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308A - 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308A
KR20240017308A KR1020230031635A KR20230031635A KR20240017308A KR 20240017308 A KR20240017308 A KR 20240017308A KR 1020230031635 A KR1020230031635 A KR 1020230031635A KR 20230031635 A KR20230031635 A KR 20230031635A KR 20240017308 A KR20240017308 A KR 2024001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elastic force
flows
elastic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시안
Original Assignee
유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시안 filed Critical 유시안
Priority to PCT/KR2023/0061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25096A1/en
Publication of KR2024001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30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63B21/025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운동기구는, 제1베이스판을 포함하는 제1몸체, 제2베이스판을 포함하며 제1몸체와 이격된 제2몸체, 및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하중의 분포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되는 운동력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에 따라 개별 신축되며 탄성력으로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를 포함하되, 제1베이스판과 제2베이스판이 제1몸체의 외측 및 제2몸체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하중이 제1베이스판 또는 제2베이스판을 통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is provided. The exercise device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base plate, a second body including a second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and a first body or a second bod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2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that individually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includes the kinetic force generated by the user's movement) and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 elastic force. Includ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Description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하중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되는 운동력과, 탄성력의 균형으로 다양한 운동자세를 연출할 수 있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ercise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exercise equipment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nd can produce various exercise postures by balancing the elastic force and the exercise force generated by a person's load and the user's movement.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은 시간에 쫓기고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실외 운동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홈 트레이닝은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체육관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법으로도 각광받고 있다.Home training is an alternative to outdoor exercise for people who are pressed for time and have little time to spare. Home training is gaining attention as a method of exercise that can be done at home without going to the gym in the era of the coronavirus pandemic.

그러나 홈 트레이닝을 시행하는 경우 공간이 한정되므로 운동량은 감소하거나 부족해지기 쉽다. 따라서 운동효과를 높이거나 맨손으로 하기 어려운 동작 등을 위해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However, when performing home training, space is limited, so the amount of exercise is likely to decrease or become insufficient. Therefore, various exercise equipment are used to increase exercise effectiveness or to perform movements that are difficult to perform with bare hands.

집(또는 사무실 등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대부분은 통상의 근력 운동용 기구(덤벨 등)나, 외부환경을 재현한 것(러닝 머신 등)이며 그 외 유연성 강화운동(예, 대한민국 특허10-2363300등)을 위한 기구 등도 알려져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used at home (or in a limited space such as an office), but most of them are ordinary strength exercise equipment (dumbbells, etc.), those that reproduce the external environment (treadmills, etc.), and other flexibility strengthening exercises. (e.g., Republic of Korea Patent 10-2363300, etc.) are also known.

이러한 종래의 기구는 신체 균형감각을 키우거나 훈련시키는 데는 적합하지 않거나 효과가 적으므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재택근무 증가로 집에 있더라도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사무실에 출근한 사람들도 대부분 장시간 앉아 있어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앉아서 또는 업무시간 중이라도 수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These conventional devices are not suitable for developing or training body balance or are less effective, so improvement is needed. In addition, with the increase in working from home, the time available to exercise even at home is decreasing, and most people who work at the office sit for long periods of tim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time to exercise, so it is important to exercise regularly even while sitting or during work hours.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is being request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3300호, (2022. 02. 1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63300, (2022. 02. 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의 하중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되는 운동력과, 탄성력의 균형으로 다양한 운동자세를 연출할 수 있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운동자세로 신체 균형감각을 증진시키고,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취하는 자세인, 앉은 상태 등으로도 수시로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that can produce various exercise postures by balancing the elastic force and the kinetic force generated by the human load and the user's movement. , Through this, we provide exercise equipment that improves the sense of body balance through various exercise postures and allows exercise at any time while sitting, which is the most common posture when doing office work or studying.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는, 제1베이스판을 포함하는 제1몸체; 제2베이스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이격된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개별 신축되며 탄성력으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2베이스판이 상기 제1몸체의 외측 및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하중이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을 통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base plate; a second body including a second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An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individu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 elastic for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It is formed to be applied through the base plate.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1베이스판의 중앙에서 상기 제2베이스판을 향해 상기 제1베이스판과 수직하게 돌출된 중앙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둘레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중앙돌출부 외측에 배치되는 고리형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인장탄성체는, 상기 중앙돌출부의 말단과 상기 고리형돌출부의 말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중앙돌출부와 상기 고리형돌출부 사이의 거리를 개별 조정할 수 있다.The first body further includes a central protrusion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late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It further includes an annular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first base plate from the periphery and is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are connected at both ends to an end of the central protrusion and an end of the annular protrus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annular protrusion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at different positions.

복수 개의 상기 인장탄성체는, 각각 둘 이상의 상기 인장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출부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제1그룹탄성체, 제2그룹탄성체, 및 제3그룹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may include a first group elastic body, a second group elastic body, and a third group elastic body, each formed of two or more tensile elastic bodies and distributed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상기 중앙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판과 수직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끝에서 상기 고리형돌출부를 향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그룹탄성체, 상기 제2그룹탄성체, 상기 제3그룹탄성체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말단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protrusion includes a connecting rod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and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toward the ring-shaped protrusion, and has ends of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d connecting bars respectively connected to.

상기 말단연결바는 상기 연결봉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져 있을 수 있다.The end connecting bars may b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connecting rod.

상기 고리형돌출부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테두리에 수직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바 및 복수의 상기 연결바 말단을 연결하여 고리형상으로 상기 중앙돌출부 외측을 둘러싸는 연결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탄성체, 상기 제2그룹탄성체, 및 상기 제3그룹탄성체가 각각 상기 말단연결바와 상기 연결고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annular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a connection r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in a ring shape by connecting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and the first group. The elastic body,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nd connecting bar and the connecting r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간 간격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인장탄성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유동성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luidity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selectively limit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상기 유동성조절부는, 상기 중앙돌출부의 중심에 상기 제2베이스판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중앙돌출부의 일 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걸림돌기를 밀어 상기 고정봉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바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봉이 상기 제2베이스판을 가압하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상호고정되는 제1유동성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ity control unit includes a fixing ro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to enable sliding movement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and a hing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to form a hinge. It includes a movable bar that rotates around an axis and pushes the locking protrusion to slide the fixing rod, and when the fixing rod presses the second base plate by rotation of the movable bar,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teract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 first fluidity control unit that is fixed.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중앙돌출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장공과, 상기 가동바에 상기 제1장공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The stopping protrusion may penetrate both a first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and a second long hole formed in the movable ba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long hole.

상기 가동바는, 상기 고정봉과 상기 제2베이스판이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에 걸려 상기 가동바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가동바가 상기 잠금후크의 잠금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게 상기 힌지축을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장공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vable bar includes a locking hook that is caught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rod and the second base plate come into contact to prevent rotation of the movable bar, and the hinge axis is such that the movable bar locks the movable bar. It may be coupled to a flow hole that movably accommodates the hinge axis so that it can move in parallel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hook or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유동성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각각에 힌지로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한 공기압실린더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아암, 및 복수 개의 상기 아암과 연결되어 상기 아암 각각의 공기입출을 동시에 차단시켜 상기 아암을 고정하는 흡배기조절모듈이 포함된 제2유동성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ity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rms made of flexible pneumatic cylinders with both ends hinged to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rms to simultaneously block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from each of the arms. It may include a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including an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that fixes the arm.

상기 흡배기조절모듈은, 일 측에 상기 아암의 공기입출구와 연결된 고정식유로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고정식유로와 분리된 흡배기구가 형성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뀌며 상기 고정식유로와 상기 흡배기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변동식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회전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includes a fixed block in which a fixed flow path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rm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intake and exhaust mechanism separate from the fixed flow pat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and rotates, and is rotated by rotation. It may include a rotating block formed inside a variable flow path that changes position and selectively communicates between the fixed flow path and the intake/exhaust device.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가해진 하중 및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운동력에 따라 바뀌는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배열상태를 측정하고,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송출하는 자세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is dispos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nd changes depending on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kinetic force generated by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ttitude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arrangement state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measurement signal.

상기 자세측정모듈은,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외측에 분산배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센서,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설치된 관성측정장치, 및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설치된 마커와 상기 마커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의 배치변화를 이미지로 감지하는 이미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distribu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to detect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install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 marker install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rker to detect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the marker as an imag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상기 자세측정모듈은, 상기 측정신호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운동기구가 상기 하중 및 운동력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is connected to enable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device that contains a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asurement signal, so that the exercise equipment operates the app by changing the load and exercise force. It can be.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고정된 스마트폰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martphone holder fixed to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에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배열상태를 감지가능한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이 생성한 감지신호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하중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앱의 조작은, 스마트폰 상에서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앱을 스마트폰의 화면으로 보거나 외부의 모니터로 미러링시켜 보면서 앱이나 게임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equipment mounts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on the smartphone holder, and detects a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phone. I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app by changing the load by connecting it to a computer device that has a built-i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it and enabling data communication via wired or wireless means. (Manipulation of such apps may include running an app or game while viewing the app running on the smartphone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or mirroring it on an external monitor.)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외측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등받이가 형성된 좌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at with a backrest on which a person can sit may be further included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외측에, 신축이 가능한 지지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xpandable support leg may be further included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의 일 측에,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에 앉은 사람의 발을 받치는 발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portion that supports the feet of a person sitting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상기 제1베이스판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의 외측에, 확장발판 및 상기 확장발판에서 연장되어 사람이 상기 확장발판을 디디고 선채로 쥘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step and an auxiliary handle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step so that a person can step on the extension step and hold it while standing.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중앙돌출부와 상기 제2베이스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중앙돌출부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각각 연결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가능한 관절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의 가동범위 내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중간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device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both ends is made of a movable joint, the joint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connection bar that limit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in the range of motion.

상기 관절은 연결부에 구면베어링이 적용된 볼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may include a ball joint with a spherical bearing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중간연결바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연결바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중간연결바의 수축 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on bar is formed to be expan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mpression spring that is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ar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ar is contracted.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중앙돌출부와 상기 제2베이스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중앙돌출부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 각각 지지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odule that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has both ends suppor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is at least partially compressed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can do.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중앙돌출부와 상기 제2베이스판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mpression spring,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respectively.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중앙돌출부와 상기 제2베이스판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성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성형물은 스펀지, 우레탄폼, 고무튜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odule includes an elastic molding inser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elastic molding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sponge, urethane foam, and rubber tube.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탄성성형물과 중앙돌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성형물을 상기 제2베이스판에 밀착시키는, 받침이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med with a base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molding and the central protrusion to bring the elastic mold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late.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중앙돌출부에서 인출되고, 말단이 상기 제2베이스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한 상기 제2몸체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착탈식 고정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fixing rod that is pulled out from the central protrusion and has an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to prevent movement of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상기 착탈식 고정봉은, 상기 중앙돌출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유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유동홈의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이스판은 상기 착탈식 고정봉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fixing rod is slidably inserted into a flow groove extending inward of the central protrusion and includes a handle that protrudes outward through a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groove, and the second base plate is It may include a fixing socket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detachable fixing rod is inserted.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중앙돌출부의 일 측에 상기 중앙돌출부가 상기 제1베이스판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on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that changes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protrusion and the first base plate.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중앙돌출부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지향방향을 바꾸는 축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n axis joint that changes the orientat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central protrusion about an axis.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축관절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관절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와, 상기 제1베이스판에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치에 치합되어 상기 축관절을 고정하는 래칫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xial joint and ar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axial joint, and are disposed on the first base plate and have ends engaged with the teeth to fix the axial joint. It may further include a ratchet module.

상기 래칫모듈은, 탄성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회전식레버와, 상기 회전식레버의 일 측에서 상기 치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치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tchet module may include a rotary lever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and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teeth from one side of the rotary leve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by elasticity.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자세(선 자세 또는 앉은 자세 등)로 유지하거나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함으로써 신체 균형감각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자세 유지에 필요한 근육들을 강화시켜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로도 여러 형태로 자세를 바꾸거나 유지하면서 운동이 가능하므로, 장시간 앉아있어야 하는 사람이나(신체활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사람 등), 장시간 앉은 자세로 업무를 보는 일반인들도 운동시간을 늘리고 일상생활 중에 신체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앱 등과 연동시켜 사용도 가능하므로 게임 등을 활용하여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수시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e of body balance can be developed by maintaining various postures (such as standing or sitting posture) or performing actions to change posture. At the same time, you can strengthen the muscles necessary to maintain posture and create an overall balanced bod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xercise while sitting or changing posture in various forms, people who have to sit for long periods of time (people with abnormal physical activity, etc.) or the general public who work in a sitting position for long periods of time can also increase their exercise time. You can strengthen your body during your daily lif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n app installed on a computer or smartphone, etc., so games, etc. can be used to stimulate interest in exercise and encourage exercise at any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운동기구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운동기구의 제1유동성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운동기구의 유동성조절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운동기구의 흡배기조절모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운동기구의 유동성조절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운동기구의 변형례의 작동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운동기구의 변형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운동기구의 중간연결바의 작동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중간연결바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6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운동기구의 중간연결바의 다른 배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도 31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운동기구의 탄성모듈의 다른 배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5는 도 31의 운동기구의 탄성모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운동기구의 각도조절부의 가동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2는 도 40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exercise machine of Figure 1.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exercise machine of Figure 1.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1.
Figures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1.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uidity control unit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9.
Figure 11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fluidity control operation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9.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2.
Figure 14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fluidity control operation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2.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 15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Figure 17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 18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Figure 20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0.
Figure 22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state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4 being used.
Figure 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26.
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Figure 27.
Figure 29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6.
Figure 30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nother arrangement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26.
Figure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2 and 33 are operational diagrams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31.
Figure 34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nother arrangement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1.
Figure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1.
Figure 36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5.
Figure 37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5.
Figure 38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3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9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8.
Figure 40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ngle adjustment part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40.
Figure 42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4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 한정될 필요 없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시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provided. It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운동기구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하중의 분포변화는 사용자가 가하는 운동력(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근육을 사용하여 몸의 자세를 바꾸거나, 몸의 균형을 변화시키거나, 한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등의 외력)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로 그에 대해 언급하지 않더라도, 하중 또는 하중의 분포변화 또는 그에 의한 운동기구의 동작 등에 대한 설명은 운동력에 의한 것으로도 동등하게 이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load or load distribution change applied to the exercise equipment refers to the exercise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user intentionally uses muscles to change the body posture, change the balance of the body, or apply pressure to one side, etc.) includes those caused by external forces). Therefore, even if not mentioned separately, the explanation of the load or change in distribution of the load or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thereby can be equally understood as being based on the exercise force.

이하, 도 1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2. 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4 is a This is a top view of the exercise equipment in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1)(이하, 운동기구)는 의자처럼 앉거나 발을 디디고 설 수 있는 두 개의 몸체[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두 몸체의 양 면을 모두 활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참조).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exercise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bodies (the first body 100 and the first body 100) that can sit or stand like a chair. Second body 200]. The user can exercise in various postures by utilizing both sides of the body (see Figures 6 to 8).

두 몸체는 서로의 간격을 조정하는 복수의 인장탄성체(300)로 연결된다. 인장탄성체(300)는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운동력)을 탄성체의 인장응력(외력에 대해 탄성체 내부에서 생기는 반력으로서의 응력을 말함)으로 해소하도록 형성된다. 두 몸체는 하중에 의한 상호간의 배치변화 또는 간격변화가 인장탄성체의 길이방향으로 나타나도록 구조화된다.The two bodies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that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m.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formed to relieve the load (or kinetic force) applied to the body with the tensile stress of the elastic body (refers to stress as a reaction force generated inside the elastic body against external force). The two bodies are structured so that changes in arrangement or spacing between them due to load occu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nsile elastic body.

즉 본 발명은 제1몸체(100) 중앙의 중앙돌출부(120)와 제2몸체(200) 둘레의 고리형돌출부(220)가 서로를 향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인장탄성체(300)들이 연결되어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외측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두 몸체 사이의 간격변화는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의 사이에서 나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이에 연결된 인장탄성체(300)들은 하중의 방향과 독립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며 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rotrusion 120 at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around the second body 200 protrude toward each other, and a tensile elastic body is formed between them. Even if the 300s are connected and a load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the gap between the two bodies changes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It can be. Accordingly, the tensile elastic bodies 300 connected therebetween can expa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direction of the load and generate restoring force.

이로 인해, 인장탄성체(300)의 전단방향(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변형이 최소화되며 스프링의 복원력은 선형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움직임을 보다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으므로 정교한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감 또한 고도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hear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formation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minimized,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can be linearly adjusted. Therefore, since the movement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e user's feeling of use can also be enhanced through precise movements.

