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494A -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494A
KR20240019494A KR1020220097184A KR20220097184A KR20240019494A KR 20240019494 A KR20240019494 A KR 20240019494A KR 1020220097184 A KR1020220097184 A KR 1020220097184A KR 20220097184 A KR20220097184 A KR 20220097184A KR 20240019494 A KR20240019494 A KR 2024001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rescription
adverse reaction
sympto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옥희
오청환
박소윤
한상용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디스
Priority to KR102022009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494A/ko
Publication of KR2024001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함에 있어서,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처방한 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APPROPRIATENESS OF DRUG PRESCRIPTION AND DATABAS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함에 있어서,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처방한 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복용시간, 복용방법, 의약품과 음식의 상호작용, 주요 질환별 복용방법 등의 주의사항이 매우 많고 복잡하다. 이렇게 각 의약품에 대한 고유한 주의사항에 대해서는 제약회사가 해당 주의사항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식약처 허가사항과 함께 보통 의약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의약품의 성분이나 상품명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에 따른 특정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사항은 해당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환자로부터 보고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제약회사에서 제공하는 해당 의약품의 사용상 주의사항만으로는 그 대응이 불충분하다.
또한 환자가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다른 의약품이나 섭취하는 음식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특정 의약품의 부작용 내지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더욱 파악하기 어렵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어떤 의약품에 이상반응이 있는지 처음에는 모르고 있다가 일단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이 발생하면 그 원인을 찾게 되는데, 그 원인을 찾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어 치료 시간을 낭비하거나 놓칠 수도 있다. 특히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다른 의약품이나 음식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지 못할 경우 이상반응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데 더욱 오랜 시간이 걸리고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약품에 대해서 과거에 보고되었던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환자별, 이상반응(증상)별, 약품별로 분류하여 구조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기억하고 있지 않으면 특정 이상반응에 대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특히, 환자가 복용 중인 의약품의 종류가 많고 발현된 이상반응과 동일 유사한 것이 복용 중인 의약품 중 복수의 의약품에서 보고되고 있다면, 그 관계가 설정되어 있거나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어떠한 의약품에 의해 해당 이상반응이 나타나고 있는지 판단이 어렵다.
질병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황에서 각 질병에 대한 의약품들과 환자들 간의 이상반응 간의 빅데이터에 대한 도움을 얻지 않고 의료진의 지식, 기억, 경험만으로는 의약품의 처방에 대한 적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함에 있어서,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처방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611687호(2016.04.05)호는 약품 부작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약품 부작용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처방전에 인쇄되는 2D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방된 약품 정보를 식별하고, 환자에 관한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정보에 대한 부작용 정보를 작성, 환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이 약품에 대한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약품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약품 부작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약품 부작용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전문 지식이 없는 환자들이 약품에 대한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약품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약품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각 약품의 효과가 저하되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품의 복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와 관련하여 부작용 발생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 증상과 연관되는 부작용 정보를, 건강보험공단 서버 내, 상기 환자에 대해 할당된 저장 공간에 등록시켜, 병의원 단말에서 상기 환자의 진료 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피해를 방지하고, 아울러, 건강보험공단에서의 특정 약품에 대한 위해 여부 판단 시, 상기 등록된 부작용 정보가 활용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와 관련하여 부작용 발생이 입력됨에 따라, 병의원 단말에서 재발행되어 건강보험공단 서버에 업로드된 대체 처방전을, 건강보험공단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함으로써, 환자가 병의원을 재방문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대체 처방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약품 부작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 약품의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고, 부작용 발생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부작용 정보를 건강보험공단 서버에 등록하고, 병의원 단말에서 해당 환자를 진료시 부작용 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며, 처방전이 재발행되어 건강보험공단 서버에 업로드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병원을 재방문하지 않고 대체 처방전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의사가 처방전을 발행하고자 할 때, 환자로부터 환자가 기 숙지하고 있는 본인의 약품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 정보,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약품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이상반응을 일으키는 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원인이 된 약품을 정확히 찾아내어 해당 의약품만 선별적으로 복용을 중단하고, 복용 중단이 결정된 해당 의약품을 대체할 이상반응의 위험이 없는 대체 약품을 찾아 처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행기술과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차별성이 분명하다.
