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195A - A medical needle - Google Patents

A medical nee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195A
KR20240018195A KR1020220096159A KR20220096159A KR20240018195A KR 20240018195 A KR20240018195 A KR 20240018195A KR 1020220096159 A KR1020220096159 A KR 1020220096159A KR 20220096159 A KR20220096159 A KR 20220096159A KR 20240018195 A KR20240018195 A KR 2024001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roove
medical
tub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성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크리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리비젼 filed Critical (주)크리비젼
Priority to KR102022009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195A/en
Publication of KR2024001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1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7Tools for handling tubes, e.g. crimping tool for connecting tubes to a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외를 연결하는 튜브를 수술부위 밖으로 인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바늘에 관한 것으로, 바늘이 인체 밖으로 노출되었을 때 별도의 보조 기구를 걸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속홈 및 시술자의 손에서 바늘이 미끄러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파지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용 바늘은 사용 중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의료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used to pull a tub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out of the surgical site. When the needle is exposed outside the body, it has a binding groove configured to pull a separate auxiliary device and pull it out of the operator's hand. Includes a grip groove that prevents the needle from slipping or spinning. These medical needles are effective in preventing slipping during use and reducing the risk of medical accidents.

Description

의료용 바늘{A medical needle}A medical needle {A medical needle}

본 발명은 체내외를 연결하는 튜브를 수술부위 밖으로 인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바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작업할 때 미끄러짐을 완화하고 체외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의료용 바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used to withdraw a tub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out of the surgical sit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medical needle that is designed to alleviate slippage when the operator works and to facilitate withdrawal out of the body. It's about.

본 발명의 의료용 바늘은 흡인기용 튜브를 인체 조직을 관통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료용 흡인기는 수술 후 환부에 발생하는 체액, 혈장 등 삼출물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의료용 흡인기는 체액 인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액 튜브와 배액 튜브에 연결된 상태로 소정의 음압을 제공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용기로 구성된다. The medical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function so that the suction tube can be drawn out through human tissue. A medical aspirator is a device used to expel exudates, such as body fluids and plasma, from the affected area after surgery. A medical aspirator consists of a drainage tube that forms a passage for withdrawing body fluid, and a suction container that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tube and generates suction forc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346944호에는 종래 의료용 흡인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액 튜브는 그 선단부가 투관침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바늘에 끼워진 상태로 환부를 관통하여 인출된 후, 투관침을 제거한 자리에 배액 용기의 주입구를 꽂아 사용하게 된다.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346944 disclose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edical aspirator. As disclosed in a prior patent, the drainage tube is drawn out through the affected area with its tip inserted into a medical needle called a trocar, and then used by inserting the injection port of the drainage container at the site where the trocar was removed.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바늘은 금속 재질로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고 있어 시술자가 체액이 묻은 손으로 다룰 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술 부위의 상처를 과도하게 크게 하거나, 장기 또는 신경 손상 등 의료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술용 바늘을 체외로 인출하기 위해 시술자는 한 손으로 바늘 후방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체외로 관통된 바늘 선단부를 당겨야 하는데, 손이 미끄러져 수술 작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뾰족한 바늘에 찔려 시술자가 다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The medical needles currently in use are made of metal and have a smooth surface, so there is a problem of slipping when the operator handles them with hands that have body fluids on them. These problems can cause medical accidents, such as excessively large wounds at the surgical site or organ or nerve damage. In order to withdraw a surgical needle out of the body, the operator must hold the back of the needle with one hand and pull the tip of the needle that has penetrated the outside of the body with the other hand. However, the hand may slip, causing difficulty in surgical work, or the operator may be injured by being pricked by a sharp needl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result in injury.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34694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34694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pose a structure for a medical needle that can prevent or alleviate slippage during surgical procedures.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바늘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기 용이한 의료용 바늘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for a medical needle that makes it easy for a practitioner to hold the needle and apply force in a desire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바늘을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that can withdraw a needle using a separate auxiliary too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되고, 전방 단부에는 인체 조직을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한 침부가 형성된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의 전방 단부가 인체 조직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보조 기구에 걸려 당겨지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1홈은 상기 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홈은 원통형인 상기 바늘 몸체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늘을 인체 조직 안쪽에서 바깥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홈은 바늘 몸체의 반경 반향에 직교하는 바닥면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The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is a medical needle in which an aspirator tub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a sharp needle is formed at the front end to penetrate human tissue, and the needl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having different shapes are formed, and the first groov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needle so that it can be easily caught and pulled by an auxiliary device while the front end of the needle is exposed through the human tissue. Located in , the first groove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needle body, and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to apply a force that pushes the needle from inside the human tissue to the outside. Located at the rear of the groove, the second groove has a shape including a bottom surface orthogonal to the radial reflection of the needle body.

또한, 상기 바늘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중심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러진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벤딩부에 대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홈의 바닥면이 향하는 법선 방향은 상기 바늘 전방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needle includes a bending portion bent so that the central axe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is The normal direction toward which the surface faces is the same a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needle.

또한, 상기 제1홈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홈의 깊이는 상기 바늘 반경의 1/2 이하이고, 상기 제2홈의 깊이도 상기 바늘 반경의 1/2 이하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roove may have an arc shape,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may be less than 1/2 of the radius of the needle, and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may also be less than 1/2 of the radius of the needle.

또한, 상기 제2홈 바닥면의 길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이고,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is 1.5 centimeters or more,

상기 바늘 전방 단부에서 상기 제1홈까지의 거리는 3센티 미터 이하이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의 이격 거리는 5센티미터 이상이며, 상기 제2홈으로부터 상기 바늘 후단부까지의 길이는 5센티미터 이상일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needle to the first groove is 3 centimeters or les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5 centimeters or more, and the length from the second groove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is 5 centimeters. It could be more than that.

