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133A -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133A
KR20240019133A KR1020237042643A KR20237042643A KR20240019133A KR 20240019133 A KR20240019133 A KR 20240019133A KR 1020237042643 A KR1020237042643 A KR 1020237042643A KR 20237042643 A KR20237042643 A KR 20237042643A KR 20240019133 A KR20240019133 A KR 2024001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erosol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테일러
딘 코완
매튜 허지슨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열 존, 및 가열 조립체를 갖는다.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가열 존 내에 돌출하고, 인덕터 코일은 가열 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aerosol-generating material)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cigarette)들, 시가(cigar)들 등과 같은 흡연 물품(smoking article)들은 사용 동안에 담배를 태워서 담배 연기를 생성한다. 태우지 않고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함으로써 담배를 태우는 이들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한 제품들의 예들에는, 재료를 태우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들이 있다. 재료는 예를 들어, 흡연 재료일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열 존, 및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가열 존으로 돌출하고, 인덕터 코일은 가열 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인덕터 코일은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은 가열 존으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공동(cavity)을 포함할 수 있고, 인덕터 코일은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동은 가열 존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공동은 가열 요소를 통한 공기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벽 및 벽을 통해 연통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가열 부재 및 가열 부재에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는 가열 부재에서 인덕터 코일을 지지할 수 있다.
절연체는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공동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제는 비전도성 재료일 수 있다.
충전제는 서멀 퍼티(thermal putty)일 수 있다.
코일은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는 코일을 가열 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제4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서, 가열 재료는 인덕터 코일로부터 이격된다.
인덕터 코일과 가열 부재 사이의 거리는 0.1 내지 0.2 ㎜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은 가열 재료로부터 0.2 ㎜ 미만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은 가열 재료로부터 0.1 내지 0.2 ㎜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은 나선형 코일(helical coil)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의 내경은 1 ㎜ 내지 1.5 ㎜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의 외경은 2 ㎜ 내지 2.5 ㎜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관형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블레이드(blade)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은 0.5 ㎜ 내지 0.75 ㎜의 단면 직경을 갖는 코일 권선(coil win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기는 800kHz 내지 1.5MHz의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요소의 내경은 2.5 ㎜ 내지 3 ㎜일 수 있다.
가열 요소의 외경은 3.3 ㎜ 내지 3.8 ㎜일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및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인덕터 코일 및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리셉터클 내에 돌출한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및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와 인덕터 코일 사이의 간격은 0.2mm 미만이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 가열 조립체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를 위한 인덕터 코일(inductor coil);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가열 존 내에 연장하도록 배열된 가열 요소를 포함하며, 가열 요소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며; 인덕터 코일은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물품에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가 없을 수 있다.
물품은 소모품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가열 존으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교환 가능할 수 있다.
가열 요소와 리셉터클은 동축일 수 있다.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디바이스로도 알려진 담배 가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일 수 있다.
물품은 가열 구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구역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및 가열 구역을 가열하도록 배열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구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디바이스는,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며; 인덕터 코일은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이전 양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가열 배열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bore)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전 양태의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로 가열 배열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하며; 가열 요소와 인덕터 코일 사이의 간격은 0.2 ㎜ 미만이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이전 양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가열 배열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bore)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전 양태의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로 가열 배열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 조립체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를 위한 인덕터 코일;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며, 가열 요소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며; 인덕터 코일은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이전 양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가열 배열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bore)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전 양태의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로 가열 배열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하우징,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노출된 가열 배열체를 포함한다.
가열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가열 요소가 돌출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돌출 요소가 돌출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배열체는 저항 가열 배열체일 수 있다.
가열 배열체는 유도 가열 배열체일 수 있다.
가열 배열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존은 노출된 가열 배열체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가열 존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이전 양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가열 배열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bore)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전 양태의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로 가열 배열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들의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내로 삽입된 물품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가열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다른 가열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가열 부재는 인덕터 코일이 포지셔닝되는 공동을 포함한다.
도 5는 공동 내에 배치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도 4의 다른 가열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공동을 충전하는 절연체를 갖는, 도 5의 다른 가열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의 다른 가열 배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공기 입구 및 출구가 가열 부재 내에 제공된다.