즉,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실제 이상반응을 유발하였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처방할 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이러한 의약품 처방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할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같은 아무런 수단도 제공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실제 이상반응을 유발하였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약품에 대해서 과거에 보고되었던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환자별, 이상반응(부작용, 알레르기 등) 증상별, 약품별로 분류하여 구조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환자가 복용 중인 의약품의 종류가 많고 발현된 이상반응과 동일 유사한 것이 복용 중인 의약품 중 복수의 의약품에서 보고되고 있다면, 그 관계를 설정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어떠한 의약품에 의해 해당 이상반응이 나타나고 있는지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하고 복잡한 종류와 형태로 얽혀져 있는 질병들, 의약품들, 및 환자들 간의 이상반응을 빅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의약품의 처방에 대한 적정성을 담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품을 식별하는 의약품-증상 식별부;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식별하는 이상반응-증상 식별부; 및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과 관련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반응은,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는 세부적인 복수의 증상을 포함하며, 상기 이상반응은 특정 환자로부터 감지된 반응이고, 상기 증상은 각 의약품별로 환자, 전문가, 의사, 제약회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수집된 표준화된 명칭을 가진 증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을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가 복용증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의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는, 상기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증상을 추출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여, 상기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는, 상기 이상반응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이 새로운 증상이라면 상기 새로운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상반응을 증상으로 신규 등록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등록한 증상을 나타내는 의약품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상반응에서 식별한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택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처방내역을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또는 병원코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의약품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면 증상이 더 가중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결정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를 포함한 해당 약품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의약품-증상 식별부에 의해서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품을 식별하는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 의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식별하는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 및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처방 적정성 점검부에 의해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과 관련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을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가 복용증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의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는, 상기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증상을 추출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여, 상기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는, 상기 이상반응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이 새로운 증상이라면 상기 새로운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상반응을 증상으로 신규 등록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등록한 증상을 나타내는 의약품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상반응에서 식별한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택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처방내역을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의약품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면 증상이 더 가중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간주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 및 경고에 대한 사유 정보를 포함한 해당 약품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을 선택하도록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제공부;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도록 증상 정보를 제공하는 증상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선택된 의약품 정보와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 정보 제공부를 통해서 선택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증상 정보 제공부에서 선택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또는 병원코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을 선택하도록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도록 증상 정보를 제공하는 증상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상기 선택된 의약품 정보와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처방할 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하여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상반응을 줄인 처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이상반응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반응을 줄인 처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실제 이상반응을 유발하였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의약품을 점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난이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약품에 대해서 과거에 보고되었던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환자별, 이상반응(부작용, 알레르기 등) 증상별, 약품별로 분류하여 구조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입력된 이상반응에 대한 등록된 증상에 대한 표준화된 명칭(예, 메드라 의학용어)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종류와 형태로 얽혀져 있는 질병들, 의약품들, 및 환자들 간의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빅데이터로부터 관련 이상반응이 보고된 의약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약품을 대상으로 환자의 이상반응에 대한 등록된 증상명칭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의 검색을 줄여, 정보에 대한 노이즈와 검색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환자가 복용 중인 의약품의 종류가 많고 발현된 이상반응과 동일 유사한 증상이 복용 중인 의약품 중 복수의 의약품에서 보고되고 있다면, 그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어떠한 의약품에 의해 해당 이상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지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이상반응에 대한 표준화된 증상명칭을 통해서, 복수의 의약품 간의 이상반응에 대한 상호 영향력을 점검하여,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이 환자가 이미 복용하고 있는 다른 의약품과 영향이 있는지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을 의사 등 의료전문가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사용하는 환경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의약품-증상 식별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증상별 의약품-증상 식별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성성 점검 시스템의 알레르기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의약품을 선택하고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처방 적정성 점검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을 범용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구성한 하드웨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에 대한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에 대한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에 대한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이상반응은, 부작용, 알레르기 등을 포함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각 이상반응에는 세부적으로 구체적인 증상이 있는데, 상기 증상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표준화된 명칭이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작명한 증상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이상반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증상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증상명칭을 사용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보다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약품과 의약품을 혼용해서 쓰고 있으나, 그 범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 즉,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의약품을 일반적인 약품의 범위까지 확장하여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의료 전문가인 의사, 간호사, 의약분야의 연구원, 제약회사 종사자 등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일반 환자나 처방을 할 자격이 없는 사람도 자신에게 허용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사용자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베이스라는 용어는 특별한 예외가 명시되지 않는 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포함한 개념으로 보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을 의사 등 의료전문가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사용하는 환경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은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의 로컬 데이터베이스 혹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간에 그 역할에는 차이가 없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거나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의 로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거나, 웹 기반으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주로 의사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의사가 환자를 문진(온, 오프라인으로)하여 이상반응 증상을 청취하거나 처방전을 발행하여 병원 정보 시스템(500)을 통해서 병원의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환자별 처방전(또는 처방내역)과 의사가 환자의 문진을 통한 환자별 이상반응 증상과 관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한다.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도 상기 병원 정보 시스템(500)의 로컬이나 네트워크상의 클라우드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의사가 처방 적정성을 점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의사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서, 환자에게 처방전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약물 이상반응에 대한 문진을 수행하고,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한 적정성 점검을 수행한 다음 최종적으로 처방전을 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의약품에 대한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환자로부터 이상반응에 대한 문진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이상반응 정보로부터 구체적인 증상(등록된)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에 대한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해당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각 의약품에 대한 증상을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조회하여 식별하게 된다.
