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471A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471A
KR20240017471A KR1020220095254A KR20220095254A KR20240017471A KR 20240017471 A KR20240017471 A KR 20240017471A KR 1020220095254 A KR1020220095254 A KR 1020220095254A KR 20220095254 A KR20220095254 A KR 20220095254A KR 20240017471 A KR20240017471 A KR 20240017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ata
signal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471A/en
Publication of KR2024001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4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70Broadcas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8Use of optical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Li-Fi(Light-Fidelity)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포함된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Li-Fi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using a display device and a light-fidelity (Li-Fi) signal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is disclosed. He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acklight including a light source; display panel; and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Li-Fi signal based on Li-Fi data generated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ncludes a control module to control.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using a display device and a Li-Fi signal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Li-Fi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based on a Li-Fi signal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Li-Fi(Light-Fidelity)란, 쉽게 고효율 조명인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와 Wi-Fi(Wireless-Fidelity)를 융합시킨 기술로서, 즉, LED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Li-Fi (Light-Fidelity)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LED (Light Emitting Diode), a high-efficiency lighting, and Wi-Fi (Wireless-Fidelity).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visible light emitted from LED. It says what to do.

종래의 유/무선 통신과 비교하자면, Li-Fi는 Wi-Fi보다는 약 100배가량 빠른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며, LTE-A보다는 약 60배가량 빠른 속도로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전자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시광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전자파에 따른 위험성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 조명이 갖고 있는 낮은 전력소비로 인해 저전력, 저비용으로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ompared to conventio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Li-Fi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municate at a speed about 100 times faster than Wi-Fi and about 60 times faster than LTE-A, and it can communicate at a speed about 60 times faster than LTE-A. Since it uses visible light rather tha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letely free of risk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dditionally, due to the low power consumption of LED lighting, a communication system can be built with low power and low cost.

그러나 가시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장애물(obstacle)과 같은 방해요소가 있으면,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가 빈번하거나 통신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because visible light is used, if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n obstacl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light, communication is frequently interrupted or communication sensitivity is low.

Li-Fi는 전송 속도의 측면에서 여타 통신 시스템보다 뛰어나지만,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어, 여전히 많은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Li-Fi is superior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but has the problem of poor stability, so much research and development is still needed.

