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493A -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 Google Patents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493A
KR20240017493A KR1020220095302A KR20220095302A KR20240017493A KR 20240017493 A KR20240017493 A KR 20240017493A KR 1020220095302 A KR1020220095302 A KR 1020220095302A KR 20220095302 A KR20220095302 A KR 20220095302A KR 20240017493 A KR20240017493 A KR 2024001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user
monitor
pedesta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조
Original Assignee
김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조 filed Critical 김봉조
Priority to KR102022009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493A/en
Publication of KR2024001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49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모니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고, 하부는 미끄럼방지패드가 형성되어 책상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모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nd includes a stand formed at the top so that a monitor can be mounted and having connection bars formed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stand.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to support the stand, and a non-slip pad is formed at the bottom to prevent the desk from slipping, and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formed on the stand to detect the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stand.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user's posture, a driving unit formed inside the pedestal and lifting the pedestal from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n inside of the pedestal. A control unit formed on the bas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by analyzing the user's post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 lighting unit formed on the base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sensor unit and the monitor.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쳐다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여 교정을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nitor stand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monitor to suit the body of the user looking at the monitor and detects the user's posture to induce correction. This is about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거북목 증후군은 직장인 48%가 겪고 있으며 직장인들에게 나타나는 증후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Turtle neck syndrome affects 48% of office workers and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syndromes that occur among office workers.

거북목 증후군은 척추가 굽고 목이 빠지는 증상으로,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업무를 진행하거나, 컴퓨터 사용시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이는데 그 원인이 있다.Turtle neck syndrom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spine bends and the neck falls out. It is caused by working in an incorrect posture for a long time or tilting the neck forward too much when using a computer.

특히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일 경우 경추(목뼈)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기 때문이 어깨와 등으로 통증이 전해지며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심할 경우,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손이 저린 증상이 나타낸다.In particular, when the neck is tilted forward too much, a lot of load is applied to the cervical spine (neck vertebrae), which causes pain to spread to the shoulders and back, makes the eyes easily fatigued, and in severe cases, numbness in the hands due to nerve damage.

정상 자세보다 목을 앞으로 많이 기울일 경우, 목뼈 1cm마다 약 2 ~ 3kg 의 하중이 더 가해지게 되며, 상태에 따라 최고 15kg 까지의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나쁜 자세를 지속할 경우 경추에 영구적인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If you tilt your neck forward more than your normal posture, an additional load of about 2 to 3 kg is applied for every 1 cm of the cervical spine, and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 additional load of up to 15 kg is applied, so if you continue to have bad posture, permanent damage to the cervical spine can occur. This can be inflicted.

PC를 이용한 학업, 업무를 진행하는데 눈높이에 맞지 않은 모니터의 위치가 거북목 증후군의 원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When studying or working using a PC, the position of the monitor that is not at eye level is a major cause of turtle neck syndrome.

바른 자세를 하고 업무 또는 학업을 진행한다하더라도 모니터의 높이가 눈높이와 일정간격 맞지 않으면 저절로 구부정하게 모니터를 바라보게 되면서 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Even if you work or study with the correct posture, if the height of the monitor is not at a certain distance from your eye level, you will automatically look at the monitor hunched over, which can cause turtle neck syndrome.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3-0003288호는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인데, PC 사용자의 목디스크나 거북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모니터를 눈높이 맞게 받치도록 함은 물론, 비좁은 책상 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모니터를 바치는 받침대에 키보드, 마우스를 수납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3288 is about a “monitor stand,” which supports the monitor at eye level to prevent PC users from experiencing herniated disc or turtle neck, as well as enabling efficient use of cramped desks. We propose a configuration that stores the keyboard and mouse on a stand that holds the monitor.

하지만, 상기 모니터 받침대는 받침대의 수직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vertical height of the monitor stand is f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n unnatural posture depending 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3-0003288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328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능동적으로 모니터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거북목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올바른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도록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detec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posture, so that the height of the monitor can be ac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look at the monitor in the correct posture to prevent turtle neck symptoms. The goal is to provide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거북목을 유발하는 자세 또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는 경우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시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induce posture correction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monitor in a posture that causes turtle neck or in an incorrect posture, thereby encouraging the user to correct the posture to the correct posture. The goal is to provide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neck symptom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를 불빛으로 안내하여 작동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자세 및 교정을 위한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고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user's posture is detected by guiding the user's posture with a light, and to output the user's current posture, correct posture for correction, and stretching through the monitor. The goal is to provide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that can correct the condi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는 상부에는 모니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고, 하부는 미끄럼방지패드가 형성되어 책상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모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 stand, which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formed at the top so that a monitor can be mounted, and has a bas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a connection bar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to support the pedestal, and a non-slip pad is formed at the bottom to prevent the desk from slipping, and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are formed on the pedestal and ar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user and detects the user's posture; a driving unit formed inside the pedestal that raises and lowers the pedestal from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pedest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y analyzing the user's post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 lighting unit formed in the pedestal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sensor unit and the monit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받침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여 상기 동공의 위치를 측정하는 높이센서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및 상체를 촬영하고 자세를 판단하는 인식카메라와, 상기 책상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무릎 위치를 감지하여 하체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의자 시트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둔부 위치 및 압력분포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of the monitor stan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nce sensor formed on the front of the stan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tand, and a distance sensor formed on the front of the stand. a height sensor that recognizes the user's pupil and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pupil; a recognition camera formed on the front of the stand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upper body and determine the posture; and a height sensor formed on the desk to determine the user's postur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osture sensor that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by detecting the knee position of the user, and a weight sensor that is formed in a plurality distributed on the chair sea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nd detects the user's hip position and pressure distribution.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는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에 UV-C를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감지하여 살기 살균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제1지지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게이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and includes a sterilizing lamp that sterilizes the keyboard and mous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by irradiating UV-C; A position sensor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lamp by detecting the keyboard and mouse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and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gaug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a second gaug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pport to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sterilizing lamp.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이 점등되도록 형성되는 감지등과,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와 동기화되어 상기 영상 및 사운드 신호에서 출력되는 색상을 후방에 조사하는 반응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of the monitor stan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stand and turns on different light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and the user's postur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etection light and a reaction light formed on the rear of the pedestal a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and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monitor and irradiating the color output from the image and sound signals to the rear.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촬영하고 각 신체 부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동공, 턱, 어깨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북목 자세 또는 상기 표준자세의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자세의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상부로 승강시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준자세에 부합하는 위치까지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nitor stan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user's standard posture through the sensor unit and store the position of each body part, and the sensor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upil, chin, and shoulder among the user's body parts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unit, in the case of a turtle neck posture or a posture tha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of the standard posture, the position of the monitor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driv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guiding the user to correct his or her posture to a position that meets the standard posture.

