met. The method for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conclude a smart contract based on the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is as follows: same. At this time, either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or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supports, for example, a Non-Fungible Token (NFT) trading platform such as opensea. It could be a server that does. When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requests the plurality of nodes 330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the plurality of nodes 330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can do. At this time,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which agrees to the contract contents of the smart contract, sends the contract contents to the plurality of nodes 330 and the first user of the first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10. When transaction information (or ID) including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address owned by the user and the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address owned by the second user of the second blockchain transaction participation device 320 is transmitted, the smart contract is It is conclud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above contract can be realized/executed. For example, the NFT owned by the first user is moved from the first us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to the second us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and a certain cryptocurrency owned by the second us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user. It is possible to move from the us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to the first us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도 4는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to explain examples of methods for verifying blockchain transactions.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들(330)이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합의 프로토콜 방법은, 예를 들어작업 증명 방식(Proof of Work, PoW)(410)과 지분 증명 방식(Proof of Stake, PoS)(420)이 존재하며, 합의 프로토콜 방법의 종류는 상기 두 가지에 한정되지 않는다.Consensus protocol methods by which a plurality of nodes 330 constituting the blockchain platform prove blockchain transactions include, for example, Proof of Work (PoW) 410 and Proof of Stake. PoS) 420 exists, and the types of consensus protocol method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wo.

작업 증명 방식(410)은, 블록 생성자 (또는 채굴자, 검증자 등)가 거래 기록 정보에 무작위 특성을 가진 논스(nonce) 값과 해시(hash)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블록체인의 블록 헤더에 제시된 난이도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검출함으로써 블록을 생성하고 보상을 받는 합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블록 생성자는, 예를 들어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작업 증명 방식(410)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 있다.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프로토콜 방식이 작업 증명 방식(410)일 경우,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대상이 상기 블록 생성자(또는 채굴자, 검증자 등)이므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곧 상기 블록 생성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oof-of-work method (410), the block creator (or miner, verifier, etc.) applies a nonce value with random characteristics and a hash algorithm to transaction record information, which is presented in the block header of the blockchain. It refers to a consensus protocol that creates a block and receives compensation by detecting a hash value that satisfies the difficulty conditions. Block creators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example, in cryptocurrency used on the blockchain platform. Blockchain platforms that use the proof-of-work method 410 include, for example, Bitcoin. If the consensus protocol method of a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is the proof-of-work method (410), the object that proves the blockchain transaction within the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is the block creator (or miner, verifier, etc.), so the plurality of Nodes 330 may refer to the block creator.

지분 증명 방식(420)은, 합의 시 블록체인 플랫폼의 각 노드의 지분의 양에 따라 각 노드에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합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각 노드의 지분은, 각 노드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양과 비례할 수 있다. 각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를 각 노드가 블록 생성에 기여한 비율에 따라서 리워드 받을 수 있다. 지분 증명 방식(420)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는, 예를 들어 솔라나, 에이다(ADA) 등이 있다.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프로토콜 방식이 지분 증명 방식(420)일 경우,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대상이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를 보유한 모든 참가자들 또는 노드들이므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곧 모든 참가자들 또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The proof-of-stake method 420 refers to a consensus protocol that differentially grants the authority to create blocks to each node depending on the amount of stake of each node in the blockchain platform upon agreement. The stake of each node may b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ryptocurrency held by each node. Each node can receive a reward for the transaction fees generated by the block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each node's contribution to block creation. Blockchain platforms that use the proof-of-stake method (420) include Solana, ADA, etc. If the consensus protocol method of a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is the proof-of-stake method (420), the subjects of proving blockchain transactions within the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are all participants or nodes holding cryptocurrency used in the blockchain platform. Therefore, the plurality of nodes 330 may mean all participants or node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5에서 설명되는 서버는, 도 1에 개시된 서버(110), 도 6에 개시된 서버(601) 또는 도 7에 개시된 서버(700)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5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개시된 (서버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The operations disclosed in the flowchart of FIG. 5 can be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xample, the server described in FIG. 5 may correspond to the server 110 shown in FIG. 1, the server 601 shown in FIG. 6, or the server 700 shown in FIG. 7. In one example, the operations disclosed in the flowchart of FIG. 5 may correspond to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server) disclosed in FIGS. 1 to 4 and FIG. 7 .

