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230A -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230A
KR20240016230A KR1020230098915A KR20230098915A KR20240016230A KR 20240016230 A KR20240016230 A KR 20240016230A KR 1020230098915 A KR1020230098915 A KR 1020230098915A KR 20230098915 A KR20230098915 A KR 20230098915A KR 20240016230 A KR20240016230 A KR 2024001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s
damper
width
floating marin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진
홍진욱
문중수
박문규
박용만
이혜빈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는, 복수의 컬럼들; 상기 컬럼들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컬럼들의 상기 다각 형상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FLOATING OFFSHORE STRUCTURES AND FLOATING OFFSHORE POWER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 규제와 화석 연료의 수급 불안 등의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생산 시스템 중 하나인 풍력 발전이 관심을 받고 있다.
풍력 발전 장치는 육상 또는 해상에 설치되어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풍력 발전 장치는 주로 육상에 설치되어 왔으나, 점차적으로 해상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풍력 발전을 위해 해상은 육상에 비해 바람의 질이 대체로 좋은 편이며, 날개 소음 문제에 있어서도 보다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단지 확보가 요망되는데 육상에는 이러한 단지를 구비하기 어려워, 연안이나 근해의 해상이 대단위 해상 풍력 단지로 떠오르고 있다.
풍력 발전 장치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는 크게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나눌 수 있다. 고정식 구조는 육상에서와 같이 구조물이 직접 해저면에 고정되어 환경하중을 구조적 변형으로 대응하는 형식이고, 부유식은 수면에 떠 있으며 자중, 부력, 환경 하중 및 계류력을 받고 있고, 구조물의 운동과 계류력으로 환경하중을 이겨내는 방식이다.
최근까지 해상 풍력 발전 장치는 고정식으로 주로 얕은 수심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고정식 구조는 구조물이 해저면에 고정되어 있어 유리한 발전 조건을 제공하지만 수심이 깊어지면 구조물의 규모가 너무 커지고 피로파괴 위험성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풍력 발전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구조물의 제작, 설치에 드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람은 육상에서 멀어질수록 강하고 일정해지므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점차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풍력 발전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수심이 깊어져도 구조물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 부유식 구조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 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심에 관련 없이 설치 가능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복수의 컬럼들; 상기 컬럼들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컬럼들의 상기 다각 형상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부와 직접 또는 고정부재를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맞닿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상기 컬럼들의 일면의 너비 또는 상기 일면을 포함하는 상기 컬럼들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영역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면 상기 영역에서 상기 연결부의 너비를 제외한 부분에 해당하는 너비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서 연결되면 상기 댐퍼가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댐퍼의 외측이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단면이 원형인 브레이스 및 다각형인 폰툰을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내부가 격자 구조로 보강되며,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컬럼들과 인접한 부분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거나, 양 끝단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는 단위체가 반복해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럼들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마련되는 발전 구조물을 지지하는 센터 컬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 컬럼은, 상기 컬럼들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컬럼들 중 하나의 컬럼 상부에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며, 상기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는 컬럼의 단면적이 이외의 컬럼들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럼들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을 상기 돌출부재를 포함한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으로 확장하며, 상기 댐퍼의 너비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다각 형상을 확장하여 상기 댐퍼의 너비 또는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댐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안벽 접안시 사용되는 펜더의 두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복수의 컬럼들; 상기 컬럼들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컬럼들의 상기 다각 형상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컬럼들의 너비보다 일정 너비만큼 작은 너비로 마련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일정 너비에 해당하는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댐퍼의 결합체는 상기 컬럼들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댐퍼는, 길이 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달라지는 단위체가 반복 배열되거나 일 단위체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들의 상부에 마련되는 발전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 구조물은,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컬럼들 중 하나의 컬럼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는 컬럼은 단면적이 이외의 컬럼들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되고, 상기 컬럼들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을 상기 돌출부재를 포함한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으로 확장하여 상기 댐퍼의 너비 또는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댐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안벽 접안시 사용되는 펜더의 두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는 설치 장소의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일 컬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돌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돌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발전 구조물(PGS)을 지지하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복수의 컬럼들(100), 복수의 연결부들(200) 및 복수의 