또한 본 발명의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에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영상과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영상을 각각 출력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nitor stan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n image measuring the user's posture and posture to the moni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poor through the senso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correction images for correction to encourage posture cor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능동적으로 모니터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거북목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올바른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posture can be detected, and the height of the monitor can be ac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people to look at the monitor in the correct posture to prevent turtle neck symptom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거북목을 유발하는 자세 또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는 경우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시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osture is detected and the height of the monitor is changed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monitor in a posture that causes turtle neck or in an incorrect posture.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you to correct your pos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를 불빛으로 안내하여 작동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자세 및 교정을 위한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고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user's posture is detected by guiding the user's posture with a light, and whether it is operating or no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monitor.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orrect their posture by printing out the current posture and the correct posture and stretching for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부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하부 외형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사용자 인식에 따라 높낮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감지등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반응등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ppearance of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lower part of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nitor stand being raised and lowere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percep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nitor holde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light of the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sponse light of the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쳐다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여 교정을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nitor stand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monitor to suit the body of the user looking at the monitor and detects the user's posture to induce correction. This is about a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상부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하부 외형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사용자 인식에 따라 높낮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가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감지등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반응등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ppearance of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upper appearance of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lower part of the monitor holder,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nitor holder being raised and lowered, which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correction, the height of which varies depending on user perception, and Figure 5 shows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nitor holde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and Figure 6 is an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light of the monitor holder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action light of the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는 상부에는 모니터(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대(140)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00)와, 받침대(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받침대(100)를 지지하고, 하부는 미끄럼방지패드가 형성되어 책상(5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지지대(200) 및 제2지지대(300)와, 받침대(100)에 형성되어 받침대(100)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센서부(400)와, 받침대(100) 내부에 형성되며 센서부(400)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받침대(100)를 제1지지대(200) 및 제2지지대(300)로부터 승강시키는 구동부(600)와, 받침대(100) 내부에 형성되어 센서부(40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여 구동부(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받침대(100)에 형성되어 센서부(400)가 동작되는 상태 또는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monitor 1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is provided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stand 100 on which the connecting stand 140 is formed i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and 100 to support the stand 100, and a non-slip pad is formed at the bottom to prevent it from slipping off the desk 50. A first support 200 and a second support 300, a sensor unit 400 formed on the pedestal 100 to detect the user located i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and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the pedestal A driving unit 600 formed inside the 100 and lifting the pedestal 100 from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and the pedestal 100 ) A control unit 700 is formed insi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600 by analyzing the user's post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and a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400 is operated by being formed on the pedestal 100.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lighting unit 500 that emits ligh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10.

받침대(100)는 상부에 모니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어부(700), 구동부(600), 조명부(500), 센서부(400)가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tand 100 has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monitor 10 can be mounted thereon, and a control unit 700, a driver 600, a lighting unit 500, and a sensor unit 400 are built inside. It is formed so that

이때 받침대(100)는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에 삽입되어 구동부(60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대(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결대(140)가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면 받침대(100)의 하부면은 책상(5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stand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and 140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and is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unit 600, and the connecting stand 140 )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respectively,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desk 50.

이때 받침대(100)의 하부 이격된 공간에는 키보드(20)와 마우스(3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키보드(20)와 마우스(30)가 받침대(100) 하부에 위치되어 책상(50)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can be inserted and stored in th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tand 100, so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are stored at the bottom of the stand 100. It is positioned so that the desk 50 can be widely used.

또한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연결단자(120)가 마련되어 있어 센서부(400), 조명부(500), 구동부(600), 제어부(7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모니터(10)와 연결된 컴퓨터의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nection terminal 12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and 100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400, lighting unit 500, driver 600, and control unit 700 or to supply power to the computer connected to the monitor 10.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받침대(100)의 상부 전면에는 필기구를 놓아서 보관할 수 있는 거치홈(110)이 받침대(100)의 일측에서 타측방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홈(110)은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있어 필기구를 놓았을 때 필기구가 굴러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upper front of the stand 100, a holding groove 110 for storing a writing instrument is formed from one side of the stand 100 to the other side, and the holding groove 110 is concave in an arc shape to hold a writing instrument. This prevents the writing instrument from rolling when used.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는 ㅗ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 중앙에 연결대(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책상(50)과 접촉되는 면이 넓게 되어 받침대(100)의 하중을 책상(50)에 분산시켜 받침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are formed in a ㅗ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ar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center, and the lower part has a w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esk 50 to form a pedestal ( By distributing the load of 100 to the desk 50, the pedestal 100 can be stably supported.

