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751A -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751A
KR20240018751A KR1020220096454A KR20220096454A KR20240018751A KR 20240018751 A KR20240018751 A KR 20240018751A KR 1020220096454 A KR1020220096454 A KR 1020220096454A KR 20220096454 A KR20220096454 A KR 20220096454A KR 20240018751 A KR20240018751 A KR 2024001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ransfer
base material
tack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대
석수성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751A/en
Publication of KR2024001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75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7Means for tracking lines during 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72Geometry oriented, e.g. beam optical trading
    • B23K9/1274Using non-contact, optical means, e.g. las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ome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에는 모재의 일측과 타측 외면에 거치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모재에 형성된 용접라인과 평행하게 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접을 위해 이송거리 및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접라인의 위치를 검출하고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가변되는 위치조절대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용접라인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고 텅스텐 전극봉과 상기 모재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 상기 모재를 용접하는 토치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제2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토치에 의해 발생된 아크에 용가재를 공급하여 상기 모재를 가접시키는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A stand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be mounted and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welding line is parallel to the welding line formed on the base material. A transfer rail is mounted, a transfer table is formed so as to be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rail and can measure the transfer distance and gap for tack welding, an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It is located in a position control table that is variabl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transfer table by a drive unit, and a first mount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to spray inert gas on the welding line and between the tungsten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 torch that generates an arc to weld the base material, and a feeder located in a second mounting hole form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to tack-weld the base metal by supplying filler metal to the arc generated by the torch. do.

Description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를 용접하기 전 용접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가접을 수행하여 모재가 임시로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welding line that performs tack welding while transporting the base material along the welding line before welding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base metal is temporarily joined. It relates to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화석연료의 하나인 천연가스가 액화된 것으로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매립되는 육상형 저장탱크 또는 자동차,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설치된 이동형 저장탱크 등으로 구분된다. In general, liquefied natural gas (LNG) is liquefied natural gas, which is one of the fossil fuel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s are either land-type storage tanks installed on the ground or buried in the ground, or It is divided into mobile storage tanks installed in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cars and ships.

전술된 액화천연가스는 충격에 노출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극저온 상태로 보관되는 바, 이를 보관하는 저장탱크는 내충격성 및 액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The liquefied natural gas described above has a risk of explosion when exposed to impact and is stored at extremely low temperatures, so the storage tank storing it has a structure that firmly maintains impact resistance and liquid tightness.

이와 같은 저장탱크는 유동이 거의 없는 육상형 저장탱크와 대비하여, 유동이 있는 자동차, 선박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는 유동에 의한 기계적 응력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Compared to land-type storage tanks with little flow, such storage tanks are somewhat different in that the structure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s installed on cars and ships with flow requires preparation for mechanical stress caused by flow. There is.

그러나, 기계적 응력에 대하여대비책이 마련된 선박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당연히 육상형 저장탱크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선박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를 일례로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installed on a ship with precautions against mechanical stress can naturally be used as a land-type storage tank, the structure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installed on a ship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LNG선박의 카고 탱크와 같은 LNG 탱크는 저온의 LNG를 수송 또는 보관하기 위해 내부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 시스템과 LNG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벽이 설치된다. LNG tanks, such as cargo tanks on LNG ships, are equipped with an insulation system to insulate the interior and a sealing wall to prevent LNG leakage in order to transport or store low-temperature LNG.

이러한 밀봉벽은 내부에 저장된 LNG가 외부로 유출되어 선체와 접촉시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선박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선박의 안전성에서 LNG의 밀봉이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This sealing wall reduces the durability when the LNG stored inside leaks to the outsid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ull, which not only reduces the safety of the ship but also poses a risk of explosion, making sealing of LNG an important task in the safety of the ship. .

상기 기재된 밀봉벽의 설치를 위해, 종래의 LNG선박은 내부의 밀봉벽의 설치를 위해 내벽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비계장치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상기 비계장치를 이용하여 내부에 밀봉벽을 설치한다. To install the sealing wall described above, a conventional LNG ship installs a scaffolding device disposed close to the inner wall for installation of the internal sealing wall, and an operator uses the scaffolding device to install the sealing wall inside.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밀봉벽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해 작업자가 용접기를 직접 휴대하고 상기 비계장치를 이동하여 용접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자가 직접 용접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용접 능률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작업자의 컨디션에 따라 용접 품질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seal the inside of the sealing wall, the worker must carry the welder directly and move the scaffolding device to perform the welding work, which is inconvenient, and the welding efficiency is low because the worker must perform the welding work himself.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welding quality depending on the worker's skill or condition.

따라서, 이와 같은 내부의 용접 작업은 숙련자 위주로 이루어지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such internal welding work is mainly performed by skilled workers,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또한, 이와 같은 내부 용접 작업은 저층에서부터 고층까지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용접 작업과 동시에 안전에도 유의해야 하므로 신경이 분산되기 쉽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다. In addition, since such internal welding work is performed from low to high floors, workers must pay attention to safety while performing welding work, so they are easily distracted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high.