단계 S5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1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from the first user device of the first customer, an image of a metaverse artwork for display in a virtual image space within the metaver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은 3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 4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 또는 2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image space may be a 3-dimensional virtual image space, a 4-dimensional virtual image space, or a 2-dimensional virtual image space.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오프라인 상에서 작가에 의해 제작된 실물 미술 작품 이미지를 촬영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화 한 디지털 미술 작품 이미지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may be a digital artwork image obtained by digitizing an image of a physical artwork created by an artist offline based on photography.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온라인 상에서 PC, 테블릿,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작가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미술 작품 이미지일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may be a digital artwork image created by the artist online based on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C, tablet, laptop, or smartph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포맷은 컴퓨팅 이미지 파일이며, 파일 확장자는 PNG, JPG, JPEG, GIF, WEBP, MP4 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rmat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a computing image file, and the file extension may be PNG, JPG, JPEG, GIF, WEBP, MP4, etc.

단계 S5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52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nodes in a first blockchain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an NFT (non-NFT) representing the copyright of the image of the metaverse artwork. You can transmit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to create a -fungible tok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ethereum)일 수 있다. 다만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레이튼, 솔라나, 에이다 등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may be Ethereum. However,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is not limited to Ethereum, and various blockchain platforms such as Klaytn, Solana, and Ada can operate as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선행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대신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is proactive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replaces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with the plurality of nodes. It may be convey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명칭,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이미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작가의 이름,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이미지의 작가의 SNS 주소 및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저장 또는 게시된 링크(lin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 description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the name of the artist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nd the metaverse artwork.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NS address of the artist of the image and a link where the metaverse art work image is stored or pos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NFT 민팅(minting) 정보, NFT 민팅 요청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differently as NFT minting information, NFT minting request information, et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은, 수신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NFT의 생성을 지시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을 기존의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블록체인의 생성을 기반으로, 상기 NFT가 생성되어 상기 제1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 추가/포함/전송될 수 있다.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generates a block indicating the creation of the NFT based on the received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combines the generated block with the existing blockchain to create a new blockchain. can do. Based on the creation of the new blockchain, the NFT can be created and added/included/transferred to the first custom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단계 S5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3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nds a smart contract (smart contract) of the NF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device of the first customer. You can receiv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that requests a contra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와 관련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는, 상기 NFT를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의 암호화폐와 거래/교환하는 내용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보유하는 상기 제1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address),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 상기 암호화폐의 종류, 상기 NFT에 대한 경매 마감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NFT may be about trading/exchanging the NFT with a certain cryptocurrency used in a specific blockchain platform.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custom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holding the NFT, the quantity of the predetermined cryptocurrency, the type of the cryptocurrency, and the auction closing time for the NFT. It may include etc.

일 예시에서,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를 위한 경매의 시작 시점의 최소 경매 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부터 경매를 시작하여, 경매 마감 시점이 도래하기까지 제시된 경매 수량 중 최고 수량을 제시한 경매자와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quantity of the predetermined cryptocurrency may represent the minimum auction quantity at the start of the auction for the smart contract of the NFT. In other words, you can start the auction from the predetermined amount of cryptocurrency and conclude a smart contract with the auctioneer who offers the highest amount among the auction quantities presented until the auction closes.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내에 디스플레이 된 시간, 메타버스 내 아바타들의 접근 빈도 등을 기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예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nother example, the quantity of the predetermined cryptocurrency may be reduced based on the tim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displayed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 access frequency of avatars in the metaverse, etc. More specific examples and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단계 S5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In step S54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quests the plurality of nodes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account) for conclusion of the smart contrac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You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 하에서 생성된 블록체인 계정/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은 이더리움 플랫폼 하에서 생성된 블록체인 계정/주소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contract account may be a blockchain account/address created under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For example, the smart contract account may be a blockchain account/address created under the Ethereum platform.