또한, 상기 바늘은 의료용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끼움부는 결합되는 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edle includes a tube insertion portion to which a medical tube is coupled, the tub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o which the medical tube is coupl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portion has a shape whose radius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You can hav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된 채로, 전방 단부를 통해 인체를 관통하여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전방부에는 상기 바늘을 잡아당기는 보조기구에 걸림 작용을 위하여, 상기 바늘 몸체의 원주 방향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Another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medical needle that penetrates the human body through the front end and withdraws the tube out of the body with an aspirator tube connected to the rear end, the front end of the needle having In order to engage the auxiliary device that pulls the needle, a binding groove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needle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된 채로 전방 단부를 통해 인체를 관통하여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전방부와 후방부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에는 바늘을 바깥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의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전방부가 구부러진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Another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medical needle that penetrates the human body through the front end with an aspirator tube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withdraws the tube out of the body, wherein the needle is divided into the front and rear ends. The portion includes a bending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a grip groove including a bottom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to apply a force that pushes the needle outwar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 groove faces. The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rt is bent.

또한, 상기 바늘은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needle may have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용도가 다른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The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or more grooves for different purposes,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하나의 홈인 결속홈은 바늘이 인체 밖으로 노출되었을 때 별도의 보조 기구를 걸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시술자의 손 찔림 사고를 방지하고, 인출 동작 시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홈인 파지홈은 시술자의 손에서 바늘이 미끄러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방부의 벤딩 방향 및 침부의 위치를 촉각으로 확인하게 함으로써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도 있는 의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binding groove, which is one groove, is configured so tha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can be used to pull the needle when it is exposed outside the body, preventing accidents where the operator's hand is stabbed and slipping during the withdrawal operation. Another groove, the grip groove, prevents the needle from slipping or spinning in the operator's hand, and also reduces the risk of unexpected medical accidents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ront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needle by touch. You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은 좌우 대칭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왼손이나 오른손 어느 손으로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in the same way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uses it with his or her left or right hand.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의료용 바늘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III-III'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의료용 바늘의 평면도.
도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포함하는 튜브 인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도5에 도시된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을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의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8는 도5의 C-C'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 홀더의 결속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 홀더의 결속기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2은 도11의 D-D'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을 도시한 사시도.
도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dical nee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edical needl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ure 2.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medical needle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e withdrawal mechanism containing a medical nee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eedle of the tube extraction device shown in Figure 5 taken along line A-A'.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5.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ure 5.
Figures 9 and 10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binding mechanism portion of the tube extraction mechanism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inding mechanism portion of the tube extraction mechanism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in Figure 11.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edle of a tub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holder of the tube extra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as well as the entir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and “has,” which may be us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function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First…” may be used hereinafter. ”, “Second... Expressions such as ”, “first”, “second”, etc.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xpressions such as “combined” and “connected” that may be us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in cases where they are directly combined or connected, but also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or be interposed in the middle, unless explicitly stated. do.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use of terms below, 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공간상의 좌표계가 설정되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에 사용되는 좌표계는 대상물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절대적인 방향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 원통 좌표계, 구면 좌표계 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대상물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이 설정되어 설명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patial coordinate system may be set and explained for convenience. The coordinate system used in the explanation is only for the purpose of relatively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does not mean absolute directionality. The coordinate system used may be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a spherical coordinate system, etc., and may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directions such as front, back, left, right, up, down, etc. may be set and described to explai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objects.

본 발명은 수술 중 바늘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술자가 바늘을 용이하게 핸들링 할 수 있도록 바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술과정에서 이 홈을 손으로 잡거나 별도의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움직임으로써 바늘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orming one or more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needle to prevent the needle from slipping during surgery and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handle the needle. During the surgical process, the needle can be stably supported by holding this groove with the hand or moving it using a separate auxiliary device.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1)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바늘(1)은 소정의 직경(D1)과 길이(L1)를 가지며, 전방부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바늘(1)의 직경(D1)은 3~5 ㎜ (밀리미터)이고, 길이(L1)는 10 ~ 20 ㎝ (센티미터) 범위를 갖는다. 바늘(1)은 구부러진 부위인 벤딩부(12)를 기준으로 앞부분에 위치하는 전방부(1A)와 뒷부분에 위치하는 후방부(1B)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방부(1A)가 후방부(1B)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A1)는 20 ~ 30 ° (도) 범위일 수 있다. 바늘(1)의 직경(D1), 길이(L1), 벤딩 각도(A1)는 수술의 종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1 to 4 show a medical needl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edical needle 1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D1 and a length L1, and has a fro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ypically, the diameter (D1) of the needle (1) is in the range of 3 to 5 mm (millimeter), and the length (L1) is in the range of 10 to 20 cm (centimeter). The needle 1 can be divided into a front part 1A located in the front and a rear part 1B located in the back based on the bending part 12, which is a bent part. The angle A1 formed by the front part 1A with respect to the rear part 1B may be in the range of 20 to 30 degrees. The diameter (D1), length (L1), and bending angle (A1) of the needle (1)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rgery, conditions of use, etc.

바늘(1)의 전방 단부에는 뾰족한 침부(13)가 형성된다. 침부(13)는 바늘(1)의 전방 단부 양측면이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컷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늘(1)의 후방 단부에는 흡인기 튜브(3)가 연결되는 튜브 끼움부(11)가 형성된다. 흡인기 튜브(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튜브 끼움부(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튜브 끼움부(11)는 외주면에 다단의 걸림턱부를 형성하여 튜브(3)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걸림턱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가 반복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 sharp needle 13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needle 1. The needle 13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needle 1 are cut to form symmetrical slopes. A tube insertion portion 11 to which the suction tube 3 is connec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needle 1. The aspirator tube (3)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has a certain elasticity, and is coupled to the tube fitting portion (1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tube fitting portion 11 forms a multi-stage locking protrus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provide friction so that the tube 3 does not fall out easily.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a repetitive manner in which the radius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but the shape may vary depending on need.