또한 종래의 경우 LNG 탱크의 1차 방벽이 SUS 재질의 3m*1m의 큰 판을 서로 연결시켜 용접하고 있으며, 용접을 수행하기 전 가접을 통해 임시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러한 가접은 탱크 크기에 따라 매우 많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이동하며 가접을 수행해야 하므로 집중도와 가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primary barrier of an LNG tank is welded by connecting large plates of 3m*1m made of SUS material, and they must be temporarily connected through tack welding before welding. This tack welding is very difficul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ank.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work had to be performed, and workers had to move around the snow at regular intervals to perform tack welding, which required a lot of concentration and time for tack welding.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60733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0733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모재 사이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용접라인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접을 하여 모재를 임시로 접합시키기 위한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recognize the weld line between two base materials and tack weld while moving horizontally along the weld line to temporarily join the base materials, and automatically transfer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lding device capable of tack wel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가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용접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가접을 수행할 수 있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erform tack welding at regular intervals by measuring the distance to be transferred, and to recognize welding lines that can perform tack welding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depending on the welding position, so that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are possi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weld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접 위치에서 짧은 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가접 부위의 신뢰성을 높이고 리페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transfer and tack weld by recognizing a welding line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ack welding area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repair by supplying power for a short moment at the tack welding posi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는 일단과 타단에는 모재의 일측과 타측 외면에 거치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모재에 형성된 용접라인과 평행하게 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접을 위해 이송거리 및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접라인의 위치를 검출하고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가변되는 위치조절대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용접라인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고 텅스텐 전극봉과 상기 모재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 상기 모재를 용접하는 토치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제2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토치에 의해 발생된 아크에 용가재를 공급하여 상기 모재를 가접시키는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cognizes the weld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is provided with a stan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be mounted and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welding line formed on the base material is provided. A transfer rail that is mounted in parallel, a transfer table that is form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rail and is formed to measure the transfer distance and gap for tack welding, and a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Detects a position control table that is variabl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transfer table by a drive unit, and is located in a first mount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to inject an inert gas to the welding line and tungsten electrode and the A torch that generates an arc between base materials to weld the base materials, and a feeder located in a second mounting hole form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to tack-weld the base materials by supplying filler metal to the arc generated by the torch.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는 상기 이송대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재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송블록이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바퀴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거치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이송대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위치감지구를 인식하여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위치를 보정하고 가접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보정센서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토치의 위치와 상기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접위치를 제어하는 용접제어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block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transfer table and coupled to and sliding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and formed on the lower rear of the transfer table and the A transfer wheel is formed to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base material and is rotated by a transfer motor to transfer the transfer block along the transfer rail, and a las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is directed toward the holder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rail. A distance sensor tha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table and the holder by examining the distance sensor, and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phere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are recognized and sent to the distance sensor. A position correction sensor tha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ed by and detects the tack welding position, and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of the transfer table to control the welding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rch and the position of the filler metal supplied through the fee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elding control camera.

또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는 상기 이송대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대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조절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위치조절대가 상기 이송대의 전면 및 후면 방면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레일과,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대의 하부에 형성된 구동블록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대의 전방 또는 후방 방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위치조절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제1장착홀에 형성되며 상기 토치와 축 결합되어 용접 위치에 맞게 상기 토치를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제2장착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기와 축 결합되어 상기 용가재가 용접 위치에 맞춰 배출되도록 상기 공급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각도조절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접라인을 촬영하여 상기 토치 및 상기 공급기가 상기 용접라인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위치조절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제어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control block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are combined so that the position control unit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transfer table. and an adjustment rail formed to slide toward the rea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ball screw by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a driving block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a drive unit that moves to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ta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and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torch to rotate the torch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to adjust the angle. a first angle adjustment unit form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feeder, and a first angle adjustment unit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and axially coupled to the fee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feeder so that the filler metal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2 An angle adjustment unit and a position located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to photograph the welding line and control the drive unit so that the torch and the supply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elding lin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control camera.

또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상기 토치는 상기 용접라인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용접라인의 높낮이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rch of the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is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so that it is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height of the welding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and weld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상기 이송레일은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 또는 점착식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내측면에 다수 개의 척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모재의 일측과 타측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척이 상기 모재를 파지하여 상기 이송레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rail of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further includes an attachment member made of permanent magnet or adhesive silicon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ucks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wh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hucks grip the base material and fix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rail.

또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는 상기 이송대의 하부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용접을 위해 공급되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을 상기 모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재와 접촉되는 형성되는 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치에 형성된 상기 텅스텐 전극봉은 상기 전극단자에 의해 상기 모재에 공급된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에 의해 따라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t the bottom of the transfer table so that AC power or D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welding can be supplied to the base material. It further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formed in contact with the torch, and the tungsten electrode formed on the tor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n arc according to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base material by the electrod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의하면, 두 모재 사이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용접라인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접을 하여 모재를 임시로 접합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 line between two base materials is recognized and tack welded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weld line to temporarily weld the base material. It has a bond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의하면, 이송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가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용접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가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ck weld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by measuring the transported distance, and th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to perform tack wel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의하면, 가접 위치에서 짧은 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가접 부위의 신뢰성을 높이고 리페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tack welding area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repairs by supplying power for a short moment at the tack welding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가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이송대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저면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가 모재를 따라 이동되며 가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tack welding.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automatically transfer and tack w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table of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elding device performing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nabling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along the base material and tack welding.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를 용접하기 전 용접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가접을 수행하여 모재가 임시로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welding line that performs tack welding while transporting the base material along the welding line before welding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base metal is temporarily joined. It relates to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가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이송대(200)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a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a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utomatically transfers and tack welding. It is a plan view showing how to perform tack welding with a possible welding device, and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table 200 of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automatically transfer and tack wel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는 일단과 타단에는 모재의 일측과 타측 외면에 거치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130)가 마련되어 있어 모재에 형성된 용접라인(L)과 평행하게 거치되는 이송레일(100)과,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접을 위해 이송거리 및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대(200)와, 이송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용접라인(L)의 위치를 검출하고 구동유닛(330)에 의해 이송대(2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가변되는 위치조절대(300)와,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장착홀(301)에 위치되어 용접라인(L)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고 텅스텐 전극봉(410)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 모재를 용접하는 토치(400)와,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제2장착홀(302)에 위치되어 토치(400)에 의해 발생된 아크에 용가재(510)를 공급하여 모재를 가접시키는 공급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has a holder 13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for being mounted on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It is provided with a transfer rail 100 that is mounted parallel to the welding line (L) formed on the base material, and is formed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rail 100 and is formed to measure the transfer distance and gap for tack welding. A transfer table 200 and a position control tab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L) and change to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by the drive unit 330. (300) and is locat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301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positioning table 300, sprays inert gas on the welding line (L) and creates an arc between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base material. The base material is tack-welded by supplying filler material 510 to the arc generated by the torch 400 for welding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302 form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positioning table 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eeder 500.

모재는 용접을 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1모재(10)와 제2모재(20)를 의미하며, 이송레일(100)은 제1모재(10) 또는 제2모재(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base material refers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or welding, and the transfer rail 100 is either the first base material 10 or the second base material 20.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접은 제1모재(10)와 제2모재(20)에 형성된 용접라인(L)을 따라 용접하기 전 제1모재(10)와 제2모재(20)가 움직이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부분 용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ack weld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moving or twisting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before welding along the weld line L formed on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is means performing partial welding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damage.