도 8은 다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가열되거나, 조사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가 공급될 때,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제들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임의의 담배-보유 재료와 같은 임의의 식물생약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담배, 담배 파생품(tobacco derivative)들, 팽화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담배 대용품(tobacco substitute)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제품에 따라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컨대, 고체, 액체, 겔, 왁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예컨대 재료들의 조합 또는 블렌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흡연 가능 재료"로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결합제(binder) 및 에어로졸 형성제(aerosol 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활성 물질 및/또는 필러(filler)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물과 같은 용매가 또한 존재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들은 용매에 가용성일 수 있거나 가용성이 아닐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는 식물생약 재료(botanical material)가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는 담배가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amorphous solid)"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모놀리식 고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된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액체와 같은 일부 유체를 내부에 유지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약 50 중량%, 60 중량% 또는 70 중량%의 비정질 고체 내지 약 90 중량%, 95 중량% 또는 100 중량%의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에어로졸 생성 필름(aerosol-generating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필름은 시트(sheet)를 포함하거나 시트일 수 있으며, 시트는 선택적으로 파쇄되어 파쇄된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시트 또는 파쇄된 시트에는 담배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고,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태우거나 또는 연소시키지 않고,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때때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디바이스", "담배 가열 제품 디바이스"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설명된다. 유사하게, 전형적으로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액체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증발시키는 e-시가렛 디바이스들(e-cigarette devices)이 또한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장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로드(rod), 카트리지(cartridge) 또는 카세트(cassette) 등의 형태이거나 그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 및 휘발시키기 위한 가열기가 장치의 "영구적"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디바이스는 가열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물품"은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보유하는 구성요소 ―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휘발시키기 위해 가열됨 ― 및 선택적으로 사용중인 다른 구성요소들이다.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물품이 가열되기 전에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삽입할 수 있으며, 후속하여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물품은, 예를 들어, 물품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디바이스의 가열 챔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미리 결정된 또는 특정 크기일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1),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물품(11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1)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물품(110)을 가열하여, 디바이스(101)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 또는 다른 흡입 가능한 재료를 생성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1)는 디바이스(10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둘러싸고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103)을 포함한다. 하우징(103)은 세장형이다. 디바이스(101)는 일 단부에 개구(104)를 가지며, 디바이스(101)에 의한 가열을 위해 물품(110)이 개구(1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물품(110)은 디바이스(101)에 의한 가열을 위해 디바이스(101) 내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1)에는 개구가 없다. 그러한 배열체에서, 디바이스(101) 또는 그 구성요소는 물품(110)의 적어도 일부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1)는 조작될 때, 예를 들어 눌려질 때, 디바이스(101)를 작동시키는 버튼(button) 또는 스위치(switch)와 같은 사용자 조작가능 제어 요소(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위치(106)를 누름으로써 디바이스(10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1)는 물품(110)이 디바이스(101)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종축(102)을 규정한다. 개구(104)는 종축(102) 상에 정렬된다.
도 2는 디바이스(10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디바이스(101)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1)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200)를 포함한다. 장치(200)는 가열 조립체(201), 제어기(제어 회로)(202), 및 전력 소스(source)(204)를 포함한다. 장치(200)는 본체 조립체(210)를 포함한다. 본체 조립체(210)는 섀시(chassis) 및 디바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조립체(201)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디바이스(101) 내로 삽입된 물품(110)의 에어로졸 생성 매체 또는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전원(204)은 가열 조립체(201)에 전력을 공급하고, 가열 조립체(201)는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열 에너지로 변환한다.
전원(204)은 예를 들어, 재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다. 적절한 배터리들의 예들은, 예를 들어 리튬 배터리(이를테면, 리튬-이온 배터리), 니켈 배터리(이를테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및 알카라인(alkaline)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원(204)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제어기(202)의 제어 하에서 필요할 때 전력을 공급하도록 가열 조립체(201)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어 회로(202)는 사용자가 제어 요소(106)를 작동하는 것에 기초하여 가열 조립체(201)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02)는 사용자가 스위치(106)를 작동하는 것에 반응하여 가열 조립체(201)를 활성화할 수 있다.
개구(104)에 가장 근접한 디바이스(101)의 단부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에 가장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1)의 근위 단부(또는 마우스 단부(mouth end))(107)로 알려질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물품(110)을 개구(104)에 삽입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 제어부(106)를 조작하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인한다. 이것은 에어로졸이 디바이스(101)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유동 경로를 따라 물품(110)을 통해 유동하게 한다.
개구(104)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디바이스의 다른 단부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1)의 원위 단부(108)로 알려질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인할 때, 에어로졸은 디바이스(101)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디바이스(101)의 특징부들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들은 축(102)을 따라 근위-원위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이러한 특징부들의 상대적 위치결정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가열 조립체(201)는 유도 가열 프로세스를 통해 물품(110)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기 전도성 가열 요소(예를 들어, 서셉터(susceptor))를 가열하는 프로세스이다. 유도 가열 조립체는 유도성 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 및 그 유도성 요소를 통해 교류 전류와 같은 가변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요소에서의 변하는 전류는 변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변하는 자기장은, 유도 요소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결정된 서셉터를 침투하여 서셉터 내부측에 와전류들을 생성한다. 서셉터는 와전류들에 대한 전기 저항을 가지며, 따라서 이 저항에 대한 와전류들의 흐름으로 인해 서셉터가 줄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서셉터가 강자성 재료, 이를테면 철, 니켈 또는 코발트를 포함하는 경우들에서, 열은 또한 서셉터에서의 자기 히스테리시스 손실들에 의해서, 즉, 변하는 자기장을 갖는 자기 쌍극자들의 정렬의 결과로 자기 재료에서의 자기 쌍극자들의 다양한 배향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에서는, 예를 들어 전도에 의한 가열에 비해, 서셉터 내부측에서 열이 생성되어 급속 가열을 허용한다. 또한, 유도 요소와 서셉터 사이에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향상된 자유도를 허용한다.