이때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의 하부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형성되어 있어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가 책상(50)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거나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nti-slip pad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so that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may slip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50. This prevents it from moving easily.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패드는 점착성 실리콘으로 형성시켜 모니터(10)의 높낮이가 가변될 때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anti-slip pad may be formed of adhesive silicone to prevent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from moving when the height of the monitor 10 changes.

센서부(400)는 다수 개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저장하여 표준자세에 따른 현재 자세를 판단하여 자세가 올바른지 불량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ensor unit 400 is formed to recognize the user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meras, and stores the user's standard pos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ture is correct or bad by determining the current posture according to the standard posture. It is formed.

센서부(400)는 받침대(1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세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40)와 책상(50)에도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sensor unit 400 is formed on the base 100, but in order to measure the user's posture in more detail, it is also formed on the chair 40 and the desk 50 on which the user sits,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do.

구동부(600)는 받침대(100)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받침대(10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기어박스와 연동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610)와,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받침대(100)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620)과, 제1지지대(200)와 제2지지대(300)의 상부 중앙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62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받침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축(63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riving unit 600 is used to lift the pedestal 100 up and down. It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pedestal 100 and is connected to the gearbox to generate driving force. A drive shaft 620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of (100) is formed perpendicularly at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suppo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300, respectively, and is rotated by the drive shaft 620. It consists of a lifting shaft 630 that elevates the pedestal 100.

구동부(600)는 제어부(700)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받침대(10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가변되면서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게 된다.The driving unit 600 is formed so that the stand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700. The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post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allowing the user to It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또한 받침대(100)가 승강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610)는 브레이크기능이 구비된 모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승강된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엔코더나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ive motor 610 can be used as a motor with a brake function so that the pedestal 100 can be stopped at the lifted position, and an encoder or step motor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ifted height.

제어부(700)는 받침대(10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부(4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부(600) 및 조명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700 is formed inside the pedestal 100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600 and the lighting unit 500 based 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400.

이를 위해 제어부(700)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센서부(400)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안면과 상체부위의 표준자세를 저장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인지 불량한 자세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700 is formed to store the user's body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400 so that the user can be recognized, and the standard posture of the user's face and upper body is stored and based on this, the user's body information is stored. You can determine whether your posture is correct or poor.

제어부(700)에서 판단된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부(600)가 동작될 수 있게 되며, 조명부(500)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지 올바른지 불빛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e driving unit 600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700, and based on the lighting unit 500, it is possible to output as light whether the user's current posture is bad or correct.

조명부(500)는 받침대(100)에 형성되어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빛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센서부(4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자세가 불량한지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에 맞춰 빛을 출력함으로써 간접조명 효과와 함께 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ing unit 500 is formed on the pedestal 100 and outputs the st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as light to guide the user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400 and check whether the user's posture is poor. By outputting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and sound output from the monitor 10, it is possible to induce concentration on the image along with an indirect lighting effect.

이를 위해 조명부(500)는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센서부(400)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이 점등되도록 형성되는 감지등(510)과, 받침대(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와 동기화되어 영상 및 사운드 신호에서 출력되는 색상을 후방에 조사하는 반응등(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is purpose, the lighting unit 50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and includes a detection light 510 that turns on different light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400 and the user's posture, and the pedestal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action light 520 formed at the rear a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and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monitor 10 and irradiating the color output from the image and sound signals to the rear.

감지등(510)은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부(400)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를 빛으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점등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자신의 자세가 올바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detection light 51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and outputs light to confirm the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400 is detecting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he color of the light turns on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It is used to allow the user to visually check whether his or her posture is correct by varying .

감지등(510)은 받침대(100)의 전면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매립되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받침대(100)에는 감지등(510)에서 출력되는 빛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창이 마련되어 있다.The detection light 510 is embedded in a strip shape on one side and the other front of the pedestal 100 to emit light,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detection light 510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on the pedestal 100.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to allow for this.

이때 받침대(100)에 형성된 창은 불투명한 창으로 형성되어 있어 빛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빛의 색상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감지등(51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사용자가 눈이 부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indow formed in the pedestal 100 is formed as an opaque window, so it is desirable to allow only the color of the light to be confirmed without being directly exposed to light. Through this, the user can be detect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detection light 510. You can prevent your eyes from being dazzled.

또한 감지등(510)은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여 제어부(700)에 저장된 표준자세에 부합하면 상태를 청색 또는 녹색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표준자세로부터 오차범위를 5%이상 벗어나는 경우 황색, 10%를 벗어나는 경우 적색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ion light 510 detects the user's posture and outputs blue or green if it matches the standard posture stored in the control unit 700, and yellow if the user's posture deviates from the standard posture by more than 5% of the error range. If it exceeds 10%, it is desirable to print it in red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checked.

반응등(520)은 받침대(100)의 후면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어 구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reaction light 520 is formed in a strip shap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of the pedestal 100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different colors can be output for each section.

이때 반응등(520)은 컴퓨터와 연결되어 모니터(10)에 출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와 동기화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모니터(10)에 출력되는 배경 색상에 맞춰 반응등(520)의 구획별로 색상을 서로 다르게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action light 52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is formed to be synchronized with the image and sound signals output to the monitor 10, and is colored for each section of the reaction light 520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lor output to the monitor 10. are output differently.

즉,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유사한 빛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10)를 보았을 때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모니터(10)의 베젤 외부로 확장되는 느낌을 받아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by outputting light similar to the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10, when the user looks at the monitor 10, the user feels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10 extends outside the bezel of the monitor 10, thereby enhancing aesthetics. It becomes possible.

또한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맞춰 반응등(520)이 점멸하도록 하여 음악을 감상할 때 음악의 리듬에 따라 빛이 가변되도록 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ction light 520 blinks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signal output based on the sound signal, so that the light changes according to the rhythm of the music when listening to music, thereby enhancing the aesthetic sense.

