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664A -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 Google Patents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664A
KR20240019664A KR1020220141438A KR20220141438A KR20240019664A KR 20240019664 A KR20240019664 A KR 20240019664A KR 1020220141438 A KR1020220141438 A KR 1020220141438A KR 20220141438 A KR20220141438 A KR 20220141438A KR 20240019664 A KR20240019664 A KR 2024001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enter
coaxial cable
horizontal
dipo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안유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1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는, 내부 도체, 외부 도체, 및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에서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연결되고, 동축 케이블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방사체, 및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부 방사체의 하부에서 상부 방사체와 이격하여 마련되는 하부 방사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WIDEBAND DIPOLE ANTENNA}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다이폴 안테나는 구조가 단순하고 효율이 높아서 통신용, 레이더용, 및 계측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직 편파의 전파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다이폴 안테나를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동축선을 통해 급전하는 것이 편리하다.
한편,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주파수 대역폭이 10 ~ 20% 범위가 통상적이다. 그러나,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50% 이상의 대역폭에 걸쳐 통신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에, 다이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확장하기 위해 도선 대신 평판 또는 평판을 근사화하는 도선망을 사용하거나 두꺼운 도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안테나의 무게 증가, 공기 저항 증가, 및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 구조물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22119호(2002.05.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대역을 구현하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는, 내부 도체,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사이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방사체; 및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사체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방사체와 이격하여 마련되는 하부 방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방사체는,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는 중심 도선; 상기 중심 도선의 일측에서 상기 중심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 상부 도선; 상기 중심 도선의 타측에서 상기 중심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2 상부 도선; 및 상기 제1 상부 도선 및 상기 제2 상부 도선의 하단에서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상기 제2 상부 도선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는 제1 수평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사체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일측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과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 하부 도선;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측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과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상부 도선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상부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2 하부 도선; 및 상기 제1 하부 도선 및 상기 제2 하부 도선의 상단에서 상기 제1 하부 도선과 상기 제2 하부 도선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외부 도체와 연결되는 제2 수평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기 설정된 임계 주파수 이상인 경우, 상기 내부 도체 자체를 연장하여 중심 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도선과 상기 제2 수평 도선 간의 간격을 기 설정된 간격 이내에서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도선은, 상기 내부 도체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체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외부 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상기 제2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제1 하부 도선과 상기 제2 하부 도선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도선은 상기 제1 상부 도선 보다 길고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방사체, 하부 방사체, 및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는 다이폴 안테나를 통해,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광대역 전체에 걸쳐 일정한 이득 패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가 단순하고 경량하며 풍압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 계수(S11)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1.85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2.90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3.95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는 상부 방사체(102), 하부 방사체(104), 및 동축 케이블(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방사체(102)는 동축 케이블(106)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방사체(102)는 동축 케이블(106)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방사체(102)는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방사체(102)는 중심 도선(102a), 제1 상부 도선(102b), 제2 상부 도선(102c), 및 제1 수평 도선(102d)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도선(102a)은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도체(106a)가 중심 도선(102a)과 연결됨에 따라, 내부 도체(106a)는 안테나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중심 도선(102a)과 내부 도체(106a)의 연결은 납땜 작업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 도선(102a)은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중심 도선(102a)은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중심 도선(102a)이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 도선(102a)은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도선과 내부 도체(106a)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를 외부로 인출하여 내부 도체(106a) 자체를 중심 도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의 동작 주파수가 기 설정된 임계 주파수(예를 들어, 1GHz) 이상인 경우, 내부 도체(106a) 자체를 중심 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임계 주파수는 내부 도체(106a)의 직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도선(102b)은 