본 개시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Li-Fi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containing data for Li-Fi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Li-Fi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based on a Li-Fi signal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포함된 백라이트(backlight);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및 상기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Li-Fi(Light-Fidelity)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acklight including a light source; display panel; and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Li-Fi signal based on Li-Fi (Light-Fidelity) data generated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xternal device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Li-Fi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생성된 Li-Fi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분리 추출된 Li-Fi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generating Li-Fi data using some light sources of a backlight; receiving an input signal; Separating and extracting the generated Li-Fi data from the received input signal; Generating a Li-Fi signal based on the separately extracted Li-Fi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display device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a Li-Fi signal.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미러링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씸리스(seamless)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of seamlessly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a mirroring service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a Li-Fi signal from a display device. there i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Li-Fi 신호를 수광 및 발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IoT 기기나 센서를 포함한 다른 주변 외부 장치를 위한 AP(Access Point)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emitting Li-Fi signals may also perform an AP (Access Point) function for other peripheral external devices, including IoT devices or sensors. You ca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정의되는 신호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 및 광출력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ndscape mode and portrait mode of a stand-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processing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rame structure def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heet and a light output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to 12 are diagrams to expla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ption unit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 may include a voice acquisition unit 175,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er 130 may include a tuner 131, a demodulator 132,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uner 131 can select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tuner 131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for a specific selected broadcast channel.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32 can separate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and can restore the separated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to a form that can be outpu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access a certain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In other words, you can access a certain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erver.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Video on Deman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 (Video on Demand), and broadcast signal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 files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and can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provide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one or more of video and audio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may include an RGB terminal, one or more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s, and a component termi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n image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 voice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any one of a set-top box, Blu-ray player, DVD player, game console, sound bar, smartphone, PC, USB memory, or home theat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some of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a selected user or selected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pre-registe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70, and can store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video, voice,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and may perform a predetermined storage function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You can als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play content files (video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ZigBee,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s can be received and process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170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control signals input from local keys (not shown) such as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dditionally,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a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Additionally,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connects to the network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desir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device. You can download it within (100).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allows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along with the processed video or audio sign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or an external input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playback of content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from outside. The content may include broadcast video, external input video, audio files, and still content. It can be in various forms, such as videos, connected web screens, and document files.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uses Bluetooth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and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is connect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 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can be supported. Local area wireless networks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other display device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or interoperabl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 smartwatch, smart glasses. It can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or smart phon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Furthermore,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170 se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173. Accordingly,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can use the data process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can acquire audio. 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not shown) and may acquire audio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icrophone (not shown).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the video signals, data signals, and OSD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the video signals and data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and drives them. A signal can be genera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as needed,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dditionally,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unlike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include a tuner 131 and a demodulation unit 132, but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 You can also receive and play video through 13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o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laying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It can be.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cludes not only the display device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ut also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parate set-top box or a display unit 180. )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having an audio output unit 185.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the audio-processe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it as audio.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7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unit 180 for displaying images,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there is.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that converts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direct current power and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the level of direct current power.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nd a power supply unit 260. ), a storage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nd a voice acquisition unit 290.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s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RF communication standards, and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IR communication standards. An IR module 223 may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225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equipped with an NFC module 227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andard, and displays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W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tandard. A WLAN module 229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evice 100 may be provided.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signals transmit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and, if necessary, turn on/off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Commands for turning off, changing channels, changing volume, etc. can be sent.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시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comprised of a keypad, button, touch pad, or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commands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n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0.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provided with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power button (231), home button (232), live button (233), external input button (234), volume control button (235),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It may include a channel change button 237, a confirmation button 238, and a back button 239.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시 동작이 가능하여, 푸시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the user's fingerprint. In one embodimen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is capable of a push operation and may receive a push operation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The power button 23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home button 232 may be a button for moving to the hom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live button 233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broadcast program. The external input button 234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lume control button 235 may be a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by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and recognizing the received voice. The channel change button 237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The confirmation button 238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and the back button 239 may be a button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Figure 2 will be described again.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f the user input unit 230 ha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commands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n the touch screen. Additionally, 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scroll keys and jog keys,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and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43 measures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formation about such things can be sensed.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and can sense the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50,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the display device 100 is controlled.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includes an LED module 251 that turns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 253), a sound output module 255 that outputs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that outputs an image.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stops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reby reducing power waste. The power supply unit 260 can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etc.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 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and references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frequency band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storage unit 270. can do.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send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100).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acquire voice.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291 and can acquir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91.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Next, Figure 4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a) illustrates that the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is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called a spatial remote control because the corresponding pointer 205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movement in 3D space, as shown in the drawing.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also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Figure 4(c) illustrates a case where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a result,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can be zoomed in and displayed enlarged.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in a reduced siz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may be zoomed in.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Additionally,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up-down, left-right movement may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and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can be recognized.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 pointer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ly, the pointer 205 can be an object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row shape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concepts may include dots, cursors, prompts, thick outlines, etc. In addition, the pointer 205 can b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to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n the display unit 180, as well as in response to multiple points, such as a line or surface. do.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andscape mode and portrait mode of a stand-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a stand type display device 100 is shown.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가 연결될 수 있다.A shaft 103 and a stand base 105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샤프트(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이어줄 수 있다. 샤프트(103)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The shaft 103 may connect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stand base 105. Shaft 103 may extend vertically.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haft 103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tand base 105.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haft 10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tand base 105.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샤프트(103)는 스탠드 베이스(105)에 대해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shaft 103 may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stand base 105.

샤프트(103)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shaft 103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00.

스탠드 베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tand base 105 may serve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10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aft 103 and a stand base 10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의 상부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이 맞닿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rotate around a point where the top of the shaft 103 and the rear of the display 180 come into contact.

도 5a는 디스플레이(18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고, 도 5b는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낼 수 있다.FIG. 5A shows that the display 180 operates in landscape mode with an attitude in which the horizont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and FIG. 5b shows that the display 180 operates in landscape mode with an attitude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It can be expressed.

사용자는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기기와는 달리 이동성이 향상되어 사용자는 배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Users can move around holding a stand-type display device. In other words, unlike fixed devices, stand-type display devices have improved mobility, so users are not restricted by placement location.

다음으로, Li-Fi(Light-Fidelity) 가시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편의상, 이하 'Li-Fi 신호'라 함)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Li-Fi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external apparatus)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Next, a display device 100 that generates a signal containing data for Li-Fi (Light-Fidelit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or conveni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Fi signal'), and the display device 100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apparatus based on a Li-Fi signal are disclosed.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processing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정의되는 신호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rame structure def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 및 광출력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heet and a light output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Li-Fi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드웨어(HW)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드웨어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ardware (HW)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 Li-Fi signal, as will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hardware configuration may be detachable from/attachable to the display device 100.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이하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Li-Fi 신호를 수광 및/또는 발광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한 것으로 가정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and external devic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re assumed to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nd/or emitting Li-Fi signals, even if not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상기 Li-Fi 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은, Li-Fi 가시광 통신 전용 하드웨어일 수도 있고,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신호까지도 수광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하드웨어 구성일 수도 있다. The hardware configuration for receiving the Li-Fi signal may be hardware dedicated to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r it may be a hardware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a module that can also receive signals from other communication protocols (e.g., Wi-Fi). .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수광되는 Li-Fi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추출, 가공 등 처리하는 하드웨어(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and external devices may also include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that process the received Li-Fi signal to extract and process data.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Li-Fi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는, 전술한 Li-Fi 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포함되거나 개별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mponent for processing the Li-Fi signal may be included in the component for receiving the Li-Fi signal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Li-Fi 신호를 수광하고 처리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될 필요는 없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 가능하며, Li-Fi 신호를 수광하고 처리한 후 해당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수신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mponen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Li-Fi signal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built in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receive and process the Li-Fi signal. After that, the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isplay device 100.