댐퍼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컬럼들(100)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수직 구조물로서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컬럼들(100)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다각 형상의 꼭지점에 배치되는 컬럼들(100)에 의해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은 각각 육각형의 단면으로 마련되어 6개의 일면을 가지고 있으며, 6개의 일면 중 연결부(200)가 연결된 일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일면은 가상의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삼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꼭지점이 챔퍼링된 삼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이 챔퍼링된 꼭지점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마련되는 컬럼들(100)의 개수 및 컬럼들(100)의 단면의 형태에 따라서 다각 형상의 챔퍼링 유무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은 해수면에 평행한 단면을 가지며 단면은 꼭지점 및 일면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일면 중 일부는 컬럼들(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들(200)은 복수의 컬럼들(100)을 서로 연결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컬럼들(100)과 직접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00)들은 컬럼들(10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연결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인 브레이스의 형태와 단면이 다각형인 폰툰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들은 서로 마주보는 컬럼(100)에 대하여 일 컬럼(110)의 일면과 다른 컬럼(120)의 일면에 대해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다각형의 컬럼들(100)의 일면과 연결이 되어, 하나의 컬럼(100)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인접한 연결부(200)는 하나의 컬럼(100)에서 서로 다른 일면에 마련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 또는 일면을 포함하는 컬럼들(100)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영역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어,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컬럼들(100)의 일면에는 연결부(200)의 너비를 제외한 여유 너비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댐퍼(300)는 연결부(200)와 연결되며 연결부(200)의 너비보다 넓게 마련되어 여유 너비의 일부분을 채울 수 있어,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추가적인 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연결부(200)들은 적어도 컬럼들(100)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추가적으로 컬럼들(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데 상단 또는 하단 연결부(210, 220, 230)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 연결부(240, 250, 260)들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어 컬럼들(100)과 하나의 구조물처럼 연결될 수 있는 반면, 하단 연결부(210, 220, 230)들은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단 또는 하단 연결부(210, 220, 230)들은 단면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단에 발전 구조물(PGS)을 지지하는 센터 컬럼(CC)이 마련되는 경우 센터 컬럼(CC)과 이외의 컬럼들(100) 사이에는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전 구조물(PGS)이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의 상단에 마련되어 발전 구조물(PGS)이 편심된 경우에도 연결부(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300)들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부력을 부여하는 부력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연결부(20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며 연결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댐퍼(300)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단 연결부(210, 220, 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200)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어 연결부(200)와 직접 연결되거나 이격 배치되어 고정부재(5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댐퍼(300)가 연결부(200)와 맞닿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연결부(200)와 직접 연결이 되며, 댐퍼(300)가 연결부(200)와 이격 배치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50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일면과 연결부(200)의 너비의 차이인 여유 너비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을 차지하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유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마련되거나 여유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어 컬럼들(100)의 일면을 채울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컬럼들(100)의 일면과 연결이 되고 댐퍼(300)는 여유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어 컬럼들(100)의 일면을 가득 채우는 형태로 마련되어,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이 안정적으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200)와 댐퍼(300)의 너비를 합한 길이가 컬럼들(100)의 너비에 대응이 되는 경우에 댐퍼(300)와 연결부(200)의 연결 형태에 따라서 댐퍼(300)의 너비가 달라질 수 있다.
댐퍼(300)와 연결부(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 또는 일면을 포함하는 컬럼들(100)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연결부(200)의 너비를 제외한 부분에 해당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댐퍼(300)와 연결부(200)가 고정부재(50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댐퍼(300)는 연결부(200)와 이격 배치되므로 연결부(200)의 너비와 무관하게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너비로 마련될 수 있어, 연결부(200)와 댐퍼(300)의 결합체가 영역에 해당하는 너비를 가지는 경우에도 댐퍼(300)와 연결부(200)의 연결 형태에 따라서 댐퍼(300)의 너비가 달라질 수 있다.
연결부(200)와 댐퍼(300)의 결합체가 컬럼들(100)의 일면을 가득 채우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댐퍼(300)의 외측변은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어, 다각 형상은 댐퍼(300)의 외측변 및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댐퍼(300)의 외측변 및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과 댐퍼(300)의 내측변 및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은 서로 닮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댐퍼(300)의 형태와 무관하게 도 2를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다각 형상은 제1 형상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닮은 다각 형상을 제2 형상으로 칭할 수 있다.
도 2에서 댐퍼(300)는 영역 또는 여유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어, 댐퍼(300)의 외측변은 제1 형상의 가상의 라인과 대응되고 내측변은 제2 형상의 가상의 라인과 대응이 될 수 있는데, 댐퍼(300)가 영역 또는 여유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마련되는 경우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다.