중심 도선(102a)의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서 중심 도선(102a)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도선(102b)은 중심 도선(102a)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도선(102b)은 중심 도선(102a)의 길이 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도선(102c)은 중심 도선(102a)의 타측(예를 들어, 우측)에서 중심 도선(102a)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도선(102c)은 중심 도선(102a)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도선(102c)은 중심 도선(102a)을 기준으로 제1 상부 도선(102b)과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평 도선(102d)은 제1 상부 도선(102b) 및 제2 상부 도선(102c)의 하단에서 제1 상부 도선(102b)과 제2 상부 도선(102c)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 도선(102d)은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 도선(102a)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수평 도선(102d)과 내부 도체(106a)의 연결은 납땜 작업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평 도선(102d)의 중심이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평 도선(102d)이 제1 상부 도선(102b)과 제2 상부 도선(102c)을 연결할 때, 제1 수평 도선(102d)의 양단은 상부로 굴곡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수평 도선(102d)의 양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부 도선(102b)과 제2 상부 도선(102c)의 하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 도선(102b), 제2 상부 도선(102c), 및 제1 수평 도선(102d)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상부 도선(102b), 제2 상부 도선(102c), 및 제1 수평 도선(102d)은 하나의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방사체(104)는 상부 방사체(102)의 하부에서 상부 방사체(102)와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방사체(104)는 동축 케이블(106)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방사체(104)는 동축 케이블(106)의 외부 도체(106b)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방사체(104)는 제1 하부 도선(104a), 제2 하부 도선(104b), 및 제2 수평 도선(10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도선(104a)은 동축 케이블(106)을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서 동축 케이블(106)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도선(102a)의 하부에서 제1 상부 도선(102b)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도선(104a)은 제1 상부 도선(102b)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부 도선(104a)은 제1 상부 도선(102b)의 길이 보다 길고, 중심 도선(102a)의 길이 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부 도선(104b)은 동축 케이블(106)을 기준으로 타측(예를 들어, 우측)에서 동축 케이블(106)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부 도선(104b)은 제2 상부 도선(102c)의 하부에서 제2 상부 도선(102c)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부 도선(104b)은 제2 상부 도선(102c)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부 도선(104b)은 동축 케이블(106)을 기준으로 제1 하부 도선(104a)과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은 제1 하부 도선(104a)과 제2 하부 도선(104b)의 상단에서 제1 하부 도선(104a)과 제2 하부 도선(104b)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평 도선(104c)은 동축 케이블(106)의 외부 도체(106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과 외부 도체(106b)의 연결은 납땜 작업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수평 도선(104c)의 중심이 외부 도체(106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이 제1 하부 도선(104a)과 제2 하부 도선(104b)을 연결할 때, 제2 수평 도선(104c)의 양단은 하부로 굴곡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수평 도선(104c)의 양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하부 도선(104a)과 제2 하부 도선(104b)의 상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은 제1 수평 도선(102d)의 하부에서 제1 수평 도선(102d)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은 제1 수평 도선(102d)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평 도선(104c)은 제1 수평 도선(102d)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평 도선(102d) 및 제2 수평 도선(104c)의 길이는 제1 상부 도선(102b)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평 도선(102d)과 제2 수평 도선(104c) 간의 간격을 통해 임피던스 매칭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도선(102d)은 동축 케이블(106)의 내부 도체(106a)와 연결되고, 제2 수평 도선(104c)은 동축 케이블(106)의 외부 도체(106b)와 연결되는 바, 제1 수평 도선(102d)과 제2 수평 도선(104c) 간의 간격을 통해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의 임피던스 매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1 수평 도선(102d)과 제2 수평 도선(104c) 간의 간격은 제1 수평 도선(102d) 및 제2 수평 도선(104c)의 직경의 2배 이하의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하부 도선(104a), 제2 하부 도선(104b), 및 제2 수평 도선(104c)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하부 도선(104a), 제2 하부 도선(104b), 및 제2 수평 도선(104c)은 하나의 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심 도선(102a), 제1 상부 도선(102b), 제2 상부 도선(102c), 제1 하부 도선(104a), 및 제2 하부 도선(104b)의 길이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의 동작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6)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6)은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에 급전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6)은 내부 도체(106a), 외부 도체(106b), 및 절연 부재(106c)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체(106a)는 상부 방사체(102)와 연결되고, 외부 도체(106b)는 하부 방사체(104)와 연결될 수 있다. 절연 부재(106c)는 내부 도체(106a)와 외부 도체(106b) 사이에서 내부 도체(106a)와 외부 도체(106b)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 계수(S11)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의 각 구성의 치수 및 재료 상수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도선의 직경 : 1.63mm
동축 케이블 - 내부 도체의 직경 : 1.63mm, 외부 도체의 내경 : 5.31mm, 외부 도체의 외경 : 6.35mm, 절연 부재의 유전 상수 : 2.1
제1 상부 도선(102b)에서 제1 수평 도선(102d)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 30.2mm
중심 도선(102a)에서 제1 수평 도선(102d)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 40mm
제1 하부 도선(104a)에서 제2 수평 도선(104c)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 33.2mm
제1 수평 도선(102d) 및 제2 수평 도선(104c)의 라운드 형상에서 바깥쪽 회전 반경: 5.0mm, 안쪽 회전 반경 : 3.4mm
제1 상부 도선(102b)과 제2 상부 도선(102c)의 중심축 간 거리 : 38.4mm
제1 하부 도선(104a)과 제2 하부 도선(104b)의 중심축 간 거리 : 38.4mm
제1 수평 도선(102d)과 제2 수평 도선(104c) 간의 간격 : 2.0mm