장치(200)는 가열될 물품(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가열 챔버(211)를 포함한다. 가열 챔버(211)는 가열 존(215)을 규정한다. 본 예에서, 물품(1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가열 챔버(211)는 이에 대응하여 일반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다. 그러나, 다른 형상들도 가능할 것이다. 가열 챔버(211)는 리셉터클(212)에 의해 형성된다. 리셉터클(212)은 단부 벽(213) 및 주변 벽(214)을 포함한다. 단부 벽(213)은 리셉터클(212)의 베이스(base)로서 역할을 한다.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212)은 일체형 구성요소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원피스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특징부들이 그 사이에 조인트들이 규정되지 않도록 함께 형성됨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은 2 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가열 챔버(211)는 리셉터클(212)의 내부 표면들에 의해 규정된다. 리셉터클(212)은 지지 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212)은 일반적으로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 리셉터클(212)은 디바이스(101)의 종축(102)을 따라 그리고 그 주위로 그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형상들도 가능할 것이다. 리셉터클(212)(및 따라서 가열 구역(215))은 디바이스(101)의 개구(104) 내로 삽입된 물품(110)이 이를 통해 가열 챔버(211)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그 근위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리셉터클(212)은 그의 원위 단부에서 단부 벽(213)에 의해 폐쇄된다. 리셉터클(212)은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물품(110)의 원위 단부는 가열 챔버(211)의 단부에 근접하거나 또는 이와 맞물려 포지셔닝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들을 통해 가열 챔버(211) 내로 통과하고, 물품(110)을 통해 디바이스(101)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리셉터클(212)은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가 없이 형성된다. 리셉터클(212)은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212)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들도 가능하다. 리셉터클(212)은 가열 조립체(201)가 작동될 때 조립체가 강성/고체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그러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212)에 비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디바이스(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가열을 제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리셉터클(212)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지지를 돕기 위해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212)에 대한 다른 배열체들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단부 벽(213)은 가열 조립체(201)의 부분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212)은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립체(201)는 가열 요소(220)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존(215)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존(215)은 가열 챔버(211)에 규정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챔버(211)는 가열 존(215)의 일부 또는 가열 존(215)의 범위를 규정한다.
가열 존(215)은 디바이스(101)에 의한 가열을 위해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존 또는 볼륨이다. 따라서, 가열 존(215)은 가열 조립체(20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가열 존(215)은 가열 요소(220)에 인접한 공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 챔버(211)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가열 챔버(211)는 가열 존(215)의 범위를 정한다. 즉, 가열 챔버는 가열 존(215)을 규정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220)는 가열 존을 규정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장치에는 가열 챔버가 없다. 디바이스(101)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돌출 요소는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 및 가열 챔버는 생략될 수 있고, 돌출 요소는 자유 공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돌출 요소, 또는 돌출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물품이 가열 요소 상에 있을 때, 디바이스의 주변 벽과 같은 주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없다. 용어 '가열 존'은 돌출 요소를 둘러싸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가열 존은 디바이스(101)의 구성요소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거나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존(215)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220)는 유도 가열 요소이다. 즉, 가열 요소(220)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서셉터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1)는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으며, 서셉터는 물품(110)에 제공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요소이다. 서셉터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가열에 적합한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셉터는 탄소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재료들, 예를 들어 철, 니켈 또는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열 조립체(201)는 자기장 생성기(240)를 포함한다. 자기장 생성기(240)는 가열 요소(220)를 침투하여 가열 요소(220)에 가열을 유발하는 하나 이상의 변화하는 자기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자기장 생성기(240)는 인덕터 코일 배열체(241)를 포함한다. 인덕터 코일 배열체(241)는 인덕터 요소로서 역할을 하는 인덕터 코일(242)을 포함한다. 인덕터 코일(242)은 나선형 코일(helical coil)이지만, 다른 배열체들이 구상된다. 실시예들에서, 인덕터 코일 배열체(241)는 2 개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24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2개 이상의 인덕터 코일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축을 따라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 배열체(24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열 요소(220)에 배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 시, 인덕터 코일은 가열 요소(220)를 약 200 ℃ 내지 약 350 ℃, 이를테면 약 240 ℃ 내지 약 300 ℃, 또는 약 250 ℃ 내지 약 280 ℃의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가열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가열 배열체는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물품 내에 있으며, 가열 배열체는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 또는 돌출 부재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자기장 생성기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배열체는 유도 가열 배열체이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배열체는 저항 가열 배열체이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존(215) 내에 연장된다. 돌출 요소로서 역할을 하는 가열 요소(220)는 가열 존(215) 내에 돌출된다. 가열 요소(220)는 베이스로부터 직립한다. 가열 요소(220)는 주변 벽(214)으로부터 이격된다. 가열 조립체(201)는, 가열 챔버(211)에 의해 물품(110)이 수용될 때, 가열 요소(220)가 물품(110)의 원위 단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가열 요소(220)는 사용 시에 물품(110) 내에 위치결정된다. 가열 요소(220)는 물품(110)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이유로 내부 가열 요소로 지칭된다.
