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028A -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 Google Patents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028A
KR20240018028A KR1020220095773A KR20220095773A KR20240018028A KR 20240018028 A KR20240018028 A KR 20240018028A KR 1020220095773 A KR1020220095773 A KR 1020220095773A KR 20220095773 A KR20220095773 A KR 20220095773A KR 20240018028 A KR20240018028 A KR 2024001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streaming
servers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웅
최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컬러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컬러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컬러버스
Priority to KR102022009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028A/en
Publication of KR2024001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02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측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 상기 생성된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 프로세스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인코딩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상기 인코딩된 스트리밍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리밍 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로직 처리부에서 구성된 3D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that run one or more server-side clients that generate original images of 3D content, and one that generates streaming images by encoding the original images of the generated 3D content. It includes a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that drive the above encoding process and a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that drive one or more streaming processes that stream the encoded streaming video to a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is a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comprising a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 user command from and configures 3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a rendering unit that renders the 3D content configured in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n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to provide.

Description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3D Contents Streaming System}3D Contents Streaming System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본 발명은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3D 컨텐츠 서비스를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대규모 사용자의 접속시에도 서버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which allows 3D content services to be provided through a web browser using streaming technology, while also providing services by efficiently utilizing server resources even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connect. It's about the system.

실세계와 가까운 3차원 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3차원 컨텐츠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생성된 3차원 컨텐츠를 단방향으로 제공하여 이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3차원 컨텐츠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게임, 메타버스, 스파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As the number of services using 3D graphics technology that is close to the real world increases, 3D content is becoming more diverse. In particular, as interactive services that allow various users to access and directly manipulate 3D content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just providing and using the generated 3D content one-way, become active,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metaverse, and smart factory. It is becoming.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394158호, "메타버스 공간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은 이와 같은 3D 컨텐츠 서비스를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단말기의 사양이 높지 않더라도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3D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2394158, “Metaverse Spatial Streaming System and Method,” is a technology that allows such 3D content services to be provided through a web browser using streaming technology, even if the specifications of the terminal are not high. It allows you to use 3D content simply by accessing the web page.

그러나, 이와 같이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서버에서 렌더링 등의 처리가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측의 리소스 사용이 증가하게 되며, 효율적인 서버 관리가 요구된다.However, when providing 3D content using streaming like this, since all processing such as rendering is performed on the server, resource use on the server side increases, and efficient server management is requir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컨텐츠 스트리밍 서버(101)에서는 컨텐츠 로직 처리(110), 렌더링(120), 인코딩(130) 및 스트리밍(140)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하나의 서버 안에서 모든 동작을 처리하여 스트리밍을 진행하였다.As shown in the figure, operations such as content logic processing 110, rendering 120, encoding 130, and streaming 140 are performed in the 3D content streaming server 101. Conventionally, one server like this All operations were processed internally and streaming was carried out.

그러나, 컨텐츠 로직 처리(110) 및 스트리밍(140)의 경우 CPU의 연산이 중심이며, 렌더링(120) 및 인코딩(130)의 경우 GPU를 통한 연산이 다수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서버 안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모두 처리할 경우, CPU와 GPU 등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어, 리소스의 낭비가 발생되고, 대규모 사용자 접속시 이를 처리하는데 문제가 생긴다.However, in the case of content logic processing (110) and streaming (140), CPU calculations are central, and in the case of rendering (120) and encoding (130), many calculations are performed through GPU, so such operations are not possible within one server. When processing all of them, there is difficulty in efficiently distributing resources such as CPU and GPU, resulting in waste of resources, and problems in processing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connect.

따라서, 효율적으로 3D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technology that enables efficient streaming of 3D content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941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94158

본 발명은 3D 컨텐츠를 스트리밍을 통해 제공하면서도 서버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utilize server resources while providing 3D content through streaming.

본 발명은 컨텐츠 로직과 렌더링을 처리하는 서버측 클라이언트(Server-side Client)와 인코딩(Encoding) 및 스트리밍(Streaming)을 별도의 서버에서 분산 처리하고, 각각의 서버를 필요에 따라 늘리고 줄임으로써, 유휴 리소스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server-side client, which handles content logic and rendering, and encoding and streaming on separate servers, and increases and decreases each server as needed, thereby reducing idle time. The purpose is to minimize resources.