즉, 본 발명은 제1모재(10)와 제2모재(20)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가접을 통해 임시로 고정함으로써, 본 용접을 수행할 때 제1모재(10)와 제2모재(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temporarily fixes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rough tack welding while they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when performing the main welding,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또한 용접라인(L)은 제1모재(10)와 제2모재(20)를 용접하기 위한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용융된 용가재(510)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제1모재(10)의 일측 상부 모서리와 제2모재(20)의 일측 상부 모서리를 모따기하여 V자 형태로 경사면을 형성시킨 것이다.In addition, the welding line (L) refers to an area for welding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and the first base material 10 is used to expan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molten filler metal 510. The upper edge of one side and the upper edge of one side of the second base material 20 are chamfered to form a V-shaped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서는 제1모재(10)에 이송레일(100)이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실질적으로 제1모재(10) 또는 제2모재(20)에 관계없이 이송레일(100)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ansfer rail 100 is installed on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transfer rail 100 is substantial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or the second base material 20. Can be installed.

이송레일(100)은 제1모재(10) 또는 제2모재(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모재(10)와 제2모재(20)가 용접되는 용접라인(L)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이송대(200)가 수평방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The transfer rail 100 is installed on the first base material 10 or the second base material 20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weld line L where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are welded. As much as possible, the transfer table 200 serves as a guide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while sliding in a horizontal plane.

이때 이송레일(100)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1모재(10)의 양측 외면에 거치되어 이송레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거치대(130)가 마련되어 있으며, 거치대(130)의 하단은 이송레일(100)의 바닥면보다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송레일(100)이 제1모재(10)의 양측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holders 130 ar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to prevent the transfer rail 100 from moving by being mount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older 130 is used for transport. I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rail 100, allowing the transfer rail 1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거치대(130)가 제1모재(10)의 양측 외면에 밀착됨에 따라 이송레일(100)은 제1모재(10)의 전면 또는 후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1모재(10)의 전면에 위치된 용접라인(L)과도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As the hold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the transfer rail 10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front or back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rough this, the first base material 10 can be maintained in a parallel state. It can also be arranged parallel to the welding line (L) located on the front of (10).

즉, 거치대(130)가 제1모재(10)에 밀착되는 것만으로 용접라인(L)과 이송레일(100)의 평행상태가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게 되며, 이송레일(100)의 위치만 용접라인(L)과 인접한 위치로 이송시켜 용접 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arallel state of the welding line (L) and the transfer rail 100 can be automatically aligned just by the holder 130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only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rail 100 can be adjusted to the welding line. Welding preparations can be completed by transporting to a location adjacent to (L).

이송대(200)는 이송레일(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이송레일(100)의 일단과 타단 방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이송대(200)의 상부에 결합된 위치조절대(300), 토치(400), 공급기(500)를 용접라인(L)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transfer table 20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100 and slides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and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and a torch 4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 the feeder 500 can be moved in parallel along the welding line (L).

이송대(200)의 전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개구되는 개구부(201)가 마련되어 있으며, 위치조절대(300)에 형성된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용접라인(L)과 지근거리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The front of the transfer table 2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01 that opens from top to bottom, and the torch 400 and feeder 500 formed on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welding line (L). It becomes possible.

또한 이송대(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이송레일(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블록(210)과, 이송대(20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며 모재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이송모터(230)에 의해 회전되어 이송블록(210)이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바퀴(220)와, 이송대(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레일(100)의 일단에 형성된 거치대(130)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이송대(200)와 거치대(1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250)와, 이송대(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레일(10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위치감지구(120)를 인식하여 거리센서(250)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위치를 보정하고 가접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보정센서(240)와, 이송대(20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토치(400)의 위치와 공급기(500)를 통해 공급되는 용가재(5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접위치를 제어하는 용접제어카메라(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ransfer block 210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100 to slide, and is formed at the lower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is formed to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base material. A transfer wheel 220 is rotated by the transfer motor 230 to allow the transfer block 210 to be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rail 100,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has one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A distance sensor 250 tha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table 200 and the stand 130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stand 130 formed in the transfer rail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stand 200. ), a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that recogniz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pheres 12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250, and detects the tack position, and a transfer table It further includes a welding control camera 260 formed on the lower front of the 200 to control the welding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rch 400 and the position of the filler metal 510 supplied through the feeder 500. Do it as

이송블록(210)은 하부는 이송레일(100)에 구속되어 이송레일(100)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이송대(200)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어 있어 이송대(200)가 이송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block 210 is restrained by the transfer rail 100 and is formed so that it can slide in the direction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transfer table 200 to enable transfer. The stand 200 can slide along the transfer rail 100.

이송바퀴(220)는 이송대(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모재(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이송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이송대(200)가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The transfer wheel 220 is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rotated by driving the transfer motor 230 to transfer the transfer table 200. It is used.

이때 이송모터(230)는 수치제어를 통해 이송바퀴(220)의 회전량을 측정하고 이송바퀴(220)에 의해 이송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송모터(230)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이송대(2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지시켜 토치(400) 및 공급기(500)에 의해 가접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motor 230 can measure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fer wheel 220 through numerical control and measure the distance transported by the transfer wheel 220, based on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transfer motor 230. By stopping the transfer table 200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control tack welding to proceed by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이송바퀴(220)와 이송모터(230)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송모터(230)와 회전축 사이에는 기어박스가 마련되어 있어 안정적인 토크로 이송바퀴(2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wheel 220 and the transfer motor 230 are connected by a rotating shaft, and a gearbox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motor 230 and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transfer wheel 220 with a stable torque. desirable.

또한 이송바퀴(220)의 외면은 이송 중 발생되는 슬립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이송바퀴(220)의 외면을 점착성 실리콘으로 형성시켜 이송바퀴(220)가 정지되었을 때 제1모재(10)에 점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wheel 22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minimize slip that occurs during transport. If necessary,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wheel 220 is formed with adhesive silicone to prevent the transport wheel 220 from stopping. When done, it may be fixed in an adhesive state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maintained in a stationary state.

이때 점착성 실리콘은 이송바퀴(220)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정지된 상태에서 이송바퀴(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송모터(230)는 브레이크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dhesive silicone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wheel 220, and the transfer motor 230 is composed of a brake motor to prevent the transfer wheel 220 from moving when stopped. desirable.

거리센서(250)는 이송대(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레일(100)의 일단에 위치된 거치대(130)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송대(2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distance sensor 2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irradiates a laser toward the holder 130 locat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and uses the reflected las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table 200. Used to measure position.

