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893A -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893A
KR20240016893A KR1020230093901A KR20230093901A KR20240016893A KR 20240016893 A KR20240016893 A KR 20240016893A KR 1020230093901 A KR1020230093901 A KR 1020230093901A KR 20230093901 A KR20230093901 A KR 20230093901A KR 20240016893 A KR20240016893 A KR 2024001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rol valve
sticking
closing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야마사키
마사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밸브에서 고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적으로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관리 시스템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부와, 제어 밸브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와, 고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고착 리스크 판정부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판정 결과 통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화학 플랜트 등에서 사용되는 밸브는, 특히 안전성에 유의해야 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메인터넌스가 행해진다. 밸브의 메인터넌스 작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밸브 스틱 슬립 검출(특허문헌 1 참조), 밸브 헌팅 검출(특허문헌 2 참조), 밸브 스케일 부착 검출(특허문헌 3 참조) 등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석유 화학 플랜트에서는, 밸브로서,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의 2 위치에서 제어하는 ON-OFF 밸브 등의 제어 밸브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제어 밸브로는, 예컨대 볼 밸브 등과 같이, 밸브 박스와 밸브 박스 내에서 회전하는 밸브 본체와의 사이에 포켓부를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어 밸브의 메인터넌스에 대해서는, 예컨대 제어 밸브를 진단 대상으로 하는 문제 검지의 수법(특허문헌 4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325462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 제620030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특허 제6216633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특허공개 제2020-34967호 공보
상기와 같은 포켓부를 갖는 제어 밸브는, 예컨대 폴리머 수지 등의 상온에서 고형 또는 고점도가 되는 유체의 프로세스를 취급하는 설비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유체가 제어 밸브의 포켓부에 체류하고 밸브 본체에 고착됨으로써 작동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비에서는, 제어 밸브에서 고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밸브에서 고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부와, 제어 밸브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와, 고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고착 리스크 판정부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판정 결과 통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은, 제어 밸브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부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에 대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은,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제어 밸브 이외의 제어 밸브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은,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배관 계통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부와, 배관 계통의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부를 더 구비한다.
본원에 따른 관리 방법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 단계와, 제어 밸브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경과 시간 계측 단계와, 고착 정보 기억 단계에서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계측 시간 계측 단계에서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방법은, 제어 밸브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 단계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에 대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 방법은,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제어 밸브 이외의 제어 밸브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 방법은, 대상이 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배관 계통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 단계와, 배관 계통의 복수의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실행 단계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의하면, 고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판정 결과가 통지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통지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고착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개폐 조작 등,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밸브에서 고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을 갖춘 설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밸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개폐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을 갖춘 설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원리 1]
ON-OFF 제어 밸브의 고착의 주된 원인으로서, 개폐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음으로써, 밸브 본체의 포켓 부분에 축적된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석유 화학 플랜트 등의 배치 프로세스에서는, 밸브 본체의 개폐가 일정 시간 이상에 걸쳐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일정 시간은, 예컨대 수분 내지 수시간, 수일, 수개월이라는 격차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점에 착안하여, ON-OFF 제어 밸브에 있어서, 밸브 본체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을 미리 분석하고, 밸브가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가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따라서 고착 리스크가 높은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는 ON-OFF 제어 밸브에 대해 개폐를 행해야 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것에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오퍼레이터는, 판정된 ON-OFF 제어 밸브의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고착 방지를 목적으로 한 개폐 조작을 행하면 된다. 혹은, ON-OFF 제어 밸브의 개폐가 불필요하더라도, 개폐가 지장이 없는 조건을 미리 규정해 두고, 자동으로 개폐 조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개폐 동작은, 지장이 없는 범위라면 복수회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