도 6 및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Li-Fi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6 and 13, the operation of processing a Li-Fi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백라이트(backlight), 컬러 필터(color filter),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backlight, a color filter, a display panel, and a control module.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Li-Fi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Li-Fi 데이터가 포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Li-Fi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여, 상기 분리 추출된 Li-Fi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Li-Fi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a Li-Fi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generating Li-Fi data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nd generating Li-Fi data containing the Li-Fi data.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Li-Fi data is separately extracted from the received input signal, a Li-Fi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separately extracted Li-Fi data, and the generated Li-Fi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It can be transmitted to more than one external devic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는 LED 광원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backlight includes an LED light source.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의 전체 광원 중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Li-Fi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부 광원이라 함은 백라이트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광원을 나타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generate Li-Fi data using some light sources among all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t this time, the partial light source may refer to a light source disposed in a partial area of the backlight.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생성된 Li-Fi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generate a Li-Fi signal based on the generated Li-Fi data.

상기 제어 모듈은,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Li-Fi 신호는 단순 정보의 전달 또는 제공뿐만 아니라 해당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커맨드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transmit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isplay 180. The Li-Fi signal transmitted in this way may not only convey or provide simple information but also include control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MCU(610), 멀티 드라이버 IC부(620) 및 디스플레이(18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n MCU 610, a multi-driver IC unit 620, and a display 180.

이 때, 상기 멀티-드라이버 IC부(620)는 전술한 제어 모듈에 상응하거나 그에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driver IC unit 620 may correspond to or be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described above.

MCU(610)는 비디오 로컬 디밍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비디오 로컬 디밍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를 Li-Fi 데이터로 명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CU 610 can generate video local dimming data, video data, audio data, etc.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data excluding the video local dimming data may be referred to as Li-Fi dat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Li-Fi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라 백라이트의 전체 광원 중 적어도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데이터(비디오 데이터 포함),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Li-Fi data is data generated using at least some of th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not limited to audio data, image data (including video data), and text data. may also be included.

멀티-드라이버 IC부(620)는 입력 제어부(input controller)(630), 데이터 스플리터부(data splitter)(640), 제1 신호 생성기(signal generator)(650) 및 제2 신호 생성기(6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ulti-driver IC unit 620 includes an input controller 630, a data splitter 640, a first signal generator 650, 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6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생성기는 도 6에서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오디오 전용 신호 생성기, 비디오 전용 신호 생성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ore signal generators may be included than those shown in FIG. 6. For example, an audio-only signal generator, a video-only signal generator, etc.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Li-Fi 신호를 통해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 및 13을 참조하면, 입력 제어부(630)는 MCU(61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01). Referring to FIGS. 6 and 13, the input control unit 630 may receive input data from the MCU 610 (S101).

상기 입력 제어부(63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Li-Fi 데이터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The input control unit 630 can determine whether Li-Fi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input data (S103).

상기 입력 제어부(63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분이라 함은 예컨대, Li-Fi 데이터와 non-Li-Fi 데이터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input control unit 630 can distinguish received input data. Here, the division may mean dividing into Li-Fi data and non-Li-Fi data, for example.

한편, 상기에서, non-Li-Fi라 함은 전술한 비디오 로컬 디밍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non-Li-Fi may refer to the video local dimming data described above.

상기 입력 제어부(630)는, Li-Fi 데이터가 Li-Fi 가시광 통신을 위한 특정 파장 영역대의 광출력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되기에, 상기 MCU(6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Li-Fi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Li-Fi 데이터는 광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별도의 주파수로 제어된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바 예를 들어, 비디오 로컬 디밍 데이터와는 다르게 처리될 필요가 있다. Since Li-Fi data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output light source 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for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input control unit 630 generates Li-Fi data from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MCU 610. Must be able to distinguish. That is, the Li-Fi data is generated by a light source controlled at a separate frequency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and needs to be processed differently from, for example, video local dimming data.

로컬 디밍 LED 제어 데이터는 약 60 내지 120Hz의 주파수대로 제어된 광원에 의해 생성됨에 반해, Li-Fi 데이터는 약 1Mhz의 주파수대로 제어된 광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Local dimming LED control data may b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controlled at a frequency range of approximately 60 to 120 Hz, while Li-Fi data may b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controlled at a frequency range of approximately 1 MHz.

데이터 스플리터부(630)는 상기 입력 제어부(630)의 판단 결과 만약 Li-Fi 데이터가 수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았으면, 로컬 디밍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input control unit 630, Li-Fi data is not included in the received input data, the data splitter unit 630 may determine it to be local dimming data.

데이터 스플리터부(630)는 상기 입력 제어부(630)를 통해 분리된 non-Li-Fi 데이터와 Li-Fi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각 제1 신호 생성기(650)과 제2 신호 생성기(66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plitter unit 630 can separate non-Li-Fi data and Li-Fi data separated through the input control unit 630 and transmit them to the first signal generator 650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660, respectively. there is.