거리센서(250)에서 측정된 거리는 이송레일(100)의 일단에 형성된 거치대(130)를 절대좌표의 영점으로 하여 계산하게 되며, 이송모터(230)의 회전량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거리센서(250)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이송대(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250 is calculated using the holder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as the zero point of absolute coordinates, and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fer motor 230 and the distance sensor ( By comparing the distance measured by 250), the error can be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table 200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또한 이송모터(230)는 거리센서(250)를 통해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이송바퀴(220)의 슬립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오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거리센서(250)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다음 가접 위치까지 이송되어야 하는 거리를 계산 후 이송바퀴(220)를 회전시켜 이송대(200)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tor 230 can check the position error caused by the slip of the transfer wheel 220 based on the distanc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250, and based on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250.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that must be transferred to the next tack welding position, the transfer table 200 can be transferred by rotating the transfer wheel 220.

위치보정센서(240)는 이송대(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레일(100)의 상부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위치감지구(120)를 인식함으로써 거리센서(250)에 의해 측정된 위치와, 이송모터(230)에 의해 측정된 위치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recogniz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pheres 12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100 to determine the distance sensor 250. It is used to correct errors due to the position measured by and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transfer motor 230.

이송레일(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위치감지구(120)는 위치보정센서(240)가 감지할 수 있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보정센서(240)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송대(200)가 슬라이딩되면서 노출되는 위치감지구(120)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position sensing spheres 12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nsfer rail 100 are made of a magnetic or metal material that 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can detect, and 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can detect a magnetic or metal material. It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detection sphere 120 exposed as the transfer table 200 slides can be detected.

위치감지구(120)는 이송레일(10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감지구(120)가 감지된 수에 따라 이송대(200)의 현재위치와 물리적인 거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감지된 각각의 위치감지구(120)가 기준좌표의 영점으로 사용되어 이송대(200)의 이송거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position detection spheres 1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fer rail 100, the current position and physical distance of the transfer table 2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sition detection spheres 120 detected. , each detected position detection sphere 120 is used as the zero point of the reference coordinate, making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transfer table 200.

이를 통해 위치보정센서(240)가 위치감지구(120)를 감지하면 현재 이송대(200)가 이송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거리센서(250)를 통해 측정된 거리와 위치감지구(120)를 감지한 위치를 비교하여 거리센서(250)의 오차범위를 개선 및 보정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when 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detects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1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the distanc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250 and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120 ) It is possible to improve and correct the error range of the distance sensor 250 by comparing the detected position.

또한 위치보정센서(240)를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위치감지구(120)에 맞춰 가접위치를 선정할 수도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접이 진행되는 위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can be used to select the tack weld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detection tools 12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based on this, the position where the tack welding is performed can be made evenly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위치보정센서(240)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기반으로 이송모터(230)가 회전되면서 계산한 이송량을 비교할 수 있게 되며, 이송바퀴(220)의 슬립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위치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이송바퀴(220)가 슬립이 자주 발생되는 위치에서 이송모터(230)를 더 회전시켜 이송량을 자체적으로 보정할수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transfer amount calculated as the transfer motor 230 rotates based on the distance value detected by the position correction sensor 240, and to improve the position error caused by slip or vibration of the transfer wheel 220. For this reason, the transfer wheel 220 can further rotate the transfer motor 230 at a position where slip often occurs to correct the transfer amount on its own.

즉, 이송바퀴(220)의 마모나 손상에 의해 이송모터(230)의 회전수에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200)의 이송량이 부족한 경우 자동으로 거리를 보정되도록 이송모터(23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transfer amount of the transfer table 200, which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fer motor 230, is insufficient due to wear or damage of the transfer wheel 220,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fer motor 230 is adjusted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distance. You can control it.

용접제어카메라(260)는 이송대(200)의 하부 전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토치(400)의 텅스텐 전극봉(410)과 공급기(500)에서 공급되는 용가재(510)의 위치를 파악하고 용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is located on the lower fron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tungsten electrode 410 of the torch 400 and the filler metal 510 supplied from the feeder 500 and confirms the welding condition. It is used to

이를 위해 용접제어카메라(260)는 제1모재(10)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전면에는 텅스텐 전극봉(410)과 용가재(510)를 촬영하면서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지정된 용접위치에서 용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i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re positioned at the designated welding position while photographing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filler metal 510 on the front. This is controlled so that welding can proceed.

즉, 텅스텐 전극봉(410)에 의해 발생되는 아크에 용가재(510)가 투입되어 제1모재(10)와 제2모재(20) 사이의 용접라인(L)에 용융된 용가재(510)가 투입되어 가접이 진행되도록 토치(400)와 공급기(500)의 각도 및 위치를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ller material 510 is inputted into the arc generated by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molten filler material 510 is inputted into the welding line L between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o that tack welding can proceed.

위치조절대(300)는 이송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용접라인(L)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이송대(2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is formed so that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and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re connected to the welding line ( It is used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transfer table 200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top of L).

이때 위치조절대(300)는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는 각각 사각형으로 개구되어 있는 제1장착홀(301)과 제2장착홀(302)이 형성되어 있어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is formed in a T-shape, and a first mounting hole 301 and a second mounting hole 302 having square opening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respectively, so that the torch 400 and It is formed so that the supply device 500 can be mounted.

또한 이송대(2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위치조절대(3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조절블록(320)이 결합되어 위치조절대(300)가 이송대(200)의 전면 및 후면 방면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레일(310)과, 이송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구동모터(331)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334)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위치조절대(300)의 하부에 형성된 구동블록(335)이 볼스크류(3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대(200)의 전방 또는 후방 방면으로 이동되어 위치조절대(3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유닛(330)과, 위치조절대(300)의 제1장착홀(301)에 형성되며 토치(400)와 축 결합되어 용접 위치에 맞게 토치(400)를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유닛(360)과, 위치조절대(300)의 제2장착홀(302)에 형성되며 공급기(500)와 축 결합되어 용가재(510)가 용접 위치에 맞춰 배출되도록 공급기(5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각도조절유닛(370)과,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어 용접라인(L)을 촬영하여 토치(400) 및 공급기(500)가 용접라인(L)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동유닛(330)을 제어하여 위치조절대(3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제어카메라(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blocks 3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the control blocks 3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are combined so that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is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ansfer table 200. The control rail 310 is formed to slide i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the ball screw 334 is formed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31,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A drive unit 330 in which the drive block 335 formed in is mov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334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and the position A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0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301 of the adjuster 300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torch 400 to adjust the angle by rotating the torch 400 to suit the welding position. And, it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302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feeder 500 so that the angle of the feeder 50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filler metal 510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It is located at the lower front of 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370 and the positioning table 300 to photograph the welding line (L) so that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elding line (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osition control camera 340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33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조절레일(310)은 위치조절대(300)가 이송대(200)의 전면과 후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송대(200)의 상부 양측에서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대(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The control rail 310 is used to allow the position adjuster 300 to be transferr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The support bar 270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이때 조절레일(310)의 상부에는 조절블록(320)이 형성되어 있어 조절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블록(320)은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이송대(200)가 조절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송대(2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n control block 3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rail 310 and is formed to slide along the control rail 310, and the control blocks 32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of the position control stand 300. This allows the transfer table 200 to slide along the control rail 310 and be transferr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unit 200.