침부(13)의 후방으로는 바늘(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되는 결속홈(14)이 형성된다. 결속홈(14)은 바늘(1) 전방부(1A)가 인체 조직(T)(도2 참조)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별도의 보조 기구 등을 걸어 당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보조 기구로는 의료용 겸자(forceps)가 사용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할 전용 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결속홈(14)은 바늘(1)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속홈(14)은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단면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결속홈(14)은 바늘(1) 둘레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보조 기구는 360°(도) 어느 방향에서든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다. 결속홈(1)은 별도의 보조 기구를 통해 바늘(1)을 잡고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바늘(1)을 좀 더 편하게 핸들링 할 수 있고, 침부(13)에 찔릴 위험이 줄어든다. At the rear of the needle 13, a binding groove 14 is formed by being concavely indent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1. The binding groove 14 is used to hook and pull a separate auxiliary device, etc. while the front portion 1A of the needle 1 is exposed through the human tissue T (see Figure 2). Medical forceps may be used as these auxiliary devices, or dedicated holders, which will be described in embodiments described later, may be used. The binding groove 14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needle 1. In this embodiment, the binding groove 14 has an arc-shaped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vary as needed. Since the binding groove 14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ound the needle 1, the auxiliary device can be easily fastened in any direction of 360°. The binding groove (1) provides the function of holding and moving the needle (1) through a separate auxiliary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handle the needle 1 more comfortably and the risk of being stabbed by the needle 13 is reduced.

바늘(1) 후단부(1B) 중앙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지홈(15)이 형성된다. 파지홈(15)은 바늘(1) 표면 소정 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평평한 바닥면(15a)을 제공한다. 바닥면(15a)은 사용자가 바늘(1)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으로 작용한다. 파지홈(15)은 바늘(1)이 시술자 손에서 미끄러져 회전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파지홈(15)의 바닥면(15a)은 바늘 몸체의 반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며, 또한 바닥면(15a)이 향하는 방향은 바늘(1) 전방부(1A)가 벤딩된 방향과 일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면(15a)은 반경방향(R)에 직교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15a)이 향하고 있는 방향인 법선 방향(N)과 바늘(1)의 전방부(1A)가 벤딩된 방향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시술자는 바늘(1)의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도 파지홈(15)의 방향을 촉각으로 확인함으로써 바늘(1) 침부(13)가 향하는 방향 및 침부(13)의 대략적인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파지홈(15)의 위치 및 형성 방향은 시술자의 사용 편의를 고려한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반영된다. 파지홈(15)은 바늘(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시술자가 바닥면(15a)을 통해서 지지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바닥면(15a)은 성인 엄지손가락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면(15a)의 길이(L15)는 1.5 ㎝ (센티미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 gripping groove 1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1B of the needle 1. The grip groove 15 is formed by cutting the surface of the needle 1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provides a flat bottom surface 15a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bottom surface 15a serves as a support surface that can be supported by pressing with the user's thumb when holding the needle 1. The grip groove 15 serves to prevent the needle 1 from slipping and rotating in the operator's hand. The bottom surface 15a of the grip groove 15 h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needle body, and the direction toward which the bottom surface 15a faces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ortion 1A of the needle 1 is bent. . As shown in Figure 3, the bottom surface 15a is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R based on the central axis O of the needle 1. Additionally, the normal direction N, which is the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15a fac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ortion 1A of the needle 1 is bent are the same. Under this structure, the operator can check the direction of the grip groove 15 with the sense of touch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needle 1 cannot be seen with the eye, thereby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13 is facing and the approximate direction of the needle 13. Location can be recognized. The location and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ip groove 15 reflect ergonomic design that takes the operator's convenience of use into consideration. The gripping groove 15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1. The bottom surface (15a) preferably has a length sufficient to support an adult's thumb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sufficiently transmit support force through the bottom surface (15a).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L15 of the bottom surface 15a is preferably 1.5 cm (centimeter) or more.

시술자가 바늘(1)을 파지할 때 엄지손가락으로 파지홈(15)을 누른 상태에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파지홈(15) 후방 부분을 잡게 된다. 시술자가 바늘(1)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홈(15) 중앙으로부터 바늘(1) 후단부까지의 길이(L1c)(이하, “파지부 길이”라고 하고, 해당 부분을 “파지부”라고 한다.)는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 길이(L1c)가 짧으면 바늘(1)에 충분한 힘을 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파지부 길이(L1c)는 5 ㎝ (센티미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홈(15)은 후단부(1B)의 중앙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파지홈(15)이 후단부(1B)의 앞쪽에 위치하면 결속홈(14)과의 이격거리(L1b)가 너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파지홈(15)이 후단부(1B) 뒷부분에 위치하면 전술한 파지부 길이(L1c)가 너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파지홈(15)과 결속홈(14) 사이의 이격거리(L1b)는 각 홈(15, 14) 중앙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바늘(1)이 인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한 손으로 파지부를 잡고, 다른 손으로 보조 기구를 결속홈(14)에 거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격거리(L1b)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격거리(L1b)는 5 ㎝ (센티미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perator holds the needle (1), he or she presses the grip groove (15) with the thumb and holds the rear portion of the grip groove (15) with the remaining four fingers. In order for the operator to hold the needle (1) stably, the length (L1c) from the center of the grip groove (15)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ip part length”, and the corresponding part is called “grip part”) ) is preferably long enough. If the grip length (L1c) is shor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sufficient force to the needle (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length (L1c) is 5 cm (centimeter) or more. The gripping groove (15) must b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end (1B). If the grip groove (15)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end (1B), a problem occurs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L1b) from the binding groove (14) becomes too short, and the grip groove (15)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end (1B). If located,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above-mentioned grip length (L1c) becomes too short. The separation distance (L1b) between the gripping groove (15) and the binding groove (14)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s of each groove (15, 14). With the needle 1 penetrating the human body, the operator holds the grip with one hand and hangs the auxiliary device on the binding groove 14 with the other hand. To enable this operation, a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L1b) must be secure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L1b) is 5 cm (centimeter) or more.

이격거리(L1b)가 충분히 확보되기 위해서, 바늘(1) 전방 단부에서 결속홈(14) 중앙까지의 거리(L1a)는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속홈(14)은 침부(13)의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늘(1) 전방 단부에서 결속홈(14) 중앙까지의 거리(L1a)는 3 ㎝ (센티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ufficiently secure the separation distance (L1b), it is desirable that the distance (L1a) from the front end of the needle (1) to the center of the binding groove (14) be relatively short. That is, the binding groove 14 is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needle 13.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L1a from the front end of the needle 1 to the center of the binding groove 14 is preferably 3 cm (centimeter) or less.

