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70A -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70A
KR20240016670A KR1020220094707A KR20220094707A KR20240016670A KR 20240016670 A KR20240016670 A KR 20240016670A KR 1020220094707 A KR1020220094707 A KR 1020220094707A KR 20220094707 A KR20220094707 A KR 20220094707A KR 20240016670 A KR20240016670 A KR 2024001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oiler
instantaneous flow
sound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영조
노광섭
손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70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4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tu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시 유량계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를 통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와 소리 감지기를 통해 측정된 음성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여, 누수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 파악이 용이할 수 있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발명은 보일러에 장착된 순시 유량계와, 소리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순시 유량계에서 감지된 순시 유량 데이터와, 소리감지기에서 감지된 음향 데이터를 전달받아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를 화면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하며, 화면출력부는 적산 유량 데이터를 시간당 유량의 누적 변화량으로 나타내는 추세선으로 표시하고, 음향 데이터를 보일러의 개략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Boiler Tube Water Leak Volume Detector and Analysis Syste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 화력 발전소는 보일러, 증기터빈, 발전기의 주기기와 이를 운전하기 위한 연료공급, 복수 및 급수계통 등의 보조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를 증기터빈으로 보내어 발전기를 구동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발전 설비이다.
보일러 내부에는 증기를 만들어내기 위한 열교환 튜브들이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만약 이 튜브가 파손되어 누수가 일어날 경우 발전소를 정지해야 한다. 튜브누수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경우 누수가 확대되어 정비기간이 길어지고 발전소 정지에 의한 손실이 커지므로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이유에서 보일러 튜브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BTLD(Boiler Tube Leak Detection) 시스템이 많은 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다. BTLD 시스템은 보일러 외부 벽면에 음향센서를 설치하여 음향방출신호를 통해 누수여부를 판단하고, 누수의 대략적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BTLD 시스템의 경우 노이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음향으로만 누수 여부를 판단하므로 미세하게 누수되는 것에 대해서는 알 수 없는 문제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107261호(2012.01.11.)
본 발명은 순시 유량계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를 통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와 소리 감지기를 통해 측정된 음성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여, 누수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 파악이 용이할 수 있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는 보일러에 장착된 순시 유량계와, 소리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순시 유량계에서 감지된 순시 유량 데이터와, 상기 소리감지기에서 감지된 음향 데이터를 전달받아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를 화면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적산 유량 데이터를 시간당 유량의 누적 변화량으로 나타내는 추세선으로 표시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보일러의 개략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순시 유량계와 상기 소리 감지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소리감지기에서 감지된 음향 데이터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순시 유량 데이터를 2초 단위로 적산하여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24시간을 주기로 적산 유량 데이터를 리셋 시킬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지능형 예측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상기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적산 함수는 PTDP.C1.CALCTAG/EXPR(2s, 00:00:01)= C.ReadPVTOTAL("PTDP.U1.U1-CF405",C.CURTIME.DATE, C.CURTIME)/(86400*24)/1이며,
여기서, 2S는 적산 시간이고, U1은 설비의 호기의 구분이고, PTDP는 전소 위치일 수 있으며, C.CURTIME.DATE, C.CURTIME는 리셋을 시키기 위한 일자 및 시간이며, 1은 적산량*1일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면 사운드 입출력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는 순시 유량계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를 통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와 소리 감지기를 통해 측정된 음성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여, 누수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 파악이 용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석 서버의 화면 출력부에 표시되는 적산 유량 데이터의 트랜드 그래픽을 통해 누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고, 화면 출력부의에 표시되는 보일러 위치에 따른 음성 데이터를 통해, 누수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누수량 감지 및 분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에서 분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은 도 1의 분석 서버의 화면출력부에 누수 및 트랜드를 표시한 일예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적산 유량의 트랜드를 표시한 일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 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내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서버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누수량 감지 및 분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은 보일러상에 장착되어 순시 유량을 측정하는 순시 유량계(111)와 보일러상에 장착되어 음향을 감지하는 소리 감지기(112)를 포함하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에서 전달된 순시 유량 데이터로부터 적산 유량을 산출하고 트랜드화하며, 소리 감지기(112)에서 전달된 음향 데이터를 트랜드화하여 표시하는 분석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0)는 순시 유량계(111)와 소리 감지기(112)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복수개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순시 유량계(111)와 복수의 소리 감지기(112)가 보일러 내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소리 감지기(112)는 음파 탐지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순시 유량계(111)는 보일러 튜브를 통해 흐르는 물의 유량을 초당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로, 순간적인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신호는 통신망을 통해 분석 서버(1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그 밖의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으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WI-FI, Bluetooth, zigbee등 저전력 통신망과 유/무선 IP 망일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또는 랩톱(Laptop)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에서 분석 서버(120)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서버(12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21), 