실시예들에서, 베이스는 리셉터클의 단부 벽(213) 이외의 특징부에 의해 형성된다.
가열 요소(220)는 디바이스의 종축(102)을 따라(축방향으로) 가열 챔버(211)의 원위 단부로부터 가열 챔버(211) 내로 연장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220)는 축(102)으로부터 이격된 가열 챔버(211) 내로 연장된다. 가열 요소(220)는 축(102)에서 벗어나거나 축(102)에 대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가열 요소(2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들에서, 가열 조립체(201)는 복수의 가열 요소들(220)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가열 요소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하다.
인덕터 코일(241)은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나선형 코일일 수 있다. 코일은 지지 부재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리츠 와이어와 같은 와이어로 형성된다. 실시예들에서, 지지 부재는 생략된다. 지지 부재는 관형이다. 코일(241)은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을 규정한다. 인덕터 코일(241)은 일반적으로 원형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덕터 코일(241)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 폭은 그 길이에 따라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유형들의 인덕터 코일, 예를 들어 평평한 나선형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리츠 와이어는, 개별적으로 절연되고 함께 꼬여 단일 와이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개별 와이어들을 포함한다. 리츠 와이어들은, 전도체에서의 표피 효과 손실(skin effect loss)들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솔리드와 같은 다른 와이어 유형들도 사용될 수 있다. 헬리컬 인덕터 코일의 구성은 그 축방향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덕터 코일, 또는 각각의 인덕터 코일은 인덕턴스(inductance), 축방향 길이들, 반경들, 피치(pitch)들, 턴(turn)들의 개수 등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상이한 값들을 가질 수 있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구역(215) 내에 돌출하고, 물품(110)에 의해 수용된다. 도 2는 물품(110)이 디바이스(101)에 수용된 것을 도시한다. 물품(110)은 리셉터클(212)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설정된다. 물품(110)의 종축에 수직인 물품(110)의 외부 치수들은 리셉터클(212) 내로의 물품(110)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디바이스(101)의 종축(102)에 수직인 챔버(211)의 내부 치수들과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실시예들에서, 갭(gap)(216)은 물품(110)의 외측부(111)와 리셉터클(212)의 내측부(217) 사이에 규정된다. 갭(216)은 챔버(211)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공기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물품(110)의 삽입 단부(112)는 리셉터클(212)의 베이스에 인접하게 놓이도록 배열된다.
가열 요소(220)는 리셉터클(212)의 원위 단부로부터 가열 구역(215)으로 연장된다. 가열 요소(220)는 단부 벽(213)으로부터 직립한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부재(224)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224)는 세장형이다. 가열 요소(220)는 베이스 단부(221) 및 대향하는 자유 단부(222)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224)는 핀(pin) 또는 칼럼(column)이다. 다른 형상들이 상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분(224)은 블레이드이다. 가열 부재(224)는 칼라(225)로부터 직립한다. 칼라는 물품(110)의 단부와 밀봉하기 위해 밀봉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칼라(225)는 생략될 수 있다.
가열 요소(220)는 외부 표면(223)을 포함한다. 외부 표면(223)은 가열 요소(220)의 둘레를 규정한다. 외부 표면(223)은 베이스 단부(221)와 자유 단부(222) 사이에서 연장된다. 가열 요소(220)는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다른 형상들이 구상된다.
물품(110)은 보어(bore)(113)를 포함한다. 보어(113)는 물품(110)에 사전형성된다. 보어(113)는 실시예에서 물품(110)의 관형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들에서, 보어(113)는 물품의 종축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보어(113)는 내부 표면(114)을 포함한다. 보어(113)는 폐쇄 단부(115)를 갖는다. 가열 부재(224)는 보어(113)에 수용되도록 크기설정된다. 가열 부재(224) 및 보어(113)는 슬라이드 끼워맞춤(slide fit)을 형성하도록 상보적으로 크기설정된다. 보어의 내부 표면(114)은 가열 요소(220)와 물품(110) 사이의 열 전달을 최대화하기 위해 가열 부재(224)와의 밀접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유 단부(222)는 뭉툭하다(blunt).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서, 물품(110)의 보어(113)는 생략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의 외부 치수들은 보어의 외부 치수들보다 크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가열 요소는 물품(110) 내로 삽입될 물품(110)을 변형 및/또는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 가열 요소(220)는 디바이스(101) 내로 삽입되는 물품(11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220)의 자유 단부(222)는 예리한 에지 또는 뾰족부(point)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220)의 자유 단부(222)는 물품(110)에 가열 요소(220)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도록 예리한 에지, 뾰족부 또는 다른 가이드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3은 가열 배열체(201)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자기장 생성기(240)의 인덕터 코일(242)은 가열 요소(220) 내에 배치된다. 인덕터 코일(242)이 서셉터로서 역할을 하는 내부 가열 요소(220) 내에 위치되는 가열 배열체(201)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된 디바이스들에 비해 디바이스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데 도움이 된다. 가열 배열체(201)로 인한 디바이스(101)의 크기 요구사항들의 감소는 예를 들어, 더 큰 휴대성 및 소형화, 동일한 크기의 디바이스들에서의 증가된 배터리 용량 및/또는 더 큰 물품들(110)을 수용할 수 있는 더 큰 가열 존(215)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터 코일(242)은 가열 요소(220)가 형성되는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진다.