도 3을 참조하면,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는 반사 계수(S11)가 -10dB이하인 주파수 범위가 1.85 ~ 3.95GHz로서, 중심 주파수가 2.9GHz이고, 대역폭이 2.10GHz로 광대역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다이폴 안테나의 대역폭보다 10배에 가까운 대역폭이다. 이 경우, 대역폭의 백분율이 72%가 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1.85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2.90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3.95GHz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는 주파수 대역(1.85 ~ 3.95GHz) 전체에 걸쳐 유사한 이득 패턴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즉,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100)는 2.10GHz의 대역폭을 가지면서도 전체 대역폭에서 이득 패턴이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102 : 상부 방사체
102a : 중심 도선
102b : 제1 상부 도선
102c : 제2 상부 도선
102d : 제1 수평 도선
104 : 하부 방사체
104a : 제1 하부 도선
104b : 제2 하부 도선
104c : 제2 수평 도선
106 : 동축 케이블
106a : 내부 도체
106b : 외부 도체
106c : 절연 부재

Claims (8)

  1. 내부 도체,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사이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방사체; 및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사체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방사체와 이격하여 마련되는 하부 방사체를 포함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사체는,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는 중심 도선;
    상기 중심 도선의 일측에서 상기 중심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 상부 도선;
    상기 중심 도선의 타측에서 상기 중심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2 상부 도선; 및
    상기 제1 상부 도선 및 상기 제2 상부 도선의 하단에서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상기 제2 상부 도선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는 제1 수평 도선을 포함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사체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일측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과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 하부 도선;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측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과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상부 도선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상부 도선과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2 하부 도선; 및
    상기 제1 하부 도선 및 상기 제2 하부 도선의 상단에서 상기 제1 하부 도선과 상기 제2 하부 도선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외부 도체와 연결되는 제2 수평 도선을 포함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기 설정된 임계 주파수 이상인 경우, 상기 내부 도체 자체를 연장하여 중심 도선으로 사용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도선과 상기 제2 수평 도선 간의 간격을 기 설정된 간격 이내에서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도록 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선은, 상기 내부 도체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체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외부 도체와 연결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상기 제2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제1 하부 도선과 상기 제2 하부 도선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도선은 상기 제1 상부 도선 보다 길고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도선과 상기 제2 수평 도선 간의 간격을 기 설정된 간격 이내에서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중심 도선은, 상기 내부 도체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 도체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내부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 도선의 중심이 상기 외부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과 상기 제2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선은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제1 하부 도선과 상기 제2 하부 도선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도선은 상기 제1 상부 도선 보다 길고 상기 중심 도선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KR1020220141438A 2022-08-04 2022-10-28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KR20240019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19 2022-08-04
KR20220097519 2022-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664A true KR20240019664A (ko) 2024-02-14

Family

ID=8989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438A KR20240019664A (ko) 2022-08-04 2022-10-28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6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119B1 (ko) 1998-07-31 2002-05-09 윤종용 선형편파를위한광대역평면다이폴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119B1 (ko) 1998-07-31 2002-05-09 윤종용 선형편파를위한광대역평면다이폴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498B1 (ko) 프린트안테나
US7151497B2 (en) Coaxial antenna system
US70094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 surfacewave onto a single conductor transmission line using a slohed flared cone
US8686912B2 (en) 450 MHz folded dipole antenna
US20160380359A1 (en) Dual polarization antenna
KR100704796B1 (ko) 편평 광대역 안테나
US8654025B1 (en) Broadband, small profile, omnidirectional antenna with extended low frequency range
US9083076B2 (en) Dipole antenna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 conductor extending through tubular segments and related methods
CN105244613B (zh) 一种微带天线
KR100601730B1 (ko) 광대역 특성의 다중 미앤더 스트립 모노폴 안테나
US7554507B2 (en) UWB antenna with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20120200469A1 (en) Stacked antenna assembly with removably engageable components
US5467099A (en) Resonated notch antenna
KR101859179B1 (ko) 소형 광대역 대수 주기 안테나
CN111370858B (zh) 定向uhf天线及电子设备
EP0487053A1 (en) Improved antenna structure
US6853348B1 (en) Dual band linear antenna array
KR20240019664A (ko)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CN110247167A (zh) 毫米波平面准八木天线单元、阵列天线以及相控阵天线
CN108808254B (zh) 一种基于加载短路钉的基片集成波导的背腔式缝隙天线
US20040090375A1 (en) Wide-band antenna
CN210628484U (zh) 一种超宽带偶极子天线
US8274439B2 (en) High power, low profile, broadband antenna
US6850199B2 (en) U-shaped multi-frequency antenna of high efficiency
KR101816018B1 (ko) 소형 광대역 대수 주기 안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