위에서 설명한 결속홈(14)과 파지홈(15)은 해당 부위를 절개하여 형성되므로, 해당 부위는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각각의 홈(14, 15)의 깊이(E14, E15)(도2 참조)는 과도하지 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바늘(1) 반경(R1)의 1/2 이하여야 한다. Since the binding groove 14 and the gripping groove 15 described above are formed by cut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the strength of the portion may be weakened. The depth (E14, E15) of each groove (14, 15) (see Figure 2) should not be excessive, and preferably should be less than 1/2 of the radius (R1) of the needle (1).

본 발명에 따른 바늘(1)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결속홈(14) 및 파지홈(15)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늘(1)은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어, 시술자가 왼손으로 잡든 오른손으로 잡든 관계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The need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inding groove 14 and a grip groove 1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prevent slipping, making it easy for the operator to operate.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need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providing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it in the same way regardless of whether the operator holds it with the left or right han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1) 및 의료용 바늘(1) 인출시 사용되는 보조 기구인 전용 홀더(2)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의료용 바늘(1)과 홀더(2)를 통칭하여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라고 한다. Hereinafter, the medical needl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dicated holder 2, which is an auxiliary device used when withdrawing the medical needl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Below, the medical needle (1) and holder (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spirator tube withdrawal devic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인출 기구는 튜브(3)가 결합되는 바늘(1) 및 바늘(1)의 선단부에 결속되는 홀더(2)를 포함한다. 의료용 바늘(1)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ure 5, the tube withdrawal mechanism includes a needle 1 to which the tube 3 is coupled and a holder 2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needle 1. Since the medical needle 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바늘(1)의 선단부는 뾰족한 침부(13)을 이루며, 침부(13)의 후방에는 홀더(2)와의 결속에 사용되는 결속홈(14)이 형성된다. 결속홈(14)은 원통형 표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결속홈(14)은 후술하는 록킹볼(240)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홀더(2)는 신체를 뚫고 노출된 바늘(1)에 결합되어, 바늘(1)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바늘(1)은 전방부(1A)에 형성된 결속홈(14)을 통해 홀더(2)에 결합된다. 홀더(2) 앞부분에는 바늘(1)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기구부(200)가 구성된다. 바늘(1)은 침부(13)를 포함하여 전방부(1A) 일부가 홀더(2)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결속된다. 결속홈(14)을 고정하는 결속 기구부(20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The tip of the needle 1 forms a sharp needle 13, and a binding groove 14 used for binding to the holder 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needle 13. The binding groove 1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surface. The binding groove 14 has a circular arc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locking ball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lder (2) is coupled to the needle (1) exposed through the body and is used to assist in easily withdrawing the needle (1). The needle 1 is coupled to the holder 2 through the binding groove 14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A. A binding mechanism 200 for binding the needle 1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holder 2. The needle 1 is bound with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A, including the needle portion 13, inserted into the holder 2. 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that secures the binding groove 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시술자는 한 손으로 바늘(1)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홀더(2)를 조작하여 결속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2)는 일 방향으로 긴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홀더(2) 표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굴곡이 형성되거나, 당겨지기 쉽도록 후단부가 양쪽으로 벌어진 티자(“T”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perator performs the binding operation by holding the needle (1) with one hand and manipulating the holder (2) with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2 is shaped like a round bar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has a concave middle portion to prevent slipp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urface of the holder 2 may be curved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hold it, or may form a tee (“T” shape) with the rear end open on both sides to make it easier to pull, or may have various other shapes. .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 내부에는 중심축을 따라 바늘홈(21)이 형성된다. 바늘홈(21)은 홀더(2)의 전방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된다. 바늘홈(21)의 길이(La)는 적어도 바늘(1)의 결속홈(14)까지 수용할 수 있는 길이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방부(1A)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바늘늘홈(21)의 직경은 바늘(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소정의 유격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 a needle groove 21 is formed inside the holder 2 along the central axis. The needle groove 21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lder 2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La of the needle groove 21 should be at least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binding groove 14 of the needle 1, and preferably should be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entire front portion 1A. . The diameter of the needle groove 21 may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needle 1 or may include a predetermined gap.

다음은 결속기구부(200)에 대하여 도8 내지 도1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결속기구부(200)는 바늘(1)을 물리적으로 결속하도록 작용한다. 결속기구부(200)는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커버(210), 푸쉬커버(210) 안쪽에 내장되는 스프링(220), 푸쉬커버(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링(230), 결속홈(14)을 걸어 고정하는 록킹볼(240) 및 이들이 설치되는 실린더부(250)를 포함한다. Next, 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serves to physically bind the needle 1. 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includes a push cover 210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 spring 220 built inside the push cover 210, a stopper ring 230 that prevents the push cover 210 from coming off, and a binding mechanism. It includes a locking ball 240 that locks the groove 14 and a cylinder part 250 in which they are installed.

실린더부(250)는 홀더(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둘레가 원통형을 이룬다. 실린더부(250)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볼삽입홀(251)이 형성된다. 록킹볼(240)은 볼삽입홀(25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220)은 원통형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부(250) 둘레에 설치된다. 스프링(220) 바깥 둘레에는 푸쉬커버(210)가 설치된다. 푸쉬커버(210)는 내측에서 스프링(220)에 걸려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 상태로 설치된다. 스토퍼링(230)은 스프링(220) 및 푸쉬커버(210)가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The cylinder portion 25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holder 2 and has a cylindrical circumference. A ball insertion hole 251 penet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ylinder portion 250. The locking ball 24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ball insertion hole 251. The spring 220 is made of a cylindrical compression coil spring and is installed around the cylinder portion 250. A push cover 210 is installed around the outside of the spring 220. The push cover 210 is installed on the inside by being caught by a spring 220 and receiving a forward force. The stopper ring 230 supports the spring 220 and the push cover 210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forward.