즉, 데이터 스플리터부(630)는 상기 S103 단계 판단 결과 만약 Li-Fi 데이터가 수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신호 생성기(650)로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여, 로컬 디밍 신호가 생성 및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105).That is, if Li-Fi data is not included in the received input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3, the data splitter unit 630 transfers the data to the first signal generator 650 to generate and generate a local dimming signal. It can be transmitted (S105).

그러나 데이터 스플리터부(630)는 상기 S103 단계 판단 결과 만약 Li-Fi 데이터가 수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Li-Fi 데이터를 분리 후에 상기 제2 신호 생성기(660)로 전달하여, Li-Fi 데이터에 기초한 Li-Fi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S107, S109).However, if Li-Fi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input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3, the data splitter unit 630 separates the Li-Fi data and transfers it to the second signal generator 660, A Li-Fi signal based on Fi data can be generated (S107, S109).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Li-Fi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S111).The display device 100 can output the Li-Fi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11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신호 생성기(650)와 제2 신호 생성기(660)에서 각각 생성된 non-Li-Fi 신호와 Li-Fi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처리라 함은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can process non-Li-Fi signals and Li-Fi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ignal generator 650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66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rocess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ignal.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non-Li-Fi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로컬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perform local dimming control of the display panel based on the received non-Li-Fi signal.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i-Fi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상기 Li-Fi 신호 전송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Li-Fi signal, it can broadcast it to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Li-Fi signal transmission method.

본 개시에 따른 Li-Fi 데이터는,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 즉, 에지 영역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Li-Fi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generated using a partial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that is, an LED light source in an edge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백라이트의 에지 영역(910)에는, 특정 가시광 영역의 파장만 통과 가능한 광학 시트가 추가될 수 있다.An optical sheet that allows only wavelengths in a specific visible light region to pass may be added to the edge area 910 of the backlight.

편의상 도 9의 (a)에서는, 백라이트의 4면 에지 영역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장만 통과 가능한 광학 시트가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면의 에지 영역에만 상기 광학 시트가 형성되거나 상기 에지 영역 외에 광학 시트가 형성될 수도 있다. For convenience, in Figure 9 (a), an optical sheet that allows only wavelength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pass is formed in the four edge areas of the backligh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optical sheet may be formed only in the edge area of a specific face, or the optical sheet may be formed outside the edge area.

한편, 상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400Tz 내지 790Tz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specific frequency band may represent, for example, 400Tz to 790Tz, but is not limited thereto.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컬러 필터의 출력광만 필터링하는 제1 필터와, 상기 Li-Fi 데이터를 위한 출력광만 필터링하는 제2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두 출력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터는 더 추가될 수도 있다.In relation to th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filter that filters only the output light of the color filter and a second filter that filters only the output light for the Li-Fi data. This may be to minimize or prevent signal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epending on the two output light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ore filters may be added.

도 9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캐비닛 외곽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Li-Fi 신호의 출력을 위한 광출력 슬릿(sli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출력 슬릿은 전술한 광학 시트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릿 역시 특정 광만 출력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9, the outside of the cabinet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n optical output slit for outputting the Li-Fi signal, for example, disposed on the top of the display panel.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location. For example, the optical output sl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tical sheet described above. Meanwhile, the slit may also be used to allow only specific light to be output.

또한, 도 9의 (a)와 (b)에서는 각각 광학 시트와 광출력 슬릿이 도시되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광학 시트와 광출력 슬릿 모두를 탑재하거나 그 중 어느 하나만 탑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optical sheet and an optical output slit are shown in (a) and (b) of FIGS. 9, respective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both the optical sheet and the optical output slit or only one of them.

Li-Fi 데이터와 non-Li-Fi 데이터를 구분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 내지 속성 정보가 참조될 수 있다.In distinguishing between Li-Fi data and non-Li-Fi data,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fer to the data structure or attribute information shown in FIG. 7.

도 7은,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은 헤더(header), 바디(body or main body) 및 테일러(tailor) 파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ure 7 shows a data frame structure, and this data frame may include a header, a body (body or main body), and a tailor part (not shown).

상기에서 바디 파트는 실제 데이터가 포함되는 부분이고, 헤더 파트는 상기 바디 파트에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참조 정보가 포함되는 부분이고, 테일러 파트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오류 검증 등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르게 구성되거나 정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body part is a part that contains actual data, the header part is a part that contain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data included in the body part, and the tailor part is a part that contains data related to error verification of the data frame. You can.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data frame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or defined differently.

MCU(610)는 예를 들어, 바디 파트에 Li-Fi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그 헤더 파트에 Li-Fi 데이터가 바디 파트에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body part includes Li-Fi data, the MCU 610 may generate a data frame whose header par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Li-Fi data is included in the body part.