가열 요소(220)는, 변화하는 자기장이 있을 때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열 재료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224)는 가열 재료로 형성된다. 가열 부재(224)는 서셉터로서 역할을 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224)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가열 재료의 층을 포함한다. 코일(242)은 코일(242)을 가열 재료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코일(242)의 인접한 턴들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코팅을 포함한다. 코팅은 절연체로서 역할을 한다. 동작 시, 인덕터 코일(242)을 통해 변화하는 전류가 전달된다. 이러한 변화하는 전류는, 가열 요소(220)의 구역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이는 이 구역의 가열 재료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가열 재료의 이러한 자기장에 의해 유발되는 가열은 가열 요소를 가열하고, 이는 열을 물품(110)에 전달함으로써 물품(110)의 재료를 에어로졸화시킨다.
도 4는 디바이스(101)의 가열 배열체(201)의 다른 배열체를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 가열 요소(220)는 가열 부재(420)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420)는 공동(43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일(242)은 상기 공동(4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공동(430)은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고, 코일(242)을 완전히 보유할 수 있거나 코일의 권선들과 접촉 및/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공동(430)은 가열 존(215)으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된다. 코일(242)을 수납하는 가열 부재(420)에 공동(430)을 갖는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은, 가열 존(215)에 축적될 수 있는 응축물 및/또는 잔해로부터 코일을 격리함으로써 디바이스(101)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면들 각각에 예시된 가열 요소(22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관형 형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가열 요소(220)는 임의의 형태 또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일은 나선형 코일이거나 평평한 스파이럴 코일 또는 난형 코일과 같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코일 형성일 수 있다. 코일의 형태는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의 형태 또는 형상의 선택과 무관하다.
가열 요소(220)는 공동(430) 내에서 코일(242)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코일 권선을 제자리에 유지한다. 그러한 캐리어 중 하나가 도 5에 도시된다. 캐리어는 생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일(242)은 자립형(self-supportive)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코일(242)은 가열 요소(220)에 접합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절연층 또는 코팅이 제공된다.
도 5는 도 4의 배열체와 유사한 또 다른 배열체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열 요소(220)는 공동(430)을 포함하는 가열 부재(42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인덕터 코일(242)은 공동(430) 내에 보유된다. 가열 부재(420)의 공동(430) 내에는 전기 절연체(500)가 포지셔닝된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체(500)는 인덕터 코일(242)의 권선들과 공동의 벽(531) 사이에 포지셔닝된다. 절연체(500)는 지지체로서 역할을 한다. 자유 단부(222)의 공동 벽은 절연체(500)와 함께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연체(500)는 또한 공동 벽(531)의 이 부분을 따라 포지셔닝될 수 있다. 자유 단부(222)는 가열 요소(220)의 폐쇄 단부를 형성한다. 절연체(500)는 써멀 퍼티(thermal putty) 또는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절연체(500)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PEEK이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체(500)의 제공은 가열 부재(420)로부터 코일(24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가열 부재(420)가 코일(242)을 통과하는 전기를 전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체(500)는 또한 가열 부재(420)에 대해 공동(430) 내에서 제위치에 코일(242)을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가열 요소의 열 분포를 돕는 열 전도성 절연체(500)가 사용될 수 있다. 절연체(500) 또는 코일로 채워지지 않은 가열 요소(220)의 공간은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챔버(440)를 형성한다. 챔버(440)의 공기는 가열 요소(220)를 따라 열을 대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로 채워진 챔버(440)의 제공은 또한, 사용 중인 물품(110)에 근접한 가열 요소(220)의 가장자리들 주위로 가열 요소(220)의 열을 분산시켜 물품(110)의 재료의 가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가열 배열체(201)의 또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5의 절연체(500)와 유사한 절연체(600)가 코일(242) 주위의 공동(430)을 채운다. 절연체(600)의 제공은, 가열 부재에 대해 제위치에서 코일(242)을 지지하여 디바이스의 신뢰성과 장수명(longevity)을 보장한다. 절연체(600)는 써멀 퍼티와 같은 열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체(600)로서 써멀 퍼티를 사용하면 가열 부재의 열 분포가 개선되어 사용 중인 물품의 더욱 효과적인 에어로졸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추가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부재(420)의 벽(721)을 통해 공기 출구(750)가 가열 부재(420)에 제공된다. 가열 요소(220)의 베이스를 통한 공기 입구(752)도 예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입구(752)는 디바이스(101)의 외부와 연통되는 통로(도시되지 않음)와 유체 연통된다. 사용 시, 사용자가 디바이스(101)의 마우스피스를 흡인하면, 공기는 공기 입구(752)를 통해 디바이스(101) 및 가열 요소(220)로 유입되고, 가열 부재(420)의 공동(430)을 통해 공기 출구(750)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그 다음, 공기는 삽입된 물품에 있는 가열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화된 재료를 제공한다. 