본원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을 갖춘 설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시스템(100)은, 설비(1)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를 관리한다. 관리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설비(1)는, 예컨대 석유 화학 플랜트 등에 설치되어, 폴리머 수지 등과 같이 상온에서 고형 또는 고점도가 되는 유체의 프로세스를 취급한다. 설비(1)는, 유체를 수용하는 반응 처리로(3)를 포함한다. 반응 처리로(3)에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4)이 접속된다. 설비(1)는, 도시하지 않은 스팀 트레이스 등에 의해 가열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제어 밸브(2)는, 예컨대 상기 배관(4)에 설치된다. 제어 밸브(2)는,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의 2위치에서 제어하는 ON-OFF 제어 밸브이다. 도 2는, 제어 밸브(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밸브(2)는 볼 밸브이다. 또, 제어 밸브(2)는, 버터플라이 밸브, 게이트 밸브와 같이,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의 2위치에서 제어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포켓부를 갖는 구성이라면 다른 종류의 제어 밸브이어도 좋다. 제어 밸브(2)는 하나 또는 복수 설치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서는, 예컨대 제어 밸브(2)마다 설정되는 밸브 ID(A1, A2, A3, … 등) 등의 식별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밸브(2)는, 밸브 본체인 볼(202)을, 볼 시트라고 불리는 시트 링(203) 사이에 끼워 넣는 구조이다. 제어 밸브(2)는, 스템(204)을 조작기(206)에 의해 90° 회전시킴으로써, 볼(20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밸브 박스(205) 내의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박스(205)와 스템(204)의 간극에는 패킹(207)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제어 밸브(2)의 개폐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밸브(2)에는, 밸브 박스(205)와 볼(202) 사이에 포켓부(208)라고 불리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한다. 포켓부(208)에는, 배관(4)을 흐르는 유체가 체류한다. 이 포켓부(208)에 체류하는 유체가 볼(202)과 밸브 박스(205) 사이에 고착됨으로써 볼(202)의 개폐 동작이 규제되어, 밸브가 개방되지 않거나 또는 폐쇄되지 않는다고 하는 동작 불량이 생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제어 밸브(2)에 있어서 포켓부(208)에 유체가 고착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가 개방 상태, 도 3의 (B)가 폐쇄 상태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부(208)에 유체가 고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전환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3의 (C) 및 도 3의 (D)는, 제어 밸브(2)에 있어서 포켓부(208)에 유체가 고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C)가 개방 상태, 도 3의 (D)가 폐쇄 상태이다. 도 3의 (C) 및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부(208)에 유체가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착부(209)에 의해 볼(202)과 밸브 박스(205) 사이가 고착되기 때문에,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전환이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제어 밸브(2)에서의 고착의 발생을 예방적으로 저감하는 것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시스템(100)은, 고착 정보 기억부(10)와, 시간 계측부(20)와, 고착 리스크 판정부(30)와, 판정 결과 통지부(40)와, 개폐 조건 기억부(50)와, 개폐 조작 실행부(60)를 구비한다.
고착 정보 기억부(10)는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한다. 경과 시간 정보는,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경과 시간은, 제어 밸브(2)가 개방 또는 폐쇄되고 나서 경과하는 시간이다. 제어 밸브(2)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고착 정보 기억부(10)는 제어 밸브(2)마다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한다.
경과 시간 정보는, 예컨대 설비(1)에 있어서 과거에 발생한 동작 불량의 데이터나,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 등에 의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으로서, 예컨대 10시간으로 할 수 있다.
시간 계측부(20)는, 제어 밸브(2)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제어 밸브(2)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시간 계측부(20)는 제어 밸브(2)마다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고착 정보 기억부(10)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20)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2)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 밸브(2)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 통지부(40)는,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한다.
개폐 조건 기억부(50)는, 제어 밸브(2)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조건인 개폐 조건을 기억한다. 제어 밸브(2)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개폐 조건은, 제어 밸브(2)마다 설정하여 기억할 수 있다. 개폐 조건은, 예컨대 숙련 오퍼레이터에 대한 의견 청취 등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폐 조건으로는, 예컨대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인 것, 등과 같이 시각에 의한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밸브(2)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 압력, 유량 등의 수치나 정정(整定) 상태 등을 개폐 조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상기 반응 처리로(3)에서 일정 페이스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 배치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반응 처리로(3)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배관(4)의 제어 밸브(2)의 개폐를 행하는 것에는 지장이 있다. 한편, 일정 페이스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공정 변경 기간에 있어서는, 상기 반응 처리로(3)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배관(4)의 제어 밸브(2)의 개폐를 행하는 것에 지장은 없다. 따라서, 개폐 조건을, 상기와 같은 배치 처리 기간이 아닌 것 또는 공정 변경 기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건을 통합하여, 반응 처리로(3)에서 일정 페이스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개폐 조건으로 해도 좋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밸브 ID가 A1인 제어 밸브(2)를 관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착 정보 기억부(10)는, 제어 밸브(2)의 경과 시간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단계 S10). 여기서는, 제어 밸브(2)의 경과 시간 정보를, 예컨대 10시간으로 한다.