도 7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예컨대, Li-Fi 데이터뿐만 아니라 non-Li-Fi 데이터 즉, 로컬 디밍 제어 데이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data frame structure of FIG. 7 can be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o, for example, Li-Fi data as well as non-Li-Fi data, that is, local dimming control data.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파트에는, 바디 파트에 포함되는 실제 데이터의 타입 내지 속성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식별자(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header part of the data frame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type or attribute of the actual data included in the body part, for example, identifier (ID) information.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0x00'이면 로컬 디밍 LED 신호, '0x01'이면 Li-Fi 신호, 그리고 '0x10'과 '0x11'은 추후 사용을 위한 예비 필드 값으로 정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7, '0x00' is a local dimming LED signal, '0x01' is a Li-Fi signal, and '0x10' and '0x11' are defined as preliminary field values for future us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입력 제어부(630)는 데이터(또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데이터의 헤더 파트를 파싱(parsing)하여 헤더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의 Li-Fi 데이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when data (or signal) is received, the input control unit 630 parses the header part of the data, extracts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header, and receives data based on the extracted identifier information. You can identify whether the data is Li-Fi dat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Li-Fi 데이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Processing of Li-Fi data including audi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Li-Fi 데이터는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 구간에서만 생성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for example, Li-Fi data for transmitting audio data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generated only in a section with audio data and not in the remaining sections.

상기 오디오 데이터 휴지기 예컨대, 무음 또는 오디오 출력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다른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가 없는 경우, Li-Fi 데이터 생성을 위한 LED 광원을 오프시키고, 출력이 있으면 그 때 다시 온할 수 있다. 이 것은, 사용자에게 이것이 플리커(flicker)로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구간 즉,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없는 구간에서는 별도 처리를 위한 설계를 할 수 있다.When the audio data is dormant, for example, when there is silence or no audio output signal, other processing may be required. That is, if there is no audio data, the LED light source for Li-Fi data generation can be turned off, and if there is output, it can be turned on again. This may be perceived by the user as a flicker. Therefore, the corresponding section, that is, the section without audio data, can be designed for separate processing.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데이터 인에이블 커멘드(data enable commend)(LED blinking)에 해당하는 제1 지점(710)에서부터 데이터 디세이블 커멘드(data disable commend)(LED blinking)에 해당하는 제2 지점(720)까지 Li-Fi 데이터(LED blinking)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구간 즉, 오디오 데이터가 없는 구간(730)에서는 전술한 플리커 방지를 위해 FF 데이터를 출력(LED non-blinking)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display device 100 issues a data disable command from the first point 710 corresponding to the data enable command (LED blinking) at which audio data is output. Li-Fi data (LED blinking) can be generated and output up to the second point 720 corresponding to (data disable command) (LED blinking). And in the subsequent section, that is, the section 730 in which there is no audio data, FF data can be output (LED non-blinking)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flicker.

도 10 내지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0 to 12 are diagrams to expla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 내지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통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s 14 and 1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Fi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또는 제어 모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off) 상태라고 하더라도(S201),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03).Referring to FIG. 14, the display device 100 (or control module) can receive an input signal (S203) even if the display panel is in an off state (S20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수신 입력이 Li-Fi LED 통신 요청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S205).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input is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S20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S205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수신 입력 신호가 Li-Fi LED 통신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파워-온 신호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파워-온 신호도 아니면 무시(ignore)할 수 있다(S2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5, if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not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erform a power-o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f it is a power-on signal, and the power -If the signal is not on, it can be ignored (S207).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S205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수신 입력 신호가 Li-Fi LED 통신 요청인 경우에는, Li-Fi LED 통신을 위한 Li-Fi 데이터 포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09).If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5, the display device 100 may generate a signal including Li-Fi data for Li-Fi LED communication (S209).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Li-Fi LED 통신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S211).The display device 100 can output the generated Li-Fi LED communication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211).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Li-Fi 데이터를 생성하는바, 통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중 또는 전원 온 상태이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 또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또는 AOD(Always on Display)) 상태라고 하더라도, 본 개시에 따라 Li-Fi 신호 기반의 통신 지원,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라고 함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오프되어 블랙 화면이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최소 구동 전력은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tes Li-Fi data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Usually,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operation or in a power-on state, but the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n. Even in this off or stand-by state (or Always on Display (AOD)), processing for Li-Fi signal-based communication support, operation control, etc.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above, the power-off of the display device 100 refers to a state in which at least the minimum driving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0 even though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ff and a black screen appears.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서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하되, 상기 오디오는 Li-Fi 신호를 통해 외부 장치(Li-Fi 스피커)(1010,1015)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0,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video and audio through the display 180, and the audio is transmitted to external devices (Li-Fi speakers) 1010 and 1015 through Li-Fi signals. ) can be transmitted.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서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하되, 상기 오디오를 Li-Fi 신호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들(1030 내지 1050)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video and audio through the display 180,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audio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30 to 1050 through a Li-Fi signal. Can be transmitted.

