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58A -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 Google Patents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58A
KR20240016658A KR1020220094677A KR20220094677A KR20240016658A KR 20240016658 A KR20240016658 A KR 20240016658A KR 1020220094677 A KR1020220094677 A KR 1020220094677A KR 20220094677 A KR20220094677 A KR 20220094677A KR 20240016658 A KR20240016658 A KR 2024001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supply
sink
modul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앙
Priority to KR102022009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58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있어서,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사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된 싱크대수단(100);과,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형성된 컵세척기수단(200); 및 세척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개, 상기 싱크대수단(1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1세척수급수경로(R1)와,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R2)가 생성되도록 하여, 싱크대수단(100)과,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각각 공급, 급수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T형분개용급수관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제 1세척수급수경로(R1)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싱크대수단(100) 및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공급,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대한 세척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서로 다른 급수 유로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특히,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따라 구분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A water supply apparatus for sink bowl with a cup washer and T-type water pipe}
본 발명은,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싱크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세척수가 각각의 별도의 급수 유로를 통해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대한 최적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설치된 싱크대는, 세척수를 흘러보내면서 다양한 주방용품 및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싱크대 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주방용품 및 식기를 세척하는데,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예를 들어, 컵, 텀블러 등과 같이 목이 길고 입구가 좁은 용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그릇, 접시 등과 같은 식기와 대비하여, 세척하기에 불편하므로, 세척 용이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식기에 대한 세척 용이성을 극대화하고자, 식기의 형상에 따라 각각 별도의 위치에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3757호의 "싱크대의 세척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싱크대바디부, 싱크대바디부에 장착되고, 용기를 세척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와 연결되고, 세척부를 회전시키는 발판작동부를 포함하여, 싱크대에서 컵 등의 용기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싱크대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047호의 "컵 세척 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냉, 온수기, 정수기 등의 컵 받침대에 설치하여, 물을 취수한 후 간단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정수기의 전방에 설치된 동시에, 저수조에 입수관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로는 배수관이 설치되며, 상단에는 컵 받침대가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컵 받침대의 상면에 원판 형태의 컵 지지판이 위치되고, 상기 컵 지지판을 상, 하로 관통해서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며, 상단에는 컵을 세척할 수 있도록 컵 세척판이 형성된 컵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컵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고, 컵을 항상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컵을 뒤집어 놓기 때문에 컵 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컵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유사,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및 발명의 목적에 있어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에 차이가 있다.
즉, 선행기술 1은,
브러쉬 회전시켜 컵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선행기술 2는,
냉, 온수기, 정수기 등에 구성된 컵 받침대에 컵 지지판, 중공부, 컵 세척판이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되어, 컵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과 대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에 있어 기술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싱크대에 대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3757호 (2020.01.30.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047호 (2004.03.15.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세척수가 각각의 별도의 급수 유로를 통해 싱크대로 급수되도록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별도의 급수 유로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이 제고(提高)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그릇과 같은 일반 식기와, 컵과 같이, 일반 식기 대비, 일정 깊이가 있는 식기를 구분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 및 세척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있어서,
제 1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사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된 싱크대수단;
제 2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싱크대수단의 일측에 위치, 형성된 컵세척기수단;
세척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개, 상기 싱크대수단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1세척수급수경로와, 컵세척기수단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가 생성되도록 하여, 싱크대수단과, 컵세척기수단으로 세척수가 각각 공급, 급수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T형분개용급수관수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제 1세척수급수경로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싱크대수단 및 컵세척기수단으로 세척수가 공급,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대한 세척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싱크대수단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을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수모듈이 형성된 싱크볼부;
상기 싱크볼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어, 세척수급수부 및 컵세척기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블록부;
상기 세척수급수블록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세척수가 싱크볼부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로 구성되되,
세척수급수블록부는,
세척수급수부가 결합되어, 싱크대볼부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결합홀요소가 형성된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
상기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의 일측에 다단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컵세척기수단이 결합되어, 싱크볼부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컵세척기수단결합홀요소가 형성된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로 구성되고,
세척수급수부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싱크볼부로의 세척수의 급수 또는 차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수유입모듈;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유입모듈;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유입모듈, 온수유입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되는 냉온수혼합모듈;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의 조작(ON-OFF, 개폐)으로, 제 1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세척수가, 싱크볼부 내부로 급수되도록 한다.