실린더부(250)는 스프링(220)이 설치되는 스프링 거치부(252)를 포함한다. 스프링거치부(252)의 후방에는 스프링(220)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53)가 구성된다. 스프링(220)은 스프링 거치부(252) 상에서 압축 또는 신장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 거치부(252)의 외경은 스프링(22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지지부(253)는 스프링 거치부(252) 보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스프링 거치부(252)의 전방에는 반경방향으로 만입되는 스토퍼링 설치홈(254)이 형성된다. 스토퍼링(230)은 일부가 절개된 금속 링으로 이루어지며(도11 참조), 스토퍼링 설치홈(25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푸쉬커버(210) 및 스프링(220)을 지지한다. The cylinder portion 250 includes a spring mounting portion 252 on which the spring 220 is installed. A spring support portion 253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pring holder 252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pring 220. The spring 220 is installed to be compressed or extensible on the spring holder 252. For this purpose, the outer diameter of the spring mounting portion 25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220. The spring support portion 253 has a shape that is more radially expanded than the spring mounting portion 252. A stopper ring installation groove 254 that is rec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spring mounting portion 252. The stopper ring 230 is made of a metal ring with a portion cut out (see FIG. 11), and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ring installation groove 254 to support the push cover 210 and the spring 220 in a fixed state.

결속기구부(200)는 록킹볼(240)을 볼삽입홀(251)에 넣은 후 실린더부(250)에 스프링(220), 푸쉬커버(210), 스토퍼링(230)을 순차로 끼워 넣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록킹볼(240)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볼삽입홀(251) 안쪽에는 걸림턱부(251a)가 형성된다(도8 및 도12 참조). 록킹볼(240)이 걸림턱부(251a)에 지지될 때 실린더부(250)의 반경방향으로 가장 안쪽에 위치된다. 이때 록킹볼(240)은 내측 일부분이 바늘홈(21) 내부로 돌출된다(도9 참조). 이 돌출 부분은 바늘(1)의 결속홈(14)에 삽입되어 바늘(1)이 빠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결속홈(14)은 록킹볼(240)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긴밀한 접촉을 이룬다.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is made by inserting the locking ball 240 into the ball insertion hole 251 and sequentially inserting the spring 220, push cover 210, and stopper ring 230 into the cylinder unit 250. It is assembled. To prevent the locking ball 240 from coming off radially inward, a locking protrusion 251a is formed inside the ball insertion hole 251 (see FIGS. 8 and 12). When the locking ball 240 is supported on the locking shoulder portion 251a, it is located at the innermost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250. At this time, an inner part of the locking ball 240 protrudes into the needle groove 21 (see Figure 9). This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14 of the needle 1 and acts to prevent the needle 1 from falling out. The binding groove 14 has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ball 240.

푸쉬커버(210)는 스프링(220)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스프링(220)을 후방으로 압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0)은 스프링 거치부(252) 둘레에 여러 번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스프링(220)의 후방단부는 스프링 지지부(253)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단부는 스토퍼링(230)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0)은 볼삽입홀(251)의 외측 개방부에 감겨 있음으로 해서 록킹볼(240)의 외측을 지지한다. 스프링 거치부(252)에 감겨 있는 스프링(220)의 위치, 스프링(220)을 구성하는 코일의 간격(피치)가 달라짐에 따라서 록킹볼(240)의 외측을 지지하는 스프링(220)의 위치 상태도 달라질 수 있다. The push cover 2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ring 220, and is used to compress the spring 220 rearward when necessary. As shown in Figure 9, the spring 220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is wound around the spring holder 252 several times. The rear end of the spring 220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er 253, and the front end is supported by the stopper ring 23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compression state. As shown, the spring 220 supports the outside of the locking ball 240 by being wound around the outer opening of the ball insertion hole 251. The position of the spring 220 wound around the spring mount 252 and the position state of the spring 220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locking ball 240 as the spacing (pitch) of the coils constituting the spring 220 changes. may also vary.

결속기구부(200)는 록킹볼(240)의 위치에 따라서 바늘(1)을 결속하거나 또는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록킹볼(240)이 홀더(2)의 중심축에 가까워져 바늘홈(21) 내부로 일부가 진입한 상태가 되면 록킹볼(240)은 바늘홈(21) 내에서 바늘(1)이 이동하는 것을 막는 차단물로 작용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이 바늘홈(21)에 진입한 상태에서 결속홈(14)에 록킹볼(240)이 진입하게 되면, 바늘(1)은 홀더(2)에 결속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록킹볼(240) 일부분이 바늘홈(21) 내부로 진입하여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위치를 “결속 위치”라고 하고, 록킹볼(240)이 “결속 위치”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결속 상태”라고 한다. 반대로 록킹볼(240)이 바늘홈(21)을 가로막지 않고 바깥에 있는 위치를 “해제 위치”라고 하고, 록킹볼(240)이 “결속 위치”에 구속되어 있지 않고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를 “해제 상태”라고 한다. 록킹볼(240)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바늘(1)과 홀더(2)는 결속이 해제되고, 바늘(1)은 바늘홈(2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10에는 해제 상태에 있는 결속기구부(200)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240)이 바늘홈(21) 바깥에 위치하면(점선 위치), 바늘(1)은 바늘홈(2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푸쉬커버(210)를 조작하여 결속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푸쉬커버(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푸쉬커버(210) 내측에 걸려 있는 스프링(220)이 함께 후방으로 압축된다. 록킹볼(240) 외측을 지지하던 스프링(220)은 제거되고 록킹볼(240)은 바깥쪽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록킹볼(240)은 해제 상태가 된다. The binding mechanism unit 200 can bind or release the needle 1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ball 240. When the locking ball 240 approaches the central axis of the holder 2 and partially enters the needle groove 21, the locking ball 240 prevents the needle 1 from moving within the needle groove 21. It acts as a blocker.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needle 1 enters the needle groove 21 and the locking ball 240 enters the binding groove 14, the needle 1 is bound to the holder 2. It won't fall out. Hereinafter, the position where a portion of the locking ball 240 enters the inside of the needle groove 21 and occupies space is referred to as the “binding posi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ll 240 is restrained at the “binding position” is referred to as the “binding position.” It is called “state.” Conversely,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ball 240 is outside the needle groove 21 without blocking it is called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locking ball 240 is not restricted to the “binding position” and can be switch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state in which it is possible is called the “released state.” When the locking ball 240 is in the release position, the needle 1 and the holder 2 are released from binding, and the needle 1 can be freely moved inside the needle groove 21. Figure 10 shows a cross-section of the binding mechanism portion 200 in an unlocked state. As shown, when the locking ball 240 is located outside the needle groove 21 (dotted line position), the needle 1 can be freely moved inside the needle groove 21. The user can change the binding state to the released state by manipulating the push cover 210. When the push cover 210 is moved rearward, the spring 220 hanging on the inside of the push cover 210 is compressed rearward. The spring 220 that supported the outside of the locking ball 240 is removed and the locking ball 240 can move outward. That is, the locking ball 240 is in a released state.