실시예에 따라서, 도 10의 (b)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스피커(1040)는 Li-Fi 가시광통신에 기초하여 Li-Fi 데이터 요청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기능하고, 나머지 외부 장치(1030, 10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가 포함된 Li-Fi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Figure 10(b), one external device (e.g., smart speaker 1040) functions as an input means for requesting Li-Fi data based on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the remaining external device functions as an input means for requesting Li-Fi data.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s 1030 and 1050 may receive a Li-Fi signal containing audio and function as an output mean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서 멀티-뷰 모드(multi-view mode)가 시행 중인 경우에는, 도 10의 (b)에서 각 외부 장치로 서로 다른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Li-Fi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장치(10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제1 비디오에 대한 제1 오디오가 포함된 제1 Li-Fi 신호가 전송되고, 제2 외부 장치(1040)에는 제2 비디오에 대한 제2 오디오가 포함된 제2 Li-Fi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3 외부 장치(105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제3 Li-Fi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multi-view mode is being implemented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different audio data is included in each external device in (b) of FIG. 10. Li-Fi signals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a first Li-Fi signal containing the first audio for the first video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1030, and the first Li-Fi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1040. A second Li-Fi signal including second audio for the second video may be transmitted. Meanwhile, a third Li-Fi signal containing audio data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external device 1050.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1).Referring to FIG. 15,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 input signal (S30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 입력 신호가 Li-Fi LED 통신 요청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S303).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S30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수신 입력 신호가 Li-Fi LED 통신 요청이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Li-Fi LED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S305), 외부 장치로 생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the display device 100 may generate a Li-Fi LE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305) and output the generated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307).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수신 입력 신호가 Li-Fi LED 통신 요청으로 판단되면, 다시 미러링 서비스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다(S309).Meanwhile, if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Li-Fi LED communication request as a result of the above determina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again determine whether it is a mirroring service request (S309).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수신 입력 신호가 미러링 서비스 요청으로 판단되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Li-Fi LED 미러링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여(S311), 상기 미러링 서비스 요청한 외부 장치로 상기 생성된 Li-Fi LED 미러링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한 Li-F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eived input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mirroring service request,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Li-Fi LED mirroring service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S311) and sends it to the external device that requested the mirroring service. A Li-Fi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Li-Fi LED mirroring service data can be output (S313).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해 도 11과 같이, 미러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provide a mirroring screen for the content being output on th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1.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컨텐츠(1110)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content 1110 through the display 180 .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Li-Fi 신호를 주변 외부 장치(1120 내지 1140)로 전송하여, 각 외부 장치의 화면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 Li-Fi signal for a mirroring service to surrounding external devices 1120 to 1140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displays the display on the screen of each external devic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ame content as the device 100 can be enjoyed.

이 때, 상기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이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자의 입력, 또는 해당 각 주변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provided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the setting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input of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00, or each surrounding external device. Mirroring service can be performed upon request.

비록 도 11에서는, 미러링 서비스가 각 주변 외부 장치의 전체 화면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링 서비스는 해당 각 주변 외부 장치의 속성, 타입 내지 특성에 따라 분할된 화면, 팝-업 형태, 오디오 또는 비디오만 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in Figure 11, the mirroring service is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of each nearby external devic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mirroring service may be configured to output only split screens, pop-ups, audio, or video depending on the properties, types, or characteristics of each surrounding external device.

도 11에서, 각 주변 외부 장치(1120 내지 1140)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 화면이 출력되기 전에 미리,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어 미러링 서비스 화면 출력에 대한 허락 내지 동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각 주변 외부 장치(1120 내지 1140)에서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의 수락/거부의 의사 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피드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참고 인공지능 학습하여, 전술한 경우에 해당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해서는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를 제한할 수도 있다. 다만, 해당 주변 외부 장치가 미러링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는 제외될 수 있다.In FIG. 11, in each peripheral external device (1120 to 1140), guide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vance before the mirroring service screen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output to perform a permission or consent procedure for displaying the mirroring service screen. It can be done. At this time, if each peripheral external device (1120 to 1140) expresses its intention to accept/reject the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t is fed back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printed.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learn artificial intelligence by referring to the feedback data, and in the above-described case, may limit the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the surrounding external device. However, cases where the surrounding external device requests mirroring service may be excluded.

실시예에 따라, 비록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데이터 및 신호를 각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해서 개별 생성하여 개별 동작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even if a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requested, the display device 100 individually generates mirroring data and signals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or each surrounding external device to control individual operations. You can do it as well.