단계 S5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할 수 있다.In step S55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lac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아직 미술 작품 이미지가 전시(디스플레이)되지않은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제1 영역의 크기는,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 내 이미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다른 미술 작품 이미지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크기에 관한 구체적인 설정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 영역의 모든 부분이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되,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또는 상기제1 영역)의 우측 하단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상기 NFT와 교환을 요구하는 암호화폐의 종류 및 수량, 경매 시 경매 시작가 및 경매 종료일, 등)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may plac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terio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where the artwork image is not yet displayed. The size of the first are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ize of other art work images already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and specific settings regarding the size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server. The server adjusts the size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by the size of the first area so that all parts of the first area are displayed as the metaverse artwork image, but the metaverse artwork image (or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displayed by the server.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type and quantity of cryptocurrency requesting exchange for the NFT, auction start price and auction end date, etc.) can be displayed at the bottom right of area 1).

단계 S5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6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ceives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located in the metaverse and controlled by the second user device of the second customer. You can receive acceptance information abou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내 아바타를 생성함에 있어서, 고객이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입력한 아바타 요청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요청 정보는, 상기 아바타의 헤어 스타일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얼굴형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체형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의류 선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헤어 스타일 옵션, 얼굴형 옵션, 체형 옵션, 의류 옵션 등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것일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creating an avatar in the metaverse, avatar request information input by a customer through a user device may be used. The avatar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vatar's hairstyle selection information, the avatar's face type selection information, the avatar's body type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avatar's clothing selection information. Selectable hairstyle options, face shape options, body shape options, clothing options, etc.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ser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낙 정보는, 상기 제2 고객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에 동의함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제2고객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수행해도 될지 확인하는 정보 및 상기 제2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s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 customer agrees to the smart contract, and whether the second customer may perform a transaction to conclude the smart contract. It may include ver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of the second custom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위한 상기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컨펌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트랜잭션 ID를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transmit information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ransaction for concluding the smart contract to the second user device of the second customer. The second use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transmit a transaction ID for concluding the smart contract to the plurality of nodes.

일 예시에서, 상기 트랜잭션 ID는,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주소 및 상기 NFT와 거래하기 위한 암호화폐의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transaction ID may include the address of the second customer's cryptocurrency electronic wallet, the address of the smart contract account, an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cryptocurrency for trading with the NF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상기 트랜잭션 ID가 승인되어 상기 NFT와 거래하기 위한 소정 수량의 암호화폐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으로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ased on the transaction ID being approved by the plurality of nodes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cryptocurrency for trading with the NFT being sent to the smart contract account, the first customer and the first 2 Smart contracts can be concluded between customers.