본 발명은 3D 컨텐츠 서비스에 대규모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에도 즉시 가용 리소스를 늘려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response by immediately increasing available resources even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access a 3D content ser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측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 상기 생성된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 프로세스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인코딩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상기 인코딩된 스트리밍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리밍 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로직 처리부에서 구성된 3D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that run one or more server-side clients that generate the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and the original image of the generated 3D content. A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drive one or more encoding processes that encode and generate streaming video, and a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that drive one or more streaming processes that stream the encoded streaming video to a web browser of a user terminal, the server side A client receives a user command from a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renders a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that configures 3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the 3D content configured in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n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It may be composed of parts.

이 때, 상기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가 구동되는 컨텐츠 생성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컨텐츠 생성 서버 스케일러, 상기 복수의 인코딩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인코딩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인코딩 서버 스케일러 및 상기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스트리밍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스트리밍 서버 스케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tent creation server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content creation servers on which the server-side client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and the number of encoding servers on which the encoding process is drive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It may further include an encoding server scaler that adjusts and a streaming server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streaming servers on which the streaming process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또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는 CPU 및 GPU를 포함하는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 서버는 GPU를 포함하는 GPU 클러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는 CPU를 포함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are composed of servers including CPUs and GPUs,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are composed of GPU clusters including GPUs, and the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are composed of servers including CPUs. You can.

또한, 복수의 서버측 클라이언트의 상기 3D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server that synchronizes information about the 3D content of a plurality of server-side clients.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사용자 세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는 N:1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user sess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and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in N:1. there is.

또한,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 및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서버 세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sess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er-side client, the encoding process, and the streaming process.

본 발명은 3D 컨텐츠를 스트리밍을 통해 제공하면서도 서버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server resources while providing 3D content through streaming.

본 발명은 컨텐츠 로직과 렌더링을 처리하는 서버측 클라이언트(Server-side Client)와 인코딩(Encoding) 및 스트리밍(Streaming)을 별도의 서버에서 분산 처리하고, 각각의 서버를 필요에 따라 늘리고 줄임으로써, 유휴 리소스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server-side client, which handles content logic and rendering, and encoding and streaming on separate servers, and increases and decreases each server as needed, thereby reducing idle time. The effect of minimizing resource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3D 컨텐츠 서비스에 대규모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에도 즉시 가용 리소스를 늘려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immediately increasing available resources to respond even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access a 3D content ser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각각의 서버의 개수를 조절하는 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각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each server in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each server in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bers are only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및 메모리(Memory)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등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장치가 연결되어 논리적으로 별개의 서버로 관리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using a plurality of servers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memor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 are physically separated. It may mean a hardware device that is installed, or it may mean a server where one or multiple hardware devices are connected using the cloud, etc. and managed as logically separate servers.

본 발명에서 3D 컨텐츠의 스트리밍은 3D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2차원 영상을 웹 알티씨(Web-RTC) 등의 프로토콜을 통해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해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등에 표시된 스트리밍 영상에 대해 조작명령 등을 입력하면 이에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사용자가 3D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reaming of 3D content involves transmitting a 2D image generated by rendering 3D content to a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 protocol such as Web-RTC so that it can be viewed in real time. This means that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a streaming video displayed on a web browser, etc., it responds in real time,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3D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컨텐츠 생성 서버(201), 인코딩 서버(202) 및 스트리밍 서버(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ent creation server 201, an encoding server 202, and a streaming server 203.

컨텐츠 생성 서버(201)는 3D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상에 배치한 정보를 렌더링하여 2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3차원 오브젝트의 리소스들을 단말기에 다운로드하고 단말기의 그래픽카드에서 렌더링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도 원활한 3D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3D 컨텐츠를 서버에서 생성한다.Th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generates a two-dimensional image by rendering information on the placement of 3D objects in virtual space.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resources of 3D objects were downloaded to the terminal and rendered by performing rendering on the graphics card of the termina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load on the terminal and enable smooth 3D content service even in mobile terminals, etc. 3D content is created on the server.

컨텐츠 생성 서버(201)에서 3D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로직 처리 과정은 주로 CPU의 연산으로 수행되며, 이를 2차원 영상으로 렌더링하는 작업은 주로 GPU를 이용하여 수행된다.In th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the logic processing process of placing 3D objects in virtual space is mainly performed by CPU operations, and rendering them into two-dimensional images is mainly performed using GPU.