푸쉬커버(210)의 위치에 따라 결속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도9에서와 같이 푸쉬커버(210)가 전방에 위치할 때 결속 상태가 되며, 도10에서와 같이 푸쉬커버(210)가 후방에 위치하면 해제 상태가 된다.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ush cover 210, the engaged state and released state may be switched.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push cover 210 is positioned in the front, it is in a locked state, and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push cover 210 is positioned in the rear, it is in a released state.

푸쉬커버(210)는 실린더부(250)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푸쉬커버(21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단부는 면취 가공될 수 있다. 푸쉬커버(210) 내측면과 실린더부(25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푸쉬커버(210)의 내측면에는 반경이 좁아지는 밴드부(212)가 형성된다. 편의상 푸쉬커버(210)는 밴드부(212)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입구부(211)와 밴드부(212)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커버부(213)로 구분될 수 있다. 밴드부(212)는 중심축(O)을 향하고 있는 지지면부(212b)와, 지지면부(212b) 및 입구부(212)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턱부(212a)와, 지지면부(212b) 및 커버부(213)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턱부(212c)를 포함한다.The push cover 210 has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cylinder portion 250. Knurling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cover 210 to prevent slipping, and the front end may be chamfere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cover 210 and the cylinder portion 250. A band portion 212 with a narrowing radiu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cover 210. For convenience, the push cover 210 can be divided into an inlet portion 211,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band portion 212, and a cover portion 213, which is a portion located behind the band portion 212. The band portion 212 includes a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facing the central axis O, a front jaw portion 212a formed by a step between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and the inlet portion 212, and a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and a rear jaw portion 212c formed by a step between the cover portions 213.

조립된 상태에서 푸쉬커버(210)는 스프링(22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푸쉬커버(210)는 스토퍼링(230)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전방턱부(212a)가 스토퍼링(230)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의 거리에 있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스토퍼링(230) 최외각까지의 거리(Gb)는 바늘홈(21)으로부터 지지면부(212b)까지의 거리(Ga)보다 커야 한다. In the assembled state, the push cover 210 maintains its position in the front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20. The push cover 210 is caught by the stopper ring 230 and does not move forward. That is, the front jaw portion 212a has a structure that is caught by the stopper ring 230. For this purpose, the distance (Gb) from the needle groove 21 to the outermost corner of the stopper ring 230 in the radial direction must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Ga) from the needle groove 21 to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의 외면을 지지한다.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을 반경방향으로 소정 거리 밀어주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220)은 지지면부(212b) 안쪽에 놓이는 부분의 반경이 소정 정도 축소된 상태가 된다. 지지면부(212b)는 록킹볼(240)이 결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 와이어가 개재된 상태로 록킹볼(240)이 바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220) 와이어가 록킹볼(240) 외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위해서는 결속 상태에서 와이어 피치의 길이(P)가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작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 스프링(220) 와이어는 도9에 도시된 위치와 달리 위치하거나 또는 지지면부(212b)가 록킹볼(240)에 직접 맞닿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결속 상태가 유지되지 위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지지면부(212b)까지의 반경방향 거리(Ga)는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지지면부(212b)가 록킹볼(240)의 최외곽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지면부(212b)의 축방향 길이(Lb)는 스토퍼링(230)으로부터 록킹볼(240) 중심까지의 수평거리(Lc)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spring 220.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acts to push the spring 220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adius of the portion of the spring 220 placed inside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restrains the locking ball 240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As shown in Figure 9,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supports the locking ball 240 from moving outward with the spring 220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In order for at least one spring 220 wire to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locking ball 240, the wire pitch length (P) in the bound state must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length (D) of the locking ball 240. In some cases, the spring 220 wire may be located differently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9 o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directly contacts the locking ball 240. In this case as well, in order to maintain the binding state, the radial distance Ga from the needle groove 21 to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must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length D of the locking ball 240.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to suppor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locking ball 240, the axial length (Lb) of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i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topper ring 230 to the center of the locking ball 240. It is preferable to be larger than (Lc).