이 때, 만약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개별 생성함에 있어서, 리소스(resource)가 충분하지 않는 등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해 우선순위나 가중치를 부여 판단 후, 우선순위나 가중치가 높은 일부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해서만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동작 제어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problem such as insufficient resources in the individual creation in the display device 100, after determining the priority or weight for the surrounding external device, the priority or weight is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only some nearby external devices with high weight by providing a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각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해서 개별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신호를 전송하여 그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외부 장치에서 에러(error)가 발생하거나 다른 입력이 들어오면, 해당 주변 외부 장치 또는 미러링 서비스 중인 전체 주변 외부 장치에 대한 Li-Fi 가시광 통신을 통한 미러링 서비스의 제공을 일시 중지하고, 해당 이슈의 처리 후에 서비스를 재개(resume)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by transmitting a mirroring signal through individual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each surrounding external device, an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surrounding external device. If this occurs or another input occurs, the provision of mirroring service through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or the relevant nearby external device or all surrounding external devices in mirroring service will be temporarily suspended, and the service will be resumed after processing the issue. It may be possible.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메뉴 바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상에서만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의 화면(1120 내지 1140)상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 등에 따라, Li-Fi 신호를 통해 메뉴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he home menu bar may be provided only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not be provided on the screens 1120 to 1140 of the external devic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enus, etc. may be provided through Li-Fi signals according to requests, etc.

도 12에서는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Li-Fi 신호를 수광 및 발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IoT 기기나 센서를 포함한 다른 주변 외부 장치를 위한 AP(Access Point)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12,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receiving and emitting Li-Fi signals is connected to other surrounding external devices including IoT devices or sensors. It can also perform the AP (Access Point) function.

도 12의 (a)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스피커(1210)를 통해 세탁기(1220)를 제어하기 위한 Li-Fi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네트워크가 다르거나 다이렉트(direct)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상기 Li-Fi 신호를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록 화면(180)이 오프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상기 스마트 스피커(1210)의 Li-Fi 신호를 수광하고, 해당 Li-Fi 신호를 네트워크상에 AP와 같이 브로드캐스트(또는 유니캐스트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 In (a) of FIG. 12,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transmit a Li-Fi signal to control the washing machine 1220 through the smart speaker 1210, the network is different or direct communication is not smooth. Otherwise, when the Li-Fi signal is transmitted,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Li-Fi signal from the smart speaker 1210 even if the screen 180 is turned off, and the corresponding Li-Fi signal is transmitted. The signal can be broadcast (or unicast method is also possible) like an AP on the network.

이 때, 상기 스마트 스피커(1210)는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상기와 같은 AP 기능 수행을 요청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스피커(1210)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Li-Fi 신호가 수광되면 AP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후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이 패널이 오프인 경우에만 그렇게 자동 AP 기능 수행을 하고, 패널이 온 상태에서는 전자와 같이 스마트 스피커(121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AP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mart speaker 1210 may first request the display device 100 to perform the AP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quest the Li-Fi signal even without a request from the smart speaker 1210. When light is received, the AP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the latter cas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the automatic AP function only when the panel is off, and when the panel is o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smart speaker 1210 as in the former. The AP function may be performed only in certain cases.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스피커(1210)로부터 Li-Fi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처리 없이 단순 AP 기능 수행에만 포커싱할 수도 있으나, 수신 Li-Fi 신호를 파싱하여 타겟(예를 들어, 세탁기(1220))을 식별한 후에, 식별된 타겟에 대한 Li-Fi 신호를 재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a Li-Fi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speaker 1210, the display device 100 may focus only on performing a simple AP function without processing it, but may parse the received Li-Fi signal to target (e.g., After identifying the washing machine 1220, the Li-Fi signal for the identified target may be regenerated and output.

전술한 도 12의 (a)에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 스마트 스피커(1210) 및 세탁기(1220)가 모두 동일 네트워크에 속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 of FIG. 12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the smart speaker 1210, and the washing machine 1220 may all belong to the same networ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12의 (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 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스피커(1210)와 세탁기(1220) 사이에는 전술한 도 12의 (a)와 같이 AP 기능으로 동작하면서, 디스플레이(180)에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를 노트북(1230)에 미러링 서비스를 Li-Fi 가시광 통신을 위한 Li-Fi 신호로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ure 12 (b),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turned on, the display device 100 operates the AP function between the smart speaker 1210 and the washing machine 1220 as shown in Figure 12 (a). While operating,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provided to the laptop 1230 as a mirroring service using a Li-Fi signal for Li-F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4면 에지에서 각 면 에지를 각각 다른 장치에 할당하여, 할당된 해당 다른 장치에 관한 Li-Fi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의 (b)에서 4면 중 제1 면의 에지가 스마트 스피커(1210)를 위해 할당되어 맵핑되고, 제2 면의 에지가 세탁기(1220)를 위해 할당되어 맵핑되고, 제3 면의 에지가 노트북(1230)을 위해 할당되어 맵핑되어, 해당 에지의 광원을 이용하여 Li-Fi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머지 한 면의 에지는 예를 들어, 범용적으로 또는 특수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특수 목적이라 함은, 위급 또는 긴급용이나, 특정 사용자, 특정 이벤트, IoT 기기 제어를 위한 AP 모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assign each edge of the four edges to a different device, thereby generating Li-Fi data related to the other assigned device. For example, in (b) of FIG. 12, the edge of the first side of the four sides is allocated and mapped for the smart speaker 1210, the edge of the second side is allocated and mapped for the washing machine 1220, and the edge of the third side is mapped. The edge of is allocated and mapped for the laptop 1230, and Li-Fi data can be generated and used using the light source of the edge. In the above, the edge of the remaining side may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or special purposes. The special purpose may be one of emergency or emergency use, a specific user, a specific event, or AP mode for controlling IoT devices.