컨텐츠 생성 서버(201)에서 생성된 3D 컨텐츠는 인코딩 서버(202)로 전달되고, 인코딩 서버(202)에서 이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형식으로 인코딩한다. 인코딩을 위해서는 다양한 비디오 코덱(Codec)이 사용될 수 있는데 효율적인 인코딩 진행을 위해 인코딩 서버(202)는 GPU 클러스터(Cluster)로 구성될 수 있다.The 3D content generat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is delivered to the encoding server 202, and the encoding server 202 encodes it into a format for streaming. Various video codecs can be used for encoding, and for efficient encoding, the encoding server 202 can be configured as a GPU cluster.

인코딩 서버(202)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한 포맷으로 인코딩된 영상은 스트리밍 서버(203)로 전달되어 스트리밍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로 스트리밍한다. 스트리밍 서버(203)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며, CPU를 이용하여 동작이 가능하다.The video encoded in a streaming format in the encoding server 202 is delivered to the streaming server 203 and streamed from the streaming server to the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The streaming server 203 mainly performs the role of transmitting data and can be operated using the CPU.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버들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서버 안에서 컨텐츠 생성, 인코딩, 스트리밍 작업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복수로 구동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each serve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processes for performing content creation, encoding, streaming, etc. within one server may be run by multiple servers.

제공하는 3D 컨텐츠 서비스에 사용자가 많이 접속하여 처리해야 하는 작업이 늘어나게 되면 필요한 서버를 늘려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데, 종래의 방식에서는 CPU의 사용량이 적더라도 GPU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면 전체 서버를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작업의 특성에 따라서 필요한 서버만을 늘려 효율적으로 서버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If more users connect to the provided 3D content service and the number of tasks to be processed increases, the required servers can be increased to process the task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even if CPU usage is low, if GPU is used a lot, the entire server must be increa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servers by increasing only the necessary serv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sk.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2개의 컨텐츠 생성 서버(201), 4개의 인코딩 서버(202), 3개의 스트리밍 서버(203)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인코딩 서버의 GPU 부하가 많아지게 되면 인코딩 서버(202)만을 5개로 늘리는 것으로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wo content creation servers 201, four encoding servers 202, and three streaming servers 20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needed, where the GPU load of the encoding server If the number increases, smooth service becomes possibl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ncoding servers 202 to five.

하나의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에 전달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1개의 컨텐츠 생성 서버(201)가 사용되는데, 인코딩 서버(202) 및 스트리밍 서버(203)는 경우에 따라 원활한 병렬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서버에 분산되어 작업이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generate an image to be delivered to one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on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is used, and in some cases, the encoding server 202 and streaming server 203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multiple images for smooth parallel processing. It is also possible for tasks to be processed distributed across server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201), 복수의 인코딩 서버(202) 및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203)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201, a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202, and a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203.

컨텐츠 생성 서버(201)는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Raw Texture Stream)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측 클라이언트(210, Server-Side Client)를 구동시킨다. 서버측 클라이언트(210)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 Contents Logic Process) 및 렌더링부(212, Rendering Modul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runs one or more server-side clients (210, Server-Side Clients) that generate original images (raw texture streams) of 3D content. The server-side client 210 may include a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Contents Logic Process) and a rendering unit 212 (Rendering Module).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는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102)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3D 컨텐츠를 구성한다. 사용자 명령은 웹 브라우저에 대한 클릭, 터치 등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해 하는 명령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명령에 따라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는 가상 공간상에 3D 오브젝트들을 배치하고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가상 3D 공간상에 3D 오브젝트들을 배치하고 처리하는 작업은 3D 컨텐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로직 처리를 위해 CPU 연산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receives a user command from the web browser 102 of the user terminal and configures 3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The user command may be a command given by the user to manipulate content through actions such as clicking or touching the web browser, and according to such a command,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places 3D objects in the virtual space and Perform tasks such as moving. In this way, the task of placing and processing 3D objects in a virtual 3D space can use various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type of 3D content service, and is mainly performed through CPU calculation for logic processing.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는 3D 컨텐츠 서비스가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공간 또는 오브젝트 등을 함께 이용하는 게임, 메타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들이 보는 화면을 서로 동기화하기 위하여 동기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동기화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f the 3D content service is a service such as a game or metaverse in which multiple users use one space or object together,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may exchang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synchronize the screens viewed by the users. . Synchroniza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in FIG. 5.