또한, 컵세척기수단은,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상단부가 안치,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가압, 중력 방향으로 힘)에 의해 일정 구간 하강(下降)되는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
상기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의 중앙에 위치, 결합되고,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어,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중력 반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부;
싱크대수단의 일측에 위치,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토출노즐부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베이스몸통블록부;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 내부 상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의 유무(有無)로 인해 세척수토출노즐부가 하강(下降) 또는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유도하는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의 내부 하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세척수토출노즐부의 단부와 결합되어, 세척수토출노즐부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고, 하강(下降) 시에는 세척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開放), 정위치로 복원 시에는 세척수의 유입을 차단, 폐쇄되도록 하는 세척수유입노즐부;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의 외주연 일측에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가 싱크대수단의 일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결합부;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의 외주연 일측에 하나 이상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와 싱크대수단 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패킹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제 2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일 경우,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인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뒤집어, 세척수토출노즐부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에 안치시키고, 사용자가 뒤집어진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가 하강(下降)하여, 제 2세척수급수경로를 통해 유동되는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로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일반 식기와, 일반 식기와 대비,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가 각각 별도의 세척수 급수 유로를 통해 유동되어, 싱크볼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즉,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2. 또한, 최초 유입되는 세척수를 두 갈래로 분개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별도의 급수 유로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 및 세척 효과가 극대화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싱크대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따라, 물리적인 조작으로, 각각 서로 다른 급수 유로를 통해 세척수가 정해진 위치에서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은 물론,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싱크대수단에 대한 실시 예의 상태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작동에 따른 세척수의 유동 메커니즘을 순서도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로 인해 유동되는 세척수의 제 1세척수급수경로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의 유동 경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도 2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도 4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상태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싱크대수단에 대한 실시 예의 상태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구성요소 중, 컵세척기수단에 대한 단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의 작동에 따른 세척수의 유동 메커니즘을 순서도로, 도 10은, 본 발명인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로 인해 유동되는 세척수의 제 1세척수급수경로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의 유동 경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있어서,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사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된 싱크대수단(100);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형성된 컵세척기수단(200);
세척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개, 상기 싱크대수단(1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1세척수급수경로(R1)와,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R2)가 생성되도록 하여, 싱크대수단(100)과,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각각 공급, 급수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T형분개용급수관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제 1세척수급수경로(R1)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싱크대수단(100) 및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공급,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대한 세척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적인 물리적 조작으로, 세척수가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싱크대수단(100)으로 급수되도록 하거나,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컵세척기수단(200)으로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세척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싱크대수단(100)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을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수모듈(111)이 형성된 싱크볼부(110);
상기 싱크볼부(110)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어, 세척수급수부(130) 및 컵세척기수단(200)이 결합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블록부(120);
상기 세척수급수블록부(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세척수가 싱크볼부(110)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130);로 구성되되,
세척수급수블록부(120)는,
세척수급수부(130)가 결합되어, 싱크대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결합홀요소(121-1)가 형성된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121);
상기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121)의 일측에 다단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컵세척기수단(200)이 결합되어, 싱크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컵세척기수단결합홀요소(122-1)가 형성된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122);로 구성되고,
세척수급수부(130)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싱크볼부(110)로의 세척수의 급수 또는 차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수유입모듈(132);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유입모듈(133);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유입모듈(132), 온수유입모듈(133)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되는 냉온수혼합모듈(134);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의 조작(ON-OFF, 개폐)으로,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세척수가, 싱크볼부(110) 내부로 급수되도록 한다.
이때,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122)은,
바닥이 일정 기울기(싱크볼부(110) 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로 형성되어, 컵세척기수단(200)을 통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가 세척된 후, 세척된 세척수가 싱크볼부(110)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여,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122)의 바닥면의 청결도를 향상시키는 세척수싱크볼부유동경사요소(122-1);가 더 포함, 구성되어,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122)의 바닥면에 대한 세척수의 고임이 방지되도록 한다.
컵세척기수단(200)은,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상단부가 안치,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가압, 중력 방향으로 힘)에 의해 일정 구간 하강(下降)되는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
상기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의 중앙에 위치, 결합되고,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어,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중력 반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부(220);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베이스몸통블록부(23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 내부 상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의 유무(有無)로 인해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하강(下降) 또는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유도하는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24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내부 하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단부와 결합되어, 세척수토출노즐부(220)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고, 하강(下降) 시에는 세척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開放), 정위치로 복원 시에는 세척수의 유입을 차단, 폐쇄되도록 하는 세척수유입노즐부(25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외주연 일측에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가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결합부(26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외주연 일측에 하나 이상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와 싱크대수단(100) 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패킹부(270);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일 경우,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인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뒤집어,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에 안치시키고, 사용자가 뒤집어진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가 하강(下降)하여,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유동되는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가 세척되도록 한다.