구동유닛(330)은 위치조절대(300)가 이송되는 위치를 수치제어를 통해 제어하여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송대(200)의 후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31)와, 구동모터(331)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스크류(334)와, 이송대(2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어 볼스크류(334)의 일단과 타단을 지지하는 제1고정대(332) 및 제2고정대(333)와, 볼스크류(334)의 외면에 나사체결 되고 상부면은 위치조절대(300)의 후면 하부에 결합되어 볼스크류(3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조절대(300)를 이송대(2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블록(335)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rive unit 330 is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by controlling it through numerical control. The drive motor 33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and supplies rotational force. ) and a ball screw 334 that is formed to rotate by being coupled to the drive motor 331 and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is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respectively, and has one end of the ball screw 334 and The first fixture 332 and the second fixture 333 that support the other end are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screw 334, and th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position adjuster 300 to form the ball screw 334. It consists of a driving block 335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table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구동모터(331)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334)가 회전되면 위치조절대(300)에 결합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구동블록(335)이 볼스크류(334)의 일단과 타단 방면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조절블록(320)을 통해 조절레일(310)에 슬라이딩 가능한 위치조절대(300)가 구동블록(335)에 의해 이송되어 토치(400)와 공급기(500)를 용접라인(L)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ball screw 33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31, the drive block 335, which is coupled to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and cannot rotate, can be mov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ll screw 334. The position adjuster 300, which can slide on the control rail 310 through the control block 320, is transferred by the drive block 335 to position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t the welding line (L). You can do it.

위치제어카메라(340)는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어 용접라인(L)을 촬영함으로써 용접라인(L)의 위치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동모터(331)의 동작을 제어하여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용접라인(L)이 위치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is located at the lower fron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weld line (L) by photographing the weld line (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331 based on this.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re us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L).

즉, 위치제어카메라(3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용접라인(L)을 검출하고 용접라인(L)의 상부에 텅스텐 전극봉(410)과 용가재(510)가 위치되도록 구동유닛(330)이 제어되게 된다.That is, the drive unit 330 detects the welding line (L)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and positions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filler material 510 on the upper part of the welding line (L). ) is controlled.

또한 위치제어카메라(340)는 가접을 위한 용접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접된 부위를 촬영함으로써 용접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용접상태가 불량한 경우 불량발생 부위의 인접한 위치에 가접을 다시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can analyze the welding condition by photographing the tack welded area when welding for tack welding is completed, and if the welding condition is poor, it can be controlled to re-perform tack welding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defective area. It becomes possible.

필요에 따라 이송대(200)의 하부에는 용접이 불량한 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흡기유닛(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제어카메라(340)를 통해 불량으로 판정된 부위를 토치(400)로 열을 가한 후 용융된 용가재(510)를 흡기유닛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If necessary, an intake unit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to remove areas with poor welding, and areas determined to be defective through 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are welded with a torch 400. After applying heat, the molten filler metal 510 can be removed by sucking it into the intake unit.

이 경우 본격적으로 용접이 수행될 때 불량이 발생된 부위를 작업자가 수리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er does not have to repair the defective part when welding is performed in earnest.

제1각도조절유닛(360)은 위치조절대(300)의 제1장착홀(301)에 형성되어 있으며 토치(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토치(4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접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0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301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300 and is formed so that the torch 400 can be coupled, and the angle of the torch 400 is adjusted for welding. Used to control position.

제1각도조절유닛(360)은 토치(40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장착홀(301)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지지링크(361)와, 제1지지링크(361) 사이에 위치되며 토치(400)의 외면과 축 결합되어 제1지지링크(361)가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축(362)과, 제1지지링크(361)에 형성되며 제1지지축(362)과 연동되어 토치(400)를 회동시키거나 회동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지지모터(363)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0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 links 36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hole 301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torch 400, and a first support link 361. )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shaft 362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rch 400 so that the first support link 361 can rotate, and the first support shaft 362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link 361 and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link 361 It consists of a first support motor 363 that is linked with the support shaft 362 to rotate the torch 400 or fix it in a rotated state.

제1지지모터(363)를 기반으로 토치(40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용접라인(L)의 위치에 따라 아크가 발생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e first support motor 363, the rotation angle of the torch 400 can be adjusted, and based on this, the position where the arc is generate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L).

제2각도조절유닛(370)은 위치조절대(300)의 제2장착홀(302)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기(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공급기(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가재(510)가 투입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370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302 of the position adjuster 300 and is formed so that the feeder 500 can be coupled to the filler material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eeder 500. (510) is used to control the input position.

제2각도조절유닛(370)은 공급기(50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장착홀(302)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지지링크(371)와, 제2지지링크(371) 사이에 위치되며 공급기(500)의 외면과 축 결합되어 제2지지링크(371)가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축(372)과, 제2지지링크(371)에 형성되며 제2지지축(372)과 연동되어 공급기(500)를 회동시키거나 회동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2지지모터(373)로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370 includes a pair of second support links 37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hole 302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500, and a second support link 371. ) and a second support shaft 372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er 500 so that the second support link 371 can rotate, and a second support shaft 372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ink 371. It consists of a second support motor 373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support shaft 372 to rotate the feeder 500 or fix it in a rotated state.

제2지지모터(373)를 기반으로 공급기(50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토치(400)의 위치에 따라 용가재(510)가 투입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e second support motor 373, the rotation angle of the feeder 500 can be adjusted, and based on this, the angle at which the filler material 510 is input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orch 400.