렌더링부(212)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에서 구성된 3D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한다. 3D 가상공간에 3D 오브젝트들이 컨텐츠에 따라 배치되게 되면,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서 바라보는 3D 가상공간의 모습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스트리밍받아 보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별 시점에서 바라보는 3D 가상공간에 대한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생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런더링(Rendering)이라 한다.The rendering unit 212 renders the 3D content configured in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to generate an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When 3D objects are placed in a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content, each user sees the 3D virtual space as seen from the user's viewpoint (view point) streamed through a web browser. Therefore, the image of the 3D virtual space seen from each user's perspective is created as a 2D image, and this process is called rendering.

이처럼, 사용자별 시점에 따라 각기 다른 영상을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3D 컨텐츠 서비스가 게임, 메타버스 등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3D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 별로 1개씩의 서버측 클라이언트(210)가 동작하여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해야 한다.As such, since different images must be generated according to each user's viewpoint, even if the 3D content service is a service where multiple users use the same 3D virtual space, such as a game or metaverse, one video is provided for each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The server-side client 210 must operate to generate the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서버측 클라이언트(210)는 이처럼 종래 기술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Client)에서 동작하던 기능을 서버에 위치시킨 것으로, 낮은 사양의 단말기에서도 웹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The server-side client 210 is a function that operates in each user terminal (client) in the prior art and is located on the server, so that even terminals with low specifications can receive the same service through the web.

인코딩 서버(202)는 상기 생성된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하여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 프로세스(220)를 구동시킨다. 인코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할 수 있는 다양한 비디오 코덱(Codec)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와 같은 인코딩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encoding server 202 operates one or more encoding processes 220 that encode the original image of the generated 3D content and generate a streaming image. As described above, various streaming video codecs can be used for enco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ncoding method.

인코딩 프로세스(220)의 동작에는 주로 GPU 연산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인코딩 서버(220)는 GPU 클러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하나의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복수의 인코딩 프로세스(220)가 사용되어 병렬적으로 작업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코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GPU operations are mainly used in the operation of the encoding process 220, the encoding server 2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GPU cluster. A plurality of encoding processes 220 are used to encode the original image of one 3D content. can be used to process tasks in parallel, enabling more efficient encoding.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3D 컨텐츠 서비스를 스트리밍을 통해 제공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명령에 실시간으로 화면이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연 없는 인코딩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GPU 클러스터를 이용하고 복수의 인코딩 프로세스(220)를 동작시킴으로써, 최대한 빠른 인코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ttempting to provide a 3D content service through streaming as in the present invention, encoding without delay is essential to enable the screen to respond to user commands in real time. Therefore, by using a GPU cluster and operating a plurality of encoding processes 220, encoding can be achieved as quickly as possible.

스트리밍 서버(203)는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102)로 상기 인코딩된 스트리밍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리밍 프로세스(230)를 구동시킨다.The streaming server 203 drives one or more streaming processes 230 that stream the encoded streaming video to the web browser 102 of the user terminal.

스트리밍 프로세스(230)는 인코딩된 영상을 웹 알티씨(Web-RTC) 등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CPU 연상을 통해 작업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트리밍 서버(203)는 CPU 중심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트리밍 프로세스(23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와 연결되어 스트리밍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reaming process 230 transmits the encoded video to a web browser according to a streaming protocol such as Web-RTC, allowing processing through CPU association. Accordingly, the streaming server 203 may be configured as a CPU-oriented server, and the streaming process 23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treaming tasks by being connecte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 web browsers 102.