이때,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상단부가 접촉, 안치되는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
상기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의 중앙에 홀(hole)로 형성되고, 홀(hole)의 내주연이 암나사로 이루어져,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상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결합모듈(212);로 구성되고,
상기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에는,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의 상면, 즉,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상단부가 접촉되는 면(面)에 일정 패턴의 요철(凹凸) 또는 미끄럼 방지 패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뒤집어진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가압할 시,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에 대한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파손 및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접촉미끄럼방지패턴요소(211-1);가 더 포함, 구성되어,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 토출되는 세척수로 인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가 세척되도록 한다.
또한, 세척수토출노즐부(220)는,
상기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의 중앙에 삽입, 결합되고,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유동되는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외부(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내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
상기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의 하단에,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의 직경보다 크게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의 중앙에 삽입, 결합되는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는 중간걸림받침모듈(222);
상기 중간걸림받침모듈(222)의 하단에,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에 삽입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관(管) 형상의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모듈(223);으로 구성되되,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은,
상기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에 삽입,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와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221-1);
상기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221-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외부(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내부)를 향해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도모하는, 일정 패턴으로 관통된 홀(hole)로 이루어진 세척수토출공요소(221-2);
상기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221-1)의 외주연면의 하부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와 결합되도록 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컵받침블레이드측결합요소(221-3);로 구성되고,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모듈(223)은,
일정 길이의 관(管)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223-1);
상기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223-1)의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깊이의 홈(groove)으로 형성되어, 제 1실링부재요소(223-4)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제 1실링홈요소(223-2);
상기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223-1)의 외주연면 일측에, 제 1실링홈요소(223-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1실링홈요소(22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실링부재요소(223-5)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제 2실링홈요소(223-3);
상기 제 1실링홈요소(223-2)에 삽입, 결합되고,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223-1)가 베이스몸통블록부(230)에 삽입, 결합될 시, 세척수 및 토출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제 1실링부재요소(223-4);
상기 제 2실링홈요소(223-3)에 삽입, 결합되고,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223-1)가 베이스몸통블록부(230)에 삽입, 결합될 시, 세척수 및 토출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제 1실링부재요소(223-4)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 2실링부재요소(223-5);
내부 일정 구간 암나사로 이루어져, 세척수유입노즐부(250)의 일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유입노즐부측결합요소(223-6);로 구성되되,
특히, 제 1실링부재요소(223-4), 제 2실링부재요소(223-5)로, 2중 실링 구조로 구성되고,
세척수토출공요소(221-2)는,
상기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221-1)의 상단부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 중앙으로 세척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중앙토출공(221-2a);
상기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221-1)의 상단 외주연면에, 중앙토출공(221-2a)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 벽면으로 세척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방사토출공(221-2b);로 구성되어,
컵받침블레이드측결합요소(221-3)가 세척수토출노즐결합모듈(212)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고,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221)의 상단부 일부가 컵받침블레이드모듈(21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세척수토출공요소(221-2)를 통해 토출되는 세척수가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몸통블록부(230)는,
일정 직경 및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일부가 삽입되고, 내부 일측에는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240)와, 세척수유입노즐부(250)가, 외주연면에는 싱크대고정결합부(260)와, 싱크대고정패킹부(270)가 위치,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하강(下降)될 시,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중간걸림받침모듈(222)과 면 접촉되고, 중간걸림받침모듈(222)과의 면 접촉으로,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하강(下降) 구간을 제한하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노즐하강구간제한블록모듈(232);
상기 노즐하강구간제한블록모듈(232)의 하측에 위치, 형성되고,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이 싱크대수단(100)의 컵세척기수단삽입결합홀모듈(112)에 삽입될 시, 상부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싱크대상단지지플레이트모듈(233);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의 외주연면에 형성되어, 싱크대고정결합부(260)에 의해 싱크대수단(100)에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이 결합, 고정되도록 수나사로 이루어진 싱크대수단측결합모듈(234);로 구성되되,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은,
상부에 형성되고,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일부와,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240)가 삽입, 위치되고,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따라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세척수 유동 통로인 제 1구역요소(231-1);
하부에 형성되고, 세척수유입노즐부(250)가 삽입, 위치되고, 세척수유입노즐부(250)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R2)의 시작 위치가 되는 세척수 유입 유동 통로인 제 2구역요소(231-2);
상기 제 1구역요소(231-1)와, 제 2구역요소(231-2)가 격벽으로 구분되도록 하되, 세척수유입노즐부(250)의 일부가 상기 제 1구역요소(231-1)로 통과, 위치되도록, 관통된 세척수유입노즐삽입관통홀(231-3a)이 형성된 구역구획블록요소(231-3);로 구성되어,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위치,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 내부로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R2)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 1구역요소(231-1)의 직경을 'D1'이라 하고,
제 2구역요소(231-2)의 직경을 'D2'라 할 때,
부등식,
Figure pat00001
가 성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2구역요소(231-2)에는,
제 2구역요소(231-2)의 직경의 크기에 대응하여 세척수가 유입되고,
제 1구역요소(231-1)에는,
제 2구역요소(231-2)로 유입된 세척수가,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개방된 세척수유입노즐부(250) 내부로 유입되고, 세척수유입노즐부(25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 내부를 통해, 외부(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내부)로 급수되기 때문이다.