단계 S57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570,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ased on the transaction ID (identification) related to the acceptance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to the plurality of nodes,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smart contract conclus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mart contract has been concluded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 the virtual image space. You can control 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an external user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using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o trade the NFT with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ryptocurrency used in a second blockchain platform.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블록체인 플랫폼과 상기 제2 블록체임 플랫폼은 모두 이더리움 플랫폼이고, 상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blockchain platform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For example, both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and the second blockchain platform may be Ethereum platforms, and the cryptocurrency may be Ethereum.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 플랫폼이고,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클레이튼 플랫폼이며, 상기 암호화폐는 클레이튼일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blockchain platform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For example,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may be an Ethereum platform, the second blockchain platform may be a Klaytn platform, and the cryptocurrency may be Klayt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a분(minutes)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b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a는 자연수이고, 상기 b는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the predetermined quantit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the elapse of a minute, it is determined as b * (the predetermined quantity), where a is a natural number and b may be a real number between 0 and 1.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수량이 5일 경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5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200분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0.8) * (5) = 4로 결정되며, 이때 a=200, b=0.8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quantity is 5,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5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 Based on the passage of 200 minutes from the initial point, it is determined as (0.8) * (5) = 4, where a = 200 and b = 0.8.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c는 자연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the predetermined quantit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c hours elapsed,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 (c hours)}, and [(total number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during the previous c hours)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artwork images)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where c may be a natural number.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수량이 5일 경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5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5시간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5}와, [(이전5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5 *(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5이다.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많은지 또는 적은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결정/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quantity is 5,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5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 based on 5 hours from the initial point in time,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 5}, and [(total art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during the previous 5 hours)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artwork images) / {5 * (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Here c is 5. In other words,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number of avatars (custome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during a specific time is greater or less than that of other artworks in the virtual image space. /Can be changed.

일 실시예에서,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vatar of a specific customer approaches the specific artwork image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avatar is loc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from the specific artwork image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t can be decided that

일 예시에서, 상기 임계 거리는, 2m (가상 이미지 공간에서의 수치 기준)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hreshold distance may be 2m (a numerical standard in virtual image sp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s) / (c hours)} is equal to [(total avatars accessing the total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for the NFT, at the time c hours have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being greater than (total number of images)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The quantity is determined by d * (the predetermined quantity), and d may be a real number greater than 1.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많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초기 수량 대비 증가 (d>1) 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avatars (custome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during a certain time is greater than that of other artworks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quantity. (d>1) It can be d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In one embodiment,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s) / (c hours)} is [(total avatars accessing the total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total number of images) / {(c time)*(the 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based on which c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point in time.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1보다 작은 실수일 수 있다.At the time,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determined by e * (the predetermined quantity), and e may be a real number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적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초기 수량 대비 감소 (0<e<1) 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avatars (custome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during a specific tim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artworks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reduced compared to the initial quantity. (0<e<1) can be d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private room) 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 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ustomer to the second customer, and the smart contract is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stored in the private room of the second customer within the metaverse.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within.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은, 상기 메타버스의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상기 제2 고객의 집일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의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더 이상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집의 특정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customer's personal space may be the second customer's home within the virtual image space of the metaverse. Based on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no longer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and At the same tim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econd customer's ho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 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ustomer to the second customer, and the smart contract is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within the metaverse retrieves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t can be controlled to enable transport within the virtual image space.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 되기 전에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된 채(fixed)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다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 주변(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에,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바타를 제어하는 상기 제2 고객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영역을 탭(tab)하거나, 클릭(click)하거나, 보조 조작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 아바타의 손이 상기 제1 영역에 이르도록 제어할 경우,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운반하게 될 수 있다.In one example, before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metaverse artwork image may be displayed as fixed in the first area. . Then, based on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within the metaverse transfers the metaverse artwork image to the virtual It can be controlled to enable transport within the image space. For example, a message informing that it has become possible for the first avatar to carry the image of the metaverse artwork around the first area (e.g., an area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can be displayed. The second customer controlling the first avatar tabs, clicks, or uses an auxiliary operation device on the first area wher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user device. When the first avatar's hand is controlled to reach the first area, the first avatar may carry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the predetermined quantit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c hours elapsed,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 (c hours)}, and [(total number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during the previous c hours)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artwork images)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and the second avatar of a specific customer is locat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Based on being loc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from the image of a specific work of art displayed in total number of avatars) / (c hours)} is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total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 {(c hours)*(the total artwork images numb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c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determined as d* (the predetermined quantity), where d is 1 A bigger mistake is that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s) / (c hours)} is [(total avatars accessing the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at the time c hours have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something less than (total number of)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The quantity is determined by e Based on the transfer from the first customer to the second customer, and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meta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in the bus may be controlled to carry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virtual image sp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제2 고객의 개인 공간(private room) 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the predetermined quantit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c hours elapsed,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 / (c hours)}, and [(total number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during the previous c hours)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artwork images)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and the second avatar of a specific customer is located in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Based on being loc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from the image of a specific work of art displayed in total number of avatars) / (c hours)} is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total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 {(c hours)*(the total artwork images numb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c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s determined as d* (the predetermined quantity), where d is 1 A bigger mistake is that {(total number of avatars accessing the metaverse artwork images) / (c hours)} is [(total avatars accessing the total artwork images displayed in the virtual art gallery during the previous c hours)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at the time c hours have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something less than (total number of) / {(c time)*(total number of artwork images)}] The quantity is determined by e Based on the transfer from the first customer to the second customer, and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the ownership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in the metavers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ustomer, the meta The bus artwork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private room of the second customer within the metavers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노드들 간 상호 데이터송수신을 통해서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cluding a smart contract through mut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server, a first user device, a second user device, and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의 흐름도에서, S605, S610, S620, S625, S635, S640 및 S655는 도 5의 S510 내지 S570과 대응되는 단계일수 있다.In the flowchart of FIG. 6, S605, S610, S620, S625, S635, S640, and S655 may be steps corresponding to S510 to S570 of FIG. 5.