이러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운동기구(1)는, 제1베이스판(110)을 포함하는 제1몸체(100), 제2베이스판(210)을 포함하며 제1몸체(100)와 이격된 제2몸체(200), 및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개별 신축되며 탄성력으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를 포함하되, 제1베이스판(110)과 제2베이스판(210)이 제1몸체(100)의 외측 및 제2몸체(20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하중이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을 통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The exercise equip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exercise device 1 includes a first body 100 including a first base plate 110, a second body 200 including a second base plate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100, An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is individu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nd the first body 100 is held by elastic for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that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located on the outer and second sides of the first body 100. Each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is formed so that a load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몸체(100)는, 제1베이스판(110)의 중앙에서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하게 돌출된 중앙돌출부(120)를 더 포함하고, 제2몸체(200)는,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서 제1베이스판(110)을 향해 돌출되어 중앙돌출부(120) 외측에 배치되는 고리형돌출부(220)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중앙돌출부(120)의 말단과 고리형돌출부(220)의 말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 사이의 거리를 개별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100 has a central protrusion ( It further includes 120, and the second body 200 has an annular protrusion 220 that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toward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 and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ends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to form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at different positions. 22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또한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각각 둘 이상의 상기 인장탄성체로 형성되어 중앙돌출부(120)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제1그룹탄성체(도 4의 310참조), 제2그룹탄성체(도 4의 320참조), 및 제3그룹탄성체(도 4의 33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each formed of two or more tensile elastic bodies and are distributed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A first group elastic body (see 310 in FIG. 4) and a second group elastic body (see FIG. 4 (see 320), and a third group elastic body (see 330 of FIG. 4).

또한 중앙돌출부(120)는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한 연결봉(121)과, 연결봉(121) 끝에서 고리형돌출부(220)를 향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및 상기 제3그룹탄성체(330)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말단연결바(도 4의 122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trusion 120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and the connecting rod 121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110 toward the annular protruding portion 220, and the ends are formed by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d connecting bars (see 122 in FIG. 4) respectively connected to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모두 외측에 베이스판이 형성되어 있다. 제1몸체(100)는 제1베이스판(110)에 기초한 구조이며, 제2몸체(200)는 제2베이스판(210)에 기초한 구조이다.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은 사용자가 체중을 실어 하중을 가하는 부분이며 사용자가 앉거나 설 수 있는 부분이다.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은 모두 평판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both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have base plates formed on the outside. The first body 100 has a structure bas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ody 200 has a structure bas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parts where a user applies a load by putting his or her body weight and are parts where the user can sit or stand. Both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formed as flat structures.

즉, 제1몸체(100)는 제1베이스판(110)을 포함하고, 제2몸체(200)는 제2베이스판(21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 중 어느 하나가 위를 향하도록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 중 어느 한쪽이 상방에 위치하면 다른 한쪽은 바닥에 지지된다. That is, the first body 100 includes a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ody 200 includes a second base plate 210. 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upside down so that either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is facing upward, so either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facing upward. When positione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the floor.

즉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은 각각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외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되어 있다. 각 베이스판의 평판 구조는 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도 유리하다.That is,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respectively, so that their outer surfaces face opposite directions. The flat structure of each base plate is also advantageous in stably supporting the floor.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은 모두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평판의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may both be formed as a disk, but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plate may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as needed.

제1몸체(100)는 제1베이스판(110)과, 제1베이스판(110)의 중앙에서 돌출된 중앙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중앙돌출부(120)는 전체적으로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하게 돌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돌출부(120)는 제1베이스판(110)의 중앙에서 제2베이스판(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00 includes a first base plate 110 and a central protrusion 120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late 110. The central protrusion 120 overall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base plate 110.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entral protrusion 120 may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late 110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

중앙돌출부(120)의 돌출구조로 인해, 중앙돌출부(120)의 말단부분은 제2몸체(200)의 둘레에서 돌출된 고리형돌출부(220)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Due to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distal por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is located inside the annular protrusion 220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0.

중앙돌출부(120)는 세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앙돌출부(120)는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한 연결봉(121)과, 연결봉(121) 끝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말단연결바(12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연결바(122)는 연결봉(121) 끝에서 고리형돌출부(22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entral protrusion 120 may have a detailed structure.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cludes a connecting rod 121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an end connecting bar 12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As shown in FIG. 1, the end connecting bar 122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toward the annular protrusion 220.

말단연결바(122)에 의해 고리형돌출부(220)와 중앙돌출부(120) 사이의 간격은 더 줄어들 수 있다. 그와 같이 상대적인 간격이 작은 지점에 인장탄성체(300)들이 배치된다. 말단연결바(122)를 이용한 인장탄성체(300)의 배치는 고리형돌출부(220) 설명 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gap between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can be further reduced by the end connecting bar 122. In this way, the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disposed at points where the relative spacing is small. The arrang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using the end connecting bar 1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fter explaining the annular protrusion 220.

제2몸체(200)는 제2베이스판(210)과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서 돌출된 고리형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판(210)은 중앙돌출부(120)를 사이에 두고 중앙돌출부(120)와 떨어져 제1베이스판(110)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베이스판(110)과 제2베이스판(210)의 사이에 중앙돌출부(120)와 후술하는 고리형돌출부(220)가 위치하는 구조가 된다. 이로 인해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은 바깥쪽에 배치되므로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 어느 쪽으로도 하중을 받거나(예, 본 발명 위에 사람이 앉거나 서는 등의 방식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또는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0 includes a second base plate 210 and an annular protrusion 220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110, with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way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20. Accordingly, a central protrusion 120 and a ring-shaped protrusion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Because of this,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disposed on the outside, so they do not receive a load on either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e.g., a person may operate 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can be received by sitting, standing, etc.), or it can support the floor.

고리형돌출부(220)는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서 제1베이스판(110)을 향해 돌출된다. 중앙돌출부(120)는 중앙에, 고리형돌출부(220)는 그 둘레에 위치하므로 고리형돌출부(220)는 중앙돌출부(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고리형돌출부(220)는 실질적으로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 고리형상일 수 있다.The annular protrusion 220 protrudes from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toward the first base plate 110 . Since the central protrusion 12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is located around it, the annular protrusion 220 is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may have a ring shape substantially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고리형돌출부(220) 역시 세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리형돌출부(220)는 제2베이스판(210)의 테두리에 수직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바(221)및 복수의 연결바(221)들의 말단을 연결하여 고리형상으로 중앙돌출부 외측을 둘러싸는 연결고리부(222)를 포함한다.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may also have a detailed structure.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is a connection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in a ring sha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221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221. Includes a ring portion (22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형돌출부(220)는 제2베이스판(210)에서 돌출된 앵글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바(221)는 제2베이스판(210)을 수직으로 지지하므로 하중을 받는 데 유리하다. 또한 연결고리부(222)는 연결바(221)들의 말단을 연결하여 중앙돌출부(120) 외측을 둘러싸는 구조이므로 중앙돌출부(120)의 둘레에 인장탄성체(300)를 배치하기 편리하게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nnular protrusion 220 may have an angle-lik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connecting bar 221 supports the second base plate 210 vertically and is therefore advantageous in receiving a loa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connects the ends of the connecting bars 221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120, it is convenient to place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around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120.

연결고리부(222)의 일 측에는 변형부(도 1 및 도 3의 222b참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부(222b)는 연결고리부(222)의 일 측이 굴절된 것일 수 있으며 굴절된 일부는 제2베이스판(210)과 접할 수도 있다. 변형부(222b)는 후술하는 제1유동성조절부(도 9의 400참조)등과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A deformation part (see 222b in FIGS. 1 and 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The deformed portion 222b may be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bent, and the bent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deformation part 222b can be formed to eliminate interference with the first fluidity control part (see 400 in FIG. 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formed in addition as necessary.

고리형돌출부(220)는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중앙돌출부(120)의 외측에 배치가능한 또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경우 고리형돌출부(220)는 고리형상의 판체나 양단이 개방된 통체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nnular protrusion 220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modified into another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can be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If possible,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such as a ring-shaped plate body or a cylinder with both ends open.

본 실시예와 같이 고리형돌출부(220)가 앵글형태로 형성된 경우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는 테두리바(211)를 배치할 수도 있다. 테두리바(211)는 제2베이스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두께를 가져 연결바(221) 등과 결합하기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변형될 수 있다.When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is formed in an angle shape as in this embodiment, a border bar 211 may be placed around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border bar 21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may have an appropriate thickness to be advantageously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bar 221, etc. However, this is also not limited and may be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이러한 구조로 중앙돌출부(120)를 포함하는 제1몸체(100)와, 중앙돌출부(120) 외측에 배치되어 중앙돌출부(120)를 둘러싸는 고리형돌출부(220)를 포함하는 제2몸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인장탄성체(300)는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의 사이에 연결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first body 100 includes a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ody 200 includes a ring-shaped protrusion 220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surround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 can be formed. In particular,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인장탄성체(300)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개별 신축되며 탄성력으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인장탄성체(300)는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의 사이에 연결된다.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is individu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nd is held by elastic force.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Specifically,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인장탄성체(300)는 도 1과 같이 양단이 중앙돌출부(120)의 말단과 고리형돌출부(220)의 말단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장탄성체(300)는 중앙돌출부(120)의 말단연결바(122)와 고리형돌출부(220)의 연결고리부(22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ends of the annular protrusion 220,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nd connecting bar 122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of the annular protrusion 220.

인장탄성체(300)는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로 하중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며 복원력을 생성한다. 인장탄성체(300)가 생성한 복원력과 가해진 하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신체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운동기구(1)를 변형시킬 수 있다.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The exercise equipment 1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by adjusting the body so that the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and the applied load are balanced.

운동기구(1)의 변형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간 배치변화 또는 간격변화에 의해 나타나므로 유동적이다(도 5참조).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개별 신축되면서 탄성력으로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The deformation of the exercise device 1 is caused by changes in arrangement or spacing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so it is flexible (see FIG. 5).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individu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is adjusted by elastic force. Adjust.

인장탄성체(300)은 각각의 각도(배열방향) 및 길이가 동시에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탄성체(300)의 양단은 말단연결바(122) 및 연결고리부(222) 각각에 형성된 결합공(122a, 222a)에 유동 가능하게 걸려있을 수 있다.The tensile elastic body 300 may be formed so that each angle (arrangement direction) and length are adjust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may be movably suspended in the coupling holes 122a and 222a formed in the end connection bar 122 and the connection ring portion 222, respectively.

따라서 하중이 가해지면 인장탄성체(300)는 전단방향 변형대신 인장탄성체(300) 자체의 각도가 바뀌며 길이방향 변형으로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인장탄성체(300)은 각 말단연결바(122)에 의해 중앙돌출부(120)의 둘레에 회전 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도 및 길이가 개별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도 5참조).Therefore, when a load is applied,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changes its angle instead of deforming in the shear direction and can respond to the load by deform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arranged in a rotational shape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by each end connecting bar 122, so that the angle and length can be individually varied at different positions (see FIG. 5).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상기 인장탄성체로 형성된 그룹탄성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는 중앙돌출부(120)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및 제3그룹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탄성체를 이루는 인장탄성체(300)들은 각각 말단연결바(122)의 끝에 연결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group elastic bodies formed of two or more tensile elastic bodies.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may include a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a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a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distributed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re is. The tensile elastic bodies 300 forming the group elastic body may each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nd connecting bar 122.

각각의 그룹탄성체는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형상은 예시적이다. 또한 그룹탄성체는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탄성체를 그룹짓지 않고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Since the number of each group elastic body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 shape shown is illustrative. Additionally, since the group elastic body is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tensile elastic bodies without grouping them in other embodiments.

말단연결바(122)는 연결봉(121) 끝에서 고리형돌출부(220)를 향해 연장된다. 연장방향은 각각 다를 수 있으나 이 역시 하나의 예이므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말단연결바(122)는, 말단이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제3그룹탄성체(330) 각각에 연결된다. 말단연결바(122)는 그룹탄성체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룹탄성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말단연결바(122)의 개수 역시 예시적이다.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제3그룹탄성체(330)는 각각 말단연결바(122)와 연결고리부(22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necting bar 122 extends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toward the annular protrusion 220. The extension direction may be different, but since this is also an example,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as such. The end of the end connecting bar 12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The end connection bar 1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group elastic bodies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group elastic bodies. Therefore, the number of end connection bars 122 shown is also exemplary.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nd connecting bar 122 and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respectively.

말단연결바(122)들은 판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봉(121)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말단연결바(122)는 도 4와 같이 연결봉(121)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져 있을 수 있다. The end connecting bars 122 may be formed as plate-shaped members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connecting rod 121. The end connecting bars 122 may b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connecting rod 121 as shown in FIG. 4 .

이로 인해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제2(3)그룹탄성체(320)의 탄성력이 집중되는 지점을 중앙돌출부(120) 둘레에 분산하여 배치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oints where the elastic forces of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second (3) group elastic body 320 are concentrated can be distributed and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본 실시예에서 3개의 그룹탄성체와 3개의 말단연결바(122)가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이들의 개수는 바뀔 수도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개수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말단연결바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며 인장탄성체의 배치도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ree group elastic bodies and three end connecting bars 122 are illustrated, but the number of these may be chang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re is no need to necessarily limit the numb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hape of the end connecting bar can be modified as much as desir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can also be modified.

아울러, 말단연결바의 위치에 다른 형태의 확장구조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확장구조는 예를 들면, 연결봉(121) 말단에서 (평면이)말굽 형상으로 확장된 형태나, (평면이)변기형상으로 확장된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확장구조 둘레에 인장탄성체를 그룹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분산시켜 나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In addition, another type of expansion structure may be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end connecting bar. Such an expansion structure may include, for example, a form in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is expanded into a horseshoe shape (in plane) or a form in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is expanded in the shape of a toilet (in plan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tensile elastic members in groups around such an expansion structure, an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m in a distributed manner.

이러한 구조의 운동기구(1)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과 사용례에 대해 설명한다.Using the exercise equipment 1 of this structure, you can exercise in various ways as follows.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use c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5는 도 1의 운동기구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c)는 (a)의 측면도이고, 도 5의 (d)는 (b)의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1, and Figures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1. Figure 5(c) is a side view of (a), and Figure 5(d) is a side view of (b).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동기구(1)는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운동기구(1)의 양면은 제1몸체(100)의 제1베이스판(110)과,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의 외면 양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1)는 도 5의 (a) 및 (c)처럼 제1베이스판(110)을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b) 및 (d)처럼 제2베이스판(210)을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exercise equip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 both sides. Both sides of the exercise device 1 refer to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The exercise equip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placing the first base plate 110 on the floor as shown in (a) and (c) of Figures 5,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 as shown in (b) and (d) of Figures 5. (210) can also be used by placing it on the floor.

이러한 이점은 제1베이스판(110) 및 제2베이스판(21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나타난다. 제1베이스판(110)과 제2베이스판(210)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예, 원판형상)일 수 있다.This advantage appears because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eg, disk shape).

하중(A)은 상방에서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 및 (c)처럼 제1베이스판(110)을 바닥에 놓는 경우 제2베이스판(210)으로 하중(A)을 가할 수 있고, 도 5의 (b) 및 (d)처럼 제2베이스판(210)을 바닥에 놓는 경우에는 제1베이스판(110)으로 하중(A)을 가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인장탄성체(300)는 하중의 방향과 독립되어 개별적으로 신축되며 간격을 조정한다.Load (A) can be applied from above. For example,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 is placed on the floor as shown in (a) and (c) of Figures 5, a load (A)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b) and (c) of Figures 5 When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placed on the floor as in (d), the load (A) can be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In either case,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expands and contracts individually independent of the direction of the load and adjusts the spacing.

전술한 것처럼 각각의 인장탄성체(300)는 각도과 길이가 동시에 변경되며 개별적으로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인장탄성체(30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선형적으로 복원력을 생성하므로 중앙돌출부(120)와 고리형돌출부(220) 사이의 간격과 그에 대응하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사이의 간격 및 배치는 더 정교하게 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gle and length of each tensile elastic body 300 are changed simultaneous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Since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linearly generates a restoring force, the gap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and the corresponding first body 100 and second body 200 The spacing and arrangement between them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따라서 하중(A)(전술한 바와 같이, 하중의 분포변화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운동력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운동력으로도 동등하게 불균일 또는 균일하게 외력을 가할 수 있다)을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적으로 불균일하게 가하거나, 또는 균일하게 가하면서 인장탄성체(300)의 탄성력과 균형을 이루는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ad A (as mentioned above, the change in distribution of the load may be due to the kinetic force generated by the user, so the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equally unevenly or uniformly with the kinetic force) is intentionally applied unevenly as shown. Various postures that balance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can be taken by applying or uniformly applying the force.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B)은 앉은 상태로 자세를 잡을 수 있다. 사람(B)의 신체로 하중의 분포를 변화시키면서 인장탄성체(300)에 의한 탄성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균형을 잡고 운동할 수 있다. 운동기구(1)는 도 6의 (a), (c), (e)와 같이 제1몸체(100)를 바닥에 배치하거나, 도 6의 (b), (d), (f)와 같이 제2몸체(200)를 바닥에 배치하여 어느 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person B can assume a sitting posture. The elastic force by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changing the distribution of load to the body of the person (B). Therefore, you can exercise and balance in various postures. The exercise device 1 places the first body 100 on the floor as shown in (a), (c), and (e) of Figures 6, or as shown in (b), (d), and (f) of Figures 6. The second body 200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in either direction.