위에서 식별한 환자의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과 처방내역에 포함된 각 의약품의 증상을 확인하고, 해당 환자의 상기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이 있는 상기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의약품의 상세한 정보도 제공한다.
상기 제공받은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에 해당하는 의약품의 상세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환자의 처방내역을 적정성을 점검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해당 처방내역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대체 의약품은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서, 특정 환자에 대해 기 처방된 처방내역에 포함되었던 의약품과 동일한 성분을 가진 의약품 중에서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으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조회하여 추출된다.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병원코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심각도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AHFS(American Hospital Formulary Service) 코드에 따라 약물정보(DI, Drug Information)와 유효성분(active ingredient)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코드에 따라 약품의 성분명 및 제품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국제표준기구 ISO에서 성분명 식별에 관한 표준인 ISO IDMP 11238 (Identification of medicinal products-Data elements and structures for the unique identification and exchange of regulated information on substances)에 준하는 성분명칭 및 코드체계를 제공하여 국제적으로 동일한 부작용 보고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를 통해서 이상반응 증상에 해당하는 약품이나 연관된 약품을 검색하여 가져올 수 있다.
물론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가름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를 이용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은 의약품-증상 식별부(110),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 및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환자의 처방내역을 입력받거나 기 처방된 환자별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입력받은 다음에, 해당 의약품을 식별하고, 다음으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한 증상을 조회하여 추출하고 해당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먼저 약품을 식별하고 다음으로 해당 약품의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새로운 의약품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약품별 증상 정보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약품추가나 해당 약품의 증상을 추가하는 것은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 외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해당 증상을 식별한 결과는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입력된 특정 환자의 이상반응 정보에 대해서 등록된 증상을 조회하여 식별하고 그 결과를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새로운 증상명칭에 대해서 추가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 증상명칭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갱신할 증상명칭에 대해서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반응은 사용자로부터 청취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증상과 같은 이상반응이며 구체적인 증상명칭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말하는 이상반응을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증상명칭으로 특정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새로운 증상명칭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증상에 해당하는 의약품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에서 환자의 처방내역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식별된 증상 정보와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에서 식별하여 제공한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식별한 증상을 가진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이상반응이 예상되는 처방이라는 적정성 검토 결과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처방 적정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처방내역의 의약품을 성분이 동일 유사하고 증상이 보고된 적이 없는 의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내역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한다.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이상반응이 예상되는 의약품에 대해서 해당 의약품이 가지고 있는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능한 상기 대체 의약품을 선정하여 제공하고, 그 구체적인 정보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체 의약품의 선정은 복수의 대체 가능한 의약품 중에서 이상반응 증상이 전혀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피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의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발생빈도와 심각도가 가장 낮은 의약품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제공된 의약품의 발생빈도와 심각도의 상세정보를 통한 최종적인 의약품의 대체 여부는 의료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환자에게 제동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약품 증상 식별부(110),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 및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의약품-증상 식별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먼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서 환자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환자정보는 해당 환자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명, 주소, 성별, 나이 등으로 범위를 좁혀가면서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상기 입력받은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환자의 처방내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직접 입력 받거나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조회하여 수신한다. 상기 처방내역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처방할 때, 처방전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입력하거나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조회하여 현재 혹은 과거의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수신한다.
이어서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 중에서 일부 혹은 전부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한 의약품에 대해서 선택약품 가져오기를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수행한 의약품을 식별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명을 ‘키백사’로 입력하여 조회하면 해당 제품명에 속하는 약물목록이 나타나고, 약물목록에 있는 약물을 선택하면 선택한 약품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을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택한 의약품은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해 약품추가를 통해서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추가된 복수의 의약품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처방 적정성 점검이 수행된다.