또한 위치조절대(300)의 전면하부에는 용접라인(L)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위치제어카메라(340)가 용접라인(L) 또는 용접상태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350)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lighting lamp 350 is provided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30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welding line (L) so that 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can clearly distinguish the welding line (L) or the welding state. there is.

조명등(350)은 LED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접이 수행되는 외부 환경에 따라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위치제어카메라(340)가 촬영 및 분석하기 위한 최적화된 광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ing 350 is made of LED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welding is performed, allowing the position control camera 340 to provide an optimized amount of light for filming and analysis.

본 발명에서 용접은 티그 용접을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티그 용접은 금속 중 용융점이 가장 높은 비소모성 텅스텐 전극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으로, 아르곤 또는 헬륨 등의 다른 원소와 잘 화합하지 않은 불활성 가스로 용접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elding will be explained based on TIG welding. TIG welding is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ungsten electrode, which has the highest melting point among metals, using an inert gas that does not combine well with other elements such as argon or helium. It is formed to protect the weld area.

티그 용접은 아크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게 되는데 아크는 텅스텐 전극봉(410)과 모재 사이에 직류 전류를 걸어서 접촉시켰다가 이격시킬 때 두 전극 사이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불꽃 방전을 의미하며,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1모재(10)에 +단자가 물려지게 되고, 텅스텐 전극봉(410)에 -단자를 형성시켜 아크 방전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TIG welding uses an arc to perform welding. The arc refers to a strong spark discharge that occurs between the two electrodes when a direct current is applied between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base material and then separated. To this end, the +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 terminal is formed on the tungsten electrode 410 to generate an arc discharge.

또한 티그 용접시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power can be supplied using AC power during TIG welding.

티그 용접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티그 용접기가 이송대(200)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도록 형성되거나 티그 용접기가 외부에 형성된 상태로 전선 및 배관이 연결되어 불활성가스와 전력이 토치(400)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IG welding is general, so it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 welder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transfer table 200, or the TIG welder is formed externally, and the wires and pipes are connected. It can be configured to supply inert gas and power to the torch 400.

토치(400)는 중앙에 텅스텐 전극봉(410)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텅스텐 전극봉(410)의 외면으로 불활성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420)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420)의 상부에는 티그 용접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불활성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The torch 400 is formed with a housing 420 that is formed in the center to couple and fix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o supply an inert ga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ngsten electrode 410. The housing 420 There is a connector (not shown) at the top of the TIG welder to receive power or inert gas.

토치(400)는 이송대(200)가 가접 위치로 이송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제1모재(10)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게 되며, 이때 공급기(500)는 아크에 용가재를 투입하여 용가재를 용융시키게 된다.When the transfer table 200 is transferred to the tack welding pos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torch 400 to generate an arc in the first base material 10 to weld it. At this time, the feeder 500 melts the filler metal by injecting the filler metal into the arc. It will be done.

즉, 이송대(200)가 사전에 설정된 가접위치로 이송될 때마다 토치(400)와 공급기(500)가 작동되어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가접이 아닌 제1모재(10)와 제2모재(20)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본 용접에도 사용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ever the transfer table 200 is transferred to a preset tack welding position, the torch 400 and the feeder 500 are activated to automatically perform welding, and if necessary, the first base material (not tack welding) It can also be used in main welding to integrate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또한 토치(400)는 용접라인(L)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용접라인(L)의 높낮이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rch 400 is formed so that its height can be raised and lower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L), so that welding can be performed while being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welding line (L). .

토치(400)는 제1각도조절유닛(360)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각도조절유닛(360)을 실린더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도시되지 않음)이 더 포함되어 있어, 승강유닛에 의해 토치(400)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The torch 400 is formed to be rotatable by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0, and has a lifting unit (not shown) that can raise and lower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0 by a cylinder when necessary. It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orch 400 can be vari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unit.

이를 통해 용접라인(L)이 제1모재(10)와 제2모재(20)의 형상에 따라 단차가 발생되더라도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될 수 있어 토치(400)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even if a step occurs in the welding line (L)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e welding line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torch 400 to be actively varied. do.

이때 용접제어카메라(260)를 통해 용접라인(L)과 토치(4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용접라인(L)에 형성된 단차의 높이에 따라 용접제어카메라(260)가 토치(400)의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welding line (L) and the torch 400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and 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moves the torch (4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ep formed in the welding line (L).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height is variable.

공급기(500)는 일단에서 타단방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용가재(5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용가재(5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압구가 마련된 후 타단에 형성된 공급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용가재(510)를 토치(400) 방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feeder 500 is ope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filler material 510 can be inserted. A pressure port is provided inside to hold the filler material 510, and then a supply unit (not shown) is formed at the other end. It is formed so that the filler material 510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torch 400.

이때 공급기(500)에서 배출되는 용가재(510)는 용융되어 소진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위치조절대(300)의 전면 타측에는 용가재(510)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유닛(도시되지 않음)을 마련하여 공급기(500)에 투입된 용가재(510)가 모두 소진되면 준비된 용가재(510)를 공급기(500)의 타단방면으로 삽입하여 용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ller material 510 discharged from the feeder 500 is a consumable that is melted and consumed, a supplementary unit (not shown) to replenish the filler material 510 is provid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positioning table 300 to supply the feeder ( When all of the filler metal 510 introduced into the 500 is used up, the prepared filler metal 510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eeder 500 to ensure that welding continues.

또한 공급기(500)는 용접제어카메라(260)를 통해 용가재(510)가 투입되는 배출속도, 배출위치, 모재간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용접제어카메라(26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용가재(510)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eeder 500 can determine the discharge speed, discharge location, and base metal spacing at which the filler material 510 is input through 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by the welding control camera 260, the filler material 510 (510) can be discharg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가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저면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가 모재를 따라 이동되며 가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tack welding by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and Figure 6 shows the welding line being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a possible welding device, and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by recognizing the wel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along the base material and tack weldin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의 이송대(200)의 하부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용접을 위해 공급되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을 모재에 공급할 수 있도록 모재와 접촉되는 형성되는 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토치(400)에 형성된 텅스텐 전극봉(410)은 전극단자에 의해 모재에 공급된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에 의해 따라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200 of the welding device, which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tack welding,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welding. It further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formed in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so that AC power or direct curren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base material, and the tungsten electrode rod 410 formed on the torch 400 is connected to the AC power or DC power supplied to the base material by the electrod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n arc.