예를 들어, 사람(B)은 도 6의 (a) 및 (b)와 같이 운동기구(1)를 의자처럼 사용하다가, 도 6의 (c) 및 (d)처럼 앞으로 숙인 자세나, 도 6의 (e) 및 (f)처럼 엉덩이를 뒤로 뺀 자세 등으로 자세를 변화시키면서 신체를 단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들을 유지하게 위해서는, 복부나 허벅지 등 신체 각부의 근육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람(B)은 앉은 상태로도 운동이 가능하다.For example, a person (B) uses the exercise equipment 1 as a chair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s 6, and then bends forward as shown in (c) and (d) of Figures 6, or in a posture shown in Figure 6. You can train your body by changing your posture, such as in a position with your hips pulled back, as shown in (e) and (f). In order to maintain these postures, it is necessary to use the muscles of each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abdomen and thighs, so person (B) can exercise even while sitting.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B)은 선 상태로 운동기구(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높아지므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근육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앉은 때와는 다른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7 and 8, a person B may use the exercise equipment 1 in a stand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is higher, so the muscles used to maintain the posture may change, and thus different exercise effects can be obtained than when sitting.

예를 들어, 도 7의 (a) 및 (b)처럼 선채로 수평방향으로 균형을 유지하거나, 도 7의 (c) 및 (d)나, 도 8의 (a) 및 (b)처럼 한 쪽으로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체의 여러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 각부의 근육을 강화하면서 신체 균형감각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장탄성체(300)의 탄성력을 활용한 자세변화를 통해, 한정된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For example, maintain bal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standing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7, or to one side as shown in (c) and (d) of Figure 7 or (a) and (b) of Figure 8. You can stimulate various parts of the body while maintaining a tilted posture. In this way, you can strengthen the muscles in each part of the body and improve your sense of body balance. In this way, effective exercise is possible even in a limited space through posture change utiliz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이하,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서, 운동기구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사이에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간 간격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유동성조절부(도 9의 400, 도 12의 500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성조절부는 2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adjusts the gap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Op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fluidity control unit (see 400 in FIG. 9 and 500 in FIG. 12)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Since the fluidity control unit can be of two types, this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운동기구의 제1유동성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운동기구의 유동성조절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uidity control unit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9, and Figure 11 is a figure 9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luidity control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유동성조절부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including the fluidity control unit, repeated explanation of the above-describ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emphasiz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1)는, 제1유동성조절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1유동성조절부(400)는 중앙돌출부(120)의 중심에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고정봉(410), 고정봉(41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11), 및 중앙돌출부(120)의 일 측에 힌지(421)로 결합되어 힌지축(도 10의 421a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걸림돌기(411)를 밀어 고정봉(4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바(420)를 포함하여, 가동바(420)의 회전에 의해 고정봉(410)이 제2베이스판(210)을 가압하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된다.9 and 10, the exercise device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fluidity control unit 400. The first fluidity control unit 400 includes a fixing rod 410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enable sliding movement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410. (411),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with a hinge 421,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see 421a in FIG. 10), and slides the fixing rod 410 by pushing the stopping protrusion 411. When the fixed bar 410, including the movable bar 420, presses the second base plate 210 by rotation of the movable bar 420,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y are formed to be mutually fixed.

도 9에는 가동바(420)가 회전되어, 고정봉(410)이 제2베이스판(210)을 가압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봉(410)의 말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핑거(412)가 형성되어 제2베이스판(210)을 더 잘 누를 수 있게 형성된다. 도 9의 상태에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상호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In Figure 9, the movable bar 420 is rotated and the fixed bar 410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pressed. A finger 412 extending outwar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rod 410 to better press the second base plate 210. In the state of FIG. 9,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limited.

그러나 도 10의 (b)와 같이, 가동바(420)를 역회전시키면 언제라도 고정봉(410)의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원래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b) of FIG. 10,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fixed bar 410 can be released at any time by reversely rotating the movable bar 420. When the pressurized state is released in this way,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move to their original state and thus can be used as described abov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유동성조절부(4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봉(410)은 중앙돌출부(120)의 중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에는 중앙돌출부(120)의 연결봉(121)과 고정봉(410)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도 10에서 말단연결바는 삭제되어 있다). 고정봉(410)은 연결봉(121)의 내측에 연결봉(1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fluidity control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As shown in Figure 9, the fixing rod 4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FIG. 10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rod 121 and the fixing rod 410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end connecting bars are deleted in FIG. 10). The fixing rod 41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121.

고정봉(410)은 도 9와 같이 연결봉(121) 말단의 말단연결바(122)도 관통한다. 즉 고정봉(410)은 중앙돌출부(120)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고정봉(410)의 슬라이딩에 따라 증가되면서 제2베이스판(210)을 가압하게 된다.The fixing rod 410 also penetrates the end connecting bar 122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as shown in FIG. 9. That is, the fixing rod 410 protrud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creases as the fixing rod 410 slides to press the second base plate 210.

걸림돌기(411)는 고정봉(410)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걸림돌기(411)는 고정봉(410)의 외주면에서 고정봉(41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411)는 적어도 가동바(420)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걸림돌기(411)는 고정봉(4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걸림돌기(411)를 밀어올리면 고정봉(410)이 함께 상승된다.The stopping protrusion 41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410. Referring to FIG. 10 , the stopping protrusion 411 may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rod 4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ing rod 410 . The stopping protrusion 411 has a length sufficient to reach at least the movable bar 420. The locking protrusion 411 is connected to the fixing bar 410, so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11 is pushed up, the fixing bar 410 is also raised.

가동바(420)는 중앙돌출부(도 9의 120참조)의 일 측에 힌지(421)로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축(42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걸림돌기(411)를 밀어 고정봉(4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able bar 4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see 120 in FIG. 9) with a hinge 421. Therefore, the fixing rod 410 can be slidably moved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axis 421a and pushing the stopping protrusion 411.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바(420)는 중앙돌출부(120)의 말단연결바(122)에 설치될 수 있다. 말단연결바(122)는 연결봉(12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가동바(420)를 설치하기 유리하다. 예를 들어 가동바(420)는 3개의 말단연결바(122) 중 어느 하나에 힌지(421)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movable bar 420 may be installed on the end connecting bar 122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Since the end connecting bar 122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connecting rod 121, it is advantageous to install the movable bar 420. For example, the movable bar 420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three end connecting bars 122 by forming a hinge 421.

또 10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바(420)의 힌지 반대편 말단에는 가동바(420)의 조작을 위해 핸들(도 10의 424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ure 10, a handle (see 424 in FIG. 10) can be plac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hinge of the movable bar 420 to manipulate the movable bar 420.

걸림돌기(411)는 중앙돌출부(1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장공(121a)과, 가동바(420)에 제1장공(121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422)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중앙돌출부(120)는 제1베이스판(110)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므로 길이방향도 그와 동일하다. 걸림돌기(411)는 제1장공(121a)을 따라 중앙돌출부(120)의 돌출방향(즉, 제1베이스판에서 수직하게 제2베이스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topping protrusion 411 includes both a first long hole 12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a second long hole 422 formed in the movable bar 42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long hole 121a. It can penetrate. Since the central protrusion 120 protrudes perpendicularly from the first base plate 110,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also the same. The stopping protrusion 411 may move along the first long hole 121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protrusion 120 protrudes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제1장공(121a)은 연결봉(12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봉(121)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ong hole 121a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ng rod 121 and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121.

제2장공(422)은 가동바(420)에 형성되어 있고 제1장공(121a)과는 교차된다. 제2장공(422)은 가동바(42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바(42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지만 가동범위 내에서는 계속 제1장공(121a)과 교차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장공(422)에 걸린 걸림돌기(411)를 가동바(420)로 밀어 상승시킬 수 있다.The second long hole 422 is formed in the movable bar 420 and intersects the first long hole 121a. Since the second long hole 422 is formed on the movable bar 420, its position changes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movable bar 420, but it remains in an intersecting state with the first long hole 121a within the movable range. Therefore, the stopping protrusion 411 caught in the second long hole 422 can be raised by pushing it with the movable bar 420.

즉 실질적으로 걸림돌기(411)는 제2장공(422)에 의해 가동바(420)와 결합된다. 제1장공(121a)은 걸림돌기(411)가 움직이는 가이드레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10의 (b)처럼, 가동바(420)를 하강시키거나 도 10의 (a)처럼, 가동바(420)를 상승시키면, 걸림돌기(411)는 가동바(420)에 형성된 제2장공(422)에 걸려 움직이며 움직이는 방향은 제1장공(121a)의 방향이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걸림돌기(411)와 그에 연결된 고정봉(410)을 제1장공(121a)을 따라 승하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topping protrusion 411 is substantially coupled to the movable bar 420 by the second long hole 422. The first long hole 121a functions as a guide rail along which the stopping protrusion 411 moves. Therefore, when the movable bar 420 is lowered as shown in (b) of FIG. 10 or the movable bar 420 is raised as shown in (a) of FIG. 10, the stopping protrusion 411 is formed on the second movable bar 420. It moves by being caught in the long hole 422, and the moving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ong hole 121a. Using this structure, the stopping protrusion 411 and the fixing rod 410 connected thereto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irst long hole 121a.

걸림돌기(411)는 제2장공(422)과 제1장공(121a)의 교차점을 따라 움직이므로 가동바(420)가 회전운동을 하더라도 걸림돌기(411)의 승하강에는 제약이 발생하지 않는다.Since the locking protrusion 411 moves along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long hole 422 and the first long hole 121a,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cking protrusion 411 even if the movable bar 420 rotates.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동바(420)로 고정봉(410)을 조작하고 고정봉(410)을 돌출시켜 제2베이스판(210)을 가압할 수 있다. 돌출된 고정봉(410)은 제1몸체(100)의 중앙돌출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가압하므로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간 간격은 고정되고 양자는 움직이지 않는다.With this structure, the fixed rod 410 can be manipulated with the movable bar 420 and the fixed rod 410 can be protruded to pressurize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protruding fixing rod 410 is interpos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and presses both sides, so that the The gap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fixed and both do not move.

이때 가동바(420)에 형성된 잠금후크(423)로 가동바(420)를 고정시켜 고정봉(410)이 후퇴하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가동바(420)는, 고정봉(410)과 제2베이스판(210)이 맞닿는 위치에서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에 걸려 가동바(420)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후크(423)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able bar 420 can be fixed with the locking hook 423 formed on the movable bar 420 to prevent the fixed bar 410 from retreating. The movable bar 420 is a lock that is caught o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bar 4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come into contact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movable bar 420. It may include a hook 423.

잠금후크(423)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가동바(420) 자체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가동바(420)는 회전중심인 힌지축(421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축(421a)을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가동바(420)를 밀거나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421a)은, 가동바(420)가 잠금후크(423)의 잠금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게 힌지축(421a)을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장공(421b)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locking hook 423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but it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moving the movable bar 420 itself, a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vable bar 420 is fixed to the hinge shaft 421a,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possible to push or pull the movable bar 420 by making the hinge shaft 421a movable. As shown in FIG. 10, the hinge shaft 421a is a flexible long hole 421b that movably accommodates the hinge shaft 421a so that the movable bar 420 can move in parallel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hook 423 or the reverse direction. ) may be combined.

즉 가동바(420)의 힌지(421)는 힌지축(421a)과 유동장공(4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후크(423)는 힌지(421)가 결합되어 있는 말단연결바(도 9의 122참조) 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잠금후크(423)가 걸리는 후크홈(122b)도 말단연결바(122)에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hinge 421 of the movable bar 420 may be composed of a hinge shaft 421a and a floating hole 421b. The locking hook 423 may protrude toward the end connecting bar (see 122 in FIG. 9) to which the hinge 421 is coupled, and a hook groove 122b where the locking hook 423 catches is also formed in the end connecting bar 122. can do.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가동바(420)를 이용한 제1유동성조절부의 조작방식과 잠금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operation method and locking structure of the first fluidity control unit using the movable bar 4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1의 (a)와 같이, 릴리즈 상태(인장스프링이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가동바(420)는 하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봉(410)은 중앙돌출부(120)의 중심으로 삽입된 상태로 제2베이스판(210)과는 이격된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인장탄성체(300)의 탄성력에 의해 전술한 것처럼 유동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1, the movable bar 420 may be lowered in a released state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spring can move). The fixing rod 4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refore, in the state shown in (a) of FIG. 11,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flow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이때 가동바(420)를 힌지축(421a)을 중심으로 상승 회전시키면, 도 11의 (b)와 같이 고정봉(410)이 돌출된다. 고정봉(410)은 말단이 제2베이스판(210)에 접할 때까지 상승하며 제2베이스판(210)과 접촉상태로 제2베이스판(210)을 압박한다. 따라서 도 11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ovable bar 420 is rotated upward about the hinge axis 421a, the fixed bar 410 protrudes as shown in (b) of FIG. 11. The fixing rod 410 rises until its e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presses the second base plate 210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refore, in the state shown in (b) of FIG. 11,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fixed so as not to move.

가동바(420)를 조작할 때는 핸들(424)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봉(410)의 말단에는 확장된 핑거(412)가 형성되어 있어 제2베이스판(210)을 더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바(420)를 상승 회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바(420)에 형성된 잠금후크(423)는 말단연결바(122)의 후크홈(122b)에 삽입된다(도 11 (b)의 확대도참조).When manipulating the movable bar 420, the handle 424 can be used, and an extended finger 4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ed bar 410, so that the second base plate 210 can be pressed more effectively. When the movable bar 420 is rotated upward in this way, the locking hook 423 formed on the movable bar 420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122b of the end connecting bar 122 (see Figure 11 (b)). (see also enlarged view).

도시된 것처럼 가동바(420)의 회전중심인 힌지축(421a)은 유동장공(421b)에 결합되어 있다. 유동장공(42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후크(423)가 후크홈(122b)에 걸리거나 후크홈(122b)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힌지축(421a)이 이동되면 가동바(420)도 평행 이동되며 가동바(420)와 힌지축(421a)을 동시에 잠금후크(423)의 잠금방향(도 11의 왼쪽)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the hinge axis 421a,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movable bar 420, is coupled to the flow hole 421b. As shown, the flow hole (421b)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hook 423 can be caught in the hook groove (122b) or come out of the hook groove (122b). Therefore, when the hinge axis 421a is moved, the movable bar 420 is also moved in parallel, and the movable bar 420 and the hinge axis 421a are simultaneously moved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hook 423 (left in FIG. 11) or the reverse direction. You can do it.

따라서 도 11의 (c)와 같이, 힌지축(421a)과 가동바(420)를 잠금후크(423)의 잠금방향으로 밀어 잠금후크(423)를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봉(410)과 제2베이스판(210)이 맞닿는 위치에서 가동바(420)를 평행이동시켜 잠금후크(423)를 후크홈(122b)에 결합하고 가동바(4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바(420)를 고정하면 고정봉(410)을 포함하는 가동기구 전체가 고정되어 운동기구(1-1)를 이동시키더라도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c) of FIG. 11, the locking hook 423 can be fixed by pushing the hinge shaft 421a and the movable bar 420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hook 423. That is, the movable bar 420 is moved in parallel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rod 4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come into contact to couple the locking hook 423 to the hook groove 122b and prevent the rotation of the movable bar 420. can do. When the movable bar 420 is fixed in this way, the entire movable mechanism including the fixed bar 410 is fixed and no movement occurs even when the exercise mechanism 1-1 is moved.

잠금후크(423)는 실질적으로 고정봉(410)의 가압상태에서 가동바(4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정봉(410)과 제2베이스판(210)이 맞닿는 가압위치에서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어느 쪽에도 걸어 고정시키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100)의 말단연결바(122)에 걸리는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잠금후크(423)를 다른 부분에 걸어 고정하는 구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1-1)의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locking hook 423 is substantially for fixing the movable bar 420 in a pressurized state of the fixing bar 410, so that the first body 100 is held at the pressing position where the fixing bar 4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in contact. ) or the second body 200 may be hung and fixed on either sid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that is hung on the end connecting bar 122 of the first body 100 is illustrated, but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hook 423 is hung and fixed to another part is also possible as need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that temporarily limits the fluidity of the exercise device 1-1.