다각 형상 중 제1 형상은 댐퍼(300)가 연결되는 컬럼들(100)의 일면에서 외측 꼭지점 및 외측으로 인접한 일면에서 연장되는 도형이며, 제2 형상은 제1 형상과 닮은 형태로 컬럼들(100)의 일면에서 외측 꼭지점에서 연장되는 도형으로,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크기는 컬럼 형태, 크기 및 일면의 너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댐퍼(300)가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 또는 일면을 포함하는 컬럼들(100)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영역보다 작은 너비로 마련이 되는 경우, 댐퍼(300)는 외측으로 치우쳐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되고 내측으로 치우쳐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2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어, 댐퍼(300)의 외측변 또는 내측변은 적어도 다각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다.
댐퍼(300)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부(200)의 너비보다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댐퍼(300)의 단면적은 댐퍼(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하거나 달라질 수 있다.
해수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대한 댐퍼(300)의 면적은 일 컬럼(110)에서 다른 컬럼(120)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일정하거나 달라질 수 있어, 댐퍼(300)는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300) 및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 컬럼에서 다른 컬럼으로 향하는 방향인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댐퍼(300)는 단면적이 일정하게 마련되어, 제1 댐퍼(300)의 형태로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일면에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될 수 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PGS)은 타워(TW), 낫셀(NC) 및 블레이드(B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터 컬럼(CC) 또는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 중 일부 컬럼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발전 구조물(PGS)은 센터 컬럼(CC) 또는 이외의 컬럼들(100)의 상단에 마련이 될 수 있으나,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센터 컬럼(CC)이 배치된다고 하여 센터 컬럼(CC)의 상단으로 위치가 한정되지 않으므로, 발전 구조물(PGS)의 위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실시예마다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터 컬럼(CC)의 상단에 발전 구조물(PGS)의 일부 구성인 타워(TW)가 마련되나, 타워(TW)는 센터 컬럼(CC) 이외의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의 상단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타워(TW)가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경우에 타워(TW)가 마련되는 컬럼은 이외의 컬럼들(100)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거나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부피가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컬럼(CC)은 제1 내지 제3 컬럼들(160, 170, 180)이 형성하는 다각형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센터 컬럼(CC)은 제1 내지 제3 컬럼들(160, 170, 180)이 형성하는 삼각형의 중심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컬럼(CC)은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과 하단 연결부(210, 220, 230) 및 상단 연결부(240, 250, 2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하단 연결부(210, 220, 230)와 상단 연결부(240, 250, 260) 사이에는 대각선의 연결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구조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센터 컬럼(CC)과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210, 220, 230)는 센터 컬럼(CC)의 일측과 맞닿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단 연결부(240, 250, 260)는 센터 컬럼(CC)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센터 컬럼(CC)의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센터 컬럼(CC)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서 댐퍼(300)의 형태가 달라진 것으로, 도 1과 비교하여 달라진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평면도 또는 단면도이며, 컬럼들(100)에 연결된 댐퍼(300)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사이에 마련되며 연결부(200)와 연결이 되고 연결부(200) 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300) 또는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댐퍼(300)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300)의 형태로 마련이 되고, 양 끝단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는 육각형의 단위체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반복해서 배열될 수 있다.
제1 컬럼(110) 및 제3 컬럼(130)의 사이에 마련되는 댐퍼(330)를 참조하면, 4개의 단위체가 배열되고 양 끝단에는 단위체가 잘린 형태로 제1 컬럼 및(110) 제3 컬럼(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단위체의 너비는 컬럼들(100)의 일면보다 작게 마련이 되어 단위체의 집합인 댐퍼(300)의 너비는 컬럼들(100)의 일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은 컬럼들(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형상 및 내측에 형성되며 제1 형상과 닮은 꼴인 제2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댐퍼(300)의 외측변은 제1 형상과 대응되고 댐퍼(300)의 내측변은 제2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댐퍼(300)의 너비가 컬럼들(100)의 너비에 대응되는 경우 댐퍼(300)는 제1 형상 및 제2 형상과 대응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댐퍼(300)의 너비가 컬럼들(100)의 일면보다 작게 마련되는 경우 댐퍼(300)는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단위체가 연속 배열되어 형성되는 댐퍼(300)는, 외측변이 제1 형상과는 어긋나게 배치되고 내측변이 제2 형상과 대응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측변이 제1 형상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내측변이 제2 형상과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댐퍼(300)는 양 끝단이 컬럼들(100)의 일면에 대응되는 너비로 컬럼들(100)과 연결되고 중심의 너비가 양 끝단의 너비보다 넓게 마련되어,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3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에서 댐퍼(300)는 양 끝단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는 육각형의 단위체가 1개 배열될 수 있으며, 단위체의 중심 너비는 양 끝단의 너비 및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보다 넓게 마련되어 도 2에서 