또한, 개폐 조건 기억부(50)는, 제어 밸브(2)의 개폐 조건을 미리 기억한다(단계 S20). 여기서는, 제어 밸브(2)의 개폐 조건을, 예컨대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인 것으로 한다.
상기 경과 시간 정보 및 개폐 조건이 미리 기억된 상태에서, 시간 계측부(20)는, 제어 밸브(2)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단계 S30). 시간 계측부(20)는, 계측 결과를 고착 리스크 판정부(30)에 출력한다.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고착 정보 기억부(10)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20)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2)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40). 예컨대, 제어 밸브(2)의 최근의 개폐 조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10시간 미만인 경우,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상기 제어 밸브(2)에 대해서는 고착 리스크가 높지 않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한편, 제어 밸브(2)의 최근의 개폐 조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경우,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상기 제어 밸브(2)에 대해서는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40의 Yes)에, 판정 결과 통지부(40)는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한다(단계 S50). 판정 결과 통지부(40)는, 예컨대 설비(1)의 컨트롤 센터 등에 설치되는 표시부(5)(도 1 참조) 등에 판정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40의 No),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예컨대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단계 S40의 판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건 기억부(50)에 기억되는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60). 예컨대, 제어 밸브(2)에 대해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개폐 조건 기억부(50)로부터 제어 밸브(2)의 개폐 조건을 취득한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의 개폐 조건인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인 것」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현재 시각이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인 경우, 제어 밸브(2)의 개폐에는 지장이 없다고 판정한다. 한편,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현재 시각이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인 경우, 제어 밸브(2)의 개폐에는 지장이 있다고 판정한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의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60의 Yes), 상기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한다(단계 S70).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2)를 일단 폐쇄 상태로 한 후, 바로 개방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2)를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 곧 폐쇄 상태로 되돌린다.
한편,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의 개폐에 지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60의 No), 개폐 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즉 현재 시각이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80), 개폐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단계 S70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부(10)와, 제어 밸브(2)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20)와, 고착 정보 기억부(10)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20)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2)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고착 리스크 판정부(30)와,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판정 결과 통지부(40)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방법은,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 단계(S10)와, 제어 밸브(2)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경과 시간 계측 단계(S20)와, 고착 정보 기억 단계에서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계측 시간 계측 단계에서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2)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S30)와,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된 경과 시간 정보와 계측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2)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판정 결과가 통지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통지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2)의 고착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개폐 조작 등,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밸브(2)에서의 고착의 발생을 예방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 밸브(2)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부(50)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에 대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부(6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리 방법은, 제어 밸브(2)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 단계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에 대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에 대해, 기억된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자동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작업 부담을 저감하면서,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적절한 타이밍에 행할 수 있다.