즉, 제 2구역요소(231-2)로 유입된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 토출될 시, 단면적의 변화로 보다 강한 압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몸통블록모듈(231)의 제 1구역요소(231-1)에 삽입, 위치되고, 제 1구역요소(231-1) 내에서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하부 내부에, 세척수유입노즐부(250)의 상부가 결합, 고정될 시, 일정 압력으로 압축되어, 결합, 고정된 세척수토출노즐부(220)와 세척수유입노즐부(250) 중,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제 1구역요소(231-1) 내에서, 그리고, 세척수유입노즐부(250)는 제 2구역요소(231-2) 내에서,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압축,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는, 예를 들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세척수유입노즐부(250)는,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일정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
상기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의 상부에 일정 구간 수나라로 이루어져,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하부에 내삽되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부측결합모듈(252);
상기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이 제 2구역요소(231-2) 내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제 2세척수급수경로(R2)가 개폐되도록 하는 세척수유입닫힘블록모듈(253);
상기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과, 세척수유입닫힘블록모듈(253) 사이에 일정 깊이의 홈(groove)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실링부재모듈(255)이 위치되도록 하는 패킹실링홈모듈(254);
상기 패킹실링홈모듈(254)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세척수유입닫힘블록모듈(253)과, 구역구획블록요소(231-3) 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1구역요소(231-1) 및 제 2구역요소(231-2) 간의 기밀성을 도모하는 패킹실링부재모듈(255);로 구성되되,
세척수유입닫힘블록모듈(253)의 하면에는,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하부와 결합, 고정될 시, 보다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공구(tool)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측결합도모요소(253-1);가 더 포함, 구성되고,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는,
제 2구역요소(231-2)로 유입된 세척수가,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하강(下降)된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25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된 홀(hole)로 형성된 세척수유입공요소(251-1);가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유기적으로 작동되어, 제 2세척수급수경로(R2)의 생성을 도모하고,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따라 세척수가 외부(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 내부)로 토출, 급수되도록 한다.
싱크대고정결합부(260)는,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싱크대수단측결합모듈(234)에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가 싱크대수단(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면 접촉으로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베이스몸통블록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된 홀(hole)이 형성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의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261);
상기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261)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 돌출되고, 베이스몸통블록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된 홀(hole)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261)이 승강(昇降)되도록 하는 싱크대수단결합용이블록모듈(262);
상기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261)과, 싱크대수단결합용이블록모듈(262)에 형성된 관통된 홀(hole)의 내주연면에 암나사로 형성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싱크대수단측결합모듈(234)과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몸통블록부측결합모듈(263);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베이스몸통블록부(230)가 싱크대수단(100) 일측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싱크대고정패킹부(270)는,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상부 일측에 위치, 결합되고, 싱크대수단(100)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 1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271);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하부 일측에 위치, 결합되고, 싱크대수단(100)의 하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 2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272);로 구성되어,
싱크대수단(100)에 대한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제 1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271)은,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싱크대상단지지플레이트모듈(233)의 하면과 싱크대수단(10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고,
제 2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272)은,
싱크대고정결합부(260)의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261) 상면과 싱크대수단(100)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대수단(100)에 대한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체결력 및 이로 인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향상되도록 한다.