단계 S60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2)로부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05,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a metaverse artwork image for display in a virtual image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he first user device 602.

단계 S6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복수의 노드들(604)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610,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transmit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generating an NFT representing the copyright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to a plurality of nodes 604.

단계 S61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604)은,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관한 NFT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615, a plurality of nodes 60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generate an NFT related to an image of a metaverse artwork.

단계 S6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2)로부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를 요청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20, the server 6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requesting a smart contract of NFT from the first user device 602.

단계 S62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노드들(604)에게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In step S625,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quests the plurality of nodes 604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for entering into a smart contrac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You can.

단계 S6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604)은,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630, a plurality of nodes 60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단계 S63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In step S635,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lac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nd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n the virtual image space.

단계 S6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로부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40,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consent information for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03.

단계 S6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는, 복수의 노드들(604)로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650, the second user device 60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transmit a transaction ID related to acceptance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nodes 604.

단계 S655에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제1 고객과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컨트렉트는, 트랙잭션 ID에 대한 복수의 노드들(604)의 거래 승인이 완료된 것을 기반으로 체결될 수 있다.In step S655, a smart contract may be concluded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At this time, the smart contract may be concluded based on the completion of transaction approval by a plurality of nodes 604 for the transaction ID.

단계 S6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660에 선행하여, 서버(601)는 복수의 노드들(604)로부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제1 고객과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60, the server 6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smart contract execu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mart contract has been concluded to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 the virtual image space. At this time, prior to step S660, the server 601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mart contract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has been concluded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from the plurality of nodes 604.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버(700)의 필수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서버(7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erver 7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base (DB) 710, a transceiver 720, and a processor 730. However, in some cases, not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may b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server 700, and the server 7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7.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에서 데이터베이스(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server 7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atabase 710, the transceiver 720, and the processor 730 are each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or at least two or more components are implemented through one chip. It may be possible.

데이터베이스(DB, 710)는 송수신부(720) 또는 프로세서(73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30)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The database (DB) 710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720 or the processor 730. In one embodiment, database 710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In one exampl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be used when the processor 730 executes a learning model.