[원리 2]
동일한 배관 계통에 복수의 ON-OFF 제어 밸브가 존재하고, 복수의 ON-OFF 제어 밸브가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된 경우, 동시에 개폐 조작을 행하는 것은, 지장이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 조작은 배치 프로세스에서의 외란 요인이 되는 것이며, 일정 개소에서 외란의 영향이 동시 발생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따라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서 복수의 ON-OFF 제어 밸브가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된 경우, 1개의 ON-OFF 제어 밸브 이외는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것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에 의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리 3]
ON-OF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경우, 동일한 배관 계통에서의 외란은, 개폐 조작으로부터 일정 시간을 경과하고 나서 하류측에서 발생하기 쉽다. 반대로 말하면, 상류측의 ON-OFF 제어 밸브를 먼저 개폐 조작시키면, 복수의 외란이 누적되는 형태로 하류측에 전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서 복수의 ON-OFF 제어 밸브가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된 경우, 하류측의 ON-OFF 제어 밸브를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혹은 상류측을 자동 록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일정 개소에서 외란의 영향이 동시 발생할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원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A)을 갖춘 설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시스템(100A)은, 설비(1A)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를 관리한다. 설비(1A)는, 제1 실시형태에 기재된 설비(1)와 마찬가지로, 폴리머 수지 등과 같이 상온에서 고형 또는 고점도가 되는 유체의 프로세스를 취급한다. 설비(1A)는, 유체를 수용하는 반응 처리로(3)를 포함한다. 반응 처리로(3)에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 계통(6)이 접속된다.
배관 계통(6)은, 배관(6A)과, 배관(6B, 6C)을 갖는다. 배관(6B, 6C)은, 각각 배관(6A)으로부터 분기된다. 배관(6B)은, 배관(6C)보다 유체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배관(6C)은, 배관(6B)보다 유체의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배관 계통(6)에는 복수의 제어 밸브(2)가 설치된다. 복수의 제어 밸브(2)는, 각각 제어 밸브(2)마다 설정되는 밸브 ID 등의 식별 정보로 관리된다. 도 6에서는, 예컨대 3개의 제어 밸브(2)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3개의 제어 밸브(2)에는, 각각 A1, A2, A3의 밸브 ID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3개의 제어 밸브(2)를 구별하는 경우, 밸브 ID가 A1인 제어 밸브(2)를 제어 밸브(2A)로 표기하고, 밸브 ID가 A2인 제어 밸브(2)를 제어 밸브(2B)로 표기하고, 밸브 ID가 A3인 제어 밸브(2)를 제어 밸브(2C)로 표기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 제어 밸브(2A)는, 배관 계통(6)에 있어서, 3개의 제어 밸브(2) 중 가장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어 밸브(2B)는, 배관 계통(6)에 있어서, 제어 밸브(2A)보다 하류측이고 제어 밸브(2C)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어 밸브(2C)는, 배관 계통(6)에 있어서, 3개의 제어 밸브(2) 중 가장 하류측에 배치된다.
또, 배관 계통(6)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배관, 분기 배관 및 제어 밸브의 수, 배치 등이 상이한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폐 조건 기억부(50)에 기억되는 개폐 조건에 대해서는, 예컨대 제어 밸브(2)를 통과하는 유체가 직접적으로 관계된 반응 처리로(3)가 아니더라도, 배관 계통(6)의 상황에 따라 영향이 미치는 범위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2B)의 하류측에서 분기되는 병렬의 배관(6A, 6C)에 있어서, 배관(6C)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C)를 개폐시킬 때에, 배관(6A)의 앞에 배치 처리 중의 반응 처리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폐에 지장이 있는 조건」에 상당할 가능성이 있다. 즉, 동일한 배관(6A)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6B, 6C) 등은, 「개폐에 지장이 있는 조건」을 미리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A)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시스템(100A)은, 고착 정보 기억부(10)와, 시간 계측부(20)와, 고착 리스크 판정부(30)와, 판정 결과 통지부(40)와, 개폐 조건 기억부(50)와, 개폐 조작 실행부(60)와, 순서 관계 기억부(70)와, 조작 순서 지시부(80)를 구비한다. 또, 고착 정보 기억부(10), 시간 계측부(20), 고착 리스크 판정부(30), 판정 결과 통지부(40), 개폐 조건 기억부(50) 및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순서 관계 기억부(70) 및 조작 순서 지시부(8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순서 관계 기억부(70)는,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배관 계통(6)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관 계통(6)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어 밸브(2A), 제어 밸브(2B), 제어 밸브(2C)로 되어 있다. 순서 관계 기억부(70)는, 상기 제어 밸브(2A), 제어 밸브(2B), 제어 밸브(2C)의 순서 관계를 기억한다.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제어 밸브(2) 이외의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킨다.