푸쉬커버(210)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여 결속 상태를 유지한다.결속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푸쉬커버(210)를 도10과 같이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푸쉬커버(210)의 이동 시 스프링(220)도 후방으로 압축된다. 스프링(220)은 일부가 후방턱부(212c)에 걸려 압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커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록킹볼(240)을 구속하고 있던 스프링(220) 및 지지면부(212b)도 이동되고, 록킹볼(240)은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록킹볼(240)은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해제 상태 하에서 록킹볼(240)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푸쉬커버(210)는 그 입구부(211)가 볼삽입홀(251)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볼(240)이 바늘홈(21) 바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공간이 확보되기 위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입구부(211) 내면까지의 반경방향 거리(Gc)는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커야 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240)이 해제 위치(점선 위치)로 이동되면, 푸쉬커버(210)와 스프링(220)은 그 전방 단부가 록킹볼(240)에 걸려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푸쉬커버(210)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The push cover 210 is located in the front and maintains the bound state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If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bound state, the push cover 210 can be switched to the released state by moving rearward as shown in Figure 10. there is. When the push cover 210 moves, the spring 220 is also compressed rearward. A portion of the spring 220 is caught and compressed by the rear jaw portion 212c. As shown, when the push cover 210 moves rearward, the spring 220 and the support surface portion 212b that restrain the locking ball 240 also move, and the locking ball 240 can mov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t becomes. In other words, the locking ball 240 is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Meanwhile, in the unlocked state, the push cover 210 has its entrance portion 211 formed around the ball insertion hole 251 to prevent the locking ball 240 from coming out. It is desirable to arrange it so as to surround it.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the locking ball 240 to completely escape from the needle groove 21, the radial distance (Gc) from the needle groove 21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211 is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locking ball 240. (D) It must be greater than.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locking ball 240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dotted line position), the front ends of the push cover 210 and the spring 220 are caught by the locking ball 240 to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I do it. That is, the axial movement of the push cover 210 is limited.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작용과 수술시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Below, the operation of the tub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use during surgery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2)는 수술 과정에서 체외로 노출된 바늘(2)을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2)는 푸쉬커버(210)의 전후방 위치에 따라 결속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푸쉬커버(210)는 전방에 위치되어 결속 상태 하에 있게 된다. 결속 상태에서는 록킹볼(240)이 가로 막고 있기 때문에 바늘(1)이 바늘홈(21) 안쪽으로 들어갈 수 없다. 사용자가 홀더(2)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해 푸쉬커버(210)를 후방으로 당기면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바늘(1)은 바늘홈(21) 안쪽으로 깊이 수용될 수 있다. 바늘(1)은 도10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홈(14)이 록킹볼(240) 위치보다 깊이 진입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바늘(1)은 록킹볼(240)을 바늘홈(21) 바깥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푸쉬커버(210)를 당기지 않더라도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다시 홀더(2)를 서서히 후방으로 당기면 록킹볼(240)과 결속홈(14)의 축방향 위치가 일치되면서 록킹볼(240)은 스프링(220) 힘에 의해 밀려 결속홈(14)에 걸리게 된다. 록킹볼(240)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20)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고, 홀더(2)는 도9와 같이 결속 상태로 전환된다. 바늘(1)이 홀더(2)에 결속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바늘(1) 대신 홀더(2)를 당김으로써 바늘(1)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The holder (2) of the tub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tably withdraw the needle (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during a surgical procedure without slipping.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2 can be switched between a fastened state and a released state depending o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push cover 210.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ush cover 210 is positioned in the front and is in a locked state. In the bound state, the needle (1) cannot enter the needle groove (21) because the locking ball (240) blocks it. When the user pulls the push cover 210 backward using the thumb or the like of the hand holding the holder 2,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released state, and the needle 1 can be deeply received inside the needle groove 21. As shown in Figure 10, the needle 1 can be received with the binding groove 14 deep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ball 240. At this time, the needle 1 is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locking ball 240 outside the needle groove 21, so that forward movement is restric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pull the push cover 210. When the user slowly pulls the holder 2 backward again, the axial positions of the locking ball 240 and the binding groove 14 match, and the locking ball 240 is push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220 into the binding groove 14. It gets caught. As the locking ball 240 moves inward, interference with the spring 220 is released, and the holder 2 is converted to a bound state as shown in FIG. 9. With the needle (1) bound to the holder (2),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needle (1) by pulling the holder (2) instead of the needle (1).

푸쉬커버(210)에 별도의 힘을 가해 이동시키지 않는 한 결속 상태는 유지되고,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인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As long as a separat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push cover 210 to move it, the binding state is maintained, and the user can stably proceed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1)과 홀더(2)가 서로 결속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둘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교하게 배치시킬 것은 요구되지는 않는다. 바늘(1)을 바늘홈(21)에 일단 삽입한 상태에서 바늘(1)과 홀더(2)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서서히 변경하면, 록킹볼(240)과 결속홈(14)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록킹볼(240)이 자동으로 결속홈(14)에 체결된다. 이는 스프링(220)이 록킹볼(240)을 안쪽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일어난다. 록킹볼(240)이 결속홈(14)에 체결될 때 사용자는 '딸깍'하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즉, 결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촉각으로 인지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needle 1 and the holder 2 to be bound together, the user is not required to precisely arrange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two. Once the needle (1) is inserted into the needle groove (21), if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needle (1) and the holder (2) is gradually changed, the locking ball (240) and the binding groove (14)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ocking ball 240 is automatically fastened to the binding groove 14. This occurs due to the force of the spring 220 pushing the locking ball 240 inward. When the locking ball 240 is fastened to the binding groove 14, the user can feel a 'click' sensation.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 to the bound state can be perceived through the sense of touch, and the user can quickly respond to this and proceed with the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1)은 결속홈(14)을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13에는 두 개의 결속홈(14A, 14B)을 갖는 바늘(1)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결속홈(14A, 14B)은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편리한 위치의 결속홈(14A, 14B)에 홀더를 결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2)는 록킹볼(240)을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14에는 두 개의 록킹볼(240A, 240B)을 구비하는 홀더(2)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볼(240A, 240B)은 바늘의 결속홈(14) 둘레에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는 바늘 인출 시 사용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있어, 쉽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ube withdrawa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needle 1 of the tub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binding grooves 14. 13 shows a needle 1 having two binding grooves 14A and 14B. The two binding grooves 14A and 14B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user can use the holder by binding it to the binding grooves (14A, 14B) at convenient locations as needed. As another example, the holder 2 of the tube extra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locking balls 240. Figure 14 shows a holder 2 having two locking balls 240A and 240B. The locking balls (240A, 240B) can act to stably bind at two points around the binding groove (14) of the needle. The suction tub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that can be used when withdrawing the needle, allowing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easily and conveniently.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용도가 다른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하나의 홈인 결속홈은 바늘이 인체 밖으로 노출되었을 때 별도의 보조 기구를 걸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시술자의 손찔림 사고를 방지하고, 인출 동작시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홈인 파지홈은 시술자의 손에서 바늘이 미끄러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방부의 벤딩 방향 및 침부의 위치를 촉각으로 확인하게 함으로써 혹시 모를 의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은 좌우 대칭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왼손이나 오른손 어느 손으로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edical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grooves for different purposes,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The binding groove, which is one groove, is configured so tha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can be used to pull the needle when it is exposed outside the human body, preventing accidents where the operator's hand is stabbed and slipping during the withdrawal operation. Another groove, the grip groove, prevents the needle from slipping or spinning in the operator's hand, and also reduces the risk of medical accidents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ront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needle by touch. In addition, the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in the same way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uses it with his or her left or right hand.