이렇게 식별된 의약품에 대해서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방내역에는 간단한 의약품명과 용량만 기록되는 것이 보통이고, 해당 용량에 따라 해당 의약품이 이상반응을 나타내거나 아니면 전혀 이상반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용량이 기준보다 많으면 이상반응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고, 용량이 기준보다 적으면 이상반응을 나타낼 가능성이 없는 경우가 있다. 즉, 해당 의약품 자체는 이상반응 증상을 가지는 것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해당 의약품의 용량을 고려할 경우 이상반응 증상을 가지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하여 식별된 의약품에 대해서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고, 추출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 환자아이디(PATID)로 해당 환자의 환자알러지코드(DAMCD), 환자알러지구분(DAMTYPE), 환자알러지명(DAMNM) 등을 추출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검색결과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 검색되었다면, 해당 성분명을 추가하여 약품추가를 할 수 있고, 더 많은 약품이 검색되면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는 새로운 의약품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약품별 증상 정보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해당 의약품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의약품을 추가하여 등록하고, 기존의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등 의약품의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아울러 약품별 증상 정보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증상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세분하거나 삭제하는 등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추가 업데이트 기능은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 이외에서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빅데이터를 검색하고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한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의약품 검색을 위해서 입력파라미터로 상품명, 성분명, 제약사명, 병원약폼코드, 보험코드를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면, 급여구분, 원내/원외구분, 병원약품코드, 표준코드(kdcd), 약품명, 상품명, 성분명, 함량, 보험기준가, 청구단위, 제조회사, 약품구분, 약품코드(key), 투여경로, 주성분코드, atc코드, atc명 등을 포함한 출력파라미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을 통해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은 위 입력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위 출력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나 프로그램에서 예를 들면 up_DrugSearch();와 같은 함수를 실행하게 되고, 상기 함수의 입력파라미터에 상품명, 성분명, 제약사명, 병원약품코드, 보험코드를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여 상기 함수를 실행하면, 해당 약품코드를 먼저 추출하고, 상기 약품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출력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상기 입력한 일력파라미터의 키워드(검색어)로 의약품을 찾아내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코드는 이상반응(부작용, 알레르기) 정보와 연결되어 있다. 즉, 약품코드를 키(key) 값으로 이상반응(부작용, 알레르기) 정보와 연결되어 있고, 처방한 의약품과 이상반응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함수의 입력파라미터는 검색조건, 키워드, 검색범위 등을 포함한다.
도 3b 및 도 3c에서 설명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에 대한 동작은 의약품-증상 식별부(110)의 요청에 따라 도 6b의 의약품 정보 제공부(210)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환자의 문진을 통해 이상반응에 대해 청취하거나 기 등록된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통해 해당 환자의 증상을 식별하고, 상기 증상에 해당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특정 환자에 대한 이상반응 정보를 조회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증상은 이상반응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이상반응은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진술한 것을 포함하며, 이는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증상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환자별 이상반응은 구체적으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증상명칭이 무엇인지 식별하여야, 상기 등록된 증상으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서 해당 증상이 보고된 의약품을 검색하기 용이해진다.
이러한 과정이 바로 입력된 이상반응 정보에 대해서 등록된 이상반응 증상을 검색하여 해당 검색된 증상 중에서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등록된 증상을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검색한 등록된 증상에서 환자의 이상반응과 관련 없는 증상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관련이 있는 증상만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통이라는 환자의 이상반응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증상명이 다수 출력된다. 이로부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에 적용할 증상명을 선택하여 추가하면 복수의 증상에 대해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두통이라는 환자의 이상반응에 대해서, 긴장성 두통이라는 증상명칭을 추가하여 해당 의약품의 처장 적정성 점검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는 상기 선택하여 추가한 증상을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이를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등록한 새로운 증상은 향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키워드로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인 증상명칭으로 취급된다. 즉, 상기 등록한 증상명칭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검색 가능한 증상명칭이고, 국제 의약 용어인 메드라(MedDRA, Medical Dictionary for Regulatory Activities) 용어를 사용한다. 메드라 용어는 증상의 입력, 검색, 평가 및 결과 제시에 활용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이상반응을 고열로 입력하였을 경우, 해당 증상명이 구토, 메스꺼움, 출혈, 황달 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해당하는 증상을 구토로 하여 증상명 추가를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증상이 복수일 경우 증상을 추가로 선택하여 추가하여 의약품의 처방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를 통해서 이상반응 증상을 검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의약품의 처방 적정성 검검 시스템(100)이 UP_NAV_SIDELINKDXID();와 같은 부작용 검색을 위한 함수를 제공한다. 상기 함수의 입력 파라미터는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검색어(키워드)가 될 수 있고,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서 해당 부작용 정보를 불러오며, 이때 상기 부작용에 대한 키값(예: dxid)을 통해서 출력파라미터인 증상명, 메드라 증상코드, 메드라 증상명 등을 검색해 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상기 증상에 대한 키값(dxid)을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증상명을 출력파라미터로 리턴하게 된다. 만약 ‘두통’을 이상반응 증상으로 입력하면, 상기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키값을 추출하여 해당 키값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함수를 통해서 출력해 준다. 