티그 용접을 위해서는 토치(400)에 형성된 텅스텐 전극봉(410)과 제1모재(10)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며, 공급된 전원에 의해 텅스텐 전극봉(410)과 제1모재(10) 사이에 아크열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For TIG welding,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first base material 10 formed on the torch 400, and arc heat is generated between the tungsten electrode 410 and the first base material 10 by the supplied power. This can occur.

이때 일반적인 용접기의 경우 외부전원장치를 마련하여 텅스텐 전극봉(410)이 형성된 토치(400)와 제1모재(10)에 각각 전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크기가 큰 철판을 용접하는 경우 제1모재(10)에 연결된 배선은 고정되고 토치(400)에 연결된 배선은 이송대(200)의 이송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두 배선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배선 길이에 따라 제1모재(10)에 연결된 배선을 토치(400)와 인접한 부위로 이동시켜 연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general welder,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is provided to connect the power source to the torch 400 on which the tungsten electrode 410 is formed and the first base material 10. When welding a large steel plate, the first base material is used. The wire connected to (10) is fixed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torch 400 moves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table 200. As the gap between the two wires increases,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wire length.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had to be mov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torch 400 and connect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제1모재(10)에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이송대(200)에 형성된 전극단자에 의해 제1모재(10)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erminal connected from the external power device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is not directly connected, but is formed to contact the first base material 10 by an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the transfer table 200.

즉, 이송대(200)에 전도성으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를 형성시켜 외부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1모재(10)에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토치(400)와 이송대(200)가 항상 같은 위치로 이동되므로 전기배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on the transfer table 200 to supply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so that the torch 400 and the transfer table 200 are always at the same level. Since it is moved to a new location, problems caused by electrical wiring can be solved.

또한 이송대(200)는 전극단자에 의한 전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모체와 접촉되는 전극단자의 끝단은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송대(200)의 이송에 따라 제1모체에 접촉된 상태로 이송 및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fer table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n insulator to prevent electrical problems caused by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first matrix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at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table 200 is configured to allow transfer and power suppl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body.

또한 이송레일(100)은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모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 또는 점착식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부착부재(110)를 더 포함하며, 거치대(130)는 내측면에 다수 개의 척이 마련되어 있어 모재의 일측과 타측에 접촉되었을 때 척이 모재를 파지하여 이송레일(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rail 100 further includes attachment members 110 made of permanent magnets or adhesive silicon that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and the holder 130 has a plurality of chucks on the inner surface. This feature is provided so that the chuck grips the base material when it contact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to fix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rail 100.

부착부재(110)는 이송레일(100)을 제1모재(10)에 설치되었을 때 제1모재(10)로부터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송레일(100)의 하부면에 다수 개의 영구자석 또는 점착식 실리콘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attachment member 110 is used to prevent the transfer rail 100 from separating or moving from the first base material 10 when it is installed on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rail 100. Two permanent magnets or adhesive silicone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부착부재(110)에 형성된 영구자석은 제1모재(10)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며, 영구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제1모체에 이송레일(100)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permanent magnet formed on the attachment member 110 can be used when the first base material 1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the transfer rail 100 can be closely adhered to and fixed to the first base material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

점착식 실리콘의 경우 제1모재(10)가 자성체가 아닌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며 점착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콘이 제1모재(10)의 표면에 직접 접착되어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dhesive silicone, it can be used when the first base material 10 is not a magnetic material, and silicone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can be directly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and temporarily fixed thereto.

영구자석과 점착식 실리콘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구자석과 점착식 실리콘이 서로 하나씩 교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ermanent magnets and adhesive silicon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manent magnets and adhesive silicone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crossing each other one by one.

이송레일(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된 거치대(130)는 내측면에 다수 개의 척이 형성되어 있어 물리적으로 제1모재(10)의 일측과 타측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older 13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rail 100 has a plurality of chucks formed on its inner surface, so that it can be physically fixed by pressing one side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se material 10. .

이때 거치대(130)에 형성된 척은 전기적으로 사용되거나 볼트의 조임에 따라 척이 물려지거나 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대(130)가 척에 의해 제1모재(1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이송레일(100)이 설치된 후 이송대(200)가 이동되더라도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제1모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huck formed on the holder 130 may be used electrically or may be formed to be engag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bolt. Since the holder 130 may be fixed to the first base material 10 by the chuck, the transfer rail Even if the transfer table 200 is moved after 100 is install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ase material 10 due to shock or vibr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에 의하면, 두 모재 사이의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용접라인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접을 하여 모재를 임시로 접합시키고, 이송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가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용접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가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접 위치에서 짧은 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가접 부위의 신뢰성을 높이고 리페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tack weld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elding line between the two base materials is recognized and the base material is tack-welded while moving horizontally along the weld line. Temporarily welding and measuring the transported distance, tack weld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to perform tack welding. Power is supplied for a short moment at the tack welding position to close the tack welding area.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reliability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repair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modifying or modifying it accordingly.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include examples of many such modifications.

10 : 제1모재 20 : 제2모재
L : 용접라인 100 : 이송레일
110 : 부착부재 120 : 위치감지구
130 : 거치대 200 : 이송대
201 : 개구부 210 : 이송블록
220 : 이송바퀴 230 : 이송모터
240 : 위치보정센서 250 : 거리센서
260 : 용접제어카메라 270 : 지지대
300 : 위치조절대 301 : 제1장착홀
302 : 제2장착홀 310 : 조절레일
320 : 조절블록 330 : 구동유닛
331 : 구동모터 332 : 제1고정대
333 : 제2고정대 334 : 볼스크류
335 : 구동블록 340 : 위치제어카메라
350 : 조명등 360 : 제1각도조절유닛
361 : 제1지지링크 362 : 제1지지축
363 : 제1지지모터 370 : 제2각도조절유닛
371 : 제2지지링크 372 : 제2지지축
373 : 제2지지모터 400 : 티그 용접기
410 : 텅스텐 전극봉 420 : 하우징
500 : 공급기 510 : 용가재
10: first base material 20: second base material
L: Welding line 100: Transfer rail
110: Attachment member 120: Position sensing device
130: Holder 200: Transfer stand
201: opening 210: transfer block
220: transfer wheel 230: transfer motor
240: Position correction sensor 250: Distance sensor
260: welding control camera 270: support
300: Position adjuster 301: First mounting hole
302: second mounting hole 310: control rail
320: Control block 330: Drive unit
331: Drive motor 332: First fixture
333: 2nd fixture 334: ball screw
335: Driving block 340: Position control camera
350: lighting 360: first angle adjustment unit
361: first support link 362: first support axis
363: first support motor 370: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371: second support link 372: second support axis
373: 2nd support motor 400: TIG welder
410: Tungsten electrode 420: Housing
500: Feeder 510: Filler metal