이러한 구조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벌린 상태로 고정하고 고정상태로 잠그는 것도 가능하므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운동기구(1-1)를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This structure allows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o be fixed in an open state and locked in a fixed state, so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fixed so that they do not move and can be moved.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carrying out tasks such as transporting or storing the instrument (1-1).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운동기구의 흡배기조절모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운동기구의 유동성조절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2, and Figure 14 is a view of Figure 12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luidity control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유동성조절부의 다른 형태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 different form of the fluidity control unit, repetition of the above-described detail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emphasized.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2)는 제2유동성조절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2유동성조절부(500)는 양단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각각에 힌지(513)로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한 공기압실린더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아암(510), 및 복수 개의 아암(510)과 연결되어 아암(510) 각각의 공기입출을 동시에 차단시켜 아암(510)을 고정하는 흡배기조절모듈(520)을 포함한다.12 to 14, the exercise device 1-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500. The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500 includes a plurality of arms 510 made of expandable pneumatic cylinders whose ends ar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with a hinge 513, and a plurality of arms 510. It includes an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that is connected to the arm 510 and fixes the arm 510 by simultaneously blocking the air inlet and outlet of each arm 510.

본 실시예의 아암(510)은 양단이 힌지(513)로 결합되어 있고 신축이 가능하므로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흡배기조절모듈(520)에 의해 아암(510)으로의 공기입출이 차단되면 아암(510)들은 한꺼번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간 간격을 고정하고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The arm 510 of this embodiment is joined at both ends by a hinge 513 and is flexible, so it can be freely driven in normal times. However, when air inflow and outflow from the arms 510 is blocked by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the arms 510 are fixed together.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fixed and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can be restricted.

특히 아암(510)들은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된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므로, 고정된 순간의 아암(510)들의 배치상태에 따라 고정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간격 또는 배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arms 510 can be fixed in an extended or contracted state, the gap or arrangement of the fixed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depends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rms 510 at the moment of fixation. can vary at any time.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아암(510)은 실린더(511)에 피스톤(512)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아암(510)은 피스톤(512)이 신축되면 대응하여 공기를 입출하는 공기압실린더로 이루어지므로 공기 입출을 차단하면 고정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each arm 510 may have a piston 512 elastically coupled to a cylinder 511 . The arm 510 is made of a pneumatic cylinder that moves air in and out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iston 512, so it can be fixed by block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아암(510)의 양단은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에 힌지(513)로 결합된다. 따라서 아암(510)은 신축동작과 힌지의 회전동작이 결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아암(510)이 신축 가능한 동안 아암(510)의 신축 범위 내에서 아암(510)의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제약이 없다.Both ends of the arm 510 are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with a hinge 513. Therefore, the arm 510 can move in various directions by combining the stretching motion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inge. While arm 510 is stretchable, movement of arm 510 within the stretch range of arm 510 is substantially unrestricted.

각각의 아암(510)들은 흡배기조절모듈(520)과 연결된다. 흡배기조절모듈(520)은 연장관(530)에 의해 각각의 아암(5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530)은 예를 들어, 일단부는 아암(510)의 공기입출구(미도시-아암의 실린더에 형성될 수 있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흡배기조절모듈(520)의 고정블록(521)(특히 고정블록의 고정식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Each arm 510 is connected to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may be connected to each arm 510 by an extension pipe 530. For example, one end of the extension pipe 53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rm 510 (not shown - may be formed in the cylinder of the ar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block 521 of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 In particular, it can be connected to a fixed flow path of a fixed block.

도 12에서 연장관(530)은 제1베이스판(110) 안쪽에 위치하지만, 연장관(530)의 길이는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관(530)을 운동기구(1-2)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흡배기조절모듈(520)을 그 말단에 연결하여 연장관(530)이 도달 가능한 범위 내에서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이용하여 아암(510)을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필요한 순간에 아암(510)을 고정시켜 운동기의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FIG. 12, the extension pipe 53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ase plate 110, bu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ipe 530 can be as long as desired. For example, the extension pipe 53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exercise device (1-2), and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pipe 530 to control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within a range that the extension pipe 530 can reach. The arm 510 can also be remotely controlled using . In such a case, the fluidity of the exercise machine can be controlled by fixing the arm 510 at the necessary moment.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배기조절모듈(520)은, 고정블록(521)과 회전블록(522)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고정블록(521)의 일 측에는 아암(510)의 공기입출구(전술한 바와 같다)와 연결된 고정식유로(521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고정식유로(521a)와 분리된 흡배기구(521b)가 형성된다. 아암(510)의 공기입출구와 고정블록(521)의 고정식유로(521a) 사이에는 전술한 연장관(530)이 연결된다.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is formed by combining a fixed block 521 and a rotating block 522. A fixed flow path 521a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rm 51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block 521, and an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separated from the fixed flow path 521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above-described extension pipe 530 is connected between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rm 510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of the fixed block 521.

도 13을 참조하여 흡배기조절모듈(52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회전블록(522)은 내부에 변동식유로(522a)를 포함한다. 회전블록(522)은 고정블록(52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뀌며 고정식유로(521a)와 흡배기구(521b)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변동식유로(522a)가 내부에 형성된다. 회전블록(522)은 고정블록(52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는 분리되어 회전블록(522)의 둘레의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변동식유로(522a)는 회전블록(522)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rotating block 522 includes a variable flow path 522a therein. The rotary block 522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521 and rotates, and its position changes as it rotates, forming a variable flow path 522a inside that selectively communicates the fixed flow path 521a and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521b. The rotating block 5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xed block 521, and the intake/exhaust device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can be separated and placed at different points around the rotating block 522. . The variable flow path 522a may be formed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lock 522.

변동식유로(522a)는 회전블록(522)의 회전상태에 따라 위치가 바뀐다. 그러나 적어도 특정 회전각도(예, 도 13의 (a))에서는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에 맞닿아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러한 유로구조는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동식유로(522a)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흡배기구(521b)에 대응하는 하나의 단부와, 고정식유로(521a)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부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low path 522a changes depending on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tion block 522. However, at least at a certain rotation angle (e.g., (a) in FIG. 13),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allowing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to communicate. Such flow path structures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intake/exhaust device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For example, the variable flow path 522a may have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intake/exhaust mechanism 521b and a plurality of ends corresponding to the fixed flow path 521a, as shown in FIG. 13 .

따라서 도 13의 (a)와 같이 회전블록(522)이 일 측으로 회전되면 변동식유로(522a)에 의해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는 연통된다. 따라서 흡배기구(521b)는 개방된다. 반대로 도 13의 (b)와 같이 회전블록(522)이 타 측으로 회전되면 변동식유로(522a)의 위치가 바뀌어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는 차단된다. 따라서 흡배기구(521b)도 차폐된다. 회전블록(522)의 유로 아닌 나머지 부분은 흡배기구(521b)와 고정식유로(521a) 사이에 개재되면 일종의 차단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block 522 is rotated to one side as shown in (a) of FIG. 13,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are communicated by the variable flow path 522a. Therefore,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is open. On the contrary, when the rotation block 522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as shown in (b) of FIG. 13,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low path 522a changes, and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are blocked. Therefore,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is also shielde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otating block 522 that is not a flow path can function as a kind of blocking wall when interposed between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따라서 아암(510)의 고정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도 13의 (a)와 같은 상태로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조정하여 흡배기구(521b)를 개방하고 공기(E)를 입출시킬 수 있다. 공기(E)는 흡배기구(521b)와, 변동식유로(522a)와, 고정식유로(521a)를 통과하여 아암(510)으로 입출된다. 따라서 도 1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아암(510)은 정상 가동된다.Therefore, when there is no need to fix the arm 510, the intake/exhaust control module 520 can be adjusted to the state shown in (a) of FIG. 13 to open the intake/exhaust port 521b and allow air (E) to enter and exit. Air (E) passes in and out of the arm 51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the variable flow path 522a, and the fixed flow path 521a. Therefore, the arm 510 operates normally in the state shown in (a) of FIG. 13.

반면 아암(510)의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3의 (b)와 같은 상태로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조정하여 흡배기구(521b)를 폐쇄하고 공기(E) 입출을 차단한다. 공기(E)가 입출되지 못하고 아암(510)으로의 공기입출이 차단되므로, 도 13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아암(510)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fix the arm 510,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is adjusted to the state shown in (b) of FIG. 13 to close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and block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E). Since the air (E) cannot enter and exit and the air in and out of the arm 510 is blocked, the arm 510 is fixed in the state shown in (b) of FIG. 13.

이러한 흡배기조절모듈(520)의 조작을 통해 도 14와 같이 운동기구(1-2)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4의 (a)에서 흡배기조절모듈(520)은 도 13의 (a)와 동일한 상태이며, 따라서 흡배기구(521b)로 공기(E)가 자유롭게 입출된다.따라서 아암(510)이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배치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Through manipula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the fluidity of the exercise device 1-2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14. In Figure 14 (a),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is in the same state as Figure 13 (a), and therefore air (E) freely flows in and out of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Therefore, the arm 510 moves freely. ,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also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반면 도 14의 (b)와 같이 회전블록(522)을 회전시키면 흡배기구(521b)는 차폐된다. 도 14의 (b)에서 흡배기조절모듈(520)은 도 13의 (b)와 동일한 상태이며 따라서 흡배기구(521b)의 공기(E) 입출은 차단된다. 따라서 아암(510)의 작동이 중지되므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간격도 고정되고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도 제한된다. 이와 같이,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조작하여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필요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block 522 is rotated as shown in (b) of FIG. 14,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is shielded. In Figure 14(b),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is in the same state as Figure 13(b), and thus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E)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is blocked. Accordingly, since the operation of the arm 510 is stopp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fixed and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also restricted. In this way,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fixed as needed by manipulating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회전블록(522)은 회전블록(522)에 달려있는 레버(523)를 이용하면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운동기구(1-2)를 사용하다가 레버(523)를 조작하여 필요한 순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움직임을 멈추고 특정 배치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아암(510)들은 수축 또는 신장된 다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도 14의 (b)와 같은 배치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치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위치를 변경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block 522 can be easily operated using the lever 523 attached to the rotation block 522. Therefore, a person uses the exercise device 1-2 and operates the lever 523 to stop th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t the necessary moment and to mov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n a specific arrangement. The second body 200 may also be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arms 510 can be fixed in various states of being contracted or extended, so they are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shown in (b) of FIG. 14, bu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arranged in various arrangements. The position can be changed and fixed.

따라서 제2유동성조절부(500)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고정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자세로 운동을 지속하고자 하거나, 운동기구를 고정시켜 안정된 상태로 착석하고자 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운동기구(1-2)의 배치상태를 조정하는 데 제2유동성조절부(500)를 활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500 can be used to momentarily fix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or example, the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is used to adjust the arrangement of the exercise equipment (1-2)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uch as continuing exercise in a specific posture or wanting to fix the exercise equipment and sit in a stable state. (500)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4, 제5 실시예에서, 운동기구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배치되어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진 하중에 따라 바뀌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의 배열상태를 측정하고,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송출하는 자세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측정모듈을 활용하면, 컴퓨터장치 등과 연동시켜 운동기구를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세측정모듈의 예시적인 구현형태와 관련내용을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다.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is dispos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is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further include a posture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load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measurement signal. By using this posture measurement module, exercise equipment can be used in more diverse ways by linking it with a computer device. Exemplary implementation forms and related contents of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are described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5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자세측정모듈을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including a posture measurement module, repeat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emphasized.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3)는 자세측정모듈(600)을 더 포함한다. 자세측정모듈(600)은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분산 배치되어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15 and 16, the exercise device 1-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is distributedl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610 that detect.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자세측정모듈(600)은 복수의 압력센서(610)와 중앙모듈(640)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모듈(640)은 내부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 처리모듈(미도시)과 데이터 통신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압력센서(610)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고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모듈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압력센서(610)와 외부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통신모듈은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고 근거리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610 and a central module 640. The central module 640 includes a processing module (not shown) and a dat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consisting of a microprocessor, etc., and can proces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610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can connect the pressure sensor 610 and an external device wired or wirelessly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압력센서(610)는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의 분포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 외측에 복수로 배치할 수 있다. 도면 상에 제2베이스판(210)에 배치된 압력센서(610)가 예시되었지만, 제2베이스판(210)을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베이스판(110)에 압력센서(610)를 배치할 수도 있다.The pressure sensor 61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distribution of load applied by the user. Therefore, a plurality of plates can be placed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lthough the pressure sensor 610 dispos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en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the pressure sensor 610 is plac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can also be placed.

따라서 자세측정모듈(600)은 압력센서(610)에 가해진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여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진 하중에 따라 바뀌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배열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detects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610 and changes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can be measured and a corresponding measurement signal can be transmitted.

이러한 자세측정모듈(600)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측정신호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C1, C2, C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동기구(1-3)에 가해진 하중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is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is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C1, C2, C3) embedded with a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asurement signal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exercise equipment. It can be configured to manipulate the app by changing the load applied to (1-3).

즉 자세측정모듈(600)이 배치된 운동기구(1-3)를 앱과 같은 디지털콘텐츠와 접목시켜 확장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xercise equipment 1-3 on which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is placed can be used in an expanded form by combining it with digital content such as an app.

자세측정모듈(600)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측정모듈(600)이 제공한 측정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앱이나 측정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법을 가이드하고 움직임을 유도하는 앱도 가능하다. 또는 보다 능동적으로, 측정신호의 변화에 이해 앱내 동작을 수행하는 게임 앱도 가능하다. 게임 앱과 연동되는 경우 운동기구(1-3)는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나 조이스틱처럼 사용될 수 있다.There may be various app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For example, an app that checks the user's health by detecting the user's posture from the measurement signal provided by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or an app that detects the user's posture from the measurement signal and guides the user to appropriate exercise methods and induces movement. possible. Or, more actively, a game app that understands changes in measurement signals and performs actions within the app is also possible. When linked with a game app, the exercise equipment (1-3) can be used like a button or joystick to operate the game.

앱이 설치되는 컴퓨터장치 역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C1), PC(C2), 게임기(C3)등 외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장치와 자세측정모듈(600)을 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접목시켜 운동기구(1-3)를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computer devices on which the app is installed may also vary. For example,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can be linked with various types of computer devices capable of extern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phone (C1), PC (C2), or game console (C3). By incorporating digital content in this way, exercise equipment (1-3) can be used in more diverse ways.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7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자세측정모듈의 다른 형태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 different form of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repeated explan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emphasized.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4)는 또 다른 형태의 자세측정모듈(600)을 포함한다. 제5실시예에서 자세측정모듈(600)은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설치된 관성측정장치(620)(IMU), 및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에 설치된 마커(632)와 마커(632)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마커(632)의 배치변화를 이미지로 감지하는 이미지센서(6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exercise device 1-4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other type of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In the fifth embodiment, the attitude measurement module 600 includes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620 (IMU) install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It may include a marker 632 installed at 200 and an image sensor 631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rker 632 to detect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the marker 632 as an image.

즉 자세측정모듈(600)은 또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자세측정모듈(600)은 관성측정장치(620)와 마커(632) 및 이미지센서(631)의 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제2베이스판(210)에 관성측정장치(620)와 이미지센서(631)가 설치되고 중앙돌출부(120)에 마커(632)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었지만, 이는 제2베이스판(2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전술한 것처럼 동등한 구성을 제1베이스판(110)과 제2베이스판(210)에 역으로 배치하여 제1베이스판(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is also possible in another method. The attitude measurement module 600 may be implemented as a pair of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a marker 632, and an image sensor 631. 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where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and the image sensor 631 are install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marker 632 is installed on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is is the cas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Since it is for detecting movement, the mo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 may be detected by reversely arranging equivalent components on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s described above.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관성측정장치(620)는 중앙모듈(640)에 내장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모듈(64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 처리모듈(미도시)과, 데이터 통신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C1, C2, C3)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한 연동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may be built into the central module 640.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central module 640 may include a processing module (not shown) consisting of a microprocessor, etc., a dat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thus a computer device (C1)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app. , C2, C3) can also be link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in the same way.

관성측정장치(620)는 자체적으로 유동상태를 감지하여 유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므로 관성측정장치(620)가 생성한 측정신호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성측정장치(620)는 자세감지가 가능한 다양한 센서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센서, 3축 지자기센서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Since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detects the flow state on its own and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flow state,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can be used directly. In this specification,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includes all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posture, and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 combination of some or all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 3-axis gyro sensor, and a 3-axis geomagnetic sensor. .

한편 자세측정모듈(600)은 마커(632)와 이미지센서(6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631)는 중앙모듈(640)에 탑재되고, 마커(632)는 그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631)가 제2베이스판(210)에 배치되는 경우 마커(632)는 제1몸체(100)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631)와 마커(632)는 서로 다른 몸체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may include a marker 632 and an image sensor 631.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631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module 640, and the marker 63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it. When the image sensor 631 is plac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marker 632 may be placed on the first body 100 side. The image sensor 631 and the marker 632 may be placed separately on different bodies.