상기 증상에 대해서 국제 표준인 메드라 코드와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서 설명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에 대한 동작은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의 요청에 따라 도 6b의 증상 정보 제공부(210)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성성 점검 시스템의 알레르기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의약품을 선택하고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에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를 이용하여 등록된 알레르기약을 검색할 수 있다. 알레르기약을 검색시 제품명, 성분명, 성분군으로 등록할 수 있다. 성분명으로 검색한 경우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점검룰 엔진에 의해 처방하는 제품명이 달라도 동일한 성분인 경우 자동 점검이 된다. 성분명의 용어는 국제표준기구 ISO에서 성분명 식별에 관한 표준인 ISO IDMP 11238 (Identification of medicinal products-Data elelments and structures for the unique identification and exchange of regulated information on substances)에 준하는 성분명칭 및 코드체계를 제공하여 국제적으로 동일한 이상반응(부작용이나 알레르기) 증상 보고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성분군으로 검색한 경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점검룰 엔진에 의해 좀더 포괄적으로 점검이 가능하다. 즉, 처방약이 동일한 제품명이 아니거나 또는 동일한 성분명이 아니어도 화학적 구조나 작용기전이 유사한 같은 계열인 경우 자동 점검이 된다.
예를 들어, 알레르기 정보에 대한 검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상기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입력파라미터로 알레르기 타입을 약품명, 성분명, 성분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입력함으로써, up_AllergyInfoSearch();와 같은 함수를 호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파라미터로 제공한다.
여기서 출력파라미터는 알레르기 약물명, 알레르기 성분명, 알레르기 등록코드, 알레르기 타입코드 (1. 약품명, 2. 성분명, 3. 성분군), 알레르기 타입명, 정렬순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알레르기 등록코드, 알레르기 타입코드 (1. 약품명, 2. 성분명, 3. 성분군), 알레르기 타입명 등은 입력파라미터와 동일하므로 별도로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는 상기 함수(up_AllergyInfoSearch('1', '아스피린', :v_cur);)에 입력파라미터를 할당하여 실행하면, 위의 출력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알레르기 약품명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해당 알레르기 약품명을 선택하여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증상을 입력하여 해당 선택한 의약품의 증상에 대한 처방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다. 해당 의약품의 처방 적정성을 점검하는 것은 도 5c와 같이 그 점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처방 적정성 점검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 정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에서 식별한 특정 환자의 처방내역에서 선택한 의약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에서 식별한 상기 특정 환자의 이상반응에 대한 등록된 증상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에서 식별한 의약품 중에서 상기 증상 식별부(120)를 통해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추출하여 이상반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품으로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120)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진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110)에서 식별한 의약품을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 중에서 상기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결정된 의약품에 대해서는 그 증상의 발생빈도, 심각도와 같은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리스트와 각 의약품에 대한 상세정보(발생빈도, 심각도 등)를 포함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부작용 순위는 이상반응 증상의 발생빈도와 심각도를 수치화(scoring)하여 높은 점수의 의약품 순서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처방내역의 의약품을 성분이 동일 유사하고 증상이 보고된 적이 없는 의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내역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300)이나 환자별 처방내역 데이터베이스(600)에 제공한다. 물론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처방내역을 대체하여 처방할지 여부는 의료전문가의 판단에 따른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UP_NAV_SIDELINKDXID(), up_DrugSearch(), UP_NAV_SIDE_SCREEN(); 및 UP_NAV_SIDE_SCREEN_POPUP()과 같은 함수를 실행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위에서 선택한 부작용 검색과 의약품 검색을 통하여 선택한 부작용과 의약품으로 상기 선택한 의약품과 부작용의 상호작용을 점검하게 된다. 즉 선택한 부작용과 의약품으로 부작용 점검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처방약의 부작용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를 출력파라미터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파라미터는 위에서 선택한 부작용 코드와 약품 코드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위 부작용 코드와 약품 코드에 해당하는 약품명 및 점검내용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반응으로서 알레르기를 점검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입력파라미터로 환자 아이디, 알레르기 구분명, 약품명, 처방그룹 아이디를 지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출력파라미터는 처방약품코드, 처방약품명, 알레르기점검결과 구분 (동일약품, 동일성분, 동일계열, 교차성분), 점검결과메시지, 환자 알레르기등록명, 환자 알레르기등록코드, 알레르기등록타입 (1. 약품, 2. 성분명, 3. 성분군)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환자ID와 처방그룹 ID를 입력하면, up_ScreenDAM('DAM', 'D1', v_cur); 함수의 실행을 통해 해당 알레르기 점검 결과가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를 포함하여 출력된다. 예를 들어, 해당 처방검토결과로 “환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낸 적이 있는 ACETAMINOPHEN 같은 계열의 성분입니다”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선택한 환자의 알레르기 등록 정보와 처방약품 정보를 통하여 알레르기 처방약과 알레르기 증상의 상호작용을 점검한다. 즉 선택한 환자의 알레르기 등록 정보와 처방약 정보로 함수를 실행하여 알레르기-처방약 점검을 하고 결과를 출력파라미터로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상기 이상반응이 예상되는 의약품에 대해서 해당 의약품이 가지고 있는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체 의약품을 선정하여 제공하고, 그 구체적인 정보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는 새로운 증상명칭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증상에 해당하는 의약품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 순위는 등록된 환자 알레르기와 처방 의약품이 동일 성분일 경우 1순위, 동일 성분 군이면 2순위, 교차 성분 군이면 3순위 등과 같은 순으로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b 및 도 5c에서 설명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에 대한 동작은 처방 적정성 점검부(130)의 요청에 따라 도 6b의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230)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각 구성이 범용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한 하드웨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의 기능을 프로세서를 