송수신부(720)는 서버 내부의 모듈 간 통신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외부 서버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unit 720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modules within the server and/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signals, and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In one example, the transceiver 7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eg, an external user device, an external server, etc.).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710) 및 송수신부(720)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 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6에서 서버(700)의 동작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700.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730 can generally control the database 710 and the transceiver 72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710 of the server 700.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730 may perform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server 700 in FIGS. 1 to 6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700.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es a transceiver unit 720 to receive a metaverse artwork image for display in a virtual image space in the metaverse from a first user device of a first customer. )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nodes in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NFT (non-NFT) representing the copyright of the image of the metaverse artwork. The transceiver unit 72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fungible token.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smart contract of the NF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device of the first customer. ) can be controlled to receiv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ased o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requests the plurality of nodes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account) for conclusion of the smart contract. The transceiver unit 720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할 수 있다.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lace the metaverse artwork image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terio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n the virtual image space. .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trols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located in the metaverse, controlled by the second user device of the second customer. The transceiver 72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acceptance information. The processor 7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erform a transaction related to the accepta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device to the plurality of nodes. (transactio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being concluded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based on the ID (identification) being transmitted, a second area in the virtual image spac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smart contract conclus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mart contract has been concluded is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external user devices or external servers that use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o trade the NFT with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ryptocurrency used in a second blockchain platform.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Some embodiments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atent claims.

Claims (1)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하고,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a분(minutes)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b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a는 자연수이고, 상기 b는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인, 서버.
In the server that provides art exhibition and sale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transceiver; and
Including a processor,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to receive, from a first user device of a first customer, an image of a metaverse artwork for display in a virtual image space within the metavers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n NFT (non-fungible token) representing the copyright of the Metaverse artwork image with a plurality of nodes in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Controlling the transceiver to transmit,
A smart contract that requests a smart contract of the NF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NFT cre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device of the first custom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to receive request informatio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control the transceiver to request the plurality of nodes to create a smart contract account for conclusion of the smart contract,
Place the metaverse art work image and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on a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of the virtual art exhibition hall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receive acceptance information for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avatar of the second customer located in the metaverse, controlled by the second user device of the second customer. control the wealth,
The smart contract between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in the smart contract account is based on a transaction ID (identification) related to the consent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to the plurality of nodes. Based on the contract being concluded, smart contract execu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mart contract has been concluded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 the virtual image space,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 external user devices or external servers using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questing to trade the NFT with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ryptocurrency used in the second blockchain platform,
The quantity of the cryptocurrency to be traded with the NFT, indicated by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the predetermined quantit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smart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s a minute from the initial time. Based on this elapsed time, b * (the predetermined quantity) is determined, where a is a natural number and b is a real number between 0 and 1.
KR1020220097808A 2022-08-05 2022-08-05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KR202400199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808A KR20240019965A (en) 2022-08-05 2022-08-05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808A KR20240019965A (en) 2022-08-05 2022-08-05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965A true KR20240019965A (en) 2024-02-14

Family

ID=8989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808A KR20240019965A (en) 2022-08-05 2022-08-05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9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554B1 (en) server that provides the metaverse platform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11257059B2 (en) Keyboard application with third party engagement selectable items
CN113728584A (en) Zero knowledge blockchain attribution
CN112101919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50287114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of grouping buyer requests matching in combination with a seller offer
EP3035201A1 (en)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based information objects
US10616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hatrooms for consultation
JP2020135114A (en) Communication progra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40019965A (en) Metaverse based exhibition system
CN115965458A (en) Generating tokenized reputation scores
KR102472008B1 (en) Method and asse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asset management service through metaverse based on blockchain
KR102584688B1 (en) Method and server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 based on bloackchain
KR102569578B1 (en) Method and server providing medical service platform based on bloackchain
KR102495580B1 (en) A method and a server providing image pirate detection service
US10862973B2 (en) Web architecture for servicing interdependent processes on mobile devices
CN111598635B (en) Bil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127003B (en) Wallet account payment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118565A1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20080096282A (en) Contents direct - transaction system of member
WO20222084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exchanging cryptographically verifiable utility tokens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
JP202316871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230157603A (en) System for providing NFT using location information
KR20230124369A (en) Method for providing of generating relationships with protector for providing reservation substitute payment process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16828054A (en)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device and equipment of content interaction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