마커(632)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간 상대적 배치변화를 명암이나 색상 등으로 구분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632)는, 형광마커나 적외선반사형 마커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rker 632 may be formed to distinguish changes in relative arrangement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by light and dark, color, etc. For example, the marker 63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luorescent marker or an infrared reflective marker.

이미지센서(631)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배치가 변경되면 대응하여 나타나는 마커(632)의 이미지변화를 감지한다. 따라서 이미지센서(631)와 마커(632)를 통해서도 제2베이스판(210) 또는 제1베이스판(110)의 배열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631 detects a change in the image of the marker 632 that appear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hanges. Therefore, changes i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or the first base plate 11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image sensor 631 and the marker 632.

이와 같은 방식의 자세측정모듈(600) 역시 측정신호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C1, C2, C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동등하게 운동기구(1-4)에 가해진 하중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of this type can also be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C1, C2, C3) with a built-i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asurement signal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y wired or wirelessly, and can be used to perform the same exercis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gured to manipulate the app by changing the load applied to the device 1-4.

또한 자세측정모듈(600)은 전술한 압력센서, 관성측정모듈, 이미지센서와 마커의 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을 복수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서로 보완적으로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위치변화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시 운동기구(1-4)를 자세측정모듈(600)을 활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itude measurement module 600 may include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essure sensor, inertial measurement module, image sensor, and marker pair,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se, so that the first base plate 110 i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may be sensed more accurately. In this way, the exercise equipment (1-4) can also be used by combining it with digital content using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운동기구가 컴퓨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8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스마트폰거치부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 smartphone holder.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5)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고정된 스마트폰 거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 거치부(700)는 적어도 2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을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exercise equipment 1-5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martphone holder 700 fix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can be included. The smartphone holder 700 can be formed in at least two forms, and each can be utilized as follows.

예를 들어, 스마트폰 거치부(700)는 도 18의 (a)와 같은 함체(701)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스마트폰 거치부(700)에 사용자의 스마트폰(F)을 거치하고, 도 1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운동기구(1-5)를 사용하는 사람이 운동상태에서 스마트폰(F) 화면을 직접 보는 대신, 스마트폰(F)을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결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D)에 미러링 시키고 디스플레이장치(D)로 원하는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martphone holder 700 may be formed as a case 701 as shown in (a) of FIG. 18. In such a case, the user's smartphone (F) can be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700 and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device (D) as shown in (a) of FIG. 19. That is, instead of directly looking at the smartphone (F) screen while exercising, the person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1-5) connects the smartphone (F) to the display device (D) and mirrors the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D). You can do so and enjoy the content you want on the display device (D).

또한, 스마트폰 거치부(700)는 도 18의 (b)와 같은 거치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 거치부(700)는 예를 들어, 제2베이스판(210) 또는 제1베이스판(110)에서 돌출된 고정바(703)와 고정바(703)의 말단에 형성되어 사람(B)이 스마트폰(F)의 화면을 볼 수 있게 고정하는 크래들(702)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martphone holder 7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der as shown in (b) of FIG. 18. For example, the smartphone holder 700 is formed on a fixing bar 703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late 210 or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at an end of the fixing bar 703 to accommodate a person (B). This may include a cradle 702 that fixe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F) so that it can be viewed.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F)을 스마트폰 거치부(700)에 고정시키고 스마트폰(F)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배치변화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거치부(700)에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배열상태를 감지가능한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폰(F)을 거치하고, 스마트폰(F)을 스마트폰(F) 생성한 감지신호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C2, C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시켜, 운동기구(1-5)에 가해진 하중의 변화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smartphone (F) is fixed to the smartphone holder 70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placed using the sensor built into the smartphone (F). You can detect changes. That is, a smartphone (F) equipped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700, and the smartphone (F) is placed on the smartphone holder 700. Changes in the load applied to the exercise equipment (1-5) by connecting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device (C2, C3) equipped with a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phone (F). I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app as described above.

대부분의 스마트폰(F)에는 3축가속도센서와 같은 자세감지 가능한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F)을 전술한 자세측정모듈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F)은 근거리 통신모듈 등도 내장하므로 전술한 것처럼 다른 컴퓨터장치(C2, C3)와 연동시켜 컴퓨터장치에 내장된 앱이 운동기구(1-5)의 배치변화에 의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most smartphones (F) have a built-i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posture, such a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the smartphone (F) can be used like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nce the smartphone (F) also has a built-i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t can be linked with other computer devices (C2, C3)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pp built into the computer device can be operat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exercise equipment (1-5). there is.

그러한 경우 스마트폰 거치부(70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F)에는, 위치변화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컴퓨터장치 측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또 다른 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F)을 활용하여 또 다른 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접목시켜 운동기구(1-5)를 활용할 수도 있다.In such a case, another app tha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mputer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smartphone (F)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70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use the exercise equipment (1-5) by incorporating digital content in another way using the user's smartphone (F).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운동기구(1-5)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운동기구(1-5)에 부착된 스마트폰(F)을 움직임으로써 직접 스마트폰(F) 화면을 보면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user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equipment 1-5 and moves the smartphone F attached to the exercise equipment 1-5, thereby directly view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F. You can run installed apps or games.

이하,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운동기구의 변형례의 작동도이다.Figure 20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0.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좌석을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including a seat.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6)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등받이(810)가 형성된 좌석(800)을 더 포함한다. 좌석(800)이 제2베이스판(210) 배치된 예로 도시되었지만, 같은 구성을 제1베이스판(110)에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0, the exercise equipment 1-6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ckrest 81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on which a person can sit. ) further includes a seat 800 formed thereon. Although the seat 800 is shown as an example arrang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same configuration on the first base plate 110.

좌석(800)은 사람(B)이 앉는 부분과 등받이(81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810)로 사람(B)의 허리부분을 받쳐주므로 전술한 것처럼 운동기구(1-6)를 의자로 활용하는 경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사람(B)은 좌석(800)을 이용해 운동기구(1-6)에 착석한 상태로, 업무를 볼 수도 있고 운동을 할 수도 있다.The seat 800 may include a portion where a person B sits and a backrest 810. Since the backrest 810 supports the lower back of the person B, it can be more advantageous when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1-6 as a chair as described above. A person (B) can work or exercise while sitting on the exercise equipment (1-6) using the seat (800).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좌석(800)은 발판부(82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좌석(800)은 발판부(820)와 등받이(810)에 의해 버켓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람(B)은 등받이(810)와 발판부(820) 양 측을 등과 다리로 지지하고 더 역동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석(800)을 포함하는 운동기구(1-6)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1, the seat 800 may be modified to further include a footrest portion 820. In such case, the seat 800 may be formed into a bucket-like shape by the footrest 820 and the backrest 810, and the person (B) supports both the backrest 810 and the footrest 820 with his back and legs. And it can move more dynamically.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exercise equipment 1-6 including the seat 800.

이하,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Figure 22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support legs.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7)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신축이 가능한 지지다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다리(900) 역시 제1베이스판(110)에 배치된 상태로 예시되었지만, 제2베이스판(210)으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2, the exercise device 1-7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dable support leg 90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further include. The support leg 900 is also illustrated as being plac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but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its position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지지다리(900)는 접철이 가능한 신축부(910)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신축부(910)는 신축이 가능한 구조인 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신축부(910)를 이용하여 지지다리(900)의 길이를 변경하고, 지지다리(900)로 운동기구(1-7) 전체를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leg 900 may have an elastic portion 910 that can be folded. The stretchable portion 910 does not need to be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tretchable structure.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900 can be changed using the elastic portion 910, and the entire exercise device 1-7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900.

신축부(910)로 지지다리(90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7)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키며 더 다양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Since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900 can be changed using the elastic portion 910, the entire length of the exercise device 1-7 can be changed as shown and the exercise device can be exercised in more diverse postures.

이하,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Figure 23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발걸이부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 foot rest.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8)는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일 측에,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에 앉은 사람(B)의 발을 받치는 발걸이부(1000)를 더 포함한다. 이 역시 도면상에 제2몸체(200)에 배치된 예로 도시되었지만, 적절한 구조변경을 통해 제1몸체(100)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3, the exercise device 1-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ase plate 110 or a second body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2 It further includes a footrest unit 1000 that supports the feet of the person B sitting on the base plate 210. Although this is also shown as an example of being placed on the second body 200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be placed on the first body 100 through appropriate structural changes.

발걸이부(1000)가 형성되는 경우 전술한 연결봉(121)의 길이는 대응하여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발걸이부(1000)와 바닥을 서로 간섭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foot rest 1000 is forme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121 described above may be correspondingly extended. Therefore, the foot rest 1000 and the floor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발걸이부(10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걸이부(1001)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발걸이부(100)를 배치하는 경우, 발걸이부(1000)의 일 측에 발등걸이부(1001)를 함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 footrest unit 1001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ootrest unit 1000 as shown. That is, when arranging the footrest unit 10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ootrest unit 1001 on one side of the footrest unit 1000.

발걸이부(1000)가 형성되면 발바닥이 고정되므로 하체 측에 힘을 주어 또 다른 다양한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발걸이부(1000)로 다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더 편안하게 착석할 수도 있다. 또한 몸을 뒤로 제치는 경우에는, 발등걸이부(1001)와 발걸이부(1000) 사이에 발을 끼고 체중을 버팀으로써 운동 효과를 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걸이부(1000)를 포함하는 운동기구(1-8)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footrest unit 1000 is formed, the sole of the foot is fixed, so the user can exercise in various postures by applying strength to the lower body. Additionally, the foot rest unit 1000 distributes the load on the legs so that the user can sit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when putting the body backwards, the exercise effect can be increased by supporting the body weight with the foot between the footrest unit 1001 and the footrest unit 1000.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exercise equipment (1-8) including the footrest unit (1000).

이하,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작동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운동기구의 변형례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4.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확장발판과 보조손잡이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n extension footrest and an auxiliary handle.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9)는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확장발판(1100) 및 확장발판(1100)에서 연장되어 사람(B)이 확장발판(1100)을 디디고 선채로 쥘 수 있는 보조손잡이(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도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의 어느 측에도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the exercise equipment 1-9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footrest 1100 and an extension footrest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handle (1200) that extends from (1100) so that a person (B) can hold it while standing while stepping on the extension step (1100). This configuration is also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확장발판(1100)은 제1베이스판(110) 또는 제2베이스판(210) 보다 넓게 형성되어 확장된 발디딤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24의 (a)처럼 사람(B)이 선 상태로 또는, 도 24의 (b) 및 (c)와 같이 다리를 벌리고 더욱 역동적인 상태로 다양하게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효과도 배가시킬 수 있다.The extended footrest 110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to provide an expanded stepping space. Accordingly, person B can assume various postures, such as in a standing state, as shown in (a) of Figure 24, or in a more dynamic state with legs spread, as shown in (b) and (c) of Figures 24. This can double the effect of exercise.

보조손잡이(1200)는 확장발판으로부터 사람(B)의 머리 쪽으로 돌출된다. 보조손잡이(1200)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 사람(B)이 확장발판(1100)을 디디고 선채로 쥘 수 있다. 따라서 보조손잡이(1200)와 확장발판(1100)을 같이 사용하면 더욱 다양한 자세를 취하며 선 채로 운동할 수 있다.The auxiliary handle 1200 protrudes from the extended footrest toward the head of the person (B). The auxiliary handle (1200) has sufficient length so that a person (B) can hold it while standing while stepping on the extension step (1100). Therefore, by using the auxiliary handle (1200) and the extension footrest (1100) together, you can exercise while standing in more diverse postures.

한편 이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유동성조절부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아암(510)과 흡배기조절모듈(520)을 함께 배치하고 필요한 순간에 사람(B)의 조작에 의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5, the second liquidity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That is, the above-described arm 510 and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can be placed together and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manipulation by a person (B) at the necessary moment.

이때 전술한 연장관(530)은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흡배기조절모듈(520)을 보조손잡이(1200) 근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사람(B)은 확장발판(1100)을 디디고 선 채로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조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 때나 자신이 원하는 자세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pipe 530 extends lo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to position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near the auxiliary handle 1200. That is, a person (B) can operate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while standing on the extension footrest 1100, and thus can arrang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n the desired posture at any time. It can be fixed.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조손잡이(1200)이 일 측에는 흡배기조절모듈(520)을 거치하는 홀더 등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홀더에 흡배기조절모듈(520)을 올려두고 운동하다가 필요한 순간 흡배기조절모듈(5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발판(1100)과 보조손잡이(1200)와 유동성조절모듈을 함께 활용할 수 있으며 특정 자세에서는 흡배기조절모듈(520)로 배치를 고정하고 원하는 자세를 지속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a holder for mounting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andle 1200. In such a case,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can be placed on the holder and exercised, and then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can be operated when necessary. In this way, the extended footrest 1100, the auxiliary handle 1200, and the fluidity control module can be used together, and in a specific posture, the arrangement can be fixed with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and the desired posture can be maintained.

이하,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구성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운동기구의 중간연결바의 작동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에서 중간연결바의 관절(1311)은 모두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7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26. In FIGS. 26 to 30, the joints 1311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are all shown in cross section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중간연결바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ing bar.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10)는 제1몸체(100)의 중앙돌출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 사이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중간연결바(1310)를 더 포함한다. 중간연결바(1310)는 관절(1311)이 형성되어 있어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가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exercis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entral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It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ing bar 1310 movably connected therebetween.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s formed with a joint 1311, so that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구체적으로, 중간연결바(1310)는 중앙돌출부(120)와 제2베이스판(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연결바(1310)는 양단부가 중앙돌출부(120) 및 제2베이스판(210)과 각각 연결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가능한 관절(1311)로 형성된다. 따라서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at least one of the two ends is formed as a movable joint 1311. Therefor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limited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중간연결바(1310)는 예를 들어, 중앙돌출부(120)의 상단에 위치한 말단연결바(122)에서 돌출되어 반대편의 제2베이스판(21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연결바(1310)는 양단부가 중앙돌출부(120) 및 제2베이스판(210)에 각각 연결된 일직선 상의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연결바(131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절(1311)이 형성된다.For example,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protrude from the end connection bar 122 located at the top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be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on the opposite side.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be formed as a straight bar with both end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A joint 1311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도 26에는 중간연결바(1310)의 제2베이스판(210)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관절(1311)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었지만,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중간연결바(1310)의 반대편 타단부에 관절(1311)이 형성될 수도 있다(도 30참조). 또한 가능한 경우 중간연결바(1310)의 양단부 모두에 관절(1311)이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Figure 2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joint 1311 is form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the joint 131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A joint 1311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see Figure 30). Additionally, if possible, joints 1311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s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e drawings.

도 27을 참조하여 중간연결바(1310)의 관절(1311)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연결바(1310)의 관절(1311)은 연결부에 구면베어링(1311a)이 적용된 볼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면베어링(1311a)은 중간연결바(1310)의 단부에 연결된 구체형상의 연결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절(1311)은 그러한 구면베어링(1311a)이 적용된 볼관절로 도시되었다. 볼관절은 구면베어링(1311a)을 중심으로 상하 좌우로 입체적인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연결바(1310)가 움직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회전이나 각도변경 등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Referring to FIG. 27, the structure of the joint 1311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joint 1311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include a ball joint to which a spherical bearing 1311a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spherical bearing 1311a may be a spherical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n this embodiment, the joint 1311 is shown as a ball joint to which such a spherical bearing 1311a is applied. Since the ball joint is capable of three-dimensional rotation up, down, left, and right around the spherical bearing 1311a, rotation or angle change is relatively free with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도 27을 참조하면, 관절(1311)은 중간연결바(1310)의 단부에 형성된 구면베어링(1311a)과 구면베어링(1311a)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켓부(1311b) 및 소켓부(1311b)와 구면베어링(1311a)의 결합부위를 차폐하는 연질차폐막(1311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면베어링(1311a)이 소켓부(1311b)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관절(1311)의 가동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절(1311)의 결합부위는 노출되지 않도록 연질차폐막(1311c)으로 보호된다. 소켓부(1311b)와 구면베어링(1311a) 사이의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 관절(1311)의 상하 좌우 회전이 생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7, the joint 1311 includes a spherical bearing 1311a formed at the end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a socket portion 1311b into which the spherical bearing 1311a is rotatably inserted, and a socket portion 1311b. It may include a soft shielding film 1311c that shield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pherical bearing 1311a. The spherical bearing 1311a can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311b to form a movable structure for the joint 1311. The joint portion of the joint 1311 is protected with a soft shielding film 1311c so as not to be expose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ocket portion 1311b and the spherical bearing 1311a generates up-down, left-right rotation of the joint 1311.