통해서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조는, 프로세서(Processor)(1010), 메모리(1020),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10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나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제공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의 설정이나 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1040)는 데이터베이스(200, 600)와 프로세서(10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는 메모리(1020)를 경유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에 사용자 단말(300)이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의사, 간호사, 연구원 등 의료 전문가인 사용자는 원격에서 웹 서버(1060)로 접속하여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또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 구현되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매체는 인터넷 또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1010)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되어 결합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010)에서 수행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10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의료 전문가의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요청에 따라 환자정보와 상기 환자와 관련한 이상반응이나 처방내역을 직접적으로 입력받거나,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나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액세스하여 의약품과 증상을 식별하고, 식별한 증상과 의약품으로부터 의약품의 처방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거나,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별한 이상반응 증상에 해당하는 상기 식별한 의약품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상기 이상반응을 유발하는 예상 의약품으로 추출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약품의 처방 적정성을 점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약품의 처방 적정성 점검에 있어서, 새로운 의약품에 대한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반응 증상 식별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을 입력받고,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반응 증상 식별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이 새로운 증상이라면 상기 새로운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상반응을 증상으로 신규 등록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신규 등록한 증상을 나타내는 의약품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약품별 증상 식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환자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을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약품별 증상 식별에 있어서, 상기 조회한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하고, 상기 조회한 처방내역 중에서 이상반응 유발 가능성이 있는 처방내역을 선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약품별 증상 식별에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새로운 의약품을 추가하거나 상가 추가한 의약품별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에서, 상기 추출한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상반응에서 식별한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택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상기 처방내역에서 대체하여 처방전을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에서,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의약품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면 증상이 더 가중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간주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100)과 같은 외부 응용시스템에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은 의약품 정보 제공부(210), 증상 정보 제공부(220), 및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약품 정보 제공부(210)는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을 선택하도록 의약품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b와 도 3c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증상 정보 제공부(220)는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도록 증상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b 및 도 4c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선택된 의약품 정보와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 정보 제공부를 통해서 선택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증상 제공부에서 선택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b 및 도 5c에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또는 병원코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을 통해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을 점검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을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S110 ~ S150), 이상증상 식별 단계(S210 ~S230), 및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S310 ~ S380)를 각각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는, 먼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이어서 해당 환자의 처방내역을 사용자 단말(300)에서 직접 별도로 입력 받거나, 환자가 복용증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상기 입력 받은 환자의 정보로 기존의 처방내역을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S120). 여기서 처방내역이라 함은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할 의약품에 대한 내역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처방내역에는 환자의 현재 처방내역, 과거의 처방내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어, 상기 환자가 기존에 처방받아 복용중인 의약품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즉, S120 단계는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할 대상 처방내역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확정한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 중에서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할 대상 의약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할 대상이 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과정은 의약품을 하나씩 선택할 수도 있고 그룹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성분이 유사한 의약품들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의약품을 그룹으로 선택하면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렇게 선택된 의약품에 대해서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선택한 의약품에 대한 증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40). 상기 의약품의 증상 정보는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증상을 말한다.