반응등(520)에 의해 출력되는 빛은 간접등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니터(10) 후면으로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밝은 모니터(10)를 쳐다보면서 발생되는 시력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ight output by the reactive light 520 can be used as indirect lighting, light is irradiated to the back of the monitor 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prevent vision deterioration that occurs when looking at the bright monitor 10 in a dark environment. It can be prevented.

또한 받침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20) 및 마우스(30)에 UV-C를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램프(130)와, 받침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100)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20) 및 마우스(30)를 감지하여 살기 살균램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센서(460)와, 제1지지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받침대(100)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게이지(210)와, 제2지지대(3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살균램프(13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게이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rilizing lamp 13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and sterilizes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by irradiating UV-C, and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A position sensor 460 that detects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lamp 130, and a position sensor 460 on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200. A first gauge 21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support 300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100, and a gauge is formed to set the operation time of the sterilization lamp 130.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2 gauges (310).

살균램프(130)는 받침대(100)의 하부에 수납한 키보드(20) 및 마우스(30)의 표면에 잔존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받침대(100) 하부 중앙에서 일측에서 타측방면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The sterilizing lamp 130 is formed to remove bacteria or viruse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and 100 so that they can be used hygienically. It is arranged lo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lower center.

살균램프(130)는 UV-C LED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UV-C를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UV-C가 조사될 때 발생되는 빛을 사용자가 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키보드(20) 및 마우스(30)가 수납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형성된다.The sterilizing lamp 130 has a UV-C LED formed inside it so that it can irradiate UV-C.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eeing the light generated when UV-C is irradiated, the keyboard 20 and The mouse 30 is designed to be operated only when it is stored.

이를 위해 받침대(100) 하부에는 위치센서(460)가 마련되어 있어 키보드(20) 및 마우스(30)가 받침대(100) 하부로 인입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위치센서(460)는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키보드(20)와 마우스(30)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purpose, a position sensor 46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to detect the state in which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460 are provided. Since they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positions of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can be detected in detail.

이때 살균램프(130)는 내부에 반사경이 마련되어 있어 UV-C가 조사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위치센서(460)에 의해 키보드(20)와 마우스(30)가 감지된 위치에만 UV-C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amp 130 has a reflector provided inside to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UV-C is irradiated, so that it only lights up at the location where the keyboard 20 and mouse 30 are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460. UV-C irradiation becomes possible.

특히 위치센서(460)는 다수 개가 받침대(100) 하부에 분산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키보드(20)가 삽입된 위치, 키보드(20)의 크기, 마우스(30)의 위치, 마우스(30)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460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00, the position where the keyboard 20 is inserted, the size of the keyboard 20, the position of the mouse 30, and the size of the mouse 30 are measured. You can check it.

제1게이지(210)는 제1지지대(200)의 전면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회전되는 다이얼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되는 양에 따라 받침대(100)가 승강되는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rst gauge 210 is locat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200 and is formed as a rotating dial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support 100 is raised or lowered can be manu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이때 제1게이지(210)의 상부면에는 제1디스플레이(211)가 마련되어 있어 제1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현재 높이를 확인할 수 있고, 제1게이지(210)가 회전되면서 구동부(600)에 의해 승강된 받침대(100)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first display 2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auge 210, so that the current heigh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211 can be checked, and as the first gauge 210 rotates, the first display 211 is moved by the driving unit 6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height of the elevated pedestal 100.

제2게이지(310)는 제2지지대(300)의 전면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회전되는 다이얼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양에 따라 살균램프(130)가 점등되었을 때 UV-C를 출력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gauge 310 is locat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300 and is formed as a rotating dial to adjust the time for outputting UV-C when the sterilizing lamp 1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It is formed so that

이때 제2게이지(310)의 상부면에는 제2디스플레이(311)가 마련되어 있어 현재 UV-C가 조사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2게이지(310)를 회전시키면 살균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되면서 변경된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second display 3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auge 310 so that the current UV-C irradiation time can be checked. When the second gauge 310 is rotated, the sterilization time increases or decreases. You can check the changed settings.

또한 제1지지대(200)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USB포트(220)가 마련되어 있어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제1지지대(200)를 통해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받침대(100)에 형성된 연결단자(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전력소모가 심한 주변기기에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SB ports 22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200, allowing peripheral devices to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200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mputer,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the pedestal 100 Since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120 formed in , sufficient power can be supplied to peripheral devices that consume a lot of power.

또한 필요에 따라 특정 USB포트(220)는 컴퓨터의 USB단자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전원어댑터에 의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포트로 사용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휴대폰이나 각종 모바일 기기를 고속으로 충전시킬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pecific USB port 220 can be used as a port that can supply power through a power adapter rather than being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a computer, and through this, mobile phones or various mobile devices can be charged at high speed. do.

센서부(400)는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와 받침대(10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410)와,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여 동공의 위치를 측정하는 높이센서(420)와,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 및 상체를 촬영하고 자세를 판단하는 인식카메라(430)와, 책상(5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 위치를 감지하여 하체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센서(440)와, 사용자가 착석한 의자(40) 시트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 위치 및 압력분포를 감지하는 무게센서(4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400 includes a distance sensor 410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edestal 100, and a distance sensor 410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to recognize the user's pupil an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edestal 100. A height sensor 420 that measures the position, a recognition camera 430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upper body and determine the posture, and a recognition camera 430 formed on the desk 50 to determine the user's knee position It consists of a posture sensor 440 that detects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and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and a weight sensor 450 that is formed in multiple pieces distributed on the seat of the chair 40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nd detects the position and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user's buttocks. It is characterized by

거리센서(410), 높이센서(420), 인식카메라(430)는 받침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 받침대(100)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의 위치와 자세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distance sensor 410, the height sensor 420, and the recognition camera 430 a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and are used to detect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user located in the front of the pedestal 100.