메모리부(122), 화면 출력부(123), 키입력부(124), 사운드 입출력부(125), 카메라(126) 및 통신모듈(127)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1)는 분석 서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분석 서버(12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21)는 프로세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부(122)에 로딩하여 연산 및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분석 서버(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122)는 유무선통신기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제어부(12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22)는 기본적으로 분석 서버(12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세트, 분석 서버(120)의 유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세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122)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23)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 LED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또는 웹사이트)이 화면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4)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설정을 사용자가 키입력부(124)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사운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상기 제어부(12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이때,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여 제어부(12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6)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카메라(126)는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27)은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의 각종 연산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2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망과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상기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을 이용한 누수량 감지 및 분석 방법을 위해 순시 유량계(111)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를 분석 서버(120)에서 전달(S1) 받을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120)는 순시 유량 데이터를 24시간동안 2초단위로 적산(S2)할 수 있다. 물론 분석 서버(120)는 순시 유량계(111)로부터 순시 유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전달 받은 순시 유량 데이터를 2초 단위로 적산할 수 있다. 이와같은 분석 서버(120)는 복수의 순시 유량계(111)로부터 순시 유량 데이터를 각각 전달 받아, 제어부(122)에서 순시 유량계(111)별로 순시 유량 데이터를 적산하여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석 서버(120)는 하나의 순시 유량계(111)마다, 2초 단위로 적산 유량 데이터가 산출되므로, 하루 기준 순시 유량계(111)별로 43,200개의 적산 유량 데이터가 적산 및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에서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오차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산 유량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제어부(122)에서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를 메모리부(122)에 저장할 수 있으며, 화면 출력부(12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은 별도의 적산 유량계의 설치 없이, 기존에 보일러에 장착되어 있는 순시 유량계(111)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계 데이터를 통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적산 유량계 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서버(120)는 지능형 예측 분석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제어부(122)를 통해 적산을 위한 함수를 적용하여 각 순시 유량계(111)별로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 수 있다. 여기서 지능형 예측 분석 프로그램은 iPASU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지능형 예측 분석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적산 함수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PTDP.C1.CALCTAG/EXPR(2s, 00:00:01)= C.ReadPVTOTAL("PTDP.U1.U1-CF405",C.CURTIME.DATE, C.CURTIME)/(86400*24)/1
여기서, 2S는 적산 시간일 수 있으며, U1은 설비의 호기의 구분일 수 있으며, PTDP는 발전소 위치일 수 있으며, C.CURTIME.DATE, C.CURTIME는 리셋을 시키기 위한 일자 및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1은 적산량*1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은 2초에 한번씩 순시 유량 데이터를 적산하고, 일 단위로 24시 0분 1초에 적산 유량 데이터를 리셋하며, 단위를 t/h에 24h/86400s를 곱해 단위를 t/s로 바꿔준 뒤 하루 동안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는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12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22)에서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는 메모리부(12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는 다수의 소리 감지기(112)로부터 전달된 음성 데이터(S3)를 화면 출력부(12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소리 감지기(112)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 출력부(123)에 표시된 화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출력부(123)는 소리 감지기(112)에서 감지된 결과가 제1화면영역(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부(123)의 제1화면영역(1)에는 보일러의 개략도가 표시되며, 보일러에 장착된 소리 감지기(112)에서 추출된 음성 데이터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소리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보일러의 개략도에서 소리 감지기(112)가 장착된 위치에 각각 표시되어 트랜드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화면 출력부(123)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보일러의 각 위치의 소리의 크기를 이미지로 한번에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출력부(123)는 제어부(122)에서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가 순시 유량 데이터와 함께 제2화면영역(2)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부(123)의 제2화면영역(2)은 각 순시 유량계(111)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와, 순시 유량계(111)별로 적산되어 산출된 전산 유량 데이터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출력부(123)의 제3화면영역(3)에는 설비의 밸브 개도 여부 및 설비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유량등을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의 제어부(122)는 상기 적산 유량 데이터를 시간당 유량의 누적 변화량을 나타내는 추세선으로 화면 출력부(123)의 제4화면영역(4)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 출력부(123)의 제4화면영역(4)에는 적산 유량 데이터의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트랜드 그래픽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추세선으로 표시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등으로 인해 적산 유량 데이터가 급격하게 변화한다면, 트랜드 그래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영역이 생기게 되므로 화면 출력부(123)의 제4화면영역(4)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적산 유량 데이터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면 사운드 입출력부(115)를 통해, 누수가 발생을 알림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적산 유량 데이터의 급격한 변화는 2초당 변한 적산 유량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되었을 경우일 수 있다.