1 : 바늘 2 : 홀더
11 : 튜브 끼움부 12 : 벤딩부
13 : 침부 14 : 결속홈
15 : 파지홈 21 : 바늘홈
200 : 결속기구부 210 : 푸쉬커버
211 : 입구부 212 : 밴드부
213 : 커버부 220 : 스프링
230 : 스토퍼링 240 : 록킹볼
250 : 실린더부 251 : 볼삽입홀
252 : 스프링 거치부 253 : 스프링 지지부
254 : 스토퍼링 설치홈
1: Needle 2: Holder
11: tube insertion part 12: bending part
13: Needle 14: Binding groove
15: gripping groove 21: needle groove
200: Binding mechanism 210: Push cover
211: entrance part 212: band part
213: cover part 220: spring
230: Stopper ring 240: Rocking ball
250: Cylinder part 251: Ball insertion hole
252: Spring holder 253: Spring supporter
254: Stopper ring installation groove

Claims (8)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되고, 전방 단부에는 인체 조직을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한 침부가 형성된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의 전방 단부가 인체 조직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보조 기구에 걸려 당겨지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1홈은 상기 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홈은 원통형인 상기 바늘 몸체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늘을 인체 조직 안쪽에서 바깥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홈은 바늘 몸체의 반경 반향에 직교하는 바닥면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의료용 바늘.
A medical needle with an aspirator tube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a sharp needle formed at the front end to penetrate human tissue,
The needl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having different shapes,
The first groov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needle so that it can be easily pulled by an auxiliary device while the front end of the needle penetrates the human tissue and is exposed, and the first groove is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needle body. It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second groove is located behind the first groove to apply a force that pushes the needle from inside the human tissue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groove has a shape including a bottom surface orthogonal to the radial reflection of the needle body. Having a medical 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중심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러진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벤딩부에 대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홈의 바닥면이 향하는 법선 방향은 상기 바늘 전방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한 의료용 바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eedle includes a bending portion bent so that the central axe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bending portion,
A medical needle in which the normal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is the same a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홈의 깊이는 상기 바늘 반경의 1/2 이하이고,
상기 제2홈의 깊이도 상기 바늘 반경의 1/2 이하인 의료용 바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roove has an arc shape, and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is less than 1/2 of the radius of the needle,
A medical needle in which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is less than 1/2 of the needle radi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 바닥면의 길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이고,
상기 바늘 전방 단부에서 상기 제1홈까지의 거리는 3센티 미터 이하이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의 이격 거리는 5센티미터 이상이며, 상기 제2홈으로부터 상기 바늘 후단부까지의 길이는 5센티미터 이상인 의료용 바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is 1.5 centimeters or more,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needle to the first groove is 3 centimeters or les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5 centimeters or more, and the length from the second groove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is 5 centimeters. A medical 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의료용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끼움부는 결합되는 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의료용 바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eedle includes a tube insertion portion to which a medical tube is coupled,
The tube fi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o be coupled,
A medical needle in which the locking jaw portion has a shape whose radius becomes smaller from front to back.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된 채로, 전방 단부를 통해 인체를 관통하여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전방부에는 상기 바늘을 잡아당기는 보조기구에 걸림 작용을 위하여, 상기 바늘 몸체의 원주 방향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속홈이 형성된 의료용 바늘.
A medical needle that penetrates the human body through the front end and withdraws the tube out of the body, with an aspirator tube connected to the rear end, comprising:
A medical needle in which a binding groove having an arc-shaped cross-sec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needle body in order to engage an auxiliary device that pulls the needle on the front part of the needle.
후방 단부에 흡인기 튜브가 연결된 채로 전방 단부를 통해 인체를 관통하여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전방부와 후방부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에는 바늘을 바깥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의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전방부가 구부러진 방향과 동일한 의료용 바늘.
In the medical needle, which penetrates the human body through the front end with an aspirator tube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withdraws the tube out of the body,
The needle includes a bending portion such th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form a predetermined angle,
A gripping groove including a bottom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to apply a force that pushes the needle outward,
A medical needle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 groove faces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rt is b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좌우 대칭 형상을 갖는 의료용 바늘.
In the medical needl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needle is a medical needle having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KR1020220096159A 2022-08-02 2022-08-02 A medical needle KR202400181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159A KR20240018195A (en) 2022-08-02 2022-08-02 A medical nee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159A KR20240018195A (en) 2022-08-02 2022-08-02 A medical nee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195A true KR20240018195A (en) 2024-02-13

Family

ID=8989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159A KR20240018195A (en) 2022-08-02 2022-08-02 A medical nee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19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44B1 (en) 2012-02-06 2014-01-10 홍태호 Tube of Medical Suction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44B1 (en) 2012-02-06 2014-01-10 홍태호 Tube of Medical Suction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414B2 (en) Needle protection sheath
JP6882380B2 (en) Safety needl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EP1448251B1 (en) Universal passive protector for an iv catheter
US20040267204A1 (en) On-demand needle retain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use in intravenous catheter assemblies
EP0724461B1 (en) An infusion set
EP1980284A1 (en) Medical needle device
JP2003180833A (en) Safe catheter
EP1479408A1 (en) Needle shield with wings
JP2004538103A (en) Retractable safety needle device
JPH11510402A (en) Anti-piercing syringe and related method
EP2934654B1 (en) Cannula-needle with protective member
JP2007521080A (en) Safety needle shield device
CA2975414A1 (en) Releaseable catheter hub retainer
EP1011779A1 (en) Guide wire introducer
US7566325B2 (en)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TW555576B (en) Medical needle device with winged shield for erroneous piercing prevention
EP1159983B1 (en) Clamp for winged needle
EP3476428B1 (en) Drainage tube introducer
US20040006317A1 (en) Safety guide for surgical placement of sharp instruments
KR20240018195A (en) A medical needle
US20140121694A1 (en) Trocar dispenser and grip receiver safety system
KR20230165891A (en) An extracting apparatus for medical drain tube
JP2023504325A (en) Intravenous catheter device
KR102585992B1 (en) Injection needle protection cap with bending function
KR20220091007A (en) Lifting device for plastic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