도 13 내지 15에서 개시하는 순서도에 포함된 순서는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본 개시는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순서도 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들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도시된 바와 다른 순서도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 내지 15에서 비록 한 단계로 도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시 예에 따라 해당 단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도 있고, 반대도 가능하다. The sequence included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S. 13 to 15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may be operated in a different order than shown. 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as one step in FIGS. 13 to 15,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tep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operated, and vice versa.

그 밖에,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본 개시와 관련된 동작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e or more ope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urther performed.

이상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미러링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씸리스(seamless)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청에 의해 비록 패널이 오프 등이 되더라도 Li-Fi 신호를 수광 및 발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IoT 기기나 해당 센서를 포함한 다른 주변 외부 장치를 위한 AP(Access Point)로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a Li-Fi signal, 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ing the Li-Fi signal. A display device that not only can seamlessly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mirroring services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but can also receive and emit Li-Fi signals upon request even if the panel is turned off. It can also function as an AP (Access Point) for other nearby external devices, including IoT devices and corresponding sensors.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disclosure.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disclosure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disclosure.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방송 수신부
135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140 : 메모리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 170 : 컨트롤러
173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80 : 디스플레이
185 : 스피커 190 : 전원 공급 회로
200 : 원격제어장치 270 : DB
280 : 컨트롤러
610 : MCU 620 : 멀티-드라이버 IC부
630 : 입력 제어부 640 : 데이터 스플리터부
650, 660 : 신호 발생기
100: display device 130: broadcast receiver
135: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Memory
150: User input interface 170: Controller
173: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80: display
185: Speaker 190: Power supply circuit
200: remote control device 270: DB
280: Controller
610: MCU 620: Multi-driver IC unit
630: input control unit 640: data splitter unit
650, 660: signal generator

Claims (1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광원이 포함된 백라이트(backlight);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및
상기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Li-Fi(Light-Fidelity)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backlight containing a light source;
display panel; and
and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Li-Fi signal based on Li-Fi (Light-Fidelity) data generated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입력 신호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로컬 디밍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상기 Li-Fi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스플리터(data splitter)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module is,
Comprising a data splitter that separates the local dimming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Li-Fi data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from the input signal,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의 출력광을 필터링하는 제1 필터와, 상기 Li-Fi 데이터를 위한 출력광을 필터링하는 제2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Contains more color filt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light of the color filter and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light for the Li-Fi data,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i-Fi 데이터는,
상기 백라이트의 에지 영역의 광원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Li-Fi data is,
Generated using a light source in the edge area of the backlight,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i-Fi 데이터는,
헤더와 바디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 파트에는 해당 데이터가 Li-Fi 데이터임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Li-Fi data is,
Contains header and body parts,
The header part includes an identifier that identifies the data as Li-Fi data,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의 에지 영역에는,
특정 가시광영역의 파장만 통과 가능한 광학 시트가 추가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In the edge area of the backlight,
An optical sheet that allows only wavelengths in a specific visible light range to pass has been added.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Li-Fi 신호의 출력을 위한 광출력 슬릿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output slit for outputting the Li-Fi signal,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Fi 데이터는,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Fi data is,
Containing at least one of audio, video and text data,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드라이버 IC인,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module is,
Driver IC,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i-Fi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백라이트의 일부 광원을 이용하여 Li-Fi(Light-Fidelity)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생성된 Li-Fi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분리 추출된 Li-Fi 데이터에 기초하여 Li-F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Li-Fi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장치 동작 제어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n a display device using a Li-Fi signal,
Generating Li-Fi (Light-Fidelity) data using som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receiving an input signal;
Separating and extracting the generated Li-Fi data from the received input signal;
Generating a Li-Fi signal based on the separately extracted Li-Fi data; an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i signal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devic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KR1020220095254A 2022-08-01 2022-08-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KR202400174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54A KR20240017471A (en) 2022-08-01 2022-08-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54A KR20240017471A (en) 2022-08-01 2022-08-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471A true KR20240017471A (en) 2024-02-08

Family

ID=8990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254A KR20240017471A (en) 2022-08-01 2022-08-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47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654B2 (en) Display device
EP329727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12073865A (en) Bluetooth headset volume set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364317B1 (en) Display device
KR102479487B1 (en) display device
KR102632039B1 (en) Display device
KR20240017471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CN112073768A (en)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230147641A (en)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Bluetooth for the same
KR102646958B1 (en) display device
US11996022B2 (en) Providing contents o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KR20220099791A (en)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system
US20230026197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0032A (en)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581857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21631A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102582508B1 (en) Display device
KR20200127415A (en) Display device
JP7356548B2 (en) display device
US2024006164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6491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21602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93070B1 (en) A display device
KR20240027003A (en) Wireless display devices, wireless set-top boxes and wireless display systems
US1119547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