이때 거리센서(410)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상체에 형성된 신체 부위에 대한 거리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거리센서(410)를 통해 측정된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안면이 어깨보다 앞쪽으로 내민 거북목 자세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sensor 410 is formed to detect the distance to the user's face and body parts formed on the upper body by irradiating infrared rays, an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10, the face is moved to the should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ture of the turtle neck is more forward.

또한 거리센서(41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과 받침대(100)까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10)를 쳐다보았을 때 모니터(10)를 바라보는 거리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pupil and the stand 100 can be check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iewing distance toward the monitor 10 is appropriate when looking at the monitor 10.

높이센서(420)는 사용자의 동공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여 받침대(100)로부터 동공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10)를 쳐다볼 때 고개가 기울어진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height sensor 420 is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s pupil. It tracks the user's pupil and measures the height from the base 100 to the pupil, so that the user can look at the monitor 10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It become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head being tilted.

즉, 높이센서(420)를 통해 모니터(10)가 낮은 위치에 있어 고개가 아래로 숙여진 상태나 모니터(10)가 높은 위치에 있어 고개가 위로 치켜든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목에 부담이 가는 자세로 유지되지 않도록 동공의 위치가 모니터(1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모니터(10)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rough the height sensor 4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 10 is in a low position with the head lowered or the monitor 10 is in a high position with the head raised upward, and based on this, The monitor 1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upi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nitor 10 so that the neck is not maintained in a position that puts a strain on the neck.

인식카메라(43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어부(70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사용자의 표준자세, 동공위치, 안면 및 어깨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recognition camera 430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user by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and captures the user's standard posture, pupil position, face, and shoulder position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unit 700. The posture can be judged based on .

이때 인식카메라(430)는 초기 사용자를 등록할 때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촬영하여 촬영된 신체 정보와 함께 거리센서(410)와 높이센서(420)를 통해 각각의 신체의 거리값을 이미지에 반영할 수 있게 되며, 반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registering an initial user, the recognition camera 430 photographs the user's standard posture and reflects the distance value of each body in the image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10 and the height sensor 420 along with the captured body information. It becomes possible to set the user's standard posture based on the reflected image.

또한 사용자는 표준자세를 사용자 본인이 설정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어부(700)가 사용자의 현재 자세나 동공, 안면, 어깨의 위치에 따라 표준자세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세를 표준자세로 변경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standard posture himself, but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700 updates the standard posture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posture or the positions of the pupil, face, and should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task stably. You can also change your posture to the standard posture.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해 책상(50)과 의자(40)에 각각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무릎위치와 둔부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detect the user's posture more precisely, a posture sensor 440 and a weight sensor 450 can be formed on the desk 50 and the chair 40, respectivel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knee position and hip position.

자세센서(440)는 책상(50)의 하부면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무릎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osture sensor 440 is formed in a plurality distribu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50 or is formed to detect the user's knees using a camera, and the user's posture can be confirmed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knee.

무릎의 위치는 사용자가 자세를 불량하게 유지할 때 무릎이 펴진 상태를 검출하거나 무릎이 표준자세에서 측정된 위치보다 책상(50)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간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knee can be determined to be poor if the user detects an extended knee when the user maintains poor posture or if the knee is determined to be deeper inside the desk 50 than the position measured in the standard posture. .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표준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 사용자의 둔부는 의자(40)의 등받이에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무릎을 펼친 상태로 유지하기가 어렵고, 펼친다하더라도 발이 바닥에 닿지 않아 무릎의 위치는 거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Generally, when the user is sitting in a standard posture, the user's buttocks are located close to the backrest of the chair 40, so it is difficult to keep the knees spread, and even if spread, the feet do not touch the floor, so the knees are in almost the same position. It comes into existence.

그러나 사용자가 등을 등받이에 기대면서 눕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둔부는 등받이의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무릎은 책상(50)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자세가 불량하게 변형되게 된다.However, when the user assumes a lying position with his back against the backrest, his buttocks sl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ackrest, and his knees move inside the desk 50, resulting in poor posture.

또한 무릎을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자세센서(440)는 무릎의 위치 또는 펼친 자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since the knees can be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the posture sensor 440 can detect poor posture of the us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knees or the unfolded posture.

무게센서(450)는 의자(40)의 시트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 개의 무게센서(450)가 시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분산되어 사용자의 둔부 위치와 함께 시트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weight sensor 450 is formed on the seat of the chair 40 and is us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s buttocks.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450 are distributed on the seat at regular intervals to measure the force applied to the seat along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buttocks. The load can be measured.

이때 표준자세로 유지된 상태의 둔부위치와 하중을 측정한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면서 눕거나 둔부가 등받이의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진 상태가 된 경우 무게센서(450)를 둔부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ased on the state of measuring the buttocks position and load maintained in the standard posture, if the user lies down with his back against the backrest or the buttocks sli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ackrest, the weight sensor 450 is used to measure the buttocks.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location of has changed.

또한 둔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도 변경되기 때문에 변경된 하중에 의해 현재 사용자의 자세가 어떤 자세인지 유추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because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changes as the position of the buttocks moves, it is possible to infer what the user's current posture is based on the changed load.

제어부(700)는 거리센서(410), 높이센서(420), 인식카메라(430)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체의 자세를 판단함과 동시에 자세센서(440), 무게센서(450)를 기반으로 하체 자세를 유추하여 현재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지 올바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user's upper body based on the distance sensor 410, the height sensor 420, and the recognition camera 430, and simultaneously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user's lower body based on the posture sensor 440 and weight sensor 450. By inferring the post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s posture is poor or correct.