컬럼들(100)의 일면과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댐퍼(300)의 너비보다 일부 구간의 너비가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서 댐퍼(300)는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 중 하나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200) 및 댐퍼(300)에 대한 도면이며, 컬럼들(100)의 단면이 육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컬럼(110) 및 제2 컬럼(120)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200) 및 댐퍼(300)를 살펴보면, 댐퍼(300)는 해수면과 플레이트 형태로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며 연결부(200)는 댐퍼(300)의 상단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00)와 댐퍼(300)는 이격 배치되어 맞닿아서 연결되지 못하므로 고정부재(50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댐퍼(300)의 내부는 격자 구조로 마련되어 연결부(200)만 마련된 경우와 비교하여 부력을 추가 제공할 수 있으나, 격자 구조 사이로 유체가 유동 가능하게 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댐퍼(300)의 격자 구조의 하단부는 폐쇄된 면으로 마련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300)와 같이 부력을 제공해주며, 내부만 격자 구조로 보강이 되어 댐퍼(3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과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댐퍼와 연결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연결부(200) 및 댐퍼(300)는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 및 센터 컬럼(CC)의 사이에서 인접한 컬럼을 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댐퍼(300)는 연결부(200)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결부(200)와 연결되어 연결부(200)의 중심 또는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해수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되어 추가적인 부력을 제 공할 수 있다.
연결부(200)와 댐퍼(300)가 6A와 6B와 같이 이격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50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500)는 연결부(200)와 댐퍼(300) 사이에 마련되며 도 6A와 같이 높이에 따라 너비가 변화되거나 도 6B와 같이 너비가 일정한 기둥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500)는 연결부(200) 및 댐퍼(300)의 사이에 반복 배치되어 컬럼과 컬럼(100) 사이에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연결부(200) 및 댐퍼(30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00)와 댐퍼(300)가 도 6C와 도 6D와 같이, 맞닿게 배치되는 경우 댐퍼(300)가 연결부(200)와 직접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연결부(200)의 최상단보다 낮은 높이인 중심에서 연결이 되어, 댐퍼(300)에 대하여 연결부(200)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500)는 댐퍼(300)와 연결부(200)가 맞닿게 마련되는 경우에도 배치되어, 댐퍼(300)와 연결부(200)의 연결을 보강할 수 있으며 도 6C 및 도 6D와 같이 댐퍼(300)에 대해 연결부(200)가 돌출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500)가 댐퍼(300)의 상하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형태가 달라진 일 컬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돌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센터 컬럼(CC)이 생략된 구조로 발전 구조물(PGS)이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컬럼들(100)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마련되어 꼭지점 및 일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컬럼들(10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일면 중 일부는 컬럼들(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컬럼들(100)은 다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도 7에서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꼭지점이 챔퍼링된 삼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이 챔퍼링된 꼭지점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마련되는 컬럼들(100)의 개수 및 컬럼들(100)의 단면의 형태에 따라서 다각 형상의 챔퍼링 유무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컬럼들(100)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200)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마련되어 폰툰으로 지칭될 수 있는데, 연결부(200)는 컬럼들(100)의 일면보다 너비가 작게 마련되어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컬럼들(100)의 일면에는 연결부(200)의 너비를 제외한 여유 너비가 마련될 수 있다.
댐퍼(300)는 플레이트 형태로 연결부(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연장되어 부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컬럼들(100)의 일면에 마련되는 여유 너비에 배치되어 연결부(200)와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200) 및 댐퍼(300)의 너비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컬럼(150)과 제3 컬럼(160)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220)의 양측에 댐퍼(32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200)가 일측에 마련되고 타측에 댐퍼(300)가 마련될 수 있다.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에서 연결부(200)의 너비를 제외한 여유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될 수 있어, 컬럼들(100) 및 연결부(200)의 너비에 따라서 댐퍼(300)의 너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과 비교하여, 타워(TW)가 마련되는 컬럼(160)의 부피가 이외의 컬럼들(100)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삼각 형상을 형성하는 컬럼들(100)의 사이에서 일 컬럼(160)의 상단에 타워(TW)를 포함하는 부력 구조물이 마련되면, 해당 컬럼(160)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컬럼들(100)의 사이에서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이 사각 형상이라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타워(TW)를 포함하는 발전 구조물(PGS)이 마련된 컬럼(160)의 너비, 단면적 및 부피가 이외의 컬럼(140, 150)보다 크게 마련되어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무게의 편심을 해결할 수 있다.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는 타워(TW)가 마련되는 컬럼(160)의 너비 및 부피가 커지는 경우에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컬럼들(100)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200)의 길이가 짧아질 수는 있으나 연결부(200)의 너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타워(TW)가 마련되는 컬럼(160)의 너비 및 부피가 이외의 컬럼들(100)과 동일하게 마련이 되고, 컬럼들(100)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부재(400)가 포함될 수 있다.