예컨대,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동일한 배관 계통(6)의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순서 관계 기억부(70)에 기억되는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2)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2)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개폐 조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순서 관계 기억부(70)에 기억된 순서 관계와는 상이한 순서로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행하게 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리 시스템(100A)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A)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착 정보 기억부(10)는, 제어 밸브(2A, 2B, 2C)의 경과 시간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단계 S110). 여기서는, 제어 밸브(2A)의 경과 시간 정보를 10시간, 제어 밸브(2B)의 경과 시간 정보를 12시간, 제어 밸브(2C)의 경과 시간 정보를 11시간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A, 2B, 2C)라 하더라도, 예컨대 스팀 트레이스에 의해 가열되는 구성에서 국소 온도가 상이한 경우 등에는, 서로 경과 시간 정보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개폐 조건 기억부(50)는, 제어 밸브(2A, 2B, 2C)의 개폐 조건을 미리 기억한다(단계 S120). 여기서는, 제어 밸브(2A)의 개폐 조건을 예컨대 13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 제어 밸브(2B)의 개폐 조건을 예컨대 14시부터 15시까지의 시각 이외, 제어 밸브(2C)의 개폐 조건을 예컨대 13시부터 14시까지의 시각 이외인 것으로 한다.
또한, 순서 관계 기억부(70)는,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A, 2B, 2C)에 대해, 배관 계통(6)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한다(단계 S130). 순서 관계 기억부(70)는, 상류로부터, 제어 밸브(2A), 제어 밸브(2B), 제어 밸브(2C)의 순으로 배치되는 취지의 순서 관계를 기억한다.
상기 경과 시간 정보 및 개폐 조건이 미리 기억된 상태에서, 시간 계측부(20)는, 제어 밸브(2A, 2B, 2C)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단계 S140). 시간 계측부(20)는, 제어 밸브(2)마다 경과 시간을 계측하여, 계측 결과를 고착 리스크 판정부(30)에 출력한다.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고착 정보 기억부(10)에 기억되는 경과 시간 정보와, 시간 계측부(20)에 의해 계측되는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제어 밸브(2A, 2B, 2C)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50). 여기서는, 제어 밸브(2A, 2B, 2C)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는 것으로 한다(단계 S150의 Yes). 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150의 No), 고착 리스크 판정부(30)는, 상기 제어 밸브(2)에 대해, 예컨대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단계 S150의 판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판정 결과 통지부(40)는, 제어 밸브(2A, 2B, 2C)의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한다(단계 S160). 판정 결과 통지부(40)는, 예컨대 설비(1)의 컨트롤 센터 등에 설치되는 표시부(5)(도 1 참조) 등에 판정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통지를 행할 수 있다.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제어 밸브(2A, 2B, 2C)에 대해, 개폐 조건 기억부(50)에 기억되는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70). 여기서는, 현재 시각이 13시부터 15시 이외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A, 2B, 2C)에 대해, 각각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한다(단계 S170의 Yes).
이 시점에서,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2A, 2B, 2C)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고, 또한,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대하여 개폐 조작의 조작 순서를 지시한다(단계 S180).
단계 S180에서,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예컨대 미리 규정된 순서로, 3개의 제어 밸브(2) 중 1개의 제어 밸브(2) 이외의 2개의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킨다.
또한, 단계 S180에서,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순서 관계 기억부(70)에 기억되는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2)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2)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개폐 조작을 행하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제어 밸브(2C)의 개폐 조작이 종료할 때까지는, 상기 제어 밸브(2C)보다 상류측의 제어 밸브(2A, 2B)를 자동 록시킨다. 또한,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제어 밸브(2B)의 개폐 조작이 종료할 때까지는, 상기 제어 밸브(2B)보다 상류측의 제어 밸브(2A)를 자동 록시킨다.
이 경우의 개폐 조작의 종료에 대해, 조작 순서 지시부(80)는, 제어 밸브(2)의 개폐 동작 자체의 종료에 한하지 않고, 개폐 동작에 의한 외란의 영향이 충분히 수습되기까지의 경과 시간도 포함시켜, 그 시간의 경과 후를 개폐 조작의 종료로 해도 좋다.