상기 S140 단계를 통해서 상기 의약품과 상기 의약품에 대해서 보고된 증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처방내역에서 선택된 각 의약품에 해당하는 증상과의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50). 예를 들어, 상기 의약품과 상기 의약품에 대한 증상 간의 관계를 로컬 메모리에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 점검을 수행하는 동안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의약품 처방의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이 남아 있다면 해당 점검 대상 의약품을 추가하여 S130 내지 S150 단계를 계속하여 수행한다(S16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는, 먼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 받거나,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반응 증상을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조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0).
이어서 상기 입력 받거나 조회한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 중에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등록된 증상을 조회하여 증상명칭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
다음으로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등록된 증상 중에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에 활용될 증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0). 상기 증상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증상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른 증상에 대해서도 추가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새로운 증상을 선택하여 해당 증상에 대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S24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에서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먼저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선택된 의약품에 대한 증상과 상기 이상반응 식별부에서 선택한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한다고 선택한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0). 상기 의약품에 대한 증상과 상기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만약 동일하다면 해당 증상을 발현하는 의약품은 해당 환자에게 이상반응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이 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선택된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과 동일 유사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20). 즉,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과 동일증상 혹은 유사증상에 대해 보고된 바가 있는 의약품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한 의약품에 대해서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이라는 처방내역에서 선택된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0). 여기서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은 환자가 진술한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으로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 중 하나이다.
이어서 상기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증상의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만약 점검 대상 의약품이 아직 남아 있다면,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에서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을 추가로 선택하여 처방 적정성에 대한 점검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한다(S350).
또한 이상반응에 대한 추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면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여 처방 적정성에 대한 점검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한다(S360).
한편, 환자가 복용중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이상반응 유발 여부를 점검하여 약품 간의 이상반응 증상 상승 요인 존재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70).
또한 상기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대체 의약품 추천 단계를 수행한다(S38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처방할 의약품의 적정성을 점검하여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상반응을 줄인 처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이상반응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반응을 줄인 처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해당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한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실제 이상반응을 유발하였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의약품을 점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난이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약품에 대해서 과거에 보고되었던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환자별, 이상반응(부작용, 알레르기 등) 증상별, 약품별로 분류하여 구조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입력된 이상반응에 대한 등록된 증상에 대한 표준화된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종류와 형태로 얽혀져 있는 질병들, 의약품들, 및 환자들 간의 이상반응 증상에 대한 빅데이터로부터 관련 이상반응이 보고된 의약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약품을 대상으로 환자의 이상반응에 대한 등록된 증상명칭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의 검색을 줄여, 정보에 대한 노이즈와 검색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환자가 복용 중인 의약품의 종류가 많고 발현된 이상반응과 동일 유사한 증상이 복용 중인 의약품 중 복수의 의약품에서 보고되고 있다면, 그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어떠한 의약품에 의해 해당 이상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지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이상반응에 대한 표준화된 증상명칭을 통해서, 복수의 의약품 간의 이상반응에 대한 상호 영향력을 점검하여,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이 환자가 이미 복용하고 있는 다른 의약품과 영향이 있는지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200 :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600 :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 사용자 단말 400 : 처방내역
500 : 병원 정보 시스템 110 : 의약품-증상 식별부
120 : 이상반응-증상 식별부 130 : 처방 적정성 점검부
1010 : 프로세서 1020 : 메모리
10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040 :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105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60 : 웹 서버

Claims (26)

  1.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품을 식별하는 의약품-증상 식별부;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식별하는 이상반응-증상 식별부; 및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과 관련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반응은,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는 세부적인 복수의 증상을 포함하며, 상기 이상반응은 특정 환자로부터 감지된 반응이고, 상기 증상은 각 의약품별로 환자, 전문가, 의사, 제약회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수집된 표준화된 명칭을 가진 증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별 처방내역을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가 복용증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의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해당 증상에 따라 추가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여, 상기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는,
    상기 이상반응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이 새로운 증상이라면 상기 새로운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상반응을 증상으로 신규 등록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등록한 증상을 나타내는 의약품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상반응에서 식별한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택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처방내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또는 병원코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는,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의약품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면 증상이 더 가중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간주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11.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품을 식별하는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식별하는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 및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에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과 관련하여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별 처방내역을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가 복용증인 다른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의 처방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식별하며,
    상기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해당 증상에 따라 추가하여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 증상을 입력받거나 상기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별 처방내역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반응 증상을 조회하여, 상기 이상반응과 관련한 등록된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에 대한 증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 단계는,
    상기 이상반응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이상반응이 새로운 증상이라면 상기 새로운 증상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상반응을 증상으로 신규 등록하여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등록한 증상을 나타내는 의약품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이상반응-증상 식별부에서 식별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에 대해서 동일한 성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상반응에서 식별한 증상이 보고되지 않은 의약품을 선택하여 대체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처방내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단계는,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의약품이 상기 처방내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면 증상이 더 가중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서로 다른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간주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방법.