돌출부재(400)는 컬럼들(100)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다각 형상의 기준이 되는 컬럼들(100)을 돌출부재(400)를 포함하는 컬럼들(100)로 확장하여, 다각 형상은 돌출부재(400)를 포함한 컬럼들(100)이 형성하여 기존의 컬럼들(100)이 가상의 라인에 의해 형성하는 다각 형상보다 확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재(400)는 댐퍼(300)의 너비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컬럼들(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9에서 돌출부재(410)는 댐퍼(300)의 너비 방향으로만 확장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300)의 길이 방향 확장되는 돌출부재(420)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재(410)가 댐퍼(300)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이 돌출부재(410) 및 컬럼들(100)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으로 확장되어 댐퍼(300)의 너비 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컬럼들(100)의 일면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고, 댐퍼(300)는 연결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댐퍼(300)가 컬럼들(100)의 일면에서 벗어나게 마련되나 돌출부재(410)에 대해서는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 댐퍼(300)는 컬럼들(100)의 일면에 마련되어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었으나, 도 9에서는 연결부(200)가 컬럼들(100)의 일면과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어 댐퍼(300)가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재(410)는 컬럼들(100)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이 돌출부재(410)를 포함하도록 확장시켜, 도 9에서 댐퍼(300)가 컬럼들(100)의 일면에서 벗어나게 마련되더라도 돌출부재(410)에서 돌출되지 않는다면 돌출부재(410) 및 컬럼들(100)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가상의 라인에 대응될 수 있다.
댐퍼(300)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410)는 다각 형상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댐퍼(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420)는 다각 형상을 확장하나 안벽과 접안시 사용되는 펜더(Fender)와 같은 방충 부재의 두께를 고려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과 비교하여 연결부(200) 및 댐퍼(300)의 구성이 생략되게 표현되어 있으며 컬럼들(10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재(4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돌출부재(410)는 컬럼들(100)의 외측으로만 돌출되어 도 10에서 내측 방향의 돌출부재(43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나, 도 10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서 돌출부재(400)는 컬럼의 내측 및 외측을 포함한 전방위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00) 및 댐퍼(30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연결부(200)는 내측 방향의 돌출부재(43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댐퍼(300)는 연결부(200)의 측면 또는 하면에서 연결되어 돌출부재(430)에서 연장되거나 돌출부재(430) 상에 마련될 수 있어, 돌출부재(430)의 형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0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은 연결부(200) 중에서 하단 연결부(210, 220, 230) 및 댐퍼(300)를 필수적인 구성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컬럼들(100)에 대하여 돌출부재(410, 420, 430)가 외측 및 내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부재(410, 420, 430)의 형태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재들(410, 420, 430)은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해수면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어,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돌출부재들(410, 420, 430)은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재(410, 420, 430)는 내측의 양 끝단이 챔퍼링되어 컬럼들(100)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단면적 또는 너비가 최대로 마련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비례하여 단면적 또는 너비가 좁아지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재(440)는 센터 컬럼(CC)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해수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타워(TW)가 마련되는 센터 컬럼(CC)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센터 컬럼(CC)에 마련되는 돌출부재(440)와 제1 내지 제3 컬럼들(110, 120, 130)에 마련되는 돌출부재(410, 420, 430)는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돌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에 돌출부재(400)가 마련되는 경우, 돌출부재(400)는 컬럼들(100)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어 컬럼들(100)의 외측, 내측 및 측면에 대해 마련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컬럼들(100)의 내측을 제외한 외측 및 측면에 대해서만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재(400)에서 컬럼들(100)의 외측에 마련되는 돌출부재(420)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의 안벽 접안시 컬럼과 안벽 사이에 마련되는 펜더와 같은 방충부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외측에 마련되는 돌출부재(420)의 길이가 방충부재의 두께보다 길게 마련되면, 안벽 접안시 안벽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펜더의 두께보다 짧게 마련되어야 하므로, 컬럼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420)는 펜더의 두께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FOS) 및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F0S)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PGS)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공지 기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FOS: 부유식 해양 구조물
100, 110, 120, 130, 160: 컬럼
CC: 센터 컬럼
200, 210, 220, 230, 240, 250, 260: 연결부
300, 310, 320, 330: 댐퍼
400, 410, 420, 430, 440: 돌출부재
500: 구정부재
PGS: 발전 구조물
TW: 타워

Claims (17)

  1. 복수의 컬럼들;