공기 입구(752)가 가열 요소(220)의 베이스에 위치하도록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만, 공기 입구(752)는 가열 요소(220) 상에서 임의의 포지션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공기 출구(750)는 가열 요소(220) 상의 임의의 포지션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공기 입구(752)와 공기 출구(750)가 도시되어 있지만, 가열 요소(220)는 임의의 개수의 공기 입구들(752)과 공기 출구들(7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220)는 천공된 가열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430)을 통해 코일(242)을 통과하는 공기 도관을 제공하는 이점들 중 하나는, 공기가 코일과 접촉하여 흡입되는 디바이스(101)의 동작이 흡입된 공기에 의해 코일(242)의 냉각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는 코일(242)의 원하지 않는 저항 가열 손실들을 감소시켜, 디바이스의 전체 효율을 개선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7에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중 임의의 도면의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는 가열 요소(2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752) 및 공기 출구(750)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가열 부재(420)의 벽(721)은, 변화하는 자기장이 존재할 때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420)는 상기 가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가열 부재(420)의 외부 또는 내부에 포지셔닝되는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420)는 그의 외부 표면에 포지셔닝되는 보호 외부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코팅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을 방해하지 않도록 열 전도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코일(242)은 산화로부터 코일(242)을 보호하고 인접한 코일 권선들과 가열 부재(4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들은 에나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코일(242)은 가열 부재(224) 및/또는 가열 재료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코일(242)은 가열 부재(224) 및/또는 가열 재료로부터 0.1mm 내지 0.2mm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코일(242)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가 가열 부재(224)의 내부 표면 및/또는 가열 부재(224)에 존재하는 가열 재료로부터 0.1mm 내지 0.2mm의 거리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일(242)의 외주면과 가열 부재(224) 및/또는 가열 재료의 내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0.2mm 미만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242)은 나선형 코일일 수 있고, 공동(430)에 의해 규정되는 가열 부재의 내부 부피는 대체로 원통형일 수 있다. 가열 부재(224)는 관형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코일(242)의 외주면과 가열 부재(224) 및/또는 가열 재료의 내부 표면 사이의 간격은 코일(242)의 둘레 주위에서 일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일(242)의 내경은 1mm 내지 1.5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일(242)의 외경은 2mm 내지 2.5mm이다. 코일(242)은 이들 실시예들에서 나선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일 권선의 단면 직경은 0.5mm 내지 0.75mm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자기장 생성기(240)는 800kHz 내지 1.5MHz의 주파수를 갖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면들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 코일(242)은 칼라(225)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가열 요소(220)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는 또한 가열 요소(220)의 길이를 따라 완전히 연장되는 코일(242)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또한 가열 요소(220)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칼라에 근접한 단부에서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242)은 가열 요소(220)의 자유 단부(2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코일(242)은 특정 가열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가열 요소(220)의 임의의 선택된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코일(242)의 포지셔닝 및 연장은, 가열 요소(220)에 그리고 그에 따라 물품(110)에 가열 요소(220) 및 물품(110)의 특정 영역들을 따라 국부적인 가열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242)이 가열 요소(2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경우, 이는 가열 요소(2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일관된 가열을 보장하고 물품(110)에 제공되는 전체 열의 증가를 제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는 가열 요소(220)가 하우징(103)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도 2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에는 가열 요소가 수용되는 리셉터클이 없다. 즉, 가열 존(215)은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경계가 정해지는 것이 없다.
도 3 내지 도 7의 가열 요소들 중 임의의 가열 요소는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인덕터 코일은, 위에서 설명한 배열체에 대응하는 가열 요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인덕터 코일은 가열 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배열체는 유도 가열 배열체이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배열체는 저항 가열 배열체이다. 실시예들에서, 저항 가열 요소가 도 8의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가열 조립체(201)는 저항 가열 프로세스를 통해 가열 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저항 가열 생성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류는 저항 가열 구성요소에 직접 인가되고, 가열 구성요소에서의 결과적인 전류 흐름은 가열 구성요소가 주울 가열에 의해 가열되게 한다. 저항 가열 구성요소는 적절한 전류가 통과할 때 열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저항 재료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저항 재료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을 포함한다.
하우징(103)은 가열 요소(220)가 돌출되는 베이스(213a)를 규정한다. 가열 요소(220)는 베이스(213a)로부터 직립한다. 가열 요소(220)는 물품(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요소(220)는 노출된다. 용어 '노출된'은 피처의 일부분이, 피처가 외부 범위를 넘어 연장하도록 다른 피처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가열 요소(220)는 가열 챔버에 수용되지 않는다. 도 8의 디바이스에서, 가열 요소는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외부 범위를 넘어서 연장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전체 가열 요소(220)는 둘러싸이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220)의 상당 부분이 노출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의 부(minor) 부분은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외부 범위 내에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가열 요소(220)의 적어도 80%, 선택적으로 60%, 및 선택적으로 50%가 노출된다.