  19.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을 선택하도록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제공부;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도록 증상 정보를 제공하는 증상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선택된 의약품 정보와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처방 적정성 결과에 대한 경고 메시지(Alert Message)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반응은,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이나 알레르기는 세부적인 복수의 증상을 포함하며, 상기 이상반응은 특정 환자로부터 감지된 반응이고, 상기 증상은 각 의약품별로 환자, 전문가, 의사, 제약회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수집된 표준화된 명칭을 가진 증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부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의약품 정보 제공부를 통해서 선택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증상 정보 제공부에서 선택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정보를 제품명, 성분명, 제조회사명, 제품코드, 주성분 코드, 또는 병원코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약품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이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 발생빈도나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4.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한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환자의 처방내역에 포함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의약품을 선택하도록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의 이상반응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도록 증상 정보를 제공하는 증상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상기 선택된 의약품 정보와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에 대한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적정성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처방 적정성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선택한 의약품에 대해서 상기 선택한 증상을 가지는 의약품을 이상반응 유발 예상 의약품으로 지정하여, 상기 증상에 대한 발생빈도 및 심각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되거나 누락된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이나 증상이 보고되면, 상기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의약품 이상반응 증상 정보를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097184A 2022-08-04 2022-08-04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KR20240019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184A KR20240019494A (ko) 2022-08-04 2022-08-04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184A KR20240019494A (ko) 2022-08-04 2022-08-04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494A true KR20240019494A (ko) 2024-02-14

Family

ID=8989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184A KR20240019494A (ko) 2022-08-04 2022-08-04 의약품 처방 적정성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4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nke et al. Discharge planning and hospital readmissions
Kendrick et al. Routine use of patient reported outcome measures (PROMs) for improving treatment of common mental health disorders in adults
Halamka Early experiences with big data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Basger et al. Development of an aggregated system for classifying causes of drug-related problems
Marzban et al. Impact of patient engagement on healthcare quality: a scoping review
Ferorelli et al. Medical legal aspects of telemedicine in Italy: application fields, professional liability and focus on care services during the COVID-19 health emergency
Dawson et al. Social determinants and inequitable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s in Aotearoa New Zealand
US202200132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Whether Medical Procedures Should Be Approved
Waniga et al. The impact of revised discharge instructions on patient satisfaction
Kim et al. Assessment of H1N1 questions and answers posted on the Web
Wright et al. Community pharmacy: an untapped patient data resource
Ruksakulpiwat et al. How does the COVID-19 pandemic impact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Cao et al. Research on safety in home care for older adults: a bibliometric analysis
US20200279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analyzing human experience reports
Anderson et al.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types of opioid prescriptions across time and space: A community-level analysis
Abu-Naser Impact of clinical pharmacist interventions in prescribing errors in hospitalized diabetic patients with major polypharmacy
Moriarty et al. Going beyond administrative dat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an algorithm using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to help identify bleeding events among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on warfarin
Youkee et al. Stroke in Sierra Leone: case fatality rate and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in Freetown
Nosek et al. Standardizing medication error event reporting in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McCarthy et al. The evolution of an evidence based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prescribing and reduce polypharmacy in older people with multimorbidity and significant polypharmacy in primary care (SPPiRE)
Grampp et al. Active and passive surveillance of enoxaparin generics: a case study relevant to biosimilars
Azzi et al.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short-acting beta2 agonist users: an Australian cross-sectional community pharmacy-based study
Liu et al. Trends and frontiers of research on telemedicine from 1971 to 2022: A scientometric and visualisation analysis
Zhao et al. Architecture design of a generic centralized adjudication module integrated in a web-based clinical trial management system
Sikka et al. Telemedicine for veterans in the setting of the COVID-19 pandemic: Lessons learned from a virtual urgent car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