조작 순서 지시부(80)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상기 조작 순서 지시부(80)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한다(단계 S190).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2)를 일단 폐쇄 상태로 한 후, 바로 개방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제어 밸브(2)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2)를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 바로 폐쇄 상태로 되돌린다.
또,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단계 S17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의 개폐에 지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70의 No), 개폐에 지장이 없어질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200). 개폐 조작 실행부(60)는, 개폐에 지장이 없어진 경우에, 단계 S180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A)은,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제어 밸브(2) 이외의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부(8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방법은,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제어 밸브(2) 이외의 제어 밸브(2)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S180)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배관 계통에서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된 경우, 1개의 제어 밸브(2) 이외는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100A)은,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배관 계통(6)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부(70)와, 배관 계통(6)의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조작 실행부(6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2)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2)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부(8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리 방법은, 동일한 배관 계통(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배관 계통(6)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 단계(S130)와, 배관 계통(6)의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개폐 실행 단계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제어 밸브(2)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제어 밸브(2)를 상류측의 제어 밸브(2)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S180)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배관 계통(6)에서 복수의 제어 밸브(2)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된 경우, 하류측의 제어 밸브(2)를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일정 개소에서 외란의 영향이 동시 발생할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도 9는,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리 시스템(100, 100A)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는, 통신 장치(300a), HDD(Hard Disk Drive)(300b), 메모리(300c), 프로세서(300d)를 갖는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각 부는 버스 등으로 서로 접속된다.
통신 장치(300a)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이며,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행한다. HDD(300b)는, 상기 각 부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나 DB를 기억한다.
프로세서(300d)는, 상기 각 처리부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HDD(300b) 등으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300c)에 전개함으로써, 상기 각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동작시킨다. 예컨대, 관리 시스템(100)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 프로세스는, 관리 시스템(100)이 갖는 각 처리부와 동일한 기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300d)는, 시간 계측부(20), 고착 리스크 판정부(30), 판정 결과 통지부(40), 개폐 조작 실행부(60) 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HDD(300b) 등으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0d)는, 시간 계측부(20), 고착 리스크 판정부(30), 판정 결과 통지부(40), 개폐 조작 실행부(60)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HDD(300b)에는, 고착 정보 기억부(10) 및 개폐 조건 기억부(50)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이 설치된다. 프로세서(300d)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HDD(300b)의 고착 정보 기억부(10) 및 개폐 조건 기억부(50)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에 액세스하여,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데이터 등을 독출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는,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종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매체 판독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컴퓨터 또는 서버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나, 이들이 협동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가 동일하게 적용되어도 좋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어도 좋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FD), CD-ROM, 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되는 것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고, 혹은,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 나타낸 처리 순서, 구체적 명칭, 각종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도면에 도시한 각종 정보는, 도시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구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각 장치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처리 내용이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부(section, module, unit)」는, 「수단」이나 「회로」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컨대, 변경부는, 변경 수단이나 변경 회로로 대체할 수 있다.