도 8은 또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110)을 도시한다. 도 8의 물품(110)은 일반적으로 도 2의 물품(110)과 동일하다. 도 8의 물품(110)은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물품(110)은 보어(113)를 포함한다. 보어(11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의 노출된 가열 요소는 더 가볍고 더 컴팩트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청소를 위해 가열 요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실시예는, 디바이스(101)가 가열 요소(220)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도 8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220)는 돌출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장치는 돌출 요소(243)를 포함하고, 물품(110)은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돌출 요소(243)는 인덕터 코일(242)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에는 가열 요소가 수용되는 리셉터클이 없다. 즉, 가열 존(215)은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경계가 정해지는 것이 없다. 하우징(103)은 돌출 요소(243)가 돌출되는 베이스(213a)를 규정한다. 돌출 요소(243)는 베이스(213a)로부터 직립한다. 돌출 요소(243)는 물품(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돌출 요소(243)는 노출된다. 용어 '노출된'은 피처의 일부분이, 피처가 외부 범위를 넘어 연장하도록 다른 피처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가열 요소(243)는 가열 챔버에 수용되지 않는다. 도 9의 디바이스에서, 돌출 요소(243)는 디바이스(101)의 하우징(103)의 외부 범위를 넘어서 연장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전체 돌출 요소(243)는 둘러싸이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의 상당 부분이 노출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돌출 요소(243)의 부(minor) 부분은 디바이스(101)의 하우징(103)의 외부 범위 내에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돌출 요소(243)의 적어도 80%, 선택적으로 60%, 및 선택적으로 50%가 노출된다.
돌출 요소(243)는 사용 시에 물품(110) 내에 포지셔닝된다.
돌출 부분(243)은 핀(pin) 또는 칼럼(column)이다. 돌출 요소는 로드로서 역할을 한다. 돌출 요소는 세장형이다. 다른 형상들이 상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는 블레이드이다.
돌출 요소(243)는, 디바이스의 종축(102)을 따라(축방향으로) 하우징(103)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는 축(102)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돌출 요소(243)는 축(102)에서 벗어나거나 축(102)에 대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돌출 요소(243)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1)는 복수의 돌출 요소들(243)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가열 요소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하다.
돌출 요소(243)는 하우징(103)의 단부 벽(213a)으로부터 직립한다. 돌출 요소(243)는 베이스 단부(221a) 및 대향하는 자유 단부(222a)를 포함한다. 돌출 요소(243)는 핀 또는 칼럼이다. 다른 형상들이 구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는 블레이드이다.
돌출 요소(243)는 외부 표면(223a)을 포함한다. 외부 표면(223a)은 돌출 요소(243)의 둘레를 규정한다. 외부 표면(223a)은 베이스 단부(221a)와 자유 단부(222a) 사이에서 연장된다. 돌출 요소(243)는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다른 형상들이 구상된다.
물품(110)은 보어(bore)(113)를 포함한다. 보어(113)는 물품(110)에 사전형성된다. 보어(113)는 실시예에서 물품(110)의 관형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들에서, 보어(113)는 물품의 종축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보어(113)는 내부 표면(114)을 포함한다. 보어(113)는 폐쇄 단부(115)를 갖는다. 돌출 요소(224)는 보어(113)에 수용되도록 크기설정된다. 돌출 요소(243) 및 보어(113)는 슬라이드 끼워맞춤(slide fit)을 형성하도록 상보적으로 크기설정된다. 보어의 내부 표면(114)은, 돌출 요소(243) 상에 물품(110)을 유지하기 위해 돌출 요소(243)와 긴밀한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유 단부(222a)는 뭉툭하다(blunt).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서, 물품(110)의 보어(113)는 생략된다.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의 외부 치수들은 보어의 외부 치수들보다 크다. 그러한 배열체들에서, 돌출 요소(243)는 물품(110) 내로 삽입될 물품(110)을 변형 및/또는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 요소(243)는 디바이스(101) 상으로 삽입되는 물품(11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돌출 요소(243)의 자유 단부(222a)는 예리한 에지 또는 뾰족부(point)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의 자유 단부(222a)는 물품(110)에 돌출 요소(243)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도록 예리한 에지, 뾰족부 또는 다른 가이드 특징부를 포함한다.
전도체 코일(242)이 돌출 요소(243)에 매립된다. 돌출 요소(243)는 전기 절연체이다. 돌출 요소(243)는 인덕터 코일(242)을 보호하고 지지한다. 돌출 요소(243)는 써멀 퍼티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PEEK이다.
물품(110)은 가열 요소로서 역할을 하는 가열 부재(224)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224)는, 변화하는 자기장이 있을 때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가열 재료로 형성된다. 가열 부재(224)는 서셉터로서 역할을 한다. 가열 부재(224)는 관형이다. 가열 부재(224)는 돌출 요소(243) 주위로 포지셔닝가능하다. 가열 부재(224)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내에 매립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224)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상에 층 또는 코팅을 형성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224)는 물품(110)의 보어(113)의 표면을 형성한다. 가열 부재(224)는 가열 재료의 막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분산된 가열 재료의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부재는 가열 재료의 코일을 포함한다. 물품(110)에 가열 부재(224)를 제공하면 노출된 돌출 요소(243)가 직접 가열되지 않으므로 장치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사용 후 및 물품(110)을 제거한 후 노출된 돌출 요소(243)에 실수로 접촉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을 줄인다.