즉,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은 화면 출력부(123)의 제4화면영역(4)에 표시되는 적산 유량 데이터의 트랜드 그래픽을 통해 누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는 화면 출력부(123)의 제1화면영역(1)에 표시되는 보일러의 개략도 상에 표시된 음성 데이터를 통해, 누수가 발생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는 별도의 적산 유량계 없이, 순시 유량계(111)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 데이터를 통해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와 소리 감지기(112)를 통해 측정된 음성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123)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여, 누수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 파악이 용이할 수 있다.
물론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100)에서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발전소 정지 후 실제 확인후 누수에 대한 설비 보수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고의 확대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110: 센서부 111: 순시 유량계
112: 소리감지기 120: 분석 서버
123: 화면 출력부

Claims (5)

  1. 보일러에 장착된 순시 유량계와, 소리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순시 유량계에서 감지된 순시 유량 데이터와, 상기 소리감지기에서 감지된 음향 데이터를 전달받아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를 화면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적산 유량 데이터를 시간당 유량의 누적 변화량으로 나타내는 추세선으로 표시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보일러의 개략도 상에 표시하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 유량계와 상기 소리 감지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소리감지기에서 감지된 음향 데이터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순시 유량 데이터를 2초 단위로 적산하여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24시간을 주기로 적산 유량 데이터를 리셋 시키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지능형 예측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상기 적산 유량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적산 함수는
    PTDP.C1.CALCTAG/EXPR(2s, 00:00:01)= C.ReadPVTOTAL("PTDP.U1.U1-CF405",C.CURTIME.DATE, C.CURTIME)/(86400*24)/1이며,
    여기서, 2S는 적산 시간이고, U1은 설비의 호기의 구분이고, PTDP는 발전소 위치일 수 있으며, C.CURTIME.DATE, C.CURTIME는 리셋을 시키기 위한 일자 및 시간이며, 1은 적산량*1인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산출된 적산 유량 데이터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면 사운드 입출력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하는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KR1020220094707A 2022-07-29 2022-07-29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KR20240016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07A KR20240016670A (ko) 2022-07-29 2022-07-29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07A KR20240016670A (ko) 2022-07-29 2022-07-29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70A true KR20240016670A (ko) 2024-02-06

Family

ID=8985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707A KR20240016670A (ko) 2022-07-29 2022-07-29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61B1 (ko) 2009-09-30 2012-01-19 한국전력공사 보일러에 부착된 음향방출 센서를 이용하여 누설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61B1 (ko) 2009-09-30 2012-01-19 한국전력공사 보일러에 부착된 음향방출 센서를 이용하여 누설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7127A1 (en) Technologies for fault related visual content
US9280516B2 (en) Method and system to validate wired sensors
KR20200040469A (ko) 건물 내 설비의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6200565A (zh) 燃烧优化系统和方法
CN103969280A (zh) 检测制冷剂异常的方法及空调器
CN103775830B (zh) 一种高温蒸汽泄漏检测定位系统及方法
CN104460627A (zh) 一种水电站水轮发电机组显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891424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the operation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KR20240016670A (ko) 보일러 튜브의 누수량 감지 및 분석 시스템
JP2018041326A (ja) 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69179B1 (ko) 원자력 발전 시뮬레이터의 통신 진단 시스템
EP3171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power assets
US20150346007A1 (en) Detecting Anomalies Based on an Analysis of Input and Output Energies
KR20210085032A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US834200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teampath efficiency of a steam turbine section with internal leakage
EP3179165B1 (en) Steam using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steam using facility
Amirruddin et al. Microcontroller based water level indicator using GSM modem: design and application
TWM511095U (zh) 環境感測警報系統
CN216977965U (zh) 一种换流阀冷却系统的异常检测系统
CN201757664U (zh) 燃气表老化模拟试验机
KR101693081B1 (ko) 중수로 원전의 원격 감시망과 발전정지유발기기 감시 프로그램 연계를 이용한 발전정지 원인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2983A (ko) 소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9004079A1 (ja) ガスメータ管理システム
JP2013100993A (ja) エネルギー設備管理システム
KR102352073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