이상, 본원의 실시형태 몇 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이며, 발명의 개시의 란에 기재된 양태를 비롯하여,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형, 개량을 한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 설비 2, 2A, 2B, 2C : 제어 밸브
3 : 반응 처리로 4, 6A, 6B, 6C : 배관
5 : 표시부 6 : 배관 계통
10 : 고착 정보 기억부 20 : 시간 계측부
30 : 고착 리스크 판정부 40 : 통지부
50 : 개폐 조건 기억부 60 : 개폐 조작 실행부
70 : 순서 관계 기억부 80 : 조작 순서 지시부
100, 100A : 관리 시스템 202 : 볼
203 : 시트 링 204 : 스템
205 : 밸브 박스 206 : 조작기
207 : 패킹 208 : 포켓부

Claims (8)

  1.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 밸브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와,
    상기 고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경과 시간 정보와 상기 시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상기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고착 리스크 판정부와,
    상기 제어 밸브의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판정 결과 통지부
    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부와,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상기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부
    를 더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상기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상기 제어 밸브 이외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부
    를 더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상기 배관 계통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부와,
    상기 배관 계통의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상기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상기 제어 밸브를 상류측의 상기 제어 밸브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부
    를 더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5. 제어 밸브의 고착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과 시간에 관한 경과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고착 정보 기억 단계와,
    상기 제어 밸브가 폐쇄 또는 개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경과 시간 계측 단계와,
    상기 고착 정보 기억 단계에서 기억되는 상기 경과 시간 정보와, 상기 계측 시간 계측 단계에서 계측되는 상기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 밸브가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제어 밸브의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의 강제적인 개폐에 지장이 없는 개폐 조건을 기억하는 개폐 조건 기억 단계와,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된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상기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개폐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개폐 조작 실행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상기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상기 개폐 조작 실행부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미리 규정된 순서로, 1개의 상기 제어 밸브 이외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개폐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자동 록시키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상기 배관 계통에서의 상류 및 하류의 순서 관계를 기억하는 순서 관계 기억 단계와,
    상기 배관 계통의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에 대해 동시에 고착 리스크가 높다고 판정되어, 상기 개폐 실행 단계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순서 관계를 참조하여, 하류측의 상기 제어 밸브를 상류측의 상기 제어 밸브보다 먼저 개폐 조작시키도록 자동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순서 지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KR1020230093901A 2022-07-29 2023-07-19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40016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22056 2022-07-29
JP2022122056A JP2024018620A (ja) 2022-07-29 2022-07-29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893A true KR20240016893A (ko) 2024-02-06

Family

ID=8962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901A KR20240016893A (ko) 2022-07-29 2023-07-19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18620A (ko)
KR (1) KR20240016893A (ko)
CN (1) CN11746946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09U (ko) 1985-06-17 1987-01-06
JPS6216633U (ko) 1985-07-13 1987-01-31
JP3254624B2 (ja) 1996-05-31 2002-02-12 株式会社山武 スティックスリップ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KR20200034967A (ko) 2017-07-28 2020-04-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강화 복합 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09U (ko) 1985-06-17 1987-01-06
JPS6216633U (ko) 1985-07-13 1987-01-31
JP3254624B2 (ja) 1996-05-31 2002-02-12 株式会社山武 スティックスリップ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KR20200034967A (ko) 2017-07-28 2020-04-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강화 복합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69462A (zh) 2024-01-30
JP2024018620A (ja)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008B1 (en) Online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using a modified 2004 architecture
Hughes Nursing workload: an unquantifiable entity
Li et al. Engineering recoverability: A new indicator of design for engineering resilience
JP2020034967A (ja) バルブ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および支援方法
KR20240016893A (ko)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09075817A (ja) ログ解析方法、ログ格納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26186A (ko) 리스크 평가 장치, 리스크 평가 시스템, 리스크 평가 방법 및 리스크 평가 프로그램
JP2007094794A (ja) 制御ループ診断装置
Li et al. Optimal design for step-stress accelerated degradation testing with competing failure modes
EP3903083A1 (en) Pneumatics system with advanced system diagnostics capabilities
Risko Understanding steam traps
Gentile et al. Random, systematic, and common cause failure: How do you manage them?
US20210136035A1 (en) Field device loop warning parameter change smart notification
Suryono et al. The desirable features of computer based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 for nuclear power operation
JP2010122053A (ja) 原子力発電所における定期点検工程管理システム
Hsieh et al. Timed-automata based method for synthesizing diagnostic tests in batch processes
Uspenskij et al. Complex expert assessment as a part of fault management strategy for data storage systems
Mhamdi et al. Diagnosis of hybrid systems through bond graph, observers and timed automata
Ohman Discrete sensor validation with multilevel flow models
JP7077644B2 (ja) 制御システム、診断装置、診断方法、および診断プログラム
Jeeves Value of Condition Monitoring Data in Safety Management Decision Support
Bridges et al. Identify SIF and specify necessary SIL, and other IPLs, as part of PHA/HAZOP–or‐why it is not necessary to “boldly go beyond HAZOP and LOPA”
US20240012391A1 (en)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700687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an intervention in a production facility
KOTEK DEPENDABILITY, SAFETY AND IMPACT OF HUMA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