소켓부(1311b)는 관절(1311)의 말단에 해당되므로 관절(1311)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결합대상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중간연결바(1310)의 제2베이스판(210)을 향하는 단부에 관절(1311)이 형성된 경우에는 소켓부(1311b)가 제2베이스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중간연결바(1310)의 중앙돌출부(120)를 향하는 단부에 관절(1311)이 형성된 경우에는(도 30참조) 소켓부(1311b)가 중앙돌출부(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Since the socket portion 1311b corresponds to the distal end of the joint 1311, the coupling target may chang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joint 1311 is formed. For example, as shown, when the joint 131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facing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socket portion 1311b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re is. However, on the contrary, when the joint 131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fac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see FIG. 30), the socket portion 1311b may be coupled 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이러한 관절(1311)이 형성된 중간연결바(1310)를 중앙돌출부(120)와 제2베이스판(210) 사이에 연결하면 도 26의 (b)처럼 사람(B)이 제2몸체(200) 측으로 하중을 가하더라도, 제2몸체(200)가 제1몸체(100)에 대해 움직이는 가동범위가 중간연결바(1310)의 관절(1311) 가동범위 내로 제한된다. 즉 볼관절로 이루어진 관절(1311) 가동범위 내에서 제2몸체(200)는 회전 등이 가능하지만 중간연결바(131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 흔들림은 억제된다. 따라서 운동기구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bar 1310 on which such joints 1311 are formed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person B moves toward the second body 200 as shown in (b) of FIG. 26. Even if a load is applied, the range of motion of the second body 20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0 is limited to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That is, the second body 200 can rotate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which is made up of a ball joint, but vertical and horizontal shaking is suppressed because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is connected. Therefore, additional stability can be provided to the exercise equipment.

즉 중간연결바(1310)를 배치하면 인장탄성체(300)의 탄성력에 의한 위치조정 동작에 중간연결바(1310)에 의한 가동범위 제한이 추가되어 제2몸체(200)의 제1몸체(10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이 제한되고 과도한 흔들림은 억제된다. 볼관절에 의해서 관절의 가동범위 내에서 제2몸체(200)의 회전은 유효하게 형성되므로 도시된 것처럼 일 측으로 기울인 상태 등으로 유지하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동작 등은 더 안정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운동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자 등에게 유용할 수도 있다. 중간연결바(1310)는 착탈식 결합구조(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s disposed, a limit to the range of motion due to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s add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so that the first body 100 of the second body 200 Relative movement is limited and excessive shaking is suppressed. Since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200 is effectively formed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by the ball joint, movements such as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body while maintaining the body in a tilted state to one side as shown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This structure may be useful, for example, for beginners who have just started exercising.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using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not shown).

도 28은 도 27의 중간연결바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Figure 27.

한편 도 28을 참조하면, 중간연결바(1310)는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간연결바(13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중간연결바(1310)의 양단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바(1310)의 수축 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압축스프링(1313)이 개재될 수 있다. 제1압축스프링(1313)은 예를 들어 중간연결바(1310)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8,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be transformed into a stretchable structure. For example,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may be formed to be flex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uch case, a first compression spring 1313 that generates elastic force when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s contracted may be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For example,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1313 may be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중간연결바(1310)는 예를 들어, 양단부의 사이에 실린더와 피스톤의 결합구조에 대응하는 신축구조로 이루어진 신축연결부(1312)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스프링(1313)은 중간연결바(1310)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 등에 지지되어 중간연결바(131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연결바(1310)가 신축되면 상하방향 유동성이 증가되는 동시에 제1압축스프링(1313)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시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안정성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중간연결바(1310)를 신축 가능한 구조로 변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astic connection portion 1312 between both ends, which is made of an expansion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ylinder and the piston.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1313 may be supported on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and generate elastic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Therefore, when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is expanded and contracted, the fluidity in the vertical and downward directions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stability can be properly maintained because it receives an elastic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contract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1313. In this form, the intermediate connecting bar 1310 may be transformed into a stretchable structure.

도 29는 도 26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고, 도 30은 도 26의 운동기구의 중간연결바의 다른 배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29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26, and Figure 30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nother arrangement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26.

따라서 도 26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몸체(100)를 바닥에 지지하고 사용하거나, 또는 도 29처럼 제2몸체(200)를 바닥에 지지하고 사용하는 어느 경우에도 중간연결바(1310)를 이용하여 수직, 수평의 과도한 흔들림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회전운동은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B)은 도 26처럼 제2몸체(200)를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경사를 유지하거나, 도 29처럼 제1몸체(100)를 역시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경사를 유지하면서 균형을 잡는 등의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S. 26 and 29, in any case where the first body 100 is supported and us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26, or the second body 200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used as shown in FIG. 29 Excessive vertical and horizontal shak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using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In addition, since free rotational movement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the person (B) maintains the inclination by rotating the second body 200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as shown in Figure 26. Like 29, the first body 100 can also be rotated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to maintain an inclination and perform more stable movements such as maintaining balance.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중간연결바(1310)의 관절(13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돌출부(120)와 연결되는 타단부 측에도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관절(1311)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동범위 또는 회전범위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관절(1311)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 운동기구 전체의 회전중심도 바뀌므로 사람(B)이 상방에서 같은 하중을 같은 지점에 가하더라도 바닥에 지지되지 않은 유동부(제1몸체 또는 제2몸체)의 회전각도나 경사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관절(1311)의 위치에 따라 안정성과 유동성도 변화되므로 다양한 운동효과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관절(1311)이 형성된 중간연결바(1310)를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0, the joint 1311 of the middle connecting bar 1310 can be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as described above, so the position of the joint 1311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You can change it to change the range of motion or rot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joint 1311 chang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entire exercise device also changes, so even if a person (B) applies the same load to the same point from above, the moving part (first body or second body) that is not supported on the floor The rotation angle or inclination may change. Therefore, since stability and fluidity chan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joint 1311, the intermediate connecting bar 1310 with the joint 1311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can be plac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taking into account various exercise effects.

이하,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2 및 도 33은 도 31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며, 도 34는 도 31의 운동기구의 탄성모듈의 다른 배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2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2 and 33 are operating diagrams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1, and Figure 34 is a diagram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1. This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 different arrangement.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는 탄성모듈을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n elastic module.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11)는 제1몸체(100)의 중앙돌출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 사이의 공간에 탄성모듈(1400)을 더 포함한다. 탄성모듈(1400)은 양단부가 중앙돌출부(120) 및 제2베이스판(210)에 각각 지지되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모듈(1400)은 예를 들어,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체중이 과도하게 무겁거나 움직임이 과격하여 바닥에 지지되지 않은 유동부(제1몸체 또는 제2몸체)가 불안정한 상황을 해소하는 데 더욱 효과적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the exercise device 1-11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entral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An elastic module 1400 is further included in the space between them. The elastic module 1400 is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and is at least partially compres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generates elastic force. You can do it. This elastic module 1400 can be used to solve a situation where the moving part (first body or second body) that is not supported on the floor is unstable due to, for example, an excessively heavy weight or excessive movement of a person using exercise equipment. It can be more effective.

본 실시예의 탄성모듈(140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이 가능하므로 이하, 2가지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Since the elastic module 1400 of this embodimen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wo types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below.

도 31을 참조하면, 탄성모듈(1400)은 중앙돌출부(120)와 제2베이스판(210)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압축스프링(14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하나의 제2압축스프링(1401)이 예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스프링의 개수는 얼마든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형상도 변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압축스프링(1401)은 일측 단부로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추형 스프링을 이용하여 휨 현상 등에 강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하중 등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1, the elastic module 14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Although on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number of springs can be increased as needed.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spring can be modified. Preferably,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may be formed as a conical spring whose width is narrowed at one end. By using the conical spring, a strong effect against bending phenomenon, etc. can be obtai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excessive loads, etc.

예를 들면, 제2압축스프링(1401)은 상대적으로 넓은 바닥부를 중앙돌출부(120)의 말단연결바(122)측에 지지하고 반대편 상단부를 제2베이스판(210)측에 지지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제2압축스프링(1401) 역시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스프링의 양단부 등에 적절한 착탈구조(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may be installed with its relatively wide bottom supported on the end connecting bar 122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opposite upper end support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side. You can.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may also be formed to be detachable, and in such case, an appropriate detachable structure (not show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그러나 제2압축스프링(1401)의 배치가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2압축스프링(1401)의 원추형 구조를 역으로 뒤집은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도 34참조). 본 발명의 운동기구(1-11)는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를 바닥에 지지하는 방식으로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형태나 사용법 또는 운동법에 맞게 탄성모듈(1400)의 적용형태를 얼마든지 바꾸어 줄 수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does not need to be limited as such,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with its conical structure reversed (see Figure 34). Since the exercise equipment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by supporting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on the floor,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form of use, method of use, or exercise method. The application form of the elastic module 1400 can be chang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이러한 탄성모듈(1400)을 이용하여 사람(B)이 가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과격한 운동을 하는 경우 운동기구(1-11)를 더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제2압축스프링(1401)은 압축되면서 역방향의 탄성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생성하는 인장탄성체(300)와 그 효과가 복합되어 큰 하중도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압축스프링(1401)이 제2베이스판(210)과 중앙돌출부(120) 사이에서 하중에 의해 간격이 과도하게 감소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운동기구의 과도한 유동을 막고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2 and 33, using the elastic module 1400, the exercise equipment 1-11 can be more effectively stabilized when the load applied by the person B is relatively large or the exercise equipment 1-11 performs an extreme exercise. Since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as it is compressed, its effect is combined with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which generates an elastic force as it expands, so that it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a large load. In particular,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serve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from being excessively reduced by the loa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flow of the exercise equipment and providing stability. You can.

이러한 경우에도 운동기구(1-11)는, 도 32처럼 제1몸체(100)를 바닥에 지지하거나, 도 33처럼 제2몸체(200)를 바닥에 지지하여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모듈(1400)은 사람(B)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의 작용방향, 크기 등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가 적절히 변형되면서 변형에 대응하는 탄성력(복원력)으로 운동기구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압축스프링(1401)으로 이루어진 탄성모듈(1400)을 형성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exercise device 1-11 can be used in both directions by supporting the first body 100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32 or by supporting the second body 200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33, and includes an elastic module ( 1400), when a load from a person (B) is applied, at least part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appropriately deformed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load, and the exercise equipment can be stabilized with elastic force (restor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In this way, the elastic module 1400 consisting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can be formed.

또한 도 34와 같이 탄성모듈(1400)은 제2압축스프링(1401)의 원추형 구조를 역으로 뒤집은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제2몸체(200)를 바닥에 지지하는 경우나 또는 반대로 제1몸체(100)를 바닥에 지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필요나 운동방식 등에 따라서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4, the elastic module 1400 can be installed with the conical structure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reversed, so that the second body 200 is supported on the floor or Conversely, when supporting the first body 100 on the floor, it can be used in an appropriate manner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or exercise method.

도 35는 도 31의 운동기구의 탄성모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며, 도 37은 도 35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FIG.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31, FIG. 36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35, and FIG. 37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35.

한편, 도 35를 참조하면, 탄성모듈(1400)은 탄성성형물(1402)을 이용한 형태로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성모듈(1400)은 중앙돌출부(120)와 제2베이스판(210)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성형물(1402)을 포함하고, 탄성성형물(1402)은 예를 들어 스펀지, 우레탄폼, 고무튜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성형물(1402)은 탄성을 갖는 물질을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탄성성형물(1402)은 압축 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압축탄성체일 수 있으며 여러가지 성형방식(예,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 등)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5, the elastic module 1400 can be modified into a form using an elastic molding 1402. For example, the elastic module 1400 includes an elastic molding 1402 inser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elastic molding 1402 is, for example, sponge, urethane foam, or rubber. It may be formed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ubes. The elastic molding 1402 may be formed by molding an elastic material into an appropriate shape and may be made of one or two or more materials. The elastic molding 1402 may be a compression elastic material that generates elastic force when compressed, and can be manufactured into a desired shape using various molding methods (e.g.,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etc.).

도 36을 참조하면, 이러한 탄성성형물(1402)은 지지대(1410)와 함께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탄성모듈(1400)은 탄성성형물(1402)과 중앙돌출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성형물(1402)을 제2베이스판(210)에 밀착시키는, 받침(1411)이 형성된 지지대(1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성형물(1402)은 운동기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성형물(1402)은 중앙에 관통 형성된 탄력조절홈(1403)을 포함하여 탄력조절홈(1403)에 의해 변형형태나 변형한도 등이 조절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6, this elastic molding 1402 can be placed together with the support 1410.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but for example, the elastic module 1400 is a support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molding 1402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adhere the elastic molding 1402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1410 on which 1411 is formed. As shown, the elastic molding 1402 may be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ercise device, and may preferabl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elastic molding 1402 includes an elasticity adjustment groove 1403 formed through the center, and the deformation form or deformation limit may be adjusted by the elasticity adjustment groove 1403.

받침(1411)이 형성된 지지대(1410)는 부피가 있는 탄성성형물(1402)을 제2베이스판(210) 측으로 밀착시켜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1411)의 길이나 배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인장탄성체(300)의 가동범위와 중첩되지 않게 탄성성형물(1402)을 배치할 수 있다. 지지대(1410)는 탄성성형물(1402)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성형물(1402)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받침(1411)은 원통형상의 바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1411)들은 예를 들어, 중앙돌출부(120)의 말단연결바(122)위에 회전 대칭 형태로 균형을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1410 on which the support 1411 is formed can serv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ulky elastic body 1402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 Preferably, the elastic molding 1402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the movable rang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length or arrangement of the support 1411. The support 1410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molding 1402 to effectively support the elastic molding 1402, and the support 1411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bar. For example, the supports 1411 may be arrang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balanced manner on the end connecting bar 122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도 3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탄성성형물(1402)을 포함하는 탄성모듈(1400)을 이용하여 역시 사람(B)이 가하는 하중이 크거나 과격한 운동을 하는 경우 등에 운동기구를 효과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성형물(1402) 역시 압축되면서 압축방향의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생성하므로 인장탄성체(300)와 효과가 복합되어 큰 하중도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탄성성형물(1402)은 다양한 방향으로 입체적인 압축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대응방향으로 다양하게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운동기구를 움직이는 과격한 운동 등에 있어 운동기구를 안정시키는 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 by using the elastic module 1400 including the elastic molding 140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abilize the exercise equipment when the load applied by the person B is large or the exercise is excessive. . The elastic molding 1402 is also compressed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direction, so the effect is combined with the tensile elastic material 300 and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a large load. In particular, the elastic molding 1402 can be three-dimensionally compressed in various directions and can apply elastic force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ly, so it can be more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exercise equipment in extreme movements such as moving the exercise equipment in various directions. .

이러한 경우에도, 운동기구(1-11)는 도 37의 (a), (b)처럼 제1몸체(100)를 바닥에 지지하거나, 도 37의 (c), (d)처럼 제2몸체(200)를 바닥에 지지하여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성형물(1402)의 형상, 재질 등은 변경도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예를 들면, 탄성성형물(1402)의 너비나 두께 등을 조절하여 공간을 채우거나, 탄성성형물(1402) 중 하중이 자주 작용하는 특정지점의 탄성력을 부분적으로 강화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탄성모듈(14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탄성모듈(1400)을 제1몸체(100)의 중앙돌출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하여 사람(B)의 하중이 특히 과도하거나 움직임이 과격하여 운동기구가 더 크게 유동할 수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exercise device 1-11 supports the first body 100 on the floor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s 37, or supports the second body (100) as shown in (c) and (d) of Figures 37. 200) can of course be supported on the floor and used in both directions.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elastic molding 1402 can be changed, so for example,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elastic molding 1402 can be adjusted to fill the space, or the elastic molding 1402 is subject to frequent loa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user-customized elastic module 1400 by partially strengthening the elastic force at a specific point. In this way, the elastic module 1400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so that the load of the person B is particularly reduced. It can also respond effectively in cases where the movement is excessive or extreme and the exercise equipment may move more widely.