또한 제어부(700)는 받침대(100)에 형성되지 않은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에서 데이터를 송수신받기 위해 통신모듈(71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신모듈(710)을 기반으로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7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rom the posture sensor 440 and the weight sensor 450 that are not formed on the pedestal 100, and 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ule 710. It is possible to receive measured information in real time.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될 수 있으며, 자기공진방식을 통해 주파수가 일치되도록 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여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posture sensor 440 and the weight sensor 450 can be used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and power is supplied wirelessly by matching the frequencies through a magnetic resonance method to maintain the posture sensor 440 and the weight sensor 450. may be formed so that it can be used.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촬영하고 각 신체 부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부(4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동공, 턱, 어깨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북목 자세 또는 표준자세의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자세의 경우 구동부(600)를 통해 모니터(10)의 위치를 상부로 승강시켜 사용자가 표준자세에 부합하는 위치까지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700 is formed to photograph the user's standard posture through the sensor unit 400 and store the position of each body part. Among the user's body parts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or unit 400, the pupil, In case of a turtle neck posture or a posture tha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of the standard posture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chin and shoulders, the position of the monitor 10 is raised upward through the driving unit 600 so that the user can posture to a position that matches the standard posture. It is characterized by encouraging correction.

제어부(700)는 센서부(400)에 형성된 인식카메라(4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등록될 때 저장된 표준자세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에 맞춰 모니터(1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동부(600)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70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recognition camera 430 formed in the sensor unit 400, and adjusts the posture to the current user based on the standard posture stored when the user is registered. The driving unit 600 is controlled so that the height of the monitor 10 is variable.

즉, 사용자가 인증되면 자동으로 모니터(10)는 사용자의 표준자세에 부합되는 위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별도의 조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 height of the monitor 1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 position that matches the user's standard posture, allowing the user to use it without separate adjustment.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해지는 경우는 보통 얼굴을 모니터(10) 방면으로 내미는 거북목 자세와 등을 등받이에 기대면서 둔부가 앞으로 빠져 허리에 하중을 가하는 자세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Cases where the user's posture becomes poor can usually be categorized into a turtle neck posture in which the user's face is pushed toward the monitor 10 and a posture in which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rest and the buttocks fall forward to place a load on the lower back.

이때 사용자가 거북목 자세를 취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저장된 표준자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공, 턱, 어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측정된 동공, 턱, 어깨의 위치를 비교하여 자세가 불량한지 판단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assumes a turtle neck posture,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posture is poor by comparing the currently measured positions of the pupil, chin, and shoulder with the user's pupil, chin, and shoulder positions based on the stored standard posture. I do it.

거리센서(410)는 동공, 턱, 어깨 각각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높이센서(420)는 사용자의 동공의 높이를 측정하고, 인식카메라(430)는 사용자의 상체 전반을 촬영하여 어깨와 안면의 비율, 어깨의 비대칭성, 의자(40) 등받이와 어깨의 거리를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sensor 410 measures the distance to each body part of the pupil, chin, and shoulder individually, the height sensor 420 measures the height of the user's pupil, and the recognition camera 430 measures the entire upper body of the user. By taking picture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ratio of the shoulder to the face, the asymmetry of the should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of the chair (40) and the shoulder.

제어부(700)는 거리센서(410), 높이센서(420), 인식카메라(4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표준자세의 기본 값으로부터 오차범위가 10% 이상인 경우 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여 교정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posture is poor and corrects it if the error range is 10% or more from the default value of the standard pos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10, the height sensor 420, and the recognition camera 430. The process proceeds.

교정프로세스는 구동부(6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북목 자세를 취했을 때 모니터(10)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켜 모니터(10)를 쳐다보는 각도가 상부 방향으로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목이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 correction process uses the driving unit 600 to raise the monitor 10 upward when the user assumes a turtle neck posture and induce the angle of looking at the monitor 10 to be upward, thereby causing the user to tilt the neck back. There will be.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니터(10)가 승강되는 것에 따라 목이 움직여지면서 거북목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자세가 불량한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감지등(510)이 깜빡이게 된다.Through this, the user can correct the turtle neck posture by moving the neck as the monitor 10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detection light 510 blink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user has poor posture.

사용자가 자세를 고쳐 앉아 자세가 표준자세에 설정된 신체 정보와 5% 미만으로 유지되면 받침대(100)가 하강되어 사용자가 표준자세에서 바라볼 수 있는 각도로 모니터(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corrects his or her sitting posture and the posture remains less than 5% of the body information set in the standard posture, the stand 100 is lowered,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nitor 10 to an angle that can be viewed in the standard posture. .

또한 사용자가 청소년인 경우 센서부(400)에 의해 표준자세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올바른 자세로 모니터(10)를 바라보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 teenager, the standard posture can be continuously updated by the sensor unit 400, and based on this, the user can be guided to look at the monitor 10 with the correct postur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ser's body. .

또한 사용자가 의자(40)의 높낮이를 변경한 경우 의자(40)의 높낮이에 따라 표준자세로부터 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식카메라(430)가 촬영된 영상에서 의자(40)의 등받이 위치나 헤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 위치를 재계산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if the user changes the height of the chair 40, errors may occur from the standard postur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hair 40. In this case, the backrest position of the chair 40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recognition camera 430 The user's body position can be recalculated based on the head position.

즉, 표준자세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 후 받침대(10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현재 위치와 표준자세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었을 때 거리센서(410), 높이센서(420), 인식카메라(430)가 사용자를 인식 및 자세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fter recognizing the current user's position based on the standard posture, the height of the stand 100 is adjust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standard posture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the distance sensor 410, the height sensor 420, and the recognition camera (430) is able to recognize the user and determine the posture.