    상기 컬럼들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컬럼들의 상기 다각 형상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부와 직접 또는 고정부재를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맞닿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상기 컬럼들의 일면의 너비 또는 상기 일면을 포함하는 상기 컬럼들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영역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면 상기 영역에서 상기 연결부의 너비를 제외한 부분에 해당하는 너비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서 연결되면 상기 댐퍼가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댐퍼의 외측이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가상의 라인에 대응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면이 원형인 브레이스 및 다각형인 폰툰을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내부가 격자 구조로 보강되며,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컬럼들과 인접한 부분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거나,
    양 끝단의 단면적이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는 단위체가 반복해서 배열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들이 형성하는 다각 형상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마련되는 발전 구조물을 지지하는 센터 컬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 컬럼은,
    상기 컬럼들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컬럼들 중 하나의 컬럼 상부에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며,
    상기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는 컬럼의 단면적이 이외의 컬럼들보다 크게 마련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들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을 상기 돌출부재를 포함한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으로 확장하며,
    상기 댐퍼의 너비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다각 형상을 확장하여 상기 댐퍼의 너비 또는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댐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안벽 접안시 사용되는 펜더의 두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
  12. 복수의 컬럼들;
    상기 컬럼들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의해 다각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컬럼들의 상기 다각 형상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컬럼들의 너비보다 일정 너비만큼 작은 너비로 마련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일정 너비에 해당하는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댐퍼의 결합체는 상기 컬럼들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게 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일정한 제1 댐퍼;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면적이 달라지는 제2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댐퍼는,
    길이 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달라지는 단위체가 반복 배열되거나 일 단위체로 마련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컬럼들의 상부에 마련되는 발전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 구조물은,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컬럼들 중 하나의 컬럼에 마련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구조물이 마련되는 컬럼은 단면적이 이외의 컬럼들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되고,
    상기 컬럼들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을 상기 돌출부재를 포함한 상기 컬럼들의 다각 형상으로 확장하여 상기 댐퍼의 너비 또는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댐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는,
    상기 컬럼들의 안벽 접안시 사용되는 펜더의 두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상기 부유식 해양 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발전 구조물을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
KR1020230098915A 2022-07-28 2023-07-28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발전 장치 KR20240016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4242 2022-07-28
KR1020220094242 2022-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230A true KR20240016230A (ko) 2024-02-06

Family

ID=898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915A KR20240016230A (ko) 2022-07-28 2023-07-28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2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5648B1 (en) Marine float structure composed of multiple floats
WO2018096650A1 (ja) 浮体構造物
KR20140120154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트러스형 하부 구조물
JP7223378B2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装置
KR20240016230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발전 장치
KR102588979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
KR101287519B1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구조물
KR102623365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
KR102637606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양 발전 장치
US20230406457A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floating offshore power generation apparatus having same
US20230407845A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floating offshore power generation apparatus having same
WO2014167368A2 (en) Unsinkable-stable unaffected from waves floating truss platforms
KR101666104B1 (ko) 동요 저감용 댐퍼가 구비된 부유체
KR102093240B1 (ko) 다중 칼럼으로 구성된 자기 선회식 해상풍력 부선
KR102523952B1 (ko) 타워일체형 해상풍력 부유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48933B1 (ko) 수상 태양광패널 설치용 부력체
CN115783157A (zh) 一种适用于大波浪环境的桁架式海上光伏漂浮式支撑结构
KR20240059800A (ko) 부유체 플랫폼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40061441A (ko) 새만금 수상태양광 시설의 파고 감쇠를 위한 저품위 탄소섬유 적용 gfrp 복합재 보강근 기반 부유식 방파제
KR20220135335A (ko) 해상 풍력발전 장치
KR20230156471A (ko) 부유식 콘크리트 소파제
CN115817745A (zh) 一种不等长度差异刚度浮体支点式桁架海上光伏浮式支撑结构
KR20150033339A (ko) 풍력발전해양구조물의 상호 연결을 통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방법