이하,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고, 도 39는 도 38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Figure 38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3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9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38.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는 착탈식 고정봉과 관련구조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 removable fixing rod and related structures.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1-12)는 제1몸체(100)의 중앙돌출부(120)로부터 제2몸체(200)의 제2베이스판(210)으로 인출되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상호 고정시키는 착탈식 고정봉(1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착탈식 고정봉(1510)을 이용하여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유동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한 상태로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8, the exercise device 1-12 according to the 13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ody 100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of the second body 200. It may further include a removable fixing rod 1510 that is pulled out and fixes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o each other. That is, the exercise device can be used with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ompletely fixed so that they do not move using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도 38에는 착탈식 고정봉(1510)과 착탈식 고정봉(1510)이 결합되는 고정소켓(1520)이 분리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착탈식 고정봉(1510)은 중앙돌출부(120)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며 고정소켓(1520)은 제2베이스판(210)의 착탈식 고정봉(1510)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형상 등을 보여주기 위해 고정소켓(1520)을 분리상태로 도시하였지만 고정소켓(1520)은 제2베이스판(210)에 결합되어 제2베이스판(210)과 함께 움직이는 제2베이스판(210)의 일부일 수 있다.In Figure 38,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and the fixing socket 1520 to which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are coupled are shown in a separated state.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is movably coupled in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fixing socket 152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re is. Although the fixed socket 1520 is shown in a separated state to show the shape, etc., the fixed socket 1520 is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base plate 210. It may be part of

도 39를 참조하면, 착탈식 고정봉(1510)은 중앙돌출부(120)에서 인출되고, 말단이 제2베이스판(2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탈식 고정봉(1510)은 말단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베이스판(210)에 형성된 고정소켓(15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결합구조로 착탈식 고정봉(1510)은 제1몸체(100)에 대한 제2몸체(200)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도 39의 (a) 및 (b)].Referring to FIG. 39,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s pulled out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e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Preferably, the end of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socket 1520 form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as described above. With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20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0 (FIG. 39 (a) and (b)).

도 38을 참조하면 착탈식 고정봉(1510)은, 중앙돌출부(1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유동홈(15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착탈식 고정봉(1510)은 유동홈(1522)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52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1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판(210)은 착탈식 고정봉(1510)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521)이 형성된 고정소켓(15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low groove 1522 extending in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may include a handle 1511 that protrudes outward through a guide hole 1523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groove 1522. The second base plate 210 may include a fixing socket 15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521 into which the end of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s inserted.

유동홈(1522)은 예를 들어 중앙돌출부(120)의 연결봉(12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식 고정봉(1510)이 유동홈(1522)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 중앙돌출부(120)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유동홈(1522)의 말단은 착탈식 고정봉(1510)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홀(15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홈(1522)을 따라 연장된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1511)을 이용하여 착탈식 고정봉(15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말단이'ㄱ'자 형태로 꺾여 있을 수 있다.The flow groove 1522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penetrating the connecting rod 121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can slide along the flow groove 1522 and be pulled out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 end of the flow groove 1522 may be open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to enable discharge of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The guide hole 1523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flow groove 1522 as shown, and has an 'ㄱ'-shaped end so that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can be fixed using the handle 1511. It may be bent into shape.

핸들(1511)은 가이드홀(1523)을 통해 중앙돌출부(12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1511)로 핸들(1511)과 연결된 착탈식 고정봉(1510)을 조작하여, 유동홈(1522) 외측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유동홈(1522) 안으로 인입할 수 있다. 핸들(1511)은 가이드홀(1523)을 관통하는 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착탈식 고정봉(1510)을 유동홈(1522)에 삽입한 후, 가이드홀(1523)을 통해서 착탈식 고정봉(1510)에 결합할 수 있다.The handle 15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rough the guide hole 1523.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connected to the handle 1511 with the handle 1511 to withdraw it to the outside of the flow groove 1522 or retract it back into the flow groove 1522. The handle 15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penetrating the guide hole 1523. For example, after inserting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nto the flow groove 1522,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s inserted into the flow groove 1522 and then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through the guide hole 1523. It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rod (1510).

따라서 도 39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핸들(1511)을 밀어올리면 착탈식 고정봉(1510)은 말단이 제2베이스판(210)에 형성된 고정소켓(1520)의 삽입홈(1521)으로 삽입되며, 이때에 핸들(1511)을 가이드홀(1523)의 'ㄱ'자 말단에 돌려서 삽입하면 착탈식 고정봉(1510)은 인출 상태로 고정된다. 착탈식 고정봉(1510)이 삽입홈(152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더라도, 도 39의 (b)처럼 사람(B)이 하중이 가해지면 자연적으로 깊이 삽입되면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상대적인 유동은 저지할 수 있다. 삽입홈(1521)은 착탈식 고정봉(1510)을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입구 측이 안쪽으로 모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39 (a) and (b), when the handle 1511 is pushed up, the end of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xing socket 1520 formed on the second base plate 210. 1521), and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1511 is turned and inserted into the 'L' shaped end of the guide hole 1523,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is fixed in the drawn-out state. Even if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21, when a load is applied by a person (B) as shown in (b) of Figure 39, it is naturally deeply inserted and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 200) relative flow can be prevented. The insertion groove 152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here the entrance side gathers inward to guide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inward.

이와 같이 착탈식 고정봉(1510)을 형성하면, 도 39의 (a), (b)처럼 착탈식 고정봉(1510)을 인출하고 고정소켓(1520)에 삽입하여 운동기구를 고정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고정봉(1510)을 중앙돌출부(120) 내부로 인입한 채로, 도 39의 (c)처럼 평상시와 같은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착탈식 고정봉(1510)을 인입하면 바닥에 지지되지 않은 유동부(제1몸체 또는 제2몸체)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착탈식 고정봉(1510)으로 운동기구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저지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If the removable fixing bar 1510 is formed in this way, the exercise equipment can be used in a fixed form by pulling out the removable fixing bar 1510 and inserting it into the fixing socket 1520,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39. In addition, the removable fixing rod 1510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used as usual, as shown in (c) of FIG. 39. When the removable fixing bar 1510 is inserted, the moving part (first body or second body) that is not supported on the floor can move freely, so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allowed with the removable fixing bar 1510, or Alternatively, you can use the exercise equipment in a variety of ways while holding back.

이하,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0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의 부분분해도이다. Figure 40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외에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항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an angle adjusting unit.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focused on.

한편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서 운동기구(1-13)는 중앙돌출부(12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가변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기구는 각도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하중을 불균형하게 가하는 동시에(하중의 비대칭적 분산) 운동기구의 유동부(제1몸체 또는 제2몸체)각도를 조절해 놓고 반대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도 42참조). 본 발명은 의자 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윗면을 경사면 등으로 두고 앉은 채로 운동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경사면에 대해 반대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각도 조절형 가변기구로 본 발명의 활용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0, in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1-13 may include a variable mechanism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variable mechanism is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user applies the load unbalanced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the load)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the angle of the moving part (first body or second body) of the exercise device and maintains the opposite balance. can also be used (see Figure 42).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hair, etc., it is possible to exercise or rest while sitting with the upper surface as an inclined surfa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exercise in a way to maintain counter balance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gle-adjustable variable mechanism. The utiliz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가변기구는 예를 들어, 중앙돌출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운동기구(1-13)는 중앙돌출부(120) 일 측에 중앙돌출부(120)가 제1베이스판(110)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1600)는 중앙돌출부(120)가 제1베이스판(110)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수직방향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variable mechanism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protrusion 12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0, the exercise device 1-13 further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unit 1600 on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at changes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can do.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plate 110 to be varied to various angl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각도조절부(1600)는 중앙돌출부(120)를 축(16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지향방향을 바꾸는 축관절(16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돌출부(120)는 축관절(16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꺾이는 방식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축관절(1610)은 예를 들어, 중앙돌출부(120)의 연결봉(121)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결봉(121)과 제1베이스판(11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gle adjustment unit 1600 may include an axis joint 1610 that changes the orientat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about the axis 1601. The angl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can be adjusted by rotating and bending around the axis joint 1610. The axis joint 1610 may be formed, for example, on the connecting rod 121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is preferably disposed at a connection point where the connecting rod 121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are connected. You can.

각도조절부(1600)는 고정구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조절부(1600)는, 축관절(16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축관절(1610)의 축(1601)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1620)와, 제1베이스판(110)에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치(1620)에 치함되어 축관절(1610)을 고정하는 래칫모듈(1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칫모듈(1630)과 치(1620)의 결합에 의해 축관절(1610)을 특정 회전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may also include a fix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1620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xial joint 1610 and ar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1601 of the axial joint 1610, and a first base plate ( It may further include a ratchet module 1630 disposed in 110 and having an end engaged with the teeth 1620 to fix the axis joint 1610. Therefore, the axis joint 1610 can be fixed at a specific rotation angle by combining the ratchet module 1630 and the teeth 1620.

예를 들어, 치(1620)들은 축관절(1610)의 가동부에 형성된 기어뭉치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축관절(1610)의 가동부는 축(1601)을 중심으로 제1베이스판(110)에 대해 회전하며 가동되는 축관절(1610)의 일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축관절(1610)이 회전하면 축에 대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치(1620)들이 함께 회전되며, 회전상태에서 래칫모듈(1630)을 치(1620)에 치합시키면 축관절(1610)은 특정각도로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상태로 중앙돌출부(120)의 각도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도 42참조).For example, the teeth 16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ear bundle formed on the movable part of the axis joint 1610. The movable part of the axial joint 1610 refers to a part of the axial joint 1610 that rotates and mov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plate 110 around the axis 1601. Therefore, when the axis joint 1610 rotates, the teeth 1620 arranged radially about the axis rotate together, and when the ratchet module 1630 is engaged with the teeth 1620 in the rotation state, the axis joint 1610 rotates at a specific angle. The rotation stops. Therefore, it can be used by fixing the angl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 an inclined state (see Figure 42).

구체적으로 래칫모듈(1630)은, 탄성체(163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회전식레버(1631)와, 회전식레버(1631)의 일 측에서 치(1620)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치(1620)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6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조작에 의해 삽입돌기(1633)를 치(1620)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여, 축관절(1610)을 가동상태 또는 고정상태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각도조절부(1600)의 가동방식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ratchet module 1630 includes a rotary lever 1631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1632, and a rotary lever 1631 that protrudes toward the teeth 1620 from one side of the rotary lever 1631 and moves the teeth 1620 by elasticity.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1633 inserted therebetween. Therefore, by manipulating the lever, the insertion protrusion 1633 can be coupled or disengaged from the teeth 1620, allowing the axis joint 1610 to be freely used in a movable or fixed state. 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1은 도 40의 운동기구의 각도조절부의 가동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42는 도 40의 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Figure 4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ngle adjustment part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40, and Figure 42 is a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of Figure 40.

도 41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처럼 운동기구(1-13)는 중앙돌출부(1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중앙돌출부(120)가 제1베이스판(110)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1600)는 중앙돌출부(120)를 축(16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지향방향을 바꾸는 축관절(1610)과, 축관절(1610)을 고정하는 래칫모듈(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축관절(1610)은 중앙돌출부(120)의 연결봉(121)과 제1베이스판(11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치되고, 래칫모듈(1630)은 제1베이스판(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1, as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device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unit that changes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with the first base plate 110. (1600) may be included.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may include an axis joint 1610 that changes the orientat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about the axis 1601, and a ratchet module 1630 that fixes the axis joint 1610. there is. The axis joint 1610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int where the connecting rod 121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are connected, and the ratchet module 1630 is install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You can.

치(1620)들은 축관절(1610)의 외측에 축관절(1610)의 축(1601)에 대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관절(1610)의 가동부에 기어뭉치 등의 형태로 치(1620)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가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치(1620)들의 형성방식이나 구조는 변형도 가능하다. 즉 축관절(1610) 외측에 형성된 치(1620)와 치합되어 축관절(1610)의 가동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치(1620)들의 형태나 배치방식 등은 적절히 바꾸어 줄 수도 있다.The teeth 162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xial joint 1610 as protrusions that protrude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1601 of the axial joint 1610. As described above, teeth 1620 may be formed in the movable part of the axis joint 1610 in the form of a gear bundle, etc. However, the structur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as such, and the formation method or structure of the teeth 1620 can be modified. That is,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teeth 162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they engage with the teeth 162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xial joint 1610 to forcibly fix the movement of the axial joint 1610.

래칫모듈(1630)은 말단에 삽입돌기(1633)가 형성된 회전식레버(16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레버(1631)는 탄성체(1632)에 탄지되어 있으며 레버축(1631a)을 통해 제1베이스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632)가 레버를 밀어올리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말단의 삽입돌기(1633)는 레버의 회전방향으로 전진되어 치(1620)의 사이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탄성체(1632)는 압축탄성체일 수 있다.The ratchet module 1630 may include a rotary lever 1631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1633 formed at its end. The rotary lever 1631 is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1632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through the lever shaft 1631a. Therefore, when the elastic body 1632 pushes up the lever, the insertion protrusion 1633 at the end advanc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ever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and is automatically inserted between the teeth 1620. The elastic body 1632 may be a compression elastic body.

도 41의 (a)는 삽입돌기(1633)가 치(1620)에 치합되어 축관절(1610)이 고정된 상태이나 래칫모듈(1630)의 회전식레버(1631)를 조작하여 삽입돌기(1633)를 치(1620)들 사이에서 분리하면, 도 41의 (b)와 같이 축관절(1610)은 자유롭게 가동된다. 따라서 축관절(1610)을 가동하여 축(1601)을 중심으로 중앙돌출부(120)를 회전시키고 중앙돌출부(120)의 지향방향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점선화살표는 가동범위를 예시).In Figure 41 (a), the insertion protrusion 1633 is engaged with the teeth 1620 and the axis joint 1610 is fixed, but the insertion protrusion 1633 is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rotary lever 1631 of the ratchet module 1630. When separated between the teeth 1620, the axis joint 1610 is freely movable, as shown in (b) of Figure 41. Therefore, by moving the axis joint 1610, the central protrusion 120 can be rotated around the axis 1601, and the orienta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can be changed as desired (the dotted arrow indicates the range of motion).

회전식레버(1631)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체(163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자동으로 삽입돌기(1633)를 치(1620)들 사이에 삽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앙돌출부(120)를 회전시켜 지향방향을 바꾼 후(즉 각도 조절후) 레버를 놓는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게 축관절(16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래칫모듈(1630)의 회전식레버(1631)를 간단히 조작하는 방식으로 축관절(1610)을 회전시킨 후 특정 회전각에서 추가회전 하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otary lever 1631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632 and automatically inserts the insertion protrusion 1633 between the teeth 1620. Therefore, the user can very easily fix the axis joint 1610 by rotat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change the orientation (i.e., after adjusting the angle) and then releasing the lever. That is, the axis joint 1610 can be rotated by simply manipulating the rotary lever 1631 of the ratchet module 1630 and then locked to prevent further rotation at a specific rotation angle.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2와 같이, 운동기구(1-13)를 중앙돌출부(120)의 각도를 특정 각도로 가변시켜 해당 각도로 고정해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기울어진 각도가 예시되었지만, 축관절(1610)의 가동범위 또는 회전범위에 대응하는 다양한 각도(예, 경사를 급하게 또는 완만하게 조절)로 중앙돌출부(12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도면은 예시에 불과하며 더 다양한 각도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2, the exercise device 1-13 can be us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a specific angle and fixing it at that angle. Although the inclined angle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angl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can be changed to various angles (e.g., adjusting the inclination sharply or gently)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motion or rotation of the axis joint 1610. is just an example and the angle can be changed to more diverse angles.

이와 같이 중앙돌출부(120)가 제1베이스판(11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면 도 42의 (a)처럼 하중이 없는 평형상태에서도 바닥에 지지되지 않은 유동부(도 42에서는 제2몸체이나,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2몸체를 바닥에 지지하면 제1몸체가 유동부가 된다)는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42의 (b)처럼, 사람(B)이 제2베이스판(210)의 한쪽에 하중을 가하면(하중의 비대칭적 분산) 도 42의 (c)처럼, 인장탄성체(300)의 탄성력으로 유동부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중의 비대칭적 분산에 대한 반대균형을 유지하는 용도 등으로도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is dispose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plate 110, even in an equilibrium state without load as shown in (a) of FIG. 42, the moving part (in FIG. 42, the second body) is not supported on the floor. Howev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when the second body is supported on the floor, the first body becomes a moving part) and maintains an inclined state. Therefore, as shown in (b) of Figure 42, when a person (B) applies a load to one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symmetric distribution of load), as shown in (c) of Figure 42,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The moving part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urposes such as maintaining counterbalance to asymmetric distribution of load.