Claims (6)

일단과 타단에는 모재의 일측과 타측 외면에 거치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모재에 형성된 용접라인과 평행하게 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접을 위해 이송거리 및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접라인의 위치를 검출하고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가변되는 위치조절대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용접라인에 불활성가스를 분사하고 텅스텐 전극봉과 상기 모재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 상기 모재를 용접하는 토치와;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제2장착홀에 위치되어 상기 토치에 의해 발생된 아크에 용가재를 공급하여 상기 모재를 가접시키는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 transfer rail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be mounted and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placed in parallel with the weld line formed on the base material;
a transfer table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rail and configured to measure transfer distances and intervals for tack welding;
a position control tab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and change the position to the front or back of the transfer unit by a drive unit;
a torch position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formed on one front side of the positioning table to weld the base material by spraying an inert gas into the welding line and generating an arc between the tungsten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 feeder locat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form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positioning table and tack-welding the base material by supplying filler metal to the arc generated by the torch.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재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송블록이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바퀴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거치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이송대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위치감지구를 인식하여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위치를 보정하고 가접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보정센서와;
상기 이송대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토치의 위치와 상기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접위치를 제어하는 용접제어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transfer block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transfer table and coupled to and sliding on an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a transfer wheel formed at the lower rear of the transfer table, formed to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base material, and rotated by a transfer motor to transport the transfer block along the transfer rail;
a distance sensor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transfer table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table and the stand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stand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rail;
a position correction sensor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recogniz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pher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rail,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and detects the tack position;
A welding control camera formed on the lower front of the transfer table to control the welding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rch and the filler metal supplied through the feeder.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대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조절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위치조절대가 상기 이송대의 전면 및 후면 방면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레일과;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대의 하부에 형성된 구동블록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대의 전방 또는 후방 방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위치조절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제1장착홀에 형성되며 상기 토치와 축 결합되어 용접 위치에 맞게 상기 토치를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제2장착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기와 축 결합되어 상기 용가재가 용접 위치에 맞춰 배출되도록 상기 공급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각도조절유닛과;
상기 위치조절대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접라인을 촬영하여 상기 토치 및 상기 공급기가 상기 용접라인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위치조절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제어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use 1,
Control rai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connected to control block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so that the position control table slides toward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table;
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the ball screw is formed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driving block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moves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fer table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A driving unit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a first angle adjustment unit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hole of the position adjustment table and axially coupled to the torch to adjust the angle by rotating the torch to suit the welding position;
a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of the position adjusting table and axially coupled to the fee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feeder so that the filler metal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welding position;
A position control camera located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photographs the welding line and controls the drive unit so that the torch and the feeder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elding lin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control table. characterized by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는
상기 용접라인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용접라인의 높낮이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torch is
It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can be raised and lower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elding line, so that welding can be performed by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welding line.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은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 또는 점착식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내측면에 다수 개의 척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모재의 일측과 타측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척이 상기 모재를 파지하여 상기 이송레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transfer rail is
It further includes an attachment memb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urface and made of a permanent magnet or adhesive silicon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ucks on the inner surface, and when it contact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chucks grip the base material and fix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rail.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의 하부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용접을 위해 공급되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을 상기 모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재와 접촉되는 형성되는 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치에 형성된 상기 텅스텐 전극봉은 상기 전극단자에 의해 상기 모재에 공급된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에 의해 따라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라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이송 및 가접이 가능한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use 1,
It further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t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table and formed in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to supply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welding to the base material;
The tungsten electrode formed on the torch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n arc by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base material through the electrode terminal.
A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allows automatic transfer and tack welding.
KR1020220096454A 2022-08-03 2022-08-03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KR202400187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54A KR20240018751A (en) 2022-08-03 2022-08-03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54A KR20240018751A (en) 2022-08-03 2022-08-03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751A true KR20240018751A (en) 2024-02-14

Family

ID=8989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454A KR20240018751A (en) 2022-08-03 2022-08-03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75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338B1 (en) 2005-09-01 200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plasma automatic welding machine with welding seam tracking and plate fit-up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membrane type lng(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ship containment ta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338B1 (en) 2005-09-01 200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plasma automatic welding machine with welding seam tracking and plate fit-up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membrane type lng(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ship containment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0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CN102791414B (en) The welding system of welding equipment and location of controls detection system is set
US9527153B2 (en) Camera and wire feed solution for orbital welder system
MX2012008990A (en) Ring gear based welding system.
TWI801903B (en) Control method of mobile welding robot, welding control device, mobile welding robot and welding system
EP1986813A2 (en) Weight balancer and pipe joining method
CN110640276A (en) Submerged arc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thereof
KR20240018751A (en) Welding device that recognizes the welding line and can transfer and weld automatically
KR100809535B1 (en) Pipe assembling method
KR20110121221A (en) The tig welding equipment
KR20080014513A (en) Auto welding machine for setting sealing wall on cargo tank of lng ship and tank of lng ship manufacturing method and preparation assembly
CN108746949B (en) FCB jointed board welding equipment
CN10802538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oot of weld concavity
JP3337349B2 (en) Automatic narrow groove welding equipment
KR20120077201A (en) Apparatus for automatic submerged arc welding
KR100607338B1 (en) The plasma automatic welding machine with welding seam tracking and plate fit-up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membrane type lng(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ship containment tank
KR101306432B1 (en) Auto welding system with six driving axis for angle overlap piece and auto welding method with six driving axis for angle overlap piece
CN214721619U (en) Welding-positioning-free automatic circular seam welding machine for liquefied gas steel cylinder
KR20010002945A (en) Automatic system for detecting the remain of welding wire
KR101698340B1 (en) Orbital welding device for welding pipe with easy angle-adjustment of torch
JP2010082674A (en) Robot arc welding system and welding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220055983A (en)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head plates of Type C tank
CN217224045U (en) Laser composite welding protection device
KR20130075604A (en) Piping connection partial welding method
CN219074711U (en) Transformer shell install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