유도 가열 배열체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돌출 요소(243)는 돌출 요소(243)의 외부 범위를 규정하는 돌출 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돌출 요소(243)의 노출된 외부 표면을 규정한다. 실시예들에서, 본체에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가 없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가열 배열체는 유도 가열 배열체이다. 실시예들에서, 저항 가열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가열 배열체가 사용된다. 디바이스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으며, 그래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가열 조립체(201)는 저항 가열 프로세스를 통해 가열 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저항 가열 생성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류는 저항 가열 구성요소에 직접 인가되고, 가열 구성요소에서의 결과적인 전류 흐름은 가열 구성요소가 주울 가열에 의해 가열되게 한다. 저항 가열 구성요소는 적절한 전류가 통과할 때 열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저항 재료를 포함하고, 가열 조립체는 저항 재료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구성요소 자체를 형성한다. 실시예들에서, 저항 가열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전도에 의해 가열 요소에 열을 전달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이 구상된다.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균등물들 및 변형예들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3)

  1.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열 존;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상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가열 존 내에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존으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공동(cavity)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가열 존으로부터 격리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 요소를 통한 공기 경로를 규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벽 및 상기 벽을 통해 연통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가열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 내에 절연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가열 부재 내에 상기 인덕터 코일을 지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충전제(fill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코팅(coating)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가열 부재로부터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3. 제4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재료는 상기 인덕터 코일로부터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0.2 ㎜ 미만의 거리만큼 상기 가열 재료로부터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0.1 내지 0.2 ㎜의 거리만큼 상기 가열 재료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나선형 코일(helical coil)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의 내경은 1 ㎜ 내지 1.5 ㎜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인덕터 코일의 외경은 2 ㎜ 내지 2.5 ㎜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관형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9.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블레이드(blade)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0.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0.5 ㎜ 내지 0.75 ㎜의 단면 직경을 갖는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기는 800 ㎑ 내지 1.5 ㎒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2.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 및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셉터클 내에 돌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3.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와 상기 인덕터 코일 사이의 간격은 0.2 ㎜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4.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를 위한 인덕터 코일(inductor coil);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가열 존 내에 연장되도록 배열되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
  25.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제24 항의 가열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는 상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가 없는,
    시스템.
  27.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상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8.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립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 및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와 상기 인덕터 코일 사이의 간격은 0.2 ㎜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9.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생성기를 위한 인덕터 코일(inductor coil); 및
    상기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가열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조립체.
  30.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하우징;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노출된 가열 배열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 요소가 돌출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3.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 요소가 돌출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5. 제30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는 저항 가열 배열체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6. 제30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는 유도 가열 배열체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는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8. 제30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존은 상기 노출된 가열 배열체 주위로 연장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39.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27 항, 제28 항 또는 제30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상기 가열 배열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1. 제39 항 또는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투과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2.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제27 항, 제28 항 또는 제30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의 용도.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배열체를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42643A 2021-06-18 2022-06-17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KR20240019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8765.5 2021-06-18
GBGB2108765.5A GB202108765D0 (en) 2021-06-18 2021-06-18 Aerosol generating device
PCT/EP2022/066612 WO2022263657A2 (en) 2021-06-18 2022-06-17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133A true KR20240019133A (ko) 2024-02-14

Family

ID=7705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643A KR20240019133A (ko) 2021-06-18 2022-06-17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55149A2 (ko)
KR (1) KR20240019133A (ko)
CN (1) CN117813022A (ko)
BR (1) BR112023026103A2 (ko)
GB (1) GB202108765D0 (ko)
WO (1) WO20222636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6345A1 (en) * 2021-07-30 2023-02-02 Src, Inc. Folded monopole antenna for use within an arr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7289B (zh) * 2014-05-21 2020-07-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形成製品、電熱氣溶膠產生裝置及系統、及操作該系統之方法
CN116584696A (zh) * 2017-05-10 2023-08-1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与多个气溶胶形成基质一起使用的气溶胶生成制品、装置和系统
CN113455712A (zh) * 2021-06-21 2021-10-01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发热体组件和气溶胶产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3657A2 (en) 2022-12-22
EP4355149A2 (en) 2024-04-24
CN117813022A (zh) 2024-04-02
GB202108765D0 (en) 2021-08-04
WO2022263657A3 (en) 2023-03-23
BR112023026103A2 (pt)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4155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heating system
US20230276855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20240019133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KR20210131360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EP4355142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30371603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heating system
US20240108072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isable material
US20240122250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isable material
EP4355148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40138480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isable material
WO2023094293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 generating material
EP4355147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4521971A (ja) 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
WO2023118009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118003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68886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497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