T형분개용급수관수단(300)은,
최초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관(菅)인 세척수유입관부(310);
상기 세척수유입관부(310)로 유입된 세척수가 분개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싱크대수단(100)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관(菅)인 싱크대측세척수공급관부(320);
상기 세척수유입관부(310)로 유입된 세척수가 분개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컵세척기수단(200)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관(菅)인 컵세척기측세척수공급관부(330);로 구성되어,
세척수유입관부(310)로 유입되는 최초의 세척수가, 싱크대측세척수공급관부(320)와, 컵세척기측세척수공급관부(330)로, 두 갈래로 분개되어 각각의 유동 통로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수단(10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T형분개용급수관수단(300)을 이용, 두 갈래로 분개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의 형상에 따라, 각각 제 1세척수급수경로(R1)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싱크대수단(100)의 세척수급수부()로,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의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대한 것이다.
이때,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는,
세척수유입관부(310), 싱크대측세척수공급관부(320), 세척수급수부(130)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 유동하여, 싱크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이고,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는,
세척수유입관부(310), 컵세척기측세척수공급관부(330), 세척수유입노즐부(250), 베이스몸통블록부(230), 세척수토출노즐부(220)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 유동하여, 싱크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특히, 주방 가구 관련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100: 싱크대수단 110: 싱크볼부
111: 세척수배수모듈 120: 세척수급수블록부
121: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 122: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
122-1: 세척수싱크볼부유동경사요소 130: 세척수급수부
131: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 132: 냉수유입모듈
133: 온수유입모듈 134: 냉온수혼합모듈
200: 컵세척기수단 210: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
211: 컵받침블레이드모듈
211-1: 컵접촉미끄럼방지패턴요소 212: 세척수토출노즐결합모듈
220: 세척수토출노즐부 221: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모듈
221-1: 상단세척수토출노즐몸통요소 221-2: 세척수토출공요소
221-2a: 중앙토출공 221-2b: 방사토출공
221-3: 컵받침블레이드측결합요소 222: 중간걸림받침모듈
223: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모듈
223-1: 하단세척수유동통로몸체요소 223-2: 제 1실링홈요소
223-3: 제 2실링홈요소 223-4: 제 1실링부재요소
223-5: 제 2실링부재요소
223-6: 세척수유입노즐부측결합요소 230: 베이스몸통블록부
231: 베이스몸통블록모듈 231-1: 제 1구역요소
231-2: 제 2구역요소 231-3: 구역구획블록요소
232: 노즐하강구간제한블록모듈
233: 싱크대상단지지플레이트모듈 234: 싱크대수단측결합모듈
240: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 250: 세척수유입노즐부
251: 세척수유입통로노즐몸통블록모듈 251-1: 세척수유입공요소
252: 세척수토출노즐부측결합모듈 253: 세척수유입닫힘블록모듈
253-1: 세척수토출노즐측결합도모요소 254: 패킹실링홈모듈
255: 패킹실링부재모듈 260: 싱크대고정결합부
261: 싱크대수단측밀착블록모듈
262: 싱크대수단결합용이블록모듈
263: 베이스몸통블록부측결합모듈 270: 싱크대고정패킹부
271: 제 1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
272: 제 2싱크대고정패킹부재모듈
300: T형분개용급수관수단 310: 세척수유입관부
320: 싱크대측세척수공급관부 330: 컵세척기측세척수공급관부
R1: 제 1세척수급수경로 R2: 제 2세척수급수경로

Claims (3)

  1.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1)에 있어서,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사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된 싱크대수단(100);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고,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형성된 컵세척기수단(200);
    세척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개, 상기 싱크대수단(1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1세척수급수경로(R1)와,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제 2세척수급수경로(R2)가 생성되도록 하여, 싱크대수단(100)과,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각각 공급, 급수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T형분개용급수관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따라, 제 1세척수급수경로(R1) 및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싱크대수단(100) 및 컵세척기수단(200)으로 세척수가 공급, 급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에 대한 세척 용이성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싱크대수단(100)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을 세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수모듈(111)이 형성된 싱크볼부(110);
    상기 싱크볼부(110)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어, 세척수급수부(130) 및 컵세척기수단(200)이 결합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블록부(120);
    상기 세척수급수블록부(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세척수가 싱크볼부(110)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130);로 구성되되,
    세척수급수블록부(120)는,
    세척수급수부(130)가 결합되어, 싱크대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세척수급수부결합홀요소(121-1)가 형성된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121);
    상기 제 1세척수급수블록모듈(121)의 일측에 다단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컵세척기수단(200)이 결합되어, 싱크볼부(11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컵세척기수단결합홀요소(122-1)가 형성된 제 2세척수급수블록모듈(122);로 구성되고,