이처럼 컨텐츠 생성 서버(201)는 CPU 및 GPU를 포함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에서 CPU를 이용하고, 렌더링부(212)에서 GPU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인코딩 서버(202)는 GPU를 포함하는 GPU 클러스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트리밍 서버(203)는 CPU 중심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각각의 작업을 별도의 서버에서 분산하여 처리하며, 각 작업의 특성에 맞는 서버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3D 컨텐츠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ent creation server 201 is configured using a server including a CPU and GPU, so that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uses the CPU, the rendering unit 212 uses the GPU, and the encoding server ( 202)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GPU cluster including a GPU, and the streaming server 203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CPU-oriented server. In this way, each task is distributed and processed on a separate server, and by configuring a server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sk, efficient 3D content streaming i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각각의 서버의 개수를 조절하는 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each server in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201)의 부하에 따라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210)가 구동되는 컨텐츠 생성 서버(201) 개수를 조절하는 컨텐츠 생성 서버 스케일러(204), 상기 복수의 인코딩 서버(202)의 부하에 따라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220)가 구동되는 인코딩 서버(202) 개수를 조절하는 인코딩 서버 스케일러(205) 및 상기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206)의 부하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230)가 구동되는 스트리밍 서버(203) 개수를 조절하는 스트리밍 서버 스케일러(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umber of content creation servers 201 on which the server-side client 210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201. A content creation server scaler 204 that adjusts, an encoding server scaler 205 that adjusts the number of encoding servers 202 on which the encoding process 220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202, and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20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reaming server scaler 206 that adjusts the number of streaming servers 203 on which the streaming process 230 runs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streaming server 206.

컨텐츠 생성 서버 스케일러(204), 인코딩 서버 스케일러(205) 및 스트리밍 서버 스케일러(206)는 각각 관리하는 서버들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고, 부하가 높아져 서버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서버를 증설하고, 부하가 낮아지는 경우 서버를 해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서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를 제어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체적인 서버 관리 기술에 따라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효율적으로 즉각 서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들이 적용 가능하다.The content creation server scaler 204, encoding server scaler 205, and streaming server scaler 206 check the load status of the servers they each manage, and if the load increases and expansion of the server is necessary, expand the corresponding server. , by disabling the server when the load decreases, efficient server management can be made possible. In this way, cloud computing technology can be used to control serv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server management technology, and conventional technologies that can efficiently and immediately control the number of servers can be applied.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각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each server in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측 클라이언트(210)의 상기 3D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서버(20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server 207 that synchronizes information about the 3D content of a plurality of server-side clients 210. there is.

동기화 서버(207)는 서버측 클라이언트(210)의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와 동기화 정보를 주고받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환경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제공되는 3D 컨텐츠 서비스가 게임 또는 메타버스 등과 같이 하나의 가상공간 안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위치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인 경우 한 사용자의 동작이 다른 사용자의 화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것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들이 서로 3D 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가상공간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체적인 동기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ynchronization server 207 exchang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ith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of the server-side client 210 and allows multiple users to share the same environment. If the 3D content service provided is a service where multiple users are located at the same time in one virtual space and use the service, such as a game or metaverse, the actions of one user will affect the screens of other users, and this must be done in real time. Therefore,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s 211 that manage the content of each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must share information about the 3D virtual space with each other.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synchronize virtual space inform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synchronization methods.

또한, 본 발명의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102)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210)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사용자 세션 관리 서버(2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측 클라이언트(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여러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하던 작업 다수 개를 합쳐 서버 측에 이전시킨 것으로,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와 1:N로 대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서버측 클라이언트(210)에서 소정의 수의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user session management server 208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eb browser 102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210.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side client 210 combines a number of tasks that were actually running on multiple user terminals and transferred them to the server side,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1:N with the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thereby forming a single The server-side client 210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task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 terminal web browsers 102.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웹 브라우저(102)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영상을 스트리밍 프로세스(23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102)와 컨텐츠 로직 처리부(211)의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며, 사용자 세션 관리 서버(208)가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user transmits a user command to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through the user terminal web browser 102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video from the streaming process 230. Therefore, a function to mana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eb browser 102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1 is required, and the user session management server 208 performs that role.

또한, 본 발명의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210),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220) 및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230)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서버 세션 관리 서버(20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버측 클라이언트(210)에서 생성된 3D 컨텐츠 원본 영상을 복수의 인코딩 프로세스(220)에서 처리하게 되고,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서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어떤 프로세스에서 어떤 데이터를 처리하고 어떤 프로세스로 전달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서버 세션 관리 서버(209)는 이와 같이, 어떤 서버의 어떤 프로세스에서 작업이 처리되고 다시 어떤 서버의 어떤 프로세스로 전달되어야 할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3D content strea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rver session management server 209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er-side client 210, the encoding process 220, and the streaming process 230. It can be.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3D content image generated by one server-side client 210 is processed by a plurality of encoding processes 220, and since each process operates on a different server, which data is stored in which process. You need to manage the information on how to process and transfer it to which process. As such, the server session management server 209 plays a role in managing which process on which server a task is processed and which task should be transferred to which process on which server.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2: 사용자 단말 웹브라우저 201: 컨텐츠 생성 서버
202: 인코딩 서버 203: 스트리밍 서버
210: 서버측 클라이언트 220: 인코딩 프로세스
230: 스트리밍 프로세스
211: 컨텐츠 로직 처리부 212: 렌더링부
102: User terminal web browser 201: Content creation server
202: encoding server 203: streaming server
210: Server-side client 220: Encoding process
230: Streaming process
211: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212: Rendering unit