각도조절부(1600)를 이용하면 바닥에 지지되지 않은 유동부(제1몸체 또는 제2몸체)의 변경각도를 급하거나 완만하게 또는 도면의 역방향 각도 등으로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By using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the angle of the moving part (first body or second body) not supported on the floor can be variously adjusted steeply, gently, or in the reverse angle of the draw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such as maintaining balance in various corresponding ways.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variable mechanism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100: 제1몸체 110: 제1베이스판
120: 중앙돌출부 121: 연결봉
121a: 제1장공 122: 말단연결바
122a, 222a: 결합공 122b: 후크홈
200: 제2몸체 210: 제2베이스판
211: 테두리바 220: 고리형돌출부
221: 연결바 222: 연결고리부
222b: 변형부 300: 인장탄성체
310: 제1그룹탄성체 320: 제2그룹탄성체
330: 제3그룹탄성체 400: 제1유동성조절부
410: 고정봉 411: 걸림돌기
412: 핑거 420: 가동바
421, 513: 힌지 421a: 힌지축
421b: 유동장공 422: 제2장공
423: 잠금후크 424, 1511: 핸들
500: 제2유동성조절부 510: 아암
511: 실린더 512: 피스톤
520: 흡배기조절모듈 521: 고정블록
521a: 고정식유로 521b: 흡배기구
522: 회전블록 522a: 변동식유로
523: 레버 530: 연장관
600: 자세측정모듈 610: 압력센서
620: 관성측정장치 631: 이미지센서
632: 마커 640: 중앙모듈
700: 스마트폰 거치부 701: 함체
702: 크래들 703: 고정바
800: 좌석 810: 등받이
820: 발판부 900: 지지다리
910: 신축부 1000: 발걸이부
1100: 확장발판 1200: 보조손잡이
1310: 중간연결바 1311: 관절
1311a: 구면베어링 1311b: 소켓부
1311c: 연질차폐막 1312: 신축연결부
1313: 제1압축스프링 1400: 탄성모듈
1401: 제2압축스프링 1402: 탄성성형물
1403: 탄력조절홈 1410: 지지대
1411: 받침 1510: 착탈식 고정봉
1511: 핸들 1520: 고정소켓
1521: 삽입홈 1522: 유동홈
1523: 가이드홀 1600: 각도조절부
1610: 축관절 1601: 축
1620: 치 1630: 래칫모듈
1631: 회전식레버 1631a: 레버축
1632: 탄성체 1633: 삽입돌기
A: 하중 B: 사람
C1, C2, C3: 컴퓨터장치 D: 디스플레이장치
E: 공기 F: 스마트폰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Exercise equipment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100: first body 110: first base plate
120: central protrusion 121: connecting rod
121a: First long hole 122: End connecting bar
122a, 222a: coupling hole 122b: hook groove
200: second body 210: second base plate
211: border bar 220: ring-shaped protrusion
221: connecting bar 222: connecting ring part
222b: Deformed portion 300: Tensile elastic body
310: 1st group elastic body 320: 2nd group elastic body
330: Third group elastic body 400: First fluidity control unit
410: fixing rod 411: catching protrusion
412: Finger 420: Movable bar
421, 513: hinge 421a: hinge axis
421b: Flow long hole 422: Second long hole
423: locking hook 424, 1511: handle
500: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510: arm
511: cylinder 512: piston
520: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1: fixed block
521a: Fixed oil path 521b: Intake and exhaust port
522: Rotating block 522a: Variable flow path
523: Lever 530: Extension pipe
600: Posture measurement module 610: Pressure sensor
620: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31: Image sensor
632: Marker 640: Central module
700: Smartphone holder 701: Enclosure
702: Cradle 703: Fixing bar
800: Seat 810: Backrest
820: Footrest 900: Support leg
910: Expansion part 1000: Footrest part
1100: Extension footrest 1200: Auxiliary handle
1310: middle connecting bar 1311: joint
1311a: Spherical bearing 1311b: Socket portion
1311c: Soft shielding membrane 1312: Expandable connection part
1313: First compression spring 1400: Elastic module
1401: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2: Elastic molding
1403: Elasticity adjustment groove 1410: Support bar
1411: Support 1510: Removable fixed rod
1511: Handle 1520: Fixed socket
1521: Insertion groove 1522: Flow groove
1523: Guide hole 1600: Angle adjustment unit
1610: Axial joint 1601: Axis
1620: Tooth 1630: Ratchet module
1631: rotary lever 1631a: lever shaft
1632: Elastic body 1633: Insertion protrusion
A: load B: person
C1, C2, C3: Computer device D: Display device
E: Air F: Smartphone

Claims (34)

제1베이스판(110)을 포함하는 제1몸체(100);
제2베이스판(2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100)와 이격된 제2몸체(200); 및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상기 제2몸체(200)에 가해진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개별 신축되며 탄성력으로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인장탄성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베이스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판(210)이 상기 제1몸체(100)의 외측 및 상기 제2몸체(20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하중이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을 통해 가해지도록 형성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 first body 100 including a first base plate 110;
a second body 200 including a second base plate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100; an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is individu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nd the first body 200 is stretched by elastic for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that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an elastic force formed to be applied through the second base plate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베이스판(110)의 중앙에서 상기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 상기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하게 돌출된 중앙돌출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둘레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중앙돌출부(120) 외측에 배치되는 고리형돌출부(220)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인장탄성체(300)는, 상기 중앙돌출부(120)의 말단과 상기 고리형돌출부(220)의 말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중앙돌출부(120)와 상기 고리형돌출부(220) 사이의 거리를 개별 조정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ody 100 further has a central protrusion 120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110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late 110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Contains,
The second body 200 further includes an annular protrusion 220 that protrudes from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toward the first base plate 11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Contains,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ends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to form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annular protrusion 220 at different positions. )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that individually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m.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인장탄성체(300)는, 각각 둘 이상의 상기 인장탄성체(300)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출부(120)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제1그룹탄성체(310), 제2그룹탄성체(320), 및 제3그룹탄성체(330)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lurality of tensile elastic bodies 300 are each formed of two or more tensile elastic bodies 300 and are distributed in different directions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cluding a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and a second group elastic body ( 320), and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including a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20)는 상기 제1베이스판(110)과 수직한 연결봉(121)과, 상기 연결봉(121) 끝에서 상기 고리형돌출부(220)를 향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그룹탄성체(310), 상기 제2그룹탄성체(320), 상기 제3그룹탄성체(330)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말단연결바(122)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entral protrusion 120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and the connecting rod 121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110 toward the annular protrusion 220, and has an end of the connecting rod 121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se plate 110.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including a plurality of end connecting bars 12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연결바(122)는 상기 연결봉(121)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져 있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nd connecting bar 122 is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that spreads around the connecting rod 1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돌출부(220)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테두리에 수직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바(221) 및 복수의 상기 연결바(221) 말단을 연결하여 고리형상으로 상기 중앙돌출부(120) 외측을 둘러싸는 연결고리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탄성체(310), 상기 제2그룹탄성체(320), 및 상기 제3그룹탄성체(330)가 각각 상기 말단연결바(122)와 상기 연결고리부(222)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5,
The ring-shaped protrusion 220 connects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221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221 to form a ring-shaped central protrusion 120. ) Includes a connecting ring portion 222 surrounding the outsid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group elastic body 310, the second group elastic body 320, and the third group elastic body 330 is connected between the end connecting bar 122 and the connecting ring portion 222, respectively. Exercise equipment that flows throug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의 사이에서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간 간격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인장탄성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유동성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 movement of the tensile elastic body 300 is selectively controlled.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flow control unit that limits the flow.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조절부는,
상기 중앙돌출부(120)의 중심에 상기 제2베이스판(21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고정봉(410),
상기 고정봉(41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11), 및
상기 중앙돌출부(120)의 일 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42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걸림돌기(411)를 밀어 상기 고정봉(4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바(420)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바(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봉(410)이 상기 제2베이스판(210)을 가압하면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가 상호고정되는 제1유동성조절부(400)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In clause 7,
The liquidity control unit,
A fixing rod 410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be able to slide toward the second base plate 210,
A locking protrusion 411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410, and
A movable bar 4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with a hinge,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421a, and slides the fixing rod 410 by pushing the locking protrusion 411. ,
When the fixing rod 410 presses the second base plate 210 by rotation of the movable bar 420,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nd includes an adjustment unit (40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411)는 상기 중앙돌출부(1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장공(121a)과, 상기 가동바(420)에 상기 제1장공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422)을 모두 관통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8,
The stopping protrusion 411 includes a first long hole 12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a second long hole 422 formed in the movable bar 42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long hole.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through elastic force that penetrates al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420)는, 상기 고정봉(410)과 상기 제2베이스판(210)이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상기 제2몸체(200)에 걸려 상기 가동바(420)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후크(423)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421a)은, 상기 가동바(420)가 상기 잠금후크(423)의 잠금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게 상기 힌지축(421a)을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장공(421b)에 결합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8,
The movable bar 420 is hung o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rod 4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bar 420. Includes a locking hook 423 that prevents rotation,
The hinge shaft 421a is connected to a long hole 421b that movably accommodates the hinge shaft 421a so that the movable bar 420 can move in parallel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hook 423 or the reverse direction.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through combined elastic fo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 각각에 힌지로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한 공기압실린더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아암(510), 및
복수 개의 상기 아암(510)과 연결되어 상기 아암(510) 각각의 공기입출을 동시에 차단시켜 상기 아암(510)을 고정하는 흡배기조절모듈(520)이 포함된 제2유동성조절부(500)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In clause 7,
The liquidity control unit,
A plurality of arms 510, each of which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is made of a flexible pneumatic cylinder, and
It includes a second fluidity control unit 500 tha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arms 510 and includes an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that simultaneously blocks the air inlet and outlet of each of the arms 510 and fixes the arm 510.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조절모듈(520)은, 일 측에 상기 아암(510)의 공기입출구와 연결된 고정식유로(521a)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고정식유로(521a)와 분리된 흡배기구(521b)가 형성된 고정블록(521), 및
상기 고정블록(52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뀌며 상기 고정식유로(521a)와 상기 흡배기구(521b)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변동식유로(522a)가 내부에 형성된 회전블록(522)을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11,
The intake and exhaust control module 520 has a fixed flow path 521a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rm 510 on one side, and an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separated from the fixed flow path 521a on the other side. block 521, and
A rotating block 522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521 and rotates, and has a variable flow path 522a formed therein that changes position by rotation and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fixed flow path 521a and the intake and exhaust port 521b.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진 하중에 따라 바뀌는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배열상태를 측정하고,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송출하는 자세측정모듈(600)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ase plate ( 110) or a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that measures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measurement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측정모듈(600)은,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분산배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10),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설치된 관성측정장치(620), 및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상기 제2몸체(200)에 설치된 마커(632)와 상기 마커(632)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632)의 배치변화를 이미지로 감지하는 이미지센서(6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13,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A plurality of devices are distribu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detect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pressure sensor (610),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0 install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A marker 632 installed o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and an image sensor 631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rker 632 to detect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the marker 632 as an image.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측정모듈(600)은,
상기 측정신호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13,
The posture measurement module 600,
An exercis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with a built-i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asurement signal for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flows with an elastic force formed to manipulate the app due to changes in the l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고정된 스마트폰 거치부(70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smartphone holder (700) fix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700)에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배열상태를 감지가능한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폰(F)을 거치하고, 상기 스마트폰(F)을 상기 스마트폰이 생성한 감지신호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앱을 내장한 컴퓨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하중의 변화로 상기 앱을 조작하도록 형성된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16,
A smartphone (F) equipped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700, and the smartphone F ) is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with a built-in app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phon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a movement that flows with an elastic force formed to manipulate the app with changes in the load.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등받이(810)가 형성된 좌석(800)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seat 800 having a backrest 810 on which a person can sit,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신축이 가능한 지지다리(90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n expandable support leg (900) outside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일 측에,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앉은 사람의 발을 받치는 발걸이부(100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 foot rest unit 100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to support the feet of a person sitting on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제2베이스판(210)의 외측에, 확장발판(1100) 및 상기 확장발판(1100)에서 연장되어 사람이 상기 확장발판(1100)을 디디고 선채로 쥘 수 있는 보조손잡이(120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or the second base plate 210, there is an extension step 1100 and an extension step extending from the step 1100 so that a person can step on the extension step 1100 and hold it while standing.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including an auxiliary handle (12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20)와 상기 제2베이스판(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중앙돌출부(120) 및 상기 제2베이스판(210)과 각각 연결되고,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가능한 관절(1311)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1311)의 가동범위 내로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중간연결바(131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It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both ends is movable. An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necting bar 1310, which consists of a possible joint 1311 and limit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1311. Exercise equipment that flows through.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1311)은 연결부에 구면베어링(1311a)이 적용된 볼관절을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22,
The joint 1311 is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nd includes a ball joint to which a spherical bearing 1311a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바(13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연결바(1310)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중간연결바(1310)의 수축 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압축스프링(1313)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22,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is formed to be expan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middle connection bar 1310 and includes a first compression spring ( 1313).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20)와 상기 제2베이스판(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중앙돌출부(120) 및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각각 지지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모듈(1400)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It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and are at least partially compressed and provide elastic force.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odule (1400) that generate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1400)은, 상기 중앙돌출부(120)와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압축스프링(1401)을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In paragraph 25
The elastic module 1400 is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ompression spring 1401,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respectively.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1400)은, 상기 중앙돌출부(120)와 상기 제2베이스판(210)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성형물(1402)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성형물(1402)은 스펀지, 우레탄폼, 고무튜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In paragraph 25
The elastic module 1400 includes an elastic molding 1402 inserted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and the elastic molding 1402 is a sponge, urethane foam, or rubber tube.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ormed by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1400)은, 상기 탄성성형물(1402)과 중앙돌출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성형물(1402)을 상기 제2베이스판(210)에 밀착시키는, 받침(1411)이 형성된 지지대(141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In paragraph 27
The elastic module 1400 is formed with a support 1411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molding 1402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adhere the elastic molding 1402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14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20)에서 인출되고, 말단이 상기 제2베이스판(2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한 상기 제2몸체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착탈식 고정봉(1510)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It further includes a removable fixing rod 1510 that is pulled out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whose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210 to prevent movement of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고정봉(1510)은, 상기 중앙돌출부(1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유동홈(15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유동홈(1522)의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52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15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이스판(210)은 상기 착탈식 고정봉(1510)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521)이 형성된 고정소켓(1520)을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29,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low groove 1522 extending inside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is inserted through a guide hole 1523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groove 1522. It includes a handle 1511 protruding outward, and the second base plate 210 has an elastic force including a fixing socket 15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521 into which the end of the detachable fixing rod 1510 is inserted. Floating exercise equ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돌출부(120)의 일 측에 상기 중앙돌출부(120)가 상기 제1베이스판(110)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1600)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n angle adjusting unit 1600 on one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at changes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600)는, 상기 중앙돌출부(120)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지향방향을 바꾸는 축관절(1610)을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31,
The angle adjustment unit 1600 is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by elastic force and includes an axis joint 1610 that changes the orientat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central protrusion 120 around an axis.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600)는, 상기 축관절(16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관절(1610)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1620)와, 상기 제1베이스판(110)에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치(1620)에 치합되어 상기 축관절(1610)을 고정하는 래칫모듈(1630)을 더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32,
The angle adjusting unit 160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1620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xial joint 1610 and ar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axial joint 1610, and the first base plate 110.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ratchet module (1630) disposed in and having an end engaged with the teeth (1620) to fix the axial joint (161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모듈(1630)은, 탄성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회전식레버(1631)와, 상기 회전식레버(1631)의 일 측에서 상기 치(1620)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치(1620)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633)를 포함하는 탄성력으로 유동하는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use 33,
The ratchet module 1630 includes a rotary lever 1631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and a rotary lever 1631 that protrudes toward the teeth 1620 from one side of the rotary lever 1631 and is held between the teeth 1620 by elasticity. An exercise device that flows with elastic force and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1633) to be inserted.
KR1020230031635A 2022-07-29 2023-03-10 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KR202400173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172 WO2024025096A1 (en) 2022-07-29 2023-05-04 Exercise device that floatingly moves using elastic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5075 2022-07-29
KR1020220095075 2022-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308A true KR20240017308A (en) 2024-02-07

Family

ID=8987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635A KR20240017308A (en) 2022-07-29 2023-03-10 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30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300B1 (en) 2021-05-26 2022-02-16 주식회사 굿바디트레이닝 Functional exercise kit for home trai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300B1 (en) 2021-05-26 2022-02-16 주식회사 굿바디트레이닝 Functional exercise kit for home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60B1 (en) Smart Leg Movement Stimulator Device
US9239616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mo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5531658A (en) Exercise device for building and rehabilitating waist
CN109310909B (en) Abdominal and core exercise device
CN109843394A (en) Scalable castor in fitness equipment
KR101898841B1 (en) Smart Leg Movement Stimulator Device
KR20070054595A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KR102092669B1 (en) A foldable pilates exercise machine that enables efficient pilates operation
ES2874134T3 (en) Helps locomotion
WO2013124930A1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WO2017087883A1 (en) Motion control seat input device
JP2006167094A (en) Compound athletic equipment
JP2007307284A (en) Controller holder with sensor
JP2017060739A (en) Exercise device
US9616285B2 (en) Cor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EP3544469A1 (en) Stowable exercise chair for standing desks
US20130267391A1 (en) Cor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KR20240017308A (en) Exercise apparatus moving by elastic force
KR20130074439A (en) Steper
KR101464291B1 (en)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JP5213086B1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JP5528728B2 (en) Training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walking system
WO2019033035A2 (en) A device for movement and resistance training of the lower extremities
CN210355854U (en) Novel linkage mark time training device
CN114503056A (en) Walking simul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