    세척수급수부(130)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싱크볼부(110)로의 세척수의 급수 또는 차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수유입모듈(132);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유입모듈(133);
    상기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 내부에 위치, 형성되어, 냉수유입모듈(132), 온수유입모듈(133)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되는 냉온수혼합모듈(134);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세척수급수차단수전모듈(131)의 조작(ON-OFF, 개폐)으로, 제 1세척수급수경로(R1)를 통해 세척수가, 싱크볼부(110)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컵세척기수단(200)은,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상단부가 안치,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가압, 중력 방향으로 힘)에 의해 일정 구간 하강(下降)되는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
    상기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의 중앙에 위치, 결합되고,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어,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중력 반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세척수토출노즐부(220);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베이스몸통블록부(23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 내부 상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의 유무(有無)로 인해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하강(下降) 또는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유도하는 노즐개폐유도탄성부재부(24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내부 하부 일측에 삽입, 위치되고, 세척수토출노즐부(220)의 단부와 결합되어, 세척수토출노즐부(220) 하강(下降) 시, 동시에 하강(下降)되고, 하강(下降) 시에는 세척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開放), 정위치로 복원 시에는 세척수의 유입을 차단, 폐쇄되도록 하는 세척수유입노즐부(25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외주연 일측에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가 싱크대수단(100)의 일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결합부(260);
    상기 베이스몸통블록부(230)의 외주연 일측에 하나 이상 위치, 결합되어, 베이스몸통블록부(230)와 싱크대수단(100) 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싱크대고정패킹부(270);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조작으로,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일 경우,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식기)인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뒤집어, 세척수토출노즐부(22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에 안치시키고, 사용자가 뒤집어진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 컵상단받침블레이드부(210)가 하강(下降)하여, 제 2세척수급수경로(R2)를 통해 유동되는 세척수가 세척수토출노즐부(220)로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어, 일정 깊이를 가진 식기의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KR1020220094677A 2022-07-29 2022-07-29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KR20240016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77A KR20240016658A (ko) 2022-07-29 2022-07-29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77A KR20240016658A (ko) 2022-07-29 2022-07-29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58A true KR20240016658A (ko) 2024-02-06

Family

ID=8985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77A KR20240016658A (ko) 2022-07-29 2022-07-29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47Y1 (ko) 2003-12-15 2004-03-26 동양매직 주식회사 컵 세척 장치
KR102073757B1 (ko) 2019-02-22 2020-02-06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47Y1 (ko) 2003-12-15 2004-03-26 동양매직 주식회사 컵 세척 장치
KR102073757B1 (ko) 2019-02-22 2020-02-06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489A (en) Nipple holder
US12006670B2 (en) Vessel rinsing apparatus
CN112392104B (zh) 器皿冲洗设备及用于该设备的排放容器和水龙头组件
AU2010208022B2 (en) Silverware/flatware or parts wash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40016658A (ko) 컵세척기 및 t형 급수관이 결합된 싱크대 장치
US2896642A (en) Dishwasher
KR200402095Y1 (ko)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US5136736A (en) Sink accessory for soaking, washing or rinsing dishes
US605929A (en) Dtah-cleaner
US20080104747A1 (en) Sink organizer and splash guard
US2799424A (en) Compartmented dishpan
KR101450812B1 (ko) 소형 개수 장치
US11414849B2 (en) Hand wash and dump sink assembly
US9044130B2 (en) Cleaning device for a portioning utensil
US2768402A (en) Glass cleaning device
US2274511A (en) Drinking fountain attachment for faucets
GB2491253A (en) A domestic washing bowl with magnetic means of holding a drainage closure open or shut.
KR200200810Y1 (ko) 싱크대 상판의 싱크볼 부착장치
US5457827A (en) Soap saddle
CN210541426U (zh) 带洗杯器装置的家用水槽
FR2664313A1 (fr) Evier a compartiments multiples particulierement du type a encastrer.
US553329A (en) Dish-cleaner
KR200338668Y1 (ko) 식기 세척 장치
KR20200106343A (ko) 주방의 내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
KR200422641Y1 (ko) 구강 전용 세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