Claims (6)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측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
상기 생성된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 프로세스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인코딩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상기 인코딩된 스트리밍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리밍 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컨텐츠 로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로직 처리부에서 구성된 3D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that run one or more server-side clients that generate original images of 3D content;
A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that drive one or more encoding processes to generate streaming video by encoding the original video of the generated 3D content; and
A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that run one or more streaming processes that stream the encoded streaming video to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erver-side client is
a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 user command from a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configures 3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A rendering unit that renders the 3D content created in the content logic processing unit and generates an original image of the 3D content.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가 구동되는 컨텐츠 생성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컨텐츠 생성 서버 스케일러;
상기 복수의 인코딩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인코딩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인코딩 서버 스케일러; 및
상기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스트리밍 서버 개수를 조절하는 스트리밍 서버 스케일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ent creation server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content creation servers on which the server-side client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an encoding server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encoding servers on which the encoding process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and
A streaming server scaler that adjusts the number of streaming servers on which the streaming process run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생성 서버는 CPU 및 GPU를 포함하는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 서버는 GPU를 포함하는 GPU 클러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리밍 서버는 CPU를 포함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lurality of content creation servers are composed of servers including CPU and GPU,
The plurality of encoding servers are composed of GPU clusters including GPUs,
The plurality of streaming servers are composed of servers including a CPU.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featuring.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버측 클라이언트의 상기 3D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A synchronization server that synchronizes information about the 3D content of a plurality of server-side clients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사용자 세션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와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는 N:1로 대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4,
A user sess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It further includes,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side client correspond in an N:1 manner.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featur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클라이언트, 상기 인코딩 프로세스 및 상기 스트리밍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서버 세션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A server sess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er-side client, the encoding process, and the streaming process.
A 3D content stream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95773A 2022-08-02 2022-08-02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KR202400180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73A KR20240018028A (en) 2022-08-02 2022-08-02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73A KR20240018028A (en) 2022-08-02 2022-08-02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028A true KR20240018028A (en) 2024-02-13

Family

ID=8989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73A KR20240018028A (en) 2022-08-02 2022-08-02 3D Contents Stream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0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58B1 (en) 2020-12-17 2022-05-09 주식회사 컬러버스 A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etaverse Sp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58B1 (en) 2020-12-17 2022-05-09 주식회사 컬러버스 A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etaverse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9864B2 (en) Multi-user terminal services accelerator
KR101697411B1 (en) Composite video streaming using stateless compression
US78303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sharing graphics data of multiple instances of interactive application
CN108449633A (en) Set-top box cloud frame based on NFV and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US2021037757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rchestrated Networked Application Services
CN103518189A (en) Integrated rendering of streaming media in virtualized desktop environment
KR20130108609A (en) Load balancing between general purpose processors and graphics processors
CN102946409A (en) Method, system of sending single terminal user experience from a plurality of servers to clients
Chen et al. Data distribution strategies for high-resolution displays
KR20080084993A (en) Multi-user display proxy server
TW201019263A (en) Integrated GPU, NIC and compression hardware for hosted graphics
US9235452B2 (en) Graphics remoting using augmentation data
CN102378976B (en) The compression of images of multiple processor is used to accelerate
CN108762934B (en) Remote graphic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nd cloud server
CN102355489A (en) Method, system, server and client side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3D (Three-Dimensional) game
CN115292020B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WO202403711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TW2014170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oad balance of graphic streams
CN112221127B (en) Multi-poin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loud game
US6115038A (en) Method for creating lower cost real-time 3D graphic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090328037A1 (en) 3d graphics acceleration in remote multi-user environment
CN112316433A (en) Game picture rendering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Shi et al. SHARC: A scalable 3D graphics virtual appliance delivery framework in cloud
CN115220906A (en) Cloud execution of audio/video synthesis applications
JP2024503984A (en) Metaverse spatial streaming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