이때 표준자세를 기반으로 설정된 받침대(100)의 높이는 사용자의 의자(40) 높이 조절에 따라 변동된 현재 위치에 따라 보정값을 반영하여 모니터(10)를 바라보는 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tand 100, which is set based on the standard posture, can be adjusted to reflect the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whic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djustment of the chair 40, to adjust the correct position looking at the monitor 10.

또한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를 통해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둔부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허리가 휘어진 자세로 인해 표준자세의 오차범위 10%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모니터(10)를 쉽게 볼 수 없도록 받침대(100)를 이동될 수 있는 최대치로 상승시켜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여 모니터(10)를 보도록 교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osture sensor 440 and the weight sensor 450 detect that the error range of the standard posture is 10% or more due to the user leaning back against the backrest and the buttocks are moved forward and the waist is bent, the control unit 700 By raising the stand 100 to the maximum movable level so that the user cannot easily view the monitor 10, the user can correct his or her posture to view the monitor 10.

일반적으로 등받이에 등을 기대는 경우 동공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데, 모니터(10)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되면 목을 뒤로 과도하게 젖혀야 하므로 현재 자세에서는 모니터(10)를 쳐다보는 것이 어려워진다.Generally, when one leans back against a backrest, the height of the pupil is lowered, but when the monitor 10 is raised upward, the neck must be tilted back excessively, making it difficult to look at the monitor 10 in the current posture.

즉, 제어부(700)는 이러한 불량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모니터(10)가 상부 방면으로 최대치로 상승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니터(10)를 보기 위해서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correct such poor posture, the control unit 700 causes the monitor 10 to be raised upward to its maximum level, thereby guiding the user to correct his or her posture in order to view the monitor 10.

또한 자세를 교정한 상태에서 거리센서(410), 높이센서(420), 인식카메라(430), 자세센서(440)와 무게센서(450)에서 측정된 정보가 표준자세의 오차범위 5% 미만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만 받침대(100)가 표준자세에 따른 정상위치로 하강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게 된다.In addition, with the posture corrected,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istance sensor 410, height sensor 420, recognition camera 430, posture sensor 440, and weight sensor 450 is less than 5% of the error range of the standard posture. Only when measurement is made, the stand 100 descends to the normal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posture, so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assume the correct posture.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10)에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영상과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영상을 각각 출력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poor through the sensor unit 400, it outputs an image measuring the user's posture and a correction image for correcting the user's posture to the monitor 10, respectively, to encourage the user to correct the posture. It is characterized by

제어부(700)가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받침대(10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지 않으면 모니터(10)에 자세 교정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모니터(10)에 출력된 자세 교정영상을 강제로 시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Even when the control unit 700 raises and lowers the stand 100 to correct the user's posture, if the user does not correct the posture, a posture correction image is output to the monitor 10 and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displayed on the monitor 10. You can force people to watch videos.

이때 자세 교정영상은 사용자의 현재 자세와 표준자세를 비교하여 현재 자세로 인해 유발할 수 있는 통증과 추후 발병될 수 있는 질병정보를 안내하면서 올바른 자세를 모니터(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ture correction image compares the user's current posture with the standard postur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pain that may be caused by the current posture and information on diseases that may develop in the future, and outputs the correct posture through the monitor (10).

또한 제어부(700)는 자세 교정영상과 함께 인식카메라(430)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자세를 출력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표준자세를 현재 자세에 투영되도록 하여 현재 사용자가 자세를 표준자세와 일치되도록 하는 경우 자세 교정영상이 종료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an output the current user's posture through the recognition camera 430 along with the posture correction image, guides the user to check his or her current posture, and projects the standard posture onto the current posture. When the current user's posture matches the standard posture, the posture correction image is created to end.

즉, 사용자는 표준자세와 오차범위 5% 미만으로 일치되도록 자세를 교정해야 자세 교정영상이 종료되며, 자세를 고치지 않는 경우 지속적으로 자세 교정영상이 출력되면서 모니터(10)를 통해 업무를 볼 수 없게 한다.In other words, the user must correct the posture to match the standard posture with an error range of less than 5% to end the posture correction video. If the user does not correct the posture, the posture correction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and the user cannot work through the monitor 10. do.

따라서 제어부(700)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모니터(10)에 출력되는 정보를 가리도록 제어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니터(10)를 통해 현재 센서부(40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모니터(10)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a control function to block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monitor 10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and monitors the information currently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400 through the monitor 10. It must be possible to output it in (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능동적으로 모니터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거북목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올바른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도록 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거북목을 유발하는 자세 또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모니터를 쳐다보는 경우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시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를 불빛으로 안내하여 작동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자세 및 교정을 위한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고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nitor stand that can alleviat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posture can be detected, and the height of the monitor can be ac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user. Encourage users to look at the monitor in the correct posture to prevent turtle neck symptoms.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encourage them to correct their posture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if they are looking at the monitor in a posture that causes turtle neck or in an incorrect posture. It detects the user's posture and guides it with light to visually check whether it is working or not, and displays the user's current posture, correct posture for correction, and stretching through the monitor to correct the user's postur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happe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modifying or modifying it accordingly.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include examples of many such modifications.

10 : 모니터 20 : 키보드
30 : 마우스 40 : 의자
50 : 책상 100 : 받침대
110 : 거치홈 120 : 연결단자
130 : 살균램프 140 : 연결대
200 : 제1지지대 210 : 재1게이지
211 : 제1디스플레이 220 : USB포트
300 : 제2지지대 310 : 제2게이지
311 : 제2디스플레이 400 : 센서부
410 : 거리센서 420 : 높이센서
430 : 인식카메라 440 : 자세센서
450 : 무게센서 460 : 위치센서
500 : 조명부 510 : 감지등
520 : 반응등 600 : 구동부
610 : 구동모터 620 : 구동축
630 : 승강축 700 : 제어부
710 : 통신모듈
10: Monitor 20: Keyboard
30: mouse 40: chair
50: Desk 100: Stand
110: Holding groove 120: Connection terminal
130: Sterilization lamp 140: Connecting rod
200: 1st support 210: 1st gauge
211: first display 220: USB port
300: 2nd support 310: 2nd gauge
311: second display 400: sensor unit
410: Distance sensor 420: Height sensor
430: Recognition camera 440: Posture sensor
450: Weight sensor 460: Position sensor
500: lighting unit 510: detection light
520: reaction light 600: driving unit
610: drive motor 620: drive shaft
630: Elevating shaft 700: Control unit
71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6)

상부에는 모니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고, 하부는 미끄럼방지패드가 형성되어 책상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받침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모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 stand formed at the top so that a monitor can be mounted and having connecting rods formed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and to support the stand, and having a non-slip pad at the bottom to prevent the desk from slipping;
a sensor unit formed on the pedestal to detect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pedestal and detect the user's posture;
a driving unit formed inside the pedestal and lifting the pedestal from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pedest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y analyzing the user's post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lighting unit formed on the pedestal and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ensor unit and the monitor;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받침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여 상기 동공의 위치를 측정하는 높이센서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및 상체를 촬영하고 자세를 판단하는 인식카메라와;
상기 책상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무릎 위치를 감지하여 하체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의자 시트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둔부 위치 및 압력분포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sensor unit
a distance sensor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edestal;
a height sensor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to recognize the user's pupil and measure the position of the pupil;
a recognition camera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upper body and determine the user's posture;
a posture sensor formed on the desk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knees;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are distributed and formed on the chair sea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nd detect the position and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user's buttocks.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에 UV-C를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하부에 위치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감지하여 살기 살균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제1지지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게이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use 1,
a sterilizing lamp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to sterilize the keyboard and mouse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by irradiating UV-C;
a position sensor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lamp by detecting the keyboard and mouse located below the pedestal;
a first gauge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A second gaug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pport to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sterilizing lamp.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이 점등되도록 형성되는 감지등과;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와 동기화되어 상기 영상 및 사운드 신호에서 출력되는 색상을 후방에 조사하는 반응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lighting unit
a detection light formed on the front of the pedestal to turn on different light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and the posture of the user;
A reaction light formed on the rear of the pedestal a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and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monitor to irradiate the color output from the image and sound signals to the rear.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표준자세를 촬영하고 각 신체 부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동공, 턱, 어깨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북목 자세 또는 상기 표준자세의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자세의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상부로 승강시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준자세에 부합하는 위치까지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capture the standard posture of the user through the sensor unit and store the position of each body part,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upil, chin, and shoulder among the user's body parts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or unit, in case of a turtle neck posture or a posture tha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of the standard posture, the position of the monitor is adjusted to the upper position through the dr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by elevating the user to correct the posture to a position that meets the standard posture.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에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영상과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영상을 각각 출력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을 유도하여 거북목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poor through the sensor unit, an image measuring the user's posture and a correction image for correcting the posture are output to the monitor, respectively, to encourage the user to correct the posture.
A monitor stand that can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encouraging posture correction.

KR1020220095302A 2022-08-01 2022-08-01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KR202400174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02A KR20240017493A (en) 2022-08-01 2022-08-01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02A KR20240017493A (en) 2022-08-01 2022-08-01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493A true KR20240017493A (en) 2024-02-08

Family

ID=8990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302A KR20240017493A (en) 2022-08-01 2022-08-01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49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288U (en) 2011-11-25 2013-06-04 도강희 Monitorshelf sup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288U (en) 2011-11-25 2013-06-04 도강희 Monitorshelf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168B2 (en) Multi-functional table and table control system
AU201322932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behavioural, postural or geometric-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a person wearing spectacles
US966492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head posture characteristic of a person wearing spectacles
US11937690B2 (en) Automatically adjustable desk with usage tracking and methods thereof
CN101455483B (en) Intelligent reading and writing platform
CN214619150U (en) Table lamp for monitoring sitting posture
Mon-Williams et al. Vertical gaze direction and postural adjustment: An extension of the Heuer model.
Jainta et al. Fixation disparity: binocular vergence accuracy for a visual display at different positions relative to the eyes
KR20240017493A (en) Monitor stand to relieve turtle neck symptoms by inducing posture correction
CN207869474U (en) A kind of brightness regulating device and eye-protecting lamp
CN106658842A (en) Myopia preventing system based on automatic detection technology
KR100804483B1 (en) Bedside book holder
JP7300950B2 (en) SUBJEC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OPHTHALMIC DEVICE AND OPHTHALMIC SYSTEM
CN210748139U (en) Student desk and chair with protection and correction functions
JP2023107914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system
CN110833255A (en) Intelligent linkage adjustment child learning table and chair system and control method
TW201419936A (en) Lamp device with intelligent and dynamic adjustable light-emitting parameters
CN106151944A (en) Sight protectio type intelligent power saving desk lamp
CN108113312A (en) A kind of intelligent bed and its control method
CN210514962U (en) Intelligent lifting table
CN209297479U (en) A kind of students in middle and primary schools'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CN110738832A (en) intelligent myopia-preventing method and device
CN214904599U (en) Sitting posture correction table based on sensor identification
CN115835809A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ndication of a user's eyesight level
CN214904780U (en